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742A - An unified remote controll - Google Patents

An unified remote contro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742A
KR20100011742A KR1020080073080A KR20080073080A KR20100011742A KR 20100011742 A KR20100011742 A KR 20100011742A KR 1020080073080 A KR1020080073080 A KR 1020080073080A KR 20080073080 A KR20080073080 A KR 20080073080A KR 20100011742 A KR20100011742 A KR 20100011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remote control
display unit
switch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0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예용
김권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3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742A/en
Publication of KR20100011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7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n integration remote controller is provided to simply switch a mode through movement of a mode switching bar, thereby simplifying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ion remote controller. CONSTITUTION: A display unit(12) of a touch screen mode is installed in a remote controller main body(10). A menu screen according to a use m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display unit receives an input signal. A switch(20) about each use mode is installed in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A mode switching bar(30)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The mode switching bar moves about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The mode switching bar switches a use mode by the movement and sensing of the switch.

Description

통합 리모컨{An unified remote controll}Integrated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전자기기의 동작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통합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that can integr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최근 들어 전자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TV, 오디오, DVD플레이어, VCR, AMP 등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대중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상술한 전자기기는 전원 온오프, 볼륨 조절, 채널 선택, 재생, 일시정지 등 다양한 기능 조작이 가능하고,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가 리모컨을 가지고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s industry,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TVs, audios, DVD players, VCRs, and AMPs have been widely used. The electronic device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operat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power on / off, volume control, channel selection, playback, and pause, and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remotely control these various functions with a remote controller.

그런데, 전자기기마다 이에 상응하는 하나의 리모컨이 구비되는 경우 여러 대의 전자기기를 갖추게 되면 리모컨의 개수도 늘어나게 되고, 각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해당 리모컨을 찾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더욱이, 리모컨은 크기가 작아서 관리하는데 주위가 필요하므로 여러 개의 리모컨을 갖게 되면 리모컨 관리에도 많은 신경을 써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However, if on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remote control for each electronic device, the number of remote controllers increases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 addition, since the remote control is small in size and needs attention to manage, having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requires a lot of attention to the remote control.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하나의 리모컨으로 다수개의 전자기기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통합 리모컨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an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with a single remote controller has been developed and us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술한 통합 리모컨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사용모드(TV, 오디오, DVD플레이어 등)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버튼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모드선택버튼을 입력하여 하나의 사용모드를 선택한 후에 그 사용모드에 해당하는 버튼을 조작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하도록 하였다.In general,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is provided with mode selection buttons for selecting respective usage modes (TV, audio, DVD player, etc.), and after inputting the mode selection button to select one usage mode, The corresponding button was operated to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이와 같이 상기 모드선택버튼이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사용모드에 해당하는 버튼들이 따로 구비되다 보니 통합 리모컨의 구성이 전체적으로 복잡해지고 리모컨의 크기도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도 다수개의 버튼 중에 원하는 버튼을 일일이 찾아서 눌러야 하는 불편이 있다.As such, since the mode selection buttons are provided and the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use modes are separately provided,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is complicated and the size of the remote controller is increased. In addition, the user is also inconvenient to find and press a desired button one among a plurality of button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간단한 구성을 통해 사용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enable the use mode switching through a simpler configu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합 리모컨의 크기를 슬림화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lim down the size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모드에 따른 메뉴화면이 출력되고 입력신호를 받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각각의 사용모드에 대응되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리모컨본체와; 상기 리모컨본체의 상면에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상기 리모컨본체에 대해 이동되면서 상기 스위치에 감지되어 사용모드를 전환시키는 모드전환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use mode and receiving an input signal, the switch corresponding to each use mode is A remote control body provided; Sliding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de switching bar to switch the use mode is detected by the switch while moving relative to the remote control body.

상기 스위치는 자력을 감지하여 온오프되는 홀이펙트 스위치(Hall effect switch)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swit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ll effect switch (Hall effect switch) is turned on and off by sensing the magnetic force.

상기 모드전환바에는 상기 홀이펙트 스위치에 감지되는 자성체가 상기 홀이펙트 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mode switching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material sensed by the Hall effect switch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all effect switch.

