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904A -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 Google Patents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904A
KR20100089904A KR1020107016573A KR20107016573A KR20100089904A KR 20100089904 A KR20100089904 A KR 20100089904A KR 1020107016573 A KR1020107016573 A KR 1020107016573A KR 20107016573 A KR20107016573 A KR 20107016573A KR 20100089904 A KR20100089904 A KR 20100089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administration
calcitonin
neuropathic pain
elkaton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또시 이또
미네꼬 다께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9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3Calciton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시토닌을 지속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다양한 신경인성 동통의 치료에 효과적인 약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경인성 동통에 대하여 효과적인 작용을 가지고, 또한 독성이 낮은 의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칼시토닌, 특히 엘카토닌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로서, 칼시토닌이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키지 않는 양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및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를 제조하기 위한 칼시토닌, 특히 엘카토닌의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AGENT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NEUROPATHIC PAIN}
본 발명은 신경인성 동통에 대하여 속효성 진통 효과를 갖는 칼시토닌 제제에 관한 것이다.
신경인성 동통(뉴로패식 페인(neurophathic pain) 또는 신경 장해성 동통이라고도 불리지만, 이하 본원 명세서에서는 신경인성 동통이라 함)이란, 말초 또는 중추 신경계의 기능 이상의 결과로서 생기는 난치성 동통이다. 신경인성 동통은 외상, 감염, 암, 허혈, 당뇨병 등의 대사 장해 등에 의해서 야기되는 신경 장해에 의해 발증한다. 발증 메카니즘은 불명확한 점이 많지만, 지각 신경의 이상 지속적 발화 등이 원인이라고 생각되었다. 신경인성 동통의 대표적인 증상에는, 알로디니아(allodynia), 통각 과민 또는 지각 과민 등이 있다. 이들 증상은 "타는 듯한" , "바늘로 찌르는 듯한" 또는 "전기 쇼크와 같은" 등으로 표현되는 특징적인 통증을 나타낸다. 신경인성 동통에는 통상적인 침해 수용성 동통에 효과적인 진통제, 특히 마약성 동통약 등은 그리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하기 비특허 문헌 1). 종래, 진통약으로서는, 모르핀으로 대표되는 중추성 오피오이드계 진통약, 인도메타신으로 대표되는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약(NSAIDs) 등이 알려져 있지만, 이들은 신경인성 동통에 대한 효과는 낮아, 급성 동통에 대한 NSAIDs와 같이, 발통 물질의 생성을 블로킹하는 것만으로는 동통을 소실시킬 수는 없었다.
또한, 모르핀은 침해성 동통에 대하여 강력한 진통 작용을 갖지만, 신경인성 동통에 대해서는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하기 비특허 문헌 2). 모르핀이 신경인성 동통에 효과가 없는 이유로는, 신경 장해에 의한 신경의 기능적, 형태적 변화의 발생으로 인한 억제성 뉴런의 변성 또는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감소 때문이라고 생각되었다(하기 비특허 문헌 3).
이와 같이, 신경인성 동통의 발생에는 여러 요소가 복잡하게 관계되어 있다고 생각되었다. 지금까지, 치료법으로는 신경 블록이나 척수 경막외 전기 자극 등의 신경 외과적 치료(하기 비특허 문헌 4), 바클로펜의 요부 척수강내 투여(하기 비특허 문헌 5) 등이 이용되었다.
또한, 동통 치료에 있어서는, 통증이 계속됨으로써 신경 네트워크의 가소적인 변화가 일어나 난치성 동통으로 이행되는 것이 문제시되어, 동통의 조기 컨트롤이 가장 큰 과제 중 하나였다(하기 비특허 문헌 6). 또한, 신경 장해가 치유될 때까지 장기간의 동통 컨트롤이 가능한 안정성이 높은 약제가 요구되었다.
한편, 칼시토닌 제제는 고칼슘혈증이나 골다공증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고, 파골 세포의 칼시토닌 수용체를 통해 작용한다. 파골 세포의 수용체는 칼시토닌을 지속적으로 작용시키면 다운 레귤레이션이 발생하여, 혈청의 칼슘 농도를 제어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우려가 있다. 지금까지 혈청 칼슘의 변동과 진통 작용의 유효 농도의 괴리는 보고되지 않았기 때문에, 칼시토닌 제제는 연일 내지 주 1회의 간헐 투여가 행해지고 있다.
지금까지 칼시토닌이 어떤 종류의 동통에 대한 진통 작용을 갖는 것은 알려져 있고, 동통의 종류에 따라서 그의 작용 메카니즘이 다른 것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염증성 동통에서는, 프로스타글란딘 생산 억제 작용이나 뇌내 상행성 세로토닌 신경계의 관여가 보고되어 있다. 또한, 골 전이암의 통증에는, 골 전이 부위에서의 골 흡수 억제 작용이나 β-엔돌핀(내인성 오피오이드)의 분비를 통한 작용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신경인성 동통에 있어서는, NSAIDs나 모르핀이 그리 효과가 없는 것과 동일하게, 이들의 기서에 의한 실질적인 작용 발현은 전혀 기대할 수 없다. 말초 신경을 장해한 신경인성 동통에서는, 지각 신경의 이상 지속적 발화나 역치 저하, 통각 과민이 발생하였다고 생각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지각 신경에 있어서의 전위 의존성 나트륨 채널 등의 유전자 발현 변화에서 기인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어, 다른 진통과는 독립된 병태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하기 비특허 문헌 7, 비특허 문헌 8).
칼시토닌 제제의 간헐 투여가 다양한 신경인성 동통에 효과적이라는 임상 보고가 있지만, 효과 발현에는 시간이 소요되고, 그 효과도 실질적으로 그다지 충분하지 않았다(하기 비특허 문헌 9, 비특허 문헌 10).
이상과 같이, 신경인성 동통의 치료에 있어서 안전하면서 속효성이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아, 새로운 치료의 개발이 갈망되었다.
