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017A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017A
KR20100004017A KR1020080064104A KR20080064104A KR20100004017A KR 20100004017 A KR20100004017 A KR 20100004017A KR 1020080064104 A KR1020080064104 A KR 1020080064104A KR 20080064104 A KR20080064104 A KR 20080064104A KR 20100004017 A KR20100004017 A KR 20100004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touch
mobile terminal
display
proxim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1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04201B1 (en
Inventor
김한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4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201B1/en
Priority to US12/433,091 priority patent/US8170620B2/en
Publication of KR20100004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0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2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displaying a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are provided to change keypad display based on a character kind selected by pre-inputted data touch/approach. CONSTITUTION: A display unit(151)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and a keypad. A sensing unit(140) senses the touch and/or approach of the display unit. A controller(180) changes the keypa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detected touch and/or approach. If the touch is maintained during fixed time, the controller converts input mode into operation mode.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 및/또는 근접 센싱을 이용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keypad display method thereof which can change the keypad display using touch and / or proximity sensing.

이동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Examples of such various functions includ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aking pictures or videos through a camera, storing voices, playing music files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displaying images or videos. Some mobile terminals include additional functionality to play games, while others are implemented as multimedia devices. Moreover, recent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broadcast or multicast signals to watch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In addition, efforts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continue. The above efforts include not only changes and improvements in structural components forming the mobile terminal, but also improvements in software and hardware.

최근에는 이동단말기에 터치스크린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보다 편리하게 데이터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Recently, as the use of a touch screen in a mobile terminal increases, researches on a user interface for performing data input on a touch screen more conveniently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본 발명은 터치/근접 센싱을 이용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for changing a keypad display by using touch / proximity sensing and a keypad display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드래그 방향에 근거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for changing the keypad display based on the drag direction and a keypad display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기입력된 데이터 터치/근접에 의해 선택된 문자 종류에 근거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 keypad display method thereof for changing the keypad display based on the type of character selected by data touch / proximity.

또한, 본 발명은 각종 다양한 정보가 각 키에 할당된 키패드를 표시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 keypad display method thereof for displaying a keypad in which various information is assigned to each key.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각종 정보 및 키패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및/또는 근접을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감지된 터치 및/또는 근접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키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keypad,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touch and / or proximity of the display unit, the sensed touch and / or And a controller for changing a keypa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proximity.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 및/또는 근접에 의한 드래그 방향에 근거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한다.The controller changes the keypad display based on the sensed drag direction by the touch and / or proximity.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 지점의 데이터 종류에 근거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한다.The controller changes the keypad display based on the detected data type of the touch poin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터치 및 근접 센싱을 이용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change the keypad display using touch and proximity sensing.

또한, 본 발명은 근접 또는 터치 드래그 방향에 근거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keypad display based on the proximity or touch drag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기 입력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문자 종류에 근거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change the keypad display based on the selected character type when any one of the previously input characters is selected.

또한, 본 발명은 단축키, 사용자 지정, 최근 통화 목록, 사용빈도가 높은 사진 등과 같은 정보를 각 키에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화번호와 같은 정보를 문자메시지에 삽입할 때 간단한 키 조작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ssign information such as a shortcut key, a user designation, a recent call list, a high frequency of use, and the like to each key. Therefore, when inserting information such as a telephone number into a text message, desired information can be input through simple key manipula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등이 있다.The mobile terminal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or a navigation (Navigation). Etc.

도시된 이동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 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The illustrated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d a memory 160. ,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ler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included. 1 shows a mobile terminal having various components. However, not all illustrated components are essential components.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illustrated components, and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turn.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단말기(100)와 이동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and the like.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 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and in particula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nd media forward link (MediaFLO). Digital broadcast signals can be received us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only),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 systems providing broadcast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 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may be internal or external.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etc. may be used.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check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ne example is the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The GPS module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represented by latitude and longitude. For example, the GPS module can measure the exact time and distanc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accurately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by triangulating three different distances. A method of obtaining distance and time information from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the error with one satellite may be used. In particular, the GPS module can obtain not only the location of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but also accurate time together with three-dimensional speed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atellite.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 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all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pect of the terminal.

마이크(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output in the call mode. The microphone 122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51 described later,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센싱부(140)는 이동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단말기의 방위, 이동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 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40 detect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ke.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if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with powe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ired / wireless headset ports, external charger ports, wired / wireless data ports, memory card ports, ports for connecting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s, Video I / O (Input / Output) port, earphone port, etc. may be included.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Her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author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nd a 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evice equipped with the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mart card.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a port.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or power from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or transmits the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 sound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a UI, or a GUI.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 OLED(transparent OLED: 'TOLED')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touch pad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to form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 transparent OLED ('TOLED'). In addition,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an ex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nd an in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이동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 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and key signal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the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vibration.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vibration to inform this. Alternatively, when a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vibration in response to the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vibration outpu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the event. Of course, the signal for event occurrence notification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sound output module 152.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80 and may provid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be don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of the optical disk.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60 on the Internet.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And 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playing multimedia.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the lik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It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18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In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allow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o be performed.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executed by the controller 180.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appearan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lider type mobile terminal is described as an example among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and the like for clarit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lider type mobile terminal, bu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mobile terminals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type.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200 and a second body 205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200.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200 is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second body 205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body 200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body 205. The exposed stat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N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mobile terminal 100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a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a user's manipulation.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or the like in an open state, but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manipulation o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1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body 200 is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220 and the first rear case 225.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220 and the first rear case 225.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ont case 220 and the first rear case 225.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바디(200), 구체적으로 제1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the audio output module 152, the camera 121, or the first user input unit 21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ody 200, specifically, the first front case 220.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nd the like, which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ouch pad is superimposed on the display unit 151 in a layer structure, the display unit 151 may operate as a touch screen to enable input of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peaker.

카메라(12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camera 121 may be implemented to be suitab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or the like.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2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2프 론트 케이스(230)와 제2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Like the first body 200, the case forming the exterior of the second body 205 is formed by the second front case 230 and the second rear case 235.

제2바디(205), 구체적으로 제2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user input unit 215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body 205, specifically, on the front face of the second front case 230.

제2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2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user input unit 245, the microphone 122, and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second front case 230 or the second rear case 235.

상기 제1 내지 제3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user inputs 210, 215, and 245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130, and may be any method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tactile manner. Can be employed.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or a wheel or jog method of rotating a key, or a manipulation method such as a joystick. May also be implemented.

