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118A -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 - Google Patents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118A
KR20100129118A KR1020090081216A KR20090081216A KR20100129118A KR 20100129118 A KR20100129118 A KR 20100129118A KR 1020090081216 A KR1020090081216 A KR 1020090081216A KR 20090081216 A KR20090081216 A KR 20090081216A KR 20100129118 A KR20100129118 A KR 20100129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tewater
purification system
purifie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인한
Original Assignee
권인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인한 filed Critical 권인한
Publication of KR20100129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가정이나 공공장소에서 발생되어지는 하폐수를 붉은색의 화산재(일명, 송이)나 모래, 이온수지 및 숯 등의 정화수단을 통과하면서 농업용수 및 생활용수나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화시키게 됨으로 버려지는 중수도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자원의 고갈을 방지할 수 있는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각 가정이나 공공장소에서 정화조(1)로 배출되어지는 오수나 하폐수를 정화시킴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1) 내에 악취 제거 및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미생물 제제(1a)를 담지하며, 상기 정화조(1)에 공급관(2)으로 연결되어 지하에 매설되어지는 매립통(3)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매립통(3) 내에 정화조(1)로부터 공급되는 하폐수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정화수단(10)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매립통(3)에 배출관(4)으로 연결되어 정화수단(10)에 의해 정화되어진 정화수를 저장하게 되는 저수조(5)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저수조(5)에 연결관(6)으로 연결되어 워터펌프(7)의 작동에 따라 공급되는 정화수를 이온활성화시키게 되는 이온활성수기(8)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화수단(10)은 매립통(3) 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공간부(3a)가 형성되어지도록 망 형태의 1,2,3,4,5차 정수캡(11,11a,11b,11c,11d)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1차 정수캡(11) 내부에는 다수의 기공(22)이 형성되어 상기 기공(22)에 미생물균이 배양되어지는 붉은색의 굵은 화산재(20)(일명;송이)가 내장 되어지며, 상기 2차 정수캡(11a) 내부에는 입자가 굵은 모래(30)가 내장되어지고, 상기 3차 정수캡(11b) 내부에는 다수의 기공(22)이 형성되어 상기 기공(22)에 미생물균이 배양된 붉은색의 고은 화산재(21)가 내장되어지며, 상기 4차 정수캡(11c) 내부에는 질산성질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이온수지(31)가 내장되어지고, 상기 5차 정수캡(11d) 내부에는 숯(40)이 내장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수조(5) 내부에 자갈(51) 및 왕사(52), 황토(53)를 차례로 적층시키며, 상기 황토(53) 층면에 수생식물(54)을 식재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081216
정화수단, 화산재, 모래, 숯, 이온수지, 수생식물, 이온활성기, 정수캡, 매립통

Description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Waste water recycling ion activation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가정이나 공공장소에서 발생되어지는 하폐수를 붉은색의 화산재(일명, 송이)나 모래, 이온수지 및 숯 등의 정화수단을 통과하면서 농업용수 및 생활용수나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화시키게 됨으로 버려지는 중수도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자원의 고갈을 방지할 수 있는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및 오ㆍ폐수를 처리한 물(이하 '처리수'라 함)은 불결한 선입관 및 재활용 처리시설의 비용이 수돗물 또는 공업용수 사용 비용보다 비싸 이의 설치를 외면하고 있고, 이에 관한 연구도 미미하여 대부분의 처리수는 재활용수로 활용하지 못하고, 하천에 그대로 방류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재활용수 이용에 대한 연구와 중수도(中水道)의 개념이 도입된 것은 최근의 일로 정부에서는 시설을 장려하기 위하여 저리융자제도를 두었으며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 공장 등에는 반드시 중수도 시스템을 도입하도록 의무화함과 아울러 이를 법제화 중이다.
