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275A - 잔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잔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275A
KR20100051275A KR1020080110359A KR20080110359A KR20100051275A KR 20100051275 A KR20100051275 A KR 20100051275A KR 1020080110359 A KR1020080110359 A KR 1020080110359A KR 20080110359 A KR20080110359 A KR 20080110359A KR 20100051275 A KR20100051275 A KR 20100051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e
stirring
inlet
grinding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봉
Original Assignee
김학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봉 filed Critical 김학봉
Priority to KR1020080110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1275A/ko
Publication of KR20100051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찌꺼기 등과 같은 잔반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잔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투입구(111a)를 통해 잔반이 투입되는 교반실(112)과, 교반실(112)로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연통 형성되는 급수로(116)와, 교반실(112)과 걸름망(114)을 매개로 연통하는 수집실(113')을 구비한 하우징(110'); 교반실(112)에 설치되어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교반회전축(121)과, 교반회전축(121)에 돌출형성되어 교반실(112)에 투입된 잔반을 교반하는 교반날개(122, 122')를 구비한 교반기(120, 120'); 일단이 수집실(113')과 연통하는 순환관(161)과, 순환관(161)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순환구동모터(164')를 구비한 순환기(160'); 및 상방 개구된 용기 형상을 이루고 교반실(112) 상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10')에 내설되는 분리기 본체(171)를 구비하면서, 순환관(161)으로 이송된 잔반 및 수분을 분리해 잔반은 교반실(112)로 유입시키고 수분은 배출시키는 분리기(17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잔반 처리장치{Handling machine for recycling of leftover food}
본 발명은 음식물 찌꺼기 등과 같은 잔반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잔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제적인 안정과 기술개발 등, 생활환경이 급진보하고 윤택해지면서 인간이 느끼는 삶의 개념과 관심이 의식주와 같은 본능적인 욕구충족보다 여가, 건강, 환경 등과 같은 이성적인 만족에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삶의 모습은 단순히 배부르기 위한 식습관에서 벗어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식습관으로 변화하고 있고, 아울러 인공적이거나 오염된 환경이 아닌 맑고 깨끗한 자연스런 환경에서 살아가길 희망하게 되었다.
이러한 삶의 변화와 관심에 발맞춰서, 과학과 기술은 환경친화적인 분야로 투자 및 연구가 집중되고 있고, 이를 통해 많은 성과와 결과 또한 이루었다.
특히 생태계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처리방법에 대해 적지않은 투자와 연구가 집중되었고, 근래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화, 비료화, 사료화, 연료화가 가능하도록 재활용 처리하는 방식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재 활용 과정에서 탈수공정이 반드시 포함된다. 탈수공정이 완료되면, 음식물 자체가 갖고 있는 효소 또는 별도의 촉매제 등을 공급 혼합하고, 가열 또는 건조작업을 통해 퇴비나 사료로 완성한다.
그런데, 전술한 잔반(음식물 쓰레기) 처리 절차에 포함된 탈수공정은 그 효율성이 낮았고,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무리한 에너지를 소비해야 하므로, 잔반을 대량으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경제적 부담이 커서 대부분이 소각처리되거나 매몰되었다. 하지만, 소각과 매몰은 대기 및 토양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이는 자연환경은 물론 생태 오염을 초래할 수 있어서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대량의 잔반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안정된 처리공정을 경제적으로 반복할 수 있도록 하는 잔반 처리장치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입구를 통해 잔반이 투입되는 교반실과, 교반실로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연통 형성되는 급수로와, 교반실과 걸름망을 매개로 연통하는 수집실을 구비한 하우징;
