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273A - Adaptive Tunnel Video System for Speed-Varying Trains - Google Patents

Adaptive Tunnel Video System for Speed-Varying Trai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273A
KR20090110273A KR1020090042544A KR20090042544A KR20090110273A KR 20090110273 A KR20090110273 A KR 20090110273A KR 1020090042544 A KR1020090042544 A KR 1020090042544A KR 20090042544 A KR20090042544 A KR 20090042544A KR 20090110273 A KR20090110273 A KR 20090110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video system
display
senso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5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찬길
채균
Original Assignee
(주)엘이디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이디웍스 filed Critical (주)엘이디웍스
Priority to KR1020090042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0273A/en
Publication of KR20090110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2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7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on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1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on tunnel walls for underground trains

Abstract

PURPOSE: A tunnel moving picture system adaptive to a train speed change is provided to operate a plurality of LED modules, thereby recognizing the LED modules like that a moving picture is displayed. CONSTITUTION: A tunnel moving picture system adaptive to a train speed change includes a main controller(1), a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3), a plurality of LED modules and a plurality of sensors. The display controllers are connected to a main controller to receive data. The LED modules are driven by the display controllers. The sensors are connected to at least some of the display controllers to sense speed of a mobile body.

Description

열차 속도 변화에 적응하는 터널 동영상 시스템{Adaptive Tunnel Video System for Speed-Varying Trains}Adaptive Tunnel Video System for Speed-Varying Trains

본 발명에서는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 관해 개시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tunnel video system is disclosed.

본 발명은 지하철의 터널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방향의 1-차원 배열 LED 모듈을 임의의 간격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 설치하고, 열차의 이동에 따라 눈의 잔상 효과에 의해 열차의 창문을 통해 2-차원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 plurality of 1-dimensional array LED modu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on the tunnel wall of the subway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n arbitrary interval, and through the window of the train due to the afterimage effect of snow as the train moves It relates to a tunnel video system that allows two-dimensional video to be displayed.

특히, 본 발명의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는 열차의 속도 변화에 따라 열화되는 영상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적응형 동기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구조, 동기화 알고리즘 등의 기술에 관해 개시된다.In particular, the tunnel video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daptive synchronization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n image deteriorated according to a change in speed of a train, a system structure for the same, a synchronization algorithm, and the like.

지하철 광고시장이 부상됨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열차의 창문에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새로운 지하철 광고 시스템이 나타나고 있다. As the subway advertising market emerges, new subway advertising systems are appearing that display videos in the windows of trains moving at a constant speed.

초기에는 동영상 필름을 확대하여 열차 터널벽에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열차의 속도에 따라 필름 백라이트를 점멸시키는 방식이 소개되었다. 이 방식은 복잡한 전자장치를 요구하지 않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시스템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 점이 있는 반면에 영상의 비율 조정이 불가능하며, 영상의 밝기 및 선명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특히, 많은 양의 필름이 요구되며, 정보의 갱신이 어려운 단점이 있어 현재는 사양되고 있는 기술이다. Initially, video films were enlarged and installed in a train tunnel wall sequentially, and the film backlight flicker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train. This method does not require complicated electronic devices, is easy to maintain, and has a low system price, while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ratio of the image, and has the disadvantage of low brightness and sharpness of the image. In particular, a large amount of film is requir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update the information is a technology that is currently specified.

필름 대신에 LCD 혹은 PDP 패널로 대치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가 있으나 대형 화면을 표출하기 위한 패널의 가격이 고가이며 픽셀 단위가 아닌 프레임 단위로 동기가 이루어 질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The technology of replacing LCD or PDP panel instead of film has been introduced, but the price of the panel for displaying a large screen is expensiv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synchronization is inevitable by frame unit rather than pixel unit.

LED 방식의 터널 동영상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으나 열차의 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프레임 및 수평 동기시간을 사용할 경우 열차의 속도가 변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 품질이 영향을 받는다. 즉, 프레임 동기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화면의 시작점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흔들림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수평 픽셀의 동기가 맞지 않게 되면 수평 픽셀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영상의 선명도 및 콘트라스트가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속도변화에 따른 영상 품질의 열하를 방지하기 위해 이동체 속도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동기화 기술이 요구된다.Tunnel video system based on LED can solve these problems, but if you use constant frame and horizontal sync time regardless of train speed, if the train speed is changed, the displayed video quality will be affected. That is, the frame synchronization is not achieved, the shaking phenomenon that the starting point of the screen is not constant occurs. In addition, when the horizontal pixels are not synchronized, the horizontal pixel intervals become inconsistent,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image sharpness and contrast. In orde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due to the speed change, a synchronization technique for adapting to the moving object speed change is required.

속도 적응형 동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이동체의 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필요하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센서로는 확산방식의 (diffuse) LED 센서가 있는데 저가라는 장점이 있으나 느린 응답시간(response time) 및 상대적으로 큰 빔(beam) 크기로 인해 정확한 속도 및 고속 측정이 불가능하다. 또한, 측정시 마다 측정값의 오차 및 편차의 범위가 큰 단점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speed-adaptive synchronization, first, a sensor capable of accurately measuring the speed of a moving object is required. Currently used sensors include diffused LED sensors, which have the advantage of low cost, but cannot be measured at high speed and speed due to the slow response time and relatively large beam size.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ange of error and deviation of the measured value is large at each measurement.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동영상 광고는 수시로 갱신되어야 하므로 고용량의 데이터를 고속, 고신뢰성을 갖고 다운로딩할 수 있는 네트웍 성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고속, 고신뢰성을 갖는 고성능 네트웍을 설계 및 구현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저가의 비용으로 속도 및 신뢰성을 유지하는 방안이 효과적이다. In the tunnel video system, video advertisements need to be updated from time to time, so network performance is required to download high-capacity data with high speed and reliability. To this end, there may be a way to design and implement a high-speed, high-reliability high-performance network, but it is effective to maintain the speed and reliability at a relatively low cost.

