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772A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8772A
KR20100128772A KR1020090047374A KR20090047374A KR20100128772A KR 20100128772 A KR20100128772 A KR 20100128772A KR 1020090047374 A KR1020090047374 A KR 1020090047374A KR 20090047374 A KR20090047374 A KR 20090047374A KR 20100128772 A KR20100128772 A KR 20100128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n
housing
orifice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3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68706B1 (en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7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706B1/en
Priority to EP10780775.2A priority patent/EP2436996B1/en
Priority to US13/322,734 priority patent/US9200814B2/en
Priority to PCT/KR2010/003320 priority patent/WO2010137864A2/en
Publication of KR2010012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7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7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PURPOSE: An air-conditioner is provided to minimize noise, since air is not directly discharged from a ventilation fan but passes through a noise-proof duct for exhaustion. CONSTITUTION: An air-conditioner comprises a housing(10), a ventilation fan, and a noise-proof duct(100). The housing comprises an air supply flow passage and an air exhaust flow passage. The outdoor air flows in through an air supply flow passage.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flow passage. The ventilation fans are installed in the air supply flow passage and the air exhaust flow passage, respectively. The noise-proof duct connects to the ventilation fan and reduces the noise of the air. The noise-proof duct comprises a duct frame(110) and a sound-absorbing member(120).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일정한 공간을 인간이 활동하기에 알맞은 온도·습도·기류(氣流) 분포로 조절하여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that maintains indoor air in a comfortable state by adjusting a certain space to a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flow distribution suitable for human activity.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발열 또는 응축열을 이용해 저온의 열원을 고온으로 전달하거나 고온의 열원을 저온으로 전달하는 냉난방장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공기정화장치 및 실내외의 공기를 서로 교환하는 환기장치 등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uses a heating or condensation heat of a refrigerant to transfer a low temperature heat source to a high temperature or a high temperature heat source to a low temperature, an air purifier that cleans contaminated air to fresh air, and an indoor / outdoor air to each other. It is divided into the ventilation device to be replaced.

냉난방장치는 냉매가 상 변화를 할 때 주위로 열을 발산하거나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기기로, 냉각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 등이 구비된다.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cools or heats an indoor space by using heat absorbing or absorbing heat when the refrigerant changes phase. Compressor, condenser, expansion valve and evaporator constituting a cooling cycle Is provided.

공기정화장치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정화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공급하는 기기로,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한 후 필터에 의해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集塵)하여 체취나 담배냄새 등을 탈취한다.An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sucks indoor ai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supplies purified air back to the room. The air purifier sucks contaminated air into a fan and collects fine dust or bacteria by a filter. Deodorizes body odor or tobacco smell.

환기장치는 실내와 실외의 공기를 교환하여 실내공기의 오염물질과 악취 등 을 외부로 배출하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기기이다. 이러한 환기장치는 실내와 실외의 온도 및 습도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 외기가 그대로 유입되면 실내의 쾌적함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기 때문에, 외기와 실내공기 사이의 온도와 습도를 교환하여 이러한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열교환소자를 구비하게 된다.Ventilation equipment is a device that exchanges indoor and outdoor air to discharge pollutants and odors of indoor air to the outside, and introduces fresh outdoor air into the room. Such ventilation device can mitigate these effects by exchanging temperature and humidity between outdoor air and indoor air when the outdoor air is inflowed, if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emperature and humidity between indoor and outdoor. It is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 element.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토출하는 송풍팬을 이용하여 실내를 환기시키는데, 송풍팬이 공기조화기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공기를 직접 토출하는 경우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n air conditioner ventilates a room by using a blower fan forcibly inhaling and discharging the air,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lower fan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air conditioner housing to directly discharge air.

그리고, 송풍팬에는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조립체가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모터조립체는 공기의 흡입부에 설치되어 공기저항을 일으키고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blower fan is provided with a motor assembly for providing rotational power, such a motor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suction portion of the air has a problem of causing air resistance and generating noise.

또한, 시로코팬과 같은 송풍팬의 경우 양측에서 공기를 흡입하는데 공기의 유동량이 상이할 경우 송풍팬에 부하가 발생하고 그에 따른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blower fan such as a sirocco fa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ad is generated in the blower fan and noise is generated when the flow amount of air is different from both sides.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for reducing the nois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의 유동 경로에 구비되는 모터조립체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minimizes the flow resistance of the motor assembly provided in the flow path of ai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풍팬의 양측에서 흡입되는 공기 유동량의 편차를 최소화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minimizes the variation in the amount of air flow sucked from both sides of the blower fa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급기유로와 실내공기가 실외로 토출되는 배기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급기유로 및 배기유로에 각각 구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연결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음덕트는, 상기 송풍팬에 연결되는 흡입구 및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서로 수직하게 구비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덕트프레임과, 상기 덕트프레임에 구비되고 그 표면에 부딪히는 소리에너지의 일부를 흡 수하여 반사음을 줄이는 흡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formed with an air supply flow path for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and an exhaust flow path for the indoor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A blowing fan provided in each of the air supply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to flow air; It comprises a noise duct connected to the blowing fan to reduce the noise of the air discharged, the noise duct, the inlet and the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air connected to the blowing fan is provid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holes Provided is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duct frame is formed, and a sound absorbing member provided on the duct frame to absorb a portion of the sound energy hitting the surface to reduce the reflected sound.

상기 송풍팬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토출시켜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된다.The blowing fan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air flow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to guide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housing.

