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212A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212A
KR20100115212A KR1020090033835A KR20090033835A KR20100115212A KR 20100115212 A KR20100115212 A KR 20100115212A KR 1020090033835 A KR1020090033835 A KR 1020090033835A KR 20090033835 A KR20090033835 A KR 20090033835A KR 20100115212 A KR20100115212 A KR 20100115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ember
rail
sliding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45594B1 (en
Inventor
황우석
지용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3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594B1/en
Publication of KR2010011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2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5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restrict a sliding range in a restricted space through a mobile hook module, thereby slimming the portable terminal. CONSTITUTION: A sliding restriction unit(150) restricts a sliding range. The sliding restriction unit comprises a rail unit(151) and a hook module(154). The rail unit is formed in the first slide member(141). The rail unit is expanded in a sliding direction. The hook module is slid along with the rail unit. The hook module is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liding direction so that at least part is hooked in one end of the rail unit.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Mobi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어느 바디가 다른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which allows a body to slide and move with respect to another body.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and data storage.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having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a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applied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the complex functions of such multimedia device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상기 시도들에 더하여, 상기 하드웨어 등의 기능을 보다 개선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attempts, a method of furthe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hardware or the like may be considered.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의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e modul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type of slide modu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슬림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mmer portable terminal.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와 슬라이딩 제한부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드 부재는 제1 바디와 결합한다. 제2 슬라이드 부재는 제2 바디와 결합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슬라이딩 제한부는 슬라이딩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딩 제한부는 레일부 및 걸림 모듈을 포함한다. 레일부는 제1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에 단차가 발생하도록 이루어진다. 걸림 모듈은 제2 슬라이드 부재에 장착되어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적어도 일부가 레일부의 일단에 걸리도록 슬라이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and a sliding limiting part. The first slide member engages with the first body. The second slide member engages with the second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lide member so as to be relatively slidable. The sliding limit is formed to limit the range of sliding. The sliding restriction includes a rail portion and a locking module. The rail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slide member, extends in the sliding direction, and is formed such that a step occurs at least in part. The locking module is mounted to the second slide member and slides along the rail portion, and is form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liding direction so that at least a part thereof is caught by one end of the rail por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레일부는 제1 및 제2 레일을 포함한다. 제1 레일은 제1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되고,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동일면으로 이루어진다. 제2 레일은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제1 레일과 연속되고, 상기 제1 레일에 대하여 단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걸리도록 일단이 돌출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rail por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rails. The first rail is formed on the first slide member and has the same surface with respect to the sliding direction. The second rail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rail with respect to the sliding direction, is formed to be simple with respect to the first rail, and one end thereof protrudes so as to catch at least a part of the locking module.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걸림 모듈은 걸림바 및 가압 유닛을 포함한다. 걸림바는 외팔보로 형성된다. 가압 유닛은 걸림바가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걸림바에 힘을 가한다. 걸림바의 고정단은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양면 중 어느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locking module includes a locking bar and a pressing unit. The catch bar is formed of cantilever beams. The pressurizing unit applies a force to the catching bar so that the catching bar moves toward the first slide member. The fixing end of the catching bar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any one surface of both surfaces of the second slide memb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이동가능한 걸림 모듈을 통하여 보다 한정된 공간에서 슬라이딩의 범위를 제한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보다 슬림한 휴대 단말기가 구현된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limit the range of sliding in a more limited space through the movable locking module. In addition, a slimmer mobile terminal is realized through this.

또한 본 발명은 이동가능한 걸림 모듈을 통하여, 조립 공차의 범위를 보다 넓어지게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제조비가 보다 저렴한 휴대 단말기가 구현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movable locking module, to widen the range of the assembly tolerance. In additio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lower manufacturing cost is realized through this.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ortable terminal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슬라이딩에 의하여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구현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바디(110, 120)를 포함한다.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bodies 110 and 120 coupled to implement an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by sliding.

본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110)와, 상기 제1 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2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은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20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1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10 is disposed to overlap the second body 120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body 110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body 120. The exposed stat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N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a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a user's opera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or the like in an open state,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operation o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제1 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body 110 is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또는 제1 조작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body 113, the sound output unit 114,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or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16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ody 11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11.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TOLED(Transparant OLED) 모듈 등을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odule, a transparent OLED (TOLED) module, and the like, which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시에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하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이러한 햅틱 모듈은 디스플레이부(113)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13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to enable input of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In addition, the display 113 may be formed to generate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when touched. This may be implemented by a haptic module linked to the display 113. Vibratio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The haptic module may be dispo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s well as the display 113.

