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931A -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 Google Patents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931A
KR20110006931A KR1020090064569A KR20090064569A KR20110006931A KR 20110006931 A KR20110006931 A KR 20110006931A KR 1020090064569 A KR1020090064569 A KR 1020090064569A KR 20090064569 A KR20090064569 A KR 20090064569A KR 20110006931 A KR20110006931 A KR 20110006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rubber cone
rubber
val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8390B1 (ko
Inventor
윤소영
Original Assignee
윤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소영 filed Critical 윤소영
Priority to KR1020090064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3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bodies, e.g. cones; capable of assuming three-dimensional form, e.g. by inflation or erection to form a geometric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4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smoke, fire or coloured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추체(10)를 이용하여 위험을 표지하는 러버콘에 있어서: 원추체(10)의 하단에 일체로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공압을 저장하는 에어탱크(22)를 구비하는 받침대(20); 상기 에어탱크(22)를 관로(32)와 휘슬(36)에 연결하고, 관로(32)상에 개폐밸브(34)를 구비하는 경보수단; 및 상기 원추체(10)의 전도에 연동하여 개폐밸브(34)의 작동력을 발생하는 감지수단(40)(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러버콘에 압축공기를 충진하고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밸브의 개방으로 휘슬을 울려 작업자가 위험상황에서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90064569
도로, 공사, 러버콘, 라바콘, 경보, 휘슬

Description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Emergency notifying rubber cone}
본 발명은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공사 현장 등 작업장의 안전과 주행차량의 이동경로 확보를 위해 사용하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고속도로를 비롯한 각종 도로의 신설 및 확장과 함께 운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으로 교통안전시설물의 연장 및 개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로와 시설물의 보수를 위해 해마다 많은 도로상 공사가 추진되고 있다. 이때, 관련 규정에 의하면 위험을 알리는 표지(적색등, 보호색), 신호시설 또는 필요한 인원을 배치하고 교통을 유도하도록 한다.
이에 도로공사 현장에는 설정된 작업장 영역을 기준으로 일정간격으로 러버콘(rubber cone; 일명 라바콘, 안전콘, 칼라콘)을 설치하여 주행중인 차량이 작업장 안으로 들어오지 않게 안내하기도 한다. 그러나 주행중인 차량이 부주의로 러버콘을 넘어뜨리면 유도기능이 약화되고 다른 차량이 작업장을 진입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크다. 주행 차량 운전자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러버콘에 색을 부여하거나 반사지를 부착하지만 사고예방에 대한 대책으로 미흡하다.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29370호에 의하면 조립시에는 공사현장에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는 안전휀스로 사용하고, 분리시에는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을 유도하는 러버콘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겸용기능을 요지로 한다.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157079호에 의하면 공사장이나 작업장에서 통행상의 주위를 환기시키기 위해 작업장소로 간편하게 이동시키고 경보등의 점멸과 함께 깃발을 좌우로 흔들리게 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 의하면 일반적인 러버콘에 비하여 비교적 크고 다단 적재가 곤란하기 때문에 보관, 이동, 설치, 작동에 있어 실효성에 한계를 보인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29370호 "러버콘을 이용한 안전휀스"
[문헌2]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157079호 "안전신호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러버콘에 압축공기를 충진하고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밸브의 개방으로 휘슬을 울려 작업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추체를 이용하여 위험을 표지하는 러버콘에 있어서: 원추체의 하단에 일체로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공압을 저장하는 에어탱크를 구비하는 받침대; 상기 에어탱크를 관로와 휘슬에 연결하고, 관로상에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경보수단; 및 상기 원추체의 전도에 연동하여 개폐밸브의 작동력을 발생하는 감지수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경보수단은 관로 상에 공기 