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063A - 란셋블록 및 란셋작동기 - Google Patents

란셋블록 및 란셋작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063A
KR20110017063A KR1020090074550A KR20090074550A KR20110017063A KR 20110017063 A KR20110017063 A KR 20110017063A KR 1020090074550 A KR1020090074550 A KR 1020090074550A KR 20090074550 A KR20090074550 A KR 20090074550A KR 20110017063 A KR20110017063 A KR 20110017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t
case
block
rota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섭
설부준
한만희
Original Assignee
(주)마이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마이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090074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7063A/ko
Priority to PCT/KR2010/003330 priority patent/WO2011019135A1/en
Priority to US12/894,593 priority patent/US20110040317A1/en
Publication of KR2011001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46Devices loaded with multiple lancets simultaneously, e.g. for serial firing without reloading, for example by use of stocking means.
    • A61B5/15148Constructional features of stocking means, e.g. strip, roll, disc, cartridge, belt or tube
    • A61B5/15157Geometry of stocking means or arrangement of piercing elements therein
    • A61B5/15174Piercing elements stocked in the form of a stack or p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175Adjustment of penetration depth
    • A61B5/150183Depth adjustment mechanism using end caps mounted at the distal end of the sampling device, i.e. the end-caps are adjustably positioned relative to the piercing device housing for example by rotating or 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412Pointed piercing elements, e.g. needles, lancets for piercing the skin
    • A61B5/150427Specific tip design, e.g. for improved penetration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412Pointed piercing elements, e.g. needles, lancets for piercing the skin
    • A61B5/150435Specific design of proximal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503Single-end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572Pierceable protectors, e.g. shields, caps, sleeves or films, e.g. for hygien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85Preventing re-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03Piercing procedure
    • A61B5/15107Piercing being assisted by a triggering mechanism
    • A61B5/15113Manually triggered, i.e. the triggering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such as pressing a drive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15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 A61B5/15117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comprising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or a spring, e.g. a helical spring, leaf spring, or elastic str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26Means for controlling the lancing movement, e.g. 2D- or 3D-shaped elements, tooth-shaped elements or sliding guides
    • A61B5/15128Means for controlling the lancing movement, e.g. 2D- or 3D-shaped elements, tooth-shaped elements or sliding guides comprising 2D- or 3D-shaped elements, e.g. cams, curved guide rails or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46Devices loaded with multiple lancets simultaneously, e.g. for serial firing without reloading, for example by use of stocking means.
    • A61B5/15148Constructional features of stocking means, e.g. strip, roll, disc, cartridge, belt or tube
    • A61B5/15149Arrangement of piercing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 A61B5/15151Each piercing element being stocked in a separate isolated compar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46Devices loaded with multiple lancets simultaneously, e.g. for serial firing without reloading, for example by use of stocking means.
    • A61B5/15148Constructional features of stocking means, e.g. strip, roll, disc, cartridge, belt or tube
    • A61B5/15149Arrangement of piercing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 A61B5/15153Multiple piercing elements stocked in a single compar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ome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란셋블록 및 란셋작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봉형상의 몸체(11) 하부에 형성된 바늘(13)과, 상기 몸체(11)의 측면에 소정 길이의 캠돌기(12)가 형성되어 있는 란셋(10); (B) 상기 란셋(10)을 상대적으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내장하며, 외부 일측에 멈춤돌기(21)가 형성되어 있는 통형상으로서, 상부 및 상기 란셋(10)의 캠돌기(12)에 대응되는 부분의 하면은 상기 란셋(10)의 상대적 하방향 이동시 파열되는 재질 또는 탄성적으로 확창수축되는 재질의 박막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바늘(13)에 의해 용이하게 파열되는 박막으로 형성된 란셋케이스(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채혈용 란셋블록과 이를 사용하기 위한 란셋작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란셋 디바이스(작동기)에 복수의 란셋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번거로운 란셋 교체 작업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사용된 란셋을 자동으로 배출하게 되므로, 하나의 란셋을 여러 번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된 란셋을 재장착하여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란셋을 일회용으로만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위생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채혈, 란셋, 란셋블록, 란셋작동기

Description

란셋블록 및 란셋작동기{Lancet Block and Lancet Device}
본 발명은 미세 혈액 채취를 위한 바늘과, 이 바늘을 장착하여 피부에 적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액 검사는 의료 진단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이며 정확한 검사법이다. 다양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 밀리리터의 혈액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하지만, 혈당 측정과 같이 단일 항목만 검사하기 위해서는 수 마이크로리터의 혈액이면 충분하다.
특히 당뇨병의 경우, 질병관리를 위해서는 매일 5회 이상의 혈액채취가 필요하기도 하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고통을 최소화하면서 이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란셋 및 란셋 디바이스(란셋작동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란셋은 금속 바늘을 플라스틱 외피가 감싸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무균성을 위해서 바늘 팁은 보호 덮개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데, 사용시 에 란셋을 란셋 디바이스에 장착하고 팁 보호 덮개를 제거하게 된다. 란셋 디바이스는 란셋 바늘 팁이 개구부를 통해서 빠르게 돌출되었다가 후퇴하는 운동을 할 수 있게 작동하는 장치이다.
