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146A -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146A
KR20110020146A KR1020090104662A KR20090104662A KR20110020146A KR 20110020146 A KR20110020146 A KR 20110020146A KR 1020090104662 A KR1020090104662 A KR 1020090104662A KR 20090104662 A KR20090104662 A KR 20090104662A KR 20110020146 A KR20110020146 A KR 20110020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ate change
information
device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구
추희정
성주연
곽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BR112012002243A priority Critical patent/BR112012002243A2/pt
Priority to PCT/KR2010/005535 priority patent/WO2011021886A2/en
Priority to CN2010800371285A priority patent/CN102484788A/zh
Priority to RU2012106026/08A priority patent/RU2587375C2/ru
Priority to CA2769216A priority patent/CA2769216A1/en
Priority to AU2010284795A priority patent/AU2010284795B2/en
Priority to CN201610286387.0A priority patent/CN105743753A/zh
Priority to MX2012000849A priority patent/MX2012000849A/es
Priority to US12/861,522 priority patent/US8718638B2/en
Priority to EP10173738.5A priority patent/EP2288122B1/en
Priority to TW104121510A priority patent/TW201543944A/zh
Priority to JP2010186287A priority patent/JP2011045083A/ja
Priority to EP20207426.6A priority patent/EP3799404B1/en
Priority to TW099128109A priority patent/TWI495383B/zh
Publication of KR20110020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146A/ko
Priority to ZA2012/01160A priority patent/ZA201201160B/en
Priority to US14/270,684 priority patent/US9131065B2/en
Priority to US14/847,885 priority patent/US9401982B2/en
Priority to US15/216,347 priority patent/US10033849B2/en
Priority to US16/042,699 priority patent/US10623550B2/en
Priority to US16/843,537 priority patent/US1080545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8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면,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가 다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이 개시된다.
무선 와이파이, 무선 네트워크

Description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A device capable of operation status change notification through a network and a method for networking among a plurality of the same}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구축된 디바이스들 간의 정보 공유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전자 기기들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다양한 정보의 표현을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들이 수많은 전자 기기를 보유하게 되면서, 모든 전자 기기를 소지하고 다니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이에 따라, 현재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지 않지만 작동 상태가 변경된 전자기기에 대해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대응하지 못 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 간에 상태 변경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의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가 변경된 후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시간 후,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의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하지 못한다면,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접근 가능한 공유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의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하지 못한다면,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접근 가능한 디바이스들의 리스트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의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게,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한다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의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현재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의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들에 대해,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있었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있었던 디바이스를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가 변경에 대한 알림 정보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표시하는 내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표시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경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재생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경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은, 메시지 수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의,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제 1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한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 1 디바이스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제 2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임이 인지되면,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신호는, 현재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있었는지 여부,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센서 반응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부 표시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도시되는 위치 또는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알림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사용 중인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제 2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내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수신된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상기 수신된 내용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제 2 디바이스가 표시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포맷의 내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상기 수신된 내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내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재생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경된 후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상기 수신된 내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 신된 내용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서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재생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경된 후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및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한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타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수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타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알림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을 구 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는 네트워크 통신부(110) 및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전송부(1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부(110)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은, 하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로서 상호 통신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의 일례로 무선 와이파이(wireless Wi-Fi)가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작동 환경은 무선 와이파이 규격에 따르는 네트워크 환경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전송부(120)는,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현재 디바이스(100)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면,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다른 디바이스들 중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전송부(120)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것으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게 현재 디바이스(100)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때 전송된 현재 디바이스(100)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디바이스(100)의 작동 상태 변경 여부를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디바이스(100)의 작동 상태 변화에 대해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현재 디바이스(100)의 작동 상태 변경 정보를 알리기 위해,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대상 디바이스들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디바이스(100)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는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전송부(120)로부터 네트워크 통신부(110)를 거쳐 출력될 수도 있으며,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전송부(120)로부터 직접 출력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는 네트워킹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모든 종류의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100)의 작동 상태가 변경된 예는,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의 작동 상태가 변경된 예를 모두 포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의 착신음이 울리는 경우, 세탁기의 세탁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셋탑 박스에 예약된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 시간이 도래한 경우, 전자음원을 다운로드받고 있는 중인 음향 기기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는 경우, 전자렌지의 예약 조리 기능의 작동 시간이 경과한 경우 등이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의 작동 상태가 변경된 경우이다.