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127A - Port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 Google Patents

Port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127A
KR20100007127A KR1020080067615A KR20080067615A KR20100007127A KR 20100007127 A KR20100007127 A KR 20100007127A KR 1020080067615 A KR1020080067615 A KR 1020080067615A KR 20080067615 A KR20080067615 A KR 20080067615A KR 20100007127 A KR20100007127 A KR 20100007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lay window
display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01771B1 (en
Inventor
강석명
이영민
박세호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7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771B1/en
Publication of KR20100007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1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7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electrical appliance equipped with both-side display device apparatus is provided to use a multimedia function and a transmittance function by equipping the housing revolving around one housing. CONSTITUTION: A first housing(110) is combined in one end of a base housing(120) included in the upper end of a base housing. A second housing(130) is included between the base housing and the first housing. A display device is respectively included in the first and the second housing included to the single plate and the respective different screen is indicated in the former. The base housing comprises a rotatable hinge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housing.

Description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Portable electronic device {PORT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베이스 하우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하우징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함과 아울러 각각의 하우징에 단일의 플레이트의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여, 상부 메뉴 및 하부 메뉴를 동시에 활성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멀티 텍스트의 사용을 가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t least one housing rotating about a base housing, and each housing having a single plate double-sided displa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using multi-text that can be used by simultaneously activating an upper menu and a lower menu.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는 휴대용 단말기, 엠피 쓰리 플레이어(mp3 player), 피엠피(PMP) 등의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접하도록 하는 장치이며,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는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다기능화되며, 그 크기는 소형화되고 있다. In general,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a device for allowing a user such as a portable terminal, an MP3 player, a PMP, etc. to carry a variety of contents while carry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s size is downsizing.

특히,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상용화되기 시작할 시점에서, 음성 통화나 단문 메시지 전송에 한정된 서비스만 제공되어 왔으나, 무선 통신에서의 송수신 속도, 단말기 회로 장치들의 집적도가 향상되면서,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는 점차 메일, 동영상 파일 전송 등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개인용 컴퓨터로 제공되던 인터넷 서비스도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즐길 수 있는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In particular, at the tim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portable terminal has been commercialized, only services limited to voice calls or short message transmission have been provided. However, a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peed in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integration of terminal circuit devices are improved, such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improved. Increasingly, it became possible to send mails and video files, and recently, Internet services, which were provided by personal computers, also reached levels that can be enjoyed through portable terminals.

또한, 최근에는 사진촬영, 동영상촬영 및 음악뿐만이 아니라. 게임, 전자사전, 인터넷, DMB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즐기기 위해 쿼티 키 및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용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용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형태가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as well as photography, video shooting and music. In order to enjoy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games, electronic dictionaries, the Internet, and DMB,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for multimedia having a QWERTY key and a large display device are provided. A general form of such a multimedia portable terminal is shown in FIGS. 1A-1D.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다양한 멀티미디어용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에 쿼티 키패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송화부, 수화부 등의 입출력 장치들이 모두 설치된 멀티미디어용 바형 단말기, 상기의 입출력 장치들이 한 쌍의 하우징에 적절히 분산, 배치된 멀티미디어용 폴더형 및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하나의 대형화된 화면에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바형 단말기도 상용화되고 있다. As shown in Figure 1a to 1d, these various multimedia portable terminal is a multimedia bar-type terminal in which all input and output devices, such as a QWERTY keypad, a large display device, a transmitter, a receiver, etc. are installed in one housing, And foldable terminals for multimedia and sliding terminals are properly distributed and arranged in a pair of housings. Recently, a bar type with a touch screen that enables input using a touch screen on one large screen Terminals are also commercialized.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용 바형 단말기(10a)는 하나의 하우징(11a)에 디스플레이 장치(13a)와, 기능키(14a), 쿼티 키패드(15a) 및 송,수신장치(16a)를 모두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1A, a multimedia bar terminal 10a includes a display device 13a, a function key 14a, a qwerty keypad 15a, and a transmitter / receiver 16a in a housing 11a. All are equipped.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용 폴더형 단말기(10b)는 접철되는 일면에 쿼티 키패드(15b)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11b)과 상기 쿼티 키패드(15b)와 대향한 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3b)를 구비한 폴딩 하우징(12b)으로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1B, the multimedia foldable terminal 10b has a main body housing 11b having a QWERTY keypad 15b on one side thereof folded and a display device 13B on a surface facing the QWERTY keypad 15b. Is provided as a folding housing 12b.

도면에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멀티미디어용 폴더형 단말기(10b)에는 일반적으로 접철된 일면으로 송,수화 부 및 전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더 구비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ultimedia foldable terminal 10b is further provided with a transmitter, a receiver, and a front display device on a folded side.

상기 멀티미디어용 폴더형 단말기(10b)는 상기 본체 하우징(11b)과, 상기 폴딩 하우징(12b)을 가로로 구비된 힌지 장치로 연결하여 접철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멀티미디어용 바형 단말기(1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디스플레이 장치(13b) 및 쿼티 키패드(15b) 배열을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The multimedia foldable terminal 10b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by connecting the body housing 11b and the folding housing 12b with a hinge device provided horizontally. In addition, it is provided to have a relatively wide array of display device 13b and QWERTY keypad 15b as compared to the multimedia bar terminal 10a shown in FIG. 1A.

따라서, 휴대하거나, 통화시에는 하우징들을 접철시켜 소형화하고, 통화시나, 게임, 디엠비, 인터넷 및 전자사전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 중에는 펼쳐서 대형화 화면 및 키 버튼들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miniaturization by folding the housings during the call or during the call, an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enlarged screen and the key buttons during the call, while the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the game, the DMB, the Internet, and the electronic dictionary are in use.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용 슬라이딩 형 단말기(10c)는 본체 하우징(11c)과 길이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하우징(12c)으로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1C, the multimedia sliding terminal 10c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housing 11c and a sliding housing 12c which is slidab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12c)은 그 일면에, 바형 단말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송,수신을 위한 키패드(14c) 및 송,수신부(16c)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11c)에는 쿼티 키패드(15c)를 구비한다. The sliding housing 12c has a display device, a keypad 14c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d a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6c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qwerty keypad 15c on the main body housing 11c. ).

