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732A -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732A
KR20090098732A KR1020090021542A KR20090021542A KR20090098732A KR 20090098732 A KR20090098732 A KR 20090098732A KR 1020090021542 A KR1020090021542 A KR 1020090021542A KR 20090021542 A KR20090021542 A KR 20090021542A KR 20090098732 A KR20090098732 A KR 20090098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antioxidant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9520B1 (ko
Inventor
김상국
정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웅이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웅이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웅이엘에스
Publication of KR20090098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카로티노이드, 피토스테롤, 폴리페놀, 프로폴리스 및 코디세핀의 혼합물, 및 희토원소를 함유하는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카로티노이드, 피토스테롤, 폴리페놀, 프로폴리스, 코디세핀, 세륨, 프라세오디뮴, 프로메튬, 유로퓸, 테르븀, 디스프로슘, 홀뮴, 에르븀, 툴륨, 이테르븀, 스칸듐, 이트륨, 란탄, 네오디뮴, 사마륨, 가돌리늄, 루테튬, 항염증, 항산화, 항세균

Description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Anti-inflammatory, anti-oxidative or anti-bacterial compositions}
본 발명은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서 카로티노이드, 피토스테롤, 폴리페놀, 프로폴리스 및 코디세핀의 혼합물, 및 희토원소를 함유하는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카로티노이드(carotenoid)는 과일이나 야채에 많이 들어 있는 색소로서, 노란색이나 오렌지색, 붉은색을 제공해 주며 주로 항산화제로 작용한다. 특히, 토마토에 들어 있는 라이코펜(lycopene)은 대장암과 방광암의 발생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당근이나 시금치에 들어 있는 카로티노이드는 폐암의 발병률을 줄여 준다.
피토스테롤(phytosterol)은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얻어진 피토케미컬(phytochemicals)로서, 스테로이드성 알코올이다. 부드럽고 흰색을 띠며 특유의 향이 있으며,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에르고스테롤(ergo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폴리코사놀(polycosanol) 등이 알려져 있다. 에르고스테롤은 효모나 버섯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비타민 D의 전구체로서 자외선을 조사하면 비타민 D2가 생성된다. 시토스테롤은 종자에 많이 존재하며, 스티그마스테롤은 대두 등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폴리코사놀은 사탕수수왁스로부터 정제된 8종의 고지방족 일차 알코올들의 혼합물이며, 가장 많은 성분은 옥타코사놀(octacosanol)이고, 테트라코사놀(tetracosanol), 헥사코사놀 (hexacosanol), 헵타코사놀(heptaxosanol), 노나코사놀(nonacosanol), 트리아콘타놀(triacontanol), 도트리아콘타놀(dotriacontanol)과 테트라트리아콘타놀 (tetratriacontanol)이 함유되어 있으며, HDL과 LDL 수치 조절 기능을 통해 혈관을 건강하게 유지시킨다. 피토스테롤은 생체 내에서 높아진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주는 기능이 있음이 알려지고 있다. 이들의 생체 내 기작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으나 식사 유래 또는 내인성 콜레스테롤이 장에서 흡수되는 것을 낮추어 준다고 한다. 피토스테롤은 의약품, 화장품, 식품첨가물, 식이보조제로서 많이 이용된다. 또한 항염효과 및 피부면역에 효과가 있으며, 피부를 촉촉히 감싸는 랩핑(wrapping) 효과를 가지고 있어 건강한 피부 유지에 도움을 준다.
폴리페놀(polyphenol)은 생체 내에서 활성산소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DNA의 보호나 세포구성 단백질 및 효소를 보호하는 항산화 능력이 커서 다양한 질병에 대한 위험도를 낮춘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여러 역학 조사에서 폴리페놀이 심장질환 예방효과가 있음이 긍정적으로 밝혀져 적포도주의 섭취 및 플라본과 플라보놀의 섭취는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어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차 추출액의 실험에서도 심장질환 및 암 발생을 감소시켜 준다는 결과도 발표된 바 있다. 폴리페놀에는 카테킨과 아이소플라본과 같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레스베라트롤 같은 스틸벤(stilbene), 리그난(lignans) 등이 있다. 식물의 허브 성분인 플라보노이드는 식물의 잎, 꽃, 열매줄기, 과일, 채소, 녹차 등에 다량 포함되어 있으며, 항산화, 항균, 항바이러스, 항알레르기,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플라보노이드계의 검은 색소성분인 이소플라본(isoflavone)은 여성호르몬이나 남성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한다.
'자연의 페니실린'이라 불리기도 하는 천연 항생물질인 프로폴리스(propolis)는 인체에 침입한 세균을 물리치기 위해 백혈구가 있듯이, 나무들이 생장점을 보호하거나 상처 부위의 오염을 방지하고 미생물을 차단하기 위해 스스로 분비하는 물질이다. 프로폴리스는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소독약제, 항진균제, 항생물질의 원료로 쓰이는데,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아니므로 부작용이나 내성이 전혀 없어서 인체 내부나 외부의 상처, 궤양 치료에 효과적이며, 장기 복용하면 감기도 예방되고 피부도 좋아진다. 수많은 연구와 치료를 통해 프로폴리스의 면역조직 강화효능이 입증되었다. 특히 프로폴리스에 함유된 항산화제의 일종인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는 인체의 면역체계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코디세핀은 버섯에 포함되어 있는 천연물질로서 천연항생물질이면서 면역증강물질로 알려져 있다. 코디세핀이란 물질에 관한 연구는 1951년 커닝햄 교수로부터 시작하여 국제적으로 수많은 학술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희토원소는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프로메튬(Pm), 유로퓸(Eu), 테르븀(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툴륨(Tm), 이테르븀(Yb), 스칸듐(Sc), 이트륨(Y), 란탄(La), 네오디뮴(Nd), 사마륨(Sm), 가돌리늄(Gd), 루테튬(Lu)은 지각 속에 약 0.016%가 함유되어있는 미량의 금속원소로서, 원소주기율표 중 원자번호 57에서 71까지 15개(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Lu)와 제3A족 2개(Sc, Y)를 합하여 모두 17개 원소가 함유된 광물을 말한다. 이들은 물리적인 성질과 화학적인 성질이 거의 비슷한 원소들끼리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각각의 원소로 분리하는 것은 복잡하지만 각 원소간의 조금씩 다른 차이로 각기 단일 원소로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원소는 짝이온과 함께 이온결합한 염(salt)의 형태, 예를 들어, 황산염, 질산염, 탄산염, 아세트산염, 인산염, 염화물 등의 형태나, 수산화물(hydroxides)을 비롯한 산화물(oxides)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원소는 발견된 지 200여년 밖에 되지 않고 일반인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 이용가치는 매우 큰 바, 각 원소들이 지니고 있는 특이한 전자 구조에 의하여 독특한 물리적, 화학적 성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영구자석, 초전도체, 형광재료와 같이 기계, 석유화학, 광화학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농업, 임업, 축산업 등 여러 분야에서도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나아가 생물학적 효과로서 각 원소는 고등식물의 광합성작용과 엽록소 형성을 촉진하며, 싹의 발아 촉진, 뿌리 활력, 호흡작용 활성화, 체내 양분이동 촉진, 수분조절, 세포분열 촉진, 호르몬 전이 이송 촉진, 영양원소 흡수와 체내이동 촉진, 물질대사 활성화, 잎 내의 RNA와 단백질 합성증가 등의 기능을 나타내며, 잎의 노화과정을 지연시키며, 녹조류의 단백질 함량을 높여주고, 광합성과 산소방출 활성을 촉진시켜 단백질과 엽록소형성을 촉진시킨다. 그 중에서도, La3+은 사람 적혈구 세포막의 (Na+,K+)-ATP 효소와 Mg2+-ATP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체내 Ca2+ 이온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문헌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986; 261(20); 9552-9557]), 일부 원소는 항세균 효과를 가지며(문헌 [Chem. Pharm. Bull.; 2003; 51(5); 494-498],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하여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고(문헌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 2006. 2; 342; 86-91]), 성장 비육 돈(豚)에서 체중증가와 사료전환율을 증진(문헌 [J. Anim. Physiol. a. Anim. Nutr.; 2001; 85; 263-270])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각 원소는 저독성 물질에 속하며, 소화기관을 통한 흡수는 아주 적고, 특별한 체내 축적 현상이 없으며, 기형을 초래하거나 돌연변이를 일으키거나 암을 유발하는 작용도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문헌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996; 104; 85-95]).
염증이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 조직 변질, 순환장애와 삼출(渗出), 조직 증식의 세 가지를 병발하는 복잡한 병변(病變)을 일컫는다. 중이염(中耳炎) 등과 같이 끝자가 염(炎)으로 되어 있는 것 외에, 전염성 질환(결핵, 매독, 이질, 디프테리아 등) 등에서 볼 수 있는 병변의 총칭으로, 대부분의 병이 이것에 속한다. 원인은 기계적 상해작용, 온도, 방사선 등의 물리적 인자, 독물 등의 화학적 인자, 세균감염 등의 기생체에 의한 것 등이며 이 중 세균에 의한 것이 가장 많다. 이러한 주요 원인 외에도, 여러 부수적 요인과 개체의 소인 (素因)이나 면역 등에 의하여 그 발생은 복잡하다. 경과로 보아 급성, 아급성 또는 만성으로 나뉜다. 염증을 분류하면, ① 변질성 염증 ② 삼출성 염증:장액성 염증·섬유소성 염증·화농성 염증·출혈성 염증·부패성 염증·카타르성 염증 ③ 증식성 염증 ④ 특이성 염증:결핵증·매독·나병·방선균증(放線菌症)·비저(鼻疽) 등이다.
