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819U - 액상 제품 용기의 캡 - Google Patents

액상 제품 용기의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819U
KR20100000819U KR2020080009460U KR20080009460U KR20100000819U KR 20100000819 U KR20100000819 U KR 20100000819U KR 2020080009460 U KR2020080009460 U KR 2020080009460U KR 20080009460 U KR20080009460 U KR 20080009460U KR 20100000819 U KR20100000819 U KR 201000008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roduct
cap
product container
open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규
이진환
박은진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080009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819U/ko
Publication of KR20100000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8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스와 같이 점성을 가진 액상 제품을 보관하는 용기의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캡이 체결되는 하단 외캡에 액상 제품이 액상 제품 용기로 재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액상 제품 용기의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액상 제품 용기로부터 이동되어온 액상 제품을 가이드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캡; 상기 내캡을 밀봉시키기 위한 상단 외캡; 및 상기 액상 제품 용기에 체결되고, 연결부를 통해 상기 상단 외캡과 연결되고, 상기 내캡을 수용하여 상기 외캡과 함께 상기 내캡을 밀봉시키며, 상기 내캡을 통해 배출된 액상 제품이 상기 액상 제품 용기로 재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단 외캡을 포함하며, 상기 내캡의 하단부에는 상기 개방부를 통해 이동되어온 상기 액상 제품을 상기 액상 제품 용기의 내부로 재유입시키기 위한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상 제품, 용기, 캡, 재유입