한편 란셋은 세균감염이나 혈액질병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회용으로 이용되어야 하지만 란셋을 매회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복잡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란셋을 교체하지 않고 수 회 재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란셋을 교체할 때에 사용된 란셋 바늘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부주의하여 찔릴 수 있으며, 버려진 란셋을 처리하는 작업자도 상해의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유럽특허 0,565,970과 미국특허 4,442,836에서는 사용한 란셋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란셋디바이스를 고안하였으나 배출된 팁이 보호되지 않아서 바늘에 의한 상해의 위험이 있다. 한편, 유럽특허 0,595,148과 미국특허 5,454,828등에서는 란셋을 케이스 캡으로 보호하여 배출하는 방식과, 유럽특허 0,630,609와 독일특허 1,0312,357(한국특허 0,669,869)에서는 재사용을 방지하는 구조의 란셋을 고안하여 부주의한 사용자가 이미 한번 배출된 바늘을 재삽입하여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 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들 란셋 및 란셋 디바이스는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새로운 란셋을 장착하는 작업이 복잡하여 이용의 편의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란셋을 일시에 장착하여 하나씩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란셋블록 및 란셋작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된 란셋의 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팁에 의한 상해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란셋블록 및 란셋작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된 란셋을 자동으로 배출하여 란셋을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란셋블록 및 란셋작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란셋의 사용/배출시에 란셋을 재장착할 수 없도록 변형시킴으로써 란셋을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란셋블록 및 란셋작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란셋(10)이 란셋케이스(20)에 내장되어 있는 란셋블록(100) 및 란셋수용체(30), 회전구동체(40), 케이스(50) 및 장전버튼(60) 등으로 구성된, 상기 란셋블록(100)을 사용하기 위한 란셋작동기(200)에 관한 것이다.
(A) 본 발명에 의한 란셋블록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a) 봉형상의 몸체(11) 하부에 형성된 바늘(13)과, 상기 몸체(11)의 측면에 소정 길이의 캠돌기(12)가 형성되어 있는 란셋(10) 및
(b) 상기 란셋(10)을 상대적으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내장하며, 외부 일측에 멈춤돌기(21)가 형성되어 있는 통형상으로서, 상부 및 상기 란셋(10)의 캠돌기(12)에 대응되는 측면은 상기 란셋(10)의 상대적 하방향 이동시 파열되는 재질 또는 탄성 재질의 박막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바늘(13)에 의해 용이하게 파열되는 박막으로 형성된 란셋케이스(20).
(B) 본 발명에 의한 란셋작동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a) 내부에 상기 란셋블록이 하나 또는 복수개 종으로 삽입되어 회전불가능하게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란셋블록이동공간(33)이 종으로 관통형성되어 있고, 하부 말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는 그의 외경이 상부의 외경보다 작으며, 상기 란셋블록의 캠돌기(1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하로 캠돌기노출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기 회전구동체(40)의 내부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내접삽입되고, 하기 케이스(50)와 고정결합되는 란셋수용체(30),
(b) 상기 란셋수용체(30)가 내접삽입되고, 상부 말단에는 하기 장전버튼(60)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외접삽입되며, 상기 란셋수용체(30)의 캠돌기노출홈(32)에 대응되는 하부 말단에는 캠돌기노출홈(32)을 통해 돌출된 상기 란셋블록의 캠돌기(12)가 삽입되어 란셋이 하방향(피부침투)→상방향(피부이탈)→하방향(배출)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캠돌기유도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면 일측에는 상기 란 셋블록의 멈춤돌기(21)의 하방향 이동을 일시 방지시키는 차단돌기(4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돌기유도홈(42)과 이격된 상부 외면에는 탄성있는 장전유지돌기(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에 하기 케이스(50)의 지지격벽(54)에 수용되는 지지턱(43)이 있어 종방향 이동은 제한되고, 하기 장전버튼(60)이 상하이동에 따라 회전은 가능하도록 내장되는 원통형상의 회전구동체(40),
(c) 내부에 상기 회전구동체(40)의 지지턱(43)을 수용하는 지지격벽(5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구동회전체가 종방향 이동은 제한되고 회전은 가능하도록 내장되고, 상기 란셋수용체와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상부 말단은 하기 장전버튼(60)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내접삽입되고, 상기 회전구동체(40)의 장전유지돌기(41)의 장전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홈(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홈(52)에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구동버튼(51)이 설치된 통형상의 케이스(50),
(d) 상기 케이스(50) 상부 말단과 상기 회전구동체(40)의 상부 말단 사이에 종방향 이동만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고, 종방향 이동시 상기 회전구동체(40)를 회전시키는 장전버튼(60),
(e) 상기 케이스(50)의 지지턱(43)과 상기 장전버튼(60) 사이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하부로 밀려진 장전버튼(6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상하복귀스프링(55)과, 상기 케이스(50)의 지지격벽(54)과 상기 회전구동체(40)의 지지턱(43) 사이에 설치되고, 일측 말단은 케이스(50)에, 타측 말단은 회전구동체(40)에 고정되어 있어 외력에 의해 회전되었던 회전구동체(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회전복귀스프링(56).
