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966A - 이중 기공을 갖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과,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기공을 갖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과,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966A
KR20110000966A KR1020090058321A KR20090058321A KR20110000966A KR 20110000966 A KR20110000966 A KR 20110000966A KR 1020090058321 A KR1020090058321 A KR 1020090058321A KR 20090058321 A KR20090058321 A KR 20090058321A KR 20110000966 A KR20110000966 A KR 20110000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nic crystal
pores
crystal particles
surfactant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욱
김지만
김성수
김명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8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966A/ko
Priority to US12/783,609 priority patent/US20100326513A1/en
Publication of KR20110000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1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59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rganic dye as the active light absorbing material, e.g. adsorbed on an electrode or dissolved in solu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9Light trapp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8Voids specified as micr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ybrid Ce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이중 기공을 갖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과,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역전 광결정 구조체는 광결정 구조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1 기공과, 이 제1 기공들의 내벽에 형성되는 것으로 나노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제2 기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기공을 갖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과,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Inverse opal structure having dual poros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ye sensitized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이중 기공을 갖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과,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염료감응 태양전지(dye sensitized solar cell)는 감광성 염료분자들이 흡착된 반도체 산화물로 이루어진 포토애노드(photoanode), 산화/환원 이온쌍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백금 촉매가 코팅된 상대 전극(counter electrode)을 포함한다. 여기서,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전해질 내의 산화/환원 이온쌍은 전자전달을 위한 필수적인 물질로서, 요오드계 I-/I3 - 산화/환원 이온쌍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감광성 염료 분자들이 빛을 받게 되면 여기 상태(excited state)가 되어 전자들을 방출한다. 그리고, 이렇게 방출된 전자들은 반도체 산화물로 주입된 다음, 외부 전선을 통하여 대향전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 편, 전자들을 잃은 염료분자들은 전해질 내의 I-를 I3 -로 산화시키면서 전자들을 얻게 된다. 그리고, 상대 전극 표면에 코팅된 백금 촉매에 의하여 산화된 산화/환원 이온쌍이 다시 환원되게 되며, 이와 같이 환원된 산화/환원 이온쌍은 산화된 염료를 다시 환원시켜 여기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준다.
상기와 같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빛의 흡수량 및 포토애노드로서의 전자전달량은 염료의 흡착량에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포토애노드는 광흡수층과 광산란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흡수층은 염료의 흡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대략 20nm 정도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TiO2 입자들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광산란층은 대략 300nm ~ 400nm 정도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입자들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광산란층은 광흡수층을 통과한 장파장의 빛을 산란시킴으로써 장파장 빛의 흡수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다수의 구형(sphere shape) 기공들이 그 내부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TiO2 역전 광결정 구조체는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거나 산란하는 특성이 있어 여려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특히, 염료감응 태양전지 분야에서는 광산란 박막 및 전극으로 적용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한, 상기 TiO2 역전 광결정 구조체는 상기한 광특성들에도 불구하고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적용하기에는 비표면적(specifice surface area)이 너무 작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기공을 갖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과,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광결정 구조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1 기공과;
상기 제1 기공들의 내벽에 형성되는 것으로, 나노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제2 기공;을 포함하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가 개시된다.
상기 제1 기공은 구 형상(sphere shape)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기공은 대략 200nm ~ 400nm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기공은 대략 2nm ~ 6nm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역전 광결정 구조체의 비표면적(specific surfacearea)은 대략 50 ~ 100 m2/g정도가 될 수 있다.
