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364A - 방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집 방송 제공방법과 수신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집 방송 제공방법과 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364A
KR20100031364A KR1020080090427A KR20080090427A KR20100031364A KR 20100031364 A KR20100031364 A KR 20100031364A KR 1020080090427 A KR1020080090427 A KR 1020080090427A KR 20080090427 A KR20080090427 A KR 20080090427A KR 20100031364 A KR20100031364 A KR 20100031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edited
received
receiv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현
김대구
김일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0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1364A/ko
Priority to US12/536,180 priority patent/US20100071006A1/en
Publication of KR20100031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27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with deferred 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7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processes or methods for th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Abstract

공용 방송 또는 개인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집 방송 제공방법과 수신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송수신장치는, 방송 수신부, 편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편집된 방송이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품질이 우수하고, 개인 방송 제작자의 개성이 반영된 방송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공용 방송, 개인 방송, 편집 방송

Description

방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집 방송 제공방법과 수신방법{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edited broadcasting providing method and edited broadcasting receiv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집 방송 제공방법과 수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용 방송 또는 개인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집 방송 제공방법과 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용 방송은 방송국에서 제작되어 사용자에게 전송되고, 사용자는 복수의 공용 방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시청하게 된다.
공용 방송에서는 전문화된 인력 및 장비를 이용하여, 일반인이 따라하기 어려운 컨텐츠를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지만, 공용 방송을 제작하는 방송국의 수가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컨텐츠의 종류와 양이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순히 수신되는 방송을 시청한다는 수동적 입장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배제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인터넷이 발달하여 각 가정에 보급됨에 따라 인터넷 사업자 또는 컨텐츠 공급자가 아닌 일반인이 제작한 컨텐츠가 인터넷을 통해 공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반인이 제작한 컨텐츠는 이른바 UCC(User Created Contents)로 불리며, 21세기를 대표하는 문화의 하나로서 자리잡았다. 이와 같이 일반인에 의해 제작된 컨텐츠는, 개인 방송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 방송은, 전문화된 인력이나 장비가 없이 개인 스스로 컨텐츠를 제작하기 때문에, 공용 방송에 비해 그 수준이 미약한 편이며, 단순히 카메라에 입력된 영상을 전송하거나, 음악을 전송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에, 공용 방송에서 제공되는 전문성, 개인 방송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개성 및 자신만의 컨텐츠를 제작하고자하는 사용자의 능동적 욕구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용 방송에서 제공되는 전문성, 개인 방송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개성 및 자신만의 컨텐츠를 제작하고자하는 사용자의 능동적 욕구를 동시에 충족시켜, 품질이 우수하고, 개인 방송 제작자의 개성이 반영된 방송을 시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용 방송 또는 개인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집 방송 제공방법과 수신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 방송 수신부;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방송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편집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을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방송이 인터넷을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편집된 방송은, 영상, 음성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부가된 방송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방송이 수신되기 이전에 기저장된 데이터 또는 상기 방송이 수신된 이후에 생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접속된 사용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접속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편집된 방송은, 상기 방송에 대한 옵션이 설정된 방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옵션은, 상기 방송의 공개 여부, 상기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제한인원, 상기 방송이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EPG에 상기 편집 방송 전송시점에 대한 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인터넷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편집된 방송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채널선택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송출된 방송 및 상기 편집된 방송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출된 방송을 기설정된 채널에 할당하고, 상기 편집된 방송을 상기 기설정된 채널 이외의 채널에 할당하며, 상기 채널선택 명령에 기초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상기 송출된 방송 및 상기 편집된 방송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된 방송과 함께 수신된 상기 편집 방송 전송시점에 대한 정보가, 상기 송출된 방송과 함께 수신된 EPG에 부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를 이용한 편집 방송 제공방법은, 방송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편집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을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된 방송을 인터넷을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편집된 방송은, 영상, 음성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부가된 방송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방송이 수신되기 이전에 기저장된 데이터 또는 상기 방송이 수신된 이후에 생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접속된 사용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접속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편집된 방송은, 상기 방송에 대한 옵션이 설정된 방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옵션은, 상기 방송의 공개 여부, 상기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제한인원, 상기 방송이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편집단계는, 상기 방송과 함께 수신된 EPG에 편집 방송 전송시점에 대한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를 이용한 편집 방송 수신방법은,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방송을 수신하는 단계; 인터넷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편집된 방송을 수신하는 단계; 채널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선택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송출된 방송 및 상기 편집된 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편집 방송 수신방법은, 상기 송출된 방송을 기설정된 채널에 할당하고, 상기 편집된 방송을 상기 기설정된 채널 이외의 채널에 할당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채널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채널선택 명령에 기초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편집 방송 수신방법은, EPG 출력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송출된 방송과 함께 수신된 EPG에, 상기 편집된 방송과 함께 수신된 상기 편집 방송 전송시점에 대한 정보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품질이 우수하고, 개인 방송 제작자의 개성이 반영된 방송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방송편집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편집 시스템은 방송수신장치의 일종인 DTV(100)와 편집 기기(200)로 구축된다.
