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949U - 펜스 모듈 - Google Patents

펜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949U
KR20110007949U KR2020100003566U KR20100003566U KR20110007949U KR 20110007949 U KR20110007949 U KR 20110007949U KR 2020100003566 U KR2020100003566 U KR 2020100003566U KR 20100003566 U KR20100003566 U KR 20100003566U KR 20110007949 U KR20110007949 U KR 201100079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ower frames
frame
opening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수
Original Assignee
김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필수 filed Critical 김필수
Priority to KR2020100003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949U/ko
Publication of KR201100079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94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8Corrals, i.e. easily transportable or demountable en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모듈은 지면과 평행을 이루는 상, 하부 프레임과, 전술한 상, 하부 프레임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술한 상, 하부 프레임과 직교를 이루며 전술한 상, 하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전술한 상, 하부 프레임과 경사지게 회동하는 개폐 유닛과, 전술한 상, 하부 프레임 사이에 복수로 이격하여 배치된 전술한 개폐 유닛 사이에 장착되며 일단이 전술한 상부 프레임에 타단이 전술한 하부 프레임에 각각 탈착 가능하고 간격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평행을 이루는 복수의 차폐 유닛을 포함하며, 전술한 개폐 유닛 및 전술한 차폐 유닛은 전술한 상, 하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탈착 가능한 구조이다.

Description

펜스 모듈{FENCE MODLE}
본 고안은 사료 공급 및 예방 접종시 경사지게 회동하여 가축의 머리부가 출입할 공간을 마련하고, 축사(畜舍)에 수용되는 가축의 개체 크기에 따라 간격 조절을 자유롭게 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등 부품 일체를 모듈화하여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축사에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펜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畜舍)에는 사육되는 가축의 활동 상태 및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사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축사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펜스가 장착되며, 전술한 펜스는 내구성과 내충격성이 강한 금속재의 관재 또는 봉재를 절단하고 용접하여 조립한 다음 축사의 입구에 장착한다.
그러나, 축사는 통상 가축의 사육환경을 고려하여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교외에 지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용접이나 절단 등을 행할 설비를 마련하기 힘들다.
그리고, 전술한 펜스는 다른 지역에서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제작된 펜스 자체의 부피가 크고 무게가 상당하므로 운송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펜스는 축사의 부근에서 용접이나 절단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물질이 가축의 건강 상태 및 자연 환경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펜스는 일단 용접하여 제작한 이후에는 사육되는 가축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용 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사육되는 가축 중에서 어린 개체는 축사로부터 이탈할 수도 있으며, 외부로부터 유해 조수가 침입할 우려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사육되는 가축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가축의 쾌적한 생활을 위하여 사료공급과 접종 등이 용이하며 사육되는 가축의 다양한 크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펜스 모듈과 관련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부품 일체를 모듈화하여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펜스 모듈과 관련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복잡한 제작 설비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제작하고 설치하는데 따른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펜스 모듈과 관련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펜스 모듈은, 지면과 평행을 이루는 상, 하부 프레임과, 전술한 상, 하부 프레임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술한 상, 하부 프레임과 직교를 이루며 전술한 상, 하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전술한 상, 하부 프레임과 경사지게 회동하는 개폐 유닛과, 전술한 상, 하부 프레임 사이에 복수로 이격하여 배치된 전술한 개폐 유닛 사이에 장착되며 일단이 전술한 상부 프레임에 타단이 전술한 하부 프레임에 각각 탈착 가능하고 간격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평행을 이루는 복수의 차폐 유닛을 포함하며, 전술한 개폐 유닛 및 전술한 차폐 유닛은 전술한 상, 하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탈착 가능한 구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개폐 유닛은 전술한 상, 하부 프레임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어 이격한 한 쌍의 지주봉과, 전술한 한 쌍의 지주봉 중 일측 지주봉의 상단부에 인접하게 일단이 결합되고 전술한 한 쌍의 지주봉 사이에 타단이 전술한 하부 프레임과 결합되어 경사를 이루는 경사봉과, 전술한 경사봉에 힌지 결합되어 전술한 지주봉과 평행하게 또는 전술한 경사봉에 접촉되게 회전하는 회동봉을 포함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차폐 유닛은 전술한 상, 하부 프레임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어 이격한 복수의 차폐봉과, 전술한 차폐봉의 양단과 상기 상, 하부 프레임을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개폐 유닛은 전술한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전술한 상부 프레임과 평행을 이루며 정, 역회전하면서 전술한 개폐 유닛의 회동을 제한하는 잠금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펜스 모듈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우선, 상, 하부 프레임 사이에 경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 유닛에 의하여 사료공급과 예방접종 등 사육되는 