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460A - Abl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로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치료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Abl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로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치료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460A
KR20100052460A KR1020107001466A KR20107001466A KR20100052460A KR 20100052460 A KR20100052460 A KR 20100052460A KR 1020107001466 A KR1020107001466 A KR 1020107001466A KR 20107001466 A KR20107001466 A KR 20107001466A KR 20100052460 A KR20100052460 A KR 20100052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t
patients
imatinib
activity
month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모시 피터 휴즈
데보라 화이트
Original Assignee
메드벳 싸이언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드벳 싸이언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메드벳 싸이언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5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4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환자 집단에서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의 치료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환자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명확하게, 상기 방법은 (a) CML을 앓고 있는 온혈 동물의 사전-요법 혈액에서 OCT-1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약 6.0 내지 10.0 ng/200,000 세포 미만의 이마티닙 세포내 농도에 상응하는 OCT-1 활성을 나타내는, CML을 앓고 있는 온혈 동물에 약 500 내지 12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1일 복용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ABL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로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치료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METHOD FOR OPTIMIZING THE TREATMENT OF CHRONIC MYELOID LEUKEMIA WITH ABL TYROSINE KINASE INHIBITORS}
본 발명은 인간 환자 집단에서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만성 시기 CML 환자에서 이마티닙 (Imatinib) 메실레이트를 이용한 치료의 성공은 잘 증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의 치료 성능이 다소 떨어지는 환자에 대한 치료 성과의 증진을 위해서는, 치료 반응의 중요한 결정인자에 대한 상세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마티닙-유발 키나제 억제에 대한 고유의 민감도가 반응의 좋은 예측 인자이고 (문헌 [White D, Saunders V, Lyons AB, et al. Blood. 2005;106:2520-2526] 및 [Schultheis B, Szydlo R, Mahon FX, Apperley JF, Melo JV. Blood. 2005;105:4893-4894]), 이는 이마티닙의 세포내 흡수 및 유지 (IUR)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문헌 [White DL, Saunders VA, Dang P, et al. Blood. 2006;108:697-704])는 것은 이미 증명되었다. 또한, 이마티닙의 능동 수송이 유기 양이온 수송체 OCT-1에 의존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문헌 [Thomas J, Wang L, Clark RE, Pirmohamed M. Blood. 2004;104:3739-3745] 및 [White DL, Saunders VA, Dang P, et al, OCT-1 mediated influx is a key determinant of the intracellular uptake of imatinib but not nilotinib. Blood. 2006; 108: 697-704]).
OCT-1 단백질은 약물, 독소 및 여타 생체 이물질을 비롯한 다양한 유기 양이온을 전기발생적 방법으로 수송하는 최대 부류의 수송체인 용질 담체 부류의 일 구성원이다 (문헌 [Koepsell H, Endou H. Pflugers Arch. 2004;447:666-676]). 이 수송체는 12개의 막관통 도메인, 및 다양한 기질 및 억제제에 대한 부분 중첩 상호작용 도메인이 있는 결합 주머니를 갖는 것으로 예상된다 (문헌 [Koepsell H, Schmitt BM, Gorboulev V. Rev Physiol Biochem Pharmacol. 2003;150:36-90]). 인산화 상태에 의한 OCT-1의 전사후 조절체계 (문헌 [Ciarimboli G, Schlatter E. Pflugers Arch. 2005;449:423-441]), 및 PKA, Src-유사 p56 및 CaM과 같은 화합물도 또한 증명되었다.
IC50이마티닙 및 OCT-1 활성간 유의한 상관 관계가 존재하고, 저 IC50이마티닙의 환자는 고 IC50이마티닙의 환자보다 유의하게 더 큰 OCT-1 활성을 갖는다는 것이 본 발명에서 밝혀졌다. 이것은 더 큰 OCT-1 활성이 약물 표적(들)의 보다 효과적인 억제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IDEL 실험에 등록된 모든 환자 (선행해서 (up-front) 6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를 투여받은, 신규로 진단된 만성 시기 CML 환자)에서 OCT-1 활성을 분자적 반응과 비교함으로써, 고 OCT-1 활성의 환자가 저 OCT-1 활성의 환자보다 24 개월에 걸친 이마티닙 치료에 대해 유의하게 더 큰 분자적 반응을 획득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또한, 이들 저 OCT-1 활성의 환자의 분자적 반응은 복용량에 의존적이며, 6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를 투여받은 환자들은 600 mg 미만을 투여받은 환자들보다 24 개월까지 유의적으로 더 나은 분자적 반응을 획득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유의적으로, 일군의 저 OCT-1 활성의 환자들은 하루에 600 mg 또는 적어도 6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의 실험 복용량를 투여받지 않은 경우, 이마티닙 반응이 최적 미만이거나 실패할 고 위험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가 연구 결과는 800 mg의 이마티닙을 무작위로 투여받은 저 OCT-1 활성의 환자들이, 400 mg을 무작위로 투여받은 환자들과 비교할 때 더 높은 비율로 12 개월까지 MMR을 획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원에 개시된 데이타는, 복용량이 저 OCT-1 활성 환자에서 최적 미만의 반응 위험을 극복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라는 것을 증명한다.