기능적인 면에서, 제1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functional aspect, the first user input unit 210 i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etc., and the second user input unit 215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또한, 제3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user input unit 245 may operate as a hot-key for activating a special function in the mobile terminal.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122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itable for receiving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 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is a passage that allows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is wired or wirelessly,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with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wireless Lan port) etc.}, or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ommodate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nd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제2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second rear case 235 side.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for example, as a rechargeable battery.

도 3는 도 2의 이동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2.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2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camera 121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rear case 235 of the second body 205.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camera 121 of the first body 200, and different pixels from the camera 121 of the first body 200. Can have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camera 121 of the first body 200 has a low pixel so that it is easy to take a picture of the user's face and transmit it to the counterpart in the case of a video call, and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has a general structure. It is desi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the subject is often photographed and not immediately transmitted.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250 and the mirror 255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The flash 250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The mirror 255 allows the user to see the user's face or the like when photographing (self-photographing) the user by using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제2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second rear case 235.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는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f the second body 205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f the first body 200,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a speakerphone mode.

또한, 제2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ntenna 260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ar case 235. The antenna 260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of the second body 205 and 2.

제1바디(200)의 제1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A portion of the slide module 265 that slidably couples the first body 200 and the second body 205 is disposed on the first rear case 225 side of the first body 200.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바디(205)의 제2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265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ront case 230 side of the second body 205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the drawing.

이상에서는 제2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camera 121 and the like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disposed in the second body 205,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2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 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1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1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260, 121 to 250, and 152 described as disposed on the second rear case 235, such as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may include the first body 200, It is also possible to be attached to the first rear case 225 mainly. If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disposed in the first rear case 225 in the closed state are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205. Furthermore, even if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is not provided separately, the camera 121 of the first body may be rotatably formed so that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may be photographed up to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S. 1 to 3 may be operated in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 frame or packet, includ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satellite-based communication system. It can be configured to.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The communication system may use different air interfaces and / or physical layers. For example, a radio interface usable by a communication system may include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 (especially Long Term Evolution (LT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etc. May be includ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CDMA. However,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communication systems including the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100,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BS) 270, and 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275. ), And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280. The MSC 28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290 and is also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BSCs 275. The BSCs 275 may be coupled to the BS 270 through a backhaul line. The backhaul lin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E1 / 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or xDSL. Thus, a plurality of BSCs 275 may be included in the system shown in FIG.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Each BS 270 may include at least one sector, and each sector may include an omnidirectional antenna or an antenna pointing radially out of BS 270. In addition, each sector may include two or more antennas of various types. Each BS 27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 plurality of frequency assignments, each of which has a specific spectrum (eg, 1.25 MHz, 5 MHz, etc.).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The intersection of sectors and frequency assignments may be called a CDMA channel. BS 270 may be referred to as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 In this case, the word "base station" may be called the sum of one BSC 275 and at least one BS 270. The base station may also indicate “cell site”. Alternatively,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ors for a particular BS 270 may be called a plurality of cell site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수신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4, a broadcasting transmitter (BT) 295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to terminals 100 operating in the system.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shown in FIG. 1 is provided in the terminal 100 to receive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by the BT 295.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In addition, FIG. 4 illustrates multipl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s (GPS) satellites 300. The satellites 300 help to locate the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0. Although two satellites are shown in FIG. 4, useful lo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two or less or more satellites.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shown in FIG. 1 cooperates with the satellites 300 to obtain desired location information. Here, the location can be tracked using not only the GPS tracking technology but also all the technologies capable of tracking the location.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GPS satellites 300 may optionally or additionally be responsible for satellite DMB transmiss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 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 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During typical ope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S 270 receives a reverse link signal from various terminals 100. At this time, the terminals 100 are connecting a call, transmitting or receiving a message, or performing another communication operation. Each of the reverse link signals received by a particular base station 270 is processed within by the particular base station 270. The data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BSC 275. BSC 275 provides call resource allocation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s, including the organization of soft handoffs between base stations 270. In addition, the BSC 275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MSC 280, and the MSC 280 provides an additional transmission service for connection with the PSTN 290. Similarly, PSTN 290 connects with MSC 280, MSC 280 connects with BSCs 275, and BSCs 275 send BSs 270 to transmit a forward link signal to terminals 100. ).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에서 터치 및 근접 센싱을 이용하여 키패드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controlling a keypad display using touch and proximity sensing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터치(touch)는 위치 지정 도구(pointing device)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접촉되는 상태를 말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지정 도구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특정 지점을 지정하기 위한 도구를 말하며, 사용자 손가락 및 스타일러스(stylus), 라이트펜(light pen) 등이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A touch refers to a state in which a pointing device contacts the display screen. Here, the positioning tool refers to a tool for designating a specific point on the display screen, and includes a user finger, a stylus, a light pen,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51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근접(proximity)은 상기 위치 지정 도구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접촉하지 않고, 화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Proximity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ing tool does not touch the display screen and is a distance from the scree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센싱부(140)를 통해 터치 및 근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touch sensor) 및/또는 근접을 감지할 수 있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를 구비할 수 있다.That is,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the touch and the proximity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touch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and / or a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a proximity.

근접센서는 위치 지정 도구가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대응되는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근접센서는 상기 위치 지정 도구의 접근 거리에 따라 변화하는 정전용량에 근거하여 상기 위치 지정 도구와 센서 사이의 거리(근접 거리)를 검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는 상기 위치 지정 도구가 접근하면 위치 지정 도구와 수직으로 대응되는 특정 지점의 위치정보(좌표값)를 출력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detects when the positioning tool approache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creen and generates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ensing signal. That is, the proximity sensor may detect and output a distance (proximity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ing tool and the sensor based on the capacitance changing according to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positioning tool. 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or may output position information (coordinate value) of a specific point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tool when the positioning tool approaches.

뿐만 아니라, 상기 근접센서는 상기 위치 지정 도구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향해 접근하는 속도(근접 속도) 또는 위치 지정 도구가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속도(근접 속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는 위치 지정 도구가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서 위치하는 상태에서 근접 지점이 이동하는 근접 드래그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or may detect a speed (proximity speed) at which the positioning tool approaches the display screen or a speed (proximity speed) at which the positioning tool moves away from the display screen. 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or may detect a proximity drag in which the proximity point moves while the positioning too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play screen.

