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597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scree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597A
KR20100066597A KR1020080124960A KR20080124960A KR20100066597A KR 20100066597 A KR20100066597 A KR 20100066597A KR 1020080124960 A KR1020080124960 A KR 1020080124960A KR 20080124960 A KR20080124960 A KR 20080124960A KR 20100066597 A KR20100066597 A KR 20100066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sture
input
screen data
use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9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95759B1 (en
Inventor
오정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4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759B1/en
Publication of KR20100066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5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7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are provided to rapidly perform various programs of a mobile terminal when a user provides touch input. CONSTITUTION: If a function activation request for dual mode execution during the first screen data display of a first program is detected, a mobile terminal operates in dual mode(103,105). If user input is detected,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an appropriate execution command based on the user input(107,109). If the user input is an execution command,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a program according to the execution command(113).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screen data based on the executed program(115).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SCREEN}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SCREEN}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에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실행 기능에 대한 표시 데이터를 기존 표시 중인 데이터와 동시 표시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execute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gesture input of a user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simultaneously display the display data of the execution function with the existing display dat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최근 들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사용자와 상대방 간의 음성통화만이 가능했던 휴대단말에서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면서 보다 다양한 사용자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및 그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which allowed only voice calls between the user and the counterpart, have been gradually expanded to provide more various user interfaces (UIs) and various functions using the same.

이러한 추세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환경에서와 같은 편리성 및 간편성을 요구하고 있다.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the user demands convenience and simplicity as in a general personal computer (PC) environment in us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휴대단말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전화, 데이터 통신, 주소록 스케줄러, 메모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쉽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휴대단말은 휴 대의 편리성을 위해서 그 크기와 중량이 휴대하는 데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소형화/경량화 되는 추세에 있다. In general,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should be designed to easily carry out various functions such as telephone, data communication, address book scheduler, memo, etc. while carrying by the user. In addition, portable terminals tend to be miniaturized / lightened so that their size and weight do not feel uncomfortable to carry for the convenience of mobile.

그러나 사용상의 편리성을 고려할 때, 휴대단말의 크기는 일정 크기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상적으로 휴대단말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각종 버튼이 마련된 키패드가 구비되며, 또한 문자, 화상, 동영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키패드와 표시부는 사용자가 조작하거나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데에 불편함이 없도록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 However,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in u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be more than a certain size.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is typically provided with a keypad provided with various buttons for the user's operation, and also ha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exts, images, videos, etc., and the keypad and the display unit are manipulated or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It should have a certain size so as not to cause inconvenience.

따라서 휴대단말의 휴대성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고려한 크기 문제는 서로 상충되는 관계에 있다. 이에 휴대단말의 휴대성을 고려하면서, 퍼스널컴퓨터 환경에서와 같은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Therefore, the size problem considering the portability and convenience of use of the mobile terminal is in a mutually conflicting relationship. Considering the portabi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ovide convenience in use as in a personal computer environment.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의 프로그램 실행 및 그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데 있어서 그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capable of maximizing its use in executing a program of a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screen data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 상에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휴대단말의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실행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기존 표시 중인 데이터와 함께 표시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ecute a corresponding pro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 gesture input on a touch screen, and use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capable of displaying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executed program together with the data currently being display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에서 임의의 화면데이터 표시 중에,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별도의 표시영역 또는 별도의 표시부를 통해 동시 표시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uch screen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screen data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a user gesture through a separate display area or a separate display unit during display of arbitrary screen data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개의 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입력을 수신하고, 다른 하나의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touch screen for receiving an input according to a user gesture through one of the two display units and 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of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gesture input through the other display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듀얼모드 활성화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및 화면데이터 출력을 위한 2개의 출력수단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2개의 출력수단들 중 어느 하나의 출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상기 2개의 출력수단들 중 다른 하나의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n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dual mode activation, forming two output means for the user's gesture input and screen data output Process of doing; Detecting a gesture input of a user through one of the two output means; And outputting screen data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through one of the two output means.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듀얼모드 동작 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및 화면데이터 표시를 위한 2개의 출력수단으로 구분되는 표시부와; 상기 듀얼모드 동작 시 상기 표시부에 의해 전달되는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dual mode operation, the display unit divided into two output means for the user's gesture input and screen data display;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 gesture input transmitted by the display unit during the dual mode operation and to control output of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inpu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휴대성을 고려하면서, 퍼스널컴퓨터 환경에서와 같은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사용자의 간단한 제스처 입력으로 간편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프로그램들에 대한 각 화면데이터들을 표시하는 데 있어서 그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ing the touch scree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in use as in a personal computer environment while considering the porta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programs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easily and quickly performed by a user's simple gesture input, and the utilization thereof can be maximized in displaying respective screen data for a plurality of programs.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임의의 화면데이터를 보는 중에 간단한 제스처 입력에 의해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의 새로운 화면데이터를 상기 화면데이터를 가리지 않은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이용함에 있어서 양자 간의 화면데이터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야 확보 및 프로그램 이용에 따른 편리성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execute another program by a simple gesture input while viewing arbitrary screen data, and can check his new screen data without covering the screen data. Therefore, when using a plurality of programs at the same time, the screen data between the two can be confirmed at the same time, providing the user's field of view and convenience in using the progra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lu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단말의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 상에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처(gesture)를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제스처는, 미리 설정된 특정 패턴에 따라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입력 동작을 나타낸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user gesture input on the display unit. The gesture indicates a user's input operation per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pecific pattern.

본 발명의 표시부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으로 형성되며,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실행 기능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기존 표시 중인 화면데이터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a touch screen and can execute a function according to a user gesture input on the touch screen.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function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screen data being displayed.

특히,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특정 기능 실행에 따른 데이터 표시 중에, 상기 데이터 상에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이 발생할 시,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해당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스처 따른 실행 기능의 화면데이터를, 별도의 표시영역 또는 별도의 표시부를 통해 동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입력을 수신하고, 다른 하나의 표시부 를 통해 사용자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a correspond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when the user's gesture input occurs on the data during data display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a specific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displays screen data of the execu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gesture, Simultaneous display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display area or a separate display unit. For example, an input according to a user gesture is received through one of the two display units, and an execution screen of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gesture input is displayed through the other display unit.

