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958A -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8958A
KR20100128958A KR1020090047656A KR20090047656A KR20100128958A KR 20100128958 A KR20100128958 A KR 20100128958A KR 1020090047656 A KR1020090047656 A KR 1020090047656A KR 20090047656 A KR20090047656 A KR 20090047656A KR 20100128958 A KR20100128958 A KR 20100128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displayed
information
signal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진
김규승
이재경
이건식
송점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7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8958A/ko
Priority to US12/686,150 priority patent/US20100302274A1/en
Priority to EP10151466A priority patent/EP2259578A1/en
Priority to CN201010108555XA priority patent/CN101902595A/zh
Publication of KR20100128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는 그리드 단위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분할하여 오브젝트의 위치를 관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브젝트들의 중첩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오브젝트들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부의 불필요한 연산을 제거한다. 또한, 오브젝트의 표시영역이 이동하는 패턴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 공간리모콘, 오브젝트, 위젯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그리드 단위로 구분하여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위치를 관리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향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아날로그 방송이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는 추세와 더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여 제공되는 정보, 데이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나 알아야 할 정보를 화면상에 직접 표시하는 오브젝트가 한 화면에 복수개가 표시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오브젝트들이 서로 중첩되면 사용자가 오브젝트에 표시되는 정보를 바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영상 시청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개발 등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오브젝트의 중첩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은,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그리드 단위로 분할하고, 그리드 단위별로 그리드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될 제1그리드의 그리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없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영역을 제2그리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그리드 단위로 분할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그리드 단위별로 그리 드정보를 설정하고, 오브젝트가 표시될 제1그리드의 그리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없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오브젝트를 제2그리드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브젝트들의 중첩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오브젝트들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부의 불필요한 연산을 제거한다. 또한, 오브젝트의 표시영역이 이동하는 패턴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음성 처리부(101), 인터페이스부(150), 저장부(160), 디스플레이(170), 음성출력부(175)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음성 처리부(101)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 및 음성출력부(175)로 영상 또는 음성이 출력될 수 있도록 입력된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음성 처리부(101)는 신호입력부(110), 복조부(120), 신호처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입력부(110)는 튜너부(111), A/V 입력부(112), USB 입력부(113), 무선신호 입력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1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향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향 신호(CVBS 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향 신호(CVBS SIF)는 신호처리부(14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부(111)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적어도 2개의 튜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튜너부를 구비하는 경우, 제2 튜너부는 제1튜너부와 유사하게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향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제2튜너부는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2튜너부는 주기적으로 모든 방송 채널의 변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튜너부를 통하여 변환된 방송 신호의 영상 을 표시하면서, 제2튜너부를 통하여 변환된 여러 채널의 영상을 썸 네일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튜너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인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향 신호로 변환하고, 제2튜너부는 메인 RF 방송 신호를 제외한 모든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일예로,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 다른 예로,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향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향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40)는 역다중화 및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70)에 영상을 출력하고, 음성 출력부(175)로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적어도 2개의 튜너부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의 경우, 그에 대응하는 수의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조부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신호입력부(110)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을 연결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라디오, 오디오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 게임기기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 또는 음향 출력 장치를 의미한다. 신호입력부(110)는 외부 장치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로 처리할 수 있는 신호처리부(140) 로 입력한다.
