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105A - Stand-alone multi 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 Google Patents

Stand-alone multi 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105A
KR20100079105A KR1020080137520A KR20080137520A KR20100079105A KR 20100079105 A KR20100079105 A KR 20100079105A KR 1020080137520 A KR1020080137520 A KR 1020080137520A KR 20080137520 A KR20080137520 A KR 20080137520A KR 20100079105 A KR20100079105 A KR 20100079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tand
alone
fuel cel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5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47804B1 (en
Inventor
이승륜
강동우
윤부호
박종훈
김영진
김정환
이태원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7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804B1/en
Publication of KR20100079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1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8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9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comprising two or more groupings of fuel cells, e.g. modular assemb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PURPOSE: A stand-alone multi 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is provided to easily modify and replace a module by independently separating each module from the assembly system. CONSTITUTION: A stand-alone multi 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comprises the following: multiple stand alone modules(2); and an assembly(1) capable of distributing and collecting gas. The multiple stand alone modules are capable of diving and assembling into each module. The assembly is detachable from each module. The modules are horizontally arranged.

Description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Stand-alone Multi 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Stand-alone Multi 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본 발명은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독립적인 모듈을 조립체에 개별적으로 분리 결합이 가능한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capable of separately coupling each independent module to the assembly.

연료전지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연료전지 셀 위에 다른 하나의 연료전지 셀이 적층되어, 연료전지 스택을 형성한다. 전지의 개수는 스택의 전력 등급을 결정하고, 시스템에 높은 전력 등급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연료전지 스택이 사용되며, 스택의 출력을 조합하여 원하는 전력 출력을 구현한다.In a fuel cell system, one fuel cell cell is typically stacked on one fuel cell to form a fuel cell stack. The number of cells determines the power rating of the stack, and multiple fuel cell stacks are used to provide a high power rating for the system, combining the outputs of the stack to achieve the desired power output.

높은 출력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 모듈화된 스택을 조합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을 구축한다. 여기서 모듈은 스택, 면압장치, 체결장치, 매니폴드와 연료 공급 라인을 형성하는 파이프 그리고 이것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스택은 구조체의 길이를 따라 직선 형태로 정렬된다.Fuel cell systems are constructed by combining modular stacks to achieve high power systems. The module here comprises a stack, a pressure device, a fastening device, a pipe forming a manifold and a fuel supply line and a case for receiving it. The stack is align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ength of the structure.

이렇게 구성된 모듈을 조합하여 대용량의 시스템을 구축한다. 각 모듈과 연료 가스를 분배하고 배기 가스를 회수하는 조립체로 시스템을 구성한다. 연료 가스 배관은 조립체로부터 각 모듈로 분배되어, 조립체로부터 연결된 모든 모듈의 연료 가스 분배 및 배기 가스 회수가 이루어지게 된다.Combine these modules to build a large capacity system. The system consists of each module and an assembly that distributes fuel gas and recovers exhaust gas. The fuel gas piping is distributed from the assembly to each module so that fuel gas distribution and exhaust gas recovery of all modules connected from the assembly are achieved.

