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974A - 해양심층수, 흑마늘 엑기스, 대추 엑기스 및 유기산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양심층수, 흑마늘 엑기스, 대추 엑기스 및 유기산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974A
KR20100114974A KR1020090033441A KR20090033441A KR20100114974A KR 20100114974 A KR20100114974 A KR 20100114974A KR 1020090033441 A KR1020090033441 A KR 1020090033441A KR 20090033441 A KR20090033441 A KR 20090033441A KR 20100114974 A KR20100114974 A KR 20100114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juice
garlic
functional beverag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규
이원갑
김재성
박기주
Original Assignee
김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규 filed Critical 김원규
Priority to KR1020090033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4974A/ko
Publication of KR20100114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97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23L2/06Extraction of juices from citrus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6Flavouring or bitter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42Lact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Gar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4Non-sugar sweeteners
    • A23V2250/262Stevios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54Gell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6Gua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06Fruct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16Malt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2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22Xylit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demineralized or partially demineralized deep sea water), 흑마늘 엑기스(extract of black garlic), 대추엑기스(extract of Jujubae fructus), 유기산(organic acid)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보조성분으로 정제염, 감미제, 점도조절제, 향료, 방부제, 과일주스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의 식사로는 부족하기 쉬운 해양심층수에 의한 필수미네랄 성분등을 공급하고, 신체의 미네랄 균형을 보완해주는 천연미네랄 함유 건강 음료로서 체력증강, 강장효과 및 피로회복, 정력증강, 동맥경화 개선, 신체노화억제, 냉증, 동상을 개선시키고 고혈압, 당뇨증 개선에도 유효한 작용이 있다.
또한 흑마늘의 구성성분 증 유기성 게르마늄, 셀레늄에 의한 암의 억제 및 예방에 도움을 주며, 알레르기 반응시 유리되는 베타헥기 소사미니데스 효소의 유리를 억제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에 관련된 항알레르기 작용이 확인되고 있으며, 또 하나의 구성성분 인 알리신이 위점막을 자극, 위액촉진 및 대장 정장작용에 의한 정장, 소화기능 촉진과 신경세포의 흥분을 진정, 안정화시키고 스트레스 해소 및 불면증 개선, 해독작용과 간 기능 강화 등을 증가시켜 인체의 전반적인 면역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능성 음료조성물, 발효 흑마늘 엑기스, 해양심층수, 대추 엑기스

Description

해양심층수, 흑마늘 엑기스, 대추 엑기스 및 유기산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A functional beverage comprising deep sea water, extract of black garlic, extract of Jujubae fructus and organic acid}
본 발명은 흑마늘 엑기스, 해양심층수, 대추 엑기스 및 유기산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서 해양심층수, 흑마늘 엑기스, 대추엑기스 및 유기산을 함유하고 보조성분으로서 정제염, 감미제, 점도조절제, 향료, 방부제, 과일주스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의 식사로는 부족하기 쉬운 해양심층수에 의한 필수미네랄 성분등을 공급하고, 신체의 미네랄 균형을 보완해주는 천연미네랄 함유 건강 음료로서 체력증강, 강장효과 및 피로회복, 정력증강, 동맥경화 개선, 신체노화억제, 냉증, 동상을 개선시키고 고혈압, 당뇨증 개선에도 유효한 작용이 있다.
또한 흑마늘의 구성성분 증 유기성 게르마늄, 셀레늄에 의한 암의 억제 및 예방에 도움을 주며, 알레르기 반응시 유리되는 베타헥기 소사미니데스 효소의 유 리를 억제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에 항알레르기 작용이 확인되고 있으며, 또 하나의 구성성분 인 알리신이 위점막을 자극, 위액촉진 및 대장 정장작용에 의한 정장, 소화기능 촉진과 신경세포의 흥분을 진정, 안정화시키고 스트레스 해소 및 불면증 개선, 해독작용과 간 기능 강화 등을 증가시켜 인체의 전반적인 면역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인체는 영양의 3대요소인 단백질, 전분질, 지질과 비타민류 등의 기본 영양을 필요로 하지만 소량의 미네랄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의 음식문화는 고단백에 비타민을 첨가한 음식이 발달해 있으므로 미네랄이 결핍될 확률이 많으며, 미네랄이 결핍될 경우, 여러 가지 결핍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필수적인 미네랄의 결핍증과 효능을 살펴보면, 먼저 구리(Cu)는 체내에서 효소를 비롯한 여러 단백질의 한 부분으로서 존재하는 중요한 미량원소로서, 저장된 철분과 장관내의 철분을 헤모글로빈 생성장소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고, 또는 미토콘드리아내 전자전달계의 마지막 과정에 작용하여 ATP(adenosine triphosphate) 생성에 관여하고, 또한 골격성과 심장 순환계의 결합조직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데에도 기여하고, 단독 또는 아연과 함께 항산화효소인 SOD(Superoxide Dismutase)에 결합되어 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결핍 시에는 빈혈, 백혈구 감소, 호중구 감소가 일어나게 되며, 효능으로는 심장혈관질환 예방, 관절염 치료, 산화방지 기능 및 항염증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일일 권장량은 1.5 내지 3.0mg/일이다.
나트륨(Na)은 세포외액의 중요한 성분으로서, 염소이온과 중탄산이온과 함께 인체의 산염기평형을 유지하고, 체액의 삼투압유지 및 체액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결핍 시에는 심신이 허약하고 근육경련, 체중감소, 두통 및 불면을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정상 체액유지와 공급, 인체의 정상적인 산염기 균형유지, 정상적인 근육반응 유지 또는 정상적인 삼투압 유지 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10g 이하이나 한국인은 보통 10 내지 30g을 섭취한다.
마그네슘(Mg)은 인체 내에 약 20 내지 28g이 존재하며, 약 60%가 뼈, 26%는 근육, 나머지는 연조직과 체액에 있으며, 세포내액의 중요한 구성성분으로서, 결핍 시에는 신장 결석같은 신장 질환, 갑상선 기능 항진증, 급성 알코올중독증, 부갑상선장애, 근육경련 등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당질대사, 지질대사, 단백질 대사와 핵산의 합성분해, 체내의 인지질(레시틴)의 합성을 돕고, 비타민C, B 복합체, 인, 나트륨, 칼륨 및 칼슘의 대사를 보조하고 신경 계통의 흥분 진정 효과를 불 수 있으며, 1일 권장량은 300mg이다.
