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388A - 터치 스크린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388A
KR20100030388A KR1020080089320A KR20080089320A KR20100030388A KR 20100030388 A KR20100030388 A KR 20100030388A KR 1020080089320 A KR1020080089320 A KR 1020080089320A KR 20080089320 A KR20080089320 A KR 20080089320A KR 20100030388 A KR20100030388 A KR 20100030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touch screen
detection area
area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호
김혜진
박세현
최나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9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0388A/ko
Priority to US12/486,113 priority patent/US20100060597A1/en
Publication of KR2010003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터치 스크린은, 아이콘(icon)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의 아이콘이 위치하는 부분과 아이콘의 인접한 부분을 포함하는 아이콘 감지 영역에서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표시부 및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고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으면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아이콘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 영역이 아이콘의 인접한 부분에까지 확장되므로 터치 조작이 편리한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은 휴대 전화기, 디지털 카메라, 및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edia player)와 같은 개인용 전자기기나 공장 제조 설비의 제어용 화면과 같은 산업용 장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 들면, 최근에는 사용자의 카메라 조작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디지털 카메라에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장착되기도 한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고, 터치 스크린을 손이나 터치 펜으로 접촉하여 카메라의 조작 메뉴를 표시하여 선택/실행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제품을 제조하는 제조사들은 사용자들이 더 편리하게 전자 제품을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메뉴를 배 치하는 방식을 개선해 왔다. 전자 제품의 기능이 복잡해질수록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메뉴의 개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제조사들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개선함으로써 메뉴의 인지와 선택의 편리함을 향상시킨다.
그런데 휴대용 전자기기는 대부분 소형의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의 조작이 불편할 수 있다. 최근의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컴팩트한 크기에도 불구하고 매우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들을 지원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메뉴도 다양하고 복잡하다. 이로 인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메뉴 버튼이나 아이콘의 크기가 작아지고 간격도 조밀해지므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메뉴들을 선택하는 조작에 상당한 정확도가 요구된다. 즉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조작할 때에 신경을 집중하지 않으면 터치 조작의 오류가 발생하기가 쉬워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정확하게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터치 펜 대신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을 조작할 때에는 터치 조작의 정확도가 더 불량해져, 터치 스크린의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을 조작할 때에는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는 손가락이 메뉴를 가리기 때문에 사용자는 현재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이 어떤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람에 따라 손가락이나 손톱의 굵기와 모양이 상이하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을 조작할 때에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의 표면과 접하는 면적이 다양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메뉴 부분의 크기가 일률적으로 정해지므로 상대적으로 두꺼운 손가락을 갖는 사용자일수록 터치 스크린의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편리한 터치 스크린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작의 오류가 잘 발생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는 사용자가 현재 선택하려고 하는 메뉴를 인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 조작을 위한 부분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사용자들의 다양한 손가락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접촉을 감지하는 영역이 아이콘의 인접한 부분에까지 확장되므로 터치 조작이 편리한 터치 스크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터치 스크린은, 아이콘(icon)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의 아이콘이 위치하는 부분과 아이콘의 인접한 부분을 포함하는 아이콘 감지 영역에서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표시부 및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고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으면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아이콘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이콘은 표시부의 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고, 아이콘 감지 영역은 각각의 아이콘이 위치하는 영역에서 아이콘들이 배치되는 일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는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아이콘 감지 영역에 보조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아이콘은 아이콘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아이콘은 아이콘 감지 영역에서 아이콘의 인접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아이콘은 아이콘의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아이콘은 아이콘과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아이콘과 아이콘의 겹쳐진 부분에서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보조 아이콘은 반투명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는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아이콘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변형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는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아이콘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는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아이콘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는 손가락의 접촉 면적을 감지하여 아이콘 감지 영역의 크기를 설정하는 감지 영역 설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이콘들은 원호를 따라 배치되고, 아이콘 감지 영역은 원호의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터치 스크린은, 아이콘(icon)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의 아이콘에 인접하는 아이콘 감지 영역에서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표시부 및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고,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으면,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아이콘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제어부는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아이콘 감지 영역과, 접촉된 아이콘 감지 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보조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에서는, 아이콘 감지 영역에 의해 터치 스크린에서 아이콘을 선택할 때 접촉의 감지가 이루어지는 영역이 확장되므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편리해지고, 손가락에 의해 선택하고자 하는 아이콘이 가려져 보이지 않는 현상을 피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선택하고자 하는 아이콘과 접촉의 감지가 이루어지는 영역의 크기가 보조 아이콘에 의해 사용자에게 안내되며, 아이콘을 설명하는 텍스트 정보가 표 시될 수 있어서, 터치 스크린의 사용이 더욱 편리해진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의 표면을 다라 손가락을 이동시키는 드래그 터치를 실시할 때에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보조 아이콘도 함께 이동하므로, 터치 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감지 영역 설정부는 터치 스크린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 면적에 대응하여 터치 스크린의 터치 조작을 위한 아이콘 감지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므로, 사용자들의 다양한 손가락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터치 스크린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은 디지털 카메라에 장착되어 촬영된 화상이나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터치 스크린(50)은 표시부(51)와 감지부(52)와 터치 스크린 제어부(44)를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50)을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는, 화상을 촬상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20)와, 촬상소자(20)의 전기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변환부(41)와, 카메라 제어부(40)와, 감지 영역 설정부(45)를 구비한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에 터치 스크린(50)이 장착된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50)을 통해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고, 터치 스크린(50)을 손이나 터치 펜으로 접촉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조작 메뉴를 선택/실행할 수 있다.
