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313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313A
KR20100086313A KR1020090005610A KR20090005610A KR20100086313A KR 20100086313 A KR20100086313 A KR 20100086313A KR 1020090005610 A KR1020090005610 A KR 1020090005610A KR 20090005610 A KR20090005610 A KR 20090005610A KR 20100086313 A KR20100086313 A KR 20100086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ver
main body
front cove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6299B1 (ko
Inventor
김정영
김영우
강신은
박일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5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29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공기 토출구의 하측부와 공기 토출구를 일체로 차폐하는 크기로 형성된 프론트 커버와; 프론트 커버가 공기 토출구를 개방하게 하강되거나 공기 토출구를 차폐하게 상승되게 상기 프론트 커버를 승강시키는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와; 실내의 바닥과 프론트 커버의 승강 폭 이상의 거리를 두게 벽에 설치되는 벽 설치판과; 실내의 바닥에 놓여지고 높이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승강 폭 보다 높으며 상기 본체가 설치되는 스텐드 받침대를 포함하고, 벽 설치판과 스텐드 받침대는 상기 본체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실내에 어느 하나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기호나 실내 공간에 따라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고, 프론트 커버가 공기조화기의 전면의 전체 외관을 형성하여 일체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급화가 가능하며, 프론트 커버의 오작동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공기 토출구, 공기 흡입구, 본체, 프론트 커버,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 벽 설치판, 스텐드 받침대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가 스텐드형과 벽걸이형 중 하나로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설치 위치에 따라 벽걸이형과 스텐드형과 천장형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 중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전체적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실내 바닥에 세워지게 설치되고, 하부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서 열교환한 후 상부를 통해 실내로 토출한다.
반면에,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전체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실내의 벽에 걸어지게 설치되고, 전면 또는 전면과 상면으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서 열교환 후 하부를 통해 실내로 토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가 실내의 벽과 실내의 바닥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론트 커버가 전면 외관을 일체로 구성하고 프론트 커버가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동작될 때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의 위치 및 방향이 함께 바뀌면서 실내의 특정 공간을 효율적으로 공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 토출구의 하측부와 상기 공기 토출구를 일체로 차폐하는 크기로 형성된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가 상기 공기 토출구를 개방하게 하강되거나 상기 공기 토출구를 차폐하게 상승되게 상기 프론트 커버를 승강시키는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와; 실내의 바닥과 상기 프론트 커버의 승강 폭 보다 긴 거리를 두게 벽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가 설치되는 벽 설치판과; 실내의 바닥에 놓여지고 높이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승강 폭 보다 높으며 상기 본체가 설치되는 스텐드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벽 설치판과 스텐드 받침대는 상기 본체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실내에 어느 하나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는 리어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부의 전면에 상기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의 좌,우,하측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프론트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바디는 상기 리어 바디 전방에 좌우 회전되게 배치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프론트 바디를 좌우 회전시키는 프론트 바디 회전기구와, 상기 프론트 바디의 회전시 상기 프론트 바디와 리어 바디 사이의 틈을 차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공기 토출구의 상단과 상기 본체의 하단 사이의 높이 이상의 높이를 갖는다.
상기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는 상기 공기 토출구의 높이 이상으로 프론트 커버를 승강시킨다.
상기 벽 설치판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리어 바디 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벽 설치판에 설치되는 본체 설치부가 상하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벽 설치판은 상기 설치부가 설치되는 설치판 설치부가 상기 본체 설치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스텐드 받침대는 실내 공기가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되게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공기 토출구를 개방하게 하강될 때 상기 스텐드 받침대의 전방으로 하강되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기호나 실내 공간 활용에 따라 벽에 설치되거나 실내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고, 정지시 프론트 커버가 공기조화기의 전면 전체 외관을 형성하여 일체감을 줄 수 있으면서 고급화가 가능하며, 프론트 커버의 하강시 프론트 커버가 실내의 바닥과 간섭되지 않아 프론트 커버의 오작동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고 운전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정지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실내의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고 운전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정지일 때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에 실내 공기가 본체(2)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4)(6)(8)가 형성되고, 본체(2) 내부에서 공조 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10)가 형성된다.
본체(2)는 안정감 있게 설치되고 대형화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본체(2)는 리어 바디(12)와, 리어 바디(12)의 전방에 위치되는 프론트 바디(20)를 포함하고, 리어 바디(12)와 프론트 바디(20) 사이에 송풍기(50)와 열교환기(60)가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본체(2)는 공기 흡입구(4)(6)(8)와 공기 토출구(10)가 리어 바디(12)와 프론트 바디(2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본체(2)는 프론트 바디(20)에 공기 흡입구(4)(6)(8)가 형성될 경우 실내의 중앙측에 위치한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흡입할 수 있으므로 공기 흡입구(4)(6)(8)가 프론트 바디(20)에 형성된다.
본체(2)는 프론트 바디(20)에 공기 토출구(10))가 형성될 경우 실내의 중앙측을 향해 보다 신속하게 공기를 토출할 수 있으므로 공기 토출구(10)가 프론트 바디(20)에 형성된다.
본체(2)는 냉기가 실내의 높은 위치에서 토출되어 낙하되면서 사용자에게 시원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냉기가 공기조화기로부터 먼 거리까지 토출될 수 있도록 프론트 바디(20)의 하부에 공기 흡입구(4)(6)(8)가 형성되고, 프론트 바디(20)의 상부에 공기 토출구(10)가 형성된다.
본체(2)에는 공기 토출구(10)의 하측부(10′)와 공기 토출구(10)를 일체로 차폐하는 크기로 형성된 프론트 커버(30)가 배치된다.
프론트 커버(30)는 공기 토출구(10)의 상단과 본체(2)의 하단 사이의 높이 이상의 높이를 갖고, 공기 토출구(10)의 좌우 폭 보다 긴 좌우 폭을 갖으며, 전체적으로 좌우 방향 보다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프론트 커버(30)는 상승시 공기 토출구(10)와 그 하측부(10′)를 함께 차폐하머, 하강시 공기 토출구(10)를 개방하면서 공기 토출구(10)의 하측부(10′)를 차폐한다.
한편, 본체(2)는 공기 흡입구(4)(6)(8)가 프론트 커버(30)에 의해 공기 흡입이 방해받지 않는 위치 즉, 프론트 커버(30)의 위치와 상관없이 프론트 커버(30)에 의해 차폐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10)가 프론트 커버(30)에 의해 개방/차폐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본체(2)는 공기 흡입구(4)가 프론트 바디(20)의 하부 중 전면 이외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10)가 프론트 바디(20)의 상부 중 전면에 형성된다.
