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551A - 후두 마스크 - Google Patents

후두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551A
KR20100052551A KR1020107006826A KR20107006826A KR20100052551A KR 20100052551 A KR20100052551 A KR 20100052551A KR 1020107006826 A KR1020107006826 A KR 1020107006826A KR 20107006826 A KR20107006826 A KR 20107006826A KR 20100052551 A KR20100052551 A KR 20100052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airway
laryngeal
maintenance device
laryn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6563B1 (ko
Inventor
카낙 바스카
Original Assignee
바스카 미낙쉬
카낙 바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7904697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7904697A0/en
Application filed by 바스카 미낙쉬, 카낙 바스카 filed Critical 바스카 미낙쉬
Publication of KR20100052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09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 for closing the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15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ccess means to the stoma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Mouthpieces
    • A61M16/0493Mouthpiece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tube from damage caused by the patient's teeth, e.g. bite blo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도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가 후두 인두에 위치될 때 후두에 대한 시일을 형성하는 주변부를 구비하여서, 외부로부터의 유체가 후두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가 후두 인두 내로 적절히 삽입되었을 때 가스가 후두로 관통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와 연결된 기도 관을 포함한다. 상기 마스크의 주변부는 상기 기도 유지 장치가 환자 내로 삽입되었을 때 후두 개구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과 접촉하는 연질의 가요성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연질의 가요성 부분은 상기 기도 관에 가압 가스를 공급할 때 상기 후두 개구 또는 인두 벽을 둘러싸고 있는 조직과 접촉하게 가압하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후두 마스크{LARYNGEAL MASK}
본 발명은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은 후두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 마취 하에서 수행되는 외과적 처치 중에 생존가능한 기도를 유지하는 것은 환자의 안전에 있어 중요하다. 오랜 기간 동안 그러한 외과적 처치 중에 생존가능한 기도를 유지하는 것은 기관내관을 환자에게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상기 기관내관은 전형적으로 구강 또는 비강을 통하여 후두 내로, 그리고 성대를 통하여 기관 내로 삽입된다. 기관내관은 성대를 통하여 삽입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기관내관을 정확히 위치설정하는데 있어 종종 어려움을 겪는다.
영국 특허 제 2,111,394 호(미국 특허 제 4,509,514 호에 대응함)는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이 장치는 인공 기도 장치로서 기술되어 있다. 이 장치는 후두 뒤의 실제적 및 잠재적인 공간에 쉽게 끼워져서, 후두의 내부로 관통함이 없이도 후두 입구의 원주 둘레를 밀봉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된 중공형 마스크부의 내부로 일단부가 개구된 만곡형의 가요성 관을 포함한다. 이 장치의 상업적인 형태는 마스크의 주위 둘레로 연장하는 팽창가능한 칼라를 갖는다. 팽창가능한 칼라는 칼라가 팽창될 때 후두 입구 둘레로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마스크부는 인후의 후방을 가압해서 후두 입구 둘레의 임봉 압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팽창가능한 후부를 구비하였다.
영국 특허 제 2,111,394 호는 마스크의 형상과 팽창가능한 부분 또는 부분들(끼워맞춤시)이 후두 입구와 그 뒤에 있는 인후의 하부의 벽 사이의 공간의 형상에 상당히 근사하게 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인후의 후방을 형성하는 조직의 벽은 매우 강성이기 때문에, 마스크가 팽창하면 후두 입구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에 보다 긴밀하게 힘이 가해져서, 기밀 시일을 형성하는 한편 마스크를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경향이 있다.
영국 특허 2,111,394 호에 기술된 장치를 이용하면, 이 장치는 마스크가 인후의 기제(base)에 있는 원위단에 머물면서, 통상은 폐쇄되어 있는 식도의 상단부에 접촉해 놓일 때까지 환자의 입을 통해서 후두개를 지나 인후 아래로 삽입된다. 그 후 마스크 상의 팽창가능한 링이 팽창해서 후두의 입구 둘레를 밀봉한다. 따라서 환자의 기도가 확보되고 방해받지 않으며 또한 후두 마스크가 양압 또는 자발 호흡을 위해서 종래의 마취제 회로 호스(hosing)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환자가 일반 마취 하에 있을 때, 환자는 종종 뒤나 또는 옆으로 수평 위치로 눕는다. 일반 마취 하에 있을 때에는, 몸에 있어서의 반사 반응이 억제되고, 식도로부터 위의 상부를 폐색하는 괄약근이 이완된다. 그 결과, (천연적으로 산성인) 위액이 식도를 따라 흐를 수 있다. 위액이 폐로 흡입되면 치사(fatal)의 결과를 가져 올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위액이 기관 내로 도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중요하다.
일반 마취 하의 환자가 코, 입 또는 목의 일반적인 처치를 경험하는 경우에, 타액, 혈액 및 코의 분비물이 후두 인두를 통하여 기관 내로, 그리고 그 후에는 폐 내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잠재적으로 위험한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영국 특허 제 2,111,394 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후두 마스크를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자는 상당한 양의 위액이 마스크 둘레에 모이면, 그 위액이 마스크의 시일을 지나서 폐 안으로 그 진로를 잡을 수 있다. 위액 및 산이 폐 안으로 들어간다면 위험하다.
영국 특허 제 2,111,394 호에 기술된 후두 마스크는 또한 파일롯 라인(pilot line)에 있어서의 결점이 많은 밸브로 인하여 또는 팽창가능한 링 또는 칼라의 누설 또는 인열로 인하여 누설의 문제를 가질 수도 있다. 낭대의 수축은 후두 둘레의 시일이 손상될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킬 것이며, 이것은 결과적으로 위산이 폐 내로 들어갈 가능성을 증가시킬 것이 명백하다. 낭대 수축이 없는 통상의 이용시조차도, 당대 둘레에 위로부터 분출된 산이 모여서 공기 통로로 들어갈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 그 이유는 (낭대가 인후두를 완전히 차단하기 있음으로 인해서) 산이 탈출할 수 있는 다른 길이 없기 때문이다. 현재 이용가능한 마스크는 모든 환자에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없다(특히 큰 복부를 갖는 환자에게 안전하지 않다)는 제약이 있다.
전술한 문제의 가능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영국 특허 제 2,111,394 호의 특허권자는 후두 영역 둘레로 전체 시일을 만들기 위하여 이중 낭대를 갖는 후두 마스크를 도입하였다. 또한 이 마스크는 후두 마스크의 후방부를 따라서 식도 내로 연장하는 추가의 관을 구비하였다. 이것은 이 통로를 통하여 삽입된 라일관(Ryle tube)에 의해서 위로부터 위산을 흡출할 수 있게 한다. 이 후두 마스크의 식도관에 대하여 흡입을 가하면 식도의 조직이 제 2 관의 입구 내로 흡입되는 일이 생길 수 있다. 그러면 제 2 관이 봉쇄되어 상측 식도로부터 위산을 제거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가 될 수도 있다.
이중 당대 후두 마스크는 마스크의 후두측 내로 개구하는 추가적인 두 개의 소형 관을 더욱 구비한다. 이 관들은 후두 내로 시일을 지나서 길을 만드는 임의의 위액을 후두로부터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관에 대하여 흡입을 가하면, 기관으로부터 마취 가스를 제거할 가능성이 있고 또한 폐 또는 폐들의 허탈(collapsing) 가능성도 증가된다. 또한 위(stomach)로부터 다가오는 모든 용적의 산(acid)을 성공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마스크 내의 보다 작은 직경의 개구보다 유체 유동에 대하여 보다 작은 저항의 경로를 제공하는 큰 직경의 개구 때문에, 그리고 기관의 기관지 관이 앙와위의 환자에 있어서 보다 낮은 레벨이 있기 때문에, 산이 큰 직경의 기도(기관) 내로 바람직하게 이동할 수도 있다.
전술한 개량된 후두 마스크가 호주 특허 제 630433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출원인의 국제 출원 제 PCT/AU2004/001011 호(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됨)에는, 마스크가 후두 인두 내에 위치될 때 후두에 대하여 시일을 형성하여서, 외부로부터의 유체가 후두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진 탄성의 순응성 주변부를 갖는 마스크를 포함하는 환자의 기도 유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는, 마스크가 후두 인두 내로 삽입될 때 마스크의 주변부는 후두 인두와 식도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강을 규정하며, 마스크가 후두 인두 내로 적절히 삽입될 때 후두에 가스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기도관이 마스크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 장치는 그 주변부 둘레에 팽창가능한 낭대를 갖지 않는다. 오히려,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마스크의 벽은 외향으로 연장한 다음에 상향 및 내향으로 연장하는 설계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벽은 후두 둘레에 시일을 형성하여, 마취중 식도로부터의 유체가 후두로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더구나, 벽은 마스크가 후두 인두 내로 삽입될 때 후두 인두와 식도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강을 형성한다.
전술한 예와 같은 후두 마스크가 널리 받아들여진다는 것을 발견하였지만, 후두 마스크를 환자의 기도 내로 삽입하는 도중에 난관에 봉착할 수 있다. 특히 후두 마스크의 삽입 도중에 마스크의 팁이 종종 인두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마스크를 환자에게 적절히 위치설정하기 위해서는, 삽입 중 마스크의 특별 조종이 필요하다.
인간의 머리와 목의 해부 모형은 수많은 근육, 신경 및 연골을 구비한다. 갑상 연골은 기관 상부의 전방 둘레로 연장하는 개방된 대체로 반원통형의 연골을 포함한다. 갑상 연골 아래에는 윤상 연골이 있다. 윤상 연골은 기관의 상부 둘레로 연장하는 연골의 고체 링을 형성한다. 윤상 연골의 후방 부분은 기관과 식도 사이의 벽 내에 위치된다.
연골의 폐쇄 링 또는 고체 링 형태의 윤상 연골은, 가능한 큰 위를 가진 환자 및 응급 수술을 필요로 하는 환자 또는 호흡이 멈춘 환자의 식도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들 예에 있어서는, 기관내관이나 후두 마스크 중 어느 하나가 기도 통풍을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 내로 삽입된다. 그러나, 환자가 큰 위를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역류 또는 구토의 위험성이 증가된다. 따라서 후방의 인두 벽에 대항하여 식도를 압박하기 위하여 목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윤상 연골까지 외부적으로 가해지는 외부의 윤상 압력을 이용하여, 역류 물질이 성문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을 중단시켜서 폐로 흡출되지 못하게 한다. 외부의 윤상 압력은 생육가능한 기도가 완전히 확보될 때까지 가해져서 유지되어야 한다. 현재 이용가능한 후두 마스크를 이용하여 간헐적인 정압 통풍(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을 성공적으로 가하려면, 외부의 윤상 압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효율적인 외부 윤상 압력을 가하려면, 특수 훈련된 사람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결점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극복하거나 또는 적어도 개선하는 개량된 후두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명료하게 기술하기 위하여,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하기의 정의가 사용될 것이다. 기도 장치가 환자에게 적절히 위치설정될 때, 마스크는 후두측(환자의 후두에 가장 가까운 쪽, 마스크의 복면측 또는 전방측이라고 함)과, 후두로부터 멀리 위치되는 배면측이 되는 타측을 가질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배면측의 원위단부는 식도를 향하여 배향된다. 배면측의 근위단부는 환자의 구강인두(oropharynx) 및 입을 향하여 배향된다. 사용시 후두를 향하는 마스크측은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후두측” 또는 “복면측”이라 할 것이다. 방향의 면에 있어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하향”이라는 용어와 그의 문법적 균등 용어는 마스크의 후두측 또는 복면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을 말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상향”이라는 용어 및 그의 문법적 균등 용어는 마스크의 배면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을 말할 것이다.
