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770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770A
KR20100067770A KR1020080126306A KR20080126306A KR20100067770A KR 20100067770 A KR20100067770 A KR 20100067770A KR 1020080126306 A KR1020080126306 A KR 1020080126306A KR 20080126306 A KR20080126306 A KR 20080126306A KR 20100067770 A KR20100067770 A KR 20100067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female
hole
twisted pai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숙희
Original Assignee
정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숙희 filed Critical 정숙희
Priority to KR1020080126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7770A/ko
Priority to PCT/KR2009/003180 priority patent/WO2010067934A1/ko
Publication of KR20100067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9Threaded ferrule or bolt opera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able or wi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에 암쐐기공이 형성된 제1연결부와 일측에 상기 제1연결부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암쐐기공과 댕응 형상의 쐐기가 형성되어, 상기 암쐐시공과 쐐기의 사이공간으로 연선이 밀착 고정됨에 따라 절단력을 받지않고 연선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기기의 일단에 마련된 플러그에 연선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연선이 노출되도록 탈피된 연선케이블을 후방에서 삽입가능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전방에는 외측으로 확관되는 암쐐기공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의 수나사부가 체결되도록 내측에 암나사공이 형성되되 전방 내측 끝단에는 상기 암쐐기공에 대응되는 형상의 쐐기가 형성된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126306
소켓트, 케이블, 쐐기결합

Description

커넥터{A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에 암쐐기공이 형성된 제1연결부와 일측에 상기 제1연결부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암쐐기공과 댕응 형상의 쐐기가 형성되어, 상기 암쐐시공과 쐐기의 사이공간으로 연선이 밀착 고정됨에 따라 절단력을 받지않고 연선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기기에 전선을 연결할 때 상기 전선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향상 및 구성이 제공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용접기와 같이 연선케이블을 기기에 연결할 때 사용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그 중 본 출원인의 국내특허 제511615호(명칭: 커넥터)를 살펴보면, 종래의 커넥터는 중앙부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14)이 형성되도록 일부가 절개형성되고, 후단부 내측면에는 전선연결볼트(50)에 의해 용접기(60)의 케이블(25a)이 결합되도록 체결공(12a)이 형성되며, 그 외측면으로는 고정너트(51)에 의해 용접기(60)에 체결되도록 나사부(15)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소켓트(20)의 접전봉(21)이 끼워지도록 삽입공(12b)이 형성되되, 삽입공(12b)의 일측부에는 접전봉(21)에 형성된 체결돌기(21a)가 끼워지도록 체결홈(13)이 삽입공(12b)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플러그(10)와; 상기 플러그(10)의 삽입공(12b)에 끼워지게 소정 길이의 접전봉(21)이 형성되며, 접전봉(21)의 일측에는 플러그(10)의
체결홈(13)을 통과해 경사면(14)에 밀착되도록 체결되는 체결돌기(21a)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케이블이 삽입되어 고정되게 삽입관(22)과 고정볼트(2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소켓트(20)와; 상기 플러그(10)와 소켓트(20)가 끼워지도록 이루어지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커버체(30)로 구성된다.(도 1 참조)
또한, 커넥터에 연선케이블의 연결은 소켓(20)의 삽입관(22)으로 선단의 피복이 탈피된 연선케이블을 삽입한 후 상기 소켓(20)에 고정볼트(24)를 체결시켜 그 체결력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볼트에 의한 고정은 상기 고정볼트가 체결되기 위해 회전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고정볼트의 끝단에 위치되는 연선케이블의 연선들은 회전력에 의해 절단되고, 따라서 외부에서 상기 연선케이블을 잡아당길 경우 쉽게 소켓에서 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 연선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전방으로 확관된 암쐐기공이 형성된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암쐐기공과 대응되는 쐐기가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가 체결 고정되는 제2연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 각각에 형성된 암쐐기공과 쐐기 사이의 공간으로 연선케이블의 탈피된 연선들이 압착됨으로써, 종래의 고정볼트의 체결을 위한 회전력이 발생과 이로 인해 절단력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연선들의 전단을 방지하여 연선케이블의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기기의 일단에 마련된 플러그에 연선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연선이 노출되도록 탈피된 연선케이블을 후방에서 