망간(Mn)은 여러 가지 효소의 활성화 작용에 기여하며, 결핍시에는 체중감소, 피부염, 오심 또는 구토, 머리칼 변색, 생식능력 저하 또는 췌장기능 저하로 인한 당뇨 증상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노이로제, 조울증 또는 정신분열증 등과 같은 정신병적 증상의 치료 효과, 성적 능력 강화, 당뇨 및 천식 치료 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2.5 내지 5mg이다.
셀레늄(Se)은 천연토코페롤의 1,970배에 이르는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결핍시에는 암, 심장질환, 면역기능 저하, 적혈구 기능저하, 근육통, 심근 퇴하, 근긴장 증강, 췌장기능 퇴하 등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중금속의 무독화, 항산화작용, 항노화, 항암, 심장혈관질환 예방, 간경화 예방, 염증성 질환 예방, 당뇨병 합병증 예방, 간장 및 신장의 기능 강화, 생식기능 강화, 백내장 예방, 면역기능 향상 등의 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50 내지 200㎍이다.
아연(Zn)은 모든 체세포안에 있으며, 200개가 넘는 효소들의 구성성분으로서, 결핍시에는 태아의 기형발생 유발, 수면 및 행동장애, 여드름 또는 피부염 발생, 알코올성 간경화, 염증성 장질환, 자폐증 또는 정신병 등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태아성장 촉진, 정자 형성 촉진, 피부 저항력 강화 및 피부염 치료, 성장 발육 촉진, 인슐린 분비 증강, 동맥경화 예방 또는 갑상선 가능 조절 등의 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15mg이다.
인(P)은 칼슘 다음으로 체내에 많은 무기질로 인체의 전체 미네랄 중 22%를 차지하며, 에너지의 저장과 방출에 관여하고 인지질과 리포단백의 구성성분이며 세 포의 구조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핵산의 보조효소로도 작용한다. 결핍시에는 ATP 합성 저하로 무기력해지며, 유아의 체중 감소, 구루병, 성인의 골연화증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칼슘과 결합하여 구루병과 골연화증을 예방하고 많은 비타민 B와 결합하여 효소활성을 가지며, 1일 권장량은 800mg이다.
칼륨(K)은 성인의 체내총량이 150g 정도로 세포내액의 산, 알카리 평형에 가장 중요한 미네랄이며, 결핍시에는 부정맥, 저혈당, 무력증 등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정상 체액유지와 공급, 인체의 정상적인 산염기 균형유지, 정상적인 근육반응 유지, 정상적인 삼투압 유지, 혈관 확장, 인슐린 분비 촉진, 심근경색의 방어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3,600 내지 10,000이다.
칼슘(Ca)은 체내 무기질 중 가장 양이 많은 원소로, 매일 700mg 정도의 칼슘이 뼈와 혈액사이를 이동한다. 결핍시에는 혈액속의 칼슘저하로 말초신경과 근육접합부의 흥분성이 높아져 가벼운 자극으로 근육, 주로 손, 발, 안면근육이 수축 및 경련을 일으키는 테타니증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골다공증, 구루병, 골절, 충치, 퇴행변성 관절증의 치료효과, 고혈압, 동맥경화증, 설사 또는 당뇨의 예방, 알레르기 질환 또는 감기 예방, 불면증, 신경과민의 치료, 심근 수축력의 증강, 신경 및 근육의 흥분, 혈액응고작용의 촉진 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1내지 1.2g이다.
철(Fe)은 헤모글로빈 속에 함유되어 산소와 결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철분이 부족하면 헤모글로빈을 생성할 수 없어서 적혈구도 보통보다 작아지게 되며 안색이 나빠지고, 쉽게 피로해지며 철분의 균형을 잃게 되어 빈혈이 유발된다.
해수에는 상기 언급된 구리, 나트륨, 마그네슘, 망간, 셀레늄, 아연, 인, 칼륨, 칼슘, 철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이 외에도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소인 미량의 원소가 균형있게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해수는 표층수와 해양심층수로 구분되어 불려지고 있으며, 해양 심층수는 해수 표면으로부터 200미터 이하의 해수를 일컫는 것으로서,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아 식물성장에 필요한 질소, 인, 규산 등의 무기영양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대기나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 및 일반세균에 오염되지 않으므로 해양성 세균수도 적어 물리적 청정성도 매우 뛰어나며, 필수 미량원소와 다양한 미네랄이 균형있게 포함되어 있고, 또한 4대 미네랄(마그네슘, 칼슘, 칼륨, 나트륨)외 아연, 셀렌, 망간 등을 포함하여 스트레스나 체질 불량 등으로 발생되는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기능도 우수하며, 식수로 사용하는 지표수나 지하수 등에 비해 청정도가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양 오염이 심각한 현재의 상태에서 표층수는 식음료로 적합하지 않으나, 해양심층수는 표면층에 비하여 생균수가 그다지 많지 않을뿐더러 병원성 생물이 조금도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음료로 선택하는 경우에 안전성이 지극히 높다고 할 수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평5-219921호).
이러한 해양 심층수의 특징은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심해에서는 영양 물질을 소비하는 식물 플랑크톤이 없기 때문에 박테리아 등에 의하여 분해된 영양물질이 풍부하고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부영양성(미네랄성)이 있고, 표면 해수로부터 200미터 이하에는 유기물의 농도가 낮고, 대장균 또는 일반세균에 의한 오염이 없으며, 육지나 대기로부터의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의 가능성도 적은 청정성을 갖고 있으며, 일년 내내 저온으로 그 변화가 적고 안정된 낮은 수온성을 갖고, 해양 심층수는 수천년 동안 형성된 물이기 때문에 그 성질이 안정되어 있으며, 각종 효소들의 작용으로 인하여 숙성화 되어 있는 숙성성을 갖고 있으며, 필수 미량원소나 다양한 미네랄 성분이 균형있게 포함되어 있어 용존되어 있는 금속이온들의 작용으로 활성 산소에 대한 탁월한 소거작용 효과 등의 특성으로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해양심층수는 해수를 가열 농축하고 그 농축액을 냉각한 후, 농축액으로부터 얻어진 결정분을 제거하고, 이를 농축액의 부피가 원래 부피의 1/1000이하로 농축될 때까지 지속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증진액 및 그 제조방법을 기재하고 있고 그 용액 일부를 음료수에 가함으로써 당뇨병, 알레르기성 질환, 심근경색 등의 현대병의 예방에 유효한 건강음료를 개시하고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제 평6-209739호).