신호입력부(110)의 A/V 입력부(112)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과정 없이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USB 입력부(113)는, USB 단자를 통해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무선신호 입력부(114)는, 영상표시장치(100)를 무선 네트워크망에 연결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무선신호 입력부(114)를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신호 입력부(114)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신호입력부(110)는 영상표시장치와 셋탑 박스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가 IP(internet Protocol) TV용 셋탑 박스인 경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 TV용 셋탑 박스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신호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으며, 신호처리부(14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 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40)는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 일예로 MPEG-2 TS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신호, 음향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 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4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 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AAC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40)에서 처리된 음성신호는 음성 출력부(175)로 음성 출력된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 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OSD(On Screen Display)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는,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와,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및 원격제어장치(200)로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70)의 화면 상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저장부(16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신호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 부(16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수신한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로 입력한 명령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도록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한다. 일예로, 사용자가 소정 채널 선택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선택한 채널이 신호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튜너부(111)을 제어한다. 또한, 선택한 채널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처리되도록 신호처리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70) 또는 음성출력부(17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신호처리부(140)를 제어한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다른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방송신호 대신 USB 입력부(1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카메라 또는 캠코더 영상신호를 시청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신호입력부(110)의 USB 입력부(1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신호처리부(140)를 통하여 처리되고 디스플레이(170) 또는 음성출력부(175)를 통해 출력되도록 영상/음성 처리부(10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 외에도 영상표시장치(100)에 형성된 사용자 입력부(155)를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도록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부(15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 온/오프 명령, 채널변경 명령, 볼륨 변경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5)는 영상표시장치(100)에 형성된 버튼이나 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55)의 조작여부를 판별하고 그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 및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공간리모콘(201)의 사시도이다.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200) 중 하나이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는 공간리모콘(201)에 대응하는 포인터(202)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간리모콘(201)을 상하, 좌우,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202)는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도 2b는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움직이는 바를 도시하고 있다. 도 2b에서 사용자는 공간리모콘(201)을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다. 공간리모콘(201)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공간리모콘(201)의 움 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포인터(202)의 좌표값을 산출한다.
도 2a 및 도 2b는 공간리모콘(201)의 상하, 좌우 또는 회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된 포인터(200)가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다. 포인터(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공간리모콘(201)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공간리모콘(201)의 앞뒤로 움직일 경우 영상표시장치(2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간리모콘(201) 및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 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리모콘(201)은, 무선 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RF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와 신호 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로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은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공간리모콘(201)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공간리모콘(201)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공간리모콘(201)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을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공간리모콘(201)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공간리모콘(201)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공간리모콘(201)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공간리모콘(201)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공간리모콘(201)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공간리모콘(201)이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공간리모콘(201)과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1)과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1)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 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는 공간리모콘(20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151)와, 공간리모콘(21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152)을 통하여 공간리모콘(20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153)을 통하여 공간리모콘(201)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154)는 무선 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2)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공간리모콘(201)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공간리모콘(201)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공간리모콘(201)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공간리모콘(201)은 공간리모콘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 및 원격제어장치(200) 중 공간리모콘(201)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 공간리모콘(201)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오브젝트는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거나 영상표시장치(100) 관련 정보를 나타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다양한 종류의 위젯을 포함한다. 위젯은 OSD(On Screen Display)로 표시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음성 출력(볼륨) 레벨, 채널 정보, 현재 시간 등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표시하고 있는 영상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포함한다. 오브젝트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표시될 수 있거나 표시되어야 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ex. 동영상)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오브젝트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실시예에서 오브젝트는 위젯일 수 있다. 위젯(Widget)은 GUI(Graphic User Interface)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데이터를 직접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element)를 의미한다. 일예로 위젯은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볼륨 조절 버튼, 채널 조절 버튼, 메뉴, 아이콘, 네비게이션 탭, 스크롤 바, 프로그래스 바, 텍스트 박스, 윈도우 중 하나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에서 구현되는 위젯의 형태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구현되어야 하는 GUI의 구체적인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위젯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4는 일반적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보다 자세히는 일반적인 오브젝트 표시 중첩방지 제어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오브젝트 표시명령이 수신되면, 전체 화면의 (X,Y) 좌표를 for구문을 이용하여 다른 오브젝트 표시여부를 탐색한다.(S210)
새로운 오브젝트가 표시될 영역에 다른 오브젝트가 표시되어 있어 중첩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S220) 중첩되지 않는 경우에는 바로 오브젝트를 표시한다.(S230)
오브젝트가 중첩되는 경우에는 중첩영역을 확인하고,(S240) 오브젝트의 표시영역을 이동한다.(S250)
영상표시장치의 크기는 점점 대형화하고, 픽셀 수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상기 오브젝트 중첩여부 판별단계(S220)와 중첩영역 확인단계(S240)는 (X,Y) 좌표와 그 좌표의 가로폭(width), 세로높이(height)에 의해 알 수 있기 때문에 for 루프(loop)문을 이용해서 전체 화면을 스캔하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탐색해야할 (X,Y) 좌표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연산이 복잡해지고, 시간 지연이 발생하여 오브젝트 표시 처리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수가 증가할수록 for 구문이 많이 반복 수행되므로 오브젝트 표시 처리 속도 는 더욱 느려진다.
