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278A -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278A
KR20110029278A KR1020090086890A KR20090086890A KR20110029278A KR 20110029278 A KR20110029278 A KR 20110029278A KR 1020090086890 A KR1020090086890 A KR 1020090086890A KR 20090086890 A KR20090086890 A KR 20090086890A KR 20110029278 A KR20110029278 A KR 20110029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cut
target item
item
shortcut key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6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9278A/ko
Priority to US12/882,382 priority patent/US20110066983A1/en
Publication of KR20110029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구분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단계,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할당된 단축키를 표시하는 단계 및 할당된 단축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단축키가 할당된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나 아이템의 변화에 대응하여 현재 화면에 맞는 단축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90086890
단축키, 쇼트커트, shortcut, 동적 할당

Description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Shortcut Interface }
본 발명은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단말에서 단축키 인터페이스가 지원되고 있다. 단축키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단축키를 입력하면 단말이 이를 인식하고 미리 설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종래의 단축키 인터페이스는 특정 응용프로그램이나 특정 응용프로그램의 특정 기능에 1 대 1로 정적으로 할당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서 '문서 저장'은 'ctrl-s', '다른 이름으로 저장'은 'ctrl-a' 등의 단축키가 할당되어 있어, 예를 들어 'ctrl-s' 단축키를 입력하면, 문서를 저장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이러한 정적 할당 방식은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나 뉴스 리더 등에 사용되는 경우 정적인 단축키 할당 방식만으로는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나 아이템의 변화에 대응하여 편리한 단축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나 아이템의 변화에 대응하여 현재 화면에 맞는 단축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구분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단계,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할당된 단축키를 표시하는 단계 및 할당된 단축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단축키가 할당된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은, 표시 영역에 아이템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단축키 입력을 받는 입력부 및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구분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고, 할당된 단축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단축키가 할당된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나 아이템의 변화에 대응하여 현재 화면에 맞는 단축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100)은 입력부(120), 제어부(150) 및 디스플레이부(18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표시 영역에 아이템을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화면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서는 웹 브라우저가 표시된다.
첫 번째 화면(210a)에서 사용자의 스크롤(scroll) 조작에 따라 두 번째 화면(210b)으로 변경된다.
표시 영역(220)은 화면(210)에 포함된 영역이다. 도 2에서는 굵은 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다.
표시 영역은 예를 들어 화면 전체(210)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스크롤 조작이나 링크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부분을 표시 영역(220)으로 가정한다. 표시 영역(220)에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230, 240, 245, 246)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크기, 모양 또는 위치 등은 사용자, 관리자, 단말 제공자 또는 소프트웨어 배포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콘텐츠(Content)는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는 대상 내용을 말한다. 콘텐츠는 예를 들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형식이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 등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마크업 언어의 형식이 아니더라도 링크, 이미지, 입력 창 등의 아이템의 배치를 표현할 수 있는 다른 형식으로 콘텐츠가 표현될 수 있다.
아이템은 링크나 버튼, 텍스트 영역, 이미지, 동영상 등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다양한 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가 HTML 형식이라면 "a" 태그(링크를 의미함) 또는 "input" 태그(텍스트 입력창, 버튼, 체크박스 등을 의미함), "javascript" 태그(자바 스크립트를 의미함), "img" 태그(그림을 의미함) 등으로 표현되는 대상이 아이템이 될 수 있다.
단축키 대상 아이템은 아이템 중 단축키가 할당되는 대상이 되는 아이템을 말한다. 단축키가 할당되는 대상이 되는 아이템은 예를 들어 콘텐츠에 태그 또는 기타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tml로 표현되는 아래와 같은 태그를 살펴본다.
<a href="http://www.samsung.com/">삼성전자1</a>
"http://www.samsung.com"으로 연결되는 링크를 나타내는 태그이다. "a" 태그가 "isShortcut"이라는 속성을 가질 수 있다고 가정한다. "isShortcut" 속성이 "y"이면 단축키 대상 아이템이 되고, "isShortcut" 속성이 "n"이면 단축키 대상아이템이 아니라고 가정해 보자.
