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655A - Water float resistant to floating up - Google Patents

Water float resistant to floating 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655A
KR20090112655A KR1020097014920A KR20097014920A KR20090112655A KR 20090112655 A KR20090112655 A KR 20090112655A KR 1020097014920 A KR1020097014920 A KR 1020097014920A KR 20097014920 A KR20097014920 A KR 20097014920A KR 20090112655 A KR20090112655 A KR 20090112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water
sheet
internally
flaw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9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끼마사 스즈끼
아끼히로 이또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090112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6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A water float resistant to floating up wherein a hanging sheet-type member (101), which is to be submerged, is provid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a water float body (100) which is to be launched in a constant area on outdoor water. Owing to this constitution, a water float having a large area, which is appropriately usable as a light-blocking material to be launched on outdoor water such as a pond or a lake for preventing water qualities thereof from worsening caused by the growth of algae (for example, blue-green algae), or as a base preferably having a large area for installing a construct such as a landscape device (for example, an illumination device), an advertising medium or a solar battery can be prevented from irregular floating or overturn caused by wind and waves.

Description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 {WATER FLOAT RESISTANT TO FLOATING UP}Waterborne Float {WATER FLOAT RESISTANT TO FLOATING UP}

본 발명은 호소, 풀, 댐, 강, 바다 등의 야외 수면에 띄워 남조 식물 등의 해조류의 발생에 의한 수질의 열화 방지를 위한 차광 부재로서, 혹은 일루미네이션 등의 경관 설비, 광고 매체, 혹은 태양 전지 등의 설치를 위한 가대로서 사용되는 수상 플로트 단위 혹은 그 연결체(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들을 포괄적으로「수상 플로트」라 칭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loats on outdoor surfaces such as lakes, pools, dams, rivers and seas, and is used as a light shielding member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due to the occurrence of algae such as cyanobacteria, or landscape equipment such as illumination, advertising media, or solar cel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queous float unit or a linking body thereof, which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queous float", which is used as a mount for mounting a lamp.

정수장의 침전지에 차광성의 수상 플로트를 띄움으로써 남조 식물 등의 해조류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하기 특허 문헌 1). 또한 정수장에 한정되지 않고, 호소 등의 수면에 차광성의 수상 플로트를 띄움으로써 남조 식물 등의 해조류의 증식을 방지하기 위해, 원하는 차광률을 얻기 위해 부력성 차광 부재의 집합체를 사용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하기 특허 문헌 2), 이들 종래 기술에서 제안되어 있는 수상 플로트는 비교적 소면적이며, 대면적화를 위해 특별한 고안도 제안되어 있지는 않다.A method of preventing generation of seaweeds such as southern algae plants is known by floating a light-shielding water float on a sedimentation basin of a water purification plant (Patent Document 1). In addition, a method of using an aggregate of buoyancy shading members is also proposed to obtain a desired shading rate in order to prevent the growth of algae such as cyanobacteria by raising a light-shielding water float on the surface of the lake or the like. (Patent Document 2) The water float proposed in these prior arts is relatively small in area, and no special design has been proposed for large area.

이에 대해, 비교적 대면적인 것이, 효율적으로 바람직한 태양 전지를 탑재하기 위한 수상 플로트도 제안되어 있다(하기 특허 문헌 3, 4 등). 예를 들어, 비교적 소면적의 플로트 단위를, 금속제의 연결 부재(하기 특허 문헌 3) 혹은 수지제의 플랜지 형상의 연결 부재와 끈이나 로프 등의 걸림 부재와의 조합(하기 특허 문헌 4)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대면적의 플로트(연결체)가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보다 간단한 구조로 대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수상 플로트로서, 평면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수지 발포체를,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표피 시트 사이에 고정·끼움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수상 플로트를 이미 개발하고 있다(특허 문헌 5).On the other hand, the water float for mounting the solar cell which is comparatively large and preferable preferable is also proposed (patent document 3, 4 etc.). For example, a float unit having a relatively small area is combined with a metal connecting member (Patent Document 3) or a flange-shaped connecting member made of resin and a locking member such as a string or a rope (Patent Document 4). The large area float (connector) is comprised by connecting. On the other hand,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 water-float float that can be formed in a larger area with a simpler structure, wherein a plurality of resin foams which are spaced apart in a plane are fixed and fitted between a pair of epidermal sheets made of thermoplastic resin. A water float is already developed (patent document 5).

이들 특허 문헌 3 내지 5에 개시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러한 대면적 수상 플로트를, 차광에 의한 수질 열화의 방지를 위해, 혹은 대면적 설비 혹은 장치의 가대로서 야외 수면 상에 장기에 걸쳐 영속적으로 부상(浮上) 설치하는 것에는, 태풍시의 풍파 등의 자연 외력에 의해 수상 플로트가 불규칙하게 부상하여, 그 상부의 설비의 손상 또는 작동 불량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 혹은 그 상부의 설비 등과 함께 전복되는 등의 재해를 일으킬지도 모른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야외 수면 설치용의 (대면적) 수상 플로트에는 이러한 자연 환경 조건의 변화에 저항하여, 야외 수면 상에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위한 고안은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이 실정이다.These large-area water floats, including those disclosed in these Patent Documents 3 to 5, are permanently injured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on an outdoor surface for the prevention of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by shading, or as a mount of a large-area facility or device. In case of installation, water float floats irregularly due to natural external force such as wind wave during typhoon, causing damage or malfunction of the upper equipment, or overturning with the upper equipment, etc.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disaster. However, in the conventional (large-area) water float for outdoor water surface installation, it is a fact that few designs are made to stably keep on the outdoor water surface in order to resist such a change in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s.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3-26306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3-26306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63034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263034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209274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209274

특허 문헌 4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63497호 공보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63497

특허 문헌 5 : WO2007/074698A호 공보Patent Document 5: WO2007 / 074698A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태풍시의 풍파 등의 자연 외력에 저항하여, 야외 수면 상에 안정적으로 부상 설치되는 (대면적) 수상 플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rge area) water float stably mounted on an outdoor water surface against resistance to natural external forces such as wind waves during a typhoon.