제 1 실시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도 유지 장치에 있어서, 마스크가 후두 인두에 위치될 때 후두에 대한 시일을 형성하는 주변부를 구비하여서, 외부로부터의 유체가 후두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가 후두 인두 내로 적절히 삽입되었을 때 가스가 후두로 관통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와 연결된 기도 관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의 주변부는 상기 기도 유지 장치가 환자 내로 삽입되었을 때 후두 개구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과 접촉하는 연질의 가요성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연질의 가요성 부분은 상기 기도 관에 가압 가스를 공급할 때 상기 후두 개구 또는 인두 벽을 둘러싸고 있는 조직과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기도 유지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질의 가요성 부분은 내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내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상기 마스크의 복면 측에 위치된다. 적절하게, 상기 내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통풍 가스가 통과하는 개구를 구비 또는 규정한다. 적절하게, 내향으로 연장하는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 부분은 가압된 통풍 가스가 기도 마스크에 공급될 때 팽창된다. 이 “팽창”은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을 밀어서, 가압된 통풍 가스가 기도 마스크에 가해지지 않을 때 존재하는 것보다 큰 힘으로 후두 개구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과 보다 확실히 접촉하게 한다.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을 밀어서 후두 개구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에 접촉시키는 힘이 기도관 내의 가압된 통풍 가스에 의해서 증가하기 때문에, 후두 개구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에 대해서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이 이루는 밀봉이 또한 개선된다. 따라서 후두 개구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과 밀봉을 이루는데 있어서는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의 강도 또는 효율성은 기도관에 공급되는 통풍 가스의 압력에 비례한다. 이것은, 후두 개구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에 형성된 밀봉의 강도가 팽창가능한 낭대의 팽창 압력(이 팽창 압력은 기도관을 거쳐서 공급되는 통풍 가스의 압력과는 관계 없음)에 따라 달라지거나 또는 후두 마스크를 만드는 재료의 강도 또는 탄성(resiliency)에 따라 달라지는 현존하는 후두 마스크 기도 장치와 정 반대이다. 종래의 후두 마스크에서의 밀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다 큰 크기의 마스크가 종종 사용되지만, 이것은 환자에게 불편함을 증가시키고 회복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IPPV중 기도 압력이 증가될 때 시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팽창가능한 낭대를 구비하는 현재 이용가능한 후두 마스크에 있어서, 기도 압력의 증가는 전방의 인두 벽을 마스크의 이미 팽창되어 있는 고정된 주변 낭대로부터 멀리 밀어서 마스크와 인두 벽 사이에 간극을 만든다. 결과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팽창된 낭대와 인두 벽 사이로 가스가 탈출한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연질의 가요성 부분은 마스크가 환자 내에 위치될 때 후두 둘레의 구조물에 접해 놓여서 이 구조물을 따라 연장되며, 이 연질의 가요성 부분은 가압 가스가 마스크에 공급될 때 밀려서 후두 둘레의 구조물과 접촉한다.
상기 연질의 가요성 부분은 돔형의 멤브레인, 접힌 멤브레인, 또는 상기 후두 개구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부분을 구비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은 개구를 적절히 구비 또는 규정하며, 개구의 근방에 얇은 벽 두께를 바람직하게 갖는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질의 가요성 부분 내의 개구는 상기 개구의 둘레 또는 그 근방에 보다 두꺼운 재료의 영역 또는 링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것은 개구의 형상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은 마스크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이 예를 들면 적절한 접착제, 초음파 용접,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연결 기술을 이용하여 마스크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은 이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보다 더 두꺼운 벽 두께 또는 더 적은 가요성을 갖는 영역 또는 부분을 구비하는 보다 큰 구조물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보다 큰 구조물은 기도 장치가 환자 내로 삽입될 때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이 후두 개구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과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이 보다 큰 구조물은 기도 장치가 환자 내로 삽입될 때 후두 개구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에 접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는 임의의 기도 장치에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태양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는 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가압된 통풍 가스가 기도관으로 공급될 때, (가압된 통풍 가스로부터 야기되는) 마스크 내의 증가된 내압은 마스크를 원주방향으로 팽창시킬 것이다. 마스크는 가변 벽 두께로 만들어져서 그것의 팽창이 마스크의 상이한 부분에서 상당히 상이할 수 있다. 이 팽창은 인두 벽에 대하여 모든 방향에서의 마스크 둘레의 밀봉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전방 인두 벽(즉 후두 개구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을 향하는 마스크의 부분이 가변 두께의 벽 영역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보다 얇은 부분은 최대로 팽창해서 그것이 접촉하고 있는 조직에 대하여 추가의 압력을 가한다. 마스크의 이러한 팽창은 통풍 가스에 의해서 야기된다. 따라서 마스크에 의해서 이루어진 시일의 강도 또는 효율성은 사용된 통풍 가스의 압력에 비례한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치는 기도관에 부착되거나 또는 기도관으로부터 연장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루프 또는 브라켓을 추가로 구비하여서, 환자 내의 사용중 장치가 보다 쉽게 감기거나 또는 묶이게 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루프 또는 브라켓이 기도관의 복면측 상에 위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루프 또는 브라켓이 기도관의 복면측과 배면측의 양자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도관은 마스크의 고정을 촉진하고 장치를 사용하는 의사 손가락의 위치설정을 촉진하기 위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함몰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손가락을 위한 손가락 파지부가 기도관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는 정압 통풍을 위하여, 인공소생(resuscitation)을 위하여 그리고 마취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질의 가요성 부분은 가압 가스가 상기 마스크에 공급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연질의 가요성 부분의 형상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보강 리브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강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그것의 원위 팁 근방에 배면 홈 또는 리세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배면 홈 또는 리세스는 마스크가 환자 내로 삽입되고 있을 중에 마스크의 원위 팁이 인후의 후방 벽과 접촉할 때 마스크의 원위 팁을 구부러지게 하는 경향이 있다. 삽입이 계속됨에 따라, 원위 팁은 궁극적으로 정확한 위치로 펴진다. 따라서 마스크의 원위 팁 근방의 배면 홈 또는 리세스는 삽입 중 마스크가 인후의 후방 벽 상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것은 환자 내로의 삽입 중 끈적끈적한 멤브레인에 대한 손상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마스크가 올바른 길로 이동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의 복면방향 주변부의 원위단부는 상기 마스크의 배면 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상향 연장부를 구비한다. 이것은, 마스크의 삽입 중 마스크의 원위단부가 후두에 도달할 때, 원위단부에 있는 상향 연장부가 후두에 진입하는 경향을 갖지 않으며, 그에 따라서 후두에 달라 붙는 경향을 갖지 않아서 마스크의 원위단부가 후두 내로 바람직하게 않게 삽입될 위험성을 저하시킨다. 다시 말해서, 원위단의 만곡 부분은 후두 뒤에서 제거되어(scoop), 마스크의 원위단부가 후두 뒤에서 쉽게 미끄럼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상향 연장부는 마스크의 사용중 식도로부터 마스크의 근위 측으로의 유체 유동을 촉진하도록 그 내에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상향 연장부는 상향 연장 벽에 의해서 규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개구는 상기 상향 연장 벽 내에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원위단부는 큰 곡률 반경을 가질 수도 있다. 이것은 마스크의 원위단부가 비교적 “무딘” 외관을 갖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이것은 또한 환자의 인후 뒤에 있는 구조물 상이나 또는 후두의 입구 상에 마스크가 덜 걸리게 하기 때문에 환자 내로의 마스크 삽입을 촉진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여겨진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의 주변부는 팽창가능한 낭대를 구비하고, 상기 연질의 가요성 부분이 상기 팽창가능한 낭대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통풍 가스가 환자에게 공급되는 상기 마스크의 개구의 원위단부는 경사진 영역 또는 램프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사진 영역 또는 램프는 마스크의 삽입중 후두가 보다 쉽게 미끄럼 이동할 수 있게 하여서, 후두가 적절히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추가로 후두는 개구 내로 적절히 안착되어서, 마스크가 환자의 속으로 너무 깊숙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스크가 환자 내에 정확히 위치설정되는데 도움을 준다.
마스크는 그것의 원위단부 근방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를 갖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는 마스크가 환자 내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식도와 인후 영역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할 수도 있다.
상기 마스크는 사용시 식도와 유체 연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종방향 연장 통로 또는 강을 가질 수도 있다. 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종방향 연장 통로 또는 강은 마스크의 원위 팁에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있을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마스크는, 기도관과 유체 연통하고 있고, 사용시에는 환자의 후두와 유체 연통하고 있는 체임버를 규정하는 중앙 부분을 구비한다. 마스크의 주변부는 하향으로 연장한 후에 내향으로 연장하는 체임버의 하단에 의해 형성되어서, 사용시 후두와의 시일을 형성하는 주변부를 규정할 수도 있다. 주변부는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을 구비할 수도 있다. 마스크의 배면 표면은 체임버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배면 표면은 체임버의 상부를 지나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구비할 수도 있다. 마스크의 하측 주변부(또는 복면 주변 표면)가 하향 연장부 및 내향 연장부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마스크의 복면측 상에 있는 주변부의 외측 에지와 배면 표면의 횡방향 부분은 마스크를 사용하고 있을 때 마스크의 근위 부분과 식도 사이에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통로 또는 개구를 규정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는 체임버의 상부를 지나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배면 표면의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종방향 연장 벽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종방향 연장 벽은 체임버의 상부를 지나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배면 표면과의 유동 통로를 규정하고 또한 체임버의 상부와 추가의 유동 통로를 규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동 통로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측을 갖는다. 상기 유동 통로에 개방측을 제공하면, 마스크의 삽입 중 마스크가 보다 쉽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마스크의 삽입을 돕는다고 여겨진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는 윤상 연골을 향하여 연장되는 윤상 접촉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윤상 접촉부는 상기 마스크가 적절히 삽입되었을 때 윤상 연골과 접촉하며 상기 윤상 연골의 근방에서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마스크가 적절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윤상 연골을 지나서 연장하는 원위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마스크의 윤상 접촉부는 상기 마스크의 배면 벽의 내측 또는 복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장부는 마스크부 내의 기도 체임버 또는 기도 강 내에서 복면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윤상 접촉부는 탄성 재료로 만들어져서, 윤상 접촉부가 윤상 연골과 접촉할 때 윤상 접촉부가 윤상 연골을 후방 인두 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밀게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윤상 연골과 후방 인두 벽 사이에 실제적인 공간을 생성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의 윤상 접촉부는 윤상 연골의 후방과 후측방 측에 대해서 압력을 가할 수도 있다. 이것은 윤상 인두와 식도의 상단부를 개방시키는 작용을 하여서, 식도로부터 인두의 나머지 부분으로의 유체의 자유 흐름을 허용하고, 또한 위(stomach)로부터 역류된 임의의 유체가 흡입에 의하여 제거될 수도 있게 한다.