한편, 본체(2)는 사용자 등의 편의나 실내 공간 활용도에 따라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이거나 스텐드형 공기조화기가 될 수 있고, 벽이나 실내의 바닥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체(2)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가 되게 설치될 경우, 리어 바디(12)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실내의 벽(W)에 직접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벽 설치판(70)이 실내의 벽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고 리어 바디(12)가 벽 설치판(70)에 걸어서 설치되거나 벽 설치판(7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된다.
본체(2)는 벽 설치판(70)에 설치되었을 때 리어 바디(12)와 프론트 바 디(20)가 실내의 바닥과 이격되는 높이에 위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리어 바디(12) 및 프론트 바디(20)와 프론트 커버(30)가 상하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실내의 벽(W)에 실내의 바닥(B)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이때 공기조화기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경우 보다 보다 대형화할 수 있고, 안정감 있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2)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가 되게 설치될 경우, 리어 비다(12)와 프론트 바디(20) 중 적어도 하나가 올려지는 스텐드 받침대(80)를 포함하여 리어 바디(12)와 프론트 바디(20)가 실내의 바닥과 이격되는 높이에 위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벽 설치판(70)과 스텐드 받침대(80)를 포함하되, 그 설치시 벽 설치판(70)과 스텐드 받침대(80) 중 하나가 실내에 설치되고, 본체(2)는 벽 설치판(70)과 스텐드 받침대(80)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벽 설치판(70)과 스텐드 받침대(80)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이하, 공기조화기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리어 바디(12)는 본체(2)의 후방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송풍기(50)와 열교환기(60) 등이 설치되는 일종의 베이스로서, 상하 방향의 높이가 좌우 방향의 폭이나 전후 방향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된다.
리어 바디(12)는 후판부(13)와, 후판부(13)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부(14)와, 후판부(13)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부(15)와, 후판부(13)의 상측에 좌측부(14)와 우측부(15) 사이 상부를 막게 형성된 상측부(16)와, 후판부(13)의 하측에 좌측부(14)와 우측부(15) 사이 하부를 막게 형성된 하측부(17)를 포함한다.
리어 바디(12)는 상측부(16)에 프론트 바디(20)의 상측에 위치되는 돌출부(18)가 형성되고, 돌출부(18)의 전방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9)가 배치된다.
프론트 바디(20)는 후면과 상면이 개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박스체로서, 리어 바디(12)의 돌출부(18) 하측을 덮도록 돌출부(18) 하측에 배치되게 결합되고, 리어 바디(12)와 같이 상하 방향의 높이가 좌우 방향의 폭이나 전후 방향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된다.
프론트 바디(20)는 전판부(23)와, 전판부(23)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부(24)와, 전판부(23)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부(25)와, 전판부(23)의 하측에 좌측부(24)와 우측부(25) 사이 하부를 막게 형성된 하측부(27)를 포함한다.
프론트 바디(20)는 프론트 커버(30)의 위치에 상관없이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공기 흡입구(4)가 프론트 바디(20)의 전면 이외에 형성되는 바, 좌측부(24)의 하부와 우측부(25)의 하부와 하측부(27)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된다.
프론트 바디(20)는 프론트 커버(30)의 위치와 상관없이 실내 공기가 본체(2) 내부로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좌측부(24)의 하부에 좌측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우측부(25)의 하부에 우측 공기 흡입구(6)가 형성된다.
프론트 바디(20)에는 좌측 공기 흡입구(4)를 여닫는 좌측 흡입구 도어(4′)와 우측 공기 흡입구(6)를 여닫는 우측 흡입구 도어(6′)가 배치된다
프론트 바디(20)는 삼면으로 실내 공기가 흡입될 경우 실내 공기가 보다 신 속하게 흡입되어 공조될 수 있으므로, 하측부(27)에 하면 공기 흡입구(8)가 형성된다.
좌측 공기 흡입구(4)는 프론트 바디(20)와 리어 바디(12)의 사이에 위치되게 프론트 바디(20)의 좌측부(24)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우측 공기 흡입구(6)는 프론트 바디(20)와 리어 바디(12)의 사이에 위치되게 프론트 바디(20)의 우측부(25)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하측 공기 흡입구(8)는 프론트 바디(20)와 리어 바디(12)의 사이에 위치되게 프론트 바디(20)의 하측부(27)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한편, 프론트 바디(20)는 돌출부(18)와의 사이에 공기 토출구(10)가 형성된다.
즉, 본체(2)는 리어 바디(12)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18)가 프론트 바디(20)의 상측에 위치되고, 리어 바디(12)의 돌출부(18)와 프론트 바디(20)의 사이에 공기 토출구(10)가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18)는 본체(2) 내부에서 공기 토출구(10)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 가이드의 기능을 겸하고, 공기조화기는 별도의 유로 가이드가 불필요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공기조화기의 전면 상부는 외관이 간결해 보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벽에 설치되고 운전일 때의 단면도이고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정지일 때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3에 도시된 Ⅰ-Ⅰ 선 단면도이다.
리어 바디(12)는 돌출부(18)가 리어 바디(12)의 하측부(17) 보다 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수평부(18a)와, 수평부(18a)의 전방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수직부(18b)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9)는 수직부(18b)의 전방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본체(2)에는 공기 토출구(10)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고 경사지게 회전되었을 때 일부가 공기 토출구(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풍향조절 베인(28)과, 풍향조절 베인(28)을 회전시키는 풍향조절 베인 모터(29)를 더 포함한다.
풍향조절 베인(28)은 상부와 하부에 수직축(28a)(28b)이 각각 형성된다.
풍향조절 베인 모터(29)는 돌출부(18)와 프론트 바디(20) 중 하나에 설치된다.
본체(2)는 리어 바디(12)의 돌출부(18)와 프론트 바디(20) 중 어느 하나에 풍향조절 베인 모터(29)의 회전축이 상부 수직축(28a)과 하부 수직축(28b)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기 위해 관통되는 관통홀(18′)이 형성되고, 리어 바디(12)의 돌출부(18)와 프론트 바디(20) 중 다른 하나에 상부 수직축(28a)과 하부 수직축(28b) 중 다른 하나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홀(20′)이 형성된다.
