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7520A - 네가티브 이상 광시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iol 주변 표면 디자인 - Google Patents

네가티브 이상 광시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iol 주변 표면 디자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7520A
KR20100017520A KR1020097025009A KR20097025009A KR20100017520A KR 20100017520 A KR20100017520 A KR 20100017520A KR 1020097025009 A KR1020097025009 A KR 1020097025009A KR 20097025009 A KR20097025009 A KR 20097025009A KR 20100017520 A KR20100017520 A KR 20100017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l
focusing
peripheral
region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제이. 심프슨
케이. 스코트 엘리스
Original Assignee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17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965Lens includes ultraviolet absorber
    • A61F2002/1699Additional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광학축에 대해 배치된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는 IOL이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서 후면은 주변 영역으로 연장하는 중심 영역을 포함한다. IOL이 환자의 안구에 이식되면, 전면 및 후면의 중심 영역은 망막 상에 시각 영역의 이미지를 협동적으로 형성하며, 후면의 주변 영역은 이상 광시증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영역에 입사된 적어도 일부 광선을 (예를 들어 전면에 의한 굴절에 의해서) 이미지로부터 오프셋된 적어도 하나의 망막 위치로 유도한다.

Description

네가티브 이상 광시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IOL 주변 표면 디자인 {IOL PERIPHERAL SURFACE DESIGNS TO REDUCE NEGATIVE DYSPHOTOPSIA}
관련된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35 U.S.C.§119에 따라 2007년 4월 30일에 출원된 미국정식특허출원번호 제11/741,841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문헌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안구내 렌즈(IOL), 특히 주변 시각 영역에서 인위적 영상(visual artifact)를 지각하지 않으면서 시각 영역의 이미지를 환자에게 제공하는 IOL에 관한 것이다.
안구의 광학 파워(optical power)는 각막의 광학 파워 및 천연 수정체의 광학 파워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수정체는 안구의 전체 광학 파워의 약 1/3을 제공한다. 노화 과정 뿐만 아니라 당뇨병과 같은 특정 질환은 천연 수정체를 흐려지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는 통상적으로 백내장(cataract)으로서 알려져 있고, 환자의 시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안구내 렌즈(intraocular lens)는 통상적으로 이러한 흐려진 천연 수정체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IOL은 실질적으로 환자 시력의 질을 회복시킬 수 있지만, IOL을 이식한 일부 환자들에게서, 이들의 시력에 있어서, 훈륜(halos), 눈부심(glare) 또는 암부 영역(dark region)과 같은, 비정상적인 광학 현상이 보고된다. 이러한 이상(aberration)은 흔히 "이상 광시증(dysphotopsia)"으로서 칭하여 진다. 특히, 일부 환자들에게서 특히 이들의 측두 주변 시각 영역(temporal peripheral visual field)에서 음영을 지각한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으로 "네가티브 이상 광시증(negative dysphotopsia)"으로서 칭하여 진다.
이에 따라, 향상된 IOL, 특히 일반적으로 이상 광시증, 구체적으로 음영의 지각 또는 네가티브 이상 광시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IOL이 요구되고 있다.
요약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옵틱(optic)의 하나 이상의 주변 표면이 일부 IOL 환자들에게서 보고된 음영의 지각을 경감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이를 제거하도록 디자인된 안구내 렌즈(IOL)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빛이 매우 큰 시각(visual angle)으로 눈으로 진입할 때 이중 이미지화 효과(double imaging effect)에 의해 IOL 환자에 의해 지각된 음영이 야기될 수 있다는 발견을 기초로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많은 통상적인 IOL에서, 눈으로 진입하는 대부분의 빛이 각막과 IOL 둘 모두에 의해 망막 상에 포커싱되지만, 일부 주변광이 IOL을 빗나가고, 이에 따라 각막에 의해서만 포커싱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제 2 주변 이미지(second peripheral image)의 형성을 초래한다. 이러한 이미지가 주변 시각 영역을 확장시키기 때문에 유용할 수 있지만, 몇몇 IOL 사용자에서 이 이미지는, 혼란을 일으킬 수 있는 음영-유사 현상(shadow-like phenomenon)의 지각을 야기시킬 수 있다.
백내장 수술의 잠재적 합병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최신 IOL의 디자이너는, 환자의 천연 수정체를 제거한 후에 IOL이 더욱 용이하게 수정체낭(capsular bag)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접혀질 수 있는) 광학적 구성요소 ("옵틱(optic)")을 제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감소된 렌즈 직경, 및 접혀질 수 있는 렌즈 물질은 현대의 IOL 수술의 성공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들인데, 이는 이러한 것들이 요구되는 각막 절개부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외과적 절개로부터의 각막 수차(corneal aberration)를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는 종종 봉합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가-실링 절개(self-sealing incision)의 이용은 빠른 재활을 제공하고 유발된 수차(aberration)의 추가 감소를 야기시킨다. 그러나, 옵틱 직경 선택의 중요성은, IOL 옵틱이 항상 눈으로 들어가는 모든 빛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크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또는 홍채로부터 너무 멀리 옮겨질 수 있다).
또한, IOL 기술에서의 향상된 폴리머 물질의 사용과 다른 발달은 예를 들어, 세포 성장으로 인해, 안구에 IOL의 이식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historically) 발생하는 낭 혼탁(capsular opacification)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다. 수술 기술들은 또한 렌즈 디자인, 및 IOL의 모서리 부근의 빛에 영향을 주지만 IOL을 둘러싸는 영역에서 이러한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생물학적 물질과 함께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개선들은 IOL 사용자들에 대해, 보다 양호한 주변 시력 뿐만 아니라 보다 양호한 중심와 시력(foveal vision)을 야기시킨다. 주변 이미지가 중심 (축) 이미지 만큼 선명하게 보이지는 않지만, 주변 시력은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시력은 IOL 사용자에게 IOL 사용자의 시각 영역내의 물체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반응하여 IOL 사용자는 보다 선명한 물체의 이미지를 얻기 위해 시선을 돌릴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망막이 매우 곡선화된 모양의 광학 센서이고, 이에 따라 유사한 평평한 광센서 보다 양호한 오프-축(off-axis) 검출 능력을 잠재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관심을 끈다. 실제로, 널리 인식되어 있지는 않지만, 약 60도 보다 큰 시각에 대한 주변 망막 센서는 안구의 전반부에 위치하고, 일반적으로 안구의 뒤쪽으로 향한다. 그러나, 일부 IOL 사용자에서, 향상된 주변 시력은 예를 들어, 음영 형태의 주변 인위적 영상의 지각을 야기시키거나 이를 악화시킬 수 있다.