본 명세서에서는 정전용량식 근접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다양한 타입의 근접센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may be implemented by changing to various types of proximity sensors.

터치센서는 상기 위치 지정 도구의 접촉이 감지되는 해당 지점의 위치 정보(좌표값)를 출력한다. 이러한 터치센서는 정전식 및 정압식 등 다양한 형태의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드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표시장치로서뿐만 아니라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outputs position information (coordinate value) of the corresponding point where the contact of the positioning device is detected. The touch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touch pads, such as capacitive and static pressure. In addition, the touch pa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by forming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51, so that th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as well as a display device.

센싱부(140)는 터치 및 근접에 의한 드래그(drag) 거리, 드래그 방향, 드래그 속도, 플릭킹(flicking) 방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드래그는 터치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터치 지점이 이동하는(변경되는) 상태를 말한다.The sensing unit 140 may detect a drag distance, a drag direction, a drag speed, a flicking direction, etc. due to touch and proximity. The drag refers to a state in which a touch point moves (changes) while a touch is maintained.

도 5는 터치 및 근접이 감지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touch and a proximity are sensed.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140)는 위치 지정 도구가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소정 거리(D) 이내의 영역에 위치할 때만 근접으로 감지할 수 있다(a). 여기서, 상기 소정 거리(D)는 근접 센서가 위치 지정 도구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근접 감지 영역을 말한다. 따라서, 근접 감지 영역 내에 위치 지정 도구(예컨대, 사용자 손가락)가 위치하게 되면 센싱부(140)는 상기 위치 지정 도구를 감지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sensing unit 140 may detect proximity when the positioning tool is located in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D from the display unit 151 (a). Here, the predetermined distance (D) refers to a proximity detection area in which the proximity sensor can detect the approach of the positioning tool. Therefore, when the positioning tool (for example, the user's finger) is positioned in the proximity sensing area, the sensing unit 140 may detect the positioning tool.

반면, 위치 지정 도구가 근접 감지 영역을 벗어난 공간에 위치하게 되면 센싱부(140)는 위치 지정 도구를 감지할 수 없게 된다(b). 즉, 근접 감지 영역 내에 존재하던 위치 지정 도구가 상기 근접 감지 영역을 벗어나면 제어부(180)는 근접이 해제된 것으로 인식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sitioning tool is located in a space outside the proximity sensing area, the sensing unit 140 may not detect the positioning tool (b). That is, when the positioning tool existing in the proximity sensing region is out of the proximity sensing region,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that the proximity is released.

또한, 센싱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 화면상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위치 지정 도구가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맞닿으면 센싱부(140)는 위치 지정 도구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40 may detect a contac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1. That is, when the positioning tool touches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1, the sensing unit 140 may detect a touch of the positioning tool.

반면, 위치 지정 도구가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떨어지면 센싱부(140)는 위치 지정 도구를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이동단말기(100)는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sitioning tool is separated from the display unit 151, the sensing unit 140 may not detect the positioning tool.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100 recognizes that the touch is released.

디스플레이부(151)는 적어도 둘 이상의 표시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1표시영역 및 키패드를 표시하는 제2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키패드는 아이콘 또는 이미지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키패드를 구성하는 각 키별로 아이콘 및 이미지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be divided into at least two display area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ase in which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1 is divided into a first display area displaying data input by a user and a second display area displaying a keypa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ere, the keypa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con or an imag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con or an image for each key constituting the keypad.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140)를 통해 입력모드(방식)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을 감지하면 그 감지된 입력에 따라 키패드 표시를 변경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모드는 한글모드, 영문모드, 특수문자(기호 및 이모티콘)모드, 숫자모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180 detects an input for changing an input mode (method)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the controller 180 changes the keypad display according to the detected input. Here, the input mode may be divided into a Korean mode, an English mode, a special character (symbol and emoticon) mode, and a numeric mode.

이하, 제2표시영역에 표시되는 키패드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중 사용자가 입력모드를 변경하는 경우, 제어부(180)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when the user changes the input mode while inputting data through the keypad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area,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will be described.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문자, 숫자, 기호 등) 입력이 요구되는 특정 기능(예컨대, 메시지, 메모, 스케줄, 전화걸기 등)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영역과 상기 데이터 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표시하는 제2표시영역으로 구분한다.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1 to the user when a specific function (eg, a message, a memo, a schedule, a call, etc.) that requires input of data (letters, numbers, symbols, etc.) is selected by the user. The display device is divided into a first display area for displaying data input by a second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 keypad for data input.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터치 또는 근접과 같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에 의해 감지된 입력이 입력모드(방식) 변경명령이면 제어부(180)는 입력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상태로 동작모드를 전환한다. 즉, 키패드를 통한 입력을 중단하고, 동작모드가 전환됨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키패드를 흐리게 표시하거나 또는 입력모드 변경을 위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an input such as a touch or a proximity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If the input sensed by the sensing unit 140 is an input mode (method) change command, the controller 180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a state in which the input mode can be changed. That is, the keypad may be stopped and the keypad may be blurred or an icon for changing the input mode may be displayed so that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사용자 입력에 의해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입력모드가 기설정된 입력모드와 불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선택된 입력모드가 기설정된 입력모드와 다른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입력모 드에 대응되는 키패드를 표시한다.When an input mode is selected by a user input, the controller 180 checks whether the selected input mode is inconsistent with a preset input mode. 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selected input mode is different from the preset input mode,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keypa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put mod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는 드래그 방향에 근거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of displaying a keypa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describes changing the keypad display based on the drag direction.

먼저, 센싱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 화면의 터치를 감지한다(S101). 즉, 센싱부(140)는 키패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2표시영역(402)에 사용자 손가락과 같은 위치 지정 도구가 접촉(터치)되면 이를 감지한다First, the sensing unit 140 detects a touch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1 (S101). That is, the sensing unit 140 detects when a positioning tool such as a user's finger touches (touches) the second display area 402 of the display unit 151 on which the keypad is displayed.

상기 터치가 감지된 후, 상기 터치 입력이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모드(키패드 표시)를 변경할 수 있는 상태로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전환한다(S103).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입력이 2~3초 이상 유지되면 롱터치(long touch)로 인식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할 수 있는 동작모드로 전환한다.After the touch is detected, if the touch inpu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80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to a state in which an input mode (keypad display) can be changed (S103). For example, if the touch input is maintained for 2 to 3 seconds or more,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a long touch and switches to an operation mode that can change the keypad display.

