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5232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5232A
KR20100015232A KR1020080076184A KR20080076184A KR20100015232A KR 20100015232 A KR20100015232 A KR 20100015232A KR 1020080076184 A KR1020080076184 A KR 1020080076184A KR 20080076184 A KR20080076184 A KR 20080076184A KR 20100015232 A KR20100015232 A KR 20100015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unit
image information
cov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7085B1 (ko
Inventor
양경태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6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085B1/ko
Priority to US12/495,751 priority patent/US8462262B2/en
Priority to EP09166283.3A priority patent/EP2151974B1/en
Publication of KR2010001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31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interrupting current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by periodically opening and closing contacts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 H04M1/38Pulses transmitted by a movement variably limited by the setting of a s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를 통하여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1 부분과 외부로 제2 영상 정보를 투사하는 투사부를 구비하는 제2 부분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상대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 부분을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외부로 영상 정보를 투사하는 투사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적 시도가 있어 왔다.
상기 시도들에 더하여, 휴대 단말기가 구현하는 영상의 크기를 보다 확대하 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접할 수 있는 영상보다 확대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외부로 영상 정보를 투사하는 투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제1 및 제2 부분이 형성되는 본체와 커버를 포함한다. 제1 부분은 윈도우를 통하여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제2 부분은 외부로 제2 영상 정보를 투사하는 투사부를 구비한다. 커버는 본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대 이동에 의하여 제2 부분을 개폐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2 부분에는 투사공이 형성된다. 제2 영상 정보는 투사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투사된다. 투사공은 윈도우가 배치되는 일면과 교차되는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투사부는 광원소자, 영상 형성 모듈 및 렌즈를 포함한다. 광원소자는 광을 방출하며 제2 부분에 내장된다. 영상 형성 모듈은 광을 이용하여 제2 영상 정보를 형성한다. 렌즈는 제2 영상 정보가 확대 투사되도록 하며, 투사공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는 길이 방향의 양 단부를 형성한 다. 제1 및 제2 부분은 양 단부에 각각 각각 인접한 영역들을 차지한다.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단차진 형태로 제1 부분에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커버는 일면에 개구가 구비되는 리세스된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커버는 슬라이딩에 의한 제1 상태에서 개구를 통하여 제2 부분을 수용한다. 커버의 슬라이딩에 의한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에서 커버는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부분의 일단은 빈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2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관통공은 투사부를 향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제2 부분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킨다. 제1 및 제2 부분의 내부 공간은 차폐판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차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커버에는 조작에 의하여 정보 입력이 가능한 조작부가 형성된다. 조작부는 윈도우가 배치되는 일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2 부분에는 투사부의 작동과 관련된 조작을 위한 투사 조작부가 형성된다. 투사 조작부는 윈도우가 배치되는 일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부분에는 외부 영상 정보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가 장착되고, 커버는 적어도 일부가 영상 입력부를 덮도록 연장된다. 영상 입력부는 커버의 이동에 의하여 개폐된다. 제2 영상 정보는 영상 입력부 를 통하여 입력된 외부 영상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2 부분에는 외부 영상 정보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가 장착된다. 영상 입력부는 투사부의 투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향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상 정보는 영상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외부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영상 정보는 동일한 영상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에는 제2 부분이 열리도록 커버의 이동시에 투사부의 투사 동작을 선택받기 위한 메뉴가 표시된다. 디스플레이부는 투사부의 투사 동작시에 비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형성한다. 제2 영상 정보에는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지점에 알려주는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2 부분은 제1 부분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투사부를 통하여, 보다 대화면으로 투사되는 영상 정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투사부 및 영상 입력부를 연동시켜 사용자는 외부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대화면으로 투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를 통하여 투사부가 구비되는 부분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이에 따라 투사부의 미사용시에 본체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100a, 이하 '바디'라 함)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은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 음향출력부(114), 또는 제1 영상입력부(115)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TOLED(Transparant OLED) 모듈 등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패드 등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 및 리어 케이스(1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인터페이스(116)가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1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1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100a)에는 통화, 블루투스 통신 또는 GPS 통신 등을 위한 안테나부가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 및 리어 케이스(1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안테나부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100a)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100a)는 디스플레이부(113)가 구비되는 제1 부분(110)과 이와 다른 제2 부분(120)을 형성한다. 단말기 바디(100a)는 길이 방향의 양 단부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 부분(110, 120)은 각각 양 단부의 인접 영역들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윈도우(113a, 이하 도 3 참조)를 통하여 제1 영상 정보(401, 도 9 참조)를 표시하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제1 부분(110)의 일면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제2 부분(120)은 제1 부분(110)과 단차진 형태로 제1 부분(110)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분(120)에는 외부로 제2 영상 정보(402, 도 9 참조)를 투사하는 투사부(121)가 구비된다. 투사된 제2 영상 정보(402)는 외부의 스크린에서 확대 표시된다. 스크린은, 예를 들어 빔프로젝터용 스크린, 벽면 또는 게시판 등과 같이 투사되는 광의 진행을 차단 또는 반사시키는 물체를 말한다. 다만, 투사된 제2 영상 정보(402)의 표시는 스크린을 이용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영상 정보(402)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면 다른 방법도 이용 가능하다.
