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843A - 커넥터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843A
KR20100070843A KR1020080129574A KR20080129574A KR20100070843A KR 20100070843 A KR20100070843 A KR 20100070843A KR 1020080129574 A KR1020080129574 A KR 1020080129574A KR 20080129574 A KR20080129574 A KR 20080129574A KR 20100070843 A KR20100070843 A KR 20100070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eaf spring
housing
locking
operat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해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9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0843A/ko
Publication of KR20100070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60)로 구성된다. 제1하우징(31)의 안착부(34)에는 터미널조작구(4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제1하우징(31)의 내부에 구비되는 리셉터클터미널(50)에는 서로 마주하는 저면판(54)과 판스프링(55)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31)과 제2하우징(61)이 1차결합되면, 상기 판스프링(55)과 저면판(54) 사이 공간에 제2커넥터(60)의 탭터미널(63)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조작구(40)를 제1하우징(31)의 선단을 향해 전진시키면, 상기 판스프링(55)이 상기 터미널조작구(40)에 의해 눌러져 상기 탭터미널(63)과의 접촉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커넥터가 결합될 때, 리셉터클터미널의 판스프링과 저면판이 서로 벌어진 상태이므로 커넥터의 삽입력이 최소화되며, 탭터미널의 외면 손상도 방지된다.
커넥터, 리셉터클터미널, 터미널조작구, 판스프링

Description

커넥터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로 구성되는 커넥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가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어셈블리는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5)로 구성된다.
제1커넥터(1)의 외관과 골격을 제1커넥터하우징(2)이 형성하며,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2)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제1터미널안착부(2')가 형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안착부(2')에는 탭터미널(3)이 안착된다. 상기 제1터미널안착부(2')에 안착된 상기 탭터미널(3)의 선단은 상기 제1터미널안착부(2')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2)의 외측에는 후술할 제2커넥터(5)의 걸림턱(9)에 걸어지는 걸림돌기(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커넥터(5)의 외관과 골격을 역시 제2커넥터하우징(6)이 형성하며, 상기 제2커넥터하우징(6)의 내부를 관통하여 제2터미널안착부(6')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터미널안착부(6')에는 리셉터클터미널(7)이 안착된다. 상기 리셉터클터미널(7)의 선단에는 상기 탭터미널(3)에 의해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탭터미널(3)과의 전기적인 접촉을 유지하는 스프링부(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커넥터하우징(6)의 외측에는 록킹레버(8)가 형성된다. 상기 록킹레버(8)는 일측이 상기 제2커넥터하우징(6)과 연결된 상태에서 시소운동을 한다. 상기 록킹레버(8)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돌기(4)가 걸어지는 걸림턱(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레버(8)의 후단에는 상기 록킹레버(8)의 선단이 소정 높이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눌러지는 조작부(9')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5)가 결합될 때, 제1커넥터(1)의 탭터미널(3)이 제2커넥터(5)의 제2터미널안착부(6')에 삽입되는데, 이때 탭터미널(3)이 리셉터클터미널(7)의 스프링부(7')를 탄성변형시켜야 하므로, 이들의 마찰력에 의해 이들을 결합시킬 때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제1 및 제2커넥터(1,5)의 결합과정에서, 탭터미널(3)이 상기 스프링부(7')를 탄성변형시키면서 리셉터클터미널(7)에 삽입되므로, 상기 스프링부(7')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 상기 탭터미널(3)의 외면에 입혀진 도전금속이 벗겨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시에 소요되는 힘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시에 탭터미널의 외면이 리셉터클터미널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제1터미널공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제1터미널공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과 결합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터미널공에 설치되고 상기 제2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탭터미널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리셉터클터미널;로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리셉터클터미널의 판스프링을 선택적으로 눌러주는 터미널조작구가 상기 제1터미널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터미널조작구가 상기 판스프링을 눌러줌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탭터미널과 접촉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셉터클터미널은, 터미널몸체; 상기 터미널몸체의 선단에 구비되는 박스부; 상기 박스부의 선단에서 연장되는 저면판; 상기 박스부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저면판과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판스프링; 상기 터미널몸체의 후단에 구비되어 와이어를 감싸는 바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은 외팔보형상으로 상기 제1터미널공의 선단을 향해 상향 경사 지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조작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러짐에 의해 상기 저면판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과 저면판 사이의 최소간격(D)이 상기 탭터미널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터미널조작구에 의해 눌러짐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과 