비특허 문헌 1: The Lancet 353, 1959-1966, 1999 비특허 문헌 2: 의학의 발걸음, 189(10), 751-755, 1999 비특허 문헌 3: 최신 뇌와 신경과학 시리즈 제6권 통증의 신경과학, 메디칼뷰사, p97, 1997년 비특허 문헌 4: 의학의 발걸음, 189(10), 757-762 비특허 문헌 5: 기능적 뇌신경외과, 33 45-49, 1994 비특허 문헌 6: 구마자와 다까오; 통증은 왜곡된다, 뇌를 알자, 히사노 다까시 감수, 슈준샤, 106-116, 1999 비특허 문헌 7 : Boucher TJ 등: Potent analgesic effects of GDNF in neuropathic pain states. Science, 2000, 290, 124-127 비특허 문헌 8: Hong S 등, Early painful diabetic neuropathy is associated with differential changes in tetrodotoxin-sensitive and -resistant sodium channels in dorsal root ganglion neurons in the rat. J Biol Chem. 2004 Jul 9; 279(28): 29341-50 비특허 문헌 9: Wade S 등, A critical review of controlled clinical trials for peripheral neuropathic pain and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s, PAIN, USA, 1997, 73, 123-139 비특허 문헌 10: Antonio Quatraro, calcitonin in painful diabetic neuropathy, THE LANSET, 1992, 339, 746-747
본 발명은 신경인성 동통에 대하여 속효성이 우수한 진통 작용을 갖는 신규한 의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칼시토닌, 특히 엘카토닌에 착안하여 예의 연구를 행하였다. 칼시토닌의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진통 작용의 작용 기서나 신경인성 동통에 대한 간헐 투여의 성적으로부터는, 칼시토닌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실질적으로 효과적인 신경인성 동통 치료약의 개발은 생각하기 어려운 것이기는 하였지만, 지각 신경에서의 Na 채널의 유전자 발현을 수복하는 칼시토닌의 작용을 발견하였기 때문에[이토 등, Osteoporosis Japan, 2005, 13권, 1호, 78-80], 칼시토닌에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진통 약리 작용 기서가 있다고 착상하여, 상기 진통 작용 기서의 최적화를 검토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신경인성 동통의 모델 평가계를 이용하여, 신경인성 동통에 대하여 속효성 동통 효과를 발휘하면서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키지 않는 칼시토닌의 투여 방법을 예의 연구한 결과, 놀랍게도 칼시토닌, 특히 엘카토닌을 지속 투여하면 속효성이 강한 진통 작용을 나타내는 것, 또한 혈청 칼슘을 변동시키지 않는 용량의 지속 투여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고,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칼시토닌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이며, 칼시토닌이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키지 않는 양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2) 칼시토닌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이며, 칼시토닌이 0.093 mU/kg/초 미만의 양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3) 지속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4) 지속 투여에 있어서의 단위 시간(초)당 칼시토닌 투여량이,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키는 단위 시간(초)당 칼시토닌의 역치 투여량의 4분의 1 이하의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에 기재된 신경인성 동통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
(5) 지속 투여되는 시간이 8 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또는 (4)에 기재된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6) 신경인성 동통이 말초 신경의 압박 또는 말초 신경의 손상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7) 칼시토닌이 엘카토닌인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8) 칼시토닌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지속 투여를 위한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이며, 제형이 서방 제제, 점적 제제 또는 첩부 제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9) 서방 제제의 투여 형태가 주사 제제, 이식 제제, 경피 제제, 경비 제제, 경폐 제제, 경구 제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에 기재된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10) 지속 투여에 있어서의 단위 시간(초)당 칼시토닌 투여량이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키는 단위 시간(초)당 칼시토닌의 역치 투여량의 4분의 1 이하의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또는 (9)에 기재된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11) 지속 투여되는 시간이 8 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12)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를 제조하기 위한 칼시토닌의 용도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약제 투여에 의한 환자에의 부담이나 부작용을 경감시킬 수 있고, 보다 효과가 높고 속공성이 있는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좌골 신경 교액 모델의 통각 역치의 저하에 대하여 엘카토닌을 지속 투여하였을 때의 통각 역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 교액 수술 전과 수술 후의 통각 역치의 t-검정에 의한 비교 p<0.01, #: 비히클 투여군과 엘카토닌 0.75 mU/kg/주 투여군의 통각 역치의 윌리엄스 검정에 의한 비교 p<0.025, ##: 비히클 투여군과 엘카토닌 0.75 mU/kg/주 투여군의 통각 역치의 윌리엄스 검정에 의한 비교 p<0.005
도 2는 좌골 신경 교액 모델에 대하여 엘카토닌을 14 일간 지속 투여한 후(도 1의 시험 종료 후)의 혈청 칼슘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좌골 신경 교액 모델의 통각 역치의 저하에 대하여 엘카토닌을 지속 투여하였을 때의 통각 역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 교액 수술 전과 수술 후의 통각 역치의 t-검정에 의한 비교 p<0.01, **: 비히클 투여군과 엘카토닌 투여군의 통각 역치의 윌리엄스 검정에 의한 비교 p<0.005
도 4는 좌골 신경 교액 모델의 통각 과민에 대하여 엘카토닌을 지속 투여하였을 때의 투여 개시 다음 날에서의 반응 잠복기를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서 수술 전 값도 나타내었다. ##: 비히클 투여군과 엘카토닌 각 투여군의 반응 잠복기의 윌리엄스 검정에 의한 비교 p<0.005
도 5는 좌골 신경 교액 모델의 통각 역치의 저하에 대하여 엘카토닌을 지속 투여하였을 때의 통각 역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 교액 수술 전과 수술 후의 통각 역치의 t-검정에 의한 비교 p<0.01, **: 비히클 투여군과 엘카토닌 투여군의 통각 역치의 윌리엄스 검정에 의한 비교 p<0.005
도 6은 좌골 신경 교액 모델의 통각 과민에 대하여 엘카토닌을 정맥내 지속 점적 투여하였을 때의 통각 역치를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서 수술 전 값(pre)도 나타내었다. ##: 비히클 투여군과 엘카토닌 각 투여군의 통각 역치의 t-검정에 의한 비교 p<0.01
도 7은 좌골 신경 교액 모델의 통각 과민에 대하여 엘카토닌 PLGA 마이크로스피어(EL-PLGA)를 투여하였을 때의 통각 역치를 나타낸 것이다. 우도는 좌도의 확대도이다. 우도만 통계적 유의차를 다음 표시로 나타내었다. * 또는 **: 생식 투여군과 EL-PLGA 투여군의 통각 역치의 t-검정에 의한 비교 p<0.05 또는 p<0.
도 8은 좌골 신경 교액 모델을 이용하여 엘카토닌을 간헐 투여하였을 때의 통각 역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화살표는 비히클 또는 엘카토닌이 피하 투여에 의해 간헐 투여된 것을 나타낸다. **: 교액 수술 전과 수술 후의 통각 역치의 t-검정에 의한 비교 p<0.01, #: 비히클 투여군과 엘카토닌 각 투여군의 통각 역치의 윌리엄스 검정에 의한 비교 p<0.025, ##: 비히클 투여군과 엘카토닌 각 투여군의 통각 역치의 윌리엄스 검정에 의한 비교 p<0.005
도 9는 좌골 신경 교액 모델의 통각 과민 또는 통각 역치 저하에 대하여 엘카토닌을 간헐 투여하였을 때의 2 주간 투여 후에 있어서의 반응 잠복기 또는 통각 역치를 나타낸 것이다. **: 비히클 투여군과 엘카토닌 각 투여군의 반응 잠복기의 윌리엄스 검정에 의한 비교 p<0.005
도 10은 정상 래트에 엘카토닌을 단회 피하 투여하였을 때의 혈청 칼슘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투여 후 60 분).
도 11은 정상 래트에 엘카토닌을 단회 피하 투여하였을 때의 혈청 칼슘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투여 후 30 분).