제2 부분(120)에는 투사부(121)의 작동과 관련된 조작을 위한 투사 조작부(122)가 형성된다. 투사부(121)의 작동과 관련된 조작은, 예를 들어 투사부(121)의 동작 시작, 동작 종료, 제2 영상 정보(402)의 포커싱(focousing), 줌(zoom) 등이 될 수 있다. 투사 조작부(122)는 윈도우(113a)가 배치되는 일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100a)에는 커버(130)가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커버(130)는 이러한 상대 이동에 의하여 제2 부분(120)을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커버(130)의 외관은 프론트 커버(131)와 리어 커버(132)에 의해 형성된다.
커버(130)에는 조작에 의하여 정보 입력이 가능한 조작부(133, 이하 '제1 조작부'라 한다)가 형성된다. 제1 조작부(133)는 윈도우(113a)가 배치되는 일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조작부(133)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조작부(133) 또는 투사 조작부(122)는 사용자의 푸시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제1 조작부(133) 또는 투사 조작부(122)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조작부(133) 또는 투사 조작부(122)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에 따라 화살표 모양과 체크 모양 등으로 제1 조작부(133) 또는 투사 조작부(122)의 화면이 바뀔 수 있다.
또한 제1 조작부(133) 또는 투사 조작부(122)는 터치 시에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조작부(133) 또는 투사 조작부(122)와 연동하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이러한 햅 틱 모듈은 제1 조작부(133) 또는 투사 조작부(122)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 및 리어 케이스(1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조작부(117)가 배치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33)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2 조작부(117)는 제1 영상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방식으로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커버(130)에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음향 입력부(134)가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입력부(134)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12)의 배면에는 영상입력부(141, 이하 '제2 영상입력부'라 한다)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영상입력부(141)는 제1 영상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입력부(14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입력부(14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42)와 거울부(143)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42)는 제2 영상입력부(143)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43)는 사용자가 제2 영상입력부(14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19)가 구성된다. 전원 공급부(119)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부분(120)에는 투사부(121)의 열을 방출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관통공(123)이 형성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12)에 관통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 투사부(121)에는 빛을 방출하는 광원소자(121a, 도 3 참조)가 구비된다. 광원소자(121a)는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하면서 발열을 일으키고, 이에 의해 광원소자(121a)의 온도가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광원소자(121a)는 온도가 높을수록 광학적 성능, 예를 들어 방출하는 빛의 밝기가 감소된다. 관통공(123)은 제2 부분(12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밀폐된 경우보다 광원소자(121a) 주변의 공기 온도가 보다 낮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광원소자(121a)에서 방출되는 빛의 밝기가 보다 높게 된다.
관통공(123)은 제2 부분(120)에 배치되어, 투사부(121)의 미사용시에는 커 버(130)에 의하여 닫히게 된다. 이에 따라 투사부(121)의 미사용시에 단말기 바디(100a)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부분(120)에는 외부 영상 정보(503, 도 10 참조)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124, 이하 '제3 영상입력부'라 한다)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3 영상입력부(124)는 투사부(121)의 투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향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의 분해도이다.
