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263A -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263A
KR20100106263A KR1020100083545A KR20100083545A KR20100106263A KR 20100106263 A KR20100106263 A KR 20100106263A KR 1020100083545 A KR1020100083545 A KR 1020100083545A KR 20100083545 A KR20100083545 A KR 20100083545A KR 20100106263 A KR20100106263 A KR 20100106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light
medium
particle
electr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83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6263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브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브릭
Publication of KR2010010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263A/ko
Priority to KR1020110062308A priority patent/KR20120001639A/ko
Priority to KR1020110062195A priority patent/KR101143489B1/ko
Priority to KR1020110062289A priority patent/KR20120001637A/ko
Priority to KR1020110062211A priority patent/KR20120001635A/ko
Priority to EP11801107.1A priority patent/EP2590011A4/en
Priority to PCT/KR2011/004708 priority patent/WO2012002701A2/ko
Priority to US13/388,983 priority patent/US9625784B2/en
Priority to JP2013518244A priority patent/JP2013539058A/ja
Priority to KR1020110068798A priority patent/KR20120011785A/ko
Priority to KR1020110068781A priority patent/KR20120011784A/ko
Priority to KR1020110068768A priority patent/KR101160938B1/ko
Priority to KR1020110068933A priority patent/KR20120011786A/ko
Priority to EP11809822.7A priority patent/EP2597512A4/en
Priority to JP2013520641A priority patent/JP6088427B2/ja
Priority to PCT/KR2011/005136 priority patent/WO2012011695A2/ko
Priority to US13/388,300 priority patent/US20120188295A1/en
Priority to KR1020110070760A priority patent/KR101180118B1/ko
Priority to US15/131,974 priority patent/US20160232830A1/en
Priority to JP2016139157A priority patent/JP2016197256A/ja
Priority to US15/942,325 priority patent/US1080378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2001/1678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article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조절 방법, 필름 및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은, 전하를 갖는 입자가 광투과성 매체에 분산된 상태에서 - 입자 및 매체는 적어도 한 전극이 광투과성을 갖는 상부 및 하부 전극의 사이 공간에 위치함 -, 입자에 대하여 전기장을 인가하여 입자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입자에 입사되는 광의 투과도를 조절하고 입자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LIGHT TRANSMISSION AND REFLECTION USING PARTICLES HAVING ELECTICAL CHARGE}
본 발명은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분극 특성을 가지고 일정한 전하로 대전된 미세입자를 절연 매체에 분산시킨 뒤 외부에서 전기장을 인가하면, 전기 분극된 입자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입자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광투과도가 조절되고 더 나아가 입자간 간격이 균일하게 제어됨으로써 반사광의 파장까지 조절할 수 있는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 투과 조절 장치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나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 또는 차단시키는 기능을 하는 광학 장치이다.
종래의 광 투과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Electrochromic 방법, SPD(Suspended particle device) 방법, PLDC(Polymer disperized LC) 방법, micro-blinds 방법 등이 소개된 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단순히 광투과도만이 조절되기 때문에 응용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전기분극 특성을 갖고 전하를 갖는 입자를 절연체에 분산시킨 상태에서 전기장을 인가함으로써 낮은 전압에서 광투과도를 빠른 속도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광의 파장까지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 윈도우 등의 실내외 인테리어 제품, 건축내외장재, 정보 디스플레이, 광학소자, 광학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을 구상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하를 갖는 입자가 광투과성 매체에 분산된 상태에서 - 입자 및 매체는 적어도 한 전극이 광투과성을 갖는 상부 및 하부 전극의 사이 공간에 존재함 -, 입자에 대하여 전기장을 인가하여 입자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입자에 입사되는 광의 투과도를 조절하고 입자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은, 전하를 갖는 입자가 광투과성 매체에 분산된 상태에서 - 상기 입자 및 상기 매체는 적어도 한 전극이 광투과성을 갖는 상부 및 하부 전극의 사이 공간에 위치함 -, 상기 입자에 대하여 전기장을 인가하여 상기 입자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입자에 입사되는 광의 투과도를 조절하고 상기 입자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자는 전기분극 특성을 갖는 입자로서, 상기 입자가 매체에 분산되어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입자가 무질서하게 이동되어 상기 입자의 산란에 의해 입사되는 광의 투과도가 낮아져 불투명한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입자가 절연체 매체에 분산되어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전기분극에 의해 상기 입자가 전기장의 방향에 따라 회전 또는 이동함으로써 상기 입자에 의한 산란이 감소함으로써, 입사되는 광의 투과도가 높아지고 상기 입자로부터 특정 파장의 광이 반사될 수 있다 - 상기 특정 파장은 상기 전기장의 방향 또는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음 -.
