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505A -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505A
KR20090114505A KR1020080040172A KR20080040172A KR20090114505A KR 20090114505 A KR20090114505 A KR 20090114505A KR 1020080040172 A KR1020080040172 A KR 1020080040172A KR 20080040172 A KR20080040172 A KR 20080040172A KR 20090114505 A KR20090114505 A KR 20090114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transparent electrode
transparent
screen panel
connec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6933B1 (ko
Inventor
류시원
Original Assignee
(주)멜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멜파스 filed Critical (주)멜파스
Priority to KR20080040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93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4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은, 입력을 수용하는 투명 기판 상에 투명 w전극이 배치되고, 투명 전극은 연결 패드가 배치되는 투명 기판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 패드가 배치되는 투명 기판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투명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투명 전극과 연결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이 배치되는 베젤 영역을 감소하여 표시 영역의 사이즈를 극대화하고, 투명 전극과 연결 패드 사이의 저항을 보상하여 정확한 입력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베젤 영역, 연결 패드, 투명 전극

Description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TOUCHSCEREEN PANEL, TOUCHSCREEN APPARATUS AND TOUCHSCREEN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투명 기판상에 투명 전극을 배치하고, 연결 패드가 형성되는 투명 기판의 일단과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형상으로 투명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터치스크린 패널의 베젤 영역의 사이즈를 줄이고, 표시 영역의 사이즈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투명 전극의 저항 성분을 보정하여 정확하게 입력을 판단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전자 기기를 소형화하면서 표시 화면을 대형화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접촉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는 전자 기기가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표시 화면에 입력 기능을 탑재한 터치스크린 패널은 휴대용 전자 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동작 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정전용량 방식은 얇은 두께의 터치스 크린 패널을 제조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고 멀티 터치가 가능하여 다양한 전자 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투명 기판 상에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되는 투명 전극을 부착하고, 투명 전극은 투명 기판 상에 배치되는 연결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패드는 제어 모듈과 연결되고, 접촉에 따라 투명 전극에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 변화가 제어 모듈로 전달되어 접촉 위치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 패드와 투명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소정의 배선을 투명 기판에 배치함으로써, 배선이 배치되어 화상을 실제로 표시할 수 없는 베젤 영역이 증가함에 따라 유효 표시 영역의 사이즈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 기판상에 투명 전극을 배치하고, 연결 패드가 형성되는 투명 기판의 일단과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투명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터치스크린 패널의 베젤 영역의 면적을 줄이고, 표시 영역의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은,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상에 배치되는 투명 전극, 및 상기 투명 기판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투명 기판의 상기 일단과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상에 배치되는 투명 전극. 상기 투명 기판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패드, 및 상기 연결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투명 전극이 수용하는 입력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투명 기판의 상기 일단과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 패드가 배치되는 투명 기판의 일단과 일단에 대응하는 타단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투명 전극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투명 전극과 연결 패드를 연결하는 배선이 차지하는 베젤 영역의 면적을 감소하고 투명 전극의 유효 표시 면적을 증가할 수 있으며, 투명 전극의 저항 성분에 따라 발생가능한 입력의 오차를 보상함으로써, 정확하게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이 적용되는 전자기기를 도시한 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은 이동통신 단말기,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물론, 텔레비전, 컴퓨터, DVD 플레이어, 냉장고, 세탁기 등의 가전 기기에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장착되는 표시부(110), 전자 기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20), 및 터치스크린 패널과 별도로 구비되는 입력키(130)를 포함한다. 입력키(130)는 터치스크린 패널과 별도로 자주 사용되는 키를 분리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입력키(130)를 제거하고 모든 입력을 터치스크린 패널을 통해 처리할 수도 있다.
표시부(110)는 전자 기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화상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모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표시부(110) 상에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부착되어 사용자의 신체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통한 입력을 수용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표시부(110) 상에 부착되어 접촉에 따라 입력을 판단한다. 일실시예로, 터치스크린 패널은 입력을 수용하는 투명 기판, 투명 기판 상에 배치되는 투명 전극, 및 투명 기판의 일단에 배치되고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패드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어부 등과 연결되고, 제어부는 상기 연결 패드를 통해 터치스크린 패널이 수용한 입력을 처리한다.
