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3658A - Text input method and apparatus - Google Patents

Text input method and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3658A
KR20100033658A KR1020080092627A KR20080092627A KR20100033658A KR 20100033658 A KR20100033658 A KR 20100033658A KR 1020080092627 A KR1020080092627 A KR 1020080092627A KR 20080092627 A KR20080092627 A KR 20080092627A KR 20100033658 A KR20100033658 A KR 20100033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consonant
data
character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6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080092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3658A/en
Publication of KR20100033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6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character input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of are provided to enhances the accuracy and the recognition ratio of a written input on a touch screen by being inputted with a consonant and a vowel in different method. CONSTITUTION: A touch screen(110) receives one of outputted vowel arrangement, outputs the vowel data, and outputs the handwrite data by being inputted with writing of vowels. A consonant recognition part(120) uses the calligraphy data to determine the consonant information. A character recognition part(130) uses the consonant information and the vowel data to recognize one character. The written data is one or more coordinates on the touch screen from a touch or a drag start point to a touch or a drag finish point.

Description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Text input method and apparatus}Text input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문자 입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모음과 자음을 상이한 방법으로 입력받을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be input in different ways vowels and consonants.

무선통신이나 음성,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 예들 들어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유선전화에 비하여 통화품질이 떨어지지 않고 비교적 휴대하기에 간편할 정도로 그 크기가 소형화되어, 일반인들의 필수품이 되었다. 최근에 현대 사회를 특징짓는 정보화 사회로의 급진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람들의 정보에 대한 욕구가 기하급수적으로 급상승하게 되어 보다 많은 수요와 고품질·다기능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에 있어서도 기본적인 통신 수단으로서의 기능 이외에 이메일이나 무선인터넷, 문자메세지 등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 기능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하기 위해 주로 문자 키패드를 이용하거나, 영상을 표시하면서도 정보입력이 가능한 필기인식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였다. Terminals that can display wireless communication, voice, and video,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reduced in size so that they are relatively easy to carry and are less portable than the landline telephones,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t became the necessities of the field. Recently, as the rapid progress to the information society that characterizes the modern society, people's desire for information is increasing exponentially, demanding more demand and high quality and multifunc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addition, user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functions for inputting letters and numbers, such as e-mail, wireless Internet, and text messages, in addition to functions as basic communication means.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haracter keypad is mainly used for inputting letters or numbers, or a handwriting recognition touch screen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while displaying an image.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방식은 터치스크린 상의 버튼을 눌러서 입력하거나 사용자의 필기를 직접 입력 받아 인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의 필기를 입력 받는 기능은 필기 인식 정확도를 요구한다. 특히 사용자가 필기한 글자가 복잡할 경우, 정확한 필기 인식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n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could be input by pressing a button on the touch screen or directly received by a user's handwriting. However, the function of receiving a user's handwriting requires accuracy of handwriting recognition. In particular, when a user writes a complicated lette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cognize the handwriting.

본 발명은 자음과 모음을 각각 상이한 방식으로 입력받아 문자를 인식하기 위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a method for recognizing a character by receiving consonants and vowels in different ways.

또한, 본 발명은 자음과 모음을 각각 상이한 방식으로 입력받아 터치스크린을 통한 필기 입력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handwriting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by receiving consonants and vowels in different way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음과 모음을 각각 상이한 방식으로 입력받을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receiving consonants and vowels in different ways,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character input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출력된 모음 배열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아 모음 데이터를 출력하고, 자음에 대한 필기를 입력받아 필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필기체 데이터 및 자음 패턴을 이용하여 자음 정보를 결정하는 자음 인식부; 및 상기 자음 정보 및 상기 모음 데 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식된 문자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the apparatus comprising: a touch screen which receives any one of the output vowel arrangements and outputs vowel data, receives a handwriting for consonants, and outputs the handwriting data; A consonant recogni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consonant information using the handwritten data and the consonant pattern; And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one character by using the consonant information and the vowel data, wherein the recognized character is output through the touch screen.

상기 필기 데이터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 또는 드래그된 시작 시점부터 터치 또는 드래그 종료 시점까지 터치 또는 드래그된 위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좌표값이다.The writing data is one or more coordinate values of the touched or dragged position from the start time of touching or dragging the touch screen to the end time of touching or dragging.