추가로, 윤상 연골과 접촉하는 마스크의 윤상 접촉부는 마스크의 윤상 접촉부와 윤상 연골 사이에 개선된 시일을 형성하여서, 마스크를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는 후두 둘레의 시일을 개선한다. 게다가, 윤상 접촉부는 상부 식도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게 하고, 또한 마스크 내의 통로 및 섬프 영역과 양호한 유체 연통 상태로 유지된다. 이 섬프 영역은 마스크부 측부의 통로, 마스크의 원위단부에 있는 개구, 및 통로들 사이에서 유체 연통하게 하는 마스크 내의 임의의 횡방향 연장 개구에 의해서 형성된다.
윤상 연골을 향하여 연장되는 윤상 접촉부는, 윤상 연골의 후방 부분이 윤상 접촉부와 편안히 끼워맞춤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 윤상 접촉부는 윤상 연골의 근방에 개선될 시일을 형성한다.
상기 윤상 접촉부는 사용시 상기 윤상 연골과 접촉하는 탄성의 순응성 구조물을 가질 수도 있다. 이것은 윤상 연골과 접촉하는 표면이 윤상 연골의 근방에서 매우 양호한 시일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윤상 접촉부는 윤상 연골이 편안하게 끼워맞춤되는 삼각건의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윤상 접촉부의 배면방향에 위치하는 마스크부의 영역은 브릿지(bridge)와 같이 작용할 수도 있다. 이 브릿지는 마스크부 일측 상의 통로와 마스크부 타측 상의 통로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횡방향 개구일 수도 있음)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개구 또는 개구들은 임의의 역류된 유체가 마스크의 양쪽에 있는 통로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여서, 역류된 유체를 수집하기 위한 대형의 섬프 영역을 형성한다. 추가로, 통로들 중 단 하나에 흡입을 가함으로써 그 통로를 거쳐서 유체를 제거할 수 있다. 배출 공기가 다른 통로를 위로 올라 가서 섬프 영역 내의 부압 영역의 형성을 회피한다. 브릿지 내의 개구는 이 개구에 흡입이 가해지도록 하는 통로와, 배출 공기가 이 개구를 따라 흐르도록 하는 통로 사이에서 적절한 유체 연통을 허용하여서, 배출 공기가 개구를 통하여 통로로 쉽게 상향 유동할 수 있게 하며(따라서 마스크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흐를 수 있게 하며), 그 후 개구에 흡입을 가하는 통로로 하향 유동한다.
마스크부는 섬프 영역을 규정할 수도 있다. 섬프 영역은 마스크를 통과하는 횡방향 개구 및 통로에 의해서 규정될 수도 있다. 마스크의 원위단부에 있는 이 개구 또는 개구들은 섬프 영역 또는 섬프 구역의 일부를 형성한다.
윤상 접촉부는 유체가 식도로부터 쉽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후방 윤상 압력을 기술적으로 형성하여서, 마스크 내의 통로 중 하나에 높은 흡입을 가함으로써 유체가 섬프 영역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역류된 유체가 상측 식도로부터 쉽게 흘러 나올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환자 폐 내로의 유체 흡인을 야기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 있는 상측 식도 내에서의 압력 하의 유체 축적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마스크는 마스크의 사용중 후두를 향하고 있으며 내벽을 갖는 체임버를 구비할 수도 있다. 마스크의 주변부는 체임버 둘레로 적절히 연장된다. 마스크의 주변부는 체임버의 복면부의 연장부로서 적절히 형성될 수도 있다. 체임버는 기도관과 유체 연통하여서 가스가 기도관으로부터 체임버 내로 반송된 후에 환자의 후두 및 기관 내로 반송되도록 할 수 있다. 윤상 접촉부는 체임버의 배면 내측 벽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윤상 접촉부는 체임버의 배면 내측 벽에 대하여 복면방향으로 위치된 돌기부 또는 융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윤상 접촉부는 마스크의 원위단부를 향하여 위치될 수도 있다.
마스크의 원위단부는 마스크의 배면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영역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영역은 마스크의 배면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램프 또는 경사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영역은 윤상 접촉부의 원위 연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윤상 접촉부는 마스크 내로부터의 스프링 작용 효과를 이용하여 윤상 연골에 압력을 가한다. 이것은 후두 둘레로 완전한 시일을 이루어서(보다 높은 IPPV 압력을 허용함) 위(stomach)로부터의 역류 유체 흡인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기도 유지 장치는 마스크와 기도관이 연결 또는 통합되는 곳의 근방에 또는 상기 마스크의 근위 부분에 복면방향 곡률반경을 가질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복면 곡률에 인접하는 기도관의 영역에 반대방향의 곡률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것은 삽입중 마스크의 팁을 배면방향으로 미는데 도움을 주며, 따라서 삽입중 마스크를 전진시키는데 도움을 주어서, 마스크가 후두에 걸릴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마스크의 원위단부에 또는 그 근방에 배면방향으로 연장하는 램프를 제공하면 이와 관련하여 도움이 될 것이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은 상기 마스크에 통풍 가스가 공급될 때 배모양(piriform recess)의 리세스 내로 연장되어 그것을 채울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 배모양의 리세스는 후두로의 입구 근방에 만들어진 구조물이다. 이 구조물은 후두의 양쪽에 부드러운 영역을 제공하는데, 이 부드러운 영역은 하측의 뼈나 이 뼈를 지지하는 연골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배모양의 리세스는 현재 이용가능한 후두 마스크에서 마스크가 환자 내로 삽입될 때 잠재적인 누설 부위이다.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을 제공함에 의해서, 통풍 가스는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이 배 모양의 리세스 내로 부풀어서 통풍 가스를 포획하게 하고 따라서 배모양의 리세스 영역에 향상된 시일을 제공한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환자의 삽관을 촉진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부의 배면 벽은 마스크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기관내관의 단부를 마스크의 개구를 통해 환자의 기관 내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또는 램프로서의 역할을 하는 복면방향 연장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면방향 연장부는 마스크의 윤상 접촉부로부터 연장하는 추가의 연장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복면방향 연장부는 기도 체임버 내에서 배면 벽의 표면 아래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윤상 접촉부의 바로 근위에 배치된 분리형 구조물(separate structure)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는 마스크부의 체임버 내로 상향으로 연장하는 배리어를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 배리어는 마스크를 통하여 삽입되는 기관내관의 단부를 개구를 통하여 환자의 기관 내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리어는 플랩을 포함한다. 이 플랩은 자유 단부 또는 자유 에지를 가질 수도 있다. 플랩은 그것이 상향으로 연장함에 따라 테이퍼진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배리어는 마스크 내의 개구의 원위단부로부터 마스크의 배면측을 향해서 상향으로 연장하는 벽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랩은 개구의 원위 부분 둘레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부의 배면 벽은 플랩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다. 예를 들면, 상기 배면 벽은 상기 체임버의 배면 벽 내에 형성된 리세스를 구비하고, 상기 리세스는 플랩을 수용할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배면 벽이 윤상 접촉부에 대하여 분리된 복면방향 연장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복면방향 연장부는 윤상 접촉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내측 배면 벽으로부터 복면방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으며, 복면방향 연장부는 배면방향으로 연장하는 원위부를 구비하고, 윤상 접촉부는 복면방향 연장부의 원위부로부터 복면방향으로 연장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복면방향 연장부의 원위단부는 복면방향 연장부의 원위에 위치된 리세스를 규정하며, 이 리세스는 배리어 또는 플랩을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리어 또는 플랩은 장치가 환자 내로 삽입될 때 리세스내로 이동한다. 이와 관련하여, 장치를 환자 내로 삽입하면, (장치의 주변부와 환자의 조직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해서) 장치의 주변부가 변형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변형은 플랩을 이동시켜서 리세스 내로 연장되도록 한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리세스의 벽에 접하여 놓일 수도 있으며, 또 윤상 접촉부에 접하여 놓일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플랩은 기관내관에 대하여 표면을 제공하며, 따라서 기관내관이 삽입됨에 따라 기관내관의 단부가 플랩을 따라 이동하여서 장치 내의 개구를 통하여 나가도록 한다.
이들 실시예의 마스크는 환자에게 삽관하기에 또는 다른 장비를 환자의 기관 내로 삽입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연질의 가요성 부분은 0.1mm 내지 1mm, 더욱 적절하게는 0.1mm 내지 0.6mm 의 두께를 갖는다. 연질의 가요성 부분은 마스크의 다른 부분보다 더 얇은 벽 두께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스크는 예컨대 탄성 중합체(elastic polymers), 의료 등급 중합체 또는 식품 등급의 중합체, 예컨대 실리콘 중합체, PVC, 나이트릴, 우레탄 등의 임의의 적당한 중합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다수의 재료가 본 발명의 장치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추가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도 유지 장치에 있어서, 마스크가 후두 인두에 위치될 때 후두에 대한 시일을 형성하는 주변부를 구비하여서, 외부로부터의 유체가 후두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가 후두 인두 내로 적절히 삽입되었을 때 가스가 후두로 관통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와 연결된 기도 관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는 윤상 연골을 향하여 연장되는 윤상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윤상 접촉부는 상기 마스크가 적절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윤상 연골과 접촉하며 상기 윤상 연골의 근방에서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기도 유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더욱 이해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상이한 쪽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단부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저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E-E 단면선을 따라 취한 단부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F-F 단면선을 따라 취한 단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마스크와 대체로 유사한 마스크의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A-A 단면선을 따라 취한 측면 단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단부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측면도,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평면도,
도 15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정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A-A 단면선을 따라 취한 측면 단면도,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단부도,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측면도,
도 20은 도 15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의 사시도,
도 22는 도 16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측면 단면도,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평면도,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정면도,
도 25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의 사시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측면 단면도,
도 27은 도 25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평면도,
도 28은 도 25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정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의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1은 도 29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측면도,
도 32는 도 29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정면도,
도 33은 도 29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배면도,
도 34는 도 29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측면 단면도,
도 35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의 사시도,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상측 사시도,
도 37은 도 35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측면 단면도,
도 38a 내지 도38d는 도 35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은) B-B선 및 E-E선을 따라 각기 취한 정면 단면도,
도 39b는 도 35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도 39a에 도시된 F-F선을 따라 각기 취한) 상측 단면도,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후두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의 하측 도면,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두 마스크의 추가 실시예의 하측 도면,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두 마스크의 또다른 실시예의 하측 도면,
도 4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의 사시 단면도,
도 44는 도 43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측면 단면도,
도 45는 내측 배면 벽 근방에 장벽 부재가 인접해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43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측면 단면도,
도 46은 도 45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측면 단면도,
도 47은 기관내관 또는 광섬유 광가이드가 후두 마스크를 통과한 것을 도시하는, 도 46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측면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할 목적으로 도면을 제공하였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징에만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100)는 마스크부(102) 및 기도관(airway tube: 104)을 포함한다. 마스크부(102) 및 기도관(104)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부품들로 형성된 후에 나중에 서로 끼워맞춤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다.