Description

액상 제품 용기의 캡{CAP OF A CONTAINER FOR LIQUID PRODUCTS}
본 고안은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기의 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스와 같이 점성을 가진 액상 제품을 보관하는 용기의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 식용유, 화장품, 의약품과 같은 액상 식품 또는 점성을 갖는 액상 제품을 담아서 판매하는 유리병이나 플라스틱병 등과 같은 용기의 상부에는 병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병목부에는 캡이 체결됨으로써, 용기 내부의 액상 제품을 밀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액상 제품 용기의 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식용유와 같은 액상 제품을 담아서 판매하는 유리병이나 플라스틱 병(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병목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캡의 내부에는 병목부의 수나사선에 맞물리도록 암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캡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캡(20, 30, 40)과 내캡(1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외캡 중 하단 외캡(20)의 내부에는 암나사선이 있어서 병목부에 형성된 수나사선에 의해 용기에 고정되며, 하단 외캡과 연결부(4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단 외캡(30)이 하단 외캡과 결합되어 용기를 외부와 밀봉시키게 된다.
하단 외캡(20)에는 다시 내캡(10)이 삽입되며, 내캡을 통해 용기 내부의 액상 제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내캡의 상단에는 용기 내부와 연결되어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액상 제품이 외부로 배출될 때에,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 외에도 종래의 액상 제품 용기의 캡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액상 제품 용기를 포함한 종래의 액상 제품 용기의 캡은,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배출된 액상 제품이 캡 주변에 고여있어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액상 제품 용기가 체결되어 있는 용기가 넘어질 경우, 액상 제품이 캡의 내부 주변에 고여 있게 되며, 사용자가 액상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캡을 개방시켰을 때, 캡의 내부 주변에 고여 있던 액상 제품이 넘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액상 제품 용기의 내캡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액상 제품이 보다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소스와 같이 점성을 가진 액상 제품이 담겨져 있는 용기가 넘어지는 경우, 점성을 가진 액상 제품에 의해 홀이 막히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액상 제품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 액상 제품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 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액상 제품 용기의 캡이 장착되어 있는, 액상 제품 용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액상 제품 용기가 넘어지지 않도록 항상 주의를 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캡이 체결되는 하단 외캡에 액상 제품이 액상 제품 용기로 재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액상 제품 용기의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액상 제품 용기로부터 이동되어온 액상 제품을 가이드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캡; 상기 내캡을 밀봉시키기 위한 상단 외캡; 및 상기 액상 제품 용기에 체결되고, 연결부를 통해 상기 상단 외캡과 연결되고, 상기 내캡을 수용하여 상기 외캡과 함께 상기 내캡을 밀봉시키며, 상기 내캡을 통해 배출된 액상 제품이 상기 액상 제품 용기로 재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단 외캡을 포함하며, 상기 내캡의 하단부에는 상기 개방부를 통해 이동되어온 상기 액상 제품을 상기 액상 제품 용기의 내부로 재유입시키기 위한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내캡이 체결되는 하단 외캡에 액상 제품이액상 제품 용기로 재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용기가 넘어져 용기의 내부로부터 하단 외캡으로 유출된 액상 제품을 다시 용기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 가 있다.
즉, 본 고안은 간장과 같은 액상 제품 포장 시 또는 유통 과정 중이나,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용기가 쓰러진 경우에도 액상 제품이 용기 안으로 재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상 제품 용기의 캡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소스, 식용유 등 점성을 가진 액상 제품과 간장, 식초 등과 같은 액상 제품(이하, 간단히 '액상 제품'이라 함)을 담기 위한 용기(이하, 간단히 '액상 제품 용기'라 함)의 포장 시 액상 제품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캡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 제품 용기에 체결되는 하단 외캡(200), 하단 외캡과 열결부(400)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 외캡과 결합되는 상단 외캡(300) 및 하단 외캡의 중앙부에 체결되며 하단 외캡과 상단 외캡에 의해 밀봉되는 내캡(100)을 포함한다.
내캡(100)은 하단 외캡의 중앙부에 형성된 가이드에 체결되어 액상 제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상단 외캡(300)은 하단 외캡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400)를 통해 하단 외캡과 연결되어 있다. 상단 외캡은 액상 제품이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하단 외캡과 결합되어 액상 제품 용기를 밀봉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액상 제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단 외캡을 하단 외캡과 분리시킨 후, 액상 제품 용기를 기울여 액상 제품이 하단 외캡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하단 외캡(200)은 액상 제품 용기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하단 외캡의 내부면에는 액상 제품 용기의 병목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선과 맞물리도록 암나선이 형성되어 있다. 하단 외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210), 하우징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하우징을 두 개의 측면으로 분할하는 분리부(220), 내캡이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분리부의 중심 부근에서 상단 외캡 방향을 향해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230)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2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되는 두 개의 측면 중 상단 외캡과 마주하게 되는 측면(이하, 간단히 '상단부'라 함)의 끝단에는, 상단 외캡과의 체결을 위해 단턱진 형태로 구성된 단턱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단 외캡의 내주면에는 하단 외캡의 단턱부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빗살무늬 형태로 구성된 체결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분리부(220)는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막으로서, 분리부를 통해 하우징은 상단부와 하단부로 구분된다. 상단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단 외캡과 마주하게 되는 측면이며, 하단부는 액상 제품 용기와 체결되는 측면(이하, 간단히 '하단부'라 함)이다. 한편, 분리부는 하우징의 회전축에 수직인 수평 단면을 기준으로 할 때, 이하에서 설명될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성된 다. 이는 분리부의 상단면, 즉, 하우징의 상단부로 배출된 액상 제품이 이하에서 설명될 가이드의 개방부(240) 방향으로 보다 원활히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230)는 내캡이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분리부의 중심 부근에서 상단 외캡 방향을 향해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서, 가이드의 일측면에는 분리부의 상단면에 잔존하는 액상 제품이 가이드 내부로 재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240)가 형성되어 있다. 개방부는, 가이드의 여러 측면 중, 연결부(400)가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 방향을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반적으로, 연결부가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 방향의 반대방향(이하, 간단히 '전방부'라 함)으로 액상 제품이 배출되므로, 연결부가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 방향(이하, 간단히 '후방부'라 함)에 개방부(2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개방부는 가이드의 다양한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액상 제품 용기의 캡 중 내캡의 사시도이다.