이하, 본원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유용한 칼시토닌으로서는, 각종 천연형 칼시토닌 또는 그의 펩티드 유사체 등을 들 수 있다. 천연형 칼시토닌의 예로서는 닭 칼시토닌, 뱀장어 칼시토닌, 인간 칼시토닌, 연어 칼시토닌 또는 돼지 칼시토닌 등을 들 수 있으며, 뱀장어 칼시토닌, 연어 칼시토닌[Helv. Chim. acta(1969), 52(7), 1789-95]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고, 뱀장어 칼시토닌을 특히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양태로서는, 연어 칼시토닌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천연형 칼시토닌의 펩티드 유사체의 예로서는, 상술한 천연형 칼시토닌의 구조에 기초하여, 그의 1,7 위치의 디술피드 결합을 화학적으로 수식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ASU1-7] 닭 칼시토닌, [ASU1-7] 뱀장어 칼시토닌(일본 특허 공고 (소)53-41677호 공보에 기재된 화학명 1-부틸산-7-(L-2-아미노부틸산)-26-L-아스파라긴산-27-L-발린-29-L-알라닌칼시토닌; 이하 「엘카토닌」이라 하는 경우도 있음) 등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고, [ASU1-7] 뱀장어 칼시토닌(엘카토닌)을 특히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유용한 칼시토닌으로서는, 엘카토닌, 또는 연어 칼시토닌이 특히 바람직하고, 엘카토닌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의 유효 성분으로서는, 본 발명의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유용한 칼시토닌과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의 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과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황산 등의 무기산과의 염,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말산 등의 유기산과의 염 등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통상법에 따라서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이용하여 의약 조성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지속 투여란, 약제를 일정 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체내로 방출하는 투여 방법을 의미하고, 전신성 투여 또는 말초 조직에의 국소 투여라면 투여 경로는 상관없지만, 예를 들면 인퓨전 펌프나 수액 펌프 등의 기기를 사용한 투여 또는 수동에 의한 투여, 생체내에서 분해되는 고분자를 담체로서 이용하는 서방 제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PEG(폴리에틸렌글리콜)화 등으로 효력을 연장시켜 칼시토닌 투여량을 제어하는 투여법도 포함된다. 그에 대하여, 간헐 투여란, 1 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회로, 연속적이지 않고, 임의의 시간을 두고 체내에 약제를 투여 또는 방출하는 것을 말한다.
칼시토닌의 지속 투여에 적합한 제형으로서는, 서방 제제, 점적 제제, 첩부 제제 등을 들 수 있다. 첩부 제제는, 피부에의 첩부면에 미세한 바늘을 설치하여, 거기에서 약제가 새어나오는 타입의 제제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주사액의 점적 제제 또는 지속 주입 제제 및 서방 제제를 들 수 있다. 서방 제제의 투여 형태에는, 주사 제제, 이식 제제, 경피 제제, 경비 제제, 경폐 제제, 경구 제제 등이 예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방 제제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로 캡슐, 에멀전, 리포좀, 유지, 락트산ㆍ글리콜산 공중합체나 폴리락트산,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등의 생체내 분해성 또는 비생체내 분해성 미립자 담체 등에 약제인 칼시토닌을 함유시켜 피하, 피내, 근육내 등에 주사제 형태로 투여하여, 생체내로 약제를 지속적으로 방출시키는 서방성 주사 제제, 및 생체내 분해성 또는 비분해성 실리콘 등의 물질에 약제를 함유시킨 펠릿상, 침상 등의 고형물을 피하 등에 이식하는 형태의 이식 제제; 흡수 촉진제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거나, 피부의 찰과 등 물리적으로 약물 투과성을 높여, 약제를 함유하는 첩부제나 테이프제 형태로 피부로부터 지속적으로 흡수시키는 경피 제제; 또한 피부에의 첩부면에 미세한 바늘을 설치하여, 거기에서 약제가 컨트롤되면서 새어나오는 타입이나, 미세한 바늘에 약제가 도포되어 있는 타입의 경피 제제; 또한 약물의 분해와 방출이 제어된 마이크로 캡슐이나 나노 입자 등을 이용하여 점막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흡수시키는 경비 제제나 경폐 제제 등, 이것에 소화관 점막 부착성 고분자를 부가시킨 정제나 캡슐 등의 경구 제제; 또한 리포좀 등을 이용한 경구 제제 등이 예시되다.
본 발명의 지속 투여 시간으로서는, 8 시간 이상이 바람직하고, 12 시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6 시간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투여 기간은 2 개월 이하가 예시되고, 1 개월 이하가 바람직하고, 2 주간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비교예 1로부터, 칼시토닌 간헐 투여에 의한 진통 작용은 투여마다의 효과가 적산되어 간다고 생각되었다. 또한, 간헐 투여의 혈중 지속 시간은 2 시간 정도이다. 따라서, 2 시간 이상 8 시간 미만의 지속 투여를 반복하여, 24 시간 이내의 적산된 지속 투여 시간이 8 시간 이상인 투여 방법도 본 발명의 범위내이다.
신경인성 동통에 대하여 일단 발현된 칼시토닌의 진통 효과는 투여 중지 기간 중에도 1 주간 이상은 지속되기 때문에, 지속 투여 종료 후에 간헐 투여를 추가함으로써 그의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지속 투여와 간헐 투여를 적절하게 조합하는 치료법도 있다.
신경인성 동통은 외상, 압박, 감염, 허혈 등이나 또는 당뇨병 등의 대사 장해 등의 원인에 의해서 신경, 신경총 또는 신경 주위 연조직이 손상 또는 변성되는 신경 장해가 초래되고, 신경 장해에 의해서 야기되는 어떠한 기능 이상에 의한 통각 역치의 저하 등의 지속되는 동통 지각의 이상 상태를 의미한다. 자발통, 통각 역치 저하(기계적 자극에 대한 진통 지각), 통각 과민(유해한 자극에 대한 과도한 응답) 또는 지각 과민(접촉에 대한 과도한 응답, 알로디니아라고도 불림)이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림이나 마비를 수반하는 경우도 있다.
말초 신경의 장해에서 기인하는 신경인성 동통의 질환으로서는, 말초 신경의 압박 또는 말초 신경의 손상에 의한 신경인성 동통을 들 수 있고, 특히 당뇨병성 뉴로퍼시, 교액성(압박성) 말초 신경 장해, 척주관 협착증, 추간반 헤르니아, 수근관 증후군, 반사성 교감 신경성 디스트로피(RSD), 견수 증후군, CRPS(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복합 국소 동통 증후군) I형, CRPS II형, 대상포진 후 신경통, HIV에 의한 신경 장해, 발치 후 등의 비정형성 안면통, 삼차 신경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NSAIDs 등의 소염 진통제 투여 후에도 잔존하는 동통을 갖는 후술통, 만성 관절 류머티즘이나 변형성 관절증 등도 들 수 있다. 또한, 선유근통증, 난치성 국소 동통 증후군, 지발성 또는 외상후 뉴로퍼시 및 단신경염과 같은 뉴로퍼시에 따른 동통이나 암이 신경에 침윤하여 발생하는 신경인성 동통을 들 수 있다. 또한, NSAIDs 등의 소염 진통제 투여 후에도 잔존하는 동통을 갖는 요통, 어깨 결림, 오십견 등도 들 수 있다.