또한, 최근에 상용화된 모델로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용 바형 단말기에서 그 일면을 터치형의 대형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바형 단말기(10d)가 있다. In addition, as a recently commercialized model, as shown in FIG. 1D, there is a bar terminal 10d having a touch screen having one surface thereof as a touch type enlargement display device in a multimedia bar terminal.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바형 단말기(10d)는 그 일면을 모두 디스플레이 장치(13d)로 구비함으로써, 송,수신 기능은 물론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시 대형화 화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켰다고 할 수 있다.  The bar-type terminal 10d with a touch screen has a display device 13d on one surface thereof,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enabling a large screen when using multimedia functions as well as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s. .

또한, 도 2 및 도 3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바형 단말기에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하나의 사이트를 이용하거나, 개인 메일 함을 이용하는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2 and 3 illustrate a diagram in which a bar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is used to access a single Internet site or use a personal mailbox.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많이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바형 단말기(10c)에서,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이나, 개인 메일함의 사용시 하나의 텍스트(A,C)에서 메뉴를 클릭 후 하부 텍스트(B,D)로 이동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인 화면은 상부 텍스트(A,C)에서 선택된 하부 텍스트(B,D)로 화면이 바뀌게 되고, 사용자가 다른 하부 텍스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부 텍스트로 돌아가서 다시 하부 텍스트를 선택해야 한다. As shown in Fig. 2 and 3, in the bar-type terminal (10c) with a touch screen which is used in recent years, after clicking the menu in a single text (A, C) when using the Internet or the personal mailbox using the terminal When the user moves to the lower text (B, D), the main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changes to the lower text (B, D) selected from the upper text (A, C), and the user returns to the upper text to check another lower text. You must select the lower text again.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용 단말기들에서 사용자가 인터넷이나 개인 메일 함 등의 다수의 메뉴들을 선택하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시 상부 텍스트와 하부 텍스트를 번갈아 가면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multimedia terminals, when the user uses a multimedia function of selecting a plurality of menus such as the Internet or a personal mailbox, there is a troublesome problem of checking the upper text and the lower text alternately.

또한, 상기한 멀티미디어용 바형 단말기(10a)는 상기의 멀티미디어용 폴더형 단말기(10b)나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바형 단말기(10d) 등에 비하여 대형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나 쿼티 키패드 등의 장착공간이 한정될 수밖에 없어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ultimedia bar terminal 10a has a limitation in that it has a larger display device than the multimedia clamshell terminal 10b or the bar terminal 10d having a touch scree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QWERTY keypad and the like can not be limited, which causes inconvenience to users.

또한, 상기의 멀티미디어용 바형(10a), 폴더형(10b), 슬라이딩 형(10c) 및 터치 스크린(10d)을 구비한 바형 단말기들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구비하여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멀티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bar-type terminal having the multimedia bar type 10a, the folding type 10b, the sliding type 10c, and the touch screen 10d has only one display device to use a multimedia function, thereby providing various multi-functions.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display.

따라서, 멀티미디어용 휴대용 단말기에서 특히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시, 하나의 메인 텍스트를 기준으로 다양한 멀티 텍스트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지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checking various multi-texts based on one main text when using a multimedia function in a multimedia portable terminal.

또한, 최근에는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를 이용한 양면 LCD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휴대용 전자 장치의 개발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양면 LCD에 관한 내용으로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07-0076652호(출원일 2006.01.19, 출원인 삼성전자주식회사)의 '양면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In addition, recently, interest in double-sided LCD using a single plate has been amplified, and development of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ing the same has been increasing. Such a double-sided LCD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7-0076652 (filed on Jan. 19, 2006, filed by Samsung Electronics Co., Ltd.) on both side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따라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양측으로 상이한 화면을 나타내는 단일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하여 슬림한 휴대용 전자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지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lim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applying a single display device displaying different screens on both sides through one display device.

또한, 하나의 패널로 양측으로 상이한 화면을 갖도록 하는 양측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하우징을 구비하여 책처럼 양측면으로 펼치면 두 화면을 동시에 보이도록 하여 풀 브라우징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지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full browsing by displaying at least two housings having two side displays having two screens on both sides with one panel and spreading out on both sides like a book to simultaneously display both screens. The situation is losing.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하나의 하우징을 중심으로 하우징에서 회전하는 폴딩 하우징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함과 아울러 각각의 하우징에 하나의 플레이트로 구비되어 상이한 화면을 제공하는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여 접철된 상태에서는 송,수신 기능을 담당함과 아울러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메인 화면의 디스플레이 창에서 하부메뉴 선택시 다른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하부 메뉴의 화면을 보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folding housing that rotates in a housing about one housing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s provided with one plate in each housing to provide a different screen. It is equipped with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that provides a function to handl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the folded state and to use the general multimedia functions, and in the unfolded state when selecting a lower menu from the display window of the main screen through the other display window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a menu screen.

또한, 게임, 네비게이션, 인터넷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의 사용시, 대형화된 화면을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멀티 텍스트의 사용을 통해 상부 메뉴 및 하부 메뉴를 동시에 활성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when using a variety of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games, navigation, the Internet, a large screen can be used, and through the use of multi-text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used to simultaneously activate the upper menu and lower menu. .

이를 위해,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있어서, To this en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베이스 하우징;A base housing;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하우징;A first housing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base housing and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housing;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접철됨과 아울러 회전되는 제2하우징; At least one second housing disposed between the base housing and the first housing, the second housing being folded and rotated between the base housing and the first housing;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각각 구비되고, 단일의 플레이트로 구비되어 상기 제1,2 하우징의 전,후면으로 각각 상이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A display devic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d provided as a single plate to display different screen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nd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 Disclosed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hinge portion configured to rotate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n the base housing.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The display device,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전,후면으로 각각 다른 화면을 표시하는 단일의 제1양면 구동 디스플레이 부와, A single first two-sided driving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and displaying different screen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전,후면으로 각각 다른 화면을 표시하는 단일의 제2양면 구동 디스플레이 부로 구비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Disclosed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and provided as a single second two-side drive display unit which displays different screen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cond housing.