또한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연결하는 커넥터 및 케이블은 화재, 방수, 방진 등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사양을 사용해야 하므로 매우 고가이며 국가별 인증 요구사항도 상이하다. 이러한 이유로 케이블링을 해결하는 방안도 모색되어야 하겠다.In addition, the connector and cable connecting the display control part in the tunnel video system must use a specification that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fire, waterproof, dustproof, etc., which is very expensive and has different national certification requirements. For this reason, a solution to cabling should also be sough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널 동영상 시스템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unnel video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차의 속도의 변화에 따른 적응적 터널 동영상 시스템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aptive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peed of a trai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은 외부 네트웍과 연결되고 시스템 운영 및 관리를 담당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받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들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LED 모듈들;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들 중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어 이동체의 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이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들은 상기 센서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제어부와 상기 메인 제어부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클러스터로 구분되고, 상기 각각의 클러스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제어부들 중 클러스터 리더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1 경로 및 동일 클러스터 내에 포함된 다른 디스플레이 제어부들과 연결되는 제2 경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네트웍에 의해 상기 데이터가 동일 클러스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클러스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제어부들 중 상기 센서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동일 클러스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제어부들과 연결되는 제3 경로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웍에 의해 센서 신호를 동일 클러스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제어 부에 전송되도록 한다.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network and the main control unit for the system operation and management; A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to receive data; A plurality of LED modules driven by the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s; And a plurality of sensors connected to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s to sense a speed of a moving object, wherein the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s include a display controller connected to the sensor and a display controller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respectively. The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l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lusters, and among the display controllers included in each cluster, the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ler includes a first path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and a second path connected to other display controllers included in the same cluster. The data network transmits the data to the display controller included in the same cluster, and among the display controllers included in each cluster, the display controller connected to the sensor is displayed in the same cluster. The sensor signal by the sensor network including a third path connected with the control unit and to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control portion included in the same clus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은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받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들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LED 모듈들;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들 중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어 이동체의 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이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들 중 적어도 일부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들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센서 신호에 따라 각각 LED 모듈을 구동한다.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trol unit; A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to receive data; A plurality of LED modules driven by the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s; And a plurality of sensors connected to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s to sense a speed of a moving object, wherein the at least some display controllers of the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s are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Each LED module is driven according to the sensor signal detected through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널 동영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tunnel video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차의 속도의 변화에 따른 적응적 터널 동영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daptive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 change in speed of a trai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의 네트웍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의 LED 모듈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of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display controller of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diagram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the LED module of the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 템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LED 모듈(17)이 포함된다. 각각의 LED 모듈(17)에는 수직 방향으로 1차원 배열된 복수의 LED(171)가 형성되며, 각각의 LED(171)는 R,G,B 발광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First, as shown in Figure 3, the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ED modules 17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ach LED module 17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LEDs 171 arranged one-dimension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each LED 171 is provided to enable R, G, B light emission.

또한, 각각의 LED 모듈(17)과 결합되어 상기 각각의 LED 모듈(17)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부(미도시)가 포함된다. Also included is a display control unit (not shown) coupled with each LED module 17 to control each LED module 17.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칩 형태로 상기 LED 모듈(17)을 지지하는 기구물 내부의 회로기판에 장착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며, 센서도 상기 LED 모듈(17)을 지지하는 기구물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다만, 이것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센서의 위치는 다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is illustrated in the form of a chip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inside the fixture supporting the LED module 17, the sensor is also installed on the fixture supporting the LED module 17 Is illustrated. However, this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control unit and the sensor may be variously arranged.

상기 각각의 LED 모듈(17)은 각각 한 프레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각각의 LED 모듈(17)에서 수직 방향으로 1차원 배열된 LED(171)의 수는 프레임 내의 수직 방향의 화소의 수가 되며, 상기 수직 방향으로 1차원 배열된 LED(171)의 점멸 횟수는 한 프레임 내의 수평 방향의 화소의 수가 된다. 또한,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LED 모듈(17)은 영상의 프레임 갯수와 동일하다.Each LED module 17 displays an image of one frame each. In each of the LED modules 17, the number of LEDs 171 arranged one-dimension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number of pixel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rame, and the number of flashes of the LEDs 171 arranged one-dimension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one. This is the number of pixe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ram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ED modules 17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frames of the image.