상기 음향 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11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The first operation unit 116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Like the first body 110, 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may form a case of the second body 120.

제2 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12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21.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24), 제1 음향 입력부(125), 인터페이스(12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operation unit 124, the first sound input unit 125, and the interface 126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16,123,1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manipulation units 116, 123, and 124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tactile manner.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that can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a touch pad, or a wheel or jog method that rotates a key, or a manipulation method such as a joystick. Or the lik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24)는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functional terms,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i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hird manipulation unit 124 may operate as a hot-key that performs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상기 제1 음향 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sound input unit 12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 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interface 126 serves as a passage for allowing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126 may be wired or wirelessly,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 wireless Lan port), or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The interface 126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ommodate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nd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n the rear case 122 side, a power supply unit 127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The power supply unit 127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for example, as a rechargeable battery.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제2 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second image input unit 128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122 of the second body 120.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may be a camera hav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refer to FIG. 1) and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has a low pixel so that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in case of a video call, and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immediately photographs a general su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not transmitted in many cases.

제2 영상 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9)는 제2 영상 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 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129 and the mirror unit 130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The flash 129 emit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The mirror unit 130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face, etc., when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him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 음향 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31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case 122.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31)는 제1 음향 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31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refer to FIG. 1),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a speakerphone mode.

리어 케이스(1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2)는 제2 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n antenna 132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ear case 122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a call or the like. The antenna 132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of the second body 120.

제1 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40)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A portion of the slide module 140 that slidably couples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o the rear case 112 side of the first body 110 is disposed.

슬라이드 모듈(140)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14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case 121 side of the second body 120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the drawing.

이상에서는 제2 영상 입력부(128) 등이 제2 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 입력부(1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is disposed on the second body 12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128 to 132 described as disposed on the rear case 122, such as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ody 110, mainly the rear case 112. It is also possible to be mounted. In such a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arranged in the rear case 112 in the closed state are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120. In addition, even i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rotatably configured to allow shooting up to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일 부분을 분해한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모듈(140)이 장착된다. 슬라이드 모듈(140)은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The slide module 140 is mounted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he slide module 140 guides the first body 110 to slide in relation to the second body 120.

슬라이드 모듈(140)은 각각 제1 및 제2 바디(110, 120)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설명에만 한정되지 않고,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는 각각 제2 및 제1 바디(120, 1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는 각각 제1 또는 제2 바디(110, 120)의 일부분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슬라이드 부재(142)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lide module 140 includes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141 and 142 mounted to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 and 120,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141 and 142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and first bodies 120 and 11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141 and 142 may be formed to form part of the first or second bodies 110 and 120, respectively. The second slide member 142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for example, stainless steel (STS).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는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슬라이드 부재(141)는 제1 바디(110)의 일면에 장착되고, 제1 슬라이드 부재(141)에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제2 슬라이드 부재(142)는 양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이 제1 슬라이드 부재(141)의 양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제2 슬라이드 부재(142)는 제1 슬라이드 부재(141)의 양 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141 and 14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allow relative sliding. 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first slide member 141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slide member 142 is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141 so as to be slidable. The second slide member 142 is formed such that portions adjacent to both corners surround regions adjacent to both corners of the first slide member 141. As a result, the second slide member 142 may slide along both edges of the first slide member 141.

슬라이드 모듈(140)은 슬라이딩에 의하여 제1 및/또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력 제공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lide module 140 may include an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143 formed to apply elastic force to the first and / or second slide members 141 and 142 by sliding.

슬라이드 모듈(140)은 휴대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슬라이딩시 에 일정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슬라이드 부재(142)는 제1 슬라이드 부재(141)의 일단에 인접하여 정지되고, 이때가 열린 상태가 된다. The slide module 140 is formed to sto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sliding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second slide member 142 is stopp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first slide member 141, and this time is in an open state.

도 4는 도 3의 슬라이드 모듈(140)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140 of FIG. 3.

슬라이드 모듈(140)은 탄성력 제공부(143)을 포함한다. 탄성력 제공부(143)은 제1 및 제2 암 부재와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한다. The slide module 140 includes an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143.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143 includes first and second arm members and a spring (not shown).