<a href="http://www.samsung.com/" isShortcut="y">삼성전자2</a>
<a href="http://www.samsung.com/" isShortcut="n">삼성전자3</a>
제어부(150)가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아이템 "삼성전자2" 및 "삼성전자3"을 읽어들이면 상기 아이템 중 "삼성전자2"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이고 "삼성전자3"은 단축키 대상아이템이 아님을 식별하여 단축키 대상 아이템인 "삼성전자2"를 추출해 낼 수 있다.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자유롭게 추가, 삭제 또는 조정할 수 있도록 콘텐츠에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관리자 등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제공자 또는 소프트웨어 배포자에 의하여 단축키 대상 아이템의 종류가 설정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html로 표현되는 콘텐츠에서 "a" 태그 및 "input" 태그로 표현되는 아이템을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 설정한 경우 콘텐츠에 포함된 아이템 중 "a" 태그 또는 "input" 태그에 해당하는 모든 아이템이 단축키 대상 아이템이 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input" 태그에 해당하는 아이템 중 "type" 속성이 "submit"인 아이템(쿼리 입력 버튼을 의미한다.)을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 설정한 경우 콘텐츠에 포함된 아이템 중 "input" 태그에 해당하고 "type" 속성이 "submit"인 아이템만이 단축키 대상 아이템이 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표시 영역(220)은 웹 페이지 형태의 콘텐츠(content)를 표시한다. 콘텐츠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을 포함하고 있다. 도 2의 예에서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은 게시판 링크이다. 게시물에 대한 링크들(240)이나 로그인 입력창(245), 로그인 버튼(246) 및 기타 아이템도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고 있으나, 제1 아이템(230a) 내지 제8 아이템(230h) 외에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 설정되지 아니하였다고 가정한다.
표시 영역(220)의 크기 조작이나 스크롤 조작에 따라 콘텐츠가 포함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표시 영역(220)에 표시된다.
제1 아이템(230a)을 클릭하면 제1 게시판으로 연결된다. 즉 제1 아이템(230a)은 제1 게시판으로의 링크이고, 다른 아이템도 모두 각각의 게시판으로 연결되는 링크이다. 아이템은 이처럼 링크나 버튼, 텍스트 영역 등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다양한 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화면(210a)의 표시 영역(220a)에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 중 제1 아이템(230a) 내지 제8 아이템(230h)이 표시되고 있다. 두 번째 화면(210b)에서는 사용자의 스크롤 조작에 따라 제3 아이템(230c) 내지 제8 아이템(230h)만이 표시되고 제1 아이템(230a)과 제2 아이템(230b)은 표시되지 않는다. 제어부(150)는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에 단축키를 할당하고 이후에 할당된 단축키가 입력되면 그 단축키가 할당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50)는 표시 영역(220a)에 표시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 즉 제1 아이템(230a) 내지 제8 아이템(230h)에 각각 1 내지 8의 단축키를 할당하고, 해당 단축키 입력이 감지되면 제1 아이템(230a) 내지 제8 아이템(230h)에 해당하는 링크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도 1로 돌아와서,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100)의 구성부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표시 영역에 아이템을 표시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단축키 입력을 받는다. 도 2의 첫 번째 화면(210a)에서 1 내지 8의 숫자 키가 단축키가 된다.
제어부(150)는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의 변경을 감지하고,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의 변경을 감지하면,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는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을 추출하고, 추출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에 단축키를 할당하고,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단축키 입력을 받으면 입력된 단축키가 할당된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에 할당된 단축키를 상응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위치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대상 아이템(230)에 할당된 단축키를 표시한다. 도 2의 단축키 표시(250, 251)는 각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의 오른쪽에 표시되었다. 단축키 표시(250, 251)의 위치는 사용자, 소프트웨어 배포자 또는 단말 제조자의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단축키 표시(250, 251)를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에 오버레이(Overlay) 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단축키 표시(250, 251)를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에 겹쳐서 표시하여 할당된 단축키 정보를 사용자에게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축키 표시(250, 251)에 의하여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이 완전히 가려지는 대신 오버레이 되도록, 즉 단축키를 반투명하게 표시하여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의 식별에 지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는 마크업 언어로 표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 부(150)는 미리 설정된 단축키 대상 태그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축키 대상 태그에 상응하는 아이템 중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는 아이템을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으로서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표시 영역(220)에 포함되는 미리 설정된 영역을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으로서 추출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콘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데이터에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으로서 추출되는 영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으로서 추출되는 영역에 대한 정보는 좌표값 또는 기타 유사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화면(310)의 예시도이다.
제어부(150)는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의 수가 너무 많은 경우 우선 순위(priority)에 따라 단축키를 할당할 수 있다.