삽입가능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전방에는 외측으로 확관되는 암쐐기공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의 수나사부가 체결되도록 내측에 암나사공이 형성되되 전방 내측 끝단에는 상기 암쐐기공에 대응되는 형상의 쐐기가 형성된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의 수나사부가 체결되도록 내측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암나사공에 체결되도록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의 암쐐기공과 대응되는 형상의 쐐기가 후 방에 마련되고 전방에는 플러그에 접속되도록 접전봉이 형성된 소켓;으로 구성되어 기기의 플러그에 연선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연결부는 중앙 내측의 양단에는 일정깊이로 제1연결부의 수나사부가 체결되도록 암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양단의 암나사공 각각의 끝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연결부의 암쐐기공과 대응되는 형상의 쐐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의 양단으로 연결케이블이 삽입된 제1연결부를 체결시켜 상기 연선케이블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연결부에는 암나사공과 쐐기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암나사공에서 일정깊이를 가지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홈으로 쐐기에 의해 분기되는 연선케이블의 연선들이 삽입됨에 따라 제1 및 제2연결부에 의한 연선케이블의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의 암쐐기공 또는 쐐기의 어느 하나에는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의 상호 체결로 쐐기와 암쐐기공 사이에서 압박되는 연선케이블의 연선들이 상기 돌기에 의해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더 포함하고, 제1 및 제2연결부의 암쐐기공 또는 쐐기 중 어느 하나에는 암쐐기공 또는 쐐기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와 대응되도록 다른 하나의 암쐐기공 또는 쐐기에 돌기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의 상호 체결로 연선케이블의 연선들이 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돌기삽입홈 사이에 위치되어 압박력을 받으므로써 연선케이블의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및 제2커버의 대응되는 일측면 각각에는 상기 제1 및 제2커버들이 상호 밀착될 때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서 풀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홈들과 이에 대응하는 결합돌기들;을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커버 중 어느 하나의 커버에는 다수의 결합홈들 또는 결합돌기들이 형성된 일측면의 외주연에 일정깊이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탄성홈과 상기 탄성홈의 어느 일측에서 연장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커버를 통해 제1 및 제2연결부를 체결시키고 그 끝단이 밀착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커버에 마련된 탄성돌기를 눌러주면 눌림력에 의해 탄성홈이 눌려지면서 상기 제1 및 제2커버 상호 간격을 좁혀주도록 하는 체결력을 극대화하도록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기기의 일단에 마련된 플러그에 연선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연선이 노출되도록 탈피된 연선케이블을 후방에서 삽입가능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전방에는 외측으로 확관되는 암쐐기공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수나사부가 체결되도록 내측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암나사공에 체결되도록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의 암쐐기공과 대응되는 형상의 쐐기가 후방에 마련되고 전방에는 플러그의 일측에 삽입되며 일측 외주연에 체결돌기가 마련된 접전봉이 형성된 소켓; 및 상기 플러그에는 상기 소켓의 접점봉이 삽입 가능하도록 접점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점삽입홈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도록 어느 일측에 돌기삽입홈이 일정깊이 형성되고 그 돌기삽입홈의 끝단에는 외부와 관통되는 통공이 일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및 제2커버의 대응되는 일측면 각각에는 상기 제1 및 제2커버들이 상호 밀착될 때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서 풀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홈들과 이에 대응하는 결합돌기들;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커버 중 어느 하나의 커버에는 다수의 결합홈들 또는 결합돌기들이 형성된 일측면의 외주연에 일정깊이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탄성홈과 상기 탄성홈의 어느 일측에서 연장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커버를 통해 제1 및 제2연결부를 체결시키고 그 끝단이 밀착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커버에 마련된 탄성돌기를 눌러주면 눌림력에 의해 탄성홈이 눌려지면서 상기 제1 및 제2커버 상호 간격을 좁혀주도록 하는 체결력을 극대화하도록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일측에 연선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전방으로 확관된 암쐐기공이 형성된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암쐐기공과 대응되는 쐐기가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가 체결 고정되는 제2연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 각각에 형성된 암쐐기공과 쐐기 사이의 공간으로 연선케이블의 탈피된 연선들이 압착됨으로써, 종래의 고정볼트의 체결을 위한 회전력이 발생과 이로 인해 절단력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연선들의 전단을 방지하여 연 선케이블의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연결부의 결합 전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연결부의 결합 후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며,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 예)
