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7557A - Storing cassette of film for garbage disposal - Google Patents

Storing cassette of film for garbage dispos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7557A
KR20110027557A KR1020100074902A KR20100074902A KR20110027557A KR 20110027557 A KR20110027557 A KR 20110027557A KR 1020100074902 A KR1020100074902 A KR 1020100074902A KR 20100074902 A KR20100074902 A KR 20100074902A KR 20110027557 A KR20110027557 A KR 20110027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ealing door
main body
waste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9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치로 오니시
히로시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33890A external-priority patent/JP5486338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24452A external-priority patent/JP5486406B2/en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7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5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6Cu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32Di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PURPOSE: A film storage cassette for a garbage disposing device is provided to reduce molding cost and material cost due to a simple construction. CONSTITUTION: A film storage cassette for a garbage disposing device comprises a core, a lower flange(57f), an upper flange(59) and a cassette engaging unit. The core has a cylinder shape so that garbage can be put into. The lower flange is protruded out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core. The upper flange holds a film in a state of having compressed it, and the film climb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flange and is loosened on the core. The cassette engaging unit connects the film storage cassette to a film attaching unit.

Description

오물 처리 장치용 필름 수납 카세트{STORING CASSETTE OF FILM FOR GARBAGE DISPOSAL}Film storage cassette for dirt disposal apparatus {STORING CASSETTE OF FILM FOR GARBAGE DISPOSAL}

본 발명은, 이용이 끝난 유아용 기저귀와 같은 오물을 폐기하기 위한 오물 처리 장치에 이용되는 필름 수납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film storage cassette used for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discarding used dirt, such as a used baby diaper.

이용이 끝난 유아용 기저귀와 같은 오물을 폐기하기 위한 오물 처리 장치에서는, 청결성이나 편리성의 관점에서, 오물 처리 장치 내에 오물이 연속적으로 투입된 경우에, 오물을 수납하기 위한 필름을 오물 투입구에 차례차례로 풀어내는 필름 수납 카세트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오물 처리 장치에 이용되는 필름 수납 카세트에 관한 선행 기술로서, 일본국 특허 제4402165호 공보(특허 문헌 1)가, 개시되어 있다.In a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disposing of waste such as used baby diapers, when the waste is continuously fed into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from the viewpoint of cleanliness and convenience, the film for storing the waste is sequentially released to the waste inlet. Film storage cassettes are widely used. Japanese Patent No. 4402165 (Patent Document 1) is disclosed as a prior art relating to a film storage cassette used in such a waste disposal apparatus.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필름 수납 카세트는, 원주형상의 심부(芯部)를 구획하는 내벽과, 내벽의 하단에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나오는는 저벽과, 저벽의 외연으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는 외벽과, 내벽의 상단으로부터 외벽측을 향하여 연장하여 나오는 플랜지부를 갖는다. 오물을 수용하기 위한 필름은, 내벽, 저벽, 외벽, 및 플랜지부에 의해 구획된 필름 수납 공간에, 주름상자형상으로 절첩(折疊)되어 수납되어 있다. 필름 수납 카세트의 외벽에는, 외벽면으로부터 외방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고리형상의 카세트 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있다.The film storage cassette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includes an inner wall partitioning a circumferential core portion, a bottom wall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a lower end of the inner wall, an outer wall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wall, and an inner wall. It has a flange part extended toward an outer wall side from an upper end. The film for accommodating dirt is folded and accommodated in a wrinkled box shape in the film storage space partitioned by an inner wall, a bottom wall, an outer wall, and a flange part. On the outer wall of the film storage cassette, an annular cassette flang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wall surface toward the outer side is provided.

한편, 오물 처리 장치의 본체 상부에 마련된 소실(小室)에는, 원환형상의 필름 카세트 회전 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필름 카세트 회전 장치의 내벽면에는 내벽면으로부터 내방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고리형상의 회전 장치 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있다. 필름 수납 카세트를 필름 카세트 회전 장치 내에 세트하면, 상기 카세트 플랜지부가, 상기 회전 장치 플랜지부상에 재치되기 때문에, 필름 수납 카세트는, 필름 카세트 회전 장치 내에 매달리도록 하여 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필름 수납 카세트는, 필름 카세트 회전 장치 내에 재치함에 의해, 오물 처리 장치 본체에 용이하게 세트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annular film cassette rotating apparatus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small chamber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is film cassette rotating apparatus, the annular rotating apparatus flange part which protrudes toward an inner side from the inner wall surface is provided. When the film storage cassette is set in the film cassette rotating apparatus, the cassette flange portion is placed on the rotating apparatus flange portion, so that the film storage cassette is supported by being suspended in the film cassette rotating apparatus. In this way, the film storage cassett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can be easily set in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main body by placing in the film cassette rotating apparatus.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440216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4402165

일반적인 오물 처리 장치의 본체는, 오물을 저장하는 수납 본체 하부와, 상기 필름 수납 카세트가 부착된 수납 본체 상부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 본체 상부는, 수납 본체 하부에 추지(樞支)되어 있는, 또는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오물 수납 본체의 내부가 저장된 오물로 가득차게 된 경우, 사용자는, 수납 본체 상부를 회동하여 열고, 또는 수납 본체 상부를 수납 본체 하부로부터 떼어내고, 본체 내부에 저장된 오물을 취출하는 작업을 행한다.The main body of a general waste disposal apparatus is divid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accommodating main body which stores a dirt, and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main body with the said film accommodating cassette. And the upper part of a storage main body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a storage main body, or is detachably attached. When the inside of the waste accommodating main body is filled with the stored dirt, the user rotates and opens the accommodating main body upper part, or removes the accommodating main body upper part from the accommodating main body lower part, and performs the operation of taking out the dirt stored in the main body.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필름 수납 카세트에는, 이하의 과제가 있다. 즉,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필름 수납 카세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필름 카세트 회전 장치 내부에 매달리도록 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은 오물 취출 작업에 있어서, 수납 본체 상부를 회동하여 수납 본체 상부를 연 경우, 또는 수납 본체 상부를 떼어낸 경우에, 사용자가 수납 본체 상부를 부주의하게 기울이면, 필름 수납 카세트가 오물 처리 장치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튀여나와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물 취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필름 수납 카세트의 튀여나옴에 유의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취급이 곤란하다.In such a case, the film storage cassett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has the following problems. That is, the film storage cassette of patent document 1 is supported so that it may be suspended in the inside of a film cassette rotating apparatus 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the above-mentioned waste taking out operation, when the user inadvertently tilts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main body whe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main body is opened by rotating the housing main body or whe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main body is remov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torage cassette easily pops out of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main body. Therefore, when the user performs the dirt take-out work,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sticking out of the film storage cassette, so handling is difficult.

이와 같이, 필름 카세트가 오물 처리 장치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탈락할 수 있는 구성은, 취급상, 및 위생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가 않다.Thus, the structure which a film cassette can fall easily from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main body is not preferable from a handling point of view and a sanitary point of view.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필름 수납 카세트는, 내벽, 저벽, 외벽, 및 플랜지부를 갖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제조를 위해 사용하는 원재료도 많아진다. 따라서 제조 비용의 증대에 이어진다는 과제도 있다.Moreover, since the film storage cassette of patent document 1 has an inner wall, a bottom wall, an outer wall, and a flange part, a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raw material used for manufacture also increases. Therefor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leads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오물 처리 장치에 용이하게 세트하는 것이 가능하고, 세트된 경우에 오물 처리 본체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필름 수납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set in a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when set, can prevent falling from the waste disposal main body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s. It is to provide a film storage cassette.

본 발명에 관한 필름 수납 카세트는, 폐기물을 수납하는 오물 처리 장치의 상부에 형성된 필름 부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단에 오물 투입구를 형성하는 원통형상의 관형상 심부와, 관형상 심부의 하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나오는 하플랜지와, 관형상 심부의 상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나오고, 하플랜지의 사이에 필름을 압축한 상태에서 수용함과 함께, 해당 필름이 그 외연을 타고 넘어서 관형상 심부에 풀어내여지는 것을 허용하는 상플랜지만을 구비한다. 여기서, 하플랜지는, 필름 부착부와 계합하고, 필름 수납 카세트를 필름 부착부에 연결시키는 카세트측 계지부를 갖는다.The film storage casset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a film attachment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a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storing waste, and has a cylindrical tubular core portion that forms a waste inlet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tubular core portion. The lower flange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ubular core and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tubular core, while accommodating the film in the compressed state between the lower flanges, It only has an upper flange that allows it to be loosened in the tubular core. Here, the lower flange has a cassette-side locking portion that engages with the film attachment portion and connects the film storage cassette to the film attachment portion.

이 구성에 의하면, 하플랜지에 마련된 카세트측 계지부가 필름 부착부와 계합하기 때문에, 필름 수납 카세트를 오물 처리 장치 본체에 확실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름 수납 카세트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방지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오물 취출 작업에 있어서 사용자가 오물 수납 본체를 기울였다고 하여도, 필름 수납 카세트가 오물 수납 본체로부터 빠져나와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카세트측 계지부가 필름 수납 카세트의 하플랜지에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오물 처리 장치의 이용시에 있어서, 필름 수납 카세트에 수납된 필름이, 카세트측 계지부와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이 필름 수납 카세트는, 관형상 심부,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만으로 이루어지고, 종래의 카세트에 있어서의 외벽에 상당하는 부재로서, 필름 부착부의 내벽면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필름 수납 카세트는, 극히 간결한 구성이기 때문에, 금형비 및 사용 원재료 등을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assette-side lock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wer flange engages with the film attachment portion, the film storage cassette can be reliably connected to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main body. As a result, the upward movement of the film storage cassette is prevented, so that the film storage cassette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from the waste storage main body even if the user tilts the waste storage main body in the dust extraction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have. In addition, since the cassette side locking portion is provided only in the lower flange of the film storage casset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lm accommodated in the film storage cassette from being damaged in contact with the cassette side locking portion at the time of use of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Moreover, this film storage cassette consists only of a tubular core part,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and is a structure which uses the inner wall surface of a film attachment part as a member corresponded to the outer wall in the conventional cassette. Thus, since the film storage cassett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very simple structure, since a metal mold | die cost, raw materials, etc. can be reduced, manufacturing cost can be held down.

바람직하게는, 카세트측 계지부는, 하플랜지의 일부로서,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는, 카세트측 계지부는, 하플랜지의 외연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하여 패여지는 노치를 포함하여도 좋다.Preferably, the cassette-side locking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that protrude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s part of the lower flange. Alternatively, the cassette-side locking portion may include a notch that is recessed in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lower flange in the radial direction.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하의 간단한 작업에 의해 필름 수납 카세트를 필름 부착부에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필름 부착부에 마련된 본체측 계지부의 위치와, 하플랜지의 외연부에 마련된 돌출부 또는 노치의 위치를 일치시킨다. 뒤이어, 필름 수납 카세트를 필름 부착부 내로 밀어 넣는다. 최후로, 필름 수납 카세트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일련의 단순한 작업에 의해 필름 수납 카세트를 필름 부착부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카세트측 계지부를, 별도 새로운 부재를 이용하는 일 없이, 하플랜지에 형성된 요철 형상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오물 처리 장치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connect the film storage cassette to the film attachment portion by the following simple operation. That is, the user matches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side locking part provided in the film attachment part, and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part or notch provided in the outer edge part of the lower flange. Subsequently, the film storage cassette is pushed into the film attachment portion. Finally, the film storage cassette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such a series of simple operations, the film storage cassette can be connected to the film attachment portion. In addition, the cassette-side locking portion is constituted by the concave-convex shape formed in the lower flange without using a new member separately.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of a waste disposal apparatus can be reduced.

바람직하게는, 돌출부 또는 노치는,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있고, 관형상 심부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둘레 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Preferably, the protrusions or notches are provided in plural places and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tubular core.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 개소에 마련된 돌출부, 또는 노치와 대응하도록 마련된 본체측 계지부에 의해, 필름 수납 카세트를 오물 수납 본체에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름 수납 카세트를 오물 수납 본체로부터 탈락시키는 방향에 의해 큰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이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소에 마련된 돌출부 또는 본체측 계지부가 둘레 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됨에 의해, 개개의 계지부재에 부하되는 힘을 저감시키고, 또한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film storage cassette can be connected to a waste storage main body by the protrusion part provided in several places, or the main body side latching part provided so that it may correspond with the notch. Therefore, even when a large force acts by the direction which removes a film storage cassette from a waste storage main body, this can be suppressed effectively. In addition, since the protrusions or the main body side locking portions provided in a plurality of place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orce applied to the individual locking members can be reduced and evenly distributed,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m from being damaged. Can be.

바람직하게는, 카세트측 계지부는, 하플랜지의 윗면에서 해당 하플랜지의 외연(外緣)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재되는 계합용 리브를 또한 포함한다. 여기서, 계합용 리브는, 필름 수납 카세트를 필름 부착부에 연결하고, 필름 수납 카세트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본체측 계지부와 계합하여 필름 수납 카세트의 회전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는다.Preferably, the cassette-side lock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n engagement rib extending radially in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lower flang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Here, the engagement ribs have a function of connecting the film storage cassette to the film attachment portion and engaging the main body side locking portion to regulate the rotation of the film storage cassette when the film storage cassette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더욱 바람직하게는, 계합용 리브는, 노치의 둘레 방향 일방측단에 배치되는 제 1의 계합용 리브와, 제 1의 계합용 리브로부터 둘레 방향 타방측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2의 계합용 리브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본체측 계지부와 제 1의 계합용 리브가 맞닿아 있는 경우에는, 본체측 계지부 및 노치의 위치가 일치하여 필름 수납 카세트를 필름 부착부로부터 떼어냄이 가능하고, 본체측 계지부와 제 2의 계합용 리브가 맞닿아 있는 경우에는, 본체측 계지부와 하플랜지의 외연부가 계합하여 필름 수납 카세트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More preferably, the engagement rib is a first engagement rib disposed at one end of the notc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second rib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gagement rib at the other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comprised by the engagement rib. Here, when the main body side engaging portion and the first engagement ri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ositions of the main body side engaging portion and the notch coincide, so that the film storage cassette can be detached from the film attaching portion, and the main body side engaging portion and the In the case where the engagement ribs of 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ain body side locking portion and the outer edge of the lower flange engage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upward movement of the film storage cassette.

이 구성에 의하면, 필름 수납 카세트는, 필름 수납 카세트를 필름 부착부에 배치하고, 필름 수납 카세트를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전시켜서, 회전이 규제된 때에 연결 상태가 된다. 또한, 필름 수납 카세트를 둘레 방향 타방측으로 회전시켜서, 회전이 규제된 때에 연결 해제 상태가 된다. 즉, 사용자가, 연결/연결해제의 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필름 수납 카세트의 착탈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a film storage cassette arranges a film storage cassette in a film attachment part, rotates a film storage cassette to one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becomes a connection state when rotation is regulated. In addition, the film storage cassette is rotated to the other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film storage cassette is in a disconnected state when the rotation is restricted. That is, since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the state of 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the attaching and detaching operation of the film storage cassette can be made easier.

바람직하게는, 하플랜지의 윗면에는, 하플랜지의 왼연보다 지름 방향 내측의 소정의 위치에서,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늘어나고, 계합용 리브와 접속하는 고리형상 리브와, 관형상 심부로부터 고리형상 리브까지 방사형상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방사형상 리브가, 마련된다.Preferab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radially inward from the left edge of the lower flange, an annular rib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center axis and connected to the engagement rib, and a tubular shape A plurality of radial rib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ore portion to the annular ribs are provided.

이 구성에 의하면, 하플랜지 윗면에 마련된 상기 리브에 의해, 하플랜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름 수납 카세트에 수납된 필름은, 상기 리브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플랜지 윗면과 필름의 사이에, 리브의 연직 방향 높이분만큼 간극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필름 수납 카세트를 필름 부착부에 연결시킨 경우, 본체측 계지부가 이 간극에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본체측 계지부와 필름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이 본체측 계지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intensity | strength of a lower flange can be improved by the said rib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a lower flange. Moreover, since the film accommodated in the film storage cassette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said rib, a clearance ga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flange upper surface and a film by the height of a perpendicular direction of a rib. Therefore, when the film storage cassette is connected to the film attachment portion, the main body side locking portion enters this gap,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he main body side locking portion and the film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 film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main body side locking portion.

