KR20110031794A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794A
KR20110031794A KR1020090089199A KR20090089199A KR20110031794A KR 20110031794 A KR20110031794 A KR 20110031794A KR 1020090089199 A KR1020090089199 A KR 1020090089199A KR 20090089199 A KR20090089199 A KR 20090089199A KR 20110031794 A KR20110031794 A KR 20110031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ase
front case
modul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1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7143B1 (en
Inventor
추지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9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143B1/en
Publication of KR20110031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7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1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use a rear case of a resin material as a portion of a slide module. CONSTITUTION: A second body includes a front case and a rear assembly, and the rear assembly comprises a rear case(221) and a support member(230). The rear case is formed in the slide member and allows a sliding operation thereof. A mounting unit(221a) is formed inside the rear case, and the support member is fixed to the rear case when enclosing a display module(245). The lateral plane of the front case is engaged with the lateral plane of the support unit.

Description

이동 단말기{PORTABLE TERMINAL}Mobi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A mobi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ing,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and data storage.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종합적으로 탑재되어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mobile terminal has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receiving a broadcast, and the like. It also implements.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Many new attempts are being applied to these multimedia devices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easily and conveniently.

이동 단말기가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개성에 따른 선택이 용이하도록 폼팩터(form factor)도 다양화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의 전통적인 형태는, 하나의 바디에 입·출력부와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바(bar) 타입을 기본으로 하여, 어느 한 바디가 다른 한 바디에 대하여 회전되어 열리거나 닫히는 폴더(folder) 타입 또는 스윙(swing) 타입, 또는 어느 한 바디가 다른 한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열리거나 닫히는 슬라이드(slide) 타입 등이 있다.As mobile terminals are regarded as personal portable devices, form factors are diversified to facilitate selection according to individuality. The traditional type of mobile terminal is based on a bar type in which an input / output unit and a display are arranged in one body, and a folder type in which one body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other body to be opened or closed. A swing type, or a slide type in which one body slides with respect to another body and is opened or closed.

그 중 슬라이드 타입은 여는 동작이 간결하고 디스플레이가 직접 단말기의 외부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인식이 용이한 장점 등의 이유로 선호되고 있다. 그런데, 슬라이드 타입의 경우,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기구물이 차지하는 재료의 비중이 높은 편이어서 저가형의 단말기의 제조에 있어서는 부담의 원인이 된다.Among them, the slide type is preferred because of its simplicity of opening and a display that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for easy recogni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slide type, the specific gravity of the material occupied by the mechanism for the slide movement is high, which causes a burden in manufacturing a low-cost type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슬라이드 모듈을 이루는 재료비를 절약함으로써 저가형의 이동 단말기를 제조를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has a technical object to enable the manufacture of a low-cost mobile terminal by saving the material cost constituting the slide modu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가형의 슬라이드 모듈을 채용하는 경우 강도의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compensate for the weakness of the strength when employing a low-cost slide modu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슬라이드 부재가 고정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2바디의 전면 또는 측면 외관을 한정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되는 리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바디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둘러싼 상태로 상기 리어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되며, 그 측면에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측면이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 body is fixed; And a second body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wherein the second body comprises: a front case defining a front or side appearance of the second body; And a rear assembly coupled to the front case, wherein the rear assembly is form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slide member, and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display module is formed therein, and a rear exterior of the first body. A rear case forming a; And a support member that is formed to be fixed to the rear case in a state surrounding the display module, and a side of which the side of the front case is latched to prevent the front case from opening.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리어 케이스에 형성되는 후크부재가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형 성되는 복수의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so that the hook groove formed in the rear case can be hooked, and the hook groove formed in the front case can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hook grooves formed in the front case. It may include an insertion protrusion.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and the support membe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상기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수지 재질의 리어 케이스를 슬라이드 모듈의 일부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슬라이드형의 이동 단말기의 재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ar case of the resin material is used as part of the slide module, the material cos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slide type can be reduced.