제1 및 제2 암 부재는 일측에서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와 각각 연결된다. 제1 및 제2 암 부재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배치된다. The first and second arm member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141 and 142 on one side, respectively. A spring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rm members.

제1 및 제2 암 부재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상대 회전에 의하여 스프링은 일정 거리를 이동한 제2 슬라이드 부재(142)를 계속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발생시킨다.The first and second arm members are relatively rotated by sliding the second slide member 142. By the relative rotation, the spring generates an elastic force for continuously moving the second slide member 142 which has moved a certain distance.

제2 슬라이드 부재(142)는 제1 슬라이드 부재(141)의 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상기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The second slide member 142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dge so as to slide along the edge of the first slide member 141.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의 사이에는 윤활 부재(144)가 배치될 수 있다. 윤활 부재(144)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폴리옥시메틸렌(POM, Poly Oxy Methylene)으로 형성될 수 있다.A lubrication member 14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141 and 142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141 and 142. The lubrication member 144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for example, polyoxymethylene (POM).

윤활 부재(144)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에 장착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2 슬라이드 부재(142)는 모서리 부분이 윤활 부재(144)를 수용할 수 있도록 리세스된 단면을 가지도록 절곡된다. 윤활 부재(144)는 리세스된 부분 안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리세스된 부분의 내면에 대응하는 외형을 이룬다.The lubrication member 144 is mounted to the second slide member 142.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econd slide member 142 is bent such that the edge portion has a recessed cross section to accommodate the lubrication member 144. The lubrication member 144 has an appearan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so as to be movable within the recessed portion.

윤활 부재(144)는 제1 슬라이드 부재(141)의 적어도 일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단면을 구비한다. 이를 통하여 제1 슬라이드 부재(141)가 상하로 유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슬라이딩시에 윤활 부재(144)는 제1 슬라이드 부재(141)와 윤활 마찰을 일으키게 된다. 여기서 윤활 마찰이란, 윤활 부재에 의한 마찰을 의미한다. The lubrication member 144 has a cross section formed to surround an area adjacent to at least one corner of the first slide member 141. Through this, the first slide member 141 may be restricted from flowing up and down. During sliding, the lubrication member 144 causes lubrication friction with the first slide member 141. Lubrication friction means here the friction by a lubrication member.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모듈(140)은 슬라이딩 제한부(15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제한부(150)는 슬라이드 모듈(140)의 슬라이딩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딩 제한부(150)는, 예를 들어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제1 슬라이드 부재(141)의 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범위를 결정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lide module 140 includes a sliding limiter 150. The sliding limit part 150 is formed to limit the range of sliding of the slide module 140. The sliding limiter 150 determines, for example, the range in which the second slide member 142 slides along the edge of the first slide member 141.

슬라이딩 제한부(150)는 레일부(151)를 포함한다.The sliding limit unit 150 includes a rail unit 151.

레일부(151)는 제1 슬라이드 부재(141)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에 단차가 발생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레일부(151)는 제1 슬라이드 부재(141)의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다.The rail unit 151 is formed in the first slide member 141, extends in the sliding direction, and is formed such that a step is generated at least in part. 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rail part 151 is formed along the edge in an area adjacent to the edge of the first slide member 141.

레일부(151)는 제1 슬라이드 부재(141)의 양 모서리에 인접하게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일부(151a, 151b) 중 어느 하나(151a, 이하 '제1 레일부'라 한다)는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주면을 관통하는 축을 기준으로 다른 하나(151b, 이하 '제2 레일부'라 한다)가 180° 회전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레일부(151)는 서로 반대 방향에 대한 슬라이딩을 제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레일부(151a)는 단말기가 열린 상태일 때 슬라이딩을 제한하고, 제2 레일부(151b)는 단말기가 닫힌 상태일 때 슬라이딩을 제한한다.The rail unit 151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adjacent to both corners of the first slide member 141. One of the plurality of rail parts 151a and 151b (151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rail part”) is the other one 151b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rail part”) based on an axis passing through the main surface of the first slide member. May be rotated 180 °. Through this, the rail unit 151 limits the sli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rail unit 151a restricts sliding when the terminal is open, and the second rail unit 151b restricts sliding when the terminal is closed.