본 발명에 관한 필름 수납 카세트에 의하면, 하플랜지에 마련된 카세트측 계지부가 필름 부착부와 계합하기 때문에, 필름 수납 카세트를 오물 처리 장치 본체에 확실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름 수납 카세트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방지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오물 취출 작업에서 사용자가 오물 수납 본체를 기울였다고 하여도, 필름 수납 카세트가 오물 수납 본체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카세트측 계지부가 필름 수납 카세트의 하플랜지에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오물 처리 장치의 사용시에 있어서, 필름 수납 카세트에 수납된 필름이, 카세트측 계지부와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이 필름 수납 카세트는, 관형상 심부,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만으로 이루어지고, 종래의 카세트에 있어서의 외벽에 상당하는 부재로서, 필름 부착부의 내벽면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필름 수납 카세트는, 극히 간결한 구성이기 때문에, 금형비 및 사용 원재료 등을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lm storage casset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ssette-side lock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wer flange engages with the film attachment portion, the film storage cassette can be reliably connected to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main body. Thereby, since the movement to the upper direction of a film storage cassette is prevented, even if a user inclines the waste storage main body in a waste extraction operation as mentioned above, it can prevent that a film storage cassette escapes from a waste storage main body. In addition, since the cassette side locking portion is provided only in the lower flange of the film storage casset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lm contained in the film storage cassette from being damaged in contact with the cassette side locking portion at the time of use of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Moreover, this film storage cassette consists only of a tubular core part,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a film attachment part can be used as a member corresponded to the outer wall in a conventional cassette. Thus, since the film storage cassett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very simple structure, since a metal mold | die cost, raw materials, etc. can be reduced, manufacturing cost can be held dow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가 되는 오물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 형태가 되는 오물 처리 장치의 측방 단면도.
도 3은 동 실시 형태가 되는 오물 처리 장치의 측방 단면도.
도 4는 동 실시 형태의 밀폐 기구의 폐문시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측방 단면 확대도.
도 5는 동 실시 형태의 밀폐 기구의 개문시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측방 단면 확대도.
도 6의(a)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밀폐용 문 및 밀폐용 문 받이부의 개문시의 필름 끼워넣는 부분을 확대해서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방 단면 확대도.(b)는 동 실시 형태의 밀폐용 문 및 밀폐용 문 받이부의 폐문시의 필름 끼워넣는 부분을 확대해서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방 단면 확대도.
도 7의(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가 되는 철자형 밀폐용 문 및 요자형 밀폐용 문 받이부의 개문시의 필름 끼워넣는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하는 측방 단면 확대도.(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가 되는 철자형 밀폐용 문 및 요자형 밀폐용 문 받이부의 폐문시의 필름 끼워넣는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하는 측방 단면 확대도.
도 8은 필름 수납부를 떼어내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가 되는 오물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
도 10은 동 실시 형태의 오물 처리 장치를 배면 경사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동 실시 형태의 본체 로크 기구 및 덮개 로크 기구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측방 단면 확대도.
도 12는 동 실시 형태의 본체 로크 해제 조작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동 실시 형태의 수납 본체 상부를 회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방 단면도.
도 14는 동 실시 형태의 덮개 로크 해제 조작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가 되는 오물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밀폐용 문의 폐문시의 측방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오물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밀폐용 문의 개문시의 측방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6에 도시하는 밀폐 기구를 하방 경사 방향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필름 수납 카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하는 필름 수납 카세트로부터 필름을 없앤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상태의 필름 수납 카세트를 측방에서 본 측방도.
도 21은 도 19에 도시한 상태의 필름 수납 카세트를 관형상 심부의 축선(O)의 윗방향에서 본 상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도 15에 도시하는 오물 처리 장치로부터 필름 수납 카세트를 떼어낸 상태를 축선(O)의 윗방향에서 본 외관도.
도 23은 종래의 오물 처리 장치의 필름 비틈 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4는 종래의 오물 처리 장치의 필름 끼워넣는 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whole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waste processing apparatus which becomes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embodiment.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embodiment.
4 is an enlarged later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losing time of the sealing mechanism of the embodiment.
Fig. 5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time of opening the closure mechanism of the embodiment.
Fig. 6 (a)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m sandwiching portion at the time of opening the sealing door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b) is the sealing of the embodiment. Side cross-sectional enlarged view which expands and shows typically the film clamping part at the time of the closing of a door and a sealing door receiving part.
Fig. 7 (a)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film at the time of opening of the spell closing door and the recess closing door receiv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cross-sectional enlarged view which expands and shows the film clamping part at the time of the closing of the spell sealing door and the recessed sealing door receiving part which become an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m accommodating portion removed.
The whole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waste process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perspective view which looked at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from the back oblique direction.
Fig. 11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body lock mechanism and the lid lock mechanism of the embodiment in an enlarged manner.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body unlocking operation of the embodiment;
FIG.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housing body upper part of the embodiment is rotate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d lock releas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FIG.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t the time of closing a door for sealing in a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6 is a diagram showing a side cross-sectional view at the time of opening a sealing door in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shown in FIG. 15; FIG.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tight mechanism shown in FIG. 16 seen from a downward inclination direction.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lm storage casset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lm is removed from the film storage cassette shown in FIG. 18.
20 is a side view of the film storage cassette in a state shown in FIG. 19 as viewed from the side.
FIG. 21 is a view showing a top view of the film storage cassette in a state shown in FIG. 19 as viewed from above the axis O of the tubular core portion. FIG.
The external view which looked at the state which removed the film storage cassette from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shown in FIG. 15 from the upper direction of the axis O. FIG.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film gap mechanism of the conventional waste disposal apparatus.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film embedding mechanism of the conventional waste disposal apparatu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가 되는 오물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동 실시 형태가 되는 오물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측방 단면도이고, 도 2는 밀폐용 문의 폐문 상태를, 도 3은 밀폐용 문의 개문 상태를 도시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drawin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waste processing apparatus which becomes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 and 3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2 shows a closed state of a sealing door, and FIG. 3 shows an opening state of a sealing door.

오물 처리 장치(11)는, 사용이 끝난 기저귀 등의 오물(D)이 투입된 고리형상의 오물 투입구(16)와, 오물 투입구(16)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 하단이 매듭(26)에 의해 닫혀진 원통형의 필름(15)과, 오물 투입구(16)로부터 투입된 오물(D)을 필름(15)과 함께 받아들이는 오물 수납 본체(13)와, 상방에서 오물 투입구(16)에 덮이는 덮개(23)를 구비한다.The waste disposal apparatus 11 is a cylindrical waste inlet 16 into which waste D, such as a used diaper, is introduced, and a cylindrical end lowered downward from the waste inlet 16 and closed by a knot 26. The film 15, the dirt storage main body 13 which receives the dirt D injected from the dirt inlet 16 with the film 15, and the cover 23 which covers the dirt inlet 16 from upper direction Equipped.

오물 투입구(16)에는 장척의 필름(15)이, 부착되어 있다. 필름(15)은, 오물 투입구(16)의 입언저리(口元)를 덮도록 하여 하방으로 늘어나 있다.The long film 15 is attached to the waste inlet 16. The film 15 is extended downward so as to cover the mouth of the dirt inlet 16.

오물 수납 본체(13)는, 필름(15) 내부에 폐기된 오물(D)을 저장하는 중공의 용기이고, 수납 본체 하부(17)와 수납 본체 상부(19)로 분할되어 있다. 수납 본체 하부(17)는, 하단측에 저부(17b)를 가지며 상단측에 개구부를 갖는다. 수납 본체 상부(19)는, 하단측으로 수납 본체 하부(17)의 상단의 개구부를 덮고, 상단부에 오물 투입구(16)를 갖는다.The waste accommodating main body 13 is a hollow container which stores the waste D discarded in the film 15, and is divided into the accommodating main body lower part 17 and the accommodating main body upper part 19. As shown in FIG. The storage main body lower part 17 has the bottom part 17b in the lower end side, and has an opening part in the upper end side. The storage main body upper part 19 covers the opening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main body lower part 17 to the lower end side, and has the waste inlet 16 at an upper end part.

또한, 수납 본체 상부(19)의 내부에는, 오물 투입구(16)와 저장된 오물과의 사이에서 필름(15)을 끼워넣어 차단하는 개폐식의 밀폐 기구(28)가, 마련되어 있다. 밀폐 기구(28)는, 밀폐용 문(33)과 밀폐용 문 받이부(35)를 갖는다. 밀폐 기구(28)에 관해서는 후술한다.Moreover, the opening-closing sealing mechanism 28 which interposes | blocks the film 15 between the waste inlet 16 and the stored dirt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main body upper part 19. As shown in FIG. The sealing mechanism 28 has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The sealing mechanism 28 is mentioned later.

오물을 폐기하는 경우, 사용자는, 우선 덮개(23)를 열고, 다음에 오물 투입구(16)로부터 필름(15)의 내부에 오물(D)을 투입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오물 투입구(16)에 손을 넣어, 필름(15)을 오물(D)과 함께 압하하여 밀폐용 문(33)을 밀어 연다. 하방으로 압입된 오물(D)은, 필름(15)과 함께 개문된 밀폐용 문(33)과 밀폐용 문 받이부(35)의 사이를 통과한다. 밀폐용 문(33) 및 밀폐용 문 받이부(35)를 통과한 오물(D)은, 필름(15)을 따라 이동하여 하방으로 나아가고, 오물 수납 본체(13)의 내부에 축적된다. 사용자가 밀폐용 문(33) 및 밀폐용 문 받이부(35)보다도 하방에 오물을 떨어뜨리고 오물 투입구(16)에서 손을 빼면, 밀폐용 문(33)이, 곧바로 폐문하여 필름(15)을 끼워넣는다. 또한, 새로운 필름(15)이 오물 투입구(16)로부터 풀려나와지기 때문에, 오물 투입구(16)에는 항상 새로운 필름(15)이 공급된다.When the waste is discarded, the user first opens the lid 23 and then injects the waste D into the inside of the film 15 from the waste inlet 16. Next, the user puts his hand into the waste inlet 16, presses the film 15 together with the soil D, and pushes the sealing door 33 open. The dirt D pressed in downward passes between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opened together with the film 15. The dirt D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moves along the film 15 and moves downward, and is accumulated in the dirt storage main body 13. When the user drops the dirt below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and removes the hand from the waste inlet 16, the sealing door 33 immediately closes and closes the film 15. Put it in. In addition, since the new film 15 is released from the dirt inlet 16, the new film 15 is always supplied to the dirt inlet 16.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밀폐 기구(28)의 단면 형상을 확대해서 도시하는 폐문시의 단면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밀폐 기구(28)의 단면 형상을 확대해서 도시하는 개문시의 단면 확대도이다. 또한, 도 4중의 선(O)은, 오물 투입구(16) 및 후술하는 관형상 심부의 중심축선을 나타낸다.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osing mechanism 28 shown in FIG. 2 in an enlarged view, and FIG. 5 shows an enlarged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aling mechanism 28 shown in FIG. It is an enlarged cross section at the time of opening. In addition, the line O in FIG. 4 shows the central axis line of the dirt inlet 16 and the tubular core part mentioned later.

오물 처리 장치(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물 투입구(16)와, 오물 수납 본체(13) 내에 폐기된 오물(D)과의 사이에서 필름(15)을 끼워넣어 차단하는 개폐식의 밀폐 기구(28)를 구비한다. 밀폐 기구(28)는, 밀폐용 문(33)과, 밀폐용 문 받이부(35)를 가지며 밀폐용 문(33) 및 밀폐용 문 받이부(35)에는, 밀폐용 문(33)이 폐문한 때에 서로가 계합하여 필름을 끼워넣는 요철 형상이,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As described above,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11 is an open / close sealing mechanism for inserting and blocking the film 15 between the waste inlet 16 and the waste D disposed in the waste storage main body 13. And (28). The sealing mechanism 28 has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and the sealing door 33 is closed by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The uneven | corrugated shape which engages each other and interposes a film at one time is provided.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밀폐용 문(33)과 밀폐용 문 받이부(35)가 폐문한 상태에서, 밀폐용 문(33)이 오물 투입구(16)를 하방에서 덮어 폐색하도록, 밀폐용 문 받이부(35)가, 수납 본체 상부(19)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수납 본체 상부(19)의 내벽에는, 밀폐용 문(33)이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37)이,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37)은, 밀폐용 문 받이부(35)의 하방을 향하여 연재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밀폐용 문(33)은, 가이드 레일(37)에 따라 활주한다.In the state where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are close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is closed so that the sealing door 33 covers and closes the dirt inlet 16 below. It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storage main body 19. Moreover, the guide rail 37 which guides the sealing door 33 to operate in the opening direction and the closing direction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ng main body upper part 19. As shown in FIG. The guide rail 37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exten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and the sealing door 33 slides along the guide rail 37. As shown in FIG.

밀폐용 문(33)은, 밀폐용 문 받이부(35)를 향하여 가세되어 있고, 보통상태에서는 서로 계합하여 닫고 있다. 또한 보통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름(15)이, 밀폐용 문(33) 및 밀폐용 문 받이부(35)에 의해 끼워넣어져 있다. 이에 대해, 사용자가 밀폐용 문(33)을 밀어내리면, 밀폐용 문(33)이, 밀폐용 문 받이부(35)로부터 떨어지는 열림방향으로 가이드 레일(37)에 따라 활주한다. 밀폐용 문(33)이 열리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름(15)의 끼워넣음이 해제되고, 오물(D)을 오물 수납 본체(13)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The sealing door 33 is biased towar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and is closed by engaging with each other in a normal state. In the normal state, as shown in FIG. 2, the film 15 is sandwiched by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ushes down the sealing door 33, the sealing door 33 slides along the guide rail 37 in the opening direction falling from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As shown in FIG. When the sealing door 33 opens, as shown in FIG. 3, the insertion of the film 15 is canceled | released and the dirt D can be thrown in into the waste storage main body 13. As shown in FIG.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용 문(33) 및 밀폐용 문 받이부(35)에는, 폐문시에 서로 계합하는 한 쌍의 요철 형상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필름(15)은, 밀폐용 문(33) 및 밀폐용 문 받이부(35)에 마련된 요철 형상에 의해 끼워넣어져 있다. 밀폐용 문(33)에 마련된 요철 형상은, 폐문시에 필름(15)과 맏닿는 끼워넣는 면(33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밀폐용 문 받이부(35)에 마련된 요철 형상은, 폐문시에 필름(15)과 맏닿는 끼워넣는 면(35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5,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are provided with the pair of uneven | corrugated shape which engages with each other at the time of closing. And the film 15 is sandwiched by the uneven | corrugated shape provided in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As shown in FIG. The uneven | corrugated shape provided in the sealing door 33 is comprised by the insertion surface 33c which contact | connects the film 15 at the time of closing. Moreover, the uneven | corrugated shape provided in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is comprised by the fitting surface 35c which contact | connects the film 15 at the time of closing.

여기서, 끼워넣는 면(33c, 35c)에 관해, 도 6을 이용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밀폐용 문(33) 및 밀폐용 문 받이부(35)의 개문시의 필름 끼워넣는 부분을 확대해서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방 단면 확대도이다. 도 6(b)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밀폐용 문(33) 및 밀폐용 문 받이부(35)의 폐문시의 필름 끼워넣는 부분을 확대해서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방 단면 확대도이다. 또한, 도 6은,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밀폐용 문(33) 및 밀폐용 문 받이부(35)의 필름 끼워넣는 부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의 실시 형태와는 상세한 구성이 다르다.Here, the fitting surface 33c, 35c is demonstrated in detail below using FIG. FIG. 6 (a) is a side cross-sectional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larged and schematic view of a film sandwiching portion at the time of opening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6 (b) is a side cross-sectional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larged and schematic view of a film sandwiching portion during closing of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since FIG. 6 has shown typically the film insertion part of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detailed structure differs from actual embodiment. different.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폐용 문(33)의 필름 끼워넣는 부분에 상당하는 끼워넣는 면(33c)는, 밀폐용 문(33)의 윗면의 전단(前端) 영역에 상당하는 면(33c1)과, 면(33c1)의 전단에서 면(33c1)과 개략 직각으로 접속하여 하방으로 늘어나고, 면(33c1)과 개략 직각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면(33c2)과, 면(33c2)의 하단에서 면(33c2)과 개략 직각으로 접속하여 전방측으로 늘어나고, 면(33c2)과 개략 직각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면(33c3)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6 (a) and FIG.6 (b), the insertion surface 33c corresponding to the film insertion part of the sealing door 33 is the front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door 33 ( surface forming前端) and the surface (33c 1) corresponding to an area, surface (33c 1) and connected to the surface (33c 1) and a schematic right angle from the front end increasing downward face (33c 1) and the edge portion of an approximately right angle in (33c 2) and a surface (33c 2) connected to the face (33c 2) and a schematic right angle from the bottom of the rise to the front side, consists of a face (33c 2) and the surface (33c 3) of forming corner portions of an approximately right angle .

또한, 밀폐용 문 받이부(35)의 필름 끼워넣는 부분에 상당하는 끼워넣는 면(35c)은, 필름 끼워넣는 부분의 상단에서 오물 투입구(16)의 축선(O)과 개략 직교하도록 마련되고, 폐문시에 면(33c1)과 개략 평행이 되는 면(35c1)과, 면(35c1)의 전단에서 면(35c1)과 개략 직각으로 접속하여 하방으로 늘어나고, 폐문시에 면(33c2)과 개략 평행이 되는 면(35c2)과, 면(35c2)의 하단에서 면(35c2)과 개략 직각으로 접속하여 전방측으로 늘어나고, 폐문시에 면(33c3)과 개략 평행이 되는 면(35c3)으로 구성된다.Moreover, the insertion surface 35c corresponding to the film insertion part of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is provided so that it may becom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axis O of the waste inlet 16 at the upper end of the film insertion part, surface on which the surface (33c 1) and a schematic parallel when CLOSING (35c 1) and, connected at the front end of the surface (35c 1) to the surface (35c 1) and a schematic right angle increasing downward surface during CLOSING (33c 2 ) and connected to the face (35c 2) and a surface (35c 2) and a schematic right angle from the bottom of the face (35c 2) is the schematic parallel increases toward the front, side when CLOSING that this surface (33c 3) and a schematic parallel It consists of 35c 3 .

밀폐용 문(33)이, 도 6(a)에 도시하는 개문 상태로부터, 도 6(a)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향하여 활주하여 필름(15)을 끼워넣고, 도 6(b)에 도시하는 폐문 상태가 되면, 필름(15)이, α1 및 α2의 2개소의 모서리부에서 개략 직각으로 굴곡된다. 즉, 밀폐용 문(33) 및 밀폐용 문 받이부(35)의 끼워넣음에 의해, 끼워넣어진 필름(15)의 끼워넣는 부분에서의 상하 방향 중간점(α1, α2)을, 도 6(b)중에 1점 쇄선으로 도시한 필름의 끼워넣는 부분의 상단(β)과 하단(γ)을 잇는 가상 직선에 대해 측방으로 굴곡시키고 있다. 또한, 면(35c1)의 후단에 형성된 모서리부에 의해, 필름 끼워넣는 부분의 상단(β)에서도 필름(15)이 굴곡된다. 마찬가지로, 면(33c3)의 전단에 형성된 모서리부에 의해, 필름 끼워넣는 부분의 하단(γ)에서도 필름(15)이 굴곡된다.The sealing door 33 slides toward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6 (a) from the opening state shown in FIG. 6 (a), sandwiches the film 15, and closes the door shown in FIG. 6 (b). When it is in a state, the film 15 is bent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at two corner portions of α 1 and α 2 . That is, the up-down direction intermediate point (alpha) 1 , (alpha) 2 in the part to which the film 15 which inserted was inserted by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is shown, FIG. It is bend | folding to the side with respect to the virtual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the upper end (beta) and the lower end (gamma) of the interposed part of the film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6 (b). Moreover, the film 15 is also bent at the upper end β of the film sandwiching portion by the corner portion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urface 35c 1 . Similarly, the film 15 is bent at the lower end γ of the film sandwiching portion by the corner portion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urface 33c 3 .