이상 광시증 (또는 네가티브 이상 광시증)은 흔히 코, 볼, 및 눈썹이 측두 방향(temporal direction)으로부터 안구로 진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큰 각의 주변 광선을 차단하기 때문에 환자에 의해 단지 시각 영역의 일부분만이 관찰된다. 또한, IOL이 통상적으로 햅틱(haptic)에 의해 수정체낭의 내부에 붙여지도록 디자인되기 때문에, 특히 정렬 불량(misalignment)으로 보다 많은 측두 주변광이 IOL 옵틱을 우회하는 경우, 상기 수정체낭에서의 고정 오류 또는 임의의 비대칭은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른 IOL의 많은 구체예에서, IOL의 후면의 주변 영역은 입사된 광선의 적어도 일부를 (전면에 의해 굴절되고 렌즈 바디를 통해 진행하여) IOL을 빗나가서 안구에 진입하는 광선에 의해 형성된 제 2 주변 이미지와 IOL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 사이의 세기 감소 영역(reduced intensity region)으로 유도하도록 배열된다. 일부 빛을 음영 영역(shadow region)으로 다시 유도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IOL 사용자에 의해 주변의 인위적 영상의 지각을 개선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한다.
일 양태에서, 광학축에 대해 배치된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이 주변 영역으로 연장하는 중심 영역을 포함하는 IOL이 기재된다. IOL이 환자의 안구에 이식되면, 전면, 및 후면의 중심 영역은 협동적으로 망막 상에 시각 영역의 이미지를 형성시키며, 후면의 주변 영역은 이상 광시증을 억제하기 위하여 그 위에 입사된 적어도 일부의 광선을 (예를 들어, 전면에 의한 굴절에 의해) 상기 이미지로부터 오프셋된 적어도 하나의 망막 위치로 유도한다.
관련된 양태에서, 주변 영역은 IOL의 광학축에 대해 약 50도 내지 약 80도 범위의 각도로 전면 상에 입사된 광선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adapt). 일부 구체예에서, 전면은 광학축에 대해 약 2 mm 내지 약 4.5 mm 범위의 반경을 나타내며, 후면의 중심부는 약 1.5 mm 내지 약 4 mm 범위의 개개의 반경을 나타낸다. 또한, 주변 영역은 약 0.5 mm 내지 약 1 mm 범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옵틱은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굴절률, 예를 들어 약 1.4 내지 1.6의 굴절률을 갖는 생체적합성 물질로 형성된다.
다른 양태에서, IOL의 전면, 및 후면의 중심 영역의 조합에 의해 제공된 초점력(focusing power)은 전면, 및 후면의 주변 영역의 조합에 의해 제공된 개개의 초점력 보다 크다. 예로서, 이러한 초점력의 차이는 약 25% 내지 약 7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50%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IOL에서, 전면, 또는 후면의 중심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비구면성(asphericity), 예를 들어 약 -10 내지 약 -100 범위의 원뿔 상수로 특징되는 비구면성을 나타낸다.
다른 양태에서, 모서리면(edge surface)은 전면의 경계와 후면의 경계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다. 많은 구체예에서, 모서리면은 이상 광시증을 악화시킬 수 있는 제 2 이미지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그 위에 입사되는 빛을 산란시키도록 텍스쳐링된다(textured)(예를 들어, 이는 약 0.5 마이크론 내지 약 2 마이크론 범위의 물리적 표면 진폭(physical surface amplitude)을 갖는 표면 파형(surface undulation)을 포함한다). 본 구체예에서, 모서리면이 실질적으로 평평하지만, 다른 구체예에서, 바람직하게는 그 위에 입사된 광선의 내부 반사로 인하여 포지티브 이상 광시증(positive dysphotopsia)의 위험을 추가로 낮추기 위해 매우 볼록하다.
또다른 양태에서, 전면, 또는 후면의 중심 영역의 일부에 배치된 회절 구조는 다초점, 예를 들어 근초점(near focus) 및 원초점(far focus)을 갖는 IOL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광학축에 대해 배치된 광학 전면과 광학 후면을 포함하는 IOL이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서 이러한 표면들은 협동적으로 IOL이 이식된 환자의 안구의 망막 상에 시각 영역의 이미지를 생성시키기 위한 주초점력(principal focusing power)을 제공한다. 환상의 주변 표면(annular peripheral surface)은 후면을 둘러싼다. 환상의 표면은 이상 광시증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전면과 조합하여, 주초점력보다 낮은 제 2 초점력으로, 전면 상에 입사된 일부 광선을 망막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경우에서, 제 2 초점력은 주초점력과 약 25% 내지 약 75%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50% 범위 차이가 난다.
일부 구체예에서, 후면과 환상의 주변 표면이 연속된 광학 표면을 형성하지만, 다른 구체예에서, 이러한 표면들은 함께 연결되는 별도의 표면을 포함한다. 또한, 일부 구체예에서, 전면과 후면이 볼록한 모양을 갖지만, 다른 구체예에서, 이러한 것들은 다른 모양, 예를 들어 오목하거나 평평한 모양을 갖는다.
또다른 양태에서, 광학축에 대해 배치된 광학 전면 및 광학 후면을 포함한 IOL이 기재된다. IOL은 후면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환상의 포커싱 표면(annular focusing surface)을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환상의 포커싱 표면은 IOL이 피검체의 안구에 이식된 후에 이상 광시증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관련된 양태에서, 상기 IOL에서, 환상의 포커싱 표면은 임의의 굴절 및/또는 회절 초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상의 포커싱 표면은 이상 광시증을 개선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환자의 망막에 빛을 유도하기 위한 회절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면과 후면을 갖는 IOL을 제공한다. IOL은 이상 광시증을 억제하기 위해, IOL 상에 입사된 빛의 일부를 망막으로 유도하기 위한 후면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포커싱 엘리먼트(focusing eleme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포커싱 엘리먼트는 복수의 렌즐렛(lenslet)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환자의 안구에 이식하기 위한 안구내 렌즈(IOL)를 제공함을 포함하는 시력을 교정하는 방법이 기재되며, 여기서 상기 IOL은 광학축에 대해 배치된 광학 전면 및 광학 후면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은 이상 광시증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환상의 포커싱 영역을 포함한다. IOL은 예를 들어 흐려진 천연 수정체를 대체하기 위하여, 환자의 안구에 이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해는 하기에서 간단하게 기술된 관련 도면과 함께, 하기 상세한 설명을 참조로 하여 얻어질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A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IOL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IOL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IOL의 전면에 입사된 일부 광선이 IOL의 후면의 주변 영역에 도달하기 위해 상기 전면에 의해 굴절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전면의 반경 및 후면의 중심 영역의 반경과 후면의 환상의 주변 영역의 폭이 기재되어 있는, 도 1A 및 도 1B의 IOL의 다른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4는 텍스쳐링된 모서리(textured edge)를 포함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IOL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5는 이상 광시증을 개선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이를 방지하는 본 발명에 따른 IOL의 후면의 주변 영역의 포커싱 기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가설적인 통상적 IOL에 해당하는 계산된 점확산 함수(PSF)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가설적 IOL에 해당하는 계산된 점확산 함수(PSF)이다.