상기 제1양면 구동 디스플레이부는 단일의 패널로 이루어지며, The first two-side drive display unit is made of a single panel,

상기 제1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되어 화면을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 창과, 상기 제1하우징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과 상이한 화면을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 창으로 구비되고, A first display window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o display a screen, and a second display window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o display a different screen from the first display window,

상기 제2양면 구동 디스플레이부는 단일의 패널로 이루어지며, The second two-sided driving display unit is formed of a single panel,

상기 제2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되어 화면을 상기 제1,2 디스플레이 창과 상이한 화면을 표시하는 제3디스플레이 창과, 상기 제2하우징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2,3 디스플레이 창과 상이한 화면을 표시하는 제4디스플레이 창으로 구비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A third display window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second housing to display a screen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windows, and a screen different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play window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second ho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a fourth display window.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순서대로 접철시킨 제1상태에서는 상기 제1하우징의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은 항상 외부로 개방되게 구비되며, In the first state in which the first housing, the second housing and the base housing are folded in order, the first display window of the first housing is always provided to be opened to the outside.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을 회전시킨 제2상태에서는 상기 제1하우징의 상기 제2디스플레이 창과 상기 제2하우징의 제3디스플레이 창이 외부로 개방되게 구비되며, The second display window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third display window of the second housing are opened to the outside in the second state in which the first housing is rotated while the second housing and the base housing are folded. ,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서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을 접철시켜 회전시킨 제3상태에서는 상기 제2하우징의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이 개방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Disclosed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fourth display window of the second housing is opened in a third state in which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folded and rotated in the base housing.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은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메인 화면을 형성하고, In the first state, the first display window forms a main scree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 창과 상기 제3디스플레이 창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메인 화면을 형성하며,At least one of the second display window and the third display window in the second state forms a main scree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제3상태에서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은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메인 화면을 형성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In the third state, the fourth display window disclose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ming a main scree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된 메뉴의 선택시, 선택된 상기 메뉴의 화면은 상기 제3디스플레이 창으로 표시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In the second state, upon selecting a menu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window, the selected screen of the menu start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ed as the third display window.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는 송,수신 모드, 디엠비 모드, mp3 모드, 카메라 모드, 네비게이션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구비되며, In the first stat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a DMB mode, an mp3 mode, a camera mode, and a navigation mode.

상기 제2,3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는 노트북 모드, 디엠비 모드, 게임 모드, 전자사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구비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In the second and third state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isclose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notebook mode, a DMB mode, a game mode, and an electronic dictionary mode.

상기 제3상태에서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과 대면되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일면에는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을 조작 가능하게 하는 입력키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Disclosed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nput key for operating the fourth display window on one surface of the base housing facing the fourth display window in the third state.

상기 입력키는 쿼티키 배열로 구비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The input key disclose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QWERTY arrangement.

상기 입력 키는 터치키로 이루어진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The input key disclose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touch key.

상기 힌지부는,The hinge portion,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사이드 힌지 암;At least one first side hinge arm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se housing;

상기 제2하우징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사이드 힌지 암 사이에 결합되는 센터 힌지암;A center hinge arm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housing and coupled between the first side hinge arms;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사이드 힌지암의 양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1사이드 힌지암과 상기 센터 힌지 암 사이에 결합되는 제2사이드 힌지 암; 및 A second side hinge arm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side hinge arm and coupled between the first side hinge arm and the center hinge arm; And

상기 제1,2 사이드 힌지 암 및 상기 센터 힌지암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제1,2 사이드 힌지 암 및 상기 센터 힌지 암을 서로 결합시킴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모듈로 구비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At least one or more inside the first and second side hinge arms and the center hinge arm, the first and second side hinge arm and the center hinge arm is coupled to each other and provided with a rotating module to be rotatable Disclosed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힌지 모듈은 산형부와 골형부로 구비되어 서로 대면된 힌지 샤프트와 힌지 캠 및 상기 힌지 캠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 캠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힌지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The hinge module includes a hinge portion, a hinge cam, and a hinge spring, which are provided as a hill portion and a valley portion to face each other, and a hinge spr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hinge cam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of the hinge cam.

상기 제1,2,3 하우징은 상기 제1,2 및 센터 힌지 암의 내측으로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비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ings disclos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center hinge arms through a flexible circuit board.

상기 제1하우징의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의 상,하단에는 송,수신부가 구비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Disclosed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display window of the first hous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에 따르면,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기 제1,2하우징을 구비하고, 제1,2하우징에는 단일의 플레이트로 구비되어 상이한 화면을 제공하는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접철된 상태에서는 송,수신모드나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모드등을 담당함과 아울러 대형화 화면을 통해 네비게이션 기능이나, mp3 기능 또는 디엠비 기능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rotatable about the base housing, an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re provided as a single plate and have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different screens. In addition, it is in charge of general multimedia mode, and also has an effect of enabling a navigation function, a multimedia function such as mp3 function or DMB function through a large screen.

또한,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서 제1 또는 제2하우징을 각각 펼쳐지게 한 상태에서는 제1하우징 일면과 제2하우징의 일면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선택된 텍스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인터넷이나 메일 등의 화면을 사용시 다양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housing or the second housing are unfolded in the base housing, the user may display the selected text screen through each display window of on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When using such a scree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screens.