여기서, 필름(15)의 내부에 폐기된 오물(D)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중력이 걸려 있다. 즉, 필름(15)에는, 오물(D)에 의해, 항상 연직 하방을 향한 텐션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텐션이 작용하는 상태의 필름(15)을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끼워넣고, 필름(15)을 α1, α2, β, γ의 4개소의 모서리부에서 굴곡시키면, 이 모서리부에서 필름(15)에 더욱 큰 텐션이 걸린다. 이에 의해,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 냄새의 전달하는 요인이 되는 잔류 통풍 경로가,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냄새의 차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물의 폐기마다 필름을 비틀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비틈 부분에 의한 최대 오물 수납량의 저하를 막을 수도 있다. 또한, 밀폐용 문(33) 및 밀폐용 문 받이부(35)를 금형 성형으로 양산하는 경우, 개략 직각의 모서리부를 갖는 요철 형상은, 계단형상의 형상이고, 특히 복잡한 형상이 아니다. 따라서 성형이 용이하다. 따라서 제품의 양산화에 관해 이점을 갖는다.Here, the dirt D discarded inside the film 15 is gravity gravityd downward by its own weight. That is, the tension 15 always acts vertically downward by the dirt D on the film 15. When the film 15 in the state where such tension acts is inserted as shown in FIG. 6 (b), and the film 15 is bent at four corner portions of α 1 , α 2 , β, and γ, At this corner, a greater tension is applied to the film 15. Thereby, the residual ventilation path | route which becomes a factor which transmits an odor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effectively interrupted | blocked. Therefore, the blocking of odors can be greatly improved. Moreover, since there is no need to twist a film for every waste disposal, the fall of the maximum dirt storage amount by a gap par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when mass-producing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by metal mold | die shaping, the uneven | corrugated shape which has a roughly right angled corner | corner shape is a step shape and it is not a complicated shape especially. Therefore, molding is easy. Thus there is an advantage with regard to mass production of the product.

밀폐용 문(33) 및 밀폐용 문 받이부(35)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 7의(a) 및 (b)에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7(a)는 다른 실시 형태가 되는 철자형 밀폐용 문 및 요자형 밀폐용 문 받이부의 개문시의 필름 끼워넣는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하는 측방 단면 확대도이다. 도 7(b)는 해당 실시 형태의 철자형 밀폐용 문 및 요자형 밀폐용 문 받이부의 폐문시의 필름 끼워넣는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하는 측방 단면 확대도이다. 또한, 도 7은,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밀폐용 문(33) 및 밀폐용 문 받이부(35)의 필름 끼워넣는 부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의 실시 형태와는 상세한 구성이 다르다.Other embodiment of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is shown typically in FIG.7 (a) and (b). FIG. 7 (a)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a film sandwiching portion at the time of opening the spell-closing door and the recess-shaped sealing door receiv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7 (b)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film sandwiching at the time of closing the spell-closing door and the recess-shaped door receiving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In addition, since FIG. 7 has shown typically the film part of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for ease of understanding, a detailed structure differs from actual embodiment. different.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밀폐용 문(33)과 밀폐용 문 받이부(35)에 의한 필름(15)의 끼워넣음이, 철자형상의 측방 단면을 갖는 필름 끼워넣는 부분이 마련된 밀폐용 문(33)과, 밀폐용 문(33)에 마련된 철자형상을 받는 요자형상의 측방 단면을 갖는 필름 끼워넣는 부분이 마련된 밀폐용 문 받이부(35)와의 계합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aling door 33 in which the insertion of the film 15 by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is provided with the film insertion part which has a lateral side cross section of the letter shape is provided.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provided with the film-insertion part which has the concave-shaped side cross section which receives the spelling shape provided in the sealing door 33 is implemented.

구체적으로는, 끼워넣는 면(33c)에, 단면 철자형상의 돌조(1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넣는 면(35c)에, 단면 요자형상의 조홈(135)가, 형성되어 있다. 돌조(133)는, 밀폐용 문(33)의 활주 방향과 개략 평행이 되도록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밀폐용 문(33)이 닫힘방향을 향하여 활주하여 밀폐용 문 받이부(35)와 계합한 경우, 그 활주을 저해하는 일 없이 밀폐용 문(33) 및 밀폐용 문 받이부(35)에 마련된 요철 형상이 계합한다.Specifically, cross-sectional spelling projections 133 are formed on the fitting surface 33c. Moreover, the groove-shaped groove | channel 135 of cross section concave shape is formed in the surface 35c to be fitted. The protrusion 133 protrudes so that it may become substantially parallel with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door 33 for sealing. Therefore, when the sealing door 33 slides toward the closing direction and engages with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the sealing door 33 is provided in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without impeding the sliding. Concave-convex shapes engage.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용 문(33)에 형성되는 끼워넣는 면(33c)을 구성하는 면은, 각각 33c1 내지 33c5이다. 또한, 밀폐용 문 받이부(35)에 형성되는 끼워넣는 면(35c)를 구성하는 면은, 각각 35c1 내지 35c5이다. 이들의 구성면중, 33c2와 33c4 및 35c2와 35c4는, 도 7(b)에 도시한 필름 끼워넣는 부분의 상단(β)부터 하단(γ)까지를 잇는 가상 직선과 개략 직교한 면이다. 따라서 밀폐용 문(33)이, 도 7(a)에 도시하는 개문 상태로부터 도 7(a)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향하여 활주하여 필름(15)을 끼워넣고, 도 7(b)에 도시하는 폐문 상태가 되면, 필름(15)이, α1 내지 α4의 4개소의 모서리부에서 개략 직각으로 굴곡된다. 즉, α1 내지 α2 사이와 α3 내지 α4 사이에서, 필름(15)은, 개략 수평 방향으로 굴곡된다.7, the surface constituting a surface (33c) telescoping formed in a closed door (33) are, respectively, 33c 1 to 33c 5. In addition, the surface forming the surface (35c) formed in telescoping sealing door receiving portion (35) are, respectively, 35c 1 to 35c 5. Among these constituent surfaces, 33c 2 and 33c 4 and 35c 2 and 35c 4 are planes orthogonal to an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upper end β to the lower end γ of the film insertion portion shown in FIG. 7B. to be. Therefore, the sealing door 33 slides toward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7 (a) from the opening state shown in FIG. 7 (a), sandwiches the film 15, and closes the door shown in FIG. 7 (b). When it is in a state, the film 15 is bent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at four corner portions of α 1 to α 4 . That is, the film 15 is bent in the approximately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α 1 to α 2 and α 3 to α 4 .

전술한 도 6과 마찬가지로, 필름(15)에는, 오물(D)의 자중에 의해 연직 하방으로의 중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 4개소의 개략 직각의 모서리부에서, 필름(15)에 큰 텐션이 걸린다. 이에 의해, 필름(15)의 내측에 따라 형성되는 잔류 통풍 경로가 직각으로 굴곡되고, 냄새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오물의 폐기마다 필름(15)을 비틀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비틈 부분에 의한 최대 오물 수납량의 저하를 막을 수도 있다. 또한, 밀폐용 문(33) 및 밀폐용 문 받이부(35)를 금형 성형으로 양산하는 경우, 요철 형상은 성형이 용이하기 때문에, 제품의 양산화에 있어서도 이점을 갖는다.Similar to FIG. 6 mentioned above, gravity downward acts on the film 15 by the self weight of the dirt D. As shown in FIG. Therefore, a large tension is applied to the film 15 at these four roughly right corners. Thereby, the residual ventilation path formed along the inside of the film 15 is bent at a right angle, and the odor can be blocked more effectively.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twist the film 15 for every waste disposal, the fall of the maximum dirt storage amount by a gap part can also be prevented. In addition, when mass-producing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by mold molding, since the uneven | corrugated shape is easy to shape | molding, there exists an advantage also in the mass production of a product.

또한, 오물 처리 장치(11)는, 밀폐용 문(33)을 항상 밀폐용 문 받이부(35)의 방향으로 가세하기 위한 스프링(39)를 또한 구비한다. 스프링(39)의 가세력이 클수록, 필름(15)을 끼워넣는 힘을 크게 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냄새의 차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11 is further equipped with the spring 39 for adding the sealing door 33 to the direction of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at all times. The greater the force of the spring 39, the greater the force for sandwiching the film 15, and the more the odor barrier property can be improved.

도 8은, 필름 수납부(14)를 떼어내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오물 처리 장치(11)는, 오물 투입구(16)를 형성함과 함께 필름(15)을 수납하는 필름 수납부(14)를 구비한다. 이 필름 수납부(14)는, 수납 본체 상부(19)의 상방에 마련된 필름 부착부(1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오물 투입구(16)의 외곽을 형성한다. 필름 수납부(14)는, 오물 투입구(16)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는 원통형상의 관형상 심부(芯部)(27)와, 관형상 심부(27)의 하단부에 마련된 관형상 심부 플랜지(27f)와, 관형상 심부(27)의 상단측에 감입하여 고정되는 플랜지 형상의 필름 누름 플랜지(29)를 갖는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m accommodating portion 14 removed.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11 is equipped with the film accommodating part 14 which accommodates the film 15 while forming the waste inlet 16. This film accommodating part 14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lm attachment part 12 provided above the accommodating main body upper part 19, and forms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ste inlet 16. As shown in FIG. The film accommodating portion 14 includes a cylindrical tubular core 27 extending downward from the waste inlet 16, a tubular core flange 27f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core 27, It has the flange-shaped film press flange 29 which penetrates into the upper end side of the tubular core part 27, and is fixed.

필름(15)은, 관형상 심부(27)의 축방향에 주름상자형상으로 절첩되어 관형상 심부(27)의 외경측에 동축에 배치되도록 삽통된다. 그리고, 필름 누름 플랜지(29)가, 필름(15)의 튀여나감을 억제하도록 관형상 심부(27)에 감입하여 접속되어 있다. 즉, 관형상 심부(27)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필름 누름 플랜지(29)와, 관형상 심부(27)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관형상 심부 플랜지(27f)에 의해, 필름(15)은, 관형상 심부(27)의 축선(O) 방향의 상단과, 축선(O) 방향의 하단 사이의 공간에, 주름상자형상으로 절첩되어 압축되어 수납되어 있다.The film 15 is insert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ubular core 27 to be folded into a corrugated box shape, and inserted into the outer diameter side of the tubular core 27 so as to be coaxially disposed. And the film pressing flange 29 is connected to the tubular core part 27 so that the jumping out of the film 15 may be carried out. That is, the film 15 is tubular by the film press flange 29 located in the upper end of the tubular core 27, and the tubular core flange 27f located in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core 27.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re part 27 direction of the axis line O, and the lower end of the axis line O direction, it is folded and compressed and accommodated in the shape of a pleat box.

필름(15)은 필름 수납부(14)의 소모 부품이고, 수납된 해당 필름이 전부 사용되면, 사용자는, 사용이 끝난 필름 수납부(14)를 떼어내고, 새로운 필름 수납부(14)를 필름 부착부(12)에 세트한다. 또는, 필름 수납부(14)는, 필름 수납부(14)에 수납된 필름(15)이 전부 사용된 경우에, 필름만이 교환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즉, 관형상 심부 플랜지(27f)가, 필름 부착부(12)에 고정되고, 필름 누름 플랜지(29)가, 관형상 심부(27)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필름 교환시에 있어서, 사용자는, 필름 누름 플랜지(29)를 떼어내고, 필름만을 교환할 수 있다.The film 15 is a consumable part of the film accommodating portion 14, and when all of the contained films are used, the user removes the used film accommodating portion 14 to film the new film accommodating portion 14. It is set to the attachment part 12. Or the film accommodating part 14 may be the structure by which only the film is replaced, when all the films 15 accommodated in the film accommodating part 14 are used. That is, the structure in which the tubular core flange 27f is fixed to the film attachment portion 12 and the film pressing flange 29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tubular core portion 27 may be employed. According to this structure, at the time of film replacement, a user can remove the film press flange 29 and replace only a film.

필름 수납부(14)를 오물 처리 장치(11)에 세트한 후, 사용자는, 덮개(23)를 연 채로 관형상 심부(27)에 압축 수납되어 있는 필름(15)의 선단을, 필름 누름 플랜지(29)의 외주연(外周緣)을 넘도록 상방으로 인출한다. 뒤이어, 그 인출된 선단을 매듭(26)에 의해 폐쇄한다. 그리고, 이 매듭(26)을 관형상 심부(27) 내로 삽통시켜서 하방으로 밀어 넣고, 필름 수납부(14)로부터 필름(15)을 풀어내면서 매듭(26)을 저부(17b)까지 밀어 넣는다. 필름(15)의 내부에 사용이 끝난 기저귀 등의 오물을 폐기하여 가면, 필름(15)에 오물이 축적되어 가고, 관형상 심부(27)의 외경측에 주름상자형상으로 절첩된 필름(15)이, 차례차례로 풀어내여지고 하방으로 늘어나 간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물을 연속적으로 오물 수납 본체(13) 내에 폐기할 수 있다.After setting the film accommodating part 14 to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11, a user presses the front-end | tip of the film 15 compressed and accommodated in the tubular core part 27 with the cover 23 opened, and a film press flange Draw upwards beyond the outer periphery of (29). Subsequently, the drawn tip is closed by a knot 26. Then, the knot 26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core 27 to be pushed downward, and the knot 26 is pushed to the bottom 17b while releasing the film 15 from the film accommodating portion 14. When the wastes such as used diapers and the like are discarded inside the film 15, the dirt is accumulated in the film 15, and the film 15 folded in a pleated box shape on the outer diameter side of the tubular core portion 27. This is released in turn and increases downward. Therefore, the user can dispose of the waste in the waste storage main body 13 continuously.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오물 처리 장치(11)에서는, 관형상 심부(27)의 축선(O)의 방향, 즉 오물 투입구(16)의 개구 방향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하도록, 필름 수납부(14)가, 수납 본체 상부(19)에 지지되어 있다. 오물 투입구(16)가, 연직 방향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θ16)로 경사하여 있다. 이에 의해, 모친이 유아의 기저귀를 폐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관해, 이하에 간단히 설명한다. 모친이 유아의 기저귀를 교환하는 작업은, 일반적으로, 유아를 마루에 누이고, 모친이 앉은 상태에서 행하여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오물 투입구(16)가 소정의 각도(θ16)로 경사하여 있기 때문에, 모친이 앉아서 유아의 기저귀를 교환하고, 그대로 앉은 상태에서 사용이 끝난 기저귀(오물)를 오물 투입구(16)에 폐기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As shown in FIG. 4, in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11 of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 of the axis O of the tubular core part 27, ie,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waste inlet 16,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film housing portion 14 is supported by the housing body upper portion 19. The dirt inlet 16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16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front side. This makes it easy for the mother to dispose of the diaper of the infant. This is briefly described below. In general, the work of the mother changing the diaper of the infant is often performed while the infant is lying on the floor and the mother is sitting.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waste inlet 16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16 , the mother sits and replaces the diaper of the infant, and the used diaper (filtrate) is used as the waste inlet. The work discarded at 16 becomes easy.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오물 투입구(16)의 개구 방향이 수평이 되도록, 필름 수납부(14)가, 수납 본체 상부(19)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관형상 심부(27)의 축선(O)이, 수평으로 연재된다. 이러한 경우라도, 끼워넣어진 필름 부분에 텐션을 걸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the film accommodating part 14 may be supported by the accommodating main body upper part 19 so that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waste inlet port 16 may be horizontal. In this case, the axis O of the tubular core 27 extends horizontally. This is because even in such a case,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embedded film portion.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폐용 문(33)은, 개략 평탄한 밀폐용 문 윗면(34)를 갖는다. 밀폐용 문 윗면(34)의 상세한 형상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 형태의 오물 처리 장치(11)에서는, 밀폐용 문(33)은, 밀폐용 문 윗면(34)이 관형상 심부(27)가 경사한 축선 방향에 대응한 소정의 각도로 경사하도록, 수납 본체 상부(19)에 지지되어 있다. 즉, 밀폐용 문(33)은, 폐문한 상태에서, 전단측(前端側)이 연직 방향의 낮은 위치가 되고, 후단측이 연직 방향의 높은 위치가 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하여 수납 본체 상부(19)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밀폐용 문(33)은, 밀폐용 문 받이부(35)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진퇴이동한다. 밀폐용 문(33)의 진퇴이동 방향(S)은, 관형상 심부(27)의 축선(O)과 다른 각도로 경사하여 있다.4 and 5, the sealing door 33 has an approximately flat sealing door upper surface 34. The detailed shape of the sealing door upper surface 34 is mentioned later. In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11 of this embodiment, the sealing door 33 is accommodated so that the sealing door upper surface 34 may incline at the predetermined angle corresponding to the axial direction which the tubular core part 27 inclined. It is supported by the upper body 19. That is, the sealing door 33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front end side becomes a low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ear end side becomes a high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closing door 33 is closed. 19). And the sealing door 33 moves forward and back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The advancing and moving direction S of the sealing door 33 is inclined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e axis O of the tubular core 27.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직 방향에 대한 오물 투입구(16)(관형상 심부(27))의 경사 각도를 θ16로 하고, 연직 방향에 대한 밀폐용 문(33)의 진퇴이동 방향(S)의 경사 각도를 θ33로 하여, 이하의(1)식을 만족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irt inlet 16 (tubular core 27)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is set to θ 16 , and the retraction of the sealing door 33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is made. The following expression (1) is satisfied by set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ovement direction S to θ 33 .