마스크부(102)는 사용시 환자의 후두 둘레로 연장되어 시일을 형성하는 주변부(105)를 구비한다. 마스크부(105)는 또한 마스크(102)의 상측부 또는 배면부를 규정하는 지붕(roof: 108)을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02) 내에는 체임버(110)가 형성된다. 이 체임버(110)는 기도관(104) 내의 기류관(air flow tube: 103)과 유체 연통하고 있다. 이것은 또한 도 6에 명료히 도시될 수 있다.
기도관(104)은 기도관이 적소에 묶이거나 테이프쳐지게 하는 브라켓 또는 태그(112)를 구비한다. 후두 마스크에는 또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파지부(114)가 제공된다.
후두 마스크(100)는 또한 마스크의 원위단부로부터 마스크의 근위단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통로(116, 118)를 구비한다. 이 통로는 위(stomach)로부터의 역류물이 마스크를 지나 이동해서, 적절한 흡입관을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로(116, 118)중 하나에 흡입이 가해져서 역류물을 제거하고 배출 공기가 나머지 통로로 흐를 수 있게 한다. 이들 통로는 부분적으로는 마스크부(102)의 주변부(105)의 형상에 의해서 형성되고, 부분적으로는 마스크부(102)의 현수되어 있는 지붕부에 의해서 형성된다. 사용시 이들 통로(116, 118)가 식도로부터 역류된 유체의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들 통로는 마스크부(102)의 원위단부에 또는 그 근방에 섬프 영역을 형성하며, 혈액이나 유체와 같은 물질이 이 섬프 영역으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개구(109)가 통로(116)와 통로(118) 사이에 형성되어서 이들 통로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한다.
마스크부(102)는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106)을 구비한다. 이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106)은 마스크부(102)의 복면측에 위치된다. 멤브레인(106)은 그 내에 형성된 개구(109)를 갖는다. 개구(109)는 마스크부(102)의 내측 체임버와 유체 연통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내측 체임버는 기도관과 유체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환자에게 공급되는 통기 가스는, 기도관을 통하여 마스크부(102)의 내측 체임버 내로 이동한 후에 개구(109)를 통하여 환자의 기관 내로 이동한다.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106)은 개구(109)의 근처 둘레로 연장되는 복면측 벽부(111)를 구비한다. 복면측 벽부(111)는 마스크가 환자 내로 삽입되었을 때, 복면측 벽부(111)가 후두 입구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에 대체로 평행하게 놓일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또한 그러한 위치에 설정된다. 추가로, 도 7 및 도 8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106)은 환자에 의해 역류될 수도 있는 위 물질의 제거를 허용하는 통로(116, 118)를 부분적으로 규정하는 영역(112, 114)으로부터 복면방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벽 섹션(112, 114)은 외측으로 연장된 다음에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106) 내로 내향으로 절곡되는데,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106)은 벽 섹션(112, 114)의 복면방향으로 위치한다. 도 6, 7 및 8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질 가요성 멤브레인(106)의 복면방향 벽부(111)는 벽 섹션(112, 114)보다 얇은 벽 섹션을 갖는다.
도 7 및 도 8은 환자에게 통풍 가스를 공급하는 기도 통로(103)를 도시한다. 마스크의 복면부의 형상으로 인하여, 환자에게 가압된 통풍 가스를 공급할 때(예를 들면 정압 통풍중 간헐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음), 가압 가스는 도 7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의 벽 상에 힘을 가한다. 또한 통풍 가스는 개구(109)를 통하여 배출된다. 통풍 가스에 의해 가해지는 힘으로 인하여,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106)이 통풍 가스에 의해서 외측으로 밀려난다. 그 결과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106)이 그 하측의 조직과 보다 잘 접촉하도록 가압되어서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106)과 하측의 조직 사이에 보다 양호한 밀봉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통풍 가스의 압력이 증가되면,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106)과 하측의 조직 사이의 밀봉이 향상되고, 그 결과 누설의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자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면, 마스크의 체임버 내에서 60 cm H2O 이상의 내압을 견딜 수 있는 시일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대비하여, 현재 이용가능한 후두 마스크는 20 내지 45 cm H2O 의 내압만을 견딜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멤브레인부(106)는 개구(109)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마스크의 배면측을 향하여 상향으로 연장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마스크가 환자에게 삽입될 때, 후두의 구조물은 개구(109)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멤브레인부(106)의 외향 연장부와 본질적으로 접촉해서 그 아래에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향으로) 놓인다. 따라서, 멤브레인부의 형상은 기도관을 거쳐서 공급된 작용 공기를 효율적으로 "포획"해서 시일을 향상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추가로, 멤브레인을 지나서 숭풍되는 또는 멤브레인으로부터 외측으로 송풍되는 작용 공기 압력의 위험이 최소화된다.
마스크(100)는 또한 노치 또는 함몰부(120)를 구비하는데, 이 노치 또는 함몰부는 마스크가 그 둘레로 휘어지는 것을 허용하여 마스크의 삽입을 촉진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노치 또는 함몰부(120)는 생략될 수도 있고, 마스크는 팁(tip)의 배면 어스펙트 상에서 마스크의 단부에 각도 또는 경사를 구비하여서, 삽입중에 팁이 기도 안에서 하측으로 구부러져서 후두를 향하여 휘어질 수 있게 한다.
마스크부(102)의 원위단부(130)는 상향 연장 단부를 포함한다. 이것은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다. 마스크부(102)의 복면 부분의 원위단부(130)의 상향 연장부는 마스크의 삽입 중 마스크가 후두 상에 걸릴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후두 내로 들어가는데 도움을 주며, 또한 마스크의 원위단부가 후두 뒤로 용이하게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촉진한다. 마스크의 이 부분은 램프(ramp)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장치(200)는 마스크부(202) 및 기도관(204)을 구비한다.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장치와 공통적인 다수의 특징을 갖고 있다. 편리 및 설명의 간결을 위하여, 단지 도 1 내지 도 8에 사용된 참조번호의 앞숫자 "1"을 도 9 내지 도 14에 사용된 참조번호의 앞숫자 "2"로 바꾼 것만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특징과 공통이 되는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장치의 특징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4에 동일 참조 번호를 부여할 것이다.
마스크부(202)는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106)을 구비한다. 추가로 마스크부(202)의 원위단부는 통로(216, 218)와 유체 연통하고 있는 개구(240)를 구비한다. 개구(240)를 둘러싸고 있는 마스크(241)의 단부는 가요성이며, 마스크가 삽입되어서 인후의 후방 벽과 접촉하게 될 때 구부러지도록 설계된다. 마스크가 추가로 삽입될 때, 단부(241)의 탄성(resiliency)으로 인하여 단부(241)가 정확한 방향으로 뒤로 접힐 수 있다. 이것은 환자 내로의 마스크의 삽입을 촉진한다. 추가로, 도 9에 도시된 마스크는 개구(240)의 근방에 폐쇄 벽(243)을 더 구비한다. 도 9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사한 폐쇄 벽이 개구(240)의 다른 측면에 제공된다. 폐쇄 벽(243)은 마스크의 원위 팁을 위한 강화부 또는 보강부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자는 환자 내로의 삽입 중 마스크가 원위단부에서 뒤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일부 마스크에 있어서는 삽입 중 마스크의 팁이 후두 아래에서 직선으로 이동하기 보다는 배모양의 리세스 내로 들어가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면, 마스크가 배모양의 리세스에 있는 후두의 측면에 잡혀서 그 자신의 위로 접혀짐으로써 방해를 야기하게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보강부 또는 강화부(243)는 마스크의 팁이 접히는 것을 중단시킨다. 강화부 또는 보강부가 마스크 내에 포함되면, 삽입중 마스크가 배모양의 리세스를 통과할 때 마스크가 그 자신의 위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스크를 추가로 밀면, 후두가 적절히 위치되면서, 마스크가 적절히 삽입된다.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변부(206)의 주변 측벽(245)은 도 1에 도시된 마스크에 대한 것보다 넓은 범위로 배면 영역을 향하여 상향으로 연장된다. 이것은 삽입중 마스크가 그 자신의 위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후두 마스크(200)에는 윤상(輪狀) 접촉부(250)가 있다. 이 윤상 접촉부(250)는 공기 체임버(254)의 배면 벽(252)으로부터 연장하는 융기 영역 또는 돌출 영역으로서 형성된다. 특히 체임버(254)의 배면 벽(252)은 윤상 접촉부(250) 내로 안내되는 복면방향 연장부(256)를 구비한다.
윤상 접촉부(250)는 횡방향 연장 개구(253, 255)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개구(253, 255)는 공기 체임버(254)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된다[도 9는 개구(253)만을 도시함]. 따라서 개구(253, 255)는 마스크의 양 쪽에 위치되어 있는 통로(216)와 통로(218)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허용한다. 지지 기둥(257)이 개구들(253, 255) 사이에서 연장하고(도 11 참조), 이것은 사용중 윤상 접촉부(250)의 형상을 유지하는데 있어 도움을 준다. 개구(253, 255)는 배출 공기가 마스크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게 한다. 그러면 통로(216 또는 218) 중 하나에 흡입이 적용되는 경우 형성될 수도 있는 부압 영역의 생성을 회피 또는 최소화된다.
윤상 접촉부(250)는 마스크가 환자에게 적절히 삽입되는 경우 윤상 연골의 형상에 밀접하게 부합할 수 있는 탄성의 부합가능한 재료로 적절히 제조된다. 이와 관련하여, 윤상 접촉부(250)는 연질의 변형가능한 외과 등급의 중합체 또는 탄성중합체(elastomer), 심지어는 외과 등급의 실리콘 고무로 제조될 수도 있다. 윤상 접촉부(250)는 윤상 연골의 근방에 양호한 시일을 형성하며 윤상 연골에 압력을 가하는 작용을 하도록 적절히 배열된다(이것은 또한 시일을 유지하는데에도 도움을 준다). 윤상 연골에 압력을 가하면, 윤상 접촉부(250)는 식도의 상부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작용을 하여서 그로부터 역류 물질의 제거를 촉진한다.