상기 덕트프레임에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에 대해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라운드부가 형성된다.The duct frame is rounded with respect to the inlet and the outlet, respectively, and a round part is formed to guide the flow direction of air.

상기 송풍팬은 내부에 팬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팬하우징과; 상기 팬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공기를 상기 팬으로 안내하는 쉬라우드와; 상기 쉬라우드에 대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조립체가 장착되는 모터마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lowing fan has a fan housing rotatably provided therein; A shroud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an housing to guide air to the fa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tor mount is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hroud, the motor assembly is mounted to provide a rotational power to the fan.

상기 모터마운트는 상기 모터조립체가 지지되는 모터플레이트와; 상기 모터플레이트가 상기 쉬라우드에 대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모터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단차지게 구비되는 다수 개의 이격부와; 상기 이격부에 연결되어 상기 쉬라우드에 장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tor mount may include a motor plate on which the motor assembly is supported; A plurality of spaced portions provided stepp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an edge of the motor plate so that the motor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shrou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ortion mounted to the shroud.

상기 모터플레이트에서 상기 다수 개의 이격부 사이에는 상기 쉬라우드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플레이트의 안쪽으로 오목한 절개부가 형성된다.In the motor plate, a recess is formed inwardly of the motor plate to expand the flow area of the air sucked into the shroud between the plurality of separation parts.

상기 송풍팬은 팬하우징과; 상기 팬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공기를 상기 팬하우징 내부로 안내하는 오리피스가 구비된 쉬라우드와; 상기 팬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가 상기 오리피스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된 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lowing fan comprises a fan housing; Shroud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an housing and provided with orifices for guiding air into the fan housing; The fa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an housing, and includes a fan provided to expose the inside of the orifice with a plurality of blades for flowing air.

상기 오리피스는 일정한 곡률로 라운드지게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은 상기 오리피스의 내측 선단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The orifice is provided to be rounded at a constant curvature, the tip of the blade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inner end of the orifice.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의 간격과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는 동일하게 구성된다.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blades and the length of the blade is configured the same.

상기 송풍팬은 그 내부에 팬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팬하우징과; 상기 팬하우징의 양측에 서로 다른 곡률로 형성되어 상기 팬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한 쌍의 오리피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lowing fan has a fan housing rotatably provided therein; A pair of orific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an housing with different curvatures to guide the air flowing into the fan housing.

상기 팬하우징의 양측으로 흡입되는 공기 유동량이 서로 상이할 때, 공기 유동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기 팬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오리피스의 내경이 타측에 구비되는 오리피스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When the amount of air flow sucked into both sides of the fan housing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inner diameter of the orifi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an housing with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air flow is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rifice provided on the other side.

상기 한 쌍의 오리피스 중 그 내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일측 오리피스의 곡률이 타측 오리피스의 곡률보다 작게 구성된다.Among the pair of orifices, the curvature of one orifice whose inner diameter is relatively large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curvature of the other orifice.

공기의 유동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기 팬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조립체가 장착된다.On one side of the fan housing where the flow amount of air is relatively small, a motor assembly is provided to provide rotational power to the fan.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가 송풍팬에서 직접 토출되지 않고 소음덕트를 통과하여 배출되므로 공기 토출시 발생되는 소음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noise duct instead of being directly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air discharge is minimized.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한 모터마운터에 공기의 유동면 적을 확장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고, 모터마운터가 팬하우징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기의 흡입 경로가 확장되므로 유동저항에 의한 소음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cision is formed in the motor mount for mounting the motor assembly to extend the flow area of air, and the motor mount is spaced apart from the fan hous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extend the air intake path, thereby minimizing noise due to flow resistance. It is effectiv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송풍팬의 양측에 구비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의 곡률과 내경을 공기 흡입량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송풍팬의 양측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량 편차를 최소화하므로 송풍팬의 부하와 유동저항에 의한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atur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orifice guiding the sucked ai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lowing fan ar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ir intake amount, thereby minimizing the variation in the flow amount of the air sucked into both sides of the blowing fan. Noise due to load and flow resistance is reduc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송풍팬의 블레이드가 오리피스의 내측에 돌출되어 흡입되는 공기에 직접 접촉되므로 공기의 유동이 안정화되고 난류에 의한 유동 저항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ade of the blower fan protrudes inside the orifice and directly contacts the sucked air, the flow of air is stabilized and the flow resistance due to turbulent flow is minimiz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하우징(10) 내부에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38)과,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재생열교환유닛(50)과,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냉난방유닛(50)과,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is figure,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blower fan 38 for flowing air in the housing 10, a regenerative heat exchange unit 50 for exchanging heat between outdoor air and indoor air, and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It comprises a cooling and heating unit 50 for cooling or heating, and a humidifying unit 70 for supplying moisture to the air.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 모드,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 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냉방 및 난방모드,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모드 등으로 작동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be operated in a ventilation mode for ventilating indoor air, a cooling and heating mode for cooling or heating outdoor air introduced into a room, and a humidification mode for providing moisture to outdoor air entering the room.

상기 하우징(10)에는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컨트롤박스(12)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control box 12 hav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 하우징(10)은 그 내부가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송풍팬(38), 재생열교환유닛(50), 가습유닛(70) 등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0)은 구획패널(14)에 의해 급기유로(20) 및 배기유로(30)를 구비한다. The housing 10 is formed in an empt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blowing fan 38, the regenerative heat exchange unit 50, the humidification unit 70, and the like are provided in the housing 10. The housing 10 includes an air supply passage 20 and an exhaust passage 30 by the partition panel 14.