0°<θ1633 ‥‥(1)0 ° <θ 1633 ‥‥ (1)

이러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밀폐용 문(33)의 진퇴이동 방향(S)의 경사 각도(θ33)가, 오물 투입구(16)의 경사 각도(θ16)보다도 크다. 이에 의해, 밀폐용 문(33)이 열림방향에 퇴동(退動)함에 따라, 밀폐용 문(33)이, 하방이며 후방을 향하여 평행 이동하고, 관형상 심부(27)의 축선(O)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즉, 개문시에 밀폐용 문(33)을 필름(15)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문시에는 필름(15)이 크게 개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앉은 상태에서 오물 수납 본체(13)를 향하여 오물을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present embodiment, the inclination angle θ 33 of the advancing and moving direction S of the sealing door 33 is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θ 16 of the waste inlet 16. Thereby, as the sealing door 33 retreats to an opening direction, the sealing door 33 moves downward and parallel to back, and it moves from the axis O of the tubular core part 27. Away. That is, the opening door 33 can be fully separated from the film 15 at the time of opening. Therefore, since the film 15 is largely opened at the time of opening, the user can easily dispose of the dirt toward the waste storage main body 13 in a sitting state.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밀폐용 문 윗면(34)이 수직이 되도록, 밀폐용 문(33)이, 수납 본체 상부(19)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θ33=90°). 이 경우, 밀폐용 문(33)은, 수평 방향으로 진퇴이동한다. 이러한 경우라면, 개문시에 밀폐용 문(33)을 필름(15)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the sealing door 33 may be supported by the upper part 19 of the storage main body so that the sealing door upper surface 34 may be perpendicular (θ 33 = 90 °). In this case, the sealing door 33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f this is the case, the opening door 33 can be effectively separated from the film 15 at the time of opening.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관형상 심부(27)의 하단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필름 수납부(14)의 하단부에 상당하는 관형상 심부 플랜지(27f)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하도록 오물 수납 본체(13)에 지지되어 있다. 즉,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형상 심부 플랜지(27f)의 전단측이, 연직 방향의 낮은 위치가 되어 있고, 또한 후단측이, 연직 방향의 높은 위치가 되어 있다. 그리고, 밀폐용 문 받이부(35)의 끼워넣는 면(35c)이, 관형상 심부 플랜지(27f)의 가장 낮은 위치의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밀폐용 문(33)에 의한 필름(15)의 끼워넣음이, 보다 용이해진다. 이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ubular core flange 27f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film accommodating part 14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core part 27 may incline at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a waste accommodating main body. It is supported by (13). That is, as shown to FIG. 2 to FIG. 5, the front end side of the tubular core flange 27f is at a low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ear end side is at a high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urface 35c of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lowest position of the tubular core flange 27f. Thereby, the insertion of the film 15 by the sealing door 33 becomes easier.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필름 수납부(14)에 오물 투입구(16)로부터 풀어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는 필름(15)은, 관형상 심부(27)의 내부를 연직 하방으로 통과하여, 오물(D)과 함께 수납 본체 하부(17)에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밀폐용 문(33)이 개문하고 있는 경우, 필름(15)은, 필름(15)의 내부에 폐기된 오물(D)의 중량에 의해 연직 하방으로 끌어당겨지기 때문에, 오물 투입구(16)로부터 하방으로 거의 곧장 연재된다. 여기서, 관형상 심부(2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θ16)로 경사하여 있다. 따라서 오물 투입구(16)의 직경을 LO로 하고, 오물 투입구(16)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각을 θO(=θ16)로 하면, 필름(15)은, 오물 투입구(16)로부터 하방에 곧바로 늘어나 있는 경우, 적어도 수평 거리로서 LO(1-cosθO)만큼, 전방의 경사 하방측으로 자연히 가까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자연히 가까워진 경사 하방측에서, 필름(15)이, 밀폐용 문(33)과 밀폐용 문 받이부(35)에 의해 끼워넣어져 있다. 이에 의해, 밀폐용 문(33)에 의한 필름(15)의 끼워넣음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냄새 차단을 위한 밀폐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The film 15 housed in the film accommodating portion 14 so as to be released from the dirt inlet 16 passes vertically downward through the inside of the tubular core portion 27, and together with the dirt D, the lower part of the accommodating main body. It is stored in 17. Therefore, when the sealing door 33 is opening, since the film 15 is pulled vertically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waste D discarded in the inside of the film 15, from the waste inlet 16 It is serialized almost straight down. Here, the tubular core 27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16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the diameter of the waste inlet 16 is set to LO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aste inlet 16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s θ O (= θ 16 ), the film 15 is directly below the waste inlet 16. When it is extended, at least as a horizontal distance, L 0 (1-cosθ O ) is naturally closer to the forward inclined downward side. Thus, the film 15 is sandwiched by the sealing door 3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from the inclination downward side naturally approaching. Thereby, since insertion of the film 15 by the sealing door 33 can be made easier, sealing for odor blocking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밀폐용 문 윗면(34)은, 개략 평탄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엄밀하게는, 밀폐용 문 윗면(34)은, 개략 평탄한 면인 윗면 전방부(34f)와, 윗면 전방부(34f)에 대해 경사하도록 완만하게 만곡하고 있는 윗면 후방부(34r)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관해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필름 수납부(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에서 경사 하방측이 되도록 수납 본체 상부(19)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밀폐용 문(33)은, 전방측 즉 경사 하방측에서 밀폐용 문 받이부(35)와 계합하여 필름을 끼워넣고 있다. 여기서, 밀폐용 문(33)의 폐문시에서는, 필름 수납부(14)와 윗면 전방부(34f)의 사이에 밀폐용 문 받이부(35)의 끼워넣는 면(35c)이, 개재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sealing door upper surface 34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flat, but, strictly, the sealing door upper surface 34 is an upper surface front part 34f which is an approximately flat surface. ) And an upper surface rear portion 34r that is gently curved to inclin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front portion 34f.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s mentioned above, the film accommodating part 14 is supported by the accommodating main body upper part 19 so that it may be inclined downward side from the front. In addition, the sealing door 33 engages with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on the front side, ie, the inclined lower side, and sandwiches the film. Here, at the time of the closing of the sealing door 33, the surface 35c of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is interposed between the film accommodating part 14 and the upper surface front part 34f.

한편, 필름 수납부(14)와 윗면 후방부(34r)의 사이에는, 밀폐용 문 받이부(35)의 끼워넣는 면(35c)가, 개재하지 않고. 이 때문에, 밀폐용 문 윗면(34)은, 밀폐용 문 받이부(35)와 맞닿아서 오물 투입구를 하방에서 폐색하기 위해, 2개의 다른 면(평탄면의 윗면 전방부(34f) 및 경사면의 윗면 후방부(34r))으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film accommodating part 14 and 34 r of upper surface back surfaces, the surface 35c of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is not interposed. For this reason, the sealing door upper surface 34 is in contact with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5 so as to close the waste inlet from below, so that two different surfaces (the upper surface front part 34f of the flat surface and the inclined surface) Top rear part 34r).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윗면 전방부(34f)와 수평면과의 각도를 θ34f로 하고, 윗면 후방부(34r)와 수평면과의 각도를 θ34r로 하여, 이하의 (2)식을 만족하도록 밀폐용 문 윗면(34)이, 형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angle between the upper surface front part 34f and the horizontal plane is θ 34f , and the angle between the upper surface rear part 34r and the horizontal plane is θ 34r . The sealing door upper surface 34 is formed so that Formula (2) may be satisfied.

0°≤θ34f34r ‥‥(2)0 ° ≤θ 34f34r ‥‥ (2)

이에 의해, 사용자가 오물을 폐기하기 위해 밀폐용 문(33)을 밀어 열 때에, 윗면 후방부(34r)에 손을 걸어서 누름에 의해, 효율적으로 밀폐용 문(33)에 압력을 전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밀폐용 문(33)을 보다 적은 힘으로 개문할 수 있다.Thereby, when a user pushes open the sealing door 33 to dispose of the dirt, it can transmit pressure to the sealing door 33 efficiently by hand pressing on the upper back part 34r. . Therefore, the user can open the sealing door 33 with less force.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변형례로서, 윗면 후방부(34r)와 진퇴이동 방향(S)이 개략 직교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변형례에 의하면, 밀폐용 문(33)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받는 압력을 전혀 감쇄하는 일 없이 스프링(39)에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적은 힘으로 밀폐용 문(33)을 밀어 열 수 있다.In addition, as a modification of this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back part 34r and the advancing and moving direction S may be substantially orthogonal. According to this modification, the closing door 33 can be input to the spring 39 without attenuating the pressure received from the user's hand at all. Therefore, the user can push the sealing door 33 with less force.

다음에 오물 수납 본체(13)의 개방 조작에 관해 설명한다.Next,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waste storage main body 13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본체 로크 기구(25) 및 덮개 로크 기구(24)를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오물 처리 장치(11)을 배면 경사 방향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체 로크 기구(25) 및 덮개 로크 기구(24)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측방 단면 확대도이다.FIG. 9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body lock mechanism 25 and the lid lock mechanism 24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10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11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rear oblique direction. 11 is a side sectional enlarged view which expands and shows the main body locking mechanism 25 and the cover lock mechanism 24. FIG.

오물 처리 장치(11)는 통상의 이용 상태에서 수납 본체 상부(19)가 하단측으로 수납 본체 하부(17)의 상단의 본체 개구부(17h)를 덮도록 하여 수납 본체 상부(19)와 수납 본체 하부(17)가 닫혀 있다. 수납 본체 상부(19)의 상부에는 필름 부착부(12)가 마련되고, 필름 수납부(14)가 부착되어 있다.In the normal use state,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11 covers the main body opening part 17h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lower part 17 to the lower side in the normal use state, so that the main body upper part 19 and the main body lower part ( 17) is closed. The film attachment part 12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main body upper part 19, and the film accommodating part 14 is attached.

오물 수납 본체(13)의 배면에는, 본체 힌지(31)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 힌지(31)는, 오물 처리 장치(11)의 연직 높이의 개략 중앙에 마련되어 있다. 수납 본체 상부(19)는 수납 본체 하부(17)에 본체 힌지(31)로 추착되어 있고, 수납 본체 상부(19)는 본체 힌지(31)을 지점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 수납 본체 상부(19)가 회동하면 수납 본체 하부(17)의 상단의 본체 개구부(17h)가 외계를 향하여 개구한다.The main body hinge 31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waste storage main body 13. The main body hinge 31 is provided in the approximate center of the vertical height of the waste processing apparatus 11. The housing main body upper part 19 is extracted by the main body hinge 31 in the storage main body lower part 17, and the housing main body upper part 19 can rotate freely by making the main body hinge 31 into a point. When the housing body upper part 19 rotates, the main body opening part 17h of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body lower part 17 opens toward outer space.

또한, 오물 수납 본체(13)의 앞면에는, 수납 본체 상부(19)가 수납 본체 하부(17)을 덮은 상태 즉 수납 본체 상부(19)가 수납 본체 하부(17)을 닫은 상태에서, 수납 본체 상부(19)의 회동을 로크하는 본체 로크 기구(25)와,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본체 로크 해제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ste storage main body 13,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main body 19 in a state where the accommodating main body 19 covers the accommodating main body lower part 17, that is, the accommodating main body upper part 19 closes the accommodating main body lower part 17. A main body lock mechanism 25 for locking the rotation of (19) and a main body lock release mechanism for releasing the lock are provided.

본체 로크 기구(25)는, 원주형의 본체 누름버튼(21)과, 본체 누름버튼(21)을 계지하여 로크하기 위해 수납 본체 상부(19)에 마련된 관통구멍인 누름버튼 받이구멍(32)을 갖는다.The main body locking mechanism 25 has a push button receiving hole 32 which is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19 for locking and locking the cylindrical main body push button 21 and the main body push button 21. Have

본체 누름버튼(21)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가요성의 기둥부(21p)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둥부(21p)의 하단은, 수납 본체 하부(17)의 상단과 접속한다.The main body push button 2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lexible pillar portion 21p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pillar portion 21p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main body lower part 17.

본체 누름버튼(21)은 수납 본체 상부(19)의 회동의 외경 방향으로 돌출한 원주이고, 그 원주의 외주연부인 누름버튼 외주연(21g)이, 수납 본체 상부(19)의 하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버튼 받이구멍(32)에 계합함에 의해, 수납 본체 상부(19)의 회동을 방지하고 있다.The main body push button 21 is a circumference which protrudes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of the rotation of the storage main body 19, and the push button outer periphery 21g which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circumference is formed in the lower end side of the upper body 19 of the storage main body. Engagement with the pushbutton receiving hole 32 prevents rota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19.

본체 로크 해제 기구는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인 본체 누름버튼(21)과, 로크를 해제한 후 수납 본체 상부(19)를 회동하여 열기 위해 손을 거는 개방 조작부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unlocking mechanism includes a main body push button 21, which is an operation unit for releasing the lock, and an open operation unit that releases the hand to rotate and ope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19 after the lock is released.

개방 조작부로서, 수납 본체 상부(19)는, 본체 힌지(31)가 부착되어 있는 해당 수납 본체 상부(19)의 배면으로부터 이격한 반대측의 앞면 하단부에 수납 본체 상부 손잡이(22)를 갖는다. 수납 본체 상부 손잡이(22)는 본체 누름버튼(21)의 근접 하방에 배설되어 있다.As the opening operation portion, the housing body upper portion 19 has a housing body upper handle 22 on the lower front side opposite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body upper portion 19 to which the body hinge 31 is attached. The storage main body upper handle 22 is arrange | positioned below the main body pushbutton 21 below.

본체 로크 기구(25)는, 본체 누름버튼(21)이 압입되어 있는 동안만 누름버튼 받이구멍(32)와의 계합이 벗어나 로크가 해제된다. 사용자가 본체 누름버튼(21)으로부터 손을 떼면, 기둥부(21p)가 원위치로 복귀하여 본체 로크 기구(25)는 재차 로크 상태가 된다.The main body lock mechanism 25 is released from engagement with the push button receiving hole 32 only while the main body push button 21 is press-fitted. When the user releases the main body push button 21, the pillar portion 21p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main body locking mechanism 25 is locked again.

오물 수납 본체(13)의 내부가 오물(D)로 채워지면, 본체 로크 기구(25)를 해제하여 수납 본체 상부(19)를 열고, 내부의 오물(D)을 취출한다.When the inside of the waste accommodating main body 13 is filled with the dirt D, the main body locking mechanism 25 is released to open the accommodating main body upper portion 19, and the internal dirt D is taken out.

도 12는 본체 로크 기구(25)의 해제 조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사용자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손에 의해 엄지손가락 이외의 4개의 손가락을 하방에서 수납 본체 상부 손잡이(22)에 걸고, 동시에 엄지손가락에 의해 그 근접 상방에 있는 본체 누름버튼(21)을 압입하여, 로크를 해제하면서, 수납 본체 상부 손잡이(22)를 들어올린다. 이에 의해, 수납 본체 상부(19)는 배면측으로 회동하고, 오물 수납 본체(13)가 열린다.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lease operation of the main body lock mechanism 25. As shown in Fig. 12, a user hangs four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from one side to the storage main body upper handle 22 by one hand, and at the same time, pushes the body pushbutton 21 near and upward by the thumb. The housing body upper handle 22 is lifted while being press-fitted to release the lock. As a result, the housing body upper portion 19 rotates to the back side, and the dirt storage body 13 is opened.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수납 본체 상부(19)가 완전히 회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방 단면도이다. 오물 수납 본체(13)의 내부에 저장되어 가득차게 된 오물(D)을 취출하여 폐기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우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 본체 상부(19)를 완전히 열어서 필름 커터(38)에 의해 필름(15)을 컷트한다. 뒤이어 필름(15)의 컷트면을 매여서 폐쇄하고, 오물 수납 본체(13)로부터 취출하여 오물을 폐기한다. 오물(D)을 취출한 후, 사용자는 수납 본체 상부(19)를 수납 본체 하부(17)에 씨운다. 누름버튼(21)은 누름버튼 받이구멍(32)에 계합하고, 수납 본체 상부(19)는 재차 로크된다.FIG. 1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housing body upper portion 19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rotated completely. In the case of taking out and discarding the waste D stored and filled inside the waste accommodating main body 13, the user first opens the upper portion 19 of the accommodating main body completely as shown in FIG. The film 15 is cut by the. Subsequently, the cut surface of the film 15 is tied and closed, and it is taken out from the waste storage main body 13, and waste is discarded. After taking out the dirt D, the user seeds the storage body upper portion 19 to the storage body lower portion 17. The push button 21 engages with the push button receiving hole 32, and the housing body upper portion 19 is locked again.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오물 처리 장치(11)는, 수납 본체 상부(19)를 열기 위해 로크를 해제하여 수납 본체 상부(19)를 회동시킴에 있어서, 성인의 한 손의 어느 한쪽의 손가락으로 수납 본체 상부 손잡이(22)를 지지하면서, 해당 한 손의 다른 손가락으로 본체 누름버튼(21)을 눌러서 로크를 해제할 수 있도록, 본체 누름버튼(21)이 수납 본체 상부 손잡이(22)의 근접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The waste disposal apparatus 1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releases a lock in order to open the storage main body upper part 19, and rotates the storage main body upper part 19, WHEREIN: The storage main body with one finger of an adult's one hand. While supporting the upper handle 22, the main body push button 21 is located above and near the storage main body upper handle 22 so that the lock can be released by pressing the main body push button 21 with the other finger of the corresponding hand. hav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4개의 손가락을 하방에서 수납 본체 상부 손잡이(22)에 걸고 그 4개의 손가락을 지점으로 하여 손을 쥔 때에, 나머지 엄지손가락이 인간 공학적으로 가장 자연스럽게 더듬는 궤도상에 본체 누름버튼(21)이 위치하고 있다.In more detail, when the four fingers are hooked down to the storage body upper handle 22 and the hands are held with the four fingers as a point, the body pushbuttons on the orbit where the remaining thumb is ergonomically most naturally follow ( 21) is located.

