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611A -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611A
KR20110016611A KR1020090074211A KR20090074211A KR20110016611A KR 20110016611 A KR20110016611 A KR 20110016611A KR 1020090074211 A KR1020090074211 A KR 1020090074211A KR 20090074211 A KR20090074211 A KR 20090074211A KR 20110016611 A KR20110016611 A KR 20110016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medicinal
sulf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범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오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오코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오코스텍
Priority to KR1020090074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6611A/ko
Publication of KR20110016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6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한방 발효추출물 30~50 중량부, 약재 추출물 30~50 중량부,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0.2~1.5 중량부 및 키토산 0.5~3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에 가려움증을 완화시키고, 염증 또는 피부 부어 오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주름개선과 미백 효과가 있는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를 키토산으로 포집함으로서, 소량의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를 사용하여 주름개선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아토피 피부 개선용 제품, 특히, 아토피 피부를 위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토피, 한방, 키토산

Description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s for atopy therapy and the same}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는 1925년 코카(Coca)라는 학자가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로, 식물이나 기타 흡입성 물질에 대한 선천성 알러지(allergy) 반응을 의미한다. “아토피(atopy)"는 그리스어로 "알 수 없는", "괴상한" 이라는 뜻으로 그 의미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고, 치료가 힘든 난치성 질환이다.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보통 습진(eczema), 고초열(hayfever), 천식(asthma), 알레르기(allergy) 등을 잘 일으키는 유전적 경향을 보이는 체질을 가진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되는 만성 피부염으로 흔히 태열이라 부르고 유아 습진으로 시작, 만성, 재발성 경과를 보인다.
아토피의 발생 원인은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유전적, 면역학적 요인이 깊숙이 관계되리라 생각되며 동시에 환경적, 사회적, 정신적 요인 등 다양한 주변인자들도 연관이 있으리라고 생각되고 있다.
소아와 성인기의 면역 체계의 특성이 아토피의 발생 및 병리적 특성과 연관 될 수 있다. 우리나라 신생아의 70∼80%가 태열을 경험한다. 이들 중의 대부분은 자연스럽게 소아기에 접어들면서 치료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일부 보고에 의하면 이들 중의 20∼30%는 소아 아토피로 진행이 된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면역계의 자연스러운 변화인데, 즉 유아기의 특이면역이 소아기에 접어들면서 자연면역이 회복 되면서 아토피는 치유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 시기의 면역학적인 특징은 자연면역이 활발하게 성장을 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즉, 아이들이 감기와 같은 발열증상들을 경험하면서 자연 면역계가 성장하는 과정인 것이다. 그러므로 아이들이 감기나 발열증상이 있을 때 해열제나 항생제를 오?남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성인의 경우, 이 시기는 자연 면역계와 특이 면역 모두 어느 정도는 성숙되어있는 시기다. 다시 말하자면 건강하든 건강하지 않든 간에 면역계는 어느 정도는 고착화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성인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경우에는 특이면역 중에서 TH2 세포가 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성인 아토피 환자들이 소아들에 비교해서 치료와 예후에 있어서 어려운 면역학적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즉 소아들은 아직은 미성숙한 단계이기 때문에 건강한 면역시스템으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지만, 성인의 경우에는 이미 면역계가 고착화 되어가는 과정에 있으므로 어려운 것이다.