나아가, 지지부재는 충격에 취약할 수 있는 리어 케이스의 강성을 보완해줄 수 있으며, 충격에 의한 프론트 케이스의 벌어짐을 개선시킬 수 있다.Furthermore, the support member can compensate for the rigidity of the rear case, which can be vulnerable to impact, and can improve the opening of the front case due to the impact.

이러한 지지부재와 리어 케이스를 일체형태로 제작함으로써 곧바로 조립하여 제품을 생산하기 용이한 취급구조를 얻을 수 있다.By fabricating such a support member and the rear case in an integrated form, a handling structure that can be readily assembled to produce a product can be obtained.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merely given in consideration of ease of prepara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o not impart any particular meaning or role by themselv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unit 160, and an interface. The unit 170, the controller 180, and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included. 1 shows a mobile terminal having various components. However, not all illustrated components are required.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illustrated components, or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turn.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Meanwhi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and in particula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nd media forward link (MediaFLO). Digital broadcast signals can be received us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only),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ing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may be internal or external.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may include Wireless 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nd the lik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check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According to the current technology, the GPS module 115 calculates distance information and accurate time information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then applies trigonometry to the calculated information to obtain a three-dimensional string of latitude, longitude,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At present, a method of calcula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an error of the calculated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another satellite is widely used. In addition, the GPS module 115 may calculate speed information by continuously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 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camera 121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camera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output in the call mode. The microphone 122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51 described later,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 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40 detects a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ke.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with power o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Meanwhi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ired / wireless headset ports, external charger ports, wired / wireless data ports, memory card ports, ports for connecting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s, Video I / O (Input / Output) port, earphone port, etc. may be included.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Her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author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nd a 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evice equipped with the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mart card.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port.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or transmits the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또한,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 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by a user may be used. It may be a passage that is delivered to a mobile terminal. Various command signals or power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signals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 ㅊ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d an alarm output module 153. hav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a UI, or a GUI.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touch pad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to form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 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근접 센서가 굳이 장착되지 않더라도,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side or near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present in the vicinity without using a mechanical contact by us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Even when the proximity sensor is not firmly mounted, 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proximity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a change in a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ouch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the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vibration.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vibration to inform this. Alternatively, when a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vibration in response to the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vibration outpu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the event. Of course, the signal for notification of event occurrence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voice output module 152.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80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You can also do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data regarding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is performed.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memory unit 16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of the optical disk.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unit 160 on the Internet.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a writing input or a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text and an image,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열려진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200)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론트 바디(202)와 리어 바디(201)를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mobile terminal 200 has a front body 202 and a rear body 201 that are movably coupled to each other.

프론트 바디(202)는 리어 바디(201)에 대하여 겹쳐지게 배치되어 있으며, 도 2와 같이 리어 바디(201)의 특정 부분이 노출되는 상태를 열린 상태(open state)라 하고, 그 특정 부분이 프론트 바디(202)에 의하여 가려지는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state)라 할 수 있다.The front body 202 is disposed to overlap the rear body 201, and as shown in FIG. 2, a state in which a specific portion of the rear body 201 is exposed is referred to as an open state, and the specific portion is front. The state covered by the body 202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state.

리어 바디(201)의 특정 부분에는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215)가 설치되어 있으며, 리어 바디(201)의 후면에는 이동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17)가 장착된다. 배터리(217)는 셀과 커버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패키지 형태로 되거나, 커버가 셀로부터 분리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A specific portion of the rear body 201 is provided with a keypad 215 for inputting letters or numbers, and a rear surface of the rear body 201 is equipped with a battery 217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200. do. The battery 217 may be configured in a package in which the cell and the cover are integrally formed, or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th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cell.

리어 바디(201)의 측면에는 인터페이스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인터페이스부(216)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21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 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나아가, 인터페이스부(21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unit 216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rear body 201. The interface unit 216 may be a passage for allow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216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the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wireless Lan port) etc.}, or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the interface unit 216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ommodate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nd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프론트 바디(202)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45)이 보일 수 있도록 특정 영역을 투광성으로 형성시킨 윈도우(211)가 부착되어 있으며, 윈도우(211)의 하측에는 입력을 위한 키조작부(213)가 설치되어 있다. 윈도우(211)의 상부에는 음성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홀(211a)이 형성된다.The front of the front body 202 is attached to the window 211 is formed to transmit a specific region so that the display module 245 to be described later, the key operation unit 213 for input below the window 211 Is installed. A speaker hole 211a for outputting a speaker for outputting voic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window 211.