예를 들어 제1,2 및 베이스 하우징이 모두 접철된 상태에서는 개방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창을 이용할 수 있는 송,수신이나 디엠비나 음악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2하우징, 및 베이스 하우징의 접철된 상태에서 제1하우징의 회전된 상태에서는, 개방되는 두 개의 각각 다른 디스플레이 창을 이용하여 다양한 창을 띄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또는 메일 등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베이스 하우징에서 제1,2하우징의 회전된 상태에서는 일면에 디스플레이 창과 다른 면의 쿼티 키패드의 장착 등에 따라 전자사전이나 게임 등의 기능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하나의 휴대용 전자 장치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first, second and base housings are all folded, a transmission, reception, DMV or music which can use an open display window can be used, and the second housing and the base housings are folded. In the rotated state of the first housing, it is possible to easily use the Internet or mail, such as to open a variety of windows using the two different display windows that are open,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in the base housing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easily use electronic dictionaries or games such as display windows on one side and the QWERTY keypad on the other side, so that various types of multimedia functions can be used through on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has an effect.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베이스 하우징(120), 제1하우징(110), 제2하우징(130), 디스플레이 장치(111a) 및 힌지부(1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0)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의 상단에 구비되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하우징(130)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과 상기 제1하우징(110)에 접철됨과 아울러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과 상기 제1하우징(11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a)는 단일의 플레이트로 구비되어 상기 제1,2 하우징(110, 130)의 전,후면으로 각각 상이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110) 및 상기 제2하우징(130)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140)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에서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2하우징(130)을 회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베이스, 제1,2 하우징(120,110,130)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4 to 7,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base housing 120, a first housing 110, a second housing 130, a display device 111a and a hinge 140. It is included. The first housing 110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base housing 120 to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housing 120. At least one second housing 130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housing 120 and the first housing 110 to be folded and rotated in the base housing 120 and the first housing 110. . The display device 111a is provided as a single plate so that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30 display different screen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30, respectively. Each is provided. The hinge part 14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s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20, 110, and 130 to rotatably rotate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30 in the base housing 120. have.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a)는 제1양면 구동 디스플레이 부(111)와, 제2양면 구동 디스플레이 부(131)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양면 구동 디스플레이 부(111)는 상기 제1하우징(110)의 전,후면으로 각각 다른 화면을 표시하도록 단일의 플레이트로 구비되어 상기 제1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양면 구동 디스플레이 부(131)는 상기 제2하우징(130)의 전,후면으로 각각 다른 화면을 표시하도록 단일의 플레이트로 상기 제2하우징(130)에 구비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4 to 8, the display device 111a includes a first double-sided drive display unit 111 and a second double-sided drive display unit 131. The first two-sided driving display unit 111 is provided as a single plate to display different screen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is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110. The second double-sided driving display unit 131 is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130 as a single plate to display different screen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cond housing 130.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양면 구동 디스플레이 부(111)는 단일의 패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디스플레이 창(111a)과, 제2디스플레이 창(111b)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111a)은 상기 제1하우징(110)의 전면으로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1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 창(111b)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111a)과 상이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110)의 후면에 구비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양면 구동 디스플레이 부(131)는 단일의 패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3디스플레이 창(131a)과, 제4디스플레이 창(131b)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3디스플레이 창(131a)은 상기 제2하우징(130)의 전면에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2디스플레이 창(111b)과 대향하여 상기 제2하우징(130)의 전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131b)은 상기 제1,2,3 디스플레이 창(111a,111b,131a)과 상이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2하우징(130)의 후면에 구비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and FIG. 7, the first double-sided driving display unit 111 is formed of a single panel and includes a first display window 111a and a second display window 111b. The first display window 111a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0 to display a scree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0. The second display window 111b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0 to display a different screen from the first display window 111a. 6 to 9, the second two-sided driving display unit 131 is formed of a single panel, and is provided with a third display window 131a and a fourth display window 131b. The third display window 131a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30 to face the second display window 111b to display a scree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30. The fourth display window 131b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econd housing 130 to display a screen different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play windows 111a, 111b and 131a.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 하우징(110,130) 및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은 접철 및 회전상태에 따라 제1,2,3 상태로 구비되어 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2하우징(130)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을 순서대로 접철시킨 제1상태에서는 상기 제1하우징(110)의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111a)은 항상 외부로 개방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130)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이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110)을 회전시킨 제2상태에서는 상기 제1하우징(110)의 상기 제2디스플레이 창(111b)과 상기 제2하우징(130)의 제3디스플레이 창(131a)이 외부로 개방되게 구비되어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에서 상기 제1하우징(110) 및 상기 제2하우징(130)을 접철시켜 회전시킨 제3상태에서는 상기 제2하우징(130)의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131b)이 개방되어 진다. As shown in FIGS. 5, 8, and 9,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30 and the base housing 120 are provided in first, second and third states according to the folding and rotating states. As illustrated in FIG. 5, in the first state in which the first housing 110, the second housing 130, and the base housing 120 are folded in order, the first housing 110 of the first housing 110 is folded. The display window 111a is always provided to be opened to the outside, and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first housing (when the second housing 130 and the base housing 120 are folded). In the second state in which the 110 is rotated, the second display window 111b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third display window 131a of the second housing 130 are provided to be open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9, in the third state where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30 are folded and rotated in the base housing 120, the fourth housing of the second housing 130 is rotated. The display window 131b is opened.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111a)은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메인 화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 창(111b)과 상기 제3디스플레이 창(131a)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메인 화면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3상태에서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131b)은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메인 화면을 형성하게 된다. 5, 8, and 9, in the first state, the first display window 111a forms a main scree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nd in the second state, the first display window 111a forms the main scree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t least one of the second display window 111b and the third display window 131a forms a main scree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fourth display window 131b is the portable in the third state. The main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form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 창(111b)에 표시된 상부 메뉴(Y)에서 하부 메뉴(y)의 선택시, 상기 상부 메뉴(Y)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 창(111b)에 표시된 상태이고, 선택된 상기 하부 메뉴(y)의 화면은 상기 제3디스플레이 창(131a)으로 표시되어 진다. As shown in FIG. 11, when the lower menu y is selected from the upper menu Y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window 111b in the second state, the upper menu Y is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The window 111b is displayed and the screen of the selected submenu y is displayed as the third display window 131a.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송,수신 모드, 디엠비 모드, mp3 모드, 카메라 모드, 네비게이션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구비되어 지며,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3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노트북 모드, 디엠비 모드, 게임 모드, 전자사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구비되어 진다. 4 and 5, in the first stat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ransmission, reception mode, DMB mode, mp3 mode, camera mode, and navigation mode. 8 to 11, in the second and third state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notebook mode, a DMB mode, a game mode, and an electronic dictionary mod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상태에서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131b)과 대면되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의 일면에는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131b)을 조작 가능하게 하는 입력키(121)가 구비되어 진다. As shown in FIG. 9, an input key 121 for operating the fourth display window 131b on one surface of the base housing 120 facing the fourth display window 131b in the third state. ) Is provid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키(121)는 쿼티키 배열로 구비되어 진다. As shown in FIG. 9, the input key 121 is provided in a qwerty key arrangement.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입력키(121)는 터치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the input key 121 is preferably made of a touch key.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140)는, 제1사이드 힌지암(141)과, 센터 힌지암(142)과, 제2사이드 힌지암(143)과 힌지 모듈(144)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사이드 힌지암(141)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센터 힌지암(142)은 상기 제1사이드 힌지 암(141) 사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하우징(130)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사이드 힌지암(143)은 상기 제1사이드 힌지암(141)의 양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1사이드 힌지암(141)과 상기 센터 힌지암(142) 사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힌지 모듈(144)은 상기 제1,2 사이드 힌지 암 및 상기 센터 힌지암(142)을 서로 결합시킴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제1,2 사이드 힌지 암 및 상기 센터 힌지암(142)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다. 12 to 15, the hinge unit 140 includes a first side hinge arm 141, a center hinge arm 142, a second side hinge arm 143, and a hinge module 144. ) Is provided. At least one first side hinge arm 14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se housing 120. The center hinge arm 142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housing 130 to be coupled between the first side hinge arm 141. The first housing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side hinge arm 141 and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side hinge arm 141 and the center hinge arm 142. 110 is provided. The hinge module 144 couples the first and second side hinge arms and the center hinge arm 142 to each other and to be rotatable, so that the hinge module 144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hinge arms and the center hinge arm 142 can be rotated. At least one is provided inside.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힌지 모듈(144)은 힌지 샤프트, 힌지 캠 및 힌지 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지고, 상기 힌지 샤프트와 상기 힌지 캠은 서로 대면되도록 산형부와 골형부로 구비되어 지고, 상기 힌지 스프링은 상기 힌지 캠의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힌지 캠의 일단에 구비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hinge module 144 is provided with a hinge shaft, a hinge cam, and a hinge spring, and the hinge shaft and the hinge cam are provided with a ridge and a valley to face each other, and the hinge spring Is preferab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hinge cam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of the hinge cam.