일실시예로, 투명 기판이 입력을 수용함에 따라 접촉 물체와 투명 전극을 기판으로, 투명 기판을 유전체로 하여 커패시턴스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커패시턴스 변화는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 패드를 통해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는 커패시턴스 변화를 이용하여 접촉 위치 또는 접촉의 개수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투명 기판과 부착되는 투명 전극의 면과 마주보는 면 상에 배치되는 유리 기판을 통해 입력을 수용할 수도 있다.
투명 전극과 연결 패드는 소정의 배선 패턴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선 패턴은 전기 저항이 낮은 은(Ag)을 이용하여 인쇄 등으로 형성하거나, 투명 전극과 동일한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배선 패턴은 투명 전극과 연결되어 전자 기기(100)의 표시부(110)와 하우징(120) 사이의 더미 영역(140, 145)에 배치될 수 있다. 더미 영역(140, 145)은 배선 패턴의 배치, 배선 패턴의 정렬, 또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타발 공차 등에 따라서 그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200)은, 투명 기판(220), 투명 기판상에 배치되는 투명 전극(230), 투명 기판(230)의 일단에 배치되는 연결 패드(240), 및 연결 패드(240)와 투명 전극(2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패턴(250)을 포함한다.
투명 기판(220)은 터치스크린 패널(200)을 지지하는 기판으로서, 유리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I(polyimide) 등과 같은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투명 기판(220)은 전자 기기(100)의 표시부(110) 상에 장착되는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특성상, 빛 투과율이 우수한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전극(230)은 ITO(Indium-Tin Oxide), IZO(Indium-Zinc Oxide), 또는 ZnO(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투명 전극(230)은 투명 기판(220) 상에 투명 전도성 물질을 도포하고, 상기 투명 전도성 물질을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 전극(230)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가정하나, 필요에 따라 투명 전극(230)의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투명 기판(220)의 일단에는 연결 패드(240)가 형성된다. 연결 패드(240)는 투명 전극(230)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은(Ag)과 같이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패드(240)는 터치스크린 패널(20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투명 기판(220) 상의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커패시턴스의 변화 등을 제어부로 전달하며, 제어부는 상기 커패시 턴스 변화 등을 이용하여 입력이 발생한 수 또는 위치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연결 패드(240)는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과 연결된다. 이때, 연성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되는 소정의 회로 패턴과 연결 패드(240) 사이에 이방성 전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또는 이방성 전도 페이스트(Anisotropic Conductive Paste, ACP) 등을 배치하고 열압착함으로써, 연결 패드(240)와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 패드(240)는 투명 기판(220) 상에 형성되는 소정의 배선 패턴(250)을 통해 투명 전극(230)과 연결된다. 배선 패턴(250)은 투명 전극(230)과 연결 패드(2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투명 기판(220)이 수용하는 입력에 따른 커패시턴스의 발생 및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 등을 전달한다.
