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704A -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704A
KR20100113704A KR1020090032144A KR20090032144A KR20100113704A KR 20100113704 A KR20100113704 A KR 20100113704A KR 1020090032144 A KR1020090032144 A KR 1020090032144A KR 20090032144 A KR20090032144 A KR 20090032144A KR 20100113704 A KR20100113704 A KR 20100113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cursor
area
items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경
김경택
김향아
종인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3704A/ko
Priority to US12/750,798 priority patent/US20100262933A1/en
Priority to PCT/KR2010/002250 priority patent/WO2010120081A2/en
Publication of KR20100113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은 아이템 선택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커서를 표시하는 커서 표시 단계,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판단하는 아이템 판단 단계 및 영역 내의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하는 아이템 선택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원하는 아이템을 선택하여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커서(cursor), 포인팅(pointing), 아이템(item)

Description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ITEM}
본 발명은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서(cursor)를 이용하여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에 커서(cursor)를 이용하여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방향키) 또는 조이스틱(joystick) 등은 커서를 이동시키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원하는 아이템에 커서를 이동시킨 후, 이를 선택하는 명령(예를 들어, 클릭 동작)을 입력하여 해당 아이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템의 크기가 작거나 커서의 이동 속도가 빠르게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조이스틱을 조작하여 커서를 선택하기 원하는 아이템 상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어려웠다. 또한 커서의 이동속도가 느리게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템 상에 커서를 이동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은 아이템 선택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커서를 표시하는 커서 표시 단계,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판단하는 아이템 판단 단계 및 영역 범위 내의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하는 아이템 선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장치는 아이템 선택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커서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한 아이템을 표시하는 표시부, 아이템 선택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커서에 대한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및 영역 내의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는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원하는 아이템을 선택하여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서(cursor)'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이동 가능하며 표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그래픽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에 따른 커서는 아이템 선택이 가능한 일정 영역을 갖는 폐곡선 형태로 구성된다. 커서는 원, 사각형, 삼각형, 별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폐곡선 내의 영역 범위가 백그라운드에 위치하는 화면을 가리지 않는 형태로 표시된다. 커서의 선 모양, 선 굵기 및 선 색상 등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커서는 포인터(pointer)를 포함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포인터는 커서 내의 영역 범위에서 일정 위치에 형성되는 그래픽으로서 커서의 영역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포인터는 커서가 형성되는 위치 또는 커서의 크기를 결정하는 중심점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커서 내에서 포인터가 위치하는 영역과 포인터를 제외한 영역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할 때, 커서는 'Link#0004' 부근에 위치한 원 형태의 그래픽을 나타내며, 포인터는 원 형태의 그래픽의 중심에 위치한 '+' 형태의 그래픽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item)'은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일종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그래픽 개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이콘, 웹 브라우저(web browser)에 표시되는 링크 개체 등은 본 발명의 아이템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선택 예정 아이템'은 커서의 현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 명령이 입력될 때, 선택되는 아이템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후보 아이템'은 커서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아이템들 중 선택 예정 아이템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템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입력 수단이 구비된 TV, 컴퓨터, 노트북 등 대형 디스플레이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 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20)는 무선통신부(110)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재생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20)는 마이크(MIC)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60)로 송신한다.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커서 및 아이템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30)는 커서가 표시되는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템의 개수에 대응하는 커서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입력부(140)는 숫자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key pad)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터치 패드(touch pad)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조이스틱(joystick), 다이얼 키(dial key),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등도 입력부(140)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서를 조작하는 입력부(140)는 조이스틱(특히, 광학 조이스틱(optical joystick))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서의 움직임을 조작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은 모두 본 발명의 입력부(140)가 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표시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50)는 커서와 아이템을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표시부(150)는 설정에 따라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커서의 크기 또는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50)는 커서 내에 포함되는 아이템과 커서 외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50)는 커서 내에 포함되는 아이템들 중에서도 선택 예정 아이템과 후보 아이템을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아이템들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아이템에 테두리 표시, 하이라이트(highlight) 표시 등의 효과를 부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커서 및 아이템을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커서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커서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의 개수 또는 아이템의 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커서 내의 아이템의 개수를 1개로 판단한 경우에, 커서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가 커서 내의 아이템 개수를 2개 이상으로 판단한 경우, 커서의 포인터가 아이템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가 커서의 포인터가 아이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포인터가 위치하는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가 커서의 포인터가 아이템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포인터와 커서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아이템들 간의 각각의 거리를 측정한다. 제어부(160)는 포인터와의 거리가 최소인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한다. 제어부(160)는 커서 내에 아이템의 개수가 2개 이상 존재하고, 이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을 인식한 경우, 커서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들 중 선택 예정 아이템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템들을 후보 아이템으로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커서 호출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인식하면, 표시 화면상에 위치하는 아이템 개수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측정된 아이템 개수에 대응하여 커서의 크기를 계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측정된 아이템 개수에 대응하는 커서의 크기를 저장부(13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계산된 크기에 따라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커서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40)를 통해 커서 호출 명령을 입력하면, 2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커서 호출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항상 호출된 상태로 존재할 수도 있 다.또한 휴대 단말기에 커서를 호출하는 키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호출키를 입력하여 커서를 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40)가 광학 조이스틱(optical joystick)으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부(140)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입력부(140)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이를 제어부(160)로 전송하고,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커서 호출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어 21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커서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기본값(default)으로 설정된 형태 및 크기로 커서를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에 커서 그래픽 설정 메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커서 그래픽 설정 메뉴를 통해 커서의 형태 및 크기를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커서는 원, 삼각형, 사각형, 별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레벨의 크기들로 구성될 수 있다.