교반실에 설치되어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교반회전축과, 교반회전축에 돌출형성되어 교반실에 투입된 잔반을 교반하는 교반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일단이 수집실과 연통하는 순환관과, 순환관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순환구동모터를 구비한 순환기; 및
상방 개구된 용기 형상을 이루고 교반실 상에 배치되도록 하우징에 내설되는 분리기 본체를 구비하면서, 순환관으로 이송된 잔반 및 수분을 분리해 잔반은 교반실로 유입시키고 수분은 배출시키는 분리기;
를 포함하는 잔반 처리장치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잔반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탈수해서 퇴비 또는 연 료화 등과 같이 재활용을 위한 2차 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오염원의 배출 또는 배기 등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중,대량의 잔반(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하거나 처리하는 잔반 처리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잔반이 유입돼 교반되는 교반실(112)과, 교반이 완료된 잔반이 수집되는 수집실(113)과, 교반실(112)로의 잔반 투입을 위한 투입관(111)을 구비한 하우징(110); 교반실(112)에 위치한 잔반을 교반하는 교반기(120); 수집실(113)에 위치한 잔반을 강제 이송하는 이송기(150); 이송기(150)를 통해 이송된 잔반을 교반실(112)로 재유입시키는 순환기(160'; 도 3 참조)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투입된 잔반을 보관하면서 잔반의 탈수는 물론 필요에 따라 발효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격리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교반실(112)과 수집실(113)을 포함하고, 교반실(112)은 잔반의 투입을 위해 개구된 투입구(111a; 도 3 참조)를 갖는다. 결국, 사용자가 잔반 처리를 위해 잔반을 투입관(111)에 넣으면, 잔반은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해서 투입구(111a)를 거쳐 교반실(112)로 유입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분 쇄기(130)가 투입관(111)에 내설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투입관(111) 내에 분쇄기(130)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투입관(111)으로 잔반을 넣으면, 투입관(111)과 교반실(112)을 연통하는 투입구(111a)를 통해 자중으로 잔반이 낙하해서 교반실(112)로 유입되는 것이다.
교반실(112)은 유입된 잔반이 교반기(120)를 통해 강제 교반되는 곳으로, 충분한 용량을 갖는 공간일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호기성 처리 방식이 적용된 것으로, 교반실(112)에 유입된 잔반은 항시 일정한 수분을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교반실(112)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116)가 형성되고, 이 급수로(116)는 외부 급수탱크(미도시함)와 연통하면서 교반실(112) 내로 간헐적 또는 항시적으로 물을 공급한다.
교반된 잔반은 수집실(113)로 유입된다. 이때, 잔반이 별도의 외력없이도 교반실(112)로부터 수집실(113)로 원활히 이동하도록, 수집실(113)은 교반실(112)의 하방에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잔반은 교반 과정 중 자중에 의해 수집실(113)로 낙하하는 것이다.
한편, 교반실(112)과 수집실(113)은 걸름망(114)에 의해 경계된다. 걸름망(114)은 일정한 입자크기 이하의 잔반 만이 교반실(112)을 통해 수집실(113)로 유입되도록 제한한다. 잔반과 함께 교반실(112)로 유입된 호기성 미생물은 충분한 분해활동을 통해 잔반의 입자크기를 줄일 수 있고, 결국 걸름망(114)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분말화된 잔반은 걸름망(114)을 통과해서 수집실(113)로 유입 된다.
수집실(113)로 유입된 잔반은 외부로 직접 배출되거나, 이송기(150) 등을 통해 교반실(112) 또는 수집실(113)로 재유입될 수 있다. 한편, 잔반에 포함된 수분은 교반 과정과정에서 잔반으로부터 분리되고, 이렇게 분리된 수분은 수집실(113)을 통과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집실(113)은 수분의 집수와 외부 배출을 위해 바닥면이 경사를 이룰 수 있고, 경사지점의 최저점에는 수분의 외부 배출을 위한 배출구(113a)가 형성되고, 배수 안내를 위해 배출관(115)이 배출구(113a)에 위치할 수 있다.
잔반의 순환과정은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정화기(140)는 잔반이 배출하는 각종 오염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 잔반 처리과정 중 발생한 오염공기의 악취는 물론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성분을 제거 및 중화한다.
