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374A -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374A
KR20090099374A KR1020080024574A KR20080024574A KR20090099374A KR 20090099374 A KR20090099374 A KR 20090099374A KR 1020080024574 A KR1020080024574 A KR 1020080024574A KR 20080024574 A KR20080024574 A KR 20080024574A KR 20090099374 A KR20090099374 A KR 20090099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extract
fucoidan
undaria pinnatifida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숙
이정식
Original Assignee
김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숙 filed Critical 김명숙
Priority to KR1020080024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9374A/ko
Publication of KR20090099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37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1Pediatr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코이단이 다량 들어 있는 미역포자엽 또는 기타 갈조해조류에서 후코이단을 추출하여 미역추출물에 첨가함으로써 미역이 본래 갖고 있는 약리작용을 증대시켜 임산부와 태아에게나 수유하는 아기에게 유익한 임산부용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은 갈조해조류, 바람직하게는 미역포자엽에서 추출한 후코이단을 미역 추출물에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염분을 제거한 건(乾) 미역 또는 생(生) 미역을 파쇄한 후 파쇄한 원료를 필터용 자루에 적당량씩 담아 넣고, 이를 압력추출기에 넣고, 물을 건미역 1kg당 7ℓ~10ℓ, 생미역 1kg당 5ℓ~ 10ℓ 비율로 부은 후, 80℃~120℃ 온도에서 30분~240분 동안 추출기 내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끓인 다음, 고액 분리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미역추출물의 제조단계; 마른 포자엽을 분쇄한 후 분쇄한 포자엽을 필터용 자루에 적당량씩 담아 넣고, 이를 압력추출기에 넣고, 물을 건(乾) 포자엽 1kg당 물 7~15ℓ의 비율로 붓고, PH를 2~4로 조정한 후, 80℃~120℃ 온도에서 90분~240분 동안 추출기 내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끓인 다음, 고액 분리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후코이단추출물의 제조단계; 상기 미역추출물과 상기 후코이단추출물을 일정 비율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역, 후코이단, 갈조해조류, 미역포자엽, 건강식품,

Description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Fucoidan-enriched extract of brown-seawee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미역추출물에 미역포자엽에서 추출한 후코이단을 보강한 고기능성 임산부 몸조리용 식품과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미네랄과 다당들을 함유하고 있는 미역의 추출물에 미역포자엽 등에서 추출한 생리활성물질인 후코이단을 첨가하여 미역추출물에 후코이단을 보강한 더욱 완전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미역은 산후조리를 위한 식품으로 활용되어 왔다. 산모에 있어서 미역은 수유를 많게 하고 산후의 늘어난 자궁을 수축시키고, 상처를 아물게 하여 산후 회복을 돕는다. 기본적으로 미역은 피를 맑게 하고, 기(氣)를 회복시키며,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거친 피부를 좋게 하고 변비를 개선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필수산후조리식품으로 자리 잡아 왔다.
또한 미역 속에는 사람에게 필요한 영양과 기능들이 있기 때문에 일반인에게도 기능식품 및 기호식품으로 애용되어 오고 있다.
중국 당나라 유서(類書) 초학기(初學記)에, 고래가 새끼를 낳고 입은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미역을 뜯어 먹는 것을 본 고려인들이 산모에게 미역을 먹게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1300년 전부터 우리 민족은 미역을 산모를 위한 필수식품으로 애용해 왔음을 알 수 있다.
동의보감에는 해채(海菜)는 열이 나고 답답한 것을 없애고 기가 뭉친 것을 치유하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에서도 미역을 산후선약(産後仙藥)이라고 하여 산후조리식품으로 애용하고 있다.
미역 속에는 우리 몸들이 필요한 모든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함유비율은 식품 중에서 우리 몸에 들어 있는 미네랄과 가장 유사하다(표 1).