염증에 관여하는 인자로 EGF(Epidermal Growth Factor)는 표피성장인자로서 혈소판에서 생성되며, 창상치유초기에 많은 양이 발견된다. 신장, 침샘, 눈물샘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소변과, 타액, 눈물에서 고농도로 발견되며, 그 기능은 혈관신생작용으로 혈관 내피세포의 분열을 촉진하여 혈관 재생을 돕고, 진피조직의 섬유 아세포를 자극하여 콜라겐 분비를 촉진하여 육아조직을 채우며, 상피세포의 분열 및 이동을 촉진하여 재상피화를 일으킨다. PDGF(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는 혈소판(가장 많이 분비), 대식세포, 혈관내피세포,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며, 섬유아세포와 혈관평활근에 대한 강한 화학유인물질과 분열촉진물질, 세포외 기질에 매우 중요한 섬유결합소(Fibronectin)와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 창상치유에 중요한 콜라겐 분해효소의 생성에 관여한다. 상피, 내피세포에는 PDGF 수용체가 없어, 간접적으로 신생혈관의 생성을 촉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러 성장인자 중에서도 특히,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β(TGF-b) 슈퍼패밀리는 구조상 유사한 많은 단백질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이합체(dimer)로서, 호르몬 혹은 중재자(mediator) 역할을 한다. TGF-β는 분자량 25 kDa의 동종이형질체로 여러 종류의 세포와 조직에서 초기 발생의 조절, 세포주기의 조절, 세 포 증식 및 분화, 이동, 생존, 세포 외 기질의 생산, 면역 체계, 혈관 생성과 혈구세포 생산, 세포사 유도, 골격 형성, 상처 치유 등을 조절하는 다기능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다. TGF-β에는 TGF-β1, TGF-β2 및 TGF-β3의 세 가지 이성질체가 있으며, 이들은 세포막 수용체인 TGF-β 수용체 타입 Ⅰ(TGFβR-Ⅰ) 및 TGF-β 수용체 타입 Ⅱ(TGFβR-Ⅱ)의 이질 복합 수용체를 통해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혈관상피성장인자(VEGF)는 동종이형질의 당단백질로 상처 부위에서 혈관 신생을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장 일반적이고 효과적인 성장인자이다. 따라서 VEGF는 많은 혈관 조직들에서 발현되며, 상피세포에 특이적인 마이토젠(mitogen)으로 상피세포의 이동과 증식을 유도하고,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의 효과는 단백질-티로신 키나제 도메인을 가지고 있는 상피세포 수용체 Flt-1과 Flk-1/KDR을 통해 조절된다.
생체에서 호흡을 통한 에너지의 생산, 면역 활동을 통한 병의 예방, 독성물질이 생체 내 투여되었을 때 간에서의 무독화반응, 생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활동, 및 운동 등 일상생활의 한 부분인 정상적인 생활의 활동임에도 불구하고 이런 활동으로부터 ROS(Reactive Oxygen Species)가 생산된다. 건강한 상태에서는 ROS의 생성속도가 생체조직이 보유한 항산화 체계의 ROS 제거속도에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산소를 이용하는 모든 생물체는 친산화성물질(prooxidants)과 항산화성 물질(antioxidants)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만일 그 균형이 무너져 친산화성물질이 우세하여 산화적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를 '산화적 스트레 스(oxidative stress)'라고 정의한다.
대기 중에는 21% 정도의 산소가 존재하고 있어서 사람을 비롯한 모든 생물은 이 산소를 이용하여 생명 활동을 영위하고 있다. 그러나 생물에 있어서 필수적인 산소도 보통의 기저상태인 3중항 산소(3O2)에서 일중항 산소(1O2)나 과산화수소 등으로 되어 생체 내의 DNA에 손상을 초래하여 발암 및 돌연변이 등의 세포기능장애를 유발하며, 노화, 동맥경화, 피로, 성인병에도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유산소 호흡을 하는 모든 생명체는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 라디칼과 활성산소를 생성한다. 즉, 활성산소는 미토콘드리아 내의 호흡이나 단핵세포의 작용, 여러 효소들의 반응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활성산소는 그 자체로 화학적 친화력이 크기 때문에 모든 세포성분과 반응하여 세포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가져온다. 적정량의 활성산소는 생체 내의 면역기능에 관계된 체내 식세포나 대식세포의 살균작용 등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지만, 균형을 깨뜨리는 과다한 양의 활성산소는 단백질의 변성이나 생체막의 지질과산화, DNA의 변성 등을 일으켜 산화적 스트레스를 발생시킨다. 즉, 단백질의 -SH기와 활성산소가 반응하여 효소의 활성을 잃게 하고 생체막의 산화에 따른 막 손상에 의해 세포 사멸을 유발한다.
지질과산화 현상은 세포막의 주요성분인 인지질을 구성하는 불포화 지방산이 활성산소와 결합함으로써 시작된다. 지질과산화 반응으로 인하여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은 알코올, 케톤 및 알데히드 등으로 분해되어 세포막의 정상적인 작용을 상실하게 된다. 이들 분해산물은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며, 세포 괴사 및 미세 혈 관 병변 등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생체 내 또는 외부에서 생성된 유리 라디칼(free radical)은 지질과산화, 단백질 파괴, 염색체 이상 및 적혈구 파괴 등 조직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으나, 조직은 내인성 제거제를 함유하고 있어서 유리 라디칼에 의한 손상을 방어한다. 생체 내 항산화 방어계는 일차적으로 항산화 효소들의 광범위한 분포 및 유기적인 관련성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항산화 방어계의 핵심 요소인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는 FeSOD(원핵생물, 엽록체 기질)와 MnSOD(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미토콘드리아), Cu/ZnSOD(세포질과 엽록체 효소)로 나뉘며 대개 O2-를 H2O2로 전환시키고, 카탈라아제(Catalase)는 이 H2O2를 물로 분해하여 세포 내 라디칼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아제(Glutathione peroxidase, GPx)는 H2O2를 물로 전환함과 동시에 환원 글루타티온(GSH)을 산화 글루타티온(oxidized glutathione, GSSG)으로 전환시키는데, 이렇게 생성된 GSSG는 글루타티온 환원효소(glutathione reductase, GR)에 의해 다시 GSH로 환원된다. 이때 NADPH가 전자전달자로서 역할을 하여 GSSG에 환원력을 제공해 주게 된다. NADPH는 글루코스-6-포스페이트 데하이드로게나아제(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와 이소시트레이트 데하이드로게나아제(Isocitrate dehydrogenase, ICDH)에 의해 NADP+에서 만들어진다.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안전하고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을 개발해내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카로티노이드, 피토스테롤, 폴리페놀, 프로폴리스 및 코디세핀의 혼합물과,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프로메튬(Pm), 유로퓸(Eu), 테르븀(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툴륨(Tm), 이테르븀(Yb), 스칸듐(Sc), 이트륨(Y), 란탄(La), 네오디뮴(Nd), 사마륨(Sm), 가돌리늄(Gd) 및 루테튬(Lu)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희토원소 배합 시 두 성분 간의 예기치 못한 상승작용에 의해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새롭고도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성분으로서, 카로티노이드, 피토스테롤, 폴리페놀, 프로폴리스 및 코디세핀의 혼합물과,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프로메튬(Pm), 유로퓸(Eu), 테르븀(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툴륨(Tm), 이테르븀(Yb), 스칸듐(Sc), 이트륨(Y), 란탄(La), 네오디뮴(Nd), 사마륨(Sm), 가돌리늄(Gd) 및 루테튬(Lu)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희토원소를 함유하는,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ⅰ) 카로티노이드, 피토스테롤, 폴리페놀, 프로폴리스 및 코디세핀의 혼합 물; 및
ⅱ)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프로메튬(Pm), 유로퓸(Eu), 테르븀(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툴륨(Tm), 이테르븀(Yb), 스칸듐(Sc), 이트륨(Y), 란탄(La), 네오디뮴(Nd), 사마륨(Sm), 가돌리늄(Gd) 및 루테튬(Lu)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희토원소, 또는 그의 염 또는 산화물:
을 함유하는,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카로티노이드, 피토스테롤, 폴리페놀, 프로폴리스 및 코디세핀의 혼합물과, 희토원소 간의 예기치 못한 상승작용에 의해 현저히 우수한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카로티노이드, 피토스테롤, 폴리페놀, 프로폴리스 및 코디세핀의 혼합물과,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프로메튬(Pm), 유로퓸(Eu), 테르븀(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툴륨(Tm), 이테르븀(Yb), 스칸듐(Sc), 이트륨(Y), 란탄(La), 네오디뮴(Nd), 사마륨(Sm), 가돌리늄(Gd) 및 루테튬(Lu)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희토원소, 또는 그의 염 또는 산화물 간의 배합 시 두 성분 간의 예기치 않은 상승작용에 의해 현저히 우수한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최초로 밝혀내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카로티노이드, 피토스테롤, 폴리페놀, 프로폴리스 및 코디세핀은, 희토원소의 작용효과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인 한, 특별한 종류의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카로티노이드로서 베타-카로틴(β-carotene) 및 라이코펜(lycopene) 중 하나 이상을; 피토스테롤로서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에르고스테롤(ergo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옥타코사놀(octacosanol), 테트라코사놀(tetracosanol), 헥사코사놀(hexacosanol), 헵타코사놀(heptaxosanol), 노나코사놀(nonacosanol), 트리아콘타놀(triacontanol), 도트리아콘타놀(dotriacontanol) 및 테트라트리아콘타놀 중 하나 이상을; 폴리페놀로서 카테킨, 에피카테킨(epicatechin), 퀘르세틴(quercet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스틸벤(stilbene) 및 리그난(lignans)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로티노이드로서 라이코펜을, 피토스테롤로서 헥사코사놀을, 폴리페놀로서 카테킨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카로티노이드, 피토스테롤, 폴리페놀, 프로폴리스 및 코디세핀은 자연에서 얻어진 것(naturally-occurring)이거나 인공적으로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프로메튬(Pm), 유로퓸(Eu), 테르븀(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툴륨(Tm), 이테르븀(Yb), 스칸듐(Sc), 이트륨(Y), 란탄(La), 네오디뮴(Nd), 사마륨(Sm), 가돌리늄(Gd) 및 루테튬(Lu)은 토양, 천연암석, 해수 등 자연에서 얻어진 것, 특히 황토, 백토, 적토 또는 해양심층수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소는 미세분말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원소는 단일 원소 또는 2 이상의 원소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염의 형태, 예를 들어, 황산염, 질산염, 탄산염, 아세트산염, 인산염, 염화물 등의 형태나, 수산화물을 비롯한 산화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목적하는 상승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한, 각 성분의 배합비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카로티노이드 : 피토스테롤 : 폴리페놀 : 프로폴리스 : 코디세핀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0.5~1.5 : 0.5~1.5 : 0.5~1.5 : 0.5~1.5 : 0.5~1.5,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 : 1 : 1 : 1이다. 