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379A - Character input-output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Character input-output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2379A
KR20100122379A KR1020090041387A KR20090041387A KR20100122379A KR 20100122379 A KR20100122379 A KR 20100122379A KR 1020090041387 A KR1020090041387 A KR 1020090041387A KR 20090041387 A KR20090041387 A KR 20090041387A KR 20100122379 A KR20100122379 A KR 20100122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vowel
consonant
touch points
represent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46660B1 (en
Inventor
조현중
김현수
박홍진
서우영
오한울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1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660B1/en
Publication of KR20100122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3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6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character input/output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for using single-touch, multi-touch, double-touch and sliding are provided to select a character through the single-touch, multi-touch, double-touch and sliding and minimize the number of character input. CONSTITUTION: A user interface unit(100) includes a plurality of consonant selection fields and vowel selection fields and receives a signal by the touch of a user. A controller(200) selects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inputted in the consonant selection fields. The controller selects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inputted in the vowel selection fields. 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inputted in the consonant selection fields is one, the controller selects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is more than two, the controller selects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Description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Character input-output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Character input-output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자 입력 시 문자 입력이 용이하고 문자 입력 횟수를 줄일 수 있는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 output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acter input / output device and a method for easily inputting a character and reducing the number of character inputs during character input.

최근 유선통신 서비스의 기술 확대와 더불어 개인 무선 통신 서비스에 대한 비약적인 기술적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가입자 수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기본적인 통신 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이 활발하게 서비스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expansion of technology of wired communication service, a breakthrough technological development for personal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has been made, and as the number of subscribers using it is greatly increase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in addition to the basic communication service are actively provided.

이러한 부가 서비스 중에서 이동 단말기에 구성된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문자를 입력한 후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메일, 채팅 등의 서비스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음성 통화 기능, 메시지 기능뿐만 아니라 일별, 주별 또는 월별 스케줄 정보 및 연락처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전자수첩 기능 등으로 점차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다.Among these additional services, services such as short message service (SMS), mail, and chat, which input and transmit text through a button or a touch screen configured in a mobile terminal, occupy the largest portion, and recently, voice calls Functions and messages, as well as an electronic notebook function that stores daily, weekly or monthly schedule inform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etc. are increasingly diversified.

이러한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들은 이동 단말기에 장 착된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문자 버튼을 눌러 한글, 영문, 특수문자 등을 선택하고 선택된 문자가 표시되면 이를 확인하면서 해당 부가 기능을 이용한다. In order to use thes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the user presses a button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or a character butt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o select Korean, English, special characters, etc. and checks the selected character when the selected character is displayed and uses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function.

이동 단말기 등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문자 입출력 방식으로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버튼(1, 2, 3, 4, 5, 6, 7, 8, 9, 0, *, #에 할당된 문자 기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버튼에 해당하는 문자를 표시하는 방식 또는 이동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문자 버튼 중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식 등이 있다.As a typical character input / output method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a user among buttons (1, 2, 3, 4, 5, 6, 7, 8, 9, 0, *, # assigned to a user)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a method of displaying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button selected by the method or a method of displaying a character touched by the user among the character button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문자 입출력 방식은,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때 버튼을 눌러야 하는 횟수가 많으며, 이에 따라 문자 입력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비될 뿐만 아니라 문자 입력에 따른 동선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character input / output method has a large number of times when a user needs to press a button when inputting a desired character, thereby not only consumes a lot of time due to inputting a character but also has a problem of lengthening a moving line according to inputting a character.

또한 한글 표시 시 터치스크린에 한글 자모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버튼 표시하기 때문에 문자 표시 공간이 좁은 문제점이 있고, 한글 입력 시 이동 단말기 상의 문자 입력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복수 개의 버튼에 각각 할당된 자음, 쌍자음, 모음 등을 일일이 찾아가면서 입력해야 함에 따른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haracter display space is narrow because a plurality of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Hangul alphabet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en displaying Hangul, and a user who is unfamiliar with inputting characters on a mobile terminal when entering Hangul is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uttons, There is an uncomfortable problem of having to input two consonants, vowels, and so on.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된 문자를 단일 터치, 멀티 터치, 더블 터치, 슬라이딩을 통해 선택하고, 선택된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문자의 입력 횟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such a problem is to select the displayed character through single touch, multi-touch, double touch, sliding, and to display the selected character to minimize the number of characters input and improve the character input speed Provided ar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a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되는 문자 버튼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문자 표시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문자 버튼의 크기를 최대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문자의 선택 시 문자 터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number of displayed character buttons, it is easy to ensure the space for the character displa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ize of the character button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character touch when selecting characte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a method thereof.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방법은 복수 개의 자음 선택 영역과 하나의 모음 선택 영역을 표시하고, 복수 개의 자음 선택 영역 각각에 입력되는 터치된 터치 점의 개수를 판단하여 터치 점의 개수에 대응하는 자음을 선택하고, 하나의 모음 선택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 점의 개수를 판단하여 터치 점의 개수에 대응하는 모음을 선택하고, 선택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출력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echnica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plurality of consonant selection regions and a vowel selection region,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touch points that are inpu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 selection regions.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s selected, a number of touch points input to one vowel selection area is determined,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is selected, and a combination of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is output.

자음을 선택하는 것은, 복수 개의 자음 선택 영역 각각에 입력된 터치 점의 개수가 하나이면 대표 자음을 선택하고, 터치 점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이면 대표 자음의 격음 또는 경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To select a consonant,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is selected when the number of touch points inpu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 selection areas is one, and when the number of touch points is two or more, one of the vowels or the sound of the representative consonants is selected.

