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806A -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dual-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 Google Patents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dual-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806A
KR20100003806A KR1020080063806A KR20080063806A KR20100003806A KR 20100003806 A KR20100003806 A KR 20100003806A KR 1020080063806 A KR1020080063806 A KR 1020080063806A KR 20080063806 A KR20080063806 A KR 20080063806A KR 20100003806 A KR20100003806 A KR 20100003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air
air discharge
elongated
suc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롱 훙 후앙
Original Assignee
롱 훙 후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롱 훙 후앙 filed Critical 롱 훙 후앙
Priority to KR1020080063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806A/en
Publication of KR20100003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8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7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using more than one jet or band in the air curt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PURPOSE: A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dual-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ffectively suck gas, steam, or fine pollutants generated between two air curtains through an expansible suction hood. CONSTITUTION: A pollutant removing device comprises first and second air discharging device(6,6') and a suction device(61). The first and second device has first and second expansible air discharging slots(63,64) discharging air to the upper part. The suction device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a counter tower(6"). The suction device comprises one or more expansible suction apertures(60) and two air curtains. Two air curtains are formed between one or more expansible suction apertures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expansible air discharging slots. The expansible suction aperture is formed at the first and the second expansible air discharging slots in parallel.

Description

오염물질 제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이중-공기커튼 랜지후드{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DUAL-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DUAL-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본 발명은 가스, 기포, 분진 또는 혼합오염물질 및 기타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공기커튼 사이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카운터탑 상부에 두 개의 공기커튼을 구비하는 랜지후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ving gas, bubbles, dust or mixed contaminants and other substances, and relates to a flange hood having two air curtains on the counter top to remove contaminants between the two air curtains. will be.

일반적으로 주방, 실험실 또는 더스트팩토리(dust factory)는 환경을 오염시키고 인간에게 해로운 미량의 그리스(grease) 또는 독성가스 성분을 갖는 가스를 생성한다.In general, kitchens, laboratories or dust factories produce gases with trace grease or toxic gas components that pollute the environment and are harmful to humans.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주방에 있어서, 상기 후드(10)는 파이프(12)가 수용되는 캐비넷(15)의 하부측에 고정된다. 상기 파이프(12)는 요리기구로부터 후드에 의해 흡입된 가스를 가이드하고 주방으로부터 가스를 배출한다. 상기 캐비넷(15)은 후드(10)가 연결되는 벽(14)에서 다른 캐비넷(16)과 연결되고 벽(14)에 수직인 다른 벽(13)은 후두(10)의 측과 접촉된다. 상기 오븐(18)은 카운터탑(17)에 구비되고 두 개의 버너(19)를 포함한다. 상기 카운터탑(17)은 다른 캐비넷(20) 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후드(10)는 요리기구로부터 가스가 후드(10)로 흡입되도록 버너(19) 상부에 구비되는 두 개의 흡입팬(11)을 포함하고, 가스는 파이프(12)를 통해 주방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kitchen as shown in Fig. 12, the hood 10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cabinet 15 in which the pipe 12 is accommodated. The pipe 12 guides the gas sucked by the hood from the cooker and discharges the gas from the kitchen. The cabinet 15 is connected to another cabinet 16 at the wall 14 to which the hood 10 is connected and the other wall 13 perpendicular to the wall 14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larynx 10. The oven 18 is provided on the counter top 17 and includes two burners 19. The countertop 17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other cabinet 20. The hood 10 includes two suction pans 11 provided above the burner 19 to suck gas from the cooker into the hood 10, and the gas may be discharged from the kitchen through the pipe 12. have.

종래 주방에서 사용되는 랜지후드(1)는 작업위치에서 사용되는 캐노피 후드와 유사하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흐름의 상부로의 속도는 흡입면 이하의 하부방향 거리의 증가로 빠르게 감소한다. 흡입개구 직경의 약 1.5배 이상의 거리에서 상부방향으로의 속도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고, 흡입력은 효과적으로 가스를 유도할 정도로 충분히 크지 않다. 따라서 캐노피 이하에서 효과적인 흡입거리는 일반적으로 흡입개구 직경의 1.5 배 이내이다. 또한 캐노피 후드의 흡입유로(suction flow field)의 특성 때문에, 가스흐름은 팬, 공기조화장치, 사람의 도보, 문이나 창문의 열림과 닫힘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흐름과 같은 통풍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는다.The range hood 1 used in the conventional kitchen is similar to the canopy hood used in the working position. As shown in Fig. 13, the velocity to the top of the gas flow decreases rapidly with an increase in the downward distance below the suction surface. At a distance greater than about 1.5 times the diameter of the suction opening, the speed in the upward direction is negligibly small, and the suction force is not large enough to effectively guide the gas. Therefore, the effective suction distance below the canopy is generally within 1.5 times the diameter of the suction opening.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suction flow field of the canopy hood, gas flow is easily affected by ventilation, such as air flow generated by fans, air conditioning units, human walks, opening and closing doors or windows. .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속에 간섭이 존재할 때 캐노피 후드 이하의 유속계(flow field)는 급격하게 변경되고 수집영역(capture zone)은 분할 스팀라인에 포함되는 반타원형(half-oval) 형상과 같은 영역이 된다. 흡입속도에 대한 공기유속에 대한 간섭의 비율이 보다 크고, 보다 작은 수집영역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황이 벌어지면, 실제로 후드 아래에 발생되는 미세 그리스(grease), 독성의 가스 또는 오염물질은 분산되기 위해 잠복하고 있으며 보다 쉽게 벽에 붙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when there is interference in the air flow rate, a half-oval shape in which the flow field under the canopy hood changes drastically and the capture zone is included in the split steam line. Becomes the same area as The ratio of the interference to the air flow rate to the suction speed is greater, resulting in a smaller collection area. When this happens, the fine grease, toxic gases or contaminants that actually occur under the hood are lagging to disperse and are more easily attached to the wall and can be inhaled by the user.