내캡(100)은 하단 외캡의 중앙부에 형성된 가이드(230)에 체결되어 액상 제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으로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의 후방부로 삽입되는 지지부(150), 지지부의 전방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지지부의 전방부를 좌우로 분리시키는 분리막(120), 지지부 하단의 개방된 영역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30)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상단에서 상기 구성요소들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110)를 를 포함한다.
지지부(150)는 가이드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의 안쪽 공간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부의 후방부, 즉, 가이드의 개방부(240)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의 하단에는 개방부(240)를 통해 지지부로 유입된 액상 제품이 지지부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방홈(140)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개방홈(140)은 지지부(150)의 다양한 측면 중 개방부(240)와 대응되는 측면에 형성된다.
분리막(120)은 지지부의 전방부를 좌우 두 개의 경로로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액상 제품 용기로부터 배출된 액상 제품을 적절한 양으로 분배하여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분리막의 하단부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분리부(220)의 차단막을 분리부로부터 분리해 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분리막(120)은 지지부(150)의 길이보다는 다소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30)는 분리막(120)에 의해 분리부(222)로부터 분리된 차단막이 다시 분리부를 차단시키지 못하도록, 차단막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액상 제품 용기의 캡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액상 제품 용기의 캡의 하단부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액상 제품 용기의 캡의 상단부를 나타낸 것이다.
분리부(220) 중 가이드(230)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가이드로 삽입된 내캡, 특히, 내캡의 분리막(120)에 의해 오픈되어, 액상 제품 용기 내부와 외부를 관통시키는 차단막(250)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차단막(250)은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분리부의 절반이상을 차지하는 한편, 내캡의 분리막(120)에 대응되는 위치인 전방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액상 제품 용기의 캡의 출하시에는 차단 막(250)은 분리부(220)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서, 하우징(21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차단되어 있다. 그러나, 액상 제품 용기의 캡이 결합되어 있는 액상 제품 용기를 구매한 사용자가, 상단 외캡(300)을 오픈 시킨 후 내캡(100)을 하단부 방향으로 힘을 주어 밀게 되면, 내캡의 분리막(120)의 하부면이 차단막(250)을 밀어, 차단막(250)의 일단이 분리부(22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차단막이 떨어져 나간 통로(260)를 통해 액상 제품이 배출 또는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차단막(250)이 분리막(120)에 의해 분리부(220)로부터 완전이 분리된다면, 차단막이 액상 제품 용기 내부로 유입되므로, 차단막의 일측인 가이드의 중심 부근에 위치한 연결부위는 다른 부분들보다 강한 결합력으로 분리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분리막(120)은 상기 연결부위에는 힘을 미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130)는 차단막(250)의 표면에 돌출되어 있는 구조물을 지지함으로써, 차단막이 다시 분리부를 차단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액상 제품 용기의 캡의 사용 방법이 설명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상 제품 용기의 캡이 결합되어 있는 액상 제품 용기를 구입한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단막(250)을 분리부(220)로부터 분리시킨 후, 액상 제품 용기를 분리막(120)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부로 기울인다.
이때, 액상 제품 용기 내부의 액상 제품이 통로(260)를 통해 가이드(230)와 분리막(120) 사이를 경유하여 이동된다. 분리막(120)의 높이가 가이드(23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230)와 분리막(120) 사이를 경유하여 이 동된 액상 제품은 결국, 커버(110)에 충돌하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액상 제품 사용을 중단한 사용자는 다시 상단 외캡을 하단 외캡에 결합시킨 후 액상 제품 용기를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액상 제품 용기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쓰러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액상 제품이 분리부(220)의 상단면으로 유출될 수 있으며, 분리부의 상단면은 상단 외캡과 하단 외캡에 의해 밀봉되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유출된 액상 제품들은 지속적으로 분리부의 상단면에 잔존하게 된다.
한편, 액상 제품 용기가 쓰러져 있는 것을 발견한 사용자는 액상 제품 용기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세우게 되며, 이때, 분리부(220)는 개방부(240)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분리부(220)의 상단면에 잔존하고 있던 액상 제품들은 중력에 의해 개방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분리부의 기울어진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230)에는 분리부와 연결되어 있는 개방부(24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된 내캡의 지지부(150)에는 개방홈(14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이동된 액상 제품은 다시 개방부(240)와 개방홈(140)을 통해 지지부(150)의 내부로 유입된다.
지지부(150)의 내부 공간은 분리부(220)에 형성된 통로(26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의 내부로 유입된 액상 제품은 다시, 통로를 통해 액상 제품 용기로 유입된다.
즉, 본 고안은 어떠한 원인에 의해 분리부(220)의 상단면으로 유출된 액상 제품을 사용자의 별도의 노력이 없이도, 다시 액상 제품 용기 내부로 재유입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액상 제품 용기의 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상 제품 용기의 캡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액상 제품 용기의 캡 중 내캡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액상 제품 용기의 캡의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내캡 110 : 커버
120: 분리막 130 : 돌출부
140 : 개방홈 150 : 지지부
200 : 하단 외캡 210 : 하우징
220 : 분리부 230 : 가이드
240 : 개방부 250 : 차단막
260 : 통로 211 : 단턱부
300 : 상단 외캡 400 : 연결부