상기 매체는 절연체일 수 있다.
상기 입자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은 가시광선 대역으로서 상기 전기장의 방향 또는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입자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은 자외선 또는 적외선 대역으로서 상기 전기장의 방향 또는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의 간격은 20um 이하이고, 상기 전기장을 인가하기 위하여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는 10V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입자와 상기 매체 사이의 굴절률 차이는 0.1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입자의 유전율은 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입자는 무기물 및 유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젤(gel)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입자가 분산된 매체는 광투과성 매질에 의하여 캡슐화되거나 광투과성 매질 내에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입자보다 크기가 큰 스페이싱 입자를 상기 매체 내에 분산시키고, 상기 스페이싱 입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입자가 분산된 매체를 광투과성 매체로 캡슐화 시키고, 상기 입자보다 크기가 큰 스페이싱 입자를 상기 캡슐과 같이 혼합한 뒤, 상기 스페이싱 입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입자 및 상기 스페이싱 입자가 분산된 매체를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 사이에 충진시킨 다음, 열 에너지, 광 에너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여 상기 스페이싱 입자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은 플렉서블(flexible)한 기판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분극 특성을 갖고 전하를 갖는 입자를 절연체에 분산시킨 상태에서 전기장을 인가함으로써 낮은 전압에서 광투과도를 빠른 속도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광의 파장까지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 윈도우 등의 실내외 인테리어 제품 및 정보 디스플레이, 광학소자, 광학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 투과도를 조절하고 반사광의 파장을 조절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입자 및 매체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는 음전하 또는 양전하를 갖는 입자로서 매체에 분산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입자는 동일한 부호의 전하로 인한 상호간의 척력으로 인하여 서로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입자의 직경은 수 nm 내지 수백 um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매체에는 양전하로 대전된 입자들과, 음전하로 대전된 입자들이 혼재해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는, 이종의 물질로 이루어진 코어-셀(core-shell)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종의 물질로 이루어진 멀티-코어(multi-core)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나노 입자로 이루어진 클러스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하를 갖는 전하층이 이들 입자를 감싸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입자라 함은 매체 내에 분산되어 있는 용질 물질을 전반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열거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슬 형태, 판형 형태, 고리 형태, 막대 형태, 디스크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비정형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는 금속입자, 폴리머입자, 무기질입자, 반도체입자 혹은 이들의 화합물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는 실리콘(Si), 티타늄(Ti), 탄소(C), 바륨(Ba), 스트론튬(Sr), 철(Fe), 니켈(Ni), 코발트(Co), 납(Pb),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금(Au), 텅스텐(W), 몰리부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알루미늄(Al) 등의 원소나 이들을 포함하는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PS(polystyre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e),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등의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는 전하를 갖지 않는 입자 혹은 클러스터(cluster)에 전하를 갖는 물질이 코팅된 형태로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탄화수소기를 갖는 유기화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가공(혹은 코팅)된 입자,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기, 에스테르(ester)기, 아실(acyl)기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가공(혹은 코팅)된 입자, 할로겐(F, Cl, Br, I 등) 원소를 포함하는 착화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가공(코팅)된 입자, 아민(amine), 티올(thiol), 포스핀(phosphine)을 포함하는 배위화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가공(코팅)된 입자, 표면에 라디칼을 형성함으로써 전하를 갖는 입자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포로스(porous)한 물질이나 공공(cavity)과 같이 매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부위도 입자로 이해할 수 있고, 매체와 섞이지 않는 이종의 액체형태의 물질도 입자로 이해할 수 있다.