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3128A - 네트워크 기반의 화재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의 화재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128A
KR20100053128A KR1020080112112A KR20080112112A KR20100053128A KR 20100053128 A KR20100053128 A KR 20100053128A KR 1020080112112 A KR1020080112112 A KR 1020080112112A KR 20080112112 A KR20080112112 A KR 20080112112A KR 20100053128 A KR20100053128 A KR 20100053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acility
data
sensing data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김재권
이범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12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3128A/ko
Publication of KR20100053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화재 발생 상황시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은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 결과인 제1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시설물에 설치된 소방 설비의 상태 변화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 결과인 제2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태 감지부; 상기 시설물 내부에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감지 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상황을 전파하는 원격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 및 시설물에 설치된 소방 설비의 상태 변화를 동시에 감지한 후 감지 결과에 따라 시설물에 대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 판단에 대한 정확성이 높아지므로 실제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하여 화재 진압을 위한 초동 대처가 미흡하여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소방설비, 화재감시, 원격관제, 빌딩관리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의 화재 감시 시스템{System based on network for detecting a fire}
본 발명은 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화재 발생 상황시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의 시설물에는 화재 발생 상황에 대비하여 소방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소방설비란 소방 관련 법에 의하여 그 설치가 의무화된 소방에 필요한 설비를 의미한다.
이러한 소방설비의 종류로는 직접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설비, 화재 발생시 또는 소화활동에 임할 수 있도록 화재를 탐지하고 이를 통보해 주기 위한 경보설비, 화재발생시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피난설비, 화재 진압에 필요한 소화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소화용수 설비, 및 화재 발생 시 소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소화 활동설비 등이 있다.
또한, 소방설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방기본법 및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등에서 정한 바에 따라 관할 소방서에서 1년에 1~2번 정기적으로 건물 등의 시설물에 설치된 소방설비에 대하여 인력으로 점검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소방설비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소방설비의 운용 및 관리를 위한 인력과 비용의 발생을 이유로 건물 등의 시설물에 대한 관리가 평상시에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소방서의 건물 등의 시설물에 설치된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또한 상시가 아닌 특정 시점에만 이루어져 소방설비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화재 감시 시스템의 경우 건물 등의 시설물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센서들이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동작하면 상기 다수의 센서들과 연결되어 있는 화재 수신반이 동작하는 방식으로 건물 등의 시설물에 대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실제 화재 발생 상황에 따라 센서가 동작하는 경우와 센서가 오작동하는 경우를 구분하는 것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화재 수신반의 오작동으로 인한 경보 발생을 이유로 평상시에 화재 수신반의 전원을 꺼놓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 건물 등의 시설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수신반이 동작하지 않아 화재 발생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며,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소방설비의 관리 소흘로 인하여 소방 설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화재에 대한 초기 진화에 실패하게 되면 대규모 인명 피해 및 막대한 재산 피해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시설물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화재 발생 상황시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화재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은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 결과인 제1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시설물에 설치된 소방 설비의 상태 변화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 결과인 제2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태 감지부; 상기 시설물 내부에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감지 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상황을 전파하는 원격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격 감시부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감지 데이터 수신부,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판단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감시부는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상황을 전파하는 화재 상황 전파부, 및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감지 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감지부는 저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스프링 쿨러 배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 또는 화재 수신반 전원부의 전압을 측정하는전압 측정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는 상기 저수조 수위 데이터, 상기 스프링 쿨러 배관 압력 데이터, 또는 상기 화재 수신반 전원부 전압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 감지부는 연기 감지 센서, 불꽃 감지 센서, 또는 온도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는 상기 연기 감지 센서, 상기 불꽃 감지 센서, 또는 상기 온도 센서의 동작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 및 시설물에 설치된 소방 설비의 상태 변화를 동시에 감지한 후 감지 결과에 따라 시설물에 대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 판단에 대한 정확성이 높아지므로 실제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하여 화재 진압을 위한 초동 대처가 미흡하여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원격으로 시설물에 대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상황을 상기 시설물 또는 소방서 등으로 전파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에 개별 시설물 단위로 수행되던 화재 감시를 지역 단위로 통합한 후 종합적으로 화재 감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1)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1)은 화재 감지부(10), 상태 감지부(20), 감지 데이터 전송부(30), 및 원격 감시부(40)를 포함한다.
화재 감지부(10)는 시설물에 설치되어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 결과인 제1 감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화재 감지부(10)는 상기 시설물에 설치되는 연기 감지 센서, 불꽃 감지 센서, 또는 온도 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는 상기 연기 감지 센서, 상기 불꽃 감지 센서, 또는 상기 온도 센서의 동작 데이터일 수 있다.
