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335U -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335U
KR20110005335U KR2020090015168U KR20090015168U KR20110005335U KR 20110005335 U KR20110005335 U KR 20110005335U KR 2020090015168 U KR2020090015168 U KR 2020090015168U KR 20090015168 U KR20090015168 U KR 20090015168U KR 20110005335 U KR20110005335 U KR 201100053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drinking
beverage
ho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90015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335U/ko
Publication of KR201100053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3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4Telescopic or retract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면에 관통홀(112)이 형성되고 음료가 저장되는 용기몸체(110)와, 상기 관통홀(112)에 설치되며 신축되는 주름이 형성되어 용기몸체(11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빨대유닛(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 음료용기를 개방하기 전에는 빨대의 일부를 음료용기의 내부에 인입시켜 보관하고 음료를 마실 때에는 빨대를 음료용기의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 위생과 보관이 우수
음료용기, 종이팩, 빨대, 스트로우, 보관, 위생, 음용

Description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DRINK VESSEL HAVING STRAW}
본 고안은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가 저장된 음료용기에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빨대를 설치함으로써 음료용기를 개방하기 전에는 빨대의 일부를 음료용기의 내부에 인입시켜 보관하고 음료를 마실 때에는 빨대를 음료용기의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 위생과 보관이 우수한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유, 두유, 쥬스 등과 같이 변질되기 쉬운 음료들은 비용상의 문제도 있지만 외부 환경에 민감하기 때문에 종이팩 또는 유리병으로 포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우유의 경우는 PET 용기에 담게 되면 석유 냄새가 밸 수 있으며, 캔 용기에 담게 되면 단백질 변형에 의해 경화된다.
따라서, 우유, 두유, 쥬스 등의 음료는 통상 종이팩에 담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종이팩은 상부의 일측 접착부를 분리 개방하여 형성되는 통공을 통해 내용물을 배출하도록 하거나 또는 종이팩의 상면에 빨대가 꼽힐 수 있는 관통홀을 형성 하고 상기 관통공에 빨대에 관통될 수 있는 재질을 갖는 밀폐막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두유팩과 같은 종이 음료팩은 장방형의 상자 측면에 빨대가 비닐커버에 싸인 상태로 접착되어 있으며, 이 빨대의 포장을 벗긴 후 상자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강제적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음료를 저장하는 종래의 종이팩은 음료를 음용하기 편리하게 하는 빨대가 별도로 마련됨으로써, 종이팩에 저장된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는 빨대를 종이팩의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반해야 하며, 마시고 남은 음료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종이팩에서 빨대를 빼고 관통홀을 막거나 빨대가 꼽힌 상태로 종이팩을 보관하기 때문에 위생의 문제가 있다.
특히, 빨대가 꼽힌 상태로 종이팩을 보관하게 되는 경우 종이팩이 쓰러지면서 음료가 유출될 뿐만 아니라 빨대를 통해 이물질이 종이팩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음료를 변질시킬 염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료가 저장되는 음료용기에 빨대를 일체화시켜 음용을 편리하게 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개봉하기 전이나 마시고 남은 음료를 보관할 때에는 빨대가 밀폐된 상태로 음료용기의 내부에 인입되도록 하며, 음료를 마실 때에는 음료용기의 표면으로 빨대를 인출시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상면에 관통홀(112)이 형성되고 음료가 저장되는 용기몸체(110)와, 상기 관통홀(112)에 설치되며 신축되는 주름이 형성되어 용기몸체(11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빨대유닛(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빨대유닛(120)은 음료가 지나는 유로(122a)가 형성되어 음용자의 입과 접촉하는 대롱의 형상을 갖는 음용부(122)와, 상기 음용부(122)의 하단에 형성되며 단면 형상이 반구의 형상을 갖는 제 1 주름부(124)와, 상기 제 1 주름부(124)의 하단과 연결되며 단면 형상이 반구의 형상을 갖되 제 1 주름부(124)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 1 주름부(124)를 감싸는 제 2 주름부(126)와, 상기 제 2 주름 부(126)의 하단에 형성되고 관통홀(112)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부(12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주름부(124)와 제 2 주름부(126)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음용부(122)의 유로(122a)를 폐쇄하도록 유로(122a)의 직경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 마개부(130)와, 상기 마개부(130)와 음용부(122)를 연결하도록 음용부(122) 및 마개부(130)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1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는 음료가 저장된 용기몸체와 빨대가 일체화됨으로써, 개별적으로 보관되던 빨대를 찾아 용기몸체에 꼽는 동작이 불필요하여 음료의 음용을 더욱 편리하게 한다.
