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443A -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 Google Patents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443A
KR20100123443A KR1020090042667A KR20090042667A KR20100123443A KR 20100123443 A KR20100123443 A KR 20100123443A KR 1020090042667 A KR1020090042667 A KR 1020090042667A KR 20090042667 A KR20090042667 A KR 20090042667A KR 20100123443 A KR20100123443 A KR 20100123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bridge
cargo
floating port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경
윤범상
이주성
임환택
이장명
박홍석
유희윤
오훈
김영수
김정남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2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3443A/ko
Publication of KR20100123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항구(floating harbor)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육지로부터 이격하여 해상에 부유하며 일측에 선박이 접안 가능한 플랫폼(platform), 플랫폼의 상측에 설치되며 선박에 화물을 선적하거나 선박에 적재된 화물을 하역하는 크레인, 및 육지로부터 플랫폼의 일측까지 연장 설치되며 다수개의 교각에 의해 지지되는 연결교량을 포함하고, 선박이 항구로 들어오지 않고 해상(海上)에 정박한 상태에서 화물의 하역작업이 가능한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화물 하역 방법이 제공된다.
부유식, 항구, 해상, 선박, 플랫폼, 크레인, 연결교량, 화물, 하역

Description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FLOATING HARBOR AND CARGO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유식 항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이 항구로 들어오지 않고 항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 정박한 상태에서 하역(荷役)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화물 하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는데, 2015년 완공 예정인 파나마 운하의 증설로 13,000 TEU급 초대형 컨테이너 운반선이 출현하고 있으며, 3년 내 200여척의 초대형 컨테이너선들이 운항을 시작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해상운송시장이 초대형 컨테이너선 위주로 재편되고 있다는 점은 2008년 현재 우리나라가 수주한 10,000 TEU 이상급 컨테이너선의 잔량만 170척에 이른다는 사실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에 따라 기존 항만보다 혁신적으로 증가된 항만 생산성으로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항만시설이 미래 항만 경쟁력의 결정적 요인이 될 전망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부산항은 이미 동북아시아 환적 컨테이너 물동량 중 상당 부분을 점유하고 있어 점유율을 더 높이기는 어려우며, 전체 환적 물동량은 중국 항만들의 확장 추세로 인해 정체된 구조적 어려움에 처해 있다.
또한, 최근 중국을 중심으로 서해권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한중일 3국 중 물동량이 가장 작으며, 우리나라가 동북아 물류의 중심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인근 싱가폴, 상해, 홍콩항 대비 독보적 경쟁력을 갖춘 서해권의 거점 항만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문제는 기존 컨테이너 부두의 수심이 얕고, 크레인 등 하역용량의 제한으로 인해 대형 컨테이너선의 수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으로, 우리나라가 동북아 해상 물류의 중심 역할을 감당하려면 대형 컨테이너선의 접안이 가능한 또 다른 항만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심한 조수간만의 차이, 얕은 수심 등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접근이 어려운 서해의 열악한 여건을 극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심이 깊은 해상에서 하역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화물 하역 방법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육지로부터 이격하여 해상에 부유하며 일측에 선박이 접안 가능한 플랫폼(platform), 플랫폼의 상측에 설치되며 선박에 화물을 선적하거나 선박에 적재된 화물을 하역하는 크레인, 및 육지로부터 플랫폼의 일측까지 연장 설치되며 다수개의 교각에 의해 지지되는 연결교량을 포함하는 부유식 항구가 제공된다.
여기서, 연결교량과 플랫폼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의 회전과 승강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한 가동교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가동교는, 연결교량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플랫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끝단에서 신축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일측에 설치되는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 가능한 연결부와, 연결부의 끝단과 플랫폼의 일측을 연결하되 수평 회전 가능한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의 하부에는 롤링(rolling)과 피칭(pitching) 억제를 위해, 승강 가능한 무게추가 설치되고, 추진체에 의해 자가이동 가능하며, 계류수단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계류 및 해제 가능하다.
아울러, 연결교량을 통해 화물트럭이 화물을 운송하거나, 플랫폼과 연결교량에는 서로 연결되도록 레일이 각각 설치되고, 레일을 따라 궤도차량이 화물을 운송할 수 있고, 플랫폼의 일측에 접안 가능한 소형선박에 의해 화물이 운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화물 하역 방법은 전술한 부유식 항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해상의 소정 위치까지 다수개의 교각에 의해 지지되는 연결교량을 설치하는 단계, 연결교량의 끝단으로 플랫폼이 이동하여 계류되는 단계, 플랫폼의 일측에 선박이 접안하는 단계, 선박에 화물을 선적하거나 선박에 적재된 화물을 하역하는 단계, 플랫폼과 육지를 왕복하는 운송수단이 화물을 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플랫폼이 이동하여 계류되는 단계 이후에, 플랫폼과 연결교량 사이에 회전과 승강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가동교가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항만 증설에 필요한 육상 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5,000 TEU급 거대 선박에 필요한 육상 항구의 지형적 제약을 급복할 수 있고, 특히 수심이 얕아 큰 항구를 건설할 수 없는 해역에서도 적용 가능하여, 항만 운영의 효율성과 항만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컨테이너 트럭 등의 육상운송수단과 바지선 등 해상운송수단을 동시에 활용하여 복합적인 화물의 운송이 가능하므로 컨테이너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화물 하역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항구의 평면 개략도, 도 2는 도 1 의 측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지지부가 설치된 가동교를 도시한 평면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측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동교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게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연결교량에 궤도레일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 개략도이다.