대용량 태양광 발전 장치 등의 가대로서 적합한 대면적 수상 플로트의 해상 설치 실험 등을 장기에 걸쳐 행해 온 본 발명자들은, 강풍(비)시의 수상 플로트의 전복으로 이어질지도 모르는 불규칙한 부상 사고의 주요 원인이, 수상 플로트와 설치 수면 사이로의 바람의 취입에 의한 것인 것을 지견하였다. 그리고 이 수상 플로트와 설치 수면 사이로의 바람의 취입을 수상 플로트 외주에 설치한 수몰(水沒)하는 현수 시트 형상체로 방지하면, 강풍(비)시라도 수상 플로트의 설치 수면 상에 있어서의 안정 유지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내부상성(耐浮上性) 수상 플로트는 야외 수면 상에 일정 면적을 갖고 부상 설치되는 수상 플로트 본체의 외주부를 따라 수몰하는 현수 시트 형상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inventors of long-term offshore installation experiments of large-area water floats suitable as mounts for large-capacity photovoltaic devices, etc., are the main cause of irregular injury accidents that may lead to the overturning of water floats during strong winds (non). It discovered that the wind blows between the water float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if the blowing of the wind between this water float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is prevented by the water-submerged suspension sheet shape body provid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float, even if it is a strong wind, the stability and stability on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water float will be It has been found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That is, the internally flammable water flo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suspension sheet-shaped body which is submerg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water float body which has a predetermined area on the outdoor water surface and is installed floating.

도 1은 본 발명의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의 외주연부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structure of an internally flawable water flo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의 외주연부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도 5의 II-II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Fig. 2 is a partial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ternally flawable water floa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of arrow II-II in Fig. 5).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의 외주연부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도 5의 II-II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Fig. 3 is a partial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ternally flawable water floa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of arrow II-II in Fig. 5).

도 4는 수상 플로트 본체(수상 플로트 연결체)의 일례의 부분 절결 평면도.4 is a partially cutaway plan view of an example of a water float body (water float connector).

도 5는 도 4의 IV부의 부분 확대도.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V of FIG. 4.

도 6은 도 5의 V-V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5.

도 7은 도 5의 VI-VI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5.

도 8은 도 5에 대응하는 플로트 연결부의 다른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FIG.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float connec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FIG. 5. FIG.

도 9는 본 발명의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의 외주연부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ternally flawable water floa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more concretely about the preferable form.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Internal water float)

도 1은 본 발명의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의 일 실시예의 (도시 우측 부분의) 부분 정단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는 수상 플로트 본체(100)의 외주부를 따라 수면(H) 아래로 가라앉는 현수 시트 형상체(101)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 형상체(101)의 안정 현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 시트(101)의 하단부를 권취하고 용착하여 형성한 관 형상체(101a)에, 예를 들어 스틸제의 막대 형상(또는 파이프 형상)의 추(102)를 삽입 관통하여 이루어진다.1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 (in the right part of the illustration) of one embodiment of an internal weatherable water floa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1, the internally flawable water float of this invention is provided by providing the suspension sheet-like body 101 which sinks below the water surface H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float main body 100.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maintain the stable suspension state of the sheet-like body 101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a tubular body 101a formed by winding and welding the lower end of the thermoplastic resin sheet 101, for example, is formed in a rod shape made of steel. It is made by inserting the weight 102 (or pipe shape).

일반적으로 현수 시트 형상체(101)는 필요한 경우에 하단부에 설치한 추(102)도 포함하여, 안정된 현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재질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스틸제의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경제성 혹은 시공의 용이성도 고려하여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 시트(101)의 하단부에 추를 부착하여, 그 안정 현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Generally, the suspension sheet-like body 101 may be formed of any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a stable suspension state, including the weight 102 provided at the lower end, if necessary, for example, a sheet made entirely of steel. Although it can be used, it is preferable to attach the weight to the lower end of the thermoplastic resin sheet 101 in consideration of economical efficiency or ease of construction, and to maintain the stable suspension state.