상기 ⅰ) 및 ⅱ)의 중량비는 1 : 1 내지 100 : 1,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50 : 1,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10 : 1,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 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바람직하게는 0.0001~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1중량%로 함유한다. 이는 상기 범위 내에서 목적하는 상승작용을 최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나,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특정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염증이나 산화적 스트레스 또는 세균으로 인한 질병이나 이로 인한 손상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데 사용 가능한바, 예를 들어, 아토피성 피부염, 상처 또는 열상, 여드름, 각질, 벌레 물린데 사용하거나, 피부장벽 회복 또는 보습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삼, 고삼, 귤 진피, 녹차, 당근, 도라지, 상심자, 서목태, 석류피, 솔잎, 월견자, 측백잎, 하수오, 한련초, 트리블러스(tribulus) 추출물, 베타인, 박하 추출물, 쇄기풀 추출물, 쇠뜨기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호프 추 출물, 알로에, 가시오가피, 동충하초, 복분자, 오디, 목초액, 황기, 당귀, 구기자, 호도, 포도, 홍화, 참깨, 들깨, 마늘, 다시마, 미역, 매실, 녹두, 흑미, 유근피, 칡, 감잎차, 루이보스티차, 달맞이유, 님트리, 소금(천일염, 죽염), 식초, 참숯, 감국화, 감초, 강근, 강활, 개다래, 개미취 검정깨, 겨우살이, 계피, 곰보배추, 광나무, 구감, 구릿대, 길경, 까마중, 느릅나무, 대추, 더덕, 독활, 동백나무, 만병초, 만형자, 맥아, 머루등굴, 목향, 무화과나무, 민들레, 바위취, 반하, 방풍, 백복령, 백작약, 백질려, 백출, 백하수오, 백화사설초, 부평초, 빈랑, 뽕나무, 산초나무, 삼백초, 생강, 생지황, 석송, 석창포, 선퇴, 소루쟁이뿌리, 쇠비름, 수영, 승마, 시호, 신곡, 아카시아꽃, 어성초, 오매, 우방자, 위령선, 익모초, 인동초, 인진쑥, 적복령, 조피나무, 주염나무, 지실, 찔래꽃, 참나무껍질, 창출, 천궁, 천마, 치자, 칠해목, 토사자, 피나무, 한삼덩굴, 할미꽃, 함초, 향나무, 향부자, 형개, 화피, 후박, 흑축, 알팔파, 밀, 쌀, 사탕수수, 수수, 옥수수, 해바라기씨, 펜타데칸산, 글리세리드, 히노키티올, 포르스콜린(Forskolin), 아세트산 토코페롤, 트랜스-3,4'-디메틸-3-히드록시플라바논(trans-3,4'-dimethyl-3-hydroxyflavanone) 등의 토코페롤류, 니코틴산, 니코틴산 아미드, 팔미트산 레티놀, β-카로틴, 칼시페롤, 폴산, 비오틴, D-판토테닐알콜, 아세틸판토테닐에틸에테르, 판토텐산 칼슘, 판토테닐에틸에테르, 아스코르브산, 자몽씨 추출물, 세파란틴(cepharanthin), 니코틴산 벤질에스테르, 비타민 A, B1, B2, B6(피리독신) 및 그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미녹시딜, 자주쓴풀 추출액,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메티오닌, 세린, 글 리신, 글루탐산, 시스틴, 아미노산 엑기스, β-글리시레틴산(β-glycyrrhetinic acid), 글리시리즈산류(glycyrrhizic acid), 염산피리독신, 살리실산, 알란토인, 감광소 301,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피로크톤올라민(Piroctone Olamine), 글리세린, 피롤리돈카르본산, 에스트라디올,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및 l-멘톨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영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글루코스, 키실로스, 만노스, 아라비노스 등의 단당류 및 말토스, 슈크로스, 셀로비오스, 트레할로스 등의 이당류 등의 당류들로부터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양은 전체 조성물의 0.01 내지 1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하여 단위 투여 제형(unit dosage form)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경피(transdermally) 또는 경구로(orally) 투여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로션제, 연고제, 젤제, 크림제, 패치제, 분무제, 정제, 환제, 분말, 새세이(sachet), 엘릭시르(elixir),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연질 또는 경질 캡슐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연고, 크림, 로션, 스프레이, 비누 또는 화장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의 적용대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 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이나 사육 또는 애완동물에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용량은 성별, 연령, 증세, 질병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1일 0.1~10 ㎎/㎏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 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아토피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유액(milky lotion))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카로티노이드로서 라이코펜을, 피토스테롤로서 헥사코사놀을, 폴리페놀로서 카테킨을 사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 라이코펜, 헥사코사놀, 카테킨, 프로폴리스 및 코디세핀의 혼합물
㈜시그마(SIGMA)(미국)에서 구입한 라이코펜, 헥사코사놀, 카테킨 및 코디세핀, 및 네이쳐즈 케어 P/L(Natures Care P/L)(호주)에서 제조한 프로폴리스 캡슐을 분말화하여 1 :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2) 혼합원소의 제조
자연에서 얻어진 각 원소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10 ㎛ 이하로 미세분말화하여 사용하였다. 분말화된 원소에 대해 정제수를 1:5 비율로 혼합한 후 60∼120 rpm의 일정한 속도로 12 시간 교반하고 10 ㎛ 여과지로 여과한 후 사용하였다.
(3) 조성물의 제조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을 이용하여, 혼합원소 분말, 라이코펜, 헥사코사놀, 카테킨, 코디세핀 및 프로폴리스(이하, 'LHCCP'라 함)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여과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1 LHCCP 0.1
2 혼합원소 0.01
3 밀납 1.0
4 바세린 2.0
5 스쿠알렌 5.0
6 라놀린 2.0
7 세틸알콜 1.0
8 프로필렌글리콜 4.0
9 글리세린 4.0
9 POE(10) 모노올레인산 에스테르 1.0
10 글리세롤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1.0
11 카르복시산비닐폴리머 0.1
12 에탄올 5.0
13 방부제 적당량
14 산화방지제 적당량
15 향료 적당량
16 정제수 100까지
(혼합원소: Ce, Pr, Pm, Eu, Tb, Dy, Ho, Er, Tm, Yb, Sc, Y, La, Nd, Sm, Gd, Lu의 혼합물, 이하 동일)
실시예 2: 창상 및 화상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유액)의 제조
표 1b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과정에 따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1 LHCCP 0.1
2 혼합원소 0.01
3 사이크로메티콘 5.0
4 유동파라핀 5.0
5 프로필렌글리콜 6.0
6 글리세린 4.0
7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8 디메티콘 5.0
9 수산화칼륨 적당량
10 방부제 적당량
11 산화방지제 적당량
12 향료 적당량
13 정제수 100까지
실시예 3: 여드름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유액)의 제조
표 1c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과정에 따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1 LHCCP 0.1
2 혼합원소 0.01
3 라놀린 2.0
4 유동파라핀 20.0
5 스쿠알렌 10.0
6 프로필렌글리콜 7.0
7 솔비탄세스키올레인산에스테르 4.0
8 POE(20) 솔비탄모노올레인산에스테르 1.0
9 밀납 3.0
10 방부제 적당량
11 산화방지제 적당량
12 향료 적당량
13 정제수 100까지
실시예 4: 각질 처리용 조성물(크림)의 제조
표 1d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과정에 따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1 LHCCP 0.1
2 혼합원소 0.01
3 밀납 10.0
4 바세린 15.0
5 유동파라핀 41.0
6 1,3-부틸렌글리콜 4.0
7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8 POE(20) 솔비탄 모노라우릴 에스테르 2.0
9 고형파라핀 5.0
10 알칼리 붕사
11 방부제 적당량
12 산화방지제 적당량
13 향료 적당량
14 정제수 100 까지
실시예 5: 벌레물린데 바르는 조성물의 제조
표 1e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과정에 따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1 LHCCP 0.1
2 혼합원소 0.01
3 라놀린 1.0
4 글리세린 1.0
5 에틸알콜 50.0
6 향료 적당량
7 정제수 100까지
비교예 1 내지 10: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LHCCP 첨가 없이 혼합원소만을 사용하거나(비교예 1 내지 5), 혼합원소의 첨가 없이 LHCCP만을 사용하여(비교예 6 내지 10) 각각의 성분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과정에 의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내지 90: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혼합원소 대신 표 2에서와 같이 개개 원소를 각각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과정에 의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기본 실시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Ce 실시예 6 실시예 23 실시예 40 실시예 57 실시예 74