오브젝트 중첩여부 판별단계(S220)와 중첩영역 확인단계(S240)를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일반적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던 제1 오브젝트(ob1)와 제2 오브젝트(ob2)가 중첩되지 않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이는 제1 오브젝트(ob1)와 제2 오브젝트(ob2)의 (X,Y) 좌표를 이용하여 탐색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뿐이다.
도 5(a)를 살펴보면, 먼저 제1 오브젝트(ob1)와 제2 오브젝트(ob2)의 기준 X좌표를 비교하여 제1 오브젝트(ob1)의 X좌표가 제2 오브젝트(ob2)의 X좌표보다 작으면 두 오브젝트가 중첩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즉 X1이 X3보다 작은 경우라면 오브젝트들의 가로폭 또는 Y좌표에 따라 두 오브젝트가 중첩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음 단계에서 이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2 오브젝트(ob2)의 기준 X좌표점가 왼쪽 모서리로 설정될 수 있으나, 오른쪽 모서리에 있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5(b)를 살펴보면, 제1 오브젝트(ob1)의 기준 X좌표와 가로폭(width)을 더한 X좌표값, 예를 들어 X2와 제2 오브젝트(ob2)의 기준 X좌표에서 가로폭(width)을 뺀 X좌표값를 비교하여 중첩여부를 판단한다. X2가 제2 오브젝트(ob2)의 기준 X좌표에서 가로폭(width)을 뺀 X좌표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겹치는 상황으로 판단한다.
도 5(c)를 살펴보면, 먼저 제1 오브젝트(ob1)와 제2 오브젝트(ob2)의 기준 Y 좌표를 비교하여 제1 오브젝트(ob1)의 Y좌표가 제2 오브젝트(ob2)의 Y좌표보다 작으면 두 오브젝트가 중첩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도 5(d)를 살펴보면, 제1 오브젝트(ob1)의 기준 Y좌표와 세로높이(height)를 더한 Y좌표값, 예를 들어 Y2와 제2 오브젝트(ob2)의 기준 Y좌표에서 세로높이(height)를 뺀 Y좌표값를 비교하여 중첩여부를 판단한다. Y2가 제2 오브젝트(ob2)의 기준 Y좌표에서 세로높이(height)를 뺀 Y좌표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겹치는 상황으로 판단한다.
또한, 도 5(b)와 도 5(d)에서 비교한 좌표값을 기초로 중첩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영상표시장치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때마다 오브젝트들의 (X,Y)좌표를 확인하고 연산하므로 영상표시장치의 대형화, 오브젝트 수의 증가에 따라 연산 속도와 오브젝트의 표시가 느려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은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그리드 단위로 분할하고, 그리드 단위별로 그리드정보를 설정하는 단계;(S610) 오브젝트가 표시될 제1그리드의 그리드정보를 참조하여(S620)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630) 및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없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영역을 제2그리드로 이동하는 단계;(S650)를 포함한다.
상기 그리드정보는 오브젝트 표시가부 정보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그리드 단위로 오브젝트 표시의 위치관리를 하게 되면 기존의 오브젝트와 새로 표시될 오브젝트 위치의 그리드정보, 자세히는 오브젝트 표시가부만을 확인하면 오브젝트간의 충돌여부 및 해당 그리드에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는지 판별이 가능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연산의 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아 빠른 처리 속도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오브젝트를 새로 표시하는 경우 이외에는 이미 표시되고 있는 오브젝트가 드래그 앤 드랍과 같이 이동하는 경우에도 해당 그리드 단위의 그리드 정보만 확인하면, 표시가부를 알 수 있다.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없다면 오브젝트 표시가능한 그리드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제2그리드로 표시영역을 이동하여 오브젝트를 표시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오브젝트 중첩방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추후의 다른 오브젝트 표시를 대비하여 상기 제2그리드에 다른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없도록 그리드정보를 변경하는 단계(S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그리드의 그리드 정보를 오브젝트 표시불가상태로 설정한다.