상기 역전 광결정 구조체는 TiO2 또는 ZnO 등과 같은 반도체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광결정 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결정 입자들 상에 반도체 산화물 전구체(precursor)와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상기 광결정 입자들 사이로 상기 용액을 채우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산화물을 결정화시키고, 상기 광결정 입자들 및 계면활성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반도체 산화물의 결정화에 의해 형성된 역전 광결정 구조체 내에는 상기 광결정 입자들의 제거에 의해 다수의 제1 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계면활성제의 제거에 의해 다수의 제2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기공들은 상기 제1 기공들 각각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결정 입자들은 PMMA(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스티렌(poly styrene) 또는 실리카(silic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결정 입자들이 PMMA 또는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반도체 산화물의 결정화와, 상기 광결정 입자들 및 계면활성제의 제거는 열처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결정 입자들이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반도체 산화물의 결정화 및 계면활성제의 제거는 열처리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광결정 입자들의 제거는 에칭액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투명한 도전성 기판;
상기 투명한 도전성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TiO2를 포함하는 광흡수층; 및
상기 광흡수층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광결정 구조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1 기공과, 상기 제1 기공들의 내벽에 형성되는 것으로 나노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제2 기공을 포함하는 역전 광결정 구조를 가지며, TiO2를 포함하는 광산란층;을 구비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투명한 도전성 기판 상에 TiO2를 포함하는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흡수층 상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광결정 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결정 입자들 상에 TiO2 전구체와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상기 광결정 입자들 사이로 상기 용액을 채우는 단계; 및
상기 TiO2를 결정화시키고, 상기 광결정 입자들 및 계면활성제를 제거함으로써 광산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역전 광결정 구조체 내에 나노 크기의 기공들을 추가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비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중 기공(dual porosity)을 가지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를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산란층으로 이용하게 되면, 염료의 흡착량이 증대될 수 있으므로, 광산란층의 광산란 효과 및 전극의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기공(dual porosity)를 갖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inverse opal structure)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전 광결정 구조체(150)는 다수의 제1 기공(161) 및 다수의 제2 기공(16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역전 광결정 구조체(150)는 반도체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산화물은 예를 들어 TiO2 또는 Zno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기공들(161)은 광결정 구조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기공들(161)은 구 형상(sphere shape)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략 200nm ~ 400nm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기공들(162)은 상기 제1 기공들(161) 각각의 내벽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공들(162)은 나노 크기의 직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공들(162)은 대략 2nm ~ 6nm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다수의 제1 및 제2 기공(161,162)을 포함하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150)는 대략 50 ~ 100 m2/g정도 큰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 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역전 광결정 구조체(150)는 제1 기공들(161)과 이 제1 기공들(161) 각각의 내벽에 형성된 나노 크기의 제2 기공들(162)로 구성된 이중 기공(dual porosity)을 포함함으로써 제1 기공들(161)만을 포함하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에 비하여 큰 비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역전 광결정 구조체(15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다수의 광결정 입자들을 예를 들어 깔대기 상에 골고루 분산시킨다. 여기서, 상기 광결정 입자들은 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광결정 입자들은 예를 들어, PMMA(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스티렌(poly styrene) 또는 실리카(silica)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광결정 입자들은 대략 200nm ~ 400nm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광결정 입자들을 깔대기 상에 골고루 분산시키면 상기 광결정 입자들은 규칙적으로 배열되게 된다. 이러한 광결정 입자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역전 광결정 구조체(150)를 만들기 위한 주형(template)으로 사용된다.
이어서, 상기 깔대기 상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광결정 입자들 상에 반도체 산화물 전구체와 계면활성체가 혼합된 용액을 도포한다. 상기 반도체 산화물 전구체로는 예를 들어, TiO2 전구체 또는 ZnO 전구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P123, CTAB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반도체 산화물 전구체에 대한 상기 계면활성제의 비율은 대략 25 weight % ~ 45 weight % 정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도체 산화물 전구체에 대한 상기 계면활성제의 비율은 대략 35 weight % 정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도체 산화물 전구체와 계면활성체가 혼합된 용액을 광결정 입자들 상에 도포하게 되면, 상기 용액은 광결정 입자들 사이를 채우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광결정 입자들 사이에 반도체 산화물 전구체와 계면활성체가 혼합된 용액은 비교적 저온(예를 들면, 대략 4℃ 정도)에서 일정 기간(예를 들면, 대략 5일 정도)동안 숙성(aging)된다. 이러한 숙성 과정을 통하여 상기 용액 속에 포함된 계면활성제는 이동하여 광결정 입자들의 표면 주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소정 온도(예를 들면, 대략 400℃ 정도)에서 일정 시간(예를 들어, 대략 1시간)동안 열처리가 수행되면, 상기 용액 속에 포함된 상기 반도체 산화물은 결정화가 진행되고, 상기 광결정 입자들 및 계면활성제가 제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결정 입자들이 PMMA 또는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반도체 산화물의 결정화와, 상기 광결정 입자들 및 계면활성제의 제거가 열처리에 의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결정 입자들이 열처리에 의해 제거되는 과정에서, 상기 광결정 입자들의 표면에 위치하는 계면활성제도 함께 제거된다.