모음을 선택하는 것은, 터치 점의 개수가 하나이면 'l' 또는 '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터치 점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이면 나머지 하나를 선택한다.To select a vowel, 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is one, select one of 'l' or '-' and 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is two or more, select the other one.

모음을 선택하는 것은, 터치 점의 개수가 하나인 상태에서 터치 점이 슬라이딩되면 터치점이 슬라이딩된 방향에 대응하는 초출자를 선택한다.In selecting the vowel, when the touch point is slid in a state where the number of touch points is one, selecting the vowel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uch point is slid.

모음을 선택하는 것은, 터치 점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인 상태에서 터치 점이 슬라이딩되면 터치점이 슬라이딩된 방향에 대응하는 재출자를 선택한다.Selecting a vowel selects a re-investor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uch point slides when the touch point is slid in a state where the number of touch points is two or more.

자음이 선택되어 초성글자가 출력되면 하나의 자음 선택 영역에 대표 모음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When the consonants are selected and the initial letter is outpu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representative vowel in one consonant selection area.

모음을 선택하는 것은, 대표 모음을 터치한 터치 점의 개수가 하나이면 초출자를 선택하고, 대표 모음을 터치한 터치 점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이면 재출자를 선택한다.Selecting a vowel selects a beginner 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uching the representative vowel is one, and selects a re-subscriber 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uching the representative vowel is two or more.

대표 모음은 'ㅐ' 와 'ㅔ' 를 포함하고, 'ㅐ' 와 'ㅔ'는 모음 선택 영역의 사선 방향의 영역에 표시된다.The representative vowel includes 'ㅐ' and 'ㅔ', and the 'ㅐ' and 'ㅔ' are displayed in the diagonal area of the vowel selection area.

모음을 선택하는 것은, 모음 선택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사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사선 방향에 대응하는 'ㅐ' 와 'ㅔ'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선택한다. To select the vowel, the vowel selection area is slid continuously in the diagonal direction to select any one of the 'ㅐ' and 'ㅔ' corresponding to the diagonal direc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인 수단은 복수 개의 자음 선택 영역과 하나의 모음 선택 영역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복수 개의 자음 선택 영역 각각에 입력되는 터치 점의 개수에 대응하는 자음을 선택하고, 하나의 모음 선택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 점의 개수에 대응하는 모음을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user interface having a plurality of consonant selection area and one vowel selection area, the user inputs a signal through a user's touch;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inpu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 selection areas and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input to one vowel selection area.

제어부는, 복수 개의 자음 선택 영역 각각에 입력된 터치 점의 개수가 하나이면 대표 자음을 선택하고, 터치 점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이면 대표 자음의 격음 또는 경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inpu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 selection areas is one, the controller selects a representative consonant. 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is two or more, the controller selects any one of the consonant or the hard sound of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제어부는, 터치 점이 연속으로 입력되는 더블 터치이면 대표 자음의 격음 또는 경음 중 다른 하나를 선택한다.If the touch point is a double touch in which the touch points are continuously input, the controller selects another one of the sound of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or the sound of the sound.

복수개의 자음 선택 영역의 각각 위치 및 하나의 모음 선택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configured to store respectiv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 selection regions and position information of one vowel selection region.

제어부는, 모음 선택 영역에 입력된 터치 점의 개수가 하나이면 'ㅣ' 또는 '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터치 점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이면 나머지 하나를 선택한다.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input to the vowel selection area is one, the controller selects one of 'ㅣ' or '-' and selects the other one 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is two or more.

제어부는, 하나의 모음 선택 영역에 입력된 터치 점이 슬라이딩되면, 슬라이딩된 방향에 대응하는 모음을 선택한다. The controller selects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direction when the touch point input to one vowel selection area slides.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과 같은 문자 입출력 장치에 표시된 문자를 단일 터치, 멀티 터치, 더블 터치 및 슬라이딩을 통해 선택하고 선택된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문자 입력 시 터치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문자 입력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haracter displayed on a character input / output device such as a touch screen is selected through single touch, multi-touch, double touch, and sliding, and the selected character is displayed to minimize the number of touches when the character is input. You can speed it up.

또한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문자 버튼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문자 표시 공간의 확보가 효율적이고, 이에 따라 문자 버튼의 크기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문자가 표시된 버튼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멀티 터치 시에도 문자 터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text button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can be reduced, which effectively secures a space for displaying text, thereby maximizing the size of the text buttons. The accuracy of the touch can be increased.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출력 장치의 구성도로서, 문자 입출력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I: User Interface, 100), 제어부(200), 저장 부(300)를 포함한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racter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haracter input / output device includes a user interface (UI) 100, a control unit 200, and a storage unit 3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I: User Interface, 10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는 입력부(110)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문자를 출력하는 표시부(120)를 포함한다. The user interface (UI) 100 includes an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a character from a user and a display unit 120 for outputting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put.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문자나 아이콘의 위치에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과 같은 접촉체가 접촉되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 그 기능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의 입력부(110)는 터치 패널이고 표시부(120)는 액정 패널이다.The user interface unit 100, when a contact such as a user's finger or pen contacts the position of a character or icon, detects the position, performs the corresponding function, and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and operation result of the function. Screen), the input unit 110 of the user interface unit 100 is a touch panel and the display unit 120 is a liquid crystal panel.

