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3150A -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150A
KR20100053150A KR1020080112141A KR20080112141A KR20100053150A KR 20100053150 A KR20100053150 A KR 20100053150A KR 1020080112141 A KR1020080112141 A KR 1020080112141A KR 20080112141 A KR20080112141 A KR 20080112141A KR 20100053150 A KR20100053150 A KR 20100053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dna
dna methyltransferase
syndrome
aryloxyacet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
원미선
이정준
정경숙
박성규
권병목
임남희
강정은
김영란
하연
김보연
안종석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12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3150A/ko
Priority to PCT/KR2009/006643 priority patent/WO2010056048A2/ko
Publication of KR20100053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1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6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carbo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procainamide, procarbazine, metoclopramide, labeta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5/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07C235/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35/04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35/18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at least one of the singly-bound oxygen atoms further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e.g. phenoxyacetamides
    • C07C235/24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at least one of the singly-bound oxygen atoms further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e.g. phenoxyacetamide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3/00Systems containing at least three condensed rings
    • C07C2603/56Ring systems containing bridged rings
    • C07C2603/58Ring systems containing bridged rings containing three rings
    • C07C2603/70Ring systems containing bridged rings containing three ring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rings
    • C07C2603/74Adamanta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DNA methyltranserase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hypermethylation 되어 여러 질환상태를 야기하는 유전자들에 대한 DNA methylation을 저해시키는 효과에 기인하여 항종양제, 뇌신경 질환 치료제, 혈액질환 치료제, 후생학적(epigenetic) 조절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8078209918-PAT00001
Figure P1020080112141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 epigenetics, VHL, tumor suppressor, hypermethylation, DNA methyltransferase inhibitor, aging, stem cells

Description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ryloxyacetyl derivatives as an active ingredient for inhibiting DNA methyltransferase}
본 발명은 아릴옥시아세틸 유도체인 LW6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DNA methyltransferase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DNA 메틸레이션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DNA hypermethylation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들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NA methylation은 DNA 염기서열의 CpG dinucleotide의 시토신 잔기에 methyl기를 전달하는 효소인 DNA methyltransferase에 의해 시토신에 화학변화를 일으키는 형태이다. 배아 줄기 세포 (embryonic stem cells)에는 상기 CpG island가 methylation 되어 있지 않은 반면, 성인의 CpG island는 그 C 잔기에 methylation 되어 있어 이는 후생학적(epigenetics) 요인에 근거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대체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부위인 유전자의 5’-부위에 CpG islands가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 중 60-90%의 CpG island가 methylation되어 있다. 일 반적으로 암과 같은 질병 관련 유전자의 프로모터의 CpG islands에 비정상적인 과다 메틸화 (hypermethylation)가 나타나 있으며 이것이 유전자의 유전적 전사 발현 침묵 (heritable transcriptional silencing) 현상을 유도한다 (M. Esteller, Cancer epigenetics: DNA methylation and chromatin alterations in human cancer. Adv Exp Med Biol 532 (2003) 39-49).
DNA methylation은, 전사 관련 단백질이 methylation된 유전자에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methylated DNA가 methyl-CpG-binding domain proteins (MBDs)에 결합하고, MBD는 다시 히스톤을 변형시키는 histone deacetylases, chromatin remodelling proteins 등 다른 단백질들을 유인하고, 그 결과 단단하고 불활성의 침묵 크로마틴 (silent chromatin)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DNA methylation과 chromatin 구조의 상관 관계는 매우 중요한데 특히 methyl-CpG-binding protein 2 (MeCP2)는 Rett syndrome과, methyl-CpG binding domain protein 2 (MBD2)는 암의 hypermethylated genes의 전사적 침묵(transcriptional silencing)과 관계가 있다 (X. Zhao, C. Pak, R.D. Smrt, and P. Jin, Epigenetics and Neural developmental disorders: Washington DC, Epigenetics 2 (2007) 126-34).