상술한 형태의 연료전지 조립체의 하나로 종래 기술 중 하나의 구조체 내부에 각 스택을 배치하고 중앙에 연료 가스의 분배 및 회수 조립체를 두어 배치한 스택과 조립체 전체를 하나의 구조체로 덮어서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배치된 스택 중에 일부를 교체하거나 수정하기가 어렵고, 스택 중 하나라도 이상이 생기면 전체 모듈을 정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one of the fuel cell assemblies of the above type, each stack is disposed inside a structure of one of the prior arts, and a stack and an assembly of the fuel gas distribution and recovery assembly in the center are covered with one structure to form a single module. There is a way. However, such a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place or modify a part of the stacked stacks, and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ny one of the stacks, the entire module must be stopped.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각각의 독립적인 모듈을 조립체에 개별적으로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하여 일부 모듈의 수정 및 교체가 용이하고, 밸브를 이용하여 연료 가스 분배를 조정하도록 하여 시스템 운영을 유동적으로 할 수 있으며, 결합 모듈의 수를 확장하여 전체 시스템의 용량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원하는 사양에 맞는 전력 출력 확보가 가능한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can separate and couple each independent module to the assembly, so that it is easy to modify and replace some modules, and to adjust the fuel gas distribution using a valve, thereby allowing the system operation to be flexible. It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that expands the number of combined modules, allowing the capacity of the entire system to be expanded to ensure power output that meets the desired specifications.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독립적인 모듈을 조립체에 개별적으로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하여 일부 모듈의 수정 및 교체가 용이한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in which each independent module can be separately coupled to an assembly, thereby making it easy to modify and replace some modul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브를 이용하여 연료 가스 분배를 조정하도록 하여 시스템 운영을 유동적으로 할 수 있는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capable of fluidly operating a system by adjusting fuel gas distribution using a valv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 모듈의 수를 확장하여 전체 시스템의 용량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원하는 사양에 맞는 전력 출력 확보가 가능한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ependent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capable of securing a power output that satisfies a desired specification by expanding the number of coupling modules to enable capacity expansion of the entire system.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은 다수의 독립형 모듈, 및 상기 다수의 독립형 모듈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가스 분배 및 회수가 가능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tand-alone modules, and the assembly is separat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tand-alone modules capable of gas distribution and recovery.

여기서,here,

상기 다수의 독립형 모듈은 개별적으로 독립형 모듈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standalone modules may be separately separated and combined into standalone modules.

상기 조립체는 각 독립형 모듈과 개별적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with each stand-alone module individually.

상기 독립형 모듈은 수평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독립형 모듈에 가스 분배 및 회수가 가능한 조립체가 개별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nd-alone module is arranged horizontally,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capable of distributing and recovering gas to each stand-alone module is individually connected.

상기 독립형 모듈은 수직으로 적층되고, 각각의 독립형 모듈에 가스 분배 및 회수가 가능한 조립체가 개별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ndalone modules are stacked vertically, and the assembly capable of distributing and recovering gas is individually connected to each standalone module.

상기 독립형 모듈은 수평으로 배열된 독립형 멀티모듈 및 수직으로 적층된 독립형 멀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독립형 멀티모듈 각각에 가스 분배 및 회수가 가능한 조립체가 개별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ndalone module may include a standalone multimodule arranged horizontally and a standalone multimodule stacked vertically, and an assembly capable of distributing and recovering gas may be individu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standalone multimodules.

상기 독립형 모듈은 수평으로 배열되고, 각 독립형 모듈 사이에 가스 분배 및 회수가 가능한 조립체가 개별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ndalone modules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the assembly capable of distributing and recovering gas is individually connected between each standalone module.

상기 조립체는 각 모듈로 분배되는 파이프 입구에 연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alv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fuel at the pipe inlet to be distributed to each module.

상기 조립체는 각 독립형 모듈로의 연료 가스 분배 파이프를 확장 연결 가능하고, 독립형 모듈을 추가로 설치하여 시스템의 전체 용량을 확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el gas distribution pipe to each stand-alone module can be expanded and further installed, the stand-alone module can be expanded to expand the overall capacity of the system.

본 발명은 각각의 독립적인 모듈을 조립체에 개별적으로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하여 일부 모듈의 수정 및 교체가 용이하고, 밸브를 이용하여 연료 가스 분배를 조정하도록 하여 시스템 운영을 유동적으로 할 수 있으며, 결합 모듈의 수를 확장하여 전체 시스템의 용량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원하는 사양에 맞는 전력 출력 확보가 가능한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each independent module to be separately coupled to the assembly, making it easy to modify and replace some modules, and to adjust the fuel gas distribution using valves to allow for flexible system operation. By expanding the number of modules to enable the capacity expansion of the entire system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independent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capable of ensuring power output to meet the desired specification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양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xample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illustrative of the compon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pecific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onents of the claims. Embodiments including substitutable components as equivalents in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및 조립된 독립형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and an assembled stand-alo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은 하나의 스택으로 구성된 독립형 모듈(2)이 연료 가스 배기구를 일정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고, 배치된 면에 조립체(1)가 위치하여 각 독립형 모듈(2)에 연료가스를 분배 및 회수가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in a 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and-alone module 2 composed of one stack is disposed with a fuel gas exhaust por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assembly 1 is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stand-alone module 2. The fuel gas can be distributed and recovered to each stand-alone module 2.