레일부(151)는 제1 및 제2 레일(152, 153)을 포함한다.The rail unit 151 includes first and second rails 152 and 153.

제1 레일(152)은 제1 슬라이드 부재(141)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동일면으로 이루어진다. 제2 레일(153)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제1 레일(152)과 연속되고, 제1 레일(152)에 대하여 단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차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의 사이의 이격 공간이 보다 커질 수 있으며, 이격 공간이 커짐에 따라 탄성력 제공부(143) 등의 배치 설계가 보다 용이하게 된다.The first rail 152 is formed on the first slide member 141 and has the same surface with respect to the sliding direction. The second rail 153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rail 152 with respect to the sliding direction and is formed so as to lie against the first rail 152. The step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lide member 142. As a result,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141 and 142 may be larger, and the arrangement design of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143 may be easier as the separation space increases.

슬라이딩 제한부(150)는 걸림 모듈(154)를 포함하고, 제2 레일(153)은 걸림 모듈(154)의 적어도 일부가 걸리도록 일단이 돌출된다.The sliding limiter 150 includes a locking module 154, and one end of the second rail 153 protrudes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locking module 154 is caught.

걸림 모듈(154)은 제2 슬라이드 부재(142)에 장착되어 레일부(151)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적어도 일부가 레일부(151)의 일단에 걸리도록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The locking module 154 is mounted to the second slide member 142 and slides along the rail portion 151, and is movabl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liding direction so that at least a part thereof is caught by one end of the rail portion 151. Is formed.

걸림 모듈(154)은 걸림바(155a, 155b) 및 가압 유닛(156)을 포함한다.The locking module 154 includes locking bars 155a and 155b and a pressing unit 156.

걸림바(155a, 155b)는 외팔보를 이루며,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바(155a, 155b)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와 연결되는 고정단(157a, 157b)을 포함한다. 제2 슬라이드 부재(142)에는 걸림바(155a, 155b)가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155)이 형성된다. The catching bars 155a and 155b form a cantilever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The engaging bars 155a and 155b include fixed ends 157a and 157b connected to the second slide member 142. A through hole 155 is formed in the second slide member 142 so that the engaging bars 155a and 155b can move.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걸림바(155a, 155b)의 일단에는 힌지부(158)가 형성된다. 힌지부(158)는 걸림바(155a, 155b)의 자유단(159a, 159b)이 회전 가능하도록 걸림바(155a, 155b)의 고정단(157a, 157b)에 형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hinge portion 158 is formed at one end of the engaging bars 155a and 155b. The hinge portion 158 is formed at the fixed ends 157a and 157b of the engaging bars 155a and 155b so that the free ends 159a and 159b of the engaging bars 155a and 155b are rotatable.

상기 힌지부(158)에는 힌지축(158a)이 삽입되고, 제2 슬라이드 부재에는 상기 힌지축(158a)의 적어도 일부가 끼워지는 연결부(158b)가 형성된다.A hinge shaft 158a is inserted into the hinge portion 158, and a connecting portion 158b into which the at least part of the hinge shaft 158a is fitted is formed in the second slide member.

힌지부(158)은 제2 슬라이드 부재(142)의 양면 중 어느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힌지부(158)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에서 제1 슬라이드 부재(141)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으로 돌출된다. 또한 연결부(158b)는 상기 반대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inge portion 158 is formed to protrude to either surface of both surfaces of the second slide member 142. Referring to the figure, the hinge portion 158 protrudes from the second slide member 142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slide member 141. 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158b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the opposite surface.

가압 유닛(156)은 걸림바(155a, 155b)가 제1 슬라이드 부재(141)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걸림바(155a, 155b)에 힘을 가하게 형성된다.The pressurizing unit 156 is formed to apply a force to the catching bars 155a and 155b so that the catching bars 155a and 155b move toward the first slide member 141.