본 발명의 커넥터는 피복의 일부가 탈피되어 연선이 노출되도록 마련된 연선케이블(300)이 삽입되는 제1연결부(100), 및 일측에 상기 제1연결부(100)와 결합되고 타측은 플러그(10)에 결합 고정되는 제2연결부(200)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100)(200)의 외주에는 부도체이면서 파지가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커버(110)(230)가 각각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결부(100)는 후방 내측 중앙에서 전방으로 일정깊이를 가지며 연선케이블(300)이 삽입되는 삽입공(102)과, 상기 삽입공(102)의 끝단에서 전방으로 확관되는 형상의 암쐐기공(104)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제2연결부(200)에 체결되도록 하는 수나사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연결부(100)의 일측 외주에는 제1커버(110)와의 결합이 용 이하도록 다각형 또는 어느 일측이 평면을 가지는 끼움구성이거나 또는 인서트사출에 의한 일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커버(110)는 제2커버(230)와 밀착되는 일면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다수의 결합홈(112)들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2)들이 형성된 외주의 길이방향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탄성홈(114)과 상기 탄성홈(114)의 일측에 연장되는 탄성돌기(116)가 구성되며, 상기 탄성홈(114)은 결합홈(112)들에 근접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커버(110)의 탄성돌기(116)을 압박하면 상기 압박력에 의해 탄성홈(114)의 간격에 의해 결합홈(112)이 후방으로 젖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부(200)는 내측에 제1연결부(100)의 수나사부(106)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공(202)이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공(202)의 끝단에는 상기 제1연결부(100)의 암쐐기공(104)과 대응되는 쐐기(20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끝단에는 플러그(10)에 결합 고정되도록 접점봉(206)이 구성된다.
상기 암나사공(202)과 쐐기(204) 사이에는 즉, 암나사공(202)과 쐐기(204)가 만나는 끝단부에는 일정깊이를 가진 걸림홈(208)을 더 구성하여, 상기 쐐기(204)를 통해 분기되는 연선케이블의 연선들이 상기 걸림홈(208)에 삽입되고, 제2연결부(200)에 체결된 제1연결부(100)의 끝단에 걸림홈(208)에 삽입된 연선들이 단속되어 결국, 제1 및 제2연결부(100)(200)에 의해 연선케이블의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걸림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제2연결부(200)의 쐐기(204)에는 암쐐기공(104)의 끝단이 밀착되는 위치에 높이를 가지는 돌기(209)를 형성하고, 상기 쐐기(204)의 돌기(209)와 대응되도록 상기 암쐐기공(104)의 끝단에는 돌기삽입홈(109)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100)(200)의 상호 체결에 의해 상기 암쐐기공(104)과 쐐기(204) 사이에 위치되는 연선케이블(300)의 연선들이 상기 돌기(209)와 돌기삽입홈(109) 사이의 돌기와 홈의 굴곡에 의해 고정력이 증폭되는 것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돌기 또는 돌기삽입홈을 제1 및 제2연결부의 치환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돌기 또는 돌기삽입홈 중 어느 하나만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목적에 따라 그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쐐기(208)는 암쐐기공(104)과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거나 또는 암쐐기공(104)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연결부(100)가 결합될 때 암쐐기공(104)과 쐐기(204) 사이에 연선케이블(300)의 연선들이 압박됨에 따라 연선케이블(300)이 커넥터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점봉(206)에는 일측에 일정높이를 가지는 체결돌기(207)가 구성되어, 상기 체결돌기(207)에 의해 플러그(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부(200)의 외주에는 부도체이면서 파지가 용이하도록 제2커버(230)가 더 구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200)는 제2커버(23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다각형 또는 어느 일측이 평면을 가지는 끼움구성이거나 또는 인서트사출에 의한 일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커버(230)는 제1커버(110)와 밀착되는 일면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며 제1커버(110)의 결합홈(112)과 대칭되는 형상의 다수의 결합돌기(232)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100)가 제2연결부(200)에 결합될 때 제1 및 제2커버(110)(230) 각각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112)과 결합돌기(232)가 상호 맞물려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100)와 제2연결부(200)가 상호 풀림됨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커버(230)의 내측에 