상기 모드전환바는,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의 하면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리모컨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mode switch bar, body plate; It is formed by insert inj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plate which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mote control body and sliding.

상기 가이드판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리모컨본체의 양측을 향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An extension part formed in the guide plate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he extension part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toward both sides of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상기 연장부는 탄성력을 가진 금속 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리모컨본체의 내벽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extension par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wall of the remote control main body.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리모컨본체의 내벽에 형성된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각각의 사용모드에 해당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extension part is formed with a protruding fixing protrusion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remote control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use mode.

상기 몸체판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은 금속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plate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late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상기 리모컨본체의 외면에는 각각의 사용모드를 표시하는 모드표시부가 인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printing the mod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spective use mod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리모컨본체의 상면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된 모드전환바의 이동을 감지하는 모드감지부와; 사용모드에 따른 메뉴화면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메뉴화면이 출력되는 표시부와; 상기 모드감지부에서 감지된 사용모드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시키고, 상기 표시부로 입력되는 신호를 송신부를 통해 전자기기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ode switching bar installed to sli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 body; A memory unit for storing data of a menu screen according to a use mode;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menu screen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a controller which reads data according to a use mode detected by the mode detector from the memory unit, outputs the data to the display unit, and transmits a signal input to the display unit to an electronic device through a transmitter.

상기 표시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메뉴화면을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 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unit include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menu screen stored in the memory unit; It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uch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user's touch.

본 발명에서는 리모컨본체에 모드전환바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모드전환바의 위치를 각각 감지하여 모드가 전환된다. 이와 같이 모드전환바의 이동을 통해 간단하게 모드가 전환되므로 통합 리모컨의 구성이 보다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switch bar is installed on the remote control unit so as to be movable, and the mode is switched by sensing the position of the mode switch bar. As such, the mode is simply switched by moving the mode switch bar, thereby making it easier to configure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에서는 리모컨본체에 모드전환바가 감지될 때마다 리모컨본체 스크린에 전환된 모드에 해당하는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따라서, 각각의 모드마다 별도의 버튼을 둘 필요가 없으므로 통합 리모컨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ever a mode switch bar is detected on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a menu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witched m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Therefore, sinc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button for each mode,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the user's operation is simplifi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통합 리모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n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합 리모컨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컨을 구성하는 모드전환바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mode conversion bar constituting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통합 리모컨(1)의 외관 및 골격은 리모컨본체(10)가 형성된다. 상기 리모컨본체(10)는 대략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모서리부는 미려한 외관을 위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리모컨본체(10)의 내부에는 통합 리모컨(1)의 동작을 위한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1 is a remote control body 10 is formed.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10 has a substantially flat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edge portion may be rounded for a beautiful appearance. Various parts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1 are installed inside the remote controller body 10.

상기 리모컨본체(10)의 상면에는 리모컨본체(1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 한 디스플레이부(12)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는 일반적인 화면표시장치로 LCD,PDP,LED 또는 OLED 등의 다양한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2)는 압력 저항식 또는 정전식과 같은 터치스크린 방식을 사용한다.An upper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ler body 1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2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body 10. The display unit 12 may be a variety of display devices such as LCD, PDP, LED or OLED as a general screen display device. The display unit 12 uses a touch screen method such as a pressure resistive type or a capacitive type.