도 7은 통상적인 IOL, 및 본 발명의 두개의 구체예에 따른 두개의 IOL에 대한 시각의 함수로서 망막 상의 방사 조도(irradiance)를 도시한 이론적 곡선이다.
도 8은 도 1A의 IOL의 후면의 단면 슬라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IOL의 텍스쳐링된 모서리면 상에 입사된 빛의 산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A는 전면, 후면 및 후면을 둘러싸는 환상의 회절 주변 영역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IOL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IOL의 후면과 환상의 회절 영역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0C는 후면의 주변 영역 상에 프레즈넬 렌즈(Fresnel lens)를 갖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IOL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IOL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1B는 환자의 안구에 이식된 도 11A의 IOL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추가로 IOL이 이상 광시증을 억제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다초점 IOL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IOL 사용자의 시각 영역에서 주변 인위적 영상을 억제 (완화, 및 바람직하게는 방지)하기 위하여 입사광의 적어도 일부를 IOL에 의해 형성된 주요 이미지로부터 오프셋된 하나 이상의 망막 위치로 유도하는 광학적 엘리먼트 및/또는 주변 광-유도 표면을 포함하는 안구내 렌즈를 제공한다. 용어 "안구내 렌즈(intraocular lens)" 및 이의 약어 "IOL"은 본원에서 안구의 천연 수정체를 대체하거나 그밖에 천연 수정체가 제거되었든지 또는 제거되지 않든지 간에 시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안구의 내부로 이식된 렌즈를 기술하기 위해 교호적으로 사용된다. 파킥 렌즈(Phakic lens)는 예를 들어, 천연 수정체를 제거하지 않고 안구에 이식될 수 있는 렌즈의 예이다.
예로서, 도 1A 및 도 1B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안구내 렌즈(IOL)(10)는 광학축 OA에 대해 배치된 옵틱(optic)(12)을 포함하며, 이는 전면(14), 후면(16), 및 전면과 후면 사이에 연장하는 모서리면(18)으로 형성된다. 후면(16)은 환상의 주변 영역(22)으로 연장하는 중심 영역(20)을 포함한다.
전면(14) 및 후면(16)의 중심 영역(20)은 실질적으로 볼록한 모양을 갖으며 (다른 구체예에서 다른 모양들도 가능함), 협동적으로 요망되는 초점력, 예를 들어 약 -20D 내지 약 40D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15D 내지 약 +10D 범위의 초점력을 제공한다. 하기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IOL이 환자의 안구에 이식되면, 전면 및 후면의 중심 영역의 조합에 의해 제공되는 광학 파워(optical power)는 환자의 망막 상에 시각 영역의 이미지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그러나, 본 구체예에서, 후면(16)의 주변 영역(22)은 실질적으로 오목한 모양을 가지고, 광학축 OA에 대해 큰 각으로 전면에 입사된 주변 광선, 예를 들어 광축 OA에 대해 약 50도 보다 큰 각도 (예를 들어, 약 50도 내지 약 80도 범위의 각도)로 전면에 입사된 광선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광선(예를 들어, 광선 (24a) 및 (24b))은 전면(14)에 의해 굴절되고, 렌즈 바디(lens body)를 통과하여 주변 영역 상에 입사된다. 하기에서 추가로 논의된 바와 같이, 주변 포커싱 영역(22)은 환자에 의해 주변 인위적 영상 (예를 들어, 암영)의 지각을 억제하기 위하여, 전면과 후면의 중심 영역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로부터 오프셋된 망막 상의 하나 이상의 위치로 이러한 광선들을 유도한다. 이를 위하여, 많은 구체예에서, 전면과 후면의 주변 영역의 조합에 의해 제공된 굴절능(refractive power)(본원에서 또한 IOL의 제 2 굴절능으로서 언급됨)은 IOL의 제 1 굴절능 (즉, 전면과 후면의 중심 영역에 의해 제공된 굴절능) 보다 작다. 예로서, IOL의 제 2 굴절능은 이의 제 1 굴절능과 약 25% 내지 약 75%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50% 범위 정도 차이가 날 수 있다. 본 구체예에서, IOL의 제 2 굴절능은 대략 제 1 굴절능의 절반이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구체예에서, 전면(14)은 광학축 OA에 대해 약 2 mm 내지 약 4.5 mm 범위의 반경 R을 가질 수 있으며, 후면(16)의 중심 영역(20)은 약 1.5 mm 내지 약 4 mm 범위의 개개의 반경 R'를 가질 수 있다. 후면(16)의 환상의 주변 영역(20)은 또한 약 0.5 mm 내지 약 1 mm 범위의 폭 w을 가질 수 있다. 또한 IOL을 형성하는 물질의 굴절률은 약 1.4 내지 약 1.6의 범위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로 하여, 일부 구체예에서, 전면(14)의 경계와 후면(16)의 경계 사이에 뻗어있는 모서리면(18)은 그 위에 입사된 빛을 산란시키기 위하여 텍스쳐링된다. 예를 들어, 모서리면(18)은 가시광선의 파장 정도의 물리적 표면 진폭을 갖는 복수의 표면 파형(2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파형의 진폭은 약 0.5 마이크론 내지 약 2 마이크론의 범위일 수 있다).
옵틱(12)은 바람직하게는 생체적합성 물질, 예를 들어 연질 아크릴릭(acrylic), 실리콘, 하이드로겔, 또는 특정 적용을 위한 필수적인 굴절률을 갖는 다른 생체적합성 폴리머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일부 구체예에서, 옵틱은 2-페닐에틸 아크릴레이트와 2-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가교된 코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적으로 아크리소프(Acrysof®)로 공지되어 있다.
다시 도 1A를 참조하여, IOL(10)은 또한 안구에서 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복수의 고정 부재(헵틱(haptic))(28)를 포함할 수 있다. 옵틱(10)과 유사하게, 헵틱(28)은 또한 적합한 생체적합성 물질,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헵틱은 옵틱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른 구체예(멀티피스(multipiece) IOL)에서, 헵틱은 별도로 형성되고,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식으로 옵틱에 부착된다. 후자의 경우에, 헵틱을 형성하는 물질은 옵틱을 형성하는 물질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렌즈의 안정성 및 중심화(centration)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헵틱 디자인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여기에는 C-루프, J-루프, 및 판상 헵틱 디자인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이러한 헵틱 디자인들이 용이하게 이용된다.