상기 터치스크린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며, 제1 영역은 상기 모음 배열을 출력하여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모음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 영역은 자음에 대한 필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응하는 필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the first region outputs the vowel arrangement and outputs vowel data when any one is selected, and the second region receives the writing of the consonant from the user and receives corresponding writing data. You can print

문자 인식부는 초성에 상응하는 자음 데이터가 미입력되고, 중성에 상응하는 모음 데이터가 입력되면 초성을 이응으로 인식하여 상기 이응과 상기 모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If the consonant data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onant is not inputted and the vowel data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consonant is input,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initial consonant as a response and may recognize one character using the response and the vowel dat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문자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자음에 대한 필기를 입력받아 상응하는 필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하나 이상의 모음 문자가 할당되도록 설정된 복수의 모음 버튼들을 포함하는 키버튼; 상기 키버튼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하나의 모음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음 정보를 결정하는 모음 인식부; 상기 필기 데이터 및 자음 패턴을 이용하여 자음 정보를 결정하는 자음 인식부; 및 상기 모음 정보 및 자음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결정하는 문자 인식부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device for receiving a character, the input device comprising: a touch screen that receives writing on a consonant and outputs corresponding writing data; A key button including a plurality of vowel buttons set to be assigned one or more vowel characters; A vowel recognition unit for determining vowel information using one vowel data generated by the key button operation; A consonant recogni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consonant information using the handwriting data and the consonant pattern; And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that determines one character using the vowel information and the consonant information.

상기 문자 인식부는 초성에 상응하는 자음 정보가 미입력되고, 중성에 상응 하는 모음 데이터가 입력되면 초성을 이응으로 인식하여 상기 이응과 상기 모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consona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onant is not input and the vowel data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consonant is input,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initial consonant as a response and recognizes one character using the response and the vowel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문자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자음에 대한 필기를 입력받아 필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필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음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자음 정보에 상응하는 모음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모음 데이터 및 상기 자음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in a portable terminal is tangibly implemented to perform a character input method, and i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that can be read by the portable terminal, Receiving a writing on the consonant from the user and outputting writing data; Determining consonant information using the handwriting data; Receiving vowel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informati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a step of recognizing one character using the vowel data and the consonan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자음과 모음을 각각 상이한 방식으로 입력받아 터치스크린을 통한 필기 입력의 정확도 및 인식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providing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onants and vowels are input in different ways,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and recognition rate of the handwriting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또한, 본 발명은 키패드를 통해 수차례 키버튼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operating the key button several times through the keypad.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문자 입력 장치는 자음 문자는 사용자로부터 터 치스크린을 통해 필기로 입력받고, 모음 문자는 터치스크린 또는 키버튼을 통해 선택받아 하나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음 문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필기로 입력받고, 모음 문자는 선택받아 하나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문자 입력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인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용 단말기 이외에도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자음 문자를 필기로 입력받을 수 있고, 모음 문자는 별도로 선택받을 수 있는 장치이면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may recognize a single character by receiving consonant characters by handwriting through a touch screen and selecting a vowel character through a touch screen or a key button. Hereinafter, a consonant character is input by handwriting through a touch screen, and a vowel character is selected and a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one character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character input device is a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In addi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a touch screen may be used to receive consonant characters by handwriting, and vowel characters may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long as they can be separately sel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음 문자와 모음 문자를 각각 상이하게 입력받을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different consonant characters and vowel characters,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음 문자 및 모음 문자를 각각 상이한방식으로 입력받을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10), 자음 인식부(120), 문자 인식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100 capable of receiving consonant characters and vowel characters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110, a consonant recognition unit 120, and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 130, the storage 140, and the controller 150.

터치스크린(110)은 일반 화면에 터치패드를 장착한 장치이다. 터치패널은 일반적으로정전용량방식, 저항막 압력식 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등으로 접촉된 위치를 인식하여 터치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The touch screen 110 is a device equipped with a touch pad on a general screen. In general, the touch panel recognizes a contact position by capacitive type, resistive pressure type, surface ultrasonic type, infrared type, and the like and outputs information on a touch point.

우선, 정전용량방식은 유리 양면에 투명한 특수 전도성 금속을 코팅하여 터치패널 네 귀퉁이에 전압을 걸어준 후 접촉에 의해 변화되는 고주파 파형을 분석하 여 터치점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즉, 터치패널 네 귀퉁이에 전압을 걸어주면, 터치패널의 표면에 고주파가 퍼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손가락 접촉시 변화된 고주파 파형을 분석하여 터치점을 인식할 수 있다.First, the capacitive type is a method of recognizing touch points by applying a transparent conductive metal on both sides of the glass to apply voltage to the four corners of the touch panel and then analyzing the high frequency waveforms that are changed by the contact. In other words,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four corners of the touch panel, high frequency spreads on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In this state, the touch point may be recognized by analyzing the changed high frequency waveform at the time of finger contact.