그리고, 상하수도 요금의 지속적인 증가로 하수 및 오ㆍ폐수의 재활용 비용이 상하수도 요금에 비해 차츰 경쟁력을 갖게 되면서 중수도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대한 일예로서, 지금까지는 하수 및 오ㆍ폐수를 생물학 처리후 사여과기 및 활성탄 처리후 염소소독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설치비용이 비싸고 유지관리가 어려우며 염소사용에 따른 처리수 방류지점 하천의 유기물에 대한 악영향으로 하천 생태계를 와해시키며, 수영장 등에 염소사용시 인체에 해로운 작용을 한다는 연구 논문도 있어 소독의 방법으로 염소처리를 사용하는 것은 신중해지고 있으며 또한 염소 사용시에는 독성물질 취급에 따른 방호시설이 필요하고 취급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함께, 도시 지역에는 각 가정이나 공공건물에서 발생되는 하폐수를 처리하게 되는 하수종말처리장이 설치되어 있어 하폐수의 처리가 용이한 데 반해, 농촌 지역에서는 건물들이 많지 않고 밀집되어 있지 않은 등의 문제로 대부분 하폐수를 처리하게 되는 하수종말처리장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각 가정은 물론 농장 등에서는 하폐수를 처리할 수 없어 하천에 불법으로 방류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문제와 함께 물 부족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정화조에서 침전된 하수나 오폐수를 미생물 제제 및 미생물균이 부착되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산재와 모래 및 이온수지와 숯을 통과하면서 여과 및 미생물이 유기성부유물을 먹어 없애므로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농촌 지역의 각 가정이나 농장 등에서 하폐수를 불법으로 방류할 필요없이 버려지는 하수나 오폐수를 농업용수 또는 식수로 재사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 방지 및 물의 부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 가정이나 공공장소 등에서 버려지는 하수나 오폐수는 정화조에서 침전되어지되 하수나 오폐수의 악취를 제거하고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정화조 내에 미생물 제제를 담지하며, 상기 정화조로부터 침전된 하폐수를 여과 및 정화시킬 수 있도록 지하에 매립통을 형성하여 이 매립통에 정화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정화수단은 다수의 정수캡이 서로 이격되어지게 설치되어지며, 상기 각각의 정수캡 내부에는 순차적으로 미생물균이 부착된 굵은 화산재(일명;송이)와 굵은 모래 및 미생물균이 부착된 고은 화산재, 이온수지 및 숯이 내장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화수단을 통과하면서 여과 및 정화된 정화수는 자갈 및 왕사, 황토와 함께 수생식물이 형성되어진 저수조로 유입되어 정화되어지며,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정화수는 워터펌프의 작동에 따라 이온활성수기를 통과하면서 정화수내의 이온을 활성화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화조에서 저장되어 공급된 하폐수를 미생물균이 부착되어 있는 다기공의 붉은 화산재와 모래, 이온수지 및 숯이 내장되어진 정수캡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여과 및 정화되어지게 됨으로 외부로 버려지는 하폐수를 식생활에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방류되어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환경 변화에 따른 물 부족을 예방할 수 있어 식생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개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시스템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시스템의 정화수단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각 가정이나 공공장소에서 정화조(1)로 배출되어지는 오수나 하폐수를 정화시킴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1)에 공급관(2)으로 연결되어 지하에 매설되어지는 매립통(3)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매립통(3) 내에 정화조(1)로부터 공급되는 하폐수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정화수단(10)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매립통(3)에 배출관(4)으로 연결되어 정화수단(10)에 의해 정화되어진 정화수를 저장하게 되는 저수조(5)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저수조(5)에 연결관(6)으로 연결되어 워터펌프(7)의 작동에 따라 공급되는 정화수를 이온활성화시키게 되는 이온활성수기(8)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공급관(2)과 근접한 부위의 매립통(3)의 내부 일측 바닥면에는 공급관(2)을 통해 매립통(3) 내로 공급되는 하폐수의 양을 맞추고 고형화를 처리해줄 수 있도록 고형화 처리제(3c)가 담겨지는 수중보(3b)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정화수단(10)은 매립통(3) 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공간부(3a)가 형성되어지도록 1,2,3,4,5차 정수캡(11,11a,11b,11c,11d)이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1,2,3,4 5차 정수캡(11,11a,11b,11c,11d)은 망 형태로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1차 정수캡(11) 내부에는 다수의 기공(22)이 형성되어 상기 기공(22)에 미생물균이 배양되어지는 붉은색의 굵은 화산재(20)(일명;송이)가 내장되어진다.
상기 2차 정수캡(11a) 내부에는 입자가 굵은 모래(30)가 내장되어진다.
상기 3차 정수캡(11b) 내부에는 다수의 기공(22)이 형성되어 상기 기공(22)에 미생물균이 배양된 붉은색의 고은 화산재(21)가 내장되어진다.
상기 4차 정수캡(11c) 내부에는 질산성질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이온수 지(31)가 내장되어진다.