가축의 쾌적한 생활 유지에 도움이 되며, 상, 하부 프레임 사이에 간격을 임의로 조정하여 탈착 결합되는 차폐 유닛에 의하여 사육되는 가축의 가축의 다양한 크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 유닛과 차폐 유닛 등의 부품 일체를 모듈화함으로써 조립과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설치 장소까지 운반하기도 편리하며, 기존의 용접이나 절단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불필요하고 전술한 작업에 따른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환경 친화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모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모듈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모듈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정면 개념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모듈의 주요부인 차폐 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모듈의 주요부인 차폐 유닛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모듈의 주요부인 차폐 유닛의 장력 조절에 따른 변형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모듈의 주요부인 상부 프레임과 잠금 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모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모듈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모듈은 상, 하부 프레임(100, 100')과, 상, 하부 프레임(100, 100')에 장착되는 개폐 유닛(200)과, 상, 하부 프레임(100, 100')에 장착되고 개폐 유닛(200)에 인접하며 간격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폐 유닛(3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상, 하부 프레임(100, 100')은 지면과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모듈의 전체적인 골격이며, 후술할 개폐 유닛(200)과 차폐 유닛(30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개폐 유닛(200)은 상, 하부 프레임(100, 100')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 프레임(100) 및 하부 프레임(100')과 각각 직교하며, 상, 하부 프레임(100, 10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F)을 가하면 상, 하부 프레임(100, 100')과 경사지게 회동하여 사육되는 가축의 머리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즉, 개폐 유닛(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이 머리를 내어놓으려는 힘(F)을 상, 하부 프레임(100, 100')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게 가하면 경사지게 회동하면서 공간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가축은 머리를 내밀고 사료를 취식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수의사는 가축에게 예방 접종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차폐 유닛(300)은 상, 하부 프레임(100, 100') 사이에 복수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개폐 유닛(200) 사이에 장착되고, 일단이 상부 프레임(100)에 타단이 하부 프레임(100')에 각각 탈착 가능하고 간격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평행을 이루는 복수의 것이다.
즉, 차폐 유닛(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에 수용되는 가축들 각각의 개체당 크기에 맞게 상, 하부 프레임(100, 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적절하게 임의로 조정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개폐 유닛(200) 및 차폐 유닛(300)은 상, 하부 프레임(100, 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축사의 크기에 관계없이 장착의 위치를 작업자의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본 고안의 주요부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포함하여 나머지 도면을 참고로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모듈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정면 개념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모듈의 각 주요부별 구조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모듈의 주요부인 차폐 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모듈의 주요부인 차폐 유닛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폐 유닛의 장력 조절에 따른 변형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모듈의 주요부인 상부 프레임과 잠금 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3 내지 도 8에 표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을 참고하기로 한다.
상, 하부 프레임(100, 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지면과 평행을 이루면서 장착되며 사육되는 가축이 수용되는 축사(畜舍)의 입구를 가로지르게 장착되고, 가축들이 넘어가지 못할 정도로 상호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 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 하부 프레임(100, 100') 사이에서 가축의 머리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경ㅊ사지게 회동하는 것으로, 한 쌍의 지주봉(210, 210')사이에 경사봉(220)과 회동봉(230)이 장착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개폐 유닛(200)은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100') 사이에 후술할 차폐 유닛(300)을 복수개 배치하고 인접하게 장착되는 패턴을 반복하여 복수의 가축이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사료통(600)의 먹이를 먹도록 머리(500)를 내밀 수 있게 경사 회동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주봉(210, 210')은 상, 하부 프레임(100, 100')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어 이격한 한 쌍의 것으로, 후술할 차폐 유닛(300)과 상호 평행을 이루는 것이다.
한 쌍의 지주봉(210, 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차폐 유닛(300)의 고정구(320)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축사에 수용되는 가축의 개체 크기에 맞게 간격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경사봉(220)은 한 쌍의 지주봉(210, 210') 중 일측 지주봉(210)의 상단부에 인접하게 일단이 결합되고, 한 쌍의 지주봉(210, 210') 사이에 타단이 하부 프레임(100')과 결합되어 경사를 이루는 것으로, 상부 보장봉(222)과 하부 지지봉(224)과 받침봉(226)을 포함한다.