상기 동작모드가 입력모드 변경 설정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모드 변경을 위한 안내표시자(501 내지 504)을 표시한다(S105). 즉, 드래그 방향별로 할당된 입력모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안내표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키패드 위에 중첩시켜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mode is changed to a mode in which the input mode can be changed,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guide indicators 501 to 504 for changing the input mode (S105). That is, the guide display may be superimposed on the keypa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input mode assigned to each drag direction.

이어서, 사용자가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드래그를 감지하며 드래그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한다(S107). 여기서, 상기 드래그는 터치 드래그이거나 근접 드래그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래그 거리는 터치 또는 근접이 감지된 일 지점(터치 또는 근접이 감지된 시작 지점)과 다른 일 지점(터치 또는 근접이 해제된 지점) 사이의 직선거리를 의미한다.Subsequently, when the user performs a drag operation, the controller 180 detects a drag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and detects a drag distance and a direction (S107). Here, the drag may be performed in the form of touch drag or proximity drag. In addition, the drag distance means a straight line distance between one point where a touch or a proximity is detected (a starting point where a touch or a proximity is detected) and another point (a point where the touch or proximity is released).

상기 감지된 드래그 거리가 소정 거리(기준 거리) 이상이면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드래그 방향에 대응되는 입력모드로 변경하며 해당 키패드를 표시한다(S109). 즉, 제어부(180)는 키패드를 구성하는 키 정렬 및 각 키에 할당되는 문자(한글, 영문, 숫자, 특수문자, 이모티콘 등)를 변경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드래그 방향에 근거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된 키패드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동작모드를 변경한다.If the detected drag dista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reference distance), the controller 180 changes to an input mod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drag direction and displays a corresponding keypad (S109). That is, the controller 180 changes the key arrangement constituting the keypad and the characters (Korean, English, numbers, special characters, emoticons, etc.) assigned to each key. Here, the controller 180 changes and displays the keypad display based on the drag direction and changes the operation mode to a state in which data can be input through the displayed keypad.

한편, 상기 드래그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면,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키패드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80)는 데이터 입력모드로의 전환여부를 질의하는 팝업창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전환여부를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drag distance is less than the reference distance, the controller 180 switches to an operation mode for inputting data through the keypa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pop-up window for querying whether to switch to the data input mode so that the user can select whether to switch.

도 7은 도 6의 실시 예와 관련된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associat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6.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문자 메시지 기능을 실행시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을 제1표시영역(401)과 제2표시영역(402)로 구분하고, 제1표시영역(401)에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제2표시영역(402)는 상기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기설정된(디폴트로 설정된) 언어 또는 입력모드에 대응되는 키패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에 기설정된 언어가 영어인 경우, 제어부(180)는 영문을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a user executes a text message function to send a text message, the controller 180 moves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1 to the first display area 401 and the second display area 402. The input data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401, and the keypad for inputting the data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402.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keypad corresponding to a preset language (default) or an input mode. For example, when the language preset in the terminal is English,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keypad for inputting English on the display unit 151.

이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키패드의 일 지점에 사용자 손가락이 터치되면 센싱부(14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알린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가 소정 시간(2~3초) 이상 유지되면 입력모드 변경을 위한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입력모드 변경을 위한 동작모드 변경 및 각 방향별로 할당된 입력모드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표시자(501 내지 504)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사용자 손가락의 롱터치가 감지되면 방향별로 할당된 안내표시자 '한글'(501), '영문'(502), '특수문자'(503), '숫자'(504)를 각각 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안내표시자(501 내지 504)는 일시적으로 표시되었다 사라지도록 구현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user's finger touches a point of the keypa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the sensing unit 140 detects this and notifies the controller 180. If the touch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2 to 3 seconds), the controller 180 switches to an operation mode for changing an input mode. Here, the controller 180 can display the guide indicators 501 to 504 on the display unit 151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recognize the operation mode change for changing the input mode and the input mode assigned to each direction. have. That is, when the long touch of the user's finger is sensed on the display unit 151, the controller 180 assigns the guide indicators 'Korean' 501, 'English' 502, 'special characters' 503, 'Number' 504 is displayed respectively. Herein, the guide indicators 501 to 504 may be embodied to be temporarily displayed and disappeared, or may not be displayed.

이어서, 사용자 손가락이 상기 일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일 지점과 다른 지점 사이의 직선거리를 파악하고, 그 파악된 이동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즉, 사용자 손가락이 근접 드래그 또는 터치 드래그를 수행하면 제어부(180)는 드래그 거리 및 방향을 확인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오동작 방지를 막기 위해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한 거리(드래그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지를 확인한다.Subsequently, when the user's finger moves from one point to another point,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a straight line distance between the one point and the other point, and checks whether the identified moving dista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That is, when the user's finger performs the proximity drag or the touch drag, the controller 180 checks the drag distance and the direction. Here, the controller 180 checks whether the distance (drag distance) moved by the drag oper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to prevent the malfunction.

그 확인결과, 상기 파악된 드래그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이면 제어부(180)는 변경할 입력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한다.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의해 입력모드로 '숫자'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이전 입력모드와 상기 선택된 입력모드가 동일한지를 확인하고, 상기 이전 입력모드인 '영문'과 상기 선택된 입력모드 '숫자'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입력모드로 변경하며, 동시에 그에 대응되는 키패드로 변경 표시한다. 즉, 제어부(180)는 영문 키패드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숫자모드로 입력모드가 변경되면 숫자 키패드를 표시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determined drag dist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that the input mode to be changed is selected. When 'number' is selected as an input mode by the drag input, the controller 180 checks whether a previous input mode and the selected input mode are the same, and selects the previous input mode 'English' and the selected input mode 'number'. If it is not the same, it changes to the selected input mode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changed keypad. That is,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numeric keypad when the input mode is changed to the numeric mode while displaying the English keypad.

한편, 제어부(180)는 이전 입력방식과 선택된 입력모드가 동일하면 키패드 표시를 변경하지 않고 이전 키패드 표시를 그대로 유지한다.Meanwhile, when the previous input method and the selected input mode are the same, the controller 180 maintains the previous keypad display without changing the keypad display.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키패드 표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는 기입력된 문자를 이용하여 입력모드를 전환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한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pad displa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describes changing the keypad display by switching the input mode by using previously input characters.