DTV(100)는 방송국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이하, '공용 방송'으로 총칭)을 수신한다. DTV(100) 사용자(이하, '사용자'로 총칭)는, 편집 기기(200)를 이용하여, 수신된 공용 방송을 편집할 수 있다. 즉, 편집 기기(200)는, 공용 방송에 대한 사용자의 편집 명령을 수신하여 DTV(100)로 전송한다.
또한, DTV(100)는, 편집 기기(200)를 통해 편집된 공용 방송(이하, '편집 방송'으로 총칭)을, 인터넷을 통해, 편집 방송을 시청하고자 하는 자(이하, '시청자'로 총칭)에게 전송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편집 방송은, 사용자 개인의 개성이 반영되어 시청자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개인에 의해 제작되어 전송되는 개인 방송이라고 볼 수 있다.
즉, 공용 방송은, 전문화된 인력 및 장비를 보유한 컨텐츠 제공자 또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전문화된 인력이나 장비가 없이 개인 스스로 제작한 컨텐츠를 전송하는 개인 방송과 구별된다.
편집 기기(200)는, 키보드(210), 웹캠(230), 마이크(250) 및 마우스(270) 등으로 구성된다.
키보드(210)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의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의 일종이다. 사용자는 키보드(210)를 이용해, 수신된 공용 방송에 문자, 숫자, 기호 등의 텍스트 데이터가 부가되도록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축구 경기를 방송하고 있는 공용 방송을 수신하여, 키보드(210)를 이용해, 수신된 공용 방송에 텍스트로 된 사용자의 해설이 부가된 편집 방송을 생성할 수 있다.
웹캠(230)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장치의 일종이다. 사용자는 웹캠(230)을 이용해, 방송에 영상 데이터가 부가되도록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축구 경기를 방송하고 있는 공용 방송을 수신하여, 웹캠(230)을 이용해, 수신된 공용 방송에 사용자의 해설장면이 부가된 편집 방송을 생성할 수 있다.
마이크(250)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장치의 일종이다. 사용자는 마이크(250)를 이용해, 방송에 음성 데이터가 부가되도록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축구 경기를 방송하고 있는 공용 방송을 수신하여, 마이크(250)를 이용해, 수신된 공용 방송에 사용자의 음성 해설이 부가된 편집 방송을 생성할 수 있다.
마우스(270)는, 음성, 영상 또는 텍스트가 생성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입력장치의 일종이다. 사용자는 마우스(270)를 이용해, 방송에 키보드(210), 웹 캠(230) 또는 마이크(250)를 통해 생성된 음성, 영상 또는 텍스트가 부가되도록 편집할 수 있다.