촬상소자(20)의 앞에 배치되는 줌렌즈 유닛(10)은 복수 개의 렌즈들(12)을 포함하여, 외부의 영상광을 촬상소자(20)의 촬상면에 결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렌즈들(12)은 서로의 간격이 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렌즈들(12)의 간격이 변동되면 줌렌즈 유닛(10)에 의한 확대 배율이 변경된다.
렌즈들(12)은 줌모터(zoom motor)와 같은 구동수단을 갖는 줌 구동부(11)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서로에 대한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줌 구동부(11)는 카메라 제어부(40)의 구동 회로부(42)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작동된다. 따라서 줌 구동부(11)는 줌렌즈 유닛(10)이 복수 개의 확대 배율들 중 어느 하나를 갖도록 줌렌즈 유닛(10)을 구동할 수 있다.
촬상소자(20)는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여, 줌렌즈 유닛(10)을 통해 입사된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광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은, 먼저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는 단계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등의 세부 단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40)는 촬상소자(20), 줌 구동부(11), 메모리(15), 터치 스크린(5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들 구성 요소와 제어 신호를 주고받거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 제어부(40)는 화상 변환부(41)와, 구동 회로부(42)와, 터치 스크린 제어부(44)와, 감지 영역 설정부(45)와, 메모리(15)에 대한 데이터 저장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43) 등을 포함한다.
카메라 제어부(40)는 마이크로 칩이나, 마이크로 칩을 구비하는 회로보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카메라 제어부(40)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들은 카메라 제어부(40)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나 회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50)을 제어하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44)가 카메라 제어부(40)에 내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터치 스크린 제어부는 카메라 제어부(40)와는 독립된 마이크로 칩이나 회로보드로 구현되어, 터치 스크린(50)에 일체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메모리 제어부(43)는 메모리(15)로의 화상 데이터의 기록과, 메모리(15)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독출을 제어한다. 메모리(15)는 예를 들면, SDRAM(synchronous DRAM) 등의 반도체 기억 소자로 이루어져 촬상된 화상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60)에는 사람의 손가락의 크기에 따른 터치 스크린(50)의 표면에서의 접촉 면적과, 손가락 접촉 면적에 대응하여 표시부(51)에 표시될 아이콘 감지 영역의 크기의 관계에 대한 데이터가 기록된다. 감지 영역 설정부(45)는 데이터 베이스(60)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터치 스크린(5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 면적에 대응한 아이콘 감지 영역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50)은 촬상소자(2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과, 표 면의 터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터치 스크린(50)은 키보드와 마우스를 대체하는 입력 장치이며,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직접 손으로 터치하거나 펜으로 터치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GUI(graphic user interface;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 하에서 직관적인 업무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터치 스크린(50)은 아이콘(icon)을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51)와, 표면의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부(52)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51)에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전계 발광장치(OLED) 등의 표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감지부(52)는 표시부(51)의 표면에 설치되어 표면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52)에는 저항성 감지 수단, 용량성 감지 수단, 표면 음향파 이용 감지 수단, 적외선(IR) 이용 감지 수단, 및 광학 이용 감지 수단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감지부(52)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44)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표시부(51)에 표시된 아이콘의 인접한 부분을 포함하는 아이콘 감지 영역에서의 접촉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이콘 감지 영역에 대해서는 작동 상태도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터치 스크린 제어부(44)는 표시부(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표시부(51)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제어부(44)는 감지부(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부(52)로부터 신호를 인가 받아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영역에 위치 하는 아이콘이 선택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아이콘의 선택에 관해서는 작동 상태도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도 1의 터치 스크린의 조작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50)에는 사용자가 실행할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아이콘들(71)이 표시된다. 아이콘들(71)은 터치 스크린(50)의 가로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며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아이콘들(71)은 아이콘 영역(72)에 표시된다.