또한, 상기 제1,2,3 하우징은 상기 제1,2 및 센터 힌지암(142)의 내측으로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비되어 진다. In addi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ings are provi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center hinge arms 142 through the flexible circuit board.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10)의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111a)의 상,하단에는 송,수신부(113)가 구비되어 진다. As shown in FIG. 4 and FIG. 5,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display window 111a of the first housing 110 are provided with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13.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operation proces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5.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일반적인 책자처럼 베이스 하우징(120)을 중 심으로 상기 제1,2 하우징(110,130)을 상기 힌지부(140)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나씩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30 are rotated one by one around the hinge axis of the hinge 140, with the center of the base housing 120 as in a general booklet.

또한, 상기 제1,2하우징에는 풀브라우징으로 전,후면으로 서로 상이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111a)를 구비한다. 상기의 양면으로 화면표시할 수 있는 단일의 패널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111a)를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하우징을 접철되게 구비되어도 그 두께를 슬림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re provided with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111a capable of displaying different screens on the front and back sides in full browsing. By providing the display apparatus 111a which has a single panel which can display on both surfaces of the said surface, even if it is provided with several housings folded, the thickness can be made slim.

우선,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 제1,2 하우징(110,130)이 접철된 상기 제1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First, the first state in which the base housing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30 are folded will be described.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에 상기 제1,2 하우징(110,130)을 순차적으로 접철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110)의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111a)은 항상 외부로 개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111a)의 상하단에는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송,수신부(113)가 구비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111a)은 터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30 are folded in the base housing 120 sequentially, the first display window 111a of the first housing 110 is always open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display window (111a) is provided with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13 to enable the transmission, reception, the first display window (111a) is most preferably formed in a touch type.

그러므로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111a)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 상기 제1상태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송,수신 모드나, 디엠비 모드, mp3모드, 네비게이션 모드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111a)의 하단에는 상기의 다양한 멀티미디어기능을 갖는 모드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간단한 메뉴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키(112)가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111a)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functions that can be used using the first display window 111a are used in the first state.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reception mode, DMB mode, mp3 mode, navigation mode, etc. can be used. In addition, at the bottom of the first display window 111a, a menu key 112 for selecting a simple menu and the like may be us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display window 111a to use a mode having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It is preferred to be provided.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과 제2하우징(130)이 접철된 상태에서 제1하우 징(110)을 회전시킨는 제2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A second state in which the first housing 110 is rotated in the folded state of the base housing 120 and the second housing 130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인터넷이나 메일 등을 사용하거나 두 개의 서로 대향한 화면을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제2상태로 구비하기 위해서 상기 제1하우징(110)을 상기 제2하우징(130)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의 접철된 상태에서 회전시킨다. The first housing 110 of the second housing 130 and the base housing 120 may be provided in a second state so that a user may use the Internet or an e-mail or two opposite screens. Rotate in the folded state.

이로 인해, 상기 제1하우징(110)의 후면에 구비된 상기 제2디스플레이 창(111b)이 개방됨과 아울러 상기 제1하우징(110)의 후면과 접철되어 있던 상기 제2하우징(130)의 상기 제3디스플레이 창(131a)이 개방된다. As a result, the second display window 111b provided at the rear side of the first housing 110 is opened and the second housing 130 which is folded with the rear side of the first housing 110 is opened. The three display window 131a is opened.

상기 제2,3 디스플레이 창 역시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다. The second and third display windows are also configured as touch screens.