수상 플로트 측면으로부터의 수상 플로트와 수면 사이로의 바람의 취입에 의한 수상 플로트의 부상 방지의 관점에서는, 수상 플로트 본체 외주의 길이의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둘레를 따라 현수 시트 형상체(10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상 상태에 있어서, 현수 시트 형상체(101)의 하단부는 수면(H)으로부터 아래, 0.1 내지 5.0m,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0m의 깊이까지 수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몰 깊이의 하한은, 수면의 물결침에 저항하여 안정적으로 바람의 취입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한은 경제성 및 과대하면 수상 플로트 하측의 차광 부분과 비차광 부분의 사이에 밀도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남조 식물 등의 해조류 발생 방지, 부분 차광에 의한 효과가 희박화되는 등의 이유에 의한다.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he floating of the water float due to the blowing of wind between the water float from the water float side and the water surface, 80% or more, more preferably 90% or more, even more preferably substantially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suspension sheet-like body 101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In the steady stat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uspended sheet body 101 is preferably submerged from the water surface H to a depth of 0.1 to 5.0 m, more preferably 0.3 to 3.0 m. The lower limit of the submerged depth is to prevent the blowing of the wind stably to resist the wave of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the upper limit is economical and excessively so that the density flow does not occur between the shading portion and the non-shielding portion below the water float. It is for the reason of preventing algae generation, such as a plant, and the effect by partial shading being diminished.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이며, 본 예에 있어서는 수상 플로트 본체(100)의 외주에, 물 부상성의 파이프 및/또는 막대 형상체(8)로 이루어지는 부가 외주부를 배치하고, 그 후, 이것에 감는 형태로 도 1과 동일한 하단부에 추(102)를 배치한 현수 시트 형상체(101)가 배치되어 있다. 이 형태에 따르면, 수상 플로트 본체(100)의 외주에 배치한 물 부상체(8)에 의해 수상 플로트 본체(100) 혹은 그 위에 배치한 장치의 보수가 용이해진다.FIG. 2 shows a modification of the internally flawable water float shown in FIG. 1, and in this example, an addition made of a water-floating pipe and / or rod-shaped body 8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float body 100. The suspension sheet-like body 101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outer peripheral part and arrange | positioned the weight 102 to the lower end part similar to FIG. 1 in the form wound around this is arrange | positioned.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water floating body 8 arrange | position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float body 100 becomes easy to repair the water float body 100 or the apparatus arrange | positioned on it.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본 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현수 시트 형상체(101)를 설치한 수상 플로트 본체(100)의 외주부로부터 더 외측에, 물 부상성의 파이프 및/또는 막대 형상체(8)로 이루어지는 부가 외주부를, 현수 시트 형상체(101) 혹은 후술하는 수상 플로트(100)의 표피를 구성하는 것과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 시트(3f)를 권취하고 용착하여 형성한 관 형상체에 삽입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하고 있다. 열가소성 수지 시트(3f)의 타단부는 수상 플로트 본체(100)의 표피를 연장함으로써, 혹은 상기 표피에 용착함으로써 수상 플로트 본체와 결합된다. 본 예에 따르면, 도 2의 예와 마찬가지로 수상 플로트 본체(100) 혹은 그 위에 설치한 장치의 보수가 용이해진다. 또한 현수 시트 형상체(101)의 설치 작업도 용이해지는 것 외에, 파이프 및/또는 막대 형상체(8)의 삽입 관통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열가소성 수지 시트(3f)의 관 형상체에 틈을 넣은 경우에도, 별개의 부재인 현수 시트 형상체(101)에는 틈을 넣을 필요가 없으므로, 현수 시트 형상체(101)에 의한 부상 방지 효과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부가 외주부(8)의 설치 장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현수 시트 형상체(101)의 부상 방지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수상 플로트 본체 외주부로부터 거리(L)=1m 이하, 특히 0.1 내지 1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internally flawable water float shown in FIG. 1, and in the present example, further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water float main body 100 provided with the suspension sheet body 101 as described above. The thermoplastic resin sheet 3f which is the same as what constitutes the skin of the suspension sheet body 101 or the water float 100 mentioned later on the outer peripheral part which consists of a water-floating pipe and / or rod-shaped object 8 outside.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form which penetrates into the tubular body formed by winding up and welding. The other end of the thermoplastic resin sheet 3f is joined with the aqueous float body by extending the skin of the aqueous float body 100 or by welding to the skin. According to this example, as in the example of FIG. 2, maintenance of the water float main body 100 or the apparatus provided thereon becomes easy.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suspension sheet body 101 is facilitated, and a gap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body of the thermoplastic resin sheet 3f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the penetration of the pipe and / or the rod body 8. Even in this case, the suspension sheet-like body 101, which is a separate member, does not need to have a gap, so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injury caused by the suspended sheet-like body 101 is not impaired. Although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additional outer peripheral part 8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n order not to impair the anti-injury effect of the suspension seat body 101, the distance L from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a float body is 1 m or less, especially in the range of 0.1-1 m. It is desirable to.

또한, 부가 외주부(8)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이프 및/또는 막대 형상체 이외에도, 후술하는 수상 플로트 본체(100)와 마찬가지로 수지 발포체를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표피 시트 사이에 고정 끼움 지지한 것을 보다 소형화한 것이라도 좋다.In addition to the pipe and / or rod-shaped body shown in Figs. 2 and 3, the additional outer peripheral part 8 is formed between a pair of skin sheets made of thermoplastic resin with a resin foam similar to the aqueous float body 100 described later. It may be a smaller one.

(수상 플로트 본체)(Floating float body)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수상 플로트 본체(100)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인 일정한 면적을 갖고 야외 수면 상에 부상 설치 가능한 것이면, 임의의 형태의 것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특허 문헌 1 내지 5에 개시되는 것이 사용되는 것 외에, 목재(판)의 접합에 의한 뗏목 형상인 것도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수지 발포체(특히 특허 문헌 5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평면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수지 발포체)를,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표피 시트 사이에 고정·끼움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수상 플로트(혹은 그 연결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형태의 수상 플로트는 간단한 구조로 대면적으로 구성하기 쉽고, 경량이라고 하는 이점이 있지만, 경량 또한 대면적이므로 풍파에 의한 부상, 전복의 우려가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하 특허 문헌 5의 기재에 따라, 이 바람직한 형태의 수상 플로트 본체(100A)에 대해 보충 설명한다.The water float body 100 shown in Figs. 1 to 3 is preferably any type as long as it has a constant area of 10 m 2 or more and can be floated on the outdoor water surface. For example, what is disclosed by the said patent documents 1-5 is used, and the thing of the raft shape by joining a wood (plate) is used. Among them, an aqueous float formed by fixing and sandwiching a resin foam (particularly, a plurality of resin foams arranged in a plane spaced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5) between a pair of skin sheets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or its Connectors) are preferably used. This type of water float has a simple structure, which is easy to configure in large areas,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light in weight. Therefore, according to description of patent document 5 below, the water-float float main body 100A of this preferable aspect is supplementally demonstrated.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에 적합한 수상 플로트 본체(수상 플로트 연결체)의 예의 부분 절결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IV부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5의 V-V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 도 7은 도 5의 VI-VI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4 is a partially cutaway plan view of an example of an aqueous float main body (aqueous float connector) suitable for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n IV portion of FIG. 4,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5.