오늘날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는 약물투여 방법에 따라 외용 방법, 내복 방법, 그리고 면역 방법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외용 방법으로는 피부를 세정하는 방법, 스테로이드 계열의 연고제를 바르는 방법, 그리고 보습제를 바르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스테로이드는 일종의 부신피질 호르몬제로써 효과는 매우 우수하나 장시간 사용시 부작용이 크므로 유의해야 한다. 보습제는 건조한 피부에 수분을 공급 및 유지하기 위한 화장품류를 바르는 것을 말한다. 내복 방법으로 주로 사용하는 아토피 치료약은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계 의약품 혹은 한방 소재 치료약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면역 방법은 신체의 면역력을 자연적으로 길러줄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조정하거나 유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외용 또는 내복 방법은 인위적인 합성 화학물질은 장시간 사용시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어, 근래에는 권유되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화학물질 아토피 치료약을 대체하기 위하여, 생약재를 이용한 대체 아토피 치료제가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생약재는 아토피 치료에는 효과적일지도 모르나, 자체가 독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아토피를 겪는 사람들의 경우, 종종 피부에 트러블이 잘 발생하고, 피부색이 검게 변하는 현상이 발생하곤 한다.
그러므로 장기간 사용에도 부작용은 낮으면서도, 아토피가 발생되었던 피부의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아토피가 발생되었던 피부에 미백작용도 나타낼 수 있는 한방 생약 혼합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에도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을 뿐 아니라, 아토피가 발생된 피부에 미백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한방 생약 혼합조성물 형태의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한방 발효추출물 30~50 중량부, 약재 추출물 30~50 중량부,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0.2~1.5 중량부 및 키토산 0.5~3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방 발효추출물은 황백 10~30 중량부, 황련 5~10 중량부, 황금 5~10 중량부 및 금송 20~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한 열수추출물이다.
상기 약재 추출물은 감잎 30~40 중량부, 버드나무새순 25~30 중량부, 차전초 5~10 중량부, 참다시마 20~40 중량부 및 느릅 1~10 중량부의 혼합추출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모발용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한방 발효추출물과 약재 추출물을 혼합한 제1용액,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와 키토산을 혼합한 제2용액을 제조하고,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한방 발효추출물은, 1) 황백 10~30 중량부, 황련 5~10 중량부, 황금 5~10 중량부 및 금송 20~30 중량부를 혼합 및 분쇄하여 약재혼합물을 얻는 단계; 2) 상기 약재혼합물에 100~400 중량부의 증류수 첨가 및 혼합하고, 발효 균주를 접종하여 약재를 발효하는 단계; 및 3) 상기 발효된 약재를 증류수를 더 첨가하고, 열을 가하고 정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하여 수득된 것이다.
상기 단계 2)의 균주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Saccharomyces cerevisiae) KCTC7915균,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KCTC3239균, 바실러스 코아굴란스(Bacillus coagulans) KCTC 1015균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 2)의 발효조건은 25~40 ℃에서 5~20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 3)의 추출조건은 70~110 ℃로 1~5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약재추출물은,
a) 감잎 30~40 중량부, 버드나무새순 25~30 중량부, 차전초 5~10 중량부, 참다시마 20~40 중량부 및 느릅 1~10 중량부를 혼합 및 분쇄하여 약재분말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약재 분말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열을 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로 하여 수득된 것이다.
상기 단계 b)는 추출조건은 90~100 ℃로 1~5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는 분자량인 700 ~ 9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한방 발효추출물 30~50 중량부, 약재 추출물 30~50 중량부,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0.2~1.5 중량부 및 키토산 0.5~3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방 발효추출물은 황백 10~30 중량부, 황련 5~10 중량부, 황금 5~10 중량부 및 금송 20~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한 열수추출물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재 추출물은 감잎 30~40 중량부, 버드나무새순 25~30 중량부, 차전초 5~10 중량부, 참다시마 20~40 중량부 및 느릅 1~10 중량부의 혼합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수, 에센스, 바디로션, 크림 또는 젤 등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에 가려움증을 완화시키고, 염증 또는 피부 부어 오름을 억제하기 위하여, 황백, 황련, 황금 및 금송으로 이루어지는 한방 발효추출물 및 감잎, 버드나무새순, 차전초, 참다시마 및 느릅으로 이루어지는 약재 추출물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한방 발효추출물 은 단순히 약재를 열수 추출한 것보다 유효성분의 추출을 높일 수 있어, 피부 진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재 추출물은 피부에 수분 공급을 원활히 하여 아토피를 겪고 있는 피부에서 흔히 나타날 수 있는 피부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주름개선과 미백 효과가 있는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를 키토산으로 포집함으로서, 소량의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를 사용하더라도 주름개선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부가적으로, 키토산의 수분 함유 능력에 의해서, 피부에 원활하게 수분 공급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 개선용 제품, 특히, 아토피 피부를 위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 한방 재료를 발효하고 추출하여 얻어진 한방 발효 추출물에, 피부 개선용 단백질을 키토산으로 포집한 조성물을 혼합할 경우, 아토피 피부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미백효과까지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한방 발효추출물 30~50 중량부, 약재 추출물 30~50 중량부,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0.2~1.5 중량부 및 키토산 0.5~3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방 발효추출물은 피부에 세균 등에 의한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추출물로서, 황백, 황련, 황금 또는 금송 등 발효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황백 10~30 중량부, 황련 5~10 중량부, 황금 5~10 중량부 또 는 금송 20~30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발효균주를 이용하여 발효한 연후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추출한 추출물이다.