도 2는 도 1의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조립체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조립체의 정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of FIG. 1, FIG. 3 is a top view of the assembly of FIG. 2,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assembly of FIG. 2.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1)는 연료가스의 중앙 메인 입/출구 파이프로부터 라인이 분배되어 각 독립형 모듈로 입/출구 파이프가 연결된다. 도 2는 연료가스 중앙 메인 입/출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순서대로 위에서 아래로 애노드 입구 중앙(4), 캐소드 입구 중앙(5), 애노드 출구 중앙(6) 및 캐소드 출구 중앙(7)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각 독립형 모듈(2)로 분배 되는 애노드 입구 분배(8), 캐소드 입구 분배(9), 애노드 출구 분배(10), 캐소드 출구 분배(11)의 파이프라인을 도시하고 있다.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1)에서 고온의 연료가 흐르는 파이프 라인의 단열을 위한 조립체(1)의 외부 케이스는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조립체(1)로부터 각 독립형 모듈(2)에 연결되는 연료 가스 파이프 입/출구에는 연료 가스 양을 조절하는 밸브(3)가 있는데 이는 도 2에 분배 파이프 중 한 쪽에만 도시를 하고 나머지 부분은 도시 하지 않았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assembly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a line distributed from the central main inlet / outlet pipe of the fuel gas so that the inlet / outlet pipes are connected to each independent module. 2 shows an anode inlet center 4, a cathode inlet center 5, an anode outlet center 6 and a cathode outlet center 7 from top to bottom in the order shown to show the fuel gas center main inlet / outlet. have. 3 and 4 also show the pipeline of the anode inlet distribution 8, the cathode inlet distribution 9, the anode outlet distribution 10, and the cathode outlet distribution 11 distributed to each standalone module 2. Doing. The outer case of the assembly 1 for thermal insulation of the pipeline through which hot fuel flows in the 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1 is not shown. In addition, at the fuel gas pipe inlet / outlet connected from the assembly 1 to each standalone module 2 there is a valve 3 which regulates the amount of fuel gas, which is shown in only one side of the distribution pipe in FIG. Did not show.

도 5는 도 1의 독립형 모듈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ndalone module of FIG. 1.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모듈(2)의 형태를 사각 박스형의 모듈 케이스(16)와 함께 도시하였다. 또한, 조립체로부터 연결되는 각각의 연료가스 입/출구 파이프라인을 애노드 입구 모듈(12), 캐소드 입구 모듈(13), 애노드 출구 모듈(14), 캐소드 출구 모듈(15)로 나타내었다.As shown in Figure 5, the form of the stand-alone modul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with a rectangular box-shaped module case 16. In addition, each fuel gas inlet / outlet pipeline connected from the assembly is represented by an anode inlet module 12, a cathode inlet module 13, an anode outlet module 14, and a cathode outlet module 15.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독립적인 스택을 포함한 독립형 모듈은 개별적으로 조립체에 부착된다. 이 때 각 연료가스 파이프 라인인 애노드 입구(8, 12), 캐소드 입구(9, 13), 애노드 출구(10, 14), 캐소드 출구(11, 15)을 연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각 독립형 모듈(2)은 독립적으로 작동을 하기 때문에 운전 중 일부 독립형 모듈(2)의 수정이나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각 독립형 모듈(2)에 연료가스가 분배 파이프 입구에 밸브가 있어서 이를 이용하여 각 모듈로 투입되는 연료의 양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5, standalone modules including independent stacks are individually attached to the assembly. At this time, the anode inlets 8 and 12, the cathode inlets 9 and 13, the anode outlets 10 and 14, and the cathode outlets 11 and 15, which are respective fuel gas pipelines, are connected. Since each stand-alone modul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dependently, it is possible to modify or replace some stand-alone modules 2 dur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fuel gas in each of the independent module 2 has a valve at the inlet of the distribution pipe can be used to individually control the amount of fuel injected into each module.