상기 제2상태에서는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어 개방된 상기 제2,3 디스플레이 창(111b,131a)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서로 대향한 디스플레이 장치(111a)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 상기 제2상태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인터넷이나 노트북과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하는 노트북 모드나, 멀티 화면을 사용하도록 하는 디엠비 모드나, 게임 모드, 전자사전 모드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기본적으로 노트북 모드로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the second state, since the second and third display windows 111b and 131a formed to face each other can be used, functions that can use both of the display devices 111a facing each other can be used in the second state. Us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se the laptop mode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Internet or the laptop, the DMB mode to use the multi screen, the game mode, the electronic dictionary mode, etc., and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the laptop mode basically. .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 장치(100)를 노트북 모드로 사용시 접속되는 홈페이지를 디스플레이 창으로 표시하도록 사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As illustrated in FIG. 11,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use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to display the homepage to be connected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used in the notebook mod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제2상태에서,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홈페이지의 메인 메뉴를 접속하게 되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창(111b)에는 사이트의 메인 메뉴(이하 상부 메뉴(Y))가 표시된다. 상부 메뉴(Y)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하부 메뉴(y)의 텍 스트를 선택하여 터치식으로 클릭하게 되면, 선택된 상기 하부 메뉴(y)는 상기 제3디스플레이 창(131a)으로 표시되어 사용자는 하부 메뉴(y)의 텍스트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In the second state, when the user accesses the main menu of the desired homepage by accessing the Internet, the main display of the site (hereinafter, the upper menu Y)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window 111b. When the user selects the text of the desired lower menu y and touch-clicks the upper menu Y, the selected lower menu y is displayed as the third display window 131a so that the user You can check the text of (y).

또한,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 창(111b)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상부 메뉴(Y) 상에서 다른 하부 메뉴(y)를 다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른 하부 메뉴의 텍스트를 확인하기 위해 하부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다른 하부 메뉴는 다시 상기 제3디스플레이 창(131a)에 겹쳐서 표시되어 진다. 그러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처음 선택된 하부 메뉴(y)는 상기 제2하우징(130)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제3디스플레이 창(131a)으로 표시되고, 두 번째 선택된 다른 하부 메뉴는 상기 제2하우징(130)의 후면에 형성된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131b)으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state, the user may again select another lower menu y on the upper menu Y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window 111b. When the user selects a submenu to check the text of another submenu, the selected submenu is overlaid on the third display window 131a again. However,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the first sub menu y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as the third display window 131a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housing 130, and the second selected sub menu is the second housing 130. It may also be displayed as the fourth display window (131b) formed on the back of the).

따라서, 만약 사용자가 다른 하부 메뉴를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131b)으로 표시되도록 설정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2하우징(130)을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131b)에 표시된 다른 하부 메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f the user sets another lower menu to be displayed as the fourth display window 131b, the user rotates the second housing 130 in the base housing 120, thereby the fourth display window 131b. You will be able to see the other submenus shown in).

그러므로 상기 상부 메뉴(Y)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창에 항상 표시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선택된 상부 메뉴(Y)의 상기 하부 메뉴(y)는 다른 디스플레이 창으로 각각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멀티 텍스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pper menu (Y) is always displayed on one display window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and the lower menu (y) of the selected upper menu (Y) can be displayed on the other display window, respectively. You can use multiple texts.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제2상태에서, 사용자가 노트북 모드로 사용 시 개인 메일 함을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하여 사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second state, it will be described by using an example of displaying a personal mailbox on a display window when the user uses the notebook mode.

사용자의 메일 확인을 위해 개인 메일 함을 열어, 개인 메일 함의 메인 화면을 상기 제2디스플레이 창(111b)에 표시한다. 개인 메일 함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메일을 선택하여 화면을 클릭하게 되면, 선택된 메일의 텍스트는 상기 제3디스플레이 창(131a)으로 표시된다. The personal mailbox is opened to check the user's mail, and the main screen of the personal mailbox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window 111b. 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mail and clicks a screen in the personal mailbox, the text of the selected mail is displayed on the third display window 131a.

이로 인해 사용자는 메일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is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mail.

또한, 상기 제2디스플레이 창(111b)에서 다른 메일을 확인하기 위해 다른 메일을 선택하여 화면을 클릭하게 되면, 선택된 다른 메일의 텍스트는 상기 제3디스플레이 창(131a)으로 겹쳐져 표시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처음 선택된 메일은 제2하우징(130)의 제3디스플레이 창(131a)으로 다른 메일은 상기 제2하우징(130)의 제4디스플레이 창(131b)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another mail is selected and the screen is clicked in order to check another mail in the second display window 111b, the text of the other selected mail is superimposed on the third display window 131a. However,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the first selected mail may be displayed as the third display window 131a of the second housing 130 and another mail may be displayed as the fourth display window 131b of the second housing 130. .

따라서, 만약 사용자가 다른 메일을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131b)으로 표시되도록 설정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2하우징(130)을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131b)에 표시된 다른 메일도 함께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f the user sets another mail to be displayed in the fourth display window 131b, the user rotates the second housing 130 in the base housing 120, thereby the fourth display window 131b. You will also be able to see other e-mails shown in.

그러므로 메일의 메인 화면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창에 항상 표시되게 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선택된 메일의 하부 메뉴는 다른 디스플레이 창으로 각각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다수개의 메일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main screen of the mail is always displayed in one display window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and the submenu of the selected mail can be displayed in a different display window so that the user can check multiple mails at the same time. .

또한,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에서 상기 제1,2하우징(110,130)이 회전된 제 3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In addition, a third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30 are rotated in the base housing 120 will be described.

상기 제3상태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에서 상기 제1,2하우징이 회전된 상태로서, 상기 제1하우징(110)을 회전시킨 후 상기 제2하우징(130)을 회전하여 상기 제1,2 하우징(110,130)을 접철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제1,2 하우징(110,130)을 접철시킨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에서 바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third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re rotated in the base housing 120. After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re rotated, the second and second housings 130 are rotated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The housings 110 and 130 may be configured to be folded, and the housings 110 and 130 may be directly rotated in the base housing 120 whil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30 are folded.

상기 제3상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130)의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131b)과 대면된 면에 형성된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의 일면에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단면 디스플레이 장치(111a)나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111a) 또는 쿼티 키패드(121)가 구비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쿼티 키패드(121)를 구비하는 것이다. In the third state, one surface of the base housing 120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30 facing the fourth display window 131b may b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use. The double-sided display device 111a or the QWERTY keypad 121 is provided, and most preferably, the QWERTY keypad 121 is provided.