제1 부분(110)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111)의 일면에는 음향공(114a)과 영상윈도우(115a)가 형성될 수 있다. 음향공(114a)과 영상윈도우(115a)는 각각 음향 출력부(114) 및 제1 영상 입력부(115, 이상 도 1 참조)에 대응한다. 영상윈도우(115a)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부분(110)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111)의 일면에는 윈도우(113a)가 결합 된다. 윈도우(113a)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광투과성 합성수지, 강화 유리 등으로 구성된다. 다만 윈도우(113a)는 빛이 투과할 수 없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빛이 투과할 수 없는 소재이거나 빛이 투과할 수 없도록 표면 처리된 영역이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윈도우(113a)에 대응하도록 윈도우공(113b)이 형성된다. 리어 케이스(112)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13c)이 윈도우공(113b)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이는 디스플레이 모듈(113c)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외부에서 인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윈도우(113a)는 디스플레이 모듈(113c)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 질 수 있다. 윈도우(113a)의 일면에는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터치 패드(113d)가 장착될 수 있다. 윈도우(113a) 및 디스플레이 모듈(113c)은 디스플레이부(113, 도 1 참조)를 이룬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패드(113d)가 포함되어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110)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112)에는 회로기판(118, 이하 '제1 회로기판'이라 한다), 스피커 모듈(114b), 그리고 카메라 모듈(115b)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제1 회로기판(118)은 휴대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180, 이하 도 14 참조)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13a), 스피커 모듈(114b) 및 카메라 모듈(115b) 등은 제1 회로기판(118)에 장착될 수 있다.
음향공(114a)에 대응되게 스피커 모듈(114b)이 배치되며, 영상윈도우(115a) 대응되게 카메라 모듈(115b)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120, 도 1 참조)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112)에는 카메라 모듈(124b) 및 회로기판(128, 이하 '제2 회로기판'이라 한다)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4b)은 제3 영상 입력부(124, 이상 도 1 참조)를 이루며, 카메라 모듈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로기판(128)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122a)가 조작 패드(122b)에 대응되도록 장착된다. 조작 패드(122b)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스위치(122a)와 조작 패드(122b)는 투사 조작부(122, 도 1 참조)로 분류될 수 있 다.
제2 부분(120)에는 광을 방출하는 광원소자(121a)가 내장되도록 장착된다. 광원소자(121a)는, 예를 들어 LED 또는 레이저 발생소자 등이 될 수 있다. 본 도면은 하나의 광원소자(121a)를 도시하였지만 광원소자(121a)는 복수개로 장착될 수도 있다.
광원소자(121a)와 인접하여 영상 형성 모듈(121b)이 배치된다. 영상 형성 모듈(121b)은 광원소자(121a)에서 방출된 광을 이용하여 제2 영상 정보(402)를 형성한다.
이하, 영상 형성 모듈(121b)은 예를 들어, DLP(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터에서 영상 정보를 구현하는 모듈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는 광원소자(121a)에서 방출되는 광을 레드(red), 그린(green) 및 블루(blue)의 3색으로 순차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3색의 광을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을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또한, 3색을 각각 방출하는 3개의 광원소자(121a)를 이용하여, 색을 분리하지 않는 방식도 사용 가능하다. 다만, 영상 정보 구현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라인 스캔 방식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영상 형성 모듈(121b)과 인접하여 렌즈(121c)가 배치된다. 렌즈(121c)는 제2 영상 정보(402)가 확대 투사되게 한다. 광원소자(121a), 영상 형성 모듈(121b) 및 렌즈(121c)의 조합은 투사부(121, 도 1 참조)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121c)는 투사공(121d)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투사공(121d)은 제2 부분(120)에 형성되며, 제2 영상 정보(402)가 통과하여 투사되게 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11) 및 리어 케이스(112)에 각각 형성된 반원형 홈이 프론트 케이스(111) 및 리어 케이스(112)의 결합에 의하여 투사공(121d)을 형성한다. 프론트 케이스(111)의 투사공(121d)은 윈도우(113a)가 배치되는 일면과 교차되는 다른 면에 형성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투사공(121d)은 제2 부분(120)의 측면에 형성된다.