또한 본 발명의 입자로는 양자점(quantum dot)이나 형광 물질들이 이용되어 광결정 효과 외에 양자점 특성이나 형광특성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자극(전기장, 자기장, 빛, 압력, 화학적 자극 등)에 따라 굴절률이 변화하는 물질을 입자로 사용함으로써 입자의 배열에 의한 광결정효과 외에 입자의 굴절률 변화에 따른 광결정 효과와 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가 후술할 매체 내에서 침전되지 않고 안정한 콜로이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광결정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입자와 매체로 이루어진 콜로이드 용액의 계면동전위(electrokinetic potential)(즉, 제타 전위)의 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으로 높을 수 있고, 입자와 매체의 비중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콜로이드 용액의 계면동전위의 절대값은 10mV 이상일 수 있고, 입자와 매체의 비중 차이는 5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자와 매체의 굴절률(refractive index) 차이를 기 설정한 값보다 크게 하여 전압이 인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산란에 의한 광차단효과를 높이고, 전압을 인가하여 입자가 일정하게 배열되는 경우에는 반사광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굴절률이 낮은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굴절률이 높은 입자를 분산 시켜 사용할 수 있거나, 이와 반대로 굴절률이 높은 매체에 굴절률이 낮은 입자를 분산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매체와 입자의 굴절률 차이의 절대값을 0.1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자극(전기장, 자기장, 빛, 압력, 화학적 자극 등)에 따라 굴절률이 변화하는 물질을 매체로 사용함으로써 입자의 배열에 의한 광결정효과 외에 용액의 굴절률 변화에 따른 광결정 효과와 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의 용액으로는 동작범위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이온인 이온용액(ionic liquid)를 사용하여, 태양전지 혹은 연료전지화 효과적으로 혼합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입자 또는 매체는 전기분극(electrical polarization) 특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입자 또는 매체는 원자 혹은 분자의 비대칭적인 전하 분포 등으로 인하여 외부 전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전자 분극, 이온 분극, 계면 분극 및 회전 분극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전기분극 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자로는 TiOx, AlOx, SiOx와 같이 자발 전기분극은 없지만 외부전계에 의해 전기분극이 일어나는 물질을 사용하거나, PbZrO3, PbTiO3, Pb(Zr,Ti)O3, SrTiO3 BaTiO3, (Ba, Sr)TiO3, CaTiO3, LiNbO3 와 같은 특정 온도범위에서 강유전체(ferroelectric) 혹은 초상유전체(superparaelectric) 특성을 가진 물질로서 자발 전기분극이 있어 외부전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기분극 값이 높은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Au), 은(Ag)와 같은 금속은 외부전계에 따라 전자들의 이동에 의한 전기분극특성이 아주 크기 때문에 금속 나노입자들은 본 발명의 적용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분극 매체로는 Trichloroethylene, Carbon Tetrachloride, Di-Iso-Propyl Ether, Toluene, Methyl-t-Bytyl Ether, Xylene, Benzene, DiEthyl Ether, Dichloromethane, 1,2-Dichloroethane, Butyl Acetate, Iso-Propanol, n-Butanol, Tetrahydrofuran, n-Propanol, Chloroform, Ethyl Acetate, 2-Butanone, Dioxane, Acetone, Metanol, Ethanol, Acetonitrile, Acetic Acid, Dimethylformamide, Dimethyl Sulfoxide, Propylene carbonate, N,N-Dimethylformamide, Dimethyl Acetamide, N-Methylpyrrolodone과 같이 분극지수(polarity index)가 1 보다 높은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전기 분극입자 혹은 전기 분극매체를 이용하면, 외부전압 인가시 전기분극현상에 의한 상호인력에 의해 입자가 일정한 배열을 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 입자에 입사되는 광의 투과도를 조절하는 구성 및 입자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조절하는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분극 특성을 가지고 일정한 전하로 대전된 미세입자를 절연 매체에 분산시킨 뒤 외부에서 전기장을 인가하면, 전기 분극된 입자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입자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광투과도가 조절되고 더 나아가 입자간 간격이 균일하게 제어됨으로써 반사광의 파장까지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분극 특성을 가지고 일정한 전하로 대전된 미세입자를 절연 매체에 분산시킨 뒤 외부에서 전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장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세입자와 매체와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입사광이 산란됨으로써 불투명한 상태가 나타날 수 있고, 전기장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미세입자에 전기분극이 유발되면 상호작용에 의해 점차 전기장의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점차 투명한 상태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일정 세기 이상의 전기장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미세입자가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될뿐더러 입자간의 간격이 동일전하로 인한 쿨롱힘과 전기영동힘이 균형을 이루어 일정간격으로 조절되어 특정한 파장 범위의 반사광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기장에 의하여 광 투과도가 조절되는 원리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전하을 갖는 복수의 입자는 매체 내에서 불규칙하게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입자에 광의 투과도는 특별히 제어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입자에 