또한 이 해양 심층수를 전기분해장치에서 전기분해를 시행하여 그 양극쪽으로부터 얻어진 강산성 산화수(pH 2.4 내지 2.7이하에서 산화환원전위가 1000mV 이상)와 음극쪽으로부터 얻어진 알칼리 환원수가 알려져 있는데, 강산성 산화수의 용도로서는 그 산화력과 산성에 의한 살균작용으로 이용하여 의료용 기구의 소독살균 및 식품의 살균소독에 이용되어 왔다. 알칼리 환원수에 대해서는 위장내의 이상발효, 만성설사, 소화불량, 제산 및 위산과다 등의 위장질환에 대하여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198575호 참조).
또한 해양 심층수에 함유된 미네랄 성분에 중점하여 미네랄 성분으로서 종래에 알려진 칼슘, 마그네슘 이외에 동, 아연 등의 금속이나 요소 등의 필수 미네랄 성분이 확인되었고, 생균수가 표층수보다 적기 때문에 이 심층수를 천연 미네랄수로 음료수에 첨가하여 미네랄 음료로서도 개발된 바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평5-219921호).
해양 심층수에는 4대 미네랄(마그네슘, 칼슘, 칼륨, 나트륨), 아연, 망간 등을 포함하여 스트레스나 체질 불량 등으로 발생되는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기능도 우수하며, 이처럼 미량원소나 다양한 미네랄 성분에 균형있게 포함되어 있어 용존되어 있는 금속이물 등의 작용으로 활성산소에 대한 탁월한 소거작용 효과 등의 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또한 이 심층수를 역삼투압 장치를 이용하여 담수(淡水)화된 물에 해수를 취하여 얻어진 쓴 맛의 즙과 광산(鑛酸)을 첨가한 음료도 알려져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150960호).
그러나, 상기한 제조공정들은 역삼투압이나 전기분해 등의 증발농축 단계를 필수적으로 거치기 때문에 미네랄 농축액과 미네랄분이 희박하거나 함유되지 않는 물도 생산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광천수로부터 미네랄 성분을 제거한 물에 탈염 처리하여 얻어진 심층수로부터 얻은 미네랄 성분을 첨가한 광천수 음료에 대한 연구도 시행된 바가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190256호).
이러한 심층수는 아토피성 피부병 등의 피부치료를 위한 겔 제제로서 개발되거나(일본공개특허공보 평9-110702호), 두부 등과 같은 식품가공품 및 의약부외품 등에 배합하거나(일본공개특허공보 평9-28269호), 이 해양 심층수를 기본구성으로 하여 원료액즙, 당질원료, 부원료, 음료용수 등을 가하여 건강음료로 개발하거나(일본공개특허공보 제5-219921호), 빵을 만드는 공정 중에 사용하는 제조공정 중에 사용되는 수분 또는 액체로서 심층수를 사용하는 제조방법 등이 연구된 바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0-333592호).
마늘(Garlic, Allium sativum)은 중앙아시아가 원산지로 추정되며, 우리나라 에서는 단군신화에 나오는 것으로 보아 매우 오랫동안 재배되어 온 것임을 알 수 있다. 마늘은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매우 많은 유익한 효과를 갖고 있다. 마늘을 적량 상식하면 쇠약해진 위나 장의 소화 능력과 영양분의 흡수 능력을 높일 수 있다. 이것은 알리신이 소화에 필요한 물질의 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마늘은 알리신의 철분 흡수 작용으로 적혈구를 만들어 내는 조혈기능 및 신경안정작용이 있다. 마늘은 또한 혈관을 강화하고 탄력을 유지하며, 마늘의 알리신 성분은 몸 전체의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혈전을 녹여 심장마비나 뇌혈전을 예방한다. 마늘은 여성 호르몬의 분비 기능을 높여서 피로회복이나 갱년기 장애를 예방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며, 당뇨병에 마늘과 비타민C를 함께 복용하면 인슐린 분비가 촉진되어 당뇨병 환자의 혈당 개선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그 외에도 마늘은 혈압조절작용, 해독살균작용, 면역강화작용, 항암작용, 아토피성 피부염의 알레르기 억제작용, 정력증강, 신체노화억제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 또한, 마늘은 인체에 매우 유용한 필수 아미노산을 매우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으며, 마늘에 포함된 각각의 아미노산의 역할을 정리하면 하기 표1과 같다.
표 1.
마늘에 포함된 아미노산 18종 성분 및 역할
세린(Serine) 인슐린 생산 촉진, 혈당저하, 정력강화
티로신(tyrosine) 어린이 성장발육, 질소대사
글리신(Glycine) 콜레스테롤 억제, 간기능강화, 혈당저하, 지방분해/다이어트
시스틴(Cystine) 당뇨 억제, 인슐린생산 촉진, 간기능 강화
알라닌(Alanine) 만성피로 억제, 간기능 강화, 콜레스테롤 억제, 알코올 해독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숙취해소, 간장보호, 고혈압개선
트레오닌(Threonine) 지방간 방지, 면역증진
글루탐산(Glutamic acid) 음식의 조미, 위장강화
프롤린(Proline) 콜레스테롤 제거
발린(Valine) 근육활동증진, 두뇌안정, 정서안정
이소류신(Isoleucine) 성장 및 정력강화
류신(Leucine) 헤모들로빈의 구성요소, 폐경유발 골다공증 완화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혈관보호, 정신안정/뇌세포재생, 호르몬 활동 증진
히스티딘(Histidine) 청각의 신경세포, 피부 미용
리신(Lycine) 소아발육, 항체형성, 호르몬촉진, 정력증강
아르기닌(Arginine) 결석여과, 노폐물의 무독화, 불임예방, 정자생산, 성장활력
메티오닌(Methionine) 간장과 심장세포 재생, 탈모방지
트립토판(Tryptophane) 영아의 발육, 성인의 질소 대사
이와 같이, 마늘은 신체에 매우 다양하고 유익한 효과가 있지만, 생마늘을 지나치게 먹으면 위 점막이나 간에 자극을 줄 수 있어 문제가 된다. 따라서, 생마늘 복용에 따르는 부작용을 줄이고 유용한 성분만을 흡수할 수 있도록 통마늘(건조마늘)을 가공, 처리하는 많은 방법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왔다.