터치 스크린(50)의 우측 가장자리에는 상위 메뉴용 아이콘들(91, 92, 93)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2는 사용자가 상위 메뉴용 아이콘들(91, 92, 93) 가운데 화이트 밸런스 아이콘(91)을 선택하였을 때의 작동 상태이다. 화이트 밸런스 아이콘(91)이 선택되면, 그에 해당하는 하위 아이콘들(71)이 가로 방향으로 펼쳐진다.
터치 스크린(50)의 표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아이콘 감지 영역(73)은 아이콘 영역(72)을 포함하며 아이콘들(71)이 배치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아이콘 감지 영역(73)은 터치 스크린(50)의 가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아이콘 감지 영역(73)에서 아이콘 영역(72)의 상하로 돌출되며 연장되는 부분은, 사용자가 아이콘(71)을 선택하려고 터치 스크린(50)의 표면에 손가락(81)을 접촉할 때 감지가 이루어지는 영역을 확장하는 기능을 하는 확장 영역(73a, 73b)이 다. 따라서 아이콘(71)이 작은 크기로 표시되는 경우에도, 아이콘 영역(72)과 아이콘(71)의 인접한 부분인 확장 영역(73a, 73b)에서 손가락(81)의 접촉이 감지되므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편리해진다.
도 1의 터치 스크린 제어부(44)는 터치 스크린(50)의 감지부(52)로부터 아이콘 감지 영역(73)의 어느 하나가 접촉된 신호를 인가 받으면,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아이콘 감지 영역(73)에 대응하는 아이콘(71)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의 카메라 제어부(40)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44)의 신호로부터 선택된 아이콘(71)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제어부(44)는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아이콘 감지 영역(73)에 보조 아이콘(75)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아이콘 감지 영역(73)이 점선으로 구분되지만, 실제로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50)에서 아이콘 영역(72) 내의 그림들만을 인지할 수 있다. 보조 아이콘(75)은 사용자의 손가락(81)이 현재 선택하고 있는 아이콘(71)이 어느 것인지를 안내하는 기능과, 접촉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아이콘 감지 영역(73)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보조 아이콘(75)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이콘 감지 영역(73)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보조 아이콘(75)의 크기에 의해 제한을 받지 않으며, 보조 아이콘(75)은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보조 아이콘(75)은 아이콘 감지 영역(73) 보다 크거나 또는 작거나, 아이콘 영역(72)의 일부에만 겹치거나 또는 겹치지 않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보조 아이콘(75)은 선택된 아이콘(71)을 설명하는 텍스트 정보(7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보조 아이콘(75)의 아이콘 감지 영역(73)의 상측 확장 영역(73a)에 대응하는 부분에 텍스트 정보(76)가 표시되었다. 사용자는 보조 아이콘(75)의 텍스트 정보(76)로부터, 선택된 아이콘(71)의 내용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보조 아이콘(75)은, 보조 아이콘(75)에 겹쳐진 아이콘(71)이 표시될 수 있도록 반투명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아이콘(71)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 아이콘(75)을 통해 아이콘 감지 영역(73)의 크기를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터치 스크린(50)의 접촉은 드래그 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래그 터치(drag touch)는 터치 스크린(50)의 표면을 따라 일정 거리를 이동하는 터치 방식을 말한다. 드래그 터치에 의한 접촉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손가락(81)의 위치에 대응하는 아이콘(71) 위에 보조 아이콘(75)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보조 아이콘(75)이 자신의 손가락(81)의 움직임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인식하므로 터치 스크린(50)의 터치 조작이 더욱 편리하고 효과적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터치 스크린의 조작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화이트 밸런스 아이콘(91)의 밑에 배치된 ISO 설정 아이콘(92)을 선택하였을 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ISO 설정 아이콘(92)이 선택되면, ISO 설정 아이콘(92)에 대응하는 하위 아이콘들(171)이 가로 방향으로 펼쳐져 표시된다. 도 2에서는 아이콘들(171)이 표시되는 아이콘 영역(172)과, 아이콘들(171)에 인접한 확장 영역(173a, 173b)을 포함하는 아이콘 감지 영역(173)과, 보 조 아이콘(175)이 모두 ISO 설정 아이콘(92)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새롭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50)의 아이콘 감지 영역(173)의 위치는 터치 스크린(50)의 특정한 영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터치 스크린(50)에 현재 표시되는 아이콘들(171)을 기준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터치 스크린(50)의 우측 가장자리에는 상위 메뉴용 아이콘들(91, 92, 93)의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상위 메뉴용 아이콘에 해당하는 하위 아이콘들이 가로 방향으로 펼쳐져 표시되고, 하위 아이콘들의 상하 방향으로 아이콘 감지 영역이 새로이 설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250)에는 사용자가 실행할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아이콘들(271)이 표시된다. 