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062A - Multiband antenna structure - Google Patents

Multiband antenna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062A
KR20100108062A KR1020090026523A KR20090026523A KR20100108062A KR 20100108062 A KR20100108062 A KR 20100108062A KR 1020090026523 A KR1020090026523 A KR 1020090026523A KR 20090026523 A KR20090026523 A KR 20090026523A KR 20100108062 A KR20100108062 A KR 20100108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ntennas
antenna structure
band
antenna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5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준오
김정영
조영민
Original Assignee
스카이크로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이크로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카이크로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90026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8062A/en
Publication of KR20100108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0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H01Q5/15Resonant antennas for operation of centre-fed antennas comprising one or more collinear, substantially straight or elongated a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01Q1/523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between antennas of an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22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a secondary device in the form of a single substantially straight conductive element
    • H01Q19/24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a secondary device in the form of a single substantially straight conductive element the primary active element being centre-fed and substantially straight, e.g. H-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50Feeding or matching arrangements for broad-band or multi-band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 H01Q9/285Planar di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PURPOSE: A multiband antenna structure is provided to improve a isolation degree between adjacent antennae by electrically interlinking a plurality of antennae through a connection line. CONSTITUTION: A multiband antenna structure(200) comprises a first and a second feeding point(250,260), a pair of antenna elements(220,240), and a connection line(270). A pair of antenna element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the second feeding point, respectively. A pair of antenna elements include a meander structure. A pair of antenna elements have the same resonant frequency and a dissimilar length. The connection line electrically interlinks the first and the second feeding point.

Description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Multiband Antenna Structure}Multiband Antenna Structure

본 발명은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이한 형태나 대역의 복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물에서 안테나 사이의 간격을 줄이더라도 개별 안테나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며 높은 격리도 특성을 유지하도록 한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band antenna structure. In particular, in an antenna structure including multiple antennas of different shapes or bands, the multiband antenna structure prevents interference between individual antennas and maintains high isolation characteristics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antennas is reduced. An antenna structure.

이동통신 시스템과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등의 급속한 보급과 기존의 다양한 무선 방송과 무선 기술들의 혼재로 인하여 최근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는 무선 수단들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휴대를 위한 무선 수단들의 소형화 요구 또한 급증하고 있다.Due to the rapid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s and the mixing of various existing wireless broadcasting and wireless technologies, the demand for wireless means capable of operating in various frequency bands is increasing rapidly. Their demand for miniaturization is also skyrocketing.

특히,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하나의 제품을 구매하여 여러 가지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사용자의 취향이 일반화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떠한 휴대 장치에서도 기본적인 통신을 이용하여 방대한 자원을 이용하거나 통신 연결성을 보장받으려 하는 요구 또한 일반화되고 있다. 이는 언제 어디서나 어떠한 기기를 통해서도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지향하는 추세와도 일맥상통하고 있다.In particular, as the interest in digital convergence has soared, the taste of users who want to purchase a single product to satisfy various needs is becoming common, and any mobile device uses vast resources using basic communication. Or the need to ensure communication connectivity is also becoming common. This is in line with the trend toward a ubiquitous environment where any device can access the network anytime, anywhere.

또한, 차세대 통신방식으로 등장한 Wimax, 802.11x 또는 LTE와 같은 광대역을 무선통신 방식은 유선통신과 무선통신 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대역 범위와 신뢰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원하는 통신 환경을 조절하는 스마트 안테나(Smart Antenna) 등의 다차원적 신호를 이용하고 있다.In addi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max, 802.11x, or LTE, which are emerging as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methods, use multiple antennas to simultaneously improve bandwidth range and reliability by using multiple antennas to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wir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 A multi-dimensional signal such as a smart antenna for controlling a desired communication environment by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이러한 차세대 광대역 무선통신 방식에서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고 있어 안테나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게 되고, 복수 통신 방식의 통합에 의해 다중 대역 지원을 위해 추가적인 안테나가 필요하게 되는 등 안테나 설계와 배치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In the next-generatio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 plurality of antennas are used to increase the space occupied by the antennas, and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design and deploy antennas such as an additional antenna is required for multi-band support by the integration of the multiple communication methods. have.

이러한 복수 안테나의 통합 배치는 안테나 사이의 간섭을 발생시켜 안테나들이 인접할수록 커플링에 의한 문제로 인해 원하는 안테나 성능을 만족시킬 수 없게 된다.The integrated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generates interference between the antennas, so that the closer the antennas are, the less the antenna performance can be satisfied due to the coupling problem.

도 1은 한쌍의 다이폴 안테나로 이루어진 안테나 구조물(10)의 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다이폴 안테나(11/12, 13/14)가 병렬 배치된 안테나 구조물(10)은 제 1다이폴 안테나(11, 12)와 제 2다이폴 안테나(13, 14)의 길이가 L이고, 이격 거리가 d인 평행 배치 상태로 그 사이에는 어떠한 연결 소자도 없다. 상기 제 1다이폴 및 제 2다이폴 안테나 각각의 길이 L은 1/2파장에 근접 대응되는 기준 공진 주파수를 보이며, 독립적인 송수신 시스템에 연결되어 각각 동일한 주파수에서 동작할 수 있다.FIG. 1 shows an example of an antenna structure 10 including a pair of dipole antennas. As shown, an antenna structure 10 in which a pair of dipole antennas 11/12 and 13/14 are arranged in parallel has a first dipole. The antennas 11 and 12 and the second dipole antennas 13 and 14 have a length of L and a parallel arrangement in which the separation distance is d, and there are no connecting elements therebetween. The length L of each of the first dipole antenna and the second dipole antenna has a reference resonance frequency corresponding to 1/2 wavelength, and may be connected to an independent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to operate at the same frequency.

이러한 한쌍의 다이폴 안테나는 이격 거리에 따라 이웃한 다이폴의 동작에 따른 유기 전류가 상이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커플링은 이격 거리 d가 작아질수록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The pair of dipole antennas have different induced current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neighboring dipoles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and the coupling increases rapidly as the separation distance d decreases.

도 2는 제 1다이폴 안테나(11, 12)의 동작에 따라 제 2다이폴 안테나(13, 14)에 유기되는 전류가 존재하게 됨을 보인 커플링 개념도로서, 다이폴의 기생 여기(parasitic excitation)에 따른 전류는 소스 임피던스(source impedence)를 통과하는 이웃 다이폴로부터 여기(exite)되며, 이로 인해 포트들 사이에서 상호 커플링이 발생한다. 이러한 커플링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완전히 전기적으로 격리하지 못할 경우 인접 안테나에 연결된 수신기의 포화(saturation)나 감도손실(desensitization) 혹은 인접 안테나에 연결된 송신기의 성능저하 등 시스템에 유해한 작용을 끼칠 수 있다. 아울러 인접 안테나 사이에서 나타나는 전류들은 개개의 다이폴로부터 산출된 이익패턴(gain pattern)에 왜곡을 가하여 시스템에 유해한 영향을 준다.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a current induced in the second dipole antennas 13 and 14 is pres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dipole antennas 11 and 12, and the current according to parasitic excitation of the dipoles. Is excited from the neighboring dipole through the source impedance, resulting in mutual coupling between the ports. If the coupling is reduced in size or not fully electrically isolated, it can be harmful to the system, such as saturation or loss of sensitivity connected to adjacent antennas, or performance degradation of transmitters connected to adjacent antennas. . In addition, currents appear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the system by distorting the gain pattern generated from individual dipoles.

도 3은 도 1과 같은 인접 배치된 한쌍의 다이폴 안테나들 사이의 특성을 보인 것으로, 산란변수(scattering parameter) S11, S12이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즉, 인접한 안테나에 의한 격리 특성을 나타내는 S12 곡선을 보면, 안테나의 사용 대역 부분에서 그 이득이 최소가 되어 상호 간섭이 심하게 발생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용 안테나의 경우 격리 특성이 적어도 -5dB 이하가 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10dB 정도가 되어야 유효한 성능으로 인정될 수 있기 때문에, 도시된 특성을 나타내는 한쌍의 안테나는 실제 적용이 불가능하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characteristics between a pair of adjacently arranged dipole antennas as shown in FIG. 1, and scattering parameters S11 and S12 are shown as shown. In other words, the S12 curve representing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by the adjacent antennas indicates that the gain is minimized in the use band portion of the antennas, so that mutual interference occurs severely. In general, in the case of commercial antennas,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should be at least -5 dB or less, preferably about -10 dB, so that a valid antenna can be recognized as effective performance.