그러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에서, 터치스크린 및 사용자 제스처를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Next,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touch screen and the user gesture in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표시부를 2개의 표시부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2개의 표시부 중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받는 표시부를 입력 표시부라 명명하고,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출력 표시부라 명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sp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two display units. In addition, a display unit for receiving a user gesture among the two display units will be referred to as an input display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screen data of a program executed according to the user gesture will be referred to as an output display unit.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반드시 2개의 표시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응용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를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입력 표시부 및 출력 표시부의 구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나타낸 것으로, 각 표시부는 동일한 동작 수행이 가능하며, 단지 사용자의 제스처가 입력되는 어느 하나의 표시부를 입력 표시부라 하고, 제스처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다른 하나의 표시부를 출력 표시부라 한다. 즉,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wo display units as will be described below, and of course, at least one display unit can be utilized by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division between the input display unit and the output display unit is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each display unit may perform the same operation, and only one display unit for inputting a user's gesture is called an input display unit, and screen data according to the gesture. The other display unit for indicating a is called an output display unit. That i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and thus can be applied to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using two display uni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상기 도 1에서는 2개의 표시부들을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와 출력 표시부로 구분한다. 따라서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입력 표시부에 의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실행 프로그램의 화면 데이터를 상기 출력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다.In particular, in FIG. 1, the two display units are divided into an input display unit and an output display uni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FIG. 1 illustrates an example of executing a corresponding program in response to a user gesture by the input display unit, and displaying screen data of an execution program through the output display unit.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일반모드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른 제1 프로그램의 제1 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101단계). 이때, 상기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는 2개의 표시부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제1 화면데이터가 입력 표시부에 표시됨을 가정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제1 화면데이터 표시 중에 듀얼모드 실행을 위한 기능 활성화 요청을 감지하면(103단계) 듀얼모드를 구동한다(105단계). 여기서, 본 발명의 기능을 이하에서는 상기 듀얼모드라 하고, 2개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1, first, a mobile terminal displays first screen data of a first program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a normal mode (step 101).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screen data of the program may be displayed on any one of two display units, and in particular, in FIG. 1, the first screen data is displayed on the input display unit. When the mobile terminal detects a function activation request for dual mode execution while displaying the first screen data (step 103), the mobile terminal drives the dual mode (step 105). Herein,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ual mode, and two display units will be described as being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따라서 상기 듀얼모드 구동이라 함은, 2개의 표시부를 통해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제스처 입력 및 적어도 2개의 화면데이터들을 각 표시부들을 통해 동시 표시할 수 있는 모드로 진입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듀얼모드에서는 2개의 표시부들 또는 2개의 표시영역들에 이루어지는 입/출력을 서로 간에 교환(exchange)한다. 즉, 어느 하나의 표시부(또는 어느 하나의 서브 표시영역)에 제스처 입력이 발생하면, 나머지 다른 하나의 표시부(또는 나머지 다른 하나의 서브 표시영역)는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출력한다.Therefore, the dual mode driving indicates that a gesture input for executing a program and at least two screen data are simultaneously entered through the two display units. In the dual mode, the input / output of two display units or two display regions is exchanged with each other. That is, when a gesture input occurs on any one display unit (or one sub display area), the other display unit (or the other sub display area) outputs screen data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

이때, 일반모드에서 상기 2개의 표시부들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는 일반적인 형태로 데이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표시부는 일반적인 형태의 입력수단(예컨대, 키패드 형상)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 듀얼모드에서 상기 일반적인 형태로 데이터를 표시하는 어느 하나의 표시부(입력 표시부)는 상기 표시 중인 데이터 상에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받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수단을 표시하는 다른 하나의 표시부(출력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해당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각 표시부들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n one of the two display units, the display unit performs an operation of displaying data in a general form, and the other display unit displays an input unit (for example, a keypad shape) of a general form to input a user. Perform the operation of receiving. On the other hand, any one display unit (inpu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data in the general form in the dual mode performs an operation of receiving a user gesture on the data being displayed, and another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put means (output The display unit performs an operation of displaying screen data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user gesture.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display units is preferably formed of a touch screen.

또한 상기 듀얼모드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입력받는 입력 표시부의 기능은 2개의 표시부들 모두가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제스처가 입력되는 해당 표시부(입력 표시부) 외의 다른 표시부(출력 표시부)는 상기 제스처에 따른 해당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ual mode, a function of the input display unit for receiving a user's gesture may be used by both display units, and other display units (output display units)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display unit (input display unit) to which the user's gestures are input may be used. The screen data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can be displayed.

다시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듀얼모드 구동 후,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107단계).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입력 표시부에 발생하거나, 또는 다른 표시부 즉, 출력 표시부에 발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표시부를 입력 표시부라 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새로운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출력 표시부라 명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입력 표시부에 상기 제1 화면데이터가 표시 중인 경우를 가정하며, 상기 입력 표시부에서 상기 제1 화면데이터 표시 중에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를 가정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mobile terminal can detect a user's input after driving the dual mode (step 107). Here, the user input may occur in an input display unit displaying the first screen data or in another display unit, that is, an output display unit. That i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for detecting a gesture input of a user is called an input display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new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s gesture input is called an output display unit.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screen data is displayed on the input display unit, and it is assumed that the input display unit detects a user's input while displaying the first screen data.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시, 상기 입력이 설정된 기능 실행을 위한 실행 명령인지 판단한다(109단계). 상기 실행 명령을 판단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2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Next, when detecting the user's input,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is an execution command for executing a set function (step 109). An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execution command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2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입력이 실행 명령이 아니면, 상기 휴대단말은 입력 표시부의 상기 제1 화면데이터를 전환할 수 있다(111단계). 예컨대, 상기 입력이 상기 입력 표시부에 표시 중에 제1 화면데이터 상에 발생하는 일반적인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입력 표시부에 현재 표시하는 제1 화면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오브젝트들(objects) 중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해당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브젝트는 웹 페이지의 각 링크 항목들, 또는 특정 메뉴의 아이콘들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예시도들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input is not an execution command, the portable terminal can switch the first screen data of the input display unit (step 111). For example, the input may be a general touch input generated on first screen data while being displayed on the input display unit. In this case, among the objects constituting the first screen data currently displayed on the input display unit, the screen data may be converted into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object where the touch input occurs. Here, the object may be each link item of a web page or icons of a specific menu. This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입력이 실행 명령이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프로그램을 실행한다(113단계).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화면 데이터(제2 화면데이터)를 상기 출력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115단계). 즉, 상기 입력 표시부에서 발생하는 실행 명령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상기 출력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이에 의해, 상기 입력 표시부를 통해 기존 데이터 즉, 제1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중에, 상기 실행 명령에 대응하는 해당 프로그램의 데이터 즉, 제2 화면데이터를 상기 출력 표시부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두 개의 다른 화면데이터를 각각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input is an execution command, the portable terminal executes a program according to the execution command (step 113). Subsequently,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screen data (second screen data) of the program to be executed through the output display unit (step 115). That is, screen data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an execution command generated in the input display unit is displayed through the output display unit. Accordingly, while displaying the existing data, that is, the first screen data through the input display unit, the data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command, that is, the second screen data is displayed through the output display unit, thereby displaying two different screens. Data can be displayed through each display uni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실행 명령을 판단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n execution command according to a user input i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201단계), 상기 입력의 종류를 판단한다(203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이 설정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입력인지, 또는 일반적인 입력인지 체크한다(205단계).Referring to FIG. 2, when the mobile terminal detects a user input (step 201),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a type of the input (step 203). That is, the mobile terminal checks whether the input corresponds to a set gesture or a general input (step 205).

상기 입력이 설정된 제스처에 의한 입력이 아니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체크한다(207단계).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209단계).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입력 표시부의 표시 데이터를 상기 기능 실행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로 전환하여 표시한다(211단계).If the input is not an input by a set gesture, the mobile terminal check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step 207). Subsequently, the portable terminal execut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step 209). 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converts the display data of the input display unit into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of the function and displays it (step 211).