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는, 작동 상태가 변경된 후 소 정 시간 동안 사용자가 디바이스(100)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반응이 없는 경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다른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가 휴대폰인 경우, 착신음이 20초간 울렸으나 사용자의 반응이 전혀 없는 경우, 이후부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다른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전송부(120)는 현재 디바이스(100)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대상 디바이스인 현재 사용자가 사용 중인 디바이스가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내에서 검색되지 않는다면, 현재 디바이스(100)가 접근 가능한 공유 네트워크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디바이스(100)가 보유하고 있는 디바이스 리스트 데이터베이스 중 다른 디바이스들을 스캔하며 사용자가 현재 사용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전송부(120)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한다는 정보를 나타내는 검색 신호를,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검색 신호의 전송 없이, 현재 디바이스(100)가 대상 디바이스들에 접근하여, 사용자가 대상 디바이스를 현재 사용 중인지 여부를 분석하여, 직접적으로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는, 대상 디바이스가 생성하여 송출하는 사용자의 현재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 득함으로써, 현재 디바이스(100)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알림 기능의 온-오프(on-off) 설정 등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알림 기능의 사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는,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의 작동 상태가 변경에 대한 알림 정보 및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표시하는 내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전송부(120)는,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대상 디바이스가 표시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경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 정보는, 사용자의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의 관리 서버를 통해 대상 디바이스에서 재생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경되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의 변경된 작동 상태는 SMS(Short Message Service; SMS) 메시지와 같은 텍스트 기반의 메시지 수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의 메시지가 대상 디바이스가 재생할 수 있는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로 변경된 후 대상 디바이스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MMS) 메시지와 같이 이미지 또는 오 디오가 혼합된 텍스트 기반의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작동 상태가 변경된 경우, 대상 디바이스가 재생할 수 있는 이미지 또는 오디오 및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로 변경된 후 대상 디바이스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는 네트워크 통신부(210), 타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수신부(210), 타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알림 제어부(220) 및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한다.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는,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기술된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와 함께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의 네트워크 통신부(210)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의 타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수신부(210)는,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기술된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와 상응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는 네트워크 통신부(210)를 거쳐 타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수신부(210)로 입력될 수도 있으며, 타 디바 이스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수신부(210)로 직접 입력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는,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있다는 검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 검색 신호에 따라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지 여부를 인지하여, 제 1 디바이스에 대해 사용자의 현재 사용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는, 제 1 디바이스가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에 직접적으로 억세스하여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지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는 억세스 요청에 대해 수용할 수도 있다.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는,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현재 사용 여부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고, 사용자의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있는 제 1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가 생성하여 송출하고 있는 현재 사용 여부에 대한 신호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정 디바이스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최근 소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로부터의 지시 또는 정보 입력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사용자의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로그인 여부, 사용자가 해당 디바이스의 센서 감지 범위 이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 등이 분석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 이스(200)는,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작동 상태 변경 알림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에 속한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의 타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알림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부(230)에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는 알림 표시 창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알림 표시 창의 위치, 크기, 투명도, 깜박임 정도, 색상 등의 표시 방식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는,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가 변경에 대한 알림 정보 및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표시하는 내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타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알림 제어부(220)는,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가 표시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 정보는, 사용자의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의 관리 서버를 통해 대상 디바이스에서 재생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경된 후 타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수신부(210)로 수신될 수 있다.
또는, 타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수신부(210)는, 제 1 디바이스가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에서 재생될 수 있는 포맷의 데이터로 변경한 후 전송된 내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타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알림 제어부(220)는 화면에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 정보를 위한 수신확인 창이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수신확인이 입력되면, 재생 가능한 포맷의 내용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30)에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가 단문 메시지 수신 상태인 경우, 제 1 디바이스의 단문 메시지가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에서 재생 가능한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로 변경된 후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MMS) 메시지와 같이 이미지 또는 오디오가 혼합된 텍스트 기반의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작동 상태가 변경된 경우,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가 재생할 수 있는 이미지 또는 오디오 및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로 변경된 후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될 수 있다.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는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알림 정보 또는 내용 정보의 수신 또는 표시를 완료한 후, 제 1 디바이스에게 사용자가 작동 상태 변경을 확인했음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정보의 상호 공유가 가능한 네트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 및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현재 작동 상태가 변경한 디바이스(100)가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200)를 자동적으로 검색하여, 작동 상태가 변경한 디바이스(200)에 대해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 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하기 위해, 접근 가능한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들이 순차적으로 검색되므로 지능적으로 상태 변경 알림 정보를 전달할 대상 디바이스가 검색될 수 있다.