이러한 DTV(100)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공용 방송을 수신하고, 편집 기기(200)을 이용해 수신된 공용 방송을 편집하여 편집 방송을 생성하고, 생성된 편집 방송을, 인터넷을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한다. 한편, 시청자는 인터넷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편집 방송을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DTV(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DTV(100)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V(100)는 방송 수신부(110), A/V(Audio/Video) 처리부(120), 음성 출력부(130), 영상 출력부(140), 제어부(1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 저장부(170) 및 입력부(180)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부(110)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공용 방송을 수신하여 복조한다.
A/V 처리부(120)는 방송 수신부(110)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비디오 스케일링, 오디오 디코딩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A/V 처리부(120)는 음성신호를 음성 출력부(130)로 전달하고, 영상신호를 영상 출력부(140)로 전달한다.
한편, A/V 처리부(120)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하여 디코딩된 영상에 부가한다.
음성 출력부(130)는, 스피커를 통해 A/V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출력시키고, 영상 출력부(140)는, A/V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외부 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예를 들면, 외부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는 DTV(100)를 외부 서버와 연결시켜 주는 연결 통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는 인터넷 또는 전화선 등의 공중 네트워크를 통해 DTV(100)와 외부 서버를 연결시켜준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는, 인터넷을 통해 편집된 편집 방송을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인터넷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른 방송수신장치에서 편집된 편집 방송을 수신한다.
편집 방송은,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공용 방송에, 음성, 영상 및 텍스트 등의 데이터가 부가된 방송이다.
데이터는, 방송국에서 송출된 공용 방송을 수신한 후에 생성된 데이터일 수도 있고, 공용 방송이 수신되기 전에 미리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편집 방송에서 항상 사용되는 데이터의 경우, 미리 생성되어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항상 사용되는 데이터가 아닌 경우, 공용 방송이 수신된 후에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공용 방송이 수신되기 전에 미리 생성된 데이터는, 후술할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으며, 공용 방송을 수신한 후에 생성된 데이터는, 후술할 입력부(180)를 통해 편집 기기(200)로부터 입력된다.
또한, 데이터는, 편집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인터넷에 접속된 사용자의 리스트를 포함하며, 이와 같이 인터넷에 접속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포함한 다.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A, B, C, D라는 사용자가 접속된 경우, 편집 방송은, 공용 방송의 화면에 접속된 사용자인 A, B, C, D에 대한 리스트가 부가된 방송일 수 있다. 또한, 접속된 사용자들인 A, B, C, D가 채팅을 하는 경우, 공용 방송의 화면에 A, B, C, D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가 부가된 방송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된 사용자의 리스트에 관한 데이터 및 접속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는, 인터넷을 통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로 수신된다.
또한, 데이터는, 공용 방송에 설정된 옵션을 포함하며, DTV(100)는, 이와 같이 공용 방송에 옵션이 부가된 편집 방송을 개인 방송으로서 인터넷으로 전송한다.
옵션은 개인 방송을 공개할 것인지 여부,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제한인원, 개인 방송이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시간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DTV(100)는 방송 수신부(110)를 통해 공용 방송을 수신하여, 공용 방송에 이러한 옵션이 설정되도록 하여 개인 방송으로 재생성한 후, 이러한 개인 방송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인터넷에 전송되도록 한다.
입력부(180)는 편집 기기(200)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편집 명령을 입력받는 수단이다. 입력부(180)는, 편집 기기(200)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편집 명령을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저장부(170)는 DTV(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또한, 저장부(170)는, 방송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공용 방송,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및 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8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방송 수신부(110), A/V 처리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 및 저장부(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공용 방송에 대한 방송신호가 수신되도록 방송 수신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수신된 공용 방송에 대한 방송신호가 복조되고, 복조된 공용 방송에 대한 방송 신호의 디코딩과 신호처리가 수행되도록 A/V 처리부(120)를 제어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DTV(100)를 통해 공용 방송을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를 제어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도록 하고, 인터넷을 통해 편집 방송이 접속된 사용자들에게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저장부(170)를 제어하여, 편집 방송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는 편집 방송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특히, 도 3a는 편집 방송의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편집 방송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DTV(100) 화면의 좌측에, 방송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공용 방송(300)이 표시되고, 각종 데이터(310, 330, 350, 370)가 표시된다.