즉, 이러한 경우 안테나 사이의 거리를 더 넓게 격리 시켜 배치하지 않을 경우 각 안테나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That is, in this case, it means that the antennas do not operate normal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antennas is not separated and arranged.

결국, 안테나의 소형화를 위하여 복수의 안테나를 근접 배치할 경우 발생되는 커플링에 의한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테나들을 이격시켜 배치할 수 밖에 없어 안테나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으며 이는 내장 안테나를 필요로 하는 소형 통신 장치에 대한 안테나 설계 제한으로 이어지게 된다. As a result, antennas must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distortion due to coupling caused when the plurality of antennas are disposed in close proximity for miniaturization of the antennas, t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antennas. This leads to antenna design limitations for small communication devices.

한편, 이러한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통신 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안테나들 외에도 추가적인 대역에 대한 통신이 필요할 경우들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커플링 방지를 위하여 격리된 추가 안테나 구성이 필요하여 안테나 구성에 필요한 공간이 커지게 되며, 이를 내장 안테나로 구현하기 어렵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antennas for supporting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cases in which an additional band communication is required are rapidly increasing, but an additional antenna configuration isolated to prevent coupling requires space for antenna configuration. This becomes larg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implement the built-in antenna.

상기와 같은 복수 안테나의 인접 배치를 위하여 새롭게 제안하는 본 발명 실시예들의 목적은 복수 안테나들을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하는 연결선로를 구성하여 유기 전류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인접 배치한 안테나들 사이의 격리도를 크게 높이도록 함으로써, 복수 안테나들을 좁은 공간에 밀집하여 배치하더라도 각 안테나의 성능 열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newly proposed for the adjacent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is to form a connection line that directly connects the plurality of antennas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induced current. It is to provide a multi-band antenna structure to prevent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each antenna even if the plurality of antennas are arranged in a narrow space by increasing the isolation degree significantly.

본 발명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한쌍의 동일 대역 안테나 사이에 안테나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성하여 유기되는 전류가 상기 연결선로를 통해 격리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여 한쌍의 동일 대역 안테나 사이의 격리도를 높이며, 이러한 안테나들에 분기 안테나를 필요한 대역 만큼 추가 구성하더라도 모든 안테나들 사이의 격리도를 높이도록 한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a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the antenna between a pair of co-band antenna so that the induced current flows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isolation through the connection line to increase the isolation between the pair of co-band antenna However, even if the branch antennas are additionally configured as necessary in these antennas, a multi-band antenna structure is provided to increase the isolation between all antennas.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상이한 대역의 안테나 사이에 안테나를 연결하는 연결선로를 구성하여 유기되는 전류가 상기 연결부를 통해 격리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여 상이한 대역 안테나 사이의 격리도를 높이며, 이러한 안테나들에 분기 안테나를 필요한 대역 만큼 추가 구성하더라도 모든 안테나들 사이의 격리도를 높이도록 한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connection line for connecting the antenna between antennas of different bands so that the induced current flows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isolation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to increase the isolation between the different band antennas, and Even if the branch antennas are additionally configured as needed in the antennas, a multiband antenna structure is provided to increase the isolation between all antennas.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 대역 안테나들의 급전점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성하며, 상기 연결부의 길이를 소정의 길이 조정을 위한 패턴으 로 형성하거나, 선택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스위치를 구성하거나, 필터를 구성하거나, 튜너블 소자를 더 구성하여 다양한 격리 특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connection portion for interconnecting the feed points of the multi-band antenna, form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in a pattern for adjusting the predetermined length, or configure a switch to enable selective connection or To provide a multi-band antenna structure to configure a filter, or to further configure a tunable device to adjust various isolation characteristic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은 복수의 급전점과; 상기 급전점 각각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급전점에 둘 이상이 연결되며 상호 기하학적 대칭성이 없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과; 상기 급전점들 사이를 연결하여 유기 전류가 우회하여 상쇄되도록 구성된 연결선로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ulti-band antenn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feed points;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connected to each of the feed points, two or more connected to at least one feed point, and having no geometric symmetry; It comprises a multi-band antenna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line configured to connect between the feed points and the organic current is bypassed and canceled.

상기 급전점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안테나 소자들이 지원하는 가장 높은 공진 주파수의 1/4파장 길이 이내가 되도록 밀집 배치된다.The distances between the feed points are densely arranged to be within a quarter wavelength of the highest resonant frequency supported by the antenna elements.

상기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급전점들과 안테나 소자들 및 연결선로가 입체적으로 배치된 캐리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ntenna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carrier in which the feed points, the antenna elements, and the connecting line are three-dimensionally arranged.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상이한 급전점에 각각 연결된 한쌍의 안테나 소자들은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면서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져 MIMO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A pair of antenna elements each connected to different feed points among the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may have a different length and have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to operate as a MIMO antenna.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소자는 다른 안테나 소자들과 상이한 선폭을 가질 수 있다.At least one antenna element of the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may have a different line width than other antenna elements.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은 CDMA, PCS, WCDMA, GPS, WiFi, 블루투스 대역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may support at least two or more bands of CDMA, PCS, WCDMA, GPS, WiFi, and Bluetooth bands.

상기 연결선로는 직선, 곡선, 요철 구조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기 설정된 격리대역폭과 임피던스 대역폭을 나타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는 헬리컬 코일(helical coil), 광대역 평판형(wideband planer shapes), 칩 안테나(chip antennas), 미엔더 형태(meandered shapes), 루프(loops) 또는 유도성 션트형태(inductively shunted forms)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line is preferably arranged to exhibit a predetermined isolation bandwidth and an impedance bandwidth through any geometric shape including straight lines, curves, and uneven structures.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may include helical coils, wideband planer shapes, chip antennas, meandered shapes, loops, or inductive shunt shapes. shunted forms).

그리고, 필요한 경우 상기 연결선로 중간에 선택적 연결을 위한 스위치, 바이패스 대역 선택을 위한 필터, 지연 시간이나 위상 조절 또는 임피던스를 가변하는 튜너블 소자 중 하나 이상을 더 구성할 수 있다.If necessary, at least one of a switch for selective connection, a filter for selecting a bypass band, and a tunable device for varying a delay time, a phase control, or an impedance may be further configur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은 두개의 급전점과; 상기 두개의 급전점 각각에 연결되며 상이한 기하학적 형태와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두개의 안테나들과; 상기 급전점들을 연결하여 인접한 안테나에 의해 유기되는 전류가 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multi-band antenna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wo feed points; Two antennas connected to each of the two feed points and having different geometries and resonant frequencies; And a connection line configured to connect the feed points so that current induced by an adjacent antenna can be bypassed.