이를 위한 정화기(140)는 오염공기의 정화용 약품이 위치하면서 하우징(110)으로부터 유입된 오염공기가 상기 정화용 약품과 반응하는 탱크(141)와, 탱크(141)와 하우징(110)을 연통하는 흡기관(142)과, 탱크(141) 내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관(143)을 포함하고, 정화용 약품을 공급하는 분사기(144)가 탱크(14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잔반 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오염공기는 흡기관(142)에 구비된 흡기팬(142a)의 구동으로 발생한 흡기력에 의해 흡기관(142)으로 유입되어 탱크(141)로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된 오염공기는 탱크(141)에 주입된 정화용 약품과 반응해서 정화되고, 배기관(143)을 통해 탱크(141)의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한편, 탱크(141)로의 정화용 약품 공급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탱크(141)가 개폐가능한 구조를 이루면서 정화용 약품을 필요에 따라 저수하는 방식으로 대량 투입하는 방식과, 분무기 등과 같은 분사기(144)를 이용해 정화용 약품을 탱크(141) 내 공기 중에 분무 살포해서 흡기관(142)을 통해 유입된 오염공기와 반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후자의 경우, 오염공기의 입자와 정화용 약품의 입자가 효과적으로 반응하므로,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분사기(144)를 통한 분무방식의 경우, 정화용 약품이 배출되는 구멍에 미세한 구멍을 다수 형성시킨 후 상대적으로 큰 출압을 가해서 분무하는 방식과, 정화용 약품에 직접 초음파 단위의 진동을 가해서 정화용 약품을 분산하는 방식 등이 있는데, 본 발명의 분사기(144)는 정화용 약품의 분사를 위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므로,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변형실시될 수 있다.
결국, 상술한 정화기(140)를 통해 잔반 처리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악취를 크게 줄일 수 있고, 투입구(111a)를 통한 배출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100)는 잔반의 순환을 통해 탈수효율을 높이고, 상대적으로 대량의 잔반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양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투입관(111)에 투입된 잔반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교반실(112)에 그대로 유입될 수도 있으나, 투입관(111) 내에서 분쇄기(130)에 의해 잘게 분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분쇄기(130)는 분쇄구동모터(133)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분쇄회전축(131)과, 분쇄회전축(1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분쇄스크류(132)를 포함한다. 결국, 투입관(111)에 투입된 잔반은 분쇄스크류(132)와 충돌하면서 분쇄되고, 이렇게 분쇄된 잔반은 분쇄스크류(132)의 회전방향을 따라 투입구(111a)로 이동해서 교반실(112)로 유입된다. 물론, 투입구(111a)는 도시한 바와 같이 편중된 지점에 위치하면서 분쇄스크류(132)의 회전을 따라 이송돼 교반실(112)로 유입될 수도 있으나, 분쇄스크류(132)의 하방 전체가 개구되도록 할 수도 있다. 결국, 후자의 경우엔 투입관(111)으로 투입된 잔반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분쇄스크류(132)와 충돌해 분쇄되면서 하방 개구된 투입구(111a)를 통해 교반실(112)로 낙하할 것이다.
교반실(112)로 유입된 잔반은 교반기(120)에 의해 교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잔반은 분해 및 처리를 위한 미생물 또는 약품과 더불어 교반실(112)에 유입되고, 교반기(120)는 잔반과 미생물 또는 약품을 상호 원활히 혼합시키므로, 미생물 또는 약품에 의한 잔반 처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한편, 교반기(120)는 교반구동모터(123)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교반회전축(121)과, 교반회전축(1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교반날개(122)를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교반날개(122)를 평판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잔반의 효과적인 교반을 위한 교반날개(122)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교반기(120)의 구동을 통한 원활한 교반 및 처리가 완료되면, 입자형태로 변형된 잔반은 걸름망(114)을 거쳐 수집실(113)로 유입된다.
이송기(150)는 잔반의 순환을 위해 당해 잔반을 순환기(160')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이송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한 방식과, 수집실(113)의 바닥면을 순환기(160') 쪽으로 경사지게 해서 잔반의 자중으로 미끄러져 순환기(160')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이송스크류(152)를 이용한 이송기(150)를 개시한다. 이송기(150)는 이송구동모터(153)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이송회전축(151)과, 이송회전축(15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이송스크류(152)를 포함한다.
이때, 이송스크류(152)는 수집실(113)의 수평길이를 따라 배치되고, 수집실(113)의 최저점에 위치하므로, 교반실(112)로부터 유입된 잔반은 유입위치에 상관없이 이송스크류(152)에 의해 순환기(160') 쪽으로 강제 이송된다.
이송기(150)를 통해 이송된 잔반은 순환기(160')로 유입되고, 순환기(160')는 이를 받아 강제 이송하여 이송기(150)의 상방에 위치한 교반실(112) 또는 수집실(113)로 잔반을 재유입시킨다.