본 발명에 의하면, 란셋작동기(디바이스)에 복수의 란셋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번거로운 란셋 교체 작업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된 란셋을 자동으로 배출하게 되므로, 하나의 란셋을 여러 번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된 란셋을 재장착하여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란셋을 일회용으로만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위생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란셋작동기에 란셋을 장착할 때나 사용 후에 란셋의 바늘(13) 팁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늘 팁에 의한 상해 및 그로 인한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고분자 재질의 란셋 바늘 팁을 사용함으로써 제작 공정을 간소화하여 제품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 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도면에서는 란셋 몸체(11), 란셋케이스(20), 란셋블록(100)을 사각통 형상으로 표현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원통 형상 또는 다른 다각통 형상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란셋(A)과 란셋케이스(B)의 예시도이며, 도 2는 란셋(10)과 란셋케이스(20)가 결합된 란셋블록(100)의 단면 예시도이다. 참고로,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에는 각 부분들의 크기나 길이가 일부 과장되게 도시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에서, 란셋(10)은 봉형상의 몸체(11) 하부에 형성된 바늘(13)과, 상기 몸체(11)의 측면에 소정 길이의 캠돌기(1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캠돌기(12)의 외경은 란셋수용체(30)의 캠돌기노출홈(32)의 폭 및 구동회전체의 캠돌기유도홈(42)의 폭에 대응된다. 캠돌기(12)의 길이는 구동회전체의 캠돌기유도홈(42)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이다. 즉, 캠돌기(12) 길이는 란셋수용체(30)에서 캠돌기노출홈(32)을 통과할 때는 외부로 돌출되어 회전구동체(40)의 캠돌기유도홈(42)에 걸쳐질 수 있으면 충분하다.
상기 란셋(10)은 종래의 란셋과 마찬가지로 금속바늘의 둘레에 플라스틱 외피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사출성형 시에 바늘의 음각 형상이 있는 금형을 이용하여 생체 적합성 열가소성 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바늘을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강도가 약한 범용 플라스틱인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나 PMMA(Poly methyl methacrylate)등 보다는 강도가 높고 생체적합성 특성이 있는 PEEK(polyetheretherketone)나 PEI(Polyetherimide) 등과 같은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란셋은 멸균상태로 포장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란셋 사용시에 대기 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 전에 완벽한 멸균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란셋의 오염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란셋이 하나의 란셋케이스(20)에 내장된 란셋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란셋케이스(20)는, 란셋(10)이 상대적으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있다. 란셋케이스(20)의 형상은 제한이 없으나, 다각통형상 또는 원통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란셋케이스(20)는 궁극적으로 란셋수용체(30)의 란셋블록이동공간(33)에 길이방향으로 삽입/이동되어야 하므로, 란셋케이스(20)의 종단면 형상은 란셋블록이동공간(33)의 종단면 형상에 대응되어야 한다(그러나 반드시 일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에 의한 란셋작동기 작동시에 란셋케이스(20)는 잠시 상하이동이 중지되고 내부의 란셋만 상하이동되는 시점이 있다. 이 단계를 위해, 란셋케이스(20)의 외부 일측에 멈춤돌기(21)가 형성된다. 멈춤돌기(21)의 위치 및 크기는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란셋케이스(20)의 상부 및 란셋(10)의 캠돌기(12)를 수용하는 부분의 하면은 란셋(10)의 상대적 하방향 이동시 쉽게 파열되는 재질이거나, 탄성적으로 확장수축되는 재질의 박막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바늘(13)에 의해 용이하게 파열되는 박막으로 형성된다. 란셋케이스(20)의 측면이 탄성 재질인 경우, 란셋(10)의 상대적 하방이동 압력이 사라지면 탄성복귀력에 의해 란셋(10)을 처음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란셋케이스(20)의 측면이 탄성재질이 아닌 경우, 상기 란셋케이스(20)의 내부에 상대적으로 하방향으로 내려온 란셋(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22)을 추가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란셋은 피부에 적용하기 직전까지 란셋케이스(20) 내부에 머무르게 되므로 멸균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부주의한 사용자가 배출된 란셋을 재장착하여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의 구조를 란셋케이스(20)에 추가할 수도 있다. 즉, 란셋케이스(20)의 멈춤돌기(21) 하부에 압력에 의해 파열되거나 변형되어 상기 란셋수용체(30)에 재삽입이 불가능 상태가 되는 재사용방지부(23)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예시적으로 재사용방지부(23)가 추가된 란셋블록의 사용전(A) 및 사용후(B) 상태를 사시도로 표현하였다. 란셋블록이 최하점을 지날 때, 재사용방지부(23)가 차단돌기(45)에 의해 접히게 되어 단면적이 증가하므로 란셋수용체에 삽입이 불가능하게 변형된다. 도 3에는 접히게 되는 링형상의 재사용방지부(23)가 제시되어 있지만, 차단돌기(45)에 의해 변형되는 'ㅅ'자 형태의 것 등 다양한 응용형태가 가능 할 것이다. 또한 변형되는 형태는 접히는 방식이 될 수도 있고, 일부분이 찢어지거나 부러져서 넓어지는 방식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재사용방지부(23)는 멈춤돌기(21) 하부 뿐 아니라 란셋(10)의 캠돌기(12)를 수용하는 부분이나 그 주변부분의 변형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15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란셋작동기의 구성부품 중 란셋수용체의 사시도(도 4), 회전구동체(40)의 사시도(도 5), 회전구동체(40)의 캠돌기유도홈(42)이 형성된 하부 말단부분의 사시도(도 6 (A), (B)), 회전구동체(40)의 캠돌기유도홈(42)이 형성된 하부 말단부분의 펼친 평면도(도 7), 회전구동체(40)의 캠돌기유도홈(42)이 형성된 하부 말단부분 내면의 차단돌기(45)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도 8), 케이스(50)의 사시도 및 단면도(도 9), 장전버튼(60)의 사시도(도 10), 모든 구성부품이 조립된 란셋작동기의 단면도(도 11), 본 발명에 의한 란셋작동기의 장전버튼 작동단계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도 12), 란셋작동기의 역회전시(A) 및 정회전시(B) 회전구동체(40)의 캠돌기유도홈(42) 부분 및 란셋블록의 상태를 보여주는 흐름도(도 13), 란셋작동기의 역회전시 캠돌기유도홈(42)의 하꼭지점에서의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도 14) 및 사용후 최종적으로 배출된 란셋블록의 단면도(도 15)이다.