앞서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 및 타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가 따로 기술되었다. 하지만, 한 디바이스가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 및 타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구비하여, 현재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정보를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에 대해 알리는 기능 및 다른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표시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도 3a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300)에 휴대폰(302), 소형 음향기기(304), 디지털 TV(306), 디지털 캠코더(308)가 속해 있다. 즉, 휴대폰(302), 음향 재생 기기(304), 디지털 TV(306), 디지털 캠코더(308)는 모두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며, 동일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로서 상호 등록된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폰(302)이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의 일례이고,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300)의 다른 디바이스들인 음향 재생 기기(304), 디지털 TV(306) 및 디지털 캠코더(308)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정보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의 실시예들에 해당한다.
휴대폰(302)의 착신음이 울리지만 사용자가 이에 반응하지 않는다면, 휴대 폰(302)는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에서 현재 작동 상태 변경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대상 디바이스를 검색한다. 휴대폰(302)은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300)의 다른 디바이스들인 음향 재생 기기(304), 디지털 TV(306) 및 디지털 캠코더(308) 중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즉, 휴대폰(302)은,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것으로 검색된 디바이스에 대해, 휴대폰(302)의 착신음이 울리고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변경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및 접근 가능한 네트워크의 종류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302)는 우선적으로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정보를 공유하기로 구축되어 있는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300)에 대해,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한다. 다만,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300)에서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가 검색되지 않는다면, 휴대폰(302)와 함께 세탁기(314) 및 냉장고(316)를 포함하고 있는 공유 네트워크(310)로부터 부차적으로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휴대폰(302)은 인근 인프라 네트워크(320)의 다른 휴대폰(324) 및 노트북(326)에 대해 사용자의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폰(302)이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있는 디바이스 리스트 데이터베이스(340)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휴대폰(302)은 주변 접근 가능한 네트워크로부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없다면, 디바이스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도 있다.
도 4a, 4b, 4c, 4d, 4e 및 4f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이 발생한 장치 및 타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장치 간의 정보 교환을 위한 방법들이 도시된다. 도 4a, 4b, 4c, 4d, 4e 및 4f의 실시예들에서, 휴대폰(405)은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의 일례이고, 디지털 TV(410)는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의 일례이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이 발생한 장치 및 타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장치 간의 정보 교환을 위한 제 1 방법을 도시한다.
사용자(400)는 리모컨을 통해 디지털 TV(410)를 사용 중이다(단계 a-0). 이 때, 다른 방에 놓여있는 사용자(400)의 휴대폰(405)의 착신음이 울리지만, 사용자(400)는 착신음을 감지하지 못하고 있다.
휴대폰(405)의 착신음이 소정 시간 동안 울려도 사용자(400)가 전혀 반응이 없다면, 휴대폰(405)은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사용자(400)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 신호를 디지털 TV(410)에게 전송한다(단계 a-1).
휴대폰(405)은 디지털 TV(410)를 사용자(400)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a-2). 이 경우, 디지털 TV(410)는 휴대폰(405)의 억세스 허용 요청을 수락하거나, 휴대폰(405)으로부터 요청받은 사용자(400)의 현재 사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사용자(400)가 현재 디지털 TV(410)를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 기 위해서는, 최근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400)로부터 입력 신호 또는 지시가 있었는지 여부에 관한 히스토리가 분석될 수 있다. 디지털 TV(410)에 사용자(400)가 로그인하였는지 여부, 또는 디지털 TV(410)에 장착된 각종 센서에 사용자(400)가 감지되고 있는지 여부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400)가 현재 디지털 TV(410)를 사용하고 있는지 판단될 수도 있다.