상기 5차 정수캡(11d) 내부에는 숯(40)이 내장되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붉은색의 화산재는 제주도의 화산폭발로 생겨난 것으로서, 제주도의 지층에 화산층의 한 단면을 이루고 있는 물질이며, 마치 황토를 불에 구워놓은 듯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무게가 가볍고 자체에 수많은 기공을 형성하고 있어 마치 산호가루와 같은 물의 정화 작용을 이루어내는 여과물질로서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또한, 상기 화산재는 수많은 기공을 이용하여 물속에 있는 유기성 부유물질을 섭취하여 물을 정화시키는 미생물을 배양하여 물을 여과시키는 과정에서 걸러지는 유기물 찌꺼기를 화산재 내부에서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이 유기성 부유물을 먹어 없애므로 하폐수를 정화시키게 되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예를 살펴보면, 첨부된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온활성수기(8)를 통해 이온활성화되면서 정화되어진 정화수를 보다 완벽하게 정화시켜 식수 및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이온활성수기(8)에 정화수 공급관(9a)으로 연결되어지는 후리카본 필터, 중공사막 필터 등의 정수필터(9)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화시스템의 또 다른 일 예를 살펴보면, 첨부된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조(1) 내부에는 오수나 하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미생물 제제(1a)가 담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미생물 제제(1a)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subtilus) KS- 3,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amyloliquefaciens) KS-4, 바실러스-아가라다에렌스(Bacillus-agaradhaerens) KS-5, 파에니바실러스 렌티모부스(Paenibacillus-lentimorbus) KS-6, 바실러스 라에볼락티쿠스(Bacillus-laevolacticus) KS-7, 류코노스톡 파라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KS-9, 쿠르시아 시비리카(Kurthia-sibirica) KS-13 및 스핑고박테리움 스피리티보럼-GC 서브그룹 B(플라보박테리움)(Sphingobacterium-spiritivorum-GC subgroup B(Flavobacterium) KS-18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형성되어진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정화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5)의 내부 바닥면에 자갈(51)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자갈(51) 상부에는 왕사(52)가 적층되어지고, 상기 왕사(52) 상부에는 황토(53)가 적층되어지며, 상기 황토(53) 층면에 수생식물(54)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저수조(5) 내부에는 수중모터펌프(6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수중모터펌프(60)에 연결되어 수중모터펌프(60)의 구동에 따라 저수조(5) 내의 정화수를 순환시키게 되는 분수(70)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각 가정이나 공공건물 등에서 사용되어지고 배출되어지는 하폐수는 정화조(1)에서 1차 침전되어지게 되며, 이때 상기 정화조(1) 내부에 미생물 제제(1a)가 담겨져 있게 되어 하폐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감소시킴은 물론 하폐수의 수질 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정화조(1)에서 1차 침전되고 상기 미생물 제제(1a)에 의해 악취 및 수질이 개선되어진 하폐수는 공급관(2)을 통해 매립통(3) 내로 공급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매립통(3) 내로 공급되어지는 하폐수는 정화수단(10)에 의해 여과 및 정화되어지게 되는 데, 이때 상기 매립통(3) 내로 유입된 하폐수는 망 형태의 1차 정수캡(11) 내부로 유입되어지면서 상기 1차 정수캡(11)에 내장된 다기공(22)의 굵은 화산재(20)에 의해 물을 정화시키게 됨과 동시에 상기 굵은 화산재(20)에 배양된 미생물이 물속의 유기성 부유물을 먹어 없애면서 정화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1차 정수캡(11) 내의 굵은 화산재(2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화수는 상기 매립통(3)의 공간부(3a)를 통해 2차 정수캡(11a)으로 유입되고, 상기 2차 정수캡(11a)에 내장된 입자가 굵은 모래(30) 사이를 통과하면서 물 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게 된다.