따라서, 상기 제3상태에서는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131b)과 상기 쿼티 키패드(121)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게임 모드, 전자사전 모드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에 쿼티 키패드(121) 대신에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되면 노트북 모드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third state, functions for enabling the fourth display window 131b and the qwerty keypad 121 to be used are used. For example, a game mode, an electronic dictionary mode, or the like can be used, and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window is provided in place of the QWERTY keypad 121 in the base housing 120,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notebook mode.

상기 제3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100)를 전자 사전으로 사용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In the third state, an example of us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s an electronic dictionary will be described.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쿼티 키패드를 누르거나 터치에 의하여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131b)에는 일반적인 전자사전과 같이 단어의 정보들이 표시된다. When a desired word is input by pressing or touching the QWERTY keypad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housing 120, information of words is displayed on the fourth display window 131b as in a general electronic dictionary.

따라서, 상기 제1,2,3 상태에 따라 각각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하나의 휴대용 전자 장치(100)를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기능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 창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여 메인 디스플레이 창을 중심으로 메인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된 여러 개의 하부 메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may be used through on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ates, and the main display window may be set according to the multimedia function used. At the same time, several submenus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window can be checked at the same time.

또한,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의 일단면에 형성된 상기 제 1사이드 힌지 암 사이로 상기 센터 힌지암(142)에 오도록 상기 제2하우징(130)을 상기 베이스 하우징(120)의 상단에 구비시킨다. 12 to 15, the assembly proces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2, the first side hinge formed on one end surface of the base housing 120. The second housing 130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housing 120 so as to be between the arms and the center hinge arm 142.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사이드 힌지암(141)과 상기 센터 힌지암(142)이 결합된 일단면을 보면, 4군데의 빈 공간이 형성되는데,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사이드 힌지암(141)과 상기 센터 힌지암(142) 사이에는 하우징들이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모듈(144)이 설치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3, when one side surface of the first side hinge arm 141 and the center hinge arm 142 are combined, four empty spaces are formed, as shown in FIG. 14. The hinge module 144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ide hinge arm 141 and the center hinge arm 142 so that the housings can rotate with each other.

이 상태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4군데의 빈 공간에 상기 제1하우징(110)의 상기 제2사이드 힌지암(143)을 맞물리게 하여 결합시킨다.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5, the second side hinge arm 143 of the first housing 110 is engaged with and coupled to the four empty spaces.

이로 인해,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책자처럼 넘길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provided to be turned over like a bookle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예를 들어, 베이스 하우징을 중심으로 제1,2 하우징의 두개의 하우징만을 회전하도록 구비하였으나, 그 쓰임이나 사용에 따라 베이스 하우징(1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하우징을 더 많이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although only two housings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re rotated around the base housing,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more housings that rotate around the base housing 120 according to their use or use.

또한, 각 모드에 따라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 장치를 상기 베이스, 제1,2 하우징의 어느 곳에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a speaker device for allowing sound to be heard in each mode in any of the base an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또한, 힌지부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중심으로 제1,2 하우징을 회전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센터 힌지암, 제1,2 사이드 힌지 암 및 힌지 모듈로 구비하였으나, 회전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그 형태는 구조는 얼마든지 변경가능하다. In addition, the hinge unit is a device capable of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round the base housing, and provided with a center hinge arm, first and second side hinge arms, and a hinge module, but the shape may be rotatable. The structure can be changed at any time.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미디어 용 바형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Figure 1a is a diagram showing a bar terminal for a multimedia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미디어 용 폴더형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Figure 1b is a diagram showing a folder-type terminal for multimedia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미디어 용 슬라이딩형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Figure 1c is a view showing a sliding terminal for a multimedia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미디어 용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바형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Figure 1d is a diagram showing a bar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for multimedia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4에서 인터넷을 사용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Internet in FIG.