따라서, 열차가 지나는 짧은 시간동안 상기 수직 방향으로 1차원 배열된 LED(171)가 수회 내지 수백회 점멸됨에 따라 시각의 잔상 효과에 따라 마치 하나의 프레임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고, 복수의 LED 모듈(17)이 동작됨에 따라 마치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LEDs 171 arranged one-dimension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link for several to several hundred times during the short time that the train passes,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screen of one frame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afterimage effect of time. As the LED module 17 operates, it may be recognized that a video is display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은 메인 제어 부(MC: Main Controller)(1), 로컬 제어부(LC: Local Controller)(2)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DC: Display Controller)(3)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1,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ntroller (MC) 1, a local controller (LC) 2, and a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s (DC). Controller 3 is includ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3)는 센서를 가진 디스플레이 제어부(Display Controller with Sensor), 클러스터 리더 디스플레이 제어부(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ler), 센서를 가진 클러스터 리더 디스플레이 제어부(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ler with Sensor), 센서가 없으면서 클러스터 리더가 아닌 일반 디스플레이 제어부(Display Controller)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s 3 may include a display controller with a sensor, a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ler, and a cluster with a sensor. It includes a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ler with a sensor and a general display controller which is not a cluster leader without a sensor.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네트웍은 데이터 네트웍(Data Network)과 센서 네트웍(Sensor Network)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3)는 클러스터 단위로 구분되며, 각각의 클러스터에는 하나의 클러스터 리더 디스플레이 제어부(3)와 최소한 두개의 센서를 가진 디스플레이 제어부(3)가 포함된다. 도 1에는 네트웍 구조와 디스플레이 제어부(3)의 배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것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in the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network may be divided into a data network and a sensor network. The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s 3 are divided in cluster units, and each cluster includes one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ler 3 and a display controller 3 having at least two sensors. 1 exemplarily shows a network structure and an arrangement of the display control unit 3, but this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데이터 네트웍에서, 상기 로컬 제어부(2)는 각각의 클러스터에 포함된 클러스터 리더 디스플레이 제어부(3)와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각각의 클러스터 리더 디스플레이 제어부(3)는 동일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3)와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로컬 제어부(2)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로컬 제어부(2)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1)가 복수의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클러스터 리더 디스플레이 제어부(3)와 각각 연결된다.In the data network, the local control unit 2 is connected to the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 unit 3 included in each cluster, respectively. Each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 unit 3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isplay control units 3 included in the same cluster, respectively. Here, the local controller 2 may be selectively provided. When the local controller 2 is not provided, the main controller 1 includes a plurality of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lers 3 included in a plurality of clusters. And are connected respectively.

상기 센서 네트웍에서, 센서를 가진 디스플레이 제어부(3)는 동일 클러스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제어부(3)와 연결된다. 또한, 센서를 가진 디스플레이 제어부(3)는 인접한 클러스터에 포함된 센서를 갖지 않은 디스플레이 제어부(3)와도 연결된다.In the sensor network, the display control unit 3 with the sensor is connected to the display control unit 3 included in the same cluster. The display control unit 3 with the sensor is also connected with the display control unit 3 without the sensor included in the adjacent cluster.

따라서, 센서를 갖지 않은 디스플레이 제어부(3)는 동일 클러스터에 포함된 센서를 가진 디스플레이 제어부(3)와 인접한 클러스터에 포함된 센서를 가진 디스플레이 제어부(3)와 연결된다. Thus, the display control unit 3 having no sensor is connected to the display control unit 3 having the sensor included in the same cluster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3 having the sensor included in the adjacent cluster.

도 2는 센서를 가진 클러스터 리더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ler having a sens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은 인터넷 망과 같은 외부 네트웍에 연동되고 시스템 운영 및 관리를 담당하는 메인 제어부(MC: Main Controller)(1), 상기 메인 제어부(1)와 디스플레이 제어부(DC: Display Controller)(3)를 연결하는 로컬 제어부(LC: Local Controller)(2)가 포함된다.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nked to an external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network, the main controller (MC: Main Controller) (1), the main controller (1)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DC) responsible for system operation and management This includes a Local Controller (LC) 2 for connecting a Display Controller (3).

도 2에 도시된 센서를 가진 클러스터 리더 디스플레이 제어부(3)는 내부적으로 LED 제어와 센서 제어의 두가지 기능을 주로 수행한다.The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 unit 3 with the sensor shown in FIG. 2 mainly performs two functions internally, LED control and sensor control.

상기 메인 제어부(1)와 디스플레이 제어부(3)간의 통신은 상기 로컬 제어부(2)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유선인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3)내의 이더넷(ethernet) 접속기(4)를 통해 이루어지고, 무선인 경우에는 USB(5)에 장착하는 WLAN 카드(6)와 상기 로컬 제어부(2)에 연결된 억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7)를 통해 이루어진다. 실시예에서 상기 로컬 제어부(2)와 디스플레이 제어부(3)는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control unit 1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3 is performed through the local control unit 2, in the case of a wired connection, through an Ethernet connector 4 in the display control unit 3, In the case of wireless, the connection is made through a WLAN card 6 attached to the USB 5 and an access point 7 connected to the local control unit 2. In an embodiment, the local controller 2 and the display controller 3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wired and wireless.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3)는 비실시간 소프트웨어 처리를 위한 제1 프로세서(8)와 실시간 소프트웨어 처리를 위한 제2 프로세서(13)을 포함한다.The display controller 3 includes a first processor 8 for non-real time software processing and a second processor 13 for real time software processing.

운영 소프트웨어, 응용 소프트웨어, 제2 프로세서(13)를 위한 소프트웨어 등은 플래쉬 메모리(10)에 저장된다. 상기 제1 프로세서(8)와 제2 프로세서(13) 간의 통신은 데이터인 경우 HPI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지고, 레지스터 변경 및 제어인 경우에는 SPI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Operating software, application software, software for the second processor 13 and the like are stored in the flash memory 10.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processor 8 and the second processor 13 is performed through the HPI interface in the case of data, and through the SPI interface in the case of register change and control.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는 HPI를 통해 영상 버퍼(14)에 저장된다.The image data to be displayed is stored in the image buffer 14 through the HPI.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들이 하나의 클러스터를 이룬다.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제어부(3)는 클러스터 리더로 동작된다.In the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s form a cluster. The display control unit 3 shown in FIG. 2 operates as a cluster leader.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3)가 클러스터 리더인 경우에는 상기 메인 제어부(1) 및 로컬 제어부(2)로부터 다운로딩 한 데이터를 동일 클러스내의 모든 디스플레이 제어부(3)에 전달하는데, 이는 HS-UART(11)에 의해 시리얼 신호로 변환 후 멀티-드롭 RS485(12) 버스를 통해 이루어 진다.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3 is a cluster leader, data download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 and the local control unit 2 are transferred to all display control units 3 in the same cluster, which is an HS-UART 11. After conversion into serial signal, multi-drop is done via RS485 (12) bus.