입사되는 광은 매체 내에 불규칙하게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입자 혹은 매체에 의하여 산란 또는 반사되거나 입자 및 매체를 그대로 투과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에, 매체 내의 전하을 갖는 복수의 입자는 전기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자에 입사되는 광의 투과도가 제어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자에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에, 복수의 입자가 갖는 전하로 인하여 복수의 입자 각각이 회전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에, 전기장에 의하여 복수의 입자가 전기분극될 수 있고 그 전기분극 방향이 전기장의 방향과 같아지도록 전기분극된 복수의 입자 각각이 회전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회전하거나 이동된 복수의 입자들 사이에 전기적 인력 혹은 척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복수의 입자가 전기장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정렬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입자의 정렬 방향이 입사광의 방향과 평행하는 경우에는 입사광이 입자에 의하여 반사되거나 산란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입사광의 투과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하지만, 반대로 입자의 정렬 방향이 입사광의 방향과 평행하지 않고 소정의 각을 이루는 경우는 경우에는 입사광이 입자(310, 410)에 의하여 반사되거나 산란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입사광의 투과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상기입자는 전하로 대전되고 전기분극 특성을 가지는 입자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투과도만 조절하는 경우에는 입자는 전하로 대전되지 않고 소정의 유전율보다 높은 유전율을 가진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전기분극 특성만을 나타내도 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전기장에 의하여 반사광의 파장이 조절되는 원리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부호의 전하를 갖는 복수의 입자가 매체에 분산된 상태에서 입자 및 매체에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입자가 갖는 전하로 인하여 복수의 입자에는 전기장의 세기와 입자의 전하량에 비례하는 전기적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입자는 전기영동(electrophoresis) 되어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입자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인가 전압이 증가됨에 따라 입자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서로 동일한 부호의 전하를 갖는 복수의 입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척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입자 사이의 간격이 계속하여 좁아지지는 않고 외부 인가 전압에 의한 전기영동 힘과 입자간 동일전하로 인한 반발력이 소정의 균형을 이루게 되며, 결과적으로 매체 내에 분산된 입자는 전압에 따라 특정 거리를 유지하며 규칙적인 배열을 하게 되어 특정한 파장의 빛(광결정색)을 반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입자 혹은 매체가 전기분극이 되는 경우, 상기 기술한 전기영동 힘과 입자간 전기반발력 힘 외에, 외부 전압에 따라 전기 분극간 상호인력이 작용하여 규칙적인 입자배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액에 분산된 입자에 상기 기술된 힘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예에 기술한 힘에 국한하지 않고 입자의 질량으로 인한 중력, 입자와 매체의 비중 차에 의한 부력, 입자와 용액간의 마찰력 등 다양한 힘의 균형에 의해 입자가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배열을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압 인가시 입자 배열은 한 축으로만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일차원적 광결정일수도 있고, 두 축(면적)으로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이차원적 광결정 혹은 세 축(공간)으로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삼차원적 광결정일수 있다. 예를 들면, 전압이 인가되는 방향으로만 입자들이 규칙적 배열을 할 수도 있고, 전압이 인가되는 수직방향으로 입자들이 규칙적 배열을 할 수도 있고, 인가 전압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모두 규칙적 배열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입자배열은 장거리 규칙(long range ordering)을 할 수도 있고, 단거리 규칙(short range ordering)을 가질 수도 있으며, 특히 부분적 규칙이 무질서하게 섞여있는 의사결정(quasi-crystal)을 구성하여 시야각 의존성을 개선시킬 수도 있다. 의사결정이란 규칙성(ordered)을 가지나 비반복적(non-periodic) 구조로서 결정질(crystal)과 비결정(glass) 중간상태로 볼 수 있으며 다소 복잡한 브래그 반사(Bragg diffraction)을 하게 되는 물질이다. 이러한 의사결정은 서로 크기가 다른 입자를 섞어서 임의로 구현할 수도 있고, 용액에 분포된 입자들의 크기 분산도(PSD: particle size distribution)를 조절 함으로써 의사결정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입자들의 분산도(PSD)를 0.001~0.01사이로 하여 시야각 50도까지 모든 파장의 반사광의 변화폭인 50nm이하로 하는 의사결정을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 투과도 및 반사광의 파장을 조절하는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분극 특성을 가지고 일정한 전하로 대전된 미세입자를 절연 매체에 분산시킨 뒤 외부에서 전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장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세입자와 매체와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입사광이 산란됨으로써 불투명한 상태가 나타날 수 있고, 전기장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입자가 전기장의 방향으로 점차 배열되며 광투과도가 점차 증대될 수 있다. 