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687U - 케이블 분기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분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687U
KR20110007687U KR2020100000942U KR20100000942U KR20110007687U KR 20110007687 U KR20110007687 U KR 20110007687U KR 2020100000942 U KR2020100000942 U KR 2020100000942U KR 20100000942 U KR20100000942 U KR 20100000942U KR 20110007687 U KR20110007687 U KR 201100076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ver member
conductive
protrusion
energ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두연
조성민
홍성진
Original Assignee
조두연
홍성진
조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두연, 홍성진, 조성민 filed Critical 조두연
Priority to KR2020100000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687U/ko
Publication of KR20110007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6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케이블 분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케이블 분기장치가 개시된다. 케이블 분기장치는 각각의 케이블들의 피복의 일부를 관통하여 도전선에 접촉되어 케이블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재와, 통전부재를 각각의 케이블들에 고정시키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피복을 제거하기 않고 케이블을 분기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을 분기하는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피복 내부의 도전선과 접촉될 가능성이 없으므로,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분기장치{Splitter of cable}
본 고안은 케이블 분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특정 부분에 별도의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케이블을 분기시키는 케이블 분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케이블의 일측에 전기기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을 분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케이블 분기작업은 케이블의 특정 부분의 피복을 벗겨내고, 별도의 케이블의 도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절연테이프로 외부로 노출된 도전선을 감싸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작업은 케이블의 특정 부분의 피복을 벗겨내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된다. 예를 들어, 터널 공사 과정에서 하나의 전원선에 복수의 램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램프의 개수만큼 케이블의 특정 부분의 피복을 벗기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케이블의 피복을 벗겨낸 이후에 작업자와 도전선이 접촉되어 감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케이블 분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케이블 분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분기장치는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제1케이블의 피복을 관통하여 도전선에 통전되는 제1단부와, 제2케이블의 피복을 관통하여 도전선에 통전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는 전도성 재질의 적어도 하나의 통전부재와, 내부에 통전부재가 수용되고, 제1케이블의 특정 부분과 제2케이블의 일단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과 통전부재가 통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분기장치는 피복을 제거하기 않고 케이블을 분기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을 분기하는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피복 내부의 도전선과 접촉될 가능성이 없으므로,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분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분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분기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분기장치에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케이블 분기장치에서 통전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통전부재의 돌기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통전부재의 돌기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분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분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케이블 분기장치(100)는 제1케이블(10)의 특정 부분에 제2케이블(20)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를 위한 케이블 분기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부재(110)와 고정 조립체(120)를 포함한다.
통전부재(110)는 제1케이블(10)과 제2케이블(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한 통전부재(110)는 제1단부(110a)와 제2단부(110b)를 포함한다. 제1단부(110a)는 제1케이블(10)의 피복을 관통하여 도전선에 통전된다. 제2단부(110b)는 제2케이블(20)의 피복을 관통하여 도전선에 통전된다. 즉, 통전부재(110)는 특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통전부재(110)의 형상의 일예로 바(bar)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1단부(110a)와 제2단부(110b)는 바형상의 부재의 양단이 된다. 에 각각 형성된다. 통전부재(110)의 제1단부(110a)와 제2단부(110b)는 끝부분이 피복을 용이하게 관통하도록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통전부재(110)는 전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케이블(10)의 전류가 제2케이블(20)로 용이하게 전달되게 하기 위함이다. 