저항막(압력식) 방식에 따른 터치패드는 유리나 투명한 플라스틱 판위에 저항성분의 물질을 코팅하고, 그 위체 폴리에스틸렌 필름을 덮어 씌운 형태로써, 두면이 서로 닿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절연봉이 배치된다. 이로 인해 손으로 접촉(touch)시 두 면이 서로 접촉하게 되고, 이때 저항값 및 전압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전압의 변화 정도로 접촉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The touch pad according to the resistive film (pressure type) method is formed by coating a resistive material on a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plate and covering the upper polyester film, and insulating bars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two surfaces do not touch each other. . As a result, the two surfac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a hand is touched, and at this time, the resistance value and the voltage change, and the contacted position can be recognized as the change of the voltage.

표면 초음파 방식에 따른 터치패드는 음파를 발사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를 유리의 한쪽 귀퉁이에 부착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음파를 반사시키는 리플렉터(reflector)를 부착하고, 그 반대쪽에는 리시버(receiver)를 부착한 형태로 구성된다. 표면 초음파 방식은 손가락과 같이 음파를 방해하는 물체가 음파의 진행 경로를 방해하게 되면 그 시점을 계산하여 터치점을 인식하는 방식이다.The touch pad according to the surface ultrasonic method attaches a transmitter that emits sound waves to one corner of the glass, and attaches a reflector that reflects sound waves at regular intervals, and a receiver on the other side thereof. It consists of. The surface ultrasonic method recognizes a touch point by calculating a time point when an object that disturbs sound waves such as a finger interferes with the path of sound waves.

마지막으로 적외선 방식은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은 적외선의 직진성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즉, 적외선 방식에 따른 터치패드는 발광소자인 적외선 LED와 수광소자인 포토트랜지스터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매트릭스를 구성한다. 적외선 방식은 매트릭스안에 손가락과 같은 물체의 접촉에 의해 빛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점을 인식하는 방식이다.Finally, the infrared method uses the straightness of infrared light which is invisible to the human eye. That is, the touch pad according to the infrared method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infrared LED as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phototransistor as the light receiving element to form a matrix. The infrared method recognizes a touch point by detecting that light is blocked by the contact of an object such as a finger in the matrix.

터치스크린(110)은 입력 수단(예를 들어, 손, 스타일러스펜)으로 접촉하면, 그 터치점을 입력받도록 하는 특수한 입력 장치(예를 들어, 터치패드)를 장착한 화 면이다. 즉, 터치스크린(110)은 일반 화면에 터치 패널을 덧붙인 것으로, 터치 패널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110 is a screen on which a special input device (for example, a touch pad) is mounted to receive a touch point when the touch screen 110 contacts with an input means (for example, a hand or a stylus pen). That is, the touch screen 110 adds a touch panel to a general screen, and the touch panel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described above.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의 화면은 모음 문자에 대한 배열이 출력되는 제1 영역(210)과 자음에 대한 필기를 입력받기 위한 제2 영역(220)으로 구분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110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210 in which an arrangement of vowel characters is output, and a second area 220 in which writing of consonants is input.

제1 영역(210)은 각 모음 문자가 출력되며, 사용자로부터 출력된 모음 문자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응하는 모음 데이터를 문자 인식부(130)로 출력한다.Each vowel character is output to the first area 210, and when any one of the vowel characters outputted from the user is selected, the vowel data is output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30.

제2 영역(220)은 사용자로부터 자음 문자에 대한 필기를 입력받아 필기 데이터를 자음 인식부(120)로 출력한다. 여기서, 필기 데이터는 자음 문자의 입력에 상응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또는 드래그 시작 시점부터 터치 또는 드래그 종료 시점까지 하나 이상의 좌표값이다.The second area 220 receives writing of a consonant character from a user and outputs writing data to the consonant recognition unit 120. Here, the handwriting data is one or more coordinate values from a touch or drag start time point to a touch or drag end time point from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consonant character.