도 2에 대한 상술한 설명에서 게시판 링크(230)만이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였으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게시판 링크(230)와 게시물 링크(240) 모두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고, 대신 그 우선 순위가 게시판 링크(230) 쪽이 더 높도록 설정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전체 8개의 단축키가 할당될 수 있도록 제한되어 있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게시판 링크(230)가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 설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 도 2의 첫 번째 화면(210a)과 같은 화면이지만 단축키는 달리 할당되었다. 도 3의 경우 "유용한 사이트" 게시판에 대한 링크인 제3 아이 템(230c), "공동 구매" 게시판에 대한 링크인 제4 아이템(230d) 및 "유용한 사이트" 게시판의 상위 2개의 게시물에 대한 링크 아이템들(320) 및 "공동 구매" 게시판의 상위 4개 게시물에 대한 링크 아이템들(321)에 단축키가 할당된 것을 볼 수 있다. 우선순위의 차이에 따라 단축키 할당이 달리 될 수 있다. 우선순위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우선순위 설정 방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우선순위 설정 방식 정보는 콘텐츠 자체에 포함되어 있거나 별도의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콘텐츠 자체에 우선 순위 설정 방식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원본 콘텐츠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우선순위 설정에 따라 변환 또는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규칙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HTML의 형태로 제공되는 콘텐츠 내에서, 태그 "input"에 대하여 우선도 10을 할당하고, 태그 "a"에 대하여는 우선도 5를 할당하는 방식의 우선순위 결정 규칙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태그 "input"에 대하여 우선도 10을 할당하고, 태그 "a"에 대하여는 우선도 5를 할당하는 규칙이 설정되면, 텍스트 입력창이나 "submit" 버튼, 라디오 버튼, 체크박스 등 "input" 태그에 의하는 아이템의 우선도가 "a" 태그에 의한 링크 아이템에 비해서 더 높아지므로, "input" 태그에 의하는 아이템에 먼저 단축키를 할당하고, 이후에 단축키가 남는 경우 "a" 태그에 의한 링크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할 수 있다. 할당 가능한 단축키의 개수는 예를 들어 8개로 제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아이템의 우선도 값 정보가 콘텐츠에 포함되고, 제어부(150)는 이 우선도 값 정보를 추출하여 그 우선도 값에 따라 단축키를 할당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모바일 웹 브라우저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제공되고, 키패드의 화살표나 기타 입력으로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이 상당한 수고를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단축키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첫 번째 화면(410)에서는, 텍스트 입력창(421)에 단축키 '1'이 할당되었고, 제1 단축키 표시(431)가 오버레이 방식으로 표시되었다. 제1 submit 버튼(422)에는 단축키 '2'가 할당되었으며, 제2 단축키 표시(432)가 오버레이 방식으로 표시되었다. 제2 submit 버튼(423)에는 단축키 '3'이 할당되었으며, 제3 단축키 표시(433)가 오버레이 방식으로 표시되었다. 링크 아이템(424)에는 단축키 '4'가 할당되었으며, 제4 단축키 표시(434)가 오버레이 방식으로 표시되었다.
도 4의 첫 번째 화면(410)에서는, 텍스트 입력창(421), 제1 submit 버튼(422), 제2 submit 버튼(423) 및 링크 아이템(424)의 순서로 우선도 값이 할당되었으며, 그에 따라 순서대로 단축키가 할당되었다고 할 수 있다. 각 아이템의 우선 도 값은 사용자, 관리자 등에 의하여 할당되고, 설정된 우선도 값은 콘텐츠에 포함되어 제공되거나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둘 이상의 아이템의 우선도 값이 같은 경우 화면에서 위쪽에 있는 아이템일수록, 또는 왼쪽에 있는 아이템일수록 먼저 단축키를 할당할 수 있다. 세부적인 순서 설정은 사용자, 관리자 또는 소프트웨어 제공자나 단말 제조자의 설정에 따를 수 있다.
도 4의 두 번째 화면(460)에서는, 텍스트 입력창(471)에 단축키 '1'이 할당되었고, 제5 단축키 표시(481)가 오버레이 방식으로 표시되었다. 제1 링크 아이템(472)에는 단축키 '2'가 할당되었으며, 제6 단축키 표시(482)가 오버레이 방식으로 표시되었다. 제2 링크 아이템(473)에는 단축키 '3'이 할당되었으며, 제3 단축키 표시(483)가 오버레이 방식으로 표시되었다. 제3 링크 아이템(474)에는 단축키 '4'가 할당되었으며, 제8 단축키 표시(484)가 오버레이 방식으로 표시되었다.