21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커서 내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이템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그래픽 개체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커서를 아이템에 위치시키고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해당 아이템에 대응하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아이콘 또는 웹 브라우저 창에서 링크 가능한 개체들은 아이템의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아이템의 전체 부분이 커서 내에 포함되거나 아이템의 일부분이 커서 내에 포함되면 커서 내에 아이템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가 커서 내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220단계에서 커서 내에 존재하는 아이템 개수가 복수 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커서는 표시 화면 상에서 일정 영역을 갖기 때문에 복수의 아이템들이 커서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160)가 커서 내에 존재하는 아이템 개수를 복수 개로 판단하는 경우, 225단계에서 커서의 포인터가 아이템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커서의 포인터는 커서 내에 위치하는 일정 형태를 갖는 그래픽으로서 커서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포인터가 아이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230단계에서 포인터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선택 예정 아이템'은 커서의 현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 명령이 입력될 때, 선택되는 아이템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입력부(140)를 통해 아이템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 예정 아이템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능이 실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가 커서 내에 존재하는 아이템 개수를 복수 개로 판단하는 경우, 아이템 각각의 속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아이템의 속성에는 아이콘, 링크 아이템 등 여러 가지가 존재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아이템 속성에 따라 아이템의 우선 순위를 저장할 수 있다. 커서 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아이템들이 모두 동일한 속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60)는 아이템의 우선 순위에 따라 최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링크 아이템이 아이콘 보다 우선 순위를 갖는 아이템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커서 내에 링크 아이템과 아이콘이 모두 포함된 경우에, 제어 부(160)는 링크 아이템을 최우선 순위의 아이템으로 판단하게 된다. 제어부(160)는 최우선 순위로 판단한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235단계에서 커서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들 중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판단되지 않은 아이템들을 후보 아이템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후보 아이템'은 커서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아이템들 중 선택 예정 아이템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템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가능성이 선택 예정 아이템보다는 낮으나 커서 외에 위치하는 아이템보다는 높은 아이템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후보 아이템은 선택 예정 아이템 부근에 위치한다. 제어부(160)는 240단계에서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선택 예정 아이템 및 후보 아이템을 커서 외에 위치하는 아이템들과 구별되도록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아이템의 색상을 다르게 하여 선택 예정 아이템 및 후보 아이템과 커서 외에 위치하는 아이템들을 구별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테두리 효과, 하이라이트 효과 등의 표시 효과를 선택 예정 아이템 및 후보 아이템에 부가하여 커서 외에 위치하는 아이템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선택 예정 아이템과 후보 아이템이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선택 예정 아이템과 후보 아이템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거나, 선택 예정 아이템에만 표시 효과를 부가하여 후보 아이템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서 영역의 포인터가 아이템 상에 위치할 때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6a의 표시 화면은 웹 브라우저 실행 화면이며, 현 재 'Link#0001' 내지 'Link#0008'의 8개의 링크 아이템들을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 아이템들은 기본적으로 파란색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커서는 'Link#0005', 'Link#0006', 'Link#0007'의 일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커서의 포인터는 'Link#0006'에 위치해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Link#0006'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하고, 'Link#0005' 및 'Link#0007'을 후보 아이템으로 인식하게 된다. 제어부(160)는 선택 예정 아이템, 후보 아이템 및 커서 외에 위치하는 아이템이 각각 구별될 수 있도록 'Link#0006'을 붉은색으로 표시하고, 'Link#0005' 및 'Link#0007'을 녹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선택 예정 아이템과 후보 아이템이 명확히 구별될 수 있도록 'Link#0006'에 테두리 표시를 부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245단계에서 아이템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는 입력부(140)를 통해 아이템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아이템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인식한다. 제어부(160)는 250단계에서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능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5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판단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선택 예정 아이템이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선택 예정 아이템이 웹 브라우저의 링크 아이템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링크된 주소에 해당하는 웹사이트로의 접속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가 225단계에서 커서의 포인터가 아이 템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270단계에서 커서의 포인터와 커서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들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제어부(160)는 275단계에서 커서의 포인터로부터 최소 거리에 위치하는 아이템의 개수가 복수 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커서 내에 3개의 아이템들이 존재하며, 커서의 포인터와 상기 3개의 아이템들 간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모두 동일한 경우, 커서의 포인터로부터 최소 거리에 위치하는 아이템의 개수는 3개로서 복수 개에 해당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60)는 280단계에서 커서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들의 넓이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이템의 전체 부분이 커서 내에 완전히 포함될 수 있으며, 일부분만이 포함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각각의 아이템들이 커서 내에서 차지하는 부분의 넓이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아이템의 전체 부분의 넓이 중 커서 내에 포함되는 부분의 비율을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각각의 아이템들의 넓이를 측정한 후, 285단계에서 넓이가 가장 넓은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한다. 