도 3은 도 4에서 개인 메일함을 사용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personal mailbox in FIG.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제1상태를 나타낸 도면.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stat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은 도 4 및 도 5의 A-A'선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S. 4 and 5.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베이스 하우징 및 제2하우징에서 제1하우징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housing is rotated in a base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제2상태를 나타낸 도면.8 illustrates a second stat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제3상태를 나타낸 도면. 9 illustrates a third stat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네비 게이션 모드로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used in a navigation mode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제1상태에서 인터넷 모드로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used in an internet mode in a first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조립 순서 및 힌지부의 장착 과정을 나타낸 도면. 12 to 15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ssembling procedur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ounting process of a hinge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laims (14)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있어서,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베이스 하우징;A base housing;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하우징;A first housing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base housing and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housing;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접철됨과 아울러 회전되는 제2하우징; At least one second housing disposed between the base housing and the first housing, the second housing being folded and rotated between the base housing and the first housing;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각각 구비되고, 단일의 플레이트로 구비되어 상기 제1,2 하우징의 전,후면으로 각각 상이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A display devic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d provided as a single plate to display different screen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nd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And a hinge portion configured to rotate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n the bas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The display device,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전,후면으로 각각 다른 화면을 표시하는 단일의 제1양면 구동 디스플레이 부와, A single first two-sided driving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and displaying different screen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전,후면으로 각각 다른 화면 을 표시하는 단일의 제2양면 구동 디스플레이 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And a single second two-side driv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and displaying different screen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cond housing.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양면 구동 디스플레이부는 단일의 패널로 이루어지며, The first two-side drive display unit is made of a single panel, 상기 제1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되어 화면을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 창과, 상기 제1하우징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과 상이한 화면을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 창으로 구비되고, A first display window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o display a screen, and a second display window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o display a different screen from the first display window, 상기 제2양면 구동 디스플레이부는 단일의 패널로 이루어지며, The second two-sided driving display unit is formed of a single panel, 상기 제2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되어 화면을 상기 제1,2 디스플레이 창과 상이한 화면을 표시하는 제3디스플레이 창과, 상기 제2하우징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2,3 디스플레이 창과 상이한 화면을 표시하는 제4디스플레이 창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A third display window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second housing to display a screen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windows, and a screen different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play window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second ho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s a fourth display window.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순서대로 접철시킨 제1상태에서는 상기 제1하우징의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은 항상 외부로 개방되게 구비되며, In the first state in which the first housing, the second housing and the base housing are folded in order, the first display window of the first housing is always provided to be opened to the outside.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을 회전시킨 제2상태에서는 상기 제1하우징의 상기 제2디스플레이 창과 상기 제2하우징의 제3디스플레이 창이 외부로 개방되게 구비되며, The second display window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third display window of the second housing are opened to the outside in the second state in which the first housing is rotated while the second housing and the base housing are folded. ,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서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을 접철시켜 회전시킨 제3상태에서는 상기 제2하우징의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And the fourth display window of the second housing is opened in a third state in which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folded and rotated in the base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은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메인 화면을 형성하고, In the first state, the first display window forms a main scree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 창과 상기 제3디스플레이 창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메인 화면을 형성하며,At least one of the second display window and the third display window in the second state forms a main scree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제3상태에서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은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메인 화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And the fourth display window forms a main scree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the third state.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된 메뉴의 선택시, 선택된 상기 메뉴의 화면은 상기 제3디스플레이 창으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 자 장치. In the second state, when the menu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window is selected, the screen of the selected menu is displayed as the third display window.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는 송,수신 모드, 디엠비 모드, mp3 모드, 카메라 모드, 네비게이션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구비되며, In the first stat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a DMB mode, an mp3 mode, a camera mode, and a navigation mode. 상기 제2,3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는 노트북 모드, 디엠비 모드, 게임 모드, 전자사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the second and third state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notebook mode, a DMB mode, a game mode, and an electronic dictionary mode.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3상태에서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과 대면되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일면에는 상기 제4디스플레이 창을 조작 가능하게 하는 입력키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And an input key for operating the fourth display window on one surface of the base housing facing the fourth display window in the third state.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입력키는 쿼티키 배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And the input key is provided in a qwerty key arrangement.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입력 키는 터치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And the input key comprises a touch key.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힌지부는,The hinge portion,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사이드 힌지암;At least one first side hinge arm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se housing; 상기 제2하우징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사이드 힌지 암 사이에 결합되는 센터 힌지암;A center hinge arm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housing and coupled between the first side hinge arms;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사이드 힌지암의 양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1사이드 힌지암과 상기 센터 힌지 암 사이에 결합되는 제2사이드 힌지암; 및 A second side hinge arm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side hinge arm and coupled between the first side hinge arm and the center hinge arm; And 상기 제1,2 사이드 힌지 암 및 상기 센터 힌지암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제1,2 사이드 힌지 암 및 상기 센터 힌지 암을 서로 결합시킴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모듈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inside the first and second side hinge arm and the center hinge arm,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hinge arm and the center hinge arm is coupled to each other and provided with a rotating module to be rotatable. Characterized by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제 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힌지 모듈은 산형부와 골형부로 구비되어 서로 대면된 힌지 샤프트와 힌지 캠 및 상기 힌지 캠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 캠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힌지 스프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The hinge module may include a hinge shaft, a hinge cam, and a hinge spr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hinge cam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of the hinge cam. 제 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1,2,3 하우징은 상기 제1,2 및 센터 힌지 암의 내측으로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ing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and center hinge arms through a flexible circuit board.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하우징의 상기 제1디스플레이 창의 상,하단에는 송,수신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is provid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display window of the first housing.
KR1020080067615A 2008-07-11 2008-07-11 Port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KR1015017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615A KR101501771B1 (en) 2008-07-11 2008-07-11 Port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615A KR101501771B1 (en) 2008-07-11 2008-07-11 Port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127A true KR20100007127A (en) 2010-01-22
KR101501771B1 KR101501771B1 (en) 2015-03-12

Family

ID=4181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615A KR101501771B1 (en) 2008-07-11 2008-07-11 Port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77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6148B1 (en) 2012-05-14 2013-04-09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674900B2 (en) 2012-05-14 2014-03-18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80598A (en) * 2012-12-28 2015-07-09 인텔 코포레이션 Dual configuartion computer
US9575708B2 (en) 2012-05-14 2017-02-21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444A1 (en) * 2019-04-11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auxiliary device coupled theret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131B1 (en) * 2003-11-26 2011-03-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ortable Mobile-Phone with Dual Display Divice
KR100744295B1 (en) * 2005-09-27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6148B1 (en) 2012-05-14 2013-04-09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3172507A1 (en) * 2012-05-14 2013-11-21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593371B1 (en) 2012-05-14 2013-11-26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674900B2 (en) 2012-05-14 2014-03-18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872730B2 (en) 2012-05-14 2014-10-28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575708B2 (en) 2012-05-14 2017-02-21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710213B2 (en) 2012-05-14 2017-07-18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80598A (en) * 2012-12-28 2015-07-09 인텔 코포레이션 Dual configuartion computer
US9830068B2 (en) 2012-12-28 2017-11-28 Intel Corporation Dual configuration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771B1 (en)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6325B2 (en) Triple-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EP2319231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dual sliding flip hinge assembly
EP1950937A2 (en) Portable apparatus
EP1806909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JP2006174506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flexible display
JP2009153224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7764489B2 (en) Multimedi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501771B1 (en) Port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KR20040025624A (en) Dual slide display
US827512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combined slider and flip hinge assembly
KR100876790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multimedia
EP1901532A2 (en) Flip-up type mobile phone
US20080125198A1 (en) Portable multimedia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8006878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222058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different configurations
JP4695661B2 (en) Electronics
EP2066102A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ransparent touch control section
KR20060032881A (en) Mobile phone having a pluraility of screens and control method of menu list indication using same
JP2002369252A (en) Portable telephone terminal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s display
CN102202116B (en) Portable electric device and browse the method for information on it
JP2003198685A (en) Portable terminal
KR100800829B1 (en) Game/communication portable device
US20050202878A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game function
KR100650862B1 (en) Sw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B2434275A (en) Electronic device with rotary and linear movement between two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