입력부(110)인 터치 패널은 하부에 위치한 액정 패널의 영상(문자나 아이콘)이 투과되어 표시되고, 터치 패널은 액정 패널에 표시된 문자나 아이콘과 대응하는 위치에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과 같은 접촉체가 접촉되면 접촉체가 접촉된 터치점의 위치 및 개수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입력부(110)인 터치 패널은 동시에 복수 터치된 복수 터치점의 위치를 판단하는 멀티 터치 패널이다. 즉, 입력부(110)인 터치 패널에서는 접촉체에 의한 단일 터치, 멀티 터치, 더블 터치, 슬라이딩 이벤트가 발생하고, 단일 터치, 멀티 터치, 더블 터치 이벤트 발생 시 터치점의 위치를 판단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하고, 슬라이딩 이벤트 발생 시 슬라이딩의 방향을 판단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한다.The touch panel, which is the input unit 110, displays an image (character or icon) of a liquid crystal panel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touch panel has a contact such as a user's finger or a pe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or icon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When the contact is made, the contact point detects the position and number of touch points and transmits the detected result to the controller 200. The touch panel, which is the input unit 110, is a multi-touch panel that determines th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touch points touched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touch panel, which is the input unit 110, generates a single touch, a multi touch, a double touch, a sliding event by a contact, and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when the single touch, multi touch, or double touch event occurs. ) And determines the sliding direction when the sliding event occurs and transmits the sliding direction to the controller 200.

여기서 단일 터치 이벤트는 하나의 접촉체에 의해 터치패널이 한번 터치되는 것이고, 멀티 터치 이벤트는 적어도 두 개의 접촉체에 의해 터치 패널이 한번 터치 되는 것이며, 더블 터치 이벤트는 하나의 접촉체에 의해 터치 패널이 연속적으로 두 번 터치되는 것이, 슬라이딩 이벤트는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접촉체가 의해 터치 패널에서 상하좌우 및 사선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single touch event means that the touch panel is touched once by one contact, the multi-touch event means that the touch panel is touched once by at least two contacts, and the double touch event is touched by one contact. This two consecutive touches is a sliding event in which one or at least two contacts are slid by the touch panel in any one of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표시부(120)인 액정 패널은 제어부(200)의 지시에 대응하는 문자나 이모티콘 등의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120)는 문자 입력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영역(121)과 확인 영역(122)을 표시한다. 여기서 선택 영역(121)은 자음 선택 영역 및 모음 선택 영역(A)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확인 영역(122)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자를 사용자에게 확인시켜주기 위해 해당 문자를 표시하는 영역이다.The liquid crystal panel that is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an image such as a character or an emoticon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controller 200. When the character is input,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the selection area 121 and the confirmation area 122 as shown in FIG. 2. Here, the selection area 121 is an area for displaying the consonant selection area and the vowel selection area A, and the confirmation area 122 is an area for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letter in order to confirm the character selected by the user.

여기서 선택 영역(121)의 자음 선택 영역과 모음 선택 영역(A)은 9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8개의 영역은 자음 선택 영역이고, 하나의 영역은 모음 선택 영역(A)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부(120)의 선택 영역(121) 중 8개의 자음 선택 영역은 자음의 기본자('ㄱ', 'ㄴ', 'ㅁ', 'ㅅ', 'ㅇ')와, 자음 중 평음('ㄱ', 'ㄷ', 'ㅂ', 'ㅅ', 'ㅈ')이 하나씩 할당되어 표시된다. 즉, 선택 영역(121)의 자음 선택 영역은 'ㄱ', 'ㄴ', 'ㅁ', 'ㅅ', 'ㅇ', 'ㄷ', 'ㅂ', 'ㅈ'등의 대표 자음이 하나씩 할당되어 표시되고, 하나의 모음 선택 영역(A)은 공백으로 표시된다. Here, the consonant selection area and the vowel selection area A of the selection area 121 are composed of nine areas, where eight areas are consonant selection areas and one area is the vowel selection area A. In more detail, the eight consonant selection areas of the selection area 121 of the display unit 120 may include the basic consonants of the consonants ('ㄱ', 'ㄴ', 'ㅁ', 'ㅅ', and 'ㅇ'). , Consonants ('a', 'ㄷ', 'ㅂ', 'ㅅ', 'ㅈ') are assigned and displayed one by one. That is, the consonant selection area of the selection area 121 is assigned one representative consonant such as 'ㄱ', 'ㄴ', 'ㅁ', 'ㅅ', 'ㅇ', 'ㄷ', 'ㅂ', 'ㅈ' and the like. And one vowel selection area A is displayed blank.

제어부(200)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0)의 입력부(110)를 통해 터치점의 위치가 전송되면 터치점의 위치에 따른 터치점의 개수를 판단하여 단일 터치, 멀티 터치, 더블 터치인지 판단하고, 입력부(110)를 통해 전송된 터치점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변화되었는지 판단하고 터치점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변화된 경우 터치점이 위치가 어느 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변화되었는지 판단하여 터치점의 슬라이딩 방향을 판단한다. When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put unit 110 of the user interface unit 100,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the number of touch point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and determines whether the touch point is single touch, multi touch, or double touch.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transmitted through the input unit 110 is continuously changed,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is continuously changed, it is determined in which direction the touch point is continuously changed to determine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touch point. .

그리고 제어부(200)는 자음 선택 시 터치 이벤트의 발생 위치에 대응하는 대표 자음을 판단하고, 터치 이벤트의 발생 위치에 따라 터치 이벤트가 단일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 판단하며 터치 이벤트의 발생 시간에 따라 단일 터치인지 더블 터치인지 판단하여 터치 이벤트의 판단 결과에 따라 대표 자음과 연계된 문자가 표시부(120)의 확인 영역(122)에 표시되도록 한다.When the consonant is selected,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a representative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generation location of the touch event, determines whether the touch event is a single touch or a multi-touch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ouch event, and determines a single touch according to the generation time of the touch event. 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ouble touch, so that the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is displayed on the confirmation area 122 of th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touch event.