저면판 사이에 삽입된 탭터미널의 상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의 선단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상면이 요입됨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접촉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하우징의 상기 안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터미널조작구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조작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조작구는, 조작몸체; 상기 조작몸체의 저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판스프링을 눌러주는 판스프링누름부; 상기 조작몸체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양측면에 상기 터미널조작구의 이동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록킹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록킹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제1록킹공에 삽입되어 걸어진 터미널조작구의 1차록킹 상태에서는, 상기 판스프링누름부가 상기 판스프링의 상기 박스부와 연결된 부분과 밀착되며, 상기 터미널조작구가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제2록킹공에 삽입되어 걸어진 터미널조작구의 2차록킹 상태에서는, 상기 판스프링누름부가 상기 판스프링의 선단을 눌러 상기 판스프링과 상기 탭터미널의 접촉을 유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돌기의 선단과 상기 제1 및 제2록킹공 사이에 구비되는 걸림부의 마주하는 위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1록킹공을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하는 경사면과 가이드면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누름부의 선단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상면과 면접촉될 수 있도록 일정 구간의 평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커넥터가 결합될 때, 리셉터클터미널의 판스프링과 저면판이 서로 벌어진 상태이므로 탭터미널의 삽입에 따른 마찰이 없어져 커넥터의 삽입력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커넥터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탭터미널이 리셉터클터미널에 삽입될 때 마찰이 없어져, 종래와 같이 탭터미널이 리셉터클터미널의 스프링부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삽입되는 방식에 비하여 탭터미널의 외면에 입혀진 도전금속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리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요부구성들이 분리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커넥터의 내부구성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커넥터의 2차결합 상태가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커넥터(30)의 외관과 골격을 제1하우징(31)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31)은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31)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제1터미널공(3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터미널공(32)은 다수개가 1열로 형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공(32)에는 후술할 리셉터클터미널(50)이 삽입되어 안착된다.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제1하우징(31)의 상면에는 안착부(34)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34)는 상기 제1터미널공(32)에 조립된 상태의 리셉터클터미널(50)의 결합부(52)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34)에 의해 상기 제1터미널공(32)이 제1하우징(31)의 일측 외면을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안착부(34)에는 후술할 터미널조작구(40)가 이동가능하게 안착된다. 상기 안착부(34)의 일측에는 터미널조작구(40)의 조작몸체(41)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단(34')이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지지단(34')은 터미널조작구(40)가 1차록킹 상태일 때 터미널조작구(40)의 조작몸체(41)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단(34')은 상기 제1하우징(31)의 상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31)의 양측면 상단에는 제1록킹공(3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록킹공(36)은 상기 터미널조작구(40)가 1차록킹 상태일 때 터미널조작구(40)의 록킹돌기(45)가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1하우징(31)의 양측면 상단에는 제2록킹공(38)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록킹공(38)은 상기 제1록킹공(36)에서 상기 제1하우징(31)의 선단을 향해 소 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록킹공(38)은 상기 터미널조작구(40)가 2차록킹 상태일 때 터미널조작구(40)의 록킹돌기(45)가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1록킹공(36)과 제2록킹공(38)의 사이에는 걸림부(39)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39)는 상기 제1록킹공(36)과 제2록킹공(38)을 구획한다. 상기 제1록킹공(36)의 내측을 형성하는 상기 걸림부(39)의 일면에는 가이드면(39')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39')은 상기 터미널조작구(40)가 상기 제1하우징(31)의 선단을 향하여 전진할 때 상기 제1록킹공(36)을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면(39')과 마주하는 상기 걸림부(39)의 타면은 상기 제2록킹공(38)의 내측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부(39)의 타면은 상기 제2록킹공(38)에 삽입되는 상기 록킹돌기(45)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터미널조작구(40)는 상기 안착부(34)에서 상기 제1터미널공(3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조작구(40)는 상기 제1터미널공(32)에 안착되는 리셉터클터미널(50)의 판스프링(55)을 선택적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터미널조작구(40)는 1차록킹 상태일 때 상기 판스프링(55)을 눌러주지 않으나, 터미널조작구(40)가 상기 제1하우징(31)의 선단으로 이동하여 2차록킹 상태가 되면, 상기 판스프링(55)을 상기 리셉터클터미널(50)의 저면판(54)과 가까워지도록 눌러준다.