먼저, 센싱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키패드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1표시영역(401)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S201).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100)는 센싱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표시영역(401)에 사용자 손가락이 터치되면 이 터치를 감지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에 의해 변경할 입력모드가 선택된다.First, the sensing unit 140 may sense a touch of the first display area 401 in which data input by the keypa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is displayed (S201). That is,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touch when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first display area 401 of the display unit 151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In addition, the input mode to be changed is selected by the touch.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문을 입력하는 중 숫자 입력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프레이부(151)의 제1표시영역(401)에 기 표시되고 있는 문자들 중 숫자가 존재하면 해당 숫자를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입력모드 변경명령으로 인식한다.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input a number while inputting English, the user may touch the number if there is a number among the characters already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401 of the display unit 151. have. If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previously displayed characters,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the input mode change command.

상기 제1표시영역(401)의 터치가 감지된 후,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지점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문자 종류를 확인한다(S203). 즉, 디스플레이부(151)에 기 표시된 데이터 중 상기 터치에 의해 선택된 문자의 종류를 확인한다. 상기 문자 종류는 한글, 영문, 숫자, 특수문자(기호), 이모티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touch of the first display area 401 is detected, the controller 180 checks a character type of data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int (S203). That is, the type of the character selected by the touch among the data previ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is checked. The character type may include Korean, English, numbers, special characters (symbols), emoticons, and the lik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확인된 문자 종류에 근거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한다(S205). 즉, 제어부(180)는 이전 입력모드과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입력모드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입력모드에 대응되는 키패드를 표시한다. 즉, 입력방식이 변경되면 그 변경된 입력방식이 이전과 동일한지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변경된 입력방식이 이전과 다르면 변경된 입력방식에 대응되게 키패드 표시를 변경한다.The controller 180 changes the keypad display based on the identified character type (S205). That is,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keypa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put mode unless the same as the previous input mode and the input mode selected by the touch input. That is, when the input method is changed, the changed input method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 one. If the changed input method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ult, the keypad display is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changed input method.

한편, 상기 확인된 문자 종류가 이전 입력모드에 따른 문자 종류와 동일하면 이전의 키패드 표시를 그래도 유지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hecked character type is the same as the character type according to the previous input mode, the previous keypad display is still maintained.

본 실시 예에서는 터치를 통해 입력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롱터치 또는 근접 등을 통해 원하는 입력모드를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에 기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에 근접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그 문자 종류에 해당하는 입력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put mode is selected by using a touch as an example. However, a desired input mode may be selected through long touch or proximity. For example, when a proximity is detected to any one of the characters previ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the controller 180 may recognize that an input mod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type is selected.

도 9는 도 8의 실시 예와 관련된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associat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표시영역(401)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가 표시되고, 제2표시영역(402)에 입력모드와 관련된 키패드가 표시된다. 즉, 입력모드가 숫자 모드이면 제어부(180)는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As shown in FIG. 9, a character input by a user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rea 401 of the display unit 151, and a keypad related to the input mod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area 402. That is, if the input mode is the numeric mode,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keypad on which the number can be input on the display unit 151.

상기 제1표시영역(401)에 표시되는 문자들 중 영문에 사용자 손가락이 터치되면, 센싱부(14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알린다. 제어부(180)는 디스플 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문자들 중 특정 문자에 터치가 감지되면 변경할 입력모드의 선택으로 인식한다. 즉, 제어부(180)는 영문에 사용자 손가락이 터치되면 전환할 입력모드로 영문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한다.When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English letters among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rea 401, the sensing unit 140 detects the same and notifies the controller 180.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a selection of an input mode to change when a touch is detected on a specific character among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That is,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that the English mode is selected as the input mode to switch when the user's finger is touched in English.

상기 전환될 입력모드가 선택된 후,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입력모드에 근거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한다. 즉, 선택된 입력모드가 영문인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입력모드가 이전 입력모드(숫자 모드)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영문 키패드를 표시한다.After the input mode to be switched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changes the keypad display based on the selected input mode. That is, when the selected input mode is English,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n English keypa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put mode if the selected input mode is not the same as the previous input mode (numeric mode).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모드가 영문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제1표시영역(401)에 표시되는 문자들 중 특수문자에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기호 키패드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a touch is detected on a special character among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401 in the input mode of the English mode, the controller 180 may input the special character. It can be changed and displayed by the symbol keypad.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키패드 표시를 변경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표시되는 복수의 키패드 중 하나의 키패드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설명한다.FIG. 1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changing a keypad displa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This embodiment describes selectively displaying one keypad of a plurality of displayed keypads.

텍스트 입력 중 키패드가 표시되는 제2표시영역(402)에 롱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멀티 키패드(multiple keypad)를 상기 제2표시영역(402)에 표시한다. 여기서, 멀티 키패드는 둘 이상의 상이한 키패드를 의미한다. 즉,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롱터치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제2표시영역(402)에 적어도 둘 이상의 상이한 키패드를 표시한다.When a long touch is detect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402 where the keypad is displayed during text input,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multiple keypad on the second display area 402. Here, the multi keypad means two or more different keypads. That is,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t least two different keypads on the second display area 402 of the display unit 151 when the long touch is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이후, 사용자가 일 방향으로 플릭킹(flicking)을 수행하면, 제어부(180)는 플릭킹 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멀티 키패드를 스크롤 한다. 즉, 플릭킹을 통해 사용자는 이동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모든 키패드를 볼 수 있으며, 원하는 키패드가 나타날 때까지 플릭킹을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user performs flicking in one direction, the controller 180 scrolls the multi keypa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based on the flicking direction. That is, through flicking, the user can see all the keypads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and perform the flicking until the desired keypad appears.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멀티 키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키패드를 디스플레이부(151)의 키패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멀티 키패드 중 영문 키패드가 선택되면 제2표시영역(402)에 표시되는 키패드를 영문 키패드로 변경한다.When any one of the multi keypad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can display the selected keypad in the keypad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That is, the controller 180 changes the keypad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402 to the English keypad when the English keypad is selected among the multi keypad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양한 옵션이 할당된 멀티키에 의해 키패드 표시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한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pad displa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describes changing the keypad display by a multikey to which various options are assigned.