제1연결부(2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커버(110)의 내측에 고정된 제1연결부(100)를 체결 고정하면, 상기 제1연결부(100)에 삽입된 연선케이블(300)의 탈피된 연선들이 상기 쐐기(204)에 의해 분기되면서 상기 쐐기(204)와 암쐐기공(104)사이 공간에 위치되고, 즉, 쐐기(204)와 암쐐기공(104) 각각은 테이퍼 각을 가지는 것으로, 쐐기(204)의 끝점부분에서는 암쐐기공(104)과의 사이공간이 넓으나 전방으로 갈수록 쐐기(204)와 암쐐기공(104) 사이공간이 좁아짐에 따라 연선케이블(300)의 연선이 압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쐐기(204)와 암나사공(202) 사이에 형성된 걸림홈(208)에 연선케이블(300)의 연선들이 꺾이면서 삽입되어 제2연결부(100)의 단속에 의해 연선케이블(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연결부(100)와 제2연결부(200)가 체결에 의해 밀착될 때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100)(200) 각각에 구성된 제1 및 제2 커버(110)(230)의 일면이 밀착되면서 결합홈(112)들과 결합돌기(232)들이 맞물려 더 이상의 체결이 어려울 경우, 상기 제1커버(110)에 형성된 탄성돌기(116)를 압박하면 탄성홈(114)에 의해 결합홈(112)의 일부가 젖혀지면서 결합돌기(232)와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좀 더 제1커버(110)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좀 더 강한 제1 및 제2연결부(100)(200)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선케이블(300)의 끝단에 커넥터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커넥터를 플러그(10)에 고정하는 것으로, 이는 제2연결부(200)의 접점봉(206)을 플러그(10)의 접점삽입홈(12b)으로 삽입하되, 상기 접점봉(206)의 체결돌기(207)와 대응되도록 접점삽입홈(12b)의 돌기삽입홈(13)에 맞춰 삽입하고, 상기 플러그(10)의 돌기삽입홈(13)이 일정깊이 형성되고 그 돌기삽입홈(13)의 끝단에는 외부와 관통되는 통공이 일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통공에 접점봉(206) 체결돌기(207)가 위치되면 상기 커넥터를 회동시켜 결국 플러그(10)의 돌기삽입홈(13)과 접점봉(206)의 체결돌기(207)가 상호 어긋나 이탈이 방지됨에 따라 플러그(10)에 커넥터가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제2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연결부의 결합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며,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연결부(200)는 내측에 상기 제1연결부(100)의 수나사부(106)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공(212)이 형성된 연결관(210), 및 상기 연결관(210)의 일측 즉, 제1연결부(100)가 결합되는 대응되는 방향에 암나사공(212)에 체결되도록 외주연에 수나사부(222)가 형성되고 일단에 플러그(10)에 결합 고정되도록 접점봉(226)이 형성된 소켓(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210)의 외주에는 부도체이면서 파지가 용이하도록 제2커버(230)가 더 구성되며, 상기 연결관(210)은 제2커버(23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다각형 또는 어느 일측이 평면을 가지는 끼움구성이거나 또는 인서트사출에 의한 일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210)의 암나사공(212)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걸림홈(214)을 더 형성하여, 소켓(220)의 쐐기(224)에 의해 분기되는 연선케이블(300)의 연선들이 상기 걸림홈(214)가 꺾이도록 삽입되어 연선케이블(300)의 고정력을 증폭시키도록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홈의 구성은 제1실시 예의 다른 실시예로서 설명된 돌기와 삽입돌기홈을 치환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목적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소켓(220)은 외주에 수나사부(222)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제1연결부(100)의 암쐐기공(104)에 대응되는 쐐기(224)가 형성되며, 전방에는 플러그(10)의 접점삽입홈(12b)에 삽입되는 접점봉(226)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소켓(220)의 쐐기(224)는 암쐐기공(104)과 동일한 기울기를 가 지거나 또는 암쐐기공(104)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210)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제1연결부(100)와 소켓(224)이 결합될 때 암쐐기공(104)과 쐐기(224) 사이에 연선케이블(300)의 연선들이 압박됨에 따라 연성케이블(300)이 커넥터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켓(220)의 접점봉(226)에는 일측에 일정높이를 가지는 체결돌기(228)가 구성되어, 상기 체결돌기(228)에 의해 플러그(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제2커버(230)는 제1커버(110)와 밀착되는 일면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며 제1커버(110)의 결합홈(112)과 대칭되는 형상의 다수의 결합돌기(232)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100)가 연결관(210)에 결합될 때 제1 및 제2커버(110)(230) 각각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112)과 결합돌기(232)가 상호 맞물려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100)와 연결관(210)이 상호 풀림됨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커버(230)의 내측에 연결관(21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210)의 어느 일측에 소켓(220)을 체결 고정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관(210)의 타측으로 제1커버(110)의 내측에 고정된 제1연결부(100)를 체결 고정한다.