즉, 사용자가 제2 영역(220)에 초성 또는 종성에 상응하는 자음 문자를 필기로 입력하면, 터치스크린(110)은 상응하는 좌표값들(즉, 필기 데이터)를 자음 인식부(12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1 영역(210)에 출력된 모음 문자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또는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10)은 선택된 모음 문자에 대한 모음 데이터를 문자 인식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That is, when a user inputs consonant characters corresponding to initial or final constellations in the second area 220 by handwriting, the touch screen 110 transmits corresponding coordinate values (ie, handwriting data) to the consonant recognition unit 120. Output When any one of the vowel characters output to the first area 210 is selected (or touched), the touch screen 110 may output the vowel data for the selected vowel character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30. .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휴"자를 입력받는다고 가정하자. 터치스크린(110)은 제2 영역(22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ㅎ"에 상응하는 필기를 입력받아 상응하는 필기 데이터를 자음 인식부(120)로 출력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110)의 제1 영역(210)에 출력된 모음 문자들 중에서 "ㅠ"를 사 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상응하는 모음 데이터를 문자 인식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e that "Hugh" is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110 receives a writing corresponding to "ㅎ" from the user through the second area 220 and outputs corresponding writing data to the consonant recognition unit 120. In addition, among the vowel characters output on the first area 210 of the touch screen 110, the user may select “” from the user and output corresponding vowel data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30.

자음 인식부(120)는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음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자음 정보를 문자 인식부(130)로 출력한다.The consonant recognition unit 120 determines consonant information using the writing data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110, and outputs the determined consonant information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30.

예를 들어, 자음 인식부(120)는 필기 데이터 및 미리 설정된 자음 패턴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출력될 표시 정보(즉, 자음 정보)를 결정하여 문자 인식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sonant recognition unit 120 may determine display information (that is, consonant information) to be output through the touch screen 110 using the handwritten data and the preset consonant pattern and output the same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30. Can be.

문자 인식부(130)는 입력된 자음 데이터 및 모음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하여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출력한다.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30 recognizes one character by using one or more of the input consonant data and the vowel data and outputs it through the touch screen 110.

예를 들어, 문자 인식부(110)는 초성의 위치에 자음 데이터를 배치하고, 중성의 위치에 모음 데이터를 배치하며, 종성 위치에 자음 데이터를 배치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10 may place consonant data at the initial position, place vowel data at the neutral position, and place consonant data at the final position to recognize one character.

다른 예를 들어, 문자 인식부(130)는 초성에 상응하는 자음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고, 모음 데이터만 입력된 경우, 초성의 위치에 이응("o")을 배치시키고 중성 위치에 입력된 모음 데이터를 배치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할 수도 있다.In another example, when the consonant data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onant is not input and only vowel data is input,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30 arranges a response (“o”) at the initial consonant and collects the vowel data input at the neutral position. You can also place a character to recognize it.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을 예시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와 중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xt inpu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verlapping with the components described in FIG. 1 will be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는 자음에 대한 필기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스크린(310) 및 하나 이상의 모음 문자가 할당되도록 설정된 복 수의 키버튼들을 포함하는 키버튼(320), 자음 인식부(315), 모음 인식부(325) 및 문자 인식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portable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button 310 for receiving a writing on a consonant and a key button 320 includ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set to be assigned one or more vowel characters. ), A consonant recognition unit 315, a vowel recognition unit 325, and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330.

터치스크린(310)은 사용자로부터 자음에 대한 필기를 입력받아 상응하는 필기 데이터를 자음 인식부(315)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기 데이터는 사용자가 하나의 자음 문자에 대한 필기를 입력하기 위해 터치스크린(310)에 터치 또는 드래그된 시작 시점부터 터치 또는 드래그 종료된 시점까지의 하나 이상의 좌표값일 수 있다. 이하, 터치스크린(3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touch screen 310 receives a writing on a consonant from a user and outputs corresponding writing data to the consonant recognition unit 315. As described above, the writing data may be one or more coordinate values from a starting point of touch or dragging to the touch screen 310 to a time point of touching or dragging to input the writing of one consonant character. Hereinafter, sinc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ouch screen 310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만, 도 1에서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모음 문자를 선택받기 위해 별도로 모음 문자들이 출력되는 영역과 자음 문자에 대한 필기를 입력받기 위한 영역으로 구별되나, 도 3의 경우 모음 문자를 선택받기 위한 별도의 영역이 구별되지 않는점이 상이하다.However, in FIG. 1, the vowel characters are separately outputted to select vowel characters through the touch screen, and the areas for receiving handwriting for consonant characters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FIG. 3, a separate area for selecting vowel characters is selected. This different point is different.