통전부재(110)의 재질의 일예로 인장강도 436N/㎟(45Kg/㎟)이상의 기계적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 동합금일 수 있다. 그리고, 통전부재(110)의 표면에는 석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석도금층의 두께는 대략 4㎛ 내지 6㎛일 수 있다. 이러한 석도금층은 통전부재(110)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 조립체(120)는 제1케이블(10)과 제2케이블(20)과 통전부재(110)가 통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를 위한 고정 조립체(120)의 내부에는 통전부재(110)가 수용된다. 그리고, 고정 조립체(120)는 제1케이블(10)의 특정 부분과 제2케이블(20)의 일단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조립체(120)의 상세구조의 일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케이블 분기장치(100)는 피복을 제거하기 않고 케이블을 분기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을 분기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을 분기하는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피복 내부의 도전선과 접촉될 가능성이 없으므로,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통전부재(110)는 돌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113)는 제1단부(110a) 및 제2단부(110b)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형성된다. 돌기부(113)가 제1단부(110a)에 형성되는 경우, 돌기부(113)는 제1단부(110a)가 제1케이블(10)의 피복을 더욱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돌기부(113)가 제2단부(110b)에 형성되는 경우, 돌기부(113)는 제2단부(110b)가 제2케이블(20)의 피복을 더욱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돌기부(113)는 피복을 용이하게 관통하도록 끝 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13)는 적어도 하나의 제1돌기(113a)와 복수의 제2돌기(113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113a)는 제1크기(A)로 형성된다. 제2돌기(113b)들은 제1돌기(113a)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2돌기(113b)는 제1크기(A)보다 큰 제2크기(B)로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돌기(113a) 및 제2돌기(113B)의 형상의 일예로 삼각형인 경우, 제1돌기(113a)의 삼각형의 높이는 1㎜가 될 수 있고, 제2돌기(113b)는 1㎜보다 큰 값을 갖는다. 이러한 제1돌기(113a) 및 제2돌기(113b)는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가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원형배열(Polar Array)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돌기(113a)의 좌측에 위치한 제2돌기(113b)가 제1돌기(113a)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돌기(113a)의 우측에 위치한 제2돌기(113b)가 제1돌기(113a)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213)의 변형예로, 제1돌기(213a)는 두 개일 수 있다. 전술한 구조의 돌기부(113, 도 5 참조)는 제1돌기(113a, 도 5 참조)가 하나이므로, 제1돌기(113a, 도 5 참조)의 제1크기와 유사한 직경의 제1케이블이 제1돌기(113a, 도 5 참조)와 접촉되는 경우, 제1돌기(113a, 도 5 참조)가 제1케이블의 도전선에 과도하게 삽입되어 제1케이블이 단선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변형예에 따른 돌기부(213)는 제1돌기(213a)가 두 개이므로, 제1돌기(213a)의 제1크기와 유사한 직경의 제1케이블이 제1돌기(213a)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제1돌기(213a)들이 제1케이블의 도전선에 과도하게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기부(313)의 다른 변형예로 제1돌기(313a)는 두 개 이상일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제1돌기(313a)들은 제2돌기(113b)에 인접해질수록 크기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돌기(313a)들이 3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운데에 위치한 제1돌기(313a)보다 제2돌기(313b)에 인접하게 위치한 2개의 제1돌기(313c)들의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을 단선시키지 않고 분기시키는데 있어서 더욱 유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돌기부(313)에서는, 제2돌기(113b)가 제1돌기(313a)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제2돌기(113b)들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케이블들의 도전선이 돌기부(313)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케이블 분기장치(100)는 단면의 넓이가 대략 6㎟ 내지 120㎟인 제1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케이블 분기장치는 단면의 넓이가 대략 1㎟ 내지 50㎟인 제2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재차 참조하면, 고정 조립체(120)의 구조의 일예로 제1커버부재(130)와, 절연부재(140)와, 제2커버부재(150)와, 고정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부재(130)는 통전부재(110)의 적어도 일부가 상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한 제1커버부재(130)의 상면에는 통전부재(110)의 하측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인입부(132)가 형성된다.
절연부재(140)는 통전부재(110)가 제1커버부재(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통전부재(110)의 노출된 부분을 감싸게 형성된다. 즉, 제1커버부재(130)와 절연부재(140)가 통전부재(11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통전부재(110)와 수분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통전부재(110)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커버부재(130)와 절연부재(140)는 통전부재(110)의 외면 전체를 외부로부터 밀폐하지는 않으며, 제1케이블(10)의 도전선과 접촉되는 제1단부(110a)와 제2케이블(20)의 도전선과 접촉되는 제2단부(110b)의 일부는 노출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한 절연부재(140)의 상세한 구조의 일예를 후술하기로 한다.