상기 두개의 안테나들은 각각 GPS와 블루투스/WiFi 대역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wo antennas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GPS and Bluetooth / WiFi bands,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은 캐리어 상에 사용 대역 중 가장 높은 대역 파장의 1/4 이내의 이격 거리로 배치된 한쌍의 급전점과; 상기 급전점에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캐리어의 복수 면에 걸쳐 형성되 고, 상호 대칭되지 않는 기하학적 형태를 가지는 한쌍의 안테나들과; 상기 급전점이나 상기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에 추가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분기 안테나와; 상기 급전점 사이를 기 설정된 기하학적 형태로 직접 연결하여 상기 안테나들과 분기 안테나의 동작에 따른 유기 전류를 우회시키는 연결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ulti-band antenna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feed points arranged on the carrier at a distance within a quarter of the highest band wavelength of the band used; A pair of antennas each connected to the feed point and formed over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carrier, the antennas having a non-symmetrical geometric shape; At least one branch antenna further connected to the feed point or at least one of the antennas; It includes a connection line for directly connecting between the feed point in a predetermined geometric shape to bypass the induced curr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ntenna and the branch antenn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은 복수 안테나들을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하는 연결선로를 구성하여 유기 전류에 의한 영향을 제거 하는 것으로, 인접 배치한 안테나들 사이의 격리도를 크게 높이도록 함으로써, 복수 안테나들을 좁은 공간에 밀집하여 배치하더라도 각 안테나의 성능 열화를 방지하여 복수의 동일대역이나 다중대역을 지원하는 내장형 안테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multi-band antenna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nnection line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plurality of antennas to remove the influence of the induced current,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isolation between adjacent antennas. Even if the antennas are arranged in a small spa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size of the built-in antenna that supports a plurality of the same band or multi-band by preventing performance degradation of each antenn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은 한쌍의 동일 대역 안테나 사이에 안테나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성하여 유기되는 전류가 상기 연결선로를 통해 격리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여 한쌍의 동일 대역 안테나 사이의 격리도를 높이며, 이러한 안테나들에 분기 안테나를 필요한 대역 만큼 추가 구성하더라도 모든 안테나들 사이의 격리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Multi-band antenn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antenna between a pair of the same band antenna so that the induced current flows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isolation through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pair of the same band antenna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solation between the antennas and increase the isolation between all antennas even if the branch antennas are additionally configured to the required band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은 상이한 대역의 안테나 사이에 안테나를 연결하는 연결선로를 구성하여 유기되는 전류가 상기 연결부를 통 해 격리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여 상이한 대역 안테나 사이의 격리도를 높여 고이득이 필요한 통신방식에 적용하기 위한 안테나를 다른 대역용 안테나에 인접 배치하여 내장 안테나 구조물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러한 안테나들에 분기 안테나를 필요한 대역 만큼 추가 구성하더라도 모든 안테나들 사이의 격리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ulti-band antenna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antennas between antennas of different bands so that induced current flows in a direction of increasing isolation through the connection part, and thus the isolation between different band antenna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built-in antenna structure by arranging antennas to be applied to other high-frequency communication methods 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internal antenna structure. This can increase the isol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은 복수 대역 안테나들의 급전점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성하며, 상기 연결부의 길이를 소정의 길이 조정을 위한 패턴으로 형성하거나, 선택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스위치를 구성하거나, 필터를 구성하거나, 튜너블 소자를 더 구성하여 다양한 격리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ulti-band antenn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connecting portion for interconnecting the feed points of the multi-band antenna, form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in a pattern for adjusting the predetermined length, or switch to enable selective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various filters, or to configure a tunable element to adjust various isolation characteristic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물(100)의 예를 보인 것으로, 제 1다이폴 안테나(101, 102)와 제 2다이폴 안테나(103, 104) 사이에 안테나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선로(107, 108)가 더 구성되어 전기적으로 상기 안테나들을 직접 연결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시된 다이폴 안테나들 각각의 포트(105, 106) 사이는 상기 연결선로(107, 108)에 의해서 낮은 패턴 상관도(low pattern correlation) 와 낮은 커플링(low coupligg)을 나타낸다.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antenna structure 100 including a pair of dipole antennas,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dipole antennas 101 and 102. It can be seen that connecting lines 107 and 108 are further configured to interconnect the antennas between the antennas 103 and 104 to electrically connect the antennas directly. Ports 105 and 106 of each of the illustrated dipole antennas exhibit low pattern correlation and low coupligg by the connection lines 107 and 108.

상기 추가된 연결선로(107, 108)는 각각의 다이폴 안테나의 동작에 대해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아 해당 선로가 연결되더라도 각 다이폴 안테나는 기존과 유사한 공진점을 나타낸다. 도시된 안테나 구조물(100)에 포함된 제 1다이폴 안테나(101, 102)와 제 2다이폴 안테나(103, 104)의 전류는 제 2다이폴 안테나(103, 104) 포트(106)의 터미널 임피던스를 통과함에 있어 큰 제약이 없으며, 공진 모드는 도시된 전류의 흐름과 같이 제 2다이폴 안테나(103, 104)를 흘러내려가 연결선로(107, 108)를 가로지르거나 제 1다이폴 안테나(101, 102)를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서 공진 주기의 절반이 반영되며 나머지 주기에서는 전류 방향이 역전된다. 그 결과, 이러한 안테나 구조물(100)의 공진모드는 다음의 특징을 나타낸다.The added connection lines 107 and 108 do not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operation of each dipole antenna, and even though the corresponding line is connected, each dipole antenna has a similar resonance point. Currents of the first dipole antennas 101 and 102 and the second dipole antennas 103 and 104 included in the illustrated antenna structure 100 pass through the terminal impedance of the port 106 of the second dipole antennas 103 and 104. There is no big limitation in this regard, and the resonance mode flows down the second dipole antennas 103 and 104 as shown in the flow of current, and crosses the connecting lines 107 and 108 or the first dipole antennas 101 and 102. Appears to date back. Half of the resonant period is reflected in this current flow, and the current direction is reversed in the remaining periods. As a result, the resonance mode of the antenna structure 100 exhibi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제 1다이폴 안테나(101, 102)에서 전류들은 제 2다이폴 안테나의 포트(106)을 경유하며, 이로 인해 각 다이폴 안테나 포트들(105, 106) 사이의 높은 격리도(high isolation)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 1다이폴 안테나(101, 102) 및 제 2다이폴 안테나(103, 104)에서 전류 크기는 거의 동일하며, 이로 인해 서로 연관성 없는 이익패턴이 나타난다.Currents in the first dipole antennas 101 and 102 pass through the port 106 of the second dipole antenna, thereby exhibiting high isolation between the respective dipole antenna ports 105 and 106. In the first dipole antennas 101 and 102 and the second dipole antennas 103 and 104, the magnitudes of the currents are almost the same, resulting in unrelated patterns of gain.

즉, 한쌍의 안테나 사이를 연결선로를 통해 직접 연결할 경우, 임의의 제 1안테나 소자에서의 전기적 흐름은 이웃하는 제 2안테나 소자를 향하게 되어 상기 제 2안테나의 포트로 우회하게 되며, 상기 안테나 소자들의 전류 크기가 동일하게 되어, 상기 제 1안테나 포트를 통해 여기되는 안테나 모드는 제 2안테나 모드와 전 기적으로 분리되게 된다.That is, when a pair of antennas are directly connected through a connecting line, the electrical flow from any first antenna element is directed toward a neighboring second antenna element and bypasses the port of the second antenna, The current magnitude is the same, so that the antenna mode excited through the first antenna port i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second antenna mode.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안테나 구조물의 특성을 보인 것으로, 산란변수(scattering parameter) S11, S12이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즉, 인접한 안테나에 대한 격리 특성을 나타내는 S12 곡선을 보면, 안테나의 사용 대역 부분에서 그 이득이 최소가 되어 실질적으로 다이폴 안테나의 희망 주파수 대역에서 충분한 격리 특성(-10dB 이하)을 나타내게 된다. 즉, 격리 특성을 나타내는 S12의 이득이 안테나 사용 대역에서 최소가 된다는 의미는 제 1안테나의 동작에 의해 제 2안테나에 여기되는 전류 크기가 실제 안테나의 사용 대역에서 최소가 됨을 의미하여 안테나 사용 대역에서 상기 각 안테나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충분한 이득으로 동작하게 됨을 나타낸다.FIG. 5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structure shown in FIG. 4, and scattering parameters S11 and S12 are shown as shown. That is, looking at the S12 curve representing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of adjacent antennas, the gain is minimized in the use band portion of the antenna, and substantially shows sufficient isolation characteristics (-10 dB or less) in the desired frequency band of the dipole antenna. In other words, the gain of S12 representing isolation characteristics is minimized in the antenna using band, which means that the current magnitude excited to the second antenna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tenna is the minimum in the using band of the actual antenna. Each of these antennas operates individually with sufficient gain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도 6은 도시된 도 4의 안테나 구조물에 적용되는 연결선로의 변형 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된 안테나 구조물(110) 역시 한쌍의 다이폴 안테나(111, 112)로 구성되며, 상기 안테나들(111, 112)을 연결하는 연결선로(113, 114)가 요철구조를 가지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선로(113, 114)를 직선이 아닌 요철구조 혹은 곡선이나 기타 다른 기하학적 형태로 연결선로를 구성할 경우 상기 안테나들 사이의 전기적 길이나 연결 임피던스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연결선로(113, 114)의 형태를 조절하는 것에 따라 공진 주파수와 대역폭이 변화되며, 격리 특성도 변화되게 된다. 결국, 이러한 연결선로(113, 114)를 조절하는 것으로 공진 주파수나 대역폭을 조절하고, 격리 특성을 조절할 수 있어 원하는 목적에 따른 특성을 얻을 수 있다.FIG. 6 illustrates a modified example of a connection line applied to the antenna structure of FIG. 4, and the antenna structure 110 also includes a pair of dipole antennas 111 and 112, and the antennas 111 and 112. Connecting lines 113 and 114 connecting the have shown the case having a concave-convex structure.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connecting lines 113 and 114 are formed of a concave-convex structure or a curved line or other geometric shape instead of a straight line, an electrical length or a connection impedance between the antennas may be increased. As the shape of the connection lines 113 and 114 is adjusted in this way, the resonant frequency and bandwidth are changed, and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are also changed. As a result, by adjusting the connection lines 113 and 114, the resonant frequency or bandwidth can be adjusted, and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can be adjusted to obtai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esired purpose.

