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3719A -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 Google Patents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3719A
KR20100033719A KR1020080092720A KR20080092720A KR20100033719A KR 20100033719 A KR20100033719 A KR 20100033719A KR 1020080092720 A KR1020080092720 A KR 1020080092720A KR 20080092720 A KR20080092720 A KR 20080092720A KR 20100033719 A KR20100033719 A KR 20100033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outlet
opening
dehumidifi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to KR1020080092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3719A/ko
Priority to CA2681513A priority patent/CA2681513C/en
Priority to PCT/KR2008/005750 priority patent/WO2010032896A1/en
Priority to US12/546,373 priority patent/US8033131B2/en
Publication of KR20100033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제습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자동이나 수동으로 선택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는, 제습기의 외형을 이루며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흡입구로 케이스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고 공기 배출구로 건조한 공기를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제습수단, 상기 제습수단을 통하여 제습된 물이 모여 저장되며 일측에 배출구를 갖는 연결부가 형성된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연결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른 연결부를 갖추며, 상기 저수조의 배출구와 선택적으로 통하도록 이루어진 배출구를 갖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저수조를 연결부재에 연결하면 저수조의 물이 연결부재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수조를 연결부재에서 분리하면 저수조에서 배출되는 물을 차단한다.
제습기, 저수조, 연결부재, 개폐부재

Description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EASILY-DRAINABLE 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자동이나 수동으로 사용자가 선택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장치로써, 여러 가지 제습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제습기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할 때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습기를 제거하는 냉각식 제습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습기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상기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수단과, 상기 제습수단에서 제습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로 구성된다.
상기 제습수단은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이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거쳐 모세관(팽창튜브)을 통과한 저압의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습기는 냉매가 압축기를 통하여 증발기로부터 응축기와 모세관을 통해 다시 증발기로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팬의 회전으로 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흡입되면,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를 지나면서 냉매에 의하여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어 응축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는 이슬로 맺혀져 제거된다.
제거된 습기는 낙하하여 저수조로 흘러 저장되며, 저수조에 물이 채워지면 이를 외부로 배출시켜야 한다.
제습기의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제습기 내부에 장착된 저수조를 분리하여 물을 수동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제습기의 외부에 저수조와 연결된 배수펌프를 설치하여 배수펌프를 작동시켜 저수조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제습기에 내부에 설치된 배수펌프의 작동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저수조의 물을 배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저수조의 물 배출 방식은 수동으로 배출시키는 방식이거나 또는 배수펌프를 이용한 자동 배출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만 이루어지므로 사용상의 불편함과 사용장소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즉, 저수조의 물을 수동으로 배출시키는 방식의 제습기는 저수조의 물을 주기적으로 배출시켜야함으로 번거롭고 불편함이 있으며, 자동 배출방식은 배수관로를 설치해야됨으로 사용장소가 제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습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자동이나 수동으로 선택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는, 제습기의 외형을 이루며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흡입구로 케이스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고 공기 배출구로 건조한 공기를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제습수단, 상기 제습수단을 통하여 제습된 물이 모여 저장되며 일측에 배출구를 갖는 연결부가 형성된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연결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른 연결부를 갖추며, 상기 저수조의 배출구와 선택적으로 통하도록 이루어진 배출구를 갖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저수조를 연결부재에 연결하면 저수조의 물이 연결부재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수조를 연결부재에서 분리하면 저수조에서 배출되는 물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는,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배수펌프 의 구동으로 자동으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저수조를 분리하여 수동으로 물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제습기의 사용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어느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 임의대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제습기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에 제공된 저수조와 배수펌프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습기는, 내부가 공간부로 형성되면서 제습기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수단과, 상기 제습수단을 통하여 제습된 물이 모여 저장되는 저수조(1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의 전면 또는 전면 및 측면에는 제습수단의 작동 시 케이스(2) 외부 공기가 제습수단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며, 케이스(2)의 상부면 또는 상부면 및 배면에는 제습수단을 거쳐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구(6)가 형성된다.
제습수단은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8)와, 이 압축기(8)에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0)와, 상기 응측기(10)를 거쳐 모세관을 통과한 저압의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12)를 포함하는 냉각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응축기(10)의 후방에는 공기를 제습수단 측으로 흡입하는 팬(14)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2)의 하부에는 공기가 증발기(12)를 통과할 때 습기가 제거되면서 결로되어 낙하되는 물을 모으는 물받이(16)가 설치되며, 이 물받이(16)의 하부에는 물받이(16)의 물이 흘러 저장될 수 있도록 저수조(100)가 위치한다.