이러한 상황이 일어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 중의 하나는 오염 물질에서 가능한 낮게 캐노피후드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 후드는, 테이블탑과 캐노피후드 사이의 공간에서 요리도구 또는 장치의 움직임과 작동이 일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매우 낮게 구비될 수는 없다. 팬, 공기조화장치, 사람의 도보, 문이나 창문의 열림과 닫힘에 의해 발생되는 통풍기류는 항상 후드 주변에 존재하고, 종래기술에 의한 후드는 만족할 만한 성능을 구현하기 어렵다.One of the best ways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is to have the canopy hood as low as possible in the pollutant. In practice, however, the hood cannot be provided very low, since movement and operation of the cooker or device is generally required in the space between the tabletop and the canopy hood. Ventilators generated by fans, air conditioners, human walks,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or windows are always present around the hood, and hood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re difficult to achieve satisfactory performance.

도15는 개선된 랭후드(rang hood)를 도시한 것으로 세 개의 교차흐름팬(21)이 상승방향 슬롯분출구(upward-issuing slot jet)를 제공하도록 오븐의 정면측,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은 환경적으로 발생되는 통풍기류의 부정적인 효과를 감소하기 위해 배벽(back wall)과 같이 구성되는 세 개의 교차흐름팬(21)을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오븐 상부의 영역은 세 개의 팬(21)과 배벽에 의해 발생되는 세 개의 분출구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분출구가 포함된 부분의 낮은 부분에서의 오염물질은 불안정적이고, 격렬한 3차원 덤블링(tumbling)을 하는 난류 움직임을 보이고, 소용돌이 형상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구조가 흐름의 불안정성을 유발하는 이유는 뷸균형적인 질량 때문이다. 유발되는 불안정적인 분산은 오븐 상부의 소정 거리에 구비된 캐노피 후드를 통해 오염물질 제거의 효율성을 감소시킨다. 오븐 상부에서 미세 그리스 및 오염물질의 잔존시간은 흐름의 소용돌이 움직임과 더욱 길어지는 시간 때문에, 통풍기류가 통과할 때 위험성이 매우 커진다 - 영역이 교차흐름에 의해 분산될 수 있는 고밀도 미세 그리스 및 축적된 오염물질. 또한 세 개의 교차흐름팬에 의해 유도되는 소용돌이 흐름구조의 난류 움직임은 버너의 불꽃에 영향을 줄 것이다. 예를 들면 불꽃의 표류 또는 소화 및 연소효율성의 감소.Figure 15 shows an improved rang hood, with three crossflow fans 21 provided on the front side, left and right side of the oven to provide an upward-issuing slot jet. This configuration aims at using three crossflow fans 21 which are configured as a back wall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environmentally generated ventilators. However, since the area at the top of the oven is composed of three fans 21 and three spouts generated by the back wall, contaminants at the lower part of the part containing the spout are unstable and violent three-dimensional tumbling ) Shows turbulent movements and swirls. The reason this structure causes flow instability is due to the unbalanced mass. The resulting unstable dispersion reduces the efficiency of contaminant removal through the canopy hood provided at a distance above the oven. The residence time of the fine grease and contaminants at the top of the oven is very dangerous when the airflow passes because of the vortex movement of the flow and the longer time-the dense fine grease and the accumulation of the area can be dispersed by crossflow. pollutant. In addition, the turbulent movement of the vortex flow structure induced by the three crossflow fans will affect the flame of the burner. For example, the drift of flames or the reduction of extinguishing and combustion efficiency.

상술한 바와 같이 주방에 있어서 종래 후드는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고, 종래기술에 의한 주방 후드가 발생하는 공기흐름의 유속이 만족스럽지 못하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kitchen, the conventional hood cannot efficiently remove contaminants, and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kitchen ho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not satisfactory.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증기, 분진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카운터탑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구비되는 두 개의 신장형 공기배출장치와, 카운터탑 상부에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되는 신장형 흡입장치를 포함하고, 두 개의 공기커튼 사이에서 발생되는 가스, 증기 또는 미세 오염물질이 카운터탑 상부에 구비되는 신장형 흡입후드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removing gas, vapor, dust or contaminants, two extended air discharge device provid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countertop, and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countertop It includes a stretchable suction device, and the gas, vapor or fine contaminants generated between the two air curtains to be effectively sucked by the stretchable suction hood provided on the countertop.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보상공기는, 유로(flow field)가 "2차원"으로 형성되도록 이중 공기커튼의 두 개의 "개구측"으로부터 수집영역으로 제공된다. 3차원적으로, 불안정한 덤블(tumble) 및 소용돌이형 흐름은, 두 개의 공기커튼 사이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카운터탑 상부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신장형 흡입장치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입되도록 발생하지 않고 불꽃에서의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In such a structure, compensating air is provided from the two "opening sides" of the double air curtain to the collecting area so that a flow field is formed in "two dimensions". In three dimensions, unstable tumble and vortex flows do not cause contaminants generated between two air curtains to be effectively inhaled by an elongate suction devic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bove the countertop, The influence of can be reduc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운터탑에서 오염물질원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구비된 제1 및 제2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제거장치를 제공하고 흡입장치는 카운터탑 상부에 구비되고 흡입기계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lutant removal device including a first and a second discharge device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ollutant source in the countertop, and the suction device is provided on the countertop And at least one elongated suction opening which is connected to the suction machine.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배출장치는 상부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공기배출 슬롯이 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탑 상부에 구비된 흡입장치의 신장형 흡입개구는 제1 및 제2 신장형 공기배출 슬롯과 평행하다. The first and second air discharge devices may be air discharge slots to discharge air in an upward direction. The stretchable suction opening of the suction device provided on the countertop is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expandable air discharge slots.