상기 제2 프로세서(13)는 센서(18)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로 부터 속도를 계산하며 이를 바탕으로 LED 모듈(17) 구동을 위한 동기신호를 생성한다.The second processor 13 calculates a speed from a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18 and generates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driving the LED module 17 based on the speed.

도 2에서는 센서(18)를 탑재한 또는 센서(18)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제어 부(3)가 도시되어 있으나, 모든 디스플레이 제어부(3)가 센서(18)가 탑재되거나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In FIG. 2, the display control unit 3 mounted with or connected to the sensor 18 is shown, but not all display control units 3 need to be mounted or connected to the sensor 18.

상기 센서(18)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제어부(3)는 상기 센서(18)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정형하여 상기 센서(18)와 연결되지 않은 동일 클러스터 내의 디스플레이 제어부(3)에 RS485(15)를 통해 전달하거나 인접 클러스터가 있는 경우에는 인접 클러스터내 센서와 연결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제어부(3)에 RS485(16)을 통해 전달한다.The display control unit 3 connected to the sensor 18 forms a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18 and transmits the signal input to the display control unit 3 in the same cluster not connected to the sensor 18 through the RS485 15. Or, if there is an adjacent cluster, the RS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controller 3 not connected to the sensor in the adjacent cluster through the RS485 16.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3)가 클러스터 리더가 아닌 경우에는 이더넷(ethernet) 제어기(4)가 실장되지 않으며, 상기 센서(18) 및 WLAN 모듈(6)도 선택사항이다.If the display control unit 3 is not a cluster leader, the Ethernet controller 4 is not mounted, and the sensor 18 and the WLAN module 6 are also optiona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열차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싱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ing operation for measuring the speed of a train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은 동영상 동기화에 요구되는 정확한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레이저 센서와 코너-큐브(corner-cube) 반사판을 사용하는 회귀반사형(retro-reflective)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tro-reflective method using a laser sensor and a corner-cube reflector may be used to measure the exact speed required for video synchronization. .

회귀반사형 방식은 반사판의 설치가 용이하고, 열차 진동에 의한 흔들임에 강하고, 장거리 측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응용에 부합되는 정확한 속도 측정을 할 수 있다. The retroreflective method is easy to install the reflector plate, resistant to shaking due to train vibration, and can be measured over a long distanc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easure speed accurately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센서를 설치하고 반대편에 코너-큐브(corner-cube) 구조의 반사판을 고정시켜 열차가 센서(18)와 반사판에 형성된 레 이저 빔을 차단하는 시간 차이를 측정하여 속도를 구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corner-cube reflector is fixed on the opposite side to measure the time difference by which the train blocks the laser beam formed on the sensor 18 and the reflector. A method of obtaining may be us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센서의 반사판은 레이저 빔을 차단/반사시킬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터널 벽에 설치된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빔을 차단/통과시키는 방안에는 두가지가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reflecting plate of the laser sensor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capable of blocking / reflecting the laser beam. There are two ways to block / pass the beam from a laser diode installed in the tunnel wall.

즉, 반사판을 열차에 부착하는 경우와 센서(18)가 설치되는 터널 벽의 반대편에 설치하는 방안이 있다. 열차에 반사판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창문이 아닌 곳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방안③과 창문에 부착하는 방안④이 있다. That is, there is a method of attaching the reflector to the train and the other side of the tunnel wall where the sensor 18 is installed. In the case of attaching the reflector to the train, there is a method ③ to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place of the window and the method ④ to attach to the window.

창문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승객의 안전을 위해 레이저 빔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판이 별도로 필요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빔 차단시간은 반사판 간의 거리에 관계된다. 열차에 부착하지 않는 경우에는 ①과 ②와 같이 열차에 의해 차단되고 그 이외의 부분에서 통과되는 방식이다. 열차의 연결 부분을 통과시키거나 열차 바퀴이외의 부분에서 통과시키는 방안이 있는데 이 경우 빔의 차단거리는 ①의 경우 열차 한량의 길이에 해당하며 ②의 경우에는 열차 바퀴에 관계된다.In the case of installation in windows, for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a separate blocking plate may be required to block the laser beam. In this case, the beam interruption time is relate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eflecting plates. If it is not attached to the train, it is blocked by the train as in ① and ② and passed in other parts. There is a way to pass the connection part of the train or to pass the part other than the wheel of the train. In this case, the blocking distance of the beam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train in the case of ① and the wheel of the train in case of ②.

이러한 시스템에서 영상의 품질은 이동체(열차)의 속도를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느냐 및 속도의 변화율을 얼마나 빠르게 추적할 수 있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속도 측정 주기를 이동체의 가속도를 고려하여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의 구조가 필요하다. 즉, 센서의 개수 및 탑재 위치에 따라 속도 측정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In such a system, the quality of the image depends on how accurately the speed of the moving body (train) and how fast the rate of change of the speed can be tracked.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sensor network that can easily adjust the speed measurement period in consideration of the acceleration of the moving object is required. That is, the speed measurement cycl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nsors and the mounting posi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터널의 일측에 디 스플레이 제어부(DC)(3)와 센서(18)를 설치하고 터널의 반대편에 반사판을 설치한 경우의 속도 측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5 is a view illustrating a speed measurement when a display controller (DC) 3 and a sensor 18 are installed at one side of a tunnel and a reflector is installed at the opposite side of the tunnel in the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부(DC)(3)에 센서(18)를 설치하고 반대편에 반사판을 설치하는 경우, 열차의 속도를 90km/h (=25m/s), 디스플레이 제어부(3)의 간격(d)은 프레임 속도(FR) 25 frames/sec을 발생할 수 있도록 d=1.0m로 정해지며, 열차 한칸의 길이를 25m라고 가정하자. Referring to FIG. 5, for example, when the sensor 18 is installed in the display control unit 3 and the reflector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the speed of the train is 90 km / h (= 25 m / s),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is provided. The interval d of (3) is set to d = 1.0m so that a frame rate (FR) of 25 frames / sec can be generated, and assume that the length of one train is 25m.