중요하게, 진단 시점에서 OCT-1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이러한 기능적인 검정을 사용하여 표준 복용량 이마티닙 메실레이트에 잘 반응할 것 같은 CML 환자들 및 더 높은 복용량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로부터 이득을 볼 것 같은 CML 환자들을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CML을 앓고 있는 온혈 동물의 사전-요법 혈액에서 OCT-1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약 6.0 내지 10.0 ng/200,000 세포, 특히 약 8.0 내지 8.5 ng/200,000 세포 미만의 이마티닙 세포내 농도에 상응하는 OCT-1 활성을 나타내는, CML을 앓고 있는 온혈 동물에 약 500 내지 12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1일 복용량을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혈 동물에서 CML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약": 본원 및 출원 전반에 걸쳐 사용된 단어 "약"은 명시된 값의 -10% 내지 +10% 범위 내에서 변화할 수 있는 값을 가리킨다. 바람직하게는, 명시된 값의 -5% 내지 +5% 범위 내이다.
바람직하게는, 온혈 동물은 인간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투여되는 1일 복용량은 약 600 내지 10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예를 들어, 600 mg/일, 800 mg/일, 1000 mg/일 또는 1200 mg/일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단계 (b)에서, 적어도 4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1일 복용량이 경구로 투여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단계 (b)에서, 적어도 6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1일 복용량이 경구로 투여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단계 (b)에서, 적어도 8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1일 복용량이 경구로 투여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단계 (b)에서, 약 600 내지 10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1일 복용량이 경구로 투여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단계 (b)에서, 600 내지 10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1일 복용량이 경구로 투여된다.
도 1
A: 99명의 환자에서 IC50이마티닙과 IUR 사이의 상관 관계.
B: 저 IC50이마티닙 군과 고 IC50이마티닙 군 사이의 IUR 차이를 보여주고, 또한 OCT-1의 효능 있는 억제제인 프라조신 (prazosin)을 사용한 이러한 차이를 제거하는 것을 보여주는 박스 플롯 (Box plot).
도 2
A: 99명의 환자에서 IC50이마티닙과 OCT-1 활성 사이의 상관 관계.
B: 저 IC50이마티닙 군과 고 IC50이마티닙 군 사이의 OCT-1 활성의 차이를 보여주는 박스 플롯.
도 3
A: 저 OCT-1 활성 군과 고 OCT-1 활성 군 사이의 OCT-1 활성 및 분자적 반응.
B: 고 OCT-1 활성의 환자에서 복용량의 효과.
C: 저 OCT-1 활성의 환자에서 복용량의 효과.
도 4
다양한 시점에서 저 OCT-1 활성 군과 고 OCT-1 활성 군 사이의 MMR 획득에서의 차이를 보여주는 카플란 마이어 (Kaplan Meier).
도 5
환자들을 저 OCT-1 활성 군 및 고 OCT-1 활성 군으로 분류한 후, 이들을 ADD를 기초로 추가로 하위 분류하여 복용량의 단계적 증가의 영향을 보여준다.
도 6
18 개월에서의 분자적 반응 (BCR-ABL의 로그 감소)과 비교한 OCT-1 활성. 평가된 반응 기준은 최적 미만의 반응 (18 개월까지 MMR 획득 실패) 및 최적 반응 (BCR-ABL의 3- 내지 4-로그 감소, 및 18 개월까지 4-로그를 초과하는 감소의 획득)이다. 코호트 (cohort)는 하기와 같이 분류된다:
A. 투여받는 복용량과 무관한 모든 환자;
B. 첫 12 개월에 걸쳐 600 mg 미만의 ADD를 투여받은 환자;
C. 12 개월 후 복용량을 800 mg의 ADD까지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데 실패한 환자;
D. 요법 12 개월 후 복용량을 성공적으로 800 mg의 ADD까지 단계적으로 증가시킨 환자.
도 7
A: OCT-1 활성과 OCT-1 mRNA 사이의 상관 관계를 보여주는 닷 플롯 (Dot plot).
B: 저 OCT-1 활성 군 및 고 OCT-1 활성 군에서 OCT-1 mRNA의 수준들간 차이를 보여주는 박스 플롯.