투사공(121d)은 제2 부분(120)에 배치되어, 투사부(121)의 미사용시에는 커버(130, 도 1 참조)에 의하여 닫히게 된다. 이에 따라 투사부(121)의 미사용시에 단말기 바디(100a)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 및 리어 케이스(112)에는 프론트 커버(131) 및 리어 커버(132)가 각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프론트 커버(131) 및 리어 커버(132)의 결합에 의하여 커버(130)가 형성된다.
리어 커버(132)에는 회로기판(138, 이하 '제3 회로기판'이라 한다)이 장착될 수 있다. 제3 회로기판(138)에는 음향을 입력시키기 위한 마이크로폰(134b)이 장착될 수 있다. 제3 회로기판(138)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133a)가 조작 패드(133b)에 대응되도록 장착되어 제1 조작부(133, 도 1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의 제2 부분(120)이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2 부분이(120)이 닫힌 상태에서 제1 부분(110)과 커버(130)는 단차진 부분 이 없이 접촉되며, 제2 부분(120)은 노출되지 않는 형태를 이룬다. 휴대 단말기(100)는 제2 부분(120)이 닫힌 상태에서 전화 통화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이 사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 부분(110, 120)의 내부는 차폐판(150)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차폐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판(150)은 프론트 케이스(111) 및 리어 케이스(112)에서 각각 일부가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부분(110, 120)의 상호간의 배치되는 전자소자들에게 전자기적 또는 열적 영향을 주지 않는 이점이 있다.
커버(130)는 일면에 개구가 구비되는 리세스된 형태로 형성된다. 커버(130)는 슬라이딩에 의한 제1 상태에서 개구를 통하여 제2 부분(120)을 수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의 제2 부분(120)이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커버(130)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제2 부분(120)을 수용한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를 형성한다. 제2 상태에서 커버(130)는 빈 공간(135)을 형성하게 된다. 제2 부분(120)의 일단(125)은 빈 공간(135)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2 부분(120)의 내부가 빈 공간(135)과 연통되며 제2 부분(120)에 형성된 관통공(123, 도 2 참조)등이 형성됨에 따라, 빈 공간(135)이 형성되는 순간에 빈 공간(135)의 압력이 외부보다 낮으므로, 외부의 공기가 빈 공간(135)으로 유입되게 된다.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광원소자(121a, 도 3 참조)의 주변 공기의 온도를 빈 공간(135)이 없는 경우보다 낮추어 준다. 또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광원소 자(121a) 주변에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광원소자(121a)와 공기의 열전달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에 따라 광원소자(121a)의 광학적 성능이 개선된다. 또한 좁은 공간 안에 배치된 발열체는 보다 넓은 공간 안에 배치된 발열체보다 온도 증가 속도가 빠른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빈 공간(135)은 광원소자(121a)의 발열에 의한 온도 증가 속도를 늦추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200)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부분(210)에 해당하는 리어 케이스(212)의 배면에는 단차진 단차 영역(260)가 형성된다. 단차 영역(260)에는 영상입력부(241, 이하 '제2 영상입력부'라 한다)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커버(230)는 적어도 일부가 제2 영상 입력부(241)를 덮도록 연장된다. 이에 따라 커버(230)에서 연장되는 부분은 단차 영역(260)으로 연장되고, 전원 공급부(219)은 커버(230)에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단차 영역(260)이 없이 커버(230)가 제2 영상 입력부(241)를 덮도록 연장될 수 있고, 전원 공급부(219)는 제1 부분(2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영상 입력부(241)는 커버(230)의 이동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2 영상 입력부(241)와 투사부(121)를 동시에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300)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 부분(320)은 제1 부분(31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2 부분(320)의 일측은 제1 부분(310)과 힌지 결합부(370)에 의하여 힌지 결합된다. 힌지 결합부(370)를 중심으로 제2 부분(320)은 제1 부분(310)에 대하여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1 부분(310)을 다른 물체와 접촉시켜 휴대 단말기(300)를 위치시키고, 상기 위치에서 투사부(321)의 투사 방향은 회전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 부분(320)은 제1 부분(310)에 대하여 일측으로 치우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를 통하여 제1 부분(310)을 다른 물체와 접촉을 유지한 채로 제2 부분(320)은 회전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400 내지 800)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디스플레이부(113)에는 제1 영상 정보(401)가 표시된다. 투사부(121, 이상 도 1 참조)는 제2 영상 정보(402, 502, 702, 802)를 외부로 투사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영상 정보(401, 402)는 동일한 영상 정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영상 정보(502)는 제3 영상입력부(124, 도 2 참조)를 통하여 입력된 외부 영상 정보(503)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3)에는 투사부(121)의 투사 동작을 선택받기 위한 메뉴가 표시된다. 이는 제2 부분(120)이 열리도록 커버(130, 이상 도 1 참조)의 이동시에 디스플레이부(113)에 팝업(Pop-up)된다. 메뉴는 약 2~5초 정도 표시되다가 사용자의 선택이 없을시 사라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3)는 투사부(121)의 투사 동작시에 비활성화되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고, 제2 영상 정보(802)에는 디스플레이부(113)의 터치 지점을 알려주는 정보(80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도면은 깃털 모양의 아이콘 끝단을 터치 지점을 알려 주는 정보(804)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3)의 터치를 감지한 제어부(180)가 미리 저장된 아이콘을 사용자의 터치 지점에 형성시키도록 제2 영상 정보(802)의 출력을 제어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91), 조작부(117, 133), 투사 조작부(122), 영상 입력부(115, 124, 141), 음향 입력부(134),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센싱유닛(196), 인터페이스(116), 방송 수신 모듈(195), 메모리(194), 전원공급부(119), 제어부(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통신 모듈(19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 하는 송신부(19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93)을 포함한다.