이것이, 로크를 해제하여 수납 본체 상부(19)를 회동시켜서 여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며 쾌적하게 한다. 즉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손을 쥐는 동작에 따라 로크를 한 손으로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is releases the lock and rotates the housing body upper portion 19 to make the opening work easier and more comfortable. In other words, it becomes possible to release the lock with one hand according to the user's natural grasping motion.

또한, 본체 로크 기구(25)를 해제하여 수납 본체 상부(19)를 열기 위해서는, 본체 누름버튼(21)을 수납 본체 상부(19)의 회동 방향과 개략 직교하는 내경 방향으로 압입하고, 또한 수납 본체 상부 손잡이(22)를 들어올려서 수납 본체 상부(19)를 회동시킬 것이 필요해진다.In addition, in order to release the main body lock mechanism 25 and open the storage main body 19, the main body push button 21 is press-fitted in the inner diameter direction which 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torage main body 19, and furthermore, the storage main body. It is necessary to lift the upper handle 22 to rotate the housing body upper portion 19.

이와 같이, 2개의 다른 방향으로의 동작을 필요로 하는 것이, 열려고 하는 의사와 지혜를 갖지 않는 유아가 수납 본체 상부(19)를 여는 것을 극히 곤란하게 한다. 따라서 유아가 잘못하여 수납 본체 상부(19)를 열고, 필름(15)을 컷트하기 위한 필름 커터(38)를 만저서 상처를 입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us, requiring the oper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makes it extremely difficult for an infant who does not have the willingness to open and wisdom to open the upper portion 19 of the housing bod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ant from accidentally touching the film cutter 38 for cutting the film 15 by accidentally open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body 19.

이에 대해, 성인이 열려고 하는 의사를 갖고 조작을 하면, 한 손으로 간단히 로크를 해제하여 수납 본체 상부(19)를 여는 것이 가능하고, 오물 수납 본체(13)의 내부에 저장된 오물을 폐기하는 경우에 있어서 취급이 용이하다.On the other hand, if an adult intends to operate with the intention to open, it is possible to simply unlock with one hand and open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main body 19, and in the case of discarding the dirt stored in the waste accommodating main body 13, It is easy to handle.

다음에 덮개(23)의 덮개열기 조작에 관해 설명한다.Next, the lid opening operation of the lid 23 will be described.

덮개(23)는, 그 배면측 단부가 수납 본체 상부(19)의 상단부에 덮개 힌지(30)로 추착되어 있고, 덮개(23)는 덮개 힌지(30)를 지점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 덮개(23)가 회동하여 덮개가 열리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물 투입구(16)가 외계를 향하여 개방된다.The lid 23 has a rear end thereof pushed away by the lid hinge 30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portion 19 of the housing body, and the lid 23 can be freely rotated using the lid hinge 30 as a point. When the cover 23 is rotated and the cover is opened, the dirt inlet 16 is opened toward the outside as shown in FIG. 1.

도 9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물 처리 장치(11)는, 덮개(23)가 오물 투입구(16)를 덮은 상태, 즉 덮개(23)가 덮개닫기 상태에서, 덮개(23)의 회동을 로크하는 덮개 로크 기구(24)와,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덮개 로크 해제 기구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9 and FIG. 11,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11 is rotated of the lid 23 in a state where the lid 23 covers the dirt inlet 16, that is, the lid 23 is closed. And a lid lock mechanism 24 for locking the lid, and a lid lock release mechanism for releasing the lock.

덮개 로크 기구(24)는, 덮개 누름버튼(20)과, 수납 본체 상부(19)에 마련된 덮개 누름버튼 받이부(36)를 갖는다. 덮개 누름버튼(20)은 덮개(23)의 앞면 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덮개 누름버튼(20)의 하단에는, 덮개 누름버튼 훅(20h)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 누름버튼 훅(20h)은 덮개 누름버튼(20)과 일체가 되어 움직인다.The lid lock mechanism 24 has a lid pushbutton 20 and a lid pushbutton receiving portion 36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19 of the housing body. The cover push button 20 is provided below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23. The lid pushbutton hook 20h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lid pushbutton 20. The cover push button hook 20h moves integrally with the cover push button 20.

덮개 누름버튼 받이부(36)는 수납 본체 상부(19)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덮개(23)가 덮개닫기 상태에서, 덮개 누름버튼 받이부(36)는 덮개 누름버튼 훅(20h)과 계합한다.The cover pushbutton receiving portion 36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19. With the lid 23 closed, the lid pushbutton receiving portion 36 engages with the lid pushbutton hook 20h.

덮개 로크 해제 기구는,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인 덮개 누름버튼(20)과, 로크를 해제한 후 덮개(23)를 회동하여 덮개를 열기 위해 손을 거는 개방 조작부를 포함한다.The cover lock release mechanism includes a cover push button 20 that is an operation unit for releasing the lock, and an opening operation unit that releases the hand to open the cover by rotating the cover 23 after releasing the lock.

개방 조작부로서, 덮개(23)는 해당 덮개(23)의 앞면측에 덮개 손잡이(18)를 갖는다. 덮개 손잡이(18)는 덮개 누름버튼(20)의 근접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As the opening operation portion, the lid 23 has a lid handle 18 on the front side of the lid 23. The cover handle 18 is disposed above and adjacent to the cover push button 20.

오물 투입구(16)에 오물을 투입할 때, 사용자는 덮개 로크 기구(24)를 해제하여 덮개(23)를 연다. 도 14는 덮개 로크 기구(24)의 해제 조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When the waste is injected into the waste inlet 16, the user releases the lid lock mechanism 24 to open the lid 23.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lease operation of the lid lock mechanism 24.

사용자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손에 의해, 엄지손가락 이외의 4개의 손가락을 상방에서 덮개 손잡이(18)에 걸고, 덮개 누름버튼(20)을 엄지손가락에 의해 압입하면, 덮개 누름버튼 훅(20h)이 함께 누름 방향으로 이동하여 덮개 누름버튼 받이부(36)와의 계합이 벗겨저서, 덮개 로크 기구(24)의 로크가 해제된다. 사용자는 해당 엄지손가락 이외의 4개의 손가락을 덮개 손잡이(18)에 걸고, 해당 엄지손가락에 덮개 누름버튼(20)을 눌러서 로크를 해제하면서, 덮개 손잡이(18)를 들어올린다. 이에 의해, 덮개(23)는 배면측으로 회동하고, 오물 투입구(16)가 열린다.As shown in Fig. 14, when a user presses four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on the cover handle 18 from above by one hand and presses the cover push button 20 with the thumb, the cover pushbutton hook is pressed. 20h moves together in the pushing direction and the engagement with the lid pushbutton receiving portion 36 is peeled off, so that the lock of the lid locking mechanism 24 is released. The user hooks four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onto the cover handle 18 and lifts the cover handle 18 while pressing the cover pushbutton 20 on the thumb to release the lock. Thereby, the cover 23 rotates to the back side, and the waste inlet 16 opens.

오물 투입구(16)에 오물을 투입한 후, 사용자는 덮개(23)를 덮개닫기한다. 덮개 누름버튼 훅(20h)은 원위치로 복귀하여 덮개 누름버튼 받이부(36)와 재차 계합하고, 덮개 로크 기구(24)는 로크된다.After the waste is injected into the waste inlet 16, the user closes the cover 23. The lid pushbutton hook 20h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engages with the lid pushbutton receiving portion 36 again, and the lid lock mechanism 24 is locked.

덮개 로크 기구(24)는, 덮개 누름버튼(20)이 압입되어 있는 동안만, 덮개 누름버튼 훅(20h)과 덮개 누름버튼 받이부(36)와의 계합이 해제된다. 즉, 사용자가 덮개 누름버튼(20)으로부터 엄지손가락을 떼면, 덮개 로크 기구(24)는 재차 로크 상태가 된다.Only while the lid push button 20 is press-fitted, the lid lock mechanism 24 releases the engagement between the lid push button hook 20h and the lid push button receiving portion 36. That is, when the user releases the thumb from the cover push button 20, the cover lock mechanism 24 is locked again.

따라서, 덮개 로크 기구(24)를 해제하여 덮개(23)를 덮개열기하기 위해서는, 덮개 누름버튼(20)을 덮개(23)의 회동 방향과 개략 직교하는 내경 방향으로 압입하고, 또한 덮개 손잡이(18)를 들어올려서 덮개(23)를 회동시킬 것이 필요해진다. 이것이, 열려고 하는 의사와 지혜를 갖지 않는 유아가 덮개(23)를 덮개열기하는 것을 극히 곤란하게 한다. 이에 의해, 유아가 잘못하여 덮개(23)를 덮개열기하여, 속에 손을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release the lid lock mechanism 24 and open the lid 23, the lid push button 20 is press-fitted in the inner diameter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lid 23, and the lid knob 18 ), It is necessary to rotate the cover 23. This makes it extremely difficult for an infant who does not have the willingness to open and the cover 23 to open the lid 23.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ant from accidentally opening the lid 23 and putting his hand in it.

그러나 성인이 열려고 하는 의사를 갖고 조작을 하면, 한 손으로 간단히 로크를 해제하여 덮개(23)를 덮개열기하는 것이 가능하고, 오물 투입구(16)에 오물을 폐기하는 경우에 있어서 취급이 용이하다.However, when an adult intends to operate with the intention of opening, it is possible to simply open the cover 23 by simply releasing the lock with one hand, and handling is easy when the waste is disposed in the waste inlet 16.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손에 의해 엄지손가락 이외의 4개의 손가락을 상방에서 덮개 손잡이(18)에 걸고, 동시에 엄지손가락에 의해 덮개 손잡이(18)의 근접 하방에 있는 덮개 누름버튼(20)을 압입할 수 있다. 즉 조작하는 사람이 자연스럽게 손을 쥐는 동작에 따라 로크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4, the user places four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on the cover handle 18 from above by one hand, and at the same time, the cover handle 18 is closed by the thumb. It is possible to press the cover pushbutton 20 which is in close proximity. In other words, it becomes possible to release the lock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an naturally holding the hand.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4개의 손가락을 상방에서 덮개 손잡이(18)에 걸어서 그 4개의 손가락을 지점으로 하여 손을 쥔 때에, 나머지 엄지손가락이 인간 공학적으로 가장 자연스럽게 더듬는 궤도상에 덮개 누름버튼(20)이 위치하고 있다. 이것이, 로크를 해제하여 덮개(23)를 회동시켜서 덮개열기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며 쾌적하게 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four fingers are hooked up to the cover handle 18 from above and the hands are held with the four fingers as points, the cover pushbutton 20 is placed on the track where the other thumb is ergonomically most naturally followed. Is located. This releases the lock and rotates the lid 23 to make the lid opening easier and more comfortable.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오물 처리 장치(41)에 관해 도 15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오물 처리 장치(41)에 있어서, 밀폐용 문(53)의 폐문시의 측방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오물 처리 장치(41)에 있어서, 밀폐용 문(53)의 개문시의 측방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하는 밀폐 기구(48)를 하방 경사 방향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 부재에 관해서는, 도 1 내지 도 14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using FIGS. FIG. 15: shows the sectional side view at the time of the closing door 53 of the sealing door 53 in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16: shows the side cross section at the time of the opening of the sealing door 53 in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17: shows the perspective view which looked at the sealing mechanism 48 shown in FIG. 16 from the downward diagonal direction.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bout the structural member similar to embodiment described using FIGS. 1-14, the same code | symbol as FIG. 1-14 is abbreviate | omitted and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오물 처리 장치(41)는, 오물(D)이 투입되는 오물 투입구(16)와, 오물 투입구(16)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 하단이 매듭(26)에 의해 닫혀져 있는 원통형의 필름(15)과, 오물 투입구(16)로부터 투입된 오물(D)을 필름(15)과 함께 받아들이는 오물 수납 본체(43)과, 상방에서 오물 투입구(16)에 덮이는 덮개(23)를 구비한다.15 to 17,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extends downwardly from the waste inlet 16 to which the waste D is introduced and the waste inlet 16,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closed by the knot 26. Cylindrical film 15, a dirt storage main body 43 for receiving the dirt D introduced from the dirt inlet 16 together with the film 15, and a lid 23 covering the dirt inlet 16 from above. ).

오물 수납 본체(43)는, 필름(15)의 내부에 폐기된 오물(D)을 저장하는 중공의 용기이고, 수납 본체 하부(47)와 수납 본체 상부(49)로 분할되어 있다. 수납 본체 하부(47)는, 하단측에 저부(47b)를 갖는다. 그리고, 저부(47b)의 전방측에서, 사면부(42)가, 마련되어 있다. 사면부(42)는, 전방측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연직 방향 높이가 강하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저부(47b)에 마련되어 있다. 수납 본체 하부(47)의 상단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 본체 상부(49)는, 하단측으로 수납 본체 하부(47)의 상단의 개구부를 덮고 있다. 그리고, 수납 본체 상부(49)의 상단부에, 오물 투입구(16)가 형성되어 있다.The waste storage body 43 is a hollow container for storing the waste D disposed inside the film 15, and is divided into a storage body lower portion 47 and a storage body upper portion 49. The storage main body lower part 47 has the bottom part 47b in the lower end side. And the slope part 42 is provided i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art 47b. The slope part 42 is provided in the bottom part 47b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in which the vertical height may fall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may be formed. An opening part is formed in the upper end side of the storage main body lower part 47. The housing body upper part 49 covers the opening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body lower part 47 to the lower end side. And the waste inlet port 16 is formed in the upper end part of the accommodating main body 49. As shown in FIG.

수납 본체 상부(49)의 상단 후방부에서, 통형상 기둥부(44)가 마련되어 있다. 통형상 기둥부(44)는, 수납 본체 상부(49)의 상단부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늘어나는 중공의 기둥부이다. 그리고, 통형상 기둥부(44)의 하단부에, 전술한 필름 커터(38)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상 기둥부(44)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필름 커터(38)의 연직 방향 높이의 위치가, 본체 힌지(31)과 동등 또는 본체 힌지(31)보다 하방이 되도록, 통형상 기둥부(44)의 연직 방향 길이가 설정된다. 이 구성에 관해 이하에 간단히 설명한다.At the upper end rear part of the storage main body upper part 49, the cylindrical pillar part 44 is provided. The cylindrical pillar portion 44 is a hollow pillar portion that extends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housing body upper portion 49. And the film cutter 38 mentioned above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part of the cylindrical columnar part 44. As shown in FIG. Here, as shown in FIGS. 15-16,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height of the film cutter 38 attached to the lower end part of the cylindrical pillar part 44 is equivalent to the main body hinge 31, or a main body hinge ( The vertical direction length of the cylindrical columnar part 44 is set so that it may become below 31). This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below.

전술한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오물 수납 본체(43)의 내부에 저장되어 가득차게 된 오물(D)을 폐기하는 경우, 사용자는, 우선 수납 본체 상부(49)를 완전히 열고, 오물 처리 장치(41)을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태로 한다. 그리고, 필름 커터(38)에 의해 필름(15)을 컷트한다. 여기서, 통형상 기둥부(44)의 연직 방향 길이가 상기한 길이에 못 미치는 경우, 수납 본체 상부(49)를 연 상태에서, 필름 커터(38)가, 수납 본체 상부(49)의 내부의 공간 내에 수납되어 버리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필름(15)을 컷트하는 작업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수납 본체 상부(49)를 연 상태에서, 필름 커터(38)의 위치가 수납 본체 상부(49)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통형상 기둥부(44)의 연직 방향 길이가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된다. 또한, 수납 본체 하부(47) 및 수납 본체 상부(49)에 관해, 사면부(42) 및 통형상 기둥부(44)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discarding the dirt D stored and filled in the dirt storage main body 43, the user first opens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main body 49 completely, and processes the dirt. The device 41 is in a state as shown in FIG. Then, the film 15 is cut by the film cutter 38. Here, when the vertical direction length of the cylindrical columnar part 44 does not reach the said length, the space inside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main body 49 by the film cutter 38 with the accommodating main body 49 open. It is stored inside. As a result, the user becomes difficult to cut the film 15. Accordingly, in the state where the housing body upper part 49 is opened, the vertical length of the cylindrical columnar portion 44 is set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ilm cutter 38 projects out of the housing body upper part 49. . In addition, about the storage main body lower part 47 and the storage main body upper part 49, the structure other than the slope part 42 and the cylindrical columnar part 44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mentioned above.