즉, 도 3의 터치스크린(310)은 사용자로부터 자음 문자에 대한 필기를 입력받아 상응하는 필기 데이터를 출력한다.That is, the touch screen 310 of FIG. 3 receives handwriting for consonant characters from a user and outputs corresponding handwriting data.

키버튼(320)은 하나 이상의 모음 문자가 각각 할당된다. 그리고, 키버튼(320)은 사용자의 키버튼(320)의 조작에 의해 상응하는 키데이터를 모음 인식부(325)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키버튼(320)은 모음 문자가 각각 할당되도록 복수의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키버튼(320)은 하나의 버턴으로 구성되어 키버튼(320)의 누름 횟수에 따라 상응하는 모음 문자가 선택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The key button 320 is each assigned one or more vowel characters. The key button 320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corresponding key data to the vowel recognition unit 325 by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key button 320. Here, the key button 32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ttons so that each vowel character is assigned. Of course, the key button 320 is composed of one button can be configured to be selected so that the corresponding vowel character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ing of the key button 320.

모음 인식부(325)은 키버튼(320)을 통해 입력된 키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음 정보를 결정하여 문자 인식부(330)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vowel recognition unit 325 determines the vowel information using the key data input through the key button 320 and outputs the vowel information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330.

자음 인식부(315) 및 문자 인식부(330)에 대한 기능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functions of the consonant recognition unit 315 and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33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 모음 문자 입력을 위한 별도의 커버튼을 구비하여 모음 문자는 키버튼의 조작을 통해 입력하고, 자음 문자의 경우 터치스크린(310)을 통해 필기로 입력받을 수 있다.In this way,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ver button for inputting the vowel character, the vowel character can be input through the operation of a key button, and in the case of consonant characters can be input by handwriting through the touch screen 310.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자음 문자는 필기로 입력받고, 모음 문자는 키버튼등을 통해 선택받아 입력받음으로써, 하나의 문자를 필기로 입력받을 때보다 필기 입력에 대한 인식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onant characters are inputted by handwriting, and the vowel characters are selected by input through a key button, etc., thereby increasing the recognition rate for the handwriting input than when one character is inputted by handwriting. There is this.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자음 및 모음 문자를 각각 상이하게 입력받을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different consonants and vowel characters respective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모음 문자 입력을 위한 조그셔틀(41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조그셔틀(410)의 조작에 의해 모음 문자를 선택받을 수 있고, 자음 문자의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필기로 입력받을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4, the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a jog shuttle 410 for inputting a vowel character.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may receive a selection of vowel characters by manipulating the jog shuttle 410 from the user, and in the case of consonant characters, the portable terminal may receive a writing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touch screen.

도 4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음 문자에 상응하는 키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키버튼이 조그셔틀 형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조그셔틀 형식으로 키버튼이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조그셔틀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모음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illustrated in (b) of FIG. 4, a key button for inputting key data corresponding to a vowel character may be provided in a jog shuttle form. When a key button is provided in the jog shuttle form, the user has an advantage of selecting a vowel character by a simple operation of the jog shuttle.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문자가 각각 할당되도록 설정된 키버튼(410)과 모음 선택을 위한 선택버튼(42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키버튼(410)에 "ㅏ,ㅓ,ㅗ,ㅜ,ㅡ"에 상응하는 모음 문자가 할당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사용자가 "ㅑ"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키버튼(410)의 1회 입력으로 "ㅏ"를 선택한 후 선택버튼(420)의 1회 입력으로 "ㅑ"를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For anothe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4, a key button 410 configured to be assigned a vowel character and a selection button 420 for selecting a vowel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ssume that a vowel character corresponding to "ㅏ, ㅓ, ㅗ, TT, ㅡ" is assigned to the key button 410. When the user wants to input "ㅑ", the user may select "ㅏ" as the one-time input of the key button 410 and then select and input "1" as the one-time input of the selection button 42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각각의 내부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어지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tep described below is performed by each internal compon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but will be collectively described as a portable terminal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단계 51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자음 문자에 대한 필기를 입력받아 상응하는 필기 데이터를 출력한다.In operation 510, the portable terminal 100 receives a writing on a consonant character from a user and outputs corresponding writing data.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는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자음 문자에 대한 필기를 입력받고, 상응하는 좌표값들(즉, 필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기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 또는 드래그된 지점에 대한 하나 이상의 좌표값이다.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receive writing on a consonant character from a user through a provided touch screen and output corresponding coordinate values (ie, writing data). As noted above, the handwritten data is one or more coordinate values for the point touched or dragged by the user.