본 발명에서 란셋수용체(30)는, 내부에 상기 란셋블록을 하나 또는 복수개 수용하면서 구동회전체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내부에 상기 란셋블록이 하나 또는 복수개 종으로 삽입되어 회전은 제한되고 종방향 이동은 가능하도록 하는 란셋블록이동공간(33)이 종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란셋수용체의 하부 말단은 외경이 작게 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상기 란셋블록의 캠돌기(12)와 멈춤돌기(2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하로 캠돌기노출홈(32)과 멈춤돌기노출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단, 도면에서는 캠돌기노출홈(32)과 멈춤돌기노출홈(34)이 모두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멈춤돌기노출홈(34)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란셋수용체(30)는 회전구동체(40)의 내부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내접삽입되고, 하기 케이스(50)와 고정결합되어 있다. 케이스(50)와의 결합부위는 반드시 일정한 부분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도면에는 하부 말단부의 결합돌기(31)를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란셋케이스(20)는 궁극적으로 란셋수용체(30)의 란셋블록이동공간(33)에 길이방향으로 삽입/이동되어야 하므로, 란셋블록이동공간(33)의 종단면 형상과 란셋케이스(20)의 종단면 형상은 서로 대응되어야 하지만, 반드시 일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란셋블록이동공간(33)의 종단면은 란셋케이스(20)의 캠돌기(12)가 홈에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란셋수용체의 상부 말단에는, 내장된 란셋블록을 하부로 밀어주는 스프링과 뚜껑이 추가되는 것도 좋다.
본 발명에서 회전구동체(40)는 란셋수용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복귀하면서 란셋블록의 바늘(13)이 외부로 돌출되었다가 내부로 다시 복귀하도록 란셋블록 을 상하이동하게 하고, 사용된 란셋블록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회전구동체(40)의 상부 말단에는 장전버튼(60)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외접삽입되고, 하기 장전버튼(60)이 상하이동하는 상부 말단에는 나선형 회전유도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회전유도홈(4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절개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캠돌기유도홈(42)과 상기 나선형 회전유도홈(44) 사이에는 탄성있는 장전유지돌기(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에 하기 케이스(50)의 지지격벽(54)에 수용되는 지지턱(43)이 있어 하기 케이스(50)의 종방향 이동은 제한되고 회전은 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있다. 도 5에는 지지턱(43)이 2개인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지지턱의 개수와 위치는 변형이 가능하다.
회전구동체(40)의 내부에 상기 란셋수용체가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내접삽입되는데, 란셋수용체의 하부 말단의 외경이 상부의 외경보다 작으므로, 회전구동체(40)의 하부 말단의 내경이 상부의 내경보다 작게 된다.
상기 란셋수용체의 캠돌기노출홈(32)에 대응되는 하부 말단에는 캠돌기노출홈(32)을 통해 돌출된 상기 란셋블록의 캠돌기(12)가 삽입되어 회전구동체(40)의 회전과 복귀에 따라 란셋(10)이 하방향(피부침투)→상방향(피부이탈)→하방향(배출)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캠돌기유도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돌기유도홈(4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형성될 수도 있고, 내면에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캠돌기유도홈(42)은 란셋블록의 캠돌기(12)가 이동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 어 있고, 입구~하꼭지점~상꼭지점~출구로 이루어지는데, 캠돌기유도홈(42)의 입구는 란셋수용체의 캠돌기노출홈(32)의 상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캠돌기유도홈(42)의 출구는 케이스(50)의 하부말단으로 열려져 있다(도 5, 도 6 참조). 입구~하꼭지점~상꼭지점의 홈이 'V'자 형상을, 상꼭지점~출구의 홈은 상꼭지점에서 하꼭지점으로 향하는 사선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캠돌기유도홈(42)에서, 하꼭지점~상꼭지점의 홈과 상꼭지점~출구의 홈 사이의 벽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이고, 하꼭지점~상꼭지점의 홈에서 상꼭지점 부근의 폭이 캠돌기(12)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직전에 사용된 란셋블록이 다시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입구~하꼭지점 사이를 '전진유도부', 하꼭지점~상꼭지점 사이를 '후퇴유도부', 상꼭지점~출구 사이를 '배출유도부', 후퇴유도부와 배출유도부 사이의 벽을 '탄성지지대'라 칭한다.
회전구동체(40)의 내면 일측에는 하강하는 란셋블록의 멈춤돌기(21)가 걸려서 란셋블록의 하방향 이동을 일시 방지시키는 차단돌기(45)가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이에 따라 란셋케이스(20)는 잠시 상하이동이 중지되고 내부의 란셋(10)만 상하이동되는 것이다. 란셋케이스(20)에 재사용방지부(23)가 추가되어 있는 경우, 이 단계에서 재사용방지부(23)의 변형이 일어난다.