한편, 상기 광결정 입자들이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반도체 산화물의 결정화 및 계면활성제의 제거는 열처리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광결정 입자들의 제거는 소정의 에칭액(etchant), 예를 들면 NaOH 용액에 의해 수행될 수 있 다.
이와 같이, 반도체 산화물의 결정화와, 광결정 입자들 및 계면활성제의 제거를 통하여 얻어진 역전 광결정 구조체(150) 내에는 상기 광결정 입자들이 제거됨으로써 다수의 제1 기공(161)이 형성되며, 상기 계면활성제가 제거됨으로써 다수의 제2 기공(16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공들(161)은 상기 광결정 입자들의 크기에 대응하여 대략 200nm ~ 400nm의 평균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공들(162)은 상기 제1 기공들(161)의 내벽에 대략 2nm ~ 6nm의 평균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박막 형태의 역전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박막 형태의 역전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광결정 입자들(111)을 형성한다. 상기 광결정 입자들(111)은 예를 들어 EISA(evaporation induced self assembly) 방법에 의해 상기 기판(100) 상에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결정 입자들(111)은 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략 200nm ~ 400nm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광결정 입자(111)들은 예를 들어, PMMA, 폴리스티렌 또는 실리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광결정 입자들(111) 상에 반도체 산화물 전구체와 계면활성체가 혼합된 용액(120)을 도포한다. 상기 반 도체 산화물 전구체로는 예를 들어, TiO2 전구체 또는 ZnO 전구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P123, CTAB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반도체 산화물 전구체에 대한 상기 계면활성제의 비율은 대략 25 weight % ~ 45 weight % 정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도체 산화물 전구체와 계면활성체가 혼합된 용액(120)을 광결정 입자들(111) 상에 도포하게 되면, 상기 용액(120)은 광결정 입자들(111) 사이를 채우게 된다. 다음으로, 광결정 입자들(111) 사이에 채워진 반도체 산화물 전구체와 계면활성체가 혼합된 용액(120)은 비교적 저온(예를 들면, 대략 4℃ 정도)에서 일정 기간(예를 들면, 대략 5일 정도) 동안 숙성(aging)된다. 이러한 숙성 과정을 통하여 상기 용액(120) 속에 포함된 계면활성제는 이동하여 광결정 입자들(111)의 표면 주위에 위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5 및 도 6(도 5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을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결과물에 소정 온도(예를 들면, 대략 400℃ 정도)에서 일정 시간(예를 들어 대략 1시간)동안 열처리를 수행하면, 상기 반도체 산화물의 결정화가 진행되고, 상기 광결정 입자들(111) 및 계면활성제는 제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결정 입자들(111)이 PMMA 또는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반도체 산화물의 결정화와, 상기 광결정 입자들(111) 및 계면활성제의 제거가 열처리에 의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결정 입자들(111)이 열처리에 의해 제거되는 과정에서, 상기 광결정 입자들(111)의 표면에 위치하는 계면활성제도 함께 제거된 다. 한편, 상기 광결정 입자들(111)이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반도체 산화물의 결정화 및 계면활성제의 제거는 열처리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광결정 입자들(111)의 제거는 소정의 에칭액, 예를 들면 NaOH 용액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반도체 산화물의 결정화와, 상기 광결정 입자들(111) 및 계면활성제의 제거를 통하여 상기 기판(100) 상에는 박막 형태의 역전 광결정 구조체(250)가 형성된다. 이러한 역전 광결정 구조체(250) 내에는 상기 광결정 입자들(111)이 제거됨으로써 다수의 제1 기공(261)이 형성되며, 상기 계면활성제가 제거됨으로써 다수의 제2 기공(26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기공들(26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공들(261)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기공들(261)은 상기 광결정 입자들(111)에 대응하여 대략 200nm ~ 400nm의 평균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공들(262)은 상기 제1 기공들(261)의 내벽에 대략 2nm ~ 6nm의 평균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역전 광결정 구조체(150,250)는 제1 기공들(161,261)과 이 제1 기공들(161,261)의 내벽에 형성된 나노 크기의 제2 기공들(261,262)로 구성된 이중 기공(dual porosity)을 포함함으로써 큰 비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큰 비표면적을 가지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150,250)를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산란층으로 이용하게 되면, 염료의 흡착량이 증대될 수 있으므로, 광산란층의 광산란 효과 및 전극의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 한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투명한 도전성 기판(300)과, 상기 투명한 도전성 