배선 패턴(250)은 은(Ag)과 같이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물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투명 전극(230)과 같은 물질(예를 들어, ITO, IZO, 또는 ZnO)로 형성될 수 있다. 은(Ag)을 이용하는 경우, 실크 인쇄 방법을 이용하여 배선 패턴(25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배선 패턴(250)은 투명 전극(230)과 연결 패드(2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편, 터치스크린 패널(200) 외곽의 베젤 영역(210)에 배치된다. 따라서, 배선 패턴(250)의 수, 두께, 간격, 및 배치 형태 등에 따라 터치스크린 패널(200)에서 유효 표시 영역을 제외한 베젤 영역(210)의 면적이 결정될 수 있다. 베젤 영역(210)의 면적이 커질수록 터치스크린 패널(200)에서 유효 표시 영역 은 감소하므로, 베젤 영역(210)의 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로, 배선 패턴(250)의 두께와 간격이 각각 200㎛이고, N 개의 투명 전극(230)이 형성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각각의 투명 전극(230)에 대응하는 N 개의 배선 패턴(250)이 필요하다. 이때, 투명 전극(230)을 X 축 방향에 대응하여 연장되도록 형성하면, 좌측 및 우측 베젤 영역(210)에 각각 N 개의 배선 패턴(250)을 배치해야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패드(240)가 배치되는 투명 기판(220)의 일단에서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으로 연장되도록(즉,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투명 전극(2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Y 축 방향에 대응하여 연장되도록 투명 전극(230)을 형성하면, X 축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투명 전극(230)과 연결되는 배선 패턴(250)은 좌측 베젤 영역(210)에 배치하고, X 축 중심선의 우측에 위치하는 투명 전극(230)과 연결되는 배선 패턴(250)을 우측 베젤 영역(210)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및 우측 베젤 영역(210)에 각각 N/2 개의 배선 패턴(250)만을 배치할 수 있어, 베젤 영역(210)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한 터치스크린 패널의 A-A'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200)은 투명 기판(220), 투명 기판(220)의 유효 표시 영역(300)에 형성되는 투명 전극(230), 투명 기판(200)의 베젤 영역(210)에 형성되는 배선 패턴(250)을 포함한다. 한편, 터치스크린 패널(200)은 소정의 표시 장치(310)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 기판(2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강화 유리, PET, PC, PES, PI 등과 같이 빛 투과율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 전극(230)은 투명 기판(220) 상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접촉 위치를 감지한다. 투명 전극(230)은 투명 기판(220) 상에 투명 전도성 물질을 도포하고, 도포한 투명 전도성 물질을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투명 전극(230)의 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삼각형 형상으로 2N 개의 투명 전극(230)이 형성되는 것을 가정한다. 따라서, 삼각형 2개가 모여 사각형을 이루는 총 N개의 투명 전극(230) 쌍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패드(240)가 배치되는 투명 기판(220)의 일단에서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으로 연장되도록 투명 전극(230)이 형성된다. 따라서, 투명 전극(230)은 도 2에 나타낸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베젤 영역(212,214)에는 각각 N/2 개의 배선 패턴(250)이 배치된다. Y 축 방향으로 투명 전극(230)을 형성함으로써, 사각형을 구성하는 삼각형의 투명 전극(230) 쌍 중 우측에 위치한 투명 전극(230)은 좌측 또는 우측의 베젤 영역(212, 214)을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X 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투명 전극(230)을 배치하여 좌측 및 우측 베젤 영역(212, 214)에 각각 N 개의 배선 패턴(250)이 배치되는 경우와 달리 좌측 및 우측 베젤 영역(212, 214)의 면적을 줄임으로써 유효 표시 영역(300)의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3b는 별도의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200)은 투명 기판(220)상에 투명 전극(230)이 배치되고, 투명 전극(230)은 다시 유리 기판(320)에 부착된다. 투명 전극(230)이 배치되지 않는 투명 기판(220)의 면은 표시 장치(310)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한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경우, 사용자의 입력은 유리 기판(320)을 통해 수용된다. 유리 기판(320)이 사용자의 입력을 수용하면, 투명 전극(230)과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유리 기판(320)에서 소정의 정전용량이 발생하며, 상기 정전용량은 투명 전극(230)과 배선 패턴(250)을 통해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제어부로 전송된다. 