프론트 커버(30)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공기 토출 구(10)를 포함한 프론트 바디(20)의 전면을 차폐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커버(30)는 리어 바디(12) 및 프론트 바디(20)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10)를 포함한 프론트 바디(20)의 전면과 크기가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프론트 커버(30)는 상부 일부가 공기 토출구(10)의 전방에 위치되거나 공기 토출구(10)의 전방 이외로 승강되게 배치된다.
프론트 커버(30)는 공기 토출구(10)로 토출된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프론트 바디(20) 전방의 공간 활용도가 높고 아울러 프론트 커버(30)의 승강 폭이 최소화되도록 공기 토출구(6)를 차폐하는 위치인 공기 토출구(6)의 전방 위치(P1)에서 그 하측으로 이동되어 공기 토출구(6)를 개방하는 위치(P2)로 이동되고, 공기 토출구(6)를 개방하는 위치(P2)에서 공기 토출구(6)를 차폐하는 공기 토출구(6)의 전방 위치(P1)로 이동된다.
프론트 바디(20)는 전판부(23)에 프론트 커버(30)의 가이드부(32)가 관통되는 관통홀(28)이 형성되고, 프론트 커버(30)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부(32)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9)이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29)은 프론트 바디(20)의 전판부(23) 배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29)에는 가이드부(32)를 안내하고 가이드부(32)가 과상승되거나 과하강되지 않게 막는 레일홀(29A)이 상하 방향으로 길고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프론트 커버(30)는 배면에 가이드부(3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가이드부(32)는 좌,우 중 일측면에 레일홀(29A)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돌기(34)가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홀(28)과 가이드 레일(29)과 가이드부(32)는 프론트 커버(30)가 좌우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관통홀(28)과 가이드 레일(29)과 가이드부(32)의 복수 셋트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프론트 커버(30)가 공기 토출구(30)를 개방하게 하강되거나 공기 토출구(10)를 차폐하게 상승되게 프론트 커버(30)를 승강시키는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36)를 더 포함한다.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36)는 프론트 커버(30)가 공기 토출구(10)를 개방하는 높이로 하강되거나 프론트 커버(30)가 공기 토출구(10)를 차폐하는 높이로 상승되게 프론트 커버(3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프론트 커버(30)의 승강 폭(H3)이 공기 토출구(6)의 높이(H2) 보다 크거나 같게 프론트 커버(30)를 승강시킨다.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36)는 프론트 바디(20)와 프론트 커버(3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승강모터(37)와, 승강모터(38)에 설치된 구동기어(38)와, 프론트 바디(20)와 프론트 커버(30)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구동기어(38)가 치합된 종동기어(39)를 포함한다.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36)는 승강모터(37)가 프론트 바디(20)에 설치될 경우, 구동기어(38)가 승강모터(37)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이고, 종동기어(39)가 프론트 커버(30)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으로 이루어져 승강모터(37)의 구 동시 종동기어(39)인 랙이 프론트 커버(30)와 함께 승강된다.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36)는 승강모터(37)가 프론트 커버(30)에 설치될 경우, 구동기어(38)가 모터(38)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이고, 종동기어(39)가 프론트 바디(30)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으로 이루어져 승강모터(37)의 구동시 구동기어(38)인 피니언과 승강모터(37)가 프론트 커버(30)와 함께 승강된다.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36)는 프론트 바디(20)의 전판부(23)와 프론트 커버(30)의 사이에 위치되고 승강모터(37)가 프론트 바디(20)의 전판부(23)에 설치될 경우 종동기어(39)는 프론트 커버(30)의 배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구동기어(38)는 프론트 바디(20)의 전판부(23)와 프론트 커버(30)의 사이 위치에 종동기어(39)와 치합되게 배치된다.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36)는 프론트 바디(20)의 전판부(23)와 프론트 커버(30)의 사이에 위치되고 승강모터(37)가 프론트 커버(30)의 배면에 설치될 경우 종동기어(39)는 프론트 바디(20)의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구동기어(38)는 프론트 바디(20)의 전판부(23)와 프론트 커버(30)의 사이 위치에 종동기어(39)와 치합되게 배치된다.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36)는 프론트 바디(20)의 전판부(23) 후방에 위치되고 승강모터(37)가 프론트 바디(20)의 전판부(23)에 설치될 경우, 종동기어(39)는 프론트 커버(30) 중 프론트 바디(20)의 전판부(23)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구동기어(38)는 프론트 바디(20)의 전판부(23) 후방 위치에 종동기어(39)와 치합되게 배치된다.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36)는 프론트 바디(20)의 전판부(23) 후방에 위치되고 승강모터(37)가 프론트 커버(30) 중 프론트 바디(20)의 전판부(23)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될 경우, 종동기어(39)는 프론트 바디(20)의 전판부(23) 배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구동기어(38)는 프론트 바디(20)의 전판부(23) 후방 위치에 종동기어(39)와 치합되게 배치된다.
이하,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36)는 프론트 바디(20)의 전판부(23) 후방에 위치될 경우 승강모터(37)가 프론트 커버(30)의 가이드부(32)에 설치되게 되면, 가이드부(32)에 종동기어(39)를 형성하기 위해 가이드부(32)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필요가 없고, 프론트 커버(30)에 종동기어(39)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돌출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프론트 커버(30)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승강모터(37)가 가이드부(32)에 설치되고 종동 기어(39)가 프론트 바디(20)의 전판부(23) 배면에 형성될 경우, 승강모터(37)는 가이드부(32)의 좌,우 양면 중 안내돌기(34)의 반대면에 설치되고 종동기어(39)는 관통홀(28)의 옆 후방에 종동기어(38)와 치합되게 형성된다. 즉, 가이드부(32)와 승강모터(37)는 대략 가이드레일(29)과 종동기어(39) 사이 위치에서 좌,우 안정적으로 승강되고, 프론트 커버(30)는 승강 동작시 흔들림이 최소화되면서 안정적으로 승강된다,
한편, 본체(2)의 내부에는 공기 흡입구(4)로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2) 내부를 통과시킨 후 공기 토출구(10)로 토출시키는 송풍기(50)와, 송풍기(50)에 의해 본체(2)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60)가 설치된다.
송풍기(50)는 리어 바디(12)의 하부와 프론트 바디(20)의 하부 사이에 위치 되게 설치된다.
송풍기(50)는 리어 바디(12)의 하부에 모터 마운터로 설치되는 팬모터(51)와, 팬모터(51)의 회전축에 설치된 팬(52)과, 팬(52)을 둘러싸고 전면부에 개구부(53)가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홀(54)이 형성된 팬하우징(55)과, 팬하우징(55)의 전면부에 설치된 오리피스(56)를 포함한다.