그리고 제어부(200)는 모음 선택 영역(A)의 터치에 따른 모음 선택 시 터치 이벤트가 단일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 판단하여 'ㅣ' 또는 'ㅡ'인지 판단하고, 터치점의 위치에 따라 단일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 판단하고 이에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슬라이딩 방향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문자('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중 어느 하나의 문자)를 표시부(120)의 확인영역(122)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ㅣ' 또는 'ㅡ' 중 어느 하나가 단일 터치 시 선택되는 문자로 설정된 경우 다른 하나는 멀티 터치 시 선택되는 문자로 설정되며, 이는 프로그래밍에 따라 달라진다.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touch event is a single touch or a multi touch when selecting a vowel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vowel selection area A, and determines whether the touch event is 'ㅣ' or 'ㅡ' and whether the touch event is a single touch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It determines whether it is multi-touch and determines the sliding direction that occurs continuously, and the letters ('ㅏ', 'ㅑ', 'ㅓ', 'ㅕ', 'ㅗ', 'ㅛ', 'TT', One character of 'ㅠ') is displayed on the confirmation area 122 of the display unit 120. At this time, if any one of 'ㅣ' or 'ㅡ' is set as a character selected during a single touch, the other is set as a character selected during multi-touch, which is dependent on programming.

저장부(300)는 자음 선택 영역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자음 선택 영역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대표 자음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자음 선택 영역의 위치 정보와 연계된 단일 터치, 멀티 터치, 더블 터치에 대응하는 평음, 격음, 경음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모음 선택 영역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모음 선택 시 단일 터치, 멀티 터치, 슬라이딩 방향에 대응하는 모음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The storage unit 300 sto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sonant selection area, stores information of a representativ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sonant selection area, and includes a single touch, multi-touch, The information of the flat sound, the sound, and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double touch is store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owel selection area is stored, and the information of the vowel corresponding to the single touch, multi-touch, and sliding direction is stored when the vowel is selected.

도 3 내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의 예시도이다.3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우선, 사용자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문자 입력 장치의 표시부(120)는 선택 영역(121)과 확인 영역(122)이 구별되어 표시된다. 이때 표시부(120)의 선택 영역(121)은 8개로 이루어지는 자음 선택 영역과, 하나로 이루어지는 모음 선택 영역(A)이 구별되어 표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부(120)의 선택 영역(121) 중 8개의 자음 선택 영역은 대표 자음인 'ㄱ', 'ㄴ', 'ㅁ', 'ㅅ', 'ㅇ', 'ㄷ', 'ㅂ', 'ㅈ'이 각 영역에 할당되어 표시되고, 모음 선택 영역(A)은 공백으로 표시된다. 이때 'ㄱ', 'ㄴ', 'ㅁ', 'ㅅ', 'ㅇ'은 기본자라고 하고, 'ㄱ', 'ㄷ', 'ㅂ', 'ㅅ', 'ㅈ'은 평음이라고 한다.First, when a user wants to input a character using a user's finger, the display unit 120 of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displays the selection area 121 and the confirmation area 122 separately. In this case, the selection area 121 of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eight consonant selection areas and one vowel selection area A separately. In more detail, eight consonant selection areas of the selection area 121 of the display unit 120 are representative consonants 'ㄱ', 'ㄴ', 'ㅁ', 'ㅅ', 'ㅇ', and 'ㄷ' , 'ㅂ' and 'ㅈ' are assigned to each area, and the vowel selection area A is displayed as a blank. At this time, 'ㄱ', 'ㄴ', 'ㅁ', 'ㅅ', 'ㅇ' are called basic characters, and 'ㄱ', 'c', 'ㅂ', 'ㅅ' and 'ㅈ' are called pyeongum.

자음 선택 시 단일 터치를 수행하면 대표 자음이 선택되고, 멀티 터치를 수행하면 대표 자음에 대응하는 격음이 선택되고, 더블 터치를 수행하면 대표 자음에 대응하는 경음이 선택된다.When a consonant is selected, a representative consonant is selected when a single touch is performed, when a multi-touch is performed,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is selected, and when a double touch is performed,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is selected.

평음Flat 격음Sound 경음Horn A Lol C S -- H

좀 더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 선택 영역의 'ㄱ' 영역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를 수행하면 확인 영역(122)에는 대 표 자음인 'ㄱ'이 표시되고, 자음 선택 영역의 'ㄱ' 영역을 사용자가 두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멀티 터치를 수행하면 확인 영역(122)에는 'ㄱ'의 격음인 'ㅋ'이 표시되며, 자음 선택 영역의 'ㄱ' 영역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더블 터치를 수행하면 확인 영역(122)에는 'ㄱ'의 경음인 'ㄲ'이 표시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performs a single touch on the 'a' area of the consonant selection area using one finger, the confirmation area 122 is displayed with 'a' as a representative consonant. When the user performs multi-touch with two fingers on the 'ac' area of the consonant selection area, the confirmation area 122 displays 'ㅋ', a 'bee' sound, and 'a' area of the consonant selection area. When the user performs a double touch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using one finger, the confirmation region 122 displays '경', which is an alarm of 'ㄱ'.

이와 같이 대표 자음 중 평음인 'ㄷ', 'ㅂ', 'ㅅ', 'ㅈ'의 격음 및 경음을 선택하는 것도 'ㄱ'의 격음 및 경음을 선택하는 것과 동일하다. In this way, selecting the consonants of the representative consonants 'ㄷ', 'ㅂ', 'ㅅ', 'ㅈ' and the sound of the sound is the same as selecting the sound sound and the sound of 'a'.