<표 1> RDA(미국 미네랄 1일 권장섭취량)와 미역에 포함된 미네랄의 비교표
미 네 랄 RDA mg/일 미역 100g 중 mg 어른 체내의 양
칼슘(Ca) 800 1,300 1,000,000
마그네슘(Mg) 350 1,170 19,000
인(P) 800 420
나트륨(Na) 1,100~3,500 6,100 100,000
카리움(K) 1,850~5,625 5,500 140,000
철(Fe) 10 7 4,200
동(Cu) 10 34 72
망간(Mn) 2~3 9.5 12
아연(Zn) 2.5~5 3.10 2,300
요오드(I) 1.15 2.4 11
닉켈(Ni) 0.15~0.5 4.6 10
바리움(V) 0.15~5 RDA의 1/2~1/3이됨 18
크롬Cr) 15 미역 10g면 16
세렌(Sa) 0.05~0.2 섭취하면 13
미네랄 중 칼슘은 우리 몸에서 제일 많은 양의 미네랄이며 생명 활동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네랄이다. 체중의 2%나 되는 칼슘 중에서 약 99%는 뼈와 이 등에 있고 나머지 1%는 혈액, 세포의 벽, 침, 정액 등에 이온 상태로 존재한다.
이온 상태로 혈액 속에 존재하는 소량의 칼슘은 심장박동, 근육수축, 호르몬 체계, 뇌, 눈, 귀 등의 모든 기능조절은 물론 혈액 응고, 효소활성 등 복잡한 메커니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칼슘이 부족하면 뇌의 부갑상선에서 칼슘의 농도를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하고 이 조절장치는 뼈나 이 등에서 칼슘을 빼내어가 소모한다. 특히 임산부에게는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미량 영양소이다.
요오드는 체내에서 약 25mg 밖에 존재하지 않지만 갑상선 호르몬에 작용하여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는 대단히 중요한 미네랄이다. 요오드가 부족하면 신진대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몸 전체에 노화가 빠르게 진행된다.
충분한 요오드의 공급은 대사기능, 지능발달에 중요한 일을 한다. 또 탄력 있는 피부, 윤기나는 머리칼을 만들며 아이들의 성장과 두뇌 발달에 영향을 주어 미역이 IQ식품, 성장식품, 미용식품 등으로 불리는 이유가 바로 요오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요오드는 육지에서 자란 식물에서는 전혀 섭취할 수가 없으며 오직 미역 등 해조류에서만 섭취할 수가 있을 뿐이다.
미역에는 이외에도 셀렌 등 인체가 필요로 하는 모든 미네랄을 거의 갖고 있다. 미네랄뿐만 아니라 미역에는 오메가3 고도불포화 지방산 DHA, DPA 등과 글루타민산, 시스틴, 트립토판, 리신 등 아미노산도 함유하고 있다.
미역 속에 있는 만니톨은 가장 좋은 이뇨제이고 산후부기를 예방하고 치유하며 자궁수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역 속에 30%나 들어있는 알긴산은 중금속 등 유해물질의 해독작용(Detoxification), 콜레스테롤 감소, 고혈압/동맥경화 예방과 개선, 변비, 정장효과, 다이어트 효과 등 이미 수천 편의 연구논문들로 발표되고 있다.
후코이단은 황산화 후코스(U-focus)를 주성분으로 하는 황산화다당류(Sulfated Polysaccharides)로서 갈락토오스, 만노스, 자일로스 등의 당과 황산(sulfate), 우론산(uronic acid) 등이 결합한 구조를 갖고 있다
후코이단은 갈조 해조류가 갖고 있는 생리활성물질의 핵심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연구발표된 기능들을 보면 특히 아포토시스(apoptosis)작용, 혈액정화기능, 항체면역기능, 피부재생기능, 항바이러스, 항균, 위장개선, 변비, 항산화작용 등과 생리작용의 생체밸런스가 깨져서 오는 모든 생활습관병 등의 예방과 개선에 효과를 발휘한다고 발표되고 있다.