상기 입력이 설정된 제스처에 의한 입력이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제스처를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와의 비교에 의하여 식별한다(213단계). 즉, 상기 비교에 의하여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실행 명령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215단계). 이를 하기 <표 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If the input is an input by a set gesture, the mobile terminal identifies the gesture by comparison with preset setting information (step 213).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execu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by the comparison (step 215).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1 below.

Figure 112008084855899-PAT00001
Figure 112008084855899-PAT00001

상기 <표 1>은 사용자의 입력 제스처에 대한 정의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각 제스처들 중 어느 하나의 제스처 입력을 통해 해당 제스처에 매핑된 해당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 및 해당 프로그램 매핑은 반드시 상기 <표 1>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스처 및 해당 프로그램 매핑은 사용자 설정(편집/추가/삭제)에 따르거나, 이러한 설정정보를 제공하는 관련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스처 및 매핑 프로그램은 다른 휴대단말과의 송수신이 가능하여, 서로 간에 공유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able 1 shows definitions of user input gestures, and the user can simply execute a corresponding program mapped to the corresponding gestures through any one of the above gestures. Such a gesture and corresponding program mapping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xample of Table 1 above. Therefore, the gesture and the corresponding program mapping can be downloaded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editing / adding / deleting) or from an associated server providing such setting information. In addition, the gesture and mapping program as described above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other mobile terminals, and of course, can be shared with each other.

다음으로, 상기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실행 명령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은 설정된 해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217단계). 예를 들면,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등록된 실행 명령 즉,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음을 안내하는 팝업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표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이전에 등록된 제스처 동작 및 그의 해당 기능을 팝업 창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Next, if there is no execu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input, the mobile terminal may perform the set thawing operation (step 217). For example, a registered execu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a gesture input of a user, that is, a pop-up window may be displayed to guide that the program does not exist.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may provide a previously registered gesture operation and its corresponding function as described in Table 2 through a pop-up window.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된 제스처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추가 매핑하여 등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may perform a function of checking whether the input gesture is registered. That is, the mobile terminal may register and map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input gesture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다음으로,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실행 명령이 존재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실행 명령을 체크한다(219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식별하는 제스처에 매핑된 해당 프로그램을 체크한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한다(221단계).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전술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출력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Next, if there is an execu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the mobile terminal checks the execution command (step 219). That is, the mobile terminal checks the corresponding program mapped to the identifying gesture. Subsequently, the portable terminal executes the corresponding program according to the execution command (step 221). Thereafter,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data of the executed program through the output display unit as shown in FI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화면 예시들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화면 예시가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above,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two display uni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will be described through screen example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creen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and thus can be applied to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이 일반모드에 존재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의 인터넷 기능에 의해 접속된 특정 웹 페이지의 화면데이터가 입력 표시부에 표시된 경우를 가정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norma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in FIG. 3, it is assumed that screen data of a specific web page connected by the Internet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isplayed on an input display unit.

상기 도 3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구동 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이 발생하기 이전에는 입력 표시부를 통해 임의의 화면데이터(예컨대, 웹 페이지의 화면데이터 등)를 표시하고, 출력 표시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임의의 화면데이터, 또는 어떠한 화면데이터 표시도 없는 공백 상태일 수 있다. Before describing FIG. 3, when driving in a dual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y screen data (eg, screen data of a web page, etc.) is displayed through an input display unit before a user's gesture input occurs. The output display section may be in a blank state without any screen data or any screen data display as described below.

즉, 듀얼모드 구동 시 상기 출력 표시부에서도 임의의 화면데이터가 표시 중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제스처 입력 시 멀티태스킹에 의해 상기 출력 표시부의 이전 화면데이터 상에 상기 제스처 입력에 따른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That is, of course, arbitrary screen data may be displayed on the output display unit during dual mode driving. In this case, the screen data of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gesture input may be displayed on the previous screen data of the output display unit by multitasking when the gesture is input.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일반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일반모드에서 표시 기능을 담당하는 표시부(입력 표시부)에는 특정 화면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일반모드에서 입력 기능을 담당하는 표시부(출력 표시부)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키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수단의 화면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출력 표시부 및 입력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며, 상기 입력수단은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 형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수단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 normal mode. That is, specific screen data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put display unit) in charge of the display function in the normal mode, and a key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is generated on the display unit (output display unit) in charge of the input function in the normal mode. The screen data of the input means can be displayed. The output display unit and the input display unit may be formed as a touch screen, and the input unit may be a means for detecting a user's touch input in the form of a keypad of a general key arrangement.

한편, 상기 도 3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해, 상기 휴대단말에 구비된 기능키에 의해 듀얼모드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는 본 발명의 듀얼모드를 간단하게 실행하도록 설정된 키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듀얼모드 실행을 위한 사용자의 제스처가 구성될 시, 해당 제스처 입력에 의해 상기 듀얼모드가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기능키는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3, the user can activate the dual mode by the function key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key is a key set to simply execute the dual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provided for the user's convenience. Therefore, when the user's gesture for the dual mode exec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he dual mode may be driven by the corresponding gesture input. In this case, the function key may be omitted.

또한, 상기 휴대단말이 듀얼모드로 구동할 시, 상기 출력 표시부는 상기 입력수단의 표시 유지, 공백의 화면데이터 표시, 사용자 설정에 따른 특정 화면데이터(배경화면 등) 표시, 상기 입력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면데이터의 표시 중 사용자 설정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driven in the dual mode, the output display unit is to maintain the display of the input means, display the blank screen data, display the specific screen data (background screen, etc.)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and display the input display unit One of the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setting can be displayed among the display of the screen data.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도 3 및 후술하는 도 4 내지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폴더 타입의 휴대단말인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폴더 타입은 일반적으로 가로모드에서 사용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수행 시에는 상기 가로모드에서 동작을 비롯하여, 세로모드에서도 동작 가능하다. 특히, 세로모드에서 동작할 시, 즉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회전하여 세로모드로 동작할 시, 그에 대응하여 각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의 방향 역시 해당 방향에 대응하게 전환됨을 가정한다. 이러한 가로/세로 모드에 따른 화면데이터 표시 방향 전환은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를 이용하여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동작을 표시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세로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를 예시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 상기 도 3과 같은 일반모드에서 본 발명의 듀얼모드에 전환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and Figs. 4 to 7 to be described later, the cas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as an example. Therefore, the folder type is generally used in a landscape mode, and when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the landscape mode as well as in the portrait mode. In particular, when operating in the portrait mode, that is,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rotat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3 to operate in the portrait mode, the direction of the screen data displayed on each display unit correspondingly Assume that the switch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Since the screen data display direction switching according to the horizontal / vertical mode is a known techniqu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display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 user gesture using the sa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of operating in the portrait mod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witching to the dual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eneral mode as shown in FIG.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따른 화면데이터 표시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특히, 상기 도 4 내지 도 7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의 인터넷 기능에 의해 접속된 특정 웹 페이지의 화면데이터가 입력 표시부에 표시된 경우를 가정한다.4 to 7 illustrate examples of a screen data display operation according to a gesture input of a user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in FIGS. 4 to 7, it is assumed that screen data of a specific web page connected by the Internet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input display unit.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 4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중 "플릭(flick)" 입력에 따른 프로그램 실행 및 해당 화면데이터를 동시 표시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세로모드 전환 및 듀얼모드 활성화 요청에 따라, 화면데이터의 표시 방향을 전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를 나타낸다.1 to 4, FIG. 4 illustrates a screen exampl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rogram execution and corresponding screen data according to a “flick” input among a user's gesture input. That is, in response to the user's request for vertical mode switching and dual mode activation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3, the user's gesture is input while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screen data is changed.