도 4의 두 번째 화면(460)에서는, 텍스트 입력창(471), 제1 링크 아이템(472), 제2 링크 아이템(473) 및 제3 링크 아이템(474)의 순서로 우선도 값이 할당되었으며, 그에 따라 순서대로 단축키가 할당되었다고 할 수 있다. 각 아이템의 우선도 값은 사용자, 관리자 등에 의하여 할당되고, 설정된 우선도 값은 콘텐츠에 포함되어 제공되거나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제어부(150)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한다.
여기서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는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구분하는 정보이다.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는 콘텐츠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미리 정해진 태그를 설정하는 방식이나, 단축키 대상 아이템의 식별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구별하기 위한 규칙, 예를 들어, "a" 태그만을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 설정하거나, "isShortcut" 속성이 "y" 값을 가지는 태그만을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 설정한다는 등의 규칙이 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러한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추출하고, 추출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한다.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추출하고, 추출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도 6의 단계 S630 및 단계 S640, 도 7의 단계 S730 및 단계 S740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제어부(150)는 주기적으로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할 수도 있고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의 변화를 감지하였을 때, 즉 화면 스크롤이나 페이지 이동 등을 감지하였을 때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할 수도 있다.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의 변화를 감지하였을 때 단축키를 할당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 S520에서 제어부(150)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에 할당된 단축키를 표시(250)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단축키를 표시(250)한다.
단축키의 표시(250)가 없다면 사용자가 할당된 단축키를 알기 어려울 것이므로,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줄 수 있도록 단축키의 표시(250)가 필요하다.
실시 예에 따라, 단축키의 표시(250)는 그 단축키가 할당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의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축키의 표시(250)는 그 단축키가 할당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에 겹쳐서, 즉 오버레이(Overlay)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의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 S530에서 사용자로부터의 단축키 입력을 받으면 단축키가 할당된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를 통해 제1 아이템(230a)에 상응하는 단축키인 단축키 '1'이 입력되면 제1 아이템(230a)에 상응하는 동작, 예를 들어 제1 아이템(230a)의 링크 정보에 따라 제1 게시판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키보드, 키패드 등 버튼 방식의 입력장치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입력장치가 지원되지 않더라도 단축키 입력을 통해 사용자는 쉽게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의 순서도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의 변경이 감지되면(S610)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단축키 아이템을 추출하여(S630) 그 추출된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고(S640),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할당된 단축키를 상응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위치에 표시하고(S650) 이후 할당된 단축키 입력이 감지되면(S620) 입력된 단축키가 할당된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된다(S660).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5에서 초기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한다. 최초로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에 대해서 단축키를 할당하는 것이다.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과정은 단계 S630 및 단계 S640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최초로 표시 영역에 표시 내용을 표시하는 경우도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내용이 변경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제어부(150)는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의 변경을 감지하였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50)가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의 변경을 감지한 경우 과정은 단계 S630으로 진행하고 제어부(150)가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의 변경을 감지하지 않은 경우 과정은 단계 S620으로 진행한다. 표시 영역(220) 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의 변경은 페이지 이동, 링크 이동, 화면 스크롤 등의 이벤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콘텐츠의 변화 없이 화면 스크롤만 일어나는 경우에도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의 변경으로 인정한다. 화면에 보이는 내용에 대해서 단축키를 할당하기 때문이다.
표시 영역에는 콘텐츠가 표시된다. 콘텐츠는 예를 들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형식이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 등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마크업 언어의 형식이 아니더라도 링크, 이미지, 입력 창 등의 아이템의 배치를 표현할 수 있는 다른 형식으로 콘텐츠가 표현될 수 있다.
표시 내용은 표시 영역에 실제로 표시되는 내용으로, 화면 스크롤이나 화면의 확대에 의하여 표시되지 않는 부분은 표시 내용에서 제외한다.
단계 S630에서 제어부(150)는 변경된 표시 내용에 기반을 두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추출한다.
아이템은 링크나 버튼, 텍스트 영역, 이미지, 동영상 등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다양한 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가 HTML 형식이라면 "a" 태그(링크를 의미함) 또는 "input" 태그(텍스트 입력창, 버튼, 체크박스 등을 의미함), "javascript" 태그(자바 스크립트를 의미함), "img" 태그(그림을 의미함) 등으로 표현되는 대상이 아이템이 될 수 있다.