제어부는 상기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입력을 감지하고, 입력이 감지된 위치 및 감지한 입력의 수 등을 판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도시한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400)은 투명 기판(420), 투명 기판상에 배치되는 투명 전극(430), 투명 기판(220)의 일단에 배치되는 연결 패드(440), 및 연결 패드(4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460) 등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투명 전극(430)은 투명 기판(420) 상에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삼각형 형상으로 패터닝되는 것을 가정하지만, 삼각형 형상 이외의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연결 패드(440)는 투명 기판(420)의 일단에 배치되어 터치 스크린 장치(400)을 제어하는 제어부(460)와 연성회로기판(460)을 통해 연결되며, 배선 패턴(450)을 통해 투명 전극(43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선 패턴(450)은 투명 전극(430)과 연결 패드(440)를 최단거리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배선 패턴(450)이 하측 베젤 영역에만 배치됨에 따라, 하측 베젤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베젤 영역(410)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유효 표시 영역의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연결 패드(440)는 제어부(470)와 연결되므로, 터치스크린 장치(400)가 대형 표시 장치에 부착되어 투명 전극(430) 및 연결 패드(440)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 제어부(470)의 채널이 부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다수의 연결 패드(440)를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이 하나의 배선을 통해 제어부(470)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어부(470)의 채널 부족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전극 E1과 전극 E5가 연결되는 2개의 연결 패드(440)를 제 1 그룹으로, 전극 E4와 전극 E6가 연결되는 2개의 연결 패드(440)를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경우를 가정해보자. 전극 E5와 E6가 포함되는 T3 영역에서 입력이 발생하면, 제어부(470)는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의 연결 패드(440)로부터 입력을 감지한다. 그러나,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연결 패드(440)와 연결되는 투명 전극(430)을 동시에 포괄할 수 있는 경우는, 전극 E5와 E6가 교차하는 영역에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 총 2N 개의 투명 전극(430)이 형성된다면, 제어부(470)는 N 개의 채널만으로도 터치스크린 장치(400)가 수용하는 입력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연결 패드(440)와 연성회로기판(460)을 통해 투명 전극(430)을 통한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한 입력을 처리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투명 전극(430)이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T1 영역과 연결 패드(440) 사이의 저항 및 T2 영역과 연결 패드(440) 사이의 저항 차이로 인하여, T2 영역에서 수용하는 입력 처리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을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한 터치스크린 장치의 T1 영역 및 T2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이다. 터치스크린 장치(400)의 입력 위치 감지 방법을 도 5a와 도 5b, 및 도 6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터치스크린 장치(400)에 접촉이 발생하면 접촉이 발생한 영역에서 정전용량이 생성되어 전하재분포 현상이 일어남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곡선 (1) 또는 (2)와 같은 전압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 장치(400)의 T1에서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의 전압 변화는 곡선 (1)에 대응하며, T2에서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의 전압 변화는 곡선 (2)에 대응한다. 곡선 (3)은 접촉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전압 곡선인 것을 가정한다.
일실시예로, T1에서 입력을 수용함에 따라 소정의 용량성분 C1이 형성되며, 상기 용량성분 C1은 전극 E1의 접촉 면적 T1-1에서 발생하는 용량성분 C1-1 및 E2의 접촉 면적 T1-2에서 발생하는 용량성분 C1-2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전하재분포 원리에 의해 용량성분 C1-1 및 C1-2에 전하가 충전되는데,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용량성분 C1-1은 C1-2에 비해 작은 용량성분 값을 가지므로, 일정 시간 경과 후 C1-1의 전압은 C1-2의 전압보다 작게 된다. 이때, C1-1의 전압과 C1-2의 전압의 비율은 T1-1의 면적 및 T1-2의 면적의 비율에 비례하므로,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T1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T2 위치에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T1과 마찬가지로 전극 E1의 접촉 면적 T2-1과 E2의 접촉 면적 T2-2에서 발생하는 용량성분의 상대 비율을 이용하여 접촉 위치를 판별한다. 