회동봉(230)은 경사봉(220)에 힌지 결합되어 한 쌍의 지주봉(210, 210')과 평행하게 또는 경사봉(220)에 접촉되게 회전하는 것으로, 힌지 브라켓(232)과 본체봉(234)과 접촉봉(236)과 이동편(238)을 포함한다.
상부 보강봉(222)은 한 쌍의 지주봉(210, 210') 중 일측의 지주봉(210)과 접촉하여 일체를 이루는 것으로, 후술할 회동봉(230)이 경사 회동하여 접촉할 때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일측 지주봉(210)의 취약한 상단부를 보강하는 역할도 한다.
하부 지지봉(224)은 한 쌍의 지주봉(210, 210') 사이에 하부 프레임(100')과 직교 결합하며 한 쌍의 지주봉(210, 210')과 평행을 이루는 것으로, 후술할 복수의 차폐 유닛(300) 보다 상대적으로 간격이 넓은 한 쌍의 지주봉(210, 210') 사이의 간격을 차폐 유닛(300) 각각의 간격에 맞추기 위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하부 지지봉(224)은 길이 방향을 따라 회동봉(23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제공하면서 평상시에는 회동봉(230)이 상, 하부 프레임(100, 100')과 직교를 이루어 축사에 수용된 가축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받침봉(226)은 상부 보강봉(222)과 하부 지지봉(224)을 연결하며 상, 하부 프레임(100, 100')과 경사를 이루는 것으로, 사료 공급시 또는 예방 접종시 등 가축이 머리를 내밀 수 있도록 회동봉(230)의 외주면이 접촉하는 면적을 제공한다.
여기서, 하부 지지봉(224)과 한 쌍의 지주봉(210, 210') 중 일측의 지주봉(210) 사이에는 축사에 수용되는 가축 중 상대적으로 개체의 크기가 작은 가축이 이탈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보강봉(225)이 결합되도록 한다.
회동봉(230)의 힌지 브라켓(232)은 하부 지지봉(224)과 받침봉(226)의 연결부에 장착되고, 회동봉(230)의 본체봉(234)은 힌지 브라켓(232)에 힌지(231)로 결합된다.
여기서, 본체봉(234)에는 받침봉(226)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받침봉(226)과 상, 하부 프레임(100, 10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여 축사에 수용되는 가축 중 상대적으로 개체의 크기가 작은 가축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고리(235)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다.
접촉봉(236)은 본체봉(234)의 상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고 본체봉(234)이 하부 프레임(100')측으로 이동하면 받침봉(226)에 일체로 접촉하는 것이다.
이동편(238)은 접촉봉(236)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부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본체봉(234)과 일체로 왕복 이동한다.
여기서, 이동편(238)의 왕복 이동은 상부 프레임(100)의 상측에 상부 프레임(100)과 평행을 이루며 정, 역회전하는 잠금 유닛(400)에 의하여 제한 또는 해제되고, 잠금 유닛(400)은 이동편(238)에 연동하는 본체봉(234)의 회동 동작 또한 제한 또는 해제하며, 잠금 유닛(400)의 구성 및 작동 메커니즘은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차폐 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 하부 프레임(100, 100') 사이에 탈착 가능하고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것으로, 복수의 차폐봉(310)과, 차폐봉(310)의 양단에 결합되는 고정구(320)를 포함한다.
차폐봉(31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 하부 프레임(100, 100')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어 이격한 복수의 것으로, 양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후술할 고정구(320)와의 결합을 위하여 복구의 체결공(311)이 관통된다.
고정구(320)는 차폐봉(310)의 양단과 상, 하부 프레임(100, 100')을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클램프(322)와 걸림편(324)과 후크(326)를 포함한다.
클램프(322)는 상부 프레임(100) 또는 하부 프레임(10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면서 차폐봉(310)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것으로, 시작핀(321)과 걸림고리(321')와 걸림핀(321")을 포함한다.
시작핀(321)은 걸림편(324)이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 직선의 핀을 원호 형상으로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다.
걸림고리(321')는 시작핀(321)의 양단부에서 각각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부 프레임(100) 또는 하부 프레임(10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싼다.