그 외, 자음 선택 영역에 표시된 기본자인 'ㄴ' 영역을 사용자가 두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멀티 터치를 수행하면 확인 영역(122)에는 'ㄹ'이 표시되고, 자음 선택 영역에 표시된 기본자인 'ㅇ' 영역을 사용자가 두 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멀티 터치를 수행하면 확인 영역(122)에는 'ㅎ'이 표시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erforms multi-touch with two fingers on the 'b' area displayed in the consonant selection area, the '' 'is displayed in the confirmation area 122, and' ㅇ 'is the default user displayed in the consonant selection area. When the user performs multi-touch using two fingers in the area, 'ㅎ' is displayed in the confirmation area 122.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초성 글자를 선택한 후 모음을 선택하고자 하면, 모음 선택 영역(A)을 단일 터치 또는 멀티 터치를 수행하거나, 단일 터치 또는 멀티 터치를 수행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함으로써 복수 모음 중 적어도 하나의 모음을 선택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모음 선택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f you want to select a vowel after selecting the initial letter by the above method, the vowel selection area (A) by performing a single touch or multi-touch, or by sliding continuously in the state of performing a single touch or multi-touch multiple vowels Select at least one of the vowels. A vowel sele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를 수행하면 'ㅣ' 가 선택되어 확인 영역(122)에는 'ㅣ'가 표시되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두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멀티 터치를 수행하면 'ㅡ'가 선택되어 확인 영역(122)에는 ' ㅡ'가 표시된다. 이때 모음 선택 영역(A)은 멀티 터치의 수행에 따라 'ㅣ'를 선택하고, 단일 터치의 수행에 따라 'ㅡ'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4A, when the user performs a single touch on a vowel selection area A using one finger, 'ㅣ' is selected and 'ㅣ' is displayed in the confirmation area 122. As illustrated in (b) of FIG. 4, when the user performs a multi-touch on the vowel selection area A by using two fingers, '-' is selected and '-' is displayed in the confirmation area 122. In this case, the vowel selection area A may select '|' according to the multi-touch and '-' according to the single-touch.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를 수행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면 'ㅏ'가 선택되어 확인 영역(122)에는 'ㅏ'가 표시되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두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멀티 터치를 수행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면 'ㅑ'가 선택되어 확인 영역(122)에는 'ㅑ'가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5A, when the user performs a single touch with a single finger and continuously slides the vowel selection area A in the vowel selection area A, 'A' is selected and the confirmation area is selected. In operation 122, ',' is displayed, and as shown in FIG. 5B, the vowel selection area A is slid continuously in the right direction while the user performs multi-touch using two fingers. Is performed, 'ㅑ' is selected and 'ㅑ' is displayed in the confirmation area 122.

그 외, 'ㅓ'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를 수행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고, 'ㅕ'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두 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멀티 터치를 수행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한다.In addition, if you want to select '슬라이딩' and perform a single touch using a single finger in the continuous sliding to the left direction, if you want to select 'ㅕ' multi-touch using two fingers In the state of performing the sliding in the left direction continuously.

그리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두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멀티 터치를 수행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면 'ㅠ'가 선택되어 확인 영역(122)에는 'ㅠ'가 표시되고,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면 'ㅜ'가 선택되어 확인 영역(122)에는 'ㅜ'가 표시된다. As shown in (c) of FIG. 5, when the user performs a multi-touch sliding in a downward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performs multi-touch using two fingers, 'ㅠ' is selected and confirmed. '122' is displayed in the area 122, and as shown in (d) of FIG. 5, the user selects the vowel selection area A with a single finger and continuously slides downward in a single direction. When the 'TT' is selected, 'TT' is displayed in the confirmation area 122.

그 외, 'ㅗ'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를 수행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고, 'ㅛ'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두 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멀티 터치를 수행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한다.In addition, if you want to select '슬라이딩' and perform a single touch with one finger in a continuous upward direction, if you want to select 'ㅛ' multi-touch using two fingers In the state of performing the sliding in the upward direction continuously.

그리고 세 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진 'ㅙ', 'ㅞ' 중, 'ㅙ'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고,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며,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를 수행하면 확인 영역(122)에는 'ㅙ'가 표시된다. In addition, when a user wants to select 'ㅙ' among three 'vowels' and 'ㅞ', as shown in FIG. 6 (a), the user selects the vowel selection area A using a single finger. Sliding upwards continuously in the touched state, sliding vowel selection area A continuously in the right direction with a single finger, and vowel selection area A When the user performs a single touch using one finger, 'ㅙ' is displayed in the confirmation area 122.

그리고 'ㅞ'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고,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며,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를 수행하면 확인 영역(122)에는 'ㅞ'가 표시된다. And if you want to select 'ㅞ' as shown in Fig. 6 (b), the user performs a sliding downward continuously in the state in which the user touches the vowel selection area (A) with a single finger, When the user performs a single touch on the vowel selection area A with a single finger and continuously slides the vowel selection area A, the user performs a single touch on the vowel selection area A with one finger. 'ㅞ' is displayed in the confirmation area 122.

이와 같은 문자 입출력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00)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문자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부의 공간 확보가 용이하여 각 문자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문자의 할당 영역이 커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따른 에러도 줄일 수 있다. In such a character input / output method, the number of character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interface 100 can be reduced, and thus the space of the display unit can be easily secured, t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each character. In addition, since the allocation area of each character is increased, errors caused by the user's multi-touch can be reduced.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때 터치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문자 터치에 따른 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자 입력에 따른 동 선을 짧게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a desired character, the number of touches can be reduced, thereby not only reducing the time due to the character touch, but also shortening the movement line due to the character input.