이러한 형태의 배치는 독립형 모듈을 양 옆으로 늘이고, 분배 파이프 라인을 확장하여 멀티모듈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력 출력 용량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This type of deployment makes it possible to extend standalone modules to the sides and expand the distribution pipeline to extend the power output capacity of a multi-module fuel cell system.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다른 형태의 모듈 조합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모듈 조합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other type of module combin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other type of module combin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은 조립체를 사이에 두고 양 옆으로 독립형 모듈을 배치하는 하나의 구체예이고, 도 7은 독립형 모듈을 2×2로 배열하여 조립체와 연결하는 또 다른 하나의 구체예이다. 각 구체예에서 조립체의 외부 케이스는 임의로 사각 박스형태로 도시하였다.As shown in Figures 6 and 7, Figure 6 is an embodiment of placing stand-alone modules on either side with the assembly in between, and Figure 7 is another arrangement for connecting the assembly by arranging the stand-alone modules in 2x2. Another embodiment is. In each embodiment the outer case of the assembly is optionally shown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 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should recogniz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및 조립된 독립형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and an assembled stand-alo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of FIG. 1.

도 3은 도 2의 조립체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assembly of FIG. 2.

도 4는 도 2의 조립체의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of the assembly of FIG. 2.

도 5는 도 1의 독립형 모듈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ndalone module of FIG. 1.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다른 형태의 모듈 조합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other type of module combin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모듈 조합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other form of module combin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 : 조립체 2 : 독립형 모듈1 assembly 2 standalone module

3 : 밸브 4 : 애노드 입구3: valve 4: anode inlet

5 : 캐소드 입구 6 : 애노드 출구5: cathode inlet 6: anode outlet

7 : 캐소드 출구 8 : 애노드 입구 분배7: cathode exit 8: anode inlet distribution

9 : 캐소드 입구 분배 10 : 애노드 출구 분배9 cathode inlet distribution 10 anode outlet distribution

11 : 캐소드 출구 분배 12 : 애노드 입구 모듈11: cathode outlet distribution 12: anode inlet module

13 : 캐소드 입구 모듈 14 : 애노드 출구 모듈13: cathode inlet module 14: anode outlet module

15 : 캐소드 출구 모듈 16 : 모듈 케이스15: cathode outlet module 16: module case

17 : 멀티모듈 조립체의 구체예 1 18 : 멀티모듈 조립체의 구체예 217: Specific Example 1 of the Multi-Module Assembly 18: Specific Example 2 of the Multi-Module Assembly

Claims (9)

다수의 독립형 모듈; 및Multiple standalone modules; And 상기 다수의 독립형 모듈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가스 분배 및 회수가 가능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stand-alone modules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gas distribution and recovery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수의 독립형 모듈은 개별적으로 독립형 모듈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Independent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tand-alone modules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into a stand-alone module individual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립체는 각 독립형 모듈과 개별적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The assembly is a 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eparate and coupled to each stand-alone modu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독립형 모듈은 수평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독립형 모듈에 가스 분배 및 회수가 가능한 조립체가 개별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The stand-alone module is arranged horizontally, each independent module is a 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capable of distributing and recovering gas is individually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독립형 모듈은 수직으로 적층되고, 각각의 독립형 모듈에 가스 분배 및 회수가 가능한 조립체가 개별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The standalone modules are stacked vertically, each standalone module independent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capable of distributing and recovering gas is individually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독립형 모듈은 수평으로 배열된 독립형 멀티모듈 및 수직으로 적층된 독립형 멀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독립형 멀티모듈 각각에 가스 분배 및 회수가 가능한 조립체가 개별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The stand-alone module includes a stand-alone multi-module arranged horizontally and a stand-alone multi-module stacked vertically, the independent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capable of distributing and recovering gas is individu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independent multi-module. syste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독립형 모듈은 수평으로 배열되고, 각 독립형 모듈 사이에 가스 분배 및 회수가 가능한 조립체가 개별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멀티모 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The stand-alone module is arranged horizontally, the independent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capable of distributing and recovering gas between each stand-alone module individually.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조립체는 각 모듈로 분배되는 파이프 입구에 연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The assembly is a 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alv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fuel at the pipe inlet distributed to each modu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립체는 각 독립형 모듈로의 연료 가스 분배 파이프를 확장 연결 가능하고, 독립형 모듈을 추가로 설치하여 시스템의 전체 용량을 확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멀티모듈 연료전지 조립체 시스템.The assembly is capable of expanding the fuel gas distribution pipe to each stand-alone module, the 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 capacity can be installed to expand the total capacity of the system.
KR1020080137520A 2008-12-30 2008-12-30 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KR1010478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520A KR101047804B1 (en) 2008-12-30 2008-12-30 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520A KR101047804B1 (en) 2008-12-30 2008-12-30 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105A true KR20100079105A (en) 2010-07-08
KR101047804B1 KR101047804B1 (en) 2011-07-07