Pr 실시예 7 실시예 24 실시예 41 실시예 58 실시예 75
Pm 실시예 8 실시예 25 실시예 42 실시예 59 실시예 76
Eu 실시예 9 실시예 26 실시예 43 실시예 60 실시예 77
Tb 실시예 10 실시예 27 실시예 44 실시예 61 실시예 78
Dy 실시예 11 실시예 28 실시예 45 실시예 62 실시예 79
Ho 실시예 12 실시예 29 실시예 46 실시예 63 실시예 80
Er 실시예 13 실시예 30 실시예 47 실시예 64 실시예 81
Tm 실시예 14 실시예 31 실시예 48 실시예 65 실시예 82
Yb 실시예 15 실시예 32 실시예 49 실시예 66 실시예 83
Sc 실시예 16 실시예 33 실시예 50 실시예 67 실시예 84
Y 실시예 17 실시예 34 실시예 51 실시예 68 실시예 85
La 실시예 18 실시예 35 실시예 52 실시예 69 실시예 86
Nd 실시예 19 실시예 36 실시예 53 실시예 70 실시예 87
Sm 실시예 20 실시예 37 실시예 54 실시예 71 실시예 88
Gd 실시예 21 실시예 38 실시예 55 실시예 72 실시예 89
Lu 실시예 22 실시예 39 실시예 56 실시예 73 실시예 90
실험예 1: 세포증식 촉진효과 측정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인 NIH 3T3 세포를 10% 우태아혈청(FBS)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둘베코스 모디파이드 이글즈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에서 2×106 또는 4×106 세포/㎖의 밀도를 유지하면서 37 ℃(95% O2, 5% CO2, 60% 습도) 항온항습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의 증식촉진실험을 위해 MTT 어세이 방법을 사용하였다. MTT 실험을 위해 96 웰 플레이트에 웰 당 2×103 세포/㎖의 각 세포를 분주하여 10% FBS가 포함된 배양액을 처리하였다. 배양기에서 24 시간 동안 세포를 안정화시킨 후 FBS가 포함된 배양액을 FBS가 없는 DMEM으로 갈아주고 각각 10 ㎍, 1 ㎍, 100 ng, 10 ng, 1 ng, 100 pg, 10 pg 및 1 pg의 혼합원소 및 LHCCP를 처리하고, 10 ng의 혼합원소와 각각의 성분(라이코펜, 헥사코사놀, 카테킨, 프로폴리스 및 코디세핀) 1 ㎍을 혼합하여 처리하였다. 일정시간 배양 후 웰 당 50 ㎕의 MTT(2 ㎎/1 ㎖ 멸균 증류수)를 첨가하여 4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를 처리하여 30 분간 흔들어준 후 엘라이자 리더(550, Bio-rad)를 이용하여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혼합원소 또는 LHCCP를 처리한 결과를 도 1a에, 각각의 성분을 처리하거나 또는 혼합원소에 각각의 성분을 혼합하여 처리한 결과를 도 1b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 ㎍에서 1 pg까지 혼합원소를 처리한 실험군은 혼합원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보다 세포의 증식이 활발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혼합원소 첨가 후에는 무처리군에 비해 136%로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LHCCP로 처리한 경우에도 무처리군보다 127%로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혼합원소(10 ng)와 LHCCP(1 ㎍)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최고 160%로 그 증식률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혼합원소와 LHCCP의 혼합이 혼합원소와 LHCCP를 각각 처리하였을 경우보다 더 우수하게 세포 증식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혼합원소의 개개 성분을 LHCCP와 각각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에도, 세포증식이 무처리군에 비해 평균 30% 이상 증가되며, 또한 카로티노이드류, 피토스테롤류, 폴리페놀류의 성분인 베타-카로틴, 베타-시토스테롤, 에르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캄페스테롤, 옥타코사놀, 테트라코사놀, 헥사코사놀, 헵타코사놀, 노나코사놀, 트리아콘타놀, 도트리아콘타놀, 테트라트리아콘타놀, 에피카테킨, 퀘르세틴(quercetin), 플라보노이드, 스틸벤, 리그난의 경우에도 세포증식이 무처리군에 비해 혼합원소나 그 각각을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경우 더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세륨(Ce)이 포함된 혼합 조성물로 처리한 경우 세포증식이 가장 크게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유리 라디칼의 제거 실험
항산화 활성 측정을 위해 유리라디칼의 제거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에 대한 제거 효과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메탄올에 녹인 뒤(50 ppm) 160 ㎕를 분취하여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넣은 후 1.5×106 M 농도로 메탄올에 용해시킨 DPPH 용액 40 ㎕와 잘 혼합하였다. 이 반응 혼합액을 실온에서 30 분간 방치한 후 520 nm에서 엘라이자 리더로 측정하였다. 결과 값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리 라디칼의 제거 활성을 나타냈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L-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원소나 LHCCP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경우보다. 혼합원소(10 ng)와 LHCCP(1 ㎍)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경우에 현저히 우수한 유리 라디칼의 제거능력을 보여 주었다. 또한, 개개 원소를 각각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에도, 유리 라디칼 제거능력이 무처리군에 비해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과산화수소 손상에 의한 세포의 반치사 농도의 측정
세포에 일정한 손상을 주어 그 손상에 의한 세포의 증식을 확인하기 위하여 반 치사 농도를 측정하였다. 반 치사 농도(Lethal dose)란 세포의 증식율이 정상세포의 증식율과 비교하여 절반이 될 때를 의미한다. 실험예 1과 동일한 세포와 배양조건으로 세포성장 회복효과의 반치사 농도를 측정하였다.
MTT 실험을 위해 96 웰 플레이트에 웰 당 2×103 세포/㎖의 각 세포를 분주하여 10% FBS가 포함된 배양액을 처리하였다. 배양기에서 24 시간 동안 세포를 안정화시킨 후 FBS가 포함된 배양액을 FBS가 없는 DMEM으로 갈아주고 각각 1 mM, 900 μM, 800 μM, 700 μM, 600 μM, 500 μM, 400 μM, 300 μM, 200 μM, 100 μM의 농도로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였다. 1 시간 후 웰 당 50 ㎕의 MTT(2 ㎎/1 ㎖ 멸균 증류수)를 첨가하여 4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DMSO를 처리하여 30 분간 흔들어준 후 엘라이자 리더(550, Bio-rad)를 이용하여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반치사 농도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0 μM에서 반치사 농도를 얻었다. 실험에서 얻어진 반치사 농도를 사용하여 세포에 손상을 가한 뒤 조성물에 의한 여러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예 4: 과산화수소 손상에 의한 세포성장 회복 효과의 측정
실험예 1과 동일한 세포와 배양조건으로 세포성장 회복효과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반치사 농도인 과산화수소 200 μM를 세포에 처리하여 혼합원소와 LHCCP에 의한 회복능력을 확인하였다.
MTT 실험을 위해 96 웰 플레이트에 웰 당 2×103 세포/㎖의 각 세포를 분주하여 10% FBS가 포함된 배양액을 처리하였다. 배양기에서 24 시간 동안 세포를 안정화시킨 후 FBS가 포함된 배양액을 FBS가 없는 DMEM으로 갈아주고, 제1군(후처리군)은 200 μM의 과산화수소를 1 시간 처리하여 세포에 손상을 준 후 혼합원소(10 ng), LHCCP(1 ㎍), 및 혼합원소(10 ng)와 LHCCP(1 ㎍)를 혼합하여 처리하고, 제2군(전처리군)은 혼합원소(10 ng), LHCCP(1 ㎍), 및 혼합원소(10 ng)와 LHCCP(1 ㎍)를 혼합하여 처리한 후 24 시간 배양 후 200 μM의 과산화수소를 1 시간 처리하여 세포에 손상을 주고, 제3군(동시처리군)은 200 μM의 과산화수소와 혼합원소(10 ng), LHCCP(1 ㎍), 및 혼합원소(10 ng)와 LHCCP(1 ㎍)를 혼합하여 동시에 처리하였다. 24 시간 배양 후 웰 당 50 ㎕의 MTT(2 ㎎/1 ㎖ 멸균 증류수)를 첨가하여 4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DMSO를 처리하여 30 분간 흔들어준 후 엘라이자 리더(550, Bio-rad)를 이용하여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군에서 각각의 물질을 처리하였을 경우 과산화수소만 처리한 경우보다 세포의 증식능력이 증가하였다. 특히, 혼합원소(10 ng)와 LHCCP(1 ㎍)를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가 세 그룹 모두에서 혼합원소만을 처리하거나 LHCCP만을 처리한 군보다 우수한 증식능력을 보여 주었다. 한편, 개개 원소와 LHCCP로 처리한 경우에도, 상기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효소활성 측정 및 지질과산화양 측정
실험예 1과 동일한 세포와 배양조건으로 반치사 농도인 과산화수소 200 μM를 세포에 처리하여 혼합원소와 LHCCP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효소활성 측정 및 지질과산화양을 측정, 확인하였다. 반치사 농도인 과산화수소 200 μM를 세포에 처리하여 1 시간 배양한 후 혼합원소(10 ng)와 LHCCP(1 ㎍)를 각각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초음파 분쇄용 완충용액(100 mM Tris, 10 mM MgCl2, 10 mM NaCl, 10% 글리세롤, pH 7.5)로 초음파 분쇄한 후, 원심분리 없이 일정량을 취한 후 단백질을 정량하여 지질과산화 측정용으로 사용하고,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와 카탈라아제(catalase; CAT)의 활성 측정은 15,000 rpm, 4 ℃에서 15 분간 원심분리하여 사용하였다. SOD 활성측정은 트리스-DE 용액(50 mM Tris-HCl(pH 8.2)에 1mM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과 0.1 M EDTA, 및 피로갈롤 스탁(pyrogallol stock)(10 mM HCl에 20 mM 피로갈롤)을 혼합한 후 조직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첨가하여 420 nm에서 1분간 활성을 측정하고, 카탈라제의 활성측정0.01 M 인산나트륨 완충액(pH 7.0)에 0.015 M H2O2를 혼합하고 폐 조직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첨가하여 240 nm에서 1분간 흡광도 감소를 측정하였다. 지질과산화 측정은 1 부피 반응액(sample)에 2 부피의 TBA-트리클로로아세트산(TCA)-HCl 용액(0.25 N HCl에 0.375% TBA/15% TCA)을 가한 후 끊는 물에 15 분 동안 중탕하여 식힌 다음, 12,000 g에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그 상층액을 취한 후 UV 분광광도계(UV-2401PC, SHIMADZU)로 53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왼쪽 세로축은 SOD와 CAT의 상대값을 표시하고 오른쪽 세로축은 지질과산화양의 상대값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처리군에 비해 혼합원소 처리군, LHCCP 처리군, 혼합원소와 LHCCP 처리군에서 효소활성이 증가되었으며, 지질과산화양은 감소를 나타냈다. 특히, 혼합원소(10 ng)와 LHCCP(1 ㎍)를 혼합하여 처리한 조성물이 한 가지 물질만 처리한 군보다 현저히 우수한 항산화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으며, 유해 라디칼에 의한 지질과산화 작용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세포막을 보호함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생체나 대사과정이나 면역 반응 또는 염증반응으로 생긴 유해 라디칼로 인한 세포의 손상을 완화시키거나 억제시킴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에 수반되는 질환에 조성물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개개 원소와 LHCCP를 각각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실험동물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효소활성 측정 및 지질과산화양 측정