먼저,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멀티키(multi key)의 터치를 감지한다(S301). 여기서, 멀티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이 할당된 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멀티키는 단축키 할당, 사용자 지정, 최근 통화 목록, 빈도에 따른 통화목록 또는 사진 등과 같은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controller 180 detects a touch of a multi key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S301). Here, the multi key means a key to which at least one option is assigned. For example, a multikey can provide options such as assigning shortcuts, customizing, a list of recent calls, a call list or picture based on frequency, and the like.

상기 멀티키의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키에서 제공되는 옵션 메뉴를 표시한다(S303, S305).When the touch of the multikey is sensed,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n option menu provided by the multikey (S303 and S305).

상기 표시되는 옵션 메뉴 중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항목에 따라 키패드 표시를 변경한다(S307, S309). 즉, 제어부(180)는 선택된 항목과 관련된 정보들을 키패드를 구성하는 각 키에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키패드를 구성하는 각 키들이 단축키와 같은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If a specific item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option menu, the controller 180 changes the keypad display according to the selected item (S307 and S309). That is, the controller 180 can alloc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item to each key constituting the keypad. Thus, each key constituting the keypad may play a role as a shortcut key.

이후, 상기 변경된 키패드 중 어느 하나의 키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키에 할당된 정보를 제1표시영역(401)에 표시한다.Thereafter, when any one key of the changed keypad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displays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selected key on the first display area 401.

도 12는 도 11의 실시 예와 관련된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전화번호와 같은 특정정보를 문자메시지 내에 입력하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1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associat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11.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where a user wants to input specific information such as a phone number to another user in a text message is described as an example.

도면에 도시된 바에 같이, 사용자 손가락이 멀티키(601)를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상기 멀티키(601)의 터치를 감지한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multi key 601, the controller 180 senses the touch of the multi key 601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상기 멀티키의 터치가 감지된 후, 멀티키(601)에 할당된 옵션 메뉴(최근 통화 목록, 사진 목록, 단축키 보기 등)(602)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상기 표시된 옵션 메뉴(602)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그 선택된 항목과 관련된 정보들을 키패드의 각 키에 할당한다. 예를 들어, 옵션 메뉴(602) 중 '최근 통화 목록'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폰북과 연동하여 최근 통화 목록에 있는 전화번호들을 순차적으로 키패드의 각 키에 할당한다. 예를 들어, 최근 통화 목록에 존재하는 정보들(철이, 길동, 영희, 조이, 종희 등)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키에 할당한다. 이때, 각 키에 이름을 표시하거나 전화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After the touch of the multi-key is sensed, an option menu (recent call list, picture list, shortcut view, etc.) 602 assigned to the multi-key 60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When any one item of the displayed option menu 602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assign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item to each key of the keypad. For example, when the recent call list is selected in the option menu 602, the controller 180 sequentially assigns the phone numbers in the recent call list to each key of the keypad in association with the phonebook stored in the memory 160. . For example, information existing in the recent call list (Cheol, Gil-dong, Yeong-hee, Joy, Jong-hee, etc.) is assigned to each key as shown in the figure. At this time, a name or a phone number may be displayed on each key.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키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키에 할당된 정보를 제2표시영역(401)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180)는 키패드 중 '종희'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종희'의 전화번호를 제1표시영역(401)에 표시되는 문자메시지 내용에 삽입하여 표시한다.When at least one key of the keypa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displays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selected key on the second display area 401. That is, when 'Jonghee' is selected from the keypad, the controller 180 inserts and display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lected 'Jonghee' in the text message content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rea 401.

도 13은 도 11의 실시 예와 관련된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수 개의 멀티키(701 내지 704)를 구비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FIG. 13 illustrates another example associat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11.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aking the case of having a plurality of multi-keys (701 to 704) as an example.

먼저,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사용자 손가락의 근접을 감지한다. 즉, 멀티키(701 내지 704) 중 어느 하나의 키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키에 할당된 정보와 연동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한다.First,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proximity of a user's finger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That is, when any one of the multi keys 701 to 704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changes the keypad display in association with the information assigned to the selected key.

예를 들어, 다수의 멀티키 중 선택된 'H2' 키(702)에 사진 앨범이 맵핑된 경우,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사진 리스트와 연동하여 키패드를 구성하는 각 키에 사진을 맵핑한다. 즉, 키패드를 구성하는 각 키에 사진파일명이 표시되거나 썸네일 형태의 이미지가 각 키에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hoto album is mapped to a selected 'H2' key 702 among a plurality of multi-keys, the controller 180 links a photo to each key constituting a keypad in association with a list of photos stored in the memory 160. Map it. That is, a photo file name may be displayed on each key constituting the keypad, or a thumbnail-type image may be displayed on each key.

이후, 상기 사진리스트가 할당된 키패드 중 어느 하나의 키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그 선택된 키에 맵핑되는 사진 파일을 문자메시지에 첨부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첨부된 사진파일의 파일명을 메시지내용에 삽입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n, when any one key of the keypad to which the picture list is assigned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attaches a picture file mapped to the selected key to the text messag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insert the file name of the attached photo file into the message content and display the message.

도 14는 도 11의 실시 예와 관련된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still another example associat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11.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사용자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한다. 즉, 멀티키(701 내지 704) 중 어느 하나의 키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키에 할당된 기능과 연동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한다.As shown, the controller 180 detects a touch of a user's finger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That is, when any one of the multi keys 701 to 704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changes the keypad display in association with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selected key.

즉, 다수의 멀티키 중 선택된 'H3' 키(703)에 사용자 손가락의 터치가 감지되면, 사용빈도가 높거나 또는 사용자 임의적으로 선택된 상용어구 및 이모티콘 등을 키패드의 각 키에 맵핑한다.That is, when a touch of the user's finger is sensed by the 'H3' key 703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multi-keys, the frequently used or randomly selected commercial phrases and emoticons are mapped to each key of the keypad.

상기 키패드의 각 키에 이모티콘 맵핑이 완료된 후, 키패드의 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키에 맵핑되는 이모티콘을 제1표시영역(401)에 표시한다.After the emoticon mapping is completed on each key of the keypad, if any one of the keys of the keypad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emoticon mapped to the corresponding key on the first display area 401.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which are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also includes.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the controller 180 of the terminal.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mobi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전면 사시도.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후면 사시도.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operate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터치 및 근접이 감지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touch and a proximity are sens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of displaying a keypa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실시 예와 관련된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associat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6.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키패드 표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pad displa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실시 예와 관련된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9 illustrates an example associat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8.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키패드 표시를 변경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예시도.1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changing a keypad displa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pad displa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의 실시 예와 관련된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12 illustrates an example associated with an embodiment of FIG. 11.