도 3과 같이, 리어 바디(201)의 후면에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구성된 영상입력부(218)가 구비된다. 영상입력부(218)는 카메라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위 밝기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플래쉬가 설치되거나 피사체가 사용자 쪽에 있는 경우 피사체의 위치를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거울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rear of the rear body 201 is provided with an image input unit 218 configured to take a picture or a video. The image input unit 218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amera. The image input unit 218 may include a mirror or the like so that a flash may be installed to adjust the ambient brightness, or a position of the subject may be easily seen when the subject is at the user side.

프론트 바디(202)는 전면 또는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203)를 포함하며, 프론트 바디(202)의 후면에는 프론트 바디(202)가 리어 바디(201)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리어 어셈블리(220)가 설치된다. 리어 어셈블리(220)는 도 4 이하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된 리어 어셈블리(220)는 반 조립된 상태에서 간단히 프론트 케이스(203)만을 조립하면 되므로, 조립시간을 단축시키고, 부품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The front body 202 includes a front case 203 that defines a front or side appearance, and on the rear of the front body 202 is a rear assembly configured so that the front body 202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rear body 201. 220 is installed. The rear assembly 2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or below. In particular, since the rear assembly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needs to assemble the front case 203 in a semi-assembled state, the assembly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parts can be easily managed.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론트 바디를 윈도우,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어셈블리로 분리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리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지지부재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7은 지지부재를 리어 케이스에 조립하기 위하여 지지부재의 하단을 리어 케이스의 하부에 맞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into a window, a front case and a rear assembly,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assembly, Figure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is align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case in order to assemble the support member to the rear case, and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4.

도 4와 같이, 프론트 바디(202)는 윈도우(211), 프론트 케이스(203) 및 리어 어셈블리(220)로 분리될 수 있다. 윈도우(211)는 프론트 바디(202)의 외관을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게 프론트 바디(202)의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리어 어셈블리(220)를 이루는 디스플레이 모듈(245)이 보여질 수 있도록 투광성 영역을 갖는다. 윈도우(211)는 프론트 케이스(203)에 접착테입 또는 융착 등의 방법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ront body 202 may be separated into a window 211, a front case 203, and a rear assembly 220. The window 211 may be formed to occupy mos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body 202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front body 202 may be simply configured. The display module 245 constituting the rear assembly 220 is shown. It has a light transmissive area. The window 211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case 203 by a method such as adhesive tape or fusion.

도 5와 같이, 리어 어셈블리(220)는 지지부재(230), 디스플레이 모듈(245), 스피커(247), 진동부(248), 리어 케이스(221) 등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리어 어셈블리(220)는 외관이나 디자인의 고려상 쉽게 변경될 수 있는 프론트 케이스(203)나 윈도우(211)에 비하여 곧바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모듈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품생산성과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As shown in FIG. 5, the rear assembly 220 includes a support member 230, a display module 245, a speaker 247, a vibrator 248, a rear case 221,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rear assembly 220 can reduce the product productivity and production cost in that it is modularized so that the rear assembly 220 can be assembled and used directly compared to the front case 203 or the window 211 that can be easily changed in consideration of appearance or design. That has the advantage.

리어 어셈블리(220)의 후면 외관을 이루는 리어 케이스(221)는 프론트 바디(202)의 외관의 일부분을 이룸과 아울러 프론트 바디(202)와 리어 바디(201)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도 기능하다. 즉, 도 4와 같이, 리어 바디(201)에 고정되어 있는 레일부(225)에 구속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리어 케이스(221)의 양단은 직선형의 슬라이드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The rear case 221 forming the rear appearance of the rear assembly 220 forms a part of the exterior of the front body 202 and also serves as a connecting member for slidably connecting the front body 202 and the rear body 201. Function That is, as shown in FIG. 4, both ends of the rear case 221 are formed with a linear slide part 222 so as to be restrained by the rail part 225 fixed to the rear body 201 to be moved.