이때, 상기 연결관(210)의 일측에는 소켓(220)의 쐐기(224)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100)를 연결관(210)에 체결하면, 상기 제1연결부(100)에 삽입된 연선케이블(300)의 탈피된 연선들이 상기 쐐기(224)에 의해 분기되면서 상기 쐐기(224)와 암쐐기공(104)사이 공간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즉, 쐐기(224)와 암쐐기공(104) 각각은 테이퍼 각을 가지는 것으로, 쐐기(224)의 끝점부분에서는 암쐐기공(104)과의 사이공간이 넓으나 전방으로 갈 수록 쐐기(224)와 암쐐기공(104) 사이공간이 좁아짐에 따라 연선케이블(300)의 연선이 압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쐐기(224)와 암나사공(212) 사이에 형성된 걸림홈(214)에 연선케이블(300)의 연선들이 꺾이면서 삽입되어 제2연결부(100)의 단속에 의해 연선케이블(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제1 및 제2커버(110)(230)의 결합관계는 제1실시 예에서 설명되어 있으므로 이를 생략한다.
(제3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결합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제1 또는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제1연결부(100), 및 제2연결부(240)로 구성되되, 상기 제2연결부(240)는 중앙 내측의 양단에는 일정깊이로 제1연결부(100)의 수나사부(106)가 체결되도록 암나사공(242)이 형성되고, 상기 양단의 암나사공(242) 각각의 끝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연결부(100)의 암쐐기 공(104)과 대응되는 형상의 쐐기(24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암나사공(242)과 쐐기(244) 사이에는 암나사공(242)에서 일정깊이를 가지는 걸림홈(246)이 더 구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240)의 쐐기(244)에 의해 연선케이블(300)의 연선들이 분기되면서 상기 걸림홈(246)에 꺾이도록 삽입되어 결국, 연선케이블(300)의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걸림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연결부(100)(240)의 암쐐기공(104) 및 쐐기(244) 사이에는 돌기삽입홈(109) 및 돌기(249)들이 각각 구성되어, 연선케이블(300)의 연선들을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구성하였다.