상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 상에 웹 페이지의 화면데이터를 표시 중에, 사용자는 터치 입력 중 본 발명에 설정된 플릭(flick)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플릭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표 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플릭 입력이 링크 실행임을 인지한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플릭 입력이 발생하는 해당 좌표를 인지하고, 해당 좌표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식별하여 그에 링크된 링크 항목을 실행한다. 즉, 링크된 해당 웹 페이지로의 연결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새로운 웹 페이지의 화면데이터를 출력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 표시부의 화면데이터의 오브젝트들 중에서 "뉴스"라는 오브젝트 상에 사용자의 플릭 제스처가 입력될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뉴스" 오브젝트에 링크된 해당 웹 페이지를 상기 출력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 표시부를 통해 메인 웹 페이지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출력 표시부를 통해 서브 웹 페이지의 화면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웹 서핑(web surfing)을 보다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while displaying screen data of a web page on an input display unit, a user may generate a flick input set in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a touch input.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the flick input,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es that the flick input is link execution as defined in Table 1. Subsequently,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es a corresponding coordinate at which the flick input occurs, identifies an object located at the coordinate and executes a link item linked thereto. That is, the link to the linked web page is performed. The mobile terminal then displays screen data of a new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object via an output display unit. For example, when a user's flick gesture is input on an object called "news" among objects of screen data of the input display unit,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a corresponding web page linked to the "news" object on the output display unit. Display. In this way, the user can display the screen data of the main web page through the input display unit and simultaneously display the screen data of the sub web page through the output display unit, thereby making web surfing simpler and more intuitive. .

상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 5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중 "C" 형태의 제스처 입력에 따른 프로그램 실행 및 해당 화면데이터를 동시 표시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도 5에서는, 상기 도 3 또는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중 "C" 형태에 대응하는 제스처가 입력될 시, 상기 제스처에 매핑된 프로그램(계산기) 실행 및 해당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동시 표시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1 to 5, FIG. 5 illustrates a screen exampl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rogram execution and corresponding screen data according to a “C” type gesture input among user's gesture inputs. That is, in FIG. 5, when a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C" form is input among the gesture inputs of the user in the same state as in FIG. 3 or 4, execution of a program (calculator) mapped to the gesture and a screen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are performed.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displaying data simultaneously is shown.

상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 상에 웹 페이지의 화면데이터를 표시 중에, 사용자는 터치 입력 중 본 발명에 설정된 "C" 형태의 제스처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C"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표 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C" 제스처 입력이 계산기 실행임을 인지하고, 상기 "C"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인 계산기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계산기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출력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 표시부를 통해 웹 페이지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출력 표시부를 통해 계산기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웹 서핑 및 계산 기능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 표시부를 통해 웹 페이지를 보는 것과 동시에, 출력 표시부를 통해 계산기 프로그램에 의한 계산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 표시부에서 사용자는 터치 입력 방식에 의해 계산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while displaying screen data of a web page on an input display unit, a user may generate a gesture input of type “C” set in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a touch input.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the "C" gesture input,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es that the "C" gesture input is a calculator execution, as defined in Table 1, and executes a calculator program that is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 gesture. Run Subsequently,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or program through an output display unit. In this way, the user can display the screen data of the web page through the input display unit and simultaneously display the screen data of the calculator program through the output display unit, thereby simultaneously utilizing the web surfing and calculation functions. That is, the user can view the web page through the input display unit and use the calculation function by the calculator program through the output display unit. In this case, the user may use the calculation function by the touch input method in the output display unit.

상기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상기 도 6은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중 "W" 형태의 제스처 입력에 따른 프로그램 실행 및 해당 화면데이터를 동시 표시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도 6에서는, 상기 도 3 내지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중 "W" 형태에 대응하는 제스처가 입력될 시, 상기 제스처에 매핑된 프로그램(쿼티 키(QWERTY Key)) 실행 및 해당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동시 표시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1 to 6,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rogram execution and corresponding screen data according to a gesture input of “W” type among user's gesture inputs. That is, in FIG. 6, when a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W" form of the user's gesture input is input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3 to 5, the program mapped to the gesture (QWERTY Key) is executed. And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screen data of the program.

상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 상에 웹 페이지의 화면데이터를 표시 중에, 사용자는 터치 입력 중 본 발명에 설정된 "W" 형태의 제스처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W"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표 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W" 제스처 입력이 쿼티 키 실행임을 인지하고, 상기 "W"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인 쿼티 키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쿼티 키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출력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 표시부를 통해 웹 페이지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출력 표시부를 통해 쿼티 키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웹 서핑 및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환경의 키보드 입력과 같은 키 입력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 표시부를 통해 웹 페이지를 보는 것과 동시에, 출력 표시부를 통해 쿼티 키에 의한 입력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 표시부에서 사용자는 터치 입력 방식에 의해 쿼티 키에 의한 키 입력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while displaying screen data of a web page on an input display unit, a user may generate a gesture input of “W” type set in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a touch input.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the "W" gesture input, the mobile terminal recognizes that the "W" gesture input is a QWERTY key execution as defined in Table 1, and is a QWERTY key that is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W" gesture. Run the program. Subsequently,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qwerty key program through an output display unit. In this way, the user displays the screen data of the web page through the input display unit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screen data of the QWERTY key program through the output display unit, thereby allowing keys such as keyboard input in web surfing and general personal computer environments. Inputs can be used simultaneously. That is, the user may view the web page through the input display unit and use the input function by the qwerty key through the output display unit. In this case, in the output display unit, a user may use a key input function by a qwerty key by a touch input method.

상기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 7은 사용자의 제스처 이력 중 "M" 형태의 제스처 입력에 따른 프로그램 실행 및 해당 화면데이터를 동시 표시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도 7에서는, 상기 도 3 내지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중 "M" 형태에 대응하는 제스처가 입력될 시, 상기 제스처에 매핑된 프로그램(메모장) 실행 및 해당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동시 표시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1 to 7, 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rogram execution and corresponding screen data according to a gesture input of “M” type in a user's gesture history. That is, in FIG. 7, when a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M" form of the user's gesture input is input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3 to 6, execution of a program (memo pad) mapped to the gesture and a screen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are performed.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displaying data simultaneously is shown.