도 4 내지 도 7, 및 도 2 또는 도 3(각각 도 5의 II-II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에 상당함)을 참조하면, 상기 수상 플로트 연결체(100A)는 세로로 긴 수상 플로트(10)의 복수개(본 예에서는 5개)를 연결부(A)로 순차 연결한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수상 플로트(10)의 각각은, 보다 폭이 좁은 장척체(長尺體, 11)의 복수개(본 예에서는 3개)로 이루어지고, 장척체(11) 각각은 복수개(본 예에서는 28개)의 플로트 단위(1)로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본 예에서는, 수상 플로트 연결체(100A)는 합계 5×3×28=420의 플로트 단위(1)를 갖고, 총 면적 약 600㎡를 갖는다.4 to 7, and 2 or 3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I-II in Fig. 5, respectively), the water float connector 100A is formed of the longitudinally long water float 10.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five in this example)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 In addition, each of the waterborne floats 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narrower long bodies 11 (three in this example), and each of the long bodies 11 is plural (28 in this example). It consists of a float unit (1). As a result, in this example, the waterborne float connecting body 100A has a float unit 1 having a total of 5x3x28 = 420, and has a total area of about 600 m2.

단면도 6 내지 7에 의해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개의 플로트 단위(1)는 수지 발포체(2)를 한 쌍의 표피 시트(3)로 끼움 지지 고정한 구조를 갖는다. 환언하면, 수상 플로트(10)의 각각은 복수개(본 예에서는 28×3=84개)의 수지 발포체를 한 쌍의 표피 시트(3)로 끼움 지지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간단한 구성의 대면적 수상 플로트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수상 플로트(10)를 구성하는 수지 발포체의 수는 4개 이상, 특히 10 내지 200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well shown by the sectional views 6 to 7, the individual float units 1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resin foam 2 is sandwiched and fixed by a pair of skin sheets 3. In other words, each of the waterborne floats 10 is formed by sandwiching and fixing a plurality of resin foams (28 × 3 = 84 in this example) with a pair of skin sheets 3. In order to give a large area water float of a simple structure, gener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resin foams which comprise the water float 10 is 4 or more, especially 10-200 pieces.

수지 발포체(2)로서는,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의 발포체이며, 겉보기 비중이 0.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발포 배율로서 100배 내지 10배)이며 두께가 10 내지 2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폴리스티렌이 바람직하고, 비즈 발포에 의한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체도 사용되지만, 비교적 대면적 또한 고강도의 발포 시트체가 얻어지는 압출법 발포 폴리스티렌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As the resin foam 2, it is a foam of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polystyrene and polyethylene, an apparent specific gravity is 0.3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0.01-0.1 (100 times-10 times as a expansion ratio), and thickness is about 10-200 mm. Is preferably used. In particular, polystyrene is preferable, and expanded polystyrene foam by bead foaming is also used, but extrusion polyfoam expanded polystyrene in which a foam sheet body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and high strength is obtained is more preferably used.

한 쌍의 표피 시트(3)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아릴렌술피드계 수지 등이 사용되는 것 외에,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불화비닐리덴계 수지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강도 개선을 위해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섬유 혹은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직물로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피 시트(3)는 두께가 약 0.3㎜ 내지 3㎜ 정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표피 시트(3)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의 장척형 성형을 유리하게 이용하여 적어도 한쪽측의 표피 시트의 종(혹은 긴 직경)/횡(혹은 짧은 직경)의 비는 2 이상, 특히 4 내지 2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쪽의 표피 시트(3)에 관해서는 작업성을 고려하여, 보다 소면적 혹은 단척(短尺)의 것으로서, 이것을 복수개 사용함으로써, 각각 수상 플로트(10) 전체를 구성하는 수(상기 예에서는 84)보다는 작은 수의 복수의 수지 발포체(2)를 덮어 반대측의 표피 시트(3)와의 사이에 끼움 지지·고정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As the thermoplastic resin constituting the pair of skin sheets 3, polyvinyl chloride resin,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polyarylene sulfide resin and the like are used, and polyvinyl fluoride having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is used. Den-based resins are also preferably used. 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it is preferable to reinforce with a fiber made of polyester or nylon or the like. The skin sheet 3 is suitably about 0.3 to 3 mm thick, preferably about 0.5 to 1.5 mm thick.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longitudinal (or long diameter) / lateral (or short diameter) of at least one of the skin sheets on at least one side is advantageously used by elongate molding of the thermoplastic resin sheet constituting the skin sheet 3, in particular 2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about 4-20. With regard to the other skin sheet 3, in consideration of workability, a smaller area or a shorter one is used, and the number of the whole of the water float 10 is formed by using a plurality of them (84 in the above example). Rather,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covers a some number of resin foam 2, and is clamped and fixed between the skin sheets 3 of the opposite side.

이러한 구성의 표피 시트(3)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현수 시트 형상체(101)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바람직한 예이기도 하다.The skin sheet 3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lso a preferable example of the thermoplastic resin sheet constituting the suspension sheet body 101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to 3.