이어 제어부(160)는 235단계 내지 250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275단계에서 제어부(160)가 커서의 포인터로부터 최소 거리에 위치하는 아이템 개수를 1개로 판단하게 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29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커서의 포인터로부터 최소거리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한다. 이어 제어부(160)는 235단계 내지 250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서의 포인터가 아이템 상에 위치하지 않 을 때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커서는 'Link#0005'와 'Link#0006'의 일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포인터 '+'은 'Link#0005'와 'Link#0006'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어부(160)는 포인터와 'Link#0005' 및 'Link#0006'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만약 포인터와 'Link#0006'간의 거리가 포인터와 'Link#0005'간의 거리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60)는 'Link#0006'을 선택 예상 아이템으로 인식한다. 만약 포인터와 'Link#0006'간의 거리가 포인터와 'Link#0005'간의 거리와 동일한 경우, 제어부(160)는 커서 내에서 더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Link#0006'을 선택 예상 아이템으로 인식하게 된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Link#0006'을 '붉은색'으로 표시하며 'Link#0005'를 '녹색'으로 표시한다. 또한 'Link#0006'과 'Link#0005'가 명확히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부(160)는 'Link#0006'에 테두리 효과를 부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220단계에서 제어부(160)가 커서 내에 존재하는 아이템 개수를 1개로 판단하면, 260단계에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한다. 이어 제어부(160)는 265단계에서 선택 예정 아이템의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커서 내에 아이템이 1개 위치할 때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에는 'Link#0001' 내지 'Link#0008'까지 8개의 링크 아이템들이 표시되어 있으며, 커서는 'Link#0004'의 일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160)는 'Link#0004'를 선택 예상 아이템으로 인식하며 'Link#0004'의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도 5a는 'Link#0004'에 테두리 효과를 부가하여 표시하고 있고, 도 5b는 'Link#0004'의 색상을 '붉은색'으로 표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변경된 그래픽을 통 해 현재 상태에서 선택 명령을 입력하면, 'Link#0004'의 주소로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제어부(160)는 215단계에서 커서 내에 아이템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255단계에서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커서의 크기를 확장시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커서의 크기를 레벨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커서 크기의 레벨 수는 휴대 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60)가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커서 관련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커서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저장하게 된다. 제어부(160)는 210단계에서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다양한 레벨의 커서 크기 중 기본값(default)으로 설정된 커서 크기를 추출하고,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커서를 표시한다. 이어 제어부(160)는 215단계에서 커서 내에 아이템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다음 레벨의 커서 크기를 저장부(130)로부터 추출하고 255단계에서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추출한 커서 크기에 맞게 커서를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커서 내에 아이템이 포함될 때까지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커서의 크기를 확장시켜 표시하며, 저장부(130)에 저장된 최대 레벨 크기의 커서를 표시하더라도 아이템이 커서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최대 레벨 크기의 커서를 표시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에서는 커서의 일부를 생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가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커서의 일부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커서의 포인터가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까지만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커서의 포인터가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때까지만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커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이 서로 다른 기능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커서가 어느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커서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표시 화면이 지시자(indicator) 영역, 컨텐츠(contents) 영역, 소프트 키(soft key)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도 8a에서와 같이 커서가 컨텐츠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일정 영역을 갖는 커서 형태로 표시되고, 도 8b에서와 같이 커서가 지시자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화살표 형태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커서의 포인터가 컨텐츠 영역에 위치하는 한, 커서의 일부분이 지시자 영역에 위치하더라도 커서 형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40)를 통해 커서 호출 명령을 입력하면, 3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커서 호출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인식한다. 제어부(160)는 310단계에서 현재 표시부(150)에 표시된 아이템의 개수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40)를 통해 표시 화면을 전환하는 명령(새로운 표시 화면으로 전환)을 입력하 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표시 화면을 전환하여 표시하고, 전환된 표시 화면에 위치하는 아이템의 개수를 측정할 수 있다.