상태 감지부(20)는 상기 시설물에 설치된 소방 설비의 상태 변화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 결과인 제2 감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태 감지부(20)는 저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스프링 쿨러 배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 센서, 또는 화재 수신반 전원부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 장치일 수 있고,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는 저수조 수위 데이터, 배관 압력 데이터, 또는 화재 수신반 전원부 전압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위 센서로써 저수조 수위 변화에 따라 수위봉에 설치된 부표가 수직 이동하며, 부표의 수직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LIC 형 수위 센서, 저수조 수위 변화에 따라 오뚜기볼이 수면 위 120도 각도로 올라올 경우 오뚜기볼 내부의 접점이 접속하여 발생되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레벨 오뚜기식 수위 센서, 또는 저수조 수위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로 복수 개가 결합되어 있는 전극봉의 끝단에 물이 접촉되는 순간 발생되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레벨 부표형 수위 센서를 사용하여 저수조 수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 측정 장치의 경우 상기 화재 수신반 내부의 전원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에서 전압 값이 측정되는 지의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방식으로 화재 수신반 전원부 전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 데이터 전송부(30)는 상기 시설물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원격 감시부(40)로 전송한다.
원격 감시부(40)는 감지 데이터 전송부(3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전송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상황을 전파한다.
또한, 원격 감시부(40)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패트롤(Patrol) 출동 서비스와 일반적인 화재 상황에 대한 전문가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여 상기 시설물에 대한 화재 예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원격 감시부(40)의 상세한 구성은 이하 도 2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감시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감시부(40)는 감지 데이터 수신부(42), 감지 데이터 데이터베이스(43), 감지 데이터 분석부(44), 경보 발생부(46), 및 화재 상황 전파부(48)를 포함한다.
감지 데이터 수신부(42)는 감지 데이터 전송부(30)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며, 감지 데이터 데이터베이스(43)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감지 데이터 분석부(44)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감지 데이터 분석부(44)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기 감지 센서, 불꽃 감지 센서, 또는 온도 센서가 동작 하였으며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저수조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수위 이하 또는 배관 압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시설물이 화재 발생 상황인 것으로 최종 판단한다.
또한, 감지 데이터 분석부(44)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재 수신반 전원부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화재 수신반이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전압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화재 수신반 이 꺼져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시설물에 설치된 화재 수신반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보 발생부(46)는 감지 데이터 분석부(44)에서 상기 시설물에 대한 화재 발생을 판단한 경우 경보를 발생한다.
화재 상황 전파부(48)는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상황을 전파한다. 이때,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상황 전파는 이메일,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전화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감시부의 운용 화면에 대한 참고도 이다.
감지 데이터 분석부(44)에서 시설물 내부에 설치된 감지 데이터 전송부(30)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시설물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최종 판단한 경우 경보 발생부(46)에서 경보를 발생하며, 상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용 화면에는 화재 발생한 시설물의 위치가 표시되어 원격 감시부(40)를 운용하는 관리자는 신속하게 화재 발생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에 대한 화재 발생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도 원격 감시부(40)는 상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용 화면에서 감시하고자하는 시설물을 직접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시설물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물의 화재 상황 발생시 발생되는 경보의 음을 설정 하거나 상기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한 시설물에 설치된 저수조의 수위 및 스프링 쿨러 배관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관리자는 원격 감시부(40)를 운용하여 원격 감시부(40)와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시설물들에 대한 화재 감시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실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도 화재 발생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화재 감시 시스템(1)은 화재 감시부(10)에서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 결과인 제1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태 감지부(20)에서 상기 시설물에 설치된 소방 설비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 결과인 제2 감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시설물 내부에 설치된 감지 데이터 전송부(30)에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원격 감시부(40)로 전송하며, 원격 감시부(40)에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실제 화재 발생 시에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상황을 이메일,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전화를 이용하여 전파하는 방식으로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 감지 및 상기 시설물에 설치된 소방 설비의 상태 변화 감지를 동시에 수행하여 종래의 화재 감시 시스템의 문제점인 센서의 오작동에 의한 시설물의 화재 상황 판단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 판단에 대한 정확성이 높아지므로 실제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하여 화재 진압을 위한 초동 대처가 미흡하여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원격 감지부에서 원격으로 시설물에 대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상황을 상기 시설물 또는 소방서 등으로 전파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에 개별 시설물 단위로 수행되던 화재 감시를 지역 단위로 통합하여 종합적으로 화재 감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 및 시설물에 설치된 소방 설비의 상태를 동시에 감지하여 시설물에 대한 화재 발생 여부를 최종 판단하므로 화재 발생 판단에 대한 정확성이 높아지므로 종래의 화재 감시 시스템을 대체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감시부의 상세 블록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감시부의 운용 화면에 대한 참고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화재 감시 시스템 (10) : 화재 감지부