이제 도 12를 참조하면, 마스크부(202)의 복면 원위단부가 삼각건(sling) 형상의 영역(260)을 구비한다. 이 삼각건 형상의 영역(260)은 또한 윤상 접촉부(250)의 일부를 형성하기도 한다. 삼각건 형상의 영역(260)은 내부 또는 후방의 윤상 압력을 생성하는데 도움이 되며 또한 윤상 연골 근방에서 환자의 조직과 마스크 사이에 시일을 유지하는데에도 도움이 된다.
후두 마스크(200)는 또한 마스크부(202)의 근위 영역 근방에 위치되는 근위 곡률부(270)를 구비한다.
현존하는 후두 마스크와 비교할 때,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마스크부(202)는 길이가 약간 더 짧다. 예를 들면, 마스크부(202)는 현재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후두 마스크 길이의 대략 2/3에 불과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이것은 환자에게 마스크를 삽입하는 것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9a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대체로 유사한 마스크의 사시도를 도시하는데, 편리함을 위하여, 동일한 특징부에 대하여는, 도 9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다만 a'을 추가하였다. 도 9a의 마스크가 도 9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점은, 도 9의 개방된 통로(216)가 폐쇄된 벽(216a)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폐쇄된 벽은 기도관과 마스크의 측방 에지를 따라 연장하는 관을 효율적으로 만든다.
도 15 내지 도 20은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마스크(200)와 공통이 되는 많은 특징을 갖는 후두 마스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 내지 도 20에 도시된 장치는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장치와 공통이 되는 다수의 특징을 구비한다. 편리함 및 설명의 간결을 위하여, 단지 도 9 내지 도 14에 사용된 참조번호의 앞숫자 "2"를 도 15 내지 도 20에 사용된 참조번호의 앞숫자 "3"으로 바꾼 것만을 제외하고는,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특징과 공통이 되는 도 15 내지 도 20에 도시된 장치의 특징에 대해서는 도 15 내지 도 20에 동일 참조 번호를 부여할 것이다. 이들 특징은 추가로 설명할 필요가 없다.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마스크와 도 15 내지 도 20에 도시된 마스크 사이의 주된 차이는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마스크(300)가 개구(34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원위 연장부(365)를 구비하고 또한 통로(316, 318)와 유체 연통하고 있다는 것이다. 원위 연장부(365)는 가요성의 막모양 깔때기로서 작용하여, 환자 내의 정확한 삽입 위치에서, 상측 식도의 내주 안으로 개방되어 덮개를 열고, 식도로부터의 임의의 역류 유체를 포집해서 그 역류 유체를 원위 개구로 향하게 한다. 이것은 역류 유체가 폐 안으로 흡출될 위험성을 최소화시킨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원위 연장부(365)는 콘서티나 모양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자는 식도의 단면적의 크기가 다가오는 역류 유체에 의한 팽창시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가요성 깔때기 모양 구조체(365)는 팽창된 식도의 특대의 단면적을 보상할 수 있게 하여서, 역류 유체를 그것의 관강 내에 수용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역류 유체가 개구(340)로 향하게 한다. 개구(340)를 둘러싸고 있는 마스크(365)의 단부는 가요성으로서, 마스크가 삽입되어 인후의 후방 벽과 접촉하게 될 때 휘어지도록 설계된다. 마스크가 추가로 삽입되면, 단부(365)의 탄성으로 인하여, 단부(365)가 그것의 정확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것은 마스크의 팁이 후방 인두 벽의 점막을 파거나 손상시킬 위험성을 방지 또는 최소화함으로써 마스크의 삽입을 촉진한다.
또한 도 15에는 마스크의 근위단부에 형성되는 함몰부(319)가 도시되어 있다. 이 함몰부는 마스크의 일련 번호가 함몰부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 다음에 접착제 또는 플라스틱 재료가 일련 번호의 위로 쏟아져 배치되어서, 마스크 내의 일련 번호를 밀봉한다. 이것은 다사용 마스크에 있어서의 반복된 소독중 일련 번호를 보존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함몰부는 소망하는 경우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각종 도면을 도시한다.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체로 유사하며, 편리 및 설명의 간결을 위하여 도 21 내지 도 24의 유사한 특징들은 추가로 기술하지 않는다.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가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에 복수의 보강 리브 또는 레그(380)(도 21, 23 및 도 24에 가상선으로 도시함)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382)이 복수의 보강 리브 또는 레그(380) 사이에서 연장된다. 통풍 가스가 기도관(303')을 거쳐서 마스크에 제공되면, 연질의 가요성 마스크(382)가 팽창하여, 후두를 둘러싸고 있는 구조물과 보다 양호하게 접촉하게 됨으로써 후두 둘레의 밀봉을 향상시킨다. 보강 리브 또는 레그(380)는 마스크부(302')의 주변 영역의 형상을 유지하여서 마스크의 삽입에 도움을 준다.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체로 유사하다. 주된 차이점은 도 21에 도시된 한 개의 개구(340')가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개구(341, 342)로 대체된다는 것이다.
도 29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의 각종 도면을 도시한다. 도 29 내지 도 34에 도시된 장치(700)는 마스크부(702) 및 기도관(704)을 갖는다. 도 30 및 도 3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도관(704)은 마스크부(702)로부터 근위에 위치된 만곡 영역(705)을 갖는다. 이 만곡 영역(705)은 마스크를 환자에게 삽입하는데 있어 도움을 준다.
마스크부(702)는 마스크부(702)의 상부 또는 배면부를 규정하는 주변부(706)를 구비하는데, 이 주변부(706)는 사용시 환자의 후두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 둘레로 연장되어서 시일을 형성한다. 마스크부(702)는 마스크(702)의 상부 또는 배면부를 규정하는 지붕(708)을 추가로 구비한다. 도 3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체임버(710)가 마스크(702) 내에 형성된다. 이 체임버(710)는 기도관(704) 내의 기류관(airflow tube: 703)과 유체 연통하고 있다. 이것도 또한 도 34에 명료하게 도시될 수 있다.
후두 마스크(700)는 또한 마스크의 원위단부로부터 마스크의 근위단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통로(716, 718)도 구비하고 있다. 이들 통로는 도 1에 도시된 통로(116, 118)와 유사하다. 통로(716, 718)는 도 30 및 도 3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부(702)의 측부에서 상당히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마스크부(702)의 상부(708)는 마스크부(702)의 원위단부의 근방에서 비교적 얇을 수도 있다.
마스크부(702)는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707)을 구비한다. 이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707)은 개구(709)를 규정한다. 개구(709)는 체임버(710)와 유체 연통하고 있으며, 이 체임버(710)는 기류관(703)과 유체 연통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기도관(704)을 거쳐서 공급된 통풍 가스 또는 다른 가스가 환자의 후두를 통과해서 기관 내에 도달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두꺼운 재료로 이루어진 링(711)이 개구(709)의 주변부 둘레로 연장된다. 이것은 개구(709)를 강화하여, 마스크의 개구의 형상을 유지하는데 있어 도움을 준다. 도 34는 또한 주변부(706)가 보강 리브들(713)을 구비하는 것도 도시하고 있다. 이 보강 리브들(713)은 주변 영역을 강화하여서 주변 영역의 형상을 유지하는데 있어 도움을 준다. 보강 리브들(713)은 마스크의 주변부(706)에 소망하는 형상의 두꺼운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간단히 만들어질 수도 있다.
마스크부(702)의 원위단부는 상향으로 절곡된 립(upwardly turned lip: 720)을 구비하여서 환자 내로의 삽입을 촉진한다. 마스크부(702)의 상면 또는 배면 상에는 노치 또는 홈(722)이 형성된다. 또한 원위 팁이 통로(716, 718)와 유체 연통하고 있는 개구(724)도 구비하고 있다. 개구(724)는 도 15에 도시된 개구(340)와 대체로 유사하다.
마스크부(702)의 통로들(716, 718) 사이에는 벽(712)이 위치된다. 이 벽은 마스크부를 강화하여서 마스크부의 상면부 또는 배면부에서 마스크가 비교적 강성이 되도록 한다. 이것은 마스크의 형상을 유지하는데 있어 도움을 준다. 개구(723)가 마스크의 원위단부를 향해서 벽(721) 내에 형성되는데, 이 개구는 통로(716)와 통로(718)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한다.
도 29 내지 도 34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특징들은 도 15 내지 도 29에 도시된 마스크의 특징들과 대체로 유사하며 추가로 기술할 필요는 없다.
도 35 내지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의 다양한 사용예를 도시한다. 도 35 내지 도 39에 도시된 마스크는 도 29 내지 도 34에 도시된 마스크와 공통이 되는 다수의 특징들을 갖고 있으며, 편리를 위하여 유사한 특징들은 유사한 참조 번호로 나타낼 것이고, 다만 참조 번호의 첫 번째 숫자의 “7” 대신에 “8”을 사용한 것만이 다르다. 이들 특징을 추가로 기술할 필요는 없다.
마스크(800)가 마스크(700)와 다른 점은, 마스크(800)의 기도관(803)에 있어서의 곡률반경(805)이 마스크(700)의 기도관(703)에 있어서의 곡률반경보다 상당히 작다는 것이다.
도 38a 내지 도 38d는 후두 마스크(800)의 마스크부(802)의 각종 단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은 얇은 멤브레인(107) 및 두꺼운 링(813)을 명료히 도시하는데, 두꺼운 링(813)은 개구(809)를 둘러싸고 있으며, 멤브레인(807)의 특수 형상은 환자에게 공급된 통풍 가스를 포획하는 작용을 하여, 멤브레인이 후두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을 향하도록 강제되어서 후두 둘레의 밀봉의 효율성을 개선한다. 도 38a 내지 도 38d는 마스크의 비교적 강한 또는 비교적 강성인 중앙 스파인(spine: 850) 및 마스크부의 주변부의 두꺼운 원주 영역(852)도 또한 도시한다. 이것은 마스크를 보다 강성으로 만들며, 두꺼운 원주 영역은 기도 강(airway cavity)을 개방할 수 있도록 보다 튼튼한 주변부를 만들며, 리브들(813)에 대하여 추가의 지지를 제공한다.
도 39b는 도 39에 도시된 F-F선을 따라 취한 평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은 체임버(810)를 명료하게 도시한다.
도 29 내지 도 39에 도시된 장치의 마스크부는 (위로부터 볼 때) 도 1 내지 도 28에 도시된 것보다 더 좁은 원위부를 갖는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원위단부가 식도로부터 통로(816, 818)로의 유체의 효율적인 흐름 및 강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원위단부가 상측 식도(즉 식도 괄약근)에 들어가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도 장치의 사용에 대한 설명을 할 것이다.
마취중에는 대체로 그리고 인공소생시에는 항상 환자가 그의 등을 대고 눕는다. 인두에 존재하는 구토물, 분비물이나, 또는 혈액 및 물과 같이 인두에 존재하는 다른 물질이 있을 수도 있다. 이들 물질은 통상 가장 하측의 영역인 후방 인두 벽까지 하강한다.