본 발명에서 케이스(50)는, 내부에 상기 회전구동체(40)의 지지턱(43)을 수 용하는 지지격벽(5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구동회전체가 종방향 이동은 제한되고 회전은 가능하도록 내장되고, 상기 란셋수용체와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상부 말단은 하기 장전버튼(60)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내접삽입되고, 내부면에 장전버튼(6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방지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구동체(40)의 장전유지돌기(41)의 장전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홈(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홈(52)에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구동버튼(51)이 설치되어 있다(도 9 참조).
본 발명에서 장전버튼(60)은, 상기 케이스(50) 상부 말단과 상기 회전구동체(40)의 상부 말단 사이에 종방향 이동만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50)의 회전방지홈(53)에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방지돌기(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종방향 이동시 상기 회전구동체(40)의 회전유도홈(44)을 밀어주는 회전유도돌기(61)가 상기 회전유도홈(44)에 대응되는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본 발명에서 상하복귀스프링(55)은, 상기 케이스(50)의 지지턱(43)과 상기 장전버튼(60) 사이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하부로 밀려진 장전버튼(6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하며, 회전복귀스프링(56)은 상기 케이스(50)의 지지격벽(54)과 상기 회전구동체(40)의 지지턱(43) 사이에 설치되고, 일측 말단은 케이스(50)에, 타측 말단은 회전구동체(40)에 고정되어 있어 외력에 의해 회전되었던 회전구동체(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한다(도 11, 도 12 참조).
란셋블록 바늘(13)의 피부 침투 깊이는 바늘(13) 길이를 다르게 하여 조절할 수도 있으며, 종래의 란셋디바이스처럼 란셋개구부에 침투깊이 조절용 캡을 구성하여 조절할 수도 있다(도시 생략).
도면의 설명에서는 장전버튼(60)의 회전방지를 위해 장전버튼(60)의 외부 일측에 회전방지돌기(62)를, 이에 대응되는 케이스(50)의 내측에 회전방지홈(53)을 형성한 구조 및 장전버튼(60)의 하방향 이동에 따른 회전구동체(40)의 회전을 위해 회전구동체(40)의 상부 말단에 회전유도홈(44)을, 이에 대응되는 장전버튼(60)의 내측에 회전유도돌기(61)를 형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상대적 위치가 바뀌더라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란셋작동기에서는, 상기 케이스(50)와 장전버튼(60)이 접하는 일측에는 회전방지를 위한 회전방지홈(53) 및 회전방지돌기(6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구동체(40)와 장전버튼(60)이 접하는 면에는 장전버튼(60)의 하방향 이동에 따라 회전구동체(40)가 회전되도록 나선형 회전유도홈(44) 및 회전유도돌기(6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란셋작동기(200)가 작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도 12~14 참조). 아래에서 '정회전'과 '역회전'은 서로 반대방향의 회전을 의미하며, 각각 회전구동체(40)가 외력에 의한 회전을 '정회전', 회전 복귀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한 복귀회전을 '역회전'이라 칭한다.
본 발명에 의한 란셋작동기(2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 구조로 구성된다. 란셋수용체(30)는 케이스(50)에 고정결합되고, 회전구동체(40)는 케이스(50)와 란셋수용체(30) 사이에 상대적으로 정회전-역회전 가능하도록 개재된다. 장전버튼(60)은 외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외력이 없어지면 상하복귀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장전버튼(60)이 외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장전버튼(60)의 회전유도돌기(61)와 회전구동체(40)의 회전유도홈(44)의 작용에 의해 회전구동체(40)가 소정 각도만큼 정회전한다(도 12). 회전구동체(40)가 정회전하면 회전구동체(40)의 탄성있는 장전유지돌기(41)가 케이스(50)의 관통홈(52)에 걸리면서 회전구동체(40)의 회전이 중지되고, 회전구동체(40)는 회전복귀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역회전)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장전상태). 이때 케이스(50)의 구동버튼(51)에 외압이 가해지면 장전유지돌기(41)가 관통홈(52)으로부터 밀려나면서 회전구동체(40)는 회전복귀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역회전하여 복귀(복귀상태,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평상상태라고도 볼 수 있음)된다.
하나 또는 복수개의 란셋블록이 란셋수용체의 상부로부터 종방향으로 장착된다. 장착된 란셋블록은 중력에 의해 또는 용수철 및 뚜껑(미도시)과 같이 란셋수용체 내의 란셋블록을 밀수 있는 장치에 의해 하방향으로 차례로 이동될 수 있다. 란셋블록이 장착된 상태에서 위의 과정이 실행되면, 장전상태에서 복귀상태 사이에서 바늘(13)이 하방향(피부침투)→상방향(피부이탈)으로 운동하면서 피부를 천공하 게 되므로, 이 과정을 '천공과정'이라 한다.