말초 신경의 압박에 의한 신경인성 동통이란, 교액성(압박성) 말초 신경 장해, 척주관 협착증, 추간반 헤르니아, 수근관 증후군 등에서 기인하는 신경인성 동통이다. 교액성(압박성) 말초 신경 장해에는 경추증, 주부관 증후군, 경부 변형성 척추증, 후종 인대 골화증, 경추 염좌, 척추증, 척추 분리증, 척추전방전위증, 척추 분리성 척추전방전위증 등에서 기인하는 동통이 포함된다.
말초 신경은 지각 신경, 운동신경, 교감 신경, 부교감 신경 등을 의미하고, 중추 신경은 뇌와 척수의 신경을 의미한다.
말초 신경의 장해에서 기인하는 신경인성 동통은 말초 조직에 있어서의 자발통, 통각 역치 저하, 통각 과민, 알로디니아를 나타내는 질환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신경성 간헐성 파행, 즉 말초 신경의 장해에 울혈 부하가 가해져 생기는 동통의 증강도 포함된다. 또한, 저림이나 마비를 수반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신경 장해의 종류는 단일성 신경 장해일 수도 다발성 신경 장해일 수도 있다. 치료 효과란, 신경이 상해된 후에 약제를 투여함으로써, 신경인성에 의한 동통을 치료하는 효과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저하된 통각 역치를 정상치까지 복귀시킴으로써 동통을 치료하는 효과이다.
지속 투여로 신경인성 동통의 치료 효과를 발현하는 데 충분한 양의 칼시토닌은, 신경인성 동통을 발증하는 환자 또는 동물에게 지속 투여함으로써 신경인성 동통의 치료 효과를 발현하는 양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키지 않는 농도이다.
혈청 칼슘치의 변동이란, 투여 개시 전 또는 비히클 투여시의 값과의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는 것을 의미하지만, 투여 개시로부터 24 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일과성 변동에서 혈청 칼슘치의 정상 영역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허용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혈청 칼슘치는 혈중 칼슘치 또는 혈장중 칼슘치와 대체 가능하다.
인간에 있어서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키지 않는 엘카토닌 투여량으로서는, 0.093 mU/kg/초 미만이 예시된다. 즉, 골 전이암 환자에서의 모르핀 지속 투여에 혼입시킨 칼시토닌 400 U/인간/일의 피하 투여에서는, 혈청 칼슘의 유의한 저하가 확인되었다[J. Pain and Symptom Management, 1999, vol.18 No.5, p.323-330]. 한편, 신성(腎性) 골증 환자에 있어서의 40 U/인간/5 시간의 점적 정맥내 투여에서는, 유의한 혈청 칼슘의 저하는 확인되지 않았다[신약과 임상, 1985, 제34권, 제4호, p.587-592]. 따라서, 인간에 있어서 혈청의 칼슘치를 변동시키는 칼시토닌의 투여량은, 인간의 체중을 50 kg이라 하면 0.093 mU/kg/초로 어림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또한, 점적 정맥내 투여는 근육내 또는 피하 투여의 3분의 2의 투여량으로 하여 엘카토닌의 피하 투여량을 추정하면, 0.067 mU/kg/초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시험예 1은, 정상 래트에 엘카토닌을 단회 투여(10 초간에 걸쳐 피하 투여)한 경우에,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키지 않는 엘카토닌 투여량의 역치를 조사한 것인데, 그 결과로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카토닌을 150 mU/kg 투여한 경우부터 혈청 칼슘치가 변동되었다. 즉, 15 mU/kg/초의 투여량이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키는 역치라는 추정이 성립한다.
또한, 1 주간 이상 지속 투여하는 경우의 투여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래트에서는 실시예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0.75 mU/kg/주 내지 75 U/kg/주 사이가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75 mU/kg/주 내지 0.75 mU/kg/주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한 양태도 있다. 또한 실시예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75 U/kg/주 내지 400 U/kg/주가 바람직한 양태도 있다. 또한, 래트의 신경인성 동통에 효과적인 간헐 투여의 투여량은 5 U/kg이고, 인간에서는 10 U/인간이라고 보고되었다[신약과 임상, 1990, 제39권, 제2호, p.130-136]. 따라서, 인간 체중을 50 kg으로 하여, 신경인성 동통에 효과적인 투여량은, 래트쪽이 인간보다 25배 높다고 어림된다. 따라서, 인간에 있어서의 하한값으로서는, 0.003 mU/kg/주 이상이 바람직하고, 0.01 mU/kg/주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3 mU/kg/주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인간에 있어서의 상한값으로서는,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키지 않는 양, 즉 56 U/kg/주 미만이 바람직하고, 40 U/kg/주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8 U/kg/주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 U/kg/주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투여량에서는 얻어지는 진통 효과의 정도는 거의 일정하고, 투여 과잉에 의한 통각 둔마도 발증하지 않기 때문에, 이 범위내에서의 칼시토닌 투여량의 변동은 허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지속 투여에 있어서의 단위 시간(초)당 칼시토닌 투여량이,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키는 단위 시간(초)당 칼시토닌의 역치 투여량의 100분의 1 이하의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술한 대로 시험예 1, 도 10으로부터, 래트에의 칼시토닌 단회 투여에 있어서는 15 mU/kg/초의 투여량이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키는 역치라고 추정된다. 또한,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지속 투여에서, 신경인성 동통 치료 효과가 관찰되는 최대량은 75 U/kg/주(초당으로 환산하면 0.124 mU/kg/초)이다. 따라서, 0.124 mU/kg/초를 15 mU/kg/초로 나누면 약 100분의 1이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분의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분의 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00분의 1 이하의 양이다. 또한, 20000분의 1 이하가 바람직한 다른 양태도 있다.
또한, 인간에서는 지속 투여에 있어서의 단위 시간(초)당 칼시토닌 투여량이,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키는 단위 시간(초)당 칼시토닌의 역치 투여량의 4분의 1 이하의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술한 대로, 인간에의 칼시토닌 지속 투여에 있어서는 0.093 mU/kg/초의 투여량이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키는 역치라고 추정된다. 또한,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지속 투여의 결과로부터, 신경인성 동통 치료 효과가 관찰되는 최대량은, 400 U/kg/주를 25로 나누면, 인간에 있어서 16 U/kg/주(초당으로 환산하면 0.0265 mU/kg/초)로 어림된다. 따라서, 0.0265 mU/kg/초를 0.093 mU/kg/초로 나누면 약 4분의 1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19분의 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분의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분의 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0분의 1 이하의 양이다. 또한, 20000분의 1 이하가 바람직한 다른 양태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피하 및 근육내 투여 경우의 예시이지만, 정맥내 투여, 경피, 경비, 경폐, 경구 등의 투여 경로의 체내 동태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물론, 구체적인 투여량은 체중, 성별, 증상의 정도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정해야 하지만, 어떤 것도 환자의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켜서는 안된다.