또한, 본 구체예에서, 옵틱(10)은 환자의 안구에 이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흐려진 천연 수정체를 대체하기 위하여 접혀질 수 있다.
사용시에, IOL은 흐려진 천연 수정체를 대체하기 위하여 백내장 수술 동안 환자의 안구에 이식될 수 있다. 백내장 수술 동안, 안구에 다른 기기들을 진입시키기 위해 절개부가 다이아몬드 칼날에 의해 각막에 만들어질 수 있다. 이후에, 절개부를 통해 수정체 전피막(anterior lens capsule)에 접근하여 원형 방식으로 절단되고 이는 안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프로브는 이후 각막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어 초음파에 의해 천연 수정체를 파괴시킬 수 있고, 수정체 파편들은 흡인될 수 있다. 접혀진 상태 동안에 IOL을 본래의 수정체 피막(lens capsule)에 배치시키기 위해 주입기가 사용될 수 있다. 삽입 후에, IOL은 펼쳐질 수 있으며, 이의 헵틱은 IOL을 수정체낭 내에 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IOL은, 겸자 삽입(forceps insertion)을 이용하는 것 보다 주입기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안구에 이식된다. 예를 들어, 작은 절개부를 통해 안구에 삽입하기 위해 구성된 노즐을 갖는 주입 핸드피스(injection handpiece)가 사용될 수 있다. IOL은 노즐 구멍을 통해 밀어넣어져서 접혀지거나, 꼬이거나(twisted) 또는 그밖에 다른 가압된 상태로 수정체낭으로 전달될 수 있다. IOL을 작은 절개부를 통해 안구에 이식할 수 있고, 또한 의사에 의한 IOL의 조작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이러한 주입기 시스템의 이용이 유리할 수 있다. 예로서, 미국특허번호 제7,156,854호 (발명의 명칭 "Lens Delivery System", 이는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 포함됨)에는 IOL 주입기 시스템이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여러 구체예에 따른 IOL, 예를 들어 IOL(10)은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모양 및 크기가 작은 주입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절개부를 통해 안구로 삽입될 수 있게 하면서 이상 광시증을 억제하도록 디자인된다.
환자의 안구에 이식되면, IOL(10)은 시각 영역의 이미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예로서, 도 5를 참조로 하여, 시각 영역으로부터 방사되는 복수의 광선, 예를 들어 예시적인 광선(30)은 IOL의 전면 및 IOL의 후면의 중심 영역의 조합된 광학 파워에 의해 포커싱되어 망막 상에 이미지(I1) (본원에서 또한 제 1 이미지(primary image)로 칭함)를 형성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IOL(10)에서, 후면(16)의 중심 영역(20)은 IOL에서 주변 영역(22)의 도입을 수용하기 위하여 전면 보다 작은 방사상 연장부를 갖는다. 그러나, 후면 표면의 중심 영역의 더 작은 크기는, 축상의 광학적 이미지 품질의 실질적인 퇴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특히, 각막은 빛이 IOL의 전면에 도달하기 전에 빛의 일부 포커싱을 제공하며, 전면은 빛이 IOL의 후면에 도달하기 전에 빛을 추가로 포커싱한다. 그 결과, 제공된 직경(예를 들어, 6 mm)을 갖는 각막 상에 입사된 실질적인 축상 광빔은 후면에서 감소된 직경을 갖는다. 그럼으로써, 주변 영역은 이러한 광빔의 포커싱을 방해하지 않으며, 그 결과 양호한 광학적 품질을 갖는 시각 영역의 이미지가 얻어질 수 있다.
도 5와 도 1A를 참조로 하여, IOL의 후면의 주변 영역(22)은 IOL의 광학축 OA에 대해 비교적 큰 각으로 IOL의 전면에 입사된 광선 (예를 들어, 예시적인 광선(34))을 수용하고, 이상 광시증을 억제하기 위해 이미지 (I1)로부터 오프셋된 망막 상의 위치(들) (예를 들어, 망막 위치(I2))로 이러한 광선들을 유도한다. 이상 광시증을 완화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이를 방지함에 있어서 주변 영역의 포커싱 기능은 큰 시각(예를 들어, 안구의 시축에 대하여 약 50도 보다 큰 각, 예를 들어, 약 50도 내지 약 80도의 범위)으로 안구로 진입하는 일부 주변 광선, 예를 들어 광선(38)이 IOL을 빗나갈 수 있는 것을 고려함으로써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이러한 광선들은 단지 각막에 의해서만 굴절되고 이에 따라 망막의 주변 부분 상에 입사되어 제 2 이미지 (예를 들어, 개략적으로 도시된 이미지(I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이미지화 효과는 일부 환자에 의해 음영-유사 현상의 지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후면의 주변 영역은 IOL 상에 입사된 광선의 일부를 두개의 이미지들 사이의 음영 영역으로 유도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IOL의 전면 상에 주변으로 입사되는 일부 광선은 이러한 표면에 의해 굴절되어 렌즈 바디를 통과하여 주변 영역에 도달하며, 이는 이러한 광선을 망막 세기 감소 (음영) 영역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추가로 광선들을 굴절시킨다.
또다른 예시로서, 도 6A는 통상적인 IOL이 이식된 인공수정체 눈(pseudophakic eye)의 주변 망막 상에서의 계산된 점확산 함수(PSF)를 도시한 것이다. PSF는 큰 시각에서 먼 점광원(distant point source)으로부터의 빛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에 해당한다. 예시적인 PSF는 두개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중심 요소 A는 각막과 IOL의 조합된 초점력 (예를 들어, 약 60D의 전체 초점력)에 의해 포커싱된 빛에 해당된 것이며, 주변 요소 B는 IOL를 빗나가고 각막의 초점력(예를 들어, 약 44D의 초점력)에 의해서만 포커싱된 빛에 해당된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코, 눈썹, 및 볼이 일반적으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에 의해 음영의 형성을 방지하기 때문에, 측두측(temporal side)에서 안구로 진입하는 빛에 해당되는 단지 하나의 주변 요소가 나타나있다. 이러한 두개의 요소의 존재는 중간 음영 영역을 생성시키고, 이는 큰 물체가 주변 시각 영역에서 보일 때 음영으로서 지각될 수 있다. 음영은 주변에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이러한 경우에, 약 70도의 시각에서 존재하고, 통상적으로 안구 구체(eye globe)의 적도(equator) 영역에서 지각되며, 여기서 망막은 유입되는 빛에 대해 비교적 수직이다. 음영은 일반적으로 점광원 보다 큰 물체에 대해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밝은 빛의 조건하에서 보다 작은 동공으로) 지각된다. 다시 말해서, 음영은 물체의 상이한 점에 해당하는 PSF의 추가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PSF의 길고 얇은 초승달 모양은 수직 음영의 가시성(visibility)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일부 IOL 사용자는 초승달-모양으로서 기술한다.