마늘(Allium sativum L.)은 파, 양파, 부추, 달래 등과 함께 식물분류학적으로 백합과(Liliaceae) 알리움속(Allium)에 속하는 다년생 구근 식물로, 5천년 이상 재배되어 온 인류 최초의 경작식물 중의 하나이다. 마늘의 1차 기원지는 중앙아시아, 2차 기원지는 지중해지역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여기로부터 세계로 보급되어 오래전부터 사용됐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이집트의 단편기록에 따르면 마늘의 22가지 이용법이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심장질환, 두통, 종양, 기생충 등에 대하여 적용하였음이 언급되어 있어, 식품으로뿐만 아니라 민간 의약품으로 이용되기 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마늘이 삼국유사의 단군신화에 산(蒜)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재배역사가 매우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마늘은 약60% 정도의 수분, 28% 탄수화물(주로 fructan), 2.3% 유기황화합물, 2%단백질(주로 allinase), 1.2% 유리아미노산(주로 arginine), 1.5% 섬유소, 0.15% 지방, 소량의 피친산(Phytic Acid, 0.08%), 사포닌(0.07%) 그리고 시토스테롤(0.0015%) 등이 함유되어 있고, 비타민 A, B1, B2, C 등의 비타민류와 칼슘 칼륨, 구리, 아연, 게르마늄, 철, 마그네슘, 망간, 인, 황, 셀레늄 등의 무기물도 미량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마늘의 세계, 박홍현 저, 효일 출판사, 2004).
상기에서 유기황화합물은 S-알릴-L-시스테인 설폭사이드(S-allyl-L-cystein sulfoxide)로, 알리인(alliin)(1%), 메티인(0.12%), 아이소알리인(0.06%), 사이클로알리인(0.1%)을 포함하고, L-글루타밀-S-알릴-L-시스테인에는 글루타밀-S-트랜스-1-프로페닐 시스테인(0.6%)과 글루타밀-S-알릴-L-시스테인(0.4%)도 포함한다.
상기 마늘이 함유하고 있는 알리인(alliin)은 마늘이 상처를 입거나 분쇄를 하였을 때 알리이나제(alliinase)라는 효소작용에 의해서 알리신(allicin)으로 변화하는데, 이 알리신은 마늘의 주성분으로 알려진 성분으로 실온에서 매우 불안정하여 2~16시간 만에 알리신의 성분이 절반으로 줄어들게 되고 다른 효소들의 작용에 의하여 다른 황화합물로 전환이 되어 마늘 특유의 복합적인 냄새를 야기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다.
따라서 마늘 특유의 냄새나 자극을 감소시키고 인체에 마늘 함유 성분이 갖는 고유의 효능을 발휘하는데 더욱 효과적인 마늘의 처리방법들이 개발되어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 1995-23328호는 마늘을 물에 놓고 고온에서 추출 여과한 후 사이클로덱스트린을 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취 마늘 엑기스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국내등록특허 제205498호는 마늘에 유기산 또는 유기산 수용액을 첨가하여 분획, 여과하여 얻은 무취 마늘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균효과 및 방부력이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국내등록특허 제571496호는 설탕-과당-올리고당의 혼합용액에 마늘을 넣어 자연발효시킨 1차, 2차 발효추출액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마늘껍질액과 혼합 후 다시 3차 발효하여 제조된 발효액을 이용한 무취의 기능성 마늘 발효음료 및 그 제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530386호는 일정온도와 습도에서 자기 발효시켜 마늘 본래의 유효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항산화력 및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된 숙성마늘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숙성된 마늘의 효과가 충분치 않으며 그 효능을 더 이상 증대시킬 수가 없는 한계가 있고, 국내등록특허 제663168호는 통마늘을 이용한 발효발아 홍마늘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마늘은 마늘 특유의 성분인 알리신(Allicin)과 다른 유황화물은 노화방지(항산화 작용)를 비롯하여 콜레스테롤 저하, 항암작용, 항균 및 살균작용, 허혈성 심 장병, 고혈압 강하작용 및 해독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수성분인 알리신은 마늘 속의 분해효소에 의해서 생성된 분해산물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생화학적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는 계속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통적으로 건강식품으로 알려진 생마늘은 자극성이 심하고, 마늘에서 나는 특유한 냄새 때문에 마늘을 먹고난 후 입냄새(구취) 때문에 주위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줄 뿐 아니라, 외국인의 경우 마늘의 특유냄새 때문에 기피하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마늘은 매우 자극적인 식품으로 빈속에 날것으로 먹을 경우 위장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그대로 섭취하기를 꺼려하고, 대부분 요리할 대 향신료로 사용하고 있으나, 일정시간 경과하면 쉽게 변질되기 때문에 분말로 사용하고 있으나 마늘의 고유 성분이 파괴될 가능성이 높고, 향신료로서의 역할을 다 할 수 없다.
마늘의 가공방법으로 다양한 특허가 공지되어 있다. 먼저, 무취마늘 엑기스 제조방법(공개 특허 : 공개번호1995-23328호)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서는 마늘 고온에서 물로 추출한 후 여과한 다음 사이클로덱스트린을 가하여 제조하였고, 마늘 향신제품(특허 제 1992-2052호)에서는 마늘 박피를 에탄올로 추출한 후 농축한 것과 마늘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정유 성분으로 향신제품을 만들었다. 또 다른 특허로서, 마늘의 냄새를 제거하는 방법(특허 공개번호, 특 1991-0011154)에서는 알긴산나트륨을 사용하여 냄새없는 마늘장아찌를 만들었다고 하였고, 숙성마늘의 제조법(등록번호 10-0530386)에서는 마늘을 40~90℃에서 280~320시 간 열풍건조하여 숙성마늘을 제조하였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오늘날 마늘은 식재뿐만 아니라 건강식품으로도 전 세계적으로도 많은 인기를 모으고 있다. 그 이유는 마늘의 약효가 인체에의 사용경험이 오래전부터 인정되어 왔기 때문이며 마늘은 여러 가지 효능이 광범위하게 실증되었는데, 특히, 감염증, 순환기병, 암 예방의 영역에서는 우수한 효과는 이미 증명된 바 있다.