또한, 빨대가 용기몸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용기몸체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기 때문에 마시고 남은 음료를 보관할 때에는 빨대를 용기몸체의 내부에 인입시킴으로써, 소비자의 입과 접촉하는 음용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 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중 빨대 유닛을 음료용기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100)는 내부에 음료를 저장하는 용기몸체(110)와, 상기 용기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112)에 설치되는 빨대유닛(120)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용기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112)에 설치되는 빨대유닛(120)은 그 일부가 신축할 수 있는 다수의 주름부을 형성함으로써, 음료를 마시기 위해 빨대를 잡아 빼면 그 길이가 증가하고, 개봉전이나 마시고 남은 음료를 보관할 때는 빨대가 용기몸체(110)의 내부로 인입된다.
부연하자면, 용기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112)에 고정되는 빨대유닛(120)은 용기몸체(110)에 저장된 음료가 지나는 유로(122a)가 형성되어 음용자의 입과 접촉하는 대롱의 형상을 갖는 음용부(122)와, 상기 음용부(122)의 하단에 형성되며 단면 형상이 반구의 형상을 갖는 제 1 주름부(124)와, 상기 제 1 주름 부(124)의 하단과 연결되며 단면 형상이 반구의 형상을 갖되 제 1 주름부(124)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 1 주름부(124)를 감싸는 제 2 주름부(126)와, 상기 제 2 주름부(126)의 하단에 형성되고 관통홀(112)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부(128)로 구성된다.
상기 음용부(122)는 음용자가 입을 대로 흡입하여 용기몸체(110)에 저장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음료가 지나는 유로(122a)가 형성되며, 음용부(122)의 하단에는 용기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112)을 통해 음용부(122)가 함몰될 수 있도록 제 1 주름부(124)와 제 2 주름부(126)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 1 주름부(12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이 반구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 2 주름부(126)는 제 1 주름부(124)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반구의 형상을 갖되 그 크기라 제 1 주름부(124)가 관통홀(112)을 통해 하부로 접혀질 때 제 1 주름부(12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주름부(124)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주름부(126)의 하단은 관통홀(112)의 이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평탄한 원판의 형상을 갖는 고정부(128)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부(128)의 상면과 관통홀(112)의 이면은 열융착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용기몸체(110)에 저장된 음료가 고정부(128)와 관통홀(112) 사이로 누수되지 않도록 밀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음료가 지나는 유로(122a)가 형성된 음용부(122)와 용기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112)에 고정되는 고정부(128) 사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제 1 주름부(124)와 제 2 주름부(126)가 형성되어 음료가 담긴 용기몸체(110)가 개봉되기 전에는 제 1 주름부(124)가 제 2 주름부(126)에 포개진 상태로 음용부(122)가 관통홀(112)을 통해 용기몸체(11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갖게 되고, 음료를 마시기 위해 음용부(122)를 잡아 빼면 포개진 상태의 제 1 주름부(124)와 제 2 주름부(126)가 펼쳐지면서 제 1 주름부(124)와 제 2 주름부(126)의 전체 길이가 연장되어 음용부(122)를 관통홀(112)을 통해 용기몸체(110)의 상부로 인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주름부(124)와 제 2 