상기 터미널조작구(40)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터미널조작구(40)의 골격을 조작몸체(41)가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작몸체(41)는 대략 납작한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조작몸체(41)의 저면에는 판스프링누름부(4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판스프링누름부(43)는 상기 판스프링(55)의 상면을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판스프링누름부(43)는 도 2를 기준으로 나열되어 있는 다수개의 터미널(50)에 각각 형성되는 판스프링(55)을 동시에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터미널(50)의 폭방향으로 충분한 폭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누름부(43)의 선단에는 상기 판스프링(55)의 상면과 면접촉될 수 있도록 일정 구간의 평면이 형성된다 (도 5참고).
상기 판스프링누름부(43)의 양측면에는 록킹돌기(4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록킹돌기(45)는 상기 제1 및 제2록킹공(36,38)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록킹된다. 상기 록킹돌기(45)의 선단 모서리에는 상기 가이드면(39')과 대응되는 경사면(4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몸체(41)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조작리브(4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조작리브(49)는 별도의 지그나 작업자의 손이 상기 조작몸체(41)의 상면과 접촉될 때 마찰력을 크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터미널공(32)에 설치되는 리셉터클터미널(50)의 구성을 설명한다. 리셉터클터미널(50)의 골격을 터미널몸체(51)가 형성한다. 상기 터미널몸체(51)의 선단에는 상대터미널인 탭터미널(63)과 결합되는 결합부(52)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52)는 크게, 상기 터미널몸체(51)와 연결되는 박스부(53), 상기 박스부(53)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터미널공(32)의 저면에 안착되는 저면판(54), 상기 저면판(54)과 마주하도록 상기 박스부(53)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저면판(54)을 향해 탄성변형 가능한 판스프링(55)으로 구성된다.
상기 판스프링(55)은 대략 납작한 판형상으로 상기 제1하우징(31)의 선단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즉, 상기 판스프링(55)은 외팔보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박스부(53)와 일체로 연결되는 기저부가 되고, 타단이 자유단부가 된다. 이러한 구성의 판스프링(55)은 상기 저면판(54)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판스프링(55)은 상기 터미널조작구(40)의 판스프링누름부(43)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러져 탄성변형된다.
상기 판스프링(55)과 저면판(54) 사이 공간에 탭터미널(63)이 삽입된다. 터미널조작구(40)의 1차록킹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55)와 저면판(54) 사이의 최소간격(D)(도 5 참고)은 적어도 상기 탭터미널(63)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탭터미널(65)이 상기 판스프링(55)와 저면판(54) 사이 공간에 삽입될 때 판스프링(55)과 저면판(54)이 상기 탭터미널(65)의 삽입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여 탭터미널(65)의 삽입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판스프링(55)의 선단에는 접촉부(55')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55')는 상기 터미널조작구(40)의 2차록킹 상태에서 상기 탭터미널(63)의 상면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접촉부(55')는 상기 판스프링(55)의 상면 일측이 요입됨에 의해 상기 저면판(54)을 향해 상기 판스프링(55)의 저면에 일정량 돌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터미널몸체(51)의 후단에는 바렐부(57)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57)는 와이어의 도전부를 감싸는 와이어바렐(58)과 와이어의 피복을 감싸는 인슐레이션바렐(59)로 구성된다.