신경인성 동통의 치료 효과를 발현하는 데 충분한 양 이상,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키는 양 미만의 칼시토닌 제제를 8 시간 이상 지속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인성 동통의 치료 방법도 본 발명의 범위내이다.
본 발명을 위해 바람직한 의약 제형의 예로서는, 서방 제제, 예를 들면 피하 주사, 근육내 주사, 정맥내 주사 또는 복강내 주사에 의한 서방 제제, 바람직하게는 피하 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에 의한 서방 제제, 점적 제제, 첩부 제제 등을 들 수 있다. 피하 주사, 근육내 주사, 정맥내 주사 또는 복강내 주사에 의한 서방 제제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표 (평)11-501027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폴리(D,L-락티드-co-글리콜리드) 중합체라는 생분해성 부형제를 이용한 마이크로스피어를 이용하여, 칼시토닌이 상기 투여량이 되도록 처방한 것이 예시된다. 점적 제제로서는 문헌 [일본 임상, 제59권, 제9호, p.1789-1793, 2001년]에 개시되어 있는 제제에 있어서의 의약을 칼시토닌으로 대체하고, 칼시토닌이 상기 투여량이 되도록 처방한 것이 예시된다. 또한, 점적 제제로서는 점적 용기에 대한 흡착과 원내 감염이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시린지 펌프용에 미리 약제를 충전시킨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를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첩부 제제로서는, 피부에의 첩부면에 미세한 바늘을 설치하여, 거기에서 약제가 새어나오는 타입의 첩부 제제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표 제2004-528900에 개시되어 있는 첩부 제제에 대해서, 칼시토닌이 상기 투여량이 되도록 처방한 것이 예시된다. 또한, 경피 제제로서는, 일본 특허 제305417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n-옥틸-β-D-글루코피라노시드 등의 흡수 촉진제 및 페스타틴 등의 단백 분해 효소 저해제를 포함하고, 칼시토닌이 상기 투여량이 되도록 처방된 것도 예시된다. 또한, 경폐 제제의 예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4353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생분해성 중합체인 락트산ㆍ글리콜산 중합체 공중합체의 핵 부분을 점막 부착성 고분자인 키토산으로 피복한 나노스피어를 이용하여, 칼시토닌이 상기 투여량이 되도록 처방한 제제를 들 수 있다. 또한, 경구제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평)11-116499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키토산으로 피복한 나노스피어를 이용하여, 칼시토닌이 상기 투여량이 되도록 처방한 제제를 들 수 있다. 또한, 키토산으로 피복한 나노스피어를 이용하여 칼시토닌이 상기 투여량이 되도록 처방한 수용액을, 일본 특허 공고 (평)7-8806에 예시되어 있는 비내 투여용 기계식 스프레이 분무 장치 적용 바이알에 무균적으로 충전하여 경비 제제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문헌 [Pharmazie, 61(2), 106-111, 2006]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데실화한 키토산으로 피복한 리포솜을 이용한, 소화관에 부착되고 흡수성과 지속성을 향상시킨 제제로서, 칼시토닌을 상기 투여량이 되도록 처방한 제제도 경구제의 예로서 들 수 있다. 단,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부가적으로, 서방 제제로서는, 후술하는 실시예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자사 제조의 미니 침투압 펌프(2002)에 상기 투여량이 되도록 칼시토닌을 충전한 것이 예시되고, 이것은 경부 피하에 이식 가능하다.
또한, 골다공증과 신경인성 동통을 병발하는 환자 또는 동물에게 본 발명의 지속 투여와 칼시토닌 간헐 투여 또는 골다공증 치료제를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신경인성 동통 단독, 또는 암성 동통, 염증성 동통, 관절 류머티즘, 변형성 관절증, 요통, 어깨 결림, 오십견, 선유근통증 등의 만성 동통, 심인성 동통 등과 신경인성 동통을 병발하는 환자 또는 동물에게 본 발명의 지속 투여와 오피오이드류,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작용제, 소염 진통제, 항우울제, 신경 블록제, PGE1 유도체 등의 혈류 개선제, 가바펜틴 등의 항간질제, 스테로이드 호르몬제, 신경 영양 인자, 항NGF 항체, 항사이토카인 항체, P38MAPK 저해제,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제,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 아데노신 수용체 작용제, NO 저해제, 바닐로이드 수용체 작용제, 아세틸콜린 수용체 작용제, 브라디키닌 수용체 저해제, PKC 저해제, 골 흡수 억제제, 항류머티즘제, 변형성 관절증 치료제, 뉴로트로핀, 항바이러스제, 노르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 ATP 수용체 길항제, 비타민 B12 제제, mGluR1 길항제 등의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저해제, Na 채널 저해제, Ca 채널 저해제, GABA 수용체 작용제, NMDA 길항제 등을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를 제조하기 위한 칼시토닌의 용도도 본 발명의 범위내이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 참고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말초 신경 손상에 의한 신경인성 동통에 있어서 엘카토닌(ECT)의 지속 투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그의 모델 동물인 문헌 [나미끼 등 편, 마취과의와 기초 연구: 동통와 진통(난코도), p.37(2000년)]에 기재된 좌골 신경 교액 모델(CCI 모델)을 개량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4 주령의 SD(IGS)계 수컷 래트를 구입하여 예비 사육, 핸들링에 의한 순화, 압자극 도피 역치 측정 장치에 대한 순화를 각각 5 일간씩 행한 후, 7 주령에서 좌골 신경 교액 수술 또는 위(僞)수술을 행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에테르 마취하에서 래트를 복와위로 하고, 우대퇴골을 접촉하면서 그의 바로 윗쪽에서 피부를 절개하였다. 대퇴 중앙부에서 대퇴 이두근을 박리하여 좌골 신경에 흠집을 내지 않도록 하면서 약 5 mm 노출시켰다. 4-0 블레이드 실크를 이용하여, 대퇴 중앙부에서 말초측으로부터 순서대로 4회 가볍게 교액하였다. 그 후, 근막과 피부를 봉합하였다.
결찰 수술 후 8 일째의 도피 역치와 체중을 지표로 하여, 무작위화법(SAS 시스템, 버전 8.2)에 의해 CCI-비히클군(12 마리)과 CCI-ECT 0.75 mU/kg/주, CCI-ECT 7.5 mU/kg/주 및 CCI-ECT 75 mU/kg/주의 군(각 12 마리)으로 래트를 분배하였다. 교액 수술 후 11 일째에 알자사 제조의 미니 침투압 펌프(2002 모델)에 상기 투여량이 되도록 약제를 충전시키고, 에테르 마취하에서 경부 피하에 이식시켰다. 비히클에는 0.02 % BSA 함유 0.1 mM 아세트산 나트륨 버퍼(pH 5.5)를 이용하였다. 알자사 제조의 미니 침투압 펌프의 유량은 일정(0.5 μL/시간)하고, 엘카토닌의 투여량은 충전하는 엘카토닌의 농도로 조절하였다. 투여에 이용한 체중은, 투여 개시 후의 추정 체중으로 하여, 예비 실험에서 얻은 체중 증가 계수(=11)를 투여 개시시의 체중에 곱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충전시킨 엘카토닌의 농도는 HPLC 또는 베타-갈락토시다제 표지된 2종류의 폴리클로날 항체를 항원(엘카토닌)에 결합시켜 측정하는 샌드위치형 ELISA에 의해 확인하였다.