즉, T2 위치에 접촉이 발생함에 따라 용량성분 C2가 발생하는 것을 가정하면, 용량성분 C2는 접촉 면적 T2-1에서 발생하는 용량성분 C2-1 및 접촉 면적 T2-2에서 발생하는 용량성분 C2-2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하재분포 원리에 의해 용량성분 C2에 전하가 충전되며, 이때 C2-1과 C2-2에 충전되는 전하의 비율을 측정하여 T2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T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C2-1과 C2-2의 전압 비율을 측정함으로써, T2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T2의 경우 T1과는 달리 접촉 영역이 전극 E1 및 E2와 연결되는 배선 패턴(440)으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저항성분이 증가하여 입력을 수용한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T2의 접촉 위치 감지에 충분한 전하재분포 현상이 발생하는데 필요한 시간 t2는 T1의 경우 필요한 시간 t1보다 크기 때문에, 전하재분포 현상을 이용하여 접촉의 위치를 판별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접촉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접촉이 발생하지 않은 (3)의 전압 곡선과, 접촉이 발생한 (1) 또는 (2)의 전압 곡선 사이의 전압 차이를 이용하는 경우, T2의 경우 전압 곡선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압이 느리게 감소하여 충분한 전압 차이를 얻을 때까지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시간 t1에서 T2의 입력 위치를 판단하는 경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접촉이 발생한 면적이 포함하는 다수의 전극(예를 들어 E1 및 E2)에서 발생하는 용량성분의 비율을 이용하여 접촉 위치를 측정하면, T2에서 접촉이 발생한 경우 시간 t2가 경과하지 않더라도 접촉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T2의 경우 전압 변화를 나타낸 곡선 (2)를 참조하면, 시간 t1에서의 전압차이 V2에서 용량성분 C2-1의 전압과 C2-2의 전압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시간 t2가 경과하기 전에 T2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어부(470)에서 소정의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즉, T2에서 수용한 입력은 T1에서 입력을 수용하는 경우보다 큰 저항값으로 인해 입력 위치 판별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소정의 테이블에 상기 저항값을 보정하기 위한 별도의 저항값을 기록하고, T2와 같이 연결 패드(440)로부터 멀리 이격된 영역에서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저항값을 보정함으로써, 입력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이블은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어부(470)에서 필요한 경우마다 호출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룩업테이블(Look-up Table) 또는 매칭테이블일 수 있다. 또한, 저항성분을 보정하기 위한 저항값을 테이블에 기록하는 것뿐만 아니라, 입력에 따른 좌표 판단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좌표값 자 체를 테이블에 기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 패드(440)로부터 이격된 영역에서 입력을 수용하면 제어부(470)에서 우선 좌표를 판단하고, 테이블에 기록된 값을 이용하여 판단한 좌표를 보정하여 정확한 입력 위치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테이블은 터치스크린 장치(400)이 포함하는 투명 전극(430) 및 배선 패턴(450)의 저항 등에 따라 미리 결정될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어부(470)에서 테이블을 갱신할 수도 있다. 즉, 터치스크린 장치(400)의 초기 구동시, 또는 터치스크린 장치(400)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100)의 전원이 켜지는 경우, 제어부(470)는 사용자로 하여금 연결 패드(440)와 인접한 영역 및 연결 패드(440)로부터 이격된 영역을 각각 터치 입력하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어부(470)는 입력 좌표 혹은 저항 성분을 보정하기 위한 값을 생성한다. 즉, 제어부(470)에서 사용자에게 T2 영역을 터치 입력할 것을 요구함에 따라 사용자가 T2 영역을 터치 입력하였으나, 제어부(470)에서 상기 입력을 T2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T2 영역과 제어부(470)가 인식한 영역 사이의 좌표 혹은 그 저항 값을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700)는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연결 패드(240)를 통해 투명 전극(230)과 연결되는 감지 채널(710), 감지 채널(710)을 통해 투명 전극(230)에 대한 접촉 감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720), 및 센서부(720)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패널(200) 상에 서 접촉이 발생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730) 등을 포함한다.
감지 채널(710)은 소정의 회로를 통해 연결 패드(240)와 연결된다. 연결 패드(240)는 터치스크린 패널(200)에서 투명 전극(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투명 전극(230)이 수용하는 접촉은 연결 패드(240)를 통해 감지 채널(710)로 전송된다. 감지 채널(710)의 수는 투명 전극(230)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수의 투명 전극(230)을 하나의 감지 채널(710)에 연결함으로써 감지 채널(710)의 수를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부(720)는 감지 채널(710)을 통해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접촉 감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센서부(720)는 감지 채널(710)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접촉 발생 여부 또는 발생한 접촉의 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720)가 획득한 접촉 감지 데이터는 위치 검출부(730)로 전송된다.