도 5에서, 센서(18)를 1,2번 디스플레이 제어부(DC)(3)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열차가 이동함에 따라 1초 주기로 1번의 속도를 갱신할 수 있다. 열차가 4량인 경우 총 4번의 속도 갱신이 가능하다. In FIG. 5, when the sensor 18 is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control units (DC) 3, the speed of one time may be updated every one second as the train moves. With four trains, a total of four speed updates are possible.

상기 센서(18)를 1, 6, 11번 디스플레이 제어부(DC)(3)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열차가 이동함에 따라 1초 주기로 2번 속도를 갱신할 수 있는 구조이다. 단, 2번의 속도는 0.2초 간격에서 측정된다. 열차가 4량인 경우 총 8번의 속도 갱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센서를 탑재하는 위치 및 개수에 따라 속도 갱신 패턴을 설계할 수 있다.When the sensor 18 is installed in the first, sixth, and eleventh display control units (DC) 3, the speed can be updated twice at a one second interval as the train moves. However, two speeds are measured at 0.2 second intervals. With four trains, a total of eight speed updates are possible. In this way, the speed update pattern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mounting the sensor.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클러스터 구조와 센서 네트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uster structure and a sensor network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주어진 센서 네트웍 구조에서 최대한 많은 속도 갱신을 위해 도 6과 같은 클러스터 구조의 네트웍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동일 클러스터 및 인접 클러스터 개념에 의한 네트웍 구조에 의해 인접 클러스터에서 발생한 센서 신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6, a cluster structured network as shown in FIG. 6 may be used to update as much speed as possible in a given sensor network structure. That is, the sensor signal generated in the adjacent cluster can be used by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same cluster and the adjacent cluster concept.

예를 들면 i, j 디스플레이 제어부(3)의 경우 동일 클러스터의 1에서 발생된 센서 신호로부터 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인접 클러스터 1'에서 발생된 센서 신호도 사용할 수 있다. 단, 동일 및 인접 클러스터에서 동시에 센서 신호가 발생할 경우에는 인접 클러스터에 우선권을 할당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i and j display control unit 3, the speed may be measured from the sensor signal generated in the same cluster 1, and at the same time, the sensor signal generated in the adjacent cluster 1 'may be used. However, when sensor signals occur in the same and adjacent clusters at the same time, priority may be assigned to the adjacent clusters.

센서출력 신호가 발생되면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속도를 계산할 수 있는 저지연 네트웍이 요구된다. 계산된 속도로부터 동영상 프레임 시작과 수평 픽셀 동기를 위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고속, 고정밀 센서가 요구되며, 이를 디스플레이 제어부(3)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웍, 속도 정보에 따라 LED 타이밍을 갱신하는 고속 실시간 처리기가 요구된다. When the sensor output signal is generated, a low latency network that can calculate the speed by processing in real time is required. From the calculated speed, it is possible to extract information for the start of video frame and horizontal pixel synchronization. For this, a high speed and high precision sensor for detecting a speed change is required, and the network and speed information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controller 3 in real time. Accordingly, a high speed real time processor for updating the LED timing is required.

도 2에 도시된 제1 프로세서(8)와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주도를 할 경우 측정된 속도를 모든 디스플레이 제어부(3)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통신에 의한 지연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운영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경우 스케쥴러에 의한 처리시간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속도 갱신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When a microprocessor such as the first processor 8 shown in FIG. 2 is driven, a delay due to data communication occurs in order to deliver the measured speed to all the display controllers 3. In particular, when operating software is used. Since the processing time by the scheduler is not constant, accurate speed update is fundamentally impossibl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센서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sensor signal transmission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프로세서(13)가 속도를 측정하며 펄스를 전파시키는 것으로 2개의 RS-485(15,16) 네트웍에 의한 전달방식을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센서 1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일정한 시간을 갖는 구형파로 정형화하여 RS485 멀티-드롭 버스에 출력한다. 이 펄스는 모든 동일-클러스터내의 디스플레이 제어부(3)에 수신된다. 일정 시간 후 센서 2로부터 신호 가 입력되면 동일한 과정으로 동일-클러스터내의 모든 디스플레이 제어부(3)에 펄스가 전달된다. 이때 모든 디스플레이 제어부(3)는 두 펄스의 수신 시간차이를 계산하여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2 and 7,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rocessor 13 measures the speed and propagates a pulse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transmission method using two RS-485 (15, 16) networks can be used. It may be. When the signal is input from the sensor 1, it is shaped into a square wave with a certain time and output to the RS485 multi-drop bus. This pulse is received by the display control unit 3 in all co-clusters. 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sensor 2 after a certain time, pulses are transmitted to all the display controllers 3 in the same cluster in the same process. At this time, all the display control unit 3 can calculate the spe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in the reception time of the two pulses.