압자극 진통 효과 측정 장치에 의한 측정(Randall Selitto법)은 압자극 진통 효과 측정 장치(UGO BASILE: 7200)의 메뉴얼에 따라서 행하였다. 또한, 투여 개시 직후에, 반응 잠복기 측정자 이외의 사람이 난수를 이용하여 케이지의 위치를 랜덤하게 이동시키고, 또한 케이지의 식별 실을 박리함으로써 측정자가 개체 식별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측정을 실시하였다.
우선, 압력 바늘의 위치를 조절하여 아암이 래트의 발 두께에 대하여 수평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래트의 우후지를 받침대와 아암 말단의 압력 바늘 사이에 놓은 후, 이동자를 0에 세팅하고, 풋 페달을 밟아 스크류 막대를 회전시켜 이동자를 16 mm/초의 속도로 이동시켜 압력 바늘에 하중(16 g/초)시켰다. 래트가 발을 인입한 시점에서 풋 페달을 분리하고, 스케일 상의 이동자 수치(0 내지 25)를 판독하였다. 판독한 수치를 20배하여 가압 중량(도피 역치)으로 환산하였다. 측정은 2회 측정값의 평균값을 개체의 도피 역치로 하였다.
성적의 통계학적 처리는, CCI 비히클 투여군의 역치 저하의 확인에 대해서는, 수술 전 값과 수술 후 9 일째의 역치를 대응표본 t-검정(SAS 시스템, 버전 8.2)으로 검사하여, 위험률 5 % 이하를 유의차가 있다고 하였다(도면 중의 **: p<0.01). 또한, CCI 비히클 투여군과 CCI ECT 투여군과의 비교는, 윌리엄스 검정(Williams test)에 의해 해석하여 위험률 2.5 % 이하를 유의차가 있다고 하였다(CCI-ECT 0.75 mU/kg군만 도면 중에 표시, #: p<0.025, ##: p<0.005).
도 1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투여 개시일 다음 날(16 시간 후)부터 유의한 진통 작용이 확인되고, 시험 종료까지 지속되었다. 또한, 투여 개시 후 14 일째에 혈청 칼슘 농도를 측정한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카토닌 지속 투여는 혈청 칼슘량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엘카토닌 지속 투여군은 비히클 투여군에 비해 체중에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엘카토닌의 지속 투여는 신경인성 동통 모델의 통각 역치 저하에 대하여 속효성으로 우수한 진통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엘카토닌의 투여량, 750 μU/kg/주, 75 μU/kg/주, 7.5 μU/kg/주의 진통 작용을 조사하였다.
도 3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CCI 모델은 수술 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통각 역치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p<0.01). 투여 개시일 다음 날부터 750 μU/kg/주 투여군에서는 유의한 진통 작용이 확인되었지만, 75 μU/kg/주 투여군에서는 투여 후 3 일째 및 4 일째만 유의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p<0.005). 7.5 μU/kg/주 투여군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신경인성 동통 래트에서의 칼시토닌의 진통 작용 발현 투여량의 역치는 75 μU/kg/주라고 생각되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CCI 모델 동물을 이용하여, CCI 모델 동물에서 발증하는 통각 과민에 대한 엘카토닌 지속 투여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CCI 모델의 준비, 엘카토닌의 투여 방법, 투여 개시 시기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엘카토닌의 투여량은 0.00075 U/kg/주, 0.0075 U/kg/주, 0.075 U/kg/주, 7.5 U/kg/주, 75 U/kg/주로 하고, CCI 대조군에는 비히클을 투여하였다. 측정은 「바실레 발바닥 시험(BASILE Plantar Test)」(UGO BASILE: 7370)의 메뉴얼에 따라서 행하였다. 장치는 래트를 무구속 상태에서 후지에 침해성 열 자극을 주어 도피하기까지의 시간(반응 잠복기)을 측정하는 것이다. 우후지를 측정 발로 하였다. 최초에 래트를 유리판 상의 아크릴 박스 안에 두고, 5 분 정도 익숙하게 하였다. 이동식 I.R.(적외선) 제너레이터(I.R. 용기)를 유리판 아래에 두고, I.R. 용기 상부 패널에 각인된 "sight" 크로스(I.R. 조사 위치)를 우후지 발바닥에 있는 6개의 동그라미 내측으로 맞추었다. 이 때 유리판과 후지가 접촉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계속해서 스타트 키를 눌러 열 자극을 부여하고, 래트가 발을 인입하는 도피 행동의 반응 잠복기를 측정하였다. 또한, 도피 행동을 일으키면 자동적으로 스위치가 오프가 되어 반응 시간이 카운팅된다. 이 때, I.R. 강도 80의 자극을 이용하고, 컷-오프 타임은 22.5 초(규정값)로 하였다. 측정은 유리판 상에 분뇨가 없도록 깨끗하게 유지하여 행하였다. 2회 측정값의 평균값을 개체의 반응 잠복기로 하였다.
성적의 통계학적 처리는, CCI 비히클 투여군의 통각 과민(반응 잠복기의 단축)의 확인에 대해서는, 수술 전 값과 수술 후 9 일째의 역치를 대응표본 t-검정(SAS 시스템, 버전 8.2)으로 검사하여, 위험률 5 % 이하를 유의차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CCI 비히클 투여군과 CCI ECT 투여군과의 비교는, 윌리엄스 검정에 의해 해석하여 위험률 2.5 % 이하를 유의차가 있다고 하였다(도면 중에 표시, ##: p<0.005).
도 4에 투여 개시일 다음 날(수술 후 12 일째)의 반응 잠복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4에는 참고로서 수술 전 값도 나타내었다. 비히클군에 비해 엘카토닌 투여군에서는 모든 군에서 유의한 진통 작용이 확인되었다. 그 후 2 주간 투여를 지속하였지만, 진통 작용은 지속되었다.
또한 투여 개시 후 14 일째에 혈청 칼슘 농도를 측정한 결과, 엘카토닌 지속 투여는 혈청 칼슘량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신경인성 동통 모델의 통각 과민에 대해서도 속효성이며 우수한 진통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이들 투여량의 범위내에서는 진통 작용의 정도는 거의 일정하고, 정상치를 초과한 통각 둔마는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엘카토닌의 투여량, 75 μU/kg/주, 400 μU/kg/주의 진통 작용을 조사하였다. 도 5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CCI 모델은 수술 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통각 역치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p<0.01). 투여 개시일 다음 날부터 엘카토닌 투여군에서는 유의한 진통 작용이 확인되고, 그 효과는 11일 후까지 지속되었다(**: p<0.005).