단축키 대상 아이템은 아이템 중 단축키가 할당되는 대상이 되는 아이템을 말한다. 단축키가 할당되는 대상이 되는 아이템은 예를 들어 콘텐츠에 태그 또는 기타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자유롭게 추가, 삭제 또는 조정할 수 있도록 콘텐츠에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관리자 등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위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 설정, 표시된 아이템 중 실제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있는 아이템을 추출할 수 있다.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추출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640에서, 제어부(150)는 추출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한다.
도 2의 예를 다시 참조하면, 첫 번째 화면(210a)의 표시 영역(220a)에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 중 제1 아이템(230a) 내지 제8 아이템(230h)이 표시되고 있다. 두 번째 화면(210b)에서는 사용자의 스크롤 조작에 따라 제3 아이템(230c) 내지 제8 아이템(230h)만이 표시되고 제1 아이템(230a)과 제2 아이템(230b)은 표시되지 않는다. 제어부(150)는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에 단축키를 할당한다. 즉 제어부(150)는 표시 영역(220a)에 표시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 즉 제1 아이템(230a) 내지 제8 아이템(230h)에 각각 1 내지 8의 단축키를 할당한다.
이때, 표시 내용이 변경되기 이전에 할당된 단축키에 대한 정보는 쓸모가 없으므로, 새로이 할당된 단축키 정보로 갱신한다.
단축키 할당 과정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650에서 제어부(150)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할당된 단축키를 상응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위치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대상 아이템에 할당된 단축키를 표시한다. 도 2의 예를 참조하면, 단축키가 할당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예를 들어 10 픽셀 이내의 거리에 단축키 표시(250, 251)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의 단축키 표시(250, 251)는 각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의 오른쪽에 표시되었다. 단축키 표시(250, 251)의 위치는 사용자, 관리자, 소프트웨어 배포자 또는 단말 제조자의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제어부(150)는 할당된 단축키가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할당된 단축키는 단계 S605 또는 단계 S640에서 할당된 단축키를 말한다.
도 2의 첫 번째 화면(210a)에서 1 내지 8의 단축키가 할당되었다. 사용자가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단축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할당된 단축키가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660으로 진행한다. 단축키 입력이 없는 경우 단계 S610으로 돌아간다.
단계 S660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된 단축키가 할당된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첫 번째 화면(210a)에서 단축키 3이 입력된 경우 단축키 3이 할당된 아이템은 제3 아이템(230c)이므로 제3 아이템(230c)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각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은 사용자, 관리자 또는 소프트웨어 배포자, 단말 제조자 등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아이템(230c)은 링크 아이템이므로 단축키 3이 입력되면 제3 아이템(230c)을 클릭한 경우 연결되는 페이지를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각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은 그 아이템에 일반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동작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은 그 링크 아이템이 가리키는 페이지로 이동하는 동작이 될 수 있다. 라디오 버튼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은 그 라디오 버튼을 선택하는 동작이 될 수 있다. 스크립트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은 그 스크립트를 수행하는 동작이 될 수 있다. 버튼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은 그 버튼을 클릭한 경우 수행되는 동작이 될 수 있다. 텍스트 입력창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은 그 텍스트 입력창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진입하는 동작, 즉 커서를 그 텍스트 입력창에 위치시키는 동작이 될 수 있다. 이미지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은 그 이미지를 저장 및/또는 복사하는 동작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사용자, 관리자, 소프트웨어 배포자 또는 단말 제조자 등의 설정에 따라 각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은 다른 동작이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705는 도 6의 단계 S605에 상응하고, 단계 S710은 도 6의 단계 S610에 상응하고, 단계 S720은 도 6의 단계 S620에 상응하고, 단계 S720은 도 6의 단계 S620에 상응하고, 단계 S730은 도 6의 단계 S630에 상응하고, 단계 S740은 도 6의 단계 S640에 상응하고, 단계 S760은 도 6의 단계 S660에 상응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7의 실시 예에서는 도 6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단계 S650 대신 단계 S750이 추가되었다.
단계 S750에서 제어부(150)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할당된 단축키를 상응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오버레이(Overlay) 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대상 아이템에 할당된 단축키를 표시한다. 도 2의 예를 참조하면, 단축키 할당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에 오버레이 되도록 단축키 표시(250, 251)가 표시된다. 즉, 단축키 표시(250, 251)가 반투명하게 단축키 대상 아이템(230)에 겹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단축키 표시(250, 251)의 구체적 위치와 투명도 등은 사용자, 관리자, 소프트웨어 배포자 또는 단말 제조자의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계 S630 및 단계 S730의 상세 순서도이다.