한 쌍의 표피 시트(3)로 복수의 수지 발포체(2)를 끼움 지지 고정하기 위해서는, 이격 배치한 수지 발포체(2)의 사이에 위치하는 표피 시트(3)끼리를 고주파 가열 용착, 용제에 의한 부분 용해 접착,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접착하거나, 이들을 봉제에 의해 서로 결합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혹은 표피 시트/표피 시트 계면 및/또는 표피 시트/수지 발포체 계면의 열용융에 의해, 표피 시트 상하면의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말하면, 표피 시트 상호간 혹은 표피 시트 수지 발포체간의 접착 강도가 확보되는 범위에서, 이들 계면의 접착은 전체 면적에 걸쳐 행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표피 시트 상호의 접착 혹은 봉합에 의한 연결은 용이하므로, 수상 플로트(10)를 각각 한 쌍의 표 피 시트 사이에 평면적으로 이격하여 배치된 복수의 수지 발포체를 고정한 구조를, 횡방향으로 복수 인접하여 그들의 인접 모서리부로 접합함으로써 구성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특정 제조예에 있어서는, 각각 한 쌍의 표피 시트(평면 치수가 세로 약 30m×가로 2m이며, 에틸렌-프로필렌계 고무 성분으로 보강한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보강한 두께 약 1㎜의 다층 시트(쯔쯔나까 시트 보오스이 가부시끼가이샤제「SG 시트」)의 사이에, 평면적으로 각 약 130㎜ 이격하여 1열에 28개 배치된 수지 발포체(평면 치수가 약 1200㎜×약 930㎜, 두께가 약 30㎜인 압출법 발포 폴리스티렌제 수지 발포체(2)(가부시끼가이샤 JSP제「미러폼」)를 고정한 구조를 갖는 장척체(11)의 3개를, 그들의 측부에서 용착함으로써 수상 플로트(10)를 제조하였다].In order to clamp and fix the plurality of resin foams 2 with the pair of skin sheets 3, the skin sheets 3 positioned between the resin foams 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subjected to high frequency heating welding and a solvent. The method of adhering by suitable means, such as partial melt adhesion | attachment and adhesion | attachment with an adhesive agent, or bonding them together by sewing is employ | adopted. More preferably, 50% or more, more preferably 80% or mor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pidermal sheet are bonded by the use of an adhesive or by thermal melting of the epidermal sheet / epidermal sheet interface and / or the epidermal sheet / resin foam interface. It is preferable. In other words, in the range in which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skin sheets and the skin sheet resin foams is secured, adhesion of these interfaces does not need to be carried out over the entire area. In addition, since the skin sheet is easi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dhesion or sealing, th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esin foams are arranged in a plan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air of the skin sheets is fixed in a lateral direction. It can also be configured by joining to their adjacent edges (for example, in a specific production example, each of a pair of skin sheets (the plane dimension is about 30m in height x 2m in width, and poly reinforced with ethylene-propylene rubber component) Resin propylene sheet is 28 sheets arranged in one row spaced about 130 mm apart from each other by a thickness of about 1 mm multilayer sheet ("SG sheet" manufactured by Tsutsunaka Bosui Co., Ltd.). The foam (the plane dimension is about 1200 mm x about 930 mm, the thickness of about 30 mm is extruded polystyrene resin foam (2) (mirror foam made by JSP) Three of the elongate body 11 having a tank, by welding at their side was prepared a water-Float 10].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가로로 배열된 플로트 단위(1)의 2열마다, 연속 설치부(B)를 구성하는 한 쌍의 표피 시트(3)에 물 빠짐 구멍(4)을 마련하고, 수상 플로트(10) 상에 저류된 빗물의 물 빠짐 구멍 및 수상 플로트(10) 아래에 저류된 공기 빠짐을 행하여, 수상 플로트(10)가 수면 상에 안정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and FIG. 6, in this example, the water draining holes are formed in the pair of skin sheets 3 constituting the continuous mounting portion B every two rows of the float units 1 arranged horizontally. 4), the water drainage hole of the rain water stored on the water float 10, and the air draining under the water float 10 are performed, and the water float 10 is stabilized on the water surface.

또한 인접하는 한 쌍의 수상 플로트(10)의 서로 인접하는 모서리부(3a)에 위치하는 연결부(A)에 있어서는, 서로 맞물림 상태로 배치한 열가소성 수지제의 관 형상체(5)(도 5 및 도 7)가, 예를 들어 본 예에 있어서는 수상 플로트(10)를 구성하는 표피 시트(3)의 모서리부(3a)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를 되감아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단, 관 형상체(5)는 별도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 한 것을 모서리부(3a)에 접합함으로써 설치해도 좋다. 그리고 수상 플로트(10)의 연장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 형상체(5)에 연장 연결 부재(6)를 삽입 관통함으로써, 인접하는 한 쌍의 수상 플로트(10)가 서로 연결되어 연결부(A)가 형성된다. 연결 부재(6)는 와이어, 로프, 막대, 파이프 등의 금속제 연장 부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Moreover, in the connection part A located in the edge part 3a which adjoins each other of the pair of adjacent water float 10, the tubular body 5 made of thermoplastic resin arrange | positioned in mutually engaged state (FIG. 5 and For example, in this example, FIG. 7 is formed by rewinding and bonding the thermoplastic resin sheet which comprises the edge part 3a of the skin sheet 3 which comprises the water phase float 10. As shown in FIG. However, you may install the tubular body 5 by bonding the thing formed with the thermoplastic resin to the edge part 3a separately. Then, a pair of adjacent water floats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 extension connecting member 6 into the plurality of tubular bodies 5 arrange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ater float 10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A is connected. Is formed. The connecting member 6 is preferably a metal extending member such as a wire, a rope, a rod, a pipe, or the like.