리어 케이스(221)는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45), 스피커(247) 및 진동부(248)가 안착될 수 있게 각각의 안착 형상부(221a,221b,221c)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복잡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리어 케이스(221)는 수지재질을 사출 또는 인서트와 같은 가공방법에 의하여 제작할 수 있다. The rear case 221 also includes respective mounting features 221a, 221b, and 221c to allow the display module 245, the speaker 247, and the vibrator 248 to be seated. In order to form such a complicated shape, the rear case 221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by a processing method such as injection or insert.

리어 케이스(221)에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203) 역시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재질의 적용은 성형이 용이하고 재료와 관련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The front case 203 coupled to the rear case 221 may also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Application of such a resin material is easy to mold and can reduce the costs associated with the material.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리어 케이스(221)와 프론트 케이스(203)만에 의하여 프론트 바디를 구성하는 경우 충격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리어 케이스(221)는 별도로 지지부재(230)가 조립된다.When the front body is constituted only by the rear case 221 and the front case 203 formed of a resin material, the support member 230 is separately assembled to the rear case 221.

도 5 및 도 6에 의하면, 지지부재(230)는 디스플레이 모듈(245)의 전면 테두리 부분을 감싸면서 리어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230)는 리어 케이스(221)와 프론트 케이스(203)의 약점인 강성을 보완하면서도 두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게 금속재질(예: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5 and 6, the support member 230 is fixed to the rear case while surrounding the front edge of the display module 245. The support member 23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eg, stainless steel) to prevent the increase in thickness while supplementing the rigidity that is a weak point of the rear case 221 and the front case 203.

지지부재(230)와 리어 케이스(221)는 여러 가지 수단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230 and the rear case 221 may be fixed by various means.

도 4 내지 도 8에 의하면, 지지부재(230)의 하단에는 지지부재(230)를 리어 케이스(221)의 하부에 걸어 놓은 상태에서 스냅핏(snap fit) 형태로 조립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234)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재(230)의 양측면에는 리어 케이 스(221)에 형성된 후크(223)가 걸려지기 위한 걸림홈(232)이 형성되어 있다. 4 to 8,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30, the locking projection 234 to be assembled in a snap fit form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230 hangs on the lower part of the rear case 221. Is formed, and the engaging groove 232 for the hook 223 formed on the rear case 221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 230.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부재(2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230)의 상단은 구속용 돌기(236)가 형성되어 있으며, 리어 케이스(221)에 형성된 스크루 체결부재(2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스크루홈(235)이 형성되어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flow of the support member 230 in the assembled state,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30 is formed with a restraining protrusion 236, to be inserted into the screw fastening member 224 formed in the rear case 221. Screw grooves 235 are formed to be.

리어 어셈블리(220)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조립된다. 즉, 도 5와 같이, 리어 케이스(221)에 디스플레이 모듈(245), 스피커(247) 및 진동부(248)를 각각의 위치에 놓은 후, 지지부재(230)의 걸림돌기(234)를 돔스위치(242)가 형성된 회로기판(241)과 디스플레이 모듈 장착부(221a) 사이의 홈에 끼운다(도 7 참조). The rear assembly 220 is assembled in the following manner.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display module 245, the speaker 247, and the vibrator 248 are disposed at the respective positions in the rear case 221, and then the locking protrusion 234 of the support member 230 is domed. The switch 242 is inserted into a groove between the circuit board 241 on which the switch 242 is formed and the display module mounting part 221a (see FIG. 7).

다음으로 지지부재(230)를 회동시켜 리어 케이스(221)의 후크(223)가 지지부재(230)의 걸림홈(232)에 삽입되어 완전히 걸려지도록 한다(도 8 참조). Next, the support member 230 is rotated so that the hook 223 of the rear case 221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32 of the support member 230 so as to be completely engaged (see FIG. 8).