분사압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감지수단은 원추체의 전도에 연동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량추와, 중량추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며 승하강 운동하는 유동판과, 유동판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와 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감지수단은 탄성지지되어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회동 후 위치로 로크하는 로드와, 원추체의 전도에 연동하도록 로드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회동판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접촉하는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 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러버콘에 압축공기를 충진하고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밸브의 개방으로 휘슬을 울려 작업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러버콘을 정면과 배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콘을 부분적/전체적으로 절단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원추체(10)를 이용하여 위험을 표지하는 러버콘에 관련된다. 원추체(10)는 종래의 러버콘처럼 여러 개를 중첩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속이 빈 구조로 형성된다. 현장 설치, 수거,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서 내구성 높은 고무재질을 사용하고 시인성을 향상하도록 야광판이나 반사판을 부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공압을 저장하는 에어탱크(22)를 구비하는 받침대(20)가 원추체(10)의 하단에 일체로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원추체(10)와 받침대(20)는 동일한 고무재질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각각 별도로 형성하여 끼움방식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택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관로(32)상에 개폐밸브(34)를 구비하는 경보수단이 상 기 에어탱크(22)를 관로(32)와 휘슬(36)에 연결한다. 휘슬(36)을 이용한 청각적 신호로 위험을 알릴 수 있도록 받침대(20)의 테두리부에 장방형으로 에어탱크(22)를 설치한다. 에어탱크(22)는 받침대(20)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하여 장착할 수도 있고 받침대(20)와 동일한 소재로 일체화할 수도 있다. 에어탱크(22)는 소진된 공기를 다시 충진할 수 있도록 상면 그리고 또는 저면에 주입구(24)를 둔다. 동시에 에어탱크(22)에 적정 공기압이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상면 그리고 또는 저면에 압력계(26)를 설치할 수도 있다.
만일 에어탱크(22)의 강도가 충분하다면 공압으로 팽창하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압력계(26)를 생략할 수 있다. 관로(32)는 일단이 에어탱크(22)에 연결되고 타단이 휘슬(36)을 통하여 개방된다. 개폐밸브(34)는 수동력으로 유로를 개폐하는 방식으로서 작동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관로(32) 상에 복수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휘슬(36)은 일반 에어혼, 호르라기, 사이렌 등 다양한 형태의 소리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저주파 보다는 고주파수가 소리를 전달력이 우수하다.
이때, 상기 경보수단은 관로(32) 상에 공기 분사압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38)를 더 구비한다. 후술하는 감지수단에 의해 개폐밸브(34)가 개방됨과 동시에 공기가 조절밸브(38)를 거쳐 휘슬(36)을 울리게 되는데, 조절밸브(38)는 휘슬(36)에 도달되는 공기압력을 조절하여 소리크기를 변동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추체(10)의 전도에 연동하여 개폐밸브(34)의 작동력을 발생하는 감지수단(40)(60)을 포함한다. 외부에서 러버콘에 충격이 가해 지면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수단(40)(60)의 작동으로 기계적인 힘이 개폐밸브(34)로 전달되어 유로가 개방된다. 본 발명은 무게추 방식과 당김줄 방식 2가지로 수행되는데, 전자는 제1감지수단(40)으로 후자는 제2감지수단(60)으로 명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도 3의 작동전 상태를 저면과 종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3의 작동후 상태를 저면과 종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감지수단(40)은 원추체(10)의 전도에 연동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량추(46)와, 중량추(46)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며 승하강 운동하는 유동판(44)과, 유동판(44)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52)와 로드(54)를 구비한다. 중량추(46)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어 도립상태로 케이싱(4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동판(44)은 저면에 스프링(48)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 중앙에서 중량추(46)와 접하면서 상승이 구속된 상태이다. 유동판(44)의 좌우단에는 링크(52)와 로드(54)가 연결되어 유동판(44)의 상하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한다. 로드(54)는 개폐밸브(34)에 연결되어 유로를 개폐한다.