도 7은 앞서 설명한 한쌍의 다이폴 안테나들 대신 모노폴 안테나들(121, 122) 사이에 연결부(123)를 구성한 안테나 구조물(120)의 경우를 보인 것이다. FIG. 7 illustrates a case of the antenna structure 120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123 is configured between the monopole antennas 121 and 122 instead of the pair of dipole antennas described above.

이러한 경우 역시 동일한 전류 흐름에 의해서 각 안테나의 동작 대역에서의 격리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유지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same current flow also maintains the isolation in the operating band of each antenna.

상기 연결부(123)는 연결선로와 같은 도체선로, 선택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위치, 원하는 대역 특성을 얻기 위한 필터, 전기적 연결에 대한 지연시간 또는 위상을 가변하거나 전기적 연결에 대한 반응 임피던스를 가변시키는 튜너블 소자를 더 구성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이러한 구성들을 복수로도 배치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23 is a conductor line such as a connection line, a switch configured to enable selective connection, a filter for obtaining a desired band characteristic, a tuner for varying a delay time or phase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or a response impedance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A single device may be further configured, and a plurality of such configurations may be disposed substantially.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물(130)을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대역 수신을 위한 한쌍의 모노폴 안테나 소자(131, 133)의 급전점 부분을 연결선로(134)를 통해 연결하여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의 격리도를 높인 구조를 기본으로 하며, 이러한 모노폴 안테나 소자들(131, 133) 중 하나의 안테나 소자(131)에 분기 안테나 소자(132)를 더 부가하여 MIMO 안테나로 동작하면서 동시에 분기 안테나 소자(132)에 의한 추가 대역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8 illustrates an antenna structur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a feed point portion of a pair of monopole antenna elements 131 and 133 for receiving the same band is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line 134. It is based on the structure to increase the isolation in the operating frequency band by connecting, the branch antenna element 132 is further added to one of the antenna elements 131 of the monopole antenna elements 131 and 133 to operate as a MIMO antenna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upport additional bands by the branch antenna element 132.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급전점에 연결되거나 분기되는 안테나 각각을 '안테나 소자'라 칭하고, 급전점을 기준으로 해당 급전점에 연결된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합적 의미로 '안테나'라 칭하도록 한다. 도시된 구성에서, 급전점(포트의 물리적 구성을 의미함)을 기준으로 제 1안테나는 좌측 모노폴 안테나 소자(131)와 분기 안테나 소자(132)로 이루어지고, 제 2안테나는 우측 모노폴 안테나 소자(133)로 이루 어진 것이라 볼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ach antenna connected or branched to a feed point is referred to as an 'antenna element', and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connected to the feed point based on the feed point are referred to as an 'antenna' in an integrated sense. In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the first antenna consists of a left monopole antenna element 131 and a branch antenna element 132 on the basis of a feed point (meaning the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port), and the second antenna has a right monopole antenna element ( 133).

도시된 구성은 기하학적으로 대칭이 되는 모노폴 안테나 소자(131, 133) 중 하나에 분기 안테나 소자(132)를 연결함으로써 기하학적인 대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 1안테나(131, 132)와 제 2안테나(133)를 구성한 경우이다. 앞서 설명했던 인접 안테나의 기하학적 형태나 길이가 대칭인 경우 연결선로를 통해 우회되는 전류의 크기가 유사하여 상쇄된다는 내용으로 볼 때, 도시된 연결선로(134)를 통해 우회되는 제 1안테나(131, 132)와 제 2안테나(133) 사이의 전류 크기는 분기 안테나 소자(132)에 의한 비대칭성 때문에 서로 상이해져 격리도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실질적으로는 이렇게 비대칭인 제 1안테나와 제 2안테나가 인접 배치되는 경우에도 각 급전점에 연결된 안테나들 사이의 전류 크기는 안테나 단위에서 유사하게 되어 우회 전류가 상쇄되므로 격리도가 유지된다.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is such that the first antennas 131 and 132 and the second antenna 133 are prevented from being geometrically symmetrical by connecting the branch antenna elements 132 to one of the geometrically symmetric monopole antenna elements 131 and 133. ) Is configured. When the geometric shape or length of the adjacent antennas described above is symmetrical, the first antenna 131 bypassed through the connection line 134 shown in FIG.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between 132 and the second antenna 133 is expect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due to the asymmetry by the branch antenna element 132, thereby lowering the isolation, but substantially the asymmetry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is adjacent. Even when arranged, the current magnitude between the antennas connected to each feed point becomes similar in the antenna unit, so that the bypass current is canceled to maintain isolation.

결국, 연결선로(134)를 구성하는 부피 증가 없고 구현이 용이한 방법을 통해서 기하학적 대칭 특성이 무시된 다양한 안테나들의 상호 격리도를 높게 유지하여 좁은 공간에 복수 안테나들을 밀집배치하면서도 개별 안테나들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by maintaining a high degree of mutual isolation between the various antennas ignoring the geometric symmetry characteristics through a bulky and easy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connecting line 134 to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individual antennas while densely placing a plurality of antennas in a narrow space It will be possible.

특히, 이러한 복수의 급전점 사이의 거리가 1/4λ 이내로 근접하게 배치될 경우라 하더라도 각 급전점 사이에서는 낮은 패턴 상관도와 낮은 커플링이 유지된다.In particular, even when the distances between the plurality of feed points are arranged in close proximity within 1 / 4λ, low pattern correlation and low coupling are maintained between each feed point.

한편, 이렇게 분기 안테나 소자(132)가 적용됨으로써 MIMO 안테나로 동작하는 모노폴 안테나 소자들(131, 133)은 더이상 완전한 대칭 구조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데, 분기 안테나 소자(132)의 적용에 의해서 격리도는 유지되지만 각 안테나들의 공진점은 다소 이동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결국,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도록 길이가 동일해야 하는 모노폴 안테나 소자들(131, 133)의 길이는 분기 안테나 소자(132)의 적용으로 인해 각각 공진 주파수를 맞추도록 조절되므로 MIMO 안테나로 사용되는 모노폴 안테나 소자들(131, 133)은 더 이상 대칭이 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복수 급전점에 하나 이상의 안테나 소자가 구성될 경우 모든 안테나 소자들은 비대칭성을 가지게 된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비대칭 안테나들이 연결된 급전점 사이에 연결소자를 구성할 경우 안테나가 인접 배치되더라도 격리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Meanwhile, as the branch antenna element 132 is applied, the monopole antenna elements 131 and 133 that operate as the MIMO antenna can no longer maintain a completely symmetrical structure, and the isolation is maintained by the branch antenna element 132. However, the resonance point of each antenna is due to some movement. As a result, the lengths of the monopole antenna elements 131 and 133 having the same length to have the same resonant frequency are adjusted to match the resonant frequency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branch antenna element 132, thereby being used as the MIMO antenna. Elements 131 and 133 are no longer symmetrical. That is, when one or more antenna elements are configured at a plurality of feed poin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antenna elements have asymmetry. In other words, when a connection element is formed between feed points to which asymmetrical antennas are connected, isolation may be increased even if the antenna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도 9및 도 10은 이러한 구성의 변형들을 보인 안테나 구조물(140, 150)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급전점에 연결된 한쌍의 대칭 안테나 소자들(141/144, 151/154)에 더불어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다른 대역을 위한 분기 안테나 소자들(142, 143, 152, 153, 155)은 다중 대역에서 공진하도록 다중모드를 제공하며, 비대칭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지만 각 안테나 및 안테나 소자들 사이의 간섭은 연결선로(145, 156)를 구성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9 and 10 are antenna structures 140 and 150 showing variations of this configuration, in addition to the pair of symmetric antenna elements 141/144 and 151/154 connected to a pair of feed points as shown. The branch antenna elements 142, 143, 152, 153 and 155 for different bands provide a multimode to resonate in multiple bands and are asymmetrical, but interference between each antenna and antenna elements Compared to the case where no (145, 156) is configured, it is significantly reduced.

도 11은 앞서 도 8을 통해 보인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예로서, 도시된 안테나 구조물(200)은 캐리어(210) 상에 입체적으로 구성된 내장형 안테나이다. 상기 캐리어(210)상에는 제 1및 제 2급전점(250, 260)과, 상기 급전점(250, 260) 각각에 연결되어 입체적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안테나 소자(220, 240)와, 상기 제 1급전점(250)에 연결된 분기 안테나 소자(230) 및 상기 제 1및 제 2급전점(250, 26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로(270)가 구성된다. FIG. 11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through FIG. 8, wherein the antenna structure 200 illustrated is a built-in antenna three-dimensionally configured on a carrier 210. On the carrier 210, a pair of antenna elements 220 and 240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eed points 250 and 260, the feed points 250 and 260, and three-dimensionally disposed, and the first The branch antenna element 230 connected to the feed point 250 and a connection line 27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eed points 250 and 260 are configured.