제2커버부재(150)는 절연부재(140)의 상면에 배치된다. 제2커버부재(150)는 통전부재(110)의 제1단부(110a)와 마주하는 부분에 제1케이블(10)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커버부재(150)는 통전부재(110)의 제2단부(110b)와 마주하는 부분에 제2케이블(20)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제2커버부재(150)에서 제1케이블(10) 및 제2케이블(20)이 접촉되는 부분은 호(Arc)형상으로 인입되게 형성되어 본 고안의 케이블 분기장치(100)에 의해 제1케이블(10) 및 제2케이블(20)이 통전된 상태에서 제1케이블(10) 및 제2케이블(20)이 케이블 분기장치(100)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2커버부재(150)와 제1커버부재(130)는 통전부재(110)를 통하는 전류가 외부로 누전되지 않도록 비전도성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재(160)는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형성된다. 즉, 고정부재(160)에 의해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 사이에 위치한 제1케이블(10) 및 제2케이블(20)을 압착하게 된다. 이를 위한 고정부재(160)의 상세한 구조의 일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고정 조립체(120)는 외부의 수분 또는 접촉으로부터 통전부재(110)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통전부재(110)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가 외부로 누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고정 조립체(120)는 제1케이블(10)과 제2케이블(20)과 통전부재(110)의 통전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1커버부재(130) 및 제2커버부재(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제1커버부재(130) 및 제2커버부재(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중량비 95% 내지 50%의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와, 중량비 5% 내지 50%의 유리섬유(Glass fib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커버부재(130) 또는 제2커버부재(150)가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와 유리섬유를 혼합한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난연성 및 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커버부재(130) 및 제2커버부재(150) 내에 유리섬유가 5% 미만인 경우, 제1커버부재(130) 및 제2커버부재(150)의 난연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버부재(130) 및 제2커버부재(150) 내에 유리섬유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제1커버부재(130) 및 제2커버부재(150)의 취성이 과도하게 증가되어 외력에 의해 제1커버부재(130) 및 제2커버부재(150)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통전부재(110)의 표면에는 구리스(Grease)가 도포될 수 있다. 구리스는 통전부재(110)가 제1커버부재(130) 및 절연부재(140)에 의해 감싸진 상태에서 발생되는 틈을 채움으로써, 본 고안의 케이블 분기장치(100)의 절연 및 난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절연부재(140)의 상세한 구조의 일예로 몸체부(141)와, 제1수용부(142)와, 씰링부(143)와, 제2수용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41)는 절연부재(140)의 몸체가 된다. 몸체부(141)는 비전도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인 즉, 제1케이블(10)로부터 인가된 전류가 통전부재(110)를 통하여 몸체부(141)로 인가되는 경우, 작업자에 전류가 인가되어 감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수용부(142)는 몸체부(141)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통전부재(110)와 대응되는 크기로 인입되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케이블 분기장치(100)가 두 개의 통전부재(110)들을 포함하는 경우, 몸체부(141)에는 두 개의 제1수용부(142)가 형성된다.