아이콘들(271)은 터치 스크린(250)의 가로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며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아이콘들(271)은 아이콘 영역(272)에 표시된다.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와는 달리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250)에서는 아이콘 감지 영역(273)은 아이콘(271)이 표시되는 아이콘 영역(272)을 포함하지 않는다. 아이콘 감지 영역(273)은 아이콘(271)에 인접하는 하측의 확장 영역(273b)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250)은 아이콘(271)에 대한 사용자의 손가락(81)의 접촉을 감지하지 못하고, 확장 영역(273b)에서의 접촉만을 감지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이콘(271)을 선택하기 위해 아이콘(271)이 표시된 부분을 정확히 접촉할 필요가 없으며, 아이콘(271)에 인접하는 아이콘 감지 영역(273)을 접촉하면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손가락(81)으로 아이콘(271)을 선택할 때에 손가락(81)이 아이콘(271)을 가리는 현상을 피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81)이 접촉한 것으로 감지된 아이콘 감지 영역(273)에는 보조 아이콘(275)이 표시된다. 보조 아이콘(275)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그 크기가 아이콘 감지 영역(273)보다 커서 아이콘(271)의 일부분과 겹치도록 표시된다. 따라서 보조 아이콘(275)은 사용자의 손가락(81)이 현재 선택하고 있는 아이콘(271)이 어느 것인지를 안내하는 기능과, 접촉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아이콘 감지 영역(273)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보조 아이콘(275)은, 보조 아이콘(275)에 겹쳐진 아이콘(271)이 표시될 수 있도록 반투명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아이콘(271)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 아이콘(275)을 통해 아이콘 감지 영역(273)의 크기를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터치 스크린(250)의 접촉은 드래그 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래그 터치에 의한 접촉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손가락(81)의 위치에 대응하는 아이콘(271) 위에 보조 아이콘(275)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보조 아이콘(275)이 자신의 손가락(81)의 움직임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인식하므로 터치 스크린(250)의 터치 조작이 더욱 편리하고 효과적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터치 스크린(350)은 도 3에서와 같이 화이트 밸런스 아이콘(91)의 밑에 배치된 ISO 설정 아이콘(92)을 선택하였을 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ISO 설정 아이콘(92)이 선택되면, ISO 설정 아이콘(92)에 대응하는 하위 아이콘들(371)이 가로 방향으로 펼쳐져 표시된다. 아이콘들(371)은 터치 스크린(350)의 가로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아이콘들(371)은 아이콘 영역(372)에 표시된다.
터치 스크린(50)의 표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아이콘 감지 영역(373)은 아이콘 영역(372)을 포함하며 아이콘들(371)이 배치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아이콘 감지 영역(373)은 터치 스크린(50)의 가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아이콘 감지 영역(373)에서 아이콘 영역(372)의 상하로 돌출되며 연장되는 부분인 확장 영역(373a, 373b)은, 사용자가 아이콘(371)을 선택하려고 터치 스크린(350)의 표면에 손가락(81)을 접촉할 때 감지가 이루어지는 영역을 확장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아이콘(371)이 작은 크기로 표시되는 경우에도, 아이콘 영역(372)과 아이콘(371)의 인접한 부분인 확장 영역(373a, 373b)에서 손가락(81)의 접촉이 감지되므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편리해진다.
사용자의 손가락(81)이 접촉한 것으로 감지된 아이콘 감지 영역(373)에는 보조 아이콘(375)이 표시된다. 보조 아이콘(375)은 아이콘 감지 영역(373)에서 확장 영역(373a, 373b)에 표시되었다. 보조 아이콘(375)의 이와 같은 표시를 변형하여 보조 아이콘(375)이 아이콘 영역(372)을 가로지르며 아이콘(371)과 겹치도록 표시될 수도 있다. 보조 아이콘(375)은 사용자의 손가락(81)이 현재 선택하고 있는 아이콘(371)이 어느 것인지를 안내하는 기능과, 접촉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아이콘 감지 영역(373)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선택된 아이콘(371)은 그 크기가 확대된 확대 아이콘(371a)으로 변형될 수 있다. 아이콘(371)이 작은 크기로 표시된 경우에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아이콘(371)은 크기가 큰 확대 아이콘(371a)으로 변형되므로, 사용자는 현재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의 아이콘(371)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선택된 아이콘(371)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방식은 이와 같이 아이콘(371)의 크기를 변형하는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선택된 아이콘(371)은 그 색상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450)에는 사용자가 실행할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아이콘들(471)이 표시된다. 아이콘들(471)은 터치 스크린(450)의 세로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아이콘들(471)은 아이콘 영역(472)에 표시된다.