31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측정된 아이템 개수에 대응하여 커서의 크기를 계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측정된 아이템 개수에 대응하는 커서의 크기가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저장부(130)로부터 측정된 아이템 개수에 대응하는 커서의 크기를 추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 화면상에 아이템의 개수가 많은 경우, 커서의 크기가 크면 커서 내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개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정 아이템을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반면 표시 화면상에 아이템 개수가 적은 경우, 아이템 선택 시 커서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아이템 개수에 대응하여 커서의 크기를 계산하고 계산된 크기로 커서를 표시하게 된다.
32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315단계에서 추출한 커서의 크기에 따라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커서를 표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개수에 따라 커서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9a에는 'Link#0001' 내지 'Link#0008'의 8개의 링크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으며, 도 9b에는 'Link#0001' 내지 'Link#0005'까지 5개의 링크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다. 도 9a에서 제어부(160)는 아이템 8개에 대응하여 커서의 크기를 계산하며, 도 9b에서는 아이템 5개에 대응하여 커서의 크기를 계산한다. 도 9a의 커서는 도 9b의 커서보다 크게 표시되어 있다. 이어 제어부(160)는 도 2의 215단계로 진행하며 이하 과정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표시 화면상에 표시되는 아이템의 개수에 따라 커서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40)를 통해 커서 호출 명령을 입력하면, 4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커서 호출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인식한다. 이어 제어부(160)는 410단계에서 표시 화면의 일정 영역 별로 아이템의 개수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표시 화면이 일정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160)는 구분된 각 영역 마다 아이템의 개수를 측정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표시 화면은 4영역으로(점선) 구분되어 있으며, 제어부(160)는 각 영역 마다 아이템의 개수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아이템의 일부가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에도 아이템 전체가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0a에서 제어부(160)는 아이템의 개수를 각 영역 마다 3개, 3개, 3개, 2개로 판단할 수 있으며, 도 10b에서는 2개, 2개, 1개, 2개로 판단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160)는 415단계에서 각각의 영역 마다 아이템의 개수에 따라 저장된 커서의 크기를 계산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도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템 개수에 따라 커서의 크기가 대응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각각의 영역 마다 이에 대응하는 커서의 크기를 저장부(13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420단계에서 표시 화면상에 커서를 표시할 위치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커서의 포인터를 기준으로 표시할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커서가 표시될 위치는 기본값으로 설정된 위치에 해당할 수 있으며, 표시 화면 전환 시 전환 전의 화면에 표시된 커서의 최종 위치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커서를 표시할 위치를 먼저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가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에 대응하여 커서의 크기를 계산한다.