이와 같이 세 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진 'ㅙ', 'ㅞ'의 모음을 선택하고자 할 때 터치 횟수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a method for reducing the number of touches when selecting a vowel consisting of three vowels 'ㅙ' and 'ㅞ'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표시부의 문자 출력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character output of a display unit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 문자 입력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 자음이 표시된 자음 선택 영역과 모음 선택 영역(A) 및 확인 영역을 출력한다. 그리고 일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자음을 선택하여 초성 글자를 입력한다.First, when the user wants to input a character, the character input device outputs a consonant selection area, a vowel selection area A, and a confirmation area in which representative consonants are displayed as shown in FIG. 2. In addition, consonants are selected and consonant letters are input by the same method a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즉, 초성 글자를 입력하기 위한 자음을 선택하고자 할 때 자음 선택 영역에 표시된 하나의 자음을 선택한다. 이때 해당 자음의 영역을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를 수행하면 대표 자음이 선택되고, 두 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멀티 터치를 수행하면 대표 자음에 대응하는 격음이 선택되고,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더블 터치를 수행하면 대표 자음에 대응하는 경음이 선택된다.That is, when one wants to select a consonant for inputting a consonant letter, one consonant displayed in the consonant selection area is selected. At this time, if a single touch is performed on the region of the consonant using a single finger,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is selected, and if a multi-touch is performed using two fingers,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is selected, and one finger is used. If the double touch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is selected.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초성 글자가 선택된 후 사용자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손가락이 모음 선택 영역(A)에 접촉되면 선택영역(12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 모음('ㅏ', 'ㅓ', 'ㅗ', 'ㅜ', 'ㅐ', 'ㅔ')이 표시된다. 이때, 자음 선택 영역 중 일부 영역에 대표 모음이 표시되는데 이것은 사용자의 모음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After the initial letter is selected by the above method, if one or two fingers of the user touch the vowel selection area A, the selection area 121 is represented by representative vowels ('ㅏ', 'ㅓ') as shown in FIG. , 'ㅗ', 'TT', 'ㅐ', 'ㅔ') are displayed. At this time, the representative vowel is displayed in some areas of the consonant selection area, which is to facilitate the user's selection of the vowel.

초출자인 'ㅏ', 'ㅓ', 'ㅗ', 'ㅜ'는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의 수행하고 연속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면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선택되고, 재출자인 'ㅑ', 'ㅕ', 'ㅛ', 'ㅠ'는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두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멀티 터치의 수행하고 연속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면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선택된다. 이때 모음 선택 영역(A)을 하나의 손가락으로 단일 터치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사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ㅐ'와 'ㅔ'가 선택된다.Beginners 'ㅏ', 'ㅓ', 'ㅗ', and 'TT' select the vowel selection area (A) according to the sliding direction when the user performs a single touch with one finger and then slides continuously. Re-investigators 'ㅑ', 'ㅕ', 'ㅛ', 'ㅠ' are the vowel selection area (A) when the user performs a multi-touch using two fingers and sliding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sliding direction Is selected. In this case, when the vowel selection area A is slid continuously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a single touch with one finger, 'ㅐ' and 'ㅔ'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liding direc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ㅙ', 'ㅞ'의 모음 선택 방법의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vowel selection method of 'ㅙ' and 'ㅞ'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ㅙ'를 선택하고자 할 경우,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선택 영역(A)을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를 수행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상측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면 'ㅗ'가 선택되고 그 후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를 수행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우측 상단 사선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면 'ㅐ'가 선택되어 확인 영역(122)에 'ㅙ'가 표시된다.If you want to select '슬라이딩', as shown in (a) of FIG. 8, if the vowel selection area A is slid upwards continuously while performing a single touch with one finger, 'ㅗ' 'Is selected and then the vowel selection area A is slid continuously in the upper right diagonal direction while the user performs a single touch with one finger, and' ㅐ 'is selected to confirm the confirmation area 122 'ㅙ' is displayed.

'ㅞ'를 선택하고자 할 경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를 수행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하측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면 'ㅜ'가 선택되고 그 후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를 수행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우측 하단 사선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면 'ㅔ'가 선택되어 확인 영역(122)에는 'ㅞ'가 표시된다.When selecting 'ㅞ', as shown in FIG. 8 (b), when the user performs a single touch using a single finger and slides downward continuously in a vowel selection area A After 'TT' is selected, when the user performs a single touch with a single finger and continuously slides the vowel selection area A in the lower right diagonal direction, 'ㅔ' is selected and the confirmation area ( 122, 'ㅞ' is displayed.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의 예시도이다.9 is an exemplary view of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초성 글자가 선택된 후 사용자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손가락이 모음 선택 영역(A)에 접촉되면 선택영역(12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 모음('ㅏ', 'ㅓ', 'ㅗ', 'ㅜ', 'ㅐ', 'ㅔ')이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ㅗ', 'ㅜ'가 선택된 경우 자음 선택 영역 중 일부 영역에 'ㅐ'와 'ㅔ'를 표시한다. If one or two fingers of the user touch the vowel selection area A after the initial letter is selected, the selection area 121 is represented by representative vowels ('ㅏ', 'ㅓ', 'ㅗ', 'TT', 'ㅐ', 'ㅔ') are displayed. When 'ㅗ' and 'TT' are selected by the user, 'ㅐ' and 'ㅔ' are displayed in some areas of the consonant selection area.