터치 스크린(450)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상위 메뉴용 아이콘들(94, 95)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2는 사용자가 상위 메뉴용 아이콘들(94, 95) 가운데 필 터 설정 아이콘(94)을 선택하였을 때의 작동 상태이다. 필터 설정 아이콘(94)이 선택되면, 그에 해당하는 하위 아이콘들(471)이 필터 설정 아이콘(9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세로 방향으로 펼쳐진다.
터치 스크린(450)의 표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아이콘 감지 영역(473)은 아이콘 영역(472)을 포함하며 아이콘들(471)이 배치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아이콘 감지 영역(473)은 터치 스크린(450)의 세로 방향을 가로지르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아이콘 감지 영역(473)에서 아이콘 영역(472)의 좌우로 돌출되며 연장되는 부분은, 사용자가 아이콘(471)을 선택하려고 터치 스크린(450)의 표면에 손가락(82)을 접촉할 때 감지가 이루어지는 영역을 확장하는 기능을 하는 확장 영역(473a, 473b)이다. 따라서 아이콘(471)이 작은 크기로 표시되는 경우에도, 아이콘 영역(472)과 아이콘(471)의 인접한 부분인 확장 영역(473a, 473b)에서 손가락(82)의 접촉이 감지되므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편리해진다.
도 6에 도시되는 터치 스크린(450)도, 도 1의 터치 스크린 제어부(4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제어부(44)는 터치 스크린(450)에서 접촉된 아이콘 감지 영역(473)에 대응하는 아이콘(471)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아이콘(471)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제어부(44)는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아이콘 감지 영역(473)에 보조 아이콘(475)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서도 설명의 편의상 아이콘 감지 영역(473)이 점선으로 구분되지만, 실제로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450)에서 아이콘 영역(472) 내의 그림들만을 인지할 수 있다. 보조 아이콘(475)은 사용자의 손가락(82)이 현재 선택하고 있는 아이콘(471)이 어느 것인지를 안내하는 기능과, 접촉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아이콘 감지 영역(473)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보조 아이콘(475)은 아이콘 감지 영역(473)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보조 아이콘(475)의 크기에 의해 제한을 받지 않으며, 보조 아이콘(475)은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보조 아이콘(475)은 아이콘 감지 영역(473) 보다 크거나 또는 작거나, 아이콘 영역(472)의 일부에만 겹치거나 겹치지 않도록 변형될 수 있다.
아이콘 감지 영역(473)은 아이콘(471)을 설명하는 텍스트 정보(476)를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정보(476)가 보조 아이콘(475)의 아이콘 감지 영역(473)의 우측 확장 영역(473b)에 대응하는 부분에 표시되었다. 사용자는 아이콘 감지 영역(473)의 텍스트 정보(476)로부터, 아이콘들(471)의 내용을 편리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보조 아이콘(475)은, 보조 아이콘(475)에 겹쳐진 아이콘(471)이 표시될 수 있도록 반투명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아이콘(471)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 아이콘(475)을 통해 아이콘 감지 영역(473)의 크기를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터치 스크린(450)의 접촉은 드래그 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래그 터치에 의한 접촉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손가락(81)의 위치에 대 응하는 아이콘(471) 위에 보조 아이콘(475)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보조 아이콘(475)이 자신의 손가락(81)의 움직임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인식하므로 터치 스크린(450)의 터치 조작이 더욱 편리하고 효과적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550)에는 사용자가 실행할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아이콘들(571)이 표시된다. 아이콘들(571)은 터치 스크린(550)의 가로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아이콘들(571)은 아이콘 영역(572)에 표시된다.
터치 스크린(550)의 표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아이콘 감지 영역(573)은 아이콘 영역(572)을 포함하며 아이콘 영역(572)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아이콘 감지 영역(573)은 아이콘 영역(572)을 포함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아이콘 감지 영역(573)의 모양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아이콘 감지 영역(573)은 세모나 네모와 같은 다각형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아이콘 감지 영역(573)은 사용자가 아이콘(571)을 선택하려고 터치 스크린(550)의 표면에 손가락(81)을 접촉할 때 감지가 이루어지는 영역을 확장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아이콘(571)이 작은 크기로 표시되는 경우에도, 아이콘 영역(572)의 외측 부분에서도 손가락(81)의 접촉이 감지되므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편리해진다.