마늘에는, 면역력을 증강하는 효과가 있고, 병원균과 암세포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효과가 기대되며, 순환기병의 예방과 치료효과를 갖는 것이 많은 동물실험 및 임상시험에 의해 이미 인정되었다.
그러나 생마늘은 냄새와 위장의 자극작용으로 많이 섭취하는 것이 곤란하지만, 마늘을 발효 또는 숙성시키면 마늘 냄새가 없어지고, 자극성도 감소하며, 항산화력이 높아져, 암의 예방효과가 있는 S-아릴시스테인과 S-아릴머캅토시스테인 등의 신규성분이 생성되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Block, E. Angew. Chem. Int. Ed. Engl. 1992; 31; 1135-1178)
특히 발효-숙성된 마늘에 포함된 수용성의 물질인 S-propyl cysteine, S-allyl cysteine(SAC), S-ethyl cysteine 등은 간세포에서 콜레스테롤 생성을 42~55% 정도로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는데 이는 생마늘 성분에 포함된 gamma-glutamyl-S-allyl cysteine, gamma-glutamylS-methyl cysteine, 그리고 gamma-glutamylS-propyl cysteine의 감소율 16~29%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Liu, L. and Y도, Y. 2000. Lipids 35(2):197-203
이와 같이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생마늘의 유효성분의 건강작용을 한층 높이 고, 뛰어난 항산화력과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발효-숙성마늘은 고지혈증과 고혈압, 심장병 등 생활 습관병을 예방하고 암 환자의 저항력과 항암력을 높이는 건강식품으로 일본과 미국에서는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 최근 일본을 중심으로 발효-숙성마늘 즉, 흑마늘에 대한 연구발표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Isaacsohn, J et al. 1998. Arch Intern. Med. 158: 1189-1194)
하지만 마늘의 최대 생산과 소비국 중의 하나인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발효-숙성 마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관련 제조기술의 개발노력이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마늘의 자극적인 매운 맛에 대해서는 계속적인 논란이 있어 왔으나 1991년 stoll과 seebec k에 의해서 생마늘에 존재하는 무취, 무미의 알린(alliin)이 공기 중에서 외부의 힘에 의해서 마늘이 부서질 때 역시, 마늘 내에 존재하는 알리나제(alliinase)에 의해서 알리신(allicin)으로 바뀌기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최근 알리신의 자극성을 피해 마늘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가공공정 중에 마늘의 기능성 성분들이 파괴되기 때문에 마늘의 유효성분이 유지 또는 향상되면서 섭취가 용이한 방법으로 숙성마늘의 제조기술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 효능이 주목받고 있는 S-아릴시스테인(SAC)은 생마늘에는 들어있지 않은 신규물질로, 다양한 건강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마늘을 숙성시키면 원래 존재하지 않던 S-아릴시스테인(S-allylcysteine;SAC)과 S-아릴머캅토시스테인(S-allyl-mercaptocysteine;SAMC) 그리고 S-propyl cysteine, S-ethyl cysteine이라는 새로 운 성분이 출현하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들 수용성의 알릴 설파이드(allyl sulfides) 화합물인 SAC(S-allyl cysteine)등은 경구 섭취에 의해 대부분이 혈액으로 흡수되며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과 아울러 전립선암, 대장암을 포함한 피부암, 폐암, 림프종, 백혈병, 림파선암 다양한 종류의 암에서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Knowles and Milner 2000)
최근 국내에서도 여러 업체에서 발효-숙성 마늘을 흑마늘이라는 이름으로 제조하여 시판하기 시작하였는데 현재 대부분의 흑마늘은 일정한 온도와 습도 하에서 약 1~3개월 정도로 단순 숙성시켜 만들어진다.
흑마늘은 생마늘을 일정조건의 온도 및 습도에서 숙성 및 발효시킨 것으로서, 숙성과정에서 마늘냄새를 유발하는 휘발성 성분이 줄어 모든 사람들이 거부감 없이 먹을 수 있고 과당의 함량이 높아 새콤달콤한 맛까지 나는 것으로 생마늘에 비하여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SOD(Super Oxide Dismutase)함량이 높으며 그리고 생마늘에는 없는 항산화 물질인 S-아릴시스테인(S-allylcysteine)과 S-아릴머캅토시스테인(S-allyl-mercapto-cysteine)과 폴리페놀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각종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지금에 이르러 마늘은 육가공 및 많은 가공식품에 광범위하게 첨가되고 있으며 그 수요는 점차 증가되고 있다. 또한 이뇨제, 폐렴, 화농성질환, 향균작용, 중금속중독에 대한 해독작용, 항암작용, 동맥경화예방 또는 치료의 의약품으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마늘에는 일반적으로 약 1%의 휘발성정유가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60%는 디알릴 디설파이드(diallyl trisulfide), 알릴 메틸설파이드(Allyl methyl sulfide), 디알릴 트리설파이드(diallyl trisulfide), 및 알리신(allicin) 등 여러 가지의 황화합물로서 자극성이 강한 냄새를 내는 것은 알리신이다. 상기의 알리신은 마늘의 인경에 존재할 때는 냄새가 없다가 마늘의 세포가 파괴될 때에 같이 함유되어 있던 알리나제(allinase) 효소가 작용하여 냄새와 매운 맛이 강한 알라신으로 변하여 여러 가지 독한 방향물질이 발생된다.
상기 알리신은 비타민 B1과 결합하여 알리티아민(allithiamine)이 되어 지속성 B1의 효력을 가지게 한다. 또한 비타민B2, 비타민 C가 많아 비타민류의 풍부한 공급원이 된다. 상기와 같이 마늘은 우리나라에서 없어서는 안될 최고의 향신료이다.
마늘은 이러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생마늘을 비롯 다진마늘(간마늘)등은 그대로 섭취할 경우 자극성이 심하여 대부분 향신료나 기타 식품 소재들과 함께 사용해 왔다. 또한 열이나 온도 변화에 약하여 운반과정이나 보관과정상에 약간 흠집이 날 경우 곧바로 갈변현상을 일으켜 상품성을 현저히 떨어뜨리게 하는 문제요소로 작용해 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그동안 마늘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마늘을 물에 넣고 고온에서 추출 여과한 후 사이클로덱스트린을 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취마늘 엑기스의 제조방법(특허 제 1995-23328호), 마늘에 유기산 또는 유기산 수용액을 첨가하여 분해 여과하여 얻은 무취마늘 추출물을 함유하여 향균효과 및 방부력이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특허 (특허 제 205298호), 설탕 과당 올리고당의 혼합용액에 마늘을 넣어 자연발효시킨 1차, 2차 발효추출액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마늘 껍질액과 혼합 후 다시 3차 발효하여 제조된 발효액을 이용한 무취의 기능성 마늘 발효음료 및 그 제조방법(특허 제 571496호), 숙성마늘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일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자기 발효시켜 마늘 본래의 유효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항산화력 및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된 숙성마늘의 제조방법(특허 제530386호) 등이 알려져 있다.