조립된 란셋작동기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평상상태(복귀상태)의 경우, 회전구동체(40)의 캠돌기유도홈(42) 상꼭지점은 란셋수용체의 캠돌기노출홈(32)의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되고, 장전버튼(60)에 외력이 가해져 회전구동체(40)의 장전유지돌기(41)가 케이스(50)의 관통홈(52)에 걸린 상태인 장전상태에서는 회전구동체(40)의 캠돌기유도홈(42) 입구가 란셋수용체의 캠돌기노출홈(32)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란셋수용체의 캠돌기노출홈(32)과 회전구동체(40)의 캠돌기유도홈(42)이 위치하는 하부 말단 영역에서 하나의 란셋블록의 캠돌기(12)는 캠돌기노출홈(32)과 캠돌기유도홈(42)에 항상 동시에 삽입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란셋블록이 장착되어 있으면, 장전상태에서는 캠돌기유도홈(42) 입구가 란셋수용체의 캠돌기노출홈(32)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가장 아래에 있는 란셋블록의 캠돌기(12)가 캠돌기유도홈(42)의 입구에 걸쳐지게 된다. 란셋수용체는 케이스(5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장전된 란셋블록은 회전구동체(40)가 역회전함에 따라 캠돌기유도홈(42)의 전진유도부의 수직거리만큼 하부로 수직이동(이때 바늘이 피부침투)하였다가 후퇴유도부의 수직거리만큼 다시 상부로 수직이동(이때 바늘이 피부이탈)한 다음 후퇴유도부에서 배출유도부측의 상꼭지점 위치로 넘어가게 된다. 이때 배출유도부로 완전히 넘어온, 이미 사용된 란셋블록이 재장전시에 후퇴유도부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캠돌기유도홈(42)에서, 하꼭지점~상꼭지점의 홈과 상꼭지점~출구의 홈 사이의 벽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이고, 하꼭지점~상꼭지점의 홈에서 상꼭지점 부근의 폭이 캠돌기(12)의 외경보다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귀상태에서는, 사용된 란셋블록(의 캠돌기)은 캠돌기유도홈(42)의 배출유도부측 상꼭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장전버튼(60)에 외력을 가하여 장전상태가 되는 과정에서, 또는 장전상태 직전까지 진행되면 회전구동체(40)가 정회전하게 되고, 상꼭지점 부분에 있던 란셋블록(의 캠돌기)은 배출유도부를 따라 다시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궁극적으로 출구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을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란셋블록이 란셋수용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전버튼(60)을 누르면 회전유도돌기(61)가 회전유도홈(44)의 경사면을 누르기 때문에 회전구동체(40)가 정회전하고, 장전유지돌기(41)가 구동버튼(51) 아래의 관통홈(52)에 고정되어 장전상태를 유지한다. 장전버튼(60)은 상하복귀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가며, 란셋수용체에 있는 란셋블록 중에서 한 개가 회전유도홈(44)의 입구부에 위치하게 된다. 장전상태에서 구동버튼(51)을 누르면 장전유지돌기(41)가 관통홈(52)에서 빠지고, 회전복귀스프링에 의해서 회전구동체(40)는 원래의 위치로 빠르게 복원하는 역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이 때 란셋블록의 캠돌기(12)가 캠돌기유도홈(42)을 따라서 운동하기 때문에, 란셋블록의 바늘(13)이 피부를 찌를 수 있도록 하방향 이동한 후 바로 상방향으로 후퇴된다. 사용된 란셋블록은, 다음 장전과정 또는 장전버튼(60)을 반 정도만 누르는 과정에서 캠돌기(12)가 배출유도부를 따라서 이동하므로 란셋작동기의 하부말단 개구부로 배출된다.
한편, 회전유도체 내부의 차단돌기(45)는, 캠돌기(12)가 캠돌기유도홈(42)의 전진유도부 중간 정도를 지날 때 란셋케이스(20)의 멈춤돌기(21)에 맞닿아 란셋케이스(20)의 이동을 중지시키고 란셋(10)만 이동하게 하였다가, 차단돌기(45)가 배출유도부를 지날 때에는 멈춤돌기(21)에 맞닿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캠돌기(12)가 전진유도부를 따라 하부로 이동할 때의 멈춤돌기(21)가 위치하는 바로 하부에 차단돌기(45)를 형성시키면, 캠돌기(12)가 배출유도부를 따라 하부로 이동할 때는 회전구동체(40)가 회전되어 있어 더 이상 멈춤돌기(21)가 차단돌기(45)에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란셋케이스(20)가 후퇴유도부를 지날 때는 자체 탄성에 의해서 또는 란셋(10) 복귀용 스프링에 의해서 란셋(10)은 케이스(50) 내에서 원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바늘(1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태로 배출되는 사용된 란셋(10)은 바늘(1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바늘(13) 팁에 의한 상해 및 그로 인한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란셋(A)과 란셋케이스(B)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란셋과 란셋케이스가 결합된 란셋블록의 단면 사시 도.
도 3은 재결합방지부가 추가된 란셋케이스의 사용전(A) 및 사용후(B)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란셋작동기의 구성부품 중 란셋수용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란셋작동기의 구성부품 중 회전구동체의 사시도.
도 6은 회전구동체의 캠돌기유도홈이 형성된 하부 말단부분의 사시도.
도 7은 회전구동체의 캠돌기유도홈이 형성된 하부 말단부분의 펼친 평면도.
도 8은 회전구동체의 캠돌기유도홈이 형성된 하부 말단부분 내면의 차단돌기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란셋작동기의 구성부품 중 케이스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란셋작동기의 구성부품 중 장전버튼의 사시도.