사용자의 손가락(81)이 접촉한 것으로 감지된 아이콘 감지 영역(573)에는 보조 아이콘(575)이 표시된다. 보조 아이콘(575)은 아이콘 감지 영역(573)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보조 아이콘(575)은 사용자의 손가락(81)이 현재 선택하고 있는 아이콘(571)이 어느 것인지를 안내하는 기능과, 접촉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아이콘 감지 영역(573)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보조 아이콘(575)은, 보조 아이콘(575)에 겹쳐진 아이콘(571)이 표시될 수 있도록 반투명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아이콘(571)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 아이콘(575)을 통해 아이콘 감지 영역(573)의 크기를 인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650)에서 사용자가 실행할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 개의 아이콘들(671)은 곡선을 따라 연이어 배치된다. 즉 각각의 아이콘들(671)은 도 8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원호(601)를 따라 정해지는 아이콘 영역(672)에 배치된다.
도 8은 터치 스크린(650)의 아래쪽에 배치된 상위 메뉴용 아이콘들(691, 692) 가운데 화이트 밸런스 아이콘(691)을 선택하였을 때의 작동 상태이다. 화이트 밸런스 아이콘(691)이 선택되면, 그에 해당하는 하위 아이콘들(671)이 원호(601)를 따라 펼쳐져 표시된다.
터치 스크린(650)의 표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아이콘 감지 영역(673)은 아이콘 영역(672)을 포함하며 아이콘들(671)이 배치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아이콘 감지 영역(673)은 원호(601)를 가로지르며 원호(601)의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다.
아이콘 감지 영역(673)에서 아이콘 영역(672)의 안과 밖으로 돌출되며 연장되는 부분은, 사용자가 아이콘(671)을 선택하려고 터치 스크린(650)의 표면에 손가락(81)을 접촉할 때 감지가 이루어지는 영역을 확장하는 기능을 하는 확장 영역(673a, 673b)이다. 따라서 아이콘(671)이 작은 크기로 표시되는 경우에도, 아이콘 영역(672)과 아이콘(671)의 인접한 부분인 확장 영역(673a, 673b)에서 손가락(81)의 접촉이 감지되므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편리해진다.
사용자의 손가락(81)이 접촉한 것으로 감지된 아이콘 감지 영역(673)에는 보조 아이콘(675)이 표시된다. 도 8에서도 설명의 편의상 아이콘 감지 영역(673)이 점선으로 구분되지만, 실제로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50)에서 아이콘 영역(672) 내의 그림들만을 인지할 수 있다. 보조 아이콘(675)은 사용자의 손가락(81)이 현재 선택하고 있는 아이콘(671)이 어느 것인지를 안내하는 기능과, 접촉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아이콘 감지 영역(673)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보조 아이콘(675)은 아이콘 감지 영역(673)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보조 아이콘(675)의 크기에 의해 제한을 받지 않으며, 보조 아이콘(675)은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보조 아이콘(675)은 아이콘 감지 영역(673) 보다 크거나 또는 작거나, 아이콘 영역(672)의 일부에만 겹치거나 또는 겹치지 않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보조 아이콘(675)은, 보조 아이콘(675)에 겹쳐진 아이콘(671)이 표시될 수 있도록 반투명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아이콘(671)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 아이콘(675)을 통해 아이콘 감지 영역(673)의 크기를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터치 스크린(650)의 접촉은 드래그 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래그 터치에 의한 접촉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손가락(81)의 위치에 대응하는 아이콘(671) 위에 보조 아이콘(675)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보조 아이콘(675)이 자신의 손가락(81)의 움직임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인식하므로 터치 스크린(650)의 터치 조작이 더욱 편리하고 효과적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1의 감지 영역 설정부(45)에 의해 아이콘 감지 영역의 크기에 대한 설정이 이루어지는 작동 상태를 도시한다.
도 9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750)에는 사용자의 손가락(81)의 접촉 면적을 감지하는 면적 감지 영역들(701, 702, 703)이 표시된다. 면적 감지 영역들(701, 702, 703)에는 기준 아이콘들(701a, 702a, 703a)이 포함된다. 면적 감지 영역들(701, 702, 703)이 복수 개가 도시된 것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면적 감지 영역들의 예를 나타내기 위함이므로, 면적 감지 영역이 도 9와 같이 반드시 복수 개가 배치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드래그 터치용 면적 감지 영역(703)은 사용자가 드래그 터치를 할 때의 손가락(81)의 접촉 면적을 감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를 통해 터치 스크린(750)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조작 패턴에 따른 평균적인 접촉 면적을 더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750)의 우측에는 아이콘 영역들(772a, 772b, 772c, 772d)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아이콘들(771a, 771b, 771c, 771d)과, 아이콘들(771a, 771b, 771c, 771d)을 포함하여 아이콘 영역들(772a, 772b, 772c, 772d)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아이콘 감지 영역들(773a, 773b, 773c, 773d)이 표시된다.