저수조(100)에는 수위에 따라서 높이가 가변되는 플로트(18)와, 이 플로트(18)가 일정높이로 상승하면 스위치 온 상태로 작동하고, 이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스위치 오프 상태로 작동되는 마이크로스위치(20)가 설치된다.
저수조(100)에 담긴 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배수펌프(P)가 제공되며, 저수조(100)와 배수펌프(P)는 연결부재(20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저수조(100)에 담긴 물을 사용자가 직접 배출하거나 또는 마이크로스위치(20)에 의하여 구동하는 배수펌프(P)의 작동으로 저수조(100)의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것을 위하여 저수조(100) 및 연결부재(200)는 그 일측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102)(202)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제습기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고정부재로 고정되고, 저수조(100)는 고정된 연결부재(2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연결부(102)(202)는 서로 긴밀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부(102)(202) 내부에는 배출구(104)(204)가 각각 형성되며, 이들 배출구(104)(204)에는 각각 개폐부재가 제공되어 배출구(104)(204)를 개폐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각각의 개폐부재는 저수조(100)를 연결부재(200)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경우 각각의 배출구(104)(204)를 개방하거나 폐쇄 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그리고 배출구(104)(204) 내주면에는 걸림턱(106)(206)이 각각 형성되어 개폐부재의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작동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저수조(100)의 연결부(102)에 형성된 제1개폐부재는, 배출구(104)의 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구(104)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밸브(108)와, 상기 제1밸브(108)를 가압하여 배출구(108)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부재(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밸브(108)는 중앙부가 외주연부로 연장된 지지판(112)으로 형성되며, 이 지지판(112)의 일측으로는 탄성부재(110)가 지지되고, 그 반대편으로는 제1밸브(108)가 폐쇄된 상태에서 밀폐력을 유지하도록 O-링(114)이 끼워져 지지된다.
그리고 제1밸브(108)는 배출구(104)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부분은 내부가 공간부(116)로 형성되면서 일측으로 다수의 관통홀(118)이 뚫려져 제1밸브(108)가 개방되면 배출구(104)의 물이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밸브(108)는 배출구(104)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끝단부는 접촉면(120)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접촉면(120)은 저수조(100)와 연결부재(200)의 연결 부(102)(202)를 연결 할 경우 제1밸브(108)를 개방위치로 작동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1밸브(108)는 연결부(102)(202)들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탄성부재(110)의 외향탄력에 의하여 배출구(104)의 걸림턱(106)과 O-링(114)이 면 접촉되어 배출구(104)를 폐쇄한다.
한편, 연결부재(200)의 연결부(202)에도 상기와 같은 제1개폐부재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의 제2연결부재가 제공된다.
즉, 연결부재(200)의 연결부(102)에 형성된 제2개폐부재는, 배출구(204)의 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구(204)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밸브(208)와, 상기 제2밸브(208)를 가압하여 배출구(208)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부재(2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밸브(208)는 중앙부가 외주연부로 연장된 지지판(212)으로 형성되며, 이 지지판(212)의 일측으로는 탄성부재(210)가 지지되고, 그 반대편으로는 제2밸브(208)가 폐쇄된 상태에서 밀폐력을 유지하도록 O-링(214)이 끼워져 지지된다.
그리고 제2밸브(208)는 배출구(204)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부분은 내부가 공간부(216)로 형성되면서 일측으로 다수의 관통홀(218)이 뚫려져 제2밸브(208)가 개방되면 배출구(204)의 물이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밸브(208)는 배출구(204)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끝단부는 접촉면(220)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접촉면(220)은 저수조(100)와 연결부재(200)의 연결부(102)(202)를 연결 할 경우 제2밸브(208)를 개방위치로 작동시켜 주는 역할을 수 행한다.
이와 같은 제2밸브(208)는 연결부(102)(202)들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탄성부재(210)의 외향탄력에 의하여 배출구(204)의 걸림턱(206)과 O-링(214)이 면 접촉되어 배출구(204)를 폐쇄한다.
상기와 같은 제1,2밸브(108)(208)는 연결부(102)(202)를 서로 연결할 경우, 접촉면(120)(220)이 서로 면 접촉되면서 탄성부재(110)(210)를 각각 압축하여 제1,2밸브(108)(208)는 모두 개방되어 저수조(100)에 담긴 물은 배출구(104)(204)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102)(202)를 서로 분리하면, 면 접촉되었던 접촉면(120)(220)이 서로 떨어지면서 압축되었던 탄성부재(110)(210)의 복원력인 외향탄력에 의하여 제1,2밸브(108)(208)는 원위치로 이동하여 저수조(100) 및 연결부재(200)의 배출구(104)(204)를 각각 폐쇄시킨다.