걸림핀(321")은 걸림고리(32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차폐봉(310)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체결공(311)에 삽입된다.
걸림편(324)은 클램프(322)와 결합되어 차폐봉(3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것으로, 접촉편(323)과 절곡편(323')을 포함한다.
접촉편(323)은 차폐봉(310)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하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봉(31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여 지렛대처럼 하단부가 차폐봉(310)의 외주면에 접촉하며 버티는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될 수 있고, 접촉편(323) 전체가 차폐봉(310)의 외주면에 접촉하며 고정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절곡편(323')은 접촉편(323)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클램프(322)의 시작핀(321)에 걸리도록 절곡된 것으로 후술할 후크(326)는 절곡편(323')에 관통된 홀(323")을 통하여 체결된다.
후크(326)는 걸림편(324)을 관통하여 차폐봉(310)을 상부 프레임(100) 또는 하부 프레임(100')에 고정하는 것으로, 몸체(325)와 걸림체(325')와 조절너트(327)를 포함한다.
몸체(3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걸림편(324)과 결합하며, 걸림체(325')는 몸체(325)의 단부에서 연장하여 차폐봉(310)측으로 절곡되어 차폐봉(310)의 양단부 외주면을 따라 관통된 복수의 체결공(311)에 삽입된다.
조절너트(327)는 몸체(325)가 걸림편(324) 및 차폐봉(3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몸체(325)에 나사 결합되어 정, 역회전하면서 상, 하부 프레임(100, 100')과 차폐봉(310)을 감싸며 고정하는 클램프(322)와 함께 도 7과 같이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잠금 유닛(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과 평행을 이루며 정, 역회전하면서 개폐 유닛(200)의 회동을 제한하는 것으로(도 1 내지 도 4 참고), 회전봉(410)과 연결구(420)와 잠금구(430)를 포함한다.
회전봉(410)은 상부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 프레임(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측에 정, 역회전을 편의를 위하여 파지용의 손잡이(450)가 마련된다.
연결구(420)는 상부 프레임(100)과 회전봉(410)을 상호 연결하며 회전봉(410)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으로, 제1 부분체(422)와 제2 부분체(424)와 체결구(426)를 포함한다.
잠금구(430)는 회전봉(410)에 장착되어 개폐 유닛(200), 즉 이동편(238)의 왕복 이동을 제한 또는 해제하면서 동시에 본체봉(234)의 경사 회동을 제한 또는 해제하는 것으로, 본체링(432)과 걸림봉(434)을 포함한다.
제1 부분체(422)는 도 8과 같이 상부 프레임(100)과 회전봉(410)의 외주면 일부를 각각 감싸고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한 쌍의 것이 한 조를 이루는 굴곡편(421)과 연결편(425)을 포함한다.
굴곡편(421)은 상호 이격하여 상부 프레임(100)과 회전봉(410)의 외주면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의 접촉면(421')이 마련된 것으로 한 쌍의 것이 한 조를 이룬다.
연결편(425)은 평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양단부에 한 쌍의 굴곡편(421)이 각각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2 부분체(424)는 상부 프레임(100)과 회전봉(410)의 외주면 나머지를 각각 감싸고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한 쌍의 것이 한 조를 이루는 굴곡편(423)과 연결편(427)을 포함한다.
굴곡편(423)은 상호 이격하여 상부 프레임(100)과 회전봉(410)의 외주면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의 접촉면(423')이 마련된 것으로 한 쌍의 것이 한 조를 이룬다.
연결편(427)은 평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양단부에 한 쌍의 굴곡편(423)이 각각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체결구(4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체(422)의 연결편(425)과 제2 부분체(424)의 연결편(427)를 상호 고정하도록 볼트 너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체결구(426)는 전술한 볼트 너트의 조합 외에도 리벳팅 등 다양한 결합 방법을 실시하여 연결편(425, 427)을 상호 고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2 부분체(422, 424)가 결합됨으로써 상부 프레임(100)과 회전봉(410)의 외주면이 감싸지게 된다.
잠금구(4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봉(410)을 축으로 하여 회전봉(410)이 정, 역회전함에 따라 이동편(238)이 상부 프레임(100) 상을 왕복 이동하는 것을 제한 또는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링(432)과 걸림봉(434)을 포함한다.
본체링(432)은 회전봉(4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것으로, 회전봉(410)과 일체로 정, 역회전한다.