아이콘 감지 영역들(773a, 773b, 773c, 773d)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커지는데, 이는 사용자에 따라 달라지는 손가락의 크기와 그로 인해 변화하는 접촉 면적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즉 손가락의 크기가 커서 터치 스크린(750)을 터치할 때 접촉 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경우일수록, 아래쪽의 넓은 아이콘 감지 영역들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81)을 면적 감지 영역들(701, 702, 703)의 기준 아이콘들(701a, 702a, 703a)에 접촉하면, 도 1의 감지부(52)에 의해 감지된 부분의 화소 신호들이 터치 스크린 제어부(44)에 전달된다. 감지 영역 설정부(45)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44)에 전달된 화소 신호들로부터 터치 스크린(750)의 기준 아이콘들(701a, 702a, 703a)에서의 손가락(81)의 접촉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도 1의 데이터 베이스(60)에는 사람의 손가락의 크기에 따른 터치 스크린(750)의 표면에서의 접촉 면적과, 손가락 접촉 면적에 대응하여 터치 스크린(750)에 표시될 아이콘 감지 영역(773a, 773b, 773c, 773d)의 크기의 관계에 대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감지 영역 설정부(45)는 데이터 베이스(60)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터치 스크린(75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 면적에 대응하여 아이콘 감지 영역(773a, 773b, 773c, 773d)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터치 스크린의 조작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터치 스크린의 조작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터치 스크린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5: 감지 영역 설정부 10: 줌렌즈 유닛
52: 감지부 20: 촬상소자
42: 구동 회로부 40: 카메라 제어부
701a, 702a, 703a: 기준 아이콘 44: 터치 스크린 제어부
60: 데이터 베이스 76, 476: 텍스트 정보
12: 렌즈들 51: 표시부
43: 메모리 제어부 94: 필터 설정 아이콘
15: 메모리 41: 화상 변환부
701, 702, 703: 면적 감지 영역 91, 691: 화이트 밸런스 아이콘
81, 82: 손가락 371a: 확대 아이콘
601: 원호 92: ISO 설정 아이콘
11: 줌 구동부
75, 175, 275, 375, 475, 575, 675: 보조 아이콘
91, 92, 93, 94, 95, 691, 692: 상위 메뉴용 아이콘들
73, 173, 273, 373, 473, 573, 673, 773a~773d: 아이콘 감지 영역
72, 172, 272, 372, 472, 572, 672, 772a~772d: 아이콘 영역
71, 171, 271, 371, 471, 571, 671, 771a~771d: 아이콘
50, 250, 350, 450, 550, 650, 750: 터치 스크린
73a, 73b, 173a, 173b, 273b: 확장 영역
373a, 373b, 473a, 473b, 673a, 673b: 확장 영역

Claims (16)

  1. 아이콘(icon)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상기 아이콘이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아이콘의 인접한 부분을 포함하는 아이콘 감지 영역에서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표시부 및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으면,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상기 아이콘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상기 표시부의 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아이콘 감지 영역은 각각의 상기 아이콘이 위치하는 영역에서 아이콘들이 배치되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치 스크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상기 아이콘 감지 영역에 보조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터치 스크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아이콘은 상기 아이콘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터치 스크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아이콘은 상기 아이콘 감지 영역에서 상기 아이콘의 인접 부분에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아이콘은 상기 아이콘의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7. 제3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아이콘은 상기 아이콘과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아이콘과 상기 아이콘의 겹쳐진 부분에서 상기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상기 보조 아이콘은 반투명의 색상을 갖는, 터치 스크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상기 아이콘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상 기 아이콘을 변형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터치 스크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상기 아이콘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의 크기를 확대하는, 터치 스크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상기 아이콘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의 색상을 변경하는, 터치 스크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는 손가락의 접촉 면적을 감지하여 상기 아이콘 감지 영역의 크기를 설정하는 감지 영역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은 원호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아이콘 감지 영역은 상기 원호의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치 스크린.