상기와 같이 하여 형성된 수상 플로트 연결체(100)의 외주연부(C)(도 4 및 도 5)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이프 및/또는 막대 등의 물 부상체(8)를 배치하고, 이것에 권취하는 형태로 현수 시트 형상체(101)를 배치함으로써, 혹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 시트(3f)로 수상 플로트 본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한 파이프 및/또는 막대 등의 물 부상체(8)를 배치함으로써, 수상 플로트 본체(100A)의 외주연부가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면서 부상, 전복을 방지한다. 단, 현수 시트 형상체(101)는 도 4에 도시하는 것보다는 각각의 길이를 길게 하여, 수상 플로트 본체(100A)의 외주의 80% 이상의 길이에 걸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조가 허용하는 한, 거의 전체 둘레를 따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 3의 형태로 부가 외주부(8)를 설치하는 경우에 보다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Water floating bodies 8, such as a pipe and / or a rod,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peripheral part C (FIGS. 4 and 5) of the water float connection body 100 formed as mentioned above, and By arranging the suspension sheet-like body 101 in a form wound around this, or as shown in Fig. 3, a pipe and / or rod or the lik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water float body by the thermoplastic resin sheet 3f. By arranging the water floating body 8, injuries and overturns are prevented while preventing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water float body 100A from sinking.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suspension sheet body 101 is longer than that shown in FIG. 4 and provided over 80% or more of the length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ater float body 100A, and as long as the structure permits. It is also preferable to install along the whole perimeter. This can be more easily achieved when the additional outer peripheral portion 8 is provided in the form of FIG. 3.

현수 시트 형상체(101)는 수상 플로트(10)를 구성하는 표피 시트(3)의 모서리부(3b)를 연장하거나, 혹은 별도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것을 모서리부(3b)에 접합함으로써 설치해도 좋다. 파이프 혹은 막대 등으로 이루어지는 물 부상체(8)는, 물 부상성이면 수지제, 금속제 모두 가능하고, 또한 단면의 형상은 원형, 직사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이면 좋다. 특히 양단부를 밀봉하는 등에 의해 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한 파이프 구조가 수상 플로트 연결체(100A)의 외주연부(C)에 적당한 부력을 부여하는 면에서 적합하다.The suspension sheet-like body 101 may be provided by extending the corner portion 3b of the skin sheet 3 constituting the water float 10 or by bonding a corner formed with a thermoplastic resin to the corner portion 3b. good. The water floating body 8 made of a pipe or a rod may be made of resin or metal as long as it is water floating, and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may be any shape such as circular or rectangular. In particular, a pipe structure designed to prevent intrusion of water by sealing both ends is suitable in terms of imparting proper buoyancy to the outer periphery C of the water float connector 100A.

즉,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수상 플로트 연결체(100A) 및 그 외주 구조는, 상기 도 2 혹은 도 3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의 예에 상당하는 것이다.That is, the waterborne float coupling body 100A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correspond to the example of the internally flammable waterborne floa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or FIG. 3.

또한, 필요에 따라서, 연결부(A)의 인접하는 한 쌍의 수상 플로트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한 쌍의 수상 플로트 사이에 연장되는 자유단 모서리부(9), 또는 수상 플로트 연결체의 외주연부에 연장되는 자유단 모서리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수상 플로트(연결체)와 수면과의 사이로의 바람의 침입에 의한 수상 플로트(연결체)의 부상을 방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들 자유단 모서리부는 표피 시트(3)와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의 모서리부로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at least one of a pair of adjacent water floats of the connection portion A, at the free end edge portion 9 extending between the pair of water floats, or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float connecting body. It is also preferable to provide an extended free end edge (not shown) to prevent the floating of the water float (connector) due to the intrusion of wind between the water float (connector) and the water surface. These free end edges can be formed as corners of the same thermoplastic resin sheet as the skin sheet 3.

상기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를 그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에 있어서는 각각의 수상 플로트(10)에 있어서는 한 쌍의 표피 시트(3) 사이에, 수지 발포체(2)를 3열로 이격 배치하여 고정하는 형태로 하고 있지만, 수지 발포체(2)를 1열 또는 2열로 배열하는 것, 또는 제조 및 반송, 부설의 작업성이 허용되는 범위에서, 3보다도 많은 열의 수지 발포체를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preferable aspect of the internal phase water-float float of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above-mentioned, in each water float 10, although the resin foam 2 is arrange | positioned apart and fixed in three rows between a pair of skin sheets 3, it is set as the resin foam 2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resin foams of more than 3 rows in the range which the workability of manufacture, conveyance, and laying is arrange | positioned at 1 row or 2 rows, or it is allowable.

또한, 인접하는 수상 플로트(10)의 연결부 단면 구조로서, 도 7에 도시하는 구조 대신에 도 8의 구조를, 또한 수상 플로트 연결체(100)의 최외주연부 단면 구 조로서, 도 2 대신에 도 9에 도시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7, as the connection part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adjacent water float 10, the structure of FIG. 8 is used instead of FIG. 2 a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water float connection body 100. FIG. The structure shown in FIG. 9 can also be employ | adopted.