(도 9 내지 도 39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도 장치가 환자에게 도입되면, 종방향의 타원형 개구[예를 들면 개구(208)]가 환자의 혀 위로 미끄럼 이동하여 혀에 의해 밀폐될 것이다. 마스크의 원위단부가 후방의 인두 벽을 때리면, 마스크의 단부 부분은 복면 방향으로 휘어지는데, 이러한 휨은 배면 노치 또는 홈의 존재에 의해서 촉진된다. 이것은 마스크가 후두까지 하향으로 관통할 수 있게 한다. 더욱 밀면, 마스크의 원위단부는 후두 아래까지 미끄러지고, 그 후에 다시 램프 부분 위로 미끄러져서 윤상 형태의 상부에 도달한다. 그 지점에서, 윤상 형태를 갖고 윤상 연골에 의해서 후방이 가압되는 마스크의 멤브레인 부분은 마스크의 전방 원위 부분에서 편안한 밀봉을 제공한다. 이것은 멤브레인 부분의 원위단부의 슬링(sling) 작용과 윤상 형태의 스프링 작용이 시일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경우에 그러하다. 또한 이 지점에서, 더욱 밀면, 후두가 기도 강 내로 편안하게 끼워지며, 후두의 측부는 마스크의 표면(또는 복면 부분)의 연질의 멤브레인 부분의 측부에 의해 밀봉되도록 덮힌다. 후두는 마스크의 기도 강(또는 체임버) 내측에 머물게 된다. 마스크의 근위 부분은 혀의 후방 부분에 대하여 편안한 시일을 형성하여, 후두 둘레에서 마스크의 멤브레인 대향 부분에 대한 시일을 완성한다.
마스크의 하향 이동 중, 마스크는 (환자가 그의 등을 대고 누울 때) 마스크의 연장부가 상향을 향하고 마스크의 개구가 혀와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여서, 임의의 물질이 기도 강으로 진입하지 못하게 한다. 그 다음에 마스크의 단부 부분이 후두 아래로 가서 램프 위로 미끄러지도록 하여서, 후두가 기도 강(마스크의 내부 체임버) 내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이제 마스크는 정착되고, 상기 마스크의 보다 큰 근위 및 수직 부분은 기도 관을 향하고 있는 기도 강 내에서 벽의 다른 쪽에서 혀 및 후두의 뒤에 끼워진다.
멤브레인 부분을 구비하는 마스크의 벽이 벽의 구조물 및 형상 덕분에 후두의 주변부에 대한 원주방향 시일로서 작용한다.
마스크가 적절히 위치되는 경우, 내측 윤상 압력 형태는 그의 구조물 덕분에 그의 강을 유지하여, 마스크의 통로 또는 섬프 강과 식도의 타단과의 유체 연통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어서, 역류된 물질이 배출될 수 있게 한다.
간헐적인 정압 통풍이 가해지면, 기도 강 안쪽의 증가된 압력이 마스크의 탄성 특성으로 인해서 마스크를 원주방향으로 팽창시킬 것이다. 그러나 마스크가 가변 두께로 만들어진 점 때문에, 마스크의 팽창은 마스크의 상이한 부분에서 상당히 변한다. 이 팽창은 인두 벽에 대한 모든 방향에서의 마스크 둘레의 밀봉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후두 개구 둘레에서 전방 인두 벽을 향하고 있는 마스크의 부분이 상이한 두께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보다 두꺼운 부분들은 최대로 팽창하여서 그들이 접촉하고 있는 조직에 대하여 추가의 압력을 가한다.
IPPV 중 압력이 증가하면 후두 둘레의 밀봉도 비례적으로 증가되어서, IPPV 중의 누설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추가로, 증가된 압력이 IPPV 사이클의 고압 부분중에만 가해지기 때문에, 조직에 대한 증가된 압력은 간헐적이어서, 그 증가된 압력에 의해 야기되는 조직으로의 혈액 흐름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이들 조직에 대한 외상(trauma) 및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한다.
도 1 내지 도 39에 도시된 실시예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의 특정한 특징 중에는 하기의 특징이 있다:
- 마스크가 무딘/넓은 원위단부를 갖는다는 점;
- 마스크가 상향으로 절곡된 또는 배면방향으로 절곡된 팁을 갖는다는 점;
- 마스크가 후두를 위한 램프를 가져서 삽입중 미끄러진다는 점;
- 마스크가 상측 식도 내로의 원위단부 개구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대형 개구를 가질 수도 있다는 점;
- 개구(들)이 섬프 강 또는 유체 배출 통로로 인도될 수도 있다는 점;
- 구강으로부터 섬프 영역으로의 배출 설비가 있다는 점;
- 혀 뒤에 흡입 관으로의 직접적인 배출 구역이 있다는 점;
- 섬프 강이 홈 또는 관에 의해서 입에 연결될 수도 있다는 점;
- 마스크의 배면이 종방향으로 직선일 수도 있고 곡선일 수도 있으며, 측면으로부터 측면까지도 직선일 수도 있고 곡선일 수도 있다는 점. 배면에는 그것의 원위단부 또는 중간 부분에 홈이 구비될 수도 있음;
- 섬프 강이 윤상 연골과 접촉하게 되도록 복면방향으로 연장하는 융기부 또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그에 따라 윤상 또는 후두를 복면방향으로 밀어서 식도의 상단부를 개방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식도 유체의 용이한 외부 (“내측 또는 후방 윤상 압력”) 배출을 촉진한다는 점;
- 마스크가 보다 양호한 호흡 공간을 허용하는 대형의 기도 강을 갖는다는 점;
- 벽들의 스프링 작용이 호흡 강(breathing cavity)을 개방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배출 영역으로부터 차단되도록 유지한다는 점;
- 기도 강의 벽들로부터의 복면 멤브레인이 간헐적인 정압 통풍(IPPV) 중의 누설이나 넘쳐 흐름을 중단 또는 제어할 것이라는 점;
- 보강 리브 또는 레그가 강의 형상을 유지하고, 벽들과 조합하여 전방의 인두 벽을 후방의 후두 벽으로부터 멀리 유지하여서, 기도 강을 형성한다는 점;
- 보강 리브들 또는 레그들 사이의 멤브레인 부분이 IPPV 중 부풀어서 벽을 밀어 유지하며 IPPV의 누설을 중단 또는 제어할 것이라는 점;
- 멤브레인이 배모양의 리세스와 확실히 접촉할 수 있게 되어서, 배모양의 리세스가 누설 부위를 제공할 가능성을 최소화한다는 점;
- 삽입시, 후두가 램프 위로 미끄러져서 마스크의 후두 개구 내로 들어가, 기도 강 체임버 내측에 머문다는 점;
- 마스크 상의 배출 통로의 설비가 기도 강의 후방 표면 상에 두 개의 종방향 융기부(elevation)를 생성하여, 환자의 기도 관 내의 개구 내로 안내되는 중간에 종방향 도랑(gutter)을 형성한다는 점. 이 두 개의 융기부는 편평한 표면에 대향함으로써 후두 개구가 봉쇄되는 것을 중단시킴. 따라서 중간에 도랑을 갖는 두 개의 융기부는 보다 양호한 호흡을 촉진함;
- 팽창가능한 낭대를 갖는 이전의 후두 마스크는, 일부 경우에, 신경, 특히 반회성 후두 신경, 혀밑 신경 및 혀 신경에 대한 그들의 일정한 압력으로 인하여 신경 손상을 야기시킨다는 점. 도 1 내지 도 3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훨씬 더 부드럽고 연속적인 정압을 발휘하지 않으며, 오히려 IPPV 도중에 발휘된 최대 압력 중에 고압 만을 발휘함. 이 최대 압력은 짧은 지속기간 동안만 발휘됨. 현재의 마스크는 보다 짧고 보다 부드러우며 IPPV를 최대화함. 마스크에 의하여 발휘되는 최대 압력은 호흡기계의 흡식성 위상의 부분에만 가해지며, 더구나 마스크에 의해 가해지는 최대 압력은 폐 통풍의 최대 팽창 압력에서만임. 따라서 이것은 마스크에 의해서 환자의 조직에 가해지는 압력이 팽창가능한 낭대에 가해지는 압력이 아니고 통풍 압력에 관련되어 있는 결과로서, 신경 손상을 가능성을 감소시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멤브레인 부분은, 기도 체임버의 개구 둘레로부터 연장하고 사용시 하측에 놓인 후두 구조물에 대체로 평행하게 놓이는 부분을 구비한다. 이 멤브레인 부분은 기도 체임버 내의 개구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고 그 다음에 마스크의 배면측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형상은 기도 관을 거쳐서 가해지는 통풍 압력으로 마스크가 팽창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서 마스크가 시일을 형성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 친숙하도록 설계되고 또한 다른 유용한 성문상의(supraglottic) 기도 장치와 관련된 어려움의 대부분을 극복하도록 설계된 신규한 성문상의 기도 장치이다. 이 장치는 단일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양호한 밀봉을 이루기 위하여 큰 사이즈가 필요한 다른 성문상의 기도 장치와는 달리,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는 비교적 작은 사이즈 만이 필요하다. 이 작은 사이즈는 설계와 조합되어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 장치는 도입 시 그 자신이 쉽게 적소에 위치된다. 낭대를 팽창시킬 필요나 또는 마스크를 재위치설정하는데 시간을 소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삽입이 빠르고 간단하다.
이 장치는 장치 내로 통합된 흡입 관에 부착된 연속적인 고용적의 고압 흡입과 함께 도입될 수 있다. 마스크의 종방향 기도 개구는 환자의 혀 위로 미끄러져서, 그것이 후두 상에 위치될 때까지 혀에 의하여 밀폐된다. 마스크의 원위단부가 후방의 인두 벽을 때리면, 마스크의 단부 부분은 복면방향으로 구부러지며, 이것은 배면의 노치 또는 홈의 존재에 의하여 촉진된다. 그러면, 마스크가 후두를 향해 하향으로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더욱 밀면, 마스크의 원위단부는 후두 아래로 미끄럼 이동하고, 마스크의 램프부 위로 미끄러져서 윤상 형태의 상부에 도달한다. 윤상 형태를 갖는 마스크의 막형 부분이 마스크의 전방 원위부에서 편안한 시일을 형성한다. 이것은 막형 부분의 원위단부의 슬링 작용과 윤상 형태의 스프링 작용이 시일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경우에 그러하다. 마스크를 추가로 밀면, 후두 입구가 기도 강 내로 들어가서 막형 부분이 후두 둘레에 시일을 형성한다. 후두 입구는 기도 강 내측에 머물러서, 청결한 기도를 만든다. 마스크의 보다 단단한 근위 부분은 혀의 뿌리를 상승시켜서 기도의 개방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또한 막형 부분에 의해 형성된 시일을 보완한다.
(환자가 반듯이 누운 상태에서) 마스크가 초기에 삽입되고 있을 때, 마스크가 혀 뒤를 통과함에 따라 마스크의 기도 개구는 혀의 배면과 밀접하게 접촉 상태로 유지되며, 기도 강 안으로 들어온 (유체 및 혈액과 같은) 임의의 이물질로부터 혀에 의하여 보호된다(이 이물질이 인후의 뒤로 하강하기 때문임).