수납 본체 상부(49)의 내부에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오물 투입구(16)와 저장된 오물(D)과의 사이에서 필름(15)을 끼워넣어 차단하는 개폐식의 밀폐 기구(48)가 마련되어 있다. 밀폐 기구(48)는, 수납 본체 상부(49)의 상방에 마련된 필름 부착부(12)의 하방에 연결하는 밀폐용 문 받이부(55)와, 밀폐용 문 받이부(55)의 하방에 위치하고, 밀폐용 문 받이부(55)와 계합함에 의해 필름 끼워넣는 부분을 형성하는 밀폐용 문(53)을 갖는다. 밀폐용 문 받이부(55)는, 필름 부착부(12)의 하방에서 후술하는 관형상 심부(57)의 내경면에 따르도록 마련된 고리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밀폐용 문(53)은, 밀폐용 문 받이부(55)의 중심 구멍보다도 큰 판형상 부재이고, 밀폐용 문 받이부(55)의 중심 구멍을 하방에서 덮고 있다.Inside the storage body upper part 49, like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opening-closing sealing mechanism 48 which interposes and blocks the film 15 between the waste inlet 16 and the stored dirt D is provided. have. The sealing mechanism 48 is located below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connected below the film attachment part 12 provided above the accommodating main body upper part 49. And a sealing door 53 for forming a film-inserting portion by engaging with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is an annular member provided so as to conform to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tubular core part 57 mentioned later below the film attachment part 12.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sealing door 53 is a plate-shaped member larger than the center hole of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and covers the center hole of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from below.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밀폐용 문(53)은, 전단부에 밀폐용 문 받이부(55)와의 필름 끼워넣는 부분이 형성되고, 후단부에서 밀폐 기구 힌지(45)를 지점으로 하여 밀폐용 문 받이부(55)에 추지되어 있다. 즉, 밀폐용 문(53)의 개폐 동작이, 회동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폐용 문(53)은, 폐문한 상태에서 밀폐용 문 받이부(55)와 계합하여 필름(15)을 끼워넣는다.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이에 의해 냄새를 전달하는 요인이 되는 잔류 통풍 경로가, 차단된다. 밀폐용 문(53)과 밀폐용 문 받이부(55)에 의해 형성되는 필름 끼워넣는 부분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ealing door 53 is formed in the front end with the film insertion part with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The sealing door receiving is made with the sealing mechanism hinge 45 as a point in a rear end part. It is held in the part 55. That is,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 movement of the sealing door 53 is implement | achieved by rotation. As shown in FIG. 15, the sealing door 53 engages with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in the closed state, and inserts the film 15 in i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residual ventilation path which becomes a factor for transmitting odor is thereby blocked. The film insertion part formed by the sealing door 5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is demonstrated below.

밀폐용 문(53) 및 밀폐용 문 받이부(55)의 필름 끼워넣는 부분은, 계단형상의 요철 형상을 포함하고, 밀폐용 문(53)은, 폐문 위치에서 밀폐용 문 받이부(55)와 계합한다. 구체적으로는, 밀폐용 문(53)의 필름 끼워넣는 부분에, 필름(15)과 맏닿는 끼워넣는 면(53c)이, 형성된다. 한편 밀폐용 문 받이부(55)의 필름 끼워넣는 부분에는, 필름(15)과 맏닿는 끼워넣는 면(55c)이, 형성된다.The film-entry part of the sealing door 5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contains the step-shaped uneven | corrugated shape, The sealing door 53 is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in a closed door position. Engage with. Specifically, the insertion surface 53c which contacts the film 15 first is formed in the film insertion part of the door 53 for sealing. On the other hand, in the film-insertion part of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the insertion surface 55c which contacts the film 15 is formed.

밀폐용 문(53)에 형성되는 끼워넣는 면(53c)은, 밀폐용 문(53)의 윗면의 전단 영역에 상당하는 면(53c1)과, 면(53c1)의 전단에서 면(53c1)과 개략 직각으로 접속하여 하방으로 늘어나고, 밀폐용 문(53)의 전단부 전폭에 걸쳐서 원호면을 형성하는 면(53c2)과, 면(53c2)의 하단에서 면(53c2)과 개략 직각으로 접속하여 전방측으로 늘어나고, 면(53c2)과 개략 직각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면(53c3)으로 구성된다.If embedding formed in the sealing door 53 for (53c) is a surface at the front end of the surface (53c 1) and a surface (53c 1)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door 53 for (53c 1 ) and by connecting a schematic perpendicular side (53c in the lower end of the face (53c 2) and a surface (53c 2) forming a circular arc across the front end width of the door 53 for increasing downward, closed 2) and the outline connected at a right angle increases toward the front side, it consists of a surface (53c 2) and edge surfaces (53c3) forming the outline of a right angle.

또한, 밀폐용 문 받이부(55)에 형성되는 끼워넣는 면(55c)은, 필름 끼워넣는 부분의 상단에서 축선(O)과 개략 직교하도록 마련되고, 폐문시에 면(53c1)과 개략 평행이 되는 면(55c1)과, 면(55c1)의 전단에서 면(55c1)과 개략 직각으로 접속하여 하방으로 늘어나고, 폐문시에 면(53c2)과 개략 평행이 되는 원호면을 형성하는 면(55c2)과, 면(55c2)의 하단에서 면(55c2)과 개략 직각으로 접속하여 전방측으로 늘어나고, 폐문시에 면(53c3)과 개략 평행이 되는 면(55c3)으로 구성된다.Moreover, the insertion surface 55c formed in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is provided so that it may becom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axis O in the upper end of the film insertion part, and is substantially parallel with the surface 53c 1 at the time of closing. The surface 55c 1 to be connected to the surface 55c 1 at the front end of the surface 55c 1 at an approximately right angle, and extends downward to form an arc surface parallel to the surface 53c 2 at the closing time. consists of a surface (55c 2) and a side surface connected to the surface (55c 2) and a schematic right angle from the bottom of (55c 2) increasing toward the front side, that is with the side (53c 3) and a schematic parallel when CLOSING (55c 3) do.

밀폐 기구(48)는, 밀폐용 문(53)을 닫힘방향을 향하여 가세하는 스프링(69)과, 스프링(69)을 덮는 스프링 커버(46)를 또한 갖는다. 스프링(69)은, 연재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1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이고, 스프링(69)의 양단이, 밀폐용 문 받이부(55)의 좌우 양측연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69)의 중앙 영역이, 밀폐용 문(53)의 하면에 마련된 스프링 가이드(63)에 수용되어 있다. 스프링 가이드(63)는, 밀폐용 문(53)의 하면에 형성된 홈이다. 또한, 스프링 가이드(63)는, 밀폐용 문(53)의 하면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서, 좌우 방향에 따라 밀폐용 문(53)의 하면의 전폭에 걸쳐서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있다.The sealing mechanism 48 further has a spring 69 for adding the sealing door 53 in the closing direction and a spring cover 46 covering the spring 69. The spring 69 is one tension coil spring that can be stretched and extend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spring 69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And the center area | region of the spring 69 is accommodated in the spring guide 63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door 53. As shown in FIG. The spring guide 63 is a groov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door 53. Moreover, the spring guide 63 is provided so that it may be connected over the full wid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door 53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center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door 53.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69)이, 1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스프링(69)의 중앙 영역이, 밀폐용 문(53)의 하면에 마련된 스프링 가이드(63)에 수용되도록 밀폐용 문(53)의 하면에 팽팽하게 걸쳐저 있다. 이에 의해, 밀폐용 문(53)은, 스프링(69)에 의해 좌우 개략 균등하게 안정하게 가세된다. 이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Thus, in this embodiment, the spring 69 is comprised by the one tension coil spring, and the center part of the spring 69 is provided in the spring guide 63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door 53. As shown in FIG. Tightly hang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door 53 so that it may be accommodated in. Thereby, the door 53 for sealing is stably stably uniformly right and left by the spring 69. As shown in FIG.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스프링(69)은, 보통상태에서, 스프링(69)의 양단이 연결하고 있는 밀폐용 문 받이부(55)의 좌우 양측연를 지점으로 하여, 밀폐용 문(53)의 하면 중앙부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전폭에 걸치는 영역을 역점으로 하여 밀폐용 문(53)을 닫힘방향을 향하여 가세한다. 여기서, 스프링(69)은, 1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69)은, 밀폐용 문(53)의 하면에, 좌우 대칭이 되는 개략 균등한 탄성력을 부하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69)은, 스프링 가이드(63)에 계지되어 있기 때문에, 밀폐용 문(53)의 하면의 소정의 위치에 안정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들의 구성에 의해, 밀폐용 문(53)은, 밀폐용 문 받이부(55)를 향하여 좌우 개략 균등하게 안정하게 가세된다. 즉, 밀폐용 문(53)의 폐문시에 있어서, 밀폐용 문(53)과 밀폐용 문 받이부(55)에 의해 필름(15)을 끼워넣는 압접력(壓接力)의 분포는, 개략 균등하게 된다.In the normal state, the spring 69 has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to which both ends of the spring 69 are connected as a point,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door 53. The sealing door 53 is added to the closing direction by making the area | region which spans the full width into emphasis. Here, the spring 69 is comprised by one tension coil spring. Therefore, the spring 69 loads the approximately equal elastic force which becomes symmetrica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53 for sealing. Moreover, since the spring 69 is latched by the spring guide 63, it is stably fix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door 53. As shown in FIG. By these structures, the sealing door 53 is stably stably equally applied left and right towar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That is, at the time of the closing of the sealing door 53, the distribution of the pressure contact force which sandwiches the film 15 by the sealing door 5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is roughly equal. Done.

밀폐 기구(48)에는, 좌우 2개의 스프링 커버(46)가, 부착되어 있다. 스프링 커버(46)는, 밀폐용 문(53)으로부터 밀폐용 문 받이부(55)까지 늘어나는 단면 C자형상 부재이고, 스프링(69)의 양측부를 수용한다. 스프링 커버(46)의 상단은, 스프링(69)과 밀폐용 문 받이부(55)와의 연결부 부근에 마련된 힌지(50)를 지점으로 하여, 밀폐용 문 받이부(55)에 추지되어 있다. 스프링 커버(46)에는, 밀폐용 문(53)와 대향하는 측면에, 해당 측면으로부터 스프링 커버(46)의 안쪽으로 패여진 홈형상 오목부(51)가 마련되어 있다. 홈형상 오목부(51)는, 스프링 커버(46)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서 연재되는 홈이다. 홈형상 오목부(51)는, 밀폐용 문(53)의 측연을 향하여 개구한다. 홈의 양측벽에는, 레일형상의 폴부(56)가 마련되어 있다. 폴부(56)는, 스프링 커버(46)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재된다. 폴부(56)는, 밀폐용 문(53)의 측연 중앙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마련된 갈고리부(鉤部)(도시 생략)와 계합하여 있다.The left and right two spring covers 46 are attached to the sealing mechanism 48. The spring cover 46 is a cross-sectional C-shaped member that extends from the sealing door 53 to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and accommodates both sides of the spring 69. The upper end of the spring cover 46 is gripped by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with the hinge 50 provided near the connection part of the spring 69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as a point. The spring cover 46 is provided with a groove-shaped recess 51 which is recessed inwardly of the spring cover 46 from the side surface facing the sealing door 53. The groove-shaped recess 51 is a groov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spring cover 46. The groove-shaped recess 51 opens toward the side edge of the door 53 for sealing. Rail-shaped pole portions 56 are provided on both side walls of the grooves. The pawl portion 56 extends from the upper end portion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pring cover 46. The pawl portion 56 engages with a hook portion (not shown) provided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ide edge center portion of the sealing door 53.

여기서, 폴부(56)와 밀폐용 문(53)의 갈고리부는, 서로 스프링 커버(46)의 연재 방향에 따라 상대 활주 가능하게 계합하여 있다. 이에 의해, 밀폐용 문(53)이 개폐 동작을 한 경우, 밀폐용 문(53)이 스프링 커버(46)의 연재 방향에 따라 활주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커버(46)는, 밀폐용 문 받이부(55)에 추지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 커버(46)는, 밀폐용 문(53)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밀폐용 문(53)과 스프링 커버(46)와의 계합부가 더듬는 원호형상의 궤적을 추종하도록 원활히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커버(46)는, 스프링 커버(46)에 마련된 홈형상 오목부(51)에 스프링(69)을 내포하도록, 밀폐용 문(53) 및 밀폐용 문 받이부(55)의 좌우 측연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구성에 의해, 스프링(69)은, 밀폐용 문(53)의 개폐 동작에 관계없이, 항상 홈형상 오목부(51)에 수용되게 된다.Here, the hook portions of the pawl portion 56 and the closing door 53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as to be able to slide relative to each other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pring cover 46. As a result, when the closing door 53 opens and closes, the closing door 53 slide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pring cover 46.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spring cover 46 is held by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Therefore, the spring cover 46 can be smoothly rotated to follow the arc-shaped trajectory of the engaging part of the sealing door 53 and the spring cover 46 with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sealing door 53. In addition, the spring cover 46 has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sealing door 5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so as to include the spring 69 in the groove-shaped recess 51 provided in the spring cover 46. Are arranged in each. By these structures, the spring 69 is always accommodated in the groove-shaped recess 51 regardless of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53 for sealing.

다음에, 도 15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오물 처리 장치(41)의 내부에 오물(D)을 폐기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오물을 폐기하는 경우, 사용자는, 우선 덮개(23)를 열고, 오물 투입구(16)로부터 필름(15)의 내부에 오물(D)을 투입한다. 그리고, 오물 투입구(16) 내에 손을 넣어, 필름(15)을 오물(D)과 함께 압하하여 밀폐용 문(53)을 하방을 향하여 밀어 연다. 그러면, 밀폐용 문(53)이, 밀폐 기구 힌지(45)를 지점으로 하여 도 16중의 화살표(A)로 도시하는 원호 궤도를 더듬도록 회동하고, 밀폐용 문(53)이 개문한다. 사용자에 의해 하방으로 압입된 오물(D)은, 필름(15)과 함께 개문된 밀폐용 문(53)과 밀폐용 문 받이부(55)의 사이를 통과한다. 밀폐용 문(53) 및 밀폐용 문 받이부(55)를 통과한 오물(D)은, 도 16중의 화살표(B)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름(15)을 따라 이동하여 하방에 낙하하고, 수납 본체 하부(47)의 내부에 축적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15-17, the method of discarding the dirt D in the inside of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hen the waste is discarded, the user first opens the lid 23 and injects the waste D into the inside of the film 15 from the waste inlet 16. And a hand is put in the waste inlet 16, the film 15 is pressed down with the dirt D, and the sealing door 53 is pushed downward and opened. Then, the sealing door 53 rotates so that the arcuate track shown by the arrow A of FIG. 16 can be traced, with the sealing mechanism hinge 45 as a point, and the sealing door 53 will open. The dirt D indented downward by the user passes between the sealing door 5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opened together with the film 15. The dirt D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sealing door 5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moves along the film 15 and falls below, as shown by arrow B in FIG. Accumulated inside the lower body 47.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 본체 하부(47)의 저부(47b)의 전방측에서, 사면부(42)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본체 하부(47)의 내부에 오물(D)이 폐기되면, 폐기된 오물(D)의 낙하 위치에 상당하는 영역에 마련된 사면부(42)에 의해, 도 16중의 화살표(C)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물(D)이, 수납 본체 하부(47)의 후방측을 향하여 미끄러져 떨어진다. 이에 의해, 폐기된 오물(D)이, 수납 본체 하부(47)의 전방 영역에 집중하는 것을 막고, 오물(D)을 수납 본체 하부(47)의 내부에 구석구석까지 축적시킬 수 있다.Here, as mentioned above, the slope part 42 is provided i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art 47b of the storage main lower part 47. As shown in FIG. Therefore, as shown in FIG. 16, when the dirt D is discard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main body 47, the slope part 42 provided in the area | region corresponded to the fall position of the discarded dirt D is shown in FIG. As shown by the arrow C, the dirt D slips toward the rear side of the storage body lower part 47. Thereby, the waste | cleaned waste 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centrated in the front area | region of the storage main body lower part 47, and it can accumulate the dirt D to every corner in the inside of the storage main body lower part 47.