송풍기(50)는 상부 전방에 열교환기(60)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 팬부(57)가 형성되고, 드레인팬부(57)에는 드레인 팬부(57)로 낙하된 응축수를 본체(2) 외부로 안내하는 드레인 호스가 연결된다.
드레인 팬부57)는 팬하우징(56)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팬하우징(56)과 일체 형성된다.
열교환기(60)는 리어 바디(12)의 상부와 프론트 바디(20)의 상부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열교환기(60)는 하부가 드레인 팬부(57)에 올려지고, 상부가 리어 바디(12)의 상부에 열교환기 브래킷(62)으로 고정된다.
열교환기(6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송풍기(50)의 상측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는 도 1 및 2와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로 설치될 경우, 벽 설치판(70)에 설치되어 실내의 바닥(B)과 이격되게 설치된다.
벽 설치판(70)은 프론트 커버(30)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하강 높이로 하강되었을 때 프론트 커버(30)가 실내의 바닥(B)과 간섭되지 않는 높이(H1)에 설치된다.
벽 설치판(70)은 실내의 바닥(B)과 프론트 커버(30)의 승강 폭(H3) 보다 긴 거리(H1)를 두게 벽(W)에 설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36)가 공기 토출구(10)의 높이(H2) 이상으로 프론트 커버(30)를 승강시키고, 설치판(70)이 실내의 바닥(B)과 프론트 커버(30)의 승강 폭 이상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벽 설치판(70)은 본체(2) 특히 리어 바디(12)의 상부 뿐만 아니라 하부도 걸려질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리어 바디(12)에 의해 가려질 수 있도록 본체(2) 특히 리어 바디(12) 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체(2) 특히 리어 바디(12)는 벽 설치판(70)에 설치되는 본체 설치부(72)(74)가 상하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
벽 설치판(70)은 본체 설치부(72)(74)가 설치되는 설치판 설치부(76)(78)가 본체 설치부(72)(74)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벽(W)에 벽 설치판(70)이 설치되고, 본체(2)가 벽 설치판(70)에 설치되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공기조화기는 프론트 커버 무빙기구(36)의 승강모터(37)를 하강 모드로 구동시킨다.
승강모터(37)의 하강 모드시 구동기어(38)는 회전되면서 구동기어(39)를 따 라 승강모터(37)와 함께 하강되고, 승강모터(37)가 설치된 프론트 커버(30)는 공기 토출구(10)의 전방 위치(P1)에서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프론트 커버(30)의 하강시 가이드부(32)는 관통홀(28)과 가이드 레일(29)의 안내를 받으면서 하강되고, 프론트 커버(30)가 공기 토출구(10)의 전방 하측 위치인 공기 토출구(10)를 개방하는 위치(P2)에 이르면 승강모터(37)의 구동이 정지되며, 이때, 프론트 커버(30)는 공기 토출구(10)를 개방하면서 공기 토출구의 하측부(10′)를 차폐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모터(37)가 하강 모드로 구동된 이후 공기조화기는 송풍기(50)의 팬모터(51)를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공기 토출구(10)가 개방된 상태에서 팬모터(51)가 구동되면, 실내의 공기는 좌측 공기 흡입구(4)의 좌측과 우측 공기 흡입구(6)의 우측과 하면 공기 흡입구(8)의 하측으로 모여 좌,우측 공기 흡입구(4)(6)와 하면 공기 흡입구(8)의 삼면을 통해 본체(2) 특히 프론트 바디(20) 내부로 흡입된다.
프론트 바디(2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송풍기(50)에 의해 상측으로 송풍되고, 이후 열교환기(60)와 열교환된 후 열교환기(60)의 상측으로 송풍된다.
열교환기(60)의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공기 토출구(10)를 통해 토출되고, 이때 풍향조절 베인(28)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토출 안내된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정지시 공기조화기는 송풍기(50)를 정지시키고, 프론트 커버 무빙기구(36)의 승강모터(37)를 상승 모드로 구동시킨다.
승강모터(37)를 상승 모드시 구동기어(38)는 프론트 커버(30) 하강과 반대방 향으로 역회전되면서 구동기어(39)를 따라 승강모터(37)와 함께 상승되고, 승강모터(37)가 설치된 프론트 커버(30)는 공기 토출구(10)의 전방 하측 위치(P2)에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프론트 커버(30)의 상승시 가이드부(32)는 관통홀(28)과 가이드 레일(29)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승되고, 프론트 커버(30)가 공기 토출구(10)의 전방 위치인 공기 토출구(10)를 차폐하는 위치(P1)에 이르면 승강모터(37)의 구동이 정지되며, 이때, 프론트 커버(30)는 공기 토출구의 하측부(10′)와 공기 토출구(10)를 함께 차폐한 상태가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실내의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고 운전일 때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정지일 때의 단면도이다.
스텐드 받침대(80)는 실내의 바닥에 놓여지고 본체(2)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론트 커버(30)가 최대 하강 높이로 하강되었을 때 프론트 커버(30)가 실내의 바닥(B)과 간섭되지 않는 높이(H1)를 갖는다.
스텐드 받침대(80)는 높이(H1)가 프론트 커버(30)의 승강 폭(H3) 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36)가 공기 토출구(10)의 높이(H2) 이상으로 프론트 커버(30)를 승강시키고, 스텐드 받침대(80)가 실내의 바닥(B)과 프론트 커버(30)의 승강 폭 이상으로 이격되게 본체(2)를 받친 다.
프론트 커버(30)와 스텐드 받침대(8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30)가 공기 토출구(10)를 개방하게 하강될 때 스텐드 받침대(80)의 전방으로 하강되게 배치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30)가 공기 토출구(10)를 차폐하게 상승될 때 프론트 커버(30)의 하측을 통해 노출되게 배치된다.
스텐드 받침대(80)는 실내 공기가 공기 흡입구 특히 하면 공기 흡입구(8)로 흡입되게 통과하는 개구부(82)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스텐드 받침대(80)가 실내의 바닥에 올려지고, 본체(2)가 스텐드 받침대(80)의 상측에 설치되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공기조화기는 프론트 커버 무빙기구(36)의 승강모터(37)를 하강 모드로 구동시킨다.
