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319A -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319A
KR20090124319A KR1020080050453A KR20080050453A KR20090124319A KR 20090124319 A KR20090124319 A KR 20090124319A KR 1020080050453 A KR1020080050453 A KR 1020080050453A KR 20080050453 A KR20080050453 A KR 20080050453A KR 20090124319 A KR20090124319 A KR 20090124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inuous shooting
time interval
photographing apparatus
digital photographing
shoot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덕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0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4319A/ko
Priority to US12/473,368 priority patent/US20090295931A1/en
Publication of KR20090124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복된 스틸 이미지 획득 가능성을 낮추면서도 필요에 따라 고속 연속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위하여, 피사체 또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움직임 양 추정부와, 상기 움직임 양 추정부가 추정한 움직임 양에 따라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와,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를 구비하고, 연속촬영 시, 상기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가 결정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촬상소자에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중복된 스틸 이미지 획득 가능성을 낮추면서도 필요에 따라 고속 연속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모드에서 촬영동작에 의하여 스틸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틸 이미지 또는 동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영모드는 한 번의 조작으로 한 개의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일촬영 모드와 한 번의 조작으로 복수개의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들을 획득하는 연속촬영 모드를 갖는다. 최근에는 기술의 진보로 초당 30개 이상의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들을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연속촬영 모드 하에서 복수개의 스틸 이미지들을 획득할 시, 피사체의 움직임이 적을 경우 큰 차이가 없이 유사한 복수개의 스틸 이미지들을 획득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유사한 복수개의 스틸 이미지들 중에서 필요한 스틸 이미지를 선별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겪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복된 스틸 이미지 획득 가능성을 낮추면서도 필요에 따라 고속 연속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사체 또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움직임 양 추정부와, 상기 움직임 양 추정부가 추정한 움직임 양에 따라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와,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를 구비하고, 연속촬영 시, 상기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가 결정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촬상소자에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는 연속촬영에 앞서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는 연속촬영 중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는 자이로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움직임 양 추정부는 상기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세팅하는 연속촬영 시간 간격 조작부를 구비하고, 연속촬영 시, 상기 연속촬영 시간 간격 조작부가 세팅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촬상소자에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속촬영 시간 간격 조작부는 연속촬영에 앞서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세팅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속촬영 시간 간격 조작부는 연속촬영 중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세팅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1) 피사체 또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단계와, (a2) 상기 (a1) 단계에서 추정된 움직임 양에 따라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촬영 속도 결정 프로세스와, (b1)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b2)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b3) 상기 (b2) 단계에서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b1) 단계에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점부터 상기 연속촬영 속도 결정 프로세스에서 결정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 이후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b2) 단계를 다시 거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촬영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속촬영 프로세스 진행에 앞서 상기 연속촬영 속도 결정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속촬영 프로세스 진행 중 상기 연속촬영 속도 결정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1) 단계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1)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a2)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a3) 상기 (a2) 단계에서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a1) 단계에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점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 이후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a2) 단계를 다시 거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 설정은 상기 연속촬영 프로세스 진행에 앞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 설정은 상기 연속촬영 프로세스 진행 중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 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따르면, 중복된 스틸 이미지 획득 가능성을 낮추면서도 필요에 따라 고속 연속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소자(30)는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는 촬상소자(3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물론 촬상소자(30)의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촬상소자(30)로부터의 데이터는 메모리(60)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60)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CPU(100)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움직임 양 추정부(52)에 전달되며, 움직임 양 추정부(52)를 통해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직접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54)에도 전달된다. 움직임 양 추정부(52)는 피사체 또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하며,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54)는 연속촬영 모드일 시 촬상소자(30)에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하는 시간 간격을 결정한다. 물론 도 1에서는 움직임 양 결정부(52)와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54)가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와 독립된 구성요소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그 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일부일 수도 있으며, 또한 그 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CPU(100)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81)는 디스플레이부(8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71)에 입력되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사용자로부터의 신 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70)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영구장착된 것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피사체의 움직임의 양이 적을 경우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한 연속촬영에 의해 획득한 스틸 이미지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사체의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적은 인물, 정물, 풍경 및/또는 단체에 대한 스틸 이미지를 획득하는 경우, 고속으로 연속촬영을 통해 스틸 이미지들을 획득하게 되면 획득한 스틸 이미지들은 대부분 유사한 스틸 이미지들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사한 복수개의 스틸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저장매체(70)의 저장용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유사한 복수개의 스틸 이미지들을 획득하게 되면 저장매체(70)에 다양한 스틸 이미지들을 획득하여 저장함에 있어서 불리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모드 하의 연속촬영 모드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더라도,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하는 시간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최적의 시간 간격으로 복수개의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들을 획득한다. 즉, 움직임 양 추정부(52)가 피사체의 움직임의 양을 추정하면, 그 추정된 움직임 양에 따라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54)가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연속촬영 시,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54)가 결정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에 따라 촬상소자(30)에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한다.