각각의 약재에 대하여 살펴보면, 황백은 황벽나무의 껍질을 약재로 이르는 말로, 황경피라고도 한다. 하지 전후에 나무줄기에서 껍질을 벗겨내어 조피(粗皮:거친 껍질)를 제거하거나 썰어서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이 껍질은 약으로 쓰이며 혈당저하 작용을 나타내며, 폐렴상구균, 인형결핵균, 포도상구균 등에 대하여 발육저지 작용을 함과 동시에 종양세포의 번식을 저지시키고, 살균작용을 한다. 복용하는 경우에는 미각 반사의 항진에 의하여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식욕의 항진도 가져오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황련은 미나리 아재비과의 상록 다년초. 산지의 수림 그늘의 습진 땅에서 자란다. 그 용도를 보면, 소화불량, 위염, 장염, 복통, 구토, 이질, 심계(心悸), 번열(煩熱), 정신불안, 인후종통(咽喉腫痛), 토혈, 코피, 하혈, 화상 등의 치료에 처방하여 사용된다.
황금은 꿀풀과 식물인 황금의 뿌리를 말하며, 현재 한약에서는 열을 내리고 체온을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으며, 얼굴에 붉은 기운을 조절하고 입술의 색을 밝게 는 등의 넓은 사용범위를 가지고 있다.
금송은 겉씨식물 구과목 낙우송과의 상록침엽 교목으로, 겉씨식물 구과목 낙우송과 이며 원산지는 일본이다. 최근에 금송뿌리에서 분리한 슈도라릭산이란 성분의 항균방부효과가 알려지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상기 약재 추출물은 피부에 진정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물질로서, 감 잎, 버드나무새순, 차전초, 참다시마 또는 느릅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감잎 30~40 중량부, 버드나무새순 25~30 중량부, 차전초 5~10 중량부, 참다시마 20~40 중량부 또는 느릅 1~10 중량부 등을 혼합하고, 이를 물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약재에 대하여 살펴본다. 감잎은 예로부터 일본사람들이 건강차로서 애용되어 왔으며 즐겨 마셔온 "감잎(시엽)차"에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다는 것을 1998년 일본알레르기 학회에서 발표한 바 있었는데 이번에 물질이 감잎추출엑기스에 함유된 "아스트라칼린(astragalin)"을 비롯한 플라보노이드 의 항알레르기 작용과 그 작용메커니즘을 밝혀냈다
버드나무새순은 BHA(β-hydroxy acid) 및 살리실산 성분이 들어있으며, 특히 BHA는 탄소의 베타위치에 -OH기가 붙어있어 AHA(α-hydroxy acid)처럼 각질제거 효과는 가지면서도, 분자구조의 특성상으로 피부 속 깊이 침투하지 않고 피부 표면에서만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자극유발 가능성이 적다. 또한, 살리실산을 함유하는 새순추출물은 피부자극을 최소화시키면서 각질 턴오버 기능과 함께 항염 효과가 있다.