Family

ID=4264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520A KR101047804B1 (en) 2008-12-30 2008-12-30 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80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594B1 (en) * 2015-05-19 2016-03-10 에스퓨얼셀(주) Fuel cell device and Stack power module
KR20210147076A (en) * 2019-04-23 2021-12-06 인텔리전트 에너지 리미티드 Systems for forming components of UAVs
WO2023038454A1 (en) * 2021-09-13 2023-03-16 범한퓨얼셀 주식회사 Independent fuel cell facilit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5507B2 (en) * 1999-09-30 2005-06-0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Fuel cell system and electric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JP2006147340A (en) * 2004-11-19 2006-06-08 Nissan Motor Co Ltd Fuel cell system
JP2007294291A (en) * 2006-04-26 2007-11-08 Nissan Motor Co Ltd Fuel cell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594B1 (en) * 2015-05-19 2016-03-10 에스퓨얼셀(주) Fuel cell device and Stack power module
KR20210147076A (en) * 2019-04-23 2021-12-06 인텔리전트 에너지 리미티드 Systems for forming components of UAVs
WO2023038454A1 (en) * 2021-09-13 2023-03-16 범한퓨얼셀 주식회사 Independent fuel cell fac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804B1 (en)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8713B2 (en) Cooling device for stored energy sources
KR101047804B1 (en) Standalone Multi-Module Fuel Cell Assembly System
US8889318B2 (en) Fuel cell stack that promotes generally uniform flow therein
WO2007105076A3 (en) Fuel cell system
TW202405246A (en) Compressor integration and safe operation start up for atmospheric operation of soec systems
WO2007049790A1 (en) Fluid path structure of fuel cell stack
WO2009038198A1 (en) Fuel cell
US7108929B2 (en) Fuel and air flow control in a multi-stack fuel cell power plant
US9147895B2 (en) Fuel cell fuel recycle ejectors disposed in fuel manifold
US20220384837A1 (en) Electrochemical system comprising several fuel cells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and supplied with air in parallel
US20150024303A1 (en) Fuel cell plate flow field
WO2012115485A3 (en) Flat tubular solid-oxide fuel cell, and flat tubular solid-oxide water electrolysis apparatus
JP5505874B2 (en) Fuel cell system
JP2023540552A (en) Heat exchanger
JP2017174658A (en) Fuel battery hot module
KR100778583B1 (en) A common distribution device of fuel cell for vehicle
JP2014190669A (en) Solar light/heat hybrid panel and solar system
US7338731B2 (en) Compact reactant gas plumbing serving dual identical fuel cell stacks
KR101172205B1 (en) Fuel Cell Stack Structure
CN217444444U (en) Venturi tube module structure
CN220821716U (en) Liquid cooling pipeline and battery cabinet with same
KR101109718B1 (en) Unitary heat exchanger for district heating compact substation
JP5428595B2 (en) Piping parts for fuel cell systems
JPH02226669A (en) Fuel cell device
KR101854921B1 (en) Dummy connection parts for fuel cell system of submarine, fuel cell system of submarine with dummy connection parts, and submarine with fuel cell system having dummy connection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