더욱 큰 전기장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배열된 입자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전하를 가진 입자간 쿨롱 반발력에 의해 입자들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배열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광결정에 의한 반사광이 나타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분극 특성을 가지고 일정한 전하로 대전된 미세입자를 절연 매체에 분산시킨 뒤 외부에서 전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장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세입자와 매체와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입사광이 산란됨으로써 불투명한 상태가 나타날 수 있고, 전기장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미세입자에 유발된 전기분극과, 동일전하로 인한 쿨롱반발력, 외부전압에 의한 전기영동력 등이 균형을 이루어 특정한 파장 범위의 반사광이 나타날 수 있으며, 소정의 세기 이상의 전기장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반사광의 파장이 자외선 영역으로 이동하면서 가시광선 영역은 모두 투과되어 투명한 상태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한 전하로 대전된 미세입자를 전기분극 특성을 가지는 매체에 분산시킨 뒤 외부에서 전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매체의 전기분극 특성에 의해 미세입자가 간접적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광투과도가 조절되고 더 나아가, 입자간 간격이 균일하게 제어됨으로써 반사광의 파장까지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의 투과 및 반사를 조절할 수 있는 필름에 관한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미세입자가 분산된 매체를 광투과성 매질로 캡슐화하거나 구획화할 수 있으며, 미세입자가 분산된 매체를 광투과성 매질 내에 물방울 형태로 분산시켜 필름 형태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미세입자가 분산된 매체에 그물구조를 가진 폴리머를 첨가함으로써 미세입자 및 매체의 이동에 제한을 가함으로써 필름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고, 일정한 점도를 가지는 매체 내에 분산시켜 필름으로 형성형태로 제작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입자가 분산된 매체내에 미세입자보다 큰 입자(스페이서 입자)를 분산시키고 상하부 전극 사이의 간격을 스페이서 입자로 조절함으로써 필름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부 및 하부 전극과 접촉한 스페이서 입자는 열에너지 혹은 빛 에너지 등에 의하여 상부 및 하부 전극에 고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부 및 하부 전극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필름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혹은, 미세입자가 분산된 매체를 광투과성 재료를 이용해 캡슐화하고, 상기 캡슐과 소정 크기(상하부전극 간격)의 큰 입자(스페이서 입자)를 혼합한 후 상하부전극 사이에 충진 시키면, 상하부전극 간격은 스페이서 입자로 조절되고, 광투과도 및 반사도가 조절되는 용액은 캡슐로 실링(Sealing) 됨으로써 필름 형태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특히, 상하부 전극으로서 ITO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 단가가 높기 때문에, 투명전극이 코팅된 플렉서블한 필름형태의 기판에, 도 4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작하면 단가를 현격히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 입자는 폴리스타일렌과 같은 유기입자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실리콘산화물과 같은 무기입자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자가 분산된 액체는 ODF(One Drop Filling)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전면에 도포하거나 공기압력차를 이용해 상하부 전극사이에 충진하거나 그라비아 오프셋 등의 방법으로 프린팅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 혹은 하부전극의 일부분에만 전기장을 인가하여 상기 미세입자를 국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의 광투과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은 전기장 방향으로 정렬되는 정도에 따라 광투과도를 조절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입자를 전극의 일부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광투과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도 및 반사광 파장 조절 장치는 태양전지, 연료전지, 정보 디스플레이 등과 결합하여 사용하여 그 효용을 증대 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미세입자가 분산된 매체를 광투과성 매체로 캡슐화 하거나 광투과성 매체에 분산시켜 필름으로 구성함으로써 그 응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6의 실험에서는, ITO전극이 코팅되어 있는 유리기판 사이에 무기질의 미세 입자를 분산시킨 뒤 외부에서 전기장을 인가하여 투명도를 관찰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매체내의 입자의 산란으로 인해 불투명하지만, 외부전압을 인가함에 따라서 점차 투명도가 증대됨을 알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광의 투과도는 인가되는 전기장의 세기, 입자의 농도, 입자의 유전율(전기분극)에 의존적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7의 실험에서는, ITO 전극이 코팅되어 있는 유리기판 사이에 전하로 대전된 무기질의 미세 입자를 분산시킨 뒤 외부에서 전기장을 인가하여 투명도 및 반사광을 관찰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외부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매체내의 입자의 산란으로 인해 불투명하지만, 외부전압을 인가함에 따라서 입자들의 규칙적인 배열에 의해 점차 파장이 짧은 광결정 반사광이 나타나고, 더 높은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반사광이 가시광선 영역을 넘어 자외선 영역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투명해짐을 알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광의 투과도 및 반사광 파장은 인가되는 전기장의 세기, 입자의 농도, 입자의 유전율(전기분극)에 의존적일 수 있다.