상기 압력 저항식은 저항물질이 코팅된 두 개의 막을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양 막에 전류를 흘려준다. 이때, 상기 막에 압력을 가하여 양 막이 접촉되면, 흐르는 전류의 양이 변하고 이를 감지하여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의 터치스크린이다. 반면에 정전식이란 유리 양면에 전도성 금속을 코팅하고 모서리에 전압을 걸어준다. 이때, 터치스크린에는 고주파가 흐르게 되고, 손이 접촉되면 고주파 파형이 변하며, 이를 감지하여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의 터치스크린이다.The pressure-resistance type is provided with two membranes coated with a resistive material such that a constant interval is maintained, and a current flows through both membranes. In this case, when both membranes are contact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membrane,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changes and detects the touched position. Electrostatics, on the other hand, coat conductive metal on both sides of the glass and apply voltage across the edges. At this time, the high frequency flows through the touch screen, and when the hand touches, the high frequency waveform changes, and the touch screen detects the touched posi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12)의 상면에는 모드표시부(14)가 인쇄된다. 상기 모드표시부(14)는 각각의 사용모드에 해당되는 개수만큼 인쇄되는 것으로서, TV, 오디오, DVD플레이어 등의 다양한 사용모드를 표시한다. The mode display unit 14 is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2. The mode display unit 14 is printed by the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use mode, and displays various use modes such as TV, audio, and DVD player.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모컨본체(10)의 내부에는 기판(16)이 설치된다. 상기 기판(16)은 본 실시예에서 일종의 제어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기판(16)에는 리모컨을 구성하는 각종 전장부품이 실장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모드전환바(30)에 의해 전환된 사용모드에 따른 메뉴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출력시키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 a substrate 16 is installed inside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10. The substrate 16 serves as a kind of control part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other words,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emote controller are mounted on the board 16 to output the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use mode switched by the mode switching bar 30 to be described below to the display unit 12. .

상기 리모컨본체(10)의 양측 내면에는 가이드홈(18)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8)은 아래에서 설명될 모드전환바(30)의 가이드부(37)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홈(18)은 상기 리모컨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Guide grooves 18 are form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10. The guide groove 18 is a portion to which the guide portion 37 of the mode switching bar 3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nd guided. The guide groove 18 is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body 10.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리모컨본체(10)의 일측에는 스위치(20)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20)는 아래에서 설명될 모드전환바(30)의 위치를 감지하여 온오프되는 부분이다. 상기 스위치(20)는 사용모드에 해당하는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총 4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20)는 상기 리모컨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다. Referring back to FIG. 1, a switch 2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10. The switch 20 is a portion that is turned on by sensing the position of the mode switch bar 30 to be described below. The switch 20 is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use mode, a total of four ar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And, the switch 20 is provided in a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body 10.

상기 스위치(20)는 상기 모드전환바(30)의 위치가 감지되면 온상태로 전환되면서 리모컨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각 사용모드에 따른 메뉴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switch 20 is switched to the on state when the position of the mode switch bar 30 is sensed and transmits a signal to a control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10 and the display unit in the display unit In (12), a menu screen according to each use mode is displayed.

상기 스위치(20)로는 다양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홀이펙트 스위치(Hall-effect switch)를 사용한다. 상기 홀이펙트 스위치는 자력을 감지하여 온오프되는 스위치로서, 모드전환바(30)에 구비된 자성체(38)의 자력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홀이펙트 스위치는 자력을 감지하는 스위치이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깔끔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Various switches may be used as the switch 20. In this embodiment, a Hall-effect switch is used. The Hall effect switch is a switch that is on and off by sensing a magnetic force, and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material 38 provided in the mode switching bar 30. Since the Hall effect switch is a switch for detecting magnetic force, the hall effect switch can be formed without necessity of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리모컨본체(10)의 상면에는 모드전환바(30)가 슬라이딩되게 설치된다. 상기 모드전환바(30)는 상기 리모컨본체(10)의 상면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스위치(20)에 감지되어 사용모드를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모드전환바(30)에 의해 전환된 사용모드에 따른 메뉴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드전환바(30)가 이동되면 모드전환바(3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TV, 오디오, DVD플레이어 등의 사용모드가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선택된 사용모드에 해당하는 메뉴화면에서 버튼을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 body 10 is a mode switching bar 30 is installed to slide. The mode switch bar 30 is mov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 body 10 and sensed by the switch 20 serves to switch the use mode. That is, the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use mode switched by the mode switching bar 3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For example, when the mode switch bar 30 is moved, a use mode of a TV, an audio player, a DVD player, or the like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de switch bar 30. The user may operate by touching a button on the menu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use mode.