도 11은 모든 구성부품이 조립된 란셋작동기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란셋작동기의 장전버튼 작동단계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란셋작동기의 역회전시(A) 및 정회전시(B) 회전구동체의 캠돌기유도홈 부분 및 란셋블록의 상태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14는 란셋작동기의 역회전시 캠돌기유도홈의 하꼭지점에서의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도 15는 사용후 최종적으로 배출된 란셋블록의 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란셋
11 : 몸체 12 : 캠돌기 13 : 바늘
20 : 란셋케이스
21 : 멈춤돌기 22 : 스프링 23 : 재사용방지부
30 : 란셋수용체
31 : 결합돌기 32 : 캠돌기노출홈
33 : 란셋블록이동공간 34 : 멈춤돌기노출홈
40 : 회전구동체
41 : 장전유지돌기 42 : 캠돌기유도홈 43 : 지지턱
44 : 회전유도홈 45 : 차단돌기
50 : 케이스
51 : 구동버튼 52 : 관통홈 53 : 회전방지홈
54 : 지지격벽 55 : 상하복귀스프링
56 : 회전복귀스프링
60 : 장전버튼
61 : 회전유도돌기 62 : 회전방지돌기
100 : 란셋블록
200 : 란셋작동기

Claims (12)

  1. (A) 봉형상의 몸체(11) 하부에 형성된 바늘(13)과, 상기 몸체(11)의 측면에 소정 길이의 캠돌기(12)가 형성되어 있는 란셋(10);
    (B) 상기 란셋(10)을 상대적으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내장하며,
    외부 일측에 멈춤돌기(21)가 형성되어 있는 통형상으로서,
    상부 및 상기 란셋(10)의 캠돌기(12)에 대응되는 부분의 하면은 상기 란셋(10)의 상대적 하방향 이동시 파열되는 재질 또는 탄성적으로 확창수축되는 재질의 박막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바늘(13)에 의해 용이하게 파열되는 박막으로 형성된 란셋케이스(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채혈용 란셋블록(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란셋케이스(20)의 내부에는, 상대적으로 하방향으로 내려온 란셋(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22)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용 란셋블록(10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란셋케이스(20)의 멈춤돌기(21) 하부에 압력에 의해 파열되거나 변형되는 재사용방지부(23)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용 란셋블록(100).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란셋케이스(20)는 다각통형상 또는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용 란셋블록(100).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란셋(10)은 생체 적합성 열가소성 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용 란셋블록(100).
  6. 제 1 항에 의한 란셋블록(100)을 사용하기 위한 란셋작동기(200)로서,
    (A) 내부에 상기 란셋블록이 하나 또는 복수개 종으로 삽입되어 회전불가능하게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란셋블록이동공간(33)이 종으로 관통형성되어 있고,
    하부 말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는 그의 외경이 상부의 외경보다 작으며, 상기 란셋블록의 캠돌기(1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하로 캠돌기노출홈(32)이 형성되 어 있으며,
    하기 회전구동체(40)의 내부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내접삽입되고, 하기 케이스(50)와 고정결합되는 란셋수용체(30);
    (B) 상기 란셋수용체(30)가 내접삽입되고,
    상부 말단에는 하기 장전버튼(60)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외접삽입되며,
    상기 란셋수용체(30)의 캠돌기노출홈(32)에 대응되는 하부 말단에는 캠돌기노출홈(32)을 통해 돌출된 상기 란셋블록(100)의 캠돌기(12)가 삽입되어 란셋(10)이 하방향(피부침투)→상방향(피부이탈)→하방향(배출)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캠돌기유도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면 일측에는 상기 란셋블록(100)의 멈춤돌기(21)의 하방향 이동을 일시 방지시키는 차단돌기(4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돌기유도홈(42)과 이격된 상부 외면에는 탄성있는 장전유지돌기(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에 하기 케이스(50)의 지지격벽(54)에 수용되는 지지턱(43)이 있어 종방향 이동은 제한되고, 하기 장전버튼(60)이 상하이동에 따라 회전은 가능하도록 내장되는 원통형상의 회전구동체(40);
    (C) 내부에 상기 회전구동체(40)의 지지턱(43)을 수용하는 지지격벽(5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구동회전체가 종방향 이동은 제한되고 회전은 가능하도록 내장되고,
    상기 란셋수용체와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상부 말단에는 하기 장전버튼(60)이 회전은 제한되고 상하이동은 가능하도록 내접삽입되고,
    상기 회전구동체(40)의 장전유지돌기(41)의 장전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홈(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홈(52)에 탄성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구동버튼(51)이 설치된 통형상의 케이스(50);
    (D) 상기 케이스(50) 상부 말단과 상기 회전구동체(40)의 상부 말단 사이에 종방향 이동만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고,
    종방향 이동시 상기 회전구동체(40)를 회전시키는 장전버튼(60);
    (E) 상기 케이스(50)의 지지턱(43)과 상기 장전버튼(60) 사이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하부로 밀려진 장전버튼(6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상하복귀스프링(55)과,
    상기 케이스(50)의 지지격벽(54)과 상기 회전구동체(40)의 지지턱(43) 사이에 설치되고, 일측 말단은 케이스(50)에, 타측 말단은 회전구동체(40)에 고정되어 있어 외력에 의해 회전되었던 회전구동체(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회전복귀스프링(56);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란셋작동기(20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와 장전버튼(60)이 접하는 일측에는 회전방지를 위한 회전방지홈(53) 및 회전방지돌기(6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구동체(40)와 장전버튼(60)이 접하는 면에는 장전버튼(60)의 하방향 이동에 따라 회전구동체(40)가 회전되도록 나선형 회전유도홈(44) 및 회전유도돌기(61)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작동기(200).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란셋수용체에서 란셋블록이동공간(33)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란셋블록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작동기(200).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체(40)에서 캠돌기유도홈(42)의 입구는 상기 란셋수용체의 캠돌기노출홈(32)의 상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출구는 케이스(50)의 하부말단으로 열려져 있고,
    입구~하꼭지점~상꼭지점의 홈이 'V'자 형상을, 상꼭지점~출구의 홈은 상꼭지점에서 하꼭지점으로 향하는 사선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작동기(20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캠돌기유도홈(42)에서, 하꼭지점~상꼭지점의 홈과 상꼭지점~출구의 홈 사이의 벽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이고,
    하꼭지점~상꼭지점의 홈에서 상꼭지점 부근의 폭이 캠돌기(12)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작동기(200).