상기 발명에서 입자가 자성을 가진 경우에는, 상기 기술한 전기장외 자기장으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자기장 및 전기장을 동시에 인가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전하를 갖는 입자가 광투과성 매체에 분산된 상태에서 - 상기 입자 및 상기 매체는 적어도 한 전극이 광투과성을 갖는 상부 및 하부 전극의 사이 공간에 위치함 -, 상기 입자에 대하여 전기장을 인가하여 상기 입자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입자에 입사되는 광의 투과도를 조절하고 상기 입자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전기분극 특성을 갖는 입자로서,
    상기 입자가 매체에 분산되어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입자가 무질서하게 이동되어 상기 입자에 입사되는 광의 투과도가 낮아져 불투명한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입자가 절연체 매체에 분산되어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전기분극에 의해 상기 입자가 전기장의 방향에 따라 회전 또는 이동함으로써 상기 입자에 입사되는 광의 투과도가 높아지고 상기 입자로부터 특정 파장의 광이 반사되는 것 - 상기 특정 파장은 상기 전기장의 방향 또는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음 - 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절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은 가시광선 대역으로서 상기 전기장의 방향 또는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은 자외선 또는 적외선 대역으로서 상기 전기장의 방향 또는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의 간격은 20um 이하이고, 상기 전기장을 인가하기 위하여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는 10V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와 상기 매체 사이의 굴절률 차이는 0.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의 유전율은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무기물 및 유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젤(gel)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가 분산된 매체는 광투과성 매질에 의하여 캡슐화되거나 광투과성 매질 내에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보다 크기가 큰 스페이싱 입자를 상기 매체 내에 분산시키고, 상기 스페이싱 입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가 분산된 매체를 광투과성 매체로 캡슐화 시키고, 상기 입자보다 크기가 큰 스페이싱 입자를 상기 캡슐과 같이 혼합한 뒤, 상기 스페이싱 입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및 상기 스페이싱 입자가 분산된 매체를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 사이에 충진시킨 다음, 열 에너지, 광 에너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여 상기 스페이싱 입자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은 플렉서블(flexible)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KR1020100083545A 2010-06-29 2010-08-27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KR20100106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545A KR20100106263A (ko) 2010-08-27 2010-08-27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KR1020110062308A KR20120001639A (ko) 2010-06-29 2011-06-27 표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0110062195A KR101143489B1 (ko) 2010-06-29 2011-06-27 표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0110062289A KR20120001637A (ko) 2010-06-29 2011-06-27 표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0110062211A KR20120001635A (ko) 2010-06-29 2011-06-27 표면 표시 방법 및 장치
EP11801107.1A EP2590011A4 (en) 2010-06-29 2011-06-28 METHOD FOR DISPLAYING A SURFACE AND APPARATUS THEREOF
PCT/KR2011/004708 WO2012002701A2 (ko) 2010-06-29 2011-06-28 표면 표시 방법 및 장치
US13/388,983 US9625784B2 (en) 2010-06-29 2011-06-28 Method for tuning color of a display region and apparatus thereof
JP2013518244A JP2013539058A (ja) 2010-06-29 2011-06-28 表面表示方法及び装置
KR1020110068798A KR20120011785A (ko) 2010-07-19 2011-07-12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머신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68933A KR20120011786A (ko) 2010-07-19 2011-07-12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머신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68781A KR20120011784A (ko) 2010-07-19 2011-07-12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머신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68768A KR101160938B1 (ko) 2010-07-19 2011-07-12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머신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11809822.7A EP2597512A4 (en) 2010-07-19 2011-07-13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MACHINE-READABLE DATA SUPPORT
JP2013520641A JP6088427B2 (ja) 2010-07-19 2011-07-13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PCT/KR2011/005136 WO2012011695A2 (ko) 2010-07-19 2011-07-13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머신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3/388,300 US20120188295A1 (en) 2010-07-19 2011-07-13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machine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0110070760A KR101180118B1 (ko) 2010-07-19 2011-07-18 표시 방법 및 장치