순환기(160')는 이송기(150)로부터 이송된 잔반을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방식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송기(150)와의 연동성과, 잔반 이송의 연속성을 높이기 위해, 순환기(160') 또한 스크류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의 다른 실시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쇄기(130')는 투입관(111)을 통해 투입되는 잔반을 분쇄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다른 실시모습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130')는 잔반 분쇄를 위한 별도의 커터(134, 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쇄기(130')는 투입관(111)으로 투입된 잔반이 분쇄스크류(132')의 강한 회전에 의한 분쇄가 아닌 커터(134, 134')에 의해 분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커터(134, 134')는 분쇄스크류(132')의 말단에 위치되고, 투입구(111a) 또한 커터(134, 134')가 위치한 분쇄스크류(132')의 말단에 위치해서, 분쇄스크류(132')의 회전으로 잔반이 투입구(111a)로 강제 이송되어오면, 투입구(111a)에 위치한 커터(134, 134')는 이송되어온 잔반을 절단 및 분쇄하며, 절단 및 분쇄된 잔반은 투입구(111a)를 통과해 교반실(112)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커터(134, 134')는 투입구(111a)에 고정된 고정식일 수도 있고, 분쇄회전축(131)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식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분쇄스크류(132')에 의해 투입구(111a)로 강제 이송된 잔반은 분쇄스크류(132')의 이송압에 의해 커터(134, 134')와 강제로 접하면서 절단되고, 후자의 경우, 분쇄스크류(132')에 의해 투입구(111a)로 강제 이송된 잔반은 분쇄회전축(131)과 더불어 회전하는 커터(134, 134')와 강제로 접하면서 절단된다.
계속해서, 상기 분쇄스크류(132')는 나선형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된 제1,2분쇄스크류(132a, 132b)로 되어서, 투입관(111)에 투입된 잔반이 교반실(112)에 효과적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분쇄스크류(132a)는 왼 나선형이고, 제2분쇄스크류(132b)는 오른 나선형으로 되어서, 분쇄회전축(131)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제1,2분쇄스크류(132a, 132b)에 의한 잔반의 이동방향이 좌우 양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잔반이 교반실(112)로 유입되는 통로인 투입구(111a)를 제1,2분쇄스크류(132a, 132b)의 양방에 배치하고, 커터(134, 134') 또한 투입구(111a) 각각에 배치시켜서, 투입관(111)으로 투입된 잔반의 분쇄효율을 높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100')의 교반기(120')는 말단이 확장된 하나의 교반날개(12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100')는 잔반의 탈수를 위한 분리기(17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수집실(113')은 이송기(150; 도 2 참조)를 대신해 구조적인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수집실(113')은 교반실(112)에서 낙하하는 잔반 및 수분이 집중되도록 바닥면이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바닥면의 최저점에는 배수관(166)이 배치되어서 순환기(160')의 순환구동모터(164')가 제공하는 흡입력이 잔반 및 수분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하고, 순환관(161')과 연통한다. 여기서, 순환구동모터(164')는 펌핑 기능을 갖는 펌프이다.
순환기(160')는 배수관(166)과 연결되어서 수집실(113')에 수집된 잔반 및 수분을 강제로 펌핑한 후 순환관(161')을 통해 잔반 처리장치(100')의 상방으로 이송하는 장치이고, 이렇게 이송된 잔반 및 수분은 순환관(161')의 말단과 연결된 출수로(117)를 통해 분리기(170)로 유입된다.
출수로(117)는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관되는 관 형상으로, 다수의 구멍(117a)이 형성되어서, 잔반 및 수분이 구멍(117a)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출수로(117)의 하방에는 분리기(170)가 위치하므로, 구멍(117a)을 통해 배출되는 잔반 및 수분은 자유 낙하하여 분리기(170)로 유입된다.
상기 분리기(170)는 교반실(112) 상에 내설되는 용기 형상의 분리기 본체(171)와, 잔반 및 수분이 유입되는 분리기 본체(171)의 상면을 덮어서 잔반과 수분이 분리되도록 거르는 분리망(172)과, 분리망(172)에 의해 분리되어 분리기 본체(171) 안으로 유입된 수분이 배출되는 퇴수구(173)로 이루어진다.