상기 급기유로(20)는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배기유로(30)는 실내공기가 실외로 토출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급기유로(20)와 상기 배기유로(30)는 일부가 상호 교차되도록 구비된다.  The air supply passage 20 forms a path through which the outdoor air flows into the room, and the exhaust path 30 forms a path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air supply passage 20 and the exhaust passage 30 are provided to partially cross each other.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에는 상기 급기유로(20)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외공기배출구(22)와, 상기 배기유로(30)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내공기유입구(32)가 구비된다. One side of the housing 20 is provided with an outdoor air outlet 22 forming a part of the air supply passage 20 and an indoor air inlet 32 forming a portion of the exhaust passage 30.

상기 실외공기배출구(22)는 상기 급기유로(20)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출구역할을 하고, 상기 실내공기유입구(32)는 상기 배기유로(30)에서 실외로 토출되는 실내공기의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실외공기배출구(22)와 상기 실내공기유입구(32)는 실내 측에 인접하게 구비된다.The outdoor air outlet 22 serves as an outlet of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from the air supply passage 20, and the indoor air inlet 32 serves as an inlet of indoor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assage 30 to the outside. Play a role. The outdoor air outlet 22 and the indoor air inlet 32 are provided adjacent to the indoor side.

상기 하우징(20)의 타측에는 상기 급기유로(20)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외공기 유입구(24)와, 상기 배기유로(30)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내공기배출구(34)가 구비된다.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20 is provided with an outdoor air inlet 24 forming a part of the air supply passage 20, and an indoor air outlet 34 forming a part of the exhaust passage 30.

상기 실외공기유입구(24)는 상기 급기유로(20)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입구역할을 하고, 상기 실내공기배출입구(34)는 상기 배기유로(30)에서 실외로 토출되는 실내공기의 출구역할을 한다. 상기 실외공기배출구(22)와 상기 실내공기유입구(32)는 실외 측에 인접하게 구비된다.The outdoor air inlet 24 is an entrance area of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from the air supply passage 20, and the indoor air discharge inlet 34 of the indoor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exhaust passage 30. Act as an exit The outdoor air outlet 22 and the indoor air inlet 32 are provided adjacent to the outdoor side.

상기 송풍팬(38)은 실내 환기를 위해 상기 급기유로(20) 및 배기유로(30)에 구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급기팬(40) 및 배기팬(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blowing fan 38 is provided in the air supply passage 20 and the exhaust passage 30 for indoor ventilation to flow air, and includes an air supply fan 40 and an exhaust fan 42.

상기 급기팬(40)은 상기 급기유로(20) 상에 구비되어 실외공기를 실내로 안내하고, 상기 배기팬(42)은 상기 배기유로(30) 상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실외로 안내하여 실내공기를 환기시킨다. The air supply fan 40 is provided on the air supply passage 20 to guide the outdoor air to the interior, and the exhaust fan 42 is provided on the exhaust flow passage 30 to guide the indoor air to the outdoor. Ventilate the air.

즉, 상기 급기팬(40)은 실외로부터 실외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하고, 상기 배기팬(42)은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air supply fan 40 forcibly sucks outdoor air from the outside to supply the indoor air, and the exhaust fan 42 forcibly sucks contaminated air in the room and discharges it to the outdoor.

이와 같이 외부의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쾌적하지 않은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환기 기능이라 한다.As such, the fresh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and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급기유로(20)와 상기 배기유로(30)가 교차하는 영역에는 재생열교환유닛(50)이 구비된다. 상기 재생열교환유닛(50)은 일반적으로 그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재생열교환유닛(50)은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 와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습도 및 열에너지를 상호 교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A regenerative heat exchange unit 50 is provided in the region where the air supply passage 20 and the exhaust passage 30 cross each other. The regenerative heat exchange unit 50 is generally formed in a square pillar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regenerative heat exchange unit 50 serves to exchange the humidity and heat energy of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and the indoor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즉, 상기 재생열교환유닛(50)은 온도 및 습도 차이가 발생하는 각각의 공기를 서로 다른 통로로 유동하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통로의 층을 형성하는 고효율의 열교환막에 의하여 잠열을 교환하는 습기와 현열을 교환하는 열에 의해서 전열교환을 일으키는 원리를 따른다. That is, the regenerative heat exchange unit 50 allows each air having a temperature and humidity difference to flow in different passages, thereby allowing moisture and sensible heat to exchange latent heat by a high-efficiency heat exchange membrane forming layers of different passages. Follow the principle of electrothermal exchange by heat exchanging.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재생열교환유닛(50)은 육면체의 네 측면중 서로 마주보는 측면을 통해 공기의 유동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 유동통로는 급기유로(20)와 연통되는 다수의 급기통로(미도시)와 배기유로(30)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기통로(미도시)로 이루어지며, 상기 급기통로와 배기통로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웃하고 있다. In more detail, the regenerative heat exchange unit 50 has a flow path of air through the side facing each other of the four sides of the cube. The air flow passage comprises a plurality of air supply passages (not shown)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pply passage 20 and a plurality of exhaust passages (not shown) in communication with the exhaust passage 30, the air supply passage and exhaust passages Neighbors are orthogonal.