한편, 제2커넥터(60)의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61)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61)도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61)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제2터미널공(61')이 형성된다. 상기 제2터미널공(61')에는 탭터미널(63)이 설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61)의 내부에는 삽입공간(64)이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64)에는 상기 제2터미널공(61')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탭터미널(63)의 선단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64)에는 상기 제1하우징(31)이 삽입된다.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제2하우징(61)의 상면에는 조작슬롯(65)이 소정영역 형성된다. 상기 조작슬롯(65)에 상기 삽입공간(64)이 외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슬롯(65)을 통해 상기 삽입공간(64)에 삽입된 제1하우징(31)의 터미널조작구(40)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조작슬롯(65)을 통해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조작구(40)를 조작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과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과정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과 도 6을 참고로 제1커넥터(30)의 조립상태를 설명한다. 제1하우징(31)의 안착부(34)에는 터미널조작구(40)가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조작구(40)는 상기 안착부(34)와 1차록킹 상태로서, 상기 터미널조작구(40)의 록킹돌기(45)가 상기 제1록킹공(36)에 삽입된다.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 판스프링누름부(43)의 선단 은 상기 판스프링(55)의 상면 중 기저부와 인접한 부분과 접촉된다. 상기 제1터미널공(32)에 안착된 상태의 리셉터클터미널(50)은 상기 저면판(54)과 판스프링(55) 사이의 간격이 리셉터클터미널(50)의 선단을 향하여 점차 증가하도록, 서로 벌어진 상태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제1커넥터(30)를 제2커넥터(60)의 삽입공간(64)으로 삽입한다. 그러면, 제1하우징(31)의 외면이 상기 제2하우징(61)의 내면에 밀착되어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64)에 위치하는 상기 탭터미널(63)이 상기 제1터미널공(32) 내부로 삽입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리셉터클터미널(50)의 저면판(54)과 판스프링(55) 사이 공간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저면판(54)과 판스프링(55)이 벌어진 상태이므로, 탭터미널(63)의 삽입력이 최소화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즉 커넥터어셈블리의 1차결합상태로, 제1 및 제2하우징(61) 만이 결합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커넥터어셈블리의 2차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커넥터어셈블리의 2차결합이란 탭터미널(63)과 리셉터클터미널(50)이 결합된 상태를 말한다.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터미널조작구(40)를 제1하우징(31)의 선단을 향해 전진시킨다. 터미널조작구(40)의 이동은, 예를 들어 작업자가 상기 제2하우징(61)의 조작슬롯(65)과 제1하우징(31)의 안착부(34) 내부로 손가락을 넣어 상기 터미널조작구(40)에 힘을 가함으로써 진행된다. 물론, 작업자가 별도의 지그를 사용하여 터미널조작구(40)에 힘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터미널조작구(40)가 전진하면, 도 4를 참고로, 상기 록킹돌기(45) 의 경사면(46)이 상기 걸림부(39)의 가이드면(39')을 통과하면서 상기 록킹돌기(45)가 상기 제1록킹공(36)을 빠져나가 제2록킹공(38)에 삽입되어 걸어진다. 이때 상기 터미널조작구(40)가 전진하면서, 상기 판스프링누름부(43)가 상기 판스프링(55)의 상면을 눌러주어 상기 판스프링(55)가 상기 저면판(54)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이로써 상기 판스프링(55)의 저면과 상기 탭터미널(63)의 상면이 서로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55)의 접촉부(55')에 의해 상기 탭터미널(63)과의 접촉이 한번 더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즉, 터미널간의 결합이 완료되어 충분한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하우징(31, 61)이 결합되는 1차결합일 때에는, 상기 터미널조작구(40)가 상기 제1하우징(31)에 1차록킹되고, 리셉터클터미널(50)의 판스프링(55)과 저면판(54)이 서로 벌어지도록 되어, 탭터미널(63)이 상기 리셉터클터미널(50) 내부로 삽입될 때 소요되는 힘이 최소화된다. 이때, 리셉터클터미널(50)에 상기 탭터미널(63)의 삽입을 방해하는 구조가 없으므로 종래와 같이 탭터미널(63)의 외면이 손상될 염려가 없다.