차전초(車前草)는 흔히 질경이라 불린다. 학명은 plantago asiatica L. 이며, 다년생 초본이며 생명력이 강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민간에서는 어린잎을 나물로 먹으며, 약용으로는 항균, 진해, 거담, 이뇨작용을 위해 사용하고 있다.
참다시마는 우리나라 동해의 심해에서 나는 해조류로 다른 지역에서 나는 해조류보다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 해조류는 수심 20-30 m 속에서의 거 센 파도에도 끊어짐 없이 유연성 있게 자라는데, 이는 탄력섬유로 이루어진 푸코이단 성분과 다당류성분이 그물구조로 되어 있고, 심해 속에서도 탄력을 유지하는 것은 수압에 대한 세포벽의 탄력내성이 수력의 힘을 견디기 때문이다. 참다시마의 푸쿠이단성분을 적당한 분자량(1,000 - 70,000 Da)을 갖는 고분자로 제조할 경우, 고보습 효과와 인체세포에 생리기능을 부여하는 작용을 보인다.
느릅은 예로부터 종창이 나거나 상처가 난 곳에 민간상처치유 약제로도 사용해 왔다. 특히 뿌리껍질은 항염증작용, 수렴작용이 강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한방 발효추출물과 약재 추출물을 혼합한 제1용액,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와 키토산을 혼합한 제2용액을 제조하고, 제1용액과 제2용액을 다시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제1용액은 한방 발효추출물과 약재 추출물이 혼합된 것으로, 아토피 갖는 피부에 진정작용을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이때, 상기 한방 발효추출물과 약재 추출물이 혼합되는 비율은 약재 추출물 1 중량부에 한방 발효 추출물을 0.2~1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만약 한방 발효 추출물이 0.2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량에 비하여 더 이상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한방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은,
1) 황백 10~30 중량부, 황련 5~10 중량부, 황금 5~10 중량부 및 금송 20~30 중량부를 혼합 및 분쇄하여 약재혼합물을 얻는 단계;
2) 상기 약재혼합물에 100~400 중량부의 증류수 첨가 및 혼합하고, 발효 균주를 접종하여 약재를 발효하는 단계; 및
3) 상기 발효된 약재를 증류수를 더 첨가하고, 열을 가하고 정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로 하여 수득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단계 1)은 약재를 혼합 및 분쇄하는 단계이다.
상기 약재는 황백, 황련, 황금 또는 금송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 황백 10~30 중량부, 황련 5~10 중량부, 황금 5~10 중량부 또는 금송 20~30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분쇄하거나 각각을 분쇄한 후, 각 첨가량으로 혼합하여 약재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각 약재의 첨가량의 범위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서 피부 진정효과를 높이기 위한 바람직한 범위이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2)는 약재혼합물에 발효 균주를 접종하여 약재혼합물을 발효하는 단계이다.