즉, DTV(100)의 화면에는, 공용 방송(300)과 각종 데이터(310, 330, 350, 370)가 합쳐진 편집 방송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이러한 편집 방송을 접속중인 사용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한편, 각종 데이터(310, 330, 350, 370)는, 공용 방송(300)이 수신되기 이전에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310), 공용 방송(300)이 수신된 후에 생성된 데이터(330), 편집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접속된 사용자 리스트와 관련된 데이터(350) 및 편집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접속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37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각종 데이터(310, 330, 350, 370)가 생성되는 과정에 대해 도 3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A/V 처리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 저장부(170) 및 입력부(180)로부터 공용 방송(300) 및 각종 데이터(310, 330, 350, 370)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A/V 처리부(120)로부터 신호처리된 공용 방송(300)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로부터 편집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접속된 사용자 리스트와 관련된 데이터(350) 및 편집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접속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370)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저장부(170)로부터 공용 방송(300)이 수신되기 이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310)를 수신하고, 입력부(180)를 통해 편집 기기(200)로부터 공용 방송(300)이 수신된 후에 생성된 데이터(330) 및 옵션 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부(150)는 수신된 공용 방송(300) 및 각종 데이터(310, 330, 350, 370)를 조합하여 편집 방송을 생성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생성된 편집 방송이 접속된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공용 방송에서 제공되는 고품질의 컨텐츠를 이용해, 개성있는 컨텐츠로 편집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영상으로 된 공용 방송에 텍스트 또는 영상을 부가하여 편집 방송을 생성하는 것으로 구현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음성을 포함하는 공용 방송을 수신하여 편집 방송이 생성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공용 방송을 수신하여 음성이 부가된 편집 방송이 생성되도록 구현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DTV(100)는, 수신된 공용 방송(300) 및 각종 데이터(310, 330, 350, 370)를 조합하여 편집 방송을 생성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생성된 편집 방송을 접속된 사용자에게 전송한다고 전술한 바 있다.
이 때, DTV(100)는, 편집 방송과 함께 또는 편집 방송과 별개로, 편집 방송이 방송되는 시점에 관한 정보(이하,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DTV(100)는, 공용 방송이 방송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 이러한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를 부가하여 접속된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가 부가된 EPG에 대해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가 부가된 EPG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특히, 도 4a는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가 부가된 EPG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고, 도 4b는 EPG에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를 부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가 부가된 EPG(400)는 세 개의 채널에 대한 방송시간정보를 나타낸다. 여기서, 9번 채널과 11번 채널은 공용 방송이 방송되는 채널이고, 10번 채널은 편집 방송이 방송되는 채널이다. 즉, 9번 채널에 대한 정보와 11번 채널에 대한 정보는 공용 방송이 출력되는 채널에 대한 방송시간정보이고, 10번 채널에 대한 정보는 편집 방송이 출력되는 채널에 대한 방송시간정보이다.
도 4a에서는 10번 채널에서 출력되는 편집 방송이, 9번 채널에서 출력되는 공용 방송을 기초로 편집된 방송인 것으로 상정한다. 따라서, 9번 채널과 10번 채널은 모두 스포츠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10번 채널에서 출력되는 편집 방송은, 9번 채널에서 출력되는 공용 방송을 실시간으로 편집하여 출력한다.
DTV(100)는, 각 방송국으로부터, 9번 채널과 11번 채널에서 출력되는 공용 방송의 방송시간정보를 수신하고, 공용 방송의 방송시간정보에 10번 채널에서 출력되는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를 부가하여,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가 부가된 EPG(400)를 생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가 부가된 EPG(400)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A/V 처리부(120) 및 입력부(180)로부터 공용 방송(300)의 방송시간정보를 나타내는 EPG(401) 및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405)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A/V 처리부(120)를 통해 공용 방송에 대한 EPG(401)를 수신하고, 입력부(180)로부터 편집 방송이 출력될 방송시간정보(405)를 수신한다.