가압 유닛(156)은 힌지부(158)에 장착될 수 있다. 가압 유닛(156)의 일단은 걸림바(155a, 155b)의 일면을 지지하고, 가압 유닛(156)의 타단은 제2 슬라이드 부재(142)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가압 유닛(156)의 적어도 일부에 힌지축(158a)이 삽입되고, 가압 유닛(156)은 힌지축(158a)의 회전 방향으로 걸림바(155a, 155b)에 탄성력을 가한다. 가압 유닛(156)은,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다. The pressurizing unit 156 may be mounted to the hinge portion 158. One end of the pressing unit 156 supports one surface of the engaging bars 155a and 155b, and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unit 156 is disposed to support the second slide member 142. The hinge shaft 158a is inserted into at least a portion of the pressing unit 156, and the pressing unit 156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engaging bars 155a and 155b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hinge shaft 158a. The pressurizing unit 156 may be a coil spring, for example.

가압 유닛(156)은 걸림바(155a, 155b)에 탄성력을 가하고, 이를 통하여 걸림바(155a, 155b)의 자유단(159a, 159b)은 제1 슬라이드 부재(141)를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게 된다.The pressurizing unit 156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engaging bars 155a and 155b so that the free ends 159a and 159b of the engaging bars 155a and 155b are displac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slide member 141. .

자유단(159a, 159b)에는 보호 유닛(159)이 장착될 수 있다. 보호 유닛(159) 은 자유단(159a, 159b)에 끼워지도록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게 형성된다. 보호 유닛(159)은, 예를 들어 고무, 우레탄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ection units 159 may be mounted at the free ends 159a and 159b. The protection unit 159 is formed so that at least part thereof is recessed to fit the free ends 159a and 159b. The protection unit 159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urethane.

걸림바(155a, 155b)은 제1 및 제2 레일부(151a, 151b)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된다. 복수의 걸림바(155a, 155b) 중 어느 하나(155a, 이하 '제1 걸림바'라 한다)의 고정단(157a)은 관통홀(155)의 일단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155b, 이하 '제2 걸림바'라 한다)의 고정단(157b)이 관통홀(155)의 타단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자유단(159a, 159b)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게 된다.The engaging bars 155a and 155b are provided in plurality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rail parts 151a and 151b. The fixed end 157a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bars 155a and 155b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locking bar) is form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through hole 155, and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bars 155a and 155b is provided. Hereinafter, the fixed end 157b of the second locking bar is form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hole 155. Through this, the free ends 159a and 159b are forced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걸림바(155a, 155b)의 고정단(157a, 157b)은 제2 슬라이드 부재(142)의 양면 중 어느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고정단(157a, 157b)은 제2 슬라이드 부재(142)에서 제1 슬라이드 부재(141)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으로 돌출된다. 이를 통하여,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 사이의 이격 공간이 보다 좁아질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슬림한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The fixed ends 157a and 157b of the engaging bars 155a and 155b are formed to protrude to any one surface of both surfaces of the second slide member 142. The fixed ends 157a and 157b protrude from the second slide member 142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slide member 141. As a result,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141 and 142 may be narrower, and thus a slimmer portab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의 슬라이딩 제한부(150)의 동작들을 타나내는 정면도들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도 5a 내지 도 5c의 라인(A-A) 내지 라인(F-F)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각각 단말기의 열린 상태, 슬라이딩 상태 및 닫힌 상태에 대응한다.5A through 5C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s of the sliding limiter 150 of FIG. 4, and FIGS. 6A through 6C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s AA through FF of FIGS. 5A through 5C, respectively. . 5A, 5B and 5C correspond to an open state, a sliding state and a closed state of the terminal, respectively.

단말기가 열린 상태일 때, 제2 슬라이드 부재(142)는 제1 레일부(151a)에 의하여 제1 슬라이드 부재(141)와 멀어지는 방향에 대한 슬라이딩을 제한받는다. 도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면, 제2 레일(153a)의 일단에 제1 걸림바(155a)의 자유 단(159a, 도 4 참조)이 걸리게 된다. 보호 유닛(159)은 제2 레일(153a)의 일단에 대하여 자유단(159a)을 보호한다. 의 직접 이 때에, 제2 걸림바(155b)는 제2 레일부(151b)의 제1 레일(152b)상에 배치된다.When the terminal is in the open state, the second slide member 142 is restricted from sli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slide member 141 by the first rail portion 151a. 5A and 6A, the free end 159a (see FIG. 4) of the first locking bar 155a is caught by one end of the second rail 153a. The protection unit 159 protects the free end 159a with respect to one end of the second rail 153a. At this time, the second locking bar 155b is disposed on the first rail 152b of the second rail portion 151b.