예컨대 피사체의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적은 인물, 정물, 풍경 및/또는 단체에 대한 스틸 이미지를 획득하는 경우, 움직임 양 추정부(52)는 피사체의 움직임 양이 적다고 판단하고 이에 따라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54)는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크게 결정한다. 따라서 피사체에 대한 연속촬영이 이루어질 시 연속촬영 시간 간격이 크기 때문에,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사한 스틸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후 사용자가 획득한 스틸 이미지들을 정리할 시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사한 스틸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가능성을 낮춤으로써, 디지털 촬영장치에 장착된 저장매체(70)의 저장용량이 유사한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들로 인하여 낭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피사체의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빠른 스포츠 경기, 주행중인 자동차 및/또는 달리는 동물 등에 대한 스틸 이미지를 획득하는 경우, 움직임 양 추정부(52)는 피사체의 움직임 양이 많다고 판단하고 이에 따라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54)는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작게 결정한다. 따라서 피사체에 대한 연속촬영이 이루어질 시 연속촬영 시간 간격이 작기 때문에,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의 순간순간의 스틸 이미지들을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a 및 도 2b,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 른 디지털 촬영장치에 대해 설명하면서 피사체의 움직임의 양에 따른 연속촬영 시간 간격 조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피사체의 움직임의 양이 적은 인물, 정물, 풍경 및/또는 단체에 대한 스틸 이미지를 획득하는 경우에도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이 크다면, 결과적으로 연속촬영 모드에서 획득하는 스틸 이미지들은 상호 상이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 추정부(52)는 피사체의 움직임의 양이 아닌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의 양을 추정하며, 추정된 양에 따라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54)에서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 추정부(52)는 다양한 방법으로 움직임 양을 추정한다. 예컨대 연속촬영 모드 하에서 연속촬영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라이브 뷰 모드라고 하여 피사체에 대한 실시간 동영상 이미지라 할 수 있는 라이브 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라이브 뷰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사체 및/또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할 수 있다. 즉, 라이브 뷰 이미지들의 연속된 프레임 이미지들 또는 일정 간격의 프레임 이미지들을 비교하여, 프레임 이미지들 내에서의 피사체의 움직임 양을 판단함으로써, 피사체 및/또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촬영장치는 동영상 이미지 촬영기능을 가질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동영상 이미지의 효과적인 저장을 위하여 동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는 인코더(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코더는 동영상 이미지의 프레임 이미지들 사이의 유사성 등을 판단하여 동영상 이미지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바, 이러한 인 코더를 이용하여 라이브 뷰 이미지의 프레임 이미지들에서의 피사체의 위치 차이 등을 분석함으로써 피사체 및/또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필요하다면 자이로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하도록 하고, 움직임 양 추정부(52)는 이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것일 수도 있다. 특히 최근에는 손떨림 방지 기능과 관련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에 자이로 센서가 장착되는 경우가 많은 바, 이 경우에는 별도의 구성요소 추가 없이 기 장착된 자이로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는 연속촬영 모드에서 연속촬영이 이루어지기 전에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연속촬영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면 결정된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개의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들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이와 달리,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54)가 연속촬영 중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연속촬영이 이루어지게 되면 복수개의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들을 획득하는 바, 이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연속촬영 중에도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최초에는 피사체 및/또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이 적어 연속촬영 시간 간격이 크게 설정되었다가도 연속촬영 중 피사체 및/또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이 커졌을 경우,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작게 변화시켜 순간순간의 다양한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들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a에서 "시작"이 의미하는 것은 연속촬영 모드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고 연속촬영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도 4a에서 "종료"가 의미하는 것은 연속촬영 모드의 종료가 아니라 연속촬영의 종료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은 피사체 또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단계(S12)와 S12 단계에서 추정된 움직임 양에 따라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S14)를 거치게 된다. 이 S12 단계와 S14 단계를 포함하여 연속촬영 속도 결정 프로세스라 할 수 있다. 그 후,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2)를 거치게 되는데, 이 단계는 예컨대 사용자가 셔터버튼을 누름에 따라 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2)를 거친 후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4)를 거치게 되는데,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2)를 거치게 된다. 이때, 이전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점부터 이번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점까지는 연속촬영 속도 결정 프로세스에서 결정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이 존재하게 된다.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2)를 거친 후에는 다시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4)를 거치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더 이상 셔터버튼을 누르지 않는 것과 같은 상황의 경우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22 단계 및 S24 단계는 연속촬영 프로세스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의 경우, 피사체 및/또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의 크기에 따라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연속촬영 모드에서 복수개의 유사한 스틸 이미지들을 획득할 가능성을 낮추면서도 피사체 및/또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의 양이 클 경우에는 순간순간의 다양한 스틸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인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작"이 연속촬영 모드의 시작을 의미하고 "종료"가 연속촬영의 종료를 의미하는 것이며, 연속촬영 모드가 시작되면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단계(S12)와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S14)를 거치되, 연속촬영이 시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6)를 거쳐 연속촬영이 시작되지 않았다면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단계(S12)와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S14)를 다시 거치도록 함으로써, 연속촬영이 개시되기 전까지 연속촬영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를 계속해서 업데이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들의 경우에는 연속촬영 프로세스 진행에 앞서 연속촬영 속도 결정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진행되면 연속촬영 시간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인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작"이 연속촬영의 시작을 의미하고 "종료"가 연속촬영의 종료를 의미하는 것이고, 연속촬영이 