상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표시부 상에 웹 페이지의 화면데이터를 표시 중에, 사용자는 터치 입력 중 본 발명에 설정된 "M" 형태의 제스처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M"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표 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M" 제스처 입력이 메모장 실행임을 인지하고, 상기 "M"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인 메모장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메모장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출력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 표시부를 통해 웹 페이지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출력 표시부를 통해 메모장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웹 서핑 및 메모장 기능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 표시부를 통해 웹 페이지를 보는 것과 동시에, 출력 표시부를 통해 메모장 프로그램에 의한 메모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 표시부에서 사용자는 터치 입력 방식에 의해 계산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모 기능 이용 시,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수단(쿼티 키, 키패드 등)을 팝업으로 활성화하여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7, while displaying screen data of a web page on an input display unit, a user may generate a gesture input of “M” type set in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a touch input.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the "M" gesture input, the mobile terminal recognizes that the "M" gesture input is notepad execution, as defined in Table 1, and executes a notepad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M" gesture. Run Subsequently,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memo pad program through an output display unit. In this way, the user can simultaneously use the web surfing and notepad functions by displaying the screen data of the web page through the input display unit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screen data of the notepad program through the output display unit. That is, the user can view the web page through the input display unit and use the memo function by the notepad program through the output display unit. In this case, the user may use the calculation function by the touch input method in the output display unit. In addition, when using the memo function, an input means (QWERTY key, keypad, etc.) for inputting information may be activated by a popup to perform input.

이상에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2개의 표시부들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서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에 의해, 나머지 다른 하나의 표시부에 대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 제스처 입력이 발생하면, 나머지 다른 하나의 표시부에 상기 제스처 입력에 따른 결과의 화면데이터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operation for the other display unit may be determined by a gesture input generated from one of the two display units. . That is, when a gesture input occurs on one display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creen data of a result according to the gesture input on the other display unit.

한편, 상기 도 3 내지 도 7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상기 도 3 내지 도 7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한 후에, 다른 동작을 이어서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C" 제스처에 의해 계산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다시 상기 도 7과 같이 "M" 제스처에 의해 메모장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다수 개의 프로그램이 동시 실행되는 것은 멀티태스킹 기능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in FIGS. 3 to 7, after performing any one of FIGS. 3 to 7, other operations may be performed subsequently. For example, the user may execute the calculator program by the "C" gesture as shown in FIG. 5, and may execute the notepad program by the "M" gesture as shown in FIG. Meanwhile, the simultaneous execution of a plurality of programs may be provided by a multitasking func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표시부가 2개로 구성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반드시 2개의 표시부에 의해 동작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의 표시부에 의해 동작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표시부 상에서도 동작 가능한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 8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In the above, the operation when the disp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operated by two display units, and of course, the two or more display units can also operat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on one display unit, which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9C.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의 화면 분할에 의한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8a 내지 도 8c는 풀 터치스크린(Full Touchscreen)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8A to 8C illustrate control operations by screen divisio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S. 8A to 8C illustrate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full touch screen.

상기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도 8a는 상기 풀 터치스크린에 의해 사용자 요청에 따른 임의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카메라 기능에 의해 촬영하는 피사체의 화면데이터 또는 미리 저장된 사진파일의 화면데이터 또는 동영상파일의 화면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화면 예시일 수 있다. 8A to 8C, FIG. 8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arbitrary screen data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by the full touch screen. For example, it may be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screen data of a subject photographed by a camera function, screen data of a pre-stored photo file, screen data of a video file,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 요청에 의해 본 발명의 기능 활성화 즉, 듀얼모드 활성화가 요청될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풀 터치스크린의 전체 표시영역을 적어도 2개의 서브 표시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의 전체 표시영역의 분할 시, 상기 전체 표시영역에 표시 중인 화면데이터를 분할하는 서브 표시영역의 화면 크기에 맞추어 리사이징(resizing)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체 표시영역의 분할 개수는 사용자 설정에 따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체 표시영역에 표시 중인 화면데이터가 표시되는 서브 표시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할당되거나, 기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above state, when the activation of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dual mode activation is requested by the user request,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at least two sub-displays of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full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8B. Can be divided into regions. In this case, when dividing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a procedure of resizing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of the sub display area dividing the screen data displayed on the entire display area. In addition, the number of divisions of the entire display area may depend on user setting. In addition, the sub display area displaying the screen data displayed on the entire display area may be pre-allocated by the user or set to a default value.

또한, 상기 도 8b에서는 상기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서브 표시영역 외의 나머지 다른 서브 표시영역이 공백인 경우를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다른 서브 표시영역에는 전술한 바와 출력 표시부의 동작 설명에서와 같이, 사용자 설정에 따른 임의의 화면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도 8b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스처가 입력될 시, 상기 제스처에 매핑된 프로그램 실행 및 해당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동시 표시한다.In addition, in FIG. 8B, another sub display area other than the sub display area for displaying the screen data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However, the other sub display area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the operation description of the output display unit. Any screen data according to the setting can be displayed. Subsequently,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8B, when the user's gesture is input, the portable terminal simultaneously displays the program execution mapped to the gesture and the screen data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예를 들면, 상기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된 하나의 서브 표시영역 상에 상기 화면데이터를 표시 중에, 사용자는 터치 입력 중 본 발명에 설정된 "S" 형태의 제스처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S"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표 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S" 제스처 입력이 문자메시지 실행임을 인지하고, 상기 "S"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인 문자메시지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문자메시지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나머지 다른 서브 표시영역을 통해 표시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C, while displaying the screen data on the divided sub display area, the user may generate a gesture input of type “S” set in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touch input. When the mobile terminal detects the "S" gesture input, the mobile terminal recognizes that the "S" gesture input is a text message execution, as defined in Table 1, and is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S" gesture. Run the program. Subsequently,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message program through the remaining sub display areas.

이와 같이, 사용자는 분할된 하나의 서브 표시영역을 통해 특정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나머지 다른 서브 표시영역을 통해 문자메시지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영상 재생 및 문자메시지 기능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하나의 서브 표시영역을 통해 영상 재생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보는 것과 동시에, 문자메시지 프로그램에 의한 문자메시지 확인/작성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 can display the specific screen data through the divided sub display area and simultaneously display the screen data of the text message program through the other sub display areas, thereby simultaneously using the video playback and text message functions. . That is, the user may view the screen data according to the image reproduction through one sub display area and use the text message checking / composing function by the text message program.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의 화면 분할에 의한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9a 내지 도 9c는 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9A to 9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trol operation by screen divisio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S. 9A to 9C illustrate examples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full touch screen.