이렇게 조립된 리어 어셈블리(220)는 프론트 케이스(203)의 조립과 무관하게 독립된 모듈 형태로 취급(Assembly to Order)이 가능하게 된다. The rear assembly 220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may be handled in an independent module form regardless of the assembly of the front case 203.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론트 케이스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9에 의하면, 프론트 케이스(203)는 디스플레이 모듈(245)이 보여질 수 있게 창이 형성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재료는 프론트 바디(202)의 측면외관을 형성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cas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9, the front case 203 is in the form of a window formed so that the display module 245 can be seen, and most of the material is used to form the side appearance of the front body 202.

프론트 케이스(203)의 하부에는 조작키(215)의 일부를 이루는 패드(207)가 조립되어 있다. 패드(207)에는 누름을 위한 돌기(207a)가 형성되어 있어 도 4와 같이 내부에 배치되는 돔스위치(242)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다. The pad 207 constituting a part of the operation key 215 is assembled under the front case 203. The pad 207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207a for pressing, so as to easily press the dome switch 242 disposed therein as shown in FIG. 4.

프론트 케이스(203)의 양측단에는 장공 형태의 걸림홈(205)이 형성되어 있 다. 다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지지부재(230)의 측단에는 복수의 삽입돌기(2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돌기(231)는 프론트 케이스(203)가 조립시 프론트 케이스(203)에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205)에 각각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At both ends of the front case 203, a locking groove 205 having a long hole shape is formed. 4 to 8,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231 are formed at the side ends of the support member 230. The insertion protrusion 231 is to be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s 205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case 203 when the front case 203 is assembled.

이러한 삽입돌기(231)와 걸림홈(205)은 프론트 케이스(203)가 리어 케이스(221)와 직접 체결되는 경우, 프론트 케이스(203)의 폭방향 벌어짐을 최소화시키고 충격에 의하여 프론트 케이스(203)가 벌어져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When the front case 203 is directly coupled to the rear case 221, the insertion protrusion 231 and the locking groove 205 minimize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case 203 and the front case 203 by impact. Do not break open.

도 10은 프론트 케이스를 리어 어셈블리에 조립하기 위해 프론트 케이스의 하단을 리어 어셈블리의 하단에 걸어 놓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ower end of the front case is hooked to a lower end of the rear assembly to assemble the front case to the rear assembly.

도 10과 같이, 리어 어셈블리(220)의 하단에는 프론트 케이스(203)가 걸려질 수 있도록 걸림턱(2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203)의 하단에는 리어 어셈블리(220)의 걸림턱(226)에 밑에서부터 맞추어져 끼워지도록 하는 걸림홈부(208)가 형성되어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0, a locking jaw 226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rear assembly 220 so that the front case 203 may be caught. 9, the locking groove 208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case 203 so as to be fitted into the locking jaw 226 of the rear assembly 220 from below.

따라서, 프론트 케이스(203)의 걸림홈부(208)를 리어 어셈블리(220)의 걸림턱(226)에 맞추고 회동시키면 지지부재(230)의 삽입돌기(231)가 프론트 케이스(203)의 걸림홈(208)에 삽입되면서 조립된다.Accordingly, when the locking groove 208 of the front case 203 is aligned with the locking jaw 226 of the rear assembly 220 and rotated, the insertion protrusion 231 of the support member 230 stops the locking groove of the front case 203. 208 assembled while being inserted.

프론트 케이스(203)가 위와 같이 임시적으로 고정되면, 리어 케이스(221)의 스크루 체결부(224)를 프론트 케이스(203)의 스크루 체결부(206)에 스크루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지지부재(230)는 이미 리어 케이스(221)의 스크루 체결부(224)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스크루 체결작업에 의하여 리어 케이스(221), 지지부 재(230) 및 프론트 케이스(203) 모두가 체결된다.When the front case 203 is temporarily fixed as described above, the screw fastening portion 224 of the rear case 221 is fastened to the screw fastening portion 206 of the front case 203 by using a screw. Since the support member 230 is already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crew fastening portion 224 of the rear case 221, both the rear case 221, the support member 230, and the front case 203 are formed by screw fastening. Is fastened.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mobi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열려진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론트 바디를 윈도우,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어셈블리로 분리하여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body separated by the window, the front case and the rear assemb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리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assembly;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지지부재의 후면 사시도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membe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지지부재를 리어 케이스에 조립하기 위하여 지지부재의 하단을 리어 케이스의 하부에 맞춘 상태를 보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is fitted to the lower part of the rear case in order to assemble the support member to the rear case;