또한, 별도로 동일한 주령의 래트(n=3)에 75 U/kg/주 또는 400 U/kg/주의 엘카토닌을 투여하고, 투여 후 30 분, 60 분, 3 시간 후, 6 시간 후, 1 일 후, 4, 6, 8, 12, 15 일 후의 혈청 칼슘을 측정하였지만, 투여 전에 비해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CCI 모델을 이용하여 점적 정맥내 투여에 의한 진통 효과의 발현 시간을 검토하였다.
CCI 모델의 준비, 엘카토닌의 투여 개시 시기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경정맥에 캐뉼레이션 수술을 행하고, 수술 2 일 후에 엘카토닌(0.75 U/kg/주)을 1 mL/body/24 시간으로 정맥내 지속 점적 투여하여 4, 8, 12, 24 시간 후에 Randall Selitto법에 의한 도피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4 시간에서는 효과가 없고, 8 시간에서 개선 경향이, 12 시간 이후에 유의한 진통 작용이 확인되었다(도 6). 따라서, 효과 발현 시간의 역치는 8 시간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진통 작용 발현 후, 투여 중지한 결과 7 일간은 유의한 효과가 지속되었지만, 투여 중지 후 10 일에서는 동통이 재발하였다.
[제제예 1]
분자량 약 2만의 락트산ㆍ글리콜산 공중합체(PLGA-7520; 와코 준야쿠 고교사 제조, 락트산:글리콜산 중합비=75:20) 2 g을 100 mL의 염화메틸렌에 용해시켰다. 엘카토닌 40 mg을 0.01 N 염산 150 mL와 1/15 M 인산수소이나트륨 100 mL에 용해시켰다. 엘카토닌 용액에 PLGA 용액을 적하하고, 고속 유화기(POLYTRON)로써 교반(25000 rpm, 5 분)하였다. 4 ℃, 20000 rpm, 10 분으로 원심 분리하여 상청을 제거하였다. 1/75 M 인산수소이나트륨 2 mL와 염화메틸렌 200 mL를 첨가하고, 반량을 이후의 공정에 사용하였다. 이 용액을 2 % 폴리리시놀레산헥사글리세릴(Hexaglyn PR-15; 닛코 케미칼즈사 제조) 함유의 트리(카프릴ㆍ카프르산)글리세릴(트리에스타 F810; 닛코 케미칼즈사 제조) 300 mL/헥산 200 mL에 적하(4 mL/분)하여 5000 rpm에서 교반하였다. 감압하에 37 ℃에서 하룻밤 교반하고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헥산 200 mL를 첨가하고, 원심 분리(4 ℃, 2000O rpm, 10 분)하여 상청을 제거하였다. 헥산 160 mL를 첨가하여 동일하게 원심 분리하고, 상청을 제거하였다. 2 % 폴리비닐알코올(PVA-403; 쿠라레사 제조) 용액 80 mL를 첨가하고, 원심 분리(4 ℃, 20000 rpm, 10 분)하여 상청을 제거하였다. 정제수 20 mL를 첨가하고 Zetasizer 3000HS(Malvern Instruments Ltd, Malvern UK)를 이용하여 입경을 측정하였다. 입경의 산출은 동적 광산란(광자 상관법)으로 구한 자기 상관 계수에 의해 큐뮬란트법으로 행하고, 그 평균 입경(ZAve)은 315.7 nm였다.
함유율 측정: 엘카토닌 PLGA 마이크로스피어 약 30 mg을 정밀하게 칭량하여 5 mL의 메스플라스크에 넣었다. 이것에 정제수 0.5 mL를 첨가하여 재현탁시키고, 아세톤 3.5 mL를 첨가하여 PLGA를 용해시켰다. 정제수로써 5 mL로 증량하고 PLGA를 석출시켰다. 이 석출물을 원심 분리(15 ℃, 20000 rpm, 15 분)로 침전시키고, 상청을 시료 용액으로 하여 HPLC로 엘카토닌 표준 용액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엘카토닌 PLGA 마이크로스피어의 엘카토닌 함유량은 3.4 μg/mg이었다.
진통 실험: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CCI 모델 동물을 이용하여, CCI 모델 동물에서 발증하는 통각 과민에 대한 엘카토닌 PLGA 마이크로스피어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엘카토닌 PLGA 마이크로스피어를 생리 식염수로 용해시켜 50 U/mL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통각 과민이 발증한 동물에게 제조액을 1 mL/kg으로 경부 피하에 투여하였다. 투여 후 4, 8, 12, 24 시간 후, 또한 387 시간 후까지 하루 1회(월요일부터 금요일) Randall Selitto법에 의한 도피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4 시간에서는 효과가 없고, 8 시간에서 개선 경향이, 12 시간 이후에 유의한 진통 작용이 확인되며, 387 시간 후까지 효과가 지속되었다(도 7). 따라서, 효과 발현 시간의 역치는 8 시간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CCI 모델과 동일한 주령의 정상 래트를 이용하여 혈중 엘카토닌 농도와 혈청 칼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혈중 엘카토닌 농도는 투여 직후 1 일 이내에는 고농도여서, 소위 초기 버스트(burst)가 확인되었다. 그 후 387 시간 후까지는 1.3 내지 3.9 pg/mL의 범위내에서 지속되었다. 한편, 혈청 칼슘 농도는 일과성으로 저하되었지만 정상 영역을 하회하지 않고, 24 시간에서는 투여 전의 값으로 되돌아가서 그 후 387 시간 후까지 변화는 없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엘카토닌 간헐 투여의 작용을 검토하였다.
입하 후 2 주째부터 엘카토닌(ECT) 투여 개시까지는, 모든 동물에게 비히클(0.02 % BSA 함유 0.1 mM 아세트산 나트륨 버퍼(pH 5.5))을 주 5회, 0.05 ml/B.W. 100 g 피하 투여하였다. 또한, 결찰 수술 후 9 일째의 도피 역치와 체중을 지표로 하여, 무작위화법(SAS 시스템, 버전 8.2)에 의해 CCI-비히클군(12 마리)과 CCI-ECT 15 U/kg 주 3회(월 수 금; 화 목은 비히클), CCI-ECT 15 U/kg 주 5회(월 화 수 목 금)군(각 12 마리)으로 분배하였다. 교액 수술 후 12 일째 이후에, ECT 또는 비히클을 0.05 km/B.W. 100 g, 원샷(one shot)에 대하여 10 초에 걸쳐 피하 투여하였다.
도 8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CCI 모델은 수술 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통각 역치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p<0.01). ECT 투여 개시일로부터 3 일째까지는 효과가 보이지 않았지만, ECT 주 5회 투여군에서는 투여 개시 후 4 일째부터 점차로 역치가 회복되기 시작하여, 7 일째 이후에 유의한 진통 작용이 확인되었다(#: p<0.025, ##: p<0.005). ECT 주 3회 투여군에서는 개선 경향은 보였지만, 유의한 작용이 아니었다. 또한, ECT 투여군에서는 체중 증가 억제가 확인되었다. 별도로 투여량을 더 증가시켜 실험을 행한 결과, 진통 효과 발현의 지효성은 개선되지 않고, 체중 증가 억제가 현저해지기 때문에 치료약으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엘카토닌 간헐 투여는 신경인성 동통을 개선하지만, 지효성에서 만족스러운 치료 효과는 얻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CI-ECT 15 U/kg 주 3회 군, CCI-ECT 15 U/kg 주 5회 군 모두 혈청 칼슘치에 변동이 보였다.