사용자(400)가 디지털 TV(410)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면, 휴대폰(405)은 디지털 TV(410)에 대해, 착신음이 울리고 있다는 정보, 즉 상태 변경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a-3).
디지털 TV(410)는 휴대폰(405)으로부터 착신음이 울리고 있다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고, 디지털 TV(4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420)에 사용자(400)의 휴대폰(405)의 착신음이 울리고 있다는 정보를 표시한다(단계 a-4).
도 4b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이 발생한 장치 및 타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장치 간의 정보 교환을 위한 제 2 방법을 도시한다.
사용자(400)는 리모컨을 통해 디지털 TV(410)를 사용 중(단계 b-0)이고, 다른 방에 놓여있는 사용자(400)의 휴대폰(405)의 착신음이 울리고 있지만, 사용자(400)는 착신음을 감지하지 못하고 있다.
휴대폰(405)의 착신음이 소정 시간 동안 울려도 사용자(400)가 전혀 반응이 없다면, 휴대폰(405)은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사용자(400)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 신호를 디지털 TV(410)에게 전송한다(단계 b-1).
디지털 TV(410)는 휴대폰(405)의 검색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400)의 현재 사용 상태를 인지한다(단계 b-2). 디지털 TV(410)가 사용자(400)가 현재 디지털 TV(410)를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도, 최근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400)로부터 입력 신호 또는 지시가 있었는지 여부, 사용자(400)의 로그인 상태, 또는 디지털 TV(410)에 장착된 각종 센서에 사용자(400)가 감지되고 있는지 여부 등이 분석될 수 있다.
사용자(400)가 디지털 TV(410)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면, 디지털 TV(410)는 휴대폰(405)에 대해 사용자(400)가 현재 디지털 TV(410)를 사용중이라는 사용자 상태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b-3).
휴대폰(405)은 디지털 TV(410)에 대해, 착신음이 울리고 있다는 정보, 즉 상태 변경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b-4).
디지털 TV(410)는 휴대폰(405)으로부터 착신음이 울리고 있다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고, 디지털 TV(4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420)에 사용자(400)의 휴대폰(405)의 착신음이 울리고 있다는 정보를 표시한다(단계 b-5).
도 4c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이 발생한 장치 및 타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장치 간의 정보 교환을 위한 제 3 방법을 도시한다.
사용자(400)는 리모컨을 통해 디지털 TV(410)를 사용 중(단계 c-0)이고, 다른 방에 놓여있는 사용자(400)의 휴대폰(405)의 착신음이 울리고 있지만, 사용자(400)는 착신음을 감지하지 못하고 있다.
디지털 TV(410)는 수시로 사용자(400)의 사용 상태에 관해 인지한다(단계 c-1). 만약 사용자(400)가 디지털 TV(410)를 현재 사용하고 있다면, 디지털 TV(410)는 사용자(400)의 현재 사용 상태에 대한 신호를 송출한다(단계 c-2).
휴대폰(405)의 착신음이 소정 시간 동안 울려도 사용자(400)가 전혀 반응이 없다면, 휴대폰(405)은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사용자(400)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한다(단계 c-3).
휴대폰(405)은 디지털 TV(410)가 송출하고 있는 사용자(400)의 현재 사용 상태에 대한 신호를 획득하여 사용자(400)가 현재 디지털 TV(410)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다(단계 c-4).
휴대폰(405)은 디지털 TV(410)에 대해, 착신음이 울리고 있다는 정보, 즉 상태 변경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c-5).
디지털 TV(410)는 휴대폰(405)으로부터 착신음이 울리고 있다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고, 디지털 TV(4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420)에 사용자(400)의 휴대폰(405)의 착신음이 울리고 있다는 정보를 표시한다(단계 c-6).
이하 도 4d, 4e 및 4f를 참조하여, 사용자(400)의 휴대폰(405)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이 발생한 휴대폰(405) 및 타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지털 TV(410)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4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이 발생한 장치 및 타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사용자(400)는 리모컨을 통해 디지털 TV(410)를 사용 중이고, 다른 방에 놓 여있는 휴대폰(405)에 SMS 메시지가 수신된 상태(407)이지만, 사용자(400)는 SMS 메시지 수신 상태를 감지하지 못하고 있다.