단계 S630 및 S730에서 제어부(150)는 변경된 표시 내용에 기반을 두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추출한다.
도 8의 실시 예에서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마크업 언어로 표현된 것으로 가정한다. 마크업 언어는 XML, HTML 형식 등을 포함한다. 콘텐츠가 HTML 형식이라면 "a" 태그(링크를 의미함) 또는 "input" 태그(텍스트 입력창, 버튼, 체크박스 등을 의미함), "javascript" 태그(자바 스크립트를 의미함), "img" 태그(그림을 의미함) 등으로 표현되는 대상이 아이템이 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10에서 제어부(150)는 마크업 언어로 표현된 콘텐츠 중 미리 설정된 단축키 대상 태그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html로 표현되는 아래와 같은 태그를 살펴본다.
<a href="http://www.samsung.com/">삼성전자1</a>
"http://www.samsung.com"으로 연결되는 링크를 나타내는 태그이다. "a" 태그가 "isShortcut"이라는 속성을 가질 수 있다고 가정한다. "isShortcut" 속성이 "y"이면 단축키 대상 아이템이 되고, "isShortcut" 속성이 "n"이면 단축키 대상아이템이 아니라고 가정해 보자.
<a href="http://www.samsung.com/" isShortcut="y">삼성전자2</a>
<a href="http://www.samsung.com/" isShortcut="n">삼성전자3</a>
제어부(150)가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아이템 "삼성전자2" 및 "삼성전자3"을 읽어들이면 상기 아이템 중 "삼성전자2"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이고 "삼성전자3"은 단축키 대상아이템이 아님을 식별하여 단축키 대상 아이템인 "삼성전자2"를 추출해 낼 수 있다.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자유롭게 추가, 삭제 또는 조정 할 수 있도록 콘텐츠에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관리자 등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제공자 또는 소프트웨어 배포자에 의하여 단축키 대상 아이템의 종류가 설정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html로 표현되는 콘텐츠에서 "a" 태그 및 "input" 태그로 표현되는 아이템을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 설정한 경우 콘텐츠에 포함된 아이템 중 "a" 태그 또는 "input" 태그에 해당하는 모든 아이템이 단축키 대상 아이템이 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input" 태그에 해당하는 아이템 중 "type" 속성이 "submit"인 아이템(쿼리 입력 버튼을 의미한다.)을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 설정한 경우 콘텐츠에 포함된 아이템 중 "input" 태그에 해당하고 "type" 속성이 "submit"인 아이템만이 단축키 대상 아이템이 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표시 영역(220)은 웹 페이지 형태의 콘텐츠(content)를 표시한다. 콘텐츠는 단축키 대상 태그에 상응하는 아이템(230)을 포함하고 있다. 도 2의 예에서 단축키 대상 태그에 상응하는 아이템(230)은 게시판 링크이다. 게시물에 대한 링크들(240)이나 로그인 입력창(245), 로그인 버튼(246) 및 기타 아이템도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고 있으나, 단축키 대상 태그에 상응하는 아이템(230) 외에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 설정되지 아니하였다고 가정한다.
단계 S820에서 상기 추출된 단축키 대상 태그에 상응하는 아이템(230) 중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을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서 추출한다.
도 2의 예를 참조하면 첫 번째 화면(210a)의 표시 영역(220a)에는 단축키 대상 태그에 상응하는 아이템(230) 중 제1 아이템(230a) 내지 제8 아이템(230h)이 표시되고 있으므로, 제1 아이템(230a) 내지 제8 아이템(230h)을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서 추출한다. 반면, 두 번째 화면(210b)의 표시 영역(220b)에는 단축키 대상 태그에 상응하는 아이템(230) 중 제3 아이템(230c) 내지 제8 아이템(230h)이 표시되고 있으므로, 제3 아이템(230c) 내지 제8 아이템(230h)을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서 추출한다.
같은 콘텐츠를 표시하고 있더라도, 화면 스크롤에 따라 표시되는 아이템만이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서 추출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는 단축키가 할당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계 S640 및 단계 S740의 상세 순서도이다.
단계 S640 및 단계 S740에서는, 단계 S630 및 단계 S730에서 추출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한다.