도 8은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론트 케이스의 후면 사시도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cas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프론트 케이스를 리어 어셈블리에 조립하기 위해 프론트 케이스의 하단을 리어 어셈블리의 하단에 걸어 놓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ttom of the front case is hooked to the bottom of the rear assembly to assemble the front case to the rear assembly;

Claims (3)

슬라이드 부재가 고정되는 제1바디; 및A first body to which the slide member is fixed; And 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A second body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wherein the second body, 상기 제2바디의 전면 또는 측면 외관을 한정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A front case defining a front or side appearance of the second body; And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되는 리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어셈블리는,A rear assembly coupled to the front case, wherein the rear assembly,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바디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 A rear case which is form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slide member and has a mounting portion therein for mounting a display module therein and forms a rear exterior of the first body; 디스플레이 모듈을 둘러싼 상태로 상기 리어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되며, 그 측면에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측면이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A mobile terminal is formed to be fixed to the rear case in a state surrounding the display module,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upport member is formed so that the side of the front case can be caught to prevent the opening of the front cas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리어 케이스에 형성되는 후크부재가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locking groove formed to be able to engage the hook member formed on the rear case, and an insertion protrusion formed to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formed on the front cas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the support member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metal material.
KR1020090089199A 2009-09-21 2009-09-21 Portable terminal KR1015871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199A KR101587143B1 (en) 2009-09-21 2009-09-21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199A KR101587143B1 (en) 2009-09-21 2009-09-21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794A true KR20110031794A (en) 2011-03-29
KR101587143B1 KR101587143B1 (en) 2016-01-22

Family

ID=43936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199A KR101587143B1 (en) 2009-09-21 2009-09-21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14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761B1 (en) * 2012-06-13 2014-01-03 주식회사 평일 Elbow connector with grounding fun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161Y1 (en) * 2002-12-31 2003-03-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pparatus for fixing LCD of mobile terminal
KR200359917Y1 (en) * 2004-05-31 2004-08-2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ain LCD protector fram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6339698A (en) * 2005-05-31 2006-12-14 Mitsubishi Electric Corp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90069022A (en) * 2007-12-24 2009-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Slide-type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161Y1 (en) * 2002-12-31 2003-03-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pparatus for fixing LCD of mobile terminal
KR200359917Y1 (en) * 2004-05-31 2004-08-2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ain LCD protector fram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6339698A (en) * 2005-05-31 2006-12-14 Mitsubishi Electric Corp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90069022A (en) * 2007-12-24 2009-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Slide-type portab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761B1 (en) * 2012-06-13 2014-01-03 주식회사 평일 Elbow connector with ground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143B1 (en) 201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104B1 (en) Mobile terminal
KR101649636B1 (en) Portable terminal
KR20110027142A (en) Portable terminal
US8965466B2 (en) Pouch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258393B2 (en) Mobile terminal
KR101602229B1 (en) Portable terminal
KR20100046594A (en) Portable terminal
US9049279B2 (en) Mobile terminal
US8619422B2 (en) Mobile terminal
KR20140057826A (en) Mobile terminal
KR101602302B1 (en) Mobile terminal
KR101570375B1 (en) Portable terminal
KR20110031794A (en) Portable terminal
KR101718017B1 (en) Mobile terminal
KR101622653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95353B1 (en) Portable terminal
KR101989890B1 (en) Mobile terminal
KR20110026824A (en) Portable terminal
CN118099710A (en) Electronic equipment
KR20150022395A (en) Mobile terminal
KR20110071648A (en) Portable terminal
KR20110116510A (en) Portable terminal
KR20110003853A (en) Portable terminal
KR20100120979A (en) Portable terminal
KR20110021256A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