이에 따라 'ㅙ'를 선택하고자 할 경우,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선택 영역(A)을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를 수행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상측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면 'ㅗ'가 선택되고 그 후 'ㅐ'영역으로 연속하여 슬라이딩하면 'ㅐ'가 선택되어 확인 영역(122)에는 'ㅙ'가 표시된다.Accordingly, in order to select 'ㅙ', if the vowel selection area A is slid continuously upward in a state in which a single touch is performed using one finger, as shown in FIG. If 'ㅗ' is selected and then continuously slides to the 'ㅐ' area, 'ㅐ' is selected and 'ㅙ' is displayed in the confirmation area 122.

'ㅞ'를 선택하고자 할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선택 영역(A)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를 수행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하측으로 슬라이딩을 수행하면 'ㅜ'가 선택되고 그 후 'ㅔ' 영역으로 연속하여 슬라이딩하면 'ㅔ'가 선택되어 확인 영역(122)에는 'ㅞ'가 표시된다.In the case of selecting 'ㅞ', when the user performs sliding of the vowel selection area A continuously with a single finger as shown in FIG. If 'TT' is selected and then continuously slides to the 'ㅔ' area, 'ㅔ' is selected and 'ㅞ' is displayed in the confirmation area 122.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초성글자(즉, 자음) 입력 후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이벤트가 발생하면 자음 선택 영역에 대표 모음('ㅏ', 'ㅓ', 'ㅗ', 'ㅜ', 'ㅐ', 'ㅔ')이 표시되고, 대표 모음이 표시된 영역은 대표 자음의 정보에서 대표 모음 정보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대표 모음이 표시된 경우 초출자인 'ㅏ', 'ㅓ', 'ㅗ', 'ㅜ' 및 'ㅐ', 'ㅔ'는 해당 영역을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일 터치를 수행하여 선택하고, 재출자인 'ㅑ', 'ㅕ', 'ㅛ', 'ㅠ'는 초출자의 영역을 두 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멀티 터치를 수행하여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 다. 여기서 초성글자 선택 후 대표 모음 표시를 위해 모음 선택 영역(A)에 더블 터치 등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onant collection (',', 'ㅓ', 'ㅗ', 'TT', 'ㅐ', 'ㅔ') are displayed, and the area where the representative vowel is displayed is converted from the information of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to the representative vowel information. Accordingly, when the representative vowel is displayed, the first-timers 'ㅏ', 'ㅓ', 'ㅗ', 'TT' and 'ㅐ', 'ㅔ' select the corresponding area using a single finger and perform a single touch. In addition, re-subscribers 'ㅑ', 'ㅕ', 'ㅛ', and 'ㅠ' can be selected by performing multi-touch using two fingers. Her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 double touch on the vowel selection area A to display the representative vowel after selecting the initial letter.

이와 같은 문자 입출력 방법은 단일 터치, 멀티 터치, 더블 터치 및 슬라이딩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문자 입력 시 터치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문자 터치에 따른 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자 입력에 따른 동선을 짧게 줄일 수 있다.The character input / output method can reduce the number of touches during character input by inputting a desired character by using single touch, multi touch, double touch, and sliding.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pper wire according to the inp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출력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haracter input a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출력 장치의 표시부의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unit of a character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출력 장치의 자음 선택 예시도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sonant selection of a character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출력 장치의 모음 선택 예시도이다.4 through 6 are diagrams illustrating vowel selection of a character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출력 장치의 표시부의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unit of a character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출력 장치의 모음 선택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vowel selection of a character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출력 장치의 모음 선택 예시도이다.9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vowel selection of a character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0: 제어부100: user interface 200: control unit

300: 저장부 300: storage

Claims (15)