기판(300) 상에 형성되는 포토애노드(photoanode,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포토애노드(350)는 상기 투명한 도전성 기판(300)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TiO2를 포함하는 광흡수층(351)과, 상기 광흡수층(351)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TiO2를 포함하는 광산란층(light scattering layer,3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한 도전성 기판(300)은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흡수층(351)은 나노 결정성 TiO2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광흡수층(351)은 예를 들면 대략 10nm ~ 50nm 정도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TiO2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패이스트(paste)를 투명한 도전성 기판(300)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흡수층(351)은 예를 들면 대략 10㎛ 정도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산란층(35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중 기공을 갖는 역전 광결정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산란층(352)은 다수의 제1 기공(361) 및 상기 제1 기공들(361)의 내벽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2 기공(362)을 포함한다. 이러한 광산란층(352)은 TiO2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기공들(361)은 광결정 구조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기공들(361)은 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략 200nm ~ 400nm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 기공들(361)의 내벽에 형성되는 제2 기공들(362)은 나노 크기의 직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공들(362)은 대략 2nm ~ 6nm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산란층(352)은 규칙적으로 배열된 제1 기공들(361) 내벽에 형성된 나노 크기의 제2 기공들(362)을 포함함으로써 예를 들면, 대략 50 ~ 100 m2/g정도의 큰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광산란층(352)은 예를 들면 대략 2㎛ ~ 10㎛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상기 광산란층(352)은 다수의 제1 및 제2 기공(361,362)으로 구성되는 이중 기공을 포함함으로써 큰 비표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광산란층(352)에 흡착되는 염료의 양이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염료의 흡착량 증대는 광산란 효과 및 전극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투명한 도전성 기판(300) 상에 TiO2를 포함하는 광흡수층(351)을 형성한다. 상기 광흡수층(351)은 나노 결정성 TiO2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광흡수층(351)은 예를 들면 대략 10nm ~ 50nm 정도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TiO2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패이스트(paste)를 투명한 도전성 기판(300)에 도포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흡수층(351)은 예를 들면 대략 10㎛ 정도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광흡수층(351) 상에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광결정 입자들(311)을 형성한다. 상기 광결정 입자들(311)은 예를 들어 EISA(evaporation induced self assembly) 방법에 의해 상기 광흡수층(351) 상에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결정 입자들(311)은 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략 200nm ~ 400nm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광결정 입자들(311)은 예를 들어, PMMA, 폴리스티렌 또는 실리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광결정 입자들(311)은 후술하는 역전 광결정 구조(inverse opal structure)를 가지는 광산란층(352)을 만들기 위한 주형(template)으로 사용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광흡수층(351) 상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광결정 입자들(311) 상에 TiO2 전구체와 계면활성체가 혼합된 용액(320)을 도포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P123, CTABr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TiO2 전구체에 대한 상기 계면활성제의 비율은 대략 25 weight % ~ 45 weight % 정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TiO2 전구체와 계면활성체가 혼합된 용액(320)을 광결정 입자들(311) 상에 도포하게 되면, 상기 용액(320)은 광결정 입자들(311) 사이를 채우게 된다. 다음으로, 광결정 입자들(311) 사이에 채워진 TiO2 전구체와 계면활성체가 혼합된 용액은 비교적 저온(예를 들면, 대략 4℃ 정도)에서 일정 기간(예를 들면, 대략 5일 정도)동안 숙성(aging)된다. 이러한 숙성 과정을 통하여 상기 용액(320) 속에 포함된 계면활성제는 이동하여 광결정 입자들(311)의 표면 주위에 위치하게 된다.