실험동물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효소활성 측정 및 지질과산화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출생후 8∼10주가 경과한 무모생쥐(Hairless Mouse)의 등에 아세톤을 1일 2회씩 5일 동안 주기적으로 도포하여 실험동물의 등 피부를 손상시킨 다음, 실시예 1과 비교예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피부면적 10 cm2 당 400 ㎕의 용량으로 1일 2회씩 3일 동안 연속 도포하였다. 그 후 12주 동안 실시예 1에 의한 조성물과 비교예에 의한 조성물을 처리한 마우스의 등 부위의 피부조직을 각각 1 g씩 떼어내어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이물질을 최대한 제거한 후, 가위로 잘게 자르고 초음파분쇄용 완충용액(50mM Tris-/HCl(pH 7.5), 20 mM HEPES, 1 mM EDTA, 2 mM PMSF, 1% Triton-X 100)에 옮겨 담았다. 그 다음 4℃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초음파분쇄기로 조직을 분리하여 단백질을 얻었고, 그 중 일부는 원심분리 없이 일정량을 취한 후 단백질을 정량하여 지질과산화 측정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15,000 rpm, 4℃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SOD의 활성 측정에 사용하였다. 그 후 실험예 5와 같은 방법으로 효소활성과 지질과산화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처리군에 비해 아세톤 처리군에서 3배의 증가를 나타냈다. 이는 세포막의 인지질이 아세톤 처리군에서 더 많은 지질과산화가 일어남을 의미한다. 실시예 조성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무처리군과 비슷한 값을 보여 주었으며, 비교예 조성물을 처리한 군은 아세톤 처리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실시예 1에 의한 조성물을 처리함으로써 유해 라디칼에 의한 지질과산화 작용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세포막을 보호함을 나타낸다. 또한 SOD의 경우는 무처리군과 실시예 조성물 처리군이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비교예 조성물 처리군은 아세톤 처리군과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즉, 실시예 1에 의한 조성물이 유해 라디칼을 제거하며 항산화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면역 반응이나 염증반응으로 생긴 유해 라디칼로 인한 세포의 손상을 완화시키거나 억제시킴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면역반응과 염증반응이 수반되는 기타 피부질환에 본 조성물을 처리함으로써 피부손상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7: TGF, EGF, PDGF 및 VEGF 발현 측정
TGF, EGF, PDGF 및 VEGF의 발현정도를 웨스턴 블랏팅(western blotting)에 의해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세포와 배양조건으로 반치사 농도인 과산화수소 200 μM를 세포에 처리하여 1 시간 배양한 후 혼합원소(10 ng)와 LHCCP(1 ㎍)를 각각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에서 얻은 단백질을 12% SDS-PAGE로 분리한 후 NC(nitrocellulose membrane)에 옮겼다. 그 후 NC를 5% 탈지유를 함유한 트리스 완충 염수(TBS)로 블록킹하고, 1:1,000으로 희석한 일차 항체(항-TGF, 항-PDGF, 항-EGF 및 항-VEGF 래빗 IgG)와 1:1,000으로 희석한 이차 항체(퍼옥시다제-포접된 항-래빗 IgG)에 각각 반응시킨 후, 0.05% 트윈-20이 함유된 TBS로 세척하고, ECL 검출 키트를 이용하여 X-선 필름에 감광시켰다. 그 후 LabWork™(version 4.5.00.0)의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OD 값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처리군에 비해 모든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세포의 병리학적인 이상을 회복하거나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개개 원소를 각각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8: 실험동물을 통한 TGF, EGF, PDGF 및 VEGF 발현 측정
실험동물은 8 주령 ICR 수컷 쥐(30±3 g)로 실험 시작 전 일반 고형사료(삼양사)와 물로 자유 식이를 하였고, 폴리프로필렌 상자(453×293×247(H) ㎜, 19ℓ)에서 1 주일간(20∼24 ℃, 습도 60∼80%)의 예비사육으로 적응기간을 두었다. 적응기간이 끝난 후 실험동물 등의 털을 제거한 후 길이 1 cm, 넓이 0.01 cm, 깊이 0.5 cm로 면도칼을 이용하여 상처를 내고, 직경 1 cm의 면적에 둥근 쇠봉을 이용하여 열상을 주었다. 실험동물군은 비교예 조성물 처리군, 실시예 2 조성물 처리군과, 현재 판매되고 있는 마데카솔 처리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은 하루 24 시간을 각각 12 시간씩 명, 암 상태로 나누어 유지하였다. 실시예 2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아침과 저녁 일정한 시간을 정하여 일정량(1 ㎖) 하루에 두 번씩 상처 부위에 도포하였다. 모든 실험은 암 상태일 때는 실험을 하지 않고 실험쥐가 안정을 취하도록 배려하였으며, 조직 채취 시에는 실험 전 24 시간 동안 회복기간을 두었다.
상기한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웨스턴 블랏팅(western blotting)에 의해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희생시킨 후 병변부위의 조직을 취하여 작은 조각으로 가위로 절단한 후 호모지네이션 완충용액(homogenation buffer; 50mM Tris-/HCl(pH 7.5), 1 mM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2 mM PMSF(phenylmethane -sulfonyl fluoride), 1% 트리톤-X 100])로 조직을 파쇄하였다. 실험동물 조직에서 얻은 단백질을 12% SDS-PAGE로 분리한 후 NC(nitrocellulose membrane)에 옮겼다. 그 후 NC를 5% 탈지유를 함유한 트리스 완충 염수(TBS)로 블록킹하고, 1:1,000으로 희석한 일차 항체(항-TGF, 항-PDGF, 항-EGF 및 항-VEGF 래빗 IgG)와 1:1,000으로 희석한 이차 항체(퍼옥시다제-포접된 항-래빗 IgG)에 각각 반응시킨 후, 0.05% 트윈-20이 함유된 TBS로 세척하고, ECL 검출 키트를 이용하여 X-선 필름에 감광시켰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조성물 처리군의 경우 비교예 조성물 처리군에 비해 모든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피부의 병리학적인 이상을 회복하거나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실험예 9: 항염증 효과 파악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인 NIH 3T3 세포를 사용하여 단백질인산화효소(protein kinase C; PKC)의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세포를 2×107 세포/㎖이 되도록 배양한 후 혼합원소(10 ng)와 LHCCP(1 ㎍)를 첨가한 후 반응시켰다. 그 후 세포를 인산완충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척한 후 초음파분쇄기용 완충용액(sonication buffer)[50mM Tris-/HCl(pH 7.5), 20 mM HEPES(N-[2-Hydroxyethyl]piperazin-N'-[2-ethanesulfonic] acid), 1 mM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2 mM PMSF(phenylmethanesulfonyl fluoride), 1% 트리톤-X 100]과 혼합한 후 세포를 초음파파쇄기로 파쇄하였다. 단백질인산화효소의 발현정도를 웨스턴 블랏팅(western blotting)에 의해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에서 얻은 단백질을 정량하고 일정량을 12%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로 분리한 후 니트로셀루로으즈 막(nitrocellulose membrane; NC)에 옮겼다. 그 후 NC를 5% 탈지유를 함유한 트리스 완충 용액(TBS)으로 블록킹하고, 1:1,000으로 희석한 일차 항체(PKC)와 1:1000으로 희석한 이차 항체(퍼옥시다제-포접된 항-래빗 IgG)에 각각 반응시킨 후, 0.05% 트윈-20이 함유된 TBS로 세척하고, ECL 검출 키트를 이용하여 X-선 필름에 감광시켰다.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혼합원소와 LHCCP를 처리함으로 인해 PKC의 활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염증유발의 생화학적 경로를 보면 외부 자극에 의해 PKC 활성이 높아지고, 이어서 포스포리파아제 D(phospholipase D)의 활성이 증가되면서 염증반응이 진행되는데, 본 발명의 조성물은 PKC의 활성을 억제하므로 이하 연속적인 염증반응이 억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개개 원소로 처리한 경우에도, 상기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10: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 파악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인 NCNga 마우스의 피부 표피세포를 사용하여 단백질인산화효소(protein kinase C; PKC)의 억제효과를 보았다. 표피세포를 2×107 세포/㎖이 되도록 배양한 후 혼합원소와 LHCCP를 첨가한 후 반응시켰다. 그 후 실험예 7의 조건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혼합원소와 LHCCP를 처리함으로 인해 PKC의 활성이 억제되므로 이하 연속적인 염증반응이 억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개개 원소로 처리한 경우에도, 상기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11: 세포주에서의 IgE 농도 분석
IgE를 생산하는 인간 세포주인 U266B1 세포(lymphoblastoma 세포주)를 사용하여 혼합원소에 의한 IgE 생산의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U266B1 세포를 RPMI-1640 배지(15% FBS, 2 mM L-글루타민, 10 mM HEPES, 1 mM 피루브산나트륨, 50 ㎍ 스트렙토마이신, 100 U/㎖ 페니실린 첨가)가 담긴 24-웰 배양 플레이트에서 37 ℃, 5% CO2의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준비된 세포를 다시 2×105 세포/웰의 농도로 조정을 한 후, 먼저 면역조절 물질, 염증유발물질과 세포파괴 물질 등의 생산을 자극하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2 ㎍/㎖)로 처리하고 LHCCP 1 ㎍, 혼합원소 10 ng 및 LHCCP 1 ㎍와 혼합원소 10 ng를 혼합하여 처리하였고, 대조군에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2 μM) 또는 배지(RPMI-1640)를 처리하였다. 위와 동일한 배양 조건에서 7 일간 배양한 후에, 배지의 IgE 농도를 엘라이자 리더(PharMingen; San Diego, CA)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LPS 자극 처리 IgE (IU/㎖)