승강모터(37)의 하강 모드시 구동기어(38)는 회전되면서 구동기어(39)를 따라 승강모터(37)와 함께 하강되고, 승강모터(37)가 설치된 프론트 커버(30)는 공기 토출구(10)의 전방 위치(P1)에서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프론트 커버(30)의 하강시 가이드부(32)는 관통홀(28)과 가이드 레일(29)의 안내를 받으면서 하강되고, 프론트 커버(30)가 공기 토출구(10)의 전방 하측 위치인 공기 토출구(10)를 개방하는 위치(P2)에 이르면 승강모터(37)의 구동이 정지되며, 이때, 프론트 커버(30)는 공기 토출구의 하측부(10′)와 스텐드 받침대(80)의 전면 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공기 토출구의 하측부(10′)과 스텐드 받침 대(80)의 전면 적어도 일부를 차폐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모터(37)가 하강 모드로 구동된 이후 공기조화기는 송풍기(50)의 팬모터(51)를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공기 토출구(10)가 개방된 상태에서 팬모터(51)가 구동되면, 실내의 공기는 좌측 공기 흡입구(4)과 우측 공기 흡입구(6)의 주변과 스텐드 받침대(80)의 주변으로 모이고, 좌,우측 공기 흡입구(4)(6) 주변의 공기는 좌,우측 공기 흡입구(4)(6)를 통해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되고, 스텐드 받침대(80)의 주변의 공기는 스텐드 받침대(80)의 개구부(82)와 스텐드 받침대(80)의 내부와 하면 공기 흡입구(8)를 차례로 통과하여 본체(2) 특히 프론트 바디(20)의 내부로 흡입된다.
즉, 스텐드 받침대(80)는 하면 공기 흡입구(8)를 통한 공기의 흡입을 방해하지 않고, 실내의 공기는 본체(2)의 삼면을 통해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된다.
한편, 프론트 바디(2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송풍기(50)에 의해 상측으로 송풍되고, 이후 열교환기(60)와 열교환된 후 열교환기(60)의 상측으로 송풍된다.
열교환기(60)의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공기 토출구(10)를 통해 토출되고, 이때 풍향조절 베인(28)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토출 안내된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정지시 공기조화기는 송풍기(50)를 정지시키고, 프론트 커버 무빙기구(36)의 승강모터(37)를 상승 모드로 구동시킨다.
승강모터(37)를 상승 모드시 구동기어(38)는 프론트 커버(30) 하강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되면서 구동기어(39)를 따라 승강모터(37)와 함께 상승되고, 승강모 터(37)가 설치된 프론트 커버(30)는 공기 토출구(10)의 전방 하측 위치(P2) 즉, 공기 토출구의 하측부(10′)와 스텐드 받침대(80)의 전방 위치에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프론트 커버(30)의 상승시 가이드부(32)는 관통홀(28)과 가이드 레일(29)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승되고, 프론트 커버(30)가 공기 토출구(10)의 전방 위치인 공기 토출구(10)를 차폐하는 위치(P1)에 이르면 승강모터(37)의 구동이 정지되며, 이때, 프론트 커버(30)는 공기 토출구의 하측부(10′)와 공기 토출구(10)를 함께 차폐한 상태가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가 벽에 설치되었고 운전일 때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가 실내에 세워져 설치되고 운전일 때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전방 토출 모드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전방 좌측 토출모드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전방 우측 토출모드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정지일 때의 사시도,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프론트 바디(20″)가 리어 바디(12″)의 전방에 좌우 회전되게 배치되고, 프론트 바디(20″)의 회전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리어 바디(12″)는 본체(2)의 후방 외관을 형성하고 송풍기(50)와 열교환기(60) 등이 설치되는 일종의 베이스로서, 상하 방향의 높이가 좌우 방향의 폭이나 전후 방향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된다.
프론트 바디(20″)는 리어 바디(12″)의 전방에 리어 바디(12″)와 나란하게 배치되었을 때 리어 바디(12″)의 전방을 덮는 것으로서, 그 크기가 리어 바디(12″) 보다 크거나 같고, 리어 바디(12″)와 같이 상하 방향의 높이가 좌우 방향의 폭이나 전후 방향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된다.
프론트 바디(20″)는 하부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구(6″)(8″)(10″)가 형성된다.
프론트 바디(20″)는 후술하는 프론트 커버(30)의 위치에 상관없이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공기 흡입구(4″)가 프론트 바디(20″)의 전면 이외에 형성된다.
프론트 바디(20″)는 좌측부의 하부와 우측부의 하부와 하측부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된다.
프론트 바디(20″)는 공조된 공기를 프론트 바디(20)의 전방으로 신속하게 토출시키면서 좌,우 양측으로 분산 토출시킬 수 있도록 전면 상부에 전면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고 좌측 상부에 좌측 공기 토출구(8″)가 형성되며, 우측 상부에 우측 공기 토출구(10″)가 형성된다.
본체(2)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이거나 스텐드형 공기조화기가 될 수 있고, 벽 설치판(70)과 스텐드 받침대(80) 중 어느 하나가 실 내에 설치되고, 본체(2)가 벽 설치판(70)과 스텐드 받침대(80)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체(2)의 전방에는 공기 토출구(6″)(8″)(10″) 중 전면 공기 토출구(6″)를 개방/차폐하는 프론트 커버(30)가 배치된다.
프론트 커버(30)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전면 공기 토출구(6)를 개방/차폐하도록 그 크기가 프론트 바디(20″)의 전면부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고, 일부가 전면 공기 토출구(6″)의 전방에 위치되거나 전면 공기 토출구(6″)의 전방 이외로 무빙되게 배치된다.
프론트 커버(30)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전면 공기 토출구(6″)와 그 하측부를 차폐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바디(20″)는 리어 바디(12″)의 전방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바디(12″)에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리어 바디(12″)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리어 바디(12″)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프론트 바디(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토출 모드시 전면 공기 토출구(6″)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상부 전방 방향으로 토출되고, 좌측 공기 토출구(8″)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상부 좌측 방향으로 토출되며, 우측 공기 토출구(10″)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상부 우측 방향으로 토출된다.
프론트 바디(2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방 좌측 토출 모드시 전면 공기 토출구(6″)를 통과한 공기조화기의 상부 전방과 상부 좌측 사이를 향해 경사지게 토출되고, 좌측 공기 토출구(8″)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상부 좌측과 상부 후방 사이를 향해 경사지게 토출되며, 우측 공기 토출구(10″)을 통과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상부 우측과 상부 전방 사이를 향해 경사지게 토출된다.