씰링부(143)는 제1단부(110a)가 제1케이블(10)의 도전선에 접촉된 상태에서 외부의 수분이 통전부재(1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한 씰링부(143)는 몸체부(141)에서 통전부재(110)의 제1단부(110a)가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그리고, 씰링부(143)는 제1단부(110a)와 대응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씰링부(143)는 탄성 변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가 고정부재(160)에 의해 가까워짐에 따라 씰링부(143)가 탄성 변형되어 통전부재(110)의 제1단부(110a)가 제1케이블(10)을 향하여 이동되어 제1케이블(10)의 피복을 관통하여 도전선에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씰링부(143)는 제1케이블(10)의 피복의 관통된 부분의 주변을 감싸서 피복의 관통된 부분이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외부의 수분이 통전부재(1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수용부(144)는 제2단부(110b)가 제2케이블(20)의 도전선에 접촉된 상태에서 외부의 수분이 통전부재(1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한 제2수용부(144)는 몸체부(141)에서 통전부재(110)의 제2단부(110b)가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수용부(144)의 내부에는 제2케이블(2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수용부(144)는 탄성 변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가 고정부재(160)에 의해 가까워짐에 따라 제2수용부(144)가 탄성 변형되어 내벽이 제2케이블(20)을 압착하여 제2케이블(20)이 분리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제2수용부(144)의 수용공간은 통전부재(110)의 제2단부(110b)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가 가까워져서 몸체부(141)와 제2수용부(144)를 압착하는 경우, 통전부재(110)의 제2단부(110b)가 제2케이블(20)을 향하여 이동되어 제2케이블(20)의 피복을 지나 도전선에 접촉되게 한다.
제2수용부(144)는 몸체부(141)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2케이블(2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게 형성되며, 제2케이블(20)이 수용된 상태에서 통전부재(110)의 제2단부(110b)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2수용부(144)의 형상의 일예로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제2수용부(144)는 몸체부(141)의 일측에 통전부재(110)와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실린더 형상의 내부는 제2케이블(20)이 수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홈의 내벽의 일부는 통전부재(110)의 제2단부(110b)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160)에 의해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가 가까워지면서 몸체부(141)를 압착하는 과정에서 통전부재(110)의 제2단부(110b)가 제2케이블(20)을 향하여 이동되어 제2수용부(144)에 수용된 제2케이블(20)의 피복의 일부를 관통하여 도전선에 접촉된다.
한편, 몸체부(141)는 연성 재질일 수 있다.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가 가까워지면서 몸체부(141)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몸체부(141)와 통전부재(110)가 밀착되어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통전부재(110)의 표면에 구리스를 도포하고, 몸체부(141)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물에 대한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41)의 소재의 일예로 실리콘 일 수 있다. 또한, 몸체부(141)의 소재의 일예로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일 수 있다.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는 전기적, 기계적, 내후적 특성이 우수하고, 수분과 접촉되더라도 절연특성이 저하되지 않는 소재이다. 여기서, 몸체부(141)의 소재를 실리콘 또는 나일론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연성이면서 비도전성 재질이면 어떤 소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절연부재(140)는 이탈방지고리(146)를 포함하고, 제1커버부재(130)의 일측에는 걸림턱(131)이 형성되며, 제2커버부재(150)의 일측에는 걸림고리(1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고리(146)는 제2수용부(144)의 외면에 형성된다. 이탈방지고리(146)는 연성 재질이면서 걸림턱(131)에 끼워지도록 폐곡선 형태가 된다. 그리고, 이탈방지고리(146)의 끝부분에는 걸림고리(151)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걸림홀이 형성된다. 걸림턱(131)은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커버부재(130)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걸림고리(151)는 제2커버부재(150)의 외면으로부터 특정 두께를 갖도록 돌출형성된다. 제1커버부재(130)와 절연부재(140)와 제2커버부재(150)가 결합되는 경우, 이탈방지고리(146)가 걸림턱(131)에 걸림으로써, 절연부재(140)가 제1커버부재(13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탈방지고리(146)의 걸림홀이 제2커버부재(150)의 걸림고리(151)에 걸림으로써, 제2커버부재(150)가 절연부재(14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절연부재(140)는 탄성 지지부(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145)는 몸체부(141)에서 제2커버부재(150)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다. 탄성 지지부(145)는 제2커버부재(150)를 제1커버부재(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에 따라 탄성 지지부(145)는 본 고안의 케이블 분기장치(100)에 제1케이블(10) 및 제2케이블(20)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케이블 분기장치(100)에 의해 케이블을 분기하는 과정은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 사이에 제1케이블(10) 또는 제2케이블(20)을 배치한 다음, 고정부재(160)로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가 가까워지도록 체결하는 것으로 완료된다. 이 과정에서 탄성 지지부(145)에 의해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제1케이블(10)을 분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고정부재(160)의 구조의 일예로 볼트(161)와, 너트(162)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161)는 제1커버부재(130)와 절연부재(140)와 제2커버부재(1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1커버부재(130)와 절연부재(140)와 제2커버부재(150)에는 볼트(161)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커버부재(150)에 형성된 홀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의 케이블 분기장치(100)에 제1케이블(10) 및 제2케이블(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커버부재(150)가 제1케이블(10)의 직경에 따라 제1커버부재(130)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너트(162)는 볼트(161)에 체결되어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와 절연부재(14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너트(162)가 외력에 의해 볼트(161)에 체결될수록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가 가까워진다.