상기 약재혼합물을 발효시키기 위하여 100~400 중량부의 증류수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약재혼합물을 발효할 때 사용되는 균주로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Saccharomyces cerevisiae) KCTC7915균,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KCTC3239균, 바실러스 코아굴란스(Bacillus coagulans) KCTC 1015균,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균주를 접종한 약재혼합물의 발효조건은 25~40 ℃에서 5~20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발효 균주는 약재혼합물에서 독성물질이 될 수 있는 물질은 제거하면서, 단순한 추출방법, 예컨데, 열수 추출 또는 유기용매 추출법에 의해서 얻을 수 없는 유효물질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발효조건과 발효기간은 충분한 유효물질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건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단계 3)는 발효된 약재혼합물에서 유효물질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를 통해서 발효된 약재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수득된 약재혼합물에서 발효 균주는 제거하면서, 유효물질을 수득할 수 있는 단계가 필요하다. 상기 발효 균주를 제거하면서, 유효물질을 수득할 수 방법으로는 열을 가하는 방법이 수행될 수 있으며, 발효된 약재혼합물에 70~110 ℃로 1~5시간 동안 가열하여, 발효 균주를 제거하는 것이다. 그리고, 열이 가해진 발효된 약재혼합물을 필터링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여 순수한 발효 약재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는 발효 균주를 제거하고, 유효물질을 잘 분리할 수 있는 온도로서, 70 ℃ 미만일 경우에는 발효 균주가 제거되기 힘들고, 유효물질의 분리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 110 ℃를 초과할 경우에는 발효 균주의 제거는 용이하나, 높은 온도로 인해서, 유효물질의 파괴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
한편, 본 발명의 약재추출물의 제조방법은,
a) 감잎 30~40 중량부, 버드나무새순 25~30 중량부, 차전초 5~10 중량부, 참다시마 20~40 중량부 및 느릅 1~10 중량부를 혼합 및 분쇄하여 약재분말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약재 분말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열을 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로 하여 수득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단계 a)는 약재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약재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약재추출물은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서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가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는 물질이다. 상기 약재추출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재료는 감잎, 버드나무새순, 차전초, 참다시마 또는 느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재에서 유효물질을 추출하기 위하여, 감잎 30~40 중량부, 버드나무새순 25~30 중량부, 차전초 5~10 중량부, 참다시마 20~40 중량부 및 느릅 1~10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분쇄하여 사용하였으며, 바람직하게는 분쇄하여 분말인 형태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b)는 상기 약재혼합물에서 유효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약재혼합물에서 유효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약재혼합물 중량 대비 1~3배 정도의 정제수를 투여하고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0~100 ℃로 1~5시간 동안 가열하여 약재혼합물로부터 유효성분이 함유된 물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제2용액은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와 키토산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다. 상기 키토산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는 고분자의 바이오 폴리머로서, 상기 팔 미토일 펜타펩타이드-4는 상기 키토산에 다량 존재하는 NH2의 잔기와 결합되 포집된 상태가 된다. 상기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는 주름개선, 미백, 가려움증 개선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키토산에 의해서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는 안정적으로 피부와 접촉하고, 손실되는 것이 없이 피부에 흡수되어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가 갖는 피부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은 분자량이 700 ~ 9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와 키토산은 파미토일 펜타펩타이드 0.2~1.5 중량부 및 키토산 0.5~3 중량부로 혼합하여 제2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미토일 펜타펩타이드의 첨가량이 0.2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 파미토일 펜타펩타이드의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기 힘들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상기 파미토일 펜타펩타이드가 고가이므로,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키토산은 파미토일 펜타펩타이드를 포집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서, 첨가되는 파미토일 펜타펩타이드의 첨가량을 고려하여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수, 에센스, 바디로션, 크림 또는 젤 등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2~7 중량부를 함유하는 각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의 첨가량은 용도 따라, 예컨데, 화장수, 에센스 바디로션, 크림 또는 젤 등에 따라 함량이 다소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한방 발효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황백 20 중량부, 황련 7 중량부, 황금 7 중량부 및 금송 21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제트밀을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약재 분말을 65 중량부를 교반기에 넣고, 증류수 200 ㎖을 첨가하면서 교반하고,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1 ×107/㎖)을 2 ㎖ 첨가하고, 추가로 10분간 더 교반하여 약재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약재분말을 발효시키기 위하여, 균주가 접종된 약재혼합물을 배양기에서 30 ℃에서 12일간 배양하였다.
10일 후, 발효된 약재혼합물에 증류수 200 ㎖을 더 첨가하고, 이를 100 ℃로 2시간 동안 열을 가하였다. 대용량 원심분리기로 3000g로 회전시켜 입자가 큰 불순물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이를 열풍건조하여 한방 발효추출물 분말을 얻었다.