도 5b 및 도 6b를 참조하면, 단말기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될 때, 제1 걸림바(155a)의 자유단(159a)는 제1 레일부(151a)를 따라 슬라이딩 하게 된다. 걸림바(155a)가 제2 레일(153a)을 벗어나 제1 레일(152a)상에 배치되면, 제1 및 제2 레일(152a, 153a)의 단차에 의하여 자유단(159a)은 제1 슬라이드 부재(14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5B and 6B, when the terminal is switched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the free end 159a of the first catching bar 155a slides along the first rail part 151a. When the catching bar 155a is disposed on the first rail 152a beyond the second rail 153a, the free end 159a is formed by the ste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ails 152a and 153a. It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141.

제2 걸림바(155b)의 자유단(159b, 도 4 참조)는 제2 레일부(151b)의 제1 레일(152b)을 따라 슬라이딩하다가, 제2 레일(153b)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1 슬라이드 부재(14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The free end 159b of the second locking bar 155b (see FIG. 4) slides along the first rail 152b of the second rail portion 151b, and then moves to the first rail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il 153b. It rotat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slide member 141.

단말기가 닫힌 상태일 때, 제2 슬라이드 부재(142)는 제2 레일부(151b)에 의하여 제1 슬라이드 부재(141)와 멀어지는 방향에 대한 슬라이딩을 제한받는다. 도 5c 및 도 6c를 참조하면, 제2 레일(153b)의 일단에 걸림바(155b)의 자유단(159b)이 걸리게 된다. When the terminal is in the closed state, the second slide member 142 is restricted from sli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slide member 141 by the second rail portion 151b. 5C and 6C, the free end 159b of the locking bar 155b is caught by one end of the second rail 153b.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슬라이딩 제한부(150)은 슬라이드 모듈 자체에서 형성되는 슬라이딩의 제한 매커니즘을 구현한다. 또한, 슬라이딩 제한부(150)가 적용된 슬라이드 모듈은 보다 내구성이 높으면서도 슬림화될 수 있다.The sliding limiting unit 150 operated as described above implements a limiting mechanism of sliding formed in the slide module itself. In addition, the slide module to which the sliding limit unit 150 is applied may be more durable and slim.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한 걸림 모듈(25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ocking module 254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가압 유닛(256)의 일단은 걸림바(255)의 일면과 연결되고, 가압 유닛(256)의 타단은 제2 슬라이드 부재(252)의 일면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걸림바(255)는 돌출되는 부분이 없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가압 유닛(256)은, 예를 들어 판스프링이 될 수 있다.One end of the pressing unit 256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engaging bar 255, and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unit 256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slide member 252. The connection can be made, for example, by welding or the like. The catching bar 255 is formed in a plate shape without a protruding portion, and the pressing unit 256 may be, for example, a leaf spring.

상기 가압 유닛(256)을 통하여 슬라이드 모듈이 보다 슬림화될 수 있으며, 조립 공차에 대한 자유도가 보다 높아질 수 있다.Through the pressing unit 256, the slide module can be made slimmer, and the degree of freedom for assembly tolerance can be increased.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61), 조작부(116,123,124), 영상 입력부(115,128), 음향 입력부(125),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131), 센싱유닛(166), 인터페이스(126), 방송 수신 모듈(165), 메모리(164), 전원공급부(127),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8,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1, an operation unit 116, 123, 124, an image input unit 115, 128, an audio input unit 125, a display unit 113, and an audio output unit. It includes the 114 and 131, the sensing unit 166, the interface 126,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65, the memory 164, the power supply unit 127, and the controller 170.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controller 17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또한, 제어부(17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In addition to the normal function control, the controller 170 addition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무선통신 모듈(16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6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63)을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1 transmits /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For examp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the transmitter 162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text data, video data, and control data, and modulates and transmits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163).

조작부(116,123,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23,124)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units 116, 123, and 124 a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to provide the control unit 170 with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s 116, 123, and 124 are composed of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영상 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28 proces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displayable on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3.

영상 입력부(115,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6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6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28 are stored in the memory 164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6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음향 입력부(1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6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The sound input unit 125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1 and out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call mode. In the recording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output to be stored in the memory 164.

음향 입력부(1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5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The display 113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the control unit 170 displays and output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video call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nd outputs the captured image, UI, or GUI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When 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13 is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향 출력부(114,1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6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6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may receive sound data or memory 164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tored sound data is converted and output to the outside.