단계 51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모음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아 상응하는 모음 데이터를 출력한다.In operation 515, the portable terminal 100 selects any one of the vowel characters and outputs corresponding vowel data.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 출력된 모음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아 상응하는 모음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select any one of the vowel characters output on one area of the touch screen and output corresponding vowel data.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에 하나 이상의 모음 문자가 할당된 키버튼이 구비된 경우, 사용자의 키버튼 조작에 따른 키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키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응하는 자음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key button to which at least one vowel character is assigned, key data according to a user's key button manipulation may be output.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determine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nformation by using the key data.

단계 52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필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음 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는 필기 데이터 및 미리 설정된 자음 패턴을 이용하여 자음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In operation 520, the portable terminal 100 determines consonant information by using handwritten data.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determine consonant information by using handwritten data and a preset consonant pattern.

단계 52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자음 정보 및 모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한다.In operation 525, the portable terminal 100 recognizes one character using consonant information and vowel data.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를 입력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은 모음 배열이 출력된 제1 영역(610), 자음에 대한 필기를 입력받기 위한 제2 영역(620) 및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기 위한 제3 영역(630)으로 분할된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touch screen may include a first area 610 in which a vowel arrangement is output, a second area 620 for receiving writing on a consonant, and a third area 630 for outputting an input character. Is divided into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근"자를 입력한다고 가정하자. For example, suppose a user enters a "root" character using a touch screen.

우선,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제2 영역을 통해 초성에 해당하는 "ㄱ"자를 필기를 입력받아 필기 데이터를 출력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중성에 상응하는 모음을 제1 영역(610)에 출력된 모음 배열 중 하나를 선택받는다. 마지막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종성에 상응하는 자음을 제2 영역(620)을 통해 필기로 입력받는다. First,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a handwriting letter "a"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tellation through the second area from the user and outputs the handwriting data.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from one of the vowel arrangements output in the first region 610. Finally,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final handwriting through the second area 620.