상기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도 9a는 상기 풀 터치스크린에 의해 사용자 요청에 따른 임의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카메라 기능에 의해 촬영하는 피사체의 화면데이터 또는 미리 저장된 사진파일의 화면데이터 또는 동영상파일의 화면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화면 예시일 수 있다.9A to 9C, FIG. 9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arbitrary screen data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by the full touch screen. For example, it may be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screen data of a subject photographed by a camera function, screen data of a pre-stored photo file, screen data of a video file, and the like.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8b와 같이 사용자의 제스처가 입력될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제스처에 매핑된 프로그램 실행 및 해당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동시 표시한다.Next, in the above state, when the user's gesture is input as shown in FIG. 8B, the portable terminal simultaneously displays the program execution mapped to the gesture and the screen data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예를 들면, 상기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화면데이터를 전체 표시영역을 통해 표시 중에, 사용자는 터치 입력 중 본 발명에 설정된 "S" 형태의 제스처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S"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표 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S" 제스처 입력이 문자메시지 실행임을 인지하고, 상기 "S"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인 문자메시지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문자메시지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상기 화면데이터 상에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한다. 이때, 상기 오버레이 표시는 상기 풀 터치스크린의 전체 표시영역 또는 상기 전체 표시영역 중 일부분의 표시영역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B, while displaying the screen data through the entire display area, the user may generate a gesture input of “S” type set in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touch input. When the mobile terminal detects the "S" gesture input, the mobile terminal recognizes that the "S" gesture input is a text message execution, as defined in Table 1, and is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S" gesture. Run the program. Subsequently, the mobile terminal overlays and displays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message program on the screen data. In this case, the overlay display may be provided through an entire display area of the full touch screen or a display area of a part of the entire display area.

이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 제스처 입력에 따른 문자메시지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영상 재생 및 문자메시지 기능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체 표시영역을 통해 영상 재생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보는 것과 동시에, 문자메시지 프로그램에 의한 문자메시지 확인/작성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simultaneously display the image data and the text message function by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screen data of the text message program according to the user gesture input while displaying the specific screen data. That is, the user may view the screen data according to the image reproduction through the entire display area and use the text message checking / composing function by the text message program.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에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및 그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화면 예시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내지 도 9c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단말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C, a method and screen examples of executing a 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screen data thereof in response to a gesture input of a user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described. Next, a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will be described.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and thus can be applied to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following embodiments.

여기서,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을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동통신 단말기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Here,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게임단말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조를 하기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perating according to communication protocols correspon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including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digital broadcasting player, and a PDA (Personal Digital) having a touch screen. It may include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such as assistants, mobile game terminals and smart phones, and applications thereof. Next,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루를 일예로 하여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반드시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in FIG. 10,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무선통신부(1010)와, 입력부(1020)와, 오디오처리부(1030)와, 제1 표시부(1040)와, 제2 표시부(1050)와, 저장부(1060) 및 제어부(1070)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1060)는 실행명령 저장영역(1065) 등을 포함한다.1 to 10,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0, an input unit 1020, an audio processing unit 1030, a first display unit 1040, and a second terminal. The display unit 1050 includes a storage unit 1060, a control unit 1070,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060 includes an execution command storage area 1065.

상기 무선통신부(1010)는 상기 휴대단말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010)는 지원 가능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설정된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통신, 화상통신 및 데이터통신 등과 같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0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선통신부(1010)는 상기 제어부(107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웹 서버와의 교신을 통해 사용자 요청에 따른 웹 페이지를 수신하여 제공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0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termi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established with a sup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such as voice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0 may include an RF (Radio Frequency)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In particula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0 receives and provides a web page according to a user request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web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70.

상기 입력부(1020)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07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020)는 사용자의 행위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위한 키패드(Keypad)와 터치패드(Touch pa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20)는 상기 제1 표시부(1040) 또는 제2 표시부(105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1020)는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는 본 발명의 듀얼모드 활성화를 위한 기능키일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040)(1050) 또는 풀 터치스크린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1020)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020 receives various text information, and transmits a signal input in connection with setting of various functions and function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controller 1070. The input unit 1020 may generate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action,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pad and a touch pad. The input unit 102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ingle touch panel (or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first display unit 1040 or the second display unit 1050 to simultaneously perform input and display functions. In particular, the input unit 1020 may include at least one function key (not shown)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key may be a function key for activating the dual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040 and 1050 or the full touch screen,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unit 1020 may be omitted.

상기 오디오처리부(1030)는 마이크(MIC, Microphone) 및 스피커(SPK, Speaker)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107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07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오디오처리부(103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어부(107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03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성분(예컨대, MP3 파일 재생 등에 따른 오디오신호 등)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재생할 수 있다.The audio processor 1030 is connected to a microphone (MIC) and a speaker (SPK, Speaker),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control unit 1070, the control unit 1070 The audio signal is input from the audio signal converted into an audible sound through the speaker SPK. That is, the audio processor 1030 converts the analog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MIC into a digital voice signal, or converts the digital voice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1070 into an analog voice signal to the speaker SPK. ) The audio processor 1030 may reproduce various audio components (eg, an audio signal due to playing an MP3 file, etc.) gener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040)(105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 및 기능 설정 등에 따른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040)(1050)는 상기 제어부(1070)로부터 출력되는 여러 신호와 색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040)(1050)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040)(10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단으로 동작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040 and 1050 display screen data generated while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a function, and display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key operation and function sett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040 and 1050 visually display various signals and colo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07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040 and 1050 represent a touch screen.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040 and 1050 may operate as input means for receiving an input from a user.

즉,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040)(1050)는 데이터의 입력과 표시를 하나의 구성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입력장치 및 표시장치이다.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040)는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출력부(1041)(1051)와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터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070)로 전송하는 터치 감지부(1043)(1053)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70)는 상기 터치 감지부(1043)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터치가 발생된 영역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040 and 1050 are input devices and display devices capable of inputting and displaying data in one configurati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040 detect outputs 1041 and 1051 that display various screen data and a touch generated by a user, and generate a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ed touch to control the controller 1070. Each of the touch sensing unit 1043 and 1053 transmitted to each other. The controller 1070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n area where a touch is generated by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ouch sensor 1043.

특히,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040)는 상기 휴대단말의 듀얼모드 활성화 시, 전술한 바와 같은 입력 표시부 또는 출력 표시부의 동작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의 표시부 동작을 각각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표시부(1040)는 상기 출력부(1041)를 통한 임의의 화면데이터 표시 중에, 상기 터치 감지부(1043)에 의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스처 입력을 상기 제어부(107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2 표시부(1050)는 상기 제어부(10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상기 출력부(1051)를 통해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040)(1050)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체 표시영역을 임의 개수의 서브 표시영역으로 분할하여 제공 가능함은 물론이다.In particular, when the dual mode of the mobile terminal is activate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040 perform one or two display unit operations amo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of the input display unit and the output display unit. For example, when the first display unit 1040 detects a user's gesture input by the touch sensing unit 1043 while displaying any screen data through the output unit 1041, the first display unit 1040 controls the gesture input to the control unit. Forward to 1070. Then, the second display unit 1050 displays the screen data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input through the output unit 105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40.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040 and 1050 may be provided by dividing the entire display area into any number of sub display area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저장부(106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06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의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및 상기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기지국, 상대 휴대단말, 퍼스널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상기 휴대단말 이용에 따른 여러 설정정보 및 본 발명의 듀얼모드에서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실행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060 may include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The storage unit 1060 may store various data generated and utiliz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data includes data generated according to program execu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ll types of data that can be generated using the portable terminal or received and stored from an external source (base station, counterpart portable terminal, personal computer, etc.). In particular, the data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various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execution command for executing a program according to a user gesture in the dual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상기 저장부(1060)는 각 제스처에 따른 해당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실행명령이 매핑된 정보를 저장하며, 이러한 정보는 전술한 <표 1>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하며, 상기 실행명령 저장영역(1065)에 저장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060 stores information in which an execution command for executing a corresponding program according to each gesture is mapped, and this information corresponds to what has been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able 1 above. It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area 1065.