- RPMI-1640 187.1±6.7
+ RPMI-1640 401.1±3.9
+ LHCCP(1 ㎍) 387.4±5.8
+ 혼합원소(10 ng) 312.9±3.9
+ 혼합원소+LHCCP 217.1±10.1
+ 덱사메타손 207.9±25.4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조약물인 덱사메타손과 유사한 IgE 생산 억제효과를 보였다. 한편, 개개 원소로 처리한 경우에도, 상기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기타 피부질환에 혼합원소와 LHCCP가 함유된 조성물을 처리함으로써 각각의 물질을 처리하였을 경우보다 우수한 면역반응 억제를 보여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개개 원소나 개개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2: 실험동물에서의 IgE 농도 분석
아토피 피부염은 알레르기 물질 등 생체에 해로운 물질이 들어왔을 때 나타나는 면역체계의 과민반응으로, 유해화학물질들이 체내에 유입되면 혈액속의 B 임파구가 항체 단백질인 면역글로불린 E(Immunoglobulin E; IgE)를 만들며 히스타민, 프로스타그란딘 같은 화학전달물질을 방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항체 단백질의 생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혈청 중의 IgE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조성물과 비교예 조성물을 각각 NCNga 마우스에 목 부위에 피부도포(1 ㎎/day)하였다. 그 후 4주, 8주, 12주차에 모세관 튜브(capillary tube)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눈에서 약 100 ㎕의 혈액을 채혈한 후 혈청을 분리하여 IgE 양을 측정하였다. 단위는 ㎍/㎖이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15317875-PAT00001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전 실험과정에서 실시예 1에 의한 조성물 처리군이 비교예에 의한 조성물 처리군에 비해 월등히 낮은 IgE 농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아토피 피부염, 벌레 물린 데와 같은 알레르기 반응을 감소(치료)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지속적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3: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종양괴사인자-α(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생성 억제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염증성 세포활성 물질인 TNF-α 생성을 유도하는지 여부를 아래와 같이 조사하였다.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을 포함된 IMDM 배양액에 비만세포주 HMC-1을 5% CO2, 37 ℃에서 배양한 후 3×105/㎖ 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였다. 세포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37 ℃에서 10분 동안 미리 배양하고, 각각 식염수, 혼합원소(10 ng/㎖) 및 LHCCP(1 ㎍/㎖)를 첨가한 다음 24 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400×g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과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상층액 중 TNF-α의 단백질 수준을 조사하기 위하여 엘라이자 실험을 아래와 같이 실행하였다. TNF-α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인 항-인간 TNF-α(1 ㎍/㎖)를 PBS(pH 7.4)로 희석하여, 96-웰 플레이트에 100 ㎕씩 각각 코팅한 다음,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0.05% 트윈-20이 포함된 PBS로 세척한 다음, 1% 우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5% 슈크로스 및 0.05% 소디움아자이드(NaN3)를 함유하는 PBS로 1 시간 동안 차단시켰다. 여러 차례 세척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과 표준 곡선으로 사용할 재조합 TNF-α를 첨가한 후 37 ℃에서 2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어서 각 웰을 다시 세척하고 2차 항체 바이오틴(biotin)이 결합된 TNF-α(0.2 ㎍/㎖)를 첨가하여 다시 37 ℃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웰을 세척한 다음, 아비딘(avidine)이 연결된 과산화효소를 첨가하고 37 ℃에서 20 분 동안 방치하였다. 웰을 다시 세척한 다음, ABTS[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기질을 첨가하고, 발색반응을 엘라이자 리더를 사용하여 405 ㎚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TNF-α 분비
무처리 (식염수) 0.264±0.011
LHCCP(1 ㎍) 0.246±0.024
혼합원소(10 ng) 0.229±0.016
혼합원소+LHCCP 0.201±0.019
비교예 0.256±0.025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증성 세포활성 물질인 TNF-α 생성을 억제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염증반응이 수반되는 질환에 혼합원소와 LHCCP를 처리함으로써 염증성 피부질환을 억제시키거나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개개 원소를 각각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에도, 상기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14: 항균력 검사
혼합원소의 피부 유해균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기 위해 프로피오니 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마이크로코커스종,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및 비듬 원인균인 피티로스포럼 오발레(Pityrosporum ovale)를 대상으로 항균력을 검사하였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항균력을 검사하기 위해서 사용한 배지는 증류수 1 ℓ에 뇌심장추출물(Brain Heart Infusion) 25 g, 효모 추출물 5 g, 카시톤(Casitone) 4 g, L-시스테인 HCl 1 g, 포도당 5 g, 가용성 전분 1 g, 인산일칼륨(Monopotassium Phosphate) 15 g, 황산암모늄 1 g, 황산마그네슘 0.2 g, 염화칼슘 0.02 g를 균등히 녹인 후 가압 살균한 후 사용하였고, BBL GasPak 혐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혐기조건을 형성한 후 37 ℃에서 약 3∼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균수를 측정하여 항균력을 검사하였다. 한편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배양에는 스타필로코커스 배지(Staphylococcus Medium) 110(Difco사)을 사용하였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마이크로 코커스의 배양에는 영양 아가(Nutrient Agar)를 사용하였고, 아스퍼질러스 나이거의 배양에는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아가(Difco사, Potato Dextrose Agar)를 사용하였고, 피티로스포럼 오발레의 배양에는 펩톤 0.1%, 포도당 0.5%, 효모엑기스 0.01%, 옥스바일(oxbile) 0.4%,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0.05%, 전지분유 0.1%, 글리세롤이 0.1% 포함한 배지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사용한 혼합원소(10 ng)와 LHCCP(1 ㎍)는 정제수를 이용하여 녹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미생물을 배양하여 10배씩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각각의 배양배지에 도말하여 배양한 후 한 평판배지당 약 103∼104개의 집락을 형성하는 희석배수를 결정하였다. 각각의 미생물을 배양한 후 상기의 실험에서 결정된 희석배수로 희석하였다(이때 희석용액으로는 0.85% NaCl을 사용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준비한 시료를 시료준비에 사용한 용매에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원하는 농도를 만든 후 희석한 시료를 9 ㎖의 미생물 희석용액에 1 ㎖ 첨가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대조구의 경우는 시료용해에 사용한 용매를 사용하였다. 37 ℃에서 30분∼1시간 방치한 후(가끔 혼합해 줌) 배지에 100 ㎕씩 도말한 후 각각의 배양조건에서 배양하고 배양이 끝난 후 집락의 수를 측정하였다.
도 11은 본 조성물의 항균력을 나타낸 도표이다. 본 항균력 테스트에 사용된 균주는 프로피오니 박테리움 아크네스,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마이크로코커스종,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및 비듬 원인균인 피티로스포럼 오발레이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토피에 대한 2차 감염뿐만 아니라 여드름, 비듬, 및 습진의 치료에도 유용하다 할 수 있다. 한편, 개개 원소를 각각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에도, 상기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15: 실험동물에서 조성물의 피부 장벽회복 및 보습력 측정실험
혼합원소(10 ng)와 LHCCP(1 ㎍)가 장기간의 피부손상으로 인한 피부 장벽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출생 후 8∼10주가 경과한 무모생쥐(Hairless Mouse)의 등에 아세톤을 1일 2회씩 5일 동안 주기적으로 도포하여 실험동물의 등 피부 장벽기능을 손상시킨 다음, 실시예 1과 비교예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피부면적 10 ㎠ 당 400 ㎕의 용량으로 1일 2회씩 3일 동안 연속 도포하면서 스웨덴 서바메드(Servamed)사의 증발계(Evaporimeter)로 경피수분 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일정 시간마다 측정하여 도 12에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혼합원소와 LHCCP를 함유한 실시예 처리군이 비교예 처리군에 비해 더 빠르게 손상된 장벽이 회복되었다. 도 1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대적인 경피수분 손실량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처리군이 비교예 처리군에 비해 수분손실양이 적었다. 또한, TEWL 측정시점에 코니오미터(Corneometer, 독일 Courage Khazaka사)를 사용하여 측정한 피부 수분량을 도 12b에 나타내었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혼합원소와 LHCCP를 함유한 실시예 처리군의 피부 수분량이 비교예 처리군보다 높았으며, 장벽 손상회복과 더불어 피부 수분량도 증가하였다. 본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보습력이 향상되었고 지속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아토피 피부염이나 기타 피부질환으로 발생하는 피부의 수분손실을 혼합원소와 LHCCP 혼합물이 억제함으로서 수분손실로 인한 피부장벽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코니오미터는 표피의 전기전도도 값을 측정하여 피부에 존재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피부수분측정기이다.