조작부(117, 13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제공한다. 조작부(117, 133)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투사 조작부(1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투사부(121, 도 1 참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제공한다. 투사 조작부(122)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115, 124, 14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15, 124, 14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9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9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34)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19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통신 모듈(191)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9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 다.
음향 입력부(134)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투사부(121)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영상 정보를 외부로 투사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로 투사한다.
음향 출력부(114)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19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9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 유닛(19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 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8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19)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1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 페이스(11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 페이스(11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94)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9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9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수신 모듈(19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 디스플레이부(113), 투사부(121)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 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9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수신 모듈(19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9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19)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 4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2 부분이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2 부분이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23)

  1. 윈도우를 통하여 제1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1 부분과 외부로 제2 영상 정보를 투사하는 투사부를 구비하는 제2 부분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상대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 부분을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제2 영상 정보가 통과하여 투사되게 하는 투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공은 상기 윈도우가 배치되는 일면과 교차되는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부는,
    상기 제2 부분에 내장되고, 광을 방출하는 광원소자;
    상기 광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상 정보를 형성하는 영상 형성 모듈; 및
    상기 투사공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영상 정보가 확대 투사되게 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길이 방향의 양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상기 양 단부에 각각 인접한 영역들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단차진 형태로 상기 제1 부분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면에 개구가 구비되는 리세스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딩에 의한 제1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2 부분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슬라이딩에 의한 상기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에서 상기 커버는 빈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일단은 상기 빈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부를 향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부분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내부 공간은 차폐판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조작에 의하여 정보 입력이 가능한 조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윈도우가 배치되는 일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투사부의 작동과 관련된 조작을 위한 투사 조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 조작부는 상기 윈도우가 배치되는 일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는 외부 영상 정보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가 장착되고,
    상기 커버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영상 입력부를 덮도록 연장되고,
    상기 영상 입력부는 상기 커버의 이동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에는 외부 영상 정보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부는 상기 투사부의 투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향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5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정보는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외부 영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정보는 동일한 영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제2 부분이 열리도록 상기 커버의 이동시에 상기 투사부의 투사 동작을 선택받기 위한 메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투사부의 투사 동작시에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상 정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지점을 알려주는 정보가 더 포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76184A 2008-08-04 2008-08-04 휴대 단말기 KR101587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84A KR101587085B1 (ko) 2008-08-04 2008-08-04 휴대 단말기
US12/495,751 US8462262B2 (en) 2008-08-04 2009-06-30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unit