아울러, 상기 저장부(106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상기 저장부(1060)의 어플리케이션 저장영역(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060 may store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touch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program may be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Such programs may be stored in an application storage area (not shown) of the storage unit 1060.

또한, 상기 저장부(1060)는 전술한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060)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저장부(1060)는 ROM, RAM,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1060)는 상기 ROM, RAM, 및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각각 구성되거나 통합된 하나의 메모리 또는 두 개의 메모리 예를 들면, MCP(Multi Chip Package)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저장부(1060)는 데이터 공유를 위해 할당되는 DPRAM(Dual-Ported RA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060 may include one or more buffers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the above-described program execution.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060 may be configured inside the mobile terminal, and may also be configured externally, such as a smart card, and may include all internal / external storage media. . The storage unit 1060 may include a ROM, a RAM, a flash memory, and the like, and the storage unit 1060 may include one memory configured or integrated with the ROM, RAM, and flash memory. Or two memory, for example, may be composed of MCP (Multi Chip Package) memory.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060 may further include a dual-ported RAM (DPRAM) allocated for data sharing.

상기 제어부(1070)는 상기 휴대단말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단말 내의 상기 각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70)는 상기 무선통신부(1010)와, 상기 입력부(102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1030)와, 상기 표시부(1040) 및 상기 저장부(106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070 performs an overall control function for the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s the signal flow between the blocks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1070 controls signal flow between components such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0, the input unit 1020, the audio processor 1030, the display unit 1040, the storage unit 1060, and the like. do.

상기 제어부(10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듀얼모드 활성화 시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040)(1050)에 의해 전달되는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70)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040)(1050)들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서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에 의해, 나머지 다른 하나의 표시부에 대한 동작을 결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1070)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040)(1050)들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실행을 제어하고, 상기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화면데이터를 나머지 다른 하나의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070)는 상기 제1 표시부(1040)를 통한 임의의 화면데이터 표시 중에 상기 제1 표시부(1040)에 의한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상기 제2 표시부(105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070 detects a gesture input transmitted by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040 and 1050 when the dual mode is activated and outputs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input. To control.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070 determines an operation of the other display unit by a gesture input generated b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040 and 1050. That is, when the controller 1070 detects a user's gesture input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040 and 1050, the controller 1070 controls execution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and executes the execution. The screen data for the program is controlled to be output through the other display unit. Fo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1070 detects a gesture input by the first display unit 1040 while displaying any screen data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040, the controller 1070 displays screen data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input.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1050.

또한, 상기 제어부(1070)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040)(1050)의 전체 표시영역을 임의 개수의 서브 표시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하는 각 서브 표시영역을 통해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70 divides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040 and 1050 into any number of sub display areas, detects a gesture input through each divided sub display area, Control output of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input.

이상에서와 같은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107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70)의 전술한 기능 제어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동작을 처리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07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The above-described function control of the controller 1070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to process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제어부(107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은 전송될 신호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인터리빙(interleaving) 등을 통해 변환한 후 변조하여 RF 모듈로 제공할 수 있으며, RF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복조, 등화(Equalization), 채널 디코딩(Channel decoding) 및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베이스밴드 모듈이 상기 제어부(107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은 상기 제어부(1070) 및 상기 무선통신부(1010)에 각각 구비될 수 있거나, 상기 제어부(1070) 및 상기 무선통신부(1010)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70 may include a baseband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baseband module converts a signal to be transmitted through channel coding and interleaving, modulates the signal to be provided to the RF module, and demodulates, equalizes, and equalizes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RF module. Channel decoding and deinterleaving may be performed. Herein, a baseband module is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the controller 1070. However, the baseband module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ler 107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0, respectively, or the controller 1070 and the wireless device. It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010.