도 13은 도 11의 실시 예와 관련된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도.FIG. 13 illustrates another example associat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11; FIG.

도 14는 도 11의 실시 예와 관련된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도.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still another example associat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11;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100: mobile terminal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120: A / V input unit 130: user input unit

140: 센싱부 150: 출력부140: sensing unit 150: output unit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160: memory 170: interface unit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180: control unit 190: power supply unit

Claims (11)

각종 정보 및 키패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a keypad;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및/또는 근접을 감지하는 센싱부와;A sensing unit which senses touch and / or proximity of the display unit; 상기 감지된 터치 및/또는 근접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키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말기.And a controller for changing a keypa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detected touch and / or proxim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터치가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입력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switch to the operation mode that can change the input mode if the touch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put mode, 한글모드, 영문모드, 숫자모드, 특수문자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Korean mode, an English mode, a numeric mode, and a special character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터치 드래그된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이면 드래그 방향에 근거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And changing the keypad display based on the drag direction when the touch dragged dist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근접 드래그된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이면 드래그 방향에 근거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And the keypad display is changed based on the drag direction when the proximity dragged dista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표시된 입력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터치가 감지되면, 해당 데이터의 문자 종류에 근거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And when a touch is detected on any one of input data previ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changing a keypad display based on a character type of the corresponding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키패드를 구성하는 멀티키에 터치가 감지되면, 키패드를 구성하는 각 키별로 특정 정보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When touch is detected on the multi-keys constituting the keypad,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assigning specific information for each key constituting the keypa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pecific information, 단축키할당, 사용자 지정, 최근 통화 목록, 전화번호 리스트, 사진 리스트, 멀티미디어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A mobile terminal comprising hotkey assignment, user specification, recent call list, phone number list, photo list, and multimedia list. 디스플레이 화면의 터치 및/또는 근접을 감지하는 단계와;Detecting touch and / or proximity of the display screen; 상기 감지된 터치 및/또는 근접에 근거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And changing a keypad display based on the sensed touch and / or proximit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표시 변경단계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hanging of the keypad display comprises: 상기 터치 또는 근접이 기준 시간 이상 유지되면 입력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Switching to an operation mode that can change an input mode when the touch or proximity is maintained for a reference time or more; 상기 전환된 동작모드에서 감지되는 드래그 방향에 근거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And changing the keypad display based on the drag direction detected in the switched operation mo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표시 변경단계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hanging of the keypad display comprises: 상기 터치 또는 근접이 감지된 지점의 데이터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와;Confirming a data type of a point at which the touch or proximity is detected; 상기 확인된 데이터 종류에 근거하여 키패드 표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And changing the keypad display based on the identified data type.
KR1020080064104A 2008-07-02 2008-07-0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KR1015042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104A KR101504201B1 (en) 2008-07-02 2008-07-0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US12/433,091 US8170620B2 (en) 2008-07-02 2009-04-30 Mobile terminal and keypad display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104A KR101504201B1 (en) 2008-07-02 2008-07-0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017A true KR20100004017A (en) 2010-01-12
KR101504201B1 KR101504201B1 (en) 2015-03-19