오브젝트가 표시가능하거나 표시영역이 이동된 이후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640)
여기서,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는 오브젝트가 중첩되는지 여부 즉, 오브젝트가 표시될 영역에 다른 오브젝트가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 계(S630)는 그리드 단위별로 설정된 그리드정보가 오브젝트 표시가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 그리드정보를 확인하여 판별한다.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630)에서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없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는 그리드의 그리드정보를 참조하여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는 그리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그리드는 상기 선택단계에서 선택한 그리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그리드와 인접한 그리드 단위부터 그리드정보를 탐색하여 제2그리드를 찾을 수 있으며, 우선순위에 따라 설정된 특정 영역에서부터 그리드정보를 탐색하여 제2그리드를 찾을 수도 있다.
상기 오브젝트는 모든 OSD 표시 방식이 가능하며, 특히 위젯일 수 있다. 위젯은 인터넷, 무선통신 등을 통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그리드의 그리드정보는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는 제2그리드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그리드정보에는 오브젝트 표시가부와 함께 표시할수 없는 상태인 경우 표시영역이 이동할 그리드에 대한 위치 정보, 이동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동할 제2 그리드를 탐색하지 않아도 되므로 연산 속도 및 오브젝트의 표시는 더 빨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그리드는 상기 제1그리드와 인접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그리드와 상기 제1그리드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그리드 단위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제2 그리드는 제1그리드 주변의 그리드이거나 인접하지 않은 그리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리드 단위 설정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픽셀 단위보다 큰 그리드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드 단위와 픽셀 단위가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하나의 그리드 단위가 복수의 픽셀로 구성될 때 대화면에서의 처리 속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리드정보 참조단계는 상기 공간리모콘 입력명령에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표시될 제1그리드의 그리드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표시될 영역은 제어부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원격제어장치가 포인터 등으로 지정하는 영역일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가 공간리모콘일 경우 오브젝트의 이동, 표시가 공간리모콘의 동작에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리모콘의 입력명령에 대응하는 영역에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전에 해당 그리드의 그리드정보를 확인하여 표시가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라 영상이 표시된 화면이 도시된 도이다.
도 7(a)를 살펴보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그리드 단위(710)로 분할되어 격자형 구조를 가진다. 그리드 단위(710)에는 오브젝트 표시가부를 포함하는 그리드정보가 설정된다. 제1 오브젝트(730)가 제1 그리드(720)에 표시되어 있다. 편의상 제1 오브젝트(730)는 점선으로 그 영역만을 표시하였으나, 영역 내부에 각종 정보들이 표시된다. 제2 오브젝트가 표시될 영역이 제1그리드인 경우에,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전에 제1그리드(720)의 그리드정보를 확인한다. 제1그리드(720)에 제1 오브젝트(730)가 표시되어 있어, 제1그리드(720)에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없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제2 오브젝트의 표시영역을 제2그리드로 변경한다.
이후, 도 7(b)와 같이, 제2그리드(740)에 제2 오브젝트(750)이 표시된다. 제2그리드(740)는 제1그리드(720)와 인접한 그리드 단위부터 그리드정보를 탐색하여 찾을 수 있으며, 또한, 우선순위에 따라 설정된 특정 영역에서부터 그리드정보를 탐색하여 제2그리드(740)를 찾을 수도 있다.
제2 그리드(740)의 위치 정보 등이 제1그리드의 그리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면 별도의 탐색없이 표시영역을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그리드(740)는 도 7(b)와 같이 제1그리드(720)와 인접하여 오브젝트의 표시영역이 쉬프트(shift)될 수 있으며, 도 7(c)와 같이 제1그리드(720)와 제2 그리드(740)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그리드 단위가 존재하여, 제1그리드(720)와 떨어진 영역으로 오브젝트의 표시영역이 점프(jump)될 수 있다. 따라서, 오브젝트의 표시영역은 다양한 패턴으로 변화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라 영상이 표시된 화면이 도시된 도이다.