걸림봉(434)은 본체링(432)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봉(410)과 직교를 이루며, 평상시에는 이동봉(238)에 걸림 고정되어 회동봉(230)의 본체봉(234)이 상, 하부 프레임(100, 100')과 직교를 이루는 상태, 즉 수용된 가축이 이탈하지 못하는 상태를 이룬다.
걸림봉(434)은 손잡이(450)를 파지하고 회전봉(410)을 정, 역회전하여 이동봉(238)에 걸림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면 가축이 머리를 본체봉(234)에 접촉하면서 상, 하부 프레임(100, 100')의 길이 방향에 직교되게 힘을 가하면 본체봉(234)이 경사 회동하면서 가축의 머리가 출입할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잠금 유닛(400)의 실제 사용예에 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3 및 도 4에 표기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한다.
작업자가 사료통(600)에 사료를 투입하고 손잡이(450)를 파지하여 도 3과 같이 회전봉(41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구(430)는 도 4와 같이 개폐 유닛(200)의 경사 회동을 허용하도록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이후, 축사 내의 가축들이 사료통(600)에 근접하여 개폐 유닛(200)에 머리(500)를 접촉하면서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100')의 형성 방향에 직교되게 압력을 가하면 개폐 유닛(200)이 일측으로 경사 회동하면서 공간을 부여하게 된다.
계속하여, 가축은 머리(500)를 타원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하강시켜 사료통(600)의 사료를 취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작업자는 가축들 중에서 예방 접종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개폐 유닛(200)을 차폐 유닛(300)과 평행하게 회동시켜 손잡이(450)를 파지하고 회전봉(410)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구(430)가 개폐 유닛(200)과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가축은 도 4에서 타원으로 표시된 위치에 머리(500)가 위치하게 되면서 축사 안으로 들어가려 하지만 개폐 유닛(200)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머리(500)가 걸린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예방 접종이나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잠금 유닛(400)은 복수의 개폐 유닛(200)에 대응하여 각각 또는 동시에 동작할 수 있도록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잠금 유닛(400)은 일측의 손잡이(450)를 파지하여 회전봉(41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동시에 잠금구(430)가 개폐 유닛(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회전봉(410)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동시에 잠금구(430)가 개폐 유닛(20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유닛(400)은 일측의 손잡이(450)를 파지하여 회전봉(41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동시에 잠금구(430)가 개폐 유닛(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동시에 가축들의 사료 취식을 도모할 수 있으며, 연결구(420)와 이웃한 연결구(420) 사이의 회전봉(410)의 연동 회전을 선택적으로 실시 또는 해제하는 별도의 선택 조절구(미도시)를 마련하여 전술한 선택 조절구를 조작하여 회전봉(410)이 개별적으로 회동동작을 실시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사육되는 가축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사육되는 가축의 다양한 크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부품 일체를 모듈화하여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하는데 따른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펜스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상부 프레임 100'...하부 프레임
200...개폐 유닛 210, 210'...지주봉
220...경사봉 222...상부 보강봉
224...하부 지지봉 225...보조 보강봉
226...받침봉 230...회동봉
231...힌지 232...힌지 브라켓
234...본체봉 235...차단고리
236...접촉봉 238...이동편
300...차폐 유닛 310...차폐봉
311...체결공 320...고정구
321...시작핀 321'...걸림고리
321"...걸림핀 322...클램프
323...접촉편 323'...절곡편
324...걸림편 325...몸체
325'...걸림체 326...후크
327...조절너트 400...잠금유닛
410...회전봉 420...연결구
421, 423...굴곡편 421', 423'...접촉면
422...제1 부분체 424...제2 부분체
425, 427...연결편 426...고정구
430...잠금구 432...본체링
434...걸림봉 450...손잡이

Claims (8)

  1. 지면과 평행을 이루는 상, 하부 프레임;
    상기 상, 하부 프레임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 하부 프레임과 직교를 이루며, 상기 상, 하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상, 하부 프레임과 경사지게 회동하는 개폐 유닛; 및
    상기 상, 하부 프레임 사이에 복수로 이격하여 배치된 상기 개폐 유닛 사이에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상부 프레임에 타단이 상기 하부 프레임에 각각 탈착 가능하며 간격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평행을 이루는 복수의 차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유닛 및 상기 차폐 유닛은 상기 상, 하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탈착 가능한 펜스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상, 하부 프레임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어 이격한 한 쌍의 지주봉과,
    상기 한 쌍의 지주봉 중 일측 지주봉의 상단부에 인접하게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지주봉 사이에 타단이 상기 하부 프레임과 결합되어 경사를 이루는 경사봉과,