Family

ID=4146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104A KR101504201B1 (en) 2008-07-02 2008-07-0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70620B2 (en)
KR (1) KR101504201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976A3 (en) * 2010-03-12 2012-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xt input method in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2043932A1 (en) * 2010-10-01 2012-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Keyboard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for
WO2013073773A1 (en) * 2011-11-18 2013-05-23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Touch scre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apparatus
KR20130123705A (en) * 2012-05-03 201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Virtual keyboard for inputting alternative charact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lternative character using the virtual keyboard
KR101332644B1 (en) * 2011-07-29 2013-11-25 (주)아이비리더스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the same
KR101351353B1 (en) * 2011-11-01 2014-01-1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Touch screen apparatus and touch input control method of the touch screen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7048B2 (en) 2001-03-09 2013-12-3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ystem for implanting an implant and method thereof
US7920129B2 (en) 2007-01-03 2011-04-05 Apple Inc. Double-sided touch-sensitive panel with shield and drive combined layer
US20090174676A1 (en) 2008-01-04 2009-07-09 Apple Inc. Motion component dominance factors for motion locking of touch sensor data
TW201104461A (en) * 2009-07-24 2011-02-01 Inventec Corp Translation system, method and interface thereof based on inputting phonetic symbols
FR2949007B1 (en) 2009-08-07 2012-06-08 Nanotec Solu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INTERFACE SENSITIVE TO A MOVEMENT OF A BODY OR OBJECT AND CONTROL EQUIPMENT INCORPORATING THIS DEVICE.
US8621380B2 (en) 2010-01-06 2013-12-31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itionally enabling or disabling soft buttons
KR101630302B1 (en) * 2010-02-02 2016-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1175440A (en) * 2010-02-24 2011-09-08 Sony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081499B2 (en) * 2010-03-02 2015-07-14 Sony Corporation Mobile terminal device and input device
KR101149892B1 (en) * 2010-05-12 2012-06-08 ㈜시소드림 Mobile device, letter input method thereof and
WO2011142606A2 (en) * 2010-05-13 2011-11-17 (주)아이티버스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 screen, and recording medium and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 screen and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character input method is recorded
CN101833873A (en) * 2010-05-19 2010-09-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Electronic book with split display function
US20110285656A1 (en) * 2010-05-19 2011-11-24 Google Inc. Sliding Motion To Change Computer Keys
JP2012043180A (en) * 2010-08-19 2012-03-01 Sony Corp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587547B2 (en) 2010-11-05 2013-11-1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soft keyboards
US8659562B2 (en) * 2010-11-05 2014-02-2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soft keyboards
KR101646616B1 (en) * 2010-11-30 2016-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JP5718042B2 (en) * 2010-12-24 2015-05-1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Touch input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touch input control method
US9436381B2 (en) 2011-01-24 2016-09-0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annotating an electronic document
US9250798B2 (en) 2011-01-24 2016-02-0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a dynamic gesture disambiguation threshold
JP5395819B2 (en) * 2011-01-25 2014-01-22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P2669778A4 (en) * 2011-01-25 2016-10-1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R2971066B1 (en) * 2011-01-31 2013-08-23 Nanotec Solution THREE-DIMENSIONAL MAN-MACHINE INTERFACE.
CN102681771B (en) * 2011-03-03 2016-09-14 株式会社堀场制作所 Measurement apparatus
KR20120124206A (en) * 2011-05-03 2012-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exts in potable terminal
US20120290287A1 (en) * 2011-05-13 2012-11-15 Vadim Fux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multi-language input on a mobile device
FR2976688B1 (en) 2011-06-16 2021-04-23 Nanotec Solutio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POWER SUPPLY IN AN ELECTRONIC SYSTEM WITH A VARIABLE REFERENCE POTENTIAL.
KR101771259B1 (en) * 2011-07-06 2017-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on a touch screen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thereof
US8547360B2 (en) * 2011-07-08 2013-10-0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Capacitive touch screen sensing and electric field sensing for mobile devices and other devices
GB2493709A (en) * 2011-08-12 2013-02-20 Siine Ltd Faster input of text in graphical user interfaces
FR2985049B1 (en) 2011-12-22 2014-01-31 Nanotec Solution CAPACITIVE MEASURING DEVICE WITH SWITCHED ELECTRODES FOR TOUCHLESS CONTACTLESS INTERFACES
KR20130083195A (en) * 2012-01-12 2013-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keyboard layout using touch
EP2818984B1 (en) * 2012-02-20 2017-10-25 NEC Corporation Touch panel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ame
KR101979666B1 (en) * 2012-05-15 2019-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Operation Method For plural Touch Panel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30133564A (en) * 2012-05-29 2013-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key inputt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141198B2 (en) * 2013-01-08 2015-09-22 Infineon Technologies Ag Control of a control parameter by gesture recognition
US9336723B2 (en) 2013-02-13 2016-05-10 Apple Inc. In-cell touch for LED
US20140273984A1 (en) * 2013-03-13 2014-09-18 Motorola Mobility Llc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Enhanced Speed Dial
KR101334342B1 (en) * 2013-05-16 2013-11-29 주식회사 네오패드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CN105992994A (en) 2013-12-13 2016-10-05 苹果公司 Integrated touch and display architectures for self-capacitive touch sensors
TWI603255B (en) * 2014-05-05 2017-10-21 志勇無限創意有限公司 Handheld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US10133382B2 (en) 2014-05-16 2018-11-20 Apple Inc. Structure for integrated touch screen
US10936120B2 (en) 2014-05-22 2021-03-02 Apple Inc. Panel bootstraping architectures for in-cell self-capacitance
WO2016072983A1 (en) 2014-11-05 2016-05-12 Onamp Research Llc Common electrode driving and compensation for pixelated self-capacitance touch screen
CN104618222B (en) * 2015-01-07 2017-12-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and device for matching facial expression image
CN111610890A (en) 2015-02-02 2020-09-01 苹果公司 Flexible self-capacitance and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system architecture
US10762205B2 (en) * 2015-02-16 2020-09-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keyboard, and terminal device
US10146359B2 (en) 2015-04-28 2018-12-04 Apple Inc. Common electrode auto-compensation method
CN104951071A (en) * 2015-06-10 2015-09-30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input modes in computer equipment
US10386962B1 (en) 2015-08-03 2019-08-20 Apple Inc. Reducing touch node electrode coupling
EP3491500B1 (en) 2016-07-29 2023-11-29 Apple Inc. Touch sensor panel with multi-power domain chip configuration
US10386965B2 (en) 2017-04-20 2019-08-20 Apple Inc. Finger tracking in wet environment
US11662867B1 (en) 2020-05-30 2023-05-30 Apple Inc. Hover detection on a touch sensor pane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6337B2 (en) * 1993-12-21 2004-07-28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User interface device for comput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graphic keyboard
EP1329799A3 (en) * 2002-01-11 2007-06-06 Sap Ag Operating a browser to display first and second virtual keyboard areas that the user changes directly or indirectly
JP4071726B2 (en) * 2004-02-25 2008-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haracter display method i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and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US7653883B2 (en) * 2004-07-30 2010-01-26 Apple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KR100706313B1 (en) * 2005-06-02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acter Input Method for Massage in Mobile Phone
CN101379474A (en) * 2006-01-30 2009-03-04 京瓷株式会社 Character input device
KR100774927B1 (en) * 2006-09-27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nu and item sel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300275B1 (en) * 2006-10-17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acter mode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KR100815522B1 (en) * 2006-11-27 2008-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received event during absence thereof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976A3 (en) * 2010-03-12 2012-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xt input method in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8799779B2 (en) 2010-03-12 2014-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xt input method in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2043932A1 (en) * 2010-10-01 2012-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Keyboard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1332644B1 (en) * 2011-07-29 2013-11-25 (주)아이비리더스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the same
KR101351353B1 (en) * 2011-11-01 2014-01-1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Touch screen apparatus and touch input control method of the touch screen apparatus
WO2013073773A1 (en) * 2011-11-18 2013-05-23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Touch scre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apparatus
KR20130123705A (en) * 2012-05-03 201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Virtual keyboard for inputting alternative charact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lternative character using the virtual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201B1 (en) 2015-03-19
US20100004029A1 (en) 2010-01-07
US8170620B2 (en) 2012-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20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KR10149516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screen thereof
US8565828B2 (e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ensor-equipped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019389B2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ouch scre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s thereof
KR10098837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nu of mobile terminal
KR101012379B1 (en)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therein
KR101513023B1 (en)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therein
US8116824B2 (en) Mobile terminal and key input method thereof
EP2101243B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8265704B2 (en)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terminal
KR20090100933A (en) Mobile terminal and screen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50420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KR20100109277A (en)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menu control using the portable terminal
KR20100003621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KR101521910B1 (en)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of mobile terminal
KR20090111040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therein
KR20090063903A (en) Mobile terminal having virtual keyboard converting function and converting method therefor
KR20090108859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mposing menu therein
KR20100020851A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KR20090119410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screen therein
KR2009007760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message of mobile terminal
KR20090075079A (en) A mobile telcommunication device and a bookmark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461949B1 (en)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characters relatively using the same
KR10147446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memu bar and menu bar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476175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generation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