DNA methyltransferase는 S-adenosyl methionine (SAM)을 methyl donor로 사용하여 DNA의 시토신 잔기에 methyl기를 전달하는 효소이다. 인간의 DNA methylation은 종의 효소 DNA methyltransferase 1, 3a, 및 3b (DNMT1, DNMT3a, DNMT3b)에 의해 조절되는데, DNMT3a 및 DNMT3b는 발생 초기의 DNA methylation 패턴과 관련 있어 de novo methyltransferases라고 불린다. DNMT1은 DNA replication 동안 DNA methylation patterns을 복사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지 methyltransferase 이다. DNMT3L은 다른 DNMT3s와 homologous하지만 효소 촉매 활성이 없다. DNMT3L은 DNA에 결합하여 de novo methyltransferases의 활성화를 촉진시킨다. DNMT2(TRDMT1)는 DNA methyltransferases에 공통으로 있는 10 sequence motifs를 가진 DNA methyltransferase homolog이지만 DNA를 methylate하지 못하고 aspartic acid transfer RNA의 anticodon loop에 있는 cytosine-38을 methylate 시킨다 (D. Vallbohmer, J. Brabender, D. Yang, P.M. Schneider, R. Metzger, K.D. Danenberg, A.H. Holscher, and P.V. Danenberg, DNA methyltransferases messenger RNA expression and aberrant methylation of CpG islands in non-small-cell lung cancer: association and prognostic value. Clin Lung Cancer 8 (2006) 39-44).
DNA region의 cytosine methylation을 정량하는 간단하고 정확한 방법은 bisulfite sequencing이다. Bisulfite는 DNA에 있는 methylated cytosine은 그대로 있으나 unmethylate된 cytosine을 모두 uracil로 전환시키고 변형된 DNA는 PCR로 증폭시킬 때 uracil은 thymidine으로 읽혀지고 methylated cytosine은 그대로 cytosine로 남아 있게 된다. PCR 후 각 DNA strand는 클로닝한 후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unmethylated C site를 확인할 수 있다.
DNA 메틸화는 epigenetic modification에 의한 유전자 발현에 큰 축을 이루고 있는데 암 억제 유전자들의 발현이 메틸화에 의해 조절됨이 점차로 많은 유전자에서 보고되고 있는데 tumor suppressor 유전자들의 불활성화또는 침묵으로 암이 발생하게 되므로 DNMTs의 작용을 저해하여 이들 유전자들의 발현을 유도하는 시도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DNA methyltransferase은 유전적 질병, stem cell 분화 조절, 후생적 조절 장애로 인한 질병, 노화 등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질병의 치료제로 활용 가능하며 특히 맞춤의료에 유용한 약물이다. DNA methyltransferase 3b 에 돌연변이가 있으면 ICF증을 나타내며 (immunodeficiency, centromere instability and facial anomalies) 노화 기간에도 비정상적인 DNA methylation 이 나타나며 다양한 세포 내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유전적 변이보다는 암발생에 중요한 후생적 변이(epigenetic alterations)가 약물학적으로 가역적이므로 혈액학 또는 종양 분야에서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epigenetic 유전자 변이의 정확한 기전이 규명되어 있지 않고, 암 치료의 영역에서 epigenetics를 대상으로 하는 신약개발연구도 이제 시작단계에 있다. 최근, 저분자 화합물 inhibitors에 의하여 DNA methyltransferases의 methylation이 제어될 수 있음이 밝혀져 저분자 화합물 개발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아직, 세포독성이 많은 azacytidine류 외에는 아직 특별히 이용되는 물질이 없다. Nucleoside analog인 5-aza-2'-deoxycytidine (decitabine)은 DNA methyltransferase효소의 β-elimination step을 저해하여 DNA에 covalent complex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DNMTs 작용을 저해하여 효소의 분해를 유도한다. Decitabine이 활성이 있기 위해서는 세포의 genome에 끼어 들어가야 하는데 이것이 돌연변이를 유도하여 decitabine은 bone marrow에 독성이 있어 치료범위가 적다. Vidaza(R) (5-azacytidine, Pharmion)는 첫 DNA methyltransferase inhibitor 로 bone marrow 이상에서 유래되는 골수이형성증 (myelodysplastic syndrome, MDS) 치료제로 미국 FDA 승인받아 시판되는데 항암제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
현재, RNA 수준에서 mRNAs를 분해하여 DNMTs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가 개발 중이며 HTS화 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에 의한 저해제 개발을 기대할 수 있으며 기업체에서도 저해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HIF-1α의 발현을 저해하여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인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실시예 18,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87131호, PCT 출원 제PCT/KR07/03216호, (Aryloxyacetylamino)benzoic acid analogues: a new class of hypoxia-inducible factor-1 inhibitors.