국내특허 제06663168호에는 발아, 열처리, 고온열풍처리, 저온열풍처리 및 건조를 통해 마늘의 항산화력과 폴리페놀의 함량이 증가하고 글루칸을 함유한 마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특허 10-0774498호에는 쑥 훈증을 이용한 발효숙성 흑마늘 제조방법으로서, 마늘을 터널식 건조기에 넣어 20~40℃온도에서 쑥을 태워 발생하는 연기로 훈증하는 1단계; 상기 훈증된 마늘을 터널식 건조기에 넣어 65~95℃에서 8~16시간 자기 발효숙성시키는 2단계; 상기 발효숙성된 마늘을 녹차추출액을 해양심층수 에 희석하여 만든 침지액에 12시간~24시간 침지시키는 3단계; 상기 침지시킨 마늘을 건진 후 터널식 건조기 내의 온도 50~95℃, 습도 35~85%에서 120~288시간 동안 고온 열풍 처리 및 발효숙성시키는 4단계; 상기 4단계에서 고온 열풍 처리 및 발효숙성 시킨 마늘을 냉풍으로 냉각시키는 6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천연미네랄이 다량으로 균형있게 구성되어 신체의 미네랄 균형을 보완해주는 특징을 가진 해양심층수에 강정(彊精), 강장(彊壯), 혈액순환개선, 동맥경화(심근경색, 협심증, 뇌졸중), 해독 살균작용, 항암작용을 가진 흑마늘로 구성된 조성물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를 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해양심층수, 발효 흑마늘 엑기스, 대추 엑기스 및 유기산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은 개발된 바 없으며 이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에 의하여 비로서 개발되었다. 해양심층수, 발효 흑마늘 엑기스 및 유기산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보조성분으로서 정제염, 감미제, 점도조절제, 향료, 방부제, 과일주스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의 식사로는 부족하기 쉬운 해양심층수에 의한 필수미네랄 성분등을 공급하고, 신체의 미네랄 균형을 보완해주는 천연미네랄 함유 건강 음료로서 체력증강, 강장효과 및 피로회복, 정력증강, 동맥경화 개선, 신체노화억제, 냉증, 동상을 개선시키고 고혈압, 당뇨증 개선에도 유효한 작용이 있다.
통상의 식사로는 부족하기 쉬운 해양심층수에 의한 필수미네랄 성분등을 공급하고, 신체의 미네랄 균형을 보완해주는 천연미네랄 함유 건강 음료로서 체력증강, 강장효과 및 피로회복, 정력증강, 동맥경화 개선, 신체노화억제, 냉증, 동상을 개선시키고 고혈압, 당뇨증 개선에도 유효한 작용이 있다.
또한 흑마늘의 구성성분 증 유기성 게르마늄, 셀레늄에 의한 암의 억제 및 예방에 도움을 주며, 알레르기 반응시 유리되는 베타헥기 소사미니데스 효소의 유리를 억제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에 항알레르기 작용이 확인되고 있으며, 또 하나의 구성성분인 알리신이 위점막을 자극, 위액촉진 및 대장 정장작용에 의한 정장, 소 화기능 촉진과 신경세포의 흥분을 진정, 안정화시키고 스트레스 해소 및 불면증 개선, 해독작용과 간 기능 강화 등을 증가시켜 인체의 전반적인 면역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발효 흑마늘 농축액(엑기스)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Demineraliged or partilly demineraliged deep sea water), 대추 엑기스(extract of Jujubae fructus) 및 유기산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효 흑마늘 농축액,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를 주성분, 대추 엑기스 및 유기산에 보조성분으로서 정제염, 감미제, 점도조절제, 향료, 방부제, 과일주스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의 식사로는 부족하기 쉬운 해양심층수에 의한 필수미네랄 성분등을 공급하고, 신체의 미네랄 균형을 보완해주는 천연미네랄 함유 건강 음료로서 체력증강, 강장효과 및 피로회복, 정력증강, 동맥경화 개선, 신체노화억제, 냉증, 동상을 개선시키고 고혈압, 당뇨증 개선에도 유효한 작용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산은 구연산 또는 그 금속염, 젖산 또는 금속염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염은 나트륨, 칼륨, 칼슘에서 선택된 금속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정제염은 식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도조절제는 겔란검, 구아검, 알기닌산 나트륨, CMC 소디움에서 선택된 점도조절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부제로는 안식향산, 안식향산 나트륨,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 에틸,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및 파라옥시안식향산 부틸에서 선택된 방부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향료는 허벌향, 스트로베리향 및 통상으로 사용되는 천연 또는 인공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과일주스는 오렌지 주스 또는 오렌지추출물, 레몬주스 또는 레몬추출물, 자몽주스 또는 자몽추출물, 사과주스 또는 사과추출물, 딸기주스 또는 딸기추출물, 복숭아주스 또는 복숭아추출물, 자두주스 또는 자두추출물, 망고주스 또는 망고 추출물 및 파파야주스 또는 파파야 추출물에서 선택된 과일주스 또는 과일추출물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100ml 중에 발효 흑마늘 엑기스 1,000~10,000mg, 대추 엑기스 30~1000mg 및 유기산 10~1000mg을 함유하며, 그 외에 위 열거한 보조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탈염 또는 부분 탈염된 해양심층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란 나트륨이온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제거하고 다른 미네랄 성분은 그대로 잔존하는 해양심층수를 의 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주성분이외에 사용될 수 있는 보조성분으로서는 감미제, 유기산 또는 그 금속염, 글리세린, 점도조절제, 향료 등이고, 과일주스는 시판중인 성분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감미제는 D-솔비톨, 자일리톨과 같은 다가 알콜, 서당, 글루코스, 말토스, 후락토스, 이성화당과 같은 당류, 스테비오사이드, 꿀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산은 구연산 또는 그 금속염, 젖산 또는 그 금속염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향료는 허벌향, 스트로베리향 및 통상으로 사용되는 천연 또는 인공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 100ml당 감미제 1g50g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 100ml당 유기산 또는 유기산염 101.000mg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로서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점도 조절제를 함유 할수 있다. 