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156U -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156U
KR20110009156U KR2020100002877U KR20100002877U KR20110009156U KR 20110009156 U KR20110009156 U KR 20110009156U KR 2020100002877 U KR2020100002877 U KR 2020100002877U KR 20100002877 U KR20100002877 U KR 20100002877U KR 20110009156 U KR20110009156 U KR 201100091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main body
advertisement
adverti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승
Original Assignee
이한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승 filed Critical 이한승
Priority to KR2020100002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156U/ko
Publication of KR20110009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1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2Exhibition stan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1Comprising a presence or proximity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나타나는 영상에 상응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실물 제품을 전시하기 위한 전시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에 위치한 이동 대상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레이더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이더 유닛에 의해 감지된 대상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비전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디지털 신호의 입출력 제어 및 상기 비전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동영상 광고 및 디지털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과 실물 전시를 위한 전시대를 구비하고, 쿠폰 발급과 포인트 적립이 가능하며, 실제 광고 효과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광고장치를 얻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Arrangement Structure of Advertising Device Capable of Estimat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
본 고안은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영상 광고 및 디지털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과 실물 전시를 위한 전시대를 구비하고, 쿠폰 발급과 포인트 적립이 가능하며, 실제 광고 효과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광고장치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매체, 즉 LCD(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함)나 PDP(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함) 등을 이용한 광고는 별도의 기능 없이 단순 영상광고 및 이미지 광고만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광고를 관찰하는 소비자에 대한 분석 또한 이루어지지 않아 남성인지 여성인지, 어떠한 연령대가 주로 이용하는지 등에 대한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광고가 진행되어, 광고의 노출에 대한 측정 기능이 없을 뿐만 아니라 광고 노출도에 대한 분석 자료가 없는 상황이다. 또한, 광고 실시 장소를 단순히 유동인구가 많은 곳이나 쇼핑 밀집지역 등으로 선정하여 광고 매체를 설치하고 있다.
이처럼 광고의 대상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고 광고를 실시함으로 인하여, 광고실시에 따른 효과와 이에 대한 분석 또한 명확하지 않게 되는데, 이는 광고비 집행에 대한 문제점 또한 발생시키게 된다. 즉, 광고노출 빈도에 따라 책정되는 광고비가 기존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매체의 경우 해당 광고노출 빈도에 따라 광고비를 책정하는 것이 아니라 광고실시 지역의 유동인구를 기준으로 하여 광고비를 책정하고 있다. 이러한 해당 광고지역의 유동인구는 명확한 수치가 아닐뿐더러 백화점이나 쇼핑센터의 경우 일일 내방객, 월 내방객을 기준으로 광고비를 책정함으로써 광고비가 과다 책정되어 운용되고 있으며, 광고주 또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명확한 근거자료가 없는 이유로 과다 책정된 광고비를 지급하며 광고를 실시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곧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제품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결국 소비자의 피해로 다가오게 된다.
또한, 광고 게시 및 기업 프로모션 이벤트 실시에 따른 효과분석 자료의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각종 타 매체와 차별이 없는 영상 및 이미지 광고만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관심과 이목을 집중시킬 수 없어 광고실시에 따른 효과를 높일 수 없다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 입간판 형태로 운용되고 있는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동영상 광고 및 디지털 정보 제공을 위해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이하 “DID”라 함) 시스템을 적용하여 소비자와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인터랙티브(Interactive) 기능을 포함하여 소비자가 사용하는 데 있어서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물제품 전시가 가능한 실물 전시대를 구비하여 실물 제품을 소비자가 볼 수 있어 소비자에 대한 광고 대상물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비자에게 할인쿠폰 및 무료쿠폰을 제공하기 위한 쿠폰발급기 시스템과 회원인증 및 포인트 적립을 위한 카드리더기를 구비하여 소비자의 사용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광고노출도 측정을 위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이하 “CCTV”라 함)와 레이더 유닛을 통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통해 광고를 관찰하는 계층 등을 구분하여 통계화가 가능한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획득된 영상정보와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해당 인터넷 웹사이트에 실시간으로 게시함으로써, 광고주는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광고실시 현장의 영상과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광고실시 현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광고실시 현장의 영상과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광고실시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절약이 가능한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나타나는 영상에 상응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실물 제품을 전시하기 위한 전시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에 위치한 이동 대상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레이더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이더 유닛에 의해 감지된 대상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비전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디지털 신호의 입출력 제어 및 상기 비전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전시대는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전시물이 안착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시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본체의 전방측으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상기 스테이지를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측에는 카드리더기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측에는 