실험예 16: 임상실험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 및 개선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아토피 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병변 부위 및 비병변 부위의 수분증발량, 함수정도, pH를 측정하여 피부상태를 검사한 후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하루 2회씩 병변부위에 2주간 도포하여 피부상태의 개선정도를 파악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효과를 파악하였다. 또한, 가려움증, 홍반, 염증을 동반한 상처의 완화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Figure 112009015317875-PAT00002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경우 병변부와 비병변부의 수분 손실량(TEWL), 수분보유량(hydration) 및 pH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수분 손실량의 경우는 보통의 정상피부에 비해 병변부위의 수분 손실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분 보유량도 정상의 50∼60에 못 미쳐 피부가 매우 건조함을 알 수 있다. 이는 피부의 수분 보호막이 매우 심하게 손상되어 수분의 증발이 심하게 일어남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피부의 pH도 건강한 피부의 5.5 근처에서 다소 벗어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 1의 조성물을 2 주간 도포함으로 인해 손상 받은 피부가 많이 회복되어 수분 손실량이 많이 줄어들었고, 피부의 수분 보유량도 많이 늘어 건조함이 많이 해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도포함으로 인해 피부의 건조함이 줄어들면서 가려움증이 해소되어 긁지 않게 되었다. 또한 표 7과 같이 환자 스스로 느끼는 가려움증은 실시예 1에 의한 조성물을 도포함으로 인해 도포 전에 비해 두드러지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홍반, 상처도 많이 치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15317875-PAT00003
- : 이상 없음, + : 심하지 않음, +++++ : 매우 심함
실험예 17: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히스타민 방출 억제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히스타민 방출 억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은 12주령된 스프라귀 다우레이(Sprague-Dawley)종 수컷흰쥐(평균체중 350 g)로 복강에 30 ㎖ 정도의 타이로드(Tyrode) 완충용액 B(137 mM NaCl, 5.3 mM 글루코스, 12 mM NaHCO3, 2.7 mM KCl, 0.3 mM NaH2PO4)를 주입하고 복부를 90 초 정도 마사지하였다. 그 후 복막을 조심스럽게 열어 파스퇴르 피펫으로 복강 내 세포를 함유하고 있는 타이로드 완충용액 B를 수거하였다. 이어서 상기 세포 함유 용액을 150×g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침전시켰다. 침전된 세포에 타이로드 완충용액 B를 가하여 피펫팅한 후, 22.5% 메트리자마이드(metrizamide) 용액위에 살짝 적층하고 400×g에서 1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세포만을 얻었다. 상기 침전된 세포에 α-MEM(minimum essential medium)/50% FBS(fetal bovine serum)를 가하고, 피펫팅하여 톨루이딘 블루 염색방법을 통해 비만세포가 95% 이상이고 트립판 블루 염색에 의해 생존능력이 90% 이상임을 확인하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정제된 비만세포에 α-MEM/50% FBS를 가하고 조심스럽게 피펫팅한 후, 2×105 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였다. 세포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37 ℃에서 10 분 동안 미리 배양하고, 혼합원소와 LHCCP를 처리하여 37 ℃에서 30 분 동안 처리하였다. 그 후 곧 바로 화합물 48/80(각각 5.0 ㎍/㎖)을 10 분 동안 처리하였다. 참고로, 화합물 48/80은 강력한 히스타민 유리 촉진제로서 N-메틸-p-메톡시페닐에틸아민(N-methyl-p-methoxyphenylethyl-amine)과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의 축합에 의해 생성되며, 비만세포내로 칼슘유입을 증가시켜 세포내 칼슘 수준을 증가시키고, cAMP-포스포디에스테라제(phosphodiesterase)를 활성화시켜 세포내 cAMP 수준을 감소시킴으로써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일으키는데 주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반응 종료 후 400× g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과 세포를 분리하였다. 히스타민 정량은 OPA 스펙트로플루오로메트리(O-phthaldialdehyde spectrofluorometry) 방법으로 440 ㎚에서 측정하였으며, 히스타민 분비의 억제율을 하기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억제율(%)=[(A-B) × 100]/A
A: 약물을 부가하지 않았을 때의 히스타민 양
B: 약물을 부가하였을 때의 히스타민 양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히스타민 분비 억제율(%)
무처리 (식염수) -
실시예 28.31±4.1
비교예 3.24±1.5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48/80에 의하여 유도된 복강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의 분비가 혼합원소와 LHCCP에 의해서만 약 28%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면역과 염증반응이 수반되는 기타 피부질환에 혼합원소와 LHCCP를 처리함으로써 그 반응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개개 원소를 각각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에도, 상기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18: IL-6 농도와 IgG2a 농도 측정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조성물 1과 비교예 조성물을 각각 NCNga 마우스에 목 부위에 피부도포(1 mg/day)하였다. 12주 동안 실시예 1에 의한 조성물과 비교예 조성물을 처리한 NCNga 마우스를 에틸에테르(ethyl ether)로 마취한 후 심장천자법으로 혈액을 채혈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엘라이자 킷을 사용하여 혈청중 IL-6를 정량하였고, 맵-베이스드 마우스 항체단백질 동위원소 킷트[Mab-Based Mouse Ig isotyping kit(PharMingen, San Diego, Calif)]로 혈청 중 항체 단백질인 IgG2a의 농도를 측정하여 표 9에 나타내었다. 단위는 ㎍/㎖이다.
Figure 112009015317875-PAT00004
표 9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월등히 낮은 혈중 IL-6 농도와 IgG2a 농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염증반응이 수반되는 기타 피부질환에 효과적임을 재확인하였다.
실험예 19: IL-13 농도 측정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조성물 1과 비교예 조성물을 각각 NCNga 마우스에 목 부위에 피부도포(1 ㎎/day)하였다. 그 후 12주 동안 실시예 1에 의한 조성물과 비교예 조성물을 처리한 NCNga 마우스의 얼굴과 목 부위를 전모한 뒤 피부조직을 각각 1 g씩 떼어내어 DMEM 배양액으로 수세하고 혼합하여 초핑(chopping)한 후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양액으로 배양접시(Petri-dish)에서 배양하였다. 7일 경과 후 배양상층액을 제거하고 새로운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하였다. 다시 7일간 배양하여 배양상층액을 분리하고 배양액내의 IL-13 농도를 엘라이자 킷으로 측정하여 표 10에 나타내었다. 단위는 ㎍/㎖이다.
평균 표준편차
실시예 98.7 24
비교예 218.6 30.1
표 10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처리군의 조직배양액은 대조군의 조직배양액에 비해 월등히 낮은 배양액내의 IL-13 농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염증반응이 수반되는 기타 피부질환에 효과적임을 재확인하였다.
실험예 20: 세라마이드 생성능 측정
세포간지질의 구성 성분들 중 하나인 세라마이드의 생성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조성물과 비교예 조성물을 각각 NCNga 마우스에 목 부위에 피부도포(1 ㎎/day)하였다. 그 후 7일 동안 조성물과 비이클로 처리한 실험동물의 피부 조직을 8 ㎜ 펀치로 절편하여 0.25% 트립신(Trypsin)을 함유한 PBS 용액이 담겨있는 페트리 디쉬(Petri Dish)에 진피가 아래로 가도록 하여 담근 다음 상온에서 120분 동안 방치하였다. 표피층을 조직에서 분리하고, 증류수로 세척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한 뒤 중량을 측정하였다. 거의 건조된 각질을 블라이 다이어(Bligh-Dyer) 용액(메탄올:클로로포름:물=4:2:1.6) 5 ㎖에 넣어 교반 후 24 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부유액을 모으고, 다시 각질층을 포함하고 있는 침전물에 클로로폼과 메탄올 혼합용액(클로로포름:메탄올=2:1)을 4 ㎖ 첨가하여 교반한 후, 별도로 모아 둔 부유액과 함께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에 다시 증류수 6 ㎖를 넣어 교반한 후, 2,000 rpm으로 10 분간 원심분리한 하층액만을 취해 35℃에서 질소가스로 건조시키고 클로로폼과 메탄올 혼합용액(클로로포름:메탄올=2:1) 일정량에 녹여 보관하였다. 일정량을 실리카겔 TLC(실리카겔 TLC) 판에 점적하고, 표 11과 같은 조성비의 전개 용매로 전개하였다. TLC 판을 전개 시킨 후 각 밴드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전개용매 조성(㎖) 용매이동거리(㎝)
1차 클로로포름 50 아세톤 20 메탄올 30 5
2차 클로로포름 75 아세톤 5 메탄올 25 7
3차 클로로포름 72 에테르 6 에틸아세테이트 20 메탄올 2 9
무처치군의 세라마이드 생성량을 1로 하여 환산한 각 처치군의 세라마이드 생성량을 도 13에 나타내었다. 무처리군이나 비교예 처리군에 비해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조성물 처리군에서는 세라마이드 생성량이 45%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따른 조성물은 세라미이드 생성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의 장벽기능을 강화하여 각질층에 물리적 자극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혼합원소와 LHCCP가 포함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피부 장벽의 손상으로 인한 피부질환의 개선 및 치료에 사용되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1: 동물에서의 상처 및 열상치료 효과의 측정
실험동물은 8 주령 ICR 수컷 쥐(30±3 g)로 실험 시작 전 일반 고형사료(삼양사)와 물로 자유 식이를 하였고, 폴리프로필렌 상자(453×293×247(H) ㎜, 19ℓ)에서 1 주일간(20∼24 ℃, 습도 60∼80%)의 예비사육으로 적응기간을 두었다. 적응기간이 끝난 후 실험동물 등의 털을 제거한 후 길이 1 cm, 넓이 0.01 cm, 깊이 0.5 cm로 면도칼을 이용하여 상처를 내고, 직경 1 cm의 면적에 둥근 쇠봉을 이용하여 열상을 주었다. 실험동물군은 대조군, 실험군 그리고 현재 판매되고 있는 마데카솔 처리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은 하루 24 시간을 각각 12 시간씩 명, 암 상태로 나누어 유지하였다. 실시예 2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아침과 저녁 일정한 시간을 정하여 일정량(1 ㎖) 하루에 두 번씩 상처 부위에 도포하였다. 모든 실험은 암 상태일 때는 실험을 하지 않고 실험쥐가 안정을 취하도록 배려하였으며, 조직 채취 시에는 실험 전 24 시간 동안 회복기간을 두었다.
그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마데카솔로 처리한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처 및 열상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1의 조성물로 처리한 경우 마데카솔로 처리한 경우보다 그 효과가 훨씬 빠르며, 특히, 조성물 처리 5일 이후부터는 효과가 매우 빨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외부의 물리적인 자극에 대한 피부의 손상이나 결손을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개선 또는 치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2: 동물 피부조직 관찰
경추 탈구법으로 상기 실험예 21의 실험동물을 희생시킨 후, 피부를 분리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이물질을 최대한 제거하고, 가위로 실험부위를 잘라낸 후 아래 실험에 사용하였다. 분리한 피부를 10% 포름알데히드에 넣어 하루 동안 고정시키고, 10 ㎣ 크기로 잘라 자동침투기에서 12 시간 침투시킨 후 파라핀 블록을 만들고, 박절기를 사용하여 4 ㎛ 두께로 잘랐다. 그 후 헤마톡실린 & 에오신 염색 조건에 따라 염색하였다. 판독 및 사진촬영은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100배에서 시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처리한 실험군과 마데카솔을 처리한 대조군은 상처 및 열상치료에 있어서 크게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의 경우에는 상처의 치유가 거의 이루어졌으며, 대조군과 마데카솔 처리군의 경우는 아직 염증을 동반한 치유과정 중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 2의 조성물이 치료에 더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외부의 물리적인 자극에 대한 피부의 손상이나 결손을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개선 또는 치유할 수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실험예 23: 피부 각질제거 실험
실시예 4의 조성으로 제품의 형태로 제조하고 이를 15일간 사용한 후 각질 제거 정도를 묻는 설문을 통하여 20∼3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심플 모나딕 조사(Simple Monadic Test) 방법의 품질 평가를 실시하여, 하기 표 12의 5점 척도의 결과로써 나타내었다.
점수 각질제거효과
5 피부각질제거에 매우 우수하다
4 피부각질제거에 우수하다
3 피부각질제거에 보통이다
2 피부각질제거에 미흡하다
1 피부각질제거에 매우 미흡하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각질제거효과 4.31 2.21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혼합원소와 LHCCP를 포함한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하여 각질 제거 능력이 우수하였다.