본원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용어 "주요 분자적 반응 (MMR)"은 실시간 정량적 역-전사효소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사용하여 말초 혈액으로부터 정량화된, 바람직하게는 12 개월 요법 후, 예를 들어, 12 개월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요법 후, BCR -ABL 전사체에서의 3 로그 감소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용어 "완전한 세포유전적 반응 (CCR)"은 골수 흡인물에서 중기에 적어도 20개 또는 25개의 세포 중 0% 필라델피아-염색체 (Philadelphia-chromosome) 양성 중기를 의미한다 (문헌 [Colombat M, Fort MP, Chollet C, et al. Molecular remission in chronic myeloid leukemia patients with sustained complete cytogenetic remission after imatinib mesylate treatment. Haematologica 2006;91:162-8]).
이마티닙은 미국 특허 제5,521,184호, 특히 실시예 21에 포괄적 및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고, 상기 문헌의 주제는 본 출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이마티닙은 또한 WO03/066613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위해서, 이마티닙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모노-메실레이트 염 형태로 적용된다. 이마티닙 모노-메실레이트는, 그 주제가 본 출원에 참조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6,894,051호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응하는 다형체, 예를 들어, 상기 문헌에 개시된 결정 변형체도 포함된다.
이마티닙 모노-메실레이트는 미국 특허 제5,521,184호, 제6,894,051호 또는 제2005-0267125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투여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의 단계 (a) 하에서 요구되는, CML 환자로부터의 혈액 샘플의 수집은 최신 기술인 표준 절차에 의해 완수할 수 있다. 환자로부터의 혈액 유래 세포는, OCT-1 활성 평가용 검정을 실시하기 위해 신선한 것일 수도, 또는 동결된 것일 수도 있다.
본원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OCT-1 활성은 OCT-1의 억제제인 프라조신의 부재 (총 IUR) 및 존재 하에 약물/이마티닙의 IUR에서의 차이로 계산되어, 약물의 세포내 수준에 의해 정의되는 것과 같은 이마티닙의 수송에 있어서의 OCT-1 단백질 활성의 척도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총 IUR 32 ng/200,000 세포)]-[프라조신 IUR 23 ng/200,000 세포]는 9 ng/200,000 세포의 OCT-1 활성이 된다.
하기 실시예에 기술된 것과 같이, OCT-1 활성을 CML 환자로부터의 사전-요법 혈액에서 측정하였다. OCT-1의 활성은 OCT-1 억제제인 프라조신의 존재 및 부재 하에 시험관 내 성장시킨 CML 환자로부터의 세포에서 [14C]-이마티닙의 세포내 흡수 및 유지 (IUR)에서의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유도되었다. (고) OCT-1 활성 중앙값을 초과하는 환자의 85%가 24 개월까지 주요 분자적 반응 (MMR)을 획득한 반면, (저) OCT-1 활성 중앙값 이하의 환자는 45%가 MMR을 획득하였다. 12 개월 요법에 걸쳐 600 mg/일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를 투여받은 환자 및 평균적으로 600 mg/일 미만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를 투여받은 환자를 평가하여, 고 OCT-1 활성의 환자가 복용량과 무관하게 뛰어난 분자적 반응을 획득하는 반면, 저 OCT-1 활성 환자의 반응은 복용량에 매우 의존적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고 OCT-1 활성 및 600 mg/일 미만의 복용량의 코호트에서의 8% 및 17% (p=0.017 및 p=0.022)와 비교하여, 600 mg 미만을 투여받은 저 OCT-1 활성의 환자의 45%는 12 개월까지 2-로그 감소 획득에 실패하였고, 82%는 18 개월까지 MMR 획득에 실패하였다. OCT-1 활성은 이마티닙에 대한 분자적 반응의 중요한 결정인자이고, 복용량과 밀접하게 연관된 예상 값을 갖는다.
하기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나, 본원에 기술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하기 제시된 데이타는 TIDEL 실험에서 CML 환자의 샘플로부터 수집되었다.
세포내 이마티닙 농도로 Oct -1 활성을 측정한다.
시약: 행크 ( Hanks ) 균형 염 용액 ( HBSS ) (Ca++ 및 Mg++ 없음). SAFC 바이오사이언시즈 (Biosciences). 사용 전에 0.05 mM 헤페스 (Hepes)를 첨가한다. 소 태아 혈청 ( FBS ). 림포프렙 ( Lymphoprep ), 액시스 쉴드 (Axis Shield). 마이크로 신트 ( MICROSCINT )-20 섬광액, 퍼킨 엘머 (PerkinElmer). RPMI 배지 (L-글루타민 무함유, Ca++ 및 Mg++ 없음), SAFC 바이오사이언시즈.