장치가 삽입되고 있는 동안, 섬프 강을 갖는 마스크의 원위 개구는 최전방에 항상 있으면서, 모든 원치 않는 물질을 활발하게 흡입해서 제거한다. 이것은 마스크의 사용중 뿐만 아니라 마스크가 제거되고 있는 동안에도 본래의 장소에서 계속된다. 따라서 마스크 둘레의 영역은 언제나 임의의 원치 않는 물질이 제거되어서, 흡인에 대한 위험성이 거의 없다. 이 제거(scavanging) 작용은 또한 섬프 영역으로 안내되는 마스크의 양 쪽에서의 두 개의 종방향 개구의 존재에 의해서 향상된다.
마스크가 제 위치에 있는 동안, 내부의 윤상 압력 형태는 그 구조물 덕분에 섬프 강의 일부인 그 강(cavity)의 개방성을 유지하여서, 식도의 상단부와 언제나 유체 연통하게 할 것이다.
두 개의 관이 기도 관을 따라서 장치의 스템(stem) 내로 (양쪽에 하나씩) 만들어질 수도 있는데, 이들 관은 그들의 원위단부에서 섬프 강과 유체 연통하고 있다. 관 중 하나는 섬프 강으로부터 임의의 물질을 배출한다. 다른 관은 흡입이 작동하고 있는 동안 섬프 강 내로 공기를 배출하여서, 섬프 강 내의 임의의 부압의 축적을 방지하고 섬프로서의 그것의 작용을 보장한다.
본 장치의 기도 관은 그것의 전체 길이를 따라 놓인 인빌트 바이트 블록(inbuilt bite block)을 가질 수도 있다. 만일 환자가 관을 깨무는 경우에 이 바이트 블록은 기도의 개방성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강성이지만, 환자의 치아에 대해 손상을 야기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연질이다.
마스크가 제거중 입 안쪽에 여전히 놓여 있고 기도 개구가 혀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환자가 기도를 깨무는 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 그 상황에서, 기도 방해가 발생될 수도 있다. 그러나, 기도 관과 나란히 놓인 스템 내의 두 개의 관은 추가의 기도로서 기능하여, 공기 진입을 허용하고 산소 투여(oxygeneration)를 유지할 것이다. 이송(transfer), 수송(transport) 및 통풍 중 장치를 환자 내의 적소에 고정시키는 것이 일련의 함몰부에 의해서 추가되어, 기도 관의 근위단부 내로 루프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추가의 유사한 형상의 다이아프램 도는 멤브레인 부분이 마스크부의 중앙 영역의 연장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추가의 다이아프램 또는 멤브레인부는, 후두 마스크에 제 2의 다이아프램 또는 멤브레인부가 제공되는 경우 후두 마스크가 “이중 멤브레인 구조체”를 갖는 결과로 될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추가의 다이아프램 또는 멤브레인부가 팽창가능한 낭대 마스크의 복면측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특히, 도 40은 마스크부(671) 내에 형성된 팽창가능한 낭대(672)를 갖는 후두 마스크(670)를 도시한다. 기도 관(673)이 마스크부(671)에 형성되어 그것에 연결된다. 팽창 관(674)이 팽창가능한 낭대(672)를 팽창하도록 사용된다.
마스크부(671)는 체임버(675)를 규정한다. 주변 연장 영역(676)이 상기 체임버(675) 내에 형성되는데, 이 영역(676)은 윤상 접촉부로서 작용한다.
도 41은 팽창가능한 낭대(682)를 갖는 마스크부(681)를 구비하는 후두 마스크(680)를 도시한다. 팽창가능한 낭대가 팽창 관(683)을 거쳐서 팽창된다. 후두 마스크(680)는 기도 관(684)을 추가로 구비한다. 체임버(685)가 마스크부(681) 내에 규정되는데, 이 체임버(681)는 기도 관(684)과 유체 연통하고 있다. 마스크부(681)의 원위단부에는 윤상 접촉 영역(686)이 형성된다.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2에 도시된 마스크(690)는 도 30에 도시된 마스크(670)와 대체로 유사하며, 공통적인 특징들에 대하여는 추가로 기술할 필요가 없다. 도 42에 도시된 마스크(690)는 체임버(692)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융기 영역(691)을 구비한다. 이 융기 영역(691)은 마스크의 윤상 접촉 영역을 형성한다.
도 43 내지 도 47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는 삽관 환자에게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마스크(900)는 도 1 내지 도 39에 도시된 마스크와 공통이 되는 다수의 특징들을 갖는다. 설명의 간결을 위하여, 이들 공통의 특징에 대하여는 대체로 추가로 기술하지는 않을 것이다.
마스크(900)는 (이전의 실시예의 윤상 접촉부와 동일한) 윤상 형태(902)를 구비한다. 도 43 내지 도 44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윤상 형태(902)는 복면방향 연장부를 구비한다. 이 복면방향 연장부는 마스크의 내측 배면 벽의 일부를 형성한다. 또한 이 마스크는 멤브레인의 중간부에서 개구 둘레로 연장하는 재료의 두꺼운 링(906)을 갖는 가요성 멤브레인(904)도 구비한다.
윤상 형태(902)의 바로 근위에는 추가의 복면방향 연장 영역(908)이 위치된다. 이 영역은 910에서 그 원위단부가 종단된다. 내측의 배면 벽이 배면방향으로 연장하여 912에 노치 또는 리세스를 형성한다. 이 노치 또는 리세스(912)의 배면 최대 범위는 윤상 형태(902)의 시작부를 규정한다.
가요성 멤브레인(904)이 배면방향 연장 배리어 또는 플랩(914)을 지지한다. 이 배리어 또는 플랩(914)은 배리어 또는 플랩 내의 개구로부터 배면방향으로 연장된다. 배리어 또는 플랩(914)은 그것의 팁보다 더 넓은 기저부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배리어 또는 플랩이 배면방향으로 연장함에 따라서 그 폭이 증가된다.
도 45 및 도 46은 윤상 형태(902)의 근방에 놓이도록 (또는 다시 말해서 내측 배면 벽 근방에 놓이도록) 위치된 배리어 또는 플랩(914)을 도시한다. 배리어 또는 플랩(914)은 마스크(900)가 환자 내로 적절히 삽입되었을 때 이 위치로 이동한다. 마스크를 삽입하면 멤브레인(904)의 변형이 야기되어, 배리어 또는 플랩(914)을 도 45 및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효율적으로 변위시킨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배리어 또는 플랩(914)의 자유 단부는 복면방향 연장 영역(908)의 원위단부로부터 상향으로 배면방향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복면방향 연장부(910)는 배리어 또는 플랩(914)을 기관내관, 광섬유 광 가이드, 또는 마스크를 통과한 유사한 장치의 단부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보호”한다.
기관내관(920)이 마스크를 통하여 삽입될 때, 기관내관의 단부는 복면방향 연장부(910)와 접촉해서 하향으로 안내된다. 기관내관을 계속 삽입하면 단부가 배리어 또는 플랩(914)을 지나 미끄럼 이동하고, 그 후 마스크 내의 개구를 빠져나간다. 마스크가 후두 위에 적절히 위치됨에 따라, 기관내관이 마스크 내의 개구를 통하여 연장될 때 환자의 기관 내로 들어갈 것이다. 도 47에는 기관내관(920)이 마스크 내의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43 내지 도 47에 도시된 후두 마스크는 환자 내에 용이하게 위치되어서, 환자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통합을 허용한다. 배리어 또는 플랩(914)의 테이퍼진 폭 덕분에, 기도 관에 의해서 공급되는 반송 가스(translating gas)는 가요성 멤브레인(904)의 모든 영역에 접근하여서, 마스크와 후두 둘레의 구조물 사이에 양호한 밀봉이 얻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시예는 이전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3 내지 도 47에 도시된 실시예는 또한 마취 전문 의사가 후두 마스크를 바꾸지 않고도 처치 중 기관내관을 삽입하는 옵션을 개방상태로 유지하길 원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또는 환자에게 삽관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는 긴급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과 다른 변형 및 변경을 받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그것의 정신 및 범위에 속하는 모든 그러한 변경 및 변형을 포괄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1)

  1.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도 유지 장치에 있어서,
    마스크가 후두 인두에 위치될 때 후두에 대한 시일을 형성하는 주변부를 구비하여서, 외부로부터의 유체가 후두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가 후두 인두 내로 적절히 삽입되었을 때 가스가 후두로 관통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와 연결된 기도 관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의 주변부는 상기 기도 유지 장치가 환자 내로 삽입되었을 때 후두 개구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과 접촉하는 연질의 가요성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연질의 가요성 부분은 상기 기도 관에 가압 가스를 공급할 때 상기 후두 개구 또는 인두 벽을 둘러싸고 있는 조직과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기도 유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은 내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내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상기 마스크의 복면 측에 위치되며, 상기 내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통풍 가스가 통과하는 개구를 구비 또는 규정하는,
    기도 유지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은 돔형의 멤브레인, 접힌 멤브레인, 또는 상기 후두 개구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부분을 구비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기도 유지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의 가요성 부분 내의 개구는 상기 개구의 둘레 또는 그 근방에 보다 두꺼운 재료의 영역 또는 링을 구비하는,
    기도 유지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은 가압 가스가 상기 마스크에 공급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의 부분의 형상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기도 유지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그것의 원위 팁 근방에 배면 홈 또는 리세스를 구비하는,
    기도 유지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복면방향 주변부의 원위단부는 상기 마스크의 배면 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상향 연장부를 구비하는,
    기도 유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연장부는 상기 마스크의 사용중 식도로부터 상기 마스크의 근위 측으로의 유체 유동을 촉진하도록 그 내에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를 구비하는,
    기도 유지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주변부는 팽창가능한 낭대를 구비하고, 상기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이 상기 팽창가능한 낭대로부터 연장되는,
    기도 유지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풍 가스가 환자에게 공급되는 상기 마스크의 개구의 원위단부는 경사진 영역 또는 램프를 구비하는,
    기도 유지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그것의 원위단부 근방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를 갖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는 상기 마스크가 환자 내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식도와 인후 영역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기도 유지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사용시 상기 식도와 유체 연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종방향 연장 통로 또는 강을 갖는,
    기도 유지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윤상 연골을 향하여 연장되는 윤상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윤상 접촉부는 상기 마스크가 적절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윤상 연골과 접촉하며 상기 윤상 연골 또는 상측 식도의 근방에서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기도 유지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가 적절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마스크는 상기 윤상 연골을 지나서 연장하는 원위부를 구비하는,
    기도 유지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윤상 접촉부는 상기 마스크의 배면측 내벽의 복면측으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기도 유지 장치.
  16. 제 13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윤상 접촉부는 사용시 상기 윤상 연골과 접촉하는 탄성의 순응성 구조물(resilient and conformable structure)을 갖는,
    기도 유지 장치.