Claims (4)

  1. 액상 제품 용기로부터 이동되어온 액상 제품을 가이드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캡;
    상기 내캡을 밀봉시키기 위한 상단 외캡; 및
    상기 액상 제품 용기에 체결되고, 연결부를 통해 상기 상단 외캡과 연결되고, 상기 내캡을 수용하여 상기 외캡과 함께 상기 내캡을 밀봉시키며, 상기 내캡을 통해 배출된 액상 제품이 상기 액상 제품 용기로 재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단 외캡을 포함하며,
    상기 내캡의 하단부에는 상기 개방부를 통해 이동되어온 상기 액상 제품을 상기 액상 제품 용기의 내부로 재유입시키기 위한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제품 용기의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외캡은,
    상기 액상 제품 용기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외주면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할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의 중심 부근에서 상기 상단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중 일측면에는 상기 내캡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 액상 제품이 상기 가이드 내부로 재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홈은 상기 개방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제품 용기의 캡.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하우징의 수평 단면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개방부가 형성되어져 있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제품 용기의 캡.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 중 상기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로 삽입된 내캡에 의해 오픈되는 차단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부와 개방홈을 통해 이동되어온 상기 액상 제품은, 상기 차단막의 오픈에 의해 상기 분리부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상기 액상 제품 용기의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제품 용기의 캡.
KR2020080009460U 2008-07-16 2008-07-16 액상 제품 용기의 캡 KR201000008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460U KR20100000819U (ko) 2008-07-16 2008-07-16 액상 제품 용기의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460U KR20100000819U (ko) 2008-07-16 2008-07-16 액상 제품 용기의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819U true KR20100000819U (ko) 2010-01-26

Family

ID=4419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460U KR20100000819U (ko) 2008-07-16 2008-07-16 액상 제품 용기의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81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995B1 (ko) 펌프 수용 부속품을 포함하는 분배 용기
US8302824B2 (en) Dispensing closure having a flow conduit with key-hole shape
KR102492789B1 (ko) 리필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및 포장 용기의 주출 유닛과의 연결 구조
MX2010005444A (es) Tapa de cierre a prueba de deglucion para contenedores, en particular contenedores para alimentos y en particular bolsas para bebidas.
JP6243354B2 (ja) リフィル容器用注出構造
WO2013013310A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liquid
KR100830089B1 (ko) 용기용 마개
JP2011011773A (ja) 詰め替え容器
KR100980768B1 (ko) 이중용기
JP5483164B2 (ja) 継続使用容器と詰め替え容器の組合せ
KR20100000819U (ko) 액상 제품 용기의 캡
TWI555682B (zh) Squeeze the container cover
JP7203549B2 (ja) 吐出キャップ
JP6033355B2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JP5977535B2 (ja) 注出キャップ
JP6632801B2 (ja) 小出し可能な複合液出しキャップ
KR102280945B1 (ko) 호환식 결합용기
JP2007302254A (ja) 吐出容器
KR102106608B1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
KR200485155Y1 (ko) 용기
JP5953041B2 (ja) 詰替え容器用栓部材
KR102578778B1 (ko) 내용물 용기
KR200494058Y1 (ko) 음료용기 결합장치
JP6183846B2 (ja) 詰替え容器用栓体
CN216547601U (zh) 一种多料腔即配式瓶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215

Effective date: 2011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