결국, 출수로(117)의 구멍(117a)을 통해 배출된 잔반 및 수분은 분리기(170)의 상면으로 낙하하고, 이렇게 낙하한 잔반 및 수분은 분리망(172)에 의해 분리되어서 잔반은 교반실(112)로 유입되고 수분은 분리기 본체(171)로 유입되는 한편, 분리기 본체(171)로 유입된 수분은 퇴수구(1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분리망(172) 상에 낙하해 걸러진 잔반이 분리망(172)을 따라 흘러서 교반실(112)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분리망(172)은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리망(172)은 미세한 잔반까지도 수분과 걸러낼 수 있는 미세한 크기의 격자형상을 이룰 것이다.
분리기 본체(171)는 잔반과 분리된 수분이 유입되어 퇴수구(173)를 통해 배출되도록 되므로, 분리기 본체(171)에 유입된 수분이 퇴수구(173)로 집중될 수 있도록 분리기 본체(171)의 바닥면은 퇴수구(173)를 향해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급수로(116')는 출수로(117)와 동일/유사한 관 형상을 이루면서 출수로(117)와 나란히 배관되고, 다수의 구멍(116a)이 형성되어서 급수로(116')를 따라 흐르는 급수가 구멍(116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수집실(113')은 하나 이상의 보조급수구(118')가 형성되어서, 교반실(112)로부터 유입된 잔반이 배수관(166)으로 원활히 이동하도록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급수구(118')는 수집실(113')의 경사진 바닥면의 최고점에 위치하면서 보조급수구(118')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이 수집실(113')의 바닥면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를 통해 바닥면에 묻은 잔반이 쉽게 쓸려갈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보조급수구(118')는 급수로(116, 116')와 같이 외부 급수탱크와 연통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의 주동폴리 및 흡입수단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100")는 잔반의 탈수를 위한 분리기(17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수집실(113')은 이송기(150; 도 2 및 도 3 참고)를 대신해 구조적인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기(170')는 교반실(112) 상에 내설되므로, 교반실(112) 보다 하단에 위치하는 수집실(113')로부터 잔반 및 수분을 상방 이송하기 위한 순환기(160')가 포함된다.
이러한 수집실(113') 및 순환기(160')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분리기(170')는 순환기(160')에 의해 이송된 잔반 및 수분이 유입되는 용기 형상의 분리기 본체(171')와, 분리기 본체(171')에 유입된 잔반을 잡아 컨베이어 방식으로 이송하기 위한 주동폴리(174), 종동폴리(175) 및 이송벨트(176)를 포함하고, 주동폴리(174)가 갖는 잔반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한 흡입수단(177)과, 이송벨트(176)에 안착된 잔반을 강제 이탈시키는 스크래퍼(1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기 본체(171')는 잔반 및 수분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형상을 이루되, 순환기(160')로부터 유입되는 잔반 및 수분은 분리기 본체(171')의 바닥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주동폴리(174)는 구동부(174a)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관 형상으로, 내외를 관통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주동폴리(174)의 재질을 격자형 망으로 하였다. 한편, 인출번호 "174b"는 주동폴리(174)와 구동부(174a)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브래킷(174b)이다.
종동폴리(175)는 분리기 본체(171')에서 주동폴리(174)와 나란히 배치된다.
이송벨트(176)는 주동폴리(174)와 종동폴리(175)를 무한궤도 형태로 감아 연결하는 것으로, 주동폴리(174)의 회전으로 종동폴리(175)와 더불어 회전한다.
한편, 이송벨트(176)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분리기 본체(171')에 유입된 잔반은 주동폴리(174)의 회전과 더불어 이동하는 이송벨트(176) 표면에 부착되고, 수분은 이송벨트(176) 및 주동폴리(174)를 관통해 안쪽으로 유입된다.