공기커튼 사이의 오염물질이 주위 환경에 존재하는 통풍기류에 의해 영향을 적게 받도록 상기 제1 및 제2 신장형 공기배출 슬롯은 상부방향의 두 개의 평면형 분출구로 배출하고 두 개의 공기커튼을 형성하는 흡입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에 의해 흡입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장형 흡입장치는 흡입개구를 통해 아웃도어까지 두 개의 공기커튼 사이의 인캡슐(encapsuled)된 오염물질을 흡입시킨다.The first and second elongated air outlet slots are discharged to two planar outlets in the upper direction so that the pollutants between the air curtains are less affected by the airflow present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orming an air curtain. Inhaled by at least one elongated suction opening of the device. The at least one elongated suction device draws encapsuled contaminants between the two air curtains through the suction opening to the outdoor.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9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중공기커튼 랜지후드는 종래 랜지후드의 것보다 더 높은 수거효율을 갖는다. 또한 랜지후드의 기준흐름(reference flow)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은 종래기술에 의한 랜지후드에 의한 것보다 높다.According to Fig. 9 attache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ble air curtain rang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er collection efficiency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range hood. In addition, the function for preventing interference of the reference hood of the range hood is higher than that by the range ho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 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작동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implemented in detail by those skilled in the art. do. Other objects, features, and operational advantages, including the object,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도1a 내지 도1c는 평면형 분출구, 흡입슬롯 및 분출구와 흡입슬롯의 조합구조와 관련된 도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출구(50)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노즐(51)로부터 분사된다.1a to 1c briefly show a view related to the planar jet, the suction slot and the combination structure of the jet and the suction slot. As shown in Fig. 1A, the jet port 50 is ejected from the nozzle 51 from left to right.

공정에서, 분출구(50)에 인접한 환경적인 공기는 분출구 경계를 통해 내측으로 반출될 수 있다. 상기 분출구(50)는 다운스트림 영역의 바깥쪽으로 확장될 수 있다. 확장의 형태는 레이놀드 수(Reynolds number)의 지수에 의존할 것이다. In the process, environmental air adjacent to the spout 50 may be vented inwards through the spout boundary. The spout 50 can extend outward of the downstream region. The form of expansion will depend on the Reynolds number index.

약 80 노즐의 직경에 대한 거리 내의 노즐 다운스트림에서 모멘텀 보존이 일반적으로 관찰된다. 상기 분출구는 다운스트림 노즐(51)의 약 100~150 노즐의 직경 거리 이후에 빠르게 확장, 중단 및 분산한다. 분출구(50)의 공정에서, 모멘텀, 질량 및 가열의 연속전인 변화는 분출구(50)과 주변 공기 사이에서 일어난다.Momentum retention is generally observed at nozzles downstream within a distance to a diameter of about 80 nozzles. The spout rapidly expands, stops, and disperses after a diameter distance of about 100-150 nozzles of the downstream nozzle 51. In the process of the blower outlet 50, a continuous change of momentum, mass and heating occurs between the blower outlet 50 and the ambient air.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슬롯(53)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흡입슬롯(53) 주변의 공기흐름이 도면부호 52에 의해 표시된다. 상기 활성흡입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슬롯(53)으로부터 흡입슬롯(53)의 직경의 오직 1.5배까지의 다운스트림 거리 내에 구비된다. 분출구의 각각의 이용은 초기에 분산을 가져오고 흡입슬롯의 각각의 이용은 효과적인 흡입범위 외의 거리에서 부족한 흡입력을 가져온다.As shown in Fig. 1B, the suction slot 53 sucks air from left to right. Air flow around the suction slot 53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52. The active suction zone is provided within the downstream distance from the suction slot 53 to only 1.5 times the diameter of the suction slot 53 as described above. Each use of the spout leads to dispersion initially and each use of the suction slot results in insufficient suction force at a distance outside the effective suction range.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출구(50)와 흡입슬롯(53)이 소정거리를 두고 마 주보게 구비되었을 때, 두 개의 물리적 장치 사이에서 유로(flow field)는 흡입슬롯(53) 및 노즐(51)로부터 배출되는 분출구의 레이놀드수(Reynolds number)에 의해 제공되는 흡입강도로 변화한다.As shown in FIG. 1C, when the jet port 50 and the suction slot 53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flow field between the two physical devices is the suction slot 53 and the nozzle 51. The suction strength provided by the Reynolds number of the spout from the outlet.