한편, 너트(162)는 보조헤드부(163)(Shear Head)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헤드부(163)는 너트(162)의 상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헤드부(163)는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되면, 보조헤드부(163)와 너트(162)를 연결하는 부분이 파손된다. 이를 위해 보조헤드부(163)와 너트(162)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부재로 연결된다. 볼트(161)와 너트(162)가 과도하게 체결되어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가 매우 가까워지는 경우, 통전부재(110)의 제1단부(110a)가 제1케이블(10)을 절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케이블 분기장치(100)로 케이블을 분기하는 과정에서는,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보조헤드부(163)를 회전하다가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가 제1케이블(10) 및 제2케이블(20)을 고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보조헤드부(163)에 특정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되면, 보조헤드부(163)가 너트(162)로부터 분리되어 너트(162)가 볼트(161)에 체결되는 과정이 중단된다. 예를 들어 대략 6Nㆍm 이상의 힘이 보조헤드부(163)와 너트(162)에 가해지면, 보조헤드부(163)와 너트(162)의 연결부분이 파손된다. 이에 따라,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 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절연부재(140)에 더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1단부(110a)가 제1케이블(10)을 향하여 과도하게 이동되지 않음으로써, 제1케이블(10)이 통전부재(110)의 제1단부(110a)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커버부재(150)와 너트(162) 사이에는 와셔(164)가 배치될 수 있다. 와셔(164)는 너트(162)와 볼트(161)의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이 제2커버부재(150)에 분산된 상태로 작용하게 한다. 이에 따라, 와셔(164)는 제2커버부재(150)에서 너트(162)와 접촉되는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너트(162), 볼트(161) 및 와셔(164)는 대략 784N/㎟(80Kg/㎟)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커버부재(130)와 제2커버부재(150)가 고정부재(160)에 의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케이블 20: 제2케이블
100: 케이블 분기장치 110: 통전부재
110a: 제1단부 110b: 제2단부
113: 돌기부 113a: 제1돌기
113b: 제2돌기 120: 고정 조립체
130: 제1커버부재 131: 걸림턱
140: 절연부재 141: 몸체부
142: 제1수용부 143: 씰링부
144: 제2수용부 145: 탄성 지지부
146: 이탈방지고리 150: 제2커버부재
151: 걸림고리 160: 고정부재
161: 볼트 162: 너트
163: 보조헤드부 164: 와셔

Claims (9)

  1. 제1케이블의 특정 부분에 제2케이블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케이블 분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1케이블의 피복을 관통하여 도전선에 통전되는 제1단부와, 상기 제2케이블의 피복을 관통하여 도전선에 통전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는 전도성 재질의 적어도 하나의 통전부재; 및
    내부에 상기 통전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제1케이블의 특정 부분과 상기 제2케이블의 일단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블과 상기 제2케이블과 상기 통전부재가 통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고정 조립체;
    를 포함하는 케이블 분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재는,
    상기 제1단부 및 제2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분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제1크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돌기; 및
    상기 제1돌기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크기보다 큰 제2크기로 형성된 복수의 제2돌기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분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는 두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분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조립체는,
    상기 통전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제1커버부재;
    상기 통전부재가 상기 제1커버부재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통전부재의 노출된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절연부재;
    상기 절연부재의 상면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통전부재의 제1단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제1케이블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전부재의 제2단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제2케이블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도록 형성된 제2커버부재; 및
    상기 제1커버부재와 상기 제2커버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분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비전도성 재질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통전부재와 대응되는 크기로 인입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수용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통전부재의 제1단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커버부재와 제2커버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가까워짐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통전부재의 제1단부가 상기 제1케이블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단부와 대응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씰링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통전부재의 제2단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블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부재와 제2커버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가까워짐에 따라 탄성 변형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통전부재의 제2단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2수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분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제2커버부재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커버부재를 상기 제1커버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분기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재 및 제2커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분기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재 및 제2커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중량비 95% 내지 50%의 폴리아미드계(Polyamide) 합성수지; 및
    중량비 5% 내지 50%의 유리섬유(Glass fib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분기장치.