프라조신 : OCT -1을 억제한다 (프라조신 히드로클로라이드, MW=419.9, 시그마 (Sigma)).
10 mM 원액으로부터 100 μM로 사용한다.
10 mM 원액 = 4.2 mg/mL 메탄올.
14C- 이마티닙의 작업 용액
뜨거운 이마티닙과 차가운 이마티닙의 50% 혼합물, 1 mL 에 대해 100 μM:
14C-이마티닙, 1695.72 μM: 29.5 μL.
10 mM 이마티닙: 5 μL.
RPMI 배지: 966 μL.
표본 요건
리튬 헤파린 또는 나트륨 헤파린에서 무균 수집된, 말초 혈액, 골수, 및 조혈 세포를 함유하는 여타 액체.
혈액을 피콜처리 (ficoll)하고, 단핵 세포 (MNC)를 이 검정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MNC의 준비는 밀도 구배를 사용하는 표준 실험실 기술에 따른다.
생존력 보상을 보증하기 위해, 신선한 MNC 대신에, 동결보존시킨 후에 해동시킨 MNC를 사용한다.
방법
1. 모든 검정 포인트는 3중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2. 하기 상술된 것과 같이 24×2 mL 미세 원심분리기 튜브에 라벨을 붙인다 (부록 1).
3. 스테퍼 피펫을 사용하여 각각의 튜브로 1 mL RPMI + 10% FBS를 분배한다.
4. 각각의 튜브로 200,000개의 생존가능한 MNC를 분배한다.
5. 하기 상술된 것과 같이, 필요에 따라 유입/유출 억제제를 첨가한다 (부록 1).
6. 부록 1에 따라서 튜브에 14C-이마티닙을 첨가한다.
7. 파스퇴르 피펫을 사용하여 RPMI + 10% FBS를 적가함으로써 총 부피를 2 mL로 채운다.
8. 표준 2 시간 검정을 위해서 37 ℃/5% CO2에서 2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9. 튜브를 5분간 6800 rpm으로 원심분리한다. 30초간 13000 rpm으로 펄스 가라앉힘 (pulse spin)을 실시한다.
10. 각각의 튜브로부터 상청액 (S/N)의 20 μL 분취액을 취하고, 부록 4에 따라 96-웰 플레이트에서 100 μL 마이크로신트-20과 혼합한다.
11. 접착성 플라스틱 밀봉 덮개로 플레이트를 덮고, 플레이트를 호일에 감싼다.
12. 30초간 13000 rpm으로 다시 튜브의 펄스 가라앉힘을 실시한다.
13. 흡입관 (suction line)에 부착된 캐뉼라 + 옐로우 팁 (yellow tip)을 사용하여 모든 잔류액을 흡입한다. 세포 펠렛을 교란시키면 안된다.
14. 스테퍼 피펫을 사용하여 50 μL 마이크로신트를 펠렛에 첨가한다.
15. 와류로 세포를 재현탁시킨다. 15초간 13000 rpm으로 펄스 가라앉힘을 실시한다.
16. 부록 2에 따라서 용해된 세포를 두번째 96-웰 플레이트로 옮긴다.
17. 접착성 밀봉 덮개로 플레이트를 덮고, 플레이트를 호일에 감싼다.
18. 톱카운트 베타 카운터 (TopCount beta counter)에서 모든 플레이트를 카운트한다.
19. 카운트 데이타를 IUR-이마티닙 검정 템플릿 스프레드시트로 입력한다.
실시예 1: IC50 이마티닙 14 C 이마티닙 IUR 사이의 상관 관계
더 적은 시리즈 (n=19)에서, IC50이마티닙과 IUR 사이의 양호한 상관 관계 (p=0.014)가 증명되었다 (문헌 [White DL, Saunders VA, Dang P, et al. Blood. 2006;108:697-704]). 본원의 확장된 시리즈 (n=99)에서, 강력한 상관 관계 (r=-0.342; p=0.0005)가 다시 증명되었고, 이는 2개의 매개변수 사이의 관련성을 확인해 주었다 (도 1A). 또한, 저 IC50이마티닙 군의 IUR과 고 IC50이마티닙 군의 IUR 사이의 유의차가 나타났으나 (p=0.001), 이러한 차이는 OCT-1 억제제인 프라조신이 첨가되었을 때 제거되었다 (p=0.129) (도 1B). 이는 다시 한번 이마티닙 유입에서 수송체 OCT-1의 중요성을 확인해 준다.