도 12는 광흡수층(351) 상에 광산란층(352)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2의 D 부분을 확대한 도면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11에 도시된 결과물에 소정 온도(예를 들면, 대략 400℃ 정도)에서 일정 시간(예를 들어 대략 1시간)동안 열처리를 수행하면, 상기 용액(320) 속에 포함된 상기 TiO2는 결정화가 진행되고, 상기 광결정 입자들(311) 및 계면활성제는 제거됨으로써 광산란층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결정 입자들(311)이 PMMA 또는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TiO2의 결정화와, 상기 광결정 입자들(311) 및 계면활성제의 제거가 열처리에 의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결정 입자들(311)이 열처리에 의해 제거되는 과정에서, 상기 광결정 입자들(311)의 표면에 위치하는 계면활성제도 함께 제거된다. 한편, 상기 광결정 입자들(311)이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TiO2의 결정화 및 계면활성제의 제거는 열처리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광결정 입자들(311)의 제거는 소정의 에칭액, 예를 들면 NaOH 용액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광산란층(352) 내에는 상기 광결정 입자들(311)이 제거됨으로써 다수의 제1 기공(361)이 형성되며, 상기 계면활성제가 제거됨으로써 다수의 제2 기공(36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기공들(361)은 상기 광결정 입자들(311)의 크기에 대응하여 대략 200nm ~ 400nm의 평균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공들(362)은 상기 제1 기공들(361)의 내벽에 대략 2nm ~ 6nm의 평균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결과물을 소정의 감광성 염료(미도시)에 일정시간(예를 들면 대략 24시간)동안 침전시킨다. 그리고, 백금이 코팅된 다른 투명한 도전성 기판(미도시)과 상기 감광성 염료 분자들이 흡착된 포토애노드(350) 사이에 전해질(미도시)을 주입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완성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전 광결정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박막 형태의 역전 광결정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판 111,311... 광결정 입자
120... 반도체 산화물 전구체와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용액
150,250... 역전 광결정 구조체
161,261,361... 제1 기공 162,262,362... 제2 기공
300... 투명한 도전성 기판 350... 포토애노드
351... 광흡수층 352... 광산란층

Claims (24)

  1. 광결정 구조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1 기공과;
    상기 제1 기공들의 내벽에 형성되는 것으로, 나노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제2 기공;을 포함하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공은 구 형상(sphere shape)을 가지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공은 200nm ~ 400nm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공은 2nm ~ 6nm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 광결정 구조체의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은 50 ~ 100 m2/g인 역전 광결정 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 광결정 구조체는 반도체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
  7.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광결정 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결정 입자들 상에 반도체 산화물 전구체(precursor)와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상기 광결정 입자들 사이로 상기 용액을 채우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산화물을 결정화시키고, 상기 광결정 입자들 및 계면활성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산화물의 결정화에 의해 형성된 역전 광결정 구조체 내에는 상기 광결정 입자들의 제거에 의해 다수의 제1 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계면활성제의 제거에 의해 다수의 제2 기공이 형성되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공들은 상기 제1 기공들 각각의 내벽에 형성되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입자들은 200nm ~ 400nm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입자들은 PMMA(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스티렌(poly styrene) 또는 실리카(silica)로 이루어지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입자들이 PMMA 또는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반도체 산화물의 결정화와, 상기 광결정 입자들 및 계면활성제의 제거는 열처리에 의해 수행되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입자들이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반도체 산화물의 결정화 및 계면활성제의 제거는 열처리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광결정 입자들의 제거는 에칭액에 의해 수행되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방법.
  14. 투명한 도전성 기판;
    상기 투명한 도전성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TiO2를 포함하는 광흡수층; 및
    상기 광흡수층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광결정 구조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1 기공과, 상기 제1 기공들의 내벽에 형성되는 것으로 나노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제2 기공을 포함하는 역전 광결정 구조를 가지며, TiO2를 포함하는 광산란층;을 구비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공은 200nm ~ 400nm의 평균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기공은 2nm ~ 6nm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층은 50 ~ 100 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층은 2㎛ ~ 10㎛의 두께를 가지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나노결정성(nanocrystalline) TiO2 막으로 이루어지는 염료 감응 태양전지.