따라서, 상기 재생열교환유닛(50)을 지나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는 각각 급기통로와 배기통로를 지나면서 열교환하게 되고 실외공기는 실내온도에 가까운 온도를 가지면서 실내로 유입된다. 상기 재생열교환유닛(50)에서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배기통로와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급기통로 사이에는 각각의 통로를 분리시키는 파티션시트(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Therefore,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regenerative heat exchange unit 50 exchange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respectively, and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while having a temperature close to the room temperature. In the regenerative heat exchange unit 50, partition sheets (not shown) are provided between the exhaust passages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passes and the air supply passages through which the outdoor air passes.

상기 파티션시트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수분 및 열에너지를 상호 교환시키며, 이산화탄소와 먼지 같은 물질은 상호 교환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신선한 실외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수분 및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실내로 유입되고, 실내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은 그대로 실외로 배출된다. The partition sheet exchanges moisture and thermal energy of outdoor air and indoor air, and serves to block materials such as carbon dioxide and dust from being interchanged. Therefore, the fresh outdoor air absorbs the moisture and heat energy of the indoor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enters the indoor, and the dust contained in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it is.

상기 재생열교환유닛(50)에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작용을 하는 것으로 상기 재생열교환유닛(50)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regenerative heat exchange unit 50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not shown). The filter has a filtration function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nd is preferably detachably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regenerative heat exchange unit 50.

즉, 상기 재생열교환유닛(50)은 외부공기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청정도를 높이는 한편, 상기 재생열교환유닛(50)을 이물로부터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기능을 한다.That is, the regenerative heat exchange unit 50 filters foreign substances mixed with external air to increase cleanliness of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and protects the regenerative heat exchange unit 50 from foreign substances to extend the life.

상기 재생열교환유닛(50)에는 흡입되는 외부공기 속의 분진입자를 다시 걸러내고 공기 중의 냄새를 제거하는 청정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The regenerative heat exchange unit 50 may be provided with a clean filter (not shown) for filtering out dust particles in the sucked outside air and removing odors in the air.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에는 냉난방유닛(60)이 구비된다. 상기 냉난방유닛(60)은 상기 재생열교환유닛(50)을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cooling and heating unit (60). The air conditioning unit 60 serves to cool or heat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regenerative heat exchange unit 50.

상기 냉난방유닛(60)은 냉매의 상변화를 이용하여 주위의 열을 흡수하거나 주위에 열을 발산하는 냉난방장치(에어컨 등)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난방유닛(60)은 에어컨 등의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사용되는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냉난방유닛(60)은 에어컨 등의 실외기에 연결되어 냉매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air conditioning unit 6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cooling and heating device (air conditioner, etc.) that absorbs heat or emits heat around by using a phase change of the refrigerant. For example, the air conditioning unit 60 may be configured as a heat exchanger used as an evaporator or a condenser such as an air conditioner, and the air conditioning unit 60 may be connected to an outdoor unit such as an air conditioner to receive a refrigerant.

상기 냉난방유닛(60)은 설계조건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기능만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냉난방유닛(60)이 실외공기를 가열시키는 기능만 수행할 경우, 전기 저항에 의한 전열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ooling and heating unit 6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only a cooling or heating function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when the cooling and heating unit 60 performs only a function of heating outdoor air, the cooling and heating unit 60 may be configured as a heater by electric resistance. have.

상기 가습유닛(70)은 수도배관(미도시)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연결된다. 상기 가습유닛(70)은 상기 냉난방유닛(60)을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The humidifying unit 70 is connected to receive water from a water pipe (not shown). The humidifying unit 70 serves to supply moisture to the air flowing into the room through the cooling and heating unit 60.

상기 가습유닛(70)에는 상기 급기유로(20) 상에 위치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소자(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가습소자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수분을 빨아들이는 재질로 구비된다. The humidifying unit 70 is provided with a humidifying element (not shown) positioned on the air supply passage 20 to supply moisture to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The humidifying element is provided with a material that sucks moisture using a capillary phenomenon.

이하, 상기 배기팬(42)의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소음덕트(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배기팬(42)은 상기 송풍팬(38)의 일부로서 별도로 구분되지 않으므로 동일한 구성으로 취급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noise duct 100 forming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exhaust fan 42 will be described. Since the exhaust fan 42 is not separately divided as part of the blower fan 38, the exhaust fan 42 may be treated in the same configuration.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음덕트의 주변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eripheral configuration of the noise duc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팬(42)은 상기 하우징(10)의 일단에 구비된다. 상기 배기팬(42)은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토출시켜 상기 하우징(10)의 측면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된다. As shown in this figure, the exhaust fan 42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using 10. The exhaust fan 42 is provided to discharge air flow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to guide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housing 10.

상기 배기팬(42)의 공기 토출방향이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이유는 상기 배기팬(42)이 상기 하우징(1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므로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배기팬(4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성을 구비할 수 없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exhaust fan 42 is provided to face the side of the housing 10 is because the exhaust fan 42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housing 10. This i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provide a configuration for reducing the nois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fan 42.

상기 배기팬(42)의 공기 토출방향에는 소음덕트(100)가 구비된다. 상기 소음덕트(100)는 상기 배기팬(42)에 연결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noise duct 100 is provided in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exhaust fan 42. The noise duct 100 is connected to the exhaust fan 42 serves to reduce the noise of the air discharged.

상기 소음덕트(100)는 상기 배기팬(42)에 연결되는 흡입구(112) 및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14)가 서로 수직하게 구비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덕트프레임(110)과, 상기 덕트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음부재(120)는 그 표면에 부딪히는 소리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여 반사음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The noise duct 100 includes a duct frame 110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nd vertically provided with an inlet 112 connected to the exhaust fan 42 and an outlet 114 for discharging air, and the duc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ound absorbing member 120 provided in the frame 110 to reduce the noise. The sound absorbing member 120 absorbs a part of the sound energy that strikes the surface to reduce the reflected sound.