상기 한쌍의 안테나 소자(220, 240)는 미엔다(meander) 구조를 가지는 Wimax 대역용 MIMO안테나로서 구성되며, 상기 제 1급전점(250)에 연결되는 분기 안테나 소자(230)는 WCDMA 대역용 안테나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접 안테나 소자들 사이의 가장 가까운 거리, 혹은 상기 급전점들(250, 260)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가장 높은 대역인 WCDMA 대역 공진 주파수 파장의 1/4길이보다 짧도록 배치하여 안테나 구조물의 크기를 가능한 작게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의 경우 1/4 내지 1/16 파장사이의 거리로 구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안테나 사이의 거리를 2mm 까지 줄일 수 있다.The pair of antenna elements 220 and 240 are configured as MIMO antennas for the Wimax band having a meander structure, and the branch antenna elements 230 connected to the first feed point 250 are antennas for the WCDMA band. It consists of. At this time, the closest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antenna elements, or the distance between the feed points (250, 260) is arranged to be shorter than 1/4 length of the WCDMA band resonant frequency wavelength of at least the highest band size of the antenna structure Can be configured as small as possible. In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wavelengths of 1/4 to 1/16 may be configured, and in some c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antennas may be reduced to 2 mm.

도 12는 도 11에 예로 든 안테나 구조물의 각 안테나에 대한 정재파비(WSR)를 보인 곡선과, 산란변수 S21을 보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정재파비를 보인 곡선을 보면, 녹색 곡선은 제 2급전점에 연결된 제 2안테나(240)의 정재파비이고, 청색 곡선은 제 1급전점에 연결된 제 1안테나(220, 230)에 대한 정재파비이다. FIG. 12 illustrates a curve showing standing wave ratios (WSR) for each antenna of the antenna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11, and a scattering variable S21. As shown in the curve showing the upper standing wave ratio, the green curve is the standing wave ratio of the second antenna 240 connected to the second feed point, the blue curve is the first antenna (220, 230) connected to the first feed point The standing wave ratio for.

도시된 바와 같이 정재파비 특성을 보면, 제 1안테나(220, 230)의 경우 WCDMA 대역에서 2.6이하의 값을 보이고 Wimax 대역에서는 2이하의 값을 보인다. 제 2안테나(240)의 경우 Wimax 대역에서 2이하의 값을 보여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3이하)의 성능을 보이고 있다.As shown, the standing wave ratio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tennas 220 and 230 show a value of 2.6 or less in the WCDMA band and a value of 2 or less in the Wimax b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antenna 240, the Wimax band shows a value of 2 or less, and shows a level of performance (3 or less) that can be commercialized.

또한, 하부 산란변수 S21의 곡선을 보면 WCDMA 대역에서 적어도 -7dB이하의 격리 특성을 보이고, Wimax 대역에서 -14dB 이하의 격리 특성을 보이고 있어 격리 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rve of the lower scattering variable S21 shows an isolation characteristic of at least -7 dB or less in the WCDMA band and an isolation characteristic of -14 dB or less in the Wimax band.

즉, 단일한 소형 캐리어(210) 상에 한쌍의 급전점을 근접하게 배치한 후 이들 사이를 연결선로(270)를 통해 연결할 경우 대칭되는 안테나 소자들(220, 240)을 인접 배치하여 MIMO 안테나를 구성하더라도 격리도가 높아 상호 간섭없는 안테나 동작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 일측 안테나에 분기 안테나 소자(230)를 추가 적용할 경우에도 해당 분기 안테나 소자(230) 적용에 따른 추가 대역 특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분기된 안테나 소자(230) 역시 인접한 MIMO 안테나 소자들(220, 240)과 격리된 전기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a pair of feed points are closely arranged on a single small carrier 210 and then connected between them through a connecting line 270, the symmetrical antenna elements 220 and 24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a MIMO antenna. Even if the configuration is high,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antenna without mutual interference due to the high isolation, and even when the branch antenna element 230 is additionally applied to one antenna for such a configuration, additional band characteristics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branch antenna element 230. The branched antenna element 230 may also mainta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isolated from the adjacent MIMO antenna elements 220 and 240.

따라서, 최근 급증하고 있는 Wimax MIMO 안테나를 작은 크기의 내장 안테나로 구성하면서 추가적인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안테나를 안테나 구조물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Wimax MIMO antenna, which has recently increased rapidly, may be configured as a small internal antenna, and an antenna capable of supporting additional bands may be effectively implemented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antenna structure.

한편, 이렇게 분기 안테나 소자(230)를 적용할 경우 동일 대역을 지원하는 MIMO 안테나 소자들(220, 240)의 길이는 실제 파장 길이와 다르게 다소 조절되게 되는데, 도 11에 도시한 원형 부분과 같이 동일 대역을 위한 안테나의 기하학적 형태는 완전히 대칭되지는 않도록 구성되게 된다는 것에 주의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ranch antenna element 230 is applied in this way, the lengths of the MIMO antenna elements 220 and 240 that support the same band may be controlled somewhat differently from the actual wavelength length, as shown in FIG. 11. Note that the geometry of the antenna for the band will be configured so that it is not completely symmetrical.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구성을 변형하며 Wimax MIMO 안테나 구조물이 CDMA 대역과 PCS 대역까지 모두 3중 대역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경우의 예시적 안테나 구조물(300)을 보인 것이다.FIG. 13 illustrates an exemplary antenna structure 300 whe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1 is modified and the Wimax MIMO antenna structure is configured to support triple bands up to the CDMA band and the PCS band.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310) 상에 한쌍의 급전점(360, 370)을 구성하고, 이들 사이에 연결선로(380)를 배치한 후, 각 급전점(360, 370) 각각에 동일 Wimax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 소자들(320, 350)을 각각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안테나 소자들(320, 350) 사이 공간에 일측 급전점(360)과 연결, 혹은 일측 안테나 소자(320)로부터 분기되는 제 1분기 안테나 소자(330)와 상기 제 1분기 안테나 소자(330)에서 분기되는 제 2분기 안테나 소자(340)를 더 구성한다. 즉, 제 1안테나는 3개의 안테나 소자(320, 330, 340)로 구성되어 Wimax, PCS, CDMA 대역을 지원하며, 제 2안테나는 안테나 소자(350)로 구성되어 Wimax 대역을 지원한다. 다시 말해서, Wimax 대역 MIMO 안테나 소자(320, 350)가 구성되는 캐리어에 크기 변화 없이 CDMA와 PCS 대역 지원을 위한 분기 안테나 소자들(330, 340)을 일측 MIMO 안테나 소자(320)에 더 구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밀집 배치하더라도 연결선로(380)에 의해서 제 1안테나(320, 330, 340)와 제 2안테나(350) 사이의 유기 전류가 우회 상쇄되므로 개별 안테나 소자들 사이의 격리도가 높아져 각 안테나들은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된다.As shown, after configuring a pair of feed points 360, 370 on the carrier 310, arranging connecting lines 380 therebetween, the same Wimax band at each feed point 360, 370, respectively. Antenna elements 320 and 350 that operate in the configuration respectively. The first branch antenna element 330 and the first branch antenna element 330 connected to one side feed point 360 in the space between the antenna elements 320 and 350 or branched from the one side antenna element 320. The second branch antenna element 340 branched from further configures. That is, the first antenna is composed of three antenna elements 320, 330, and 340 to support Wimax, PCS, and CDMA bands, and the second antenna is composed of antenna elements 350 to support Wimax bands. In other words, the branch antenna elements 330 and 340 for supporting the CDMA and PCS bands may be further configured in the one side MIMO antenna element 320 without changing the size of the carrier in which the Wimax band MIMO antenna elements 320 and 350 are configured. In this case, even though the arrangement is such that the induced current between the first antenna 320, 330, 340 and the second antenna 350 is detoured by the connection line 380, the isola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tenna elements is increased, so that each antenna is It will work independently.