도 8(a)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에 제1 오브젝트(810)와 제2 오브젝트(820)가 표시되어 있다. 제2 오브젝트(820)가 드래그 앤 드랍으로 도 8(b)와 같이 이동하면, 제2 오브젝트(820)가 표시될 제1그리드의 그리드정보를 확인한다. 제1그리드의 적어도 일부에 제1 오브젝트(810)가 표시되어 있어, 제1그리드의 그리드정보가 표시불가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면, 제2 오브젝트(820)의 표시영역을 도 8(c)와 같이 제1 오브젝트(810)와 중첩되지 않은 제2 그리드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그리드 단위로 분할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70); 및 상기 그리드 단위별로 그리드정보를 설정하고, 오브젝트가 표시될 제1그리드의 그리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없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오브젝트를 제2그리드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그리드 단위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분할하여 오브젝트의 위치를 관리함으로써, 오브젝트들의 중첩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오브젝트들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부의 불필요한 연산을 제거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2그리드에 다른 오브젝트를 추후에 표시할 수 없도록 그리드정보를 오브젝트 표시불가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없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는 그리드의 그리드정보를 참조하여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는 제2그리드를 탐색하여 선택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미리 상기 제1그리드의 그리드정보에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는 제2그리드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여 제1그리드에 오브젝트를 표시하려고 시도할 때 탐색없이 오브젝트의 표시영역이 제2그리드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그리드와 상기 제1그리드는 인접하거나, 상기 제2그리드와 상기 제1그리드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그리드 단위가 존재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표시영역 이 이동하는 패턴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리드 단위는 픽셀 단위보다 크게 설정되어 연산 속도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오브젝트가 표시될 제1그리드를 임의로 제어하지 않고, 사용자의 공간리모콘의 입력명령에 대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그리드의 그리드정보를 참조하여 오브젝트들의 중첩여부 및 표시가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중첩되는 경우 표시영역이 이동하는 제2그리드도 공간리모콘의 입력명령에 대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공간리모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간리모콘 및 영상표시장치의 인터페이스부 중 사용자 입출력부의 내부 블록도
도 4는 일반적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일반적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라 영상이 표시된 화면이 도시된 도이다.

Claims (18)

  1.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그리드 단위로 분할하고, 그리드 단위별로 그리드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될 제1그리드의 그리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없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영역을 제2그리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없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는 그리드의 그리드정보를 참조하여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는 그리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그리드는 상기 선택단계에서 선택한 그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리드에 다른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없도록 그리드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위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리드의 그리드정보는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는 제2그리드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리드와 상기 제1그리드는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리드와 상기 제1그리드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그리드 단위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픽셀 단위보다 큰 그리드 단위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정보 참조단계는 상기 공간리모콘 입력명령에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표시될 제1그리드의 그리드정보를 참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제어방법.
  10. 그리드 단위로 분할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그리드 단위별로 그리드정보를 설정하고, 오브젝트가 표시될 제1그리드의 그리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없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오브젝트를 제2그리드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그리드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없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는 그리드의 그리드정보를 참조하여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는 제2그리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그리드에 다른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없도록 그리드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위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리드의 그리드정보는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는 제2그리드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리드와 상기 제1그리드는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리드와 상기 제1그리드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그리드 단위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단위는 픽셀 단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공간리모콘의 입력명령에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표시될 제1그리드의 그리드정보를 참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090047656A 2009-05-29 2009-05-29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28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656A KR20100128958A (ko) 2009-05-29 2009-05-29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686,150 US20100302274A1 (en) 2009-05-29 2010-01-12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10151466A EP2259578A1 (en) 2009-05-29 2010-01-22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01010108555XA CN101902595A (zh) 2009-05-29 2010-01-29 图像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656A KR20100128958A (ko) 2009-05-29 2009-05-29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958A true KR20100128958A (ko) 2010-12-08

Family

ID=4210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656A KR20100128958A (ko) 2009-05-29 2009-05-29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302274A1 (ko)
EP (1) EP2259578A1 (ko)
KR (1) KR20100128958A (ko)
CN (1) CN1019025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628B1 (ko) * 2012-04-08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20130293483A1 (en) * 2012-05-04 2013-11-07 Roberto Speranza Selectable object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JP5584806B2 (ja) * 2012-09-25 2014-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3869936B (zh) * 2012-12-12 2016-12-28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9575772B2 (en) * 2012-12-20 2017-02-21 Sap Se Model-based user interface