상기 흡입구(112)와 상기 배출구(114)는 서로 수직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기팬(42)에 의해 꺾여져 유동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10)의 일단으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소음덕트(100)를 통과하는 공기는 구멍과 상기 흡음부재(120)에 의하여 소음이 저감된다.The suction port 112 and the discharge port 114 are provid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o discharge air that is bent and flown by the exhaust fan 42 to one end of the housing 10. In additi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noise duct 100 reduces noise by the holes and the sound absorbing member 120.

상기 덕트프레임(110)에는 상기 흡입구(112)와 상기 배출구(114)에 대해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라운드부(116,118)가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부(116,118)는 상기 흡입구(112) 및 상기 배출구(114) 사이에 구비되어 급격하게 변화하는 공기의 흐름을 부드럽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Round portions 116 and 118 are formed in the duct frame 110 so as to be rounded with respect to the inlet 112 and the outlet 114 to guide the flow direction of air. The round parts 116 and 118 are provided between the inlet 112 and the outlet 114 to smoothly guide the rapidly changing flow of air.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풍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lowing fa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송풍팬(38)은 시로코팬(sirroco fan)으로 구성되며, 실내의공기를 외부로 강제 송풍하거나,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강제로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풍팬(38)은 팬하우징(200)과, 쉬라우드(210)와 모터마운트(220) 및 모터조립체(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is figure, the blowing fan 38 is composed of a siroco fan, and serves to forcibly blow indoor air to the outside or forcibly suck the outdoor air to the room. The blowing fan 38 includes a fan housing 200, a shroud 210, a motor mount 220, and a motor assembly 240.

상기 팬하우징(200)의 내부에는 팬(30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도 4 참 조) 상기 팬하우징(200)은 상기 송풍팬(38)의 외관을 형성하여 상기 팬(3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팬(300)은 전기의 힘에 의해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상기 모터조립체(240)에 일측단이 결합되어 회전된다. The fan 300 is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fan housing 200. (See FIG. 4) The fan housing 200 forms an exterior of the blowing fan 38 to form the fan 300. It protects you. One end of the fan 300 is coupled to the motor assembly 240 which generates rotational power by the force of electricity, and rotates.

상기 쉬라우드(210)는 상기 팬하우징(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를 상기 팬(30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쉬라우드(210)의 내측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개구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12)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다. The shroud 21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an housing 200 to guide air to the fan 300. An opening 212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s formed inside the shroud 210. The opening 21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그리고, 상기 모터마운트(220)는 상기 쉬라우드(210)에 대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모터마운트(220)는 상기 쉬라우드(2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모터마운트(200)에는 상기 팬(30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조립체(240)가 장착된다. In addition, the motor mount 220 is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hroud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motor mount 2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roud 210 or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The motor mount 200 is equipped with a motor assembly 240 that provides rotational power to the fan 300.

상기 모터마운트(220)는 상기 모터조립체(240)가 지지되는 모터플레이트(222)와; 상기 모터플레이트(222)가 상기 쉬라우드(210)에 대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모터플레이트(222)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단차지게 구비되는 다수 개의 이격부(226)와; 상기 이격부(226)에 연결되어 상기 쉬라우드(210)에 장착되는 결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tor mount 220 includes a motor plate 222 on which the motor assembly 240 is supported; A plurality of spacers 226 provided stepped at a constant height at the edge of the motor plate 222 so that the motor plate 222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hroud 2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portion 230 is connected to the spacer 226 is mounted to the shroud 210.

상기 이격부(226)는 상기 모터플레이트(222)가 상기 쉬라우드(210)에 대해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상기 모터플레이트(222)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므로 상기 모터플레이트(222)와 상기 쉬라우드(210) 사이에는 일정한 높이의 공기 유동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모터플레이트(222)의 중앙에는 모터조립체(240)가 구비되는 모터장착부(224)가 형성된다. The spacer 226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motor plate 222 so that the motor plate 222 has a constant height with respect to the shroud 210, the motor plate 222 and the shroud 210 Between the air flow space of a constant height is formed. A motor mounting part 224 having a motor assembly 24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otor plate 222.

그리고, 상기 모터플레이트(222)에서 상기 다수 개의 이격부(226) 사이에는 상기 쉬라우드(210)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플레이트(222)의 안쪽으로 오목한 절개부(228)가 형성된다.In addi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pacers 226 in the motor plate 222, the indentation 228 recessed inwardly of the motor plate 222 to expand the flow area of the air sucked into the shroud 210. ) Is formed.

상기 절개부(228)는 상기 모터플레이트(222)에서 상기 모터조립체(240)가 장착되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이격부(226)는 상기 모터플레이트(222)의 측면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면적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절개부(228)는 상기 모터플레이트(222)의 전방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면적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cutout 228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motor plate 222 except for a region in which the motor assembly 240 is mounted. The spacer 226 serves to expand the flow area of the air sucked into the side of the motor plate 222, the cutout 228 is the flow of air sucked in front of the motor plate 222 It serves to expand the area.