도 4처럼, 원추체(10)가 안정된 상태로 있으면 중량추(46)가 도립상태로 유동판(44)을 눌러 상승하지 못하지만, 도 5처럼 원추체(10)의 흔들림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중량추(46)가 기울어지면서 유동판(44)이 상승하고 링크(52)와 로드(54)의 작동으로 개폐밸브(34)가 개방되어 휘슬(36)에서 경보음이 발생한다. 재사용을 위해서 별도의 레버(미도시) 유동판(44)을 원위치로 하강시키고 중량추(46)를 도립상 태로 두면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무게추 방식의 제1감지수단(40)은 러버콘 바닥판에 설치가 되며 작업중 약간의 충격에는 반응하지 않는 작동 임계점을 가지고 있다. 외부의 강한 충격에 의해 러버콘의 원추체(10)가 전도되거나 흔들림이 심할 때 중량추(46)는 임계점을 초과하게 되고 작업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반단면도와 저면도, 도 7은 도 6의 작동전후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감지수단(60)은 탄성지지되어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회동판(64)과, 상기 회동판(64)의 회동 후 위치로 로크하는 로드(74)와, 원추체(10)의 전도에 연동하도록 로드(74)에 연결되는 와이어(66)와, 회동판(64)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접촉하는 레버(76)를 구비한다. 케이싱(62)의 저면에 브라켓(72)을 개재하여 일측에 회동판(64)이 타측에 레버(76)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판(64)은 평판형 구조이고 일단에서 로드(74)와 접촉하고 상면에서 레버(76)의 작동간(78)과 접촉한다. 회동판(64)과 로드(74)는 각각 토션 스프링(68)에 의하여 일방향 회전력을 받게 된다. 로드(74)의 저면에는 걸림턱(74a)이 형성되어 회동판(64)의 회동 위치에 따라 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와이어(66)는 일단이 로드(74)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원추체(10)의 내면을 거쳐 받침대(20)의 접합부(66a)에 연결된다. 이 경우 원추체(10)와 받침대(20)는 분리되는 구조가 적절하며, 만일 일체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받침대를 이용하여 와이어(66)를 연결한다.
도 7처럼, 원추체(10)의 흔들림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와이어(66)가 로드(74) 를 회동하여 걸림턱(74a)에 구속된 회동판(64)을 회동시키므로 이에 의해 개폐밸브(34)가 개방되고 휘슬(36)이 작동한다. 재사용을 위해서 레버(76)를 회전하면 하단의 작동간(78)이 스프링(68)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회동판(64)을 역회전하고 걸림턱(74a)에 걸려 회전이 구속되므로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러버콘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에서, 본 발명의 러버콘은 종래의 러버콘처럼 원추체(10)와 받침대(20)가 중공 구조이므로 적층이 가능하다. 이는 보관, 이동, 설치, 작동에 있어 실효성을 증대하는 요인이 된다.
도 9에서, 본 발명의 러버콘은 도로공사 구간에서 별도의 감시인원이 없는 경우에도 다른 차량의 갑작스러운 접근 위험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소리를 발산하므로 종래의 러버콘에서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방식으로 사고발생 위험을 경보하여 현장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러버콘을 정면과 배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콘을 부분적/전체적으로 절단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도 3의 작동전 상태를 저면과 종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3의 작동후 상태를 저면과 종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반단면도와 저면도,
도 7은 도 6의 작동전후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러버콘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원추체 20: 받침대
22: 에어탱크 26: 압력계
32: 관로 34: 개폐밸브
36: 휘슬 38: 조절밸브
40: 제1감지수단 44: 유동판
46: 중량추 52: 링크
54: 로드 60: 제2감지수단
64: 회동판 66: 와이어
72: 브라켓 74: 로드
76: 레버 78: 작동간

Claims (4)

  1. 원추체(10)를 이용하여 위험을 표지하는 러버콘에 있어서:
    원추체(10)의 하단에 일체로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공압을 저장하는 에어탱크(22)를 구비하는 받침대(20);
    상기 에어탱크(22)를 관로(32)와 휘슬(36)에 연결하고, 관로(32)상에 개폐밸브(34)를 구비하는 경보수단; 및