여기서, 하역(荷役)이라 함은 선박에 짐을 싣거나 내리는 일을 가리키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의 하역작업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굳이 컨테이너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테이너 외에 다른 화물을 수송하는 선박에도 적용가능함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부유식 항구(10)는, 육지(1)로부터 이격하여 해상(2)에 부유(浮遊)하는 플랫폼(platform)(100)과, 플랫폼(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크레인(200)과, 육지(1)와 플랫폼(10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교량(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플랫폼(100)은, 바다 위에 떠 있는 구조물을 가리키는 것으로, 컨테이너선(3)이 양쪽 측면에 접안하여 동시에 하역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와 폭을 가지고,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그 길이와 폭 등의 규격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플랫폼(100)의 롤링(rolling)과 피칭(pitching)을 억제하기 위해, 플랫폼(100)의 하부에는 무게추(11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100)의 중앙 하부에는 무게추(11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1)이 구비되어, 플랫폼(100)의 이동시에는 이 수용공간(111)에 무게추(110)가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하고, 하역작업시에는 무게추(110)가 하강하여 플랫폼(100)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낮게 설정하게 되며, 이때 무게추(110)의 승강은 유압실린더 등의 구동장치(11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플랫폼(100)은 터그 보트(tug boat)에 의해 예인되는 것도 가능하나, 플랫폼(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추진체에 의해 스스로 이동할 수도 있고, 도 2와 도 4에는 이러한 추진체의 일 예로서 플랫폼(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엔진(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플랫폼(10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선박프로펠러(120)가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플랫폼(100)이 해상에 부유하는 상태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므로, 특히 항만의 수심이 얕아서 항만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외해(外海) 상에 정박하여야 하는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하역작업을 위해, 항만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의 소정 위치에 이동 설치될 수 있으므로, 항만의 물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하역작업은 플랫폼(100)의 상측에 다수 설치되는 크레인(2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역작업 중 플랫폼(1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플랫폼(100)은 작업위치에 계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플랫폼(100)에는 계류수단이 구비되는데, 예를 들어 여러 개의 닻(anchor)을 이용하여 앵커링(anchoring)하거나, 케이블(130)을 다수 연결하여 해저면(2a)에 고정하거나, ICMS(Integrated Control & Monitoring System) 등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인지하고 그 위치에 머무를 수 있게끔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잭업(jack-up)방식으로 계류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플랫폼(100)의 저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류부재(미도시)가 유압에 의해 해저면까지 늘어나서 해저면에 착저된다.
한편, 별도의 플랫폼(100)을 제작하는 대신에, 크레인이 설치된 바지선(crane barge)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100)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바지선에는 컨테이너 등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플랫폼(100) 상에 적재된 컨테이너(4)를 플랫폼(100)에 접안된 컨테이너선(3)에 선적하거나, 컨테이너선(3)에 적재된 컨테이너(4)를 플랫폼(100) 상에 하역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컨테이너(4)들은 운송수단에 의해 육지로부터 플랫폼(100)으로 운송되어 오거나 플랫폼(100)으로부터 육지로 운송된다.
여기서, 다수의 바지선(barge)(7) 등 해상운송수단에 컨테이너(4)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것도 가능하나, 운송비용과 시간 등의 효율적 측면에서는 육상운송수 단을 함께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해상에 위치하는 플랫폼(100)과 육지를 연결하는 연결교량(300)을 필요로 하는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교각(310)에 의해 지지되는 연결교량(3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연결교량(300)을 지지하는 교각(310)의 높이와 설치 간격은, 교각(310)들 사이로 통행하게 될 선박들의 규모를 고려하여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교량(300)의 폭과 길이 등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트럭(5) 등의 육상교통수단이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연결교량(300)은 적어도 2개 차선이 설치될 정도의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플랫폼(100)과 육지 사이에 2개의 연결교량(300)이 나란히 설치되어, 하나의 연결교량(300)을 통해서는 컨테이너(4)가 플랫폼(100)으로 운송되어 들어오고 다른 하나의 연결교량(300)을 통해서는 컨테이너(4)가 육지로 운송되어 나가게끔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교량(300)에 별도로 궤도레일(301)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궤도레일(301)을 통해 궤도차량(6)이 운행하면서 컨테이너(4)를 운송할 수 있다. 이때도 물론, 하나의 연결교량(300)에 다수의 궤도레일(301)이 형성될 수도 있고, 1개의 궤도레일(301)을 갖는 다수의 연결교량(300)이 나란히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주변환경의 제약에 따라 교각(310) 설치가 곤란하여 연결교량(300)을 플랫폼(100)까지 연결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연결교량(300)의 높이는 일정하게 고정되는 반면에, 해상에 떠 있는 플랫폼(100)은 조수간만의 차이에 따라 해수면의 높이가 변화하므로, 연결교량(300)과 플랫폼(100) 사이에 높이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교량(300)과 플랫폼(100) 사이를 별도의 브릿지(bridge)로 연결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연결교량(300)과 플랫폼(100)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의 회전과 승강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한 가동교(400)가 제공된다.