실험예 24: 벌레 물린데
모기 및 기타 곤충에 의해 생긴 상처를 가진 성인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무작위로 각각 실시예 5의 조성물과 비교예의 조성물을 나누어 준 뒤 벌레가 물린 뒤 도포하게 하여 아래 표 14에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Figure 112009015317875-PAT00005
- : 증상이 없다, + : 심하지 않다, ++ : 조금 심하다,
+++ : 심하다, ++++ : 매우 심하다.
표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혼합원소와 LHCCP가 포함된 조성물은 비교예 조성물에 비하여 가려움증 해소 및 홍반 생성억제능력이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벌레에 의한 면역반응과 염증반응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의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5: 피부 자극실험 및 독성 실험
이상의 모든 실험에서 동물이나 사람에게 피부 자극에 의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20 마리의 4주령 마우스(ICR)에게 2달 동안 혼합원소(100 ng)와 LHCCP(10 ㎍)를 포함한 물을 자유식이하였을 경우, 죽는 동물은 없었으며,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중도 혼합원소와 LHCCP를 먹이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증가하였다.
도 1a는 각 성분의 농도에 따른 세포증식 촉진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b는 혼합원소와 LHCCP 혼합물의 세포증식 촉진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조성물을 처리한 후 유리 라디칼의 제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과산화수소 손상에 의한 세포의 반치사 농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후 혼합원소, LHCCP 혼합물을 처리하여 세포성장 회복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세포주에서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OD), 카탈라제(CAT)의 활성과 지질과산화양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실험동물에서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OD), 카탈라제(CAT)의 활성과 지질과산화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세포주의 TGF, EGF, PDGF 및 VEGF 발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a는 상처로 인한 실험동물의 TGF, EGF, PDGF 및 VEGF 발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열상으로 인한 실험동물의 TGF, EGF, PDGF 및 VEGF 발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세포주에서 항염증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PKC의 발현정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실험동물에서 항염증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PKC의 발현정도를 나타 낸 도면이며;
도 11은 혼합원소와 LHCCP 혼합물의 항균력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a는 실험동물의 경피 수분손실량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b는 실험동물의 경피 수분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실험동물에서 세라마이드 생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동물에서의 창상 및 열상치료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실험동물의 피부조직을 염색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6은 실험동물의 독성 실험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6)

  1. 유효성분으로서,
    ⅰ) 카로티노이드, 피토스테롤, 폴리페놀, 프로폴리스 및 코디세핀의 혼합물; 및
    ⅱ)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프로메튬(Pm), 유로퓸(Eu), 테르븀(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툴륨(Tm), 이테르븀(Yb), 스칸듐(Sc), 이트륨(Y), 란탄(La), 네오디뮴(Nd), 사마륨(Sm), 가돌리늄(Gd) 및 루테튬(Lu)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희토원소, 또는 그의 염 또는 산화물:
    을 함유하는,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카로티노이드는 베타-카로틴 및 라이코펜 중 하나 이상인,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피토스테롤은 베타-시토스테롤, 에르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캄페스테롤, 옥타코사놀, 테트라코사놀, 헥사코사놀, 헵타코사놀, 노나코사놀, 트리아콘타놀, 도트리아콘타놀 및 테트라트리아콘타놀 중 하나 이상인,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페놀은 카테킨, 에피카테킨, 퀘르세틴, 플라보노이드, 스틸벤 및 리그난 중 하나 이상인,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카로티노이드가 라이코펜이고, 피토스테롤이 헥사코사놀이며, 폴리페놀이 카테킨인,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카로티노이드 : 피토스테롤 : 폴리페놀 : 프로폴리스 : 코디세핀의 중량비가 0.5~1.5 : 0.5~1.5 : 0.5~1.5 : 0.5~1.5 : 0.5~1.5인,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ⅰ) 및 ⅱ)의 중량비가 1 : 1 내지 100 : 1인,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을 0.0001~10중량%로 함유하는,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카로티노이드, 피토스테롤, 폴리페놀, 프로폴리스 및 코디세핀은 자연에서 얻어진 것(naturally-occurring)이거나 인공적으로 합성된 것인,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희토원소, 또는 그의 염 또는 산화물은 자연에서 얻어진 것 인,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희토원소, 또는 그의 염 또는 산화물은 황토, 백토, 적토 또는 해양심층수에 함유되어 있는 것인,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아토피성 피부염, 상처 또는 열상, 여드름, 각질, 벌레 물린데 사용하거나, 피부장벽 회복 또는 보습에 사용하기 위한,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경피 또는 경구 투여를 위한,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연고, 크림, 로션, 스프레이, 비누 또는 화장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로션제, 연고제, 젤제, 크림제, 패치제, 분무제, 정제, 환제, 분말, 새세이(sachet), 엘릭시르(elixir),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또는 연질 또는 경질 캡슐로 제형화되는,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인간이나 사육 또는 애완동물에게 적용하기 위한 조성물.
KR1020090021542A 2008-03-13 2009-03-13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KR101219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420 2008-03-13
KR20080023420 2008-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732A true KR20090098732A (ko) 2009-09-17
KR101219520B1 KR101219520B1 (ko) 2013-01-08

Family

ID=4135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542A KR101219520B1 (ko) 2008-03-13 2009-03-13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520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980A (ko) * 2014-04-03 2015-10-15 주식회사 핫독 피모건강에 효과적인 반려동물 간식 및 간식 제조방법
KR101659740B1 (ko) 2015-05-06 2016-09-27 코스맥스 주식회사 자단향 또는 밀몽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80045933A (ko) 2016-10-25 2018-05-08 코스맥스 주식회사 곡정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48539A (ko) * 2018-04-30 2018-05-10 유씨엘 주식회사 복분자 추출물과,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KR20180087479A (ko) 2017-01-23 2018-08-02 코스맥스 주식회사 감꼭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20180127279A (ko) * 2018-11-20 2018-11-28 유씨엘 주식회사 복분자 추출물 및 버드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KR20190068360A (ko) * 2017-12-08 2019-06-18 스킨큐어 주식회사 항균, 항염증, 피지감소, 각질박리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KR20200048686A (ko) * 2018-10-30 2020-05-08 김용관 다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
KR20210122554A (ko) * 2020-04-01 2021-10-12 김종길 치주 질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반려동물용 영양제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영양제
EP3922110A4 (en) * 2019-02-08 2022-11-23 Yuri Vladimirovich Sokolov BIOLOGICALLY ACTIVE ADDITIVE AND METHOD OF USE
KR102534424B1 (ko) * 2022-05-13 2023-05-18 심현철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및 상처 치료용 TCL-10 약학적 조성물
CN116602959A (zh) * 2023-05-24 2023-08-18 广州中妆美业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抗炎镇痛功效的含茶活性成分的组合物脂质体及其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034B1 (ko) 2014-06-27 2016-02-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덤불쑥, 알꽈리 및 동백나무잎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피부알러지, 항염증및 노인성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101615923B1 (ko) 2014-06-27 2016-04-2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북꼬리, 바디나물 및 우엉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피부알러지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94089B1 (ko) 2019-03-18 2020-12-22 랩앤피플주식회사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효과를 갖는 플렉시블 금속 패치 및 그 사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689A (ko) * 2002-05-02 2002-08-09 한영환 광조사를 이용한 번데기동충하초의 생리활성 물질 생성향상법
KR100769260B1 (ko) * 2006-08-25 2007-10-22 주식회사 태웅이엘에스 희토원소를 함유하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KR100818175B1 (ko) * 2007-12-12 2008-04-02 주식회사 태웅이엘에스 모발처리용 조성물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980A (ko) * 2014-04-03 2015-10-15 주식회사 핫독 피모건강에 효과적인 반려동물 간식 및 간식 제조방법
KR101659740B1 (ko) 2015-05-06 2016-09-27 코스맥스 주식회사 자단향 또는 밀몽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80045933A (ko) 2016-10-25 2018-05-08 코스맥스 주식회사 곡정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87479A (ko) 2017-01-23 2018-08-02 코스맥스 주식회사 감꼭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20190068360A (ko) * 2017-12-08 2019-06-18 스킨큐어 주식회사 항균, 항염증, 피지감소, 각질박리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KR20180048539A (ko) * 2018-04-30 2018-05-10 유씨엘 주식회사 복분자 추출물과,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KR20200048686A (ko) * 2018-10-30 2020-05-08 김용관 다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
KR20180127279A (ko) * 2018-11-20 2018-11-28 유씨엘 주식회사 복분자 추출물 및 버드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EP3922110A4 (en) * 2019-02-08 2022-11-23 Yuri Vladimirovich Sokolov BIOLOGICALLY ACTIVE ADDITIVE AND METHOD OF USE
KR20210122554A (ko) * 2020-04-01 2021-10-12 김종길 치주 질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반려동물용 영양제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영양제
KR102534424B1 (ko) * 2022-05-13 2023-05-18 심현철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및 상처 치료용 TCL-10 약학적 조성물
CN116602959A (zh) * 2023-05-24 2023-08-18 广州中妆美业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抗炎镇痛功效的含茶活性成分的组合物脂质体及其应用
CN116602959B (zh) * 2023-05-24 2024-05-17 广州中妆美业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抗炎镇痛功效的含茶活性成分的组合物脂质体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520B1 (ko)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520B1 (ko)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KR100818175B1 (ko) 모발처리용 조성물
JP4947034B2 (ja) ポリリジン製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20110110052A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1402550B1 (ko) 황칠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KR102298530B1 (ko) 아쿠아포닉스 재배기술을 이용한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60296A (ko) 화장료 조성물
KR20220004328A (ko) 햄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내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조성물
KR101839491B1 (ko) 어성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06045075A (ja) 美白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20110085371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20237B1 (ko) 항산화 및 보습 활성을 나타내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00264B1 (ko) 진피 및 우슬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2229482B1 (ko) 피부 보호효과를 갖는 비파나무 잎 미네랄당 숙성액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5281205A (ja) マクロファージ活性化剤
JP2006069972A (ja) 美白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20130050173A (ko) 맹그로브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2053434A (ja) 毛髪処理剤及び、毛髪処理方法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5281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72354A (ko) 추출 수율 및 미네랄 함량이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0427556B1 (ko) 루시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3321379A (ja) 抗アレルギー剤
JP2006036680A (ja) 美白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