  17. 제 13 항, 제 15항 또는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상 접촉부는 상기 연질의 가요성 부분의 원위부와 함께 상기 윤상 연골이 편안하게 끼워맞춤되는 삼각건의 형태를 이루는,
    기도 유지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도 유지 장치는 상기 마스크 및 기도관이 연결 또는 통합되는 곳의 근방에 또는 상기 마스크의 근위 부분에 복면방향 곡률반경을 갖는,
    기도 유지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의 가요성 멤브레인은 상기 마스크에 통풍 가스가 공급될 때 배모양의 리세스 내로 연장되어 그것을 채울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기도 유지 장치.
  20. 제 13 항,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상 접촉부의 배면측은 상기 마스크의 양 쪽에 상기 통로들 사이의 유체 연통을 촉진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횡방향 연장 개구를 구비하는,
    기도 유지 장치.
  21.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도 유지 장치에 있어서,
    마스크가 후두 인두에 위치될 때 후두에 대한 시일을 형성하는 주변부를 구비하여서, 외부로부터의 유체가 후두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가 후두 인두 내로 적절히 삽입되었을 때 가스가 후두로 관통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와 연결된 기도 관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는 윤상 연골을 향하여 연장되는 윤상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윤상 접촉부는 상기 마스크가 적절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윤상 연골과 접촉하며 상기 윤상 연골의 근방에서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기도 유지 장치.
KR1020107006826A 2007-08-30 2008-08-27 후두 마스크 KR101566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7904697A AU2007904697A0 (en) 2007-08-30 Improved Laryngeal Mask
AU2007904697 2007-08-30
AU2008901607A AU2008901607A0 (en) 2008-04-04 Improved Laryngeal Mask
AU2008901607 2008-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551A true KR20100052551A (ko) 2010-05-19
KR101566563B1 KR101566563B1 (ko) 2015-11-05

Family

ID=4038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826A KR101566563B1 (ko) 2007-08-30 2008-08-27 후두 마스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038636B2 (ko)
EP (1) EP2195058B1 (ko)
JP (1) JP5568474B2 (ko)
KR (1) KR101566563B1 (ko)
CN (1) CN101842129B (ko)
AU (1) AU2008291688B2 (ko)
BR (1) BRPI0816092A2 (ko)
CA (1) CA2697439C (ko)
DK (1) DK2195058T3 (ko)
HK (1) HK1148491A1 (ko)
IL (1) IL204210A (ko)
NZ (1) NZ583938A (ko)
WO (1) WO2009026628A1 (ko)
ZA (1) ZA20100144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8785A2 (ko) 2010-07-14 2012-01-19 한국해양연구원 라말린의 합성방법
KR101429242B1 (ko) * 2012-03-19 2014-08-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다공성 매트릭스를 이용한 라말린의 안정화 방법 및 안정화된 라말린 용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10446D0 (en) 2008-06-06 2008-07-09 Laryngeal Mask Company The Ltd Laryngosocpe
CH699987A1 (de) * 2008-11-27 2010-05-31 Deltona Innovations Ag Larynxmaske mit einem Stutzen.
GB0903654D0 (en) 2009-03-03 2009-04-15 Laryngeal Mask Company The Ltd Artificial airway device
NZ596124A (en) * 2009-04-08 2012-12-21 Meenakshi Baska Laryngeal mask for maintaining an airway in a patient with means to cause elastic deformation of the device to facilitate insertion
EP2451516B1 (en) 2009-07-06 2018-12-19 Teleflex Life Sciences Unlimited Company Artificial airway
TWI569825B (zh) * 2010-08-13 2017-02-11 喉罩股份有限公司 人工氣道裝置
EP2608834A4 (en) * 2010-08-23 2015-04-15 Kanag Baska LARYNGED MASK WITH ENHANCED INTRODUCTION
GB201016562D0 (en) * 2010-10-01 2010-11-17 Laryngeal Mask Company The Ltd Artificial airway device
AU2011315319B2 (en) 2010-10-15 2016-06-02 Teleflex Life Sciences Llc Artificial airway device
GB2489407A (en) 2011-03-23 2012-10-03 Donald Munro Miller Laryngeal mask and tracheal tube airway devices
GB201120628D0 (en) 2011-11-30 2012-01-11 Laryngeal Mask Company The Ltd Endoscopy device
CN102727978B (zh) * 2012-07-23 2015-03-25 杭州富善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便于向胃中引导***器件的喉罩
ES2609119T3 (es) * 2013-06-20 2017-04-18 Ambu A/S Máscara laríngea
US10149955B2 (en) 2013-06-20 2018-12-11 Ambu A/S Laryngeal mask
JP2015016177A (ja) * 2013-07-12 2015-01-29 Hoyaサービス株式会社 医療器具
GB2521375C (en) 2013-12-17 2021-09-29 Aslam Nasir Muhammed Intubating Airway Device
CN106535973B (zh) * 2014-03-12 2020-04-28 米纳什·巴斯卡博士 改进的喉部罩
US9463296B2 (en) * 2014-04-01 2016-10-11 Michael S. Stix Laryngeal mask with piriform-fossa conduit
SG11201608791UA (en) * 2014-04-23 2016-11-29 Ensconce Data Technology Llc Method for completing a secure erase operation
TWI644692B (zh) * 2015-02-04 2018-12-21 張程 喉罩氣道
USD842456S1 (en) 2015-12-15 2019-03-05 Intersurgical Ag Airway device
US10314995B2 (en) * 2017-08-17 2019-06-11 Yang Sun Endotracheal intubation and supraglottic airway device
GB201720733D0 (en) 2017-12-13 2018-01-24 Ashkal Development Ltd Airway device
US11426548B2 (en) 2018-05-11 2022-08-30 Gary Zhou Combined laryngeal-bronchial lung separation system
US10441735B1 (en) * 2018-05-11 2019-10-15 Gary Zhou Combined laryngeal-bronchial lung separation system
CN108671346A (zh) * 2018-05-24 2018-10-19 无锡圣诺亚科技有限公司 定位吸痰喉罩
CN109125870A (zh) * 2018-06-20 2019-01-04 孙扬 一种无创性气管插管并可正压通气的声门上呼吸道装置
GB2576021B (en) * 2018-08-01 2022-05-11 Blue Bean Medical Ltd An airway device
CN108888845B (zh) * 2018-08-09 2023-08-15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口咽通气道
US11583647B2 (en) 2019-02-20 2023-02-21 Gary Zhou Multi-channel flexible laryngeal mask airway device
EP3698836A1 (en) * 2019-02-25 2020-08-26 Visual Oxy, S.L. Laryngeal mask
GB2602574B (en) * 2019-08-09 2023-08-02 Ony Biotech Inc Medicament delivery device
CN110652642A (zh) * 2019-10-30 2020-01-07 安徽探索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三腔可冲洗鱼嘴型喉罩气道导管
CN110787349A (zh) * 2019-11-26 2020-02-14 安徽探索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三腔可弯曲冲洗喉罩气道导管
USD1025348S1 (en) 2020-04-16 2024-04-30 Intersurgical Ag Airway device
CN113332552A (zh) * 2021-06-17 2021-09-03 复旦大学附属眼耳鼻喉科医院 一种高密封性喉罩
KR102652251B1 (ko) 2021-10-06 2024-03-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형상유지부재가 삽입배치된 후두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11394B (en) 1981-12-16 1985-09-11 Archibald Ian Jeremy Brain Artificial airway device
GB9215455D0 (en) * 1992-07-21 1992-09-02 Brain Archibald Ian Jeremy A laryngeal mask airway adapted to carry a reflecting-type oximeter
JP3782123B2 (ja) * 1994-05-31 2006-06-0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咽腔用エアウエイ
US5791341A (en) * 1995-12-19 1998-08-11 Bullard; James Roger Oropharyngeal stent with laryngeal aditus shield and nasal airway with laryngeal aditus shield
US6079409A (en) * 1997-07-25 2000-06-27 Brain; Archibald Ian Jeremy Intubating laryngeal mask
GB9817537D0 (en) * 1998-08-13 1998-10-07 Brain Archibald Ian Jeremy A laryngear mask airway with mutually independant laterally-placed ultra-flexible eastric access/discharge and airway tubes
US6119695A (en) * 1998-11-25 2000-09-19 Augustine Medical, Inc. Airway device with provision for lateral alignment, depth positioning, and retention in an airway
US6705318B1 (en) * 1999-04-09 2004-03-16 Archibald I. J. Brain Disposable LMA
WO2000061213A1 (en) * 1999-04-09 2000-10-19 Archibald Ian Jeremy Brain Disposable laryngeal mask airway device
US6546931B2 (en) * 2000-12-13 2003-04-15 Future Top Medical Environment Technic, Co., Ltd. Supraglottic airway structure specifically used for anesthesia
GB2383755B (en) * 2002-01-04 2004-02-25 Future Top Medical Environment Obturator for use with a laryngeal mask airway
GB0218868D0 (en) * 2002-08-14 2002-09-25 Nasir Muhammed A Improved airway management device
DK1660162T3 (da) * 2003-08-01 2019-07-29 Kanag Baska Larynxmaske
GB2404863B (en) * 2003-08-14 2008-05-14 Muhammed Aslam Nasir Improved airway device
TWM262190U (en) * 2004-08-09 2005-04-21 Future Top Medical Environment Structure of throat cover
CN101146567B (zh) * 2005-03-25 2010-06-16 纳林尼·瓦迪维鲁 具有下咽抽吸能力的医疗仪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8785A2 (ko) 2010-07-14 2012-01-19 한국해양연구원 라말린의 합성방법
KR101429242B1 (ko) * 2012-03-19 2014-08-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다공성 매트릭스를 이용한 라말린의 안정화 방법 및 안정화된 라말린 용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6628A1 (en) 2009-03-05
CA2697439C (en) 2017-07-11
AU2008291688A1 (en) 2009-03-05
EP2195058A1 (en) 2010-06-16
CN101842129B (zh) 2013-10-23
HK1148491A1 (en) 2011-09-09
KR101566563B1 (ko) 2015-11-05
US20110023890A1 (en) 2011-02-03
EP2195058B1 (en) 2019-02-27
ZA201001449B (en) 2010-11-24
DK2195058T3 (da) 2019-05-27
US9038636B2 (en) 2015-05-26
AU2008291688B2 (en) 2014-01-23
CA2697439A1 (en) 2009-03-05
JP5568474B2 (ja) 2014-08-06
NZ583938A (en) 2012-02-24
BRPI0816092A2 (pt) 2015-03-03
EP2195058A4 (en) 2014-04-23
CN101842129A (zh) 2010-09-22
JP2010536510A (ja) 2010-12-02
IL204210A (en)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2551A (ko) 후두 마스크
US10478576B2 (en) Laryngeal mask
US9694150B2 (en) Laryngeal mask airway device
KR101079961B1 (ko) 기도 유지 장치
AU2004260552A1 (en) Laryngeal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