약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감잎 30 중량부, 버드나무새순 25 중량부, 차전초 7 중량부, 참다시마 22 중량부 및 느릅 7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제트밀을 이용하여 분쇄하여 약재혼합분말을 얻었다.
상기 약재혼합분말 50 중량부를 교반기에 넣고, 정제수 200 ㎖을 첨가하면서 교반하고, 65 ℃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된 약재혼합물에 추가로 정제수를 200 ㎖ 더 첨가하고, 이를 대용량 원심분리기로 3000 × g로 회전시켜 입자가 큰 불순물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열풍건조하여 약재추출물 분말을 얻었다.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 및 1-2의 한방발효추출물과 약재추출물을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상기 한방 발효추출물 30 중량부, 약재 추출물 35 중량부를 각각 정제수 50 ㎖에 첨가하고, 이를 교반하여 혼합추출물 용액을 제조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불순물 제거하고, 제1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구입처: A&PEP Inc., 분자량: 802.05) 0.7 중량부와 키토산(분자량 80,000, 국내 삼성키토산) 1 중량부를 각각 정제수 50 ㎖에 첨가하였다. 상기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이 키토산과 잘 결합될 수 있도록 교반기를 사용하여 약 30 분간 혼합하여 제2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하여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 조하였다.
실시예 2: 화장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4.0 중량부, 글리세린 5.0 중량부, 디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부, 히알루론산 0.5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0.1 중량부, 폴리에틸렌 올레일에텔 0.1 중량부, 에탄올 5.0 중량부, 방부제 0.15 중량부, 적량의 향료와 색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에센스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4.0 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중량부,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1.0 중량부, 밀납 0.5 중량부, 스쿠알란 5.0 중량부,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중량부, 디메틸실록산 0.3 중량부,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중량부,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중량부, 글리세린 4.0 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0.2 중량부, 카르복시폴리머 0.2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3 중량부, 적량의 방부제, 향료, 및 색소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바디로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4.0 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8 중량부,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1.0 중량부, 밀납 0.5 중량부, 스테아린산 0.5 중량부, 유동파라핀 7.0 중량부, 스쿠알란 5.0 중량부, 마카데미아오일 3.0 중량부, 이소세틸옥타노에 이트 2.0 중량부, 디메틸실록산 0.3 중량부,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중량부,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중량부, 글리세린 4.0 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4.0 중량부, 베타인 4.0 중량부, 카르복시폴리모 0.12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15 중량부, 방부제 0.25 중량부, 적량의 향료와 색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크림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4.0 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3.0 중량부,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0.5 중량부,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1.5 중량부, 밀납 0.5 중량부, 유동파라핀 8.0 중량부, 스쿠알란 7.0 중량부,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4.0 중량부, 정제호호바유 4.0 중량부, 디메틸실록산 0.3 중량부,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1.0 중량부,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중량부, 글리세린 6.0 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4.0 중량부, 베타인 4.0 중량부, 잔탄검 0.06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10 중량부, 방부제 0.25 중량부, 적량의 향료와 색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 젤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4.0 중량부, 글리세린 4.0 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4.0 중량부, 에탄올 1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1 중량부, 카르복시폴리머 0.30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30 중량부, 적량의 방부제, 향료, 및 색소와 잔 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젤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 확인