KR2020100000942U 2010-01-27 2010-01-27 케이블 분기장치 KR201100076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942U KR20110007687U (ko) 2010-01-27 2010-01-27 케이블 분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942U KR20110007687U (ko) 2010-01-27 2010-01-27 케이블 분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687U true KR20110007687U (ko) 2011-08-03

Family

ID=4559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942U KR20110007687U (ko) 2010-01-27 2010-01-27 케이블 분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68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353B1 (ko) * 2015-06-26 2016-02-26 제룡산업 주식회사 절연관통형 리드선 접속용 커넥터
KR20160072945A (ko) * 2014-12-15 2016-06-24 나은기술 주식회사 전력선 분기 수단
KR20220048397A (ko) * 2020-10-12 2022-04-19 (주)혜성씨앤이 관통형 분기 접속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945A (ko) * 2014-12-15 2016-06-24 나은기술 주식회사 전력선 분기 수단
KR101597353B1 (ko) * 2015-06-26 2016-02-26 제룡산업 주식회사 절연관통형 리드선 접속용 커넥터
KR20220048397A (ko) * 2020-10-12 2022-04-19 (주)혜성씨앤이 관통형 분기 접속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559B1 (ko) 배전선의 합선방지용 커넥터
US9515423B2 (en) Tapered ground strap shield connector
US20010052420A1 (en) Crimping terminal for connection between electric cables
RU252452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провод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проводника с волоконным сердечником
KR20110007687U (ko) 케이블 분기장치
KR20100007644U (ko) 케이블 접속장치 및 케이블 접속장치 조립체
KR101975674B1 (ko) 도전성 스프링을 적용한 탄소섬유 차폐 케이블 접속재
US6699063B2 (en) Cable assembly having strain relief mechanism and housing incorporating such cable assembly
KR10162614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KR100639313B1 (ko)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
KR101037721B1 (ko) 감전방지용 지중배전함의 절연구조
KR100816282B1 (ko) 배전 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2046412B1 (ko) 밀폐형 고전압 전선 조인트 클립
CN209963293U (zh) 一种绝缘分支线夹及其分支线连接器
JP2009009748A (ja) 電線接続装置
US20180166185A1 (en) Cab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cable
RU2359378C1 (ru) Соединитель
RU2011249C1 (ru) Соединитель
CN209860170U (zh) 一种绝缘密封分支线连接器
KR100851821B1 (ko) 전선 연결 커넥터
JP6294253B2 (ja) 端子台
KR100911084B1 (ko) 방수 커넥터
KR102686729B1 (ko) 구부림 시험 및 사용에 따른 전원플러그의 단선 방지장치
KR102083099B1 (ko) 전자파 차폐용 케이블 커넥터
EP4044374A1 (en) Cable lug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 cable lu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