도 9의 실시 예에서, 아이템의 우선순위 설정방식에 대한 정보가 콘텐츠에 포함되어, 또는 콘텐츠와 별도로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100)에 제공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10에서 제어부(150)는 우선순위 설정 방식 정보를 추출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같은 표시 내용에 대해서도 사 용자에 따라 다른 우선순위 설정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2의 첫 번째 화면(210a)과 도 3의 화면(310)과 같이 다른 방식으로 단축키가 설정될 수 있다.
우선순위 설정 방식 정보는 콘텐츠 자체에 포함되어 있거나 별도의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콘텐츠 자체에 우선 순위 설정 방식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원본 콘텐츠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우선순위 설정에 따라 변환 또는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규칙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HTML의 형태로 제공되는 콘텐츠 내에서, 태그 "input"에 대하여 우선도 10을 할당하고, 태그 "a"에 대하여는 우선도 5를 할당하는 방식의 우선순위 결정 규칙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태그 "input"에 대하여 우선도 10을 할당하고, 태그 "a"에 대하여는 우선도 5를 할당하는 규칙이 설정되면, 텍스트 입력창이나 "submit" 버튼, 라디오 버튼, 체크박스 등 "input" 태그에 의하는 아이템의 우선도가 "a" 태그에 의한 링크 아이템에 비해서 더 높아지므로, "input" 태그에 의하는 아이템에 먼저 단축키를 할당하고, 이후에 단축키가 남는 경우 "a" 태그에 의한 링크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할 수 있다. 할당 가능한 단축키의 개수는 예를 들어 8개로 제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단계 S640 및 단계 S740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10의 실시 예에서, 콘텐츠에는 각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상응하는 우선도 값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1010에서 제어부(150)는 콘텐츠로부터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상응하는 우선도 값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HTML 형태의 콘텐츠에 대해서 단축키 대상 태그에 대해 "priority" 속성이 그 우선도 값으로 제공될 수 있다.
<a href="http://www.samsung.com/" priority="10">삼성전자2</a>
<a href="http://www.samsung.com/" priority="5">삼성전자3</a>
"삼성전자2" 아이템은 우선도 값이 10이고, "삼성전자3" 아이템은 우선도 값이 5이다. 두 아이템이 모두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에 "삼성전자2" 아이템에 먼저 단축키가 할당되고 "삼성전자3" 아이템에 단축키가 할당된다. 아이템에 할당될 수 있는 단축키의 개수는 보통 한계가 있으므로 우선도 값이 높은 아이템에 대해서만 단축키가 할당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우선도 값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아이템의 우선도 값을 설정하여 개인화된 단축키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장치나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 양방향 TV 등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화면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화면(310)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모바일 웹 브라우저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계 S630 및 단계 S730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계 S640 및 단계 S740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단계 S640 및 단계 S740의 상세 순서도이다.

Claims (22)

  1.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구분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할당된 단축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단축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단축키가 할당된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의 변경을 감지하면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중 단축 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은 마크업 언어로 표현된 콘텐츠를 표시한 표시 내용이고,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크업 언어로 표현된 콘텐츠 중 미리 설정된 단축키 대상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단축키 대상 태그에 상응하는 아이템 중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을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은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표시 내용인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단계는,
    우선순위 설정 방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우선순위 설정 방식 정보에 따라 상기 추출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상응하는 우선도 값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콘텐츠로부터 상기 추출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상응하는 우선도 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우선도 값에 따라 상기 추출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상기 할당된 단축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할당된 단축키를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상기 할당된 단축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할당된 단축키를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오버레이(Overlay) 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은 상기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미리 설정된 영역인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의 입력은 버튼 방식의 입력장치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2. 표시 영역에 아이템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단축키 입력을 받는 입력부; 및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구분하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단축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단축키가 할당된 아이템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의 변경을 감지하면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아이템 중 단축키 대상 아이템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은 마크업 언어로 표현된 콘텐츠를 표시한 표시 내용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크업 언어로 표현된 콘텐츠 중 미리 설정된 단축키 대상 태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단축키 대상 태그에 상응하는 아이템 중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을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서 추출하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은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표시 내용인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우선순위 설정 방식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우선순위 설정 방식 정보에 따라 상기 추출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상응하는 우선도 값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콘텐츠로부터 상기 추출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상응하는 우선도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우선도 값에 따라 상기 추출된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단축키를 할당하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할당된 단축키를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위치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할당된 단축키를 