쿠폰을 발급하기 위한 쿠폰 발급기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입간판 형태로 운용되고 있는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동영상 광고 및 디지털 정보 제공을 위해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DID 시스템을 적용하여 소비자와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인터랙티브(Interactive) 기능을 포함하여 소비자가 사용하는 데 있어서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를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실물제품 전시가 가능한 실물 전시대를 구비하여 실물 제품을 소비자가 볼 수 있어 소비자에 대한 광고 대상물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를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소비자에게 할인쿠폰 및 무료쿠폰을 제공하기 위한 쿠폰발급기 시스템과 회원인증 및 포인트 적립을 위한 카드리더기를 구비하여 소비자의 사용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를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광고노출도 측정을 위한 CCTV와 레이더 유닛을 통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통해 광고를 관찰하는 계층 등을 구분하여 통계화가 가능한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를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획득된 영상정보와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해당 인터넷 웹사이트에 실시간으로 게시함으로써, 광고주는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광고실시 현장의 영상과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광고실시 현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광고실시 현장의 영상과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광고실시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절약이 가능한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를 얻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에 구비된 전시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에 구비된 스테이지에 전시품을 교체할 경우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에 구비된 전시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에 구비된 전시대의 스테이지의 왕복 운동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100)는 본체(102)를 포함하며, 이러한 본체(102)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의 형태로 제작할 경우 지반위에 설치하고, 박판의 형태로 제작할 경우 벽걸이 형태로 벽면에 설치한다. 본체(102)의 상부측에는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04)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부(104)는 LCD, PDP, 3D(3차원 입체영상)와 같은 평판표시장치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일부에 터치패널(Touch panel) 형태를 적용하여 사용하거나, 화면 전체를 터치패널 형태로 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04)에 동영상 광고 및 디지털 정보 제공을 위해 DID 시스템을 적용한다. DID 시스템은 영화 예고편, 뮤직비디오, CF 광고 같은 각종 동영상 광고 및 이미지 광고와 지역정보 및 각종 생활정보 그리고 해당 광고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즉, 디스플레이부 (104)의 설치 장소가 병원일 경우 병원이용 정보 및 각종 의료정보를 제공하며, 공항일 경우 공항이용 및 여행관련 정보 등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더욱이, 디스플레이부(104)에는 터치스크린이 적용되어 소비자와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인터랙티브(Interactive) 기능이 가능하여 소비자가 사용하는 데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04)의 상부측에는 디스플레이부(104)에서 나타내는 영상에 대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06)가 배치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04)의 하부측에는 실물 제품(E)을 전시하기 위한 전시대(110)가 배치된다. 전시대(110)는 광고를 실시하고자 하는 실물 제품(E)을 전시하여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을 보여줌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화장품, 휴대폰, 신발 등의 다양한 실물 제품을 전시한다. 전시대(110)의 전방에는 강화유리 및 강화아크릴 등의 투명소재를 적용한 전시대 커버(112)를 구비하여 제품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고, 외부 유해요소로부터 전시제품을 보호하도록 한다.
전시대(110)의 전방에 설치된 전시대 커버(112)는 본체(102)에 대해 회동 가능한 형태로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대 커버(112)는 본체(102)의 전방측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부 또는 하부 측으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형태로 설치하게 된다. 전시대 커버(112)의 개폐를 위해 본체(102)의 측면에는 잠금장치(190)가 구비된다. 잠금장치(190)는 지문인식기 등의 형태 또는 구조적으로 간단한 자물쇠 형태를 사용하며, 실질적인 잠금은 후크(192)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시대 커버(112)의 내측에는 실물 제품(E)이 안착되는 스테이지(114)가 구비된다.
스테이지(114)는 본체의 전방측으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여, 전시된 제품(E)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스테이지(114)를 본체(102)의 전방측으로 이동시켜 교체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스테이지(114)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형태로 노출되도록 본체(102)에는 홈 또는 홀 형태의 가이드부(116)가 형성된다.
전시대(110)의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전시품(E)을 위한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전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는 스테이지(114)에 포인트 조명을 설치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본체(102)에는 전시품(E)이 안착된 스테이지(114)를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같은 형태의 구동부(120)가 설치되며. 구동부(120)의 단부에는 피니언(122)이 설치된다.
피니언(122)과 맞물리는 래크(124a)는 스테이지(114)가 상부에 위치하는 구동 스테이지(124)의 하부에 형성된다. 즉, 구동부(120)의 작동에 의해 구동 스테이지(124)가 좌우로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구동 스테이지(124)의 상부에 위치한 전시품(E)이 안착된 스테이지(114)가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테이지(114)가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소비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전시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
스테이지(114)의 하부에는 돌출부(114a)가 형성되고, 구동 스테이지(124)의 상부에는 돌출부(114a)가 위치하도록 설치홈(124b)이 형성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04)의 상부측에는 본체(102)의 전방에 위치한 이동 대상물체 즉, 소비자를 감지하기 위한 레이더 유닛(130)과, 레이더 유닛(130)에 의해 감지된 소비자를 촬영하기 위한 CCTV와 같은 형태의 비전부(14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레이더 유닛(130)과 비전부(140)에 의해 해당 지역에 대한 광고 노출도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102)에는 디지털 신호의 입출력 제어 및 비전부(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4)의 하부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리더기(160)가 배치되며, 쿠폰을 발급하기 위한 쿠폰 발급기(170)가 배치된다.