  11.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란셋수용체의 상부 말단에는, 내장된 란셋블록을 하부로 밀어주는 스프링과 뚜껑이 추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작동기(200).
  12.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의 하부 말단에는 상기 바늘(13)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침투길이조절캡이 추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작동기(200).
KR1020090074550A 2009-08-13 2009-08-13 란셋블록 및 란셋작동기 KR20110017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550A KR20110017063A (ko) 2009-08-13 2009-08-13 란셋블록 및 란셋작동기
PCT/KR2010/003330 WO2011019135A1 (en) 2009-08-13 2010-05-26 Lancet block and lancet activating device
US12/894,593 US20110040317A1 (en) 2009-08-13 2010-09-30 Lancet block and lancet activ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550A KR20110017063A (ko) 2009-08-13 2009-08-13 란셋블록 및 란셋작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063A true KR20110017063A (ko) 2011-02-21

Family

ID=4358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550A KR20110017063A (ko) 2009-08-13 2009-08-13 란셋블록 및 란셋작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040317A1 (ko)
KR (1) KR20110017063A (ko)
WO (1) WO20110191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1620A2 (en) 2009-03-02 2010-09-10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using suction blisters or other pooled regions of fluid within the skin
US9295417B2 (en) * 2011-04-29 2016-03-29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fluid from a subject
US20130158482A1 (en) 2010-07-26 2013-06-20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Rapid delivery and/or receiving of fluids
US20120039809A1 (en) 2010-08-13 2012-02-16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Systems and techniques for monitoring subjects
US8647357B2 (en) 2011-02-05 2014-02-11 Birch Narrows Development Llc Lancet device with flexible cover
DE102011015590B4 (de) * 2011-03-30 2015-11-19 Gerresheimer Regensburg Gmbh Stechhilfe mit mindestens einer Lanzette zur Gewinnung von Körperflüssigkeiten
US20130158468A1 (en) 2011-12-19 2013-06-20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Delivering and/or receiving material with respect to a subject surface
EP3236259A1 (en) 2011-04-29 2017-10-25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Plasma or serum production and removal of fluids under reduced pressure
WO2012149143A1 (en) 2011-04-29 2012-11-01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Delivering and/or receiving fluids
US9237866B2 (en) 2013-04-29 2016-01-19 Birch Narrows Development, LLC Blood glucose management
WO2015006286A1 (en) * 2013-07-08 2015-01-15 Facet Technologies, Llc Lancet rjection and advancement mechanism for multi-lancet cartridge
CN109938746B (zh) * 2019-03-29 2021-10-15 西安医学院 一种高安全性穿刺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1211A1 (de) * 1980-03-22 1981-10-01 Clinicon Mannheim GmbH, 6800 Mannheim Blutlanzettenvorrichtung zur entnahme von blut fuer diagnosezwecke
US5454828A (en) * 1994-03-16 1995-10-03 Schraga; Steven Lancet unit with safety sleeve
DE10223558A1 (de) * 2002-05-28 2003-12-11 Roche Diagnostics Gmbh Blutentnahmesystem
GB2422784A (en) * 2005-02-07 2006-08-09 Caretek Medical Ltd Disposable assembly comprising a needle or stylet
WO2007037207A1 (ja) * 2005-09-29 2007-04-05 Izumi-Cosmo Company, Limited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および穿刺デバイス
JP5176396B2 (ja) * 2007-05-29 2013-04-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ランセットアセンブリ
JP5125876B2 (ja) * 2008-08-20 2013-01-23 ニプロ株式会社 挿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40317A1 (en) 2011-02-17
WO2011019135A1 (en)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7063A (ko) 란셋블록 및 란셋작동기
KR100669869B1 (ko) 재사용되지 않는 란셋 장치를 포함하는 절개 보조기
JP2655693B2 (ja) インプラント挿入装置
CN103079611B (zh) 用于安全装置的针头护罩、安全装置和注射装置
RU2569702C2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заполненного шприца и инъ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892834B1 (ko) 자동 주사 장치
JP5030593B2 (ja) プレフィルド注射器用の安全シールドシステム
JP7319963B2 (ja) 針安全システム
JP6783716B2 (ja) 可動スプリング付き格納式シース着脱安全ニードル
CN101868275A (zh) 自我注射器
PT1289586E (pt) Recipiente de armazenagem para, pelo menos, uma agulha hipodérmica
CN102665805A (zh) 手掌激活型药物递送装置
JP2004512129A (ja) 採血用システム
EP3216474B1 (en) Safety injection needle device
KR20180131575A (ko) 주사 디바이스
CN108472450A (zh) 自动注射器装置
KR102336039B1 (ko) 주사기
EP3697480B1 (en) A passive integrated safety device and an injection device comprising this passive integrated safety device
JP2018520805A (ja) 注射ばねを含む液体製品自動注射デバイス
CA2245056A1 (en) 30 gauge lancet
JP6153897B2 (ja) ランセット・システム
KR20190079652A (ko)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피드백 요소
CN107921210B (zh) 注射器
JP7292288B2 (ja) ニードル用保護装置
KR20210110014A (ko) 필러 시술용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