상기 모드전환바(30)의 구성은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모드전환바(30)에는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판(32)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판(32)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는 상기 몸체판(32)을 직접 조작하게 된다. 상기 몸체판(32)은 상기 리모컨본체(10)의 폭에 해당하는 만큼의 길이를 가진다. 상기 몸체판(32)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판(32)은 미려한 외관을 위해 모서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mode switch bar 30 is shown in FIG. Referring to this, the mode switch bar 30 is provided with a body plate 32 to form the appearance and the skeleton. The body plate 32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directly manipulates the body plate 32. The body plate 32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remote control body 10. The body plate 32 is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n addition, the body plate 32 is formed rounded corners for a beautiful appearance.

상기 몸체판(32)의 하면에는 가이드판(34)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판(34)은 상기 몸체판(32)의 하면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판(34)은 금속, 스테인레스 등으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34)을 몸체판(32)의 하면에 형성하도록 한 것은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부(37)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가이드판(34)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지므로 합성수지 재질의 몸체판(32)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상기 통합 리모컨(1)의 슬림화에도 기여하게 된다.A guide plate 34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late 32. The guide plate 34 is a part formed by insert inj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late 32. The guide plate 34 is made of metal, stainless steel, or the like. The guide plate 34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late 32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guide unit 37 to be described below. That is, since the guide plate 34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the guide plate 34 has a thickness thinner than that of the synthetic resin body plate 32, thereby contributing to the slimming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1.

상기 가이드판(34)의 하면 일측에는 연장부(36)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36)는 상기 가이드판(34)의 하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36)의 선단에는 가이드부(37)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7)는 상기 리모컨본체(10)의 측면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홈(18)에 삽입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37)는 상기 가이드홈(18)에 삽입되어 안내됨으로써 상기 모드전환바(30)가 리모컨본체(10)에 대해 이동되도록 한다.An extension part 36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34. The extension part 36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34. The guide portion 37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tip of the extension portion 36. The guide part 37 extends toward the side of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10 and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8. That is, the guide unit 37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8 to guide the mode switching bar 30 to be moved relative to the remote controller body 10.

상기 모드전환바(30)에는 사용모드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사용모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되는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스위치(20)에 감지되었을 때 그 위치에 고정되어야 한다. The mode switch bar 30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that is fixed to maintain the state of use mode when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 mode. That is, when it is detected by the switch 20, it should be fixed in the position.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연장부(36)는 상기 리모컨본체(10)의 내벽에 탄성력에 의해 밀착된다. 상기 연장부(36)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금속 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리모컨본체(10)의 내벽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모드전환바(30)가 상기 리모컨본체(10)에 대해 소정의 마찰력을 가진 상태로 이동되어 각각의 사용모드 전환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As a configuration for this, the extension portion 3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remote control body 10 by an elastic force. The extension part 36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10. Therefore, the mode switch bar 30 is moved to a state with a predetermined friction force with respect to the remote control body 10 so that it can be fixed at each use mode switch.

상기 모드전환바(30)에는 자성체(38)가 구비된다. 상기 자성체(38)는 자성을 띠는 물질로서, 상기 모드전환바(3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자성체(38)는 상기 스위치(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모드전환바(30)의 이동시에 스위치(20)가 자성체(38)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스위치(20)는 상기 자성체(38)의 자성을 감지하여 온오프되면서 사용모드를 전환하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The mode switching bar 30 is provided with a magnetic material (38). The magnetic material 38 is a magnetic material and is provided inside the mode switching bar 30. The magnetic material 38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witch 20 so that the switch 20 can detect the magnetic material 38 when the mode switching bar 30 moves. That is, the switch 20 detects the magnetism of the magnetic material 38 and transmits a signal for switching the use mode while turning on and off.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컨을 구성하는 모드전환바의 설치 상태를 살펴본다. 이하에서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백번 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 다.Next, with reference to Figure 3 looks at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mode conversion bar constituting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hundred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연장부(136)에는 고정돌기(13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36')는 리모컨본체(110)의 내벽에 형성된 고정홈(11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홈(110')은 사용모드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구비되어 모드전환바(30)가 각각의 사용모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홈(110')은 총 네 개가 형성된다. The fixing part 136 ′ protrudes from the extension part 136. The fixing protrusion 136 ′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0 ′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110. The fixing groove 110 ′ is provided for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 mode so that the mode switching bar 30 can be fixed in each use mode state. In this embodiment, four fixing grooves 110 'are formed.