상술한 인자(factor)들이 적절하게 조절된다면, 효과적인 흡입범위 이외의 각각의 흡입슬롯의 부족한 흡입력과 각각의 분출구의 분산특성이 푸쉬-풀(push-pull) 효과라 불리는 분출구와 흡입 사이의 교차(intersection)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몇몇 레벨에 측면 통풍의 간섭을 해소할 수 있는 공기커튼이 입증될 수 있다.If the above factors are properly adjusted, the lack of suction power of each suction slot outside the effective suction range and the dispersal characteristics of each blower outlet may result in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blower and the suction (called the push-pull effect). intersection). As described above, air curtains that can eliminate the interference of lateral ventilation at several levels can be demonstrated.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물질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카운터탑(6")에 구비된 오염물질발생원(65)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제1 공기배출장치(6)와 제2 공기배출장치(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공기배출장치(6)와 제2 공기배출장치(6')는 공기를 상부로 배출하도록 제1 신장형 공기배출슬롯(63)과 제2 신장형 공기배출슬롯(64)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 신장형 공기배출슬롯(63)과 제2 신장형 공기배출슬롯(64)는 오염물질발생원(65)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평행하게 구비된다.2 and 3,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ollutant removal device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ollutant generating source 65 provided in the countertop 6 ", respectively, and is provided with the first air exhaust device 6 ) And a second air discharge device 6 ′. The first air discharge device 6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device 6 ′ have a first expandable air discharge slot 63 to discharge air to the upper portion. ) And a second expandable air discharge slot 64. The first expandable air discharge slot 63 and the second expandable air discharge slot 64 may b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ollutant generating source 65, respectively. It is provided parallel to the end.

흡입장치(61)는 오염발생원(65)이 구비되는 카운터탑(6")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장치(61)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흡입기계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60)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60)는 제1 및 제2 신장형 공기배출 슬롯(63,64)과 평행하게 구비된다. 상기 신장형 흡입개구부(60)의 갯수는 두 개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신장형 공 기배출 슬롯(63,64) 상부에 구비되는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60)가 있다.The suction device 61 is provided above the countertop 6 "provided with the pollution source 65 and the suction device 61 is not shown but at least one extension suction opening 60 connected to the suction machine. The at least one expandable intake opening 60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nd second expandable air discharge slots 63 and 64. The number of the expandable intake openings 60 may be two.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re is one elongate intake opening 60 provid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elongated air outlet slots 63, 64.

사각형 흡입장치(61)가 카운터탑(6")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플랜지(62)는 흡입장치(61)의 신장형 흡입 개구(60)의 두 개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한다.A rectangular suction device 61 i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countertop 6 ", and the two flanges 62 extend from two sides of the elongate suction opening 60 of the suction device 61.

상기 상부방향 배출 분출구는 신장형 흡입개구(60)에 의해 유도되는 상부방향 흡입흐름과 연계되는 카운터탑(6")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신장형 공기배출 슬롯(63,64)로부터 분출하며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인클라인(inclined) 공기커튼(66,67)를 형성한다. 상기 카운터탑(6")의 구성으로 인해, 공기는 하부측으로부터 순환될 수 없다. 재순환 거품은 두 개의 공기커튼(66,67) 사이의 카운터 탑(6")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공기는 내측 및 외측으로 흐르고 재순환 거품은 난류에 의해 교환된다.The upper discharge spouts are first and second extended air discharge slots 63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untertop 6 "associated with the upward suction flow guided by the expansion suction opening 60. And 64 form two inclined air curtains 66 and 67 as shown in Figs. 2 and 3.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untertop 6 " It cannot be circulated. Recycle foam is formed above the counter top 6 "between two air curtains 66 and 67. The air flows inward and outward and the recycle foam is exchanged by turbulent flow.

재순환 거품 상부의 공기흐름은 흡입장치(61)에 의해 흡입되고 방의 외측으로 방출된다. 상기 카운터탑(6") 상부 두 개의 측면은 개방되거나, 보상공기가, 공기흐름이 안정되도록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공기커튼 사이의 영역으로 그리드 또는 침투성보드를 통해 자연적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된다.The air flow above the recirculation foam is sucked by the suction device 61 and discharged out of the room. The two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countertop 6 "are open or the compensation air is provided to be naturally supplied through the grid or the permeable board to the area between the two air curtains as shown in FIG. 3 to stabilize the air flow. do.

도4에 따르면 오염물질 제거장치를 이용하는 이중-공기커튼 랜지후드가 도시되고, 제1 공기배출장치(7), 제2 공기배출장치(7') 및 흡입장치(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배출장치(7,7')는 카운터탑(77)에 구비되는 오븐(79)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배출장치(7,7')는 제1 신장형 공기배출 슬롯(80)과 제2 신장형 공기배출 슬롯(80')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신장 형 공기배출 슬롯(80,80')는 오븐(79)의 선단부 및 후단부와 평행하고 상부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한다.According to FIG. 4, a double-air curtain range hood using a pollutant removal device is shown, comprising a first air exhaust device 7, a second air exhaust device 7 ′ and a suction device 70. The first and second air discharge devices 7 and 7 ′ ar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oven 79 provided in the countertop 77,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air discharge devices 7 and 7 'include a first expandable air discharge slot 80 and a second expandable air discharge slot 80', and first and second expandable air. Discharge slots 80 and 80 ′ are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oven 79 and discharge air in an upward direction.