주름부(126)는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실리콘과 같은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제 1 주름부(124)와 제 2 주름부(126)가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반구의 형상을 갖는 제 1 주름부(124)와 제 2 주름부(126)가 포개어져 전체 길이가 짧아지거나 제 1 주름부(124)와 제 2 주름부(126)가 펼쳐져 전체 길이가 증가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될 대 미약한 힘으로도 포개지거나 펼쳐지는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개지거나 펼쳐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음용구(122)의 상단에는 이물질이 음용구(122)의 유로(122a)를 통해 음료가 저장된 용기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개부(130)가 설치된다. 상기 마개부(130)는 음료가 용기몸체(110)의 내부에 저장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전까지 임의적으로 개봉되는 것을 보호하고, 소비자에 의해 최초 개봉시까지 열림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최초 개봉시까지 열림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마개부는 음용부의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음용부의 외경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마개부의 내경에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의 하단은 음용부의 외경에 고정된 절취부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음료용기를 개봉하기 위해 마개부를 회전시키면 마개부의 하단과 절취부가 절개되면서 음료용기의 최초 개봉시까지 열림여부를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마개부가 음용부에서 분리된 후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마시고 남은 음료를 더욱 편리하게 보관하기 위해 마개부와 음용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부연하자면, 상기 음용부(122)의 유로(122a)를 폐쇄하도록 유로(122a)의 직경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 마개부(130)와, 상기 마개부(130)와 음용부(122)를 연결하도록 음용부(122) 및 마개부(130)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140)가 마련됨으로써, 음료용기의 개봉과 마시고 남은 음료를 보관할 때에는 마개부(130)로 음용부(122)의 유로(122a)를 열거나 닫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개부(130)와 연결부(140)로 개폐되는 음용부(122)가 음료가 용기몸체(110)의 내부에 저장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전까지 임의적으로 개봉되는 것을 보호하고, 소비자에 의해 최초 개봉시까지 열림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음용부(122)와 마개부(130)가 절취부(미도시)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음료용기를 개봉하기 위해 마개부(130)를 음용부(122)에서 분리시키면 마개부(130)와 절취부가 절개되면서 음료용기의 최초 개봉시까지 열림여부를 소비 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의 사용을 도 3 및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100)는 제품 출하 시 용기몸체(110)에 음료가 저장되고, 음용부(122)의 하단에 형성된 제 1 주름부(124)와 제 2 주름부(126)가 포개짐으로써 음용부(122)가 용기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112)을 통해 용기몸체(110)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유통된다.
이러한 상태로 음료용기(100)가 판매점에 진열되어 소비자에게 판매된 경우 소비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112)의 내부에 인입된 음용부(122)를 용기몸체(110)의 상방을 향해 잡아 당기게 되는데, 이때 포개어진 제 1 주름부(124)와 제 2 주름부(126)가 펼쳐지면서 제 1 주름부(124)와 제 2 주름부(126)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켜 음용부(122)가 용기몸체(110)에서 인출된다.