여기서, 편집 방송이 출력되는 시간은 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되지만, 편집 방송이 출력되는 채널은 제어부(15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공용 방송이 출력되는 채널이 9번 채널과 11번 채널이라는 것을 파악하고, 공용 방송이 출력되지 않는 채널인 10번 채널에 편집 방송이 출력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결국, 제어부(150)는, 공용 방송이 출력되는 방송시간정보(401)와 편집 방송이 출력되는 채널과 시간을 포함하는 방송시간정보(405)를 조합하여, EPG(400)를 재생성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가 부가된 EPG(400)를 접속된 시청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편집 방송을 제공하는 사용자 측의 DTV(100)가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가 부가된 EPG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편집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시청자 측의 DTV가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가 부가된 EPG를 생성하도록 구현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편집 방송을 제공하는 사용자 측에서,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를 전송하면, 편집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시청자 측의 DTV가,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공용 방송의 EPG에, 편집 방송을 제공하는 사용자 측으로부터 수신된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를 부가하여,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가 부가된 EPG를 생성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공용 방송이 방송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EPG에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가 부가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 뿐만 아니라, 편집 방송과 관련된 다른 정보가 함께 또는 별개로 부가되는 것으로 구현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에, 편집 방송에 대한 편집 방송의 장르 정보, 편집자 정보, 편집 일자 정보, 편집 방식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함께 또는 별개로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공용 방송이 방송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EPG에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를 부가하여 접속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따라서, 공용 방송이 방송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EPG와 별개로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만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개인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인터넷에 접속한 시청자는, 채널을 변경해가며,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공용 방송과 인터넷을 통해 수신되는 편집 방송을 모두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 방송 제공방법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우선, DTV(100)는 방송 수신부(110)를 통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공용 방송 을 수신한다(S510). 이후, DTV(100)는 사용자의 편집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20), 편집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편집 명령에 따라 공용 방송에 데이터를 부가한다(S530).
또한, DTV(100)는, 방송 수신부(110)를 통해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공용 방송의 EPG에, 편집 방송에 대한 전송시점정보를 부가한다(S540).
그리고, DTV(100)는, 인터넷을 통해 편집 방송을 시청하려고 접속된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하여 공용 방송에 부가하고(S550), 접속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공용 방송에 부가한다(S560).
이후, DTV(100)는, 각종 데이터가 부가된 편집 방송을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570).
이상에서는, DTV(100)가 편집방송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사용자측의 DTV인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다. 따라서, DTV(100)가 편집방송을 수신하여 시청하는 시청자 측의 DTV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방송편집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DTV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편집 방송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편집 방송의 방송시간정보가 부가된 EPG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 방송 제공방법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방송 수신부 120 : A/V 처리부
130 : 음성 출력부 140 : 영상 출력부
150 : 제어부 16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70 : 저장부 180 : 입력부

Claims (22)

  1. 방송 수신부;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방송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편집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을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방송이 인터넷을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된 방송은,
    영상, 음성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부가된 방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방송이 수신되기 이전에 기저장된 데이터 또는 상기 방송이 수신된 이후에 생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접속된 사용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접속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된 방송은,
    상기 방송에 대한 옵션이 설정된 방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은,
    상기 방송의 공개 여부, 상기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제한인원, 상기 방송이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 상기 편집 방송 전송시점에 대한 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9.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인터넷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편집된 방송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채널선택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송출된 방송 및 상기 편집된 방송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출된 방송을 기설정된 채널에 할당하고, 상기 편집된 방송을 상기 기설정된 채널 이외의 채널에 할당하며, 상기 채널선택 명령에 기초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된 방송 및 상기 편집된 방송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된 방송과 함께 수신된 상기 편집 방송 전송시점에 대한 정보가, 상기 송출된 방송과 함께 수신된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 부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2. 방송수신장치를 이용한 편집 방송 제공방법에 있어서,
    방송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편집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을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된 방송을 인터넷을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집 방송 제공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된 방송은,
    영상, 음성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부가된 방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송 제공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방송이 수신되기 이전에 기저장된 데이터 또는 상기 방송이 수신된 이 후에 생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송 제공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접속된 사용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송 제공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접속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송 제공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된 방송은,
    상기 방송에 대한 옵션이 설정된 방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송 제공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은,
    상기 방송의 공개 여부, 상기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제한인원, 상기 방송이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송 제공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단계는,
    상기 방송과 함께 수신된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 편집 방송 전송시점에 대한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송 제공방법.