상기 흡입장치(70)는 오븐(79)이 구비되는 카운터탑(77) 상부에 구비되고 흡입기계(72)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81)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81)는 제1 및 제2 신장형 공기배출 슬롯(80,8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The suction device 70 includes at least one elongated suction opening 81 provided above the counter top 77 having the oven 79 and connected to the suction machine 72. At least one elongated suction opening 81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nd second elongated air outlet slots 80 and 80 '.

상기 신장형 흡입개구(81)의 갯수는 두 개가 될 수 있고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81)는 제1 및 제2 신장형 공기배출 슬롯(80,80') 사이에 구비된다.The number of the extension type suction openings 81 may be two, and one extension type suction opening 81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type air discharge slots 80 and 80 '.

상기 흡입장치(70)는 하부방향과 마주하는 흡입개구를 형성하는 신장형 흡입개구(81)를 포함하고 두 개의 플랜지(71)는 신장형 흡입개구(81)의 두 개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한다. 상기 흡입개구(70)는 상부방향으로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카운터탑(78)로부터 소정 높이에 구비된다. 상기 신장형 흡입개구(81)는 노이즈를 감소하도록 카운터탑(78) 상부의 캐비넷(75)에 구비된 흡입기계(72)와 연결된다.The suction device 70 includes an elongated suction opening 81 forming a suction opening facing the downward direction and two flanges 71 extend from two sides of the elongated suction opening 81. The suction opening 7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countertop 78 to provide a suction force in an upward direction. The elongated suction opening 81 is connected to the suction machine 72 provided in the cabinet 75 above the countertop 78 to reduce noise.

상기 파이프(721)는 방의 외측으로 개방되고 필터/오일-분리장치/오일수거장치에 연결되며 방으로부터 오염물질을 배출한다. 상기 두 개의 플랜지(71)는 흡입장치(70)의 신장형 흡입개구(81)의 두 개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한다.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배출 장치(7,7')는 오븐(79)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 공기배출장치(7) 및 제2 공기배출장치(7')는 흡입기계(72)와 연동되는 두 개의 교차흐름팬이다. 상기 제1 및 제2 공기배출장치(7,7')는 두 개의 신장형 슬롯으로 될 수 있고 두 개의 상부방향 배출 공기분출구를 형성하도록 송풍기와 같이 구비될 수 있다.The pipe 721 opens out of the room and is connected to a filter / oil-separator / oil collection device and discharges contaminants from the room. The two flanges 71 extend from two sides of the elongate suction opening 81 of the suction device 70. The first and second air discharge devices 7 and 7 ′ ar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oven 79. The first air vent device 7 and the second air vent device 7 'are two crossflow fans that interlock with the suction machine 72. The first and second air vents 7, 7 ′ can be two elongate slots and can be provided with a blower to form two upper exhaust air vents.

상기 두 개의 상부방향 배출 공기 분출구는 제1 및 제2 공기배출장치(7,7')로부터 분출되고 제1 및 제2 공기배출장치(7,7')는 신장형 흡입개구(81)을 갖는 흡입장치(70)에 의해 발생되는 상부방향 흡입흐름과 조합되는 오븐(79)의 선단부와 후단부에서 구비되고 수집영역 이외의 오염물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공기커튼흐름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오븐(79)의 후단부에서 공기커튼은 카운터탑(78)의 후단부 벽에 붙어있는 미세 그리스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운터탑(77) 상부 두 개의 측면은, 공기가 흡입동작을 진행하는 두 개의 공기커튼 사이의 영역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The two upper exhaust air ejectors are ej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air vents 7, 7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vents 7, 7' have an elongated suction opening 81. A double air curtain flow structure i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oven 79 combined with the upward suction flow generated by the suction device 70 and can prevent contaminants other than the collection area. The air curtain at the rear end of the oven 79 can effectively prevent the fine grease adhering to the wall of the rear end of the countertop 78. In addition, the two upper sides of the countertop 77 are opened so that air can be sucked into the area between the two air curtains in which the suction operation is performed.

이상의 설명에서 유로(flow field)는 "2차원"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탑(77) 상부의 두 개의 측면은 침투성보드를 갖거나 작은 흐름저항을 갖는 두 개의 공기커튼 사이의 영역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허용하는 그리드(grid)를 갖는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low field may maintain "two-dimensional". The two sides of the countertop 77 top have a grid that allows air to be sucked into the area between the two air curtains with permeable boards or with small flow resistance.

연기가 카운터탑(77)에 방출되고 측면 관찰을 교차하는 평면에 연기의 흐름을 트레이스(trace)하는 레이저-어시스티드(laser-assisted) 연기 흐름 비주얼라이제이션(visualization) 기술을 이용하면, 흐름패턴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하게 보인다.Using a laser-assisted smoke flow visualization technique in which smoke is emitted to the countertop 77 and traces the flow of smoke in a plane intersecting the side view, the flow pattern is shown in FIG. It looks similar as shown in 2.