그리고 탭터미널(63)과 리셉터클터미널(50)이 결합되는 2차결합일 때에는, 상기 터미널조작구(40)가 전진하여 상기 제1하우징(31)에 2차록킹이 되고, 터미널조작구(40)의 판스프링누름부(43)가 상기 판스프링(55)을 눌러주어 판스프링(55)과 상기 탭터미널(63)의 접촉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 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커넥터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커넥터의 2차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제1하우징 34: 안착부
34': 지지단 36: 제1록킹공
38: 제2록킹공 39: 걸림부
39': 가이드면 40: 터미널조작구
41: 조작몸체 43: 판스프링누름부
45: 록킹돌기 46: 경사면
49: 조작리브 50: 리셉터클터미널
51: 터미널몸체 52: 결합부
53: 박스부 54: 저면판
55: 판스프링 55': 접촉부
57: 바렐부 61: 제2하우징
53: 탭터미널 64: 삽입공간
65: 조작슬롯

Claims (10)

  1. 내부에 제1터미널공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제1터미널공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과 결합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터미널공에 설치되고 상기 제2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탭터미널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리셉터클터미널;로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리셉터클터미널의 판스프링을 선택적으로 눌러주는 터미널조작구가 상기 제1터미널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터미널조작구가 상기 판스프링을 눌러줌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탭터미널과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터미널은,
    터미널몸체;
    상기 터미널몸체의 선단에 구비되는 박스부;
    상기 박스부의 선단에서 연장되는 저면판;
    상기 박스부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저면판과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판스프링;
    상기 터미널몸체의 후단에 구비되어 와이어를 감싸는 바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외팔보형상으로 상기 제1터미널공의 선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조작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러짐에 의해 상기 저면판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과 저면판 사이의 최소간격(D)이 상기 탭터미널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터미널조작구에 의해 눌러짐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과 저면판 사이에 삽입된 탭터미널의 상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선단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상면이 요입됨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접촉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상기 안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터미널조작구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조작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조작구는,
    조작몸체;
    상기 조작몸체의 저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판스프링을 눌러주는 판스프링누름부;
    상기 조작몸체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양측면에 상기 터미널조작구의 이동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록킹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록킹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제1록킹공에 삽입되어 걸어진 터미널조작구의 1차록킹 상태에서는, 상기 판스프링누름부가 상기 판스프링의 상기 박스부와 연결된 부분과 밀착되며,
    상기 터미널조작구가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제2록킹공에 삽입되어 걸어진 터미널조작구의 2차록킹 상태에서는, 상기 판스프링누름부가 상기 판스프링의 선단을 눌러 상기 판스프링과 상기 탭터미널의 접촉을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선단과 상기 제1 및 제2록킹공 사이에 구비되는 걸림부의 마주하는 위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1록킹공을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하는 경사면과 가이드면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누름부의 선단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상면과 면접촉될 수 있도록 일정 구간의 평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KR1020080129574A 2008-12-18 2008-12-18 커넥터어셈블리 KR20100070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574A KR20100070843A (ko) 2008-12-18 2008-12-18 커넥터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574A KR20100070843A (ko) 2008-12-18 2008-12-18 커넥터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843A true KR20100070843A (ko) 2010-06-28

Family

ID=42368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574A KR20100070843A (ko) 2008-12-18 2008-12-18 커넥터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08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868B1 (ko) * 2018-05-30 2018-07-18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용 터미널 고정장치
KR101869538B1 (ko) * 2017-02-08 2018-07-23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용 터미널 고정장치
KR20220071089A (ko) *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538B1 (ko) * 2017-02-08 2018-07-23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용 터미널 고정장치
KR101879868B1 (ko) * 2018-05-30 2018-07-18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용 터미널 고정장치
KR20220071089A (ko) *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4729B2 (en) Electric connector
CN110663139B (zh) 连接装置
JP4074776B2 (ja) ジャック
KR20080101871A (ko) 커넥터
JP7144191B2 (ja) 可動コネクタ
TW201409850A (zh) 連接器
WO2016132697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1167833A (ja) コネクタ
CN107425377B (zh) 连接器
JP2019029055A (ja) 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KR20100070843A (ko) 커넥터어셈블리
JP5201253B2 (ja) コネクタ端子
WO2021111826A1 (ja) コネクタ
CN107104303B (zh) 电联接端子结构
JP2006059724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7076770B2 (ja) 電気コネクタ
JP6195797B2 (ja) コネクタ
JP2002124341A (ja) コネクタ
JP7271775B2 (ja) 可動コネクタ
JP2006216433A (ja) コネクタ
JP7447777B2 (ja) コネクタ
KR100955054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결합방법
CN219163756U (zh) 插塞连接器
JP2012169114A (ja) 電線接続用コネクタ
US6264489B1 (en) ZIF socket with lock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