EP09166283.3A EP2151974B1 (en) 2008-08-04 2009-07-23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84A KR101587085B1 (ko) 2008-08-04 2008-08-04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232A true KR20100015232A (ko) 2010-02-12
KR101587085B1 KR101587085B1 (ko) 2016-01-20

Family

ID=4127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184A KR101587085B1 (ko) 2008-08-04 2008-08-04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62262B2 (ko)
EP (1) EP2151974B1 (ko)
KR (1) KR101587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8523A (ja) * 2010-01-29 2011-08-18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映像表示装置
US8858329B2 (en) * 2010-03-22 2014-10-14 Christine Hana Kim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dedicated game interfa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projector capability
KR101663015B1 (ko) * 2010-04-09 2016-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US9134799B2 (en) * 2010-07-16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Interacting with a projected user interface using orientation sensors
US8540379B2 (en) * 2010-10-15 2013-09-24 Panasonic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723293B1 (en) * 2011-06-21 2017-08-01 Amazon Technologies, Inc. Identifying projection surfaces i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EP2587510B1 (en) * 2011-10-28 2018-02-28 BlackBerry Limited Key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US8840250B1 (en) 2012-01-11 2014-09-23 Rawles Llc Projection screen qualification and selection
WO2014032387A1 (zh) * 2012-08-30 2014-03-06 Wang Tong 投影拍摄型手机
US9341927B1 (en) * 2013-01-09 2016-05-17 Orili Ventures Ltd. Slide projector housing with mount for detachable lens and strobe
TWI536821B (zh) * 2013-04-30 2016-06-01 正文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多媒體通訊裝置
US9756299B2 (en) 2014-04-14 2017-09-05 Crayola, Llc Handheld digital drawing and projection device
CN206674022U (zh) * 2017-05-08 2017-11-2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输入输出模组及电子装置
US11647170B2 (en) 2019-10-23 2023-05-09 Ricoh Company, Ltd. Image projection device
KR20220059276A (ko) * 2020-11-02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표면의 온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668A (ko) * 2005-05-25 2006-11-29 삼성전기주식회사 광변조기 및 그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로젝터를 구비한휴대용 단말기
JP2007271913A (ja) * 2006-03-31 2007-10-18 Nikon Corp 電子機器
US20070265717A1 (en) * 2006-05-10 2007-11-15 Compal Communications Inc.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image projecting capabil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80068175A (ko) * 2007-01-18 200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딩커버 구비 이동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567A (ja) 2001-04-06 2002-10-18 Nec Corp 携帯端末装置
KR100606003B1 (ko) * 2004-05-03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20060234784A1 (en) * 2004-12-21 2006-10-19 Silviu Reinhorn Collapsible portable display
US9203938B2 (en) * 2005-04-06 2015-12-01 Nokia Technologies Oy Extensible mobile electronic device
US7926958B2 (en) * 2007-07-30 2011-04-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90082B1 (ko) * 2007-08-01 201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668A (ko) * 2005-05-25 2006-11-29 삼성전기주식회사 광변조기 및 그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로젝터를 구비한휴대용 단말기
JP2007271913A (ja) * 2006-03-31 2007-10-18 Nikon Corp 電子機器
US20070265717A1 (en) * 2006-05-10 2007-11-15 Compal Communications Inc.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image projecting capabil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80068175A (ko) * 2007-01-18 200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딩커버 구비 이동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085B1 (ko) 2016-01-20
EP2151974B1 (en) 2014-12-17
US20100026818A1 (en) 2010-02-04
US8462262B2 (en) 2013-06-11
EP2151974A3 (en) 2012-05-02
EP2151974A2 (en)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085B1 (ko) 휴대 단말기
US8095180B2 (en) Mobile terminal
KR20090048169A (ko) 파우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90118765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05574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33278A (ko) 휴대 단말기
KR20090102242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90073901A (ko) 휴대 단말기
KR20090077605A (ko) 휴대 단말기
KR20090102240A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398137B1 (ko) 휴대 단말기
KR101409872B1 (ko) 휴대 단말기
KR101529926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4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20110021477A (ko) 이동 단말기
KR101604714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16B1 (ko) 터치 입력 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427271B1 (ko) 휴대 단말기
KR20110062117A (ko) 휴대 단말기
KR100930564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116218A (ko) 휴대 단말기
KR20090029095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27542A (ko) 휴대 단말기
KR20090076646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39740A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