이와 같이 상기 모터마운트(220)는 공기의 흡입면적을 증가시켜 유동 저항 및 상기 팬(300)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소음을 줄일 수 있다. As such, the motor mount 220 may increase the suction area of air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and the load of the fan 300 and to reduce the noise.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풍팬을 구성하는 팬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n constituting the blowing fa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팬(300)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팬프레임(310)과 상기 팬프레임(310)의 안쪽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블레이드(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320)의 내측에는 상기 팬(300)이 상기 모터조립체(240)에 연결되기 위한 축결합부(314)가 구비된다. As shown in this figure, the fan 300 is a fan frame 3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blade 3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fan frame 310 to generate air flow by rota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ner side of the blade 320 is provided with a shaft coupling portion 314 for connecting the fan 300 to the motor assembly 240.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레이드와 오리피스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ade and the orifi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팬하우징(200)의 양측에는 공기를 상기 팬하우징(200) 내부로 안내하는 오리피스(400)가 구비된 쉬라우드(210)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400)는 상기 쉬라우드(21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팬하우징(200)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해 일정한 곡률로 라운드지게 구비된다. As shown in this figure, both sides of the fan housing 200 are provided with a shroud 210 having an orifice 400 for guiding air into the fan housing 200. The orifice 400 is provided to be rounded at a constant curvature to guide the air flowing along the shroud 210 into the fan housing 200.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320)는 상기 오리피스(400)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320)의 선단이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320)의 내경(B)은 상기 오리피스(400)의 내경(O)보다 작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blade 320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orifice 400. To this end, the inner diameter (B) of the blade 320 that the front end of the plurality of blades 320 is continuously formed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 of the orifice (400).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블레이드(320)의 선단은 상기 오리피스(400)의 내측 선단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오리피스(400)로 유입되는 공기에 직접 접촉된다. 이와 같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320)의 선단에 직접 접촉되면 유동 박리 및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여 유동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front end of the blade 320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inner end of the orifice 40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air flowing into the orifice 400. When the air introduced in this way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tip of the blade 320 can minimize the flow separation and flow resistance to reduce the flow noise.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320)의 간격과 상기 블레이드(320)의 길이는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동일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블레이드(320)의 선단이 상기 오리피스(400)의 내측 선단으로 돌출되기 위해서 상기 블레이드(320)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또한 다수 개의 블레이드(320)의 간격도 늘어나므로 상기 블레이드(320)의 개수는 상대적으로 적게 구비될 수 있다.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blades 320 and the length of the blade 320 is configured to be the same to facilitate the flow of air, the front end of the blade 320 is protruded to the inner end of the orifice 400 To this end, the length of the blade 320 is formed to be relatively long, and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blades 320 also increases, so that the number of the blades 320 may be relatively small.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풍팬의 양측에 구비된 오리피스의 곡률과 직경을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urvature and the diameter of the orific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lowing fa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팬하우징(200)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조립체(240)가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량이 타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게 유지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팬하우징(200) 의 양측 공기 유동량이 서로 다르게 유입되면 상기 팬(300)의 성능과 내구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One side of the fan housing 200 is provided with the motor assembly 240 to maintain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air flow compared to the other sid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ir flow amounts on both sides of the fan housing 2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an The performance and durability of the 300 will be degraded.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400)는 상기 팬하우징(200)의 양측에 서로 다른 곡률로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팬하우징(200)의 양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량 차이를 줄일 수 있다. Thus, the orifice 400 is provided with a pair of different curvature on both sides of the fan housing 200 can reduce the difference in the flow amount of air flowing into both sides of the fan housing 2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오리피스(400)는 상대적으로 곡률이 작은 제1오리피스(410)와 상대적으로 곡률이 큰 제2오리피스(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rifice 400 includes a first orifice 410 having a relatively small curvature and a second orifice 420 having a relatively large curvature.

상기 제1오리피스(410)는 곡률이 상기 제2오리피스(420)에 비해 작게 형성되므로 동일 조건하에서 상기 제1오리피스(410)의 내경(D1)이 상기 제2오리피스(420)의 내경(D2)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이는 공기의 유동량이 늘어나는 효과를 유발한다. Since the curvature of the first orifice 41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orifice 420, the inner diameter D1 of the first orifice 410 is equal to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second orifice 420 under the same condition. Compared to the above, it is large, which cause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flow amount of air.

즉, 상기 한 쌍의 오리피스(400) 중 그 내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제1오리피스(410)의 곡률이 제2오리피스(420)의 곡률보다 작게 구성된다.That is, the curvature of the first orifice 410 having a relatively large inner diameter among the pair of orifices 400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curvature of the second orifice 420.

따라서, 상기 팬하우징(200)의 양측으로 흡입되는 공기 유동량이 서로 상이할 때, 공기 유동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기 팬하우징(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오리피스(410)의 내경이 타측에 구비되는 제2오리피스(42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공기의 흡입량이 적은 제1오리피스(410)의 공기 유동 면적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상기 송풍팬(38) 양측 공기 흡입량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air flow amounts sucked into both sides of the fan housing 2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orifice 41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an housing 200 with relatively small air flow amount is provided at the other side. The air flow area of the first orifice 410, which is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orifice 420, and the air intake amount is small, may be relatively increased to reduce the variation of the air intake amounts on both sides of the blower fan 38.