대조적으로, 도 6B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IOL, 예를 들어 상기 IOL(10)이 이식된 안구내 렌즈 안구의 망막 상에서의 계산된 PSF를 도시한 것이다. 통상적인 IOL에 대한 도 6A에 도시된 PSF와 유사하게, 이러한 PSF는 또한 중심 요소 A 뿐만 아니라 주변 요소 B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PSF는 중간 요소 C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이는 중심 요소와 주변 요소 사이에 위치한다. 중간 PSF 요소는 IOL의 전면과 이의 후면의 주변 영역의 조합된 포커싱 기능에 의해 생성된다. 중간 PSF 요소가 축 이미지화에 대해 실질적인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지만, 이는 음영의 지각을 경감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이를 제거한다.
암영의 지각을 경감시키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IOL의 주변 영역의 포커싱 기능의 추가적인 실례로서, 도 7은 가설직인 통상적 IOL과 본 발명의 두개의 구체예에 따른 두개의 예시적인 가설적 IOL 간의 망막 방사 조도(retinal irradiance) 대 시각의 이론적 비교를 제공한 것이다. 통상적인 IOL에 해당하는 곡선(진한 삼각형으로 표시됨)은 약 75도의 시각에서 경사를 나타내며, 이는 음영의 지각을 초래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IOL에 해당하는 곡선(진한 원으로 표시된 곡선은 실질적으로 둥근 주변 환상의 영역을 갖는 IOL에 해당한 것이며, 흰색 사각형으로 표시된 곡선은 원환체(toric) 주변 환상의 영역을 갖는 IOL에 해당한 것임)은 음영의 농도(depth)(즉, 약 75도의 시각에서 경사의 깊이)가 약 50%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감소는 환자에게서의 음영의 지각을 경감시키고, 많은 경우에 이를 제거할 수 있다. 실제로, 암영을 생성시키는 상태에서의 적당한 감소도 이러한 지각을 제거할 것으로 기대된다.
IOL(10)의 환상의 주변 영역은 여러 상이한 표면 프로필(surface profile)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은 광학축 OA를 포함하는 면에서 IOL의 후면의 단면 슬라이스 A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주변 영역의 단면 프로필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B는 반-원의 형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일부 경우에, 곡선 B는 광학축 OA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환상(circularity)으로부터의 굴곡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곡선 A는 실질적으로 포물선 형태일 수 있거나 임의의 다른 적절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도 4 및 도 9를 참조로 하여, 일부 구체예에서, 모서리면(18)은 텍스쳐링되며, 예를 들어 이는 복수의 표면 파형(26)을 포함한다. 텍스쳐링된 표면은 전면(14)에 의해 굴절되어 상기 표면 상에 입사된 광선, 예를 들어 광선(11)을 산란시킬 수 있다. 텍스쳐링된 표면에 의한 빛의 산란은 모서리면 상에 입사된 빛의 일부가 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되고 이후 후면(16)에 의해 굴절되어 망막 상에 제 2 이미지를 형성시킬 가능성을 개선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이를 제거한다. 이러한 제 2 이미지는 환자에게서의 암영의 지각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통상적으로 포지티브 이상 광시증이라 칭하여 진다. 그러므로, 모서리면의 텍스쳐링(texturing)은 바람직하게는 포지티브 이상 광시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이행예에서, 모서리면은 매우 볼록하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는 이상 광시증을 개선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IOL 상에 입사된 빛의 일부를 음영 영역으로 보내는 회절 후면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IOL을 제공한다. 예로서, 도 10A 및 도 10B는 요망되는 광학 파워, 예를 들어 약 -15D 내지 약 40D 범위의 광학 파워를 협동적으로 제공하는 전면(56) 및 후면(58)을 포함하는 IOL(54)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상기 광학 파워는 본원에 IOL의 제 1 광학 파워(primary power)으로서 칭하여 진다. 회절 구조(60)는 후면(58)을 둘러싸는 환상의 주변 영역을 형성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텍스쳐링된 모서리면(61)은 주변 영역의 외부 경계에 전면을 연결시킨다.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IOL(54)은 또한 안구에서 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복수의 고정 부재(헵틱)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회절 구조(60)는 복수의 회절 구역(62)으로 형성되며, 이들 각각은 단계적으로 인접한 구역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단차(step height)는 균일하나, 다른 구체예에서 비균일 단차가 또한 가능하며, 이는 하기 관계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09073916223-PCT00001
상기 식에서,
λ는 디자인 파장(design wavelength)을 나타낸 것이며(예를 들어, 550 nm),
a는 다양한 차수와 관련된 회절 효율을 제어하기 위해 조절될 수 있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며, 예를 들어, a로는 1이 선택될 수 있으며;
n2는 옵틱의 굴절률을 나타낸 것이며;
n1은 렌즈가 배치된 매질의 굴절률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회절 주변 영역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베이스 프로필(flat base profile)을 갖지만, 다른 구체예에서, 베이스 프로필이 굽어질 수 있다. 사용시에, 회절 구조(60)는 전면에 입사된 주변 광선의 일부, 예를 들어 광학축 OA에 대해 약 50도 내지 80도 범위의 각도로 전면에 입사되는 광선을 수용한다. 회절 구조는 이상 광시증을 억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광선들의 적어도 일부를 IOL의 제 1 광학 파워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에 대해 오프셋된 망막의 영역 (예를 들어, IOL을 빗나가게 진입하는 주변 광선에 의해 형성된 제 2 이미지와 IOL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 사이의 음영 영역)으로 유도한다. 이를 위하여, 일부 경우에, 전면과 함께, 회절 구조는 IOL의 제 1 광학 파워 보다 약 25% 내지 약 75%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50% 범위 정도 낮은 광학 파워를 제공한다.
도 10C를 참조로 하여, 또다른 구체예에 따른 IOL(11)은 전면(13), 및 중심부(17)로부터 주변부(19)로 연장하는 후면(15)을 포함한다. 프레즈넬 렌즈(21)는 후면의 주변부에 배치된다. 프레즈넬 렌즈는 그 위에 입사된 빛을, 전면과 후면의 중심부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와 IOL을 빗나가는 안구에 진입하는 주변 광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제 2 주변 이미지 사이의 망막 음영 영역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행예에서, 전면과 프레즈넬 렌즈의 조합에 의해 제공된 광학 파워는 전면 및 후면의 중심부에 의해 제공된 광학 파워 보다 예를 들어 약 25% 내지 약 75% 정도 낮다.