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07, 50, 1675-1684) LW6의 작용 기전을 연구하던 중 LW6는 VHL(von Hippel-Lindau)의 발현양을 증가시켜 HIF-1α(hypoxia inducible factor-1 α)의 ubiquitination 후 프로테아좀을 경유하는 HIF-1α의 분해를 촉진시킴을 알게 되었다. VHL 발현 증가 연구를 위해 VHL 프로모터 활성화와 DNA methylation의 상관 관계가 있음을 관찰하고, LW6 약물이 VHL 프로모터의 hypermethylation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고, LW6 약물 존재 하에 VHL 프로모터 CpG island의 C site가 demethylation 되어 T로 전환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DNA methylation을 매개하는 효소인 DNMT1의 단백질양이 감소되어 있으므로 LW6는 DNMT1의 발현을 억제함으로 VHL promoter의 methylation 억제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LW6는 tumor suppressor 등 발현 억제되어 있는 유전자의 hypomethylation을 유도하는 DNA methylation 억제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는 HCT-116 세포에 LW6를 처리한 후 염색체를 분리한 후 chromosomal DNA를 Bisulfite로 처리하고, VHL 프로모터를 PCR 한 후 DNA sequencing을 통해 염기 C가 T로 전환된 것을 확인함으로써 LW6의 DNA methytransferase 저해제의 용도로의 활용성을 제시하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 LW6의 작용 기전 연구를 바탕으로 hypermethylation된 VHL 프로모터를 활성화시킴으로써 VHL 발현을 증가시키는 약물 LW6의 DNA methyltransferase 억제제로서의 신규한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아세틸계 화합물 (LW6)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NA methyltransferase 억제제로서의 용도 및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활성에 기인하는 유전자 hypermethylation 관련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78209918-PAT00002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는 화학적인 합성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 성된 부가염이 유용하다. 적합한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citric acid), 초산, 젖산, 주석산(tartariac acid), 말레인산, 푸마르산(fumaric acid), 포름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옥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갈룩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아세틸계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조제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합성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08078209918-PAT00003
구체적으로는 페녹시 아세트산(phenoxyacetic acid)(2)과 아민 화합물(3)을 출발 물질로 하여 후니그(Hunig) 염기와 축합 시약(coupling agent)을 넣고 유기용매 하에 반응시켜 화학식 (1) 화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후니그 염기로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isopropylamine, DIPEA) 또는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축합시약으로는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디이미드 염산염(1-[3-(dimethyl amino)propyl]-3-ethylcarbodiimide hydrochloride, EDC), O-벤조트리아졸-N,N,N',N'-테트라메틸-유로니움-헥사플로로-포스페이트(HBTU),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1-hydroxybenzotriazole, HOBt),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로로포스페이트(benzotriazol-1-yl-oxy- tris-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PyBOP) 및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1-hydroxy-7-azabenzotriazole, HOA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디메틸포름아미드(DMF)나 메틸렌클로라이드(CH2Cl2)가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화학식 1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NA methytransferase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NA 메틸레이션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 (LW6)는 in vitro 실험에서 Hct-116 암세포주의 HIF-1α 억제에 의해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이다. LW6를 Hct-116 세포주에 처리한 경우 VHL의 발현양이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즉, LW6 처리 후 시간에 따라 VHL의 mRNA의 양이 증가되어 있음을 RT-PCR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VHL의 양적 증가는 VHL 유전자의 전사 조절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Tumor suppressor인 VHL의 promoter에는 많은 CpG island가 존재하며 hypermethylation에 의해 발현이 억제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LW6 약물을 hypoxia에서 HCT-116 세포에 처리한 후 염색체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chromosomal DNA를 Bisulfite로 처리하고, PCR로 VHL 프로모터를 증폭한 후 DNA sequencing을 수행하여 VHL 프로모터의 CpG island의 염기 전환을 관찰하였다. 