  19. 투명한 도전성 기판 상에 TiO2를 포함하는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흡수층 상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광결정 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결정 입자들 상에 TiO2 전구체와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상기 광결정 입자들 사이로 상기 용액을 채우는 단계; 및
    상기 TiO2를 결정화시키고, 상기 광결정 입자들 및 계면활성제를 제거함으로써 광산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상기 투명한 도전성 기판 상에 TiO2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패이스트(paste)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층 내에 상기 광결정 입자들의 제거에 의해 다수의 제1 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계면활성제의 제거에 의해 다수의 제2 기공이 형성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공들은 상기 제1 기공들 각각의 내벽에 형성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공은 200nm ~ 400nm의 평균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기공은 2nm ~ 6nm의 평균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입자들은 PMMA(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스티렌(poly styrene) 또는 실리카(silica)로 이루어지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20090058321A 2009-06-29 2009-06-29 이중 기공을 갖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과,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0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321A KR20110000966A (ko) 2009-06-29 2009-06-29 이중 기공을 갖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과,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12/783,609 US20100326513A1 (en) 2009-06-29 2010-05-20 Inverse opal structure having dual porosit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321A KR20110000966A (ko) 2009-06-29 2009-06-29 이중 기공을 갖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과,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66A true KR20110000966A (ko) 2011-01-06

Family

ID=4337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321A KR20110000966A (ko) 2009-06-29 2009-06-29 이중 기공을 갖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과,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326513A1 (ko)
KR (1) KR201100009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5811B2 (en) 2011-11-04 2014-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ybrid porous structured material, membran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hybrid porous structure material
KR101389714B1 (ko) * 2012-11-13 2014-04-3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3차원 광결정을 포함하는 고체형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US9873622B2 (en) 2011-11-04 2018-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ybrid porous structured material, membran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hybrid porous structured materi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731B1 (ko) * 2010-11-22 2012-05-03 한국철강 주식회사 3차원 광결정 구조를 포함한 투광형 광기전력 모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복층유리
CN102148278B (zh) * 2011-03-19 2012-06-27 渤海大学 一种高效太阳能电池陷光结构及其制作方法
CN110904511A (zh) * 2019-12-09 2020-03-24 吉林化工学院 一种以低共熔溶剂为单体且光子带隙可调的反蛋白石结构光子晶体薄膜的制备
US11612837B2 (en) 2020-09-18 2023-03-28 Pall Corporation Filter with interconnected hollow elements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38596B (zh) * 2005-08-11 2010-10-06 皇家菲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光子材料、其制备方法和用途及包含其的照明装置
KR100927212B1 (ko) * 2007-07-24 2009-11-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속빈 구 형태의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용 광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28941B1 (ko) * 2007-11-07 2009-11-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염료감응 태양전지와 이의 제조방법
WO2010027854A1 (en) * 2008-08-26 2010-03-11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Porous films by a templating co-assembly proces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5811B2 (en) 2011-11-04 2014-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ybrid porous structured material, membran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hybrid porous structure material
US9873622B2 (en) 2011-11-04 2018-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ybrid porous structured material, membran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hybrid porous structured material
KR101389714B1 (ko) * 2012-11-13 2014-04-3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3차원 광결정을 포함하는 고체형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26513A1 (en)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Highly efficient photo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from hierarchical WO3/BiVO4 nanoporous sphere arrays
KR20110000966A (ko) 이중 기공을 갖는 역전 광결정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과,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Reyes-Gil et al. Composite WO3/TiO2 nanostructures for high electrochromic activity
Wang et al. Synthesis, assembly, and electrochromic properties of uniform crystalline WO3 nanorods
Robatjazi et al. Ultrathin AAO membrane as a generic template for sub-100 nm nanostructure fabrication
US20150185580A1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Zheng et al. Electrochromic titania nanotube arrays for the enhanced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phenol and pharmaceutical compounds
Zhang et al. Enhanced electrochromic performance of highly ordered, macroporous WO3 arrays electrodeposited using polystyrene colloidal crystals as template
KR20110020436A (ko)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060137740A1 (en) Photovoltaic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895844B2 (en) Solar cell comprising a plasmonic back reflector and method therefor
TWI384636B (zh) 以液態或凝膠態前驅物形成圖案化金屬氧化物層或圖案化金屬層之製作方法
Katsumata et al. Photocatalytic activity of NaNbO3 thin films
JP2008177165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網目状薄膜を含む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パターンの透明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08231A (ko)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 전극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 감응형 태양 전지 제조 방법
US2012016871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ilicon nanowire array using a porous metal film
JP6242147B2 (ja) パターン基板の製造方法
US9575388B2 (en) Electrochromic devic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82501B1 (ko) 은 나노와이어 패턴층 및 그래핀층을 포함하는 투명전극 및 그 제조방법
JP2011167924A (ja) 低反射導電性表面を有する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oo et al. Percolation effect of V2O5 nanorod/graphene oxide nanocomposite films for stable fast-switching electrochromic performances
KR20130066755A (ko)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Masuda et al. Aqueous synthesis of ZnO rod arrays for molecular sensor
JP2013035716A (ja) グラフェン構造体及びグラフェン構造体の製造方法
Liu et al. Improved electrochromic performances of WO 3-based thin films via addition of C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