즉, 도 8에 도시하는 연결부(AA)는 좌우에 인접하는 수상 플로트(10)의 모서리부에, 각각 수지 발포체(2)(본 예에서는 2매를 중첩하고 있음)를 한 쌍의 열가소성 수지 시트로 이루어지는 표피 시트(3)로 끼움 지지·고정하여 형성된 수상 플로트(10)와 유사한 구조의 물 부상성의 주연 부재(10p)를 형성하고, 이들 한 쌍의 주연 부재(10p)를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시트(3c)를 포개어 용착 접합함으로써, 인접하는 수상 플로트를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접합용 열가소성 수지 시트(3c)를 사용하는 간접 접속 대신에, 인접하는 주연 부재(10p) 사이의 인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들 주연 부재(10p)를 직접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지 발포체(2)를 끼움 지지·고정하는 표피 시트(3)는 주연 부재(10p)의 일체성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전체면에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적절하게 소면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the connection part AA shown in FIG. 8 has a pair of thermoplastic resin sheets which respectively have resin foam 2 (in this example, two sheets are overlapping) in the edge part of the water float 10 adjacent to right and left. A water-floating peripheral member 10p having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water float 10 formed by being sandwiched and fixed by the skin sheet 3 formed of the same, and the pair of peripheral members 10p are connected to the thermoplastic resin sheet for connection. By laminating and welding (3c), it has a structure which connected the adjacent water float. Instead of the indirect connection using such a thermoplastic resin sheet 3c for bonding,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n adhesive to adjacent surfaces between adjacent peripheral members 10p to directly connect these peripheral members 10p. Moreover, the skin sheet 3 which clamps and fixes the resin foam 2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in the whole surface in the range in which the integrity of the peripheral member 10p is maintained, and it can be suitably made small.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수상 플로트 연결체(100)의 최외주연부 단면 구조(CC)는, 수상 플로트 연결체(100)의 외주에 인접하여, 도 8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수상 플로트(10)와 유사한 구조의 주연 부재(10p)를 형성하고, 그 외주를 따라 수중에 현수되는 막 형상 열가소성 수지 시트로 이루어지는 현수 시트 형상체(101A)를 용착하고, 또한 그 하단부를 되감아 용착하여 형성한 환상부(101aa)에, 추로서 작용하는 스테인레스 와이어(102A)를 삽입 관통한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the outermost periphery cross section structure CC of the water float connection body 100 shown in FIG. 9 is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float connection body 100, and is the same as the water float 10 demonstrated in FIG. Annular formed by forming a peripheral member 10p having a structure similar to the above, and welding the suspension sheet body 101A made of a film-like thermoplastic resin sheet suspended in water along its outer periphery, and rewinding and welding the lower end portion thereof. The portion 101aa has a structure in which a stainless wire 102A acting as a weight is inserted.

도 8 및 도 9를 통해, 수상 플로트(10)의 외주에 형성된 수상 플로트와 유사한 주연 부재(10p)[혹은 그 2개의 연결에 의한 연결부(AA)]는, 사람이 그 위에 타 고 이동하여 보수 작업하는 것에 적합한 부력을 갖는 통로 및 발판을 부여하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막 형상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현수체(101A)를 설치한 부상 방지 구조는, 연결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플로트(10) 혹은 단독으로 사용되는 플로트(10)의 외주를 따라 설치할 수도 있다.8 and 9, the peripheral member 10p (or the connecting portion AA by the two connections) similar to the water float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float 10 is repaired by a person riding on it. Acts to impart passages and scaffolds with buoyancy suitable for working. In addition, the flotation prevention structure in which the suspension body 101A of the film-like thermoplastic resin sheet as shown in FIG. 8 is provided has an outer periphery of each float 10 constituting the connecting body or the float 10 used alone. It can also be installed accordingly.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주연 부재(10p)의 우측 상부에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되감기 용착에 의해 환상부(3ee)를 형성한 연결 부재(3e)가 용착되어 있고, 우측에 대칭 구조의 주연 부재(10p)를 갖는 플로트를 배치하였을 때에, 이들 좌우의 주연 부재(10p)에 서로 맞물림 상태로 배치된 환상부(3ee)에 스틸 와이어 등을 삽입 관통하여, 좌우의 플로트(10)를 연결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도 8의 연결 구조(AA) 대신에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3c)(도 8) 또는 연결 부재(3e)(도 9)를 사용하는 연결 구조는, 이미 수상에 설치한 플로트 사이에서의 현장 시공이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Moreover, the connection member 3e which formed the annular part 3ee by the rewind welding of a thermoplastic resin sheet is weld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peripheral member 10p shown in FIG. 9, and the peripheral member of a symmetrical structure on the right side. When arranging the float having 10p, a steel wire or the like is inserted into the annular portion 3ee arranged in engagement with each of the peripheral members 10p on the left and right to connect the float 10 on the left and right. It is also possible to make it. This can be used instead of the connection structure AA of FIG. The connection structure using such a connection member 3c (FIG. 8) or a connection member 3e (FIG. 9) has the advantage of easy field construction between floats already installed in the water phas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호소 등의 야외 수면에 띄워 남조 식물 등의 해조류의 발생에 의한 수질의 열화 방지를 위한 차광 부재로서, 혹은 일루미네이션 등의 경관 설비, 광고 매체, 혹은 태양 전지 등의 설치를 위한 가대로서 사용되는 것에 적합한 (대면적) 수상 플로트(혹은 그 연결체)에 있어서, 풍파 등에 의한 불규칙한 부상, 전복의 우려를 경감한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가 부여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loating on outdoor water surfaces such as appeals, as a light shielding member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due to the occurrence of algae such as cyanobacteria, or landscape equipment such as illumination, advertising media, or solar cells, etc. In the (large area) water float (or its connecting body) suitable for use as a mount for installation, an internal water resistant float which reduces the risk of irregular injury and overturning due to a wind wave or the like is provided.

Claims (10)