또한, 상기 리모컨본체(110)의 내벽에 고정돌기(136')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36)에는 고정홈(110')이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 136 ′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remote controller body 110, and the extension part 136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xing groove 110 ′ is form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통합 리모컨의 또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통합 리모컨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통합 리모컨에는 모드감지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모드감지부(200)는 상기 리모컨본체(10)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된 상기 모드전환바(30)의 이동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모드전환바(30)가 각 사용모드에 해당하는 위치에 슬라이딩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de detecting unit 200. The mode detecting unit 200 serves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mode switching bar 30 installed to be slid to the remote control body 10. That is, when the mode switch bar 30 is sli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use mode, it detects this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200.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통합 리모컨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모드감지부(200)에서 전달된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표시부(230)에 메뉴화면이 출력되도록 한다.The controller 2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outputs a menu screen to the display unit 230 to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de detecting unit 200.

이때, 상기 표시부(230)에 출력되는 메뉴화면에 대한 데이터는 메모리 부(220)에 저장되어 있다. 즉, 상기 메모리부(220)에는 각각의 사용모드별 메뉴화면 데이터 및 아이콘 등이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210)에서는 상기 모드감지부(200)에서 선택된 사용모드에 관한 메뉴화면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220)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230)에 아이콘 등으로 출력되도록 한다.In this case, data on the menu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230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220. That is, the memory unit 220 stores menu screen data and icons for each use mode. The control unit 210 reads menu screen data regarding the use mode selected by the mode detecting unit 200 from the memory unit 220 and outputs the icon screen to the display unit 230 as an icon.

상기 표시부(230)는 메뉴화면 등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232)와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터치감지부(234)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32)는 일반적인 화면표시장치로 LCD,PDP,LED 또는 OLED 등의 다양한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감지부(23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2)의 전면에 구비되는 얇은 층으로 압력 저항식 또는 정전식이 사용된다.The display unit 230 includes a display unit 232 on which a menu screen and the like are output, and a touch detector 234 in which a user's touch is sensed. The display unit 232 may be a variety of display devices such as LCD, PDP, LED or OLED as a general screen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touch sensing unit 234 is a thin lay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232, a pressure resistive type or an electrostatic type is used.

상기 디스플레이부(232)에 선택된 사용모드에 관한 메뉴화면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상기 터치감지부(234)를 터치하게 된다. 상기 터치감지부(234)에 터치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210)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송신부(240)를 통해 전자기기 등에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When a menu screen regarding the selected use m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2, the user touches the touch sensing unit 234. Information touched by the touch sensing unit 234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10, and the controller 210 transmits a signal to an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transmitter 240.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통합 리모컨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우선 통합 리모컨(1)의 전원을 켠 상태에서 사용자는 모드전환바(30)를 슬라이딩시키면서 다양한 사용모드상태에서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통합 리모컨의 각각의 사용모드에 따른 메뉴화면을 표시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a)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모드, (b)는 홈씨어터 모드, (c)는 오디오 모드, (d)는 TV 모드 상태에서의 메뉴화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First, while the power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1 is turned on, the user can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 in various use modes while sliding the mode switch bar 30. 4 is a front view show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each use mode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a) shows an IPTV mode, (b) shows a home theater mode, (c) shows an audio mode, and (d) shows a menu screen in a TV mode.

사용자가 상기 (a)의 IPTV 모드를 사용하고 싶을 때에는 상기 모드전환바(30)를 상기 모드표시부(14) 중에 IPTV가 인쇄된 부분까지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모드전환바(30)는 가이드부(37)가 상기 리모컨본체(1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8)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IPTV mode of (a), the mode switching bar 30 is slid to the portion of the mode display unit 14 where the IPTV is printed. The mode switching bar 30 is a guide portion 37 is slid along the guide groove 18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mote control body 10.