    상기 원추체(10)의 전도에 연동하여 개폐밸브(34)의 작동력을 발생하는 감지수단(40)(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관로(32) 상에 공기 분사압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3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수단(40)은 원추체(10)의 전도에 연동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량추(46)와, 중량추(46)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며 승하강 운동하는 유동판(44)과, 유동판(44)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52)와 로드(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수단(60)은 탄성지지되어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회동판(64)과, 상기 회동판(64)의 회동 후 위치로 로크하는 로드(74)와, 원추체(10)의 전도에 연동하도록 로드(74)에 연결되는 와이어(66)와, 회동판(64)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접촉하는 레버(7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KR1020090064569A 2009-07-15 2009-07-15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KR101078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569A KR101078390B1 (ko) 2009-07-15 2009-07-15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569A KR101078390B1 (ko) 2009-07-15 2009-07-15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931A true KR20110006931A (ko) 2011-01-21
KR101078390B1 KR101078390B1 (ko) 2011-10-31

Family

ID=4361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569A KR101078390B1 (ko) 2009-07-15 2009-07-15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3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3445A (zh) * 2012-10-20 2013-02-27 公安部交通管理科学研究所 投掷设置的一次性使用锥形交通路标
CN111893911A (zh) * 2020-08-11 2020-11-06 王贵 一种可以智能调节警报的道路结冰警示牌
EP4082642A1 (de) * 2021-04-28 2022-11-02 Tempoline-Pferdesport GmbH Leitkeg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520B1 (ko) * 2012-07-20 2013-03-20 윤소영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KR200465575Y1 (ko) * 2012-08-08 2013-02-28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러버콘
KR200481795Y1 (ko) 2015-09-01 2016-11-09 한국도로공사 러버콘 지지대
KR102174468B1 (ko) 2019-01-30 2020-11-04 하우영 칼라콘
KR20200104733A (ko)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시설물 안전점검 및 공사현장용 이동식 스마트 경광 트래픽 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3445A (zh) * 2012-10-20 2013-02-27 公安部交通管理科学研究所 投掷设置的一次性使用锥形交通路标
CN111893911A (zh) * 2020-08-11 2020-11-06 王贵 一种可以智能调节警报的道路结冰警示牌
CN111893911B (zh) * 2020-08-11 2021-10-19 苏州骊赫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以智能调节警报的道路结冰警示牌
EP4082642A1 (de) * 2021-04-28 2022-11-02 Tempoline-Pferdesport GmbH Leitkeg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390B1 (ko) 201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390B1 (ko)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US5265556A (en) Advance warning traffic safety device
KR100661758B1 (ko) 튜브식 차단바를 구비한 안전차단장치
KR101243520B1 (ko)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CN202644583U (zh) 井盖、雨蓖缺失自动警示装置
KR20190088646A (ko)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CN107599964A (zh) 一种汽车自动警示装置
KR101040769B1 (ko) 횡단보도용 차단기
CN211922481U (zh) 一种水利工程安全防护装置
KR102096231B1 (ko) 다용도 안내 표지판
CN108665681B (zh) 基于数据处理的城市内涝预警、防护及救援***
US4124197A (en) Safety traffic barrier
KR20140031727A (ko) 차량 후방추돌 방지장치
CN204139094U (zh) 一种可自动控制警示灯的防撞桶
CN209261342U (zh) 一种铁路土木工程用隔离防护装置
CN207190914U (zh) 一种汽车自动警示装置
KR200198778Y1 (ko) 경보장치를 가진 도로 반사경
KR102527528B1 (ko) 원터치 삼각대
CN215925755U (zh) 一种市政道路工程用警示装置
CN201459629U (zh) 井口多功能安全防坠警示桩
JP3141424U (ja) 風船人形を装備したクッションドラム
KR102660810B1 (ko)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
CN102943445A (zh) 投掷设置的一次性使用锥形交通路标
CN107964878A (zh) 城市桥梁智慧化转体施工装配式梁体
KR102113864B1 (ko) 휴대용 비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