인접-클러스터로부터 전달되는 펄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동작되는데 일단 인접-클러스터내에서 펄스가 입력되면 동일-클러스터에서 발생한 펄스보다 우선권을 갖는다. 클러스터는 서로 다른 RS-485 버스를 사용하므로 디스플레이 제어부(3) 내의 제2 프로세서(13)는 이를 구분할 수 있다.The same operation is applied to pulses transmitted from the neighbor-cluster, and once a pulse is input in the neighbor-cluster, it has priority over pulses generated from the same-cluster. Since the cluster uses different RS-485 buses, the second processor 13 in the display controller 3 can distinguish them.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적응형 동기화 알고리즘에서 사용할 프레임 정의에 대한 파라미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ameter for frame definition to be used in an adaptive synchronization algorithm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센서 신호의 입력으로부터 열차의 속도(VT)를 계산한 후 이 값을 사용하여 모든 디스플레이 제어부(3)는 프레임 시작 시각(TSOB-i: i번째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Time to Start of Blinking)과 수평 픽셀 구동시간(THS: Time of Horizontal Scanning) 값을 아래와 같이 계산 한다. 여기서, DOFFSET(즉, TOFFSET/VT)은 열차 기관사의 안전을 위해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지 않는 구간이다.After calculating the speed of the train (VT) from the input of the sensor signal, using this value, all the display control units 3 use the frame start time (T SOB-i : Time to Start of Blinking of the i th display control unit) and the horizontal pixel. Calculate the driving time (T HS : Time of Horizontal Scanning) as follows. Here, D OFFSET (that is, T OFFSET / V T ) is a section in which an image is not displayed for the safety of the train driver.

TSOB-i=TOFFSET+(i-1)DDC/VT T SOB-i = T OFFSET + (i-1) D DC / V T

THS=DPIXEL/VT T HS = D PIXEL / V T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화면 분할 디스플레이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lit screen display method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열차의 창문에 동영상을 표출하는 방식에는 영상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붙여 표출하는 파노라마(panorama) 방식과 영상을 원하는 거리만큼 이격을 두고 표출하는 분할(segmented)방식이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re are two methods of displaying a video on a window of a train: a panorama method of continuously attaching an image frame and a segmented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at a desired distance.

파노라마 방식은 분할방식의 한가지 예에 해당하며 프레임간의 간격(DF2F-i)이 0인 경우에 해당한다. 일단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TSOB-i 시간에 프레임 디스플레이를 시작하면 정해진 디스플레이 프레임 간의 간격(DF2F-i)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시간(TF2F-i) 동안은 디스플레이를 하지 않는다. 즉, 첫번째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한 후 두번째 프레임은 지난 후에 TF2F-2 가 지난 후에 디스플레이를 시작한다.The panorama method corresponds to one example of the division method and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frame interval D F2F-i is zero. Once the display controller starts displaying the frame at T SOB-i time, the display controller does not display during the display time T F2F-i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D F2F-i between the predetermined display frames. That is, after the first frame is displayed, the second frame passes and then the display starts after T F2F-2 passes.

TF2F-j=DF2F-j/VT T F2F-j = D F2F-j / V T

또한, 일반적으로 열차의 총 길이 정보는 주어지므로 이에 해당하는 시간후에는 디스플레이를 중단하여 시스템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otal length information of the train is generally given, the display can be stopped after a corresponding time to minimize system power consump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제2 프로세서에서 필요한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gorithm required by a second processor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기화에 필요한 TSOB-i, THS, TF2F-j 시간은 카운터 값으로 구현되며 그 값이 0이 되는 시간에 각각 동작을 하게 된다. 속도가 변하게 되면 그 변화량(ΔVT=VT-new-VT-old)에 따라 TSOB-i, THS, TF2F-j 값을 갱신한다. 즉, 카운터 값이 0가 되는 시간이 속도 변화에 따라 변화되므로 속도 적응형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 SOB-i , T HS , and T F2F-j time required for synchronization are implemented as counter values and operate at the time when the value becomes zero. If the speed is changed, T SOB-i , T HS and T F2F-j are updated according to the change amount (ΔV T = V T-new -V T-old ). That is, since the time at which the counter value becomes zero changes with the speed change, the speed adaptive synchronization can be achieved.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클러스터 리더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이더넷 및 RS-485 게이트웨이인 네트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in which a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 unit is an Ethernet and an RS-485 gateway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는 메인 제어부(1)로부터 디스플레이 제어부(3)에 컨텐츠 또는 데이터를 경제적이며 신뢰성 있게 다운로딩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구조를 예시되어있다.11 illustrates a wired or wireless network structure for downloading content or data economically and reliably from the main controller 1 to the display controller 3.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유선구조에 대해서는 모든 디스플레이 제어부(DC)(3)를 이더넷(ethernet)으로 로컬 제어부(LC)(2)에 연결하는 것이 고속 및 신뢰성을 보장하나 UTP 케이블의 길이에 의한 전송의 한계가 있으며 케이블 개수가 증가하므로 비경제적인 구조이다. Referring to FIG. 2, in connection with the wired structure, connecting all the display controllers 3 to the local controllers LC by Ethernet guarantees high speed and reliability, but is not limited by the length of the UTP cable. There is a limit of transmission and the number of cables increases, which is an uneconomical structure.