주동폴리(174)의 내측에는 흡입수단(177)의 일 구성인 흡입관(177a)이 배관된다. 흡입관(177a)은 중공을 가지며, 일 지점은 중공을 개방하는 흡입구멍(177b)이 형성되는 한편, 흡입관(177a)은 흡입펌프(177c)와 연결되어서, 흡입펌프(177c)의 구동으로 흡입구멍(177b)을 통한 흡입 기능을 갖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흡입구멍(177b)은 분리기 본체(171')로 잔반 및 수분이 유입되는 지점을 향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집실(113')로부터 이송되는 잔반 및 수분이 분리기 본체(171')로 최초 유입 시, 흡입구멍(177b)의 흡입력에 의해 잔반은 주동폴리(174)에 감긴 이송벨트(176)에 밀착되고, 수분은 이송벨트(176) 및 주동폴리(174)를 순차 관통해 흡입구멍(177b)으로 유입되어 흡입관(177a)을 따라 외부로 배수된다(도 9(a) 참조).
한편, 잔반은 이송벨트(176)의 이동을 따라 종동폴리(175)로 이송된다. 이때, 흡입구멍(177b)은 분리기 본체(171')로 잔반 및 수분이 최초 유입되는 지점을 향해서만 제한적으로 형성되어서, 이송벨트(176)의 잔반이 종동폴리(175)로 이송될 때 흡입력이 잔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결국, 분리기 본체(171')로 유입된 잔반 및 수분은 흡입수단(177)의 흡입력에 의해 잔반은 이송벨트(176)에 밀착되고 수분은 흡입관(177a)으로 유입되며, 잔반은 이송벨트(176)를 따라 이동하면서 종동폴리(175)까지 이송된다(도 9(b) 참조).
이렇게 이송된 잔반은 종동폴리(175)에 배치된 스크래퍼(178)와 접하면서 이송벨트(176)로부터 분리되고, 이렇게 분리된 잔반은 교반실(112)로 재투입된다. 물론, 이송벨트(176)는 무한궤도로 계속 이동하면서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도 9(c) 참조).
미설명 인출번호 "179"는 '보조폴리'로, 주동폴리(174)와 종동폴리(175)를 연결하는 이송벨트(176)의 장력 조정을 위해 보강 설치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의 다른 실시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처리장치의 주동폴리 및 흡입수단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기의 구동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100', 100"; 잔반 처리장치 110, 110', 110"; 하우징
111; 투입관 112; 교반실
113, 113'; 수집실 114; 걸름망
115; 배출관 120; 교반기
130; 분쇄기 140; 정화기
150; 이송기 160, 160'; 순환기
170, 170'; 분리기 171, 171'; 분리기 본체
172; 분리망 173; 퇴수구
174; 주동폴리 175; 종동폴리
176; 이송벨트 177; 흡입수단
178; 스크래퍼

Claims (8)

  1. 투입구(111a)를 통해 잔반이 투입되는 교반실(112)과, 교반실(112)로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연통 형성되는 급수로(116)와, 교반실(112)과 걸름망(114)을 매개로 연통하는 수집실(113')을 구비한 하우징(110');
    교반실(112)에 설치되어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교반회전축(121)과, 교반회전축(121)에 돌출형성되어 교반실(112)에 투입된 잔반을 교반하는 교반날개(122, 122')를 구비한 교반기(120, 120');
    일단이 수집실(113')과 연통하는 순환관(161)과, 순환관(161)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순환구동모터(164')를 구비한 순환기(160'); 및
    상방 개구된 용기 형상을 이루고 교반실(112) 상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10')에 내설되는 분리기 본체(171)를 구비하면서, 순환관(161)으로 이송된 잔반 및 수분을 분리해 잔반은 교반실(112)로 유입시키고 수분은 배출시키는 분리기(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161)의 타단은 분리기 본체(171) 상에 배치 형성되는 출수로(117)와 연통하고,
    상기 분리기(170)는, 분리기 본체(171)의 개구된 상방을 덮어 기울어지게 배치되어서 출수로(117)로부터 배출되는 잔반과 수분을 거르는 분리망(172)과, 분리 기 본체(171)에 유입된 수분이 배출되는 퇴수구(17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로(117)는 잔반 및 수분의 배출을 위한 다수의 구멍(117a)을 갖는 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161)의 타단은 분리기 본체(171)와 연결돼 연통하고,
    상기 분리기(170)는, 순환관(161)의 타단을 향해 절개된 흡입구멍(177b)을 구비하고 분리기 본체(171)에 내설되는 흡입관(177a)과, 흡입구멍(177b)을 통한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흡입관(177a)과 연결되는 흡입펌프(177c)를 갖춘 흡입수단(177); 흡입관(177a)이 삽입되는 중공을 가지며 내외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관 형상을 이루고, 구동부(174a)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주동폴리(174); 분리기 본체(171) 내에서 주동폴리(174)와 나란히 회전가능하게 배치 고정되는 종동폴리(175);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벨트 형상을 이루고, 주동폴리(174)와 종동폴리(175)에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되는 이송벨트(176); 이송벨트(176)를 따라 종동폴리(175) 쪽으로 이동한 잔반을 긁어내어 교반실(112)로 유입시키는 스크래퍼(17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 처리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투입구(111a)로 안내하는 투입관(111)을 더 포함하고,