이때 사용될수 있는 점도조절제는 겔란검, 구아검, 알기닌산 나트륨염, CMC 소디움에서 선택된 점도 조절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 50ml당 과일주스 또는 과일추출물 적량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점도조절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 때에 사용될 수 있는 점도조절제는 겔란검, 구아검, 알기닌산 나트륨염, CMC 소디움에서 선택된 점도조절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방부제 또는 보존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부제 또는 보존제로서는 안식향산 나트륨, p-메틸 안식향산, p-에틸안식향산, p-프로필안식향산 또는 이들의 알칼리금속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사용량은 기능성 음료조성물 100ml당 1mg 내지 100mg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좀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의 제조는 그 취수지역에 따라서 미네랄의 함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등록 제 10-0854700호에 의하면, 각 취수 지역에 따른 심층수의 성분분석치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
동해심층수
(고성)
일본고치현심층수 일본오끼나와현심층수 미국하외이심층수
염분(mg/ml) 33.72-33.94 34.3-34.4 34.71 34.37-34.29
pH 7.19-7.90 7.8-7.9 7.93 7.45-7.64
인산염 1.7-4.3 1.1-2.0 3.05 2.89-3.15
질산염 3.6-13.3 12.1-26.0 21.89 39.03-40.86
규산염 72.0-108.0 33.9-56.8 44.81 74.56-79.2
용존산소 9.13-9.47 4.1-4.8 1.24-1.45
(mg/ml)
공개특허공보 특 2003-0066025호에 의하면,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의 성상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표 2
해양심층수의 탈염 정제법 전기 투석정제 역삼투압여과정제
pH 8.2 5.54
Na(mg/L) 123 25
K(mg/L) 12 1.6
Ca(mg/L) 189 1.1
Mg(mg/L) 830 2.6
Cl(mg/L) 3020 54
SO4 -2(mg/L) 301 3.4
PO4 -3(mg/L) 0.1
PO4 -2-P(mg/L) 0.04
SiO2-Si(mg/L) 1.0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감미제, 유기산, 유기산의 금속염, 젖산, 젖산의 금속염, 향료, 과일 주스는 시판중인 감미제, 유기산, 유기산의 금속염, 젖산, 젖산의 금속염, 향료, 과일 주스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의 공정으로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탱크에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를 투입하고,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제리 및 프로폴리스를 투입하고, 필요하면 감미제, 보존제, 점도조절제, 유기산등을 투입하고 8095℃로 가열하여 용해시킨다. 여기에 해양심층수를 더 가하여 전체를 조절한 다음 멸균한 다음 적당한 용기에 한다.
상기의 표 2에서 얻어진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 또는 기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 심층수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식사로는 부족하기 쉬운 해양심층수에 의한 필수미네랄 성분등을 공급하고, 신체의 미네랄 균형을 보완해주는 천연미네랄 함유 건강 음료로서 체력증강, 강장효과 및 피로회복, 정력증강, 동맥경화 개선, 신체노화억제, 냉증, 동상을 개선시키고 고혈압, 당뇨증 개선에도 유효한 작용이 있다.
또한 흑마늘의 구성성분 증 유기성 게르마늄, 셀레늄에 의한 암의 억제 및 예방에 도움을 주며, 알레르기 반응시 유리되는 베타헥기 소사미니데스 효소의 유리를 억제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에 항알레르기 작용이 확인되고 있으며, 또 하나의 구성성분 인 알리신이 위점막을 자극, 위액촉진 및 대장 정장작용에 의한 정장, 소화기능 촉진과 신경세포의 흥분을 진정, 안정화시키고 스트레스 해소 및 불면증 개선, 해독작용과 간 기능 강화 등을 증가시켜 인체의 전반적인 면역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에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원료명 함량
발효흑마늘 엑기스(국산, 30Brix) 5,400mg
구연산 30mg
수크랄로스 5mg
대추액스(코시스 65Brix) 1000mg
정제염 45mg
산탄검 30mg
안식향산나트륨 29mg
탈염 해양심층수 적량을 가하여
전체 100mL
제조방법
1) 90℃의 탈염 해양심층수에 발효 흑마늘 엑기스, 구연산, 스크랄로스, 대추엑기스, 정제염, 산탄검, 안식향산나트륨을 가하여 교반, 용해한다.
2) 1)의 액을 완전 용해시킨 후 해양심층수로 표선하고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실시예 2
원료명 함량
발효흑마늘 엑기스(국산, 30Brix) 10,000mg
구연산 100mg
수크랄로스 20mg
대추 엑기스(코시스 65Brix) 2400mg
정제염 90mg
산탄검 60mg
안식향산나트륨 50mg
탈염 해양심층수 적량을 가하여
전체 100mL
제조방법
1) 90℃의 해양심층수에 발효 흑마늘 원액, 구연산, 스크랄로스, 대추엑기스, 정제염, 신탄검, 안식향산나트륨을 가하여 교반, 용해한다.
2) 1)의 액을 완전 용해시킨 후 해양심층수로 표선하고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실시예 3
원료명 함량
발효흑마늘 엑기스(국산, 30Brix) 6,480mg
구연산 50mg
수크랄로스 5mg
대추액스(코시스 65Brix) 1400mg
산탄검 50mg
안식향산나트륨 50mg
탈염 해양심층수 적량을 가하여
전체 100mL
제조방법
1) 90℃의 해양심층수에 발효 흑마늘 원액, 구연산, 스크랄로스, 대추엑기스, 정제염, 신탄검, 안식향산나트륨을 가하여 교반, 용해한다.
2) 1)의 액을 완전 용해시킨 후 해양심층수로 표선하고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실시예 4
원료명 함량
발효흑마늘 엑기스(국산, 30Brix) 7,020mg
구연산 60mg
수크랄로스 5mg
대추액스(코시스 65Brix) 1600mg
정제염 45mg
산탄검 30mg
안식향산나트륨 29mg
탈염 해양심층수 적량을 가하여
전체 100mL
제조방법
1) 90℃의 해양심층수에 발효 흑마늘 원액, 구연산, 스크랄로스, 대추엑기스, 정제염, 신탄검, 안식향산나트륨을 가하여 교반, 용해한다.