[비교예 2]
또한,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엘카토닌 주 5회 간헐 피하 투여의 용량 의존성을 검토하였다. 2 주간 투여 후의 성적을 도 9에 나타낸다. Randall Selitto법에 의한 통각 역치의 저하에 대해서는 5 U/kg의 투여에서 효과가 확인되고, 열적 통각 과민에 대해서는 1.5 U/kg에서는 효과는 없고, 15 U/kg 이상에서 효과가 확인되었다. 후술하는 시험예 1의 결과로부터, 간헐 투여에서 신경인성 동통에 효과적인 투여량에서는, 혈청 칼슘을 정상치(8.5 내지 10.5 mg/dl) 이하로 저하시키는 것이 명백해졌다.
[시험예 1]
실시예 1, 2와, 엘카토닌 투여 개시 시점에서 동일한 주령인 정상 래트(각 4 마리)를 이용하여, 단회에 피하 투여(10 초에 걸쳐 투여)한 경우에,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키지 않는 엘카토닌의 투여량을 조사하였다. 채혈의 타이밍은, 엘카토닌에 의한 래트의 혈청 칼슘치가 최대가 되는 투여 후 60 분으로 하였다. 또한 채혈을 투여 후 30 분으로 한 시험을 동일하게 행하였다. 혈청 칼슘치의 측정은 칼슘 C-테스트 와코(와코)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회 피하 투여에서는, 150 mU/kg, 즉 단위 시간(초)당 15 mU/kg/초 이상에서 혈청 칼슘치가 변동되기 시작하였다. 그 혈청 칼슘치는 정상치를 하회하였다.
이상으로부터, 신경인성 동통에 있어서의 칼시토닌의 지속 투여 제제는, 간헐 투여에 비해 저용량이라도 우수한 작용을 발휘하고, 또한 부작용 및 투여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인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신경인성 동통에 대하여 효과적인 작용을 나타내고, 의약용으로서 바람직하다.

Claims (1)

  1. 칼시토닌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이며, 칼시토닌이 혈청 칼슘치를 변동시키지 않는 양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KR1020107016573A 2005-06-09 2006-06-07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KR201000899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70165 2005-06-09
JPJP-P-2005-170165 2005-06-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610A Division KR20080005607A (ko) 2005-06-09 2006-06-07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904A true KR20100089904A (ko) 2010-08-12

Family

ID=374984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573A KR20100089904A (ko) 2005-06-09 2006-06-07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KR1020077028610A KR20080005607A (ko) 2005-06-09 2006-06-07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610A KR20080005607A (ko) 2005-06-09 2006-06-07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894572B1 (ko)
JP (1) JP4781356B2 (ko)
KR (2) KR20100089904A (ko)
CN (1) CN101171029A (ko)
AU (1) AU2006256132B2 (ko)
CA (1) CA2610986A1 (ko)
WO (1) WO2006132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3867A (ja) * 2007-04-27 2008-11-13 Asahi Kasei Pharma Kk 経粘膜投与用製剤
JP5274071B2 (ja) * 2008-03-28 2013-08-28 旭化成ファーマ株式会社 線維筋痛症治療剤
AU2010223329B2 (en) * 2009-03-12 2016-07-21 Keybioscience Ag Treatment of diabetes and metabolic syndrome
CN101829128B (zh) * 2010-05-18 2012-05-23 云南大学 4-甲酰苯基-β-D-糖苷类化合物在制备用于治疗慢性神经源性疼痛的药物中的用途
JPWO2012137645A1 (ja) * 2011-04-07 2014-07-28 旭化成ファーマ株式会社 抗癌剤に起因する異痛症の予防及び/又は治療剤
EP3242653A1 (en) * 2015-01-05 2017-11-1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Biodegradable drug eluting microsphere for the treatment of solid tumor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1207A (en) * 1995-04-18 1998-02-24 Innapharma, Inc. Method for treatment of p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6132261A1 (ja) 2009-01-08
AU2006256132A1 (en) 2006-12-14
WO2006132261A1 (ja) 2006-12-14
EP1894572A1 (en) 2008-03-05
CA2610986A1 (en) 2006-12-14
AU2006256132B2 (en) 2010-02-18
JP4781356B2 (ja) 2011-09-28
EP1894572A4 (en) 2009-08-12
EP1894572B1 (en) 2013-12-04
CN101171029A (zh) 2008-04-30
KR20080005607A (ko) 2008-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9350B1 (en) Methods for treating neuropathic pain using heteroarylmethanesulfonamides
TWI405576B (zh) 疼痛疾病治療劑
GB2448535A (en) New use for cannabinoid-containing plant extracts
KR20100089904A (ko) 신경인성 동통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
KR20070087004A (ko) 프로포폴의 수용성 프로드럭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및 그것을 투여하는 방법
Medrik-Goldberg et al. Intravenous lidocaine, amantadine, and placebo in the treatment of sciatica: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study
Garlicki et al. Effect of intraarticular tramadol administration in the rat model of knee joint inflammation
WO2005063262A1 (fr) Utilisation de p-benzaldehyde-o-beta-d-allopyranoside dans le traitement de douleurs neuropathiques
US6489356B2 (en) Method for treating pain in humans
CN112236142A (zh) 用于缓释递送丁丙诺啡的药物组合物
US20220288089A1 (en) Peripherally-restricted dual-acting kappa and delta opioid agonist for analgesia in pain states involv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Roullet et al. Preoperative opioid consumption increases morphine requirement after leg amputation
US6248774B1 (en) Method for treating hyper-excited sensory nerve functions in humans
US20070015702A1 (en) Method of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neuropathic pain
Kayipmaz et al. Acute dystonic reaction due to dexketoprofen trometamol
US20170258815A1 (en) Corticosteroid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joint pain in patients with diabetes
Abadi et al.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Total Hysterectomy with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Oxycodone: A Case Series
WO2019135363A1 (ja) 腱滑膜病変を主体とした疾患の治療薬
CN110585188A (zh) 脂类及脂类化合物用作药物治疗疼痛及其应用方法
Hayashida et al. Intravenous infusion of adenosine 5 ″-triphosphate alleviated a disabling postherpetic neuralgia.
Jamison et al. Implanted Drug Delivery Systems for Control of Chronic Pain
Takechi et al. Refractory hypotension during general anaesthesia caused by the long-term use of amoxapine.
Tryba 6 Prevention of chronic pain syndromes by anaesthetic measures: fact or fiction?
WO2021242644A1 (en) Composition and methods of retinoic acid
Heetla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intrathecal baclofen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