프로모터의 -83에서 +195 부위에 있는 CpG island의 염기 C가 T로 일부 전환된 것을 확인하였다. LW6의 DNMT1 활성 저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 직접적인 효소의 활성 저해는 일어나지 않았다. 세포 내에서 주요 DNA methytransferase인 DNMT1, DNMT3a의 RT-PCR 결과 LW6 처리에 의해 mRNA가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웨스턴블럿 실험을 통해 DNMT1 단백질의 양이 LW6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LW6는 DNMT1의 전사량을 조절함으로써 DNA methytransferase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는 LW6의 DNA methyltransferase 억제제, 또는 DNA 메틸레이션 억제제로서 다양한 용도를 나타내는 데, 그 중에서도 특히 상기 살핀 바와 같이 종양 치료를 위한 활성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은 화학식(1)의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의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에 기인하는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 의한 조성물에서의 상기 종양은,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 암, 피부 또는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위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유방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중추신경계 (CNS; central nervous system) 종양, 1차 중추신경계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뇌하수체 선종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에 기인하는 뇌신경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신경 질환은 Rett syndrome 또는 Angelman syndrome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에 기인하는 혈액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혈액 질환은 골수이형성증 (myelodysplastic syndrome),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또는 만성 골수단핵구성 백혈병(chronic myelomonocytic leukemia)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에 기인하는 후생유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생유전 질환은 ATR-X (Alpha-thalassemia X-linked mental retardation syndrome), 유약증후군 (Fragile X syndrome), 또는 ICF 증후군(immunodeficiency, centromere instability and facial anomalies)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나아가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에 기인하는 후생학적(epigenetic) 조절제, 줄기세포 분화 조절제, 또는 체세포 융합 조절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후생학적 조절제란 메틸화에 의한 염색체 구조 이상으로 인한 ATR-X (Alpha-thalassemia X-linked mental retardation syndrome), 유약증후군 (Fragile X syndrome), ICF 증후군 (immunodeficiency, centromere instability and facial anomalies) 등의 후생유전 질환 치료에 사용하는 약물을 의미한다. 줄기세포 분화 조절제는 줄기세포에서 전구 자연 살해 세포로의 분화 조절을 유도하는 약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체세포 융합이란 해내고 서 핵을 제거한 성숙한 난자에 일반체세포에서 분리한 핵을 이식하고 정자를 주입한 후 수정란으로 만드는 과정을 의미한다. 핵이식란이 일반적인 수정란처럼 분할 및 발육에 적응하는 과정을 재프로그래밍이라고 하는데 이 과정을 통해 핵이식란이 탈메틸화 및 재메틸화 과정을 거쳐야 정상적인 발달 및 분화단계의 발생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 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포함되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일일 투여량은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100 ㎎/㎏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암 질환을 포함한 각종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 LW6 약물이 VHL의 프로모터의 hypermethylation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여 LW6 약물 존재하에 VHL 프로모터의 CpG island의 C가 T로 변화되어 되어 있고 DNA methylation을 매개하는 효소인 DNMT1의 단백질양이 감소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LW6는 DNMT1의 발현을 저해함으로 VHL promoter의 methylation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LW6는 tumor suppressor 등 발현이 억제되어 있는 유전자에서 hypomethylation을 유도하여 DNA methylation 억제제로의 활용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DNA의 과다메틸화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어 질병을 일으키는 암, 혈액질환, 노화 관련 질환, 뇌신경 질환 치료 등의 stem cell 분화 조 절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HCT-116 cell(ATCC Cat. No. CCL2)은 RPMI 배지(Gibco, U.S.A.), 5% CO2에서 37 °C에서 배양하였으며 hypoxia는 1% O2 조건에서의 배양을 의미한다.