CN103530052B (zh) * 2013-09-27 2017-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界面内容的显示方法和用户设备
KR102194262B1 (ko) 2013-12-02 2020-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팅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WO2016017997A1 (en) 2014-07-31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glasses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 using the same
KR102410212B1 (ko) 2015-09-18 2022-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9618210B (zh) * 2018-11-08 2022-03-15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视频画面调整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326B1 (ko) * 1994-07-27 1999-03-30 김광호 원격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5500691A (en) * 1995-01-04 1996-03-19 Sony Corporation Remote control identifier setup in a video system having both IR and RF transmitters
JPH1083272A (ja) * 1996-09-10 1998-03-31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ウィンドウ表示装置およびマルチウィンドウ表示方法
US7256770B2 (en) * 1998-09-14 2007-08-1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sponsive to sensing a physical presence proximate to a computer input device
US6407779B1 (en) * 1999-03-29 2002-06-18 Zilo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uitive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US6812881B1 (en) * 1999-06-30 2004-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stem for remote communication with an addressable target using a generalized pointing device
US7146573B2 (en) * 2002-01-28 2006-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window representation adjustment
US7343566B1 (en) * 2002-07-10 2008-03-11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window for a user interface
US7059790B2 (en) * 2003-11-14 2006-06-13 Tareq Risheq Keyboar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5198115A (ja) * 2004-01-08 2005-07-21 Toshiba Corp リモコン装置
WO2005089387A2 (en) * 2004-03-16 2005-09-29 Jaalaa, Inc. High-reliability computer interface for wireless input devices
JP4207887B2 (ja) * 2004-12-10 2009-01-1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100693422B1 (ko) * 2005-01-19 2007-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리모콘의 rf/ir 모드 자동 설정방법
WO2006088831A2 (en) * 2005-02-14 2006-08-24 Hillcrest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television applications using 3d pointing
JP4566772B2 (ja) * 2005-02-14 2010-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207937B2 (en) * 2005-06-24 2012-06-26 Logitech Europe S.A. Communication protocol for networked devices
US20070067798A1 (en) * 2005-08-17 2007-03-22 Hillcrest Laboratories, Inc. Hover-buttons for user interfaces
US7620905B2 (en) * 2006-04-14 2009-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windows management
KR101058040B1 (ko) * 2006-12-21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US7769370B2 (en) * 2006-12-27 2010-08-03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pairing electronic devices
US8443397B2 (en) * 2006-12-27 2013-05-14 Kyocera Corporatio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8213908B2 (en) * 2007-04-05 2012-07-0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iring bluetooth devices
JP4618279B2 (ja) * 2007-08-16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090150224A1 (en) * 2007-12-10 2009-06-11 Lu Jeff T Television Traffic Estimation
US20100305999A1 (en) * 2009-05-20 2010-12-02 Robb Fujioka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Distributing, Managing and Monetizing Widgets in a Mobile Environment
US8265017B2 (en) * 2008-04-11 2012-09-11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 capacity enhancement for wireless device coexistence
US8473979B2 (en) * 2008-09-30 2013-06-25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al adjustment of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8403753B2 (en) * 2008-09-30 2013-03-26 Nintendo Co., Lt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game program, game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US8259103B2 (en) * 2009-02-03 2012-09-04 Autodesk, Inc. Position pegs for a three-dimensional reference gr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9578A1 (en) 2010-12-08
CN101902595A (zh) 2010-12-01
US20100302274A1 (en) 201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49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0012895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514195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00306688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101572843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2290956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39725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57284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동작방법
KR101571718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9973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00133633A (ko) 영상표시장치 및 동작방법
KR101580793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7298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5850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44553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96675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12357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3736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5580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65342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51437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25668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0013047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96673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8883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