물론, 공기의 유동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기 팬하우징(200)의 일측에는 상기 팬(30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조립체(240)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a motor assembly 24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an housing 200 hav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air flow to provide rotational power to the fan 300.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음덕트의 주변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eripheral configuration of the noise duc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풍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lowing fa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풍팬을 구성하는 팬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n constituting the blowing fa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레이드와 오리피스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ade and the orifi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풍팬의 양측에 구비된 오리피스의 곡률과 직경을 나타낸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urvature and diameter of the orific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lowing fa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하우징 12: 컨트롤박스10: housing 12: control box

14: 구획패널 20: 급기유로14: compartment panel 20: air supply passage

22: 실외공기배출구 24: 실외공기유입구22: Outdoor air outlet 24: Outdoor air inlet

30: 배기유로 32: 실내공기유입구30: exhaust passage 32: indoor air inlet

34: 실내공기배출구 38: 송풍팬34: indoor air outlet 38: blower fan

40: 급기팬 42: 배기팬40: air supply fan 42: exhaust fan

50: 재생열교환유닛 60: 냉난방유닛50: regenerative heat exchange unit 60: air conditioning unit

70: 가습유닛 100: 소음덕트70: humidification unit 100: noise duct

110: 덕트프레임 112: 흡입구110: duct frame 112: inlet

114: 배출구 116,118: 라운드부114: outlet 116,118: round portion

120: 흡음부재 200: 팬하우징120: sound absorbing member 200: fan housing

210: 쉬라우드 220: 모터마운트210: shroud 220: motor mount

222: 모터플레이트 224: 모터장착부222: motor plate 224: motor mounting portion

226: 이격부 228: 절개부226: spacing 228: incision

230: 결합부 240: 모터조립체230: coupling portion 240: motor assembly

300: 팬 310: 팬프레임300: fan 310: fan frame

314: 축결합부 320: 블레이드314: shaft coupling portion 320: blade

400: 오리피스400: orifice

Claims (13)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급기유로와 실내공기가 실외로 토출되는 배기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과;A housing having an air supply path for introducing outdoor air into the room and an exhaust path for discharging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상기 급기유로 및 배기유로에 각각 구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과;A blowing fan provided in each of the air supply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to flow air; 상기 송풍팬에 연결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noise duct connected to the blowing fan to reduce the noise of the discharged air, 상기 소음덕트는,The noise duct is, 상기 송풍팬에 연결되는 흡입구 및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서로 수직하게 구비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덕트프레임과,A duct fram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a suction port connected to the blower fan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air formed thereon; 상기 덕트프레임에 구비되고 그 표면에 부딪히는 소리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여 반사음을 줄이는 흡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nd a sound absorbing member provided on the duct frame and absorbing a part of sound energy that strikes the surface to reduce reflection soun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풍팬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토출시켜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blower fan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air flow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to guide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housing.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덕트프레임에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에 대해 각각 라운드지게 형 성되어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라운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air conditioner is formed in the duct frame is formed round to each of the inlet and the outlet to guide the flow direction of ai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풍팬은,The blowing fan, 내부에 팬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팬하우징과;A fan housing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fan; 상기 팬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공기를 상기 팬으로 안내하는 쉬라우드와;A shroud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an housing to guide air to the fan; 상기 쉬라우드에 대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조립체가 장착되는 모터마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nd a motor mount coupled to the shrou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ounted on the fan assembly to provide a rotational power to the fa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모터마운트는,The motor mount is, 상기 모터조립체가 지지되는 모터플레이트와;A motor plate on which the motor assembly is supported; 상기 모터플레이트가 상기 쉬라우드에 대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모터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단차지게 구비되는 다수 개의 이격부와;A plurality of spaced portions provided stepp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an edge of the motor plate so that the motor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shrou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이격부에 연결되어 상기 쉬라우드에 장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nd a coupling part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art and mounted to the shroud.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모터플레이트에서 상기 다수 개의 이격부 사이에는 상기 쉬라우드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플레이트의 안쪽으로 오목한 절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nd a concave inward portion of the motor plate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pacers in the motor plate to expand the flow area of the air sucked into the shrou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풍팬은,The blowing fan, 팬하우징과;Fan housing; 상기 팬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공기를 상기 팬하우징 내부로 안내하는 오리피스가 구비된 쉬라우드와;Shroud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an housing and provided with orifices for guiding air into the fan housing; 상기 팬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가 상기 오리피스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된 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And a fan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an housing and configured to expose a plurality of blades for flowing air to the inside of the orific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오리피스는 일정한 곡률로 라운드지게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은 상기 오리피스의 내측 선단으로 돌출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orifice is provided to be rounded with a constant curvature, the front end of the bla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to the inner end of the orific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의 간격과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는 동일하게 구성됨 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n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blades and the length of the blade is configured the sam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풍팬은,The blowing fan, 그 내부에 팬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팬하우징과;A fan housing in which a fan is rotatably provided therein; 상기 팬하우징의 양측에 서로 다른 곡률로 형성되어 상기 팬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한 쌍의 오리피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And a pair of orific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an housing with different curvatures to guide the air flowing into the fan housing.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팬하우징의 양측으로 흡입되는 공기 유동량이 서로 상이할 때, 공기 유동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기 팬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오리피스의 내경이 타측에 구비되는 오리피스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When the amount of air flow intake to both sides of the fan housing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ir conditio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orifi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an housing with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air flow is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rifice provided on the other side group.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상기 한 쌍의 오리피스 중 그 내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일측 오리피스의 곡률이 타측 오리피스의 곡률보다 작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n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ature of one orifice of the pair of orifices whose inner diameter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curvature of the other orifice.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공기의 유동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기 팬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조립체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or assembly for providing a rotational power to the fan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an housing with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air flow.
KR1020090047374A 2009-05-29 2009-05-29 air conditioner KR1015687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374A KR101568706B1 (en) 2009-05-29 2009-05-29 air conditioner
EP10780775.2A EP2436996B1 (en) 2009-05-29 2010-05-26 Ventilating apparatus
US13/322,734 US9200814B2 (en) 2009-05-29 2010-05-26 Ventilating apparatus
PCT/KR2010/003320 WO2010137864A2 (en) 2009-05-29 2010-05-26 Ventil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374A KR101568706B1 (en) 2009-05-29 2009-05-29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772A true KR20100128772A (en) 2010-12-08
KR101568706B1 KR101568706B1 (en) 2015-11-12