목, 팔 또는 등 부위에 주로 아토피를 갖고 있는 10~12 세 어린 아이 8명을 대상으로 패널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실시예 4의 바디로션을 아이들이 3 주간 사용하도록 하고, 아토피가 개선되는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자/상태

호전

변화없음
1


2



3



4




5



6



7



8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토피를 겪고 있는 8명의 아이들 중에서 6명의 아이들이 호전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아토피가 호전된 아이들은 아토피 발생에 의해 유발되어 검은색으로 변했던 피부가 다시 복원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아토피 관련 제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8)

  1. 황백 10~30 중량부, 황련 5~10 중량부, 황금 5~10 중량부 및 금송 20~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한 열수추출물인 한방 발효추출물 30~50 중량부, 감잎 30~40 중량부, 버드나무새순 25~30 중량부, 차전초 5~10 중량부, 참다시마 20~40 중량부 및 느릅 1~10 중량부의 혼합추출물인 약재 추출물 30~50 중량부,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0.2~1.5 중량부 및 키토산 0.5~3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
  2. 1) 황백 10~30 중량부, 황련 5~10 중량부, 황금 5~10 중량부 및 금송 20~30 중량부를 혼합 및 분쇄하여 약재혼합물을 얻는 단계; 2) 상기 약재혼합물에 100~400 중량부의 증류수 첨가 및 혼합하고, 발효 균주를 접종하고 25~40 ℃에서 5~20일 동안 약재를 발효하는 단계; 및 3) 상기 발효된 약재를 증류수를 더 첨가하고, 70~110 ℃로 1~5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고, 상등액을 정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하여 수득되는 한방 발효추출물 30~50 중량부와
    a) 감잎 30~40 중량부, 버드나무새순 25~30 중량부, 차전초 5~10 중량부, 참다시마 20~40 중량부 및 느릅 1~10 중량부를 혼합 및 분쇄하여 약재분말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약재 분말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90~100 ℃로 1~5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고, 상등액을 정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하여 수득되는 약재 추출물 30~50 중량부를 혼합한 제1용액;
    분자량이 700~900인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 10~30 중량부와 키토산 0.5~3 중량부를 혼합한 제2용액을 제조하고,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균주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Saccharomyces cerevisiae) KCTC7915균,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KCTC3239균, 바실러스 코아굴란스(Bacillus coagulans) KCTC 1015균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4. 황백 10~30 중량부, 황련 5~10 중량부, 황금 5~10 중량부 및 금송 20~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한 열수추출물인 한방 발효추출물 30~50 중량부, 감잎 30~40 중량부, 버드나무새순 25~30 중량부, 차전초 5~10 중량부, 참다시마 20~40 중량부 및 느릅 1~10 중량부의 혼합추출물인 약재 추출물 30~50 중량부,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10~30 중량부 및 키토산 0.5~3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수.
  5. 황백 10~30 중량부, 황련 5~10 중량부, 황금 5~10 중량부 및 금송 20~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한 열수추출물인 한방 발효추출물 30~50 중량부, 감잎 30~40 중량부, 버드나무새순 25~30 중량부, 차전초 5~10 중량부, 참다시마 20~40 중량부 및 느릅 1~10 중량부의 혼합추출물인 약재 추출물 30~50 중량부,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10~30 중량부 및 키토산 0.5~3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에센스.
  6. 황백 10~30 중량부, 황련 5~10 중량부, 황금 5~10 중량부 및 금송 20~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한 열수추출물인 한방 발효추출물 30~50 중량부, 감잎 30~40 중량부, 버드나무새순 25~30 중량부, 차전초 5~10 중량부, 참다시마 20~40 중량부 및 느릅 1~10 중량부의 혼합추출물인 약재 추출물 30~50 중량부,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10~30 중량부 및 키토산 0.5~3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바디로션.
  7. 황백 10~30 중량부, 황련 5~10 중량부, 황금 5~10 중량부 및 금송 20~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한 열수추출물인 한방 발효추출물 30~50 중량부, 감잎 30~40 중량부, 버드나무새순 25~30 중량부, 차전초 5~10 중량부, 참다시마 20~40 중량부 및 느릅 1~10 중량부의 혼합추출물인 약재 추출물 30~50 중량부,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10~30 중량부 및 키토산 0.5~3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크림.