이 미역 속에 함유되어 있는 알긴산과 후코이단은 미역의 미끌미끌한 점질물에 포함되어 있는 기능성 물질로 현대인의 생활습관병에 좋은 효능을 보이고 있다(표 2)
<표 2> 알긴산과 후코이단의 기능성
알 긴 산(Alginate) 후코이단(Fucoidan)
중금속등 유해성분의 흡수배설 콜레스테롤 감소 고혈압, 동맥경화의 예방과 개선 당뇨병 개선효과와 예방 변비예방과 치료 뇌졸증을 예방 정장효과 다이어트 효과 항암 암세포의 소멸효과 (Apoptosis 유도 기능) 신생혈관 억제 면역력 증대 혈액의 응집억제 고혈압. 동맥경화의 개선 비브리오균의 위벽침입 방어 궤양, 위벽의 점막 보수 H. pylori 예방과 치료 O-157균의 살균효과
이 중 알긴산은 미역에 들어 있는 양이 많아 미역을 먹는 것만으로 그 기능성을 충분히 작용할 수 있으나 생리활성물질의 핵심물질인 후코이단은 거의 폐기처분되는 미역포자엽(미역귀)에 집중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상용하는 미역엽체에는 너무 미량이 들어있어 먹는 미역만으로는 후코이단이 갖고 있는 기능성을 생체에서 기대하기 어렵다(표 3).
<표 3> 미역엽체과 미역포자엽의 후코이단의 함유량(생물기준)
미역 엽체 미역 포자엽
0.15 % 0.8%
본 발명은 우리가 먹는 미역 속에는 후코이단이 생체기준 0.15% 정도의 미량 함유되어 있어 일반적인 방법으로 미역을 섭취해서는 생리활성의 핵심물질인 후코이단이 갖고 있는 기능들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후코이단이 다량 들어 있는 미역포자엽 또는 기타 갈조해조류에서 후코이단을 추출하여 미역추출물에 첨가함으로써 미역이 본래 갖고 있는 약리작용을 증대시켜 임산부와 태아에게나 수유하는 아기에게 유익한 임산부용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은 갈조해조류, 바람직하게는 미역포자엽에서 추출한 후코이단을 미역 추출물에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염분을 제거한 건(乾) 미역 또는 생(生) 미역을 거칠게 파쇄한 후 파쇄한 원료를 필터용 자루에 적당량씩 담아 넣고, 이를 압력추출기에 넣고, 물을 건미역 1kg당 7ℓ~10ℓ, 생미역 1kg당 5ℓ~ 10ℓ 비율로 부은 후, 80℃~120℃ 온도에서 30분~240분 동안 추출기 내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끓인 후, 고액 분리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미역추출물의 제조단계; 마른 포자엽을 분쇄한 후 분쇄한 포자엽을 필터 용 자루에 적당량씩 담아 넣고, 이를 압력추출기에 넣고, 물을 건(乾) 포자엽 1kg당 물 7~15ℓ의 비율로 붓고, PH를 2~4로 조정한 후, 80℃~120℃ 온도에서 90분~240분 동안 추출기 내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끓인 후, 고액 분리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후코이단추출물의 제조단계; 상기 미역추출물과 상기 후코이단추출물을 일정 비율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은, 산모가 미역국을 통해 얻었던 전통적인 미역 유래의 유효성분이 모두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생리활성물질인 후코이단이 강화되어 있으므로 미역국보다 우수한 약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은, 미역국과는 달리 휴대가 가능하고 복용이 간편하며 장기간 계속적인 복용에도 질리지 않으므로 임산부의 꾸준한 섭취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미역 유래의 유효성분을 태아에게 전이하고 질 높은 모유를 아기에게 수유할 수 있게 되는 결과를 가져와 결국 튼튼한 아기를 기르는 데도 기여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은, 날로 산성화되어 가는 현대인의 체질을 개선하고 변비와 비만, 고혈압 등 성인병을 방지하는 데에도 효과가 뛰어나며 화학처리를 하지 않은 순수 자연식품으로서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전국민의 건강 및 체력증진을 위한 자연 건강기능식품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각 공정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역추출물의 제조>
염분이 제거된 마른 미역을 분쇄한 것 또는 염장미역을 세척, 탈염한 후 절단한 것을 재료로 준비하여 사용한다. 세척한 미역은 미역 kg당 물 5~10ℓ, 마른미역은 1kg당 물 7~10ℓ의 비율로 압력 추출기에 넣고 80~120℃ 온도에서 30분~ 240분, 바람직하게는 160분 동안 추출기 내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끓인 후 이를 필터 또는 압착탈수기를 이용하여 고액 분리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역 추출물에서 색소와 해조취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카본여과기를 이용하여 탈취하고, 한외여과기로 색소와 부유물을 제거하여 맑은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물을 3~7brix로 농축한다.