  14. 아이콘(icon)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상기 아이콘에 인접하는 아이콘 감지 영역에서의 접촉을 감지 하는 감지부; 및
    상기 표시부 및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으면,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상기 아이콘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상기 표시부의 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아이콘 감지 영역은 각각의 상기 아이콘이 위치하는 영역에서 아이콘들이 배치되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치 스크린.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상기 아이콘 감지 영역과, 접촉된 상기 아이콘 감지 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보조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터치 스크린.
KR1020080089320A 2008-09-10 2008-09-10 터치 스크린 KR20100030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320A KR20100030388A (ko) 2008-09-10 2008-09-10 터치 스크린
US12/486,113 US20100060597A1 (en) 2008-09-10 2009-06-17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d selecting icons on a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320A KR20100030388A (ko) 2008-09-10 2008-09-10 터치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388A true KR20100030388A (ko) 2010-03-18

Family

ID=4179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320A KR20100030388A (ko) 2008-09-10 2008-09-10 터치 스크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60597A1 (ko)
KR (1) KR201000303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102A (ko) * 2012-01-04 201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20379B (zh) * 2009-12-09 2013-12-21 Telepaq Technology Inc 觸控螢幕之選擇功能選單方法
JP2011145386A (ja) * 2010-01-13 2011-07-28 Fuji Xerox Co Ltd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10298720A1 (en) * 2010-06-02 2011-12-08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of a touch screen
US9785289B2 (en) 2010-11-23 2017-10-10 Red Hat, Inc. GUI control improvement using a capacitive touch screen
JP5652652B2 (ja) * 2010-12-27 2015-01-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DE202011110371U1 (de) * 2011-06-03 2013-09-26 Jürgen Habenstein Digitalkamera
US8863027B2 (en) * 2011-07-31 2014-10-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ving object on rendered display using collar
US8527904B2 (en) 2011-09-30 2013-09-03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Quick data entry lanes for touch screen mobile devices
US20130100043A1 (en) * 2011-10-24 2013-04-2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determining valid touch screen inputs
DE202011110369U1 (de) * 2011-12-01 2013-09-26 Jürgen Habenstein Digitalkamera
JP5906097B2 (ja) * 2012-01-31 2016-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310922B2 (en) * 2012-04-30 2016-04-1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selection option
EP3182262A1 (en) 2012-09-17 2017-06-21 Huawei Device Co., Ltd. Touch operation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3838457A (zh) * 2012-11-26 2014-06-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滤镜列表显示方法及装置
JP2016035685A (ja) * 2014-08-04 2016-03-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
JP6494215B2 (ja) * 2014-08-25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84179B2 (ja) * 2017-01-30 2020-1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JP2019211826A (ja) * 2018-05-31 2019-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38348B (en) * 2002-05-13 2005-08-21 Kyocera Corp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a
JP4115198B2 (ja) * 2002-08-02 2008-07-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
JP4037378B2 (ja) * 2004-03-26 2008-01-23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出力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725411B1 (ko) * 2006-02-06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제공 방법, 및 컨텐츠 검색 장치
TWI328185B (en) * 2006-04-19 2010-08-01 Lg Electronics Inc Touch screen device for potab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and selecting menus thereon
KR20070113018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실행방법
US20080163119A1 (en) * 2006-12-28 2008-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menu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US20080284756A1 (en) * 2007-05-15 2008-11-20 Chih-Feng Hsu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large input mechanisms in touch screens
CN101414231B (zh) * 2007-10-17 2011-09-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触摸屏装置及其图像显示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102A (ko) * 2012-01-04 201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60597A1 (en)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0388A (ko) 터치 스크린
US9703435B2 (en) Touchpad combined with a display and having proximity and touch sensing capabilities to enable different functions or interfaces to be displayed
JP6381032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32688B1 (ko) 휴대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ui 모드 제공 방법
KR101535320B1 (ko) 표면상에 놓인 손에 맞는 제스쳐를 생성하는 방법
US20110227947A1 (en) Multi-Touch User Interface Interaction
US20070262951A1 (en)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with improved indication of adjustment
US20090289902A1 (en)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with subregion based swipethrough data entry
US91707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UI interacting according to recognized user approach
KR20100059698A (ko)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제공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562558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1002414A2 (en) A user interface
KR20110074663A (ko)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146007A1 (en) Touch-sens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9098990A (ja) 表示装置
KR101436585B1 (ko) 원 포인트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03079B1 (ko) 터치스크린에서 화면 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JP2013114645A (ja) 小型情報機器
KR20120081422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터치 이벤트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
KR20160015146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KR101436588B1 (ko) 멀티 포인트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5088179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1189322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one-hand touch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165387B1 (ko) 터치 스크린 및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TWI522895B (zh) 介面操作方法與應用該方法之可攜式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