실시예 1 : LW6에 의한 VHL 발현 실험
HCT-116 cell(ATCC Cat. No. CCL2)항암 타겟인 HIF-1α의 발현 저해를 관찰하기 위해 HCT-116 cell(ATCC Cat. No. CCL2)을 60mm dish에 plating 한 후에 각각 4시간 동안 normoxia, hypoxia condition에 노출시킨 후, LW6를 각각 30 μM를 처리하고 Hypoxia (1% O2)에서 12시간 배양하면서 세포 내 존재하는 HIF-1α와 VHL 단 백질의 양을 0, 2, 4, 8, 12시간째에 각 시간대 별로 측정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라 LW6 약물에 의해 HIF-1α의 발현은 감소되는 반면 VHL protein 양은 증가됨을 웨스턴 블럿 방법에 의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도 1).
VHL의 발현 증가가 mRNA 발현 조절과 관련이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HCT-116 cell(ATCC Cat. No. CCL2)을 60mm dish에 plating 한 후에 각각 4시간 동안 normoxia, hypoxia condition에 노출 후 LW6을 30 μM 처리하여 12시간 incubation 한 다음 RNA를 추출하여 RT-PCR을 시행하였다. total RNA는 Qiagen RNeasy Mini kit (cat.# 74104)을 사용하여 추출하였고 RT-PCR은 One-step RT-PCR PreMix kit (cat.# 25101, iNtRON Biotechnology, Inc., Republic of Korea)을 사용하여 매뉴얼에 지시한 대로 RNA template (1 μg/reaction)과 specific primers (표 1)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RT-PCR은 1 cycle (45 °C, 30 min, 94 °C, 5 min), 30 cycles (94 °C, 30 sec, 52 °C, 30 sec, 72 °C, 1 min), 마지막으로 1 cycle (72 °C, 5 min) 하였다. 상기 PCR을 위한 올리고 primer 서열은 각각 표1.에 나타내었다. RT-PCR 결과, LW6 약물을 처리함에 따라 VHL의 mRNA양은 현격히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VHL의 발현 증가는 normoxia 또는 hypoxia에 관계 없음을 확인하였다 (도 2).
[표 1]
HIF-1α Forward primer CTATATCCCAATGGATGATGA
Reverse primer ATCATGTTCCATTTTTCGCTT
VHL Forward primer GAGTCCGGCCCGGAAGAGTC
Reverse primer CATCGTGTGTCCCTGCATCT
DNMT1 Forward primer GACATGAGTGCATTGGTGGC
Reverse primer CTGGGTGGAGCACGCGGCCC
DNMT3b Forward primer GCCCGTGATAGCATCAAAGA
Reverse primer CTATTCACATGCAAAGTAGT
GAPDH Forward primer TCATGACCACAGTCCATGCC
Reverse primer TCCACCACCCTGTTGCTGTA
Tumor suppressor인 VHL의 프로모터에는 CpG island가 많이 존재하며 renal cancer인 경우 hypermethylation 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대장암의 경우는 hypermethylation이 보고된 바가 없었다. 실시예 1에서는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 세포에서 VHL의 mRNA 양이 증가된 것 확인하였으며, 다음으로는 LW6가 DNA methylation 정도를 변화시키는 것인지, 이에 기인하여 epigenetic 조절을 하는지 조사하게 되었다.
실시예 2 : LW6에 의한 CpG island의 탈메틸화 관찰
상기 실시예 1에서의는 LW6가 VHL 프로모터의 활성화를 통해 VHL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세포에 LW6를 각각 1, 50, 및 100 μM 농도로 처리한 후 chromosomal DNA를 추출하였다 (프로메가 제품, Chromosomal DNA Purification Kit, CAT#. a1120). 추출한 chromosomal DNA에 bisulfite 처리하여 C를 T로 전환시킨 chromosomal DNA 얻고 (Zymo Research, Methylation kit, CAT# d5001) 이렇게 Bisulfite modified DNA를 template로 하여 MSP (Metylation-specific PCR)을 수행하였다. PCR 조건은 다음과 같다. Initial activation step : 15min at 95℃, Denaturation step : 30sec at 94℃, Annealing step : 30sec at 60℃, Extension step : 30sec at 72℃ , 총 40 사이클. Final extension step : 10min at 72℃ 이다.