휴대용 단말기는 각각 입력된 초성, 중성, 종성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근"이라는 표시 정보를 결정하여 제3 영역(630)에 출력한다.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the display information "muscle" by using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itial, neutral, and final stars, respectively, and outputs the displayed information to the third area 630.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초성의 입력 없이 바로 중성에 해당하는 모음 데이터가 입력되면,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 문자를 이응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는 인식된 이응과 중성으로 입력된 모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물론, 휴대용 단말기는 종성이 입력되는 경우, 이응, 중성으로 입력된 모음 데이터 및 종성으로 입력된 자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es consonant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onant when the vowel data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are immediately input without inputting the initial consonant.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recognize one character by using the recognized vowel data input by the recognized response and neutral. Of course, when the terminal is input, it is natural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recognize a single character by using the vowel data input in response, the neutral and the consonant data input in the terminal.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음 문자와 모음 문자를 각각 상이하게 입력받을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different consonant characters and vowel characters,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을 예시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3 is a view illustrating a text inpu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자음 및 모음 문자를 각각 상이하게 입력받을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different consonants and vowel characters respective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를 입력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entering a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문자를 입력받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apparatus for receiving a character, 출력된 모음 배열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아 모음 데이터를 출력하고, 자음에 대한 필기를 입력받아 필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A touch screen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output vowel arrangements and outputting vowel data and receiving handwriting for consonants and outputting the writing data; 상기 필기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음 정보를 결정하는 자음 인식부; 및A consonant recogni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consonant information using the handwritten data; And 상기 자음 정보 및 상기 모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를 포함하되,It includes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one character by using the consonant information and the vowel data, 상기 인식된 문자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And the recognized character is output through the touch screen.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필기 데이터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 또는 드래그된 시작 시점부터 터치 또는 드래그 종료 시점까지 터치 또는 드래그된 위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좌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And the writing data is one or more coordinate values of a touched or dragged position from a touched or dragged start time point to a touched or dragged end time point on the touch screen.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터치스크린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며, 제1 영역은 상기 모음 배열을 출력하여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모음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 영역은 자음에 대한 필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응하는 필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입력 장치.The touch scree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the first region outputs the vowel arrangement and outputs vowel data when any one is selected, and the second region receives the writing of the consonant from the user and receives corresponding writing data.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문자 인식부는 초성에 상응하는 자음 데이터가 미입력되고, 중성에 상응하는 모음 데이터가 입력되면 초성을 이응으로 인식하여 상기 이응과 상기 모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inputs the consonant data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onant, and if the vowel data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is input, recognizes the initial consonant and recognizes one character using the response and the vowel data. 문자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In the input device for receiving a character, 자음에 대한 필기를 입력받아 상응하는 필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A touch screen that receives writing on the consonants and outputs corresponding writing data; 하나 이상의 모음 문자가 할당되도록 설정된 복수의 모음 버튼들을 포함하는 키버튼;A key button including a plurality of vowel buttons set to be assigned one or more vowel characters; 상기 키버튼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하나의 모음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음 정보를 결정하는 모음 인식부;A vowel recognition unit for determining vowel information using one vowel data generated by the key button operation; 상기 필기 데이터 및 자음 패턴을 이용하여 자음 정보를 결정하는 자음 인식부; 및A consonant recogni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consonant information using the handwriting data and the consonant pattern; And 상기 모음 정보 및 자음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결정하는 문자 인식 부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And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determining one character by using the vowel information and the consonant information. 제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문자 인식부는 초성에 상응하는 자음 정보가 미입력되고, 중성에 상응하는 모음 데이터가 입력되면 초성을 이응으로 인식하여 상기 이응과 상기 모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If the consona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onant is not inputted and the vowel data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consonant is input,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initial consonant as a response and recognizes one character using the response and the vowel data. . 제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필기 데이터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 또는 드래그된 시작 시점부터 터치 또는 드래그 종료 시점까지 터치 또는 드래그된 위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좌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And the writing data is one or more coordinate values of a touched or dragged position from a touched or dragged start time point to a touched or dragged end time point on the touch screen. 문자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In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in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a character input method is tangibly implemented, and which records a program that can be read by the portable terminal, 사용자로부터 자음에 대한 필기를 입력받아 필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Receiving handwriting for consonants from a user and outputting handwriting data; 상기 필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음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consonant information using the handwriting data; 상기 자음 정보에 상응하는 모음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Receiving vowel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information; And 상기 모음 데이터 및 상기 자음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And a program for recording a program using the vowel data and the consonant information.
KR1020080092627A 2008-09-22 2008-09-22 Text input method and apparatus KR201000336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627A KR20100033658A (en) 2008-09-22 2008-09-22 Text input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627A KR20100033658A (en) 2008-09-22 2008-09-22 Text input method and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658A true KR20100033658A (en) 2010-03-31

Family

ID=4218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627A KR20100033658A (en) 2008-09-22 2008-09-22 Text input method and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365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230B1 (en) * 2013-07-24 2015-01-1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Touch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239650B2 (en) 2013-09-25 2016-01-19 Hyundai Motor Company Curved touch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and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230B1 (en) * 2013-07-24 2015-01-1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Touch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069413B2 (en) 2013-07-24 2015-06-30 Hyundai Motor Company Touch display apparatus of vehic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239650B2 (en) 2013-09-25 2016-01-19 Hyundai Motor Company Curved touch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3428B2 (en) Using touchscreen by pointing means
JP49756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d entering data
JP5204305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using pattern recognition in portable terminal
US7443386B2 (en) Mobile phone and method
US20120204258A1 (en) Password input method based on touch screen
JP2003529130A (en) Integrated keypad system
US20040239624A1 (en) Freehand symbolic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8253690B2 (en)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module and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s thereof
TWI510994B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026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portable terminal
KR20100020389A (en) Input method using size of touching spot and device thereof
WO2022143198A1 (en) Processing method for application interface, and related device
KR102075424B1 (en) Handwriting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143620A1 (en) Virtual keyboard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JP6197290B2 (en) Computer apparatus, playback system, and program
Engel et al. TouchPen: rich interaction technique for audio-tactile charts by means of digital pens
KR20100033658A (en) Text input method and apparatus
TW20142356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handwriting input
WO2022143579A1 (en) Feedback method and related device
JP2015213320A (en) Handheld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US2016010355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60141B1 (en) Method Of Handwriting Recognition Through Gestures In Device Using Touch Screen
KR2005007391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CN110914795A (en) Writing board, writing board assembly and writing method of writing board
TWI468986B (en) Electronic device, inpu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