이와 같은 연결부(102)(202)를 서로 분리할 때, 저수조(100)의 배출구(104)가 연결부재(200)의 배출구(204)보다 먼저 폐쇄될 수 있도록 제1밸브(108)에 제공된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은 제2밸브(208)에 제공된 탄성부재(210)의 탄성력보다 더 크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저수조(100)를 연결부재(200)에서 분리할 경우, 저수조(100)의 배출구(104)가 먼저 폐쇄된 다음 연결부재(200)의 배출구(204)가 폐쇄되므로 저수조(100)의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는, 제습을 원하는 장소에 설 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제습기를 작동시키면 팬(14)이 구동하면 공기 흡입구(4)를 통하여 제습기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면서 제습수단을 거쳐 습기가 제거되면서 공기 배출구(6)로 공기가 배출된다.
이때 흡입된 공기는 제습수단의 증발기(12)를 지나면서 냉매에 의하여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는 이슬로 맺혀지고, 이러한 이슬이 일정량 모이면 물방울로 형성되어 물받이(16)로 자유낙하 하여 흘러 저수조(100)로 저장된다.
저수조(100)에 저장된 물은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수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데, 먼저 연결부재(200)의 연결부(202)에 저수조(100)의 연결부(102)가 연결된 도 4의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저수조(100)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저수조(100)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면서 플로트(18)도 상승하게 되며, 플로트(18)가 마이크로스위치(20)에 접촉되면 연결부재(200)와 조립구(22)를 통하여 연결된 배수펌프(P)가 구동한다.
배수펌프(P)의 구동으로 저수조(100)의 물은 배출구(104)로 유입된 다음, 관통홀(118)(218)을 거쳐 배출구(204)로 배출된 후, 배수펌프(P)를 통하여 유출구(24)로 유출된다. 유출구(24)에는 배수관로(26)가 연결되어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흘려 보낼 수 있게된다.
저수조(100)에 담긴 물이 배출되면서 플로트(18)도 하강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로 배수펌프(P)는 일정시간 동안 작동하게 되어 저수조(100)의 물을 배출시킨 다. 그리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다음에는 마이크로스위치(20)가 작동하여 배수펌프(P)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배수펌프(P)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배수펌프(P)의 구동이 중지되면, 저수조(100)에 저장된 물의 배출이 중지되고, 저수조(100)에 일정높이 이상의 물이 채워져 플로트(18)가 마이크로스위치(20)에 접촉되면, 이 마이크로스위치(20)의 작동으로 배수펌프(P)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물이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저수조(100)에 저장된 물을 자동으로 배출시키다가 수동으로 배출시킬 수도 있는데,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저수조(100)의 연결부(102)를 연결부재(200)의 연결부(202)에서 분리시켜야 된다.
연결부(102)(202)를 서로 분리할 때 저수조(100) 측의 제1밸브(108)에 제공된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은 연결부재(200) 측의 제2밸브(208)에 제공된 탄성부재(210)의 탄성력보다 더 크므로, 저수조(100)의 배출구(104)가 먼저 폐쇄된 다음, 이후에 연결부재(200)의 배출구(204)가 폐쇄된다.
이렇게 저수조(100)를 연결부재(200)에서 분리하여도 제1밸브(108)는 폐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이 상태로 저수조(200)를 운반하여 내부의 물을 비우면 된다.