오물(D)을 수납 본체 하부(47)의 내부에 폐기한 후, 사용자는, 오물 투입구(16)로부터 손을 뺀다. 그러면, 밀폐용 문(53)이 곧바로 폐문하여 필름(15)을 끼워넣는다. 밀폐용 문(53) 및 밀폐용 문 받이부(55)에 의해 끼워넣어진 필름(15)은, 전술한 도 6과 마찬가지로, 필름 끼워넣는 부분에 형성된 2개소의 모서리부에서 개략 직각으로 굴곡된다. 즉, 필름 끼워넣는 부분의 상단부터 하단까지를 잇는 가상 직선이, 필름 끼워넣는 부분에서 개략 수평 방향으로 굴곡된다. 이에 의해, 냄새의 전달하는 요인이 되는 잔류 통풍 경로가 직각으로 차단되어, 냄새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After discarding the dirt D inside the housing body lower portion 47, the user removes the hand from the dirt inlet 16. Then, the sealing door 53 is immediately closed and the film 15 is inserted. The film 15 sandwiched by the sealing door 5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is bent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at two corner portions formed in the film sandwiching portion as in FIG. 6 described above. . That is, the virtual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a film insertion part is bent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in a film insertion part. Thereby, the residual ventilation path | route which becomes a factor which delivers an odor is cut | disconnected at right angle, and it can block the delivery of an odor effectively.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오물 처리 장치(41)에서는, 밀폐용 문(53)의 개폐 동작이, 밀폐 기구 힌지(45)를 지점으로 한 회동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오물(D)을 오물 수납 본체(43)의 내부에 밀어넣는 경우에, 용이하게 밀폐용 문(53)을 개문시킬 수 있기 때문에, 폐기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Moreover, in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 movement of the sealing door 53 is implement | achieved by the rotation which made the sealing mechanism hinge 45 the point. Therefore, when a user pushes the waste D into the inside of the waste storage main body 43, since the sealing door 53 can be opened easily, a waste disposal operation becomes easier.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오물 처리 장치(41)에 구비되어 있는 밀폐 기구(4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69)을 덮는 스프링 커버(46)를 또한 갖는다. 그리고, 스프링(69)은, 밀폐용 문(53)의 개폐 동작에 관계없이, 스프링 커버(46)에 마련된 홈형상 오목부(51)에 항상 수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오물 폐기를 위해 밀폐용 문(53)을 개폐시킨 경우에 있어서, 필름(15)이 밀폐용 문(53)의 좌우 양측면에 배치된 스프링(69)에 말려들어가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커버(46)에 의해, 수용되어 있는 스프링(69)의 양측부가, 홈형상 오목부(51)의 내부에 항상 위치하도록 가이드된다. 이에 의해, 밀폐용 문(53)의 하면에 전술한 스프링 가이드(63)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에도, 스프링(69)이 밀폐용 문(53)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mechanism 48 provided in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also has the spring cover 46 which covers the spring 69 as mentioned above. And the spring 69 is always accommodated in the groove-shaped recessed part 51 provided in the spring cover 46 regardless of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 movement of the sealing door 53. As shown in FIG. By this structure, when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sealing door 53 for waste disposal, the film 15 is rolled up by the springs 69 which are arrang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ling door 53 and are damaged.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spring cover 46 is guided so that both sides of the spring 69 accommodated are always located inside the groove-shaped recess 51. Thereby, even if the spring guide 63 mentioned above is not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door 53, the spring 69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ut from the sealing door 53. FIG.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밀폐용 문(53) 및 밀폐용 문 받이부(55)의 필름 끼워넣는 부분에 상당하는 끼워넣는 면(53c) 및 끼워넣는 면(55c)이, 서로 개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평면 및 원호면으로 구성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각 면이 서로 예각 또는 둔각 등의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끼워넣는 면(53c) 및 끼워넣는 면(55c)을 형성하는 면이, 복수의 평면, 또는 복수의 곡면, 또는 평면 및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면을 갖도록, 밀폐용 문(53) 및 밀폐용 문 받이부(55)가 구성되어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tting surface 53c and the fitting surface 55c which correspond to the film insertion part of the sealing door 5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cross each other at roughly right angles. Although the case comprised by the flat surface and circular arc surface was demonstrated,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each surface may mutually intersect at predetermined angles, such as an acute angle or an obtuse angle. Moreover, the sealing door 53 and the sealing door so that the surface which forms the insertion surface 53c and the insertion surface 55c have a surface which consists of a some plane, or a some curved surface, or a plane and a curved surface. The receiving part 55 may be compris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밀폐용 문(53)을 닫힘방향을 향하여 가세하는 탄성 부재를 1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인 스프링(69)에 의해 구성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어떤 종류의 스프링을 이용하여도 좋고, 복수개의 스프링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탄성 부재로서 고무계 재료 또는 수지계 재료 또는 그들을 혼합시킨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밀폐용 문(53) 및 밀폐용 문 받이부(55)에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을 조립함에 의해, 자력을 이용하여 밀폐용 문(53)을 닫힘방향을 향하여 가세하여도 좋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elastic member which adds the sealing door 53 toward the closing direction was comprised by the spring 69 which is one tension coil spring, it is not limited to this, What kind of spring is used.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springs may be used. As the elastic member, a rubber material, a resin material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In addition, by assembling a permanent magnet or an electromagnet into the sealing door 53 and the sealing door receiving part 55, the sealing door 53 may be added in the closing direction by using magnetic force.

다음에, 도 18 내지 도 2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오물 처리 장치(41)에 이용되는 필름 수납 카세트(54)에 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하는 필름 수납 카세트(54)로부터 필름(15)을 제외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상태의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측방에서 본 측방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한 상태의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관형상 심부(57)의 축선(O)의 윗방향에서 본 상면도를 도시한다.Next,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used for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concerning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using FIGS.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m storage cassette 5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m 15 is removed from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shown in FIG. 18. FIG. 20: is the side view which looked at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of the state shown in FIG. 19 from the side. FIG. 21: shows the top view which looked at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of the state shown in FIG. 19 from the upper direction of the axis O of the tubular core part 57. As shown in FIG.

오물 처리 장치(41)는, 오물 투입구(16)를 형성함과 함께 필름(15)을 수납하는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구비한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필름 수납부에 상당하는 필름 수납 카세트(54)는, 오물 투입구(16)를 구획하는 원통형상의 관형상 심부(57)와, 관형상 심부(57)의 하단부에서 외경 방향(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나오는 관형상 심부 플랜지(하플랜지)(57f)와, 관형상 심부(57)의 상단부에서 외경 방향에 연장하여 나오는 필름 누름 플랜지(상플랜지)(59)를 갖는다.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is provided with the film accommodation cassette 54 which accommodates the film 15 while forming the waste inlet 16. As shown in FIG.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corresponding to the film storage portion has a cylindrical tubular core portion 57 that divides the waste inlet 16 and an outer diameter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core portion 57). It has a tubular core flange (lower flange) 57f extending outwardly in the radial direction) and a film pressing flange 59 (upper flange) 59 extending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tubular core 57.

필름(15)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형상 심부(57)의 상단에 위치하는 필름 누름 플랜지(59)와, 관형상 심부(57)의 하단에 위치하는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에 의해, 관형상 심부(57)의 축방향 상단과 축방향 하단 사이의 공간에 주름상자형상으로 절첩되어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장척의 필름(15)을 이들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 및 필름 누름 플랜지(59)의 사이에 압축하여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필름 누름 플랜지(59)의 지름 방향 치수는,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보다도 상대적으로 작다. 이에 의해, 필름(15)을 필름 누름 플랜지(59)의 외연부를 타고넘어 풀어내는 것이 가능해지고, 필름(15)을 관형상 심부(57)에 형성된 오물 투입구(16)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연신(延伸)(延伸)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the film 15 has a film pressing flange 59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tubular core 57 and a tubular core flange 57f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core 57. ), The tubular core portion 57 is folded and stor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end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lower end in the axial direction. Therefore, the elongate film 15 can be compressed and accommodated between these tubular core flanges 57f and the film pressing flange 59. Here, the radial dimension of the film pressing flange 59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tubular core flange 57f. This makes it possible to unwind the film 15 beyond the outer edge of the film pressing flange 59 and extend the film 15 downward through the dirt inlet 16 formed in the tubular core 57.延伸) (延伸) can be.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의 외연부에,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의 축선(O) 방향에 걸쳐서 관통하는 노치(58)가, 마련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치(58)는, 축선(O)을 기준으로 하여, 원주 방향(둘레 방향)으로 약 120°의 간격으로 배열하도록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들 3개소에 마련된 노치(58)는, 축선(O)을 기준으로 한 개략 회전 대칭의 형상이 되도록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에 마련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notch 58 which penetrates along the axis O direction of the tubular core flange 57f is provided in the outer edge of the tubular core flange 57f. As shown in FIG. 21, the notch 58 is provided in the tubular core flange 57f so that it may arrange at intervals of about 12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O.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notches 58 provided in these three places are provided in the tubular core flange 57f so that it may become a shape of rough rotation symmetry based on the axis O. As shown in FIG.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의 윗면(60) 및 하면(64)은, 서로 개략 평행한 평면이다. 그리고, 윗면(60)측에서, 리브(61)가 마련되어 있다. 리브(61)는, 윗면(60)에서의 소정의 원 지름 방향(지름 방향)의 위치에서, 축선(O)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늘어나는 둘레 방향 리브(고리형상 리브)(61a)와, 관형상 심부(57)의 외주면에서 둘레 방향 리브(61a)를 향하여 지름 방향에 따라 방사형상으로 늘어나고, 또한 둘레 방향으로 개략 등배(等配)(等配)로 배열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지름 방향 리브(방사형상 리브)(61b)와, 둘레 방향 리브(61a)로부터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의 외연을 향하여 지름 방향에 따라 방사형상으로 늘어나는 계합용 리브(61c1, 61c2)로 구성되어 있다.The upper surface 60 and the lower surface 64 of the tubular core flange 57f are planes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rib 61 is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60 side. The rib 61 is a circumferential rib (ring-shaped rib) 61a that extends continuous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axis O at a position in a predetermined circular radial direction (diameter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60. And a plurality of radial directions provided to extend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core portion 57 toward the circumferential rib 61a along the radial direction, and to be arranged at approximately equal tim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Ribs (radial ribs) 61b and engaging ribs 61c 1 and 61c 2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ircumferential rib 61a toward the outer edge of the tubular core flange 57f. have.

계합용 리브(61c1(제 1의 계합용 리브), 61c2(제 2의 계합용 리브))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선(O)을 기준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약 60°의 간격으로 배열하도록,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의 윗면(60)상에 개략 등배로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계합용 리브(61c1)는, 노치(58)에서의 둘레 방향 일단측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계합용 리브(61c1)가, 축선(O)의 윗방향에서 보아, 노치(58)의 우회전 방향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 3개 계 6개의 계합용 리브(61c1, 61c2)가, 둘레 방향으로약 60°의 간격으로 개략 등배로 배열하고 있다.The engagement ribs 61c 1 (the first engagement ribs) and 61c 2 (the second engagement ribs) are about 6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ased on the axis O as shown in FIG. 21. It arrange | positions on the upper surface 60 of the tubular core flange 57f so that it may be arrange | positioned at the space | interval of degrees at roughly equal multiple. Here, the engagement rib 61c 1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corresponded to the one end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notch 58. As shown in FIG.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ree engagement ribs 61c 1 are provided in the edge part of the notch 58 in the right rotation direction seen from the upward direction of the axis line O. As shown in FIG. The three engagement ribs 61c 1 and 61c 2 are arranged approximately equally at intervals of about 60 °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다음에, 도 15 내지 도 2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오물 처리 장치(41)에,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부착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오물 처리 장치(41)로부터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떼어낸 상태를 축선(O)의 윗방향에서 본 외관도이다. 또한, 도 22중의 축선(O)은, 필름 수납 카세트(54)가 오물 처리 장치(41)에 부착된 경우의 관형상 심부(57)의 중심축선을 나타내고 있고, 필름 부착부(12)의 내주면(12a)의 중심축선과 개략 일치한다. 도 22중의 축선(O)은, 지면(紙面) 표리 방향으로 늘어나는 선이다.Next, a method of attaching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to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22. FIG. 22: is an external view which looked at the state which removed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from the waste processing apparatus 41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rom the upper direction of the axis O. FIG. In addition, the axis | shaft O in FIG. 22 has shown the center axis line of the tubular core part 57 when the film accommodation cassette 54 is affixed to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m attachment part 12 is shown. It approximately coincides with the central axis of (12a). The axis O in FIG. 22 is a line extending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 본체 상부(49)의 상방에는, 필름 수납 카세트(54)가 부착된 공간을 형성하는 필름 부착부(12)가, 마련되어 있다. 필름 부착부(12)는, 필름 수납 카세트(54)가 부착된 경우에 필름 수납 카세트(54)의 측부와 대향하는 부착부 내주면(12a)과, 필름 수납 카세트(54)가 부착된 경우에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의 하면(64)과 맞닿는 평면인 부착부 저면(12b)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름 수납 카세트(54)가 부착된 경우, 부착부 내주면(12a)의 축선(O)은, 관형상 심부(57)의 축선(O)과 개략 일치한다. 또한, 부착부 저면(12b)의 중심부에는, 오물 투입구(16)를 형성하는 관형상 심부(57)의 내주면과 연통하도록, 원형의 개구부(12h)가, 축선(O)을 중심으로 하여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밀폐용 문(53)이, 도 22에 도시하는 폐문시에서는, 개구부(12h)를 하방에서 덮도록 폐색하고 있다.As above-mentioned, the film attachment part 12 which forms the space with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is provided above the accommodating main body upper part 49. As shown in FIG. The film attaching portion 12 is formed when the attaching portion inner peripheral surface 12a facing the side of the film storing cassette 54 and the film storing cassette 54 are attached when the film storing cassette 54 is attached. The attachment part bottom surface 12b which is the plane which contact | connects the lower surface 64 of the shape core flange 57f is included. Here, as shown in FIG. 15, when the film accommodation cassette 54 is attached, the axis O of the attachment part inner peripheral surface 12a corresponds roughly with the axis O of the tubular core part 57.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circular opening part 12h is provided centering on the axis O so that it may communicate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ular core part 57 which forms the waste inlet 16 at the center part of the attachment part bottom face 12b. . And the closing door 53 is closed so that the opening part 12h may be covered below at the time of the closing door shown in FIG.

부착부 내주면(12a)에서의 부착부 저면(12b)으로부터 축선(O)의 윗방향의 소정의 높이의 위치에, 부착부 내주면(12a)으로부터 내경 방향(지름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폴부(62)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폴부(62)가, 축선(O)을 기준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약 120°의 간격으로 배열하도록, 부착부 내주면(12a)상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들 3개소에 마련된 폴부(62)는, 축선(O)을 기준으로 한 거의 회전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폴부(62)의 둘레 방향의 폭이 전술한 노치(58)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폴부(62)가 형성된다. 이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The pole part which protrudes from the attachment part inner peripheral surface 12a toward the inner diameter direction (diameter inner side) from the attachment part inner peripheral surface 12a to the position of the predetermined height of the upper direction of the axis O from the attachment part bottom surface 12b ( 62) is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ree pole parts 62 are provided on the attachment part inner peripheral surface 12a so that they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of about 120 °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O.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pole part 62 provided in these three places has the shape of substantially rotational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axis line O. As shown in FIG. Here, the pole part 62 is formed so that the width | variety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awl part 62 may become smaller than the width | variety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notch 58 mentioned above.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오물 처리 장치(41)에 부착하는 경우, 사용자는,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를 하방으로 하여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필름 부착부(12)의 내부에 배치함과 함께, 부착부 내주면(12a)에 마련된 폴부(62)의 위치와,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의 외연부에 마련된 노치(58)의 위치를 일치시킨다. 그리고,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부착부 저면(12b)을 향하여 밀어 넣는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이, 폴부(62)의 둘레 방향의 폭이 노치(58)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폴부(62)가 노치(58)를 통과하고,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의 하면(64)과, 부착부 저면(12b)이 맞닿는다.When attaching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to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the user arrange | positions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inside the film attachment part 12 with the tubular core flange 57f below.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pawl portion 62 provided on the attachment portion inner peripheral surface 12a coincides with the position of the notch 58 provided on the outer edge of the tubular core flange 57f. And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is pushed toward the attachment bottom face 12b. Then,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width | variety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awl part 62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notch 58, the pawl part 62 passes through the notch 58, and the tubular core flange 57f is carried out. The lower surface 64 and the attachment bottom surface 12b abut.

뒤이어, 사용자는,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축선(O)의 윗방향에서 보아, 둘레 방향의 우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폴부(62)와 부착부 저면(12b) 사이의 공간에,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의 외연부가 깊숙이 파고든다. 그리고, 폴부(62)와 계합용 리브(61c2)(제 2의 계합용 리브)가 맞닿고, 필름 수납 카세트(54)의 회전이 규제될 때까지,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필름 수납 카세트(54)가, 오물 처리 장치(41)에 부착된다.Subsequently, the user rotates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in the right direction of rot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seen from the upper direction of the axis O. FIG. Then,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tubular core flange 57f deeply penetrates into the space between the pawl portion 62 and the attachment portion bottom face 12b. Then,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is rotated until the pawl portion 62 and the engagement rib 61c 2 (the second engagement rib)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rotation of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is restricted. In this way,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is attached to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필름 수납 카세트(54)가 오물 처리 장치(41)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오물 처리 장치(41)에 마련된 폴부(62)와,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의 외연부가 계합한다. 이에 의해, 필름 수납 카세트(54)가 필름 부착부(12) 내로부터 튀여나가는 것을 막는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 수납 카세트(54)는, 오물 처리 장치(41)에 부착하기 위한 연결 기구(카세트측 계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해당 연결 기구가, 오물 처리 장치(41)에 마련된 폴부(62)와 계합하는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의 외연부와, 필름 수납 카세트(54)의 연결/해제를 도입하기 위한 노치(5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본체 상부(49)를 연 상태에서, 필름 수납 카세트(54)가 탈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is attached to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the pawl part 62 provided in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and the outer edge part of the tubular core flange 57f engage. This prevents the film accommodating cassette 54 from protruding from inside the film attaching part 12. That is,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connection mechanism (cassette side locking part) for attaching to the waste processing apparatus 41, and this connection mechanism is equipped with the waste processing apparatus 41. FIG. It is comprised by the outer edge part of the tubular core flange 57f engaging with the provided pole part 62, and the notch 58 for introducing the connection / release of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3,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ut in the state which opened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main body 49. FIG.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오물 처리 장치(41)로부터 떼어내는 경우, 사용자는,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축선(O)의 윗방향에서 보아 둘레 방향의 좌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폴부(62)와 계합용 리브(61c1)(제 1의 계합용 리브)가 맞닿아, 필름 수납 카세트(54)의 회전이 규제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계합용 리브(61c1)는, 노치(58)의 우회전 방향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폴부(62)와 계합용 리브(61c1)가 맞닿는 동시에, 폴부(62)의 위치와 노치(58)의 위치가, 개략 일치한다. 따라서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필름 부착부(12) 내로부터 끌어올려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removing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from the waste processing apparatus 41, a user rotates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to the left rotation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seen from the upper direction of the axis O. As shown in FIG. Then, the pawl portion 62 and the engagement rib 61c 1 (the first engagement rib)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rotation of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is restricted. Here,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engagement rib 61c 1 is provided in the edge part of the notch 58 at the right rotation direction side, the pawl part 62 and the engagement rib 61c 1 abut, and the pole part 62 is carried out. ) And the position of the notch 58 roughly coincide.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pull up and remove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from the inside of the film attachment part 12. FIG.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필름 수납 카세트(54) 및 오물 처리 장치(41)는,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교환/세트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필름 수납 카세트(54)의 연결/해제를 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필름 부착부(12) 내에 설치하고, 회전시키는 것만이면 좋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모품인 필름(15)이 전부 사용된 경우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교환하고, 또한 신규의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재차 세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간단한 구성에 의해 필름 수납 카세트(54)와 오물 처리 장치와의 연결 기구를 실현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취급 설명서 등에 기재된 조작 순서를 참조하는 일 없이, 필름 수납 카세트(54)가 부착/해체 방법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The film storage cassette 54 and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which have such a structure can facilitate the operation | work which replaces / sets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FIG. That is, when connecting / disconnecting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the user only needs to install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in the film attachment part 12, and to rotate as mentioned above. Therefore, when the film 15 which is a consumable is used up, a user can replace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by simple operation, and can also set a new film storage cassette 54 again by simple operation. Become.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and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is realized by such a simple structure,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is provided without the user referring to the operation procedure described in the instruction manual or the like.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attachment / dismounting metho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오물 처리 장치(41)에 부착하기 위한 연결 기구를, 오물 처리 장치(41)에 마련된 폴부(62)와 계합하는 관형상 심부 플랜지(57f)의 외연부와, 필름 수납 카세트(54)의 연결/해제를 도입하기 위한 노치(58)에 의해 구성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필름 수납 카세트(54) 및/ 또는 오물 처리 장치(41)에 부착된 여하 된 종류의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 기구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는,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오물 처리 장치(41)에 연결/계합시키는 일 없이,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필름 부착부(12) 내에 재치할 뿐의 구성이라도 좋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tubular core flange 57f which engages the coupling mechanism for attaching the film accommodation cassette 54 to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with the pawl part 62 provided in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is shown. Although not constituted by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film and the notch 58 for introducing 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of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and / or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You may comprise a connection mechanism by the attached connection member of any kind. Or the structure which only mounts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in the film attachment part 12 may be sufficient, without connecting / connecting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to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FIG.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름 수납 카세트(54)를 오물 처리 장치(41)에 이용하는 경우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필름 수납 카세트(54)가, 독립한 완성 부재로서, 적용 가능한 다른 오물 처리 장치에 이용되어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is embodiment demonstrated only the case where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is used for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41,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film storage cassette 54 is applied as an independent completion member. It may be used for other waste treatment apparatuses as much as possible.