시작되면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단계(S12),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S14),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4)를 거쳐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4)를 거치며,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종료되지 않았다면 다시 S12 단계와 S14 단계를 거쳐 연속촬영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한 후,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가지고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2)를 다시 거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인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작"이 연속촬영의 시작을 의미하고 "종료"가 연속촬영의 종료를 의미하는 것이고,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단계(S12),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S14) 및 연속촬영이 시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6)를 거쳐 연속촬영이 시작되지 않았다면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단계(S12)와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S14)를 다시 거치도록 함으로써, 연속촬영이 개시되기 전까지 연속촬영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를 계속해서 업데이트하도록 하고, 이후 연속촬영이 시작된 후에도 연속촬영 프로세스 진행 중 연속촬영 속도 결정 프로세스(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단계(S12'),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S14'))를 진행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들에 있어서 피사체 및/또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 추정은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추정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촬영장 치가 자이로 센서를 구비한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 추정은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와 상이한 것은 움직임 양 추정부(52) 및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54)를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조작부(200) 내에 연속촬영 시간 간격 조작부(210)를 구비한다는 것이다. 이 연속촬영 시간 간격 조작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세팅한다. 이에 따라 연속촬영 시, 연속촬영 시간 간격 조작부(210)가 세팅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에 따라 촬상소자(30)에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한다.
연속촬영 시간 간격 조작부(210)는 연속촬영에 앞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세팅하는 것으로서, 디지털 촬영장치는 연속촬영 중 세팅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들을 획득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 조작부(210)는 연속촬영 중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세팅하는 것으로서, 디지털 촬영장치는 연속촬영 중 연속촬영 시간 간격이 변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연속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종료되 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점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 이후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그 후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다시 거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 설정은 연속촬영 프로세스 진행에 앞서 이루어져, 일단 연속촬영 중에는 연속촬영 시간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사용자에 의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 설정은 연속촬영 프로세스 진행 중 사용자의 버튼 클릭 또는 다이얼 조작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연속촬영 중에도 연속촬영 시간 간격이 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들을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예컨대 도 1 및/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저장매체(70)일 수도 있고, 도 1 및/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60)일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 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피사체의 움직임의 양이 적을 경우 연속촬영에 의해 획득한 스틸 이미지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피사체의 움직임의 양이 많을 경우 연속촬영에 의해 획득한 스틸 이미지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즈 11: 렌즈 구동부
20: 조리개 21: 조리개 구동부
30: 촬상소자 31: 촬상소자 제어부
40: A/D 변환부 50: 디지털 신호 처리부
52: 움직임 양 추정부 54: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
60: 메모리 71: 저장/판독 제어부
70: 저장매체 81: 디스플레이 제어부
80: 디스플레이부 100: CPU
200: 조작부 210: 연속촬영 시간 간격 조작부

Claims (15)

  1. 피사체 또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움직임 양 추정부;
    상기 움직임 양 추정부가 추정한 움직임 양에 따라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 및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를 구비하고,
    연속촬영 시, 상기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가 결정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촬상소자에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는 연속촬영에 앞서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촬영 시간 간격 결정부는 연속촬영 중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는 자이로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움직임 양 추정부는 상기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세팅하는 연속촬영 시간 간격 조작부;를 구비하고,
    연속촬영 시, 상기 연속촬영 시간 간격 조작부가 세팅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촬상소자에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촬영 시간 간격 조작부는 연속촬영에 앞서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촬영 시간 간격 조작부는 연속촬영 중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8. (a1) 피사체 또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단계; 및
    (a2) 상기 (a1) 단계에서 추정된 움직임 양에 따라 연속촬영 시간 간격을 결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촬영 속도 결정 프로세스와,
    (b1)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2)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3) 상기 (b2) 단계에서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b1) 단계에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점부터 상기 연속촬영 속도 결정 프로세스에서 결정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 이후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b2) 단계를 다시 거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촬영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촬영 프로세스 진행에 앞서 상기 연속촬영 속도 결정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촬영 프로세스 진행 중 상기 연속촬영 속도 결정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 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양을 추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2. (a1)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a2)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3) 상기 (a2) 단계에서 연속촬영 프로세스가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a1) 단계에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점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 이후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a2) 단계를 다시 거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 설정은 상기 연속촬영 프로세스 진행에 앞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연속촬영 시간 간격 설정은 상기 연속촬영 프로세스 진행 중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 장한 기록매체.