또한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laser Doppler velocimeter)를 이용하여 흡입장치(70) 하에서 영역의 속도를 측정할 때, 결과는 흡입장치 상부 후벽과 캐비넷이 구비되지 않았을 때의 도5 및 도6에 도시된다. 상기 영역에서 공기흐름의 상태는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거의 유사하게 된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결과는 흡입장 치(70)의 상부에 구비된 후벽과 캐비넷이 있을 때의 경우이다.Also when measuring the velocity of the area under the suction device 70 using a laser Doppler velocimeter,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s 5 and 6 when the suction rear top wall and cabinet are not provided. The state of airflow in this region becomes almost similar as in Figs. The results shown in FIGS. 7 and 8 are the case when there is a rear wall and a cabinet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device 70.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간부분에 있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븐에 재순환 거품이 있지 않고 오히려 오염원(source point)만 있다. 상기 카운터탑(78) 상부의 위치와 오염원 이하의 위치 사이의 속도는, 불꽃에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작다. 상기 후단부에서 공기커튼은 벽에 의해 영향을 받고 공기커튼 전면과 비교할 때 비대칭패턴을 수행한다. 상기 후벽에 가까운 흐름은 흐름위상(flow topology) 때문에 구석에서의 소용돌이를 발생한다. 실험실에서 관찰은, 두 개의 공기커튼 사이에서 제한되는 연기 또는 오염물질은 신장형 흡입개구(81)를 통해 흡입장치(70)까지 효과적으로 흡입되는 것으로 관찰된다.In the middle part as shown in FIG. 7, there is no recycle foam in the oven as shown in FIG. 5 but rather only a source point. The speed between the position above the countertop 78 and the position below the source of contamination is small enough not to be affected by the flame. At the rear end the air curtain is affected by the wall and performs an asymmetric pattern when compared to the front of the air curtain. Flows close to the rear wall create vortices in the corners because of the flow topology. Observations in the laboratory show that smoke or contaminants confined between the two air curtains are effectively sucked through the elongate suction opening 81 to the suction device 70.

또한 트레이스 가스방법(trace gas method)은 본 발명과 종래 랜지후드의 수집효율을 검사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흡입장치는 카운터탑으로부터와의 다른 거리에 구비되고, 큰 업라이트보드(upright board)는 팬 또는 공기조화 또는 사람의 도보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흐름을 시뮬레이터 하도록 0.35m/s에서 스윙한다.In addition, the trace gas method (trace gas method) is used to examine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range hood. The suction device is provided at a different distance from the countertop, and a large upright board swings at 0.35 m / s to simulate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fan or air conditioning or human walking.

순물질 SF6 가스가 카운터탑에 구비된 가스방출장치에 의한 일정 흐름비로 공급된다. SF6의 속도 및 농도가 흡입파이프의 단면에서 원격 검출된다. 수거효율은, 가스방출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순물질 SF6 의 흐름비에 의해 분할되는 흡입파이프를 통해 통과하는 SF6 의 흐름비로서 계산될 수 있다. 상기 결과는 도9에 도시된다. 명확하게 이중공기커튼 랜지후드는 종래 랜지후드의 것보다 더 높은 수거효율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랜지후드의 기준흐름(reference flow)의 간섭을 방지 하기 위한 기능은 종래 랜지후드에 의한 것보다 높다.Pure substance SF 6 Gas is supplied at a constant flow ratio by the gas discharge device provided in the countertop. The velocity and concentration of SF 6 is detected remotely at the cross section of the suction pipe. The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calculated as the flow rate of SF 6 passing through the suction pipe divided by the flow rate of pure material SF 6 discharged from the gas discharge device.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Clearly double air curtain range hoods have a higher collection efficiency than those of conventional range hoods. The function for preventing interference of the reference flow of the rang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igher than that by the conventional range hood.

도10과 도11은 신장형 흡입개구(81)의 내측을 따라 흐르는 오일을 수거하기 위한 흡입장치(70)의 신장형 흡입개구(81)에 분리되게 연결된 오일수거장치(9)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신장형 흡입개구는 플랜지(71)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하방으로 향한 구조이다. 상기 오일수거장치(9)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구조이고 제1측 판넬(92), 제1 업라이트 보드(93), 제2 업라이트보드(94) 및 제2 측 판넬(95)가 상부로 연장하기 위한 베이스보드(91)를 포함한다. 필터(96)는 베이스보드(91)에 연결된다. 제1 공간(97)은 제1측 판넬, 제1업라이트보드(93) 및 베이스보드(91) 사이에 한정되고 제2 공간(98)은 제2 측 판넬(95), 제2 업라이트보드(94) 및 베이스보드(91) 사이에 한정된다. 상기 두 개의 지지플레이트(99)는 필터(96) 상부에 구비되고 제1 및 제2 업라이트보드(93,94) 사이에 연결된다.10 and 11 illustrate an oil collecting device 9 separately connected to the elongated suction opening 81 of the suction device 70 for collecting oil flowing along the inside of the elongated suction opening 81. . The elongated suction opening has a structure slightly projecting from the flange 71 and directed downward. The oil collecting device 9 has a rectangular structure with an open top and a first side panel 92, a first upright board 93, a second upright board 94 and a second side panel 95 extending upward. It includes a base board 91 for. The filter 96 is connected to the baseboard 91. The first space 97 is defined between the first side panel, the first upright board 93 and the base board 91, and the second space 98 is the second side panel 95 and the second upright board 94. ) And the baseboard 91. The two support plates 99 are provided on the filter 96 and ar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pright boards 93 and 94.