한편, 이 경우 역시 각 안테나 소자들은 실제 공진 주파수에 맞춘 길이와 달리 길이를 조정하여 각각 목적으로 하는 공진 주파수를 맞추어야 하며 그로인해, 동일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안테나 소자들 사이에서도 실질적인 길이는 달라지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분기 안테나 소자들(330, 340)과 다른 안테나 소자(320, 350)들의 소자 폭은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case, too, each antenna element must be adjusted to a desired resonant frequency by adjusting the length differently from the actual resonant frequency, and thus, the actual length is different between antenna elements having the same resonant frequency. In addition, the device widths of the branch antenna elements 330 and 340 and the other antenna elements 320 and 35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as necessary.

도 14는 도 13에 예로 든 안테나 구조물(300)의 각 안테나에 대한 정재파비(WSR)를 보인 곡선과, 산란변수 S21을 보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정재파비를 보인 곡선을 보면, 녹색 곡선은 제 2급전점에 연결된 제 2안테나(350)의 정 재파비이고, 청색 곡선은 제 1급전점에 연결된 제 1안테나(320, 330, 340)에 대한 정재파비이다. FIG. 14 illustrates a curve showing standing wave ratios (WSR) for each antenna of the antenna structure 300 illustrated in FIG. 13, and a scattering variable S21. As shown in the curve showing the upper standing wave ratio, the green curve is the standing wave ratio of the second antenna 350 connected to the second feed point, and the blue curve is the first antennas 320 and 330 connected to the first feed point. , 340).

도시된 바와 같이 정재파비 특성을 보면, 제 1안테나(320, 330, 340)의 경우 CDMA 대역의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2이하의 값을 가지고, PCS 대역에서는 1.5 이하의 값을, Wimax 대역에서는 2.4 이하의 값을 가진다. 제 2안테나(350)의 경우 Wimax 대역에서 1.6이하의 값을 보여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의 성능을 보이고 있다.As shown, the standing wave ratio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tenna (320, 330, 340) has a value of 2 or less based on the center frequency of the CDMA band, 1.5 or less in the PCS band, 2.4 in the Wimax band It has the following values. In the case of the second antenna 350, the value of 1.6 or less is shown in the Wimax band, and the performance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is shown.

또한, 하부 산란변수 S21의 곡선을 보면 CDMA 대역에서 -18dB이하의 극히 높은 격리 특성을 보이고, PCS 대역에서도 -14dB 이하의 높은 격리 특성을 보이며, Wimax 대역에서 역시 -12dB 이하의 높은 격리 특성을 보이고 있어 모든 안테나 사용 대역에서 높은 격리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curve of the lower scattering variable S21 shows extremely high isolation characteristics of -18 dB or less in the CDMA band, high isolation characteristics of -14 dB or less in the PCS band, and high isolation characteristics of -12 dB or less in the Wimax band. It can be seen that it shows high isolation in all antenna use bands.

즉,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Wimax MIMO 안테나를 소형의 캐리어 상에 구성하여 내장할 수 있도록 한 소형 안테나 구조물에 CDMA와 PCS 대역을 지원하는 안테나까지 별다른 크기의 증가 없이 한꺼번에 내장할 수 있으며, 그로인한 개별 안테나의 커플링에 따른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Wimax MIMO antenna, which is rapidly growing in demand, can be built on a small carrier so that the antenna supporting the CDMA and PCS bands can be embedded at once without any increase in size.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the coupling of the antenna can be prevented.

한편, 이러한 구성은 급전점이 2개인 안테나 구조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앞서 살펴본 비대칭 안테나 소자 적용에서도 단일 연결선로에 의해 유지되는 높은 격리도 특성은 복수의 급전점들과 해당 급전점에 하나 이상의 안테나 소자들이 연결된 안테나 구조물을 구현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유지된다.On the other hand, this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an antenna structure having two feed points, and the high isolation characteristic maintained by a single connection line even in the asymmetric antenna elem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means that a plurality of feed points and one or more antenna elements are provided at the feed points. The same holds for implementing connected antenna structures.

다만, 연결선로의 길이에 따른 지연시간, 위상 등의 조절을 위해서 급전점의 위치가 결정되거나 연결선로의 기하학적 형태가 가변될 수 있다.However, the position of the feed point may be determined or the geometry of the connection line may be varied in order to adjust the delay time and the phas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line.

도 15는 비대칭 안테나 소자들을 인접 배치하여 각 급전점에 연결되는 안테나 소자들의 특성이 완전히 상이하도록 할 경우에도 연결선로에 의해서 격리도 특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예로서, 최근 스마트폰과 같이 GPS 대역과 블루투스/Wifi 대역을 동시에 지원하면서 이를 최소한의 크기로 내장하고자 하는 경우의 안테나 구조를 보인 것이다. GPS의 경우 공진점을 이용하는 통신 방식으로서 GPS 안테나는 1.575GHz에서 높은 효율이 나타나야하면서, 인접한 다른 안테나들과는 적어도 -10dB이하의 격리도가 요구되는 비교적 까다로운 특성을 가진다. 한편, 최근 휴대용 단말기들은 기본적으로 블루투스/Wifi 통신을 지원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안테나 구성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현재에는 이들을 목표 격리도가 나타나도록 충분히 이격된 개별적인 안테나로 구현하고 있기 때문에 그 부피가 상당하고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해야 하므로 비용과 관리 부담이 높고, 이러한 안테나들을 인접 배치한 단일 안테나 구조물도 시험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나 격리도가 낮아 성능이 떨어진다.FIG. 1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symmetric antenna element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elements connected to each feeding point may be completely different, so that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may be improved by the connecting line. The antenna structure is shown when the Bluetooth / Wifi band is simultaneously supported and it is intended to be built with the minimum size. In the case of GPS, a GPS antenna has a high efficiency at 1.575 GHz, and has a relatively difficult characteristic that requires at least -10 dB of isolation from other adjacent antennas. Meanwhile, recently, portable terminals basically support Bluetooth / Wifi communication, so an antenna configuration for this is essential. As a result, they are now implemented as separate antennas sufficiently spaced to show the target isolation, so that the volume is large and multiple antennas must be used, resulting in high cost and management burden. Although it is applied as an external device, its performance is low due to its low isolation.

하지만, 도시한 바와 같은 안테나 구조물(400)에서는 안테나 소자들(420, 430) 사이의 거리를 2mm까지 줄일 수도 있어 대단히 작은 크기의 내장형 안테나 구조물로 밀집시켜 구성할 수 있다.However, in the antenna structure 400 as shown, the distance between the antenna elements 420 and 430 may be reduced to 2 mm so that the antenna structure 400 may be densely packed into a built-in antenna structure having a very small size.

도시된 제 1급전점(440)에 연결된 나선형 안테나(420)는 GPS 안테나로 동작하고, 제 2급전점(450)에 연결된 미엔다형 안테나(430)는 블루투스/Wifi 대역 안테나로 동작한다. 상기 각 안테나의 선폭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GPS 대역용 안테나(420)의 경우 고주파 대역에 비해 더 넓은 선폭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spiral antenna 420 connected to the first feed point 440 operates as a GPS antenna, and the mid-end antenna 430 connected to the second feed point 450 operates as a Bluetooth / Wifi band antenna. The line width of each antenna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and the antenna 420 for the GPS b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a wider line width than the high frequency band.

이렇게 기하학적 형태 및 길이가 완전히 상이한 안테나들을 높은 주파수 대역 파장의 1/4 거리 이내, 실질적으로는 훨씬 더 가까운 거리로 급전점들을 인접 배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급전점들(440, 450)을 연결하는 연결선로(460)에 의해서 유기 전류가 우회상쇄되기 때문에 격리도 특성은 높아질 수 있다.The connecting lines connecting the feed points 440 and 450 even when the feed point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t substantially different distances within a quarter distance of a high frequency band wavelength and antennas having completely different geometric shapes and lengths. Since the organic current is bypassed by the furnace 460, the isolation characteristic may be increased.

도시된 구성에서, 캐리어(410)의 폭을 30mm 정도로 구성하여 급전점 사이의 거리 및 안테나 사이의 거리가 20mm 이내가 되도록 구성한 경우의 특성을 도 16을 통해 보였다.In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se in which the width of the carrier 410 is configured to about 30 mm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eeding point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antennas are within 20 mm are shown through FIG. 16.

도 16은 도 15에 예로 든 안테나 구조물(400)의 각 안테나에 대한 정재파비(WSR)를 보인 곡선과, 산란변수 S21을 보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정재파비를 보인 곡선을 보면, 청색 곡선은 제 1급전점(440)에 연결된 제 1안테나(420)에 대한 정재파비이고, 녹색 곡선은 제 2급전점(450)에 연결된 제 2안테나(430)에 대한 정재파비를 보인 것이다. FIG. 16 illustrates a curve showing standing wave ratios (WSR) for each antenna of the antenna structure 400 illustrated in FIG. 15, and a scattering variable S21. As shown in the curve showing the upper standing wave ratio, the blue curve is the standing wave ratio for the first antenna 420 connected to the first feed point 440, the green curve is the second connected to the second feed point 450 The standing wave ratio for two antennas (430) is shown.