<후코이단의 제조>
마른 포자엽을 분쇄한 후 분쇄한 포자엽을 40~100g/㎡의 필터용 자루에 3~5kg씩 넣는다. 건 포자엽 1kg당 물 7~15ℓ의 비율로 하여 압력 추출기에 넣고 염산, 또는 유기산을 PH2~4으로 조정한 후 물을 회전시키면서 짧게는 90분 길게는 240분 동안 80~120℃로 끓인다.
다 끓인 포자엽은 압력추출기의 아래 콕크를 열면 압력추출기의 내부압력과 대기압간의 압력차에 의해 추출기 내의 해조류 추출액은 필터용 자루로부터 자동 분리된다.
이렇게 수득한 추출물은 공지의 염화칼슘을 이용하여 알긴산을 제거하고 후코이단 만을 취득한다. 취득한 후코이단은 한외여과기를 이용하여 투석하고 정제한 후코이단을 수득한다. 이때 후코이단의 순도는 80~85% 내외이다.
이렇게 추출된 후코이단 추출물을 10brix로 농축한다.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의 제조>
상기 미역추출물과 상기 후코이단추출물을 혼합하여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을 제조한다. 미역추출물과 후코이단의 혼합비는 후코이단의 하루 섭취 권장량에 근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출산 후 회복을 위하여 권장되는 후코이단의 하루 섭취량은 약 1g에서 2g 정도이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사실이다. 즉,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1. 미역추출물의 제조
염장미역 1kg를 세척 완전 탈염하고 사방 35 x 50cm의 부직포자루 2개에 각 0.5kg씩 나누어 담은 후 30ℓ 짜리 압력추출기에 5ℓ의 물을 부었다. 상기 추출기의 온도를 120℃의 온도에 맞추고 추출기 안의 물을 상하 좌우로 회전하도록 하였다.
추출기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120℃가 되었을 때 추출기 내의 압력은 1.5bar(1.5kgt)였다. 120℃의 온도, 1.5bar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60분이 지난 뒤 불을 끄고 20여 분 뒤 추출기의 아래 콕크를 열고 추출기 안의 추출액이 압력차에 의해 빠져나오도록 하여 고액분리하였다. 분리한 추출액은 4 ℓ였다.
추출한 여액을 야자활성탄과 한외여과 MW50만으로 여과하여 부유물과 색소를 제거, 탈취하고 2.5ℓ의 미역추출물을 얻고 이를 5brix로 농축하여 990ml의 미역 추출물을 만들었다.
2. 후코이단의 추출
건미역포자엽 1kg를 거칠게 분쇄하여 사방 35 x 50cm의 부직포 자루에 넣은 후 상기 자루를 30ℓ의 압력추출기에 넣고 물 7ℓ를 채우고 PH4로 맞추었다.
상기 압력추출기의 온도를 120℃로 조정하고 상기 미역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작하여 미역포자엽 추출물을 3.8ℓ의 추출물을 회수하였다.
상기 추출물에 1M의 염화칼슘액을 만들고 30℃의 온도에서 2시간을 교반하고
침전한 알긴산을 제거하고 조후코이단 여액 2ℓ를 수득하였다.
상기 조후코이단을 야자활성탄과 50만 MW의 UF (Fall사 제품)로 탈취하고 색소를 제거한 후 투석 농축하여 10brix 250ml의 정제한 후코이단 용액을 수득하였다.