    상기 경사봉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주봉과 평행하게 또는 상기 경사봉에 접촉되게 회전하는 회동봉을 포함하는 펜스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유닛은,
    상기 상, 하부 프레임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어 이격한 복수의 차폐봉과,
    상기 차폐봉의 양단과 상기 상, 하부 프레임을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펜스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상부 프레임과 평행을 이루며 정, 역회전하면서 상기 개폐 유닛의 회동을 제한하는 잠금 유닛을 더 포함하는 펜스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봉은,
    상기 한 쌍의 지주봉 중 일측의 지주봉과 접촉하여 일체를 이루는 상부 보강봉과,
    상기 한 쌍의 지주봉 사이에 상기 하부 프레임과 직교 결합하며 상기 한 쌍의 지주봉과 평행을 이루는 하부 지지봉과,
    상기 상부 보강봉과 상기 하부 지지봉을 연결하며 상기 상, 하부 프레임과 경사를 이루는 받침봉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봉은 상기 하부 지지봉과 상기 받침봉의 연결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하부 지지봉과 접촉하여 상기 상, 하부 프레임과 직교하고, 상기 받침봉과 접촉하여 상기 상, 하부 프레임과 경사를 이루는 펜스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봉은,
    상기 하부 지지봉과 상기 받침봉의 연결부에 장착된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에 결합되는 본체봉과,
    상기 본체봉의 상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본체봉이 상기 하부 프레임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받침봉에 일체로 접촉하는 접촉봉과,
    상기 접촉봉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봉과 일체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편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측에서 상기 이동편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여 상기 회동봉의 회동을 제한 또는 허용하는 펜스 모듈.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상부 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차폐봉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와 결합되어 상기 차폐봉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을 관통하여 상기 차폐봉을 고정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펜스 모듈.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는 회전봉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회전봉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회전봉의 회전을 허용하는 복수의 연결구와,
    상기 회전봉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 유닛의 회동을 제한하는 잠금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구는 상기 회전봉을 축으로 하여 상기 회전봉의 정, 역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 유닛과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는 펜스 모듈.
KR2020100003566U 2010-02-03 2010-04-06 펜스 모듈 KR201100079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566U KR20110007949U (ko) 2010-02-03 2010-04-06 펜스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250 2010-02-03
KR2020100003566U KR20110007949U (ko) 2010-02-03 2010-04-06 펜스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949U true KR20110007949U (ko) 2011-08-10

Family

ID=4559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566U KR20110007949U (ko) 2010-02-03 2010-04-06 펜스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94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240B1 (ko) * 2019-12-13 2020-06-01 신상식 축사용 스탄존 및 그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240B1 (ko) * 2019-12-13 2020-06-01 신상식 축사용 스탄존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2237C (en) Kit of parts for and a livestock feeder
US6643973B1 (en) Modular article holder apparatus
US20090152783A1 (en) Post holder
RU2506736C2 (ru) Обрезная пила
RU2484950C2 (ru) Переносный ручной приводной инструмент
US7644682B2 (en) Round bale feeder
KR101258674B1 (ko) 썰매판형 패류채취기
US9591829B2 (en) Cattle hoof trimming chute
US3986481A (en) Cattle stalls
US11751538B2 (en) Animal restraint device
WO2008122684A1 (es) Agarradera auxiliar para herramientas
KR20110007949U (ko) 펜스 모듈
US8720373B1 (en) Bale holder
KR200484399Y1 (ko)
KR101096373B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KR101638015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US7029045B2 (en) Doe Antlers
JP2013243941A (ja) 汎用コンバインの梯子構造
JP4535996B2 (ja) 電柱設置装置
KR20190109126A (ko) 가축 자세 보정장치
CN210492261U (zh) 一种用于防波堤垂钓的渔具存放装置
US5634438A (en) Large animal stock
RU135490U1 (ru) Станок для фиксации крупного рогатого скота
US20160235037A1 (en) Animal alignment support system
US20160057935A1 (en) Feederhouse arrangement for mounting a header to a com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