실시예 2: OCT -1 활성
OCT-1의 효능 있는 억제제인 프라조신을 IUR 검정에 첨가하는 것은 OCT-1에 의한 이마티닙의 능동 수송을 손상시켰다. 두 실험 모두에 등록된 132명의 환자를 검사하여 OCT-1 활성에서의 광범위한 편차를 밝혀냈다 (중앙값 8.2: 0 내지 31.2의 범위). 5명 환자의 반복 검정에서, 프라조신이 있는 경우의 IUR 값은 프라조신이 없는 경우의 값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낮았다. 이러한 환자들은 무시할만한 (0 ng/200,000 세포) OCT-1 활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3: OCT -1 활성 및 IC50 이마티닙
IC50이마티닙 및 OCT-1 활성이 모두 측정된 99명의 환자에서, IC50이마티닙과 OCT-1 활성 사이의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r=-0.238; p=0.019) (도 2A). 또한, IC50 마티 을 저 IC50이마티닙 군 및 고 IC50이마티닙 군으로 분류하여, 고 IC50이마티닙 군에 비해 저 IC50이마티닙 군에서 유의하게 더 큰 OCT-1 활성을 갖는 것을 밝혀냈다 (p=0.008) (도 2B).
실시예 4: OCT -1 활성, 분자적 반응, 및 실제로 투여받은 복용량의 효과
OCT-1 활성을, TIDEL 실험에 등록된 56명의 환자에서 처음 24 개월에 걸친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요법의 분자적 반응과 비교하였다. 7.2 ng/200,000 세포의 코호트에 대한 활성 중앙값에 기초하여 환자들을 저 OCT-1 활성 및 고 OCT-1 활성으로 분류하였다. 표 1 및 도 3A에 제시된 것과 같이, 고 OCT-1 활성의 환자들은 (n=27) 저 OCT-1 활성의 환자들보다 (n=29) 시간 경과에 걸쳐 유의하게 더 높은 분자적 반응을 획득하였다 (24 개월에 p=0.005).
그러나, 내약성 문제로 인하여, 모든 환자들이 처음 12 개월의 요법 동안 일관되게 6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를 투여받은 것은 아니다. 변화하는 복용량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환자들을 처음 12 개월의 이마티닙 요법 동안 600 mg의 1일 평균 복용량 (ADD)을 투여받은 환자들 (n=33) 및 600 mg/일 미만의 ADD를 투여받은 환자들 (n=23, 중앙값 ADD 523 mg)로 추가로 하위-분류하였다. 400 mg 미만의 ADD를 투여받은 4명의 환자들이 이러한 코호트에 포함되었다.
고 OCT-1 활성의 환자들만을 평가한 경우, 처음 12 개월에 걸쳐 600 mg 미만을 투여받은 환자와 600 mg 이상을 투여받은 환자들 간 분자적 반응에서의 유의차는 없었다 (24 개월에 p=0.449) (도 3B, 표 1). 대조적으로, 저 OCT-1 활성 환자의 코호트에서, 600 mg을 투여받지 못한 환자들보다 600 mg을 투여받은 환자들이 유의적으로 더 좋은 분자적 반응을 획득하는 유의한 복용량 효과가 있었다 (24 개월에 p=0.005) (도 3B, 표 1).
카플란 마이어 분석은 고 OCT-1 활성의 환자 85%가 24 개월까지 MMR을 획득하는 반면 (획득 시간 중앙값: 9 개월), 저 OCT-1 활성의 환자 45% 만이 24 개월까지 MMR을 획득한다는 것을 (중앙값 시간: 24 개월, p=0.009) 밝혀냈다 (도 4). 처음 12 개월에 걸쳐 600 mg 미만의 ADD를 투여받은 환자들만을 분석하여, 저 OCT-1 활성 환자와 고 OCT-1 활성 환자 사이의 유의한 복용량 효과를 밝혀냈다: 저 OCT-1 활성 환자 (n=11)의 18%가 MMR을 획득한 것과 비교하여, 고 OCT-1 활성 환자 (n=12)의 83%가 MMR을 획득하였다 (p=0.022). 그러나, 600 mg을 투여받은 환자의 코호트에서 두 군 사이의 유의차는 없었다 (p=0.110).