디바이스들 간의 작동 상태 변경에 관한 정보 교환을 위해 전술한 제 1 방법, 제 2 방법 및 제 3 방법 등을 통해, 휴대폰(405) 및 디지털 TV(410)는 메시지 수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디지털 TV(410)는 휴대폰(405)의 SMS 메시지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고, 디지털 TV(4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425)에 사용자(400)의 휴대폰(405)에 SMS 메시지이 도착했다는 정보가 표시된다.
도 4e 및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이 발생한 장치 및 타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장치의 사용례를 도시한다.
디지털 TV(410)는 휴대폰(405)의 SMS 메시지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와 함께, SMS 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내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TV(410)는 알림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에 메시지 도착 알림 창(430)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SMS 메시지를 확인할지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400)가 디지털 TV(410)를 통해 알림 정보를 수신확인하면, 수신된 SMS 메시지 내용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TV(410)는 휴대폰(405)의 SMS 메시지 표시 창(435)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수신된 내용 정보의 SMS 메시지가 디지털 TV(410)에서 재생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포맷이 아니라면, 디지털 TV(410)는 재생 가능한 포맷의 데이터로 변경하여 SMS 메시지 표시 창(435)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의 관리 서버가 디지털 TV(410)에서 재생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경한 SMS 메시지 정보를 전송하고, 디지털 TV(410)가 포맷 변경된 SMS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여 SMS 메시지 표시 창(435)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휴대폰(405)이 디지털 TV(410)에서 재생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경한 SMS 메시지 정보를 전송하고, 디지털 TV(410)가 포맷 변경된 SMS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여 SMS 메시지 표시 창(435)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405)이 SMS 메시지와 같은 텍스트 기반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디지털 TV(410)가 재생할 수 있는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로 변경된 후 디지털 TV(41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휴대폰(405)가 MMS 메시지와 같이 이미지 또는 오디오가 혼합된 텍스트 기반의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작동 상태가 변경된 경우, 디지털 TV(410)가 재생할 수 있는 이미지, 오디오 및 텍스트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로 변경된 후 대상 디바이스에 표시될 수 있다.
디지털 TV(410)는 휴대폰(405)의 메시지 수신에 대한 알림 정보 또는 메시지 내용 정보를 수신하거나 표시를 완료한 후, 휴대폰(405)에 대해 사용자가 메시지 수신을 확인했음을 알릴 수 있다.
이상의 도 1, 2, 3a, 3b, 4a, 4b, 4c, 4d, 4e 및 4f를 참조하여 기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10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를 관리 제어하는 홈 서버와 같은 중앙 서버의 제어에 따라 작동될 수도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510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사용자의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에 등록함으로써 종속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면,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검색된다. 제 1 디바이스는 미리 구축된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 중 사용자가 현재 사용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한다.
사용자가 현재 사용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방법으로는, 디바이스에 대해 사용자의 현재 사용 상태 정보를 요청하거나, 디바이스의 작동 히스토리를 직접 분석하거나, 디바이스가 송출하고 있는 사용자의 현재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단계 530에서,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것으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해,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가 전송된다.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는 검색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제 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제 1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는 작동 상태 변경의 알림 정보와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의 내용 정보는, 제 1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 간 네트워크의 서버를 통해 제 2 디바이스에서 재생될 수 있는 포맷의 데이터로 변경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610 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제 1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단계 620 에서,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한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다.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검색 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가 현재 사용자가 사용 중인지 나타내는 정보를 송출할 수도 있으며, 제 1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에 직접 억세스하여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지 여부를 분석할 수도 있다.
단계 630에서,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알림 표시 창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크기, 위치, 깜박임 정도, 색상, 투명도 등의 표시 방식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를 알림 표시 창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 후, 사용자로부터 수신 확인 여부가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의 수신 확인 후,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내용이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의 내용 정보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에서 재생할 수 없는 포맷이라면,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 가능한 포맷의 데이터로 변경된 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 1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 간 네트워크의 서버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에서 재생될 수 있는 포맷의 데이터로 변경된 제 1 디바이스의 내용 정보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에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디바이스의 내용 정보가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재생할 수 있는 포맷의 데이터로 변경된 후 전송되고,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변경된 포맷의 내용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 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a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및 접근 가능한 네트워크의 종류를 도시한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이 발생한 장치 및 타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장치 간의 정보 교환을 위한 제 1 방법을 도시한다.