상기 모드전환바(30)가 상기 모드표시부(14) 중에 IPTV가 인쇄된 부분까지 슬라이딩되면 상기 자성체(38)의 자성이 스위치(20)에 감지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20)는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되고 리모컨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신호를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a)와 같이 IPTV의 메뉴화면을 출력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출력된 메뉴화면에서 방향버튼 또는 숫자버튼을 눌러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고 불륨조절 등을 하게 된다.When the mode switch bar 30 is slid to the portion where the IPTV is printed in the mode display unit 14, the magnetism of the magnetic body 38 is sensed by the switch 20. Accordingly, the switch 20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nd transmits a signal to a controller (not shown)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10. Then,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menu screen of the IPTV through the display unit 12 as shown in (a). The user selects a desired channel by pressing a direction button or a number button on the menu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12 and controls volume.

이때, 상기 모드전환바(30)는 IPTV의 모드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는 상기 연장부(36)의 탄성력 또는 연장부(136)에 구비된 고정돌기(136')가 고정홈(110')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mode switch bar 30 is fixed in the mode of the IPTV. This is achie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xtension part 36 or the fixing protrusion 136 'provided in the extension part 136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0'.

사용자는 상기 IPTV의 메뉴화면에 출력된 버튼을 손으로 터치하여 IPTV를 시청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홈씨어터기기를 조작하고 싶을 때에는 상기 모드전환바(30)를 상기 모드표시부(14) 중에 홈씨어터가 인쇄된 부분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된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b)와 같은 메뉴화면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상기 메뉴화면에서 재생버튼을 눌러 디브이디를 재생할 수 있 고 볼륨조절 등도 하게 된다.The user touches the button output on the menu screen of the IPTV by hand to watch the IPTV. 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operate the home theater device, the mode switching bar 30 may be slid to the portion where the home theater is printed in the mode display unit 14. Then, the menu screen as shown in (b)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2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press the play button on the menu screen to play the DVD and adjust the volume.

또한, 사용자는 상기 모드전환바(30)를 슬라이딩시켜 오디오기기 및 TV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user can operate the audio device and the TV by sliding the mode switch bar 30.

상술한 네 가지의 사용모드는 본 실시예에서 일례로 든 것에 불과하고 다른 다양한 사용모드도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It is obvious that the four use modes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amples in this embodiment, and other various use modes may be employe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합 리모컨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컨을 구성하는 모드전환바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단면도.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mode conversion bar constituting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컨을 구성하는 모드전환바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단면도.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mode switch bar constituting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통합 리모컨의 각각의 모드에 따른 메뉴화면을 표시한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each mode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통합 리모컨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통합 리모컨 10 : 리모컨본체1: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10: remote controller

12 : 디스플레이부 14 : 모드표시부12: display unit 14: mode display unit

16 : 기판 18 : 가이드홈16: substrate 18: guide groove

20 : 스위치 30 : 모드전환바20: switch 30: mode switch bar

32 : 몸체판 34 : 가이드판32: body plate 34: guide plate

36 : 연장부 37 : 가이드부36: extension part 37: guide part

38 : 자성체 110 : 리모컨본체38: magnetic body 110: the remote control body

110' : 고정홈 116 : 기판110 ': fixing groove 116: substrate

118 : 가이드홈 130 : 모드전환바118: guide groove 130: mode switch bar

132 : 몸체판 134 : 가이드판132: body plate 134: guide plate

136 : 연장부 136' : 고정돌기136: extension portion 136 ': fixed projection

200 : 모드감지부 210 : 제어부200: mode detection unit 210: control unit

220 : 메모리부 230 : 표시부220: memory unit 230: display unit

232 : 디스플레이부 234 : 터치감지부232: display unit 234: touch detection unit

240 : 송신부240: transmitter

Claims (11)