따라서, 하나의 클러스터 내에서 로컬 제어부(LC)(2)에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제어부(DC)(3)만을 이더넷(ethernet)(4)으로 연동시키고 나머지 디스플레이 제어부(DC)(3)들과는 멀티-드롭의 RS-485 버스(12)로 연결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로컬 제어부(LC)(2)에 연결된 클러스터 리더(cluster leader) 디스플레이 제어부(3)가 마스터가 되고 클러스터내의 나머지 모든 디스플레이 제어부(DC)(3)가 슬레이브가 되는 구조이다. 로컬 제어부(LC)(2)에 연결된 클러스터 리더 디스플레이 제어부(DC)(3)는 다른 모든 디스플레이 제어부(DC)(3)의 데이터 통신을 관장하며 데이터 통신시 문제가 발생되면 발생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DC)(3)의 상태를 로컬 제어부(LC)(2)를 통해 메인 제어부(MC)(1)에 보고하고, 그 다음 디스플레이 제어부(DC)(3)로 넘어 간다. 이러한 방식은 몇 개의 디스플레이 제어부(DC)(3)가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전체적인 동영상 품질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Thus, only one display controller (DC) 3 closest to the local controller (LC) 2 in one cluster is interworked with the Ethernet 4 and multi-drop with the other display controllers (DC) 3.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tructure that connects to the RS-485 bus (12). That is, the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 unit 3 connected to the local control unit LC becomes the master and all the remaining display control units DC in the cluster become slaves. The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 unit (DC) 3 connected to the local control unit (LC) 2 manages data communication of all other display control units (DC) 3 and displays a display control unit (DC) generated when a problem occurs during data communication. (3) is reported to the main control unit (MC) 1 via the local control unit (LC) 2, and then the display control unit (DC) 3 is passed. This method has an advantage in that some display control units (DC) 3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overall video quality even if a failure occurs.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클러스터 리더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WLAN 및 RS-485 게이트웨이인 네트웍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모든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WLAN 클라이언트인 네트웍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in which the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 unit is a WLAN and an RS-485 gateway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in which all display control units are WLAN clients. to be.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네트웍은 WLAN을 사용하는 것으로 로컬 제어부(LC)(2)에 억세스 포인트(AP)(7)를 장착하고 디스플레이 제어부(DC)(3)가 클라이언트가 되는 방식이다.The network shown in Figs. 12 and 13 uses a WLAN, in which an access point (AP) 7 is attached to the local control unit 2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3 becomes a client.

이 방식은 직렬유선통신방식에 비해 데이터 전송속도가 빠르며 케이블 연결이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무선을 사용하므로 열차제어통신시스템에 간섭 영향을 초래할 수 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the data transmission speed is faster and the cable connection is not necessary than the serial wire communication method, where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cause the interference effect on the train control communication system.

하지만 다운로딩은 주로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한다는 점과 대체로 열차제어통신에서 사용하는 대역과 WLAN 대역은 서로 떨어져 있어 간섭 영향이 미미하고, 케이블 가격이 고가이며 케이블링 작업에 비용이 들어가므로 이 방식은 많은 장점을 내포하고 있다. However, downloading mainly uses the time when the train is not running. In general, the band used in the train control communication and the WLAN b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e interference effect is insignificant, the cable price is high, and the cabling work is expensive. This approach has many advantages.

도 12는 유선방식과 동일하게 클러스터 리더만 WLAN 클라이언트로 사용하는 방식이고, 도 13은 모든 디스플레이 제어부(DC)를 WLAN 클라이언트로 사용하는 방식이다.FIG. 12 illustrates a method of using only a cluster leader as a WLAN client in the same manner as a wired scheme, and FIG. 13 illustrates a method of using all display controllers DC as WLAN clients.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동영상 데이터 압축에 의한 다운로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ownloading method by video data compression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멀티-드롭의 직렬통신방식은 드롭수가 많아 질수록 혹은 전송거리가 증가할수록 전송 속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다운로딩 데이터의 용량이 큰 경우 다운로딩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In the multi-drop serial communication method, the transmission speed decreases as the number of drops increases or as the transmission distance increases, which requires a long time for downloading when the capacity of the downloading data is large.

이런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운로딩할 컨텐츠를 압축하는 기술을 채택할 수가 있다. 즉, 메인 제어부(MC)(1)에서 동영상 파일을 프레임화 한 후 JPEG와 같은 압축기를 사용하여 다운로딩할 컨텐츠를 압축한 후 로컬 제어부(LC)(2)를 거처 디스플레이 제어부(DC)(3)의 클러스터 리더 디스플레이 제어부(3)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To overcome this weakness, we can adopt a technique to compress the content to be downloaded. That is, the main control unit (MC) 1 frames the video file, compresses the content to be downloaded using a compressor such as JPEG, and then passes the local control unit (LC) 2 to the display control unit (DC) 3. Is transmitted to the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 unit 3 of FIG.

클러스터 리더 디스플레이 제어부(3)에서 다시 동일 클러스터에 속한 디스플레이 제어부(DC)(3)로 전송하고 압축 컨텐츠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제어부(DC)(3)들은 영상 복원을 한 후 각자의 영상버퍼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면 다운로딩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략 압축 비율 만큼 단축시킬 수가 있다. The display controllers (3), which are transmitted from the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 unit (3) to the display control unit (DC) (3) belonging to the same cluster and receive the compressed content, reconstruct the image and store the same in the respective image buffers. That's the way. In this way, the time required for downloading can be reduced by approximately the compression ratio.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전력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네트웍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based on a power communication network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메인 파워(MP: Main Power) 블록으로부터 로컬 제어부(LC)(2)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3)에 공급되는 AC 전력선망을 데이터 네트워크로 사용할 수도 있다.The AC power line network supplied from the main power (MP) block to the local control unit (LC) 2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3 may be used as a data network.