또한, 상기 2차 정수캡(11a)의 굵은 모래(30) 사이를 통과한 후 상기 2차 정수캡(11a)과 3차 정수캡(11b) 사이의 공간부(3a)로 정화수가 흘러서 상기 3차 정수캡(11b)내의 미생물균이 배양된 고은 화산재(21)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고은 화산재(21)를 통과하면서 고은 화산재(21) 및 미생물균에 의해 물속의 유기성 부유물을 없애면서 정화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3차 정수캡(11b)을 통과한 정화수는 4차 정수캡(11c) 내의 이온 수지(31)를 통과함에 따라 물 속에 함유되어 있는 질산성질소를 완벽하게 제거해줄 수 있게 되며, 상기 4차 정수캡(11c)을 통과한 정화수는 최종적으로 5차 정수캡(11d)의 숯(40)을 통과함에 따라 완벽하게 여과 및 정화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1,2,3,4,5차 정수캡(11,11a,11b,11c,11d)을 통과하면서 정화되어진 정화수는 배출관(4)을 통해 저수조(5)내로 저장되어지게 되며, 상기 저수조(5)에 저장된 정화수는 워터펌프(7)의 작동에 따라 이온활성수기(8)로 유입되어지게 되면서 정화수내의 이온이 활성화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저수조(5) 내로 저장되어지는 정화수는 자갈(51)과 왕사(52) 및 황토(53)에 의해 정화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저수조(5) 내에 수생식물(54)을 식생하게 됨으로 상기 수생식물(54)이 저수조(5) 내에서 광합성을 하여 물 속에 산소를 공급하게 되며 수중의 영양염류(물속의 규소, 인, 질소 등의 염류)를 제거해 수질을 정화하고, 어류와 동물성 플랑크톤 등 각종 수생식물의 산란 및 서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5) 내에 설치되어지는 수중모터펌프(60) 및 분수(70)에 의해 저수조(5) 내의 정화수가 지속적으로 순환되어지게 되어 정화수의 부패를 방지하면서 수질 개선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정화수단(10)에 의해 하폐수가 여과 및 정화되어지게 되고, 또한 상기 이온활성수기(8)에 의해 이온화가 활성화되어지게 되어 농업용수는 물론 정수필터(9)에 의해 식수 및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정화시스템은 지하에 매설된 매립통(3)에 순차적으 로 다수의 정수캡(11,11a,11b,11c,11d)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각각의 정수캡(11,11a,11b,11c,11d)에는 다수의 기공(22)이 형성되어 미생물균이 배양된 붉은색의 화산재(20,21)와 모래(30), 그리고 이온수지(31) 및 숯(40)이 내장되어지게 됨으로 각 정수캡(11,11a,11b,11c,11d)을 통과하면서 상기 화산재(20,21)와 모래(30), 상기 이온수지(31) 및 숯(40)에 의해 하폐수가 완벽하게 정화되어지게 되어 최소의 제작비로 최대의 정화효율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개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시스템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시스템의 정화수단을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시스템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시스템의 정화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시스템의 저수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화조 1a : 미생물 제제
2 : 공급관 3 : 매립통
3a : 공간부 3b : 수중보
3c : 고형화 처리제 4 : 배출관
5 : 저수조 6 : 연결관
7 : 워터펌프 8 : 이온활성수기
9 : 정수필터 9a : 정화수 공급관
10 : 정화수단 11 : 1차 정수캡
11a : 2차 정수캡 11b : 3차 정수캡
11c : 4차 정수캡 11d : 5차 정수캡
20 : 굵은 화산재 21 : 고은 화산재
22 : 기공 30 : 굵은 모래
31 : 이온수지 40 : 숯
51 : 자갈 52 : 왕사
53 : 황토 54 : 수생식물
60 : 수중모터펌프 70 : 분수

Claims (8)

  1. 각 가정이나 공공장소에서 정화조(1)로 배출되어지는 오수나 하폐수를 정화시킴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1)에 공급관(2)으로 연결되어 지하에 매설되어지는 매립통(3)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매립통(3) 내에 정화조(1)로부터 공급되는 하폐수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정화수단(10)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매립통(3)에 배출관(4)으로 연결되어 정화수단(10)에 의해 정화되어진 정화수를 저장하게 되는 저수조(5)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저수조(5)에 연결관(6)으로 연결되어 워터펌프(7)의 작동에 따라 공급되는 정화수를 이온활성화시키게 되는 이온활성수기(8)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10)은 매립통(3) 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공간부(3a)가 형성되어지도록 망 형태의 1,2,3,4,5차 정수캡(11,11a,11b,11c,11d)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1차 정수캡(11) 내부에는 다수의 기공(22)이 형성되어 상기 기공(22)에 미생물균이 배양되어지는 붉은색의 굵은 화산재(20)가 내장되어지며, 상기 2차 정수캡(11a) 내부에는 입자가 굵은 모래(30)가 내장되어지고, 상기 3차 정수캡(11b) 내 부에는 다수의 기공(22)이 형성되어 상기 기공(22)에 미생물균이 배양된 붉은색의 고은 화산재(21)가 내장되어지며, 상기 4차 정수캡(11c) 내부에는 질산성질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이온수지(31)가 내장되어지고, 상기 5차 정수캡(11d) 내부에는 숯(40)이 내장되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활성수기(8)에 정화수 공급관(9a)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온활성수기(8)를 통해 이온활성화되면서 정화되어진 정화수를 재정화시켜 식수 및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후리카본 필터, 중공사막 필터의 정수필터(9)가 형성되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통(3)의 내부 일측 바닥면에는 공급관(2)을 통해 매립통(3) 내로 공급되는 하폐수의 양을 맞추고 고형화를 처리해줄 수 있도록 고형화 처리제(3c)가 담겨지는 수중보(3b)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1) 내부에는 오수나 하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미생물 