또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output sound signals related to a function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nd a message reception sound)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may include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센싱 유닛(166)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7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66 detects a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s sensed so as to output a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ler 17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27 is supplied with power, whether the interface 126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1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 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126 may be connected to any external devices such as wired / wireless headsets, external chargers, wired / wireless data ports, card sockets (eg, memory cards, SIM / UIM cards), etc.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the device. The interface 126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fer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or transmits data within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메모리(164)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64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70, and provides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be done.

또한, 메모리(16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In addition, the memory 164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메모리(16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is memory 164 includes concepts such as hard disks,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which are generally known.

방송수신 모듈(16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7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6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6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65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 converts the broadcast signal into a broadcast data format that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and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s the broadcast signal to the controller 170.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65 receives additional data related to the broadcast (for example, an EPG (electric program guide), a channel list, etc.). The broadcast data and additional data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65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4.

전원 공급부(127)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27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 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일 부분을 분해한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도 4는 도 3의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of FIG.

도 5a 내지 도 5c는 슬라이딩 제한부의 동작들을 타나내는 정면도들.5A-5C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s of the sliding limiter.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도 5a 내지 도 5c의 라인(A-A) 내지 라인(F-F)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 6A-6C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A-A through F-F of FIGS. 5A-5C, respectively.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한 걸림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atching modu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8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제1 바디와 결합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A first slide member engaging with the first body; 제2 바디와 결합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슬라이드 부재; 및A second slide member coupled to the second body and connected to the first slide member so as to be relatively slidable; And 상기 슬라이딩의 범위를 한정하는 슬라이딩 제한부를 포함하고,A sliding limiting portion defining a range of the sliding; 상기 슬라이딩 제한부는,The sliding limiter,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에 단차가 발생하도록 이루어지는 레일부; 및A rail portion formed on the first slide member, extending in the sliding direction,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step at least in part; And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에 장착되어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적어도 일부가 레일부의 일단에 걸리도록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And a locking module mounted to the second slide member and sliding along a rail portion, the locking module being movabl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liding direction so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caught by one end of the rai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일부는,The rail unit,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동일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 레일; 및A first rail formed on the first slide member and formed of the same plane with respect to the sliding direction; And 상기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레일과 연속되고, 상기 제1 레일에 대하여 단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걸리도록 일단이 돌출되는 제2 레일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econd rail which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rail with respect to the sliding direction, is formed to be simple with respect to the first rail, and has one end protruding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locking module is caugh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걸림 모듈은,The latch module, 외팔보로 형성되는 걸림바; 및Hanging bar formed of cantilever; And 상기 걸림바가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걸림바에 힘을 가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And a pressurizing unit for applying a force to the catching bar so that the catching bar moves toward the first slide member.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걸림바의 고정단은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양면 중 어느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fixed end of the engaging bar is formed so as to protrude to any one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second slide member.
KR1020090033835A 2009-04-17 2009-04-17 Portable terminal KR1015455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835A KR101545594B1 (en) 2009-04-17 2009-04-17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835A KR101545594B1 (en) 2009-04-17 2009-04-17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212A true KR20100115212A (en) 2010-10-27
KR101545594B1 KR101545594B1 (en) 2015-08-19

Family

ID=43134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835A KR101545594B1 (en) 2009-04-17 2009-04-17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5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426A1 (en) * 2011-01-25 2012-08-02 (주)쉘라인 Slide hing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426A1 (en) * 2011-01-25 2012-08-02 (주)쉘라인 Slide hinge device
CN103563260A (en) * 2011-01-25 2014-02-05 壳线株式会社 Slide hin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594B1 (en)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913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10044620A (en) Module for expand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KR20090118765A (en) Portable terminal
KR20120031830A (en) Portable terminal
KR101566281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8714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04703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00115212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02240A (en) Touch-sensor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10136306A (en) Mobile terminal
KR101595347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95358B1 (en) Portable terminal
KR100930564B1 (en) Handheld terminal
KR101537700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13304B1 (en) Portable terminal including slide module
KR10159535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45591B1 (en) Portable terminal
KR20120038841A (en) Mobile terminal
KR20110034496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00116026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13472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100996A (en) Portable terminal
KR20100027541A (en) Portable terminal
KR20100132382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09892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