도시된 바와 같이 정재파비 특성을 보면, 제 1안테나(420)의 경우 GPS 주파수인 1.575GHz에서 1.53 정도의 값을 보여 뛰어난 성능을 보이고 있으며, 제 2안테나(430)의 경우 블루투스/Wifi 대역에서 2이하의 값을 보이고 있어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의 성능을 보이고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tanding wave ratio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tenna 420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by showing a value of about 1.53 at a GPS frequency of 1.575 GHz,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antenna 430, 2 in the Bluetooth / Wifi band. The following values show the level of performance that can be commercialized.

또한, 하부 산란변수 S21의 곡선을 보면 GSP 주파수에서 -24.4dB의 극히 높은 격리 특성을 보이고 있어 인접 안테나에 독립적인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블루투스/Wifi 대역에서도 -12dB이하의 높은 격리 특성을 보이고 있어 모든 안테나 사용 대역에서 높은 격리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curve of the lower scattering variable S21 shows an extremely high isolation characteristic of -24.4 dB at the GSP frequency, so that it can operate as an independent antenna adjacent to the adjacent antenna.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show high isolation in all antenna bands.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구성을 이용하면서 안테나들 사이의 가장 짧은 거리를 10mm로 한 경우 연결선로가 없다면 그 효율은 도 17과 같이 나타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antennas is 10 mm while us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5, the efficiency is shown as shown in FIG. 17 if there is no connection line.

여기서, 각 이득과 빔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H는 H평면에서의 값이고, E1은 전계면, E2는 자계면에서의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3D는 V평면과 H평면을 모두 고려한 경우의 값이다.Here, H, which is a reference for measuring each gain and beam width, is a value in the H plane, E1 is an electric field plane, and E2 is a value in the magnetic field plane. 3D is a value considering both the V plane and the H plane.

도시된 표와 같이 GPS 안테나의 효율은 60%를 넘지 못하고, 블루투스/Wifi 효율 역시 53%를 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he table, the efficiency of the GPS antenna does not exceed 60%, Bluetooth / Wifi efficiency also can be seen that does not exceed 53%.

반면에, 도 15에 도시한 구성과 같이 연결선로를 구성할 경우에는 도 18과 같은 효율이 나타나게 된다. 즉, 동일한 급전점 및 안테나 구조를 이용하더라도 연결선로를 더 구성하는 것 만으로 GPS의 효율은 70%를 넘고, 블루투스/Wifi 대역에서의 효율 또한 거의 70%를 유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necting line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15, the efficiency as shown in FIG. That is, even if the same feed point and antenna structure are used, the GPS efficiency is more than 70% and the efficiency in the Bluetooth / Wifi band is maintained almost 70% by simply configuring the connection line.

상기 도 17 및 도 18의 표는 안테나 사이의 거리를 10mm의 짧은 거리로 배치한 경우의 예로서, 그 사이를 더 넓게 할 경우나 연결선로의 길이를 조절할 경우 효율이 70%를 훨씬 상회하게 된다.17 and 18 are examples of a cas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antennas is arranged at a short distance of 10 mm.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wider or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line is adjusted, the efficiency is much higher than 70%. .

한편, 앞서 설명했던 본 발명 실시예들의 경우 연결선로 사이에는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다른 종류의 소자들이 더 구성될 수 있고, 실시예에서 언급한 안테나 소자는 다이폴이나 모노폴, 혹은 미엔더 형태(meandered shapes)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를 가지는 안테나는 물론이고, 헬리컬 코일(helical coil), 2차원 형태의 광대역 평판형(wideband planer shape), 칩 안테나(chip antennas), 루프(loops) 또는 유도성 션트형태(inductively shunted forms)로서 평판 역F형 안테나(Plannar Inverted-F Antennas: PIFAs) 등과 같은 다양한 안테나 종류들도 포괄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other types of elements may be further configured between the connection line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elical coils, wideband planer shapes in two dimensions, chip antennas, loops or the like Various antenna types such as planar inverted-F antennas (PIFAs) and the like as inductively shunted forms may also be covered.

도 1은 한쌍의 인접 배치된 다이폴 안테나.1 is a pair of adjacently arranged dipole antennas.

도 2는 한쌍의 인접 배치된 다이폴 안테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개념도.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pair of adjacently arranged dipole antennas.

도 3은 도 1의 안테나 동작 특성을 보인 특성도.3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of FIG.

도 4은 인접 배치된 다이폴 안테나에 연결선로를 구성한 경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개념도.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when a connecting line is configured in an adjacently arranged dipole antenna.

도 5는 연결선로를 적용한 경우의 인접 배치된 다이폴 안테나의 동작 특성을 보인 상태도.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djacent dipole antenna when the connection line is applied.

도 6은 연결선로의 변형예를 보인 안테나 구조물6 is an antenna structure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nnecting line

도 7은 한쌍의 모노폴 안테나 사이에 구성된 연결부를 보인 개념도.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nnection configured between a pair of monopole antennas.

도 8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대칭형으로 구성된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물의 구성예.8 to 10 are examples of the configuration of an antenna structure including antennas configured asymmetrical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물의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tenn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동작 특성을 보인 특성도.12 is a characteristic diagram illustrating antenna oper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1;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물의 사시도.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tenna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동작 특성을 보인 특성도.14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antenna oper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물의 사시도.1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tenna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동작 특성을 보인 특성도.16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antenna oper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17및 도 18은 연결선로를 구성한 경우와 구성하지 않은 경우의 효율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표.17 and 18 are exemplary tables for explaining the difference in efficiency between when the connecting line is configured and when it is not configur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200: 안테나 구조물 210: 캐리어200: antenna structure 210: carrier

220: 제 1안테나 소자 230: 분기 안테나 소자220: first antenna element 230: branch antenna element

240: 제 2안테나 소자 250: 제 1급전점240: second antenna element 250: first feed point

260: 제 2급전점 270: 연결선로260: second feed point 270: connecting line

Claims (20)