복수 개의 자음 선택 영역과 하나의 모음 선택 영역을 표시하고,Display multiple consonant selections and one vowel selection, 상기 복수 개의 자음 선택 영역 각각에 입력되는 상기 터치된 터치 점의 개수를 판단하여 상기 터치 점의 개수에 대응하는 자음을 선택하고, Determine the number of touched touch points inpu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 selection areas, and select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상기 하나의 모음 선택 영역에 입력되는 상기 터치 점의 개수를 판단하여 상기 터치 점의 개수에 대응하는 모음을 선택하고, Determine the number of touch points input to the one vowel selection area to select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 입출력 방법.Character input and output method for outputting a character by combining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을 선택하는 것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electing the consonants is 상기 복수 개의 자음 선택 영역 각각에 입력된 상기 터치 점의 개수가 하나이면 대표 자음을 선택하고, 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inpu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 selection areas is one, a representative consonant is selected. 상기 터치 점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이면 상기 대표 자음의 격음 또는 경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문자 입출력 방법.And when the number of the touch points is two or more, selecting any one of a sound or a sound of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을 선택하는 것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electing the vowels comprises: 상기 터치 점의 개수가 하나이면 'l' 또는 '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is one, select one of 'l' or 'ㅡ', 상기 터치 점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이면 나머지 하나를 선택하는 문자 입출력 방법.And selecting the other one when the number of the touch points is two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을 선택하는 것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electing the vowels comprises: 상기 터치 점의 개수가 하나인 상태에서 상기 터치 점이 슬라이딩되면 상기 터치점이 슬라이딩된 방향에 대응하는 초출자를 선택하는 문자 입출력 방법.And a first exporter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touch point when the touch point slides while the number of touch points is 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을 선택하는 것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electing the vowels comprises: 상기 터치 점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터치 점이 슬라이딩되면 상기 터치점이 슬라이딩된 방향에 대응하는 재출자를 선택하는 문자 입출력 방법.And a re-investor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touch point when the touch point slides while the number of the touch points is two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음이 선택되어 초성글자가 출력되면 상기 하나의 자음 선택 영역에 대표 모음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문자 입출력 방법.And displaying a representative vowel in the one consonant selection area when the consonant is selected and an initial letter is outpu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을 선택하는 것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electing the vowel, 상기 대표 모음을 터치한 터치 점의 개수가 하나이면 초출자를 선택하고,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uching the representative vowel is one, select a beginner, 상기 대표 모음을 터치한 터치 점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이면 재출자를 선택하는 문자 입출력 방법.Character input / output method for selecting a re-investigator 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uched the representative vowel is two or more.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대표 모음은 'ㅐ' 와 'ㅔ'를 포함하고,The representative vowel includes 'ㅐ' and 'ㅔ', 상기 'ㅐ' 와 'ㅔ'는 상기 모음 선택 영역의 사선 방향의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 입출력 방법.'ㅐ' and 'ㅔ' are displayed in an oblique direction area of the vowel selection area.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을 선택하는 것은,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selecting the vowels, 상기 모음 선택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사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상기 사선 방향에 대응하는 'ㅐ' 와 'ㅔ'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선택하는 문자 입출력 방법. A character input / output method for selecting any one of 'ㅐ' and 'ㅔ' corresponding to the diagonal direction by sliding in a diagonal direction continuously while touching the vowel selection area. 복수 개의 자음 선택 영역과 하나의 모음 선택 영역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A user interface having a plurality of consonant selection areas and one vowel selection area, and receiving a signal through a user's touch; 상기 복수 개의 자음 선택 영역 각각에 입력되는 상기 터치된 터치 점의 개수에 대응하는 자음을 선택하고, 상기 하나의 모음 선택 영역에 입력되는 상기 터치 점의 개수에 대응하는 모음을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문자 입출력 장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elect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ed touch points inpu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 selection areas and to select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input to the one vowel selection area. Character I / O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복수 개의 자음 선택 영역 각각에 입력된 상기 터치 점의 개수가 하나이면 대표 자음을 선택하고, 상기 터치 점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이면 상기 대표 자음의 격음 또는 경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문자 입출력 장치.A character input / output device that selects a representative consonant when the number of the touch points inpu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 selection areas is one, and selects one of a sound or a sound of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when the number of the touch points is two or more.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터치 점이 연속으로 입력되는 더블 터치이면 상기 대표 자음의 격음 또 는 경음 중 다른 하나를 선택하는 문자 입출력 장치.And a second touch of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to select another one of the consonants or the horns of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복수개의 자음 선택 영역의 각각 위치 및 상기 하나의 모음 선택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문자 입출력 장치.And a storage unit which stores respectiv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 selection regions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ne vowel selection reg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모음 선택 영역에 입력된 상기 터치 점의 개수가 하나이면 'ㅣ' 또는 '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터치 점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이면 나머지 하나를 선택하는 문자 입출력 장치.And select one of 'ㅣ' or 'ㅡ' if the number of the touch points input to the vowel selection area is one, and select the other one if the number of the touch points is two or mor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하나의 모음 선택 영역에 입력된 상기 터치 점이 슬라이딩되면, 상기 슬라이딩된 방향에 대응하는 모음을 선택하는 문자 입출력 장치.And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direction when the touch point input to the one vowel selection area slides.
KR1020090041387A 2009-05-12 2009-05-12 Character input and output device and method KR1010466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387A KR101046660B1 (en) 2009-05-12 2009-05-12 Character input and output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387A KR101046660B1 (en) 2009-05-12 2009-05-12 Character input and output device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379A true KR20100122379A (en) 2010-11-22
KR101046660B1 KR101046660B1 (en) 2011-07-06

Family

ID=4340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387A KR101046660B1 (en) 2009-05-12 2009-05-12 Character input and output device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66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354A3 (en) * 2010-01-04 2011-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Korean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touch screen,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key input apparatus
WO2012070705A1 (en) * 2010-11-25 201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Korean alphabet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and korean alphabet input system using touch screen input unit
US9261995B2 (en) 2013-06-10 2016-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lecting object by using multi-touch with related reference poi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3208A (en) * 2007-08-28 2009-03-04 (주)모비언스 Key input interface method
KR100893978B1 (en) * 2008-07-17 2009-04-20 김연수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354A3 (en) * 2010-01-04 2011-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Korean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touch screen,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key input apparatus
WO2012070705A1 (en) * 2010-11-25 201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Korean alphabet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and korean alphabet input system using touch screen input unit
US9261995B2 (en) 2013-06-10 2016-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lecting object by using multi-touch with related reference p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6660B1 (en)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3211B2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US6356258B1 (en) Keypad
CN100545792C (en) Realize the method for intelligence software keyboard input on the electronic equipment screen
KR1013316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201100180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screen in poratable terminal
CN101174190A (en) Software keyboard entry method for implementing composite key on screen of electronic equipments
WO2010089918A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rogram
KR1007724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 in portable terminal
KR201200978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ext in terminal
KR101434495B1 (en) Terminal with touchscreen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KR101046660B1 (en) Character input and output device and method
KR20110003130A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 in a mobile phone
KR100652579B1 (en) Letter input apparatus and the letter recogni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14140236A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JP2013033553A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KR101255801B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hangu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JP2014059799A (en) Character input device
JP2004038897A (en) Input device of cellular telephone for directly inputting target character
JP6605921B2 (en) Software keyboard program,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KR20120029562A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rag
KR201200788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KR20100032024A (en) Letter entry device and method which use touch and drag
JP2008204260A (en) Electronic device
JP2017027096A (en) Software keyboard program,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JP5270729B2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