한편, 상기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10 illustrates a schematic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mobile terminal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디지털방송수신모듈, 근거리통신모듈 및 인터넷통신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휴대단말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블록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블록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not mentioned above, such as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modul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ovision form thereof. These components may not be enumerated because all of them vary according to the convergence trend of digital devices, but the components equivalent to those mentioned above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cluded or replaced with other blocks in the abov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provision. This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using two display uni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실행 명령을 판단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2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n execution command according to a user input i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이 일반모드에 존재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norma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따른 화면데이터 표시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들,4 to 7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screen data display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gesture input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풀 터치스크린의 화면 분할에 의한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8A to 9C are views illustrating a control operation by screen division of a full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3)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듀얼모드 활성화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및 화면데이터 출력을 위한 2개의 출력수단을 형성하는 과정과,In response to the dual mode activation, forming two output means for a user's gesture input and screen data output; 상기 2개의 출력수단들 중 어느 하나의 출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Detecting a user's gesture input through any one of the two output means;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상기 2개의 출력수단들 중 다른 하나의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And outputting screen data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through one of the two output means through the other output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출력수단들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wo output means 제1 터치스크린 및 제2 터치스크린이 별도로 구비된 2개의 터치스크린들 및 하나의 터치스크린의 전체 표시영역을 제1 서브 표시영역 및 제2 서브 표시영역으로 분할되는 2개의 서브 표시영역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Any two of the two touch screens separately provided with the first touch screen and the second touch screen and two sub display areas divided into a first sub display area and a second sub display area.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o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utputting process, 상기 2개의 출력수단들 중, 어느 하나의 출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의 종류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a type of the input when the user's input is detected through any one of the two output means; 상기 입력이 설정된 제스처에 의한 입력이 아니면,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의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과, If the input is not an input by a set gesture, executing a function of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상기 입력이 설정된 제스처에 의한 입력이면,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실행 명령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과,If the input is an input by a set gesture, determining whether an execu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exists and executing a corresponding program according to the execution command; 상기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상기 어느 하나의 출력수단을 제외한 다른 하나의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And outputting screen data of the program to be executed through one output means other than the one output mea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erforming of the 상기 어느 하나의 출력수단에 이전에 표시 중인 화면데이터를 상기 기능 실행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And converting the screen data previously displayed on the output means into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of the function, and displaying the screen data.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실행 명령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스처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And if the execu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does not exist, checking whether or not the gesture is register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orming process, 상기 듀얼모드 활성화 이전의 일반모드에서, 상기 2개의 터치스크린들 중 어느 하나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화면데이터 표시 기능을 수행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수단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In the normal mode before the dual mode activation, performing the screen data display function through any one of the two touch screens, and performing the input means display function through the other touch screen; 상기 듀얼모드 활성화 시 상기 2개의 터치스크린들 중 하나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다른 하나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When the dual mode is activated, if a user's gesture input is detected through one of the two touch screens, a process of switching to a function of displaying screen data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through the other touch screen is performed.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상기 제2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하고,When the user's gesture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first touch screen, screen data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is output through the second touch screen, 상기 제2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And detecting a user's gesture input through the second touch screen, outputting screen data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through the first touch scree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orming process, 상기 듀얼모드 활성화 이전의 일반모드에서, 상기 하나의 터치스크린의 전체 표시영역을 통해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In the normal mode before the dual mode activation, performing an input / output function through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single touch screen; 상기 듀얼모드 활성화 시 상기 전체 표시영역을 2개의 서브 표시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서브 표시영역들 중 하나의 서브 표시영역을 통해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다른 하나의 서브 표시영역을 통해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When the dual mode is activated, the entire display area is divided into two sub display areas, and when a user's gesture input is detected through one of the sub display areas, the gesture is displayed through the other sub display area. And a step of switching to a function for displaying screen data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2개의 서브 표시영역들 중, 미리 할당된 서브 표시영역을 통해 이전에 표시 중인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screen data that is being displayed previously through the previously allocated sub display area among the two sub display areas; 상기 화면데이터 상에 발생하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서브 표시영역 외의 다른 서브 표시영역을 통해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And detecting a user's gesture input generated on the screen data, outputting screen data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through a sub display area other than the sub display area for detecting the gesture input.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splaying is performed. 상기 이전에 표시 중인 화면데이터를 상기 미리 할당된 서브 표시영역의 크기에 맞추어 리사이징(resizing)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And resizing the previously displayed screen data in accordance with a size of the pre-allocated sub display area. 휴대단말에 있어서,In the mobile terminal, 듀얼모드 동작 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및 화면데이터 표시를 위한 2개의 출력수단으로 구분되는 표시부와,In the dual mode operation, the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two output means for the user's gesture input and screen data display, 상기 듀얼모드 동작 시 상기 표시부에 의해 전달되는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 gesture input transmitted by the display unit during the dual mode operation and to control output of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inpu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isplay unit, 제1 터치스크린 및 제2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A first touch screen and a second touch scree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들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서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에 의해, 나머지 다른 하나의 표시부에 대한 동작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And the controller determines an operation of the other display unit by a gesture input generated from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들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를 통해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실행을 제어하고,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화면데이터를 나머지 다른 하나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When a gesture input is detected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and controlling the screen data for the program to be displayed through the other display unit. Characterized in a mobile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isplay unit, 하나의 터치스크린에 제1 표시영역과 제2 표시영역을 포함하고,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on one touch scree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표시영역에서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에 의해, 나머지 다른 하나의 표시영역에 대한 동작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And the controller determines an operation of the other display area by a gesture input generated 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area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듀얼모드 동작 시,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표시영역을 상기 제1 및 제2 표시영역으로 분할하고, 이전에 표시 중인 화면데이터를 상기 제1 및 제2 표시영역 중 미리 할당된 어느 하나의 표시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 말.In the dual mode operation,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areas, and previously displayed screen data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areas is previously allocated.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output to.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이전에 표시 중인 화면데이터를 상기 미리 할당된 어느 하나의 표시영역의 크기에 대응하게 리사이징(resizing)한 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And resizing the previously displayed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any one of the pre-allocated display areas and then outputting the screen dat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듀얼모드 동작 시 상기 표시부를 통해 설정된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실행 명령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해당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When a gesture set through the display unit is input during the dual mode oper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execu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and controlling output of screen data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according to the execution comman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듀얼모드 동작 시, 상기 설정된 제스처 외의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표시부에 표시 중인 화면데이터를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In the dual mode operation, if an input other than the set gesture occurs,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he screen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the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and outpu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듀얼모드 동작 시, 상기 설정된 제스처 외의 제스처가 발생하면, 상기 제스처의 등록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단말.In the dual mode operation, if a gesture other than the set gesture occurs, it is checked whether the gesture is register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isplay unit, 상기 듀얼모드 동작 이전의 일반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터치스크린 중 어느 하나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화면데이터 표시 기능을 수행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수단 표시 기능을 수행하고,In the normal mode before the dual mode operation, a screen data display function is performed through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ouch screens, and an input means display fun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other touch screen. 상기 듀얼모드 동작 시 상기 제1 및 제2 터치스크린 중 하나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다른 하나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In the dual mode operation, if a user's gesture input is detected through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ouch screens, screen data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is displayed through the other touch screen. Mobile terminal.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display unit,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상기 제2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하고,When the user's gesture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first touch screen, screen data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is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touch screen, 상기 제2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And detecting a user's gesture input through the second touch screen, displaying screen data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through the first touch scree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display unit, 상기 듀얼모드 동작 이전의 일반모드에서, 상기 하나의 터치스크린의 전체 표시영역을 통해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고,In the normal mode before the dual mode operation, perform an input / output function through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one touch screen, 상기 듀얼모드 동작 시 상기 전체 표시영역을 상기 제1 및 제2 표시영역으로 구분되어 동작하고, 상기 제1 및 제2 표시영역 중 어느 하나의 표시영역을 통해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면 다른 하나의 표시영역을 통해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In the dual mode operation, the entire display area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areas, and when the user's gesture input is sensed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areas, And a screen data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through a display area.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display unit, 상기 제1 및 제2 표시영역 중, 미리 할당된 어느 하나의 표시영역을 통해 이전에 표시 중인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Displaying previously displayed screen data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areas previously allocated; 상기 화면데이터 상에 사용자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스처가 입력되는 표시영역 외의 다른 표시영역을 통해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And when a user's gesture is input on the screen data, displaying screen data of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through a display area other than the display area where the gesture is input.
KR1020080124960A 2008-12-10 2008-12-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screen KR1015957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960A KR101595759B1 (en) 2008-12-10 2008-12-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960A KR101595759B1 (en) 2008-12-10 2008-12-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597A true KR20100066597A (en) 2010-06-18
KR101595759B1 KR101595759B1 (en) 2016-02-19

Family

ID=4236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960A KR101595759B1 (en) 2008-12-10 2008-12-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75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655A (en) * 2007-04-13 2008-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gesture in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655A (en) * 2007-04-13 2008-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gesture in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759B1 (en) 2016-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4988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220085B1 (en) Operating Method For Multi-Window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3726356A1 (en)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US86355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f a device
US8949734B2 (en) Mobile device color-based content mapping and navigation
CN108845782B (en) Method for connecting mobile terminal and external display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KR20230117542A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US8453057B2 (en) Stage interaction for mobile device
KR10152397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thereof
US9448715B2 (en) Grouping of related graphical interface panels for interaction with a computing device
WO2020063091A1 (en) Picture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20130278484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201566B2 (en) Presentation of image on display screen with combination crop and rotation and with auto-resizing of crop field
US2014014992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335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WO2020151460A1 (en) Object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WO2021136136A1 (en) Screensho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1251761B1 (en) Method for Data Transferring Between Applications and Termin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WO2021037074A1 (en) Audio output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70107892A (en) Method for contents of folder managemen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US201401959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keypad
KR101667721B1 (en) Method for multiple display and mobile terminal using this method
WO2021083134A1 (en) File sele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15957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screen
KR20120000936A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612

Effective date: 201601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