    투입구(111a)를 통해 분쇄된 잔반이 유입되도록 투입관(111)에 설치되어 잔반을 분쇄하는 분쇄기(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 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130)는 투입관(111)의 내측에 설치되어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분쇄회전축(131)과, 분쇄회전축(131)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분쇄스크류(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130)는 투입관(111)의 내측에 설치되어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분쇄회전축(131)과, 분쇄회전축(131)의 둘레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형성된 분쇄스크류(132)와, 분쇄스크류(132)를 따라 투입구(111a)로 강제 이송된 잔반을 절단하는 커터(134, 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 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111a)는 분쇄스크류(132)의 양단에 각각 형성 배치되고, 분쇄스크류(132)는 투입된 잔반을 양단에 위치한 투입구(111a)에 모두 이송하도록 왼 나선형으로 된 제1분쇄스크류(132a)와 오른 나선형으로 된 제2분쇄스크류(132b)로 되 되며, 커터(134, 134')는 분쇄스크류(132)의 양방에서 분쇄회전축(131)을 따라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 처리장치.
KR1020080110359A 2008-11-07 2008-11-07 잔반 처리장치 KR20100051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359A KR20100051275A (ko) 2008-11-07 2008-11-07 잔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359A KR20100051275A (ko) 2008-11-07 2008-11-07 잔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275A true KR20100051275A (ko) 2010-05-17

Family

ID=4227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359A KR20100051275A (ko) 2008-11-07 2008-11-07 잔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12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032U (ko) * 2016-12-27 2017-01-02 이경희 소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N110575887A (zh) * 2019-09-21 2019-12-17 程思铭 一种医疗废物分级收集***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032U (ko) * 2016-12-27 2017-01-02 이경희 소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N110575887A (zh) * 2019-09-21 2019-12-17 程思铭 一种医疗废物分级收集***
CN110575887B (zh) * 2019-09-21 2020-06-09 程思铭 一种医疗废物分级收集***
CN111632999A (zh) * 2019-09-21 2020-09-08 程思铭 一种基于密度分级的医疗废物收集***
CN111632999B (zh) * 2019-09-21 2021-12-17 湖北圣堃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密度分级的医疗废物收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7266B2 (en) Garbage separating apparatus and food waste disposal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06272312A (ja) 有機性廃棄物の高速処理装置
US20110089015A1 (en) Pyrolysis System for Producing One or a Combination of a Solid, Liquid and Gaseous Fuel
KR101921692B1 (ko) 슬러지와 가축분뇨와 음식물쓰레기와 음폐수의 교반 소멸장치
CN1966166A (zh) 餐厨垃圾再生油脂、生物天然气、药肥、饲料的六段工艺
KR101339563B1 (ko) 유기성 슬러지 일괄처리장치
US6368500B1 (en) System for treatment of waste
KR100676729B1 (ko) 음식물 및 야채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1599989B1 (ko) 슬러지 발효 건조장치
KR20140100824A (ko) 연속 탈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20100051275A (ko) 잔반 처리장치
CN111001473B (zh) 一种节能环保的生活垃圾处理装置
KR100824290B1 (ko) 폐수처리장치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A2384734C (en) System for treatment of waste
KR200235908Y1 (ko)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비료 제조장치
KR20100029391A (ko) 잔반 처리장치
JP4037111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0827625B1 (ko) 폐수 처리용 전처리 장치
KR200405262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46042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21231276U (en) Kitchen waste separation system
KR10219497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9990001561A (ko)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KR200166520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