실험 결과, LW6를 50 μM 처리하였을 때는 W4와 W5에서 일부 C염기의 T전환이 일어났으며, 100 μM 처리시에는 -185에서 +195부위에 있는 CpG island 더 많은 C염기의 T염기로 전환된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3). 따라서, LW6가 VHL 프로모터 region의 CpG island를 탈메틸화 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 LW6에 의한 DNBT1 효소활성 영향 측정 (Enzyme-based DNMT assay)
LW6에 의해 VHL 프로모터의 CpG island에 있는 C가 T로 변화된 것으로부터 DNA methyltransferase 활성이 저해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나아가, 상기 DNA methyltransferase 효소 활성 저해가 그 양적인 변화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LW6에 의한 DNA methyltransferase 효소 활성 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Rhee 등 (Rhee I, Jair KW, Yen RW, Lengauer C, Herman JG, Kinzler KW, Vogelstein B, Baylin SB and Schuebel KE. (2000), Nature, 404, 1003~1007)의 방법에 따라 CpG methylase를 사용하여 LW6에 의한 DNA 메틸화를 분석하였다. 반응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DMSO에 희석한 화합물을 0.5μg poly-d(I-C),5μCi adenosyl-methionine S-[methyl-H3], CpG methylase 1unit, Reaction buffer (50 mM Tris-HCl, pH 7.8, 1 mM EDTA, 1 mM Dithiothreitol, 5% Glycerol )과 혼합하여 총 20 μl가 되도록 하였다. 이 혼합물을 두벌씩 준비하여 37 ℃에서 1시간 동안 항온 유지하여 메틸화반 응이 진행되도록 하였다. 반응이 끝난 혼합물을 Whatman P81 이온교환 Paper에 옮긴 다음, 0.2M Ammonium bicarbonate 로 5분 동안 3번 씻어 주었다. 건조된 필터를 vial에 넣고 5 ml scintillant를 첨가하여 scintillation counter로 방사능을 측정하여 DNA의 메틸화수준을 분석하였다. 각 시료의 blank는 CpG methylase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위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준비하였다. LW6는 각각 50μM 및 100 μM을, 양성 대조군으로 EGCG (epigallocatechin-3-gallate, 녹차의 주요 폴리페놀) 0.1 μM 및 1.0 μM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양성 대조군인 EGCG는 낮은 농도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DNMT1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반면, LW6은 높은 농도에서도 DNMT1 저해 활성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LW6는 DNMT1의 효소 활성을 직접적으로 저해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도 4).
실시예 4. LW6의 DNBT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다음으로, DNMT1의 mRNA 및 단백질 양적 측면에서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HCT-116 (ATCC Cat. No. CCL2)을 LW6(30 μM)로 처리한 후(RPMI, 16시간, 37 °C) 세포 내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대로 DNMT 효소(DNMT 1 및 DBMT 3b)들의 RT-PCR을 수행하였다. DNMT1의 mRNA 양은 약물의 농도에 따라 점차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5). DNMT3b는 hypoxia에서 전체적으로 mRNA 수준이 많이 감소되었고 LW6 존재하에서 더욱 감소하였다.
HCT-116 (ATCC Cat. No. CCL2) 암세포주에 LW6 (10, 30, 50, 100 μM) 처리 후 웨 스턴 블럿 방법으로 DNMT1의 단백질 양을 측정하였을 때, DNMT1의 단백질 양은 LW6 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도 6). 따라서, LW6는 DNMT1의 전사를 조절하여 DNMT1 단백질의 발현양을 감소시킴으로써 VHL 프로모터의 demethylation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도 1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에 의한 VHL 단백질의 양적 증가를 나타낸다.
도 2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에 의한 VHL mRNA의 양적 증가를 나타낸다.
도 3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에 의한 탈메틸화를 나타낸다. 짧은 막대는 VHL 프로모터 부위에 존재하는 CpG island를 나타내고 * 표시된 부분은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에 의해 탈메틸화가 일어나 염기 C가 염기 T로 전환된 site를 의미한다.
도 4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의 DNMT1 효소 활성 저해를 나타낸다. EGCG는 양성 대조군이다.
도 5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 처리 후 세포내에 존재하는 DNMT1, DNMT3b의 mRNA 발현을 나타낸다.