일부 경우에서, 제 1 이미지(IOL의 전면 및 이의 후면의 중심 영역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의 이미지 품질은 음영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부 구체예에서, 전면 및/또는 후면의 중심부는 일정 정도의 비구면성 및/또는 원환체도(toricity)를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서 논의된 다양한 구체예에서와 같이 IOL에서의 비구면 및/또는 원환체 표면의 이용과 관련한 추가적인 교시는 미국특허출원번호 제11/000,728호 (발명의 명칭, "Contrast-Enhancing Aspheric Intraocular Lens," 2005년 12월 1일에 출원, 공개번호 제2006/0116763호)에서 확인될 수 있으며, 이는 본원에 전문이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IOL의 후면의 주변 영역은 복수의 렌즐렛을,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포커싱 표면 형태의 렌즐렛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그 위에 입사된 빛을 음영 영역의 일부로 유도시킬 수 있다. 예로서, 도 11A는 광학 전면(67) 및 광학 후면(69)를 갖는 옵틱(65)을 포함하는 구체예에 따른 IOL(63)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후면을 둘러싸는 환상의 영역(71)은 굽은 표면 형태의 복수의 렌즐렛(73)을 포함한다. 전면, 후면의 반경 치수, 및 환상의 영역의 폭은 상기 구체예와 관련하여 상기에 제공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도 11B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안구에 이식한 후에, 전면과 후면의 조합은 시각 영역으로부터 방사되는 복수의 광선(예를 들어, 예시적인 광선(75))을 포커싱함으로써 안구의 망막에 이미지(I1)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일부 주변 광선(예를 들어, 예시적인 광선(77))은 IOL을 빗나가서 제 2 이미지(I2)를 형성시킬 수 있다. 그러나, 렌즐렛(73)은 주변 시각 영역에서 피검체에 의한 음영의 지각을 억제하기 위하여, 그 위에 입사된 광선(예를 들어, 예시적인 광선(79))을 전면에 의한 굴절을 통하여 이미지(I1)와 이미지(I2) 사이의 망막 위치로 다시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IOL의 전면과 각각의 렌즐렛의 조합된 광학 파워는 바람직하게는 전면과 후면의 조합된 광학 파워 보다 예를 들어 약 25% 내지 약 75% 범위 정도 낮다.
일부 구체예에서, 회절 구조는 예를 들어 원-초점 광학 파워 뿐만 아니라 근-초점 광학 파워를 갖는 다초점 IOL을 제공하기 위하여, IOL의 전면 또는 이의 후면의 중심 영역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12는 전면(46), 및 중심 영역(48a) 및 주변 영역(48b)으로 특징되는 후면(48)을 갖는 옵틱(44)을 포함하는 이러한 구체예에 따른 IOL(4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주변 영역은 상기에서 논의된 방식으로 이상 광시증을 개선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회절 구조(50)는 전면(44) 상에 배치된다. 회절 구조(50)는 광학축 OA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높이가 감소하는 복수의 단계(step)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복수의 회절 구역(52)을 포함하지만, 다른 구체예에서, 단차는 균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구체예에서, 회절 구역의 경계에서의 단차는 간극 크기의 함수로서 근초점 및 원초점으로 회절되는 광학적 에너지의 비율을 개질시키기 위하여 "아포다이징(apodized)"된다 (예를 들어, 간극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빛 에너지가 더욱 원초점으로 회절된다). 예로서, 각 구역 경계에서의 단차는 하기 관계식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09073916223-PCT00002
상기 식에서,
λ는 디자인 파장 (예를 들어, 550 nm)을 나타낸 것이며,
a는 다양한 차수와 관련된 회절 효율을 제어하기 위해 조절될 수 있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며, 예를 들어, a는 1.9로 선택될 수 있으며;
n2는 옵틱의 굴절률을 나타낸 것이며;
n1은 렌즈가 배치된 매질의 굴절률을 나타낸 것이며;
fapodize는 광학 축과 렌즈의 전면 표면의 교선으로부터의 반경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값이 감소하는 스케일링 함수(scaling function)을 나타낸 것이다. 예로서, 스케일링 함수 fapodize는 하기 관계식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09073916223-PCT00003
상기 식에서,
ri는 i차 구역의 반경 거리를 나타낸 것이며;
rout은 최종 이중초점 회절 구역의 외부 반경을 나타낸 것이다. 다른 아포다이다이제이션(apodization) 스케일링 함수가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2005년 12월 1일에 출원된 공동계류 특허출원인 출원번호 11/000770호 (발명의 명칭 : "Apodized Aspheric Diffractive Lenses,"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이러한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회절 구역은 환상의 영역의 형태이며, 여기서 구역 경계의 반경 위치(ri)는 하기 관계식에 따라 정의된다:
Figure 112009073916223-PCT00004
상기 식에서,
i는 구역 숫자를 나타낸 것이며(i=0은 중심 구역을 나타내며),
ri는 i차 구역의 반경 위치를 나타낸 것이며,
λ는 디자인 파장을 나타낸 것이며,
f는 애드 파워(add power)를 나타낸 것이다.
수많은 구체예에서, IOL(42)은 약 -15D 내지 약 40D 범위의 원-초점 광학 파워 및 약 1D 내지 약 4D, 바람직하게는 약 2D 내지 약 3D 범위의 근-초점 광학 파워를 제공한다. 아포다이징된 회절 렌즈에 관한 추가적인 교시는 미국특허번호 제5,688,142호 (발명의 명칭 : "Diffractive Multifocal Ophthalmic Lens")에서 확인될 수 있으며, 이는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다양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구체예들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Claims (31)

  1. 광학축에 대해 배치된 광학 전면(anterior optical surface), 및 주변 영역으로 연장하는 중심 영역을 지닌 광학 후면을 포함하는 안구내 렌즈(IOL)로서,
    상기 전면(anterior surface) 및 상기 중심 영역은 망막 상에 시각 영역(field of view)의 이미지를 협동적으로 형성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변 영역은 주변 시각 영역에서 인위적 영상(visual artifact)의 지각을 억제하기 위해 전면 상에 입사된 일부 광선을 상기 이미지로부터 오프셋된 하나 이상의 망막 위치로 유도하도록 구성된, 안구내 렌즈(IOL).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영역이 광학축에 대해 약 50도 내지 약 80도 범위의 각도로 전면 상에 입사된 광선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IOL.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중심 영역의 조합에 의해 제공된 초점력(focusing power)이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주변 영역의 조합에 의해 제공된 개개의 초점력 보다 큰 IOL.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력들 간의 차이가 약 25% 내지 약 75%의 범위인 IOL.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의 반경이 상기 광학축에 대해 약 2 mm 내지 약 4.5 mm 범위인 IOL.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의 중심 영역의 반경이 상기 광학축에 대해 약 1.5 mm 내지 약 4 mm 범위인 IOL.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영역의 폭이 약 0.5 내지 약 1 mm 범위인 IOL.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의 중심 영역 중 하나 이상이 약 -10 내지 약 -100 범위의 원뿔 상수로 특징되는 비구면성(asphericity)을 나타내는 IOL.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의 경계와 후면의 경계 사이를 연장하는 모서리면(edge surface)을 추가로 포함하는 IOL.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면이 그 위에 입사한 빛을 발산시키기 위해 텍스쳐링된(textured) IOL.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쳐링된 모서리면이 약 0.5 마이크론 내지 약 2 마이크론 범위의 물리적 표면 진폭(physical surface amplitude)을 갖는 복수의 표 면 파형(surface undulation)을 포함하는 IOL.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 프레즈넬 렌즈(Fresnel lens)를 추가로 포함하는 IOL.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 회절 구조(diffractive structure)를 추가로 포함하는 IOL.