이 가동교(400)는 공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관절 링크(multi link) 구조의 보딩 브릿지(boarding bridge)와 유사한 형태로서, 연결교량(30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플랫폼(100)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410)와, 지지부(410)의 끝단에서 신축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끝단이 승강 가능한 연결부(420)와, 연결부(420)의 끝단과 플랫폼(100)의 일측을 연결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한 회전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410)는 해저면에 고정된 지주(411)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결부(420)는 폭이 서로 다른 다수의 단위연결체(420a)가 슬라이드 결합에 의해 형성되어, 하나의 단위연결체(420a)가 연결부(420) 일측에 설치된 유압실린더(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다른 하나의 단위연결체(420a)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여 나오면 연결부(42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고, 반대로 하나의 단위연결 체(420a)가 다른 하나의 단위연결체(420a)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들어가면 연결부(420)의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부(420)의 일측에는 승강장치가 결합되어, 이 승강장치의 작동에 의해 연결부(420)의 끝단이 승강할 수 있는데,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20)의 끝단에 케이블(421)을 연결하고 이 케이블(421)을 연결교량(300)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케이블지지부(421a)의 견인모터(미도시)에 연결하여, 케이블(421)을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연결부(420)의 끝단을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부(42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에는 연결부(420) 끝단의 양측에 승강리프트(422)를 결합하여, 이 승강리프트(422)의 작동에 의해 연결부(420)의 끝단이 승강하게끔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때 승강리프트(422)는 해저면(2a)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승강리프트(422)의 하단에는 이동바퀴(422a)가 구비되어, 연결부(420)의 신축에 따라 해저면(2a) 위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는 연결부(420) 하부의 해저면(2a)을 미리 평탄하게 포장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420)와 플랫폼(100) 사이는 회전부(430)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 회전부(430)는 연결부(420)의 끝단과 결합하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수평회전이 가능한 원형프레임(431)과, 원형프레임(431)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끝단이 플랫폼(100)의 상측에 걸쳐지는 연결프레임(4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교량(300)과 플랫폼(100) 사이에 높이차가 발생하는 경우, 연결 부(420)가 신축되면서 연결교량(300)과 플랫폼(100) 사이의 간격을 흡수하고 이후 승강장치에 의해 연결부(420)의 끝단이 승강하면서 높이차를 메우게 되며, 회전부(430)가 회전하여 플랫폼(100)의 적절한 위치에 연결프레임(432)을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동교(400)에도 전술한 연결교량(300)과 마찬가지로 도로 및/또는 궤도레일(301)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항구(10)를 이용하는 경우, 선박 화물의 하역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해상(2)의 소정 위치, 예를 들어 외해 상의 어느 한 지점까지 다수개의 교각(310)에 의해 지지되는 연결교량(300)을 설치한다.
이후, 연결교량(300)의 끝단에 가동교(400)를 설치한다.
가동교(400)의 일측으로 플랫폼(100)이 이동한 후, 그 지점에 앵커링 등의 방법에 의해 계류되며, 가동교(400)의 연결프레임(432)은 플랫폼(100)의 상측으로 연결된다.
플랫폼(100)의 일측으로 컨테이너선(3)이 접안하면, 플랫폼(100)의 상측에 설치된 다수의 크레인(200)에 의해 하역작업이 시작되며, 하역되는 컨테이너(4)들은 컨테이너트럭(5), 궤도차량(6) 또는 바지선(7) 등 플랫폼(100)과 육지(1)를 왕복하는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된다.