위치 검출부(730)는 상기 접촉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접촉이 발생한 위치를 계산한다. 일실시예로, 위치 검출부(73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투명 전극(230)에서 발생한 접촉 면적에 따른 정전용량성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접촉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보정부(740)는 위치 검출부(730)가 계산한 접촉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접촉 위치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연결 패드(240)로부터 멀리 이격되는 영역에서 접촉이 발생하면, 연결 패드(240)와 접촉 지점 사이의 전기저항으로 인해, 위치 검출부(730)가 접촉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가 보정부(74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보정부(740)는 소정의 테이블에 기록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보정부(740)는 소정의 테이블에 기록된 저항성분 값을 이용하여 접촉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패널(200)에서 연결 패드(240)와 멀리 이격된 영역에서 접촉이 발생하면, 접촉 발생 지점과 연결 패드(240) 사이의 전기 저항에 의해 접촉 위치 판단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테이블에 저항성분을 보정할 수 있는 값을 미리 기록하고, 필요시 상기 테이블에 기록된 값에 따라 접촉 위치를 계산함으로써, 접촉 위치 계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보정부(740)는 상기 테이블에 기록된 좌표 값을 이용하여 접촉 위치를 보정할 수도 있다. 즉, 테이블에 저항성분이 아닌 좌표를 보정하기 위한 값을 기록하고, 상기 테이블에 기록된 값을 이용하여 위치 검출부(730)가 계산한 접촉 위치의 좌표 자체를 보정함으로써, 접촉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보정부(740)가 접촉 위치를 보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상기 테이블은, 테이블 관리부(750)가 관리할 수 있다. 테이블 관리부(750)는 상기 테이블에 기록된 값을 초기화하거나, 생성, 또는 보정할 수 있다. 즉, 일실시예로,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초기 구동시 사용자로 하여금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임의의 위치를 입력하게 하고, 입력하게 한 좌표와 사용자가 실제로 입력한 좌표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상기 테이블에 기록함으로써, 테이블 관리부(750)가 상기 테이블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테이블 관리부(750)가 초기화, 생성, 또는 보정하는 값은 저항성분 또는 좌 표일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700)는 상기와 같이 감지 채널(710)을 통해 수신한 접촉 정보를 센서부(720)를 통해 감지하고, 센서부(720)가 감지한 데이터를 위치 검출부(730)에서 좌표로 계산하여 접촉 위치를 계산한다. 또한, 접촉 위치 계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테이블 관리부(750)가 관리하는 테이블에 기록된 값을 이용하여, 보정부(740)에서 접촉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700)는 단일의 칩으로 집적되어 제작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800)은, 투명 기판(820), 투명 기판(820)상에 배치되는 투명 전극(830a, 830b), 및 투명 기판(820)의 일단에 배치되는 연결 패드(840)를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800)을 투명 전극(830a, 830b)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투명 전극(830a, 830b)은 제 1 투명 전극(830a), 및 제 2 투명 전극(830b)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 투명 전극(830a)과 제 2 투명 전극(830b)은 Y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 및 Y 축 방향으로 함입되는 오목부를 각각 갖는다. 따라서, 제 1 투명 전극(830a)의 볼록부는 제 2 투명 전극(830b)의 오목부와 대응하며, 제 2 투명 전극(830b)의 볼록부는 제 1 투명 전극(830a)의 오목부에 대응한다.
투명 전극(830a, 830b)에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하고, 연결 패드(840)는 투명 전극(830a, 830b)과 배선 패턴(850)을 이용하여 최단 거리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제 2 투명 전극(830b)의 오목부 일부를 전기적으로 단절시키고, 상기 단절된 영역을 통해 배선 패턴(850)을 배치함으로써, 연결 패드(840)와 제 1 투명 전극(830b)의 볼록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결 패드(840)와 배선 패턴(850)이 배치되는 터치스크린 패널(800) 하부의 베젤 영역(810)을 제외한 다른 베젤 영역(810)의 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최단 거리로 배선 패턴(850)을 배치하여 투명 전극(830a, 830b)과 연결 패드(840)를 연결하는 경우,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결 패드(840)로부터 멀리 이격된 영역에서 발생하는 접촉의 위치를 판단함에 있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패널(800)의 제어 장치가 소정의 테이블에 기록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연결 패드(840)와 접촉 영역 사이의 거리에 따라 증가하는 저항 성분을 보정하기 위해 소정의 저항 성분 값을 기록한 테이블, 또는 좌표 오차 자체를 보정하기 위해 소정의 좌표 값을 기록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접촉 영역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는 상기 테이블에 기록되는 값을 관리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800) 구동 시 사용자로 하여금 터치스크린 패널(800)의 소정의 영역을 터치 입력하도록 하고, 실제로 입력이 발생한 영역과 입력을 요청한 영역의 좌표 차이 등을 이용하여 테이블에 새로운 보정 값을 기록하거나, 이미 기록된 값을 갱신할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 패널(800) 구동 중에도, 접촉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테이블에 기록된 값을 관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이 적용되는 전자 기기를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3a 및 도 3b은 도 2에 도시한 터치스크린 패널의 A-A'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전자기기 200 : 터치스크린 패널
210 : 베젤 영역 220 : 투명 기판
230 : 투명 전극 240 : 연결 패드
250 : 배선 패턴 400 : 터치스크린 장치
460 : 연성회로기판 470 : 제어부

Claims (32)

  1.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상에 배치되는 투명 전극; 및
    상기 투명 기판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투명 기판의 상기 일단과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성 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및 ZnO(Zinc Ox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은,