쿠폰발급기(170)는 DID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또는 기업 프로모션 이벤트 등에 참여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할인쿠폰 및 무료쿠폰 등을 발급하며, 음식 할인쿠폰, 패스트푸드점의 무료음료 쿠폰 등 다양한 쿠폰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소비자는 이를 서비스 받기 위해 카드리더기를 통해 회원인증을 하게 된다. 카드리더기를 통해 회원인증 외에 콘텐츠 이용에 대한 혜택으로 마일리지 포인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카드리더기(160)는 IC 또는 RFID 칩이 내장된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리더기(162)와, 마그네틱이 구비된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리더기(164)를 구비하여 소비자가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게 한다.
각각의 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104)는 인터넷 온라인을 통해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메인 운영서버에서 광고의 게시 및 수정, 추가, 삭제 등의 관리와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며,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쿠폰의 종류 및 수량 등에 대한 통계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비전부(140)와 레이더 유닛(130)을 통해 얻어진 영상정보와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해당 인터넷 웹사이트에 게시함으로써 광고주는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광고실시 현장의 영상과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광고주는 광고실시 현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광고실시 현장의 영상과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광고실시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는 동영상 광고 및 디지털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과 실물 전시를 위한 전시대를 구비하고, 쿠폰 발급과 포인트 적립이 가능하며, 실제 광고 효과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게 한다는 기술적 사상을 가진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은 형태로 실제 광고 효과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실시하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이 실제 광고 효과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내용이라면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2: 본체 104: 디스플레이부
106: 스피커 110: 전시대
112: 전시대 커버 114: 스테이지
130: 레이더 유닛 140: 비전부
160: 카드리더기 170: 쿠폰발급기

Claims (6)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나타나는 영상에 상응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실물 제품을 전시하기 위한 전시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에 위치한 이동 대상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레이더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이더 유닛에 의해 감지된 대상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비전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디지털 신호의 입출력 제어 및 상기 비전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대는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전시물이 안착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시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본체의 전방측으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스테이지를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측에는 카드리더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측에는 쿠폰을 발급하기 위한 쿠폰 발급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KR2020100002877U 2010-03-19 2010-03-19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KR201100091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877U KR20110009156U (ko) 2010-03-19 2010-03-19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877U KR20110009156U (ko) 2010-03-19 2010-03-19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156U true KR20110009156U (ko) 2011-09-27

Family

ID=4509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877U KR20110009156U (ko) 2010-03-19 2010-03-19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15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873A (ko)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메이크힐 디스플레이 타입 상품 진열 및 광고용 스텐드
KR20230063132A (ko) 2021-11-01 2023-05-09 (주)뉴빌리티 광고 효과를 측정하는 이동형 로봇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873A (ko)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메이크힐 디스플레이 타입 상품 진열 및 광고용 스텐드
KR20230063132A (ko) 2021-11-01 2023-05-09 (주)뉴빌리티 광고 효과를 측정하는 이동형 로봇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144Y1 (ko) 프로모션 광고 통합 서비스 기능이 구비된 자동 판매 장치
US20180053226A1 (en) Interactive signage and vending machine for change round-up
US20230041374A1 (en) Interactive signage and data gathering techniques
KR20130061104A (ko) 인터랙티브 광고를 위한 사용 측정 기술 및 시스템
JP2018099317A (ja) 陳列棚、陳列棚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455040B2 (ja) 店舗集客支援システム、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CN105164619A (zh) 检测注视用户以在显示器上提供个性化内容
US201902059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ing and screen identification using a mobile device transparent screen, bendable and multiple non-transparent screen
JP2016218821A (ja) 販売情報利用装置、販売情報利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36158B2 (en) Biometric based demography tool
US103395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ing and screen identification using a mobile device transparent screen, bendable and multiple non-transparent screen
KR200468822Y1 (ko) 광고측정이 가능한 멀티디스플레이 샘플러
KR20110009156U (ko)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JP201916463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98730A (ja) デジタル情報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464174Y1 (ko) 포인트 적립 서비스가 가능한 디지털 광고판
KR200459282Y1 (ko)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KR200469723Y1 (ko) 광고효과 측정이 가능한 다기능 디지털 디스플레이
KR20110010648U (ko) 포인트 적립 서비스가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KR20110009887U (ko) 다양한 표출 모드를 갖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KR20100006135U (ko) 광고측정이 가능한 쿠폰발급용 디지털 광고판
KR20220142013A (ko) 표출 모드를 다양화 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KR20120000575U (ko) 전자앨범 기능을 갖는 다기능 디지털 광고장치
KR101377433B1 (ko) 저가형 무안경 3차원 영상 광고장치
KR20100003916U (ko) 광고측정이 가능한 은행용 엘이디 광고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