물론, 이러한 돌기 또는 돌기삽입홈의 구성관계는 제1실시 예에서 설명되었던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제2연결부(240)의 양단으로 연선케이블(300)이 삽입된 제1연결부(100)를 각각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연선케이블(30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링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100)(240)의 외주에는 제1 및 제2커버(110)(230)가 각각 구성되며, 이에 대한 생략한 설명은 제1실시 예의 설명과 동이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연결부의 결합 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연결부의 결합 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걸림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연결부의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걸림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플러그 100: 제1연결부
102: 삽입공 104: 암쐐기공
106: 수나사부 110: 제1커버
112: 결합홈 114: 탄성홈
116: 탄성돌기 200, 240: 제2연결부
202, 212, 242: 암나사공 204, 224, 244: 쐐기
206, 226: 접점봉 208, 214, 246: 걸림홈
210: 연결관 220: 소켓

Claims (9)

  1. 기기의 일단에 마련된 플러그에 연선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연선이 노출되도록 탈피된 연선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일단에 외측으로 확관되는 암쐐기공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의 수나사부가 체결되도록 내측에 암나사공이 형성되되 내측 끝단에는 상기 암쐐기공에 대응되는 형상의 쐐기가 형성되며 어느 일측에 플러그에 연결되는 접전봉이 구성된 제2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의 수나사부가 체결되도록 내측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암나사공에 체결되도록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의 암쐐기공과 대응되는 형상의 쐐기가 후방에 마련되고 전방에는 플러그에 접속되도록 접전봉이 형성된 소켓;으로 구성되어
    기기의 플러그에 연선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중앙 내측의 양단에는 일정깊이로 제1연결부의 수나사부가 체결되도록 암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양단의 암나사공 각각의 끝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연결부의 암쐐기공과 대응되는 형상의 쐐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의 양단으로 연결케이블이 삽입된 제1연결부를 체결시켜 상기 연선케이블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에는
    암나사공과 쐐기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암나사공에서 일정깊이를 가지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홈으로 쐐기에 의해 분기되는 연선케이블의 연선들이 삽입됨에 따라 제1 및 제2연결부에 의한 연선케이블의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의 암쐐기공 또는 쐐기의 어느 하나에는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의 상호 체결로 쐐기와 암쐐기공 사이에서 압박되는 연선케이블의 연선들이 상기 돌기에 의해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의 암쐐기공 또는 쐐기 중 어느 하나에는
    암쐐기공 또는 쐐기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와 대응되도록 다른 하나의 암쐐기공 또는 쐐기에 돌기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의 상호 체결로 연선케이블의 연선들이 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돌기삽입홈 사이에 위치되어 압박력을 받으므로써 연선케이블의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의 외주연 각각에는 부도체이면서 상기 제1 및 제2연 결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제1 및 제2커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커버의 대응되는 일측면 각각에는
    상기 제1 및 제2커버들이 상호 밀착될 때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서 풀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홈들과 이에 대응하는 결합돌기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커버 중 어느 하나의 커버에는
    다수의 결합홈들 또는 결합돌기들이 형성된 일측면의 외주연에 일정깊이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탄성홈과 상기 탄성홈의 어느 일측에서 연장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커버를 통해 제1 및 제2연결부를 체결시키고 그 끝단이 밀착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커버에 마련된 탄성돌기를 눌러주면 눌림력에 의해 탄성홈이 눌려지면서 상기 제1 및 제2커버 상호 간격을 좁혀주도록 하는 체결력을 극대화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80126306A 2008-12-12 2008-12-12 커넥터 KR20100067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306A KR20100067770A (ko) 2008-12-12 2008-12-12 커넥터
PCT/KR2009/003180 WO2010067934A1 (ko) 2008-12-12 2009-06-13 기기 또는 용접기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306A KR20100067770A (ko) 2008-12-12 2008-12-12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770A true KR20100067770A (ko) 2010-06-22

Family

ID=4236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306A KR20100067770A (ko) 2008-12-12 2008-12-12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77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526B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
US6176716B1 (en) Interchangeable electrical connector
US5041012A (en) Insulation piercing electrical clamp connector
US6648674B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00000132U (ko) 커넥터 체결장치
JP3475331B2 (ja) 電気接続装置
KR200438004Y1 (ko) 케이블 컨넥터
US3191139A (en) Tap connector and setscrew therefor
EP1397846B1 (en) No-crimp electrical connector side-by-side type
US6364690B1 (en) Connection method and cable connector
KR20160030544A (ko) 전기 접촉 요소
KR20100067770A (ko) 커넥터
KR100921485B1 (ko) 용접봉 홀더
KR100767265B1 (ko) 전기 접속 커넥터
CA2334187C (en) Mechanical wedge connector with inner screw assembly
US2418457A (en) Electrical coupling plug
JP5097606B2 (ja) 被覆貫通型圧縮コネクタ
US6692313B1 (en) No-crimp electrical connector side-by-side type
KR101026757B1 (ko)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4885043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プラグ
KR101001885B1 (ko) 커넥터하우징
KR20100089458A (ko) 커넥터
KR100495270B1 (ko) 동축케이블 컨넥터
KR100735796B1 (ko) 배전선 이음 장치.
KR200141552Y1 (ko) 케이블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