이후, 하역작업이 완료된 컨테이너선(3)은 플랫폼(100)을 떠나게 되며, 필요 한 경우에는 플랫폼(100)을 또 다른 연결교량(300)이 설치된 지점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다시 하역작업을 되풀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항구의 평면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측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지지부가 설치된 가동교를 도시한 평면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측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동교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게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연결교량에 궤도레일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육지 2 : 해상
2a : 해저면 3 : 컨테이너선
4 : 컨테이너 5 : 컨테이너트럭
6 : 궤도차량 7 : 바지선
10 : 부유식 항구 100 : 플랫폼
110 : 무게추 120 : 선박프로펠러
200 : 크레인 300 : 연결교량
301 : 궤도레일 310 : 교각
400 : 가동교 410 : 지지부
420 : 연결부 430 : 회전부

Claims (11)

  1. 육지로부터 이격하여 해상에 부유하며, 일측에 선박이 접안 가능한 플랫폼(platform);
    상기 플랫폼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선박에 화물을 선적하거나 상기 선박에 적재된 화물을 하역하는 크레인; 및
    육지로부터 상기 플랫폼의 일측까지 연장 설치되며, 다수개의 교각에 의해 지지되는 연결교량;을 포함하는 부유식 항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교량과 상기 플랫폼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의 회전과 승강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한 가동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항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동교는,
    상기 연결교량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플랫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서 신축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일측에 설치되는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 가능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과 상기 플랫폼의 일측을 연결하되 수평 회전 가능한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항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하부에는 롤링(rolling)과 피칭(pitching) 억제를 위해, 승강 가능한 무게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항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하부에 설치되는 추진체에 의해 자가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항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계류수단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계류 및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항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교량을 통해 화물트럭이 상기 화물을 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항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과 상기 연결교량에는 서로 연결되도록 레일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궤도차량이 상기 화물을 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항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일측에 접안 가능한 소형선박에 의해 상기 화물이 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항구.
  10. 해상의 소정 위치까지 다수개의 교각에 의해 지지되는 연결교량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결교량의 끝단으로 플랫폼이 이동하여 계류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의 일측에 선박이 접안하는 단계;
    상기 선박에 화물을 선적하거나 상기 선박에 적재된 화물을 하역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과 육지를 왕복하는 운송수단이 상기 화물을 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플랫폼이 이동하여 계류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플랫폼과 상기 연결교량 사이에 회전과 승강 및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가동교가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KR1020090042667A 2009-05-15 2009-05-15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KR20100123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667A KR20100123443A (ko) 2009-05-15 2009-05-15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667A KR20100123443A (ko) 2009-05-15 2009-05-15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443A true KR20100123443A (ko) 2010-11-24

Family

ID=4340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667A KR20100123443A (ko) 2009-05-15 2009-05-15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34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843B1 (ko) * 2012-01-12 2014-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합형 안벽구조물
CN106185377A (zh) * 2016-08-23 2016-12-07 湖北林龙机电设备有限公司 两级浮动式港口运输机
US20170253305A1 (en) * 2014-09-17 2017-09-07 University Of Ulsan Foundation For Industry Cooperation Floating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843B1 (ko) * 2012-01-12 2014-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합형 안벽구조물
US20170253305A1 (en) * 2014-09-17 2017-09-07 University Of Ulsan Foundation For Industry Cooperation Floating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US10144491B2 (en) * 2014-09-17 2018-12-04 University Of Ulsan Foundation For Industry Cooperation Floating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CN106185377A (zh) * 2016-08-23 2016-12-07 湖北林龙机电设备有限公司 两级浮动式港口运输机
CN106185377B (zh) * 2016-08-23 2018-03-13 湖北林龙机电设备有限公司 两级浮动式港口运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52246B (zh) 对用于运输、移除、装配、容置和转移资产的移动式停驻设备再配置的***和方法
US6802684B2 (en) Container tranfer terminal system and method
WO2016009572A1 (ja) 洋上構造物の施工方法、及び、洋上構造物
WO2009102107A1 (en) Mobile harbor for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US20030140837A1 (en) Transporting a ship over shallows of a watercoruse
KR101112156B1 (ko)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CN101941510A (zh) 一种提高集装箱(或散杂货)船舶装卸效率的方法及设备
KR20100123438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화물 하역 방법
KR20030087995A (ko) 양현하역용 하역장치
KR20100123443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CN202642027U (zh) 一种浮式舾装装置
CN104420453A (zh) 一种自升式钻井平台悬臂梁整体合拢方法
KR10106866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101118675B1 (ko) 선박화물 하역설비
US6863484B2 (en) Catamaran transfer vessel
KR20110079443A (ko)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KR20100123452A (ko) 조립식 항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역 시스템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US6334401B1 (en) Floating structure for the transfer of cargo
KR101167908B1 (ko) 선체간 연결 슬라이더 및 이를 장착한 부유체
KR101118677B1 (ko) 이동식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 시스템, 및 이동식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방법
JPS59318Y2 (ja) 貨物船
KR10111369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CN220054099U (zh) 一种包含下水工作船的下水***
KR101166717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하는 이동항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