    유리, 및 폴리에틸렌 수지(Polyesthylen Terephthalete, P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은,
    상기 투명 전극이 배치되는 면의 이면을 통해 입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이 배치되는 상기 투명 기판의 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보호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과 부착되는 유리 기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리 기판은 상기 투명 전극이 부착되는 면의 이면을 통해 입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패턴이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8.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패턴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패턴은 각각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패턴은 각각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와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함입된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과 상기 연결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패턴;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은,
    금속 물질과 투명 전도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13.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상에 배치되는 투명 전극;
    상기 투명 기판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패드; 및
    상기 연결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투명 전극이 수용하는 입력을 처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투명 기판의 상기 일단과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은,
    상기 투명 전극이 배치되는 면의 이면을 통해 입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과 부착되는 유리 기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리 기판은 상기 투명 전극이 부착되는 면의 이면을 통해 입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패턴이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패턴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패드와 부착되어 상기 투명 전극이 수용하는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정전용량성분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회로를 구비한 회로기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둘 이상의 연결 패드를 서로 연결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 전극을 통해 감지된 데이터를, 소정의 테이블에 기록된 값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입력이 발생한 영역과 상기 연결 패드 사이의 저항성분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값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여 상기 테이블에 기록되는 값을 생성 또는 보정하는 테이블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 전극을 통해 감지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입력이 인가된 위치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위치를, 소정의 테이블에 기록된 값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위치를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여 상기 테이블에 기록되는 값을 생성 또는 보정하는 테이블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25. 터치스크린 패널에 연결되는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일단에 배치된 연결 패드를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상기 일단과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 사이에서 쌍을 이루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투명 전극에 연결되는 감지 채널;
    상기 감지 채널를 통해, 상기 투명 전극에 대해 접촉 감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획득된 접촉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상에 접촉이 인가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 데이터를, 소정의 테이블에 기록된 값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입력이 인가된 위치와 상기 연결 패드 사이의 저항성분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값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감지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여 상기 테이블에 기록되는 값을 생성 또는 보정하는 테이블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접촉 감지 데이터를 상기 투명 전극 쌍을 단위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
  3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위치를, 소정의 테이블에 기록된 값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검출된 위치를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여 상기 테이블에 기록되는 값을 생성 또는 보정하는 테이블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는
    단일한 칩으로 집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
KR20080040172A 2008-04-30 2008-04-30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제어장치 KR101486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0172A KR101486933B1 (ko) 2008-04-30 2008-04-30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0172A KR101486933B1 (ko) 2008-04-30 2008-04-30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505A true KR20090114505A (ko) 2009-11-04
KR101486933B1 KR101486933B1 (ko) 2015-01-30

Family

ID=41555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40172A KR101486933B1 (ko) 2008-04-30 2008-04-30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933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522B1 (ko) * 2010-03-12 2011-04-01 에스맥 (주) 활성 영역을 증대시킬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 모듈의 전극배선구조