표시하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할당된 단축키를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오버레이(Overlay) 되게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에 할당된 단축키를 표시하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 대상 아이템은 상기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미리 설정된 영역인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버튼 방식의 단축키 입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KR1020090086890A 2009-09-15 2009-09-15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KR20110029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890A KR20110029278A (ko) 2009-09-15 2009-09-15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US12/882,382 US20110066983A1 (en) 2009-09-15 2010-09-15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cut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890A KR20110029278A (ko) 2009-09-15 2009-09-15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278A true KR20110029278A (ko) 2011-03-23

Family

ID=4373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890A KR20110029278A (ko) 2009-09-15 2009-09-15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66983A1 (ko)
KR (1) KR201100292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675A (ko) * 2015-08-10 201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114824A (ko) * 2018-03-30 2019-10-10 인터디지털 씨이 페이튼트 홀딩스 디스플레이된 페이지에서 활성 엘리먼트들을 통한 네비게이션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30029294A (ko) * 2021-08-24 2023-03-0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된 기능 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998B1 (ko) * 2011-10-04 2019-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4025009A (zh) * 2011-11-11 2014-09-03 高通股份有限公司 提供映射到键盘的键盘快捷方式
CN103164122B (zh) * 2011-12-08 2015-10-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调用通讯录内容的方法及装置
US10365779B2 (en) * 2012-05-17 2019-07-30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Dynamically assigning shortcuts to menu items and actions
CN104077313B (zh) * 2013-03-28 2018-02-2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网页页面中多输入框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D731515S1 (en) * 2013-08-14 2015-06-09 Better Chines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3176S1 (en) * 2013-08-14 2015-06-30 Better Chines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image sequence
US9798764B2 (en) * 2013-12-20 2017-10-24 Salesforce.Com, Inc. Identifying recurring sequences of user interactions with an application
KR20150085251A (ko) * 2014-01-15 2015-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6044965B2 (ja) 2014-05-28 2016-12-1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D969822S1 (en) * 2020-11-11 2022-11-15 Aspen Operating, LL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2402A (en) * 1997-04-09 1999-12-14 Symante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drag-and-drop object from a popup menu item
US7154480B2 (en) * 2002-04-30 2006-12-26 Kazuho Iesaka Computer keyboard and cursor control system with keyboard map switching system
US7533354B2 (en) * 2005-08-25 2009-05-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chnique for selecting and prioritizing choices
KR20070096093A (ko) * 2005-12-16 2007-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보다 신속한 인터넷 접속 및 접속 정보의 관리가 가능한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675A (ko) * 2015-08-10 201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114824A (ko) * 2018-03-30 2019-10-10 인터디지털 씨이 페이튼트 홀딩스 디스플레이된 페이지에서 활성 엘리먼트들을 통한 네비게이션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US11997357B2 (en) 2018-03-30 2024-05-28 Interdigital Madison Patent Holdings, Sas Device and method for navigation through active elements in a displayed page
KR20230029294A (ko) * 2021-08-24 2023-03-0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된 기능 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66983A1 (en)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9278A (ko) 단축키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US81214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browser by using image
US950751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apting a virtual keyboard
CN110737840B (zh) 语音控制方法及显示设备
CA2632518C (en) Flexible display translation
US9401099B2 (en) Dedicated on-screen closed caption display
CN103597446A (zh) 移动浏览器上下文切换
KR20130004857A (ko)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6439266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有する電子装置におけるテキスト入力方法及び装置
US9904468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determining operation object
CN111625163A (zh) 一种显示设备及应用程序界面显示方法
US201501860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and presenting images included in webpages
CN105488051B (zh) 网页处理方法及装置
US2016014266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115387A (ko) 정보 표시 시스템, 정보 표시 장치, 정보 표시 방법, 정보 제공 장치, 및, 기록 매체
US9378193B2 (en) Web management device, web management method, web management program,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said program, and web system
KR20120048966A (ko) 가상 키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983805B2 (en) Contextual keyboard located on a remote server for implementation on any content delivery and interaction application
JP201511495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69154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uitionally moving the focus between a window area and a tool bar
CN103870103A (zh) 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JP5752759B2 (ja) 電子機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28041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 및 그의 웹 페이지 드래그 방법
JP4940265B2 (ja) ウェブページ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4926125B2 (ja) ウェブページ情報表示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