이렇게 음용부(122)가 인출되면 음용부(122)를 막고 있던 마개부(130)를 개봉하여 용기몸체(110)에 저장된 음료를 소비자가 음용하게 된다. 그리고, 마시고 남은 음료를 보관할 때에는 개봉된 마개부(130)를 음용부(122)에 닫은 후 음용부(122)를 관통홀(112)의 하부를 향해 눌러주게 되는데, 이때 펼쳐진 상태에 있던 제 1 주름부(124)와 제 2 주름부(126)가 포개지면서 음용부(122)를 용기몸체(110)의 내부로 인입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100)는 음료가 저장된 용기몸체(110)와 빨대가 일체화됨으로써, 개별적으로 보관되던 빨대를 찾아 용기몸체(110)에 꼽는 동작이 불필요하여 음료의 음용을 더욱 편리하게 하며, 마시고 남은 음료를 보관할 때에는 빨대를 용기몸체(110)의 내부에 인입시킴으로써, 소비자의 입과 접촉하는 음용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앞선 설명에서는 제 1 주름부(124)와 제 2 주름부(126)가 음용부(122)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주름부(124)와 제 2 주름부(126)가 포개지거나 펴짐으로써, 음용부(122)를 용기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112)을 통해 용기몸체(110)로부터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 2 주름부(126)의 하단에 제 3 주름부와 제 4 주름부와 같은 주름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중 빨대 유닛을 음료용기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110 : 용기몸체
112 : 관통홀 120 : 빨대유닛
122 : 음용부 122a : 유로
124 : 제 1 주름부 126 : 제 2 주름부
128 : 고정부 130 : 마개부
140 : 연결부

Claims (4)

  1. 상면에 관통홀(112)이 형성되고 음료가 저장되는 용기몸체(110)와,
    상기 관통홀(112)에 설치되며 신축되는 주름이 형성되어 용기몸체(11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빨대유닛(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빨대유닛(120)은 음료가 지나는 유로(122a)가 형성되어 음용자의 입과 접촉하는 대롱의 형상을 갖는 음용부(122)와,
    상기 음용부(122)의 하단에 형성되며 단면 형상이 반구의 형상을 갖는 제 1 주름부(124)와,
    상기 제 1 주름부(124)의 하단과 연결되며 단면 형상이 반구의 형상을 갖되 제 1 주름부(124)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 1 주름부(124)를 감싸는 제 2 주름부(126)와,
    상기 제 2 주름부(126)의 하단에 형성되고 관통홀(112)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부(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름부(124)와 제 2 주름부(126)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용부(122)의 유로(122a)를 폐쇄하도록 유로(122a)의 직경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 마개부(130)와,
    상기 마개부(130)와 음용부(122)를 연결하도록 음용부(122) 및 마개부(130)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KR2020090015168U 2009-11-23 2009-11-23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KR201100053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168U KR20110005335U (ko) 2009-11-23 2009-11-23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168U KR20110005335U (ko) 2009-11-23 2009-11-23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35U true KR20110005335U (ko) 2011-05-31

Family

ID=49294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168U KR20110005335U (ko) 2009-11-23 2009-11-23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33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831A (ko) * 2015-02-26 2016-09-06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
KR20190029974A (ko) * 2017-09-13 2019-03-21 박세진 캔 용기를 위한 접이식 마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831A (ko) * 2015-02-26 2016-09-06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
KR20190029974A (ko) * 2017-09-13 2019-03-21 박세진 캔 용기를 위한 접이식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3440A (zh) 带有一体的附件和内部吸管的柔性直立袋
MX2011000916A (es) Tapon resellable para contenedor de bebida plegable.
WO2012047891A2 (en) Packaging for powdered beverage
CN103781706A (zh) 一次性奶瓶套件
KR102093774B1 (ko)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KR20110005335U (ko)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US7311201B2 (en) Packing container for a bottled commodity
KR100468922B1 (ko) 음료 포장용 파우치
EA002662B1 (ru) Емкость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для питья (варианты),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емкости для питья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емкости для питья
US20160347538A1 (en) Cup with a cup inset for preparing a liquid in the cup
KR101873833B1 (ko) 분리 가능한 물병
KR102127915B1 (ko) 양방향 음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RU141004U1 (ru) Пищевой двухкамерный контейнер из жесткого пластика
KR200259252Y1 (ko) 음료분말 또는 티백이 내장되는 생수병 뚜껑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20070065168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130011057A (ko) 스트로우가 내장된 음료수용기
RU2276048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жидкого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KR101421649B1 (ko) 분리형 물병
KR200465398Y1 (ko) 식품포장용기
KR200231432Y1 (ko)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
KR20090009469U (ko) 분말캡을 구비한 광구용 음료수 병
KR200306505Y1 (ko) 포장봉지 절취부위 밀봉캡
KR200204276Y1 (ko) 병뚜껑과 결합된 위생컵이 부착되어 있는 페트병
JP4999481B2 (ja) ストロー兼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