Figure pct00001
실시예 5: 복용량 증가의 효과
TIDEL 실험에서, 표준화된 기준으로부터 BCR-ABL에서의 4-로그 감소가 12 개월까지 획득되지 않는 경우, 복용량을 초기 600 mg/일에서 800 mg/일로 강제로 증가시켰다. 본 실시예의 환자 코호트에서, 46명의 환자가 증가된 복용량을 투여받도록 예정되었다. 이 분석에서, 환자가 적어도 1 개월간 800 mg의 ADD를 투여받은 경우에 복용량 증가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독성 때문에, 이 코호트에서 단지 29명 (63%)의 환자만이 성공적으로 복용량을 800 mg/일로 증가시켰다. 증가시킬 수 없었던 주요 원인은 복용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지 못한 17명의 환자 중 13명에서 발생한 사전 독성/내약성 문제였다. 나머지 4명의 환자 중, 2명의 복용량은 1 개월간 단계적으로 증가시켰으나, 600 mg ADD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나머지 2명의 환자가 복용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지 못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복용량 증가는 복용량 증가가 가능했던 모든 환자에서 14 개월까지 발생하였다. 복용량의 단계적 증가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환자를 이전과 같이 저 OCT-1 활성 군 및 고 OCT-1 활성 군으로 분류한 후, 증가된 복용량을 투여받은 환자 및 600 mg 이하로 유지한 환자로 추가로 하위 분류하였다. 도 5에 제시된 것과 같이, 고 OCT-1 활성 코호트에서 복용량을 증가시킨 환자와 복용량 증가에 실패한 환자 사이의 유의차는 없었다 (모든 시점에서 p > 0.05). 대조적으로, 저 OCT-1 활성의 환자는 복용량을 증가시켰을 때 고 활성의 환자와 동등하게 잘 기능하였다. 저 OCT-1 활성의 경우에는 약물이 비효율적으로 내재화되었다. 따라서, 적절한 세포내 수준 (섭취 약물의 더 낮은 복용량에서 고 OCT-1/양호한 수송으로 세포에서 도달됨)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순환계에 증가된 복용량의 약물이 필요하다. 그러나, 복용량 증가에 실패한 환자들은 24 개월에서 유의하게 열등한 분자적 반응을 가졌다 (도 5).
18 개월까지 MMR 획득에 실패한 환자에서의 OCT-1 활성 중앙값은 MMR을 획득한 환자에서의 OCT-1 활성보다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 (도 6). 분자적 반응 군 사이의 OCT-1 활성에서의 이러한 차이는, 12 개월에 복용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기 못한 환자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도 6c). 12 개월에 복용량을 증가시킨 환자에서, 3개 군 사이의 유의차는 없었다 (도 6d).
실시예 6: OCT -1 활성, 최적 미만의 반응 및 이마티닙 실패
최적 미만의 반응은 6 개월까지 주요 세포유전적 반응 획득에 실패, 12 개월까지 완전한 세포유전적 반응 획득에 실패, 또는 18 개월까지 MMR 획득에 실패한 것으로서 정의되었다 (문헌 [Baccarani M, Saglio G, Goldman J, et al. Blood. 2006;108:1809-1820]). 분자 반응과 세포유전적 반응 사이의 양호한 상관 관계가 앞서 (문헌 [Branford S, Hughes TP, Rudzki Z. Br J Haematol. 1999;107:587-599]) 증명되었기 때문에, 6 개월까지 BCR-ABL에서의 1-로그 감소, 12 개월까지 2-로그 감소 및 18 개월까지 3-로그 감소 (MMR)를 획득하는데 실패한 것으로서의 최적 미만의 반응을 평가하였다. 표 2에서 보고된 것과 같이 카플란 마이어 분석은, 환자가 600 mg의 ADD를 투여받은 경우 어떠한 시점에서도 최적 미만의 반응의 빈도에 있어서 유의차가 없으나, 환자가 감소된 복용량을 투여받은 경우 모든 시점에서 유의차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감소된 복용량을 투여받은 저 OCT-1 활성의 환자가 이마티닙 메실레이트에 대한 최적 미만의 반응의 실질적인 위험에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18 개월까지 2-로그 감소 획득 실패를 평가하여 (이마티닙 실패, 상기 문헌 [Baccarani M, Saglio G, Goldman J, et al.] 참조), 감소된 복용량을 투여받은 저 OCT-1 활성의 환자 중 유의적으로 더 낮은 비율이 18 개월까지 2-로그 감소를 획득하였다는 것을 또한 밝혀냈다 (고 OCT-1 활성 8%, 저 OCT-1 활성 36%, p-0.04).