상기 신장형 흡입개구(81)와 결합되는 상부방향의 오일수거장치(9)를 푸쉬했을 때, 제1 및 제2 측 판넬(92,95)는 신장형 흡입개구(81)의 두 개의 외측과 결합된다. 오염물질을 함유한 가스가 필터(96)를 통해 통과되고 흡입될 때, 오일먼지가 미세입자의 그리스로 응축되고 신장형 흡입개구(81)의 내측에 달라붙게 된다. 상기 응축된 그리스는 중력작용으로 흡입장치(70)의 내측을 따라 흐르고 제1 및 제2 공간(97,98)으로 떨어진다. 제1 및 제2 공간(97,98)에 수거된 그리스는 신장형 흡입개구(81)로부터 오일수거장치(9)를 제거하는 단계에서 세정될 수 있다.When the oil collecting device 9 in the upper direction coupled with the elongated suction opening 81 is pushed,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92 and 95 have two outer sides of the elongated suction opening 81. Combined. When the gas containing contaminants passes through the filter 96 and is sucked in, oil dust condenses into the fine particles of grease and sticks inside the elongated suction opening 81. The condensed grease flows along the inside of the suction device 70 by gravity and falls into the first and second spaces 97 and 98. The grease collected in the first and second spaces 97 and 98 may be cleaned in the step of removing the oil collecting device 9 from the elongated suction opening 81.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For reference,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by selecting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among various possible examples,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only by the embodiments. In addition, various changes, addi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도1a 내지 도1c는 본 발명에 의한 풀-푸쉬(pull push) 공기커튼에서 이용되는 기본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고,Figures 1a to 1c are shown to explain the basic theory used in the pull push air cur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오염물질제거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고,Figure 2 shows a side of the pollutan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오염물질제거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것이고,Figure 3 shows the front of the contaminan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공기커튼 랜지 후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 air curtain rang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 및 도6은 상부캐비넷과 후벽이 존재하지 않을 때 레이저 도플러 유속계에 의해 시험된 유로결과를 도시한 것이고,5 and 6 show flow path results tested by a laser Doppler flowmeter when no upper cabinet and rear wall are present,

도7 및 도8은 상부캐비넷과 후벽이 존재할 때 레이저 도플러 유속계에 의해 시험된 유로결과를 도시한 것이고,7 and 8 show flow path results tested by a laser Doppler flowmeter in the presence of an upper cabinet and a rear wall,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와 종래기술에 의한 후드에 대한 팬, 공기조화장치 또는 사람에 의해 발생되는 통풍을 도시하기 위해 큰 업라이트보드(upright board)를 이용하여 수집효율 결과를 도시한 것이고,Figure 9 shows the collection efficiency results using a large upright board to illustrate the ventilation generated by a fan, an air conditioner or a person for the ho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the ho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후드에 이용된 오일수거장치를 도시한 것이고,Figure 10 shows an oil collection device used in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수거장치 및 후드의 연결부의 부분단면을 도시한 것이고,Figure 11 shows a partial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oil collecting device and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종래기술에 의한 랜지후드를 도시한 것이고,12 shows a range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13은 레이저 도플러 유속계에 의해 시험되었을 때 후드가 열린 상황에서 중심축에서의 비차원 상승부 속도를 도시한 것이고,Figure 13 shows the non-dimensional rise velocity in the central axis with the hood open when tested by a laser Doppler rheometer,

도14는 종래기술에 의한 후드의 수집영역으로서 레이저 도플러 유속계에 의 해 시험되었을 때 교차 통풍의 영향을 도시한 것이고,Fig. 14 shows the influence of cross ventilation when tested by a laser Doppler rheometer as a collection area of a ho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15는 종래기술에 의한 랜지후드로서 좌측, 우측 및 정면 상승 분출구를 갖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 15 shows a flange ho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ing left, right and front rise ejection outlets.

Claims (8)