3.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의 제조
일반적으로 염장미역 30g는 미역국 1회용 분량이다. 이를 추출물로 환산하면 30㎖이다. 이 추출물 속에 미역포자엽 유래의 후코이단 10ml(1g)를 첨가하여 1회용으로 할 수 있다. 이 분량을 기준으로 하여 미역이 함유하고 있는 미네랄과 알긴산, 그리고 후코이단을 보완하여 생리활성 기능을 최대화한 임산모의 몸조리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

Claims (4)

  1. 갈조해조류에서 추출한 후코이단을 미역 추출물에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조해조류는 미역포자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
  3. 염분을 제거한 건(乾) 미역 또는 생(生) 미역을 거칠게 파쇄한 후 파쇄한 원료를 필터용 자루에 적당량씩 담아 넣고, 이를 압력추출기에 넣고, 물을 건미역 1kg당 7ℓ~10ℓ, 생미역 1kg당 5ℓ~ 10ℓ 비율로 부은 후, 80℃~120℃ 온도에서 30분~240분 동안 추출기 내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끓인 다음, 고액 분리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미역추출물의 제조단계;
    마른 포자엽을 분쇄한 후 분쇄한 포자엽을 필터용 자루에 적당량씩 담아 넣고, 이를 압력추출기에 넣고, 물을 건(乾) 포자엽 1kg당 물 7~15ℓ의 비율로 붓고, PH를 2~4로 조정한 후, 80℃~120℃ 온도에서 90분~240분 동안 추출기 내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끓인 다음, 고액 분리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후코이단추출물의 제조단계;
    상기 미역추출물과 상기 후코이단추출물을 일정 비율 혼합하는 혼합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역추출물과 상기 후코이단추출물로부터 색소와 해조취를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080024574A 2008-03-17 2008-03-17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99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574A KR20090099374A (ko) 2008-03-17 2008-03-17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574A KR20090099374A (ko) 2008-03-17 2008-03-17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374A true KR20090099374A (ko) 2009-09-22

Family

ID=4135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574A KR20090099374A (ko) 2008-03-17 2008-03-17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93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53173A1 (en) * 2010-06-28 2017-04-12 Stemtech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stem cell mobiliz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53173A1 (en) * 2010-06-28 2017-04-12 Stemtech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stem cell mobiliz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77936B (zh) 一种糖尿病患者专用的海洋特膳食品
CN103610077A (zh) 一种海参胶囊
CN102422938B (zh) 一种防治老年人便秘的茶及其制备方法
CN103610076A (zh) 一种海参胶囊的制造方法
CN102018158A (zh) 一种芦荟果酱
CN104273579A (zh) 一种浒苔保健胶囊
KR101160196B1 (ko)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99374A (ko) 후코이단을 보강한 미역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077935B (zh) 一种视力衰退患者专用的海洋特膳食品
CN108740631A (zh) 润肠通便高钙低糖的复合果蔬汁瘦身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294454B1 (ko) 함초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1236764B1 (ko) 한방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610069A (zh) 一种降血糖海参口服液
CN103610116A (zh) 一种海参营养胶囊的制造方法
CN107874061A (zh) 一种滋养美颜的牡蛎固体饮品制备方法
CN102077941A (zh) 一种更年期女士专用的海洋特膳食品
KR20090029470A (ko) 가압전이에 의한 새콤달콤한 천년(千年)의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90025106A (ko) 운지버섯 및 콜라겐을 함유하는 침출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CN103610070A (zh) 一种降血脂海参口服液及其使用方法
CN103610117A (zh) 一种海参营养口服液
CN104585769A (zh) 一种含蒜素的复方制品及其制备方法
CN103610033A (zh) 一种增强免疫力的海参口服液
CN103610073A (zh) 一种海参口服液及其使用方法
CN103933420A (zh) 天然绿色元素中药降控血糖多瓜粉
KR20120121597A (ko) 알칼리환원수와 울금을 이용하여 울금흑염소 엑기스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울금흑염소 엑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