Figure pct00002
실시예 7: OCT -1 mRNA 및 OCT -1 활성
93명의 환자에서 OCT-1 mRNA의 수준을 BCR mRNA에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mRNA의 상대적 평균(%)은 0.02 내지 3.5% 범위 내에서 0.835였다. mRNA를 OCT-1 활성과 관련시켜 0.002의 p-값을 밝혀냈다 (r=0.378) (도 7). 이 코호트에 대해 7.9인 중앙값 근처에서 환자를 저 OCT-1 활성 및 고 OCT-1 활성으로 나누어 두 군 사이의 유의차를 밝혀냈다. 저 OCT-1 활성의 환자 (n=47)에 대한 OCT-1 mRNA의 중앙값(%)은 고 OCT-1 활성의 환자에 대해 0.635 (n=46)인 것과 비교하여 0.367이었다 (p=0.036) (도 7). 흥미롭게도, IC50 및 OCT-1 mRNA의 분석이 가능한 77명의 환자에서, 2개의 매개변수 사이의 상관 관계는 없었다 (r=0.162; p=0.171). 환자를 저 IC50이마티닙 및 고 IC50이마티닙으로 추가로 분류하고, OCT-1 mRNA 발현 수준을 평가하여 두 군 사이에 유의차가 없음을 밝혀냈다 (저 IC50이마티닙 n=42, 중앙값 0.586; 고 IC50이마티닙 n=35 중앙값 0.546; p=0.570)
24 개월 분자적 추적 (follow-up)이 가능한 이러한 환자 (TIDEL 환자)로 분석을 제한하여, 두 군 (저 OCT-1 mRNA 및 고 OCT-1 mRNA) 사이의 분자적 반응에서 유의차를 증명할 수 없었다 (표 3). 또한, OCT-1 활성에 대조적으로, 복용량 (600 mg 또는 그 미만) 및 복용량의 단계적 증가 (800 mg까지)와 관련하여 두 군 사이의 유의차는 없었다 (표 3). OCT-1 활성과는 다르게, mRNA 분석은 최적 미만의 반응 또는 이마티닙 실패에 대한 위험에 있는 일군의 환자들을 밝혀내지 못했다 (데이타는 제시되지 않음).
Figure pct00003
실시예 8: 60명의 CML 환자의 코호트에서 분자적 반응에 대한 OCT -1 활성 영향의 예비 분석
이 검정은 이마티닙 요법 전에 앞서 치료되지 않은, 만성 시기의 CML 환자에서 실시하였다. 제1 종료점: 12 개월까지 MMR의 획득 (주요 분자적 반응: RQ-PCR에 의해 측정시 BCR-ABL에서의 3-로그 초과 감소).
통계: 카플란 마이어, 로그 순위 생존 (Log Rank Survival), t-테스트 및 로그 순위 분석. 표시된 것과 같이 유의성에 대한 0.05 미만 수준의 P 값.
결과
A: 12 개월까지 MMR 의 획득 (환자의 백분율)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B: 분자적 반응 중앙값 ( BCR - ABL 에서의 로그 감소)
Figure pct00006
이 데이타는 (i) 400 mg 이마티닙까지 무작위로 선정된 환자와 비교할 때, 800 mg 이마티닙까지 무작위로 선정된 더 큰 비율의 저 OCT-1 활성의 환자는 12 개월까지 MMR을 획득하고, (ii) 이마티닙 복용량이 400 mg/일을 초과하는 저 OCT-1 활성의 환자 (이 경우, 800 mg)에 대해 관찰된 이점이 있고; (iii) 저 OCT-1 활성의 환자는 800 mg을 초과하는 복용량 증가로부터 추가적으로 이점이 있는 것 같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데이타는 TIDEL 실험의 초기 발견 사항을 뒷받침하고, 따라서 MMR 획득에 있어서 OCT-1 활성의 중요성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제공한다.

Claims (12)

  1. (a)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을 앓고 있는 온혈 동물의 사전-요법 혈액에서 OCT-1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약 6.0 내지 10.0 ng/200,000 세포 미만의 이마티닙 세포내 농도에 상응하는 OCT-1 활성을 나타내는, CML을 앓고 있는 온혈 동물에 약 500 내지 12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1일 복용량을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혈 동물에서 CML의 치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온혈 동물이 인간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적어도 4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1일 복용량을 경구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적어도 6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1일 복용량을 경구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적어도 8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1일 복용량을 경구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약 600 내지 10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1일 복용량을 경구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600 mg 내지 10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1일 복용량을 경구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6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1일 복용량을 경구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8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1일 복용량을 경구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10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1일 복용량을 경구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1200 mg의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1일 복용량을 경구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ML을 앓고 있는 온혈 동물이 약 8.0 내지 8.5 ng/200,000 세포 미만의 이마티닙 세포내 농도에 상응하는 OCT-1 활성을 보이는 것인 방법.