제제(1a)가 담겨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 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제제(1a)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subtilus) KS-3,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amyloliquefaciens) KS-4, 바실러스-아가라다에렌스(Bacillus-agaradhaerens) KS-5, 파에니바실러스 렌티모부스(Paenibacillus-lentimorbus) KS-6, 바실러스 라에볼락티쿠스(Bacillus-laevolacticus) KS-7, 류코노스톡 파라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KS-9, 쿠르시아 시비리카(Kurthia-sibirica) KS-13 및 스핑고박테리움 스피리티보럼-GC 서브그룹 B(플라보박테리움)(Sphingobacterium-spiritivorum-GC subgroup B(Flavobacterium) KS-18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5)의 내부 바닥면에는 자갈(51)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자갈(51) 상부에는 왕사(52)가 적층되어지고, 상기 왕사(52) 상부에는 황토(53)가 적층되어지며, 상기 황토(53) 층면에 수생식물(54)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5) 내부에는 수중모터펌프(6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수중모터펌프(60)에 연결되어 수중모터펌프(60)의 구동에 따라 저수조(5) 내의 정화수를 순환시키게 되는 분수(70)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
KR1020090081216A 2009-05-29 2009-08-31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 KR201001291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7399 2009-05-29
KR1020090047399 2009-05-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118A true KR20100129118A (ko) 2010-12-08

Family

ID=4350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216A KR20100129118A (ko) 2009-05-29 2009-08-31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91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494B1 (ko) * 2011-06-01 2011-07-0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하수관을 통과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하수관의 연결구조물
KR102075959B1 (ko) * 2019-07-23 2020-02-12 박용준 하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그 고도처리방법
CN116750900A (zh) * 2023-04-07 2023-09-15 中国华电科工集团有限公司 一种火电厂废水生态处理***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494B1 (ko) * 2011-06-01 2011-07-0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하수관을 통과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하수관의 연결구조물
KR102075959B1 (ko) * 2019-07-23 2020-02-12 박용준 하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그 고도처리방법
CN116750900A (zh) * 2023-04-07 2023-09-15 中国华电科工集团有限公司 一种火电厂废水生态处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1193B2 (en) System for treating water used for industrial process
CN103238554B (zh) 生态型封闭式循环水养鱼方法
KR100825893B1 (ko) 연못의 수질정화장치
CN204324990U (zh) 适用于入湖景观水体的多级生物滤池—生态塘净化***
GB2449176A (en) A modularizable system for residential water treatment
CN203768124U (zh) 一种用于微污染水处理的生态滤池
CN103951064A (zh) 一种用于微污染水处理的生态滤池
CN107207298A (zh) 包括对饱和下部层通风的主动通风***的竖直渗漏式植物过滤类型的废水处理设备
Morales-Figueroa et al. Treatment processes and analysis of rainwater quality for human use and consumption regulations, treatment systems and quality of rainwater
KR20140046578A (ko) 부유형 수질정화장치
KR102073041B1 (ko) 서랍형 다용도 정수장치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
KR20100129118A (ko)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
CN211999338U (zh) 一种景观水循环过滤净化设备
Kumar et al. Water recycling: economic and environmental benefits
CN204265529U (zh) 水环境生态修复***
Shah et al. Membrane-based Hybrid Processes for Wastewater Treatment
Semsayun et al. Reduction of waterborne microorganisms in treated domestic wastewater for reuse in agriculture: Comparison between floating media filter and sand filter
KR200435202Y1 (ko) 생태연못의 수처리장치
CN111115982A (zh) 一种景观水循环过滤净化设备及其工艺
Mathew et al. A Critical Review of Green Approach on Wastewater Treatment Strategies
Coppen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Alam et al. Wastewater Disposal Techniques
CN211999385U (zh) 一种多级污水净化池
Chandrappa et al.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Tarasenko Wastewater Treatment in Antarct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307

Effective date: 2013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