사용모드에 따른 메뉴화면이 출력되고 입력신호를 받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각각의 사용모드에 대응되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리모컨본체와;A remote controller main body including a touch screen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a use mode and receiving an input signal, and having a switch corresponding to each use mode; 상기 리모컨본체의 상면에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상기 리모컨본체에 대해 이동되면서 상기 스위치에 감지되어 사용모드를 전환시키는 모드전환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컨.It is installed to sli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 body,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de switching bar for switching the use mode is detected by the switch while moving relative to the remote control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치는 자력을 감지하여 온오프되는 홀이펙트 스위치(Hall effect switch)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컨.The switch is a integrated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Hall effect switch (Hall effect switch) is on and off by sensing the magnetic forc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모드전환바에는 상기 홀이펙트 스위치에 감지되는 자성체가 상기 홀이펙트 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컨.The mode switch bar is integrated magnetic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material detected by the Hall effect switch is provid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all effect switch.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바는,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mode switch bar, 몸체판과;Body plate; 상기 몸체판의 하면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리모컨본체의 양 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컨.Integrated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plate which is formed by insert inj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late,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mote control body sliding.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가이드판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와;An extension part formed in the guide plate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리모컨본체의 양측을 향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컨.Integrated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from the ext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both sides of the remote control body, the guid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연장부는 탄성력을 가진 금속 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리모컨본체의 내벽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컨.The extension unit is made of a metallic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integrated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remote control body.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리모컨본체의 내벽에 형성된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각각의 사용모드에 해당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컨.The extension part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jecting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remote control body, the fixed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use mod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몸체판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은 금속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컨.The body plate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guide plate is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metal material.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리모컨본체의 외면에는 각각의 사용모드를 표시하는 모드표시부가 인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컨.Integrated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for printing the mod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spective use mo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 body. 리모컨본체의 상면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된 모드전환바의 이동을 감지하는 모드감지부와;A mode detecting unit detecting a movement of a mode switching bar installed to slide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사용모드에 따른 메뉴화면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A memory unit for storing data of a menu screen according to a use mode;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메뉴화면이 출력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menu screen stored in the memory unit; 상기 모드감지부에서 감지된 사용모드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시키고, 상기 표시부로 입력되는 신호를 송신부를 통해 전자기기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컨.And a controller which reads data according to a use mode detected by the mode detector from the memory unit, outputs the data to the display unit, and transmits a signal input to the display unit to an electronic device through a transmitter. remo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isplay unit,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메뉴화면을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부와;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menu screen stored in the memory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컨.It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uch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user's touch.
KR1020080073080A 2008-07-25 2008-07-25 An unified remote controll KR201000117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080A KR20100011742A (en) 2008-07-25 2008-07-25 An unified remote contro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080A KR20100011742A (en) 2008-07-25 2008-07-25 An unified remote contro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742A true KR20100011742A (en) 2010-02-03

Family

ID=4208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080A KR20100011742A (en) 2008-07-25 2008-07-25 An unified remote contro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742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43505A (en) * 2010-09-05 2011-05-04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Touch-control electronic device
KR101339035B1 (en) * 2013-09-12 2013-12-09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Folder type remocon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43505A (en) * 2010-09-05 2011-05-04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Touch-control electronic device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0896442B2 (en) 2011-10-19 2021-01-19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1551263B2 (en) 2011-10-19 2023-01-10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KR101339035B1 (en) * 2013-09-12 2013-12-09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Folder type remoc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0820B2 (en)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operation accuracy enhancement
US6750803B2 (en) Transformer remote control
US8692815B2 (en)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selection accuracy enhancement
US8638306B2 (en) Touch-based user interface corner conductive pad
US20110113371A1 (en)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Error Handling
US7786977B2 (en) Position input device, remote control device, computer system and electronic equipment
US8643480B2 (en) Input device with haptic feedback
US8669949B2 (en) Touch-based user interface touch sensor power
KR20050013578A (en) A graphic user interface having touch detectability
US2015017784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60092038A1 (en) Chameleon button universal remote control with tactile feel
US8686957B2 (en) Touch-based user interface conductive rings
TW200842668A (en) Mouse with composite switch
KR20100011742A (en) An unified remote controll
JP2008042481A (en) Control method using touch panel remote control, and touch panel remote control to be used therefor
KR101073218B1 (en) Touch pad module
US20090231296A1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KR101253168B1 (en) Apparatus for input with touch pad
KR101385504B1 (en) Jog switch using magnet
KR20110034137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thereof
JP4648846B2 (en) Position input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WO2011057076A1 (en) Audio/visual device touch-based user interface
TWI411244B (en) Use the touchpad remote control method and the use of the touchpad remote control
JP4203377B2 (en) Menu sel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080029512A (en)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