프론트 바디(2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방 우측 토출 모드시 전면 공기 토출구(6″)를 통과한 공기조화기의 상부 전방과 상부 우측 사이를 향해 경사지게 토출되고, 좌측 공기 토출구(8″)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상부 좌측과 상부 전방 사이를 향해 경사지게 토출되며, 우측 공기 토출구(10″)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상부 우측과 상부 후방 사이를 향해 경사지게 토출된다.
본체(2)에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바디(20″)가 리어 바디(12″)에 대해 경사지게 회전되었을 때 프론트 바디(20″)와 리어 바디(12″) 사이의 틈을 막는 커버(40)가 구비된다.
한편, 본체(2)의 내부에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송풍기(50)와 열교환기(60)가 배치되고, 프론트 바디(20″)가 리어 바디(12″)에 대해 경사지게 회전되었을 때, 열교환기(6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가 드레인 팬부(57)와 프론트 바디(20″) 사이를 통과한 후 오리피스(56)의 전방으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에어 가이드(64)를 더 포함한다.
에어 가이드(64)는 선단이 프론트 바디(20″)에 접하고, 후단이 드레인 팬부(57)에 접하는 일종의 에어 차단막으로서, 프론트 바디(20″)의 회전시 그 형상이 가변되면서 프론트 바디(20″)와 드레인 팬부(57) 사이를 막도록 주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직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프론트 케이스 회전기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리어 바디(12″)는 전면이 개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박스체로서, 후판부(13)와, 후판부(13)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부(14)와, 후판부(13)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부(15)와, 후판부(13)의 상측에 좌측부(14)와 우측부(15) 사이 상부를 막게 형성된 상측부(16)와, 후판부(13)의 하측에 좌측부(14)와 우측부(15) 사이 하부를 막게 형성된 하측부(17)를 포함한다.
프론트 바디(20″)는 후면이 개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박스체로서, 리어 바디(12)의 전방을 덮도록 리어 바디(12)와 크기가 같거나 리어 바디(12) 보다 크게 형성된다.
프론트 바디(20)는 전판부(23)와, 전판부(23)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부(24)와, 전판부(23)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부(25)와, 전판부(23)의 상측에 좌측부(24)와 우측부(25) 사이 상부를 막게 형성된 상측부(26)와, 전판부(23)의 하측에 좌측부(24)와 우측부(25) 사이 하부를 막게 형성된 하측부(27)를 포함한다.
프론트 바디(20″)는 하측부(23)에 공기 흡입구(4″)가 다수의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판부(23)의 상부에 전면 공기 토출구(6″)가 하나의 사각형 형상으로 개구 형성되며, 좌측부(24)의 상부에 좌측 공기 토출구(8″)가 다수의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측부(25)에 우측 공기 토출구(10″)가 다수의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40)는 프론트 바디(20)가 좌측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회전되었을 때 프론트 바디(20″)와 리어 바디(12″) 사이 상,하,우측에 발생되는 틈을 막고, 프론트 바디(20″)가 우측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회전되었을 때 프론트 바디(20″)와 리어 바디(12″) 사이 상,하,우측에 발생되는 틈을 막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커버(40″)는 프론트 바디(20″)의 좌측부(24)와 리어 바디(12″)의 좌측부(14) 사이를 막는 좌측 커버부(44)와, 프론트 바디(20″)의 우측부(25)와 리어 바디(12″)의 우측부(15) 사이를 막는 우측 커버부(45)와, 프론트 바디(20″)의 상측부(16)와 리어 바디(12″)의 상측부(16) 사이를 막는 상측 커버부(46)와, 프론트 바디(20″)의 하측부(17)와 리어 바디(12″)의 하측부(17) 사이를 막는 하측 커버부(47)를 포함한다.
커버(40)는 좌측 커버부(44)와 우측 커버부(45)와 상측 커버부(46)와 하측 커버부(47) 각각이 사각 판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40)는 전체적으로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박스체 형상 즉, 사각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40)는 프론트 바디(20″)가 리어 바디(12″)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때 일부가 프론트 바디(20″)와 리어 바디(12″)의 사이의 틈을 통해 노출되면서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구성하고 프론트 바디(20″)가 리어 바디(12″)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될 때 프론트 바디(20″)와 리어 바디(12″)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가려지도록 프론트 바디(20″)와 리어 바디(12″) 사이 내부에 위치되게 배치되고, 프 론트 바디(20″)에 연결되어 프론트 바디(20″)와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커버(40)는 프론트 바디(20″)와 리어 바디(12″)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때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구성하므로 색상을 갖기 용이하고 외면의 고급화가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프론트 바디(20″)가 좌측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회전되거나 우측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회전되게 프론트 바디(20″)를 회전 동작시키는 프론트 바디 회전기구(100)를 더 포함한다.
프론트 바디 회전기구(100)는 프론트 바디(20″)가 리어 바디(12″)와 나란하게 배치되게 하거나 좌측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회전되게 하거나 우측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회전되게 하는 것으로서, 커버(40)를 회전시키게 설치된다.
프론트 바디 회전기구(100)는 커버(40)의 좌측 커버부(44)에 연결된 좌측 회전기구(100A)(100B)와; 커버(40)의 우측 커버부(45)에 연결된 우측 회전기구(100C)(100D)를 포함한다.
프론트 바디 회전기구(70)는 좌측 회전기구(100A)(100B)와 우측 회전기구(100C)(100D)가 좌우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좌측 회전기구(100A)(100B)와 우측 회전기구(100C)(100D) 각각은 복수개가 상하 이격되게 설치된다.
즉, 프론트 바디 회전기구(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내부 좌측 상부에 구비된 좌측 상부 회전기구(100A)와, 본체(2)의 내부 좌측 하부에 구비된 좌측 하부 회전기구(100B)와, 본체(2)의 내부 우측 상부에 구비된 우측 상부 회전기구(100C)와, 본체(2)의 내부 우측 하부에 구비된 우측 하부 회전기구(100D)를 포함한다.
좌측 회전기구(100A)(100B)와 우측 회전기구(100C)(100D) 각각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바디(20″)와 커버(40)의 회전시 프론트 바디(20″)와 커버(40)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는 안내부(102)(104)와, 프론트 바디(20″)와 커버(4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106)과, 구동원(106)의 구동력을 프론트 바디(20″)와 커버(40) 중 하나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08)(110)를 포함한다.