  20. 방송수신장치를 이용한 편집 방송 수신방법에 있어서,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방송을 수신하는 단계;
    인터넷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편집된 방송을 수신하는 단계;
    채널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선택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송출된 방송 및 상기 편집된 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집 방송 수신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된 방송을 기설정된 채널에 할당하고, 상기 편집된 방송을 상기 기설정된 채널 이외의 채널에 할당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채널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채널선택 명령에 기초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송 수신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출력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송출된 방송과 함께 수신된 EPG에, 상기 편집된 방송과 함께 수신된 상기 편집 방송 전송시점에 대한 정보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송 수신방법.
KR1020080090427A 2008-09-12 2008-09-12 방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집 방송 제공방법과 수신방법 KR20100031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427A KR20100031364A (ko) 2008-09-12 2008-09-12 방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집 방송 제공방법과 수신방법
US12/536,180 US20100071006A1 (en) 2008-09-12 2009-08-05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receiving an edited broadcas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427A KR20100031364A (ko) 2008-09-12 2008-09-12 방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집 방송 제공방법과 수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364A true KR20100031364A (ko) 2010-03-22

Family

ID=4200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427A KR20100031364A (ko) 2008-09-12 2008-09-12 방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집 방송 제공방법과 수신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71006A1 (ko)
KR (1) KR20100031364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3455A1 (en) * 2004-12-02 2006-06-08 Microsoft Corporation Personal media channel
JP4285444B2 (ja) * 2005-05-31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受信再生装置、再生方法
KR20080090218A (ko) * 2007-04-04 2008-10-08 엔에이치엔(주) 편집 파일의 자동 업로딩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71006A1 (en)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0208B2 (en) Interactive video system
US8495236B1 (en) Interaction of user devices and servers in an environment
US9571888B2 (en) Selection graphics overlay of matrix code
JP2015525496A (ja) 複数のメディアフィードを調整する機構を備えたリアルタイム複合放送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50304605A1 (en) Interactive video system
JP2007028586A (ja) 対話型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制作システム
JP2010250820A (ja) テレビチャットシステム
JP2007274227A (ja)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095343A1 (en) Audiovisual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an Audiovisual Apparatus, and Method of Distributing Data
JP2006174414A (ja) 対話式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2007082182A (ja) 対話型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製作方法
KR20110087806A (ko) 친구 정보가 포함된 epg 정보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US20110035767A1 (en) Iptv remote broadcasting system for audience participation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JP3520267B2 (ja) 番組評価方法および番組評価システム
US7609287B2 (en) Two-way broadcasting system allowing a viewer to produce and send a program
JP2005269607A (ja) インスタント対話型オーディオ/ビデオ管理システム
KR102630037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CN106792237B (zh) 一种消息显示方法和***
KR101033728B1 (ko) 방송 신호 재생 중에 커뮤니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0268447A (ja) コンテンツ情報伝送方法、コンテンツ推薦方法、コンテンツ推薦情報に対する信頼度の提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マルチメディアデバイス
JP2004015087A (ja) 視聴者参加型双方向通信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40071359A (ko) 디지털 셋탑박스를 이용한 방송참여 및 설문조사 시스템과그 방법
KR20100031364A (ko) 방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집 방송 제공방법과 수신방법
KR101566981B1 (ko) 공중파 방송과 중첩 재생되는 코멘트 방송 시스템
EP2056602A1 (en)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and image apparatu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