2) 1)의 액을 완전 용해시킨 후 해양심층수로 표선하고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실시예 5
원료명 함량
발효흑마늘원액(국산, 30Brix) 7,560mg
구연산 70mg
수크랄로스 5mg
대추액스(코시스 65Brix) 1800mg
정제염 45mg
신탄검 30mg
안식향산나트륨 29mg
탈염 해양심층수 적량을 가하여
전체 100mL
제조방법
1) 90℃의 해양심층수에 발효 흑마늘 원액, 구연산, 스크랄로스, 대추엑기스, 정제염, 신탄검, 안식향산나트륨을 가하여 교반, 용해한다.
2) 1)의 액을 완전 용해시킨 후 해양심층수로 표선하고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Claims (7)

  1.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demineralized or partially demineralized deep sea water), 흑마늘 엑기스(extract of black garlic), 대추엑기스(extract of Jujubae fructus) and 유기산(organic acid)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보조성분으로 정제염, 감미제, 점도조절제, 향료, 방부제, 과일주스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기능성 음료조성물 100ml당 흑마늘 발효농축액 1,000~10,000mg, 대추엑기스 1000~3000mg, 구연산 30~1000mg을 함유하며 나머지는 탈염 또는 부분 탈염된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유기산이 구연산, 또는 그 금속염, 젖산 또는 금속염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기산인 기능성 음료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감미제로 D-솔비톨, 자일리톨과 같은 다가 알콜, 서당, 글루코스, 말토스, 후락토스, 과당, 이성화당과 같은 당류, 스테비오사이드 및 꿀에 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 의 당류인 기능성 음료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과일주스가 오렌지 주스 또는 오렌지추출물, 레몬주스 또는 레몬추출물, 자몽주스 또는 자몽추출물, 사과주스 또는 사과추출물, 딸기주스 또는 딸기추출물, 복숭아주스 또는 복숭아추출물, 자두주스 또는 자두추출물, 망조주스 또는 망고 추출물 및 파파야주스 또는 파파야 추출물에서 선택된 과일주스 또는 과일추출물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인 기능성 음료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점조조절제가 겔란검, 구아검, 알기닌산 나트륨염, CMC 소디움에서 선택된 점도 조절제인 기능성 음료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방부제가 안식향산 나트륨, p-메틸 안식향산, p-에틸안식향산, p-프로필안식향산 또는 이들의 알칼리금속나트륨에서 선택된 보존제인 기능성 음료조성물.
KR1020090033441A 2009-04-17 2009-04-17 해양심층수, 흑마늘 엑기스, 대추 엑기스 및 유기산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20100114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441A KR20100114974A (ko) 2009-04-17 2009-04-17 해양심층수, 흑마늘 엑기스, 대추 엑기스 및 유기산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441A KR20100114974A (ko) 2009-04-17 2009-04-17 해양심층수, 흑마늘 엑기스, 대추 엑기스 및 유기산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974A true KR20100114974A (ko) 2010-10-27

Family

ID=4313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441A KR20100114974A (ko) 2009-04-17 2009-04-17 해양심층수, 흑마늘 엑기스, 대추 엑기스 및 유기산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97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7138A (zh) * 2012-06-30 2012-10-03 徐州绿之野生物食品有限公司 黑大蒜生物发酵饮料及其生产方法
EP2774619A1 (de) * 2013-03-04 2014-09-10 BioActive Food GmbH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hyperglykämischen Erkrankungen
CN104621645A (zh) * 2015-01-15 2015-05-20 姜新帅 鲜榨果汁
CN105310077A (zh) * 2015-12-03 2016-02-10 广东益生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黑蒜酵素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12385828A (zh) * 2020-10-19 2021-02-23 徐州工程学院 一种复合黑蒜口服液的加工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7138A (zh) * 2012-06-30 2012-10-03 徐州绿之野生物食品有限公司 黑大蒜生物发酵饮料及其生产方法
EP2774619A1 (de) * 2013-03-04 2014-09-10 BioActive Food GmbH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hyperglykämischen Erkrankungen
CN104621645A (zh) * 2015-01-15 2015-05-20 姜新帅 鲜榨果汁
CN105310077A (zh) * 2015-12-03 2016-02-10 广东益生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黑蒜酵素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05310077B (zh) * 2015-12-03 2018-03-30 广东益生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黑蒜酵素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12385828A (zh) * 2020-10-19 2021-02-23 徐州工程学院 一种复合黑蒜口服液的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160B1 (ko) 식혜의 제조방법
US20030143311A1 (en) Recovery drink formula and method
KR101541516B1 (ko)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주원료로한 이온미네랄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10013685A (ko) 해양심층수, 발효흑생강 추출물 및 대추농축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KR20100114974A (ko) 해양심층수, 흑마늘 엑기스, 대추 엑기스 및 유기산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20100112215A (ko) 주성분으로 해양심층수, 홍삼 추출물, 대추 엑기스, 천궁 엑기스, 감초엑기스 및 구기자 엑기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KR20150075598A (ko)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9645B1 (ko) 해양심층수,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제리 및 프로폴리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100793815B1 (ko) 유황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KR100331086B1 (ko) 수액간장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114975A (ko) 해양심층수 및 흑삼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JP2003189816A (ja) 梅果実と梅種子仁を用いた健康食品
KR101672857B1 (ko)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KR100482999B1 (ko)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조성물
KR102428634B1 (ko) 굼벵이 유동충 과립 제조방법
KR20150025861A (ko) 연과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소금 및 그 제조방법
JP3762364B2 (ja) ミミズと蟻を用いた健康食品の製造方法
KR19990001026A (ko) 홍삼과 가시오가피 및 전해질을 병용한 스포츠 음료 및 그 제조방법
RU2536054C1 (ru)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шиповниковый напиток
KR101852313B1 (ko) 버섯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버섯 엑기스 제조방법 및 버섯 엑기스를 함유하는 버섯 김치
KR20100117168A (ko) 해양심층수 및 콜라겐, 매실농축액,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KR20100117691A (ko) 매실 농축액을 함유한 건강 소금 제조 및 그 제조방법
JP3585803B2 (ja) 新しい漬け物及びその製法
KR101706954B1 (ko) 양념게장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