도 4b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이 발생한 장치 및 타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장치 간의 정보 교환을 위한 제 2 방법을 도시한다.
도 4c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이 발생한 장치 및 타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장치 간의 정보 교환을 위한 제 3 방법을 도시한다.
도 4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이 발생한 장치 및 타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e 및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이 발 생한 장치 및 타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장치의 사용례를 도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Claims (30)

  1.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가 변경된 후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시간 후,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하지 못한다면,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접근 가능한 공유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하지 못한다면,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접근 가능한 디바이스들의 리스트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게,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한다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현재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들에 대해,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있었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있었던 디바이스를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가 변경에 대한 알림 정보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표시하는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표시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경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재생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경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은, 메시지 수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13.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제 1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한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부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 1 디바이스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제 2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임이 인지되면,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디바이 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신호는, 현재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있었는지 여부,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센서 반응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표시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도시되는 위치 또는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알림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 터 수신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사용 중인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가 변경에 대한 알림 정보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표시하는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제 2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내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수신된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상기 수신된 내용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제 2 디바이스가 표시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포맷의 내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상기 수신된 내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내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재생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경된 후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은,
    상기 수신된 내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변경된 작동 상태에 관한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내용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서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재생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경된 후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은, 메시지 수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
  27.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및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
  28.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상기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 중 상기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한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타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정보 수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타 디바이스 작동 상태 변경 알림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
  29.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0. 제 13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의 타 디바이스 상태 변경 알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90104662A 2009-08-21 2009-10-30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 KR20110020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112012002243A BR112012002243A2 (pt) 2009-08-21 2010-08-20 método de notificar uma mudança de estado de operação de outro dispositivo, método de notificação de uma mudança de estado de operação de um dispositivo, dispositivo capaz de notificar uma mudança de estado de operação do mesmo, dispositivo capaz de notificar uma mudança de estado de operação de outro dispositivo, e meio de gravação legível por computador
PCT/KR2010/005535 WO2011021886A2 (en) 2009-08-21 2010-08-20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CN2010800371285A CN102484788A (zh) 2009-08-21 2010-08-20 能够通过网络通知其工作状态改变的设备和该设备的通信方法
RU2012106026/08A RU2587375C2 (ru) 2009-08-21 2010-08-20 Устройство, выполненное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уведомлять об изменении своего рабочего состояния через сеть, и способ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CA2769216A CA2769216A1 (en) 2009-08-21 2010-08-20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AU2010284795A AU2010284795B2 (en) 2009-08-21 2010-08-20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CN201610286387.0A CN105743753A (zh) 2009-08-21 2010-08-20 能够通过网络通知其工作状态改变的设备及其通信方法
MX2012000849A MX2012000849A (es) 2009-08-21 2010-08-20 Dispositivo capaz de notificar el cambio de estado de operacion del mismo a traves de una red y metodo de comunicacion del dispositivo.