(20): 상태 감지부 (30) : 감지 데이터 전송부
(40) : 원격 감시부 (42) : 감지 데이터 수신부
(43) : 감지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44) : 감지 데이터 분석부
(46) : 경보 발생부 (48) : 화재 상황 전파부

Claims (7)

  1.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 결과인 제1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시설물에 설치된 소방 설비의 상태 변화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 결과인 제2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태 감지부;
    상기 시설물 내부에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감지 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상황을 전파하는 원격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부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감지 데이터 수신부,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판단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부는 상기 시설물의 화재 발생 상황을 전파하는 화재 상황 전파부, 및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감지 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지부는 저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스프링 쿨러 배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 또는 화재 수신반 전원부의 전압을 측정하는전압 측정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는 상기 저수조 수위 데이터, 상기 스프링 쿨러 배관 압력 데이터, 또는 상기 화재 수신반 전원부 전압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부는 연기 감지 센서, 불꽃 감지 센서, 또는 온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는 상기 연기 감지 센서, 상기 불꽃 감지 센서, 또는 상기 온도 센서의 동작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0080112112A 2008-11-12 2008-11-12 네트워크 기반의 화재 감시 시스템 KR20100053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112A KR20100053128A (ko) 2008-11-12 2008-11-12 네트워크 기반의 화재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112A KR20100053128A (ko) 2008-11-12 2008-11-12 네트워크 기반의 화재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128A true KR20100053128A (ko) 2010-05-20

Family

ID=4227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112A KR20100053128A (ko) 2008-11-12 2008-11-12 네트워크 기반의 화재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312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962A (ko) 2014-05-28 2015-12-08 (주)이공감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700870B1 (ko) * 2016-05-26 2017-02-02 (주)무림설계기술단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초고속 통신망과 연계한 소방관리 시스템
KR20170065217A (ko) 2015-12-03 2017-06-13 (주)이공감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CN110311185A (zh) * 2019-07-16 2019-10-08 华侨大学 新能源动力汽车锂电池箱火灾安全状态无线监测***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962A (ko) 2014-05-28 2015-12-08 (주)이공감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20170065217A (ko) 2015-12-03 2017-06-13 (주)이공감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700870B1 (ko) * 2016-05-26 2017-02-02 (주)무림설계기술단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초고속 통신망과 연계한 소방관리 시스템
CN110311185A (zh) * 2019-07-16 2019-10-08 华侨大学 新能源动力汽车锂电池箱火灾安全状态无线监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935B1 (ko) 스마트 화재 관리 시스템
KR101104519B1 (ko) 비접촉식 통합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796945B1 (ko) 웹 서버 및 이메일 통지를 갖는 흡인 환경 센서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KR101175202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39860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CN111429685A (zh) 互联网促进的火灾安全***和实时监控***及其灭火器监控方法
CN103071269B (zh) 一种新型消防自动末端试水***
KR101453164B1 (ko) 공동 주택 단지 또는 빌딩의 원격 소방 점검 시스템 및 방법
CN104183077A (zh) 风力发电机组的消防控制***和消防控制方法
JP7249380B2 (ja) 防災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器
KR102464640B1 (ko) IoT 기반의 화재 감시 및 관리 시스템
CN105976116A (zh) 基于物联网的消防安全动态评价方法及***
KR20160010896A (ko) 스마트 문화재 소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35676B1 (ko) 예비전력의 사용 시 안정적인 속도로 화재감시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화재감시 시스템
KR20100053128A (ko) 네트워크 기반의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775489B1 (ko) 소방 전원공급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090125582A (ko) 유무선망을 이용한 건축물 방재 및 안전관리 통보시스템
KR100930980B1 (ko) 각종 건물에 설비된 소방장비의 관리시스템
KR101700870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초고속 통신망과 연계한 소방관리 시스템
CN111558191A (zh) 消防物联网智能管理***
KR20210020392A (ko) P형 복합식 수신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94097A (ko)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JP2013085914A (ja) アラーム弁とそれを備えた消火設備および火災報知設備
CN106802622A (zh) 基于总线结构的消防设备电源智能综合监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