복수의 급전점과; A plurality of feed points; 상기 급전점 각각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급전점에 둘 이상이 연결되며 상호 기하학적 대칭성이 없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과;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connected to each of the feed points, two or more connected to at least one feed point, and having no geometric symmetry; 상기 급전점들 사이를 연결하여 유기 전류가 우회하여 상쇄되도록 구성된 연결선로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And a multi-band antenna structure comprising a connection line configured to connect the feed points to bypass the induced current to cance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점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안테나 소자들이 지원하는 가장 높은 공진 주파수의 1/4파장 길이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2. The multiband antenna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feed points is within a quarter wavelength of the highest resonant frequency supported by the antenna elemen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점들과 안테나 소자들 및 연결선로가 입체적으로 배치된 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The multiband antenna structur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rrier in which the feed points, the antenna elements, and the connecting line are three-dimensionally arrang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상이한 급전점에 각각 연결 된 한쌍의 안테나 소자들은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면서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The multiband antenna structure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pair of antenna elements respectively connected to different feed points among the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have different lengths and have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상이한 급전점에 각각 연결된 한쌍의 안테나 소자들은 MIMO 안테나로 동작하고, 그 외의 안테나 소자는 다른 대역을 위한 별도의 안테나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pair of antenna elements respectively connected to different feed points among the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operate as MIMO antennas, and other antenna elements operate as separate antennas for different bands. Band antenna structur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상이한 급전점에 각각 연결된 한쌍의 안테나 소자들은 동일한 기하학적 패턴을 가지지만 그 길이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2. The multiband antenna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pair of antenna elements each connected to different feed points of the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have the same geometric pattern but differ in length from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소자는 다른 안테나 소자들과 상이한 선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The multiband antenna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antenna element of the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has a different line width than other antenna elemen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은 CDMA, PCS, WCDMA, GPS, WiFi, 블루투스 대역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대역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The multiband antenna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support at least two or more bands among CDMA, PCS, WCDMA, GPS, WiFi, and Bluetooth band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로는 직선, 곡선, 요철 구조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기 설정된 격리대역폭과 임피던스 대역폭을 나타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The multiband antenna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line is arranged to exhibit a predetermined isolation bandwidth and an impedance bandwidth through any geometric shape including straight lines, curved lines, and uneven structur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는 헬리컬 코일(helical coil), 광대역 평판형(wideband planer shapes), 칩 안테나(chip antennas), 미엔더 형태(meandered shapes), 루프(loops) 또는 유도성 션트형태(inductively shunted forms)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2. The antenna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are helical coils, wideband planer shapes, chip antennas, meandered shapes, loops or inductives. A multiband antenna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one or more of inductively shunted form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로 중간에 선택적 연결을 위한 스위치, 바이패스 대역 선택을 위한 필터, 지연 시간이나 위상 조절 또는 임피던스를 가변하는 튜너블 소자 중 하나 이상을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 물.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switch for selective connection, a filter for bypass band selection, and a tunable element for varying delay time or phase adjustment or impedance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line. Band antenna structure water. 두개의 급전점과; Two feed points; 상기 두개의 급전점 각각에 연결되며 상이한 기하학적 형태와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두개의 안테나들과; Two antennas connected to each of the two feed points and having different geometries and resonant frequencies; 상기 급전점들을 연결하여 인접한 안테나에 의해 유기되는 전류가 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And a connection line configured to connect the feed points to bypass current induced by an adjacent antenna.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점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안테나들이 지원하는 가장 높은 공진 주파수의 1/4파장 길이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13. The multiband antenna structure of claim 12,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feed points is within a quarter wavelength of the highest resonant frequency supported by the antennas.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다중 대역 지원을 위한 분기 안테나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13. The multiband antenna structure of claim 12, wherein a branch antenna for multiband support is further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antennas.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점과 안테나들 및 연결선로가 입체적으로 배치 된 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The multiband antenna structure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carrier in which the feed point, the antennas, and the connecting line are three-dimensionally arranged.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은 서로 상이한 안테나 선로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13. The multiband antenna structure of claim 12, wherein the plurality of antennas have different antenna line widths.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로는 직선, 곡선, 요철 구조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기 설정된 격리대역폭과 임피던스 대역폭을 나타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The multiband antenna structure of claim 12, wherein the connection line is arranged to exhibit a predetermined isolation bandwidth and an impedance bandwidth through any geometric shape including straight lines, curves, and uneven structures.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안테나들은 각각 GPS와 블루투스/WiFi 대역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13. The multiband antenna structure of claim 12, wherein the two antennas support GPS and Bluetooth / WiFi bands, respectively. 캐리어 상에 사용 대역 중 가장 높은 대역 파장의 1/4 이내의 이격 거리로 배치된 한쌍의 급전점과; A pair of feed points arranged on the carrier with a separation distance within one quarter of the highest band wavelength of the band used; 상기 급전점에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캐리어의 복수 면에 걸쳐 형성되고, 상호 대칭되지 않는 기하학적 형태를 가지는 한쌍의 안테나들과; A pair of antennas each connected to the feed point and formed over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carrier, the antennas having a non-symmetrical geometric shape; 상기 급전점이나 상기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에 추가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분기 안테나와; At least one branch antenna further connected to the feed point or at least one of the antennas; 상기 급전점 사이를 기 설정된 기하학적 형태로 직접 연결하여 상기 안테나들과 분기 안테나의 동작에 따른 유기 전류를 우회시키는 연결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And a connection line which directly connects the feed points with a predetermined geometric shape to bypass the induced curr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ntennas and the branch antennas.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로 중간에 선택적 연결을 위한 스위치, 바이패스 대역 선택을 위한 필터, 지연 시간이나 위상 조절 또는 임피던스를 가변하는 튜너블 소자 중 하나 이상을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안테나 구조물. 20. The apparatus of claim 19,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switch for selective connection, a filter for bypass band selection, and a tunable element for varying delay time or phase adjustment or impedance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line. Band antenna structures.
KR1020090026523A 2009-03-27 2009-03-27 Multiband antenna structure KR201001080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523A KR20100108062A (en) 2009-03-27 2009-03-27 Multiband antenna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523A KR20100108062A (en) 2009-03-27 2009-03-27 Multiband antenna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062A true KR20100108062A (en) 2010-10-06

Family

ID=4312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523A KR20100108062A (en) 2009-03-27 2009-03-27 Multiband antenna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8062A (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6805A (en) * 2010-10-27 2012-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Mimo antenna apparatus
WO2012108682A2 (en) * 2011-02-09 2012-08-16 주식회사 모비텍 Mimo/diversity antenna for improving the isolation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KR101258211B1 (en) * 2012-01-12 2013-04-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lanar type wideband mimo antenna
KR20130085707A (en) * 2012-01-20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1389392B1 (en) * 2013-02-13 2014-04-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Internal mimo antenna capable of frequency tuning
KR101508172B1 (en) * 2012-11-05 2015-04-08 주식회사 아이엠텍 Circuit Board for NFC Antenna with Wireless Charging
WO2017074064A1 (en) * 2015-10-27 2017-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nal coil structur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in a wireless terminal
WO2017155279A1 (en) * 2016-03-10 2017-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WO2017175964A1 (en) * 2016-04-08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80089476A (en) * 2015-12-02 2018-08-08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Method, system and apparatus
KR102026796B1 (en) * 2018-06-15 2019-09-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imo antenna apparatus with wideband isolation for smart glasses
US10741904B2 (en) 2016-02-18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unit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6805A (en) * 2010-10-27 2012-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Mimo antenna apparatus
US9209517B2 (en) 2011-02-09 2015-12-08 Mobitech Corp. MIMO/diversity antenna for improving the isolation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WO2012108682A2 (en) * 2011-02-09 2012-08-16 주식회사 모비텍 Mimo/diversity antenna for improving the isolation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WO2012108682A3 (en) * 2011-02-09 2012-11-29 주식회사 모비텍 Mimo/diversity antenna for improving the isolation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KR101258211B1 (en) * 2012-01-12 2013-04-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lanar type wideband mimo antenna
KR20130085707A (en) * 2012-01-20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1508172B1 (en) * 2012-11-05 2015-04-08 주식회사 아이엠텍 Circuit Board for NFC Antenna with Wireless Charging
KR101389392B1 (en) * 2013-02-13 2014-04-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Internal mimo antenna capable of frequency tuning
US10515757B2 (en) 2015-10-27 2019-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nal coil structur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in a wireless terminal
WO2017074064A1 (en) * 2015-10-27 2017-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nal coil structur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in a wireless terminal
US9831031B2 (en) 2015-10-27 201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nal coil structur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in a wireless terminal
KR20180089476A (en) * 2015-12-02 2018-08-08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Method, system and apparatus
US10741904B2 (en) 2016-02-18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unit
US10686259B2 (en) 2016-03-10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WO2017155279A1 (en) * 2016-03-10 2017-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US11362443B2 (en) 2016-03-10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US11916301B2 (en) 2016-03-10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WO2017175964A1 (en) * 2016-04-08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251540B2 (en) 2016-04-08 202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026796B1 (en) * 2018-06-15 2019-09-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imo antenna apparatus with wideband isolation for smart glas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8062A (en) Multiband antenna structure
JP4723673B2 (en) Multi-mode antenna structure
US10522909B2 (en) Multi-input multi-output antenna
JP3503556B2 (en) Surface mount antenna and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he antenna
US20170256854A1 (en) Reconfigurable multi-band antenna with four to ten ports
EP2950387B1 (en) Antennas with multiple feed circuits
KR101852291B1 (en) Mimo antenna apparatus with multiband isolation characteristic
JP2017511667A (en) Antenna system using capacitively coupled loop antenna with provision of antenna isolation
EP3678260B1 (e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antenna device for terminal and method for realizing transmission of antenna signal
US6828938B2 (en) MEMS planar antenna array
KR20150138339A (en) Reconfigurable multi-mode active antenna system
US9306275B2 (en) Multi-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TWI404265B (en) Printed dipole antenna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O2016097712A1 (en) Reconfigurable multi-band multi-function antenna
WO2016162685A1 (en) Reconfigurable 4-port multi-band multi-function antenna with a grounded dipole antenna component
WO2014125832A1 (en) Dual-band antenna device
KR20120015352A (en) Methods for reducing near-field radiation and specific absorption rate(sar) values in communications devices
US10033097B2 (en) Integrated antenna beam steering system
JP2009111959A (en) Parallel 2-wire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110030113A (en) Multi-band antenna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operating frequenc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KR101776263B1 (en) Metamaterial antenna
KR100922230B1 (en) Multilayer Antenna
JP6651010B2 (en) Antenna device and radio
KR101776261B1 (en) Metamaterial antenna
KR101456568B1 (en)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