42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저장부(130)로부터 계산된 커서 크기에 따라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커서를 표시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개수에 따라 커서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a에서 제어부(160)는 좌측 아래 영역에 커서를 표시할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좌측 아래 영역에 위치하는 아이템 개수를 3개로 판단하고, 아이템 개수 3개에 대응하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커서의 크기를 계산하고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계산된 커서의 크기에 따라 커서를 표시한다. 도 10b에서도 제어부(160)는 좌측 아래 영역에 커서를 표시할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아이템 개수 1개에 대응하여 설정된 커서의 크기로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커서를 표시한다. 이어 제어부(160)는 도 2의 215단계로 진행하며, 이하 과정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표시 화면상에 표시되는 아이템들이 일부 영역에 밀집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영역을 구분하여 각 영역에 위치하는 아이템 개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아이템들이 밀집된 영역에서는 커서를 작게 표시하고, 아이템들이 밀집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커서를 크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커서 내에 아이템이 1개 위치할 때의 표시화면을 나타낸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서의 포인터가 아이템 상에 위치할 때의 표시화면을 나타낸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서의 포인터가 아이템 상에 위치하지 않을 때의 표시화면을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서가 표시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때의 표시화면을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기능 영역마다 커서의 형태가 다르게 표시되는 표시화면을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개수에 따라 커서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는 표시화면을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개수에 따라 커서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는 표시화면을 나타낸다.

Claims (20)

  1. 아이템 선택 방법에 있어서,
    아이템 선택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커서를 표시하는 커서 표시 단계;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판단하는 아이템 판단 단계; 및
    상기 영역 내의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하는 아이템 선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판단 단계는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선택 단계는
    상기 영역 내에 한 개의 아이템이 위치하는 경우, 해당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선택 단계는
    상기 영역 내에 복수개의 아이템들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영역 내에 형성되는 상기 커서의 포인터가 아이템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터가 아이템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포인터가 위치하는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선택 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아이템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포인터와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아이템들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터와의 거리가 최소인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선택 단계는
    상기 포인터와의 거리가 최소인 아이템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와의 거리가 최소인 아이템이 복수 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아이템들이 상기 커서 내에서 차지하는 넓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넓이가 최대인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들 중 상기 선택 예정 아이템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후보 아이템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예정 아이템을 상기 선택 예정 아이템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구분되도록 그래픽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아이템을 상기 선택 예정 아이템 및 상기 영역 범위 외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구분되도록 그래픽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표시 단계는
    커서가 표시될 화면에 위치하는 아이템의 개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아이템 개수에 대응하여 아이템 선택 가능한 영역의 크기를 계 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크기의 아이템 선택 가능한 영역을 갖는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표시 단계는
    커서가 표시될 화면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포함된 아이템 개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각 영역 별로 측정된 아이템 개수에 대응하여 아이템 선택 가능한 영역의 크기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커서를 표시할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위치에 상기 계산된 크기의 아이템 선택 가능한 영역을 갖는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12.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아이템 선택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커서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한 아이템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아이템 선택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커서에 대한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판단하며,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아이 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의 개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 내에 한 개의 아이템이 위치하는 경우, 해당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 내에 복수개의 아이템들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영역 내에 형성되는 커서의 포인터가 아이템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포인터가 아이템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포인터가 위치하는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와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아이템들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포인터와의 거리가 최소인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이템들이 상기 영역 내에서 차지하는 넓이를 측정하며, 상기 넓이가 최대인 아이템을 선택 예정 아이템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하는 아이템들 중 상기 선택 예정 아이템을 제외한 아이템들을 후보 아이템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택 예정 아이템, 후보 아이템 및 상기 영역 외에 위치하는 아이템이 구분되도록 그래픽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커서가 표시될 화면에 위치하는 아이템 개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아이템 개수에 대응하여 아이템 선택 가능한 영역의 크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90032144A 2009-04-14 2009-04-14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KR20100113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144A KR20100113704A (ko) 2009-04-14 2009-04-14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US12/750,798 US20100262933A1 (en) 2009-04-14 2010-03-31 Method and apparatus of selecting an item
PCT/KR2010/002250 WO2010120081A2 (en) 2009-04-14 2010-04-13 Method and apparatus of selecting an i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144A KR20100113704A (ko) 2009-04-14 2009-04-14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704A true KR20100113704A (ko) 2010-10-22

Family

ID=4293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144A KR20100113704A (ko) 2009-04-14 2009-04-14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62933A1 (ko)
KR (1) KR20100113704A (ko)