Family

ID=4322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374A KR101568706B1 (en) 2009-05-29 2009-05-29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00814B2 (en)
EP (1) EP2436996B1 (en)
KR (1) KR101568706B1 (en)
WO (1) WO2010137864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130008A1 (en) * 2013-01-09 2014-07-10 Thesan S P A AIR EXCHANGE DEVICE FOR BUILDINGS
FR3013426B1 (en) * 2013-11-20 2018-11-09 Atlantic Climatisation Et Ventilation VENTING UNIT WITH TRAP
CN106016680B (en) * 2016-07-18 2021-08-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ir conditioner and air outlet dustproof mechanism of outdoor unit
CN106369787B (en) * 2016-10-25 2019-07-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Wind guiding component and air-conditioner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outdoor unit
KR102570303B1 (en) 2022-04-15 2023-08-25 (주)정민 Stand-type ventilation device with noise reduction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1870A (en) * 1966-12-09 1968-09-17 Torrington Mfg Co Blower assembly
US3830595A (en) * 1972-08-16 1974-08-20 Tappan Co Motor mounting support
JPS52119507A (en) * 1976-03-31 1977-10-07 Shinichi Itayama Reversible fans for plate type ventilation
US4253634A (en) * 1978-09-05 1981-03-03 Emerson Electric Co. Electric motor mounting system
JPS58101297A (en) 1981-12-10 1983-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ouble suction type multiblade fan
US4636673A (en) * 1985-05-24 1987-01-13 A. O. Smith Corporation Flexible mounting system for electric motors
US4759526A (en) * 1986-03-26 1988-07-26 A. O. Smith Corporation Dynamoelectric machine mounting assembly
US4711293A (en) * 1986-08-28 1987-12-08 Kabushiki Kaisha Toshiba Ventilator of the heat exchange type
US5038577A (en) * 1990-02-12 1991-08-13 Inter-City Products Corporation (Usa) Air intake arrangement for air conditioner with dual cross flow blowers
JPH05322254A (en) 1992-05-15 1993-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Heat exchanging and ventilating device
KR0111185Y1 (en) * 1993-11-12 1998-04-06 김광호 Fixing apparatus of motors in airconditioner
CA2349970A1 (en) * 2001-05-31 2002-11-30 Martin Gagnon Ventilation method and device
DE20305801U1 (en) 2003-04-08 2003-07-17 Ltg Ag Ventilation and conditioning unit has feed air duct and outlet air duct which at least along one section to form heat exchanger adjoin each other by means of heat transferring gastight partitioning wall
DE60311073T2 (en) * 2003-05-23 2007-11-08 Kristinsson-Reitsema B.V. aerator
KR100895136B1 (en) 2003-06-25 2009-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ventilation system
US20060052048A1 (en) * 2004-04-27 2006-03-09 Imperial Sheet Metal Ltd. Adaptable modular HVAC assembly
KR100617082B1 (en) * 2005-02-15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Thin-type ventilating device
US20090124188A1 (en) * 2005-03-02 2009-05-14 Levy Hans F Personal distribution terminal
KR20070019194A (en) * 2005-08-11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Ventilator System
US8808076B2 (en) * 2006-11-14 2014-08-19 Building Materials Investment Corporation Impeller exhaust ridge vent
KR100845003B1 (en) 2007-02-27 2008-07-10 (주)테코인 Ventilation system for energy recovery
KR101581825B1 (en) * 2009-05-29 2015-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Ventilat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7864A3 (en) 2011-03-03
US9200814B2 (en) 2015-12-01
EP2436996A2 (en) 2012-04-04
US20120071080A1 (en) 2012-03-22
KR101568706B1 (en) 2015-11-12
WO2010137864A2 (en) 2010-12-02
EP2436996A4 (en) 2013-01-09
EP2436996B1 (en)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870B1 (en) Ventilating apparatus
KR100628058B1 (en) Total heat exchanger and ventil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108105881B (en) Cabinet-type air conditioner
KR20100132867A (en) Heat recovering ventilation apparatus
KR20170094982A (en) Purification type heat exchanger having the part for preventing dew condensation
KR20080059755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100128772A (en) Air conditioner
CN110887121A (en) Fresh air conditioner indoor unit
WO2010097883A1 (en) Simultaneously supplying/discharging ventilation fan and air conditioner
CN114322091A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20040010899A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7442041B2 (en) air purifier
JP4090489B2 (en) Air conditioner
KR20020026725A (en) The air conditioner attached a ventilation device
CN213272899U (en) Air treatment module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N217685439U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17235845U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17235812U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03042470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5314118B2 (en) One-span floor-mounted air conditioner
KR20050078005A (en) Ventilation systems
CN218119963U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04347282A (en) Air conditioner
JP3565276B2 (en) Heat pump type air conditioner
CN216481298U (en) Wall-hanging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