  8. 황백 10~30 중량부, 황련 5~10 중량부, 황금 5~10 중량부 및 금송 20~30 중 량부를 혼합하여 발효한 열수추출물인 한방 발효추출물 30~50 중량부, 감잎 30~40 중량부, 버드나무새순 25~30 중량부, 차전초 5~10 중량부, 참다시마 20~40 중량부 및 느릅 1~10 중량부의 혼합추출물인 약재 추출물 30~50 중량부,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10~30 중량부 및 키토산 0.5~3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젤.
KR1020090074211A 2009-08-12 2009-08-12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16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211A KR20110016611A (ko) 2009-08-12 2009-08-12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211A KR20110016611A (ko) 2009-08-12 2009-08-12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611A true KR20110016611A (ko) 2011-02-18

Family

ID=4377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211A KR20110016611A (ko) 2009-08-12 2009-08-12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661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054B1 (ko) * 2011-11-28 2014-01-10 전동우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490696A (zh) * 2014-12-18 2015-04-08 祝迈 一种具有滋养抗衰效果的中药面膜
KR20180057329A (ko) * 2016-11-22 2018-05-30 주식회사 트루자임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발효 조성물
CN109010111A (zh) * 2018-09-19 2018-12-18 金泽宇(武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氧化壳寡糖润肤膏及其制备方法
KR20190014774A (ko) * 2017-08-03 2019-02-13 김현숙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9269B1 (ko) 2020-01-22 2020-04-10 신승연 2-파트 스킨 케어 제제
KR20210148784A (ko) 2020-06-01 2021-12-08 농업회사법인유한회사 성우 백수오를 이용한 화장품 제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054B1 (ko) * 2011-11-28 2014-01-10 전동우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490696A (zh) * 2014-12-18 2015-04-08 祝迈 一种具有滋养抗衰效果的中药面膜
KR20180057329A (ko) * 2016-11-22 2018-05-30 주식회사 트루자임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발효 조성물
US10463703B2 (en) * 2016-11-22 2019-11-05 Truezyme Co., Ltd. Fermented composition for relieving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natural extracts
KR20190014774A (ko) * 2017-08-03 2019-02-13 김현숙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010111A (zh) * 2018-09-19 2018-12-18 金泽宇(武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氧化壳寡糖润肤膏及其制备方法
KR102099269B1 (ko) 2020-01-22 2020-04-10 신승연 2-파트 스킨 케어 제제
KR20210148784A (ko) 2020-06-01 2021-12-08 농업회사법인유한회사 성우 백수오를 이용한 화장품 제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37041A (zh) 一种新型皮肤抗敏修护组合物、皮肤修复霜及其制备方法
CN107616956A (zh) 一种芦荟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80094459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03211730B (zh) 一种由天然中草药制成的美容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20110016611A (ko)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34719A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863890B1 (ko) 차가버섯, 말굽잔나비버섯, 신령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815072B (zh) 一种具有保湿舒缓功效的鲜活植物组合物发酵原浆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CN112190593B (zh) 一种抑制trpv1通路的多糖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997827A (zh) 复方山茶油保湿液及其制备方法
KR101347036B1 (ko) 항산화가 우수한 생약복합재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N103041042B (zh) 一种藏药组合物及其在防脱生发产品中的应用
CN105939703B (zh) 含有乡土植物和天然中草药提取物的洗发水组合物
KR20110062214A (ko)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9303724A (zh) 一种新型含艾叶的舒缓修护原液组合物
CN101869542A (zh) 一种含有木瓜和荷叶提取物的爽肤水及其制备方法
KR101047612B1 (ko)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CN112137919A (zh) 一类基于竹荪蛋提取物的美容外用品或可食用产品及应用
KR20200117652A (ko) 혼합추출물을 활용한 아토피, 여드름피부 트러블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1753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05441230A (zh) 一种茶油冷制皂
KR101566822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증상 개선 증진용 화장료조성물
KR102421800B1 (ko) 고염 미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11184667B (zh) 一种具有滋润保湿、抗敏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