KR1020107001466A 2007-06-22 2008-06-20 Abl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로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치료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KR201000524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10868.2 2007-06-22
EP07110868A EP2005961A1 (en) 2007-06-22 2007-06-22 Method of optimizing the treatment of chronic myeloid leukemia with Abl tyrosine kinase inhibi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460A true KR20100052460A (ko) 2010-05-19

Family

ID=38616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466A KR20100052460A (ko) 2007-06-22 2008-06-20 Abl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로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치료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00184779A1 (ko)
EP (2) EP2005961A1 (ko)
JP (1) JP2010530854A (ko)
KR (1) KR20100052460A (ko)
CN (1) CN101711157A (ko)
AU (1) AU2008267755B2 (ko)
BR (1) BRPI0813407A2 (ko)
CA (1) CA2691200A1 (ko)
RU (1) RU2010101634A (ko)
WO (1) WO2009000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7702B2 (en) 2008-12-01 2014-04-15 Novartis Ag Method of optimizing the treatment of Philadelphia-positive leukemia with imatinib mesylate
WO2011022782A1 (en) * 2009-08-27 2011-03-03 Medvet Science Pty Ltd Combinations comprising imatinib mesylate and diclofenac
JP5940771B2 (ja) * 2010-07-12 2016-06-29 アークレイ株式会社 abl遺伝子多型の検出用プローブおよびその用途
US10342767B2 (en) 2011-04-21 2019-07-09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Therapy for kinase-dependent malignancies
CA2832860A1 (en) 2011-04-21 2012-10-26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Therapy for leukem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67755B2 (en) 2012-07-19
WO2009000023A1 (en) 2008-12-31
CN101711157A (zh) 2010-05-19
RU2010101634A (ru) 2011-07-27
JP2010530854A (ja) 2010-09-16
EP2170336A1 (en) 2010-04-07
AU2008267755A1 (en) 2008-12-31
BRPI0813407A2 (pt) 2014-12-30
EP2170336A4 (en) 2010-07-07
EP2005961A1 (en) 2008-12-24
US20100184779A1 (en) 2010-07-22
CA2691200A1 (en)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won et al. Heme oxygenase-1 accelerates erastin-induced ferroptotic cell death
Kim et al. Glutamine protects against cisplatin-induced nephrotoxicity by decreasing cisplatin accumulation
Martel et al. Uptake of serotonin at the apical and basolateral membranes of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aco-2) cells occurs through the neuronal serotonin transporter (SERT)
Han et 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cationic drug transporter in huma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Dong et al. Differential effects of melatonin on amyloid‐β peptide 25–35‐induced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hippocampal neurons at different stages of culture
Aoki et al. Shift in energy metabolism caused by glucocorticoids enhances the effect of cytotoxic anti-cancer drugs against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cells
Chiou et al. Abnormal protein expression in the corpus cavernosum impairs erectile function in type 2 diabetes
KR20100052460A (ko) Abl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로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치료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AU2010250814B2 (en) Mitochondrial activity inhibitors of cancer-initiating cells and use thereof
US20220152006A1 (en) TRPV2 Antagonists
Thomas et al. The role of advanced glycation in reduced organic cation transport associated with experimental diabetes
Adler et al. Epigenomic mechanisms of alcohol-induced impaired differentiation of skeletal muscle stem cells; role of Class IIA histone deacetylases
Sun et al. Romo1 is involved in the immune response of glioblastoma by regulating the function of macrophages
KR20220061190A (ko) Atp-기반 세포 분류 및 과증식성 암 줄기 세포
Ravaud et al. Resveratrol and HIV‐protease inhibitors control UCP1 expression through opposite effects on p38 MAPK phosphorylation in human adipocytes
Wittrant et al. Colony-stimulating factor-1 (CSF-1) directly inhibits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 (RANKL) expression by osteoblasts
Milusheva et al. The effect of antiparkinsonian drugs on oxidative stress induced pathological [3H] dopamine efflux after in vitro rotenone exposure in rat striatal slices
Zhou et al. Stimulation of Na, K-ATPase by low potassium requires reactive oxygen species
Fortin et al. ASK1-P38 pathway is important for anoikis induced by microtubule-targeting aryl chloroethylureas
Issaenko et al. Cap-dependent mRNA translation and the ubiquitin-proteasome system cooperate to promote ERBB2-dependent esophageal cancer phenotype
Ohba et al. Inhibition of c-Jun N-terminal kinase enhances temozolomide-induced cytotoxicity in human glioma cells
Hu et al. Serine/threonine protein phosphatase 5 is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in cholangiocarcinoma
Ren et al. In vitro and in vivo study on prevention of myocardial ischemic injury by taurine
Noë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catecholamine extraneuronal uptake2 carrier in human glioma cell lines SK-MG-1 and SKI-1 in relation to (2-chloroethyl)-3-sarcosinamide-1-nitrosourea (SarCNU) selective cytotoxicity
Alsuwayt A Review on Effects of Cardiotoxic Drugs in Animal Mod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