야외 수면 상에 일정 면적을 갖고 부상 설치되는 수상 플로트 본체의 외주부를 따라 수몰하는 현수 시트 형상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An internally flawable water float formed by providing a suspension sheet-shaped body which is submerged along an outer periphery of a water float body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floating on an outdoor wat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수상 플로트 본체 외주부의 길이의 80% 이상을 따라 상기 현수 시트 형상체를 설치하고, 또한 그 하단부를 수면 아래 0.1 내지 5.0m까지 수몰시키는,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The water resistant floa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spension sheet-like body is provided along 80% or more of the length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float body, and the lower end portion is submerged to 0.1 to 5.0 m below the water surfa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상 플로트 본체 및 현수 시트 형상체의 주요 부분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The internally flawable waterborne floa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ain parts of the waterborne float body and the suspended sheet-like body are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제3항에 있어서, 현수 시트 형상체의 하단부에 열가소성 수지제의 관 형상체를 설치하고, 상기 관 형상체에 파이프 형상 또는 막대 형상의 추를 삽입 관통하여 이루어지는,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The internal phase water phase floa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tubular body made of thermoplastic resin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spension sheet body, and a pipe or rod weight is inserted through the tubular body.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수상 플로트 본체가, 수지 발포체를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표피 시트 사이에 고정·끼움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The aqueous phase float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aqueous float body is formed by fixing and sandwiching a resin foam between a pair of skin sheets made of thermoplastic resi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상 플로트 본체의 외주에, 보다 부력이 큰 부가 외주부를 설치하고, 상기 부가 외주부를 따라 상기 현수 시트 형상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The internally flawable water floa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n additional outer circumference having a larger buoyancy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ater float body, and the suspension sheet-like body is provided along the additional outer circumference.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 시트 형상체를 설치한 수상 플로트 본체 외주부로부터 더 외측에 수상 플로트에 결합된 보다 부력이 큰 부가 외주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The internally flawable waterborne floa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n additional outer peripheral portion having a larger buoyancy coupled to the waterborne float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from an outer float body outer peripheral portion provided with the suspension sheet-like body.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외주부가 수상 플로트 본체 외주부로부터 1m 이내의 위치에 설치되는,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The internally flawable water float of Claim 7 in which the said additional outer peripheral part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ithin 1m from the outer float main body outer peripheral part.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외주부가, 물 부상성의 파이프 및/또는 막대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The internally flawable water floa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wherein the additional outer peripheral portion is made of a water-floating pipe and / or a rod-shaped body.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외주부가, 수지 발포체를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표피 시트 사이에 고정·끼움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내부상성 수상 플로트.The internally flawable waterborne floa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wherein the additional outer peripheral portion is formed by fixing and sandwiching a resin foam between a pair of skin sheets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KR1020097014920A 2007-01-19 2008-01-16 Water float resistant to floating up KR2009011265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10052 2007-01-19
JP2007010052 2007-01-19
PCT/JP2008/050424 WO2008087969A1 (en) 2007-01-19 2008-01-16 Water float resistant to floating u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655A true KR20090112655A (en) 2009-10-28

Family

ID=3963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920A KR20090112655A (en) 2007-01-19 2008-01-16 Water float resistant to floating up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58178B2 (en)
KR (1) KR20090112655A (en)
CN (1) CN101588961B (en)
WO (1) WO2008087969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4556C2 (en) * 2010-04-15 2011-10-18 Mfde B V Method for inhibiting and/or preventing the growth of algae in a lake or shallow wa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4163B1 (en) 2011-04-15 2018-06-22 Ciel Et Terre International PANEL SUPPORT DEVICE
KR101169558B1 (en) * 2011-11-21 2012-07-27 허종형 Apparatus for suppressing algal growth
CN106741698A (en) * 2017-01-09 2017-05-31 中国电建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It is a kind of to draw anchor system and its floating photovoltaic plant under water
JP6962218B2 (en) * 2018-01-29 2021-11-05 積水ハウス株式会社 Float sola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5085B2 (en) * 1996-04-30 2008-03-05 タキロン株式会社 Algae cover device
JP3058804U (en) * 1998-10-30 1999-06-22 ニチモウ株式会社 Living cage
JP2004063497A (en) * 2002-07-24 2004-02-26 Hitachi Chem Co Ltd Resin aquafloat for solar battery
JP4330350B2 (en) * 2003-02-13 2009-09-16 株式会社クレハエンジニアリング Water pollution prevention method and water flow blocking fence
JP2005048465A (en) * 2003-07-29 2005-02-24 Tetra Co Ltd Turbidity diffusion prevention method in ports and harbors construction, etc.
WO2007074698A1 (en) * 2005-12-26 2007-07-05 Kureha Engineering Co., Ltd. Water float and connected system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4556C2 (en) * 2010-04-15 2011-10-18 Mfde B V Method for inhibiting and/or preventing the growth of algae in a lake or shallow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87969A1 (en) 2008-07-24
JPWO2008087969A1 (en) 2010-05-06
JP5058178B2 (en) 2012-10-24
CN101588961B (en) 2012-07-18
CN101588961A (en)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7019B2 (en) Water float and its coupling body
US6743367B2 (en) Boom curtain with expandable pleated panels, containment boom containing the same, and use thereof
EP1451414B1 (en) Filter system for surface water intake systems
KR20090112655A (en) Water float resistant to floating up
JP2007173710A (en)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for installation on the water and its connected body
US6554534B1 (en) Flexible structu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quality of liquids
JP4134242B2 (en) Seawall
KR102162066B1 (en) Non-perforated solar power generation floating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218506087U (en) Net-shaped reinforced floating island
KR101359523B1 (en) A mooring apparatus with expandable connecting unit
KR200482319Y1 (en) Expandable connecting unit of footboard for a mooring apparatus
JP3316585B2 (en) Floating wave absorber
RU2299947C2 (en) Flood control device
CN111533273A (en) Clinical ecological floating ponto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143458A (en) Float and fish preserve using the same
CN212894114U (en) Ecological floating boat facing shore
US20230019361A1 (en)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CN117799782A (en) Net-shaped reinforced floating island
CN215052779U (en) Underwater partition curtain
GB2490009A (en) Soft-Docking Pontoon
CN110144847B (en) HDPE (high-density polyethylene) overwater semi-submersible breakwater
KR102312940B1 (en) Buoyant structure, art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buoyant object
US20040197149A1 (en) Boom system for water filtration in shallow water
AU2008100152B4 (en) Improvements in evaporation control systems
JPS5917959Y2 (en) Float for floating spacer of oil f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