KR1020080050453A 2008-05-29 2008-05-29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090124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453A KR20090124319A (ko) 2008-05-29 2008-05-29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12/473,368 US20090295931A1 (en) 2008-05-29 2009-05-28 Digital photography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consecutive images according to a motion of an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453A KR20090124319A (ko) 2008-05-29 2008-05-29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319A true KR20090124319A (ko) 2009-12-03

Family

ID=4137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453A KR20090124319A (ko) 2008-05-29 2008-05-29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295931A1 (ko)
KR (1) KR200901243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6704B2 (en) * 2011-03-25 2014-05-27 Apple Inc. Digital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sequence
US8736697B2 (en) * 2011-03-25 2014-05-27 Apple Inc. Digital camera having burst image capture mode
US20120243802A1 (en) * 2011-03-25 2012-09-27 William Vernon Fintel Composite image formed from an image sequence
US8736716B2 (en) 2011-04-06 2014-05-27 Apple Inc. Digital camera having variable duration burst mode
US9413944B2 (en) * 2011-04-22 2016-08-09 Blackberr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in an electronic device
US20150334298A1 (en) * 2012-12-24 2015-11-19 Yulong Computer Telecommunication Scientific (Shenzhen) Co., Ltd. Dynamic adjustment device for recording resolution and dynamic adjustment method and terminal
JP5962600B2 (ja) * 2013-06-26 2016-08-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動画生成装置、動画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34333B2 (ja) * 2014-06-25 2017-11-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JP6239026B2 (ja) * 2015-05-29 2017-11-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DE102016109179B4 (de) * 2015-05-29 2023-08-03 Canon Kabushiki Kaisha Bildaufnahmeeinrichtung und Bildgebungsvorrichtung
KR102668233B1 (ko) * 2018-09-04 2024-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관심 영역을 통해 움직이는 외부 객체에 대해 프레임 레이트를 제어하여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20136899A (ja) * 2019-02-19 2020-08-31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装置、電子機器、および撮像方法
CN114168767A (zh) * 2021-12-08 2022-03-1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标注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2619B2 (ja) * 1992-01-14 2003-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スチルカメラ
US6590607B1 (en) * 1998-08-19 2003-07-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 uninterrupted digital video stream
US6894719B2 (en) * 2001-08-23 2005-05-1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preselected lenticular image
US20030184658A1 (en) * 2002-03-26 2003-10-02 Fredlund John R.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motion video segments and providing still and motion image files
JP4082318B2 (ja) * 2003-09-04 2008-04-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14926B2 (ja) * 2004-03-04 2009-01-28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5311789A (ja) * 2004-04-22 2005-11-04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WO2007043403A1 (en) * 2005-10-07 2007-04-19 Olympus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JP2007228019A (ja) * 2006-02-21 2007-09-06 Olympus Corp 撮像装置
JP5168837B2 (ja) * 2006-07-27 2013-03-2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200915856A (en) * 2007-09-28 2009-04-01 Altek Corp Optimum image selection method and system
US7489334B1 (en) * 2007-12-12 2009-0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the cost of sampling a moving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95931A1 (en)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4319A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445606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3848230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撮像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8016978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8872929B2 (en) Picture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control method
US11184524B2 (en) Focus control device, foc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imaging device
JP6518452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18185357A (ja) 像ブレ補正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
JP200907727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92810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1513315B2 (en) Focus control device, foc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imaging device
JP2011217334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US20040212714A1 (en) Digital camera
JP2008288840A (ja) カメラ
JP2002330335A (ja) 静止画像撮像装置
JP5350090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0147817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23054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6112761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3162272A (ja) 撮像装置
JP6140975B2 (ja) 撮像装置
JP2010060657A (ja) 焦点調節装置及び焦点調節方法
US2015038189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synthesizing plurality of images
JP6443486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3977406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方法、撮像装置、プログラム、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