WO (1) WO201012008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25066A1 (en) 2011-11-14 2013-05-16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Area Cursor
KR101888680B1 (ko) * 2011-12-06 2018-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599282B2 (en) 2012-02-14 2020-03-24 Koninklijke Philips N.V. Cursor control for a visual user interface
US20130249813A1 (en) * 2012-03-26 2013-09-26 Lenovo (Singapore) Pte,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ouch input
CN102662569B (zh) * 2012-03-26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选择光标操作方法、对象显示方法及终端设备
US10042440B2 (en) 2012-03-26 2018-08-07 Lenovo (Singapore) Pte.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ouch input
SE536989C2 (sv) * 2013-01-22 2014-11-25 Crunchfish Ab Förbättrad återkoppling i ett beröringsfritt användargränssnitt
US20140280503A1 (en) 2013-03-15 2014-09-18 John Cronin System and methods for effective virtual reality visitor interface
US20140280644A1 (en) 2013-03-15 2014-09-18 John Cronin Real time unified communications interaction of a predefined location in a virtual reality location
US20140280506A1 (en) 2013-03-15 2014-09-18 John Cronin Virtual reality enhanced through browser connections
US9838506B1 (en) 2013-03-15 2017-12-05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Virtual reality universe representation changes viewing based upon client side parameters
US20140280502A1 (en) 2013-03-15 2014-09-18 John Cronin Crowd and cloud enabled virtual reality distributed location network
US20140282113A1 (en) 2013-03-15 2014-09-18 John Cronin Personal digital assistance and virtual reality
US9588343B2 (en) 2014-01-25 2017-03-07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Menu navigation in a head-mounted display
KR102354328B1 (ko) * 2015-09-22 2022-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07191B1 (ko) * 2015-12-23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8625A (en) * 1985-05-30 1987-10-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Graphic highlight adjacent a pointing cursor
US6046722A (en) * 1991-12-05 2000-04-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blind or visually impaired computer users to graphically select displayed elements
US5757358A (en) * 1992-03-31 1998-05-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omputer-user selection of computer-displayed objects through dynamic selection area and constant visual feedback
US5450539A (en) * 1992-07-09 1995-09-12 Apple Computer, Inc. Apparatus and method of dynamically displaying a graphic button on a monitor
JP3222694B2 (ja) * 1994-09-07 2001-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5565888A (en) * 1995-02-17 1996-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visibility and selectability of icons
JP4236706B2 (ja) * 1995-06-16 2009-03-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0317632B1 (ko) * 1997-07-21 2002-02-19 윤종용 메뉴 선택 제어방법
US6259436B1 (en) * 1998-12-22 2001-07-10 Ericss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election of touchable items on a computer touchscreen by an imprecise touch
US6727892B1 (en) * 1999-05-20 2004-04-27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facilitating the selection of features at edges of computer touch screens
GB2364226A (en) * 2000-06-30 2002-01-16 Nokia Corp Method of selecting an object by controlling an on screen pointer
US6717600B2 (en) * 2000-12-15 2004-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ximity selection of selectable item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6886138B2 (en) * 2001-07-05 2005-04-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recting users′ attention to specific icons being approached by an on-screen pointer on user interactive display interfaces
US6816176B2 (en) * 2001-07-05 2004-1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mporarily moving adjacent or overlapping icons away from specific icons being approached by an on-screen pointer on user interactive display interfaces
US6844887B2 (en) * 2001-07-05 2005-01-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 Corporation Alternate reduced size on-screen pointers for accessing selectable icons in high icon density regions of user interactive display interfaces
US20030080947A1 (en) * 2001-10-31 2003-05-01 Genest Leonard J. Personal digital assistant command bar
US7761801B2 (en) * 2005-04-26 2010-07-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20081A3 (en) 2011-01-13
WO2010120081A2 (en) 2010-10-21
US20100262933A1 (en)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3704A (ko)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1640464B1 (ko) 터치스크린 기반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US8949734B2 (en) Mobile device color-based content mapping and navigation
EP2706446B1 (en) Method for displaying unread messages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726607B1 (ko)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EP3617861A1 (en) Method of displaying graphic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EP33366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graphic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US8621378B2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9891805B2 (en) Mobi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control program and method
US2011008798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 interface and touch interface method
US20080297485A1 (en)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a menu in a mobile terminal
CN103365536B (zh) 便携式终端中管理屏幕的方法和装置
US20150012885A1 (en) Two-mode access linear ui
US20100214218A1 (en) Virtual mouse
AU20172008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US20130076659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20110040110A (ko)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KR20110037761A (ko) 복수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110092826A (ko)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028834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터치 압력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3797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기능 수행 방법
AU20112040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ection of a multimedia file in mobile device
KR20090096743A (ko) 투명 층 애플리케이션
KR20100041867A (ko) 오프셋 연결 요소를 이용하여 데이터 기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AU20122149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