EP10173738.5A EP2288122B1 (en) 2009-08-21 2010-08-23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US12/861,522 US8718638B2 (en) 2009-08-21 2010-08-23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TW104121510A TW201543944A (zh) 2009-08-21 2010-08-23 可經由網路通知操作狀態改變之裝置以及該裝置的通訊方法
JP2010186287A JP2011045083A (ja) 2009-08-21 2010-08-23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て作動状態変更お知らせが可能なデバイス及びその通信方法
EP20207426.6A EP3799404B1 (en) 2009-08-21 2010-08-23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TW099128109A TWI495383B (zh) 2009-08-21 2010-08-23 可經由網路通知操作狀態改變之裝置以及該裝置的通訊方法
ZA2012/01160A ZA201201160B (en) 2009-08-21 2012-02-16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US14/270,684 US9131065B2 (en) 2009-08-21 2014-05-06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US14/847,885 US9401982B2 (en) 2009-08-21 2015-09-08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US15/216,347 US10033849B2 (en) 2009-08-21 2016-07-21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US16/042,699 US10623550B2 (en) 2009-08-21 2018-07-23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US16/843,537 US10805450B2 (en) 2009-08-21 2020-04-08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873 2009-08-21
KR20090077873 2009-08-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311A Division KR20160114011A (ko) 2009-08-21 2016-09-19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146A true KR20110020146A (ko) 2011-03-02

Family

ID=4392953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662A KR20110020146A (ko) 2009-08-21 2009-10-30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
KR1020160119311A KR20160114011A (ko) 2009-08-21 2016-09-19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
KR1020180035440A KR20180033494A (ko) 2009-08-21 2018-03-27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311A KR20160114011A (ko) 2009-08-21 2016-09-19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
KR1020180035440A KR20180033494A (ko) 2009-08-21 2018-03-27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KR (3) KR20110020146A (ko)
CN (2) CN105743753A (ko)
AU (1) AU2010284795B2 (ko)
BR (1) BR112012002243A2 (ko)
CA (1) CA2769216A1 (ko)
MX (1) MX2012000849A (ko)
RU (1) RU2587375C2 (ko)
TW (2) TWI495383B (ko)
ZA (1) ZA201201160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9247B2 (en) 2010-04-13 2015-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KR20160038852A (ko) * 2014-09-30 201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699240B2 (en) 2012-01-03 2017-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uploading method and user terminal therefor, and associated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server therefor
KR20220119563A (ko) * 2014-05-23 2022-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4295A1 (en) 2013-09-05 2015-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d recommending device action using user context
KR102233602B1 (ko) * 2013-09-05 2021-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컨텍스트를 이용한 디바이스 동작의 설정 및 추천 방법 및 장치
CN106031137B (zh) * 2014-02-21 2018-07-31 Gn奈康有限公司 桌面电话***
CN105120085A (zh) * 2015-07-30 2015-12-02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Android设备与计算机同步通知的实现方法及***
AU2015414953C1 (en) * 2015-11-18 2020-01-30 Eizo Corporation Output control device, system,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4364B2 (ja) * 2004-04-22 2008-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知方法
JP4455171B2 (ja) * 2004-05-31 2010-04-21 株式会社東芝 家電機器情報通信システム
KR100725385B1 (ko) * 2004-08-14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통신을 이용한 컨텐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ITRN20060035A1 (it) * 2006-05-30 2007-11-30 Indesit Company Spa Eletrodomestico
US20080143517A1 (en) * 2006-12-14 2008-06-1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Alert the Hearing Impaired of Events Such as Incoming Telephone Calls
CN101304350B (zh) * 2007-05-11 2013-02-13 华为技术有限公司 访问家庭网络设备的方法、***和家庭网络接入设备
CN101325562B (zh) * 2008-06-18 2011-12-07 华为终端有限公司 家庭网络中消息应用方法、***及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9247B2 (en) 2010-04-13 2015-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US9699240B2 (en) 2012-01-03 2017-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uploading method and user terminal therefor, and associated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server therefor
KR20220119563A (ko) * 2014-05-23 2022-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038852A (ko) * 2014-09-30 201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95383B (zh) 2015-08-01
KR20160114011A (ko) 2016-10-04
RU2012106026A (ru) 2013-08-27
TW201543944A (zh) 2015-11-16
CN102484788A (zh) 2012-05-30
KR20180033494A (ko) 2018-04-03
RU2587375C2 (ru) 2016-06-20
TW201136430A (en) 2011-10-16
ZA201201160B (en) 2014-07-30
CN105743753A (zh) 2016-07-06
AU2010284795A1 (en) 2012-02-02
CA2769216A1 (en) 2011-02-24
BR112012002243A2 (pt) 2016-06-07
MX2012000849A (es) 2012-02-28
AU2010284795B2 (en)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5450B2 (en)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KR101698485B1 (ko)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
KR20110020146A (ko)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
EP2720435B1 (en) Media shar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media sharing thereof
AU2010318858A1 (en) Mobile terminal,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263782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
KR20130022224A (ko) 컨텐츠 공유 단말기
JP201113940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制御対象機器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0287951A (ja) 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コンテンツ視聴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視聴プログラム
CN110169107A (zh) 一种实现无线网络边缘计算的方法及装置
KR20100056630A (ko) 방송 채널 리스트 운용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