또한,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오물 처리 장치는, 수납 본체 하부의 저부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회전판을 또한 구비하고, 오물 처리 장치에 폐기된 오물이 필름과 함께 회전판에 의해 하방에서 지지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오물 처리 장치 내에 오물을 폐기하여 가면, 폐기된 오물은, 필름과 함께 수납 본체 하부의 저부에 위치하는 회전판의 상에 축적하여 가게 된다. 그리고, 오물 수납 본체의 내부에 저장되어 가득차게 된 오물을 폐기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회전판을 회전시킴에 의해 오물과 오물 투입구의 사이의 영역에서 필름을 비틀고, 비틀려서 압축되어 있는 필름의 비트는 부분을 상기 필름 커터를 이용하여 컷트하고, 필름 내에 수용되어 있는 오물을 필름과 함께 오물 수납 본체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물 수납 본체 내에 가득차게 된 오물을 오물 수납 본체로부터 취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필름 커터를 이용하여 필름을 컷트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오물이 취출 작업중에 필름 내에 수용된 오물의 냄새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Moreover, as still another embodiment,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further includes the rotating plate rotatably attached to the bottom center part of the storage main body lower part, and the waste material discarded by the waste processing apparatus is supported below by the rotating plate with a film. It may b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discards the waste in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the discarded waste accumulates along with the film on the rotating plat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main body. Then, in the case of disposing of the filled and stored waste inside the waste accommodating main body, the user twists the film in the area between the waste and the waste inlet by rotating the rotating plate, and twists and compresses the bit of the film. The part can be cut using the said film cutter, and the dirt accommodated in the film can be taken out from a dirt storage main body with a film. Thereby, when taking out the filth filled in the waste storage main body from a waste storage main body, a user can make the operation which cuts a film using a film cutter easy. In addition, the smell of the dirt contained in the film during the taking out operation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또한,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오물 처리 장치는, 상기 필름 커터의 부근에 부착된 점착테이프 수납부를 또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물 수납 본체의 내부에 저장되어 가득차게 된 오물을 폐기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필름 커터에 의해 필름을 컷트함과 함께, 컷트된 필름의 개구부를 테이프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테이프에 의해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오물 수납 본체 내에 가득차게 된 오물을 오물 수납 본체로부터 취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필름에 수용된 오물로부터 냄새가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테이프 수납부 및 필름 커터는, 사용자가 필름의 컷트와 동시에 테이프에 의한 필름 개구부의 밀폐를 행할 수가 있도록, 오물 수납 본체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필름의 컷트와 필름의 개구부의 밀폐를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오물 취출 작업을 용이하며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Moreover, as another embodiment,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may further be equipped with the adhesive tape accommodating part attached to the vicinity of the said film cutte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waste stored in the waste storage main body is filled up, the user cuts the film by the film cutter, and the opening of the cut film is stored in the tape storage unit. It can be sealed by a tape. Therefore, when the user takes out the filth filled in the filth accommodating body from the filth accommodating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mell from leaking from the filth contained in the film. The adhesive tap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film cutter may be configured to be integrally attached to the waste accommodating main body so that the user can seal the film opening with the tape at the same time as the cut of the film.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user can simultaneously seal the cut of the film and the opening of the film, the dust removal operation can be performed easily and quickly.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의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what was shown embodimen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ame range as the present invention or within an equivalent range.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은, 오물 처리 장치에 이용되는 필름 수납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유아용 기저귀 처리 장치라는 공업 제품에의 폭넓은 응용을 기대할 수 있다.This invention provides the film storage cassette used for a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example, wide application to the industrial product of an infant diaper processing apparatus can be expected.

11, 41 : 오물 처리 장치
12 : 필름 부착부
12a : 부착부 내주면
12b : 부착부 저면
12h : 개구부
13, 43 : 오물 수납 본체
14 : 필름 수납부
15 : 필름
16 : 오물 투입구
17, 47 : 수납 본체 하부
17b, 47b : 저부
17h : 본체 개구부
18 : 덮개 손잡이
19, 49 : 수납 본체 상부
20 : 덮개 누름버튼
20h : 덮개 누름버튼 훅
21 : 본체 누름버튼
21g : 누름버튼 외주연
21p : 기둥부
22 : 수납 본체 상부 손잡이
23 : 덮개
24 : 덮개 로크 기구
25 : 본체 로크 기구
26 : 매듭
27, 57 : 관형상 심부
27f, 57f : 관형상 심부 플랜지
28, 48 : 밀폐 기구
29, 59 : 필름 누름 플랜지
30 : 덮개 힌지
31 : 본체 힌지
32 : 누름버튼 받이구멍
33, 53 : 밀폐용 문
33c, 35c, 53c, 55c : 끼워넣는 면
34 : 밀폐용 문 윗면
34f : 윗면 전방부
34r : 윗면 후방부
35, 55 : 밀폐용 문 받이부
36 : 덮개 누름버튼 받이부
37 : 가이드 레일
38 : 필름 커터
39, 69 : 스프링
42 : 사면부
44 : 통형상 기둥부
45 : 밀폐 기구 힌지
46 : 스프링 커버
50 : 힌지
51 : 홈형상 오목부
54 : 필름 수납 카세트
56, 62 : 폴부
58 : 노치
60 : 윗면
61 : 리브
61a : 둘레 방향 리브
61b : 지름 방향 리브
61c1, 61c2 : 계합용 리브
63 : 스프링 가이드
64 : 하면
11, 41: waste treatment apparatus
12: film attachment part
12a: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ttachment part
12b: bottom of attachment part
12h: opening
13, 43: dirt storage body
14: film storage
15: film
16: dirt input hole
17, 47: lower part of the storage body
17b, 47b: bottom
17h: main body opening
18: cover handle
19, 49: upper storage body
20: cover pushbutton
20h: Cover pushbutton hook
21: main body push button
21g: push button outer circumference
21p: pillar
22: upper body handle
23: cover
24: cover lock mechanism
25: main body lock mechanism
26: the knot
27, 57: tubular core
27f, 57f: tubular deep flange
28, 48: sealing mechanism
29, 59: film pressing flange
30: cover hinge
31: body hinge
32: push button receiving hole
33, 53: sealing door
33c, 35c, 53c, 55c: embedding side
34: top door for sealing
34f: front front
34r: top rear
35, 55: sealing door receiving part
36: cover pushbutton receiving part
37: guide rail
38: film cutter
39, 69: spring
42: slope part
44: cylindrical columnar
45: sealing mechanism hinge
46: spring cover
50: hinge
51: groove-shaped recess
54: film storage cassette
56, 62: pole
58: notch
60: top side
61: rib
61a: circumferential rib
61b: radial rib
61c 1 , 61c 2 : engagement rib
63: spring guide
64: if

Claims (7)

폐기물을 수납하는 오물 처리 장치의 상부에 형성된 필름 부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필름 수납 카세트로서,
상단에 오물 투입구를 형성하는 원통형상의 관형상 심부와,
상기 관형상 심부의 하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나오는 하플랜지와,
상기 관형상 심부의 상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나오고, 상기 하플랜지의 사이에 필름을 압축한 상태에서 수용함과 함께, 상기 필름이 그 외연을 타고 넘어서 상기 관형상 심부에 풀어내여지는 것을 허용하는 상플랜지만을 구비하고,
상기 하플랜지는, 상기 필름 부착부와 계합하고, 상기 필름 수납 카세트를 상기 필름 부착부에 연결시키는 카세트측 계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수납 카세트.
A film storage cassette detachably attached to a film attachment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a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storing waste,
A cylindrical tubular core forming a waste inlet at the top,
A lower flange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core;
It extends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tubular core in the radial direction, accommodates the film in a compressed state between the lower flanges, and releases the film over the outer edge and is released to the tubular core. Only the upper flange to allow,
The lower flange has a cassette-side latching portion that engages with the film attaching portion and connects the film accommodating cassette to the film attach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측 계지부는, 상기 하플랜지의 일부로서,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수납 카세트.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assette-side latching portion includes, as part of the lower flange, a projection that protrude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측 계지부는, 상기 하플랜지의 외연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하여 패여지는 노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필름 수납 카세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said cassette side latching | locking part contains the notch recessed toward the radial inside in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said lower flange, The film storage cassett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또는 상기 노치는,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관형상 심부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둘레 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수납 카세트.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aid projection part or the said notch is provided in several places, and is arrange | position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aid tubular core part, The film storage cassett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측 계지부는, 상기 하플랜지의 윗면에서 해당 하플랜지의 외연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재되는 계합용 리브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수납 카세트.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the cassette side latch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n engagement rib extending radially in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lower flang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용 리브는, 상기 노치의 둘레 방향 일방측단에 배치되는 제 1의 계합용 리브와, 상기 제 1의 계합용 리브로부터 둘레 방향 타방측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2의 계합용 리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수납 카세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ngagement rib is a first engagement rib disposed at one side 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notch and a second engagement rib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gagement rib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ther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comprised by the rib, The film storage cassett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플랜지의 윗면에는, 상기 하플랜지의 왼연보다 지름 방향 내측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늘어나고, 상기 계합용 리브와 접속하는 고리형상 리브와,
상기 관형상 심부로부터 상기 고리형상 리브까지 방사형상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방사형상 리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수납 카세트.
6. The method of claim 5,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having a ring-shaped rib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center axis lin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radially inward from the left edge of the lower flange, and connected to the engagement rib;
And a plurality of radial rib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tubular core to the annular rib.
KR1020100074902A 2009-09-10 2010-08-03 Storing cassette of film for garbage disposal KR2011002755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09023 2009-09-10
JPJP-P-2009-209023 2009-09-10
JP2010033890A JP5486338B2 (en) 2009-09-10 2010-02-18 Waste disposal equipment
JPJP-P-2010-033890 2010-02-18
JPJP-P-2010-124452 2010-05-31
JP2010124452A JP5486406B2 (en) 2009-09-10 2010-05-31 Film storage cassette for waste disposal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557A true KR20110027557A (en) 2011-03-16

Family

ID=4303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902A KR20110027557A (en) 2009-09-10 2010-08-03 Storing cassette of film for garbage disposal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056967A1 (en)
EP (1) EP2295345A1 (en)
KR (1) KR20110027557A (en)
CN (1) CN102020084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552A (en) * 2009-09-10 2011-03-16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Garbage disposer
US9598207B2 (en) 2012-03-05 2017-03-21 International Refills Company Ltd Waste-disposal device
NL1039491C2 (en) * 2012-03-26 2013-09-30 Sanalife B V DEVICE FOR COLLECTING POLLUTED OBJECTS.
CN104411223B (en) * 2012-08-29 2017-07-07 日本安全株式会社 Fold bellows and the closet system using the box
US11142395B2 (en) 2013-06-04 2021-10-12 Butler Concepts Limited Sanitary containers
KR101950753B1 (en) * 2013-08-06 2019-02-21 니혼 세이프티 가부시키가이샤 Film sealing mechanism
CN107207155A (en) * 2014-12-11 2017-09-26 满趣健公司 Container for storing a variety of flexible bag assemblies
CA3074060C (en) 2015-06-15 2021-07-13 International Refills Company Ltd. Cassette and apparatus for use in disposing waste materials into an elongated flexible tube
GB201516048D0 (en) * 2015-09-10 2015-10-28 Sangenic International Ltd Waste storage device
US20180118458A1 (en) * 2016-07-08 2018-05-03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Waste disposal device and cassette interface
GB2600912B (en) * 2020-09-28 2023-04-26 Sangenic International Ltd Waste storage refill
GB2614155B (en) * 2020-09-28 2023-11-29 Sangenic International Ltd Waste storage refill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14312D0 (en) * 2001-06-12 2001-08-01 Sangenic International Ltd Spool for a waste storage device
US4402165A (en) * 1981-02-24 1983-09-06 Dansk Gartneri-Teknik A/S Rack and the use thereof in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oof hatches and skylights
SE437118B (en) * 1981-07-03 1985-02-11 Stiftelsen Klintland DEVICE FOR COLLECTION OF SOLID OR LIQUID WASTE
GB2221889A (en) * 1988-08-17 1990-02-21 Process Improvements Ltd Device for packaging objects in flexible tubing
JP2597964B2 (en) * 1994-07-29 1997-04-09 保 宮本 Garbage disposal cassette pack
GB2292725B (en) * 1994-08-26 1998-04-15 Process Improvements 1989 Ltd Apparatus for using packs of flexible tubing in packaging
JPH0948444A (en) * 1995-08-09 1997-02-18 Chugoku Pearl Hanbai Kk Container with fitting cover
US5947295A (en) * 1996-04-08 1999-09-07 Lutin; Matthew Liner dispenser for waste containers
US5782067A (en) * 1996-06-28 1998-07-21 Free-Flow Packaging International, Inc. Bag sealer and cutter for use in packaging loose fill packaging materials
JPH10250801A (en) * 1997-03-07 1998-09-22 Nobuyuki Taniguchi Set of cassette pack containing consecutive vinyl bags for keeping inside of trash box clean and dedicated trash box provided with hole
GB9802738D0 (en) * 1998-02-09 1998-04-08 Sangenic International Ltd Waste storage device
JP2000247401A (en) * 1999-02-25 2000-09-12 Biotech Research:Kk Vessel for storing waste paper diaper
GB9908206D0 (en) * 1999-04-09 1999-06-02 Sangenic International Limited Waste storage device
US7146785B2 (en) * 2001-05-02 2006-12-12 Stravitz David M Waste disposal devices
CA2387183C (en) * 2001-12-31 2009-05-12 Moniteurs Angelcare Inc. Cassette for dispensing pleated tubing
CA2372143A1 (en) * 2002-02-15 2003-08-15 Les Developpements Angelcare Inc. Apparatus for forming and containing waste containing packs
US6851251B2 (en) * 2002-07-31 2005-02-08 Saniquest Industries Corp. Waste disposal devices
JP3774429B2 (en) * 2002-11-27 2006-05-17 株式会社グリーンライフ Waste treatment equipment
GB0324764D0 (en) * 2003-10-23 2003-11-26 Sangenic International Ltd Waste storage device
WO2005054087A1 (en) * 2003-12-02 2005-06-16 Stewart Twinn Container for biodegradable waste
US7406814B2 (en) * 2005-04-25 2008-08-05 International Refills Company Ltd. Apparatus for packing disposable objects into an elongated tube of flexible material
DE202005015081U1 (en) * 2005-09-24 2007-02-08 Melitta Haushaltsprodukte Gmbh & Co. Kg Cassette for film tube, has housing in which circular retainer is formed, and outlet opening formed in retainer for holding film tube, where housing has internal duct with oval cross section for film tube
GB0622909D0 (en) * 2006-11-16 2006-12-27 Sangenic International Ltd Waste storage device
US20080272140A1 (en) * 2007-05-04 2008-11-06 Playtex Products, Inc. Cassette for dispensing flexible tubing therefrom
DE202007009842U1 (en) * 2007-07-12 2008-11-20 Sangenic International Ltd., Cramlington Improved cassette for a waste stora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20084A (en) 2011-04-20
EP2295345A1 (en) 2011-03-16
US20110056967A1 (en)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7557A (en) Storing cassette of film for garbage disposal
KR20110027559A (en) Sewage treatment apparatus
US10710799B2 (en) Container for receiving multiple flexible bag assemblies
US20160052711A1 (en) Receptacle configured for liner replacment without lid removal
KR20110027554A (en) Refill film for filth treatment device, cassette for accepting refill film, and portable filth treatment bag
KR20170046346A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20110027552A (en) Garbage disposer
JP2018076110A (en) Lid mechanism, packaging body, and dispensing container
KR20110027553A (en) Filth treatment device
EP3114049B1 (en) Bag reloading garbage unit
JP5486406B2 (en) Film storage cassette for waste disposal equipment
KR200389922Y1 (en) The infection waste collecting courage which is used in medical treatment
CN212100351U (en) Improved garbage bag assembly and garbage can
CN218023421U (en) Garbage can
KR102033584B1 (en) Waste basket with continuous supply of garbage bag
JP2008005956A (en) Dust collection case and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