구동원(106)은 리어 바디(12″)의 후판부(13)측에 설치되고, 회전축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된 모터로 이루어진다.
안내부(102)(104)는 리어 바디(12″)에 설치된 리어 가이드(102)와, 프론트 바디(20″)와 커버(40) 중 하나에 설치된 커버 가이드(104)를 포함한다.
리어 가이드(102)는 리어 바디(12″)의 후판부(13)측에 설치된다.
커버 가이드(104)는 커버(40)에 형성된다.
동력전달부재(106)(108)는 구동원(106)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108)와, 구동기어(108)에 치합되고 커버(40)에 구비된 종동기어(110)를 포함한다.
구동기어(108)는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으로 이루어진다.
종동기어(110)는 커버 가이드(104)에 일체로 형성되어 피니언이 치합되는 랙 으로 이루어진다.
좌측 회전기구(100A)(100B)와 우측 회전기구(100C)(100D) 각각은 리어 바디(12″)에 설치된 리어 가이드(102)와, 커버(40)에 설치되어 리어 가이드(102)에 안내되고 종동 기어(80)가 형성된 커버 가이드(104)와, 리어 바디(12″)에 설치된 구동원(106)인 모터와, 구동원(106)인 모터에 연결되고 종동 기어(80)와 치합된 구동 기어(108)를 포함한다.
리어 가이드(102)는 커버 가이드(104)의 상,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리어 바디(12″)에서 돌출되게 구비된 상부 리어 가이드(111)와; 상부 리어 가이드(111)의 하측에 상부 리어 가이드(111)와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부 리어 가이드(111)와 함께 커버 가이드(104)를 안내하는 하부 리어 가이드(112)를 포함한다.
리어 가이드(102)는 상부 리어 가이드(81)와 하부 리어 가이드(82)가 커버 가이드(104)의 두께 보다 조금 큰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부 리어 가이드(81)가 커버 가이드(104)의 상면을 안내함과 아울러 커버 가이드(104)의 상향 탈거를 막고, 하부 리어 가이드(82)가 커버 가이드(104)의 하면을 안내함과 아울러 커버 가이드(104)의 하향 탈거를 막으면서 커버 가이드(104)를 받쳐 지지한다.
리어 가이드(102)는 리어 바디(12″)의 측판부(14)(15)와 리어 가이드(102) 사이로 커버(40)의 일부가 출입되게 리어 바디(12″)의 측판부(14)(15)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리어 가이드(102)는 커버(40)의 회전시 커버(4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위 치에 형성되는 바, 커버(40)의 회전 반경 내측 위치에 커버(40)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리어 가이드(102)는 커버(40)의 회전시 좌우 이동될 경우, 커버(40)의 원활한 회전을 돕게 되는 바, 그 후단부가 리어 바디(12″)의 후판부(13)에 좌우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어 가이드(102)는 후단에 돌출편이 돌출되고, 리어 바디(12″)의 후판부(13)에는 돌출편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고 돌출편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다.
즉, 커버(40)는 좌측 커버부(44)를 중심으로 우측 커버부(45)와 상측 커버부(46)와 하측 커버부(47)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회전되거나 우측 커버부(45)를 중심으로 좌측 커버부(44)와 상측 커버부(46)와 하측 커버부(47)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회전될 때 우측 커버부(45)와 좌측 커버부(44) 사이의 거리가 회전 반경이고 우측 커버부(45)와 좌측 커버부(44) 사이가 회전 반경 내측 위치인 바, 좌측 회전기구(100A)(100B)의 리어 가이드(102)는 좌측면이 좌측 커버부(44)의 회전 궤적에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우측 회전기구(100C)(100D)의 리어 가이드(102)는 우측면이 우측 커버부(45)의 회전 궤적에 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커버 가이드(104)는 커버(4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프론트 바디 회전기구(100)는 좌측 회전기구(100A)(100B)의 커버 가이드(104)가 커버(40)의 좌측부(44) 우측면에 커버(40)의 우측부(45)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우측 회전기구(100C)(100D)의 커버 가이드(104)가 커버(40)의 우측부(45) 좌측면에 커버(40)의 좌측부(44)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커버 가이드(104)는 상면이 상부 리어 가이드(81) 하면에 접촉되고, 하면이 하부 리어 가이드(82) 상면에 접촉되는 판체부로 이루어진다.
커버 가이드(104)는 후술하는 연결부재(83)(84)(85)(86)가 연결되어 프론트 바디(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전방부가 커버(40)의 선단 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돌출부에 연결부재(83)(84)(85)(86)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105)이 형성된다.
커버 가이드(104)는 종동기어(80)가 리어 가이드(102) 외부에 위치되게 그 좌우 폭이 리어 가이드(102)의 좌우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프론트 바디 회전기구(100)는 리어 가이드(102)와 커버 가이드(104) 중 어느 하나에 돌기(83)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돌기(84)가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84)이 형성된다.
돌기(83)와 가이드 레일(84)은 커버 가이드(104)와 커버(40)와 프론트 커버(20)가 원형 궤적을 따라 회전되게 커버 가이드(104)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돌기(83)와 가이드 레일(84)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게 형성된다.
돌기(83)는 커버 가이드(104)의 상면에 돌출된 상부 돌기와, 커버 가이드(104)의 하면에 돌출된 하부 돌기를 포함한다.
돌기(82)는 커버 가이드(104)의 전,후방 중 대략 후방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84)은 상부 리어 가이드(81)에 관통 형성되어 상부 돌기가 슬라이딩 안내되는 상부 가이드 레일과, 하부 리어 가이드(82)에 관통 형성되어 하부 돌기가 슬라이딩 안내되는 하부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프론트 바디 회전기구(100)는 좌측 회전기구(100A)(100B)의 가이드 레일(84)이 전방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우측 회전기구(100C)(100D)의 가이드 레일(84)가 전방으로 갈수록 좌측으로 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구동원(106)인 모터는 리어 바디(12″)의 후판부(13)에 돌출되게 설치된 모터 마운터(107)에 설치된다.
구동 기어(108)는 리어 가이드(102)의 대략 옆에 위치되게 배치되게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대략 수평한 상태에서 종동 기어(80)에 치합된다.