  14. 전면, 및 주변 영역으로 연장하는 중심 영역을 갖는 후면을 포함하는 안구내 렌즈(IOL)로서,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중심 영역은 협동적으로 복수의 초점력을 제공하며, 상기 후면의 주변 영역은 주변의 인위적 영상의 지각을 억제하기 위하여 주변 영역 상에 입사된 적어도 일부의 광선을, 전면과 후면의 중심부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와 IOL을 빗나가게 IOL에 진입하는 광선에 의해 형성된 제 2 주변 이미지 사이의 망막 위치로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안구내 렌즈(IOL).
  15. a) 광학축에 대해 배치된 광학 전면 및 광학 후면; 및 b) 상기 후면을 일부 또는 전부 둘러싸는 환상의 주변 표면(annular peripheral surface)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은 IOL이 이식된 환자의 안구(eye)의 망막 상에 시각 영역의 이미지를 생성시키기 위한 주초점력(principal focusing power)을 협동적으 로 제공하는 안구내 렌즈(IOL)로서,
    상기 환상의 주변 표면은 주변 시각 영역에서 인위적 영상의 지각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과 합동하여, 전면 상에 입사된 일부 광선을 상기 주초점력 보다 낮은 제 2 초점력(secondary focusing power)으로 망막에 유도하도록 구성된 안구내 렌즈(IOL).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의 주변 표면이 광학축에 대해 약 50도 내지 약 80도 범위의 각도로 전면에 입사된 광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IOL.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이 실질적으로 볼록한 모양을 갖는 IOL.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의 주변 표면이 실질적으로 오목한 모양을 갖는 IOL.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초점력s이 상기 주초점력과 약 25% 내지 약 75% 범위 정도 차이가 나는 IOL.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초점력이 회절 초점력(diffractive focusing power)을 포함하는 IOL.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의 주변 표면 및 상기 후면이 연속된 광학 표면을 형성하는 IOL.
  22. a) 광학축에 대해 배치된 광학 전면 및 광학 후면; 및 b) 상기 후면을 둘러싸는 환상의 포커싱 표면(annular focusing surface)을 포함하는 안구내 렌즈(IOL)로서,
    상기 환상의 포커싱 표면은 IOL이 환자의 안구에 이식되면 주변 인위적 영상의 지각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안구내 렌즈(IOL).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의 포커싱 표면이 그 위에 입사된 빛을 상기 전면 및 후면에 의해 협동적으로 형성된 시각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오프셋된 하나 이상의 망막 위치로 유도하는 IOL.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의 포커싱 표면이 굴절 초점력을 제공하는 IOL.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의 포커싱 표면이 회절 초점력을 제공하는 IOL.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의 포커싱 표면이 상기 회절 초점력을 제공하기 위한 회절 구조를 포함하는 IOL.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의 포커싱 표면이 프레즈넬 렌즈를 포함하는 IOL.
  28. a) 내부 표면 및 후면을 갖는 옵틱(optic); 및 b) 주변 시각 영역에서 인위적 영상의 지각을 억제하기 위해 빛을 망막으로 유도하기 위한 후면을 일부 또는 전부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포커싱 엘리먼트(focusing element)를 포함하는 안구내 렌즈(IOL).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엘리먼트가 렌즐렛(lenslet)을 포함하는 IOL.
  30. a) 환자의 안구에 이식하기 위한, 광학축에 대해 배치된 광학 전면 및 광학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이 이상 광시증(dysphotopsia)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주변 환상 포커싱 영역을 포함하는 안구내 렌즈(IOL)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IOL을 환자의 안구에 이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력을 교정하는 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IOL이 상기 표면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회절 구조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97025009A 2007-04-30 2008-04-29 네가티브 이상 광시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iol 주변 표면 디자인 KR201000175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41,841 2007-04-30
US11/741,841 US20080269885A1 (en) 2007-04-30 2007-04-30 IOL Peripheral Surface Designs to Reduce Negative Dysphotopsi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520A true KR20100017520A (ko) 2010-02-16

Family

ID=3979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009A KR20100017520A (ko) 2007-04-30 2008-04-29 네가티브 이상 광시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iol 주변 표면 디자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80269885A1 (ko)
EP (1) EP2152201A2 (ko)
JP (1) JP2010525885A (ko)
KR (1) KR20100017520A (ko)
CN (1) CN101730513A (ko)
AU (1) AU2008247859A1 (ko)
BR (1) BRPI0810219A2 (ko)
CA (1) CA2685367A1 (ko)
ES (1) ES2357464T3 (ko)
IL (1) IL201768A0 (ko)
MX (1) MX2009011654A (ko)
RU (1) RU2009144118A (ko)
WO (1) WO200813742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4423B2 (en) * 2003-11-12 2006-12-05 Mcdonald Marguerite B Intraocular multifocal lens
NZ592572A (en) * 2008-11-20 2013-10-25 Alcon Inc Diffractive multifocal intraocular lens with modified central distance zone
US8652206B2 (en) 2010-04-12 2014-02-18 Samuel Masket Anti-dysphotopic intraocular lens and method
US9220590B2 (en) 2010-06-10 2015-12-29 Z Lens, Llc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improving accommodation
US9931200B2 (en) 2010-12-17 2018-04-03 Amo Groningen B.V. Ophthalmi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peripheral vision
NL2006307C2 (en) * 2011-02-28 2012-08-29 Oculentis B V Ophthalmic lens having enhanced optical blending zone.