그리고 물이 비워진 저수조(100)를 도 4에서와 같이 연결하여 제습기에 장착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저수조와 연결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저수조와 연결부재가 연결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

Claims (9)

  1. 제습기의 외형을 이루며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흡입구로 케이스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고 공기 배출구로 건조한 공기를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제습수단;
    상기 제습수단을 통하여 제습된 물이 모여 저장되며 일측에 배출구를 갖는 연결부가 형성된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연결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른 연결부를 갖추며, 상기 저수조의 배출구와 선택적으로 통하도록 이루어진 배출구를 갖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
    를 포함하는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연결부에 형성된 배출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부에 형성된 배출구에는 이들 각각의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각각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개폐부재는 저수조의 연결부와 연결부재의 연결부를 연결하면 저수조에 제공된 개폐부재 및 연결부재에 제공된 개폐부재가 각각 개방되면서 저수조 및 연결부재의 배출구를 각각 개방하여 저수조의 물이 연결부재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개폐부재는 저수조의 연결부를 연결부재의 연결부에서 분리하면 저수조에 제공된 개폐부재 및 연결부재에 제공된 개폐부재가 각각 폐쇄되면서 저수조 및 연결부재의 배출구를 각각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연결부와 연결부재의 연결부를 분리할 때, 저수조에 제공된 개폐부재가 먼저 폐쇄되고, 연결부재에 제공된 개폐부재는 그 후에 폐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는, 저수조 배출구의 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수조 배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1밸브를 가압하여 저수조 배출구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 고,
    상기 연결부재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는, 연결부재 배출구의 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부재 배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밸브와, 상기 제2밸브를 가압하여 연결부재 배출구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에 제공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제2밸브에 제공된 탄성부재의 탄성력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에는 이 저수조의 수위에 따라서 위치가 가변되는 플로트가 설치되고, 이 플로트가 일정높이로 상승하면 마이크로스위치의 작동으로 배수펌프가 일정시간 동안 구동한 후 정지되어 저수조의 물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배수펌프로의 구동으로 유입된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이 유출구에는 유출되는 물을 제습기 외부로 흘려보내기 위하여 배수관로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KR1020080092720A 2008-09-22 2008-09-22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KR20100033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720A KR20100033719A (ko) 2008-09-22 2008-09-22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CA2681513A CA2681513C (en) 2008-09-22 2008-09-30 Easily-drainable dehumidifier
PCT/KR2008/005750 WO2010032896A1 (en) 2008-09-22 2008-09-30 Easily-drainable dehumidifier
US12/546,373 US8033131B2 (en) 2008-09-22 2009-08-24 Easily-drainable dehumid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720A KR20100033719A (ko) 2008-09-22 2008-09-22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332A Division KR101159191B1 (ko) 2011-02-15 2011-02-15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719A true KR20100033719A (ko) 2010-03-31

Family

ID=4203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720A KR20100033719A (ko) 2008-09-22 2008-09-22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00033719A (ko)
CA (1) CA2681513C (ko)
WO (1) WO20100328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263A (ko) * 2014-01-15 2015-07-23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환경 오염 방지 처리 시설에 사용되는 반응조의 증기 제거장치
KR101636959B1 (ko) * 2016-02-18 2016-07-07 주식회사 한원미디어 빌트인 제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84627A1 (en) * 2021-09-16 2023-03-16 Foy Real Liquid collection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728Y1 (ko) * 1995-10-26 1998-12-15 배순훈 물넘침방지 스위치가 취부된 세탁기
JPH09269140A (ja) * 1996-03-29 1997-10-14 Sanyo Electric Co Ltd 除湿機
KR100471449B1 (ko) * 2002-10-01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응축수 배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263A (ko) * 2014-01-15 2015-07-23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환경 오염 방지 처리 시설에 사용되는 반응조의 증기 제거장치
KR101636959B1 (ko) * 2016-02-18 2016-07-07 주식회사 한원미디어 빌트인 제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32896A1 (en) 2010-03-25
CA2681513A1 (en) 2010-03-22
CA2681513C (en) 2012-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0526B (zh) 除湿装置以及用于除湿或加湿的多功能装置
KR101159191B1 (ko)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KR102506410B1 (ko) 제습기
US8181939B2 (en) Continuous drain-type dehumidifier
US11077399B2 (en) Dehumidifier
US8033131B2 (en) Easily-drainable dehumidifier
KR20140046311A (ko) 제습기의 간편한 자동배수 구조
KR20170032626A (ko) 제습기
KR20060129674A (ko) 제습기
CN105402822A (zh) 除湿机及其控制方法
KR20100033719A (ko)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KR101341375B1 (ko) 제습기의 배수구조
JP2007240141A (ja) 湿度制御方法、湿度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生ゴミ処理装置
JP2002317961A (ja) 除湿機
CA2673482C (en) Continuous drain-type dehumidifier
CN100465541C (zh) 除湿机冷凝水排出切断装置
JP4591158B2 (ja) 空気調和機
KR200410801Y1 (ko) 제습기의 자동 배수장치.
KR20200029904A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수 배수 장치
KR100471449B1 (ko) 제습기의 응축수 배수 장치
KR100371345B1 (ko)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
KR100781636B1 (ko) 제습기
KR20040029622A (ko) 제습기의 응축수 배출차단장치
JP2006212510A (ja) 除湿機
KR100758947B1 (ko) 제습기의 베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127

Effective date: 2011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