종동 기어(80)는 커버 가이드(104) 중 구동 기어(108)와 대향되는 측단에 대략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프론트 바디 회전기구(100)는 좌측 회전기구(100A)(100B)의 종동기어(80)가 전방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우측 회전기구(100A)(100B)의 종동기어(80)가 전방으로 갈수록 좌측으로 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각 회전기구(100A)(100B)(100C)(100D)의 커버 가이드(104)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15)(116)(117)(118)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연결부재(85)(86)(87)(88)와 각 회전기구(100A)(100B)(100C)(100D)의 커버 가이드(104) 중 적어도 하나가 프론트 바디(20″)에 연결되는 바, 프론트 바디(20″)는 내측에 연결부재(115)(116)(117)(118)와 각 회전기구(100A)(100B)(100C)(100D)의 커버 가이드(104) 중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는 연결부(미도시)가 전판부(23)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고 운전일 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정지일 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실내의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고 운전일 때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정지일 때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벽에 설치되고 운전일 때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정지일 때의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A-A선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실내의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고 운전일 때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정지일 때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가 벽에 설치되었고 운전일 때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가 실내에 세워져 설치되고 운전일 때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전방 토출 모드일 때의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전방 좌측 토출모드일 때의 사시도,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전방 우측 토출모드일 때의 사시도,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정지일 때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프론트 케이스 회전기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4: 공기 흡입구
6: 전면 공기 토출구 8: 좌측 공기 토출구
10: 우측 공기 토출구 12: 리어 바디
20: 프론트 바디 30: 프론트 커버
40: 커버 44: 좌측 커버부
45: 우측 커버부 46: 상측 커버부
47: 하측 커버부 50: 송풍기
51: 팬모터 60: 열교환기
70: 벽 설치판 80; 스텐드 받침대
B: 바닥 W: 벽

Claims (10)

  1.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 토출구의 하측부와 상기 공기 토출구를 일체로 차폐하는 크기로 형성된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가 상기 공기 토출구를 개방하게 하강되거나 상기 공기 토출구를 차폐하게 상승되게 상기 프론트 커버를 승강시키는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와;
    실내의 바닥과 상기 프론트 커버의 승강 폭 보다 긴 거리를 두게 벽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가 설치되는 벽 설치판과;
    실내의 바닥에 놓여지고 높이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승강 폭 보다 높으며 상기 본체가 설치되는 스텐드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벽 설치판과 스텐드 받침대는 상기 본체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실내에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리어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부의 전면에 상기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의 좌,우,하측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프론트 바디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바디는 상기 리어 바디 전방에 좌우 회전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프론트 바디를 좌우 회전시키는 프론트 바디 회전기구와,
    상기 프론트 바디의 회전시 상기 프론트 바디와 리어 바디 사이의 틈을 차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공기 토출구의 상단과 상기 본체의 하단 사이의 높이 이상의 높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 승강기구는 상기 공기 토출구의 높이 이상으로 프론트 커버를 승강시키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 설치판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 보다 작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벽 설치판에 설치되는 본체 설치부가 상하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벽 설치판은 상기 본체 설치부가 설치되는 설치판 설치부가 상기 본체 설치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 형성된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드 받침대는 실내 공기가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되게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공기 토출구를 개방하게 하강될 때 상기 스텐드 받침대의 전방으로 하강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KR1020090005610A 2009-01-22 2009-01-22 공기조화기 KR101466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610A KR101466299B1 (ko) 2009-01-22 2009-01-22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610A KR101466299B1 (ko) 2009-01-22 2009-01-22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313A true KR20100086313A (ko) 2010-07-30
KR101466299B1 KR101466299B1 (ko) 2014-11-28

Family

ID=4264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610A KR101466299B1 (ko) 2009-01-22 2009-01-22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29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9208A (zh) * 2015-07-16 2015-09-30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竖直式分体挂壁空调室内机
CN104976726A (zh) * 2015-07-24 2015-10-14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带加湿装置的空调和空调加湿控制方法
CN105222324A (zh) * 2015-08-27 2016-01-06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防倾倒装置
CN105864886A (zh) * 2016-03-21 2016-08-17 安徽工程大学 湿度可调节空调
CN109405073A (zh) * 2017-08-14 2019-03-01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室内机
CN109425033A (zh) * 2017-08-18 2019-03-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WO2019172690A1 (ko) * 2018-03-07 2019-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111438A (ko) * 2019-03-19 202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475A (ko) 2020-01-10 2021-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2533B2 (ja) * 1992-02-19 2000-06-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壁埋込形空気調和機
KR0175859B1 (ko) * 1995-12-09 1999-10-01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79052A (ko) * 2004-12-31 2006-07-0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독립적인 냉방유로 및 청정유로를 갖는 에어컨
KR100725808B1 (ko) * 2005-10-25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9208A (zh) * 2015-07-16 2015-09-30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竖直式分体挂壁空调室内机
CN104976726A (zh) * 2015-07-24 2015-10-14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带加湿装置的空调和空调加湿控制方法
CN105222324A (zh) * 2015-08-27 2016-01-06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防倾倒装置
CN105222324B (zh) * 2015-08-27 2018-01-30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防倾倒装置
CN105864886A (zh) * 2016-03-21 2016-08-17 安徽工程大学 湿度可调节空调
CN105864886B (zh) * 2016-03-21 2019-02-01 广州为邦机电设备有限公司 湿度可调节空调
CN109405073A (zh) * 2017-08-14 2019-03-01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室内机
CN109425033A (zh) * 2017-08-18 2019-03-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WO2019172690A1 (ko) * 2018-03-07 2019-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1886449A (zh) * 2018-03-07 2020-11-03 Lg电子株式会社 空调的室内机
CN111886449B (zh) * 2018-03-07 2022-04-19 Lg电子株式会社 空调的室内机
CN114659166A (zh) * 2018-03-07 2022-06-24 Lg电子株式会社 空调的室内机
CN114659166B (zh) * 2018-03-07 2024-05-10 Lg电子株式会社 空调的室内机
KR20200111438A (ko) * 2019-03-19 202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299B1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6313A (ko) 공기조화기
KR10104538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781845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KR20110018739A (ko)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KR20100051956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EP2206974B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ith movable intake panel
KR2007000995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48753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45265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93600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1482126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42524A (ko) 공기조화기
KR20100081845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999849B1 (ko) 공기 조화기
KR20100086312A (ko) 공기조화기
KR20100050312A (ko) 공기조화기
KR10068818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00086314A (ko) 공기조화기
KR20090042523A (ko) 공기조화기
KR10147934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47225A (ko) 공기조화기
KR100609163B1 (ko) 공기조화기
KR101500504B1 (ko) 공기조화기
KR10068818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