US15/131,974 US20160232830A1 (en) 2010-07-19 2016-04-18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machine readable storage medium
JP2016139157A JP2016197256A (ja) 2010-06-29 2016-07-14 表面表示方法及び装置
US15/942,325 US10803780B2 (en) 2010-07-19 2018-03-30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machine readable storage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545A KR20100106263A (ko) 2010-08-27 2010-08-27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263A true KR20100106263A (ko) 2010-10-01

Family

ID=43128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545A KR20100106263A (ko) 2010-06-29 2010-08-27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626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0851B2 (en) 2013-03-05 2018-08-28 Plexense, Inc. Surface plasmon detection apparatuses and methods
KR20180098452A (ko) * 2017-02-24 2018-09-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투과도 가변 소자
CN109683421A (zh) * 2019-03-06 2019-04-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折射率调节方法、装置、智能窗户以及交通工具
US10359362B2 (en) 2013-04-15 2019-07-23 Plexense,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particle array, surface plasmon resonance-based sensor and method for analyzing using same
KR20200058930A (ko) * 2018-11-20 2020-05-28 한국기계연구원 냉난방 필름
CN111446311A (zh) * 2020-04-16 2020-07-24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光学感测装置
KR20220150673A (ko) * 2021-05-04 2022-11-11 주식회사 인큐스타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0851B2 (en) 2013-03-05 2018-08-28 Plexense, Inc. Surface plasmon detection apparatuses and methods
US10359362B2 (en) 2013-04-15 2019-07-23 Plexense,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particle array, surface plasmon resonance-based sensor and method for analyzing using same
KR20180098452A (ko) * 2017-02-24 2018-09-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투과도 가변 소자
KR20200058930A (ko) * 2018-11-20 2020-05-28 한국기계연구원 냉난방 필름
CN109683421A (zh) * 2019-03-06 2019-04-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折射率调节方法、装置、智能窗户以及交通工具
CN109683421B (zh) * 2019-03-06 2022-09-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折射率调节方法、装置、智能窗户以及交通工具
CN111446311A (zh) * 2020-04-16 2020-07-24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光学感测装置
KR20220150673A (ko) * 2021-05-04 2022-11-11 주식회사 인큐스타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061B1 (ko) 광결정성을 이용한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00106263A (ko) 전하를 갖는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JP6088427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756506B1 (ko) 광 투과율 가변 필름 및 이를 포함한 표시 장치
KR20100091140A (ko) 광결정성을 이용한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4412153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15010390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3279B1 (ko) 광결정 표시 장치
KR20100102085A (ko)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및 반사 조절 방법
KR101130576B1 (ko) 광결정성을 이용한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20056246A (ko)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머신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085866A (ko) 광결정을 이용한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180118B1 (ko)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10103305A (ko) 광결정성을 이용한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263007B1 (ko) 광결정성을 이용한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155543B1 (ko) 광결정성을 이용한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199601B1 (ko) 광결정성을 이용한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10103371A (ko) 광결정성을 이용한 표시 방법 및 장치
JP7190515B2 (ja) 可変透過電気泳動媒質の駆動方法
KR20160087028A (ko) 광결정 소자
KR20120011784A (ko)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머신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10103372A (ko) 광결정성을 이용한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10103306A (ko) 광결정성을 이용한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393433B1 (ko) 코어쉘 구조의 광결정 입자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광제어 디바이스
KR20120011785A (ko)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머신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