오염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In the pollutant removal device, 오염물질발생원(65)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공기를 상부로 배출하도록 제1 신장형 공기배출슬롯(63)과 제2 신장형 공기배출슬롯(64)을 각각 포함하는 제1 공기배출장치(6)와 제2 공기배출장치(6');와First air discharg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pollutant generating source 65 and including a first extended air discharge slot 63 and a second extended air discharge slot 64 to discharge air to the upper part, respectively. Device 6 and second air exhaust device 6 '; and 오염물질발생원이 구비되는 카운터탑(6") 상부에 구비된 흡입장치(61);를 포함하며,It includes; the suction device 61 provided on the counter top (6 ") is provided with a source of pollutants; 상기 흡입장치(61)는 흡입기계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60), 및 적어도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와 제1 및 제2 신장형 공기배출슬롯 사이에 형성되는 두 개의 공기커튼을 포함하고,The suction device 61 has at least one extension suction opening 60 connected to the suction machine, and two air curtains formed between the at least one extension suction opening and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air discharge slots. Including,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60)는 제1 및 제2 신장형 공기배출슬롯(63,64)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제거장치.The at least one elongated suction opening (6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nd second elongated air discharge slots (63, 64).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는 제1 및 제2 신장형공기배출 슬롯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제거장치.The at least one elongated suction opening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elongated air discharge slot. 오염물질 제거장치를 이용하는 랜지후드에 있어서,In the range hood using a pollutant removal device, 오븐(79)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제1 신장형 공기배출슬 롯(80)과 제2 신장형 공기배출슬롯(80')을 각각 포함하는 제1 공기배출장치(7)와 제2 공기배출장치(7');와A first air discharge device 7 and a second air discharge slot 80 and a first extended air discharge slot 80 and a second extended air discharge slot 80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oven 79, respectively; 2 air exhaust device 7 '; and 버너가 구비되는 카운터탑(77) 상부에 구비된 흡입장치(70);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suction device 70 provided on the counter top 77 is provided with a burner, 상기 제1 신장형 공기배출슬롯(80)과 제2 신장형 공기배출슬롯(80')은 공기를 상부로 배출하도록 카운터탑(77)에 구비되고,The first expandable air discharge slot 80 and the second expandable air discharge slot 80 'are provided on the counter top 77 to discharge the air upwards. 상기 흡입장치(70)는 흡입기계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81), 및 적어도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81)와 제1 및 제2 신장형 공기배출슬롯(80,80') 사이에 형성되는 두 개의 공기커튼을 포함하고,The suction device 70 includes at least one extension suction opening 81 connected to the suction machine, and at least one extension suction opening 81 and first and second extension air discharge slots 80 and 80 '. Includes two air curtains formed between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81)는 제1 및 제2 신장형 공기배출슬롯(80,80') 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제거장치.The at least one elongated suction opening (81) is a contaminant re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nd second elongated air discharge slot (80, 80 ').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는 제1 및 제2 신장형 공기 배출슬롯 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제거장치.The at least one elongated suction opening is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elongated air discharge slot yarn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lutant removal devic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제1 공기배출장치 및 제2 공기배출장치는 흡입기계와 연동되는 두 개의 교차흐름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제거장치.The first air discharge device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device is a pollutan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cross flow fans in conjunction with the suction machin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제1 및 제2 신장형 공기 배출슬롯과 연결되고 흡입기계와 연동되는 송풍기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제거장치.And a blower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xpandable air discharge slots and interlocked with the suction machin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흡입장치의 적어도 제1 신장형 흡입개구와 분리되게 연결되는 오일수거장치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제거장치.And an oil coll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at least first extension type suction opening of the suction device separately.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오일수거장치는 개구를 갖는 사각형 박스이고 제1측 판넬(92), 제1 업라이트보드(93), 제2 업라이트보드(94) 및 제2측 판넬(95)이 상부로 연장하는 베이스보드(91)를 포함하며,The oil collecting device is a rectangular box having an opening, and includes a base board on which a first side panel 92, a first upright board 93, a second upright board 94, and a second side panel 95 extend upward. 91), 필터(96)는 베이스보드(91)에 연결되고, 제1 공간(97)은 제1측 판넬(92), 제1 업라이트보드(93) 및 베이스보드(91) 사이에 한정되고, 제2 공간(98)은 제2 판넬(95), 제2 업라이트보드(94) 및 베이스보드(91) 사이에 한정되고 상기 제1측 및 제2측 판넬(92,95)은 적어도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의 두 개의 외측단과 결합되고, 제1 및 제2 공간의 적어도 하나의 신장형 흡입개구의 내측을 따라 흐르는 오일을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제거장치.The filter 96 is connected to the baseboard 91, the first space 97 is defined between the first side panel 92, the first upright board 93 and the baseboard 91, and the second space. Reference numeral 98 is defined between the second panel 95, the second upright board 94, and the base board 91,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92 and 95 have at least one elongated suction opening. Coupled to two outer ends of the contaminan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collect oil flowing along the inside of the at least one elongated suction opening of the first and second spaces.
KR1020080063806A 2008-07-02 2008-07-02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dual-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KR201000038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806A KR20100003806A (en) 2008-07-02 2008-07-02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dual-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806A KR20100003806A (en) 2008-07-02 2008-07-02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dual-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806A true KR20100003806A (en) 2010-01-12

Family

ID=41813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806A KR20100003806A (en) 2008-07-02 2008-07-02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dual-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80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95949A1 (en)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oblique single 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US20100000512A1 (en)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Dual-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JP3188116U (en) Range hood that can resist ventilation
KR101641389B1 (en) Exhaus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capture and containment
CA2712310C (en) Hood devices, methods, and systems with features to enhance capture and containment
EP2175204A1 (en)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oblique single 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EP2138771B1 (en)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dual-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JP2001056142A (en) Ventilating system for kitchen
CN102728592A (en) Exhaust device with deflection plate
CN101598360B (en) Pollutant discharging device and double gas curtain oil fume extractor using same
KR20100003806A (en)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dual-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KR20100045588A (en)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oblique single air curtain range hood using device
JP2010007920A (en) Contamination discharge device and twin air curtain type smoke exhaust device using the same
CN111492181A (en) Exhaust hood with forced air injection
Chen Flow characteristics of an inclined air-curtain range hood in a draft
JP2010107173A (en) Pollutant discharge apparatus and air curtain type range hood using the pollutant discharge apparatus
CA2743409C (en) Range hood capable of resisting draft
CN113167482A (en) Range hood and kitchen device with range hood
JP2003240299A (en) Range hood fan
TW201013124A (en) A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an oblique single 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TWI341916B (en)
AU2014271273A1 (en) Exhaus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capture and containment
TWM413824U (en) Range hood having capability of resisting air flow disturb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