도 6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 처리 후 세포내에 존재하는 DNMT1 단백질의 양을 나타낸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Figure 112008078209918-PAT00004
  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NA 메틸레이션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Figure 112008078209918-PAT00005
  3. 제1항에 있어서,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에 기인하는 뇌신경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뇌신경 질환은 Rett syndrome 또는 Angelman syndrome 인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에 기인하는 혈액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질환은 골수이형성증 (myelodysplastic syndrome),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및 만성 골수단핵구성 백혈병(chronic myelomonocytic leukemi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에 기인하는 후생유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생유전 질환은 ATR-X (Alpha-thalassemia X-linked mental retardation syndrome), 유약증후군 (Fragile X syndrome), 또는 ICF 증후군(immunodeficiency, centromere instability and facial anomalies)인 약학적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에 기인하는 줄기세포 분화 조절제.
  10. 제1항에 있어서,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에 기인하는 체세포 융합 조절제.
KR1020080112141A 2008-11-12 2008-11-12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20100053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141A KR20100053150A (ko) 2008-11-12 2008-11-12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PCT/KR2009/006643 WO2010056048A2 (ko) 2008-11-12 2009-11-12 아릴옥시아세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na 메틸트랜스퍼레이즈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141A KR20100053150A (ko) 2008-11-12 2008-11-12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150A true KR20100053150A (ko) 2010-05-20

Family

ID=4217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141A KR20100053150A (ko) 2008-11-12 2008-11-12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53150A (ko)
WO (1) WO201005604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466B1 (ko) 2011-09-27 2014-04-0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HIF―1α 활성을 저해하는 신규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904505D0 (sv) * 1999-12-09 1999-12-09 Astra Pharma Prod Novel compounds
SE0300480D0 (sv) * 2003-02-21 2003-02-21 Astrazeneca Ab Novel compounds
KR100787131B1 (ko) * 2006-07-04 2007-12-2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Hif―1 활성을 저해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56048A3 (ko) 2010-08-26
WO2010056048A2 (ko)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h et al. Analysis of CpG methylation and genomic footprinting at the tyrosine aminotransferase gene: DNA methylation alone is not sufficient to prevent protein binding in vivo.
EP0734436B1 (en) Inhibition of dna methyltransferase
JP7416852B2 (ja) Htra1の発現を調節するためのアンチセンスオリゴヌクレオチド
JP5416660B2 (ja) Dnaメチル化の阻害剤
NZ583923A (en) Azacytidine analogues and uses thereof
EA018986B1 (ru) Соединения-антагонисты рнк для модуляции активности бета-катенина
US20080138329A1 (en) Inhibitors of Dna Methylation in Tumor Cells
EP3980539A1 (en) Antisense oligonucleotides targeting atxn3
Peedicayil The role of DNA methylation in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cancer
Fang et al. Regulation of hMSH2 and hMLH1 expression in the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SW1116 by DNA methyltransferase 1
EP3207932A1 (en) Dna methyltransferase inhibitors for rett syndrome therapy
AU2002322805A1 (en) Inhibitor of DNA methylation
CN110691849A (zh) 用于调节htra1表达的反义寡核苷酸
KR20100053150A (ko) 아릴옥시아세틸계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na 메틸트렌스퍼레이즈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Cheray et al. DNMT inhibitors in cancer, current treatments and future promising approach: inhibition of specific DNMT-including complexes
EP3355883A1 (en) Trilobine and its natural analogs for use as a drug
WO2019115416A2 (en) Oligonucleotides for modulating fndc3b expression
Roatsch et al. DNA-modifying Enzymes
JP2001514862A (ja) Dnaシトシン−5メチ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のモジュレーターおよびその使用法
JP2021511022A (ja) Pias4発現を調節するためのオリゴヌクレオチド
Vakhitova et al. Cytosine demethylation in the tyrosine hydroxylase gene promoter in hypothalamus cells of rat brain under the action of 2-aminoadamantane compound Ladasten
WO2019145386A1 (en) Oligonucleotides for modulating csnk1d expression
AU2008200601B2 (en) Inhibitor of DNA Methylation
WO2015020194A1 (ja) Acsl1に対するアンチセンスオリゴヌクレオチド
JP2015082971A (ja) Acsl1に対するアンチセンスオリゴヌクレオチ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