WO2012153899A1 (ko) * 2011-05-12 2012-11-15 (주)멜파스 접촉 감지 패널
KR101301131B1 (ko) * 2012-03-27 2013-09-03 (주)멜파스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제조 방법
KR101340043B1 (ko) * 2011-07-25 2013-12-10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배선 구조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배선 형성 방법
KR101416562B1 (ko) * 2012-06-04 2014-07-10 크루셜텍 (주) 터치 검출 장치
US9093610B2 (en) 2012-06-15 2015-07-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118862A (ko) * 2014-04-15 2015-10-23 크루셜텍 (주) 터치 검출 장치
US9280241B2 (en) 2012-03-15 2016-03-08 Tpk Touch Solutions (Xiamen) Inc.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KR20160033799A (ko) 2014-09-17 2016-03-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럭 차동 적분을 이용하여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감지 장치
US9480147B2 (en) 2014-02-05 2016-10-25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WO2018044957A1 (en) * 2016-08-30 2018-03-08 Tactual Labs Co. Capacitive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8226A (ja) * 2005-07-07 2007-01-25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
DE202007005237U1 (de) * 2006-04-25 2007-07-05 Philipp, Harald, Southampton Hybrides kapazitives Berührungsbildschirmelement
GB2437827B (en) * 2006-05-05 2008-03-26 Harald Philipp Touch screen element
US8619054B2 (en) 2006-05-31 2013-12-31 Atmel Corporation Two dimensional position sensor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522B1 (ko) * 2010-03-12 2011-04-01 에스맥 (주) 활성 영역을 증대시킬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 모듈의 전극배선구조
WO2012153899A1 (ko) * 2011-05-12 2012-11-15 (주)멜파스 접촉 감지 패널
KR101340043B1 (ko) * 2011-07-25 2013-12-10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배선 구조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배선 형성 방법
US9280241B2 (en) 2012-03-15 2016-03-08 Tpk Touch Solutions (Xiamen) Inc.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KR101301131B1 (ko) * 2012-03-27 2013-09-03 (주)멜파스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제조 방법
KR101416562B1 (ko) * 2012-06-04 2014-07-10 크루셜텍 (주) 터치 검출 장치
US9093610B2 (en) 2012-06-15 2015-07-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480147B2 (en) 2014-02-05 2016-10-25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KR20150118862A (ko) * 2014-04-15 2015-10-23 크루셜텍 (주) 터치 검출 장치
KR20160033799A (ko) 2014-09-17 2016-03-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럭 차동 적분을 이용하여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감지 장치
WO2018044957A1 (en) * 2016-08-30 2018-03-08 Tactual Labs Co. Capacitive sensor
US10386975B2 (en) 2016-08-30 2019-08-20 Tactual Labs Co. Capacitive sensor
US10503331B2 (en) 2016-08-30 2019-12-10 Tactual Labs Co. Single sided capacitiv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933B1 (ko) 2015-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181B1 (ko) 양방향 인접 전극을 포함하는 접촉 감지 패널, 및 접촉 감지 장치
KR101486933B1 (ko)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제어장치
US8803839B2 (en) Capacitive coupling of a capacitive touchscreen to a printed circuit and controller
US9977549B2 (en) Single substrate touch sensor
US10452215B2 (en) Mutual capacitive force sensor and touch display device with force sensing function and force sensing method thereof
KR100994608B1 (ko) 전극 일체형 윈도우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11687173B2 (en) Sensor for detecting pen signal transmitted from pen
US20130081869A1 (en)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125454B2 (en) Resistive type touch panel
US8947392B2 (en) Multi-driver touch panel
US2010018836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rranging touch panel thereof
US20140049703A1 (en) Pen writing on one-dimensional capacitive touch sensor
JP2012084025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20160088533A (ko) 터치 센서
KR102270037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20006792A (ko) 회로기판을 이용하여 터치센서 칩에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접촉 감지 패널 및 접촉 감지 장치
KR101010344B1 (ko) 활성영역을 증대시킨 터치스크린 패널 모듈
KR101119386B1 (ko) 터치스크린
US937258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rranging electrode layers and associated routing traces in a sensor device
KR101148531B1 (ko) 터치스크린
KR101026522B1 (ko) 활성 영역을 증대시킬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 모듈의 전극배선구조
US9195277B2 (en) Touch panel with proximity sensor
KR101358818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73249B1 (ko) 접속부를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KR20120045184A (ko)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