WO2013118499A1 (ja) * 2012-02-09 2013-08-15 株式会社メニコン 多焦点眼用レンズとその製造方法
US9364318B2 (en) 2012-05-10 2016-06-14 Z Lens, Llc Accommodative-dis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RU2651127C2 (ru) * 2012-12-06 2018-04-18 Новартис Аг Конструкция кромки для снижения нежелательных световых эффектов в интраокулярных линзах
CA2875873C (en) 2013-03-11 2022-06-21 Abbott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 that matches an image surface to a retinal shape, and method of designing same
JP2015051069A (ja) * 2013-09-05 2015-03-19 株式会社メニコン 眼内レンズおよび眼内レンズの製造方法
CA2942200C (en) 2014-03-10 2023-08-15 Amo Groningen B.V. Piggyback intraocular lens that improves overall vision where there is a local loss of retinal function
SG10201400920RA (en) 2014-03-24 2015-10-29 Menicon Singapore Pte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xial growth with an ocular lens
WO2015177651A1 (en) 2014-04-21 2015-11-26 Amo Groningen B.V. Ophthalmic devices, system and methods that improve peripheral vision
WO2016058051A1 (en) 2014-10-15 2016-04-21 Minas Theodore Coroneo An improved lens design
US10285807B2 (en) * 2015-04-14 2019-05-14 Z Optics LLC High definition and extended depth of field intraocular lens
AU2017230971B2 (en) 2016-03-11 2021-11-11 Amo Groningen B.V. Intraocular lenses that improve peripheral vision
AU2017252020B2 (en) 2016-04-19 2021-11-11 Amo Groningen B.V. Ophthalmic devices, system and methods that improve peripheral vision
US20190142577A1 (en) * 2016-05-05 2019-05-16 Theramedice Llc Intraocular lens and associated design and modeling methods
KR102220676B1 (ko) 2016-08-24 2021-03-02 칼 짜이스 메디텍 아게 이중 모드 조절성-비조절성 안내 수정체
US11246701B2 (en) * 2017-12-22 2022-02-15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Intraocular lenses
US11504226B2 (en) 2018-10-24 2022-11-22 Amo Groningen B.V. Intraocular lenses for reducing the risk of posterior capsule opacification
US20210386539A1 (en) * 2018-10-24 2021-12-16 Amo Groningen B.V. Intraocular lenses for reducing negative dysphotopsia
WO2020109602A1 (en) 2018-11-30 2020-06-04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and reducing negative dysphotopsia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8181A (en) * 1987-08-07 1989-02-28 Kelman Charles D Intraocular lens having roughened surface area
US4881805A (en) * 1987-11-12 1989-11-21 Cohen Allen L Progressive intensity phase bifocal
ES2131097T3 (es) * 1992-09-28 1999-07-16 Iolab Corp Lente oftalmica con reduccion de reflejos en los bordes.
US5470932A (en) * 1993-10-18 1995-11-28 Alcon Laboratories, Inc. Polymerizable yellow dyes and their use in opthalmic lenses
US5699142A (en) * 1994-09-01 1997-12-16 Alcon Laboratories, Inc. Diffractive multifocal ophthalmic lens
DE69415164T2 (de) * 1994-10-10 1999-10-28 Molex Inc Elektrischer Verbinder mit Lagesicherungssystem.
US5549670A (en) * 1995-05-09 1996-08-27 Allergan, Inc. IOL for reducing secondary opacification
US5693094A (en) * 1995-05-09 1997-12-02 Allergan IOL for reducing secondary opacification
US6468306B1 (en) * 1998-05-29 2002-10-22 Advanced Medical Optics, Inc IOL for inhibiting cell growth and reducing glare
US6884262B2 (en) * 1998-05-29 2005-04-26 Advanced Medical Optics, Inc. Enhanced intraocular lens for reducing glare
US20030151831A1 (en) * 2001-12-28 2003-08-14 Sandstedt Christian A. Light adjustable multifocal lenses
US6210005B1 (en) * 1999-02-04 2001-04-03 Valdemar Portney Multifocal ophthalmic lens with reduced halo size
US6599317B1 (en) * 1999-09-17 2003-07-29 Advanced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 with a translational zone
GB0128762D0 (en) * 2001-11-30 2002-01-23 Rayner Intraocular Lenses Ltd Introcular lens
US20040064182A1 (en) * 2002-09-26 2004-04-01 Kelman Charles David High-myopia anterior chamber lens of one-piece, foldable construction
US7156854B2 (en) * 2003-05-28 2007-01-02 Alcon, Inc. Lens delivery system
US7217289B2 (en) * 2003-09-12 2007-05-15 Minas Theodore Coronco Treatment of photic disturbances in the eye
US7188949B2 (en) * 2004-10-25 2007-03-13 Advanced Medical Optics, Inc. Ophthalmic lens with multiple phase plates
US20060116764A1 (en) * 2004-12-01 2006-06-01 Simpson Michael J Apodized aspheric diffractive lenses
US20060116763A1 (en) * 2004-12-01 2006-06-01 Simpson Michael J Contrast-enhancing aspheric intraocular lens
US20070067031A1 (en) * 2005-09-22 2007-03-22 Alcon, Inc. Intraocular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810219A2 (pt) 2014-10-21
CA2685367A1 (en) 2008-11-13
JP2010525885A (ja) 2010-07-29
AU2008247859A1 (en) 2008-11-13
ES2357464T3 (es) 2011-04-26
WO2008137423A2 (en) 2008-11-13
US20080269885A1 (en) 2008-10-30
IL201768A0 (en) 2010-06-16
CN101730513A (zh) 2010-06-09
RU2009144118A (ru) 2011-06-10
EP2152201A2 (en) 2010-02-17
MX2009011654A (es) 2009-11-10
WO2008137423A3 (en) 200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2202B1 (en) Iol peripheral surface designs to reduce negative dysphotopsia
KR20100017520A (ko) 네가티브 이상 광시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iol 주변 표면 디자인
US6596025B2 (en) Narrow profile intraocular lens
US20080269890A1 (en) Intraocular lens with peripheral region designed to reduce negative dysphotopsia
US8137399B2 (en) Implantable prismatic device,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RU2555115C2 (ru) Интраокулярные устройств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способы
US20080269891A1 (en) Intraocular lens with edge modification
US20080269883A1 (en) Ocular implant to correct dysphotopsia, glare, halos and dark shadow type phenomena
US20080269882A1 (en) Intraocular lens with asymmetric optics
US20030199976A1 (en) Narrow profile intraocular lens
RU2769301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кромки для снижения нежелательных световых эффектов в интраокулярных линзах
US20080269881A1 (en) Intraocular Lens with Asymmetric Haptics
KR20200100629A (ko) 공막 힘 분포가 개선된 안구내 렌즈 플랫폼
JP7455744B2 (ja) 前方に偏った光学設計を有する眼内レンズ
US20080269889A1 (en) Haptic Junction Designs to Reduce Negative Dysphotopsia
RU2777549C2 (ru) Платформа интраокулярной линзы, имеющая улучшенное распределение давления гаптического элемента
RU2785137C2 (ru) Интраокулярные линзы, имеющие смещенную вперед оптическую конструкцию
US20020173845A1 (en) Low surface-glare intraocular len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