이 방식의 장점은 데이터 전용 케이블 및 커넥터 및 설치가 별도로 필요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즉, 전력선을 사용한 이더넷(ethernet)통신의 QoS를 보장하는 전력선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다.The advantage of this approach is that data-only cables and connectors and installations are not required. That is, it is possible to build a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that guarantees the QoS of Ethernet communication using the power l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의 네트웍 구조를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of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display controller of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의 LED 모듈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LED module of the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열차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싱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ing operation for measuring the speed of a train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터널의 일측에 디스플레이 제어부(DC)와 센서를 설치하고 터널의 반대편에 반사판을 설치한 경우의 속도 측정을 설명하는 도면. 5 is a view illustrating a speed measurement when a display controller (DC) and a sensor are installed at one side of a tunnel and a reflector is installed at the opposite side of the tunnel in the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클러스터 구조와 센서 네트웍을 설명하는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uster structure and a sensor network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센서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sensor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적응형 동기화 알고리즘에서 사용할 프레임 정의에 대한 파라미터를 설명하는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parameters for frame definition to be used in an adaptive synchronization algorithm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화면 분할 디스플레이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lit screen display method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제2 프로세서에서 필요한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도면.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gorithm required by a second processor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클러스터 리더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이더넷 및 RS-485 게이트웨이인 네트웍을 설명하는 도면.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in which a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 unit is an Ethernet and an RS-485 gateway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클러스터 리더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WLAN 및 RS-485 게이트웨이인 네트웍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in which a cluster leader display controller is a WLAN and an RS-485 gateway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모든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WLAN 클라이언트인 네트웍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Fig. 13 illustrates a network structure in which all display control units are WLAN clients.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동영상 데이터 압축에 의한 다운로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14 is a view illustrating a downloading method by video data compression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동영상 시스템에서 전력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네트웍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based on a power communication network in a tunnel vide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메인 제어부;Main controller; 상기 메인 제어부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받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들;A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to receive data;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들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LED 모듈들; 및A plurality of LED modules driven by the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s; And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들 중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어 이동체의 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이 포함되고,A plurality of sensors connected to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s to sense a speed of a moving object,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들 중 적어도 일부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들은 제1 방향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제1 속도 신호와 제2 방향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제2 속도 신호에 따라 각각 LED 모듈을 구동하는 터널 동영상 시스템.The display controllers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s respectively control the LED modules according to the first speed signal detected through the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speed signal detected through the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Tunnel video system to driv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들은 각각 상기 센서 신호에 따라 독자적으로 상기 이동체의 속도를 계산하는 터널 동영상 시스템.The plurality of display controllers respectively calculate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in accordance with the sensor sig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 신호는 구형파인 터널 동영상 시스템.The sensor signal is a square wave tunnel video syste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의 LED 모듈들은 각각 1열로 배열되어 영상의 한 프레임을 표현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는 터널 동영상 시스템.The plurality of LED modules are arranged in a row, each tunnel video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LEDs representing a frame of the image.
KR1020090042544A 2009-05-15 2009-05-15 Adaptive Tunnel Video System for Speed-Varying Trains KR200901102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544A KR20090110273A (en) 2009-05-15 2009-05-15 Adaptive Tunnel Video System for Speed-Varying Trai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544A KR20090110273A (en) 2009-05-15 2009-05-15 Adaptive Tunnel Video System for Speed-Varying Trai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771A Division KR100909080B1 (en) 2008-04-17 2008-04-17 Adaptive tunnel video system for speed-varying trai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273A true KR20090110273A (en) 2009-10-21

Family

ID=41538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544A KR20090110273A (en) 2009-05-15 2009-05-15 Adaptive Tunnel Video System for Speed-Varying Trai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0273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74401A1 (en) * 2012-04-16 2013-10-17 Novomer, Inc.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17057800A1 (en) * 2015-09-29 2017-04-0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Led display device
KR102149265B1 (en) * 2020-03-26 2020-08-28 주식회사 이노벡스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trai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74401A1 (en) * 2012-04-16 2013-10-17 Novomer, Inc.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17057800A1 (en) * 2015-09-29 2017-04-0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Led display device
KR102149265B1 (en) * 2020-03-26 2020-08-28 주식회사 이노벡스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tra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080B1 (en) Adaptive tunnel video system for speed-varying trains
CA2885777C (en) Control of flicker in display images using light emitting element arrays as viewed by a viewer in motion
CN110217178B (en) Unmanned sensing system based on hardware synchronization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102222469B (en) Dynamic imaging device of LED lampstandards and application of same in tunnel advertisements
EP3624436B1 (en) Image collec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vehicle chassis image obtaining system
WO2012142774A1 (en) Tunnel synchronous video display system
KR20090110273A (en) Adaptive Tunnel Video System for Speed-Varying Trains
WO2004055767A1 (en) Image display system
CN103118267A (en) Display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display visual angles of three-dimensional images
CN103597535B (en) Display system in a kind of tunnel
CN104345772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1527126B (en) Image regulating system and regulating method
CN110276965A (en) Traffic lamp control method and device based on photo array adjustment signal conversion time
CN110164345A (en) A kind of rotating display device and splicing system based on FPGA
CN202085229U (en) Synchronous video display system for tunnels
CN210271738U (en) Signal control system of subway semi-transparent display device
CN210865583U (en) LED display screen control system and LED box based on optical fiber transmission
WO2009026643A1 (en) A display system having movable image frames
KR100360020B1 (en) Method for Embodying Moving Image Using Travel Speeds of Rail Cars
LV14991B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system of modules
CN103544909A (en) Image frame control technology used for tunnel movement image display
CN101763809B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panel thereof
JP2865205B2 